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4384A - 투명형 홀로그램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투명형 홀로그램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4384A
KR19980024384A KR1019970045989A KR19970045989A KR19980024384A KR 19980024384 A KR19980024384 A KR 19980024384A KR 1019970045989 A KR1019970045989 A KR 1019970045989A KR 19970045989 A KR19970045989 A KR 19970045989A KR 19980024384 A KR19980024384 A KR 199800243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photosensitive member
diffused
diffuser
hologr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5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71742B1 (ko
Inventor
겐이치로 다카다
가쓰요시 니시이
사토시 고이케
가즈마사 구로가와
마사히로 시오자와
도모유키 간다
Original Assignee
오카베 히로무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카베 히로무,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filed Critical 오카베 히로무
Publication of KR19980024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43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1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17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2Holograms used as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 G03H1/0465Particular recording light; Beam shape or geometr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 G03H1/0402Recording geometries or arrangements
    • G03H2001/0413Recording geometries or arrangements for recording transmission hologra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 G03H1/0402Recording geometries or arrangements
    • G03H2001/043Non planar recording surface, e.g. curved surfac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26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produce multiple sub- holograms or to obtain images from them, e.g. multicolour technique
    • G03H2001/2605Arrangement of the sub-holograms, e.g. partial overlapping
    • G03H2001/261Arrangement of the sub-holograms, e.g. partial overlapping in optical contact
    • G03H2001/2615Arrangement of the sub-holograms, e.g. partial overlapping in optical contact in physical contact, i.e. layered hologra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2210/00Object characteristics
    • G03H2210/50Nature of the object
    • G03H2210/56Multiple objects, e.g. each in different environment
    • G03H2210/562Holographic object, i.e. a combination of an object and holobjec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2223/00Optical components
    • G03H2223/14Diffuser, e.g. lens array, random phase mask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2223/00Optical components
    • G03H2223/18Pris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olo Graphy (AREA)
  • Diffracting Gratings Or Hologram Optical Elements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넓은 가시영역을 가지는 투명형 홀로그램 스크린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감응부재(50)와 기준광의 광원은 광확산체의 동일측에 설치된다. 대물광의 광원은 광확산체(52)의 타측에 설치되어, 광이 광확산체(52)를 통과하여, 대물광(36)이 생성된다. 기준광의 광원으로부터의 광은 광확산체(52) 또는 광확산체의 전면에 설치되는 반거울 또는 투명한 반사성 홀로그램소자와 같은 부재에서 반사된다.

Description

투명형 홀로그램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
본 발명은 광투명형 홀로그램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재생동안 가시영역을 증가시킬 수 있는 홀로그램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홀로그램 스크린은 선행기술에서 공지되어 있는데, 지시기(indicator)로부터 방출된 광이 홀로그램이 형성되는 투명 스크린상에 조사되어, 기록된 영상이 스크린상에 나타나게 된다. 홀로그램의 투명성은 스크린을 통해 보는 사람이 배경을 볼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이러한 유형의 홀로그램은, 접수원이 투명 스크린을 통해 고객 또는 환자를 보는 동안 고객 또는 환자에 대한 정보가 스크린에 투사되도록 은행 또는 병원의 고객 카운터에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홀로그램의 장치는 자동차 상인에 사용될 수 있는데, 광고 목적을 우한 재생영상을 고객이 볼 수 있다.
게다가, 응용은 자동차 헤드-업 디스플레이에 사용될 수 있는데, 운전자는 자동차 앞유리의 전방에서 차량속도와 같은 다양한 정보의 홀로그램영상을 볼 수 있다.
그러한 홀로그램 스크린으로서 광투명형이 공지되었는데, 기준광이 투사기로부터 나오도록 투사기는 홀로그램 스크린의 배면이 설치된다. 실제영상이 홀로그램 스크린에 생성되는데, 사람이 영상을 보는 동안 회절광이 스크린에서부터 회절된다.
그러한 홀로그램 스크린을 만들기 위하여, 기준광(기준파)으로서 확산되지 않은 광과 협조하는 대물광(신호파)으로서 확산된 광을 얻기 위하여 광이 서리(frosted) 유리플레이트와 같은 확산광을 통과해, 간섭 무늬(fringe)가 광감응부재에 생성되는 방법이 공지되었다.
물론, 홀로그램 스크린이 가능한 큰 가시영역을 가져 관측자가 다양한 위치에서 홀로그램 스크린을 볼 수 있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홀로그램 스크린의 가시영역을 크게 하기 위하여, 광확산체의 크기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광감응부재에 인접한 위체 광확산체를 위치시킴으로써 광감응부재에 도입되는 대물광의 전개각(expansion angle)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 대물광의 증가된 입사각은 광확산체에 의해 기준광이 차단되게 하여 광감응부재가 기준광으로부터 광을 받지못하게 한다는 사실 때문에, 증가된 가시범위를 가지는 투명형 홀로그램 스크린의 생성은 어렵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서 설명된 선행기술의 난점을 극복할 수 있는 투명형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위한 홀로그램 스크린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증가된 가시영역을 얻을 수 있는 투명형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위한 홀로그램 스크린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반적인 특징에 따라, 확산광 또는 확산되지 않은 광에 의해 조사되는 광감응부재의 일측에서 생성되는 홀로그램과 같은 투명형 홀로그램 스크린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는데, 방법은; 광감응부재의 일측에서 광확산체를 위치시키는 단계; 제1광을 확산체를 통과시켜, 상기 대물광으로서 광감응부재에 도입되는 확산된 광을 생성하기 위한 제1광을 도입시키는 단계; 상기 기준광으로서 광감응부재에 대한 발산광과 같은 제2광을 도입시키는 단계; 및 광감응부재에 대한 대물광의 바람직한 투사각을 유지하면서 제2광이 광확산체에 의해 차단되지 않도록 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발명에 따라, 확산광 및 확산되지 않은 광으로 조사되는 광감응부재의 일측에서 생성되는 홀로그램과 같은 투명형 홀로그램 스크린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는데, 방법은; 광확산체의 일측에 기준광의 제1광로의 광감응부재를 위치시키는 한편, 광확산체의 타측에 대물광의 제2광로를 위치시키는 단계; 광을 광확산체로 통과시켜, 상기 대물광으로서 확산된 광을 생성하도록 광을 제2광로를 통해 도입시키는 단계; 및 상기 기준광으로 반사광을 제공하기 위하여 광이 광확산체에서 정반사되게 되도록 광을 제1광로를 통해 도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써, 증가된 가시영역을 가지는 투명형 디스플레이 시스템용 홀로그램 스크린이 생성된다.
제1발명(도 4)에 따라, 광(351)은 산란됨이 없어 광확산체(52)에서 부분적으로 정반사되게 되어, 반산됨 광은 기준광(35)이 되는 한편, 확산된 광은 광확산체를 통과해 광확산체에서 산란된 광(351)의 잔여부분과 결합하여 대물광(36)을 구성한다.
제1발명에서, 대물광의 광원(렌즈 516)과 기준광의 광원(렌즈 515)은 광확산체(52)의 양측에 설치된다. 따라서, 전체 표면에 따라, 기준광에 의한 광감응부재(50)의 조사를 유지하면서 광감응부재에 도입되는 확산광의 전개각(도 2에서 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달리 말하면, 기준광의 광로가 차단되지 않게 하면서, 대물광의 전개각을 증가시키기 위해 광확산체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광확산체(52)는 기준광의 광로차단이 선행기술장치보다 덜 되도록 하면서, 대물광(36)의 전개각을 증가시키기 위한 광감응부재(50) 근처에 위치될 수 있다.
제2발명에 따라, 확산광과 확산되지 않은 광에 의해 조사되는 광감응부재의 일측에서 생성되는 홀로그램과 같은 투명형 홀로그램 스크린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는데, 방법은; 기준광의 제1광로와 광감응부재를 광확산체의 일측에 위치시키는 한편, 대물광의 제2광로를 광확산체의 타측에 위치시키는 단계; 광확산체과 광감응부재 사이에 반거울을 위치시키는 단계; 광을 반거울 뿐만 아니라 광확산체를 통과하게하여 상기 대물광으로서 확산된 광을 생성하기 위한 광을 제2광로를 통해 도입시키는 단계; 및 상기 기준광으로서 반사광을 제공하기 위해 상류측에서부터 온 광이 반거울에서 반사되도록 광을 제1광로를 통해 도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발명(도 5)에 따라, 제1발명과 비슷하게, 대물광의 광원과 기준광의 광원은 광확산체의 양측에 설치된다. 따라서, 전체 표면을 따라 기준광에 의한 광감응부재의 조사를 유지하면서, 광감응부재로 도입되는 대물광의 전개각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되어 증가된 가시영역을 가지는 홀로그램 스크린이 생성된다.
