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4395A - 조작장치 - Google Patents

조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4395A
KR19980024395A KR1019970046030A KR19970046030A KR19980024395A KR 19980024395 A KR19980024395 A KR 19980024395A KR 1019970046030 A KR1019970046030 A KR 1019970046030A KR 19970046030 A KR19970046030 A KR 19970046030A KR 19980024395 A KR19980024395 A KR 199800243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open hole
shaft
plate
axi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6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67946B1 (ko
Inventor
요시히로 미즈타니
Original Assignee
강원석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나이또 스스무
린나이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석,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나이또 스스무, 린나이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강원석
Publication of KR19980024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43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7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79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8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rotary movement, e.g. hand wheels
    • G05G1/10Details, e.g. of discs, knobs, wheels or handles
    • G05G1/12Means for securing the members on rotatable spindle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4Control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 Sealing Devices (AREA)
  • Cooker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과제) 조작손잡이(20)측에서 유입된 액체가 조작손잡이(20)에서 조작축(10)을 통하여 이것에 연결되는 제어수단(30)으로 도달하는 문제점을 해소한 조작장치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본 발명의 조작장치는, 트인구멍부(62)를 가진 조작플레이트(60)와, 트인구멍부(62)에 비접촉상태로 끼워지는 조작축(10)과, 조작축(10)에 설치된 조작손잡이(20)와, 조작플레이트(60)를 사이에 두고 이 조작축(10)에 연결되며 조작손잡이(20)를 적어도 축선방향으로 조작시켜서 소정의 기능을 절환 또는 조정하는 제어수단(30)과, 조작손잡이(20)에 연동하며 트인구멍부(62)의 가장자리부에 항상 맞닿아서 실질상 피복하는 캡(40)을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조작장치
본 발명은 케이싱의 상판이나 조작플레이트의 상면에 조작손잡이가 노출되게 설치되는 조작장치로서, 예를 들면 조리남비등에서 끓어 흘러넘치는 국물등의 액체가 조작손잡이부로 유입되는 경우가 있는 열기구등에 적합한 조작장치에 관한 것이다.
열기구의 상판 상면에 조작손잡이가 노출되는 형식의 기구조작장치에서는, 국물등이 흘러 내리는 것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따라서, 일본국 실용신안공개 소57-116048호의 기구조작장치에서는, 상판부의 조작축부 삽입용 통공의 둘레가장자리에는 상측으로 돌출되는 환형상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환형상 돌출부보다도 큰 지름으로 된 원판부를 구비하는 조작손잡이가 상기 통공을 관통하는 상기 조작축부에 연이어 형성되어 일체화되어 있다. 따라서, 이 기구조작장치를 열기구에 이용한 것에서는 상판으로 흘러내린 국물등이 상기 환형상 돌출부에 의해서 차단됨과 아울러, 조작축부의 외측둘레의 간격부가 조작손잡이의 원판부에 의해서 차단되기 때문에, 국물등이 조작축부의 외측둘레의 간격을 통하여 기구내부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회피된다.
한편, 일본국 실용신안공개 소59-490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조작손잡이에 대하여 장식링을 동일 축선상에 설치하고, 상기 조작손잡이가 장식링에 형성되는 요함부(凹陷部)내로 회동가능하게 수용되는 형식의 것이 있다. 이 선행기술의 것은, 조작축부 및 이것에 부착되는 조작손잡이의 축선이 수평하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손잡이가 요함부내로 수용되는 형식이어도 기구 앞면을 통하여 침입하는 국물등이 상기 요함부내에서 가스콕등의 열량조절장치의 설치부까지 도달하지 않는다.
전자의 형식의 기구조작장치에서는 상판부의 조작축부 삽입용 통공의 둘레가장자리에 환형상 볼록부를 구비하고, 이것을 높게 설치함으로써 국물등의 침임에 대한 문제점이 해결된다. 그러나, 이 환형상 볼록부를 상측의 조작손잡이측으로 돌출시키기 위해서는 가공상의 한계가 있고, 특히 상판부가 유리로 된 상판인 경우에는 이것이 극히 곤란하다. 또, 후자의 형식의 기구조작장치를 드롭인(drop-in) 곤로등과 같이 기구의 상판부에 그대로 채용하고, 조작손잡이가 상판부의 상면에 상향의 자세로 배치되도록 한 경우, 요함부내에 저류된 국물등이 환형상 볼록부를 타고 넘어서 하측에 배치되는 가스 콕이나 열량스위치 등의 열량조절장치에 도달하여 손상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조작손잡이측에서 유입된 액체가 조작손잡이에서 축부재를 통하여 이것에 연결되는 제어수단에 도달한다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조작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상기 제 1 목적에 부가하여 장치의 간소화와 이것에 의한 조립작업성을 향상시켜 저렴한 조작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작장치에 관한 실시형태의 요부단면도
도 2는 도 1의 부분확대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조작손잡이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부분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부분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형태로서, 그 동작상태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조작장치에 이용되는 걸림부재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부분확대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10,210 - 조작축 11 - 환형상홈
20,120,220 - 조작손잡이 30,230 - 열량조절장치
40,140 - 캡 60,160,260 - 조작플레이트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강구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해결수단은, 『트인구멍부를 가진 조작플레이트와, 상기 트인구멍부에 끼워지는 축부재와, 상기 축부재의 일단부에 설치된 조작손잡이와, 상기 조작플레이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축부재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조작손잡이가 조작된 때에 소정의 기능을 절환 또는 조정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트인구멍부의 가장자리부에 맞닿음과 아울러 상기 트인구멍부를 실질상 피복하는 커버부재를 구비한』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트인구멍부의 가장자리부란, 평면상의 부위에 형성된 트인구멍의 주위부위를 말하는 것 외에, 원통상부로 구획되는 트인구멍에서는 상기 원통상의 트인구멍단부를 말한다.
