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8382B1 - 끈적임 없이 메이크업 화장료의 지속성을 향상시키는스프레이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끈적임 없이 메이크업 화장료의 지속성을 향상시키는스프레이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8382B1
KR101048382B1 KR1020040017259A KR20040017259A KR101048382B1 KR 101048382 B1 KR101048382 B1 KR 101048382B1 KR 1020040017259 A KR1020040017259 A KR 1020040017259A KR 20040017259 A KR20040017259 A KR 20040017259A KR 101048382 B1 KR101048382 B1 KR 101048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acrylate
cosmetic composition
weight
make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7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2169A (ko
Inventor
정원욱
김정아
김형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40017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8382B1/ko
Publication of KR20050092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2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8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83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CMINING OR QUARRYING
    • E21C41/00Methods of underground or surface mining; Layouts therefor
    • E21C41/26Methods of surface mining; Layou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02F3/96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of hammer-type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Remote Sen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이크업 화장료의 지속성을 향상시키는 스프레이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 0.05 내지 5.0 중량% 및 잔탄검 0.02 내지 1.0 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스프레이 화장료 조성물은, 끈적임 없이 메이크업 화장료의 지속성을 향상시킨다.
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 잔탄검, 스프레이 화장료 조성물

Description

끈적임 없이 메이크업 화장료의 지속성을 향상시키는 스프레이 화장료 조성물{NON-STICKY AND MAKEUP-DURABILITY IMPROVABLE SPRAY COSMETIC COMPOSITION}
본 발명은 메이크업 화장료의 지속성을 향상시키는 스프레이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일정한 배합비의 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와 잔탄검을 함유함으로써, 끈적임 없이 메이크업 화장료의 지속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프레이 화장료 조성물에 관련된다.
통상적으로 메이크업 화장료는 분체-오일-물의 3성분을 주된 구성요소로 하여 이루어지며, 그 구성비나 제형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 페이스 파우더, 콤팩트, 파우더 파운데이션, 투웨이 케익, 메이크업 베이스, 리퀴드 파운데이션, 크림 파운데이션 등의 베이스 메이크업(base makeup)과 아이섀도, 파우더블러쉬, 립스틱, 아이라이너, 마스카라 등의 포인트 메이크업(point makeup)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유화형 메이크업은 사용감, 색상 표현력, 지속성, 경시 안정성과 피부 안전성에 따라 품질이 평가된다. 즉, 피부에 메이크업을 할 때 가볍고 부드럽게 발라지고 화장 효과가 우수하며, 피부 부착성이 좋고 물이나 땀, 피지 등에 의하여 쉽게 화장이 얼룩지거나 지워지지 않도록 지속성이 뛰어나야 한다. 또한, 화 장 후 시간 경과에 따라 번들거림이 생기는 일이 없어야 하며, 제조, 판매 또는 소비자가 장시간 사용하는 동안 물성의 변화가 없어야 할 뿐 아니라, 피부에 대한 안전성이 우수해야 한다.
이들 메이크업 제품은 피부에 도포되어 대략 8 내지 12시간 동안 부착되어 있으며, 부착되어 있는 동안 피부에서 분비되는 땀이나 피지 등의 피부 분비물에 의해 화장막이 변화된다. 화장막이 변화하는 모양은 들뜨거나, 뭉치거나 또는 색조가 칙칙해지거나 번들거림이 발생하는 등 여러 가지 물리적인 형태로 나타난다.