게다가, 광확산체(52)와 광감응부재(50) 사이에 반거울(11)을 설치하는 것은 정반사되는 광의 양을 증가시켜, 이에 의해 기준광의 세기가 증가된다. 한편, 대물광의 세기는, 광이 반거울(11)에서 반사되기 때문에 감소되게 된다. 따라서, 반거울의 광학적 특성을 조절하게 되면, 대물광과 기준광 간에 광 세기비율이 조절될 수 있다.
제3발명에서, 확산광과 확산되지 않은 광에 의해 조사되는 광감응부재의 일측에서 생성되는 홀로그램으로서 투명형 홀로그램 스크린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는데, 상기 방법은; 기준광의 제1광로와 광감응부재를 광확산체의 일측에 위치시키는 한편, 대물광의 제2광로를 광확산체의 타측에 위치시키는 단계; 확산되지 않은 광을 재생시키기 위해 광확산체과 광감응부재 사이에 투명한 리프만형(Lippmann type) 홀로그램소자를 위치시키는 단계; 광을 리프만형 홀로그램소자 뿐만 아니라 광확산로 통과시켜, 상기 대물광으로서 확산광을 발생시키도록 광을 제2광로를 통해 도입시키는 단계; 및 상기 기준광으로서 반사광을 제공하기 위해 상류측에서부터 온 광이 상기 리프만형 홀로그램소자에서 반사되게 되도록 광을 제1광로를 통해 도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3발명(도 6)에서, 제1발명과 비슷하게, 전체 표면을 따라 기준광으로 광감응부재를 조사하면서 광감응부재에 대한 대물광의 전개각이 증가된다. 게다가, 리프만형 홀로그램소자(12)가 광확산체(52)와 광감응부재(50) 사이에 위치되어, 정반사되는 광의 증가하게 되어, 이에 의해 기준광의 세기가 증가하게 된다. 게다가, 리프만형 홀로그램(12)의 특성을 조절하면, 기준광과 대물광 사이의 광세기비가 조절되게 된다.
제4발명에 따라, 확산광과 확산되지 않은 광에 의해 조사되는 광감응부재의 일측에서 생성되는 홀로그램과 같은 투명형 홀로그램 스크린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는데, 방법은; 기준광과 대물광을 위한 광로에 투명한 광확산체를 위치시키는 단계; 광이 상기 광확산체를 통과하게 하여, 상기 대물광으로서 확산된 광을 발생시키도록 광을 광로를 통해 도입시키는 단계; 및 광이 상기 광확산체를 통과하게 하여, 상기 기준광으로서 확산되지 않은 광을 생성시키도록 광을 광로를 통해 도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4발명(도 8)에서, 대물광의 광원(렌즈 515)과 기준광의 광원(렌즈 516)은 광확산체(53)의 동일한 측에 위치되어, 광들은 광확산체를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전체 표면에 걸쳐 기준광(53)으로 광감응부재(50)를 조사하여 대물광(36)의 전개각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증가된 가시영역을 가지는 홀로그램 스크린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제5실시예에 따라, 확산광과 확산되지 않은 광으로 조사되는 광감응부재의 일측에서 생성되는 홀로그램과 같은 투명형 홀로그램 스크린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는데, 방법은; 규정된 투사각의 범위내에 있는 광만이 확산되기 하도록하는 지향성을 가진 유형인 투명한 광확산체를 기준광과 대물광을 위한 광로내에 위치시키는 단계;
광이 상기 광확산체를 통과하도록하여, 상기 대물광으로서 확산된 광이 생성되도록 투사각의 범위내 각도에서 광로를 통해 광을 도입시키는 단계; 및 광이 상기 광확산체를 통과하도록하여, 상기 기준광으로서 확산되지 않은 광이 생성되도록 투사각의 범위내 밖의 각도에서 광로를 통해 광을 도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5발명에서, 제4발명과 유사한, 폭 넓은 가시영역과 같은 장점이 획득된다. 게다가, 제5발명에서, 대물광과 기준광의 광원들은 서로 분리되어 있어서, 기준광과 대물광 간의 광 세기비를 쉽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제6발명에 따라서, 확산광과 확산되지 않은 광으로 조사되는 광감응부재의 일측에서 생성되는 홀로그램과 같은 투명형 홀로그램 스크린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는데, 방법은; 홀로그램을 생성하기 위해 대물광으로서의 확산광과 기준광으로서의 발산광으로 일측으로부터 광감응 플레이트를 조사하고, 플레이트를 기준광과 대물광의 투사방향에 대한 광로를 향해 돌출된 만곡형태로 형성시킴으로써 생성되는, 광확산체가 기록되는 프레넬형 홀로그램소자를 기준광과 대물광을 위한 광로에 위치시키는 단계; 만곡형태의 곡률 중심측에 광감응소자를 위치시키는 단계; 광이 상기 프레넬형 홀로그램소자를 통과하도록하여, 상기 대물광으로서 확산된 광이 생성되도록 광을 광로를 통해 도입시키는 단계; 및 광이 상기 프레넬형 홀로그램소자를 통과하도록하여, 상기 기준광으로서 확산되지 않은 광이 생성되도록 광을 광로를 통해 도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6발명(도 10)에서, 프레넬형 홀로그램소자(54)에는 기준광과 대물광의 광원을 향해 돌출되는 볼록표면이 형성되는 반면, 광감응부재(50)는 만곡의 곡률 중심측에 설치된다. 따라서, 대물광으로서 홀로그램소자(54)의 주변부에서부터 온 확산광은 광감응부재(50)에 비스듬히 도입되어, 이에 의해 대물광의 전객각이 증가하게 된다. 즉, 평면형의 홀로그램소자(54)는 확산광이 만곡의 중심을 향해 가게하여, 이에 의해 대물광의 전개각이 증가되고, 또한 증가된 가시영역을 가지는 홀로그램 스크린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제7발명에 따라, 확산광과 확산되지 않은 광으로 조사되는 광감응부재의 일측에서 생성되는 홀로그램과 같은 투명형 홀로그램 스크린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는데, 방법은; 홀로그램을 생성하기 위해 각각 기준광과 대물광으로 양측에서부터 광감응플레이트를 조사하고 그리고, 그런 다음 대물광의 투사방향에 대한 광로를 향해 돌출된 만곡형태로 플레이트를 형성시킴으로써 생성되는, 광확산체가 위에 기록되는 리프만형 홀로그램소자를 기준광에 대한 광로에 위치시키는 단계; 기준광에 대한 광로가 위치되는 측에 반대인, 리프만형 홀로그램소자의 측에 대물광에 대한 광로를 위치시키는 한편, 만곡형의 곡률 중심측에 광감응부재를 위치시키는 단계; 광이 리프만형 홀로그램소자에 의해 회절되고 반사되도록 하여, 광감응부재가 조사되게 되는 상기 대물광으로서의 분산광이 생성되도록 광을 광로를 통해 도입시키는 단계; 및 광이 리프만형 홀로그램소자를 통과하도록하여, 광감응부재가 조사되게 되는 상기 기준광으로서 분산되지 않은 광이 생성되도록 광을 광로를 통해 도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7발명(도 12)은 제6발명과 비슷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리프만형 홀로그램소자(58)의 대물광의 광원의 위치가 프레넬형 홀로그램소자와 상이하다. 그러나, 광감응부재에 대한 기준 및 대물광의 도입에 대해 비슷한 구성이 이루어져, 실질적으로 기능은 변경되지 않는다.
