KR20000058177A - 모발 화장품 - Google Patents

모발 화장품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8177A
KR20000058177A KR1020000009029A KR20000009029A KR20000058177A KR 20000058177 A KR20000058177 A KR 20000058177A KR 1020000009029 A KR1020000009029 A KR 1020000009029A KR 20000009029 A KR20000009029 A KR 20000009029A KR 20000058177 A KR20000058177 A KR 200000581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hair
keratos
chloride
silic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9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무라다카유키
난바도미유키
Original Assignee
겜마 아키라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겜마 아키라,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filed Critical 겜마 아키라
Publication of KR20000058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817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7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Compositions or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g. vinylimidazol, vinylcaprolactame, allylamines (Polyquaternium 6)
    • A61K8/8176Homopolymers of N-vinyl-pyrrolid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6Aerosols; Fo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61K8/416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5Collagen; Gelatin; Keratin;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6Poly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61K8/894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modified by a polyoxyalkylene group, e.g. cetyl dimethicone copoly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6Polysiloxane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silicon, carbon, oxygen and hydrogen, e.g. dimethicone copolyol phosphate
    • A61K8/898Polysiloxane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silicon, carbon, oxygen and hydrogen, e.g. dimethicone copolyol phosphate containing nitrogen, e.g. amodimethicone, trimethyl silyl amodimethicone or dimethicone propyl PG-beta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4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 A61K2800/542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characterized by the charge
    • A61K2800/5426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characterized by the charge cation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케라틴 유래의 단백질 성분을 사용하여 손상된 모발에 대해 우수한 광택을 부여하고 매끈매끈한 감촉을 부여하면서 모발의 가는 머리카락 부분을 접착하여 회복할 수 있는 모발 화장품을 제공한다.
(A) 4급 암모늄 염에 의해 양이온화된 케라토스 및 (B) 실리콘 유도체를 함유하는 모발 화장품(이하, 본 발명의 모발 화장품이라고 한다)을 제공함으로써 상기한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

Description

모발 화장품{Hair cosmetics}
본 발명은 모발 화장품에 관한 기술분야의 발명이다.
모발은 크게 나누어 「보호적 역할」과 「미용상의 역할」이라는 두가지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전자의「보호적 역할」이란 문자 그대로 신체를 보호하는 역할이고 우리들의 머리를 직사 일광 또는 더위 또는 추위로부터 지키고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대해서는 완충능을 발휘한다. 또한, 후자의「미용상의 역할」이란 사람의 인상을 나타내는 모발의 역할이며 어떤 모발인가에 따라 동일한 인물이 전혀 다른 인상의 인물로서 파악될 수 있는 것은 매우 일반적인 사실이다.
이러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모발은 끊임없이 외부로부터 여러가지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있다. 요컨대, 모발은 태양의 자외선이나 오염으로 인한 원래의 스트레스 요인 이외에 세발, 브러싱, 드라이어에 의한 열, 머리 염색, 표백제 등에 의한 미용처리 등으로 인해 보다 가혹한 스트레스를 받은 결과 모발이 바삭거리거나 가는 머리카락, 끊어진 머리카락, 빠진 머리카락 등의 증가 또는 모발의 강도 저하를 야기하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모발 손상을 방지·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여러가지 각도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시도 중의 하나로서 모발에 광택과 매끄러움을 부여할 목적으로 실리콘 유, 고분자량 디메틸 폴리실록산, 고분자량 메틸페닐 폴리실록산, 에스테르유, 탄화수소유 등의 오일 성분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실리콘유는 표면장력이 낮고 모발에 대한 친숙성이 우수하고 광택이 양호하여 최근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실리콘유에도 오일 성분에 특유한 배합상의 한계가 확인되며 다량으로 사용하거나 오랜 기간 사용하거나 하면 두발에 기름기가 돈다는 한계가 인정된다.
또한, 모발에 매끄러움을 부여할 목적으로 양이온 활성제도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이를 사용해도 반드시 충분히 만족할 수 있는 광택이 모발에 부여된다고는 할 수 없으며, 또한 이를 다량으로 배합하면 안전성 면에서도 바람직하지 않다는 결점이 있다.
또한, 모발에 광택과 매끄러움을 부여하면서 모발의 손상을 방지할 목적으로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소)63-183517호, 제(소)63-24301호, 제(소)63-313712호, 제(평)5-85918호 등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고분자량 디메틸 폴리실록산, 고분자량 메틸페닐 폴리실록산 또는 아미노 변성 또는 암모늄 변성 고분자량 실리콘 등을 사용하는 기술 또는 폴리실록산옥시알킬렌 공중합체 중의 하나와 실리콘 유도체를 병용하는 모발 화장품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을 사용해도 모발에 대해 가는 머리카락 회복 효과 및 광택 부여 효과의 점에서 완벽하다고 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손상된 모발에 대해 우수한 광택을 부여하고 매끄러운 감촉을 부여하면서 모발의 가는 머리카락 부분을 접착하여 회복할 수 있는 모발 화장품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모발 화장품를 개발하는 큰 흐름의 하나로서 천연물 유래의 성분을 배합하는 것으로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고찰방식이 있다.
현실적으로 모발의 보호 회복을 목적으로 이의 기제로서 천연물로부터 추출한 각종 원료, 예를 들면, 단백질, 다당류, 각종 추출 엑기스, 천연 고분자 또는 이들 각종 원료를 구성하고 있는 단체나 올리고체 등(예: 아미노산, 펩타이드 등)을 배합한 모발 화장품이 제공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모발 화장품에 배합해야 할 천연물 유래의 성분으로서 「케라틴」에 착안했다. 케라틴은 특히, 모발에 많이 함유되는 경질 단백질이고, 이의 아미노산 조성은 동일하게 동물 유래의 경질 단백질인 콜라겐 또는 실크 등과 크게 상이하다. 이러한 발견으로부터 본 발명자들은 모발에 대한 친화성을 고려하여 특히, 모발용으로는 케라틴에 유래하는 단백성 성분을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 것이다.
이러한 케라틴에 유래하는 단백성 성분을 모발 화장품에 배합하는 경우, 케라틴 본래의 성질이 가능한 한 유지되어 있으며, 또한 모발 화장품의 배합 성분으로서 실용적이며 취급하기 쉬운 형태의 케라틴 유래의 단백질 성분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케라틴 유래의 단백질 성분을 밝혀내고, 이러한 단백질 성분을 사용하여 손상된 모발에 대해 우수한 광택을 부여하고 매끄러운 감촉을 부여하면서 모발의 가는 머리카락 부분을 접착하여 회복할 수 있는 모발 화장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를 거듭했다. 그 결과, 케라틴 유래의 단백질 성분으로서 4급 암모늄 염에 의해 양이온화된, 케라틴의 가수분해물인 「케라토스」를 선택하고, 이와 실리콘 유도체(특히, 고분자량 실리콘, 또는 아미노 변성 또는 암모늄 변성 고분자량 실리콘)를 조합하여 모발 화장품에 배합함으로써 손상 모발에 대해 수분을 유지시킬 수 있으며, 또한 양호한 가는 머리카락 회복 효과와 광택 부여 효과가 확인되는 것을 밝혀내고, 본 발명을 완성했다.
즉, 본 발명은 (A) 4급 암모늄 염에 의해 양이온화된 케라토스 및 (B) 실리콘 유도체를 함유하는 모발 화장품(이하, 본 발명의 모발 화장품이라고 한다)을 제공하는 발명이다.
발명의 실시 형태
하기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모발 화장품은 상기와 같이 (A) 4급 암모늄 염에 의해 양이온화된 케라토스 및 (B) 실리콘 유도체를 함유함으로써 모발 손상 등에 대한 효과가 발휘될 수 있는 모발 화장품이다.
