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5466B1 - 스타일링 샴푸 조성물 - Google Patents

스타일링 샴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5466B1
KR100505466B1 KR10-2002-0081111A KR20020081111A KR100505466B1 KR 100505466 B1 KR100505466 B1 KR 100505466B1 KR 20020081111 A KR20020081111 A KR 20020081111A KR 100505466 B1 KR100505466 B1 KR 1005054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olymer
weight
monomer unit
hair
acry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1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4264A (ko
Inventor
박현석
최화춘
성우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2-0081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5466B1/ko
Publication of KR20040054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42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5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54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90Block co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47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ids; Metal or ammonium salts thereof, e.g. crotonic acid, (meth)acrylic aci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5Poly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6Preparations for styling the hair, e.g. by temporary shaping or colour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타일링 샴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자외선 흡수성 단량체 유니트 0.0001 내지 20중량%;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유니트 50 내지 95중량%;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단량체 유니트 2 내지 14중량%; 및 폴리실록산기를 함유하는 단량체 유니트 0.1 내지 30중량%;로 이루어진 공중합체 또는 그 중화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샴푸 조성물은 샴푸의 세정 기능을 구비함과 동시에, 자외선 흡수능력이 탁월하면서도 내추출성 및 경시안정성이 양호한 공중합체를 함유하므로서 모발의 자외선 노출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발에 스타일 유지력을 부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타일링 샴푸 조성물{Composition for styling shampoo}
본 발명은 스타일링 샴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샴푸의 세정 기능을 구비함과 동시에, 모발의 자외선 노출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발에 스타일 유지력과 정돈효과를 부여할 수 있는 스타일링 샴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모발 모양을 변화시켜 아름답게 장식하고자 하는 욕망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헤어 세팅제품이 판매되고 있다. 이 중, 모발에 일시적인 변형상태를 유지시켜 주는 제품으로는 에어졸, 펌프 스타일의 스프레이, 무스, 등과 같은 헤어 스타일링 제품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스타일링 제품은 샴푸 사용 후 별도로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스타일링 제품을 모발에 손으로 도포한 후 손을 세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샴푸에 스타일링 기능까지 부여하려는 연구가 계속되고 있는데, 특히 자외선에 의한 모발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기능성 스타일링 샴푸 조성물이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자외선 차단 또는 흡수제를 샴푸 조성물에 첨가할 경우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지 못한다. 즉, 산화티탄 입자와 같은 자외선 차단제는 적절한 입자크기를 가져야만 그 효과가 발휘되나 입자크기를 조절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균일한 입자 분산이 곤란하며, 입자표면이 딱딱하여 감촉이 현저히 떨어진다. 또한, 4-아미노 안식향산계, 계피산계, 벤조페논계 등과 같은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는 저분자형으로서 휘발성, 이행성, 추출성 등의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샴푸 조성물은 샴푸의 세정 기능을 구비함과 동시에, 자외선 흡수능력이 탁월하면서도 내추출성 및 경시안정성이 양호한 공중합체를 함유하므로서 모발의 자외선 노출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발에 스타일링 유지력과 정돈효과를 부여할 수 있는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샴푸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자외선 흡수성 단량체 유니트 0.0001 내지 20중량%;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유니트 50 내지 95중량%;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단량체 유니트 2 내지 14중량%; 및 폴리실록산기를 함유하는 단량체 유니트 0.1 내지 30중량%;로 이루어진 공중합체 또는 그 중화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샴푸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R2는 탄소수가 1 내지 3인 알킬기임.