이 수단을 채용한 것에서는, 예를 들면 국물등의 액체가 조작손잡이측에서 조작플레이트의 트인구멍부로 유입하려고 하여도, 이 트인구멍부를 실질상 피복하는 커버부재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액체가 상기 트인구멍부로 침입하는 것이 저지되므로 이 조작플레이트를 사이에 둔 제어수단으로 상기 액체가 도달하는 문제점이 해소된다. 커버부재는 조작플레이트의 트인구멍부의 가장자리부에 맞닿도록 형성되어 이 트인구멍부를 피복하기 때문에, 상기 액체가 트인구멍부로 침입하는 것이 저지된다. 또한, 이 해결수단에서는 축부재의 자세상태가 연직방향인 것 외에 경사진 자세상태이어도 된다.
따라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수단에 의하면, 『조작손잡이측에서 유입된 액체가 조작손잡이에서 축부재를 통하여 이것에 연결된 제어수단에 도달한다는 문제점을 해소한다』는 상기 제 1 목적이 달성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해결수단은, 상기 청구항 1에 있어서의 커버부재를 한정한 것으로, 『커버부재는 축부재에 고정되며, 적어도 축선방향으로 변형가능한 가요성부재로 한』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해결수단에 의하면, 축선방향으로 변형가능한 가요성부재를 커버부재로서 이용하기 때문에, 조작손잡이를 축선방향으로 조작시켜도 커버부재는 그 동작에 따라서 용이하게 변형되어 트인구멍부의 가장자리부에 항시 맞닿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작손잡이의 동작에 관계없이 트인구멍부는 항시 커버부재에 의해서 피복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가요성부재를 커버부재로서 이용함과 아울러 축부재에 고정함으로써, 조작장치로서의 구성이 간소화되며, 또한 조작손잡이측에서의 액채가 제어수단에 도달한다는 문제점이 해소된다. 따라서,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수단에 의하면, 상기 제 1 목적에 부가하여 『장치의 간소화와 이것에 의한 조립작업성의 향상시켜 저렴한 조작장치를 제공한다』는 상기 제 2 목적이 달성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의 해결수단은, 상기 청구항 1에 있어서의 커버부재를 한정한 것으로, 『커버부재는 조작손잡이에 고정되며, 적어도 축선방향으로 신축가능한 주름형상부재로 한』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해결수단에 의하면, 축선방향으로 변형가능한 주름형상부재를 커버부재로서 이용하기 때문에, 조작손잡이를 축선방향으로 조작시켜도 커버부재는 그 동작에 따라서 용이하게 변형되어 트인구멍부의 가장자리부에 항시 맞닿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작손잡이의 동작에 관계없이 트인구멍부는 항시 커버부재에 의해서 피복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주름형상부재를 커버부재로서 이용함과 아울러 조작손잡이에 고정함으로써, 조작장치로서의 구성이 간소화되며, 또한 조작손잡이측에서의 액채가 제어수단에 도달한다는 문제점이 해소된다. 따라서,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의 수단에 의하면, 상기 제 1 목적에 부가하여 『장치의 간소화와 이것에 의한 조립작업성의 향상시켜 저렴한 조작장치를 제공한다』는 상기 제 2 목적이 달성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의 해결수단은, 『트인구멍부를 가진 조작플레이트와, 상기 트인구멍부에 끼워지는 축부재와, 상기 축부재의 일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축부재측에 오목부를 구비한 조작손잡이와, 상기 조작플레이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축부재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조작손잡이가 조작된 때에 소정의 기능을 절환 또는 조정하는 제어수단과, 하단부가 상기 트인구멍부보다도 큰 지름으로 되고, 상기 조작플레이트와 상기 조작손잡이와의 사이에 상기 하단부가 상기 트인구멍부의 둘레가장자리에 맞닿게 설치되는 원통체를 구비한』것을 특징으로 한다. 조작플레이트의 트인구멍부에 원통체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국물등의 액체가 조작손잡이측에서 조작플레이트의 트인구멍부로 유입하려고 하여도, 이 트인구멍부가 원통체에 의해서 포위되어, 즉 이 원통체가 장벽이 되어 상기 액체가 상기 트인구멍부로 침입하는 것이 저지된다. 원통체를 조작손잡이의 수하벽에 대하여 인서트형상으로 형성하면, 상기 액체의 침입이 더욱 곤란하게 되므로, 조작플리이트를 사이에 둔 제어수단으로 상기 액체가 도달하는 문제점이 해소된다.
또한, 원통체를 조작손잡이의 수하벽에 대하여 인서트형상으로 형성하면, 조작장치가 높이방향으로 커지지 않는다. 또, 커버부재를 상기 조작손잡이의 수하벽의 내부측에 형성하는 것도 용이하며, 이것에 의하여 조작장치가 횡방향으로 커지는 일도 없다. 따라서, 조작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따라서,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의 수단에 의하면, 『조작손잡이측에서 유입된 액체가 조작손잡이에서 축부재를 통하여 이것에 연결된 제어수단에 도달한다는 문제점을 해소한다』는 상기 제 1 목적이 달성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의 해결수단은, 상기 청구항 4에 있어서의 원통체를 한정한 것으로, 『원통체는 축선방향으로 신축가능한 주름형상부재로 한』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해결수단에 의하면, 축선방향으로 변형가능한 주름형상부재를 원통체로서 이용하기 때문에, 조작손잡이를 축선방향으로 조작시켜도 원통체는 그 동작에 따라서 용이하게 변형되며, 따라서 조작손잡이의 동작에 관계없이 트인구멍부는 항시 통체에 의하여 포위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주름형상부재를 원통체로서 이용함으로써 조작장치로서의 구성이 간소화되고, 또 조작손잡이측에서의 액채가 제어수단에 도달한다는 문제점이 해소되고, 또한 조작장치가 커지지 않는다. 따라서,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의 수단에 의하면, 상기 제 1 목적에 부가하여 『장치의 간소화와 이것에 의한 조립작업성의 향상시켜 저렴한 조작장치를 제공한다』는 상기 제 2 목적이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드롭인 곤로의 조작부에 본 발명을 실시한 것으로, 조리대(70)에 형성된 트인구멍(71)에 상방향으로 개방된 본체케이스(73)가 끼워지고, 이 본체케이스(73)의 상단의 지지플랜지(74)가 상기 트인구멍(71)의 둘레가장자리에 의해서 지지됨과 아울러, 개방단부를 상판(63)로 피복한 것이다. 상기 상판(63)의 앞측 가장자리부에 일정한 폭으로 된 조작플레이트(60)가 형성되고, 이 조작플레이트(60)에 열량조절장치(30)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장치가 설치된다.