본 발명의 모발 화장품에 배합되는 필수성분 (A) 및 (B)에 관해서:
1. 본 발명의 모발 화장품에 배합되는 하나의 필수성분[성분(A)]인 「4급 암모늄 염에 의해 양이온화된 케라토스」는 케라틴의 가수분해물인 케라토스를 4급 암모늄 염에 의해 양이온화한 케라토스 유도체이다.
이러한 성분(A)의 기본으로 되는 케라토스는 케라틴을 비교적 온화한 조건하(이미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10-77210호 및 제(평)10-77208호를 참조할 것)에서 가수분해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가수분해를 하는 대상인 케라틴은 이른바 진성 케라틴이며, 이의 원료로서는 모발, 양모, 깃털, 동물의 뿔, 난막 등이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수분해에 의해 수득되는 케라토스는 케라틴 본래의 구조가 가능한 한 유지되고 있으며 손상된 모발의 회복 또는 윤기 또는 매끄러움을 부여할 수 있으며, 또한 제제의 용이성 등의 모발 화장품에서의 배합 성분으로서 실용성을 고려하면, 이의 평균 분자량이 5500 내지 3520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러한 케라토스의 평균 분자량이 5500 미만이면 케라틴의 모발을 구성하는 단백질로서의 특징을 잃어 버리는 경향이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고, 반대로 상기 평균 분자량이 35200을 초과하면 본 발명의 모발의 화장품 제제에 부적당해지는 등의 배합 성분으로서의 실용성에 문제가 확인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이들의 평균 분자량은 케라토스를 구성하는 아미노산 잔기의 개수를 기준으로 하는 분자량이다. 즉, 이들의 평균 분자량은 아미노산 잔기 1개의 분자량을 110이라고 간주하고[참조: 「렌닌쟈의 신쇼가가쿠」(오야마지로 등 저, 히로카와쇼텐 발행, 상권 p141 내지 142(1988) 등], 구성 아미노산 잔기 수가 50개 내지 320개인 케라토스를 적절한 범위로 한 것이다(구성 아미노산 수로부터 보면 상기한 케라토스는 케라틴 분자의 2 내지 8개가 절단된 케라토스인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상기한 범위는 어디까지나 기준을 나타내는 것이며 이러한 범위의 분자량을 일탈하는 케라토스를 본 발명의 모발 화장품에서 사용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비교적 큰 평균 분자량의 케라토스는 케라틴을 완만한 조건으로 가수분해함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즉, 케라틴을 과포름산, 과아세트산 또는 과산화 수소수 등의 약반응계에서 가수분해하면, 알칼리수에는 용해하지만 산성수에는 용해하지 않는 성분인 α-케라토스, 산성수 및 알칼리수 둘 다에 용해하지 않는 성분인 β-케라토스 및 알칼리수 및 산성수 모두에 용해하는 성분인 γ-케라토스가 추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하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목적하는 케라토스를 수득할 수 있다:
1차적으로, 케라틴을 실온 내지 100℃에서 2 내지 5%의 과포름산, 과아세트산 또는 과산화수소와 30분 내지 3시간 정도 접촉시켜 가수분해처리를 한 다음, 이것을 물로 세정하고 계속해서 수산화나트륨 또는 암모니아 수 등의 알칼리 수용액 중에서 가수분해 처리물을 용해한다.
2차적으로, 불용물인 β-케라토스를 여과포 등으로 분리한 다음, 황산 또는 염산 등의 산으로 용액을 pH 4정도까지 산성화하고, 이러한 산성화 과정에서 생기는 유백색 침전과 투명한 상등액을 여과 분리한다.
3차적으로, 유백색의 침전을 알칼리액으로 재용해하고 투석용 셀로판 튜브, 투석막 또는 한외 여과(UF) 막, 역침투(RO) 막 등을 사용하여 투석함으로써 α-케라토스를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상등액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투석처리를 실시한 다음, 분무 건조 또는 동결건조 처리 등을 실시함으로써 수용성의 γ-케라토스를 수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한 평균 분자량 범위의 케라토스를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3종류의 케라토스 중에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케라토스 유도체의 출발물질로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용매에 대하여 가용성인 것이 제제에 있어서 실용적이라는 이유로부터 α-케라토스 또는 γ-케라토스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하여 케라틴을 완만한 조건으로 가수분해하여 수득되는 케라토스, 특히 α-케라토스와 γ-케라토스를 4급 암모늄 염으로 양이온화함으로써 목적하는 양이온화 케라토스를 수득할 수 있다.
이러한 양이온화 케라토스는 구체적으로는 상기와 같이 하여 수득되는 케라토스의 말단 아미노 그룹, 말단 카복실 그룹, 구성 아미노산 잔기인 리진 잔기의 측쇄 아미노 그룹, 동일한 히스티딘 잔기의 측쇄 이미다졸 그룹, 동일한 티로신 잔기의 측쇄 페놀성 하이드록시 그룹(이하, 이들 그룹을 「반응성 잔기」라고 한다)에 4급 암모늄 염을 부가함으로써 케라토스가 양이온화된 케라토스 유도체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4급 암모늄 염을 케라토스의 상기한 그룹에 부가하여 케라토스를 양이온화하기 위한 양이온화제는 하기 화학식 1의 4급 암모늄 화합물이다.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R1서로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는 저급 알킬 그룹이며,
R2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 그룹 또는 탄소수 2 내지 20의 알케닐 그룹이며,
R3은 탄소수 1 내지 24의 알킬렌 그룹 또는 하이드록시알킬렌 그룹이며,
X는 할로겐 원자이며,
Y는 반응성 그룹이며, 또한 R3과 Y는 함께 글리시딜 그룹을 구성할 수 있다.
화학식 1에서 저급 알킬 그룹 R1으로서는 메틸 그룹, 에틸 그룹, 프로필 그룹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 그룹인 R2는 직쇄 알킬 그룹 또는 측쇄 알킬 그룹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메틸 그룹, 에틸 그룹, 프로필 그룹, 부틸 그룹, 펜틸 그룹, 헥실 그룹, 헵틸 그룹, 옥틸 그룹, 노닐 그룹, 데실 그룹, 운데실 그룹, 도데실 그룹, 트리데실 그룹, 테트라데실 그룹, 펜타데실 그룹, 헥사데실 그룹, 헵타데실 그룹, 옥타데실 그룹, 노나데실 그룹, 에이코실 그룹, 이소프로필 그룹, 이소부틸 그룹, 2급 부틸 그룹, 3급 부틸 그룹, 네오펜틸 그룹, 3급 펜틸 그룹, 이소헥실 그룹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프로필 그룹 또는 부틸 그룹을 들 수 있다.
또한, R2가 탄소수 2 내지 20의 알케닐 그룹인 경우에는 1-프로페닐 그룹, 2-부테닐 그룹, 1,3-부타디에닐 그룹, 2-펜테닐 그룹, 3-헥세닐 그룹, 5-헵테닐 그룹, 9-데세닐 그룹, 2-트리데세닐 그룹, 2-메틸-2-부테닐 그룹, 9-옥타데세닐 그룹, 9,12-옥타데카디에닐 그룹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1-프로페닐 그룹, 2-부테닐 그룹을 들 수 있다.