본 발명의 샴푸 조성물에 함유되는 공중합체의 자외선 흡수성 단량체 유니트는 자외선 중에서 지표까지 도달하는 장파장 자외선(UV-A) 및 중파장 자외선(UV-B)에 대한 강한 흡수능력을 갖고 있으므로 자외선에 대한 모발보호능력이 뛰어나다. 또한, 종래의 자외선 흡수제와는 달리 다른 단량체와 공중합된 고분자로 되어 있으므로, 증발 또는 추출에 의한 경시안정성이 저하될 우려가 없다. 이러한 자외선 흡수성 단량체 유니트로는 하이드록시 아크릴옥시 에틸페닐 벤조트리아졸, 하이드록시 메타아크릴옥시 에틸페닐 벤조트리아졸, 하이드록시 메타아크릴옥시 프로필페닐 벤조트리아졸 등을 단독으로 또는 이들을 공중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자외선 흡수성 단량체 유니트의 함량은 모발의 자외선 침해에 따른 방어효과, 모발의 유연성 및 밀착성이 양호한 범위로서, 공중합체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1 ~ 20중량%가 적당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 10중량%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샴푸 조성물에 함유되는 공중합체의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유니트로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노르말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및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단독으로 또는 이들을 공중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유니트는 모발에 도포된 공중합체의 막 강도를 조절하며, 장기간 보관시에도 상분리가 일어나지 않고 초기 물성을 꾸준히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유니트의 함량은 도포된 공중합체의 연화에 따른 모발의 엉킴 현상이 없으며 고화 현상에 따라 딱딱해져 깨지지 않도록, 공중합체 총 중량을 기준으로 50 ~ 95중량%가 적절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샴푸 조성물에 함유되는 공중합체의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단량체 유니트로는 아크릴산, 메타아크릴산, 이타콘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이들을 공중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이러한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단량체 유니트는 공중합체에 친수성질을 부여하여 샴푸 조성물 제조시 수용해성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하며, 모발 세정시 세발성을 향상시킨다.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단량체 유니트의 함량은 공중합체의 세정성과 스타일링 유지력을 유지하면서도 끈적임을 최소화할 수 있는 범위로서 공중합체 총 중량을 기준으로 2 내지 14중량%가 적절하며, 바람직하게는 5 ~ 10중량%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샴푸 조성물에 함유되는 공중합체의 폴리실록산기 함유 단량체 유니트로는 폴리디메틸실록산, α-부틸디메틸실록시-ω-(δ-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 α-부틸디메틸실록시-ω-(δ-디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 등을 단독으로 또는 이들을 공중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이러한 폴리실록산기를 함유하는 단량체 유니트는 모발에 도포된 공중합체 막의 윤활성과 유연성을 부여하며, 끈적임을 현저히 감소시킨다. 폴리실록산기를 함유하는 단량체 유니트의 함량은 타 단량체에 비해 고가인 점과 과량 사용시 기포가 발생하여 모발상에 비드(Bead)가 형성되는 점을 고려할 때, 공중합체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 30중량%가 적절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샴푸 조성물에 함유되는 공중합체는 다음과 같은 용액중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먼저, 공중합체를 이루는 자외선 흡수성 단량체,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단량체 및 폴리실록산기를 함유하는 단량체를 용제에 용해시킨다. 용제로는 수용성 유기 용제인 메탄올이나 에탄올 등, 탄소수가 1 ~ 2인 알코올류를 단독으로 또는 혼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 반응 개시제를 첨가하고 질소 분위기하에서 가열 및 교반하여 중합시키는데, 첨가되는 반응 개시제로는 공중합체를 이루는 비닐 단량체들과 용제에 용해되기 쉬우며 라디칼 생성 능력이 우수한 하이드로겐퍼옥사이드, t-부틸퍼옥사이드 또는 벤조일퍼옥사이드 등의 과산화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아조비스이소부틸로니트릴이나 아조비스디메틸발레로니트릴 등의 아조계 화합물도 사용 가능하다. 반응 개시제의 첨가량은 얻어지는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00 ~ 100,000 정도가 되도록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반응온도는 사용 용제의 환류 온도를 기준으로 하고, 반응시간은 공중합체를 이루는 단량체의 전환율이 99.8% 이상이 되도록 4 ~ 6시간 정도가 바람직하다.