상기 본체케이스(73)의 둘레가장자리부에서 돌출되는 지지플랜지(74)와 상기 조작플레이트(60)의 둘레가장자리부와의 사이에는 패킹(72)을 개재하여 서로 연결되고, 이 연결부가 상기 조리대(70)의 트인구멍(71)의 둘레가장자리부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다. 본체케이스(73)에는 열량조절장치(30)를 부착하기 위한 브래킷(31)이 상판(63)의 앞측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조작플레이트(60)와 평행하게 형성되며, 그 양 단부가 본체케이스(73)의 측벽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브래킷(31)이 본체케이스(73)의 개방단부의 앞측 가장자리부에 가교(架橋)형상으로 부착된다.
조작플레이트(60)는, 도 1에 단면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측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 조작플레이트(60)에는 조작손잡이(20)가 위치하는 부위에 압출가공에 의해서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환형상 벽(61)이 형성되어 있다. 브래킷(31)의 상면에는 열량조절장치(30)가 고정되며, 이 열량조절장치(30)에 조작축(10)이 연결고정되어 있다. 조작축(10)은 조작플레이트(60)에 대하여 실질상 직교하도록 이 조작플레이트(60)의 트인구멍부(62)에 비접촉상태로 끼워져서 설치되며, 조작플레이트(60)측에서 조작손잡이가 부착되어 있다. 열량조절장치(30)로서는, 예를 들면 가스곤로의 경우에는 가스량조절용 가스콕이 채용되고, 전기곤로의 경우에는 히터로의 통전량을 제어하기 위한 열량스위치 등이 채용된다.
조작손잡이(20)는 몸통부(26)와, 최대 외측지름을 가지는 수하벽부(27)와, 조작축(10)이 끼워맞춰져서 고정되는 축부(2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조작손잡이(20)와 조작축(10)은 축선방향으로 나사고정되거나 또는 압입등에 의하여 양자가 고정된다. 조작축(10)에는 커버부재로서의 캡(40)이 고정되어 있다. 캡(40)은 조리남비등으로부터 끓어 흘러넘치는 국물등이 트인구멍부(62)에서 본체케이스(73)내로 침입하여 열량조절장치(30)등에 도달하는 문제점을 회피하기 위해서 설치되는 것으로, 조작손잡이(20)와 열량조절장치(30) 사이의 위치에 부착되어 조작플레이트(60)의 트인구멍부(62)를 덮도록 설치되어 있다.
캡(40)은 얇은 원판형상을 이루며, 그 외측둘레부에는 하측으로 드리워진 환형상벽(41)이 동일 축선상에 형성되고, 또 중심부에는 조작축(10)과 동일한 축선상에 형성된 관통구멍(46)을 구비하고 있다. 캡(40)에는 가요성을 가지는, 예를 들어 천연고무나 합성고무(니트릴고무, 실리콘고무, 네오프렌고무) 이외에 폴리비닐카르바졸(PVC) 등의 합성수지재료가 이용된다. 조작축(10)의 외측둘레부가 상기 관통구멍(46)에 끼워짐으로써, 캡(40)은 조작축(10)에 외측끼움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캡(40)은 그 환형상벽(41)의 하단부(42)가 조작플레이트(60) 상면의 전둘레에 걸쳐서 맞닿도록 설치된다. 이 때, 하단부(42)가 조작플레이트(60)의 상면에 대하여 누름접촉되게 하여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캡(40)은 조작축(10)상에 있어서 축선방향 하측으로 약간 치우쳐져서 설치되며, 탄성변형에 의한 탄발력이 누름접촉력이 되도록 그 위치결정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조작축(10)에 고정된다. 따라서, 캡(40)이 트인구멍부(62)를 피복함으로써 트인구멍부(62)가 폐색된다. 또, 도면의 예에서는 조작플레이트(60)의 환형상벽(61)의 상단부(69)가 캡(40)의 이면(도면의 하면)에 전둘레에 걸쳐서 맞닿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한 캡(40)의 폐색에 부가하여 이중으로 트인구멍부(62)가 폐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조작플레이트(60)의 상면에 누름접촉되는 환형상벽(41)은 그 누름력이 약해지지 않도록 환형상벽(61)의 높이를 환형상벽(41)의 높이와 같게 또는 약간 낮게 설정하고 있다. 이것은 후술하는 도면의 설명에서도 같게 적용된다.
또, 특히 상단부(69)가 캡(40)의 이면에 접촉하고 캡(40)의 하단부(42)가 조작플레이트(60)에 접촉하는 경우에 있어서, 축조작시에 조작축(10)이 축방향으로 조작되는 것에서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캡(40a)의 환형상벽(41a)을 캡(40a)의 평면부(43a)보다도 두껍게 형성하면, 평면부(43a)만이 용이하게 변형되므로 바람직하다.
캡(40)에 있어서의 관통구멍(46)은 조작축(10)이 용이하게 끼워지도록 조작축(10)의 외측지름 치수보다도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캡(40)과 조작축(10)의 고정은 탄성걸림부재로서, 예를 들어 O링(50,51)에 의해서 고정된다. 이와 같이 하면, 캡(40)의 회전저지구를 조작축(10)에 설치하는 것에 지장을 주지 않는다.