또한, 할로겐 원자 X로서는 예를 들면, 불소원자, 염소원자, 브롬원자, 요오드 원자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R3이 탄소수 1 내지 24의 알킬렌 그룹인 경우에는 예를 들면, 메틸렌 그룹, 에틸렌 그룹, 트리메틸렌 그룹, 테트라메틸렌 그룹, 펜타메틸렌 그룹, 헥사메틸렌 그룹, 옥타메틸렌 그룹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R3이 탄소수 1 내지 24의 하이드록시알킬렌 그룹인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예시하는 탄소수 1 내지 24의 알킬렌 그룹에 하나 이상의 하이드록시 그룹을 결합시킨 하이드록시알킬렌 그룹을 들 수 있다. 이러한 R3으로서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록시프로필 그룹, 하이드록시부틸 그룹, 하이드록시헥실 그룹, 하이드록시옥틸 그룹, 하이드록시데실 그룹, 하이드록시도데실 그룹, 하이드록시테트라데실 그룹, 하이드록시헥사데실 그룹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반응성 그룹 Y로서는, 이러한 반응성 그룹 Y와 상기한 케라토스의 반응성 잔기가 반응함으로써 케라토스의 반응성 잔기에 화학식 1의 4급 암모늄 화합물을 부가시킬 수 있는 그룹이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불소원자, 염소원자, 브롬원자, 요오드 원자 등의 할로겐 원자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반응성 그룹 Y와 R3이 함께 글리시딜 그룹을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화학식 1의 4급 암모늄 화합물로서 구체적인 예를 들면, 3-클로로-2-하이드록시프로필옥타데실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글리시딜옥타데실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3-클로로-2-하이드록시프로필헵타데실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글리시딜헵타데실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3-클로로-2-하이드록시프로필헥사데실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글리시딜헥사데실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3-클로로-2-하이드록시프로필펜타데실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글리시딜펜타데실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3-클로로-2-하이드록시프로필테트라데실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글리시딜테트라데실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3-클로로-2-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데실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글리시딜트리데실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3-클로로-2-하이드록시프로필도데실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글리시딜도데실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3-클로로-2-하이드록시프로필야자유알킬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글리시딜야자유알킬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3-클로로-2-하이드록시프로필운데실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글리시딜운데실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3-클로로-2-하이드록시프로필데실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글리시딜데실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3-클로로-2-하이드록시프로필노닐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글리시딜노닐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3-클로로-2-하이드록시프로필옥틸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글리시딜옥틸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3-클로로-2-하이드록시프로필헵틸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글리시딜헵틸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3-클로로-2-하이드록시프로필헥실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글리시딜헥실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3-클로로-2-하이드록시프로필펜틸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글리시딜펜틸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3-클로로-2-하이드록시프로필부틸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글리시딜부틸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3-클로로-2-하이드록시프로필프로필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글리시딜프로필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3-클로로-2-하이드록시프로필에틸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글리시딜에틸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3-클로로-2-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글리시딜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3-클로로-2-하이드록시프로필옥타데실디에틸암모늄클로라이드, 글리시딜옥타데실디에틸암모늄클로라이드, 3-클로로-2-하이드록시프로필헵타데실디에틸암모늄클로라이드, 글리시딜헵타데실디에틸암모늄클로라이드, 3-클로로-2-하이드록시프로필헥사데실디에틸암모늄클로라이드, 글리시딜헥사데실디에틸암모늄클로라이드, 3-클로로-2-하이드록시프로필펜타데실디에틸암모늄클로라이드, 글리시딜펜타데실디에틸암모늄클로라이드, 3-클로로-2-하이드록시프로필테트라데실디에틸암모늄클로라이드, 글리시딜테트라데실디에틸암모늄클로라이드, 3-클로로-2-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데실디에틸암모늄클로라이드, 글리시딜트리데실디에틸암모늄클로라이드, 3-클로로-2-하이드록시프로필도데실디에틸암모늄클로라이드, 글리시딜도데실디에틸암모늄클로라이드, 3-클로로-2-하이드록시프로필야자유알킬디에틸암모늄클로라이드, 글리시딜야자유알킬디에틸암모늄클로라이드, 3-클로로-2-하이드록시프로필운데실디에틸암모늄클로라이드, 글리시딜운데실디에틸암모늄클로라이드, 3-클로로-2-하이드록시프로필데실디에틸암모늄클로라이드, 글리시딜데실디에틸암모늄클로라이드, 3-클로로-2-하이드록시프로필노닐디에틸암모늄클로라이드, 글리시딜노닐디에틸암모늄클로라이드, 3-클로로-2-하이드록시프로필옥틸디에틸암모늄클로라이드, 글리시딜옥틸디에틸암모늄클로라이드, 3-클로로-2-하이드록시프로필헵틸디에틸암모늄클로라이드, 글리시딜헵틸디에틸암모늄클로라이드, 3-클로로-2-하이드록시프로필헥실디에틸암모늄클로라이드, 글리시딜헥실디에틸암모늄클로라이드, 3-클로로-2-하이드록시프로필펜틸디에틸암모늄클로라이드, 글리시딜펜틸디에틸암모늄클로라이드, 3-클로로-2-하이드록시프로필부틸디에틸암모늄클로라이드, 글리시딜부틸디에틸암모늄클로라이드, 3-클로로-2-하이드록시프로필프로필디에틸암모늄클로라이드, 글리시딜프로필디에틸암모늄클로라이드, 3-클로로-2-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에틸암모늄클로라이드 등을 예시할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R2의 탄소수가 커지면 소수성의 경향이 강해지며 물에 대한 용해성이 저하되며, 반대로 작아지면 친수성의 경향이 강해지며 알콜류에 대한 용해성이 저하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R2의 탄소수가 너무 크거나 너무 작아도 케라토스의 양이온화는 잘 진행되지 않는 경향이 강해진다.
케라토스, 특히 α-케라토스 또는 γ-케라토스의 상기한 화학식 1의 4급 암모늄 화합물을 사용하는 양이온화 방법은 예를 들면, 하기의 공정에 따라 실시할 수 있다. 즉,
1차적으로, pH 7 내지 12의 알칼리 수용액에 대하여 1 내지 10중량% 정도의 α-케라토스 또는 1 내지 20중량% 정도의 γ-케라토스를 첨가하여 용해하고 이것을 실온내지 80℃,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70℃에서 보온하고;
2차적으로, 이러한 반응액에 반응액의 양에 대하여 5 내지 15중량%,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정도의 화학식 1의 4급 암모늄 화합물을 첨가하고 때때로 pH의 저하를 보정하면서 8 내지 48시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36시간 동안 교반한다.
3차적으로, 반응액을 산성(pH 3 내지 4 정도)으로 함으로써 케라토스의 양이온화 반응을 정지시킬 수 있다.
반응 정지후에, 바람직하게는 반응물로부터 다양한 방법에 의해 미반응물 등을 제거하여 본 발명의 모발 화장품의 배합 성분으로서 적합한 양이온화 케라토스 유도체를 수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반응액에 최종 알콜 농도가 40 내지 80용량%,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0용량%로 되도록 저급 알콜을 첨가하고, 이때에 발생하는 침전물을 원심분리 또는 여과막 등에 의해 제거하고 투명한 알콜 수용액을 수득할 수 있다. 이러한 알콜 수용액을 투석용 셀로판 튜브, UF 막, RO 막 등의 투석수단을 사용하여 투석하고, 이러한 투석제의 반응액을 ① 분무 건조 또는 동결건조함으로써 분말화하거나 ② 액체 그대로 농축하거나 ③ 분말화한 것을 물 또는 알콜수에 재용해하여 액상으로 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③에 따르는 경우, α-케라토스에 유래하는 것은 밀크상에 분산한 액으로 되며, γ-케라토스에 유래하는 것은 투명한 수용액으로 된다.
이와 같이 수득되는 4급 암모늄 화합물에 의해 양이온화된 케라토스 유도체의 본 발명의 모발 화장품에서의 배합량은 모발 화장품의 구체적인 제형 또는 기타 성분 등의 겸용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는 화장품 전체의 0.01 내지 5.0중량%가 바람직하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중량%이다. 이러한 배합량이 화장품의 0.01중량% 미만이면, 본 발명의 모발 화장품이 발휘해야 할 모발 손상 방지 효과 등이 충분하지 않게 되는 경향이 강해지며, 반대로 5.0중량%를 초과하여 배합하면 오히려 모발 화장품이 끈적거리는 경향이 나타나서 바람직하지 않다.