제8발명에 따른, 확산광과 확산되지 않은 광으로 조사되는 광감응부재의 일측에서 생성되는 홀로그램과 같은 투명형 홀로그램 스크린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는데, 방법은; 광확산체가 안에 기록되고 또한 광감응부재를 향하는, 홀로그램 재생을 위한 투사표면을 가지며, 또한 제2홀로그램소자의 위의 광원에 인접한 측에 위치되는 리프만형 홀로그램소자인 제1홀로그램소자와, 평면거울이 기록되고 또한 광감응부재에 인접한 측에 위치되지만 광감응부재에 대해 반대편인 홀로그램재생을 위한 투사표면을 가지는 리프만형 홀로그램소자인 제2홀로그램소자를 광조사를 위한 광로에 위치시키는 단계; 및 기준광을 구성하기 위해 확산됨이 없이 광이 부분적으로 제1 및 제2홀로그램을 통과하고, 제1홀로그램소자의 투과후 광은 부분적으로 제2홀로그램소자에서 제1홀로그램소자로 회절되고 반사되어, 여기서 광은 더 회절되어 반사광을 형성하여 대물광이 되게되어, 이에 의해 단일 광빔으로 홀로그램 스크린을 생성하도록 제1 및 제2홀로그램을 통해 광을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8발명(도 14)에서, 광확산체로서의 홀로그램소자(55)의 크기를 증가시키게 되면, 대물광의 전개각이 쉽게 증가될 수 있게 한다. 게다가, 또한 광감응부재(50)에 매우 밀접하게 광확산체(55)를 위치시키면, 대물광의 전개각이 증가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증가된 가시영역을 가지는 홀로그램 스크린의 생성이 가능해진다.
제9발명에 따라, 광확산체를 통과하는 확산광과 확산되지 않은 광으로 조사되는 광감응부재의 일측에서 생성되는 홀로그램과 같은 투명형 홀로그램 스크린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는데, 방법은; 광이 광확산체를 통과하도록하여, 대물광으로서 확산광을 생성시키도록 광을 도입하는 단계; 광이 광확산체를 통과하지 않도록 광을 광감응부재에 직접 도입시키는 단계; 및 기준광이 광감응부재이 도입되는 측의 광확산체의 단부에 위치되고, 광감응부재의 광투사면에 대한 법선에 대해 기준광이 형성되는 각의 대각에서 도입되는 광이 광감응부재의 방향으로 반사되도록 상기 광확산체의 단부에서 광감응부재를 향해 연장하는 반사성 광학적소자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광확산체를 통과한 확산광의 일부는 반사성 광학적소자에서 부분적으로 반사되게 되어, 반사된 광은 광감응부재로 가게 된다.
제9발명(도 16)에서, 반사성 광학적소자(14)는 광확산체(54)의 한 단부에서 광감응부재(50)로 돌출되어, 광확산체를 통과한 확산광은 광감응부재를 향해 반사된다. 게다가, 대물광을 생성시키기 위한 동작은 광확산체(52)의 일단이 연장하는 경우와 동일하다. 따라서, 기준광이 광확산체에 의해 차단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대물광의 전개각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증가된 가시영역을 가지는 홀로그램 스크린이 획득된다.
제10발명에서, 상기 반사성 광학적소자는 광이 이를 통해 부분적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부분적으로 투명하게 만들어지고, 광확산체를 통과한 확산광의 일부는 반사성 광학적소자에서 반사되게 된 다음, 광감응부재로 도입되게 되는 한편, 반사성 광학적소자를 통과한 기준광의 광원으로부터 온 광은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을 광감응부재에 도입된다.
제10발명에서, 반사성 광학적소자는 기준광의 구성 자유도를 증가시키는 투사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따라서, 대물광의 전개각이 증가될 수 있어서, 이에 의해 증가된 가시영역을 가지는 홀로그램 스크린을 용이하게 생성할 수 있다.
제11발명에 따라, 광확산체를 통과한 확산광과 확산되지 않은 광으로 조사되는 광감응부재의 일측에서 생성되는 홀로그램과 같은 투명형 홀로그램 스크린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는데, 방법은; 광이 광확산체를 통과하도록하여, 대물광으로서 확산광이 생성되도록 광을 도입시키는 단계; 광확산체를 통과하지 않도록 하면서, 기준광으로서 발산광을 광감응부재에 직접 도입시키는 단계; 및 광감응부재의 투사각을 증가시키도록, 광감응부재의 앞쪽 표면에 볼록렌즈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1발명(도 41)에서, 광확산체의 크기가 증가하거나 또는 광확산체가 매우 밀접하게 위치될 때 획득되는 효과와 동일한 효과가 획득된다. 따라서, 증가된 가시영역을 가지는 홀로그램 스크린이 생성된다. 이 발명에서 기준광은 보통 볼록렌즈(66)를 통과한다. 따라서, 기준광의 발산각의 증가를 보상하기 위해 몇몇 조치가 필요하다.
제12발명에 따라서, 광확산체를 통과한 확산광과 확산되지 않은 광으로 조사되는 광감응부재의 일측에서 생성되는 홀로그램과 같은 투명형 홀로그램 스크린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는데, 방법은; 광이 광확산체를 통과하도록하여, 대물광으로서 확산광이 생성되도록 광을 도입시키는 단계; 광확산체를 통과하지 않도록 하면서, 기준광으로서의 발산광을 직접 광감응부재에 도입시키는 단계; 및 대물렌즈를 통과한 발산광에 의해 대물광이 형성되도록, 광확산체의 작은 개구에 대물렌즈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2발명(도 42)에서, 기준광의 광원은 빔으로서 형성되어, 발산 기준광을 생성하기 위해 렌즈(67)를 통과한다. 따라서, 기준광은 사실상 광확산체에 의해 약화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기준광의 손실이 감소되고 그리고 광로의 설계가 용이하게 되고 또한 충분한 기준광을 쉽게 제공할 수 있다. 특히, 기준광의 발산점이 광감응부재에 가까이 위치되는 경우에, 즉 스크린의 투사광의 광원이 스크린에 가까이 위치되는 경우에, 광확산체를 광감응부재에 보다 가까이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증가된 가시영역을 가지는 홀로그램 스크린이 쉽게 생성될 수 있다.
제13발명에 따라, 광확산체를 통과한 확산광과 확산되지 않은 광으로 조사되는 광감응부재의 일측에서 생성되는 홀로그램과 같은 투명형 홀로그램 스크린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는데, 방법은; 대물광으로서 확산광을 생성시키기 위하여 광이 광확산체를 통과하도록 광을 도입하는 단계; 광확산체를 통과하지 않도록 하면서, 기준광으로서 발산광을 직접 광감응부재에 도입시키는 단계; 및 회절광의 배출면의 법선에 대한 회절광의 각도가 유입면의 법선에 대한 조사광의 각도 보다 작게 되도록, 광감응부재의 전면에 프레넬형 홀로그램소자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3발명(도 32)에서, 프레넬형 홀로그램소자(622)가 제공되어, 투사 발산광(351)은 발산광(352)으로 회절된다. 따라서, 기준광의 투사각(βi)이 증가하게 되어, 이에 의해 광확산체의 크기가 증가하여, 홀로그램 스크린의 가시영역이 증가하게 된다.
제14발명에 따라, 광확산체를 통과한 확산광과 확산되지 않은 광으로 조사되는 광감응부재의 일측에서 생성되는 홀로그램과 같은 투명형 홀로그램 스크린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는데, 방법은; 대물광으로 확산광을 생성시키기 위하여 광이 광확산체를 통과하도록 광을 도입시키는 단계; 광확산체를 통과하지 않도록 하면서, 기준광으로서 발산광을 직접 광감응부재에 도입시키는 단계; 및 기준광이 광감응부재에 도입되는 측에 인접한 광확산체의 단부에 인접한 위치에 프레넬형 홀로그램소자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넬형 홀로그램소자는 광확산체에서 광감응부재로 연장하고, 프레넬형 홀로그램소자의 구성은, 프레넬형 홀로그램소자에 도입된 기준광이 광감응부재를 향해 회절되게 되도록 한다.
제14발명(도 33)에서, 프레넬형 홀로그램소자(624)의 특성의 조절에 의해, 홀로그램 재생동안의 개구각 또는 투사방향 뿐만 아니라 홀로그램 형성동안의 기준광의 개구각 또는 투사각이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해, 대물광을 위한 광학적 시스템의 세팅 자유도가 증가하게 되어, 이에 의해 대물광의 투사각이 증가하게 되어, 홀로그램 스크린의 가시영역이 증가하게 된다.
제15발명에 따라, 광확산체를 통과한 확산광과 확산되지 않은 광으로 조사되는 광감응부재이 전측에서 생성되는 홀로그램과 같은 투명형 홀로그램 스크린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는데, 방법은; 대물광으로서 확산광을 생성시키기 위하여, 광이 광확산체를 통과하도록 광을 도입시키는 단계; 광확산체를 통과하지 않도록 하면서, 발산광을 직접 광감응부재에 도입시키는 단계; 및 상이한 방향으로부터 온 제2투사광이 확산되는 동안 발산광의 방향으로 가는 제1광이 일직선으로 통과하게 하는 지향성의 광확산체가 기록되는 프레넬형 홀로그램소자를 광감응부재의 전면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기준광은 프레넬형 홀로그램소자를 통과한 발산광으로 구성되고; 대물광은 광확산체를 통과한 다음 프레넬형 홀로그램소자를 통과하는 확산광인 제1대물광과 광확산체를 통과하여 프레넬형 홀로그램소자에서 회절되는 확산광인 제2대물광으로 구성된다.