메이크업 제품의 피부에서의 지속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미국특허 제4,390,524호에서는 피브로인이나 오일 물질로 코팅된 안료를 배합하는 방법을 소개하고 있지만, 만족할 만큼의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 평10-212211호에서는 나노미터 단위인 박편상 산화티탄 집합물인 산화티탄 다공체를 사용해 빛을 산란시켜 번들거림을 줄이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는데, 산화티탄 자체가 백색을 띠므로 색조 화장품에 첨가시 화장이 부자연스러우며 성형성이 저하되는 등 적용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일본특허 제2001-131013호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실리콘이나 불소계 표면처리제로 코팅된 분체를 사용하는데, 분체가 땀이나 피지에 의해 젖어 화장 지속성이 유지되지 않고, 불소계 표면처리제로 코팅된 분체는 분체-분체 및 분체-피부 사이의 부착성이 약하여 분비된 피지 위로 화장막 자체가 들떠 뭉치는 현상이 발생하므로, 사용감 및 제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0-0065917호에서는 왁스로 표면 처리된 프레 바인더 분체를 사용하여 액상 결합제의 함량을 최소로 줄임으로써 화장 지속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을 소개하고 있으나, 이 역시 만족할 만큼의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이외에도 다공성 안료를 배합하여 분비되는 과잉의 피지나 땀을 흡유하게 하는 등의 방법이 제안되고 있으나, 다공성 안료는 결합제로 사용되는 오일을 과도하게 흡유하기 때문에 성형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실제 화장 시점에서는 흡유 기능을 상실할 우려가 있으므로 그 배합량을 늘리기가 곤란하다.
이상과 같이 메이크업 화장료의 지속성을 향상시키고자 많은 노력이 이루어졌지만, 메이크업 화장료 자체의 지속성 연구로는 만족할 만큼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목적은 끈적임 없이 메이크업 화장료의 지속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프레이 화장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프레이 화장료 조성물은 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 0.05 내지 5.0 중량% 및 잔탄검 0.02 내지 1.0 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발명에 있어서, 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가 0.05 중량% 이하 함유하면 지속성을 기대하기 어렵고, 5.0 중량% 이상 함유하면 끈적임이 나타나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잔탄검이 0.02 중량% 이하 함유하면 지속성이 떨어지고, 1.0 중량% 이상 함유하면 사용감이 떨어져 바람직하지 않다.
여기에서, 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는 단쇄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 카르복실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및 폴리실록산기 함유 불포화 이중결합 단량체를 반응성 자외선 흡수제와 함께 용액 중합 방식에 의해 제조한 것이다.
본 발명의 스프레이 화장료 조성물에서, 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는 0.1 내지 3.0 중량%, 그리고 잔탄검은 0.05 내지 0.4 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일정한 배합비의 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와 잔탄검을 함유함으로써, 끈적임 없이 메이크업 화장료의 지속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프레이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는 기출원되어 있는 원료로서(DSG-701, DST-801; 특허출원 10-2002-39109), 자외선 안정제를 함유한 정발제로 아래 방법에 따라 제조된 것이다.
먼저, 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의 원료중 하나로서, 다른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와 용이하게 공중합을 형성할 수 있는 자외선 흡수제는 하기의 구조식과 같이 불포화 이중 결합을 함유하고 있다.
Figure 112004010543034-pat00001
여기에서, R1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 R2는 C1∼C3의 알킬기인 하이드록시 아크릴옥시 에틸페닐 벤조트리아졸, 하이드록시 메타크릴옥시 에틸페닐 벤조트리아졸 또는 하이드록시 메타크릴옥시 프로필페닐 벤조트리아졸 등의 사용이 가능하다.
자외선 흡수제의 사용량은 자외선 침해에 따른 방어 효과를 충분히 제공할 수 있으며, 유연성 및 밀착성이 양호한 물성을 발현할 수 있는 범위로서, 전체 중 합성 단량체에 대해 0.0001 내지 20 중량%가 적당하며, 0.5 내지 10 중량%가 바람직하다.
다음에, 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의 다른 원료인 단쇄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로는 탄소수가 1∼4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노르말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들은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의 열적 특성인 유리전이온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단량체로, 탄소수가 적을수록 유리전이 온도를 높게 하여, 도포시 필름 강도를 조절하는 성질을 부여한다.
단쇄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의 사용량은 도포된 필름의 연화 현상이 없고, 고화현상에 따라 딱딱해져 깨지지 않는 범위로서, 전체 중합성 단량체에 대해 50∼95 중량%가 적당하다.
카르복실기를 함유한 관능성 단량체로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등으로부터 1종류 또는 2종류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이는 친수 성질을 부여하여 수 용해성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하기도 하고, 세정할 경우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만든다.