2. 본 발명의 모발 화장품에 배합되는 하나의 필수성분[성분(B)]인 실리콘 유도체로서는 예를 들면, (1) 디메틸실리콘 오일로서 옥타메틸트리실록산, 데카메틸테트라실록산, 메틸실록산, 고중합 메틸폴리실록산 등, (2) 환상 실리콘 오일로서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도데카메틸사이클로헥사실록산 등, (3) 메틸페닐실리콘 오일로서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등, (4)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오일로서 폴리옥시에틸렌·메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폴리(옥시에틸렌·옥시프로필렌)·메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라우릴메티콘코폴리올 등, (5) 트리메틸실록시규산, (6) 아모디메티콘 에멀젼으로서 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실록산·디메틸실록산 공중합체 에멀젼 등, (7) 디메틸실리콘 에멀젼, (8) 가교형 메틸폴리실록산, (9) 실리콘 화합물로서 실리콘 수지 등, (10)스테아록시 변성 실리콘으로서 스테아록시메틸폴리실록산 등, (11) 알킬 변성 실리콘, (12) 아미노 변성 실리콘, (13) 카복실 변성 실리콘, (14) 고급 지방산 변성 실리콘, (15) 에폭시 변성 실리콘, (16) 비닐 그룹 함유 실리콘, (17) 알콜 변성 실리콘, (18)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19) 알킬·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20) 불소 변성 실리콘, (21) 아미노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22) 오이게놀 변성 실리콘, (23) 디메틸실리콘 에멀젼을 들 수 있다.
이들 실리콘 유도체 중에서도 특히, 하기 화학식 2의 고분자량 실리콘 유도체 및 화학식 3의 아미노 변성 고분자량 실리콘 또는 암모늄 변성 고분자량 실리콘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학식 2 및 3에서,
R4는 메틸 그룹 또는 페닐 그룹(단, 모든 R4가 페닐 그룹인 것은 아니다)이며,
R5는 메틸 그룹 또는 하이드록시 그룹이며,
n은 3000 내지 20000의 정수이고,
R6은 메틸 그룹 또는 페닐 그룹(단, 모든 R6이 페닐 그룹인 것은 아니다)이며,
R7은 메틸 그룹 또는 하이드록시 그룹 또는 R8과 동일한 그룹이며, 이러한 R8은 화학식 R9Z의 아미노 그룹 또는 암모늄 그룹을 갖는 치환기[여기서, R9는 탄소수 3 내지 6의 알킬렌 그룹이며, Z는 -N(R10)2, -N+(R10)3A-, -N(R10)(CH2)dN(R10)2, -NR10(CH2)dN+(R10)3A-및 -NR10(CH2)dN(R10)C=O(R11)(여기서, R10은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 그룹이며, R11은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 그룹이며, A는 염소원자, 브롬원자 또는 요오드 원자이며, d는 2 내지 6의 정수이다)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1가의 그룹이다]이며,
x 및 y는 각각 양의 정수로서, x+y는 3000 내지 20000이고, y/x는 1/500 내지 1/10000이다.
화학식 2의 고분자량 실리콘 유도체는 R4및 R5가 동시에 메틸 그룹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화학식 2의 실리콘 유도체의 분자량은 약 37만 내지 150만 정도이고, 성상은 상온에서 연질 고무상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화학식 2의 고분자량 실리콘 유도체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예를 들면,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말단 하이드록시 그룹 함유 디메틸폴리실록산, 말단 하이드록시 그룹 함유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화학식 2의 실리콘 유도체는 「SE30」,「SE70」(이상, 모두 제네럴·일렉트릭사제) 등으로서 시판되고 있으며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다.
또한, 화학식 3의 아미노 변성 고분자량 실리콘 또는 암모늄 변성 고분자량 실리콘 유도체는 R6이 메틸 그룹이고, R7이 메틸 그룹 또는 하이드록시 그룹이고, R8이 -(CH2)3NH2, -(CH2)3N(CH3)2, -(CH2)3N+(CH3)3Cl-등인 것이 적절하게 사용된다.
또한, 화학식 3 내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x+y는 3000 내지 20000이지만, 바람직하게는 4000 내지 20000이다. x+y가 3000 미만에서는 화학식 3의 실리콘 유도체의 성상이 오일상으로 되어 버리는 결과, 모발 보호 효과가 불충분해지는 경향이 확인되는 반면, 20000을 초과하면 후술하는 실리콘유 등과의 상용성이 악화되어 제제면에서 볼 때에 실용적이지 않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y/x는 1/500 내지 1/10000이지만, 바람직하게는 1/500 내지 1/2000이다. y/x가 1/500를 초과하면 고분자량 실리콘중의 아미노 그룹 또는 암모늄 그룹의 함유율이 높아지는 결과, 이러한 화학식 3의 실리콘 유도체의 제조시에 가교반응 등이 일어나거나 원료 냄새의 점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반면, 1/10000 미만에서는 이들 아미노 그룹 또는 암모늄 그룹과 모발과의 상호작용이 불충분해지며 목적하는 모발 보호 효과의 지속성이 악화되는 경향이 확인된다.
아미노 변성 고분자량 실리콘 또는 암모늄 변성 고분자량 실리콘인 화학식 3의 실리콘 유도체는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γ-아미노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과 환상 디메틸폴리실록산과 헥사메틸디실록산을 알칼리 촉매하에 중축합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 화학식 3의 실리콘 유도체는 연질 고무상이며, 이를 배합한 본 발명의 모발 화장품을 다량으로 사용하거나 오랜 기간 연속적으로 사용해도 모발, 두피에 끈적거림이 수반되지 않으며, 모발에 우수한 광택이나 매끄러운 감촉을 부여하여 모발의 보호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발 화장품에서 상기한 성분(B)인 실리콘 유도체의 1종 이상을 선택하여 배합할 수 있지만, 화학식 2 및 3의 실리콘 유도체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화학식 2 및 3의 실리콘 유도체를 조합하여 본 발명의 모발 화장품 중에 배합하는 경우, 끈적거림이나 사용감의 중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감안하여 이의 배합 비율은 화학식 2의 실리콘 유도체:화학식 3의 실리콘 유도체= 1:9 내지 9:1(중량비)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2:8 내지 8:2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2의 실리콘 유도체에 대한 화학식 3의 실리콘 유도체의 배합 비율이 너무 많으면 끈적거리거나 사용감이 무거워지는 경향이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은 한편, 화학식 2의 실리콘 유도체에 대한 화학식 3의 실리콘 유도체의 배합 비율이 너무 적으면 가는 머리카락의 회복 효과 또는 모발에 대한 접착 효과가 불충분해지는 경향이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의 모발 화장품에서 성분(B)인 실리콘 유도체의 배합량은 모발 화장품의 구체적인 제형 또는 기타 성분 등의 겸용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며, 특별히 한정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는 화장품 전체의 0.1 내지 50.0중량%가 바람직하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0중량%이다. 이러한 배합량이 화장품의 0.1중량% 미만이면 본 발명의 모발 화장품이 발휘해야 할 모발 손상 방지 효과 등이 충분하지 않게 되는 경향이 강해지며, 반대로 50.0중량%를 초과하여 배합하면 화장품 중에 용해시키는 것이 곤란해져서, 실용성에서 문제가 있다.
또한, 성분(B)인 실리콘 유도체, 특히 상기한 화학식 2의 실리콘 유도체 또는 화학식 3의 실리콘 유도체를 본 발명의 모발 화장품의 배합 성분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들을 일단, 저비점의 휘발성유에 용해시켜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며 또한 실용적이다. 또한, 제형에 따라서는 모발 화장품 속에 이들 실리콘 유도체와 휘발성유를 별개로 배합하여 제제중에서 실리콘 유도체를 용해시킬 수 있다.