제15발명(도 34)에서, 확산광은 광확산체(52)에 의해 생성되는 프레넬형 홀로그램소자(63)를 통과하는 제1확산광(제1대물광)과 프레넬형 홀로그램소자(63)에 의해 생성되는 제2확산광(제2대물광)으로 구성된다. 제2대물광의 제공으로 인해, 대물광의 투사각 증가와 동일한 기능이 획득된다. 즉, 광확산체의 크기가 공간적으로 증가될 때 획득되는 것과 동등한 효과가 획득된다. 따라서, 증가된 가시영역을 가지는 홀로그램 스크린이 획득될 수 있다.
제16발명에 따라, 광확산체를 통과한 확산광과 확산되지 않은 광으로 조사되는 광감응부재의 일측에서 생성되는 홀로그램과 같은 투명형 홀로그램 스크린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는데, 방법은; 대물광으로서 확산광을 생성시키기 위하여 광이 광확산체를 통과하도록 광을 도입시키는 단계; 광확산체를 통과하지 않도록 하면서, 발산광을 직접 광감응부재에 도입시키는 단계; 및 기준광의 광원과 대물광의 광원 사이에 프리즘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프리즘은, 광확산체를 통과한 확산광의 방향이 프리즘의 대응하는 경계에서 대물광으로서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경되는 한편, 발산광은 프리즘의 대응하는 경계에서 기준광으로서 바람직한 방향으로 편향되도록 반사 또는 투과를 위한 바람직한 특성의 경계를 가진다.
제16발명(도 36)에서, 프리즘(65)의 사용은 광로 및 광세기가 적절히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프리즘의 정점각 또는 프리즘의 경계간의 각을 변경시킴으로써, 빛 편향의 바람직한 방황이 획득된다. 게다가, 경계에서 투과도 뿐만 아니라 반사도를 조절함으로써, 광감응부재에 대한 광의 세기가 변경될 수 있다. 즉, 프리즘의 형상과 소망된 경계의 코딩은 광의 방향과 세기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광감응부재에 대한 기준광의 방향의 자유도는 증가되어, 광감응부재 상에 대물광의 투사각은 증가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증가된 가시영역을 가지는 홀로그램 스크린이 쉽게 생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램 스크린을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개략도.
도 2는 선행기술 투명형 홀로그램 스크린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
도 3은 도 2의 부분적인 도면과 빛 확산체에 의한 기준광의 차단을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투명형 홀로그램 스크린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투명형 홀로그램 스크린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는 부분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투명형 홀로그램을 스크린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는 부분개략도.
도 7A 및 7B는 목적빛 또는 기준광의 발산과 강도의 분포를 각각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투명형 홀로그램 스크린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는 부분개략도.
도 9는 도 8에 사용된 홀로그램의 노출을 위한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투명형 홀로그램 스크린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는 부분개략도.
도 11은 도 10에 사용된 홀로그램의 노출을 위한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투명형 홀로그램 스크린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는 부분개략도.
도 13은 도 12에 사용된 홀로그램의 노출을 위한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투명형 홀로그램 스크린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는 부분개략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투명형 홀로그램 스크린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는 부분개략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투명형 홀로그램 스크린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는 부분개략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따른 투명형 홀로그램 스크린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는 부분개략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에 따른 투명형 홀로그램 스크린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는 부분개략도.
도 19는 도 18의 방법으로 생성된 기본적인 홀로그램을 사용하는 홀로그램 스크린에 의해 재생된 영상을 설명하는 도면.
도 20은 도 18의 방법으로 생성된 기본적인 홀로그램의 집합에 따른 스크린의 영상을 설명하는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제13실시예에 따른 투명형 홀로그램 스크린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는 부분개략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14실시예에 따른 투명형 홀로그램 스크린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는 부분개략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15실시예에 따른 투명형 홀로그램 스크린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는 부분개략도.
도 24는 본 발명의 제16실시예에 따른 투명형 홀로그램 스크린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는 부분개략도.
도 25는 본 발명의 제17실시예에 따른 투명형 홀로그램 스크린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는 부분개략도.
도 26은 본 발명의 제18실시예에 따른 투명형 홀로그램 스크린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는 부분개략도.
도 27은 본 발명의 제19실시예에 따른 투명형 홀로그램 스크린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는 부분개략도.
도 28은 본 발명의 제20실시예에 따른 투명형 홀로그램 스크린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는 부분개략도.
도 29는 본 발명의 제20실시예에 따른 투명형 홀로그램 스크린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는 부분개략도.
도 30은 본 발명의 제21실시예에 따른 투명형 홀로그램 스크린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는 부분개략도.
도 31은 본 발명의 제22실시예에 따른 투명형 홀로그램 스크린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는 부분개략도.
도 32는 본 발명의 제23실시예에 따른 투명형 홀로그램 스크린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는 부분개략도.
도 33은 본 발명의 제24실시예에 따른 투명형 홀로그램 스크린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는 부분개략도.
도 34는 본 발명의 제25실시예에 따른 투명형 홀로그램 스크린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는 부분개략도.
도 35는 도 34의 프레넬형 홀로그램의 노출을 위한 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
도 36은 본 발명의 제26실시예에 따른 투명형 홀로그램 스크린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는 부분개략도.
도 37은 본 발명의 제27실시예에 따른 투명형 홀로그램 스크린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는 부분개략도.
도 38은 본 발명의 제28실시예에 따른 투명형 홀로그램 스크린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는 부분개략도.
도 39는 도 38의 제28실시예의 프리즘에서 대물광의 광로를 설명하는 개략도.
도 40은 도 38의 제28실시예에서 제2대물광을 생성하기 위한 거울층으로 반사된 빛의 광로를 설명하는 개략도.
도 41은 본 발명의 제29실시예에 따른 투명형 홀로그램 스크린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는 부분개략도.
도 42는 본 발명의 제30실시예에 따른 투명형 홀로그램 스크린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는 부분개략도.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즉, 참조번호 8은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생성되게 되는 투명형 홀로그램 스크린이다. 투사기(92)가 홀로그램 스크린(9)의 뒤쪽에 설치되어, 투사기(92)로부터 기준광(31)이 방출된다. 회절광(32)이 회절되는 홀로그램 스크린(8)에서 실영상(81)이 생성되고, 관측자(85)는 실영상을 보게 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사용되는 투명형 홀로그램 스크린의 생성을 위한 통상적인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참조번호 51은 레이저장치와 간섭성 광원을 나타낸다. 레이저 광원(51)으로부터 오는 간섭광(34)은 거울(511)에서 방향을 변경한 후에 반거울(512)로 도입되고, 반거울에서 광은 빔(341 및 342)으로 분할된다. 제1빔(341)은 렌지(516)에서 발산된 후에, 광확산체(52)를 통과하여, 광감응부재(50)에 조사될 때의 대물광(36)으로서 확산된 광을 제공한다. 다른 한편, 반거울(512)에서 분할된 제2광(342)은 거울(513 및 514)에서 방향전환을 한 후에, 기준광(35)으로서 광감응부재(50)에 조사된다. 기준광(35)과 대물광(36) 사이에 광간섭이 광감응부재(50)에서 발생하여, 이에 의해 부재(50)에서 간섭무늬가 생성된다. 따라서, 도 1의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홀로그램 스크린(8)이 생성된다. 첨부도면에서, 일련의 물결 모양의 선은 확산광(파)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가시영역의 크기는 관측자(85)가 상이한 위치에서부터 홀로그램 스크린(8) 상의 영상(81)을 볼 수 있는 스크린의 영역으로서 규정된다. 즉, 회절광(32)을 볼 수 있는 동안 관측자가 이동할 수 있는 거리(R)로서 규정된다. 증가된 가시영역을 얻기 위하여, 광확산체(52)의 크기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광감응부재(50)에 인접한 위치에 광확산체를 위치시킴으로써 광감응부재(50)에 도입되는 대물광의 전개각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즉, 스크린의 가시영역의 증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감응부재(50)의 수직단에서의 법선(n)에 대한, 광감응부재(50)로 도입되는 대물광(36)의 외측 변부선(361)의 각도(α)를 증가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노출과정 동안, 대물광의 전개각(α)의 증가로 인해 가시영역의 증가가 이루어져, 재생과정 동안 투사기로부터 단일 광이 조사될 때 관측자는 스크린에서 확산된 광을 볼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증가된 가시영역을 가지는, 즉 증가된 각도(α)의 값을 가지는 투명형 홀로그램 스크린의 생성은 다음 이유 때문에 어렵다. 즉, 투명형 홀로그램 스크린의 노출을 위한 프로세스에서, 기준광(35)과 대물광(36)들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감응부재(50)에 동일한 방향으로 도입된다. 각도(α)의 값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광확산체가 광감응부재(50)에 인접한 위치되거나 또는 광확산체(52)의 폭(W)이 증가되게 되는, 해결책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해결책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광(35)이 광확산체(52)에 의해 부분적으로 차단되게 되어, 광감응부재(50)의 저부가 기준광에 의해 조사되지 못하게 되는, 결함이 있다. 광이 광확산체를 통과해 투과하는 경우에도, 투관된 광이 확산되하게 되어, 광은 기준광으로서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된다.