조작축(10)에 대한 캡(40)의 고정상태는, 본 실시예에 의하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1쌍의 O링(50,51)이 조작축(10)에 외측끼움됨으로써 캡(10)이 이들 O링(50,51)의 축선방향으로 작용하는 협착력에 의해서 유지고정된다. O링(50,51)은 반지름방향 내측으로 수축하도록 작용하기 때문에, 이들이 조작축(10)에 외측끼움되면 이 외측끼움부가 폐색된다. 즉, 조작축의 축선(상하)방향을 폐색한다. 그리고, O링(50,51)에 의해서 캡(40)이 협착됨으로써 축선방향으로 수축하는 반력이 작용하여 캡(40)이 조작축(10)에 꼭맞게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작축(10)에 있어서 축선과 동일한 축선상에 환형상홈(11)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환형상홈(11)이 O링(50,51)의 부착위치를 규정하는 축선방향의 위치를 결정하게 되고, 또한 이 환형상홈(11)이 캡(40)의 높이방향의 부착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또, 환형상홈(11)에 의해서 O링(50,51)의 부착이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캡(40)은 환형상벽(41)의 하단부(42)가 탄성변형에 의한 탄발력에 의해서 조작플레이트(60)의 상면에 누름접촉함으로써, 높은 밀착성으로 트인구멍부(62)를 폐색하고 있다. 끓어 흘러넘치는 국물등이 조작플레이트(60)측으로 흘러내린 경우, 캡(40)이 조작플레이트(60)의 트인구멍부(62)를 피복하여 폐색하고 있기 때문에, 트인구멍부(62)로 침입하는 것이 저지되므로 본체케이스(73)내부로 흘러내리지 않는다. 그리고, 조작플레이트(60)측의 환형상벽(61)의 하단부(69)가 캡(40)의 이면에 전둘레에 걸쳐서 맞닿도록 형성되어 이중으로 트인구멍부(62)가 폐색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폐색상태가 더욱 양호하게 된다. 따라서, 국물등이 본체케이스(73)내부의 열량조절장치(30)로 흘러내려서 이것을 손상시킨다는 것이 회피된다. 또, 캡(40)은 그 지름에 비해 두께가 얇은 평판체이고, 조작손잡이(20)와 조작플레이트(60) 사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본 실시예의 조작장치가 커지는 일이 없다.
또한, 본 실시예의 주지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적어도 환형상벽(41)의 하단부(42)가 조작플레이트(60)의 상면에 맞닿아서 트인구멍부(62)가 피복되어 폐색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적어도 환형상벽(41)의 상단부(69)가 캡(40)의 이면에 맞닿아서 트인구멍부(62)가 피복되어 폐색되어 있어도 된다. 이것 외에, 조작플레이트(60)가 본체케이스 상부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나, 수평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상기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며, 이하의 실시에 대해서도 같다.
여기서, 조작손잡이(20)를 조작하면, 이것에 연결된 조작축(10)에 의해서 열량조절장치(30)가 조절되어 열원이 온/오프 절환되거나 열량이 변경된다. 조작축(10)의 조작은, 축의 둘레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 외에, 축선방향으로 조작시키는 것 또는 이것들을 조합한 것도 있다. 예를 들어, 가스콕등의 개방조작과 같이 조작손잡이를 눌러서 돌리는 동작이 있고, 또 조작스위치등과 같이 축선방향으로 왕복동작시키는 것도 있다. 본 구성에서는 이러한 조작축(10)의 특히 축선방향동작을 포함하는 조작동작에 대해서도 국물등이 트인구멍부(62)를 통하여 본체케이스(73)로 침입하지 않도록 대응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있어서의 조작손잡이(20)와 이것에 연이어 설치된 열량조절장치(30)의 부분을 확대한 요부 단면도이고, 조작손잡이(20)를 축선방향으로 조작하는 전후 상태를 나타낸다. 도 3a는 조작손잡이(20)를 동작시키기 전의 초기상태이고, 도 3b는 조작손잡이(20)를 누르거나 또는 누르면서 돌린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a에서는, 캡(40)이 조작플레이트(60)의 트인구멍부(62)를 피복하여 폐색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캡(40)이 트인구멍부(62)를 피복하도록 조작플레이트(60)의 상면에 트인구멍의 전둘레에 걸쳐서 맞닿게 한다. 그리고, 캡(40)의 탄성변형에 의한 탄발력에 의해서 하단부(42)가 조작플레이트(60)의 상면에 누름접촉되어 밀착성이 높아지도록, 조작축(10)에 대한 캡(40)의 부착높이위치를 소정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조작손잡이(20)의 초기상태에서 도면의 상측에서 국물등이 흘러내린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트인구멍부(62)가 폐색되어 있기 때문에, 국물등이 본체케이스(73)의 내부측으로 침입하지 않는다.