이러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저비점의 휘발성유로서는 예를 들면, 쇄상 실리콘유 또는 환상 실리콘유, 또한 이소파라핀계 탄화수소유 등을 들 수 있다.
상기한 쇄상 실리콘은 하기 화학식 4와 같다:
상기 화학식 4에서,
t는 0 내지 650의 정수이다.
이러한 쇄상 실리콘유로서는 예를 들면, 디메틸폴리실록산(점도: 0.65 내지 5mPa· s/25℃)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환상 실리콘은 하기 화학식 5와 같다:
상기 화학식 5에서,
u는 3 내지 7의 정수이다.
이러한 환상 실리콘으로서는 예를 들면,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 및 테트라데카메틸사이클로헥사실록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소파라핀계 탄화수소로서는 상압에서의 비점이 60 내지 260℃의 범위에 있는 것을 적절하게 들 수 있으며, 이들은 아이소파 A(등록상표), 아이소파 C, 아이소파 D, 아이소파 E, 아이소파 G, 아이소파 H, 아이소파 K, 아이소파 L, 아이소파 M(이상, 모두 엑손사제), 쉘졸71(등록상표, 쉘사제) 또는 솔톨100(등록상표), 솔톨130, 솔톨220(이상, 모두 필립사제) 등으로서 시판되고 있으며,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다.
이들 휘발성유는 임의로 1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의 사용량은 성분(B)인 실리콘 유도체에 대해 1 내지 50배량(중량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여 (A) 4급 암모늄 염에 의해 양이온화되는 케라토스 및 (B) 실리콘 유도체를 모발 화장품의 필수성분으로서 배합함으로써 손상된 모발에 대해 우수한 광택을 부여하고 매끄러운 감촉을 부여하면서 모발의 가는 머리카락 부분을 접착하여 회복할 수 있는 모발 화장품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모발 화장품의 형태에 관해서
본 발명의 모발 화장품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질적, 양적 범위내에서 필요에 따라 다시 유동 파라핀, 스쿠알란, 라놀린 유도체, 고급 알콜, 각종 에스테르유, 아보가드유, 팜유, 우지, 호호바유, 폴리알킬렌글리콜폴리에테르 및 이의 카복실산올리고에스테르 화합물, 테르펜계 탄화수소 등의 오일 성분;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렌 글리콜, 글리세린, 소르비톨,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의 수용성 다가 알콜; 히알론산, 콘드로이틴황산, 피롤리돈카복실산염 등의 보습제; 자외선 흡수제; 자외선 산란제; 아크릴계 수지,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수지류; 대두 단백질, 젤라틴, 콜라겐, 실크 피브로인, 엘라스틴 등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 에틸파라벤, 부틸파라벤 등의 방부제; 각종 아미노산, 비오틴, 판토텐산 유도체의 활성부여제; γ-올리자놀, 덱스트란황산나트륨, 비타민 E 등의 항지루제(抗脂漏劑);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테트라클로로디플루오로에탄 등의 희석제; 카복시비닐 중합체 등의 증점제 외에 약제, 향료, 착색제 등의 일반적으로 모발 화장품에 사용되는 성분을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발 화장품의 제형은 임의적이며 가용화계, 유화계, 분말분산계, 유-수의 2층계, 유-수-분말의 3층계 등의 어떤 것도 상관없다.
실시예
하기에 본 발명을 실시예에 따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배합량은 특별히 단정하지 않는 한 배합 성분의 배합 대상에 대한 중량%이다.
[제조예]
제조예 1: 양이온화 α-케라토스의 제조(1)
우선, 빙초산과 과산화수소수(농도 35%)를 중량비 8:2로 채취하여 이들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과아세트산 용액 100g을 조제한다. 이 과아세트산 용액중에 잘 세정한 탈지 양모를 10g 투입하고 교반하면서 양모 케라틴을 60℃에서 3시간 동안 가수분해한다. 다음에 가수분해한 양모 케라틴을 인출하고 물로 세정하여 이것을 50℃로 보온한 0.5mol의 암모니아 수 100g에 잘 교반하면서 용해시킨다. 이 암모니아 수용액으로부터 여과포로 암모니아 수용액에 용해되지 않은 것을 제거하고, 여액을 황산을 사용하여 이의 pH를 4 이하로 조정한다. pH 조정후에 유백색으로 석출시킨 단백질의 α-케라토스를 함유하는 암모니아 수용액을 투석에 의해 정제하고 분무 건조기로 건조시켜 분말화한다.
수득된 α-케라토스의 평균 분자량을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한 결과 18000이었다.
이러한 미처리 α-케라토스 10g을 pH 10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100g에 용해시켜 65℃로 보온한다. 이 용액에 글리시딜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유효 성분 74%, 사카모토야쿠힝사제) 10ml를 첨가하여 최초의 1시간 동안은 pH의 저하를 보정하면서 18시간 동안 교반한다. 이 반응액에 염산을 가하여 반응액의 pH를 산성으로 함으로써 반응을 정지시킨다. 미반응물을 제거하기 위해, 반응을 정지시킨 반응액을 분자량 분획 5000의 투석용 셀로판 튜브를 사용하여 증류수로 투석하고 불용물을 여과하고 이것을 분무 건조로 분말화한다. 이때의 수율은 80%이다. 이것을 물에 재용해시킴으로써 밀크상의 4급 암모늄 염이 부가된 α-케라토스 유도체를 분산시킨 pH 6.5의 액을 수득한다.
제조예 2: 양이온화 γ-케라토스의 제조
제조예 1과 동일하게 빙초산과 과산화수소수(농도 35%)를 중량비 8:2로 채취하여 이들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과아세트산 용액 100g을 조제한다. 이 과아세트산 용액중에 잘 세정한 탈지 양모를 10g 투입하여 교반하면서 양모 케라틴을 60℃에서 3시간 동안 가수분해한다. 이어서, 가수분해된 양모 케라틴을 인출하고 물로 용해하여 이것을 50℃로 보온한 0.5mol의 암모니아수 100g에 잘 교반하면서 용해시킨다. 이 암모니아 수용액으로부터 여과포로 암모니아 수용액에 용해되지 않는 것을 제거하고, 여액을 황산을 사용하여 pH 4 이하로 조정한다. 이것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이 투명한 γ-케라토스를 수득한다. 이것을 증발기에서 농축시킨 다음, 투석에 의해 정제하고 분무 건조기로 분말화한다. 수득된 γ -케라토스의 평균 분자량을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한 결과 9800이었다.
상기한 미처리 γ-케라토스 20g을 pH 10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100g에 용해시켜 65℃로 보온한다. 이 용액에 글리시딜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유효 성분 74%, 사카모토야쿠힝사제) 10ml를 첨가하여 최초의 1시간 동안은 pH의 저하를 보정하면서 18시간 동안 교반한다. 이 반응액에 염산을 가하여 반응액의 pH를 산성화함으로써 반응을 정지시킨다. 미반응물을 제거하기 위해, 이것을 분자량 분획 3500의 투석용 셀로판 튜브를 사용하여 증류수로 투석하고, 불용물을 여과하고 이것을 분무 건조로 분말화한다. 이때의 수율은 85%이다. 이것을 물에 재용해시킴으로써 투명한 4급 암모늄 염이 부가된 γ-케라토스가 용해된 pH 6.5의 수용액을 수득한다.