[제1실시예]
지금부터,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상기 언급된 난점들을 극복할 수 있는 홀로그램 스크린 생성을 위한 방법이 설명된다. 도 4에서, 홀로그램을 생성하기 위하여, 광감응부재(50)의 일측이 확산되지 않은 광 뿐만 아니라 확산광에 의해 조사된다. 광확산체(52)는 광감응부재(50)와 기준광(35)을 위한 광원 사이에 설치된다. 따라서, 광원으로부터 온 광은 광확산체(55)를 통과하여, 도 1에서 파로 표시되는 확산광이 생성되어 대물광(신호파)을 구성한다. 다른 한편, 렌즈(515)로부터 방출된 광은 광확산체(522)에서 정반사되어, 기준광(기준파)이 형성된다. 따라서, 대물광(36)과 기준광(35) 사이에서 간섭이 발생하여, 광감응부재(50)에서 간섭무늬가 발생되게 된다.
이 실시예에서, 광감응부재(50)는 광감응 작용체로서 광-중합체를 포함한다. 광-중합체를 포함하는 광감응소자 대신에, 암모늄 중크롬산염 젤라틴 또는 염화은을 포함하는 광감응 작용체가 사용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실시예에서, 광확산소자(52)가 등급 #1000의 양면 서리유리로 구성된다는 것이 설명된다. 그러나, 선택적으로, 확산소자(52)는 렌즈모양의 유리 또는 오팔유리 또는 다른 종류의 서리유리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해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홀로그램 스크린에서 가시영역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즉 관측자가 영상(81)을 볼 수 있는 가동영역(R) 또는 각도(α)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홀로그램 스크린(8)으로부터 회절되는 확산광(회절광(32))의 범위가 확장되는 것이 필수적이다. 확대된 범위의 회절광(32)을 얻기 위하여, 광감응부재(50)의 노출동안 대물광(36)의 전개각(θ)이 증가되어야 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를 이루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서, 기준광(35)의 광원으로서 렌즈(515)로부터 발산되는 광(351)중에서 광(351)의 일부는 광확산체(52)에서 산란되지 않고 정반사되게 되어, 반사된 광은 기준광(35)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렌즈(516)으로부터 발산되고 또한 광확산체(52)를 통과함으로써 확산되는 광뿐만 아니라 렌즈(515)로부터 방출되고 또한 광확산체(52)에 의해 반사되고 산란된 광은 대물광(36)을 구성한다.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대물광(36)의 광워능로서 기능하는 렌즈(516)와 기준광(35)의 광원으로서 기능하는 렌즈(515)는 광확산체(52)의 양측에 설치된다. 이 구성 때문에, 광감응부재(50)로 도입되는 대물광(36)의 전개각(α)의 값이 증가되는 경우에라도, 광감응부재(50)의 전체 표면이 기준광(35)으로 조사되게 되는 구성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증가된 가시영역을 가지는 홀로그램 스크린(8)이 쉽게 생성될 수 있다.
게다가, 이 실시예에 따라, 대물광(36)은 광(351)이 광확산체(52)에서 반사되고 산란될 때 발생되는 광에 의해 부분적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재생 프로세스동안 회절광(32)의 강도 증가가 이루어져, 스크린에서 생성된 영상(81)의 광도가 증가된다.
[제2실시예]
도 5에서, 반투명 거울(11)의 광확산체(52)에 제공된다는 점에서, 도 1에 도시된 제1실시예와는 상이한 제2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즉, 제2실시예에서, 광확산체(52)의 일측에 광감응부재(50)와 그리고 기준광(35)의 광원이 렌즈(515)가 설치된다. 게다가, 반투명 유리(11)는 광감응부재(50)를 향하는 광확산체(52)의 표면에 설치된다.
도 5의 제2실시예의 동작에서, 대물광(36)은 이와 번거울(11)을 통과한 확산광으로 구성되는 반면, 기준광(35)은 광원에서 방출되어 반거울(11)에서 정반사되는 광(351)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제1실시예와 같이, 대물광(36)의 광원(렌즈 516)과 기준광(35)의 광원(렌즈 515)는 광확산체(52)의 양측에 설치된다. 따라서, 광감응부재(50)에 도입되는 대물광(36)의 전개각(α)(도 2)을 증가시키기 위한 구성에 상관없이, 광감응부재(50)의 전체 표면은 기준광(35)으로 용이하게 조사된다. 따라서, 증가된 가시영역을 가지는 홀로그램 스크린이 획득된다.
게다가, 이 실시예에서, 기준광(35)의 표면에 반거울(11)을 설치하는 것은 반사된 광의 양이 제1실시예 보다 더 증가되게 하여, 기준광(35)의 세기가 증가하게 된다.
게다가, 제2실시예는, 반사요소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광감응부재(50)에 도입되는 광에서 기준광(35)과 대물광(36)간의 세기 비율(R/0)이 제어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달리 말하면, 기준광과 대물광간의 균형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여, 증가된 투명도를 가지는 홀로그램 스크린를 생성하는데 장점이 있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제2실시예의 다른 구성은 도 1의 제1실시에의 구성과 동일하다. 마지막으로, 반거울(11)은 광확산체(52)의 표면과 접촉할 필요가 없다. 즉, 반거울(11)이 광확산체(52)의 표면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떨어지게 되는 변형이 가능하다.
[제3실시예]
도 6은 도 4의 제2실시예의 반거울(11) 대신에 리프만형의 홀로그램(12)이 사용되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보여준다. 본 기술분야에 당업자에게 잘 공기된 방식으로, 리프만형의 홀로그램(12)은 렌즈(515)의 반대측 위치에, 즉 홀로그램(12)에 대해 대칭한 위치에 동일한 특성의 렌즈(517)가 위치될 때 획득될 수 있는 것과 동일한 발산광의 광로를 따라 투사광(351)을 회절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 실시예의 구조에서, 홀로그램(12)에서 회절의 효율성을 제어함으로써, 제2실시예의 반거울(11)의 반사요소를 변경시킴으로써 획득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짧게 말하면, 이 실시예는 제2실시예와 비슷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게다가, 홀로그램(12)에 기록된 간섭무늬를 조절함으로써, 반사각이 변화되어, 기준광(35)의 발산위치(렌즈 515)가 광확산체(52)에 대해 실질적으로 변경되게 한다.
게다가, 도 7A 와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축에 대한 레이저광의 광 세기의 분포는 가우시안 분포로 설명될 수 있다. 따라서, 대물광이 생성되는 발산광(343) 뿐만 아니라, 기준광(35)이 생성되는 발산광(344)은 가우시안 분포를 따라 분포된다. 따라서, 발산광으로부터 발산되어 광확산체(52)를 통과한 광, 즉 확산광(제1대물광)은 또한 가우스 분포에 따라 분포된다. 따라서, 제1대물광은 중심부에 보다 주변부에서 약화된 광세기를 가진다. 한편, 리프만형 홀로그램소자(12)는 주변부 보다는 중심부에서 증가된 회절효율성을 가진다. 따라서, 반사광의 회절효율성의 분포는 실질적으로 가우스 분포로 설명된다. 따라서, 리프만형 홀로그램소자(12)를 통과한 광(회절되지 않은 광)의 분포는 역 가우스 분포로 표현된다. 따라서, 홀로그램소자(12)를 통과하고 그리고 광확산체(52)에서 산란된 확산광(제2대물광)은 역가우스 분포에 따라 분포된다. 따라서, 제2대물광과 결합된 제1대물광인 전체 대물광의 세기는, 대물광의 가우스 분포만이 이루어질 수 있는 제2실시예와 비교하면 규일하게 분포되어, 이에 의해 스크린의 영상면에서 균일한 광도의 분포를 얻을 수 있다.