도 3b에 있어서, 조작손잡이(20)를 도면의 하측으로 누르거나 누르면서 돌리면, 조작축(10)에 고정된 캡(40)도 이것에 연동하여 도면의 하측으로 이동한다. 캡(40)의 하단부(2)는 조작플레이트(60)의 상면에 맞닿아 있기 때문에, 조작축(10)의 동작에 연동하여 캡(40)은 그 중간부(43)가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변형하여 휘어지게 된다. 또한, 조작손잡이(20)의 동작에 회전동작이 동반되는 경우에는, 캡(40)의 하단부(42)가 조작플레이트(60)의 상면을 둘레방향으로 미끄러지면서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하게 된다. 따라서, 캡(40)의 휨에 의해서 동작의 초기상태보다도 탄성변형이 커지므로, 캡(40)의 하단부(42)는 더욱 강한 압력으로 조작플레이트(60)의 상면에 누름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조작손잡이(20)를 축선방향으로 조작시키더라도 조작플레이트(60)의 트인구멍부(62)가 캡(40)에 의해서 여전히 피복되어 폐색되기 때문에, 국물등이 본체케이스(72)로 침입하는 것이 저지된다. 또한, 도 3에 있어서의 캡(40) 대신에 이미 설명한 도 10의 캡(40a)을 채용하면, 캡의 변형이 일층 용이하게 되므로, 조작축(10)의 축선방향으로의 스트로크가 큰 장치에 적합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손잡이(20)가 축선방향으로 조작되는 경우, 이 동작과 연동하는 캡(40)을 탄성변형시켜 항상 트인구멍부(62)에 맞닿게 함과 아울러, 이 트인구멍부(62)를 피복하여 폐색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국물등의 액체가 열량조절장치(30)측에 도달하는 것이 저지된다. 캡(40)은 그 자체가 얇은 박형으로 이루어지고, 조작손잡이(20)와 열량조절장치(30) 사이에 설치되기 때문에, 본 실시예의 조작장치가 커지는 일이 없다. 또, 반지름방향에서는 조작손잡이(20)의 수하벽부(27)의 내부측에 캡(40)을 설치하도록 함으로써, 캡(40)을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설치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일층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작손잡이(20)의 축선방향으로의 가동거리가 약 3mm이고, 캡(40)의 외측지름 치수는 직경 약 36mm로 형성되어 있다. 또, 트인구멍부(62)의 직경은 약 29mm이고, 조작손잡이(20)의 외측지름 치수는 설치 기구에 따라서 예를 들어 44mm, 46mm, 50mm로 설정되어 있다. 그 외, 조작거리의 크기나 캡(40)의 외측지름 치수의 조건, 또는 탄성에 의한 휨정도에 따라서 여러가지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한 예에서는 조작손잡이(20)의 축선방향으로의 조작동작은 도 3a의 상태를 초기상태로서 설명하였으나, 반대로 도 3b의 상태를 동작의 초기상태로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조작손잡이(20)의 회전등의 동작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으로, 캡(40)의 부착부위를 확대한 요부 단면도로서 도 1에 있어서의 조작축(10)의 좌측을 나타낸 것이다. 도 4에 나타낸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미 설명한 O링(50,51)과 같은 탄성을 가지는 걸림부재를 이용하지 않고, 조작축(10)에 대하여 캡(40)을 직접 외측끼움하도록 하였다. 이것에서는, 캡(40)의 관통구멍(46)의 내측지름이 조작축(10)의 외측지름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캡(40)을 조작축(10)에 외측끼움할 때에 조작축(10)이 관통구멍(46)을 벌려 확대하려고 하는 것에 대한 반작용에 의해서 캡(40)을 조작축(10)에 고정한다. 도면 부호 52는 조작축(10)에 외측끼움되어, 조작축(10)을 축선방향으로 조작할 때에 캡(40)이 축선방향에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는 어긋남방지부재이다. 도시한 예에서는 조작축(10)을 도면의 하측으로 조작하는 것을 전재로 하고 있기 때문에, 어긋남방지부재(52)는 캡(40)의 상측에 부착되어 있다. 이 어긋남방지부재(52)로서는, 예를 들어 도 9a에 나타낸 e형 걸림링이나 c형 걸림링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 도 4의 예와 같이 캡(40)이 외측끼움되는 조작축(10) 부위에 환형상홈(11a)을 형성함으로써, 캡(40)의 부착이 용이하게 됨과 아울러 부착위치도 결정된다. 이 경우, 어긋남방지부재(52)는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또, 어긋남방지부재(52)를 설치할 경우에는, 조작축(10)에 환형상홈(11a)을 형성하고 여기에 어긋남방지부재(52)를 외측끼움하면 어긋남 방지에 더 효과가 있다.
도 5는 또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요부단면도로서, 도 4와 마찬가지로 조작축(10)의 좌측을 나타낸 것이다. 도 5에서는 상기한 캡(40) 대신에 합성수지제의 캡(44)을 이용하였다. 캡(44)은 원판형상을 이루며, 내부측에 형성된 두께가 두꺼운 형상의 내벽부(45)와, 외부측에 형성된 두께가 두꺼운 형상의 외벽부(47)와, 이것들을 연결하는 중간부(49)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외벽부(47)에 있어서의 하단부의 외측둘레에는 하측으로 돌출되는 환형상 볼록부(48)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환형상 볼록부(48)가 조작플레이트(60)의 상면에 맞닿게 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경우도 조작축(10)은 축선방향으로 조작됨과 아울러 축주위로도 회동된다. 도면에 나타낸 캡(44)의 부착상태는, 캡(44)의 환형상 볼록부(48)가 조작플레이트(60)의 상면에 맞닿도록 조작축(10)의 소정 높이에 부착되고, 캡(44)은 축선방향으로 휘어져서 그 탄발력이 조작플레이트(60)의 상면을 누르도록 작용한다. 캡(44)은 두께가 얇은 형상의 중간부(49)가 주로 휘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캡(44)은 조작축(10)이 축선방향으로 조작되는 거리의 범위내에서 항상 휨상태가 유지되며, 조작플레이트(60)측으로 눌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캡(44)은 트인구멍부(62)를 항상 피복하여 폐색한다. 또한, 캡(44)의 내벽부(45)는 조작축(10)의 환형상홈(12)에 느슨하게 끼워맞춰지며, 조작축(10)의 축선방향으로의 조작에 대하여 다소 요동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조작축(10)이 축선방향으로 조작될 때에 중간부(49)에서의 휨에 부가하여 내벽부(45)에서의 유동에 의해서 외벽부(47)의 하단이 조작플레이트(60)에서 쉽게 떨어지지 않게 하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내벽부(45)의 상면(45a)과 하면(45b)이 곡면형상으로 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환형상 볼록부(48)가 조작플레이트(60)에 맞닿는 부위를 볼록형상으로 하였다. 이것은 캡(44)이 회동하기 때문에, 접촉면을 가급적 적게 하여 선접촉(線接觸)상으로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캡(44)은 조작플레이트(60)와의 마찰에 의한 마모가 저감된다. 또, 환형상 볼록부(48)가 캡(44)의 최대 외측둘레부에 위치하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축중심으로부터의 반지름 거리를 최대한 크게 함으로써 캡(44)의 휨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또, 캡(44)에는 가요성을 구비한 부재로서, 상기한 폴리비닐카르바졸(PVC) 외에, 가요성에 부가하여 내마찰성이 양호한 실리콘이나 천연고무(NBR) 등을 이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도 1에서 도 5 및 도 10에서는, 조작손잡이(20)를 축선방향으로 조작하였을 경우, 캡(40)을 축선방향으로 휘어지게 하여 조작플레이트(60)의 트인구멍부(62)를 피복하여 이것을 폐색하도록 하였다. 다음에 나타내는 도 6 내지 도 8은 상기한 캡 대신에 주름형상의 캡을 이용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조작손잡이(120) 부분을 확대한 요부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의 캡(140)은, 좌측에 그 단면을, 우측에 그 측면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도 6a는 조작손잡이(120)의 동작 초기상태를 나타내고, 도 6b는 조작손잡이(120)가 도면의 하측으로 조작된 상태를 나타낸다.