제조예 3: 양이온화 α-케라토스의 제조(2)
제조예 1의 과정에서 수득한 미처리 α-케라토스 10g을 pH 10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100g에 용해시켜 65℃로 보온한다. 이러한 용액에 글리시딜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농도 74%, 사카모토야쿠힝사제) 10ml를 첨가하여 최초의 1시간 동안은 pH의 저하를 보정하면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여 부가반응을 수행한다. 계속해서 반응액의 pH를 3.5로 조정하고, 최종 에탄올 농도가 약 70%로 되도록 2.5배 용량의 에탄올을 첨가한다. 이때에 생긴 침전물을 원심분리하여 투명한 상등액의 에탄올 수용액을 수득한다. 이 에탄올 수용액을 분자량 분획 3500의 투석용 셀로판 튜브를 사용하여 증류수로 투석하고, 불용물을 여과하고 이것을 분무 건조로 분말화한다. 이때의 수율은 60%이다. 이것을 50%의 에탄올수에 재용해시킴으로써 물에는 불용성이고 알콜수에는 용해하는, 투명한 4급 암모늄 염이 부가된 α-케라토스가 용해된 pH 6.5의 알콜 수용액을 수득한다.
제조예 4: 미처리 α-케라토스
제조예 1의 과정에서 수득한 미처리 α-케라토스를 「미처리 α-케라토스」로서 사용한다.
제조예 5: 미처리 γ-케라토스
제조예 2의 과정에서 수득한 미처리 γ-케라토스를 「미처리 γ-케라토스」로서 사용한다.
양이온화도의 확인
제조예 1 및 제조예 3에서 수득한 4급 암모늄 염이 부가된 α-케라토스에서의 아미노 그룹의 양, 제조예 2에서 수득한 4급 암모늄 염이 부가된 γ-케라토스에서의 아미노 그룹의 양 및 제조예 4 및 제조예 5에서 수득한 미처리 α-케라토스 및 γ-케라토스에서의 아미노 그룹의 양에 관해서 비교함으로써 4급 암모늄 화합물에 의한 부가반응이 각 케라토스의 아미노 그룹에서 어느 정도 일어나는가를 검토한다.
아미노 그룹이 4급 암모늄 화합물과 전부 반응한 상태를 100% 양이온화되었다고 평가하고, 아미노 그룹의 절반이 미반응으로 남아 있는 상태를 50% 양이온화되었다고 평가한다.
아미노 그룹의 측정은 TNBS(트리니트로 벤젠 설폰산)법[참조: 오노 모토노리 등, 「단백질의 화학 수식(상)」, 갓가이슛판센터 발행, p38 (1986)]에 의해 수행한다.
즉, 증류수에 케라토스 시료를 0.5중량% 용해시킨 수용액 1ml에 붕산-인산 완충액(pH 8.0) 4ml와 0.1% TNBS 수용액 4ml를 가하여 알루미늄 호일 등으로 차광하고 40℃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킨다. 계속해서 1N-HC1 14ml와 10% SDS 4ml를 가하여 반응을 중지시키고 340nm의 흡광도를 측정하고, 4급 암모늄이 부가된 케라토스의 아미노 그룹과 미처리 케라토스의 아미노 그룹을 정량하여 비교한다.
그 결과를 표 1에 기재한다.
샘플 양이온화도(%)
제조예 1(양이온화 α-케라토스) 85
제조예 2(양이온화 γ-케라토스) 95
제조예 3(양이온화 α-케라토스) 53
제조예 4(미처리 α-케라토스) 0
제조예 5(미처리 γ-케라토스) 0
상기한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미처리 케라토스(제조예 4 및 5)의 양이온화도가 모두 0%인데 비해 4급 암모늄 화합물 처리한 케라토스(제조예 1 내지 3)에서는 아미노 그룹의 양이온화가 상당한 정도이다는 것이 확인된다.
이러한 점에 따라 케라토스를 특정한 4급 암모늄 화합물로 처리함으로써 이들 케라토스는 확실하게 양이온화한다는 것이 명백해졌다.
하기에, 본 발명의 모발 화장품의 처방예를 실시예로서 기재하고(이들 비교예를 포함한다), 이들 실시예들에 관해서 하기하는 방법에 따라서 (1) 손의 끈적거림, (2) 빗이 통과하기 쉬움, (3) 매끄러움, (4) 모발의 윤기, (5) 가는 머리카락 회복 효과에 관해서 평가한다.
[실시예 1] 헤어 스프레이
배합 성분 배합량(중량%)
(1)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 15.0
(2) 디메틸폴리실록산(20mPa·s) 3.0
(3) 1,3-부틸렌 글리콜 2.0
(4)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60 EO) 2.0
(5) 제조예 3의 α-케라토스 1.0
(6) 에탄올 15.0
(7) 이온교환수 잔여량
(8) 향료 0.3
<제법>
(1)에 (2)를 혼합하고, 이것을 (3)과 (4)의 혼합물에 가하여 유화시킨 다음, 이것을 (5) 내지 (8)과 혼합하여 헤어 스프레이를 수득한다.
[실시예 2] 헤어 무스
배합 성분 배합량(중량%)
(1)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10.0
(2) 고분자량 실리콘 2.0
[화학식 2에서 R4및 R5는 메틸 그룹이고; n은 3000이다]
(3) 암모늄 변성 고분자량 실리콘 1.0
[화학식 3에서 R6의 10%가 페닐 그룹이며, 나머지는
메틸 그룹이고, R7은 메틸 그룹이고, R8은 -(CH2)3N+(CH3)3Cl-이고,
x는 l0000이고, y는 2이다]
(4) 프로필렌 글리콜 2.5
(5)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40 EO) 2.0
(6) 제조예 1의 α-케라토스 2.5
(7) 제조예 2의 γ-케라토스 2.5
(8) 에탄올 8.0
(9) 이온교환수 잔여량
(l0) n-부탄 7.0
(11) 향료 0.1
<제법>
(1)에 (2)와 (3)을 용해시켜 (4)와 (5)의 혼합물에 가하여 유화시키고, (6), (7), (8), (9) 및 (11)과 혼합한 용액을 에어졸 용기에 투입하여 밸브를 부착시킨 후에 (10)을 충전하여 헤어 무스를 수득한다.
[실시예 3] 헤어 크림
배합 성분 배합량(중량%)
(1) 데카메틸사이클로헥사실록산 25.0
(2) 아미노 변성 고분자 실리콘 6.0
[화학식 3에서 R6은 메틸 그룹이고, R7은 하이드록시
그룹이고, R8은 -(CH2)3N(CH3)2이고, x는 3000이고, y는 6이다]
(3) 글리세린 3.0
(4)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120 EO) 3.0
(5) 제조예 2의 γ-케라토스 3.0
(6) 에탄올 4.0
(7) 이온교환수 잔여량
(8) 폴리비닐알콜 1.0
(9) 향료 0.15
<제법>
(1)에 (2)를 용해시켜 (3)과 (4)의 혼합물에 가하여 유화시키고, (5), (6), (7), (8) 및 (9)와 혼합하여 헤어 크림을 수득한다.
[실시예 4] 헤어 젤
배합 성분 배합량(중량%)
(1)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3.0
[상품명: 실리콘 SC1014M, 신에쓰가가쿠고교(주)사제]
(2) 카복시비닐 중합체 2.0
[상품명: 하이비스와코-104, 와코쥰야쿠(주)사제]
(3) 글리세린 5.0
(4) 비닐피롤리돈/비닐아세트산 공중합체 3.0
[상품명: PVP/VA·S-630, ISP사제]
(5) 제조예 1의 α-케라토스 5.0
(6) 에탄올 5.0
(7) 이온교환수 잔여량
(8) 수산화나트륨 0.5
(9) 향료 0.5
<제법>
(7)에 (2)를 용해시키고, 순차적으로 (1), (3), (4), (5), (6), (8) 및 (9)를 첨가하여 헤어 젤을 수득한다.