다른 구성들은 제1 및 제2실시예의 구성과 비슷하다.
[제4실시예]
도 8은 투명한 광확산체(53)와 또한 대물광의 광원 뿐만 아니라 기준광의 광원이 광확산체(53)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이 특징인 제4실시에를 보여준다. 즉, 투명한 광확산체(53)가 렌즈(515 및 516)와 광감응부재(50) 사이에 설치된다. 광감응부재(50)의 노출은 대물광(35)으로서 광확산체(53)를 통과한 확산광과 기준광(35)으로서 광확산체(53)를 통과한 확산되지 않은 광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 8의 제4실시예에서, 대물광(36)과 기준광(35)의 공원들은 광확산체(53)의 동일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도 8로부터 쉽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광감응부재(50)의 전체 표면은, 광감응부재(50)에 도입되는 대물광의 전개각(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광확산체(53)가 광감응부재(50)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구성(도 2)이 사용될 때라도 기준광(35)에 의해 조사된다. 따라서, 증가된 가시영역을 가지는 홀로그램 스크린이 생성될 수 있다.
게다가, 광확산체(53)가 광감응부재(50)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구성을 사용하기 때문에, 간섭무늬의 생성에 조력하지 않는 조사광의 양을 줄이는데 장점이 있는, 광확산체(53)의 크기 감소가 가능하여, 이에 의해 광의 사용 효율성이 강화되어 노출시간의 감소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 실시예에서, 광확산체는 광확산체가 기록되는 홀로그램소자를 포함한다.
도 9에서,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광감응부재(50)와 광확산체(53)는 서로 이격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그러나, 부재(50 및 53)는 밀접하게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금부터, 이 실시예의 홀로그램 확산체(53)를 얻기 위한 방법이 설명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감응부재(500)와 광확산체(59)는 소망된 거리( L)로 설치된다. 광확산체(59)에는 중심 위치에 핀홀(591)이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광 중합체가 광감응부재(500)를 위한 광감응 작용체로서 사용된다. 그러나, 광 중합체 대신에, 암모늄 중크롬산염 젤라틴 또는 염화은과 같은 다른 종류의 광감응 작용체가 사용될 수 있다. 광감응부재로서, 완성된 홀로그램의 투명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에서, 광감응부재(500)와 광확산체 사이의 거리(L1)는 대물광(360)의 발산점(렌즈 516)과 광확산체(53) 사이의 거리와 동등하게 된다.
도 9의 구성에서, 핀홀(591)을 통과한 확산되지 않은 광은, 광이 확산되게 회절되어, 기준광(391)을 제공한다. 한편, 광확산체(59)의 몸체를 통과하여 확산된 광은 대물광(392)을 구성한다.
도 9의 광학적 시스템에서 광의 노출에 의해, 투명한 광확산체로서의 홀로그램의 광감응부재(500)에서부터 획득된다.
[제5실시예]
이 실시예는 제4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지향성을 가지는 투명한 광확산체(53)가 특징이다. 지향상은 투사광이 규정된 투사각에 있을 때 획득되는 광만이 확산되게 되는 것이다. 광확산체(53)(도 8)에는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각범위를 포함하는 각범위내에서 광(360)이 도입된다. 광확산체(53)를 통과한 확산광은 대물광(36)이 되게 된다. 게다가, 광은 규정된 확산광이 아닌 다른 각도에서 광확산체(53)로 도입되어, 기준광(35)으로서 확산되지 않은 광이 획득된다. 광감응부재(50)의 노출이 이루어진다. 다른 구성들은 제4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다.
이 실시예에서, 제4실시예와 같이 증가된 가시영역을 가지는 홀로그램 스크린이 생성된다.
마지막으로, 지향성을 가지는 광확산체(53)를 사용하는 제5실시에에서, 기준광(35)과 대물광(36)의 광세기는 지향성의 각을 변경시키거나 및/또는 광(350 또는 360)의 투사각을 변경시킴으로써 변화될 수 있다/
[제6실시예]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제4실시예의 광확산체(53) 대신에, 프레넬형 홀로그램소자(54)가 사용되는 제6실시예를 보여준다. 그러한 프레넬형 홀로그램소자(54)를 생산하기 위하여, 도 9에 도시된 것과 비슷한 방식으로, 먼저 광감응부재(500)가 기준광(391)으로서의 발산광과 대물광(392)으로서의 확산광의 의해 동일방향으로 조사되어, 홀로그램을 획득하게 된다. 그런 다음, 광원(515)의 측면을 향해 돌출된 볼록한 형태가 획득되도록 홀로그램의 형성이 이루어진다. 이 경우, 광감응부재(500)와 광확산체(54) 사이의 거리(L1)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곡된 홀로그램부재(54)의 바람직한 초점거리(L2)와 동등하게 된다.
제6실시예의 동작시에,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확산체(54)는 도 9의 광(390)과 비슷한 광(393)에 의해 조사되어, 광확산체(54)의 회절광으로서 그의 축에서 초점(F)을 향하는 확산광(대물광 36)이 생성된다.
광감응부재(50)가 만곡체(홀로그램소자(54))의 만곡 중심측에 설치되는 구성하에서, 노출은 홀로그램소자(54)를 통과한 대물광(36)으로서의 확산광과 홀로그램소자(54)를 통과한 기준광(35)으로서의 확산되지 않은 광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 실시예에 따라, 프레넬형 홀로그램소자(54)은 광이 규정된 각도에서 투사될때, 증가된 효율성이 확산광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규정된 각도에서 도입된 광의 일부와 규정된 각도 보다 작은 각도에서 도입된 광의 대부분은 일반적으로 회절되지 않게 되어, 소자(54)를 통과하여 회절되지 않은 광이 생성되게 된다.
이 실시예에서, 대물광(36)으로서의 확산광과 기준광(35)으로서의 확산되지 않은 광에 의해 간섭무늬가 획득된다. 홀로그램소자(54)로부터의 확산광은 만곡의 중심으로 가게 되어, 평면형 홀로그램소자에 의해 획득되는 각도 보다 큰 각도(α)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 실시에에 의해, 증가된 가시영역의 홀로그램이 획득될 수 있다.
[제7실시예]
도 12는 도 10의 제6실시예에서 사용된 프레넬형 홀로그램소자(54) 대신에, 리프만형 홀로그램소자(58)가 사용되고 그리고 광원(대물광(36)의 광원)과 광원(렌즈 515)의 광감응체(50)의 양측에 설치되는 제7실시예를 보여준다.
이 실시예에서, 렌즈(516)로부터 방향 전환된 광(360)은 리프만형 홀로그램소자(58)에서 회절되고 반사되어 대물광으로서 확산광이 획득되고, 렌즈(515)로부터 온 광(351)은 홀로그램소자(58)을 통과하여 기준광(35)으로서 확산되지 않은 광이 획득된다. 따라서, 제6실시예와 비슷한 효과가 이루어진다. 즉, 프레넬형 홀로그램과 비슷하게, 리프만형 홀로그램은 광감응부재(50)로 도입되는 유사한 대물광(36)과 기준광(35)을 얻을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만형 홀로그램소자를 생성하기 위하여, 광확산체(58)를 통과한 대물광(392)으로서의 확산광이 광감응부재(500)의 일측을 조사하는 한편, 기준광(390)으로서 평행광이 광감응부재(500)의 타측을 조사하여 홀로그램이 획득된다. 그런 다음, 만곡형태로 홀로그램의 형성이 이루어진다. 다른 구성은 제6실싱의 구성과 동일하다.