캡(140)은,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PP)등과 같은 합성수지재료가 이용되며,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선방향으로 개방됨과 아울러 축선방향으로 신축하는 주름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조작손잡이(120)는 몸통부(121)와, 최대 외측지름을 가지는 수하벽부(122)와, 조작축(110)이 끼워맞춰져서 고정되는 축부(123)로 이루어지며, 조작축(110)과 함께 축선방향으로 조작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캡(140)의 일측이 되는 상부 트인구멍단(140a)은 조작손잡이(120)에 있어서의 축부(123)의 외측둘레부에 외측끼움됨과 아울러 내벽(124)에 맞닿도록 형성되고, 또 타측이 되는 하부 트인구멍단(140b)은 조작플레이트(160)의 환형상벽(161)의 외측둘레부에 외측끼움됨과 아울러 조작플레이트(160)의 상면(163)에 맞닿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캡(140)은 조작손잡이(120)의 동작 초기상태에 대응하여 미리 축선방향으로 압축된 상태{후술하는 조작손잡이(120)의 누름동작상태의 압축된 상태보다는 신장되어 있다}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캡(140)은 압축된 상태로 조작손잡이(120)와 조작플레이트(160) 사이에 끼워져 고정됨으로서, 하부 트인구멍단(140b)의 조작플레이트(160)에 대한 누름접촉력이 얻어진다. 필요에 따라서, 캡(140)의 상부 트인구멍단(140a) 또는 하부 트인구멍단(140b)을 대응하는 상대측 부위에 접착이나 용착 등에 의하여 고정하여도 된다.
따라서, 도 6a의 상태에서도 또한 조작손잡이(120)를 누른 도 6b의 상태에서도, 캡(140)의 하부 트인구멍단(140b)은 항상 조작플레이트(160)의 상면(163)에 맞닿게 되어 트인구멍부(162)를 피복하여 페색함으로써, 조작손잡이(120)측에서의 국물등이 본체케이스내로 유입되는 것이 저지되어, 도 1에 나타낸 내부의 열량조절장치(30)등에 도달하여 이것을 손상시킨다는 문제점이 해소된다. 또한, 캡(140)의 하부 트인구멍단(140b)은 조작플레이트(160)의 상면(163)에 누름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적어도 맞닿은 상태라면 된다. 본 실시예에서도 조작플레이트(160)에는 트인구멍부(162)를 규정하는 환형상벽(161)이 형성되어 있으며, 캡(140)의 하단을 위치결정함과 아울러, 만일 캡(140)의 하단에서의 조작플레이트(160)의 상면(163)에 대한 누름접촉이 약하더라도, 국물등이 이 환형상벽(161)을 타고넘어 트인구멍부(162)로 침입하는 것을 일층 어렵게 하고 있다. 또, 도시하지 않았으나 캡(140)의 하부 트인구멍단(140b)을 조작플레이트(160)에 있어서의 환형상벽(161)의 상단부에 맞닿게 함으로써, 트인구멍부(162)를 피복하여 이것을 폐색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캡(140)은 조작손잡이(120)의 축선방향 및 반지름방향의 양방향에 있어서 내부측에 설치되고 또한 주름형상의 원통체이기 때문에, 축선방향으로의 이동시에는 압축되므로 소형화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캡(141)은 그 상부에 평판형상부(142)를 가지며, 이 평판형상부(142)는 조작손잡이(120)의 축부(125)에 외측끼움됨과 아울러, 축단부(123)의 하면에 맞닿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9b에 나타낸 걸림부재(53)를 축부(125)에 외측끼움으로써, 캡(141)은 조작손잡이(120)에 고정된다. 걸림부재(53)는 몸통부(54)와 그 상부의 턱부(55)로 구성되며, 몸통부(54)가 확대되어 축부(125)의 외측둘레부에 끼워맞춰진다. 따라서, 몸통부(54)는 그 수축력에 의해서 축부(125)에 고정되며, 이와 동시에 턱부(55)가 캡(141)의 평판형상부(142)를 축단부(123)의 하면과의 사이에 끼워 고정한다. 또, 걸림부재(53) 대신에 도 9c에 나타낸 바와 같은 걸림부재(56)를 이용하여도 된다. 걸림부재(56)는 축부(125)에 외측끼움할 때, 내부측의 톱니부(56a)가 소성변형하여 축부(125)측과 이맞물림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조작손잡이(120)의 축선방향으로의 조작에 관계없이, 캡(141)은 조작플레이트(160)의 트인구멍부(162)를 항상 피복하여 폐색한다.