이렇게 제조한 공중합체는 모발에 적용 후의 세정성과 끈적임 및 모발 스타일링 유지력을 고려할 때 중화시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수용성 유기 염기성 중화제 또는 무기 염기성 중화제 등을 알코올 등에 용해시켜 공중합체와 반응시켜 중화를 실시한다. 이 때 사용되는 수용성 유기 염기성 중화제로는 예를 들어 몰포린,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모노이소프로필아민, 디이소프로필아민, 트리이소프로필아민,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등이 있으며, 수용성 무기 염기성 중화제로는 수산화리튬,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슘 등의 알카리 금속 수산화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공중합체 또는 그 중화물은 통상적인 샴푸 조성물에 첨가하여 사용하는데, 공중합체 또는 그 중화물의 함량은 샴푸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2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합성예 1
온도계, 질소투입관, 환류냉각기 및 교반기를 장착한 2ℓ 반응용기에 무수 에탄올 131g을 투입한 후, 질소 분위기하에서 80℃로 가열하였다. 이어서, 에탄올로 용해한 벤조일퍼옥사이드 0.3중량% 용액 58g을 일시에 반응용기에 투입한 후, t-부틸아크릴레이트 205.9g,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0.3g, 아크릴산 29g, 폴리디메틸실록산과 α-부틸디메틸실록시-ω-(δ-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 34.8g 및 하이드록시 메타아크릴옥시 에틸페닐 벤조트리아졸 0.29g의 비율로 충분히 혼합한 단량체 용액을 적하기를 통해 반응용기 내로 약 3시간에 걸쳐 연속적으로 적하하면서 환류하에 중합반응을 진행하였다. 단량체 혼합용액의 투입이 완료되면, 에탄올로 용해한 벤조일퍼옥사이드 0.6중량% 용액 116g을 약 1시간에 걸쳐 연속적으로 반응용기 내로 투입한 후, 1시간 동안 동일 온도에서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중합체의 전환율을 높이기 위하여 에탄올로 용해한 벤조일퍼옥사이드 2중량% 용액 58g을 첨가하고, 약 2시간 이상 동일온도에서 교반하여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이어서, 반응용기 내부 온도를 약 40℃이하로 냉각시킨 다음, 에탄올로 용해한 수산화칼륨 8.7중량% 용액 217g을 투입하고 충분히 교반하여 공중합체를 중화시켰다.
폴리스티렌을 표준물질로 한 워터사의 겔 퍼미션 크로마토그래피(GPC)로 수득한 중화 공중합체의 평균 분자량을 측정한 결과, 약 70,000으로 나타났다.
합성예 2
투입된 단량체의 함량을 t-부틸아크릴레이트 188.2g,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0.3g, 아크릴산 37.7g, 폴리디메틸실록산과 α-부틸디메틸실록시-ω-(δ-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 34.8g 및 하이드록시 메타아크릴옥시 에틸페닐 벤조트리아졸 0.29g으로 변화시키고, 중화제로 수산화칼륨 대신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을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수득한 중화 공중합체의 평균 분자량은 약 82,300으로 나타났다.
합성예 3
투입된 단량체의 함량을 t-부틸아크릴레이트 187g,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0.3g, 아크릴산 37.7g, 폴리디메틸실록산과 α-부틸디메틸실록시-ω-(δ-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 34.8g 및 하이드록시 메타아크릴옥시 에틸페닐 벤조트리아졸 1.45g으로 변화시키고, 중화제로 수산화칼륨 대신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을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수득한 중화 공중합체의 평균 분자량은 약 85,400으로 나타났다.
합성예 4
투입된 단량체의 함량을 t-부틸아크릴레이트 148g,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43.5g, 아크릴산 37.7g, 폴리디메틸실록산과 α-부틸디메틸실록시-ω-(δ-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 58g 및 하이드록시 메타아크릴옥시 에틸페닐 벤조트리아졸 2.9g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수득한 중화 공중합체의 평균 분자량은 약 73,000으로 나타났다.
합성예 5
투입된 단량체의 함량을 t-부틸아크릴레이트 145g,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43.5g, 아크릴산 37.7g, 폴리디메틸실록산과 α-부틸디메틸실록시-ω-(δ-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 58g 및 하이드록시 메타아크릴옥시 에틸페닐 벤조트리아졸 5.8g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수득한 중화 공중합체의 평균 분자량은 약 72,720으로 나타났다.