[제8실시예]
도 14는 광원(렌즈 516)과 광감응부재(50) 사이에 설치되는 제1 및 제2투명 홀로그램소자(55 및 13)가 특징인 제8실시예를 보여준다. 제1홀로그램소자(55)는 광확산체가 기록되는 리프만형 홀로그램이다. 제2홀로그램소자는 평면거울이 기록되는 홀로그램소자이다. 제1홀로그램소자(55)는 제2홀로그램소자(13)로 부터 떨어진 광감응부재(50)의 일측에서 설치되고, 홀로그램 재생을 위한 광에 대한 투사표면은 광감응부재를 향한다. 한편 제2홀로그램소자(13)는 제1홀로그램소자(55)로부터 떨어진 광감응부재(50)의 일측에 설치되고, 홀로그램 재생을 위한 투사표면은 광원을 향한다. 따라서, 기준광으로서의 직선광(확산되지 않은 광)으로서 조사광(360)은 부분적으로 제1 및 제2홀로그램소자를 직선으로 통과한다. 제1홀로그램소자(55)를 통과한 조사광(360)의 일부는 제2홀로그램소자(13)에 의해 회절 및 반사되게 되고 또한 제1홀로그램소자(55)에서 회절되고 반사되게 되어, 대물광(36)이 획득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도 14로부터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확산체로서의 홀로그램소자(55)을 크기를 증가시키는 것을 전개각(α)이 쉽게 증가될 수 있게 하거나, 또는 대물광(36)의 전개각(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광확산체로서의 홀로그램소자(55)가 광감응부재(50)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증가된 가시영역을 가지는 홀로그램 스크린이 용이하게 생성될 수 있다.
게다가, 홀로그램소자(55 및 13)의 회절 효율성을 조절하면, 기준광과 대물광 사이의 광세기 비가 쉽게 조절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이 실시예는, 광감응부재가 단일 빔으로 조사되게 되어, 노출을 위한 시스템의 구조를 단순화시키고 또한 레이저광의 활용 효율성을 개선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4에서,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광감응부재(50)와 홀로그램소자(13)는 광확산체(53)로부터 떨어지게 설치된다. 그러나 부재(50 및 53)가 서로 밀접하게 접촉하는 구성이 가능하다.
나머지 구성은 제1실시예의 구성과 비슷하다.
[제9실시예]
도 15는 도 10의 제6실시예와 같이 공원으로서 단일 광빔을 사용하는 것이 특징인 제9실시예를 보여준다. 즉, 도 15에서, 광감응부재(50)은 기준광(35)으로서, 프레넬형 홀로그램소자(54)를 통과하고 또한 소자에서 회절된 확산광과 그리고 기준광으로서, 회절됨이 없어 홀로그램소자(54)를 통과한 확산되지 않은 광에 의해 조사되어, 광감응부재(50) 상에 간섭무늬가 형성된다.
[제10실시예]
도 16은 반사성 광학적소자(14)가, 기준광(35)이 광감응부재(50)를 향해 가는 측의 광확산체(52)의 단부에서 광감응부재(50)로 돌출되는 것이 특징인 제10실시예를 보여준다. 반사성 광학적소자(14)는 광감응부재(50)의 투사면에 대한 법선에 대해 기준광(35)이 형성되는 각도에 대각이 각도에서 도입되는 광을 회절시키고 또한 반사시키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광확산체(52)를 통과한 확산광의 일부는 반사성 광학적소자(14)에서 반사되게 되어, 대물광으로서 광감응부재(50)에 도입된다.
이 실시예에서, 반사성 광학적소자(14)는 광확산체(52)의 전단부에서 광감응부재(50)를 향해 돌출하여, 광확산체(52)를 통과한 확산광이 광감응부재(50)를 향해 반사되게 되는 기능을 이룬다. 대물광(35)을 생성하기 위한 이 기능은 도 16에서 점선(529)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광확산체의 단부를 연장시킴으로써 획득되는 기능과 동일하다. 반사성 광학적소자(14)를 제공하는 것은, 광확산체(52)의 연장부(529)가 제공될 때 기준광(35)이 차단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다. 따라서, 도 16의 실시예는 기준광(35)이 차단되지 않게 하면서 대물광의 전개각을 증가시킨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다. 따라서, 증가된 가시영역을 가지는 홀로그램 스크린이 생성될 수 있다.
나머지 구성은 도 1의 제1실시예와 비슷하다.
[제11실시예]
도 17은 광의 일부가 발산되면서 통과할 수 있는 리프만형 홀로그램소자로서 구성되는 반사성 광학적소자(15)가 특징인 제11실시예를 보여준다. 이 실시예의 이러한 구성에서, 렌즈(516)에 의해 방향전환되는 광(360)의 일부는 광확산체(52)를 통과해 회절되어 확산광을 형성하고, 이 광은 부분적으로 반사성 방향전환 광소자(15)에서 반사되어, 대물광으로 광감응부재(50)에 도입된다. 한편, 렌즈(515)에서 방향전환된 광은 반사성 광학적소자(15)를 통과해, 기준광으로서 광감응부재(50)에 도입된다.
이 실시예의 이러한 구성에서, 반사성 광학적소자(15)는 광(350)이 통과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광(350)은 광원(515)을 구성하는 융통성이 도 16의 제 10실시예와 비교해 증가된다. 게다가, 광감응부재(50)에 인접한 위치에 반사성 광학적소자(15)를 설치함으로써, 대물광(36)은 보다 넓은 각도로 광감응부재(50)에 도입된다. 따라서, 대물광의 전개각의 증가가 이루어져, 넓은 가시영역을 가지는 홀로그램이 쉽게 생성될 수 있게 된다.
다른 구성은 도 11의 실시예의 것과 같다.
[제12실시예]
도 1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대물광(36)의 위치가 점진적으로 이동하여, 넓은 가시영역을 가지는 증가된 영상의 홀로그램 스크린이 생성된다.
즉, 이 실시예에서, 강빔(34)은 빔분할기(512)에 의해 제1 및 제2빔(341 및 342)으로 분할된다. 광빔(342)은 거울(513 및 514)를 통해, 렌즈(515)에 의해 발산되어 기준광(35)이 획득된다. 기준광(35)의 발산점은 도 19의 홀로그램 스크린(8)에서 투사기(92)의 위치와 동일하다. 이와는 반대로, 다른 빔(341)은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빔(341)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반송체(55)의 광학적 시스템에 대물광을 형성한다. 즉, 빔(341)은 반송체(55) 상의 거울(516)에서 방향이 변경된 후에, 전환렌즈(517)에 의해 방향전환되고 그리고 조준렌즈(518)에 의해 시준되어 평행광(343)이 획득된다. 평행광은 광확산체(52)를 통과하여, 이에 의해 대물렌즈(519)의 의해 대물광(36)에 집중되게 되는 확산광을 제공한다.
이 실시에에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위치보다는 부재(50)를 노출시키기 위하여 마스크(58)가 광감응부재(50)의 전면에 설치된다. 즉, 대물광의 불필요한 부분이 차단된다. 따라서, 감소된 영역의 단일 요소적인 홀로그램(스크린 요소)이 마스크(58)를 통과한 대물광(36)과 기준광(35)에 의해 획득된다. 그런 다음, 마스크(58)와 같은 부분과 함께 반송체(55)는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단일 요소적인 홀로그램이 연속적으로 생성된다.
지금부터, 재생동작이 요소적인 홀로그램중 하나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광(35)의 발산점에 위치된 투사기(92)로부터의 영상을 포함하는 단일광(31)의 투사는 요소적인 홀로그램이 광확산체의 영상(521)을 재생하도록 한다. 요소적인 홀로그램(80) 앞에서 파를 변경시키는 작용하에서, 광확산체의 영상의 재생은 무한 크기(SZ)를 가지는 무한 거리(LZ)에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관측자(85)는 가시영역에 상응하는 각도(a0)의 범위에서만 재생영상을 관측할 수 있다.
한편,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련의 요소적인 홀로그램(80)의 집합인 홀로그램 스크린(8)에서, 각 요소적인 홀로그램을 통해 스크린의 뒤쪽에서 재생된 광확산체(521)의 집합으로서, 증가된 크기를 가지는 광확산체(520)를 관측자(85)가 관측한다. 이 경우, 관측자(85)가 광확산체(520)를 볼 수 있는 가시영역(α0)은 노출 프로세스 동안 대물렌즈(519)의 직경과 초점거리에 의해 결정된다. 즉, 가시영역은 노출프로세스 동안 수렴된 대물광(36)의 범위(각도 α1)에 의해 결정된다. 달리 말하면, 가시영역을 증가시키는 것은 각도(α1)의 값을 증가시키기 위해 광감응부재(50)에 인접하게 렌즈를 위치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관점에서, 개구수로서 언급되는, 렌즈(519)의 유효직경과 초점거리 사이의 비율을 제어함으로써, 가시영역(α0)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구성의 홀로그램 스크린(8)에서, 광확산체(520)의 재생은 무한점에서 이루어져, 증가된 가시영역을 유지하게 된다.
이 실시예에서, 마스크(58)뿐만 아니라 대물광(36)을 이동시킴으로써, 요소적인 홀로그램의 집합으로서, 증가된 크기의 홀로그램 스크린이 획득된다.