도 8은 도 6과 도 7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캡(143)은 그 상부의 원통부(144) 부위가 조작손잡이(120)의 축부(123)의 외측둘레부에 외측끼움되어 있다. 고정방법은 끼워맞추는 방법 외에 접착이나 용착 등에 의해서 캡(143)이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슬릿형상의 구멍부(145)가 원통부(144)에 형성되어 있다. 구멍부(145)는 원통부(144)의 둘레방향으로 예를 들어 4군데 형성되며, 본체케이스의 내외부를 연통하는 통기구멍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구멍부(145)는 캡(143)의 상부에 위치하므로, 조작손잡이(120)측에서의 국물등은 실질상 이 구멍부(145)에서 트인구멍부(162)로 침입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조작손잡이(120)측에서의 국물이 캡(143)에 의해서 트인구멍부(162)로의 유입이 저지되는 한편, 본체케이스 내외부가 통기되기 때문에, 본체케이스내의 예를 들어 냉각용 공기나 열원으로서 가스버너를 이용한 경우의 소각용 공기등을 통기하는데 적합하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경우에서도, 조작손잡이(120)의 축선방향으로의 조작에 관계없이, 캡(143)은 조작플레이트(160)의 트인구멍부(162)를 항상 피복하여 폐색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에서는, 조작플레이트(260)의 상면(263)에 있어서, 트인구멍부(262)를 규정하는 환형상홈(261)의 외측둘레측에 원통형상의 커버(240;원통체)가 부착되어 있다. 커버(240)는 환형상벽(261)을 전둘레에 걸쳐서 포위하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그 하단부(240b)가 상면(263)에 자체의 무게에 의해서 맞닿거나 또는 접착이나 용착 등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커버(240)는,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PP)등과 같은 합성수지재료가 이용되며, 조작손잡이(220)의 수하벽(222)에 대하여 축선방향으로 인서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국물등의 액체가 조작손잡이(220)측에서 조작플레이트(260)의 트인구멍부(262)로 유입하려고 하여도 트인구멍부(262)가 커버(240)에 의해서 포위되고 또 이 커버(240)의 상단 트인구멍(240a)이 수하벽(222)에 의해서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수하벽(222) 및 이 커버(240)가 장벽이 되어 국물등의 액체가 트인구멍부(262)로 침입하는 것이 저지된다. 또한, 이 예에서는 조작손잡이(220)에 환형상홈(224)이 형성되고, 이 환형상홈(224)에 상단 트인구멍(240a)이 끼워지는 상태의 인서트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국물등의 침입이 더욱 어렵게 되므로 조작플레이트(260)를 사이에 둔 내부의 열량조절장치(230)로 액체가 도달하는 것이 저지된다.
한편, 커버(240)는 조작손잡이(220)의 수하벽(222)과 인서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커버(240)의 높이를 그다지 높게 하지 않더라도 국물등의 액체의 침입이 확실하게 저지된다. 따라서 조작장치가 높이방향으로 커지지 않는다. 또, 커버(240)는 그 옆으로도 커지지 않기 때문에 소형화할 수 있다. 도 11에서는, 커버(240)의 상단(240a)과 조작손잡이(220)의 오목부(224)의 축선방향으로의 간격이 약 4mm로 설정되어 있으며, 조작손잡이(220)를 누르더라도(축선방향으로 조작), 커버(240)의 상단(240a)이 오목부(224)에 접촉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조작손잡이(220)의 누름이나 해제 등의 축선방향으로의 조작에 있어서, 예를 들어 누르는 거리가 커버(240)의 상단(240a)과 조작손잡이(220)의 오목부(224)의 축선방향으로의 간격치수보다도 큰 경우에는, 다음에 도시하는 도 12의 구성이 바람직하다. 즉, 도 12에 있어서, 커버(340)는 폴리프로필렌(PP)등의 합성수지재료가 이용되며, 축선방향으로 신축하는 주름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2a는 조작손잡이(220)가 조작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며, 도 12b는 조작손잡이(220)를 누름동작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조작손잡이(220)를 누르면, 커버(340)의 상단(340a)과 조작손잡이(220)의 오목부(224)가 접촉하지만, 커버(340)가 용이하게 압축되어 줄어든다. 따라서, 조작손잡이(220)의 누름동작을 방해하지 않으며, 또한 누름동작에 관계없이 트인구멍부(262)에 국물등이 침입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2b를 조작손잡이(220)를 조작하기 전의 상태로 하고, 그리고 도 12a를 조작손잡이(220)를 조작한 경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도 12에 있어서도 조작플레이트(260)를 사이에 둔 내부의 열량조절장치(230)로 액체가 도달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주름형상의 커버(340)는 조작손잡이(220)의 내부측에 수용되게 인서트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장치가 소형화되며, 또 장치의 간소화와 이것에 의한 조립작업성의 향상에 의하여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이 예에서도, 오목부(224)가 형성되어 있지 않더라도 커버(340)의 상단(340a)이 조작손잡이(220)의 수하벽(222)의 하단보다 상측에 있도록 에워싸여있어도 된다.