대조예 1
온도계, 질소투입관, 환류냉각기 및 교반기를 장착한 2ℓ 반응용기에 무수 에탄올 131g을 투입한 후, 질소 분위기하에서 80℃로 가열하였다. 이어서, 에탄올로 용해한 벤조일퍼옥사이드 0.3중량% 용액 58g을 일시에 반응용기에 투입한 후, t-부틸아크릴레이트 241g,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0.3g, 아크릴산 29g의 비율로 충분히 혼합한 단량체 용액을 적하기를 통해 반응용기 내로 약 3시간에 걸쳐 연속적으로 적하하면서 환류하에 중합반응을 진행하였다. 단량체 혼합용액의 투입이 완료되면, 에탄올로 용해한 벤조일퍼옥사이드 0.6중량% 용액 116g을 약 1시간에 걸쳐 연속적으로 반응용기 내로 투입한 후, 1시간 동안 동일 온도에서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중합체의 전환율을 높이기 위하여 에탄올로 용해한 벤조일퍼옥사이드 2중량% 용액 58g을 첨가하고, 약 2시간 이상 동일온도에서 교반하여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이어서, 반응용기 내부 온도를 약 40℃이하로 냉각시킨 다음, 에탄올로 용해한 수산화칼륨 8.7중량% 용액 217g을 투입하고 충분히 교반하여 공중합체를 중화시켰다.
폴리스티렌을 표준물질로 한 워터사의 겔 퍼미션 크로마토그래피(GPC)로 수득한 중화 공중합체의 평균 분자량을 측정한 결과, 약 65,700으로 나타났다.
대조예 2
투입된 단량체의 종류 및 함량을 t-부틸아크릴레이트 148g,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43.5g, 아크릴산 37.7g, 폴리디메틸실록산과 α-부틸디메틸실록시-ω-(δ-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 58g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고, 수득한 중화 공중합체(평균 분자량 약 72,720)와 2-(2’-하이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9g을 블렌딩하였다.
합성예 1 내지 5 및 대조예 1 내지 2에 따라 제조한 중합체 5g과 에탄올 95g을 혼합, 교반한 배합물에 대하여 미국 휴렛 패커드사 자외선 분광기를 이용하여 자외선 흡수강도를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석영 셀 10ml에 전술한 배합물을 담고 최대 파장영역인 338nm에서 의 흡수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경시에 따른 광안정화 지속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배합물 제조 직후, 24시간 경과 후, 72시간 경과 후의 흡수강도를 측정하였다.
배합물의 유효성분 유효성분 내의각 단량체 함량A/B/C/D/E 중화제중화도(%) 평균 분자량(g/mol) 자외선 흡수강도
제조직후 24시간경과후 72시간경과후
합성예 1 71/7/10/12/0.1 80 70,000 0.476 0.464 0.458
합성예 2 64.9/7/13/15/0.1 70 82,300 0.478 0.461 0.442
합성예 3 64.5/7/13/15/0.5 80 85,400 1.673 1.665 1.651
합성예 4 51/15/13/20/1 80 73,000 2.344 2.341 2.338
합성예 5 50/15/13/20/2 80 72,720 2.588 2.581 2.575
대조예 1 83/7/10/0/0 80 65,700 0.012 ND ND
대조예 2 51/15/13/20/1 80 68,000 2.366 2.094 1.875
상기 표 1에서, A는 t-부틸아크릴레이트, B는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C는 아크릴산, D는 폴리디메틸실록산과 α-부틸디메틸실록시-ω-(δ-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이고, E는 합성예 1 ~ 5에서는 하이드록시 메타아크릴옥시 에틸페닐 벤조트리아졸을, 대조예 2에서는 2-(2’-하이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을 나타낸다.
표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흡수성 단량체 유니트,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유니트,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단량체 유니트 및 폴리실록산기를 함유하는 단량체 유니트로 구성된 공중합체(합성예 1 ~ 5)를 함유하는 배합물은 자외선을 흡수하는 능력 및 광안정화 지속 효과가 탁월함을 알 수 있다.
한편, 자외선 흡수성 단량체 유니트를 포함하지 않은 대조예 1의 배합물은 특히 자외선 흡수강도가 불량하며, 합성예의 공중합체와는 달리 저분자 자외선 차단제를 단순히 블렌딩한 대조예 2의 배합물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외선 흡수강도가 현저히 저하됨을 할 수 있다.