카르복실기를 함유한 관능성 단량체의 사용량은, 세정성 및 수 용해성이 우수하며 대기중의 수분 흡수에 대해서도 높은 세팅력을 유지하고 끈적임이 최소화 될 수 있는 범위로서, 전체 중합성 단량체에 대해 2∼14 중량%가 적당하며, 5∼10 중량%가 바람직하다.
폴리실록산기 함유 불포화 이중결합 단량체로는 폴리디메틸실록산, α-부틸 디메틸실록시-ω-(δ-메타크릴옥시프로필)이나 폴리디메틸실록산, α-부틸디메틸실록시-ω-(δ-디메타크릴옥시프로필) 등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는 구조내 함유하는 소수기의 작용에 따라 필름에 윤활성이나 유연성을 부여한다.
폴리실록산기 함유 불포화 이중결합 단량체의 사용량은 타 단량체에 비해 고가인 점을 고려하여, 전체 중합성 단량체에 대해 0.1∼30 중량% 첨가하는 것이 경제적이다.
다음에, 상기 원료들에 대한 용제로는 수용성 유기 용제인 메탄올이나 에탄올 등 탄소수 1∼2인 알코올류 등이 바람직하고, 이들 알코올류를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용제의 사용량은, 아크릴레이트 중합체의 용제에 대한 농도가 20∼50 중량%가 되도록 한다.
한편, 반응 개시제로는 상기의 중합성 비닐 단량체 및 용제에 용해되기 쉽고, 라디칼 생성 능력이 우수한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 t-부틸퍼옥사이드 또는 벤조일퍼옥사이드등의 과산화물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아조비스이소부틸로니트릴 또는 아조비스디메틸발레로니트릴 등의 아조계 화합물도 사용 가능하다. 반응 개시제의 사용량은 아크릴레이트 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00∼100,000 정도로 조절할 수 있는 범위가 되도록 한다.
중화제로서는, 앞서 설명한 아크릴레이트 중합체에 도입되는 수용성 유기 염기성 또는 무기 염기성 물질 등이 가능하다. 먼저 수용성 유기 염기성 중화제로는 몰포린,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모노이소프로필아민, 디이소프로필아민, 트리이소프로필아민,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수용성 무기 염기성 중화제로는 수산화리튬,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슘 등의 알카리금속 수산화물 등이 가능하다. 중화제의 사용량은 아크릴레이트 중합체를 50∼100 몰%의 중화율로서 중화하는 것이 적당하다. 만약 중화율이 50 몰% 보다 적게 되도록 제조하면 세정할 경우 세정성이 불량하여 완전히 제거되지 못할 수가 있으며, 중화율이 100 몰% 보다 크게 되도록 제조하면 사용후 친수성질이 과다하여 대기중의 수분을 흡수함에 따라 셋팅력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끈적임이 지나칠 수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단쇄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 카르복실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 폴리실록산기 함유 불포화 이중결합 단량체 및 반응성 자외선 흡수제로 구성되는 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의 제조는 일반적으로 잘 알려져 있는 용액 중합 방식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이들 중합성 단량체들을 수용성 유기용제에 용해한 후, 반응개시제를 첨가하여 질소분위기 하에서 가열 및 교반을 행함으로써 중합이 이루어진다. 이 때 반응 온도는 사용 용제의 환류 온도를 기준으로 하며, 반응 시간은 중합성 단량체의 전환율이 99.8 % 이상이 되도록 4∼6 시간 정도로 하는 것이 좋다.
상기 방법에 따라 제조된 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는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갖는다.
Figure 112004010543034-pat00002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 R2는 C1∼C4의 알킬기, R3은 프로필기, R4는 C1∼C3의 알킬기이며, X는 수용성 유기염기성 또는 무기염기성 중화제, Y는 α-부틸디메틸실록시 그룹을 함유한 폴리실록산이며, 그리고 a, b, c 및 d는 mol수로서 그 합이 100인 것을 나타낸다.
이상과 같이 제조된 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를 적당량의 잔탄검과 배합하면 끈적임이 없이 메이크업 화장료의 지속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본 발명의 스프레이 화장료가 완성된다.