이상, 본 발명에 관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조작손잡이(20,120)등을 조작함으로써 조작축(10,110)등을 통하여 열량조절장치(30,130)등의 제어수단을 조작하는 것이라면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청구항 1에 기재된 조작장치의 발명에 의하면, 트인구멍부의 가장자리부에 항시 맞닿아 이것을 실질상 피복하는 커버부재에 의해서, 조작손잡이측에서 유입되는 액체가 제어수단측으로 흐르거나 직접 제어수단에 도달한다는 문제점이 해소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조작장치의 발명에 의하면, 장치의 간소화와 이것에 의한 조립작업성이 향상되며, 이것에 의해서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청구항 3에 기재된 조작장치의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과 마찬가지로, 장치의 간소화와 이것에 의한 조립작업성이 향상되며, 이것에 의해서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조작장치의 발명에 의하면, 제어수단측으로의 액체유입이 저지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조작장치의 발명에 의하면, 원통체를 주름형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부가하여 장치의 간소화와 이것에 의한 조립작업성이 향상되며, 이것에 의해서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Claims (5)

  1. 트인구멍부를 가진 조작플레이트와,
    상기 트인구멍부에 끼워지는 축부재와,
    상기 축부재의 일단부에 설치된 조작손잡이와,
    상기 조작플레이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축부재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조작손잡이가 조작된 때에 소정의 기능을 절환 또는 조정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트인구멍부의 가장자리부에 맞닿음과 아울러 상기 트인구멍부를 실질상 피복하는 커버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축부재에 고정되며, 적어도 축선방향으로 변형가능한 가요성부재로 된 조작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조작손잡이에 고정되며, 적어도 축선방향으로 신축가능한 사복부재로 된 조작장치.
  4. 트인구멍부를 가진 조작플레이트와,
    상기 트인구멍부에 끼워지는 축부재와,
    상기 축부재의 일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축부재측에 오목부를 구비한 조작손잡이와,
    상기 조작플레이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축부재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조작손잡이가 조작된 때에 소정의 기능을 절환 또는 조정하는 제어수단과,
    하단부가 상기 트인구멍부보다도 큰 지름으로 되고, 상기 조작플레이트와 상기 조작손잡이와의 사이에 상기 하단부가 상기 트인구멍부의 둘레가장자리에 맞닿게 설치되는 원통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원통체는 축선방향으로 신축가능한 주름형상부재로 된 조작장치.
KR1019970046030A 1996-09-05 1997-09-05 조작장치 KR1002679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3497596A JP3490576B2 (ja) 1996-09-05 1996-09-05 操作装置
JP96-234975 1996-09-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4395A true KR19980024395A (ko) 1998-07-06
KR100267946B1 KR100267946B1 (ko) 2000-10-16

Family

ID=16979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6030A KR100267946B1 (ko) 1996-09-05 1997-09-05 조작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490576B2 (ko)
KR (1) KR100267946B1 (ko)
CN (3) CN1111773C (ko)
TW (1) TW34915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06434B3 (de) * 2009-01-22 2010-06-17 E.G.O. Elektro-Gerätebau GmbH Bedieneinrichtung für ein Elektrogerät und Bedienblende
JP6422393B2 (ja) * 2015-05-12 2018-11-14 リンナイ株式会社 ガスコンロ
JP6454610B2 (ja) * 2015-06-19 2019-01-16 リンナイ株式会社 ガスコンロ
JP6454609B2 (ja) * 2015-06-19 2019-01-16 リンナイ株式会社 ガスコンロ
JP6887905B2 (ja) * 2017-07-25 2021-06-16 株式会社ハーマン ガスコンロ
JP7048271B2 (ja) * 2017-11-21 2022-04-05 株式会社ハーマン ガスコンロ
JP6964529B2 (ja) * 2018-01-31 2021-11-10 リンナイ株式会社 調理装置
CN108843835A (zh) * 2018-08-16 2018-11-20 浙江帅康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灶具阀体防水结构及具有其的灶具
JP7129613B2 (ja) * 2019-02-21 2022-09-0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加熱調理器
JP7325362B2 (ja) * 2020-03-12 2023-08-14 三菱電機株式会社 加熱調理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5723Y2 (ko) * 1981-01-10 1987-04-21
JPS594904U (ja) * 1982-06-30 1984-01-1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ガス調理器
JP3001488U (ja) 1994-02-28 1994-08-30 富士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ン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00222C (zh) 2005-05-04
JP3490576B2 (ja) 2004-01-26
CN1111773C (zh) 2003-06-18
JPH1078142A (ja) 1998-03-24
CN1190628C (zh) 2005-02-23
TW349159B (en) 1999-01-01
CN1448656A (zh) 2003-10-15
KR100267946B1 (ko) 2000-10-16
CN1447069A (zh) 2003-10-08
CN1178336A (zh) 1998-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7946B1 (ko) 조작장치
US5678721A (en) Device with jaws for locking/unlocking a lid on a vessel
ES2341713T3 (es) Dispositivo integrado para hornillos de gas que incluye una llave de gas y un encendedor.
JPH0771647A (ja) 周囲温度補償を備えた熱作動弁
JPH07139649A (ja) ダイヤフラム弁構造
JP3519556B2 (ja) 操作装置
US4225841A (en) Temperature-dependent switch
EP0777245B1 (en) A device exerting a protective action against fluid seepages in electrical switches and the like
EP3933272B1 (en) Gas stove
US6748680B2 (en) Thermally controlled apparatus for actuating a valve opening, in particular a fluid valve
KR19980081159A (ko) 유체 유량 제어 밸브
EP3636969A1 (en) Valve
US6404321B1 (en) Actuator
JP6431391B2 (ja) ガスコンロ
ES2898956T3 (es) Junta de estanqueidad y placa de cocción de gas que comprende una junta
KR20040017147A (ko) 전기 압력밥솥의 뚜껑 패킹구조
JPH10318545A (ja) ガラス天板用保護リング
ITMI20040467U1 (it) Valvola di sicurezza con richiamo elastico della manopola
CN210748668U (zh) 烹饪器具及应用于其上的感温组件
US3711018A (en) Valve construction
JP4137556B2 (ja) 液封防振装置
JP3715264B2 (ja) ガス器具用の圧力調整器、振動膜部材及びダイヤフラム
JP4074606B2 (ja) コンロ用ガラス天板
JPH0729390Y2 (ja) ガス器具用圧力調整器
JP7048085B2 (ja) ビルトインコン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