실시예 1 ~ 3
표 2에 기재된 조성 비율로 30% 라우릴황산나트륨, 30%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황산나트륨, 야자유지방산디에탄올아미드, 합성예 5의 공중합체, PVP K-30, Luviskol VA 37 E, Luviskol VA 73 W, Gafquat 755 N 등을 투입한 후, 60℃가 될 때까지 가온하고, 이 온도를 유지하면서 30분간 교반시켰다. 그런 다음, 45℃까지 교반하며 냉각시키고, 색소,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텔, 향료 및 구연산을 가하여 30분간 교반시켜 샴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 5
합성예 5의 공중합체를 첨가하지 않고, 원료와 배합량을 표 2에 기재된 조성비율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샴푸를 제조하였다.
조성성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라우릴황산나트륨(3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황산나트륨(3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야자유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1.0 1.0 1.0 1.0 1.0 1.0 1.0 1.0
합성예 5의 공중합체 1.0 2.0 3.3
PVP K-3 - - - - 1.0 - - -
Luviskol VA 37 E - - - - - 2.0 - -
Luviskol VA 73 W - - - - - - 2.0 -
Gafquat 755 N - - - - - - - 5.0
색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텔 0.2 0.2 0.2 0.2 0.2 0.2 0.2 0.2
향료 0.4 0.4 0.4 0.4 0.4 0.4 0.4 0.4
염화나트륨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구연산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상기 표 2에서, PVP K-3은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파우더, ISP사)이고, Luviskol VA 37 E는 비닐피롤리돈(3)/비닐아크릴레이트(7) 공중합체(50%, 바스프사)이고, Luviskol VA 73 W는 비닐피롤리돈(7)/비닐아크릴레이트(3) 공중합체(50%, 바스프사)이고, Gafquat 755 N은 폴리비닐피롤리돈 N,N-디메틸 아미노에틸 메타크릴산 코폴리머 디에틸 설페이트 용액(20%, ISP사)이다.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5에 따라 제조한 샴푸의 스타일링 유지력 및 모발정돈 효과를 하기와 같이 평가하였다.
스타일 유지력 평가
폭 4cm, 길이 1.5cm의 모발타래를 5%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황산에테르 용액에 5분간 침적시킨 후 흐르는 물로 1분간 헹군 다음, 25℃, 상대 습도 50% 조건에서 24시간 방치하였다. 이어서,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각각의 샴푸 5% 용액에 모발 타래를 5분간 침적시킨 후, 흐르는 물로 1분간 헹군 다음 25℃, 상대 습도 50% 조건에서 24시간 방치하였다. 이렇게 처리한 각각의 모발 타래를 굽힘력 시험 기기인 Bending Machine KES-FB2-S(업체: Kato Tech)를 이용하여 굽힘력(굽히는데 필요한 힘)과 굽힘 이력(처음 상태로 펴는데 필요한 힘)을 3회 측정한 후 이를 평균하여 표 3에 나타냈다.
굽힘력(gfcm/cm) 굽힘 이력(gfcm/cm)
실시예 1 6.2 4.7
실시예 2 7.1 5.5
실시예 3 9.3 6.4
비교예 1 2.9 1.5
비교예 2 3.4 2.5
비교예 3 4.6 2.2
비교예 4 4.0 2.4
비교예 5 3.8 2.3
표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실시예에 따른 샴푸의 굽힘력 및 굽힘 이력이 비교예에 따른 샴푸보다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샴푸 조성물이 종래의 샴푸 조성물보다 모발 스타일 유지력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모발정돈 효과 평가
샴푸 사용 후 항상 헤어 드라이어를 사용하는 여자 40명을 선정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각각의 샴푸 조성물로 샴푸 후 헤어 드라이어를 이용하여 모발을 정돈한 다음, 완전 건조된 상태에서의 모발정돈 효과를 다음과 같은 평가기준에 따라 피시험자가 주관적으로 평가하도록 하여 그 평균값을 표 4에 나타냈다.