본 발명의 스프레이 화장료 조성물에는 또한 화장료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성분으로서 보습제, 물, 에탄올, pH 조정제, 방부제, 향료, 금속봉집제 등을 첨가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단,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일 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단,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일 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의 제조 실시예
온도계, 질소투입관, 환류냉각기 및 교반기를 장착한 2 ℓ 반응용기에 무수 에탄올 131 g을 투입한 후, 질소 분위기 하에서 80 ℃로 가열하였다. 따로 준비한 1 ℓ비이커에 t-부틸아크릴레이트 205.9 g, t-부틸메타크릴레이트 20.3 g, 아크릴산 29 g, 폴리디메틸실록산, α-부틸디메틸실록시-ω-(δ-메타크릴옥시프로필) 34.8 g 및 하이드록시 메타크릴옥시 에틸페닐 벤조트리아졸 0.29 g을 순차적으로 계량한 후 충분히 교반한 용액을 미리 준비해 둔 적하기로 옮겼다.
반응기의 내부 온도가 80 ℃에 이르면, 에탄올로 용해한 벤조일퍼옥사이드 0.3 중량% 용액 58 g을 일시에 반응기에 투입하고, 이어서 단량체 혼합용액을 적하기를 통해 반응기 내로 약 3 시간에 걸쳐 연속적으로 적하하면서 환류하에 중합화를 진행하였다. 투입이 완료되면 에탄올로 용해한 벤조일퍼옥사이드 0.6 중량% 용액 116 g을 약 1 시간에 걸쳐 연속적으로 반응기내로 투입한 후 1 시간을 동일 온도에서 교반 유지하였다. 이후 중합체의 전환율을 높이기 위해 에탄올로 용해한 벤조일퍼옥사이드 2 중량% 용액 58 g을 첨가하고 약 2 시간 이상 동일 온도에서 계속해서 교반 유지를 진행하였다. 제조된 중합체를 중화하기 위해 반응기 내부 온도를 약 40 ℃ 이하로 냉각한 후, 미리 준비한 에탄올로 용해한 수산화칼륨 8.7 중량% 용액 217 g을 투입하고 충분히 교반 유지하여 반응을 완료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중합체는 폴리스티렌을 표준물질로 한 워터사의 겔 퍼미션 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한 결과, 평균분자량 약 70,000 정도인 투명 점조액이었다.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및 2
다음 표 1의 조성을 사용하여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과 2를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먼저, 정제수, 잔탄검, 글리세린, 트리소디움이디티에이 및 pH 조정제(구연산, 구연산 소다)를 혼합하여 분산시킨 용액에 에탄올, 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 방부제 및 향료를 혼합하여 용해시킨 용액을 투입, 혼합시킨 후 완전 탈포함으로써 스프레이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사용한 각각의 원료는 표 1에 나타낸 것과 같은 비율로 사용하였다. 표 1에서 단위는 중량%이다.
성분 원료명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비교예1 비교예2
수성성분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잔탄검(2 중량% 수용액) 10.0 10.0 10.0 10.0 - 10.0
글리세린 2.0 2.0 2.0 2.0 2.0 2.0
트리소디움EDTA
(2 중량% 수용액)
0.2 0.2 0.2 0.2 0.2 0.2
구연산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구연산소다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유성성분 에탄올 3.0 3.0 3.0 3.0 3.0 3.0
아크릴레이트계중합체 1.0 2.0 3.0 4.0 2 -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향료 0.2 0.2 0.2 0.2 0.2 0.2
* : 합이 100 중량%가 되도록 정제수를 가함
상기 제조된 스프레이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메이크업 화장료의 지속성 및 끈적임에 대한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실험예 1: 메이크업 화장료의 지속성에 대한 관능 평가
20∼40대의 여성 50명의 판넬들을 항온항습실(27℃, 70% 상대습도 조건)에 약 15분 동안 있게 한 후, 메이크업 화장료를 판넬들의 팔에 4부위로 나누어 동일 면적에 동량(0.02 mm 두께)으로 도포하고, 그 위에 상기 제조된 스프레이 화장료 조성물을 일정량(0.3 g)씩 스프레이 용기로 3회 펌핑하였다. 약 15분 동안 있게 한 후, 그 위로 35 ℃의 식염수를 30분 동안 흘러 보내고, 도포 전후의 색상 변화를 평가하였다. 색상 변화를 1∼5로 관능 평가하게 한 후 평균치를 얻었으며, 그 결과를 다음 표 2에 나타낸다.