[실시예 5] 컨디셔닝 샴푸
배합 성분 배합량(중량%)
(1) 라우릴폴리옥시에틸렌(3) 10.0
황산에스테르트리에탄올아민염(30% 수용액)
(2) 라우릴폴리옥시에틸렌(3) 20.0
황산에스테르나트륨염(30% 수용액)
(3) 라우릴황산에스테르나트륨염(30% 수용액) 5.0
(4) 라우로일디에탄올아미드 3.0
(5) 라우릴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35% 수용액) 7.0
(6) 디메틸실리콘 에멀젼 2.5
(7) 제조예 2의 양이온화 γ-케라토스 0.2
(8) 에틸렌글리콜디스테아르산에스테르 2.0
(9) 향료 0.3
(l0) 파라벤 0.1
(ll) 금속 이온봉쇄제 0.1
(12) pH 조정제 0.12
(13) 이온교환수 잔여량
<제법>
(1) 내지 (13)을 70℃에서 가열 교반하여 균일하게 한다. 이어서, 이것을 냉각시켜 컨디셔닝 샴푸를 수득한다.
[비교예 1] 헤어 스프레이(케라토스를 배합하지 않은 경우)
배합 성분 배합량(중량%)
(1)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 15.0
(2) 디메틸폴리실록산(20mPa·s) 3.0
(3) 1,3-부틸렌 글리콜 2.0
(4)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60 EO) 2.0
(5) 가수분해 케라틴 1.0
[상품명: 프로모이스WK-H, 세이와가세이(주)사제]
(6) 에탄올 15.0
(7) 이온교환수 잔여량
(8) 향료 0.3
<제법>
(1)에 (2)를 혼합하고, 이것을 (3)과 (4)의 혼합물에 가하여 유화시킨 다음, (5) 내지 (8)과 혼합하여 헤어 스프레이를 수득한다.
[비교예 2] 헤어 무스(실리콘 유도체를 배합하지 않은 경우)
배합 성분 배합량(중량%)
(1)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10.0
(2) 유동 파라핀 2.0
(3) 프로필렌글리콜 2.5
(4)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40 EO) 2.0
(5) 제조예 1에서 수득한 α-케라토스 2.5
(6) 제조예 2에서 수득한 γ-케라토스 2.5
(7) 에탄올 8.0
(8) 이온교환수 잔여량
(9) n-부탄 7.0
(10) 향료 0.1
<제법>
(1)에 (2)를 용해시켜 (3)과 (4)의 혼합물에 가하여 유화시키고, (5), (6), (7), (8) 및 (10)과 혼합하여 이루어진 용액을 에어졸 용기에 투입하여 밸브를 부착한 후에 (9)를 충전시켜 헤어 무스를 수득한다.
[비교예 3] 헤어 크림(케라토스를 배합하지 않은 경우)
배합 성분 배합량(중량%)
(1) 데카메틸사이클로헥사실록산 25.0
(2) 아미노 변성 고분자 실리콘 6.0
[화학식 3에서 R6은 메틸 그룹이고, R7은 하이드록시
그룹이고, R8은 -(CH2)3N(CH3)2이고, x는 3000이고, y는 6이다]
(3) 글리세린 3.0
(4)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120 EO) 3.0
(5) 양이온화 가수분해 콜라겐 1.0
[상품명: 브로모이스W-52QP, 세이와가세이(주)사제]
(6) 에탄올 10.0
(7) 이온교환수 잔여량
(8) 폴리비닐알콜 1.0
(9) 향료 0.1
<제법>
(1)에 (2)를 용해시켜 (3)과 (4)의 혼합물에 가하여 유화시키고, (5), (6), (7), (8) 및 (9)와 혼합하여 헤어 크림을 수득한다.
[비교예 4] 헤어 젤(실리콘 유도체와 케라토스를 함께 배합하지 않은 경우)
배합 성분 배합량(중량%)
(1) 펜타에리스리톨의(PO) 65mol(EO) 4.5mol 부가물 3.0
(2) 카복시비닐 중합체 2.0
[상품명: 하이비스와코-104, 와코쥰야쿠(주)사제]
(3) 글리세린 5.0
(4) 비닐피롤리돈/비닐아세트산 공중합체 3.0
[상품명: PVP/VA·S-630, ISP사제]
(5) 대두 레시틴 5.0
(6) 에탄올 5.0
(7) 이온교환수 잔여량
(8) 수산화나트륨 0.5
(9) 향료 0.5
<제법>
(7)에 (2)를 용해시키고, 순차적으로 (1), (3), (4), (5), (6), (8) 및 (9)를 첨가하여 헤어 젤을 수득한다.
[비교예 5] 컨디셔닝 샴푸(케라토스를 배합하지 않은 경우)
배합 성분 배합량(중량%)
(1) 라우릴폴리옥시에틸렌(3) l0.0
황산에스테르트리에탄올아민염(30% 수용액)
(2) 라우릴폴리옥시에틸렌(3) 20.0
황산에스테르나트륨염(30% 수용액)
(3) 라우릴황산에스테르나트륨염(30% 수용액) 5.0
(4) 라우로일디에탄올아미드 3.0
(5) 라우릴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35% 수용액) 7.0
(6) 디메틸실리콘 에멀젼 2.5
(7) 에틸렌글리콜디스테아르산에스테르 2.0
(8) 향료 0.3
(9) 파라벤 0.1
(10) 금속 이온 봉쇄제 0.1
(l1) pH 조정제 0.12
(12) 이온교환수 잔여량
<제법>
(1) 내지 (12)를 70℃에서 가열 교반하여 균일하게 한다. 이어서, 이것을 냉각하여 컨디셔닝 샴푸를 수득한다.
시험 방법
(1) 손의 끈적거림에 관한 시험
손바닥에 시료 1g을 취하고 30초 동안 손으로 문지른 다음, 손의 끈적거림을 하기 기준으로 관능 평가한다.
○: 전혀 끈적거리지 않음.
△: 약간 끈적거림.
×: 상당히 끈적거림.
(2) 빗이 통과하기 쉬운가에 관한 시험
손상 모발 스트랜드(4g)에 시료 2g를 도포하여 빗으로 형태를 갖추고, 도포 직후 및 6시간 후에 빗이 통과하기 쉬운가를 하기 기준으로 관능 평가한다.
◎: 빗이 통과하기가 매우 좋음.
○: 빗이 통과하기가 좋음.
△: 약간 걸림.
×: 걸림.
(3) 매끄러움에 관한 시험
상기 (2)와 동일하게 시료의 도포 직후 및 6시간 후의 손상 모발 스트랜드의 매끄러움을 하기의 기준으로 관능 평가한다.
◎: 매우 매끄러움.
○: 매끄러움.
△: 약간 매끄러움.
×: 매끄럽지 않음.
(4) 모발의 윤기에 관한 시험
각 시료 1g을 길이 15cm의 500 내지 600개의 손상 모발속(束)에 도포하여 40℃의 온수(300ml) 속에서 진탕하여 헹구는 것(100사이클)을 2회 반복한 다음, 이 러한 모발속을 건조시킨다. 이러한 모발속으로부터 임의로 10개의 모발을 선택하여 변각광도계 GP-IR[(주)무라카미쇼쿠사이겐큐쇼제]에서 입사된 빛에 대한 모발의 반사광 분포를 측정하여 모발의 광택도(윤기)를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구한다.
G= s/d
상기 수학식 1에서,
G는 광택도이며,
s는 정반사광량이며,
d는 확산 반사광량이다.
상기한 방법으로 구해진 광택도 G에 의해 각 시료의 모발에 대한 윤기 부여 효과를 하기와 같이 평가한다.
G 평가
15 이상···◎ 윤기 부여 효과 대
10 내지 15···○ 윤기 부여 효과 중
5 내지 10···△ 윤기 부여 효과 소
5 이하···× 윤기 부여 효과 없음
상기 (2)와 동일하게 도포 직후 및 6시간 후의 손상 모발 스트랜드의 윤기를 평가한다.