(평가기준)
매우 우수하다 : 5
우수하다 : 4
보통이다 : 3
나쁘다 : 2
매우 나쁘다 : 1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모발정돈 효과 3.8 4.0 4.4 2.4 3.0 3.2 3.4 3.4
표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실시예의 샴푸 조성물의 모발정돈 효과가 비교예의 샴푸 조성물보다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샴푸 조성물은 샴푸의 세정 기능을 구비함과 동시에, 자외선 흡수능력이 탁월하면서도 내추출성 및 경시안정성이 양호한 공중합체를 함유하므로서 모발의 자외선 노출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모발에 양호한 세트 유지력과 정돈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Claims (2)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자외선 흡수성 단량체 유니트 0.0001 내지 20중량%;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노르말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및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유니트 50 내지 95중량%;
    아크릴산, 메타아크릴산 및 이타콘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단량체 유니트 2 내지 14중량%; 및
    폴리디메틸실록산, α-부틸디메틸실록시-ω-(δ-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 및 α-부틸디메틸실록시-ω-(δ-디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폴리실록산기를 함유하는 단량체 유니트 0.1 내지 30중량%;로 이루어진 공중합체 또는 그 중화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샴푸 조성물;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R2는 탄소수가 1 내지 3인 알킬기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 또는 그 중화물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2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샴푸 조성물.
KR10-2002-0081111A 2002-12-18 2002-12-18 스타일링 샴푸 조성물 KR1005054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1111A KR100505466B1 (ko) 2002-12-18 2002-12-18 스타일링 샴푸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1111A KR100505466B1 (ko) 2002-12-18 2002-12-18 스타일링 샴푸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4264A KR20040054264A (ko) 2004-06-25
KR100505466B1 true KR100505466B1 (ko) 2005-08-04

Family

ID=37347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1111A KR100505466B1 (ko) 2002-12-18 2002-12-18 스타일링 샴푸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54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7636B1 (ko) * 2010-12-09 2013-01-0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린스 정발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7636B1 (ko) * 2010-12-09 2013-01-0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린스 정발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4264A (ko) 2004-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6925B1 (ko) 실리콘 코폴리올 마크로머를 함유하는 폴리머, 및 이를 함유하는 개인 관리 조성물
CA2072319C (en) Ampholyte terpolymers providing superior conditioning properties in skin and nail care products
JPH0670104B2 (ja) 被膜形成樹脂及びそれを含有する毛髪化粧料
WO1997025964A1 (en)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s
WO2012072774A1 (en) Acrylic polymer
JP2010523519A (ja) 選択されたコポリマーを含んでいる日焼け止め剤及びパーソナルケア組成物
EP3894017B1 (en) Polymer blend for personal care formulation
JPH04359912A (ja) 新規共重合体及び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
JPH06340721A (ja) ターポリマー
JP2010523520A (ja) ランダムターポリマーを含んでいる日焼け止め組成物
JP4684498B2 (ja) 化粧料用基剤およびそれからなる化粧料
KR100505466B1 (ko) 스타일링 샴푸 조성물
JP2022510904A (ja) カルボシロキサンを有する多段ポリマーを含むパーソナルケア配合物
JP5745216B2 (ja) 毛髪化粧料用基剤及び毛髪化粧料
WO2011017491A1 (en) Sun-care compositions
KR100505467B1 (ko) 헤어젤 조성물
AU2007333097A1 (en) Hair styling composition
JP4129940B2 (ja) 毛髪化粧料用基剤を用いた毛髪化粧料
KR100470954B1 (ko) 자외선 흡수성 정발제
JP2930810B2 (ja) 整髪剤用基剤
JP4129939B2 (ja) 毛髪化粧料用基剤及びそれを用いた毛髪化粧料
JP6525334B2 (ja) 毛髪化粧料用基剤及び毛髪化粧料
JP2003081775A (ja) 毛髪化粧料用基剤及びそれを用いた毛髪化粧料
JP3431356B2 (ja) ゲル状整髪料
KR100505468B1 (ko) 헤어스프레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펌프 타입의헤어스프레이 분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