시료명 메이크업 화장료의 지속성
실시예 1 4.4
실시예 2 4.6
실시예 3 4.7
실시예 4 4.7
비교예 1 3.5
비교예 2 2.8
5: 아주 양호, 4: 양호, 3: 보통, 2: 다소 불만족, 1: 매우 불만족
위 표 2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듯이, 관능평가를 수행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4의 스프레이 화장료는 비교예 1과 2의 스프레이 화장료보다 메이크업 화장료의 지속성 정도가 현저히 높았다. 화장료의 지속성 정도는 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의 중량%가 높을수록 커지고, 잔탄검을 함유하지 않은 경우는 지속성이 현저히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끈적임에 대한 관능 평가
상기 실험예 1에서와 동일한 여성 50명을 대상으로 하여, 항온항습실(27℃, 70% 상대습도 조건)에 약 15분 동안 있게 한 후, 메이크업 화장료를 판넬들의 팔에 4부위로 나누어 동일 면적에 동량(0.02 mm 두께)으로 도포하고, 그 위에 상기 제조된 스프레이 화장료 조성물을 일정량(0.3 g)씩 스프레이 용기로 3회 펌핑하였다. 약 15분 동안 있게 한 후, 끈적임의 정도를 관능 평가하게 하였으며, 그 결과를 실험예 1과 같은 방식으로 다음 표 3에 나타낸다.
시료명 끈적임
실시예 1 4.6
실시예 2 4.6
실시예 3 4.4
실시예 4 3.8
비교예 1 2.8
비교예 2 4.6
5: 아주 양호, 4: 양호, 3: 보통, 2: 다소 불만족, 1: 매우 불만족
상기 표 3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듯이, 관능평가를 수행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4의 스프레이 화장료가 대체로 끈적임 정도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의 중량%가 높을수록 끈적임이 다소 증가되나, 잔탄검의 함유로 끈적임이 현저히 줄어든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일정한 배합비의 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와 잔탄검을 함유한 스프레이 화장료 조성물은, 끈적임 없이 메이크업 화장료의 지속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3)

  1. 단쇄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 카르복실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및 폴리실록산기 함유 불포화 이중결합 단량체를 하기 화학식1의 반응성 자외선 흡수제와 함께 용액 중합 방식에 의해 제조한 하기 화학식2의 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 0.05 내지 5.0 중량% 및 잔탄검 0.02 내지 1.0 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 화장료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0086587212-pat00003
    여기에서, R1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 R2는 C1∼C3의 알킬기인 하이드록시 아크릴옥시 에틸페닐 벤조트리아졸, 하이드록시 메타크릴옥시 에틸페닐 벤조트리아졸 또는 하이드록시 메타크릴옥시 프로필페닐 벤조트리아졸이다.
    [화학식 2]
    Figure 112010086587212-pat00004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 R2는 C1∼C4의 알킬기, R3은 프로필기, R4는 C1∼C3의 알킬기이며, X는 수용성 유기염기성 또는 무기염기성 중화제, Y는 α-부틸디메틸실록시 그룹을 함유한 폴리실록산이며, 그리고 a, b, c 및 d는 mol수로서 그 합이 100인 것을 나타낸다.