(5) 가는 머리카락 회복 효과에 대한 시험
일본인 여성의 가는 머리카락 모발(30cm/5g)을 속으로 하여 샴푸로 씻은 다음, 시료를 모발에 약 5g 도포하고 가볍게 헹군다. 이어서, 드라이어와 브러시를 사용하여 모발이 건조될 때까지 브러싱한 다음, 브러시를 10회 통과한 후의 박리 정도에 의해 하기 기준으로 평가를 수행한다.
◎: 접착되어 벗겨지지 않음.
○: 접착되지만 약간 벗겨짐.
△: 접착되지만 거의 벗겨짐.
×: 접착되지 않음.
(1) 손의끈적거림 (2) 빗이통과하기쉬움 (3) 매끄러움 (4) 모발의윤기 (5) 가는머리카락 회복효과
실시예 1직후6시간 후 ○- ◎○ ◎○ ○○ ○-
실시예 2 직후6시간 후 ○- ◎◎ ◎◎ ◎◎ ◎-
실시예 3 직후6시간 후 ○- ◎◎ ◎◎ ◎◎ ◎-
실시예 4 직후6시간 후 ○- ◎◎ ◎◎ ◎○ ◎-
비교예 1 직후6시간 후 △- ○△ ○○ ○△ ○-
비교예 2 직후6시간 후 ○- △△ ○△ △△ △-
비교예 3 직후6시간 후 △- △△ △× ○○ ○-
비교예 4 직후6시간 후 ×- △× △× ○△ ×-
표 2의 결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발 화장품은 모발에 대해 우수한 광택을 부여하고 매끄러운 감촉을 부여하면서 또한 모발의 가는 머리카락 부분을 접착시켜 회복할 수 있는 모발 화장품이다.
본 발명에 따라 모발에 우수한 광택을 부여하고 매끄러운 감촉을 부여하며 또한 가는 머리카락 회복 효과가 우수한 모발 화장품이 제공된다.

Claims (1)

  1. (A) 4급 암모늄 염에 의해 양이온화된 케라토스 및 (B) 실리콘 유도체를 함유하는 모발 화장품.
KR1020000009029A 1999-02-26 2000-02-24 모발 화장품 KR2000005817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051770 1999-02-26
JP5177099 1999-02-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8177A true KR20000058177A (ko) 2000-09-25

Family

ID=12896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9029A KR20000058177A (ko) 1999-02-26 2000-02-24 모발 화장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251379B1 (ko)
KR (1) KR20000058177A (ko)
TW (1) TW520295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954B1 (ko) * 2002-07-06 2005-02-2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자외선 흡수성 정발제
KR20180127558A (ko) * 2010-04-30 2018-11-28 모멘티브 퍼포먼스 머티리얼즈 인크. 아미노실리콘을 이용한 손상 모발 트리트먼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59119A1 (de) * 1999-12-08 2001-06-13 Clariant Gmbh Emulsionen
US6500414B2 (en) * 2000-07-07 2002-12-31 Siltech Llc Aromatic dimethicone copolyol polymers as sunscreen agents in personal care applications
NL1018901C2 (nl) 2001-09-06 2003-03-07 Prolyte Vastgoed B V Trussconstructie alsmede een koppeldeel, basiselement of koppelelement voor toepassing daarin.
BR0314142A (pt) * 2002-09-09 2005-06-28 Nestec Sa Composição administrável oralmente para melhoria da qualidade do cabelo ou da pele
JP4235061B2 (ja) * 2003-08-21 2009-03-04 花王株式会社 毛髪化粧料
US20050196371A1 (en) * 2004-03-08 2005-09-08 L'oreal Aqueous composition based on alcohol, surfactant and solubilizing agent, article impregnated with this composition, and method for cleansing the hair
US7837983B2 (en) * 2004-07-14 2010-11-23 Isp Investments Inc. Mending hair damage with polyelectrolyte complexes
EP1709996A1 (fr) * 2005-04-07 2006-10-11 L'oreal Composition aqueuse à base d'alcool, de tensioactif et d'agent solubilisant, article imprégné de cette composition et procédé de nettoyage des cheveux
WO2007021604A2 (en) * 2005-08-17 2007-02-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 fiber and hair fiber conditioning treatment composition
EP1754517A1 (en) * 2005-08-17 2007-02-21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 fiber and hair fiber conditioning treatment composition
EP2744480B8 (en) 2011-08-17 2019-06-26 Keratin Biosciences, Inc. Low protein percentage gelling compositions
WO2013025928A2 (en) 2011-08-17 2013-02-21 Keranetics Llc Methods for extracting keratin proteins
AU2013341282B2 (en) * 2012-11-06 2018-03-15 Keratin Biosciences, Inc. White keratin compositions
US10792239B2 (en) * 2012-11-06 2020-10-06 Kernnetics, Inc. White keratin compositions
ITPD20120357A1 (it) * 2012-11-29 2014-05-30 Pettenon Cosmetics Spa Ristrutturante per capelli
WO2014193908A1 (en) 2013-05-28 2014-12-04 Capsulent Products containing charged polymer complex microcapsules and method of us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56780B2 (ja) * 1996-09-06 2005-06-08 艶金興業株式会社 化粧料用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これを配合した化粧品
JPH1077210A (ja) * 1996-09-06 1998-03-24 Nakanihon Seni Kogyo Kyodo Kumiai 化粧料用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これを配合した化粧品
US6066316A (en) * 1997-03-21 2000-05-23 Shiseido Co., Ltd. Fine dispersion composition of wax, hair cosmetic preparation and glazing agent
TW505521B (en) * 1997-06-25 2002-10-11 Kao Corp Hair cosmetics
ES2152731T3 (es) * 1997-07-31 2001-02-01 Wella Ag Producto para aumentar la conformabilidad y el brillo del cabell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954B1 (ko) * 2002-07-06 2005-02-2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자외선 흡수성 정발제
KR20180127558A (ko) * 2010-04-30 2018-11-28 모멘티브 퍼포먼스 머티리얼즈 인크. 아미노실리콘을 이용한 손상 모발 트리트먼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251379B1 (en) 2001-06-26
TW520295B (en) 2003-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58177A (ko) 모발 화장품
EP2166022B1 (en) Cationized hyaluronic acid and/or salt thereof,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hair modifying agent, cuticle repairing agent, skin modifying agent and cosmetic preparation each using the same
US8048846B2 (en) Protein-silane/siloxane copolymers,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KR100272784B1 (ko) 모발-보호미용세제조성물및그의용도
KR20100129262A (ko) 케라틴 유도체 및 이의 제조 방법
AU775801B2 (en) Cosmetic hair care preparations
EP0973486B1 (fr) Compositions cosmetiques contenant un polymere cationique de faible masse moleculaire et une silicone et leurs utilisations
AU775786B2 (en) Use of nanoscalar water-soluble beta-(1,3) glucans
DE19540853A1 (de) Haarbehandlungsmittel
EP0793482B1 (fr) Composition pour le traitement des matieres keratiniques comprenant au moins un polymere silicone greffe a squelette polysiloxanique greffe par des monomeres organiques non-silicones et au moins un polymere anionique
JP3315535B2 (ja) 化粧品基材
JP4889089B2 (ja) 毛髪化粧料
JP3407765B2 (ja) 化粧品基材
JPH11240822A (ja) 毛髪処理剤
JP4911963B2 (ja) 毛髪化粧料
JP2000309513A (ja) 毛髪化粧料
JP2000178141A (ja) 毛髪化粧料
JP2009161519A (ja) 化粧品基材および毛髪化粧料
JP2011084489A (ja) 化粧料
JP2000247844A (ja) 毛髪化粧料
JP7069207B2 (ja) 毛髪成形材料
JP2023516168A (ja) 加水分解タンパク質を含む組成物
JP2000327543A (ja) 毛髪処理法
JPH10194934A (ja) 毛髪化粧料
JP2009120523A (ja) 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