  2. 삭제
  3. 제 1 항 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는 0.1 내지 3.0 중량%, 상기 잔탄검은 0.05 내지 0.4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040017259A 2004-03-15 2004-03-15 끈적임 없이 메이크업 화장료의 지속성을 향상시키는스프레이 화장료 조성물 KR1010483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7259A KR101048382B1 (ko) 2004-03-15 2004-03-15 끈적임 없이 메이크업 화장료의 지속성을 향상시키는스프레이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7259A KR101048382B1 (ko) 2004-03-15 2004-03-15 끈적임 없이 메이크업 화장료의 지속성을 향상시키는스프레이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2169A KR20050092169A (ko) 2005-09-21
KR101048382B1 true KR101048382B1 (ko) 2011-07-11

Family

ID=37273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7259A KR101048382B1 (ko) 2004-03-15 2004-03-15 끈적임 없이 메이크업 화장료의 지속성을 향상시키는스프레이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83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5197B1 (ko) * 2009-09-10 2012-05-2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헤어 린스 조성물
KR102260329B1 (ko) * 2019-08-05 2021-06-0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발수 및 발유 특성이 동시에 우수한 고분자 피막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 지속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102299762B1 (ko) 2019-12-30 2021-09-10 주식회사 브이티피엘 지속성이 개선된 색조화장료 및 이를 포함하는 색조화장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63048A (en) * 1989-07-10 1991-11-05 Shionogi & Co., Ltd. Uv light-absorbing skin-protecting composition
JPH10298029A (ja) * 1997-04-28 1998-11-10 Shiseido Co Ltd 可溶化化粧料
US20030108505A1 (en) * 2001-08-17 2003-06-12 Hongjie Cao Use of xanthan gum as a hair fixative
KR20040004889A (ko) * 2002-07-06 2004-01-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자외선 흡수성 정발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63048A (en) * 1989-07-10 1991-11-05 Shionogi & Co., Ltd. Uv light-absorbing skin-protecting composition
JPH10298029A (ja) * 1997-04-28 1998-11-10 Shiseido Co Ltd 可溶化化粧料
US20030108505A1 (en) * 2001-08-17 2003-06-12 Hongjie Cao Use of xanthan gum as a hair fixative
KR20040004889A (ko) * 2002-07-06 2004-01-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자외선 흡수성 정발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2169A (ko) 2005-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62828B2 (en) Non-stinging coating composition
EP0568035B2 (en) Cosmetic composition formulated with an aqueous polymer emulsion
KR101060805B1 (ko) 지속성이 우수한 방수 아이메이크업 조성물
EP2164447B1 (en) Polymer-based pigment-bearing ink
CN1933806B (zh) 睫毛用化妆料
KR101048382B1 (ko) 끈적임 없이 메이크업 화장료의 지속성을 향상시키는스프레이 화장료 조성물
US9445982B2 (en) Polymer-based pigment-bearing ink
JP7314303B2 (ja) カールマスカラ組成物
KR102331961B1 (ko) 비수계 분산액, 그 제조 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7257147B2 (ja) 架橋ポリオルガノシロキサン及びそれを含むパーソナルケア組成物
WO2004073667A1 (ja) 染毛料
US20020037304A1 (en) Liquid makeup cosmetic
JP2002327019A (ja) 水系ポリマーエマルション、及びそれを用いた化粧料
JP3606490B2 (ja) 整髪用樹脂組成物
JP4711458B2 (ja) 毛髪化粧料用基剤及びそれを用いた毛髪化粧料
JP4580248B2 (ja) 毛髪化粧料用基剤及び毛髪化粧料
JP4129939B2 (ja) 毛髪化粧料用基剤及びそれを用いた毛髪化粧料
KR20120089870A (ko) 신규 왁스폴리머를 함유하는 스타일링제 조성물
CN110177538B (zh) 整发剂组合物
KR102523258B1 (ko) 글리터타입 필오프 수성 네일폴리쉬 화장료 조성물
JP4711457B2 (ja) 毛髪化粧料用基剤及びそれを用いた毛髪化粧料
KR20150108193A (ko) 겔 타입의 아이라이너 조성물
KR100795233B1 (ko) 발수 및 발유와 도포 균일성이 향상된 복합화 안료를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09609B1 (ko) 덧 발림성이 우수한 마스카라 조성물
EP3269351B1 (en) Composite powder having surface of inorganic powder covered with pressure-sensitive adhesive polymer,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same,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