나머지 구조는 제1실시예의 구조와 동일하다.
[제13실시예]
도 21에 도시된 실시예는, 반거울(111)이 약간 경사지게, 광확산체(52)로부터 떨어져 설치되는 도 5의 제2실시예 구성의 변형을 보여준다.
이러한 구성에서, 반거울(111)을 통한 목적광(36)의 통과에 의해 발생되게 되는 감쇠가 방지된다. 게다가, 반거울(111)의 위치과 경사각도의 조절로 인해, 광원의 구성과 기준광(35)내 광로에 대한 자유도의 증가가 이루어진다.
나머지 구조는 제2실시예에의 구조와 동일하다.
[제14실시예]
도 22의 이 실시예는 반거울(11)로서 볼록거울(112)가 사용되는, 도 5의 제2 실시예 구성의 변형을 보여준다.
동일한 발산 각도에서 기준광(35)의 광감응부재에 도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볼록거울의 사용은 기준광(351)을 위한 렌즈(351)가 평면거울보다 가까운 위치에 위치되게 한다. 게다가, 만곡면의 만곡도의 바람직한 설정과 거울(112)의 위치와 경사 각도로 인해, 투사각과 기준광의 전개각에 대한 자유도의 증가가 이루어진다.
나머지 구성은 제2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다.
[제15실시예]
도 23은 실시예는 오목거울(113)이 반거울(11)로서 사용되는, 도 5의 제2실시예 구성의 변형을 보여준다.
오목거울(113)의 사용으로 인해, 반거울(113)로 도입되는 광은 수렴된 다음에 광감응부재(50)에 도입된다. 따라서, 기준광(35)의 초점은 도 22의 제14실시예와 비교하면, 광감응부재에 더 가까운 위치에 위치되어, 이에 의해 기준광(35)의 투사거리가 감소된다. 게다가, 제14실시예와 비슷하게, 광감응부재에 대한 기준광의 전개각뿐만 아니라 투사각에 대한 자유도의 증가가 이루어진다.
나머지 구성은 제2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다.
[제16실시예]
도 24은 실시예는 반거울(11)이 투명한 유리부재에 부착되어, 반거울(11)이 광확산체(52)의 표면의 일부만을 덮도록 설치되는, 도 5의 제2실시예 구성의 변형을 보여준다.
이 구성에서, 목적광(36)의 감쇠의 감소가 반거울(11)에 의해 커버되지 않은 광확산체(52)의 부분에서 획득되어, 증가된 목적광의 세기가 이루어진다.
나머지 구성은 제2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다.
[제17실시예]
도 25은 실시예는, 반사성 광학적소자(611)가 렌즈(515)와 반거울(11) 사이에 설치되고 또한 기준광(36)의 광원으로서의 렌즈(515)의 구성은, 렌즈(515)가 광확산체(52)를 향하지 않도록 되는, 도 24의 제16실시예 구성의 변형을 보여준다.
이러한 구성으로써, 기준광(35)의 광로의 공간적인 구성의 자유도의 증가가 이루어진다.
반사성 광학적소자로서, 평면거울 또는 볼록 또는 오목거울과 같은 거울 또는 리프만 홀로그램을 포함하는 어떠 적절한 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리프만 홀로그램이 사용되는 경우에, 비-정규형의 반사 또는 색깔과 같은 특성이 선택적으로 획득될 수 있다.
나머지 구성은 제2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다.
[제18실시예]
도 26의 실시예는 광의 반사를 위한 거울 코팅(612)의 광확산체(52)의 뒷측에 형성되는 한편, 홀로그램 스크린이 단일빔 방법으로 생성되는, 도 5의 제2실시예 구성의 변형을 보여준다.
이 실시예의 동작시에, 거울(11)에 대한 투사광(351)의 일부는 정반사되어 기준광(35)이 획득되는 한편, 광의 나머지 부분은 광확산체(52)를 통과해 거울 코팅(612)에서 반사되게 되어, 대물광(36)이 획득된다.
노출을 위한 단일빔 방법의 사용으로 인해, 광원으로서의 레이저로부터 방출된 광은 광의 분할없이 기준광(35)과 대물광(36)으로 변환되게 되어, 노출동안 광의 손실을 상당히 감소시키고 또한 강도를 증가시킨다. 따라서, 노출시간의 감소가 이루어지는 한편, 단일빔 방법이 노출프로세스 동안 시스템의 안정된 상태를 쉽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홀로그램의 품질이 개선된다.
나머지 구성은 제2실시예의 구성과 비슷하다.
[제19실시예]
도 27은 실시에는, 프리즘시트(614)에 거울 코팅(615)이 형성되는 톱니모양이 경계면이 형성되고 그리고 확산광(대물광 36)이 광감응부재(50)의 방향으로 세기의 중심을 가지는 한편, 투사광이 광감응부재(50)의 방향에서 정반사되게 되는, 도 19의 실시예 구성의 변형을 보여준다.
실시예의 이러한 구성에서, 광감응부재(50)로 가는 대물광(36)의 세기는, 도4이 제1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산광이 광감응부재(50)의 반대편에 있는 광확산체(52)의 뒤측에 도입될 때 획득되는 것에 필적하게 증가된다. 따라서, 광감응부재(50)로 가는 대물광(36)은 도 26의 실시예와 비교하면 보다 균일하게 광세기의 분포를 가진다.
나머지 구성은 제18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다.
[제20실시예]
도 28 및 29의 실시예는 볼록거울 또는 오목거울과 같은 비 평면거울이 리프만형 홀로그램소자에 기록되는, 도 6의 제3실시예 구성의 변형을 보여준다.
이 실시예의 동작시에, 광감응부재(50)로부터 관측되는 광원의 시(視)위치(광감응부재 상에 간섭무늬의 실제 형성을 위한 기준광(35)의 광원의 위치)의 원, 근 조절 또는 기준광(35)의 각도(α)의 광, 협 조절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의 스위치(S)는 각도(α)를 좁게 하기 위하여 원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의 스위치(S)는 각도(α)를 확대시키기 의해 근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이 실시예는 또한, 기준광(35)의 광로의 공간적인 구성에 대한 자유도에 장점이 있다.
나머지 구성은 제18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다.
[제21실시예]
도 30은 실시예는 반사성 광학적소자(611)가 렌즈(515)와 리프만형 홀로그램소자(12) 사이의 위치에 설치되는 한편, 광감응부재(50)에 대한 기준광(35)의 광원(렌즈 515)는 광확산체(52)를 향하지 않는, 도 6의 제3실시예 구성의 변형을 보여준다.
이 실시예는, 기준광(35)의 광로의 공간적인 구성에 대한 자유도가 제17실시예와 같이 증가된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다.
반사성 광학적소자(611)로서, 평면, 볼록 또는 오목거울과 같은 거울뿐만 아니라, 리프만 홀로그램과 같은 소자들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리프만 홀로그램을 사용함으로써, 광원의 스위치(S)의 바람직한 원, 근 조절이 가능해진다.
나머지 구성은 제18실시예와 동일하다.
[제22실시예]
도 31은 실시예는 반거울(11) 대신에, 비확산체가 기록된 리프만 홀로그램(12)과 광확산체가 기록된 리프만 홀로그램(62)이 사용되는, 도 26의 제18실시예 구성의 변형을 보여준다. 광확산체(52)는 홀로그램소자(62)의 뒤측에서 거울코팅(612)으로 형성된다.
이 실시예의 동작시에, 거울코팅에서 반사된 광은 광확산체(52)를 통과하게 되어, 확산된 광이 생성된다. 따라서, 증가된 균일성뿐만 아니라 증가된 세기의 대물광(36)이 획득된다. 결과적으로, 대물광(36)의 분포상태의 개선이 이루어져, 색특성이 개선이 이루어진다.
나머지 구성은 제18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다.
[제23실시예]
이 실시예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투명형 홀로그램 스크린의 노출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에서, 프레넬형 홀로그램 광학소자(622)가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감응부재(50)의 전면에 설치되는 것이 특징이다.
프레넬형 홀로그램 광학소자(622)의 기능은, ㅂ라산광(351)이 법선(N)에 대한 각도(βi)로 소자(622)에 도입될 때, 법선(N)에 대한 각도(β0)에서 도입된 발산광(352)(연속적인 점선으로 된 광)의 방향에 일치하는 방향에서 회절이 발생되도록 하는 것이다. 발산광(352)은 도 2의 기준광(35)에 대응한다.
광감응부재(50)의 전면에 홀로그램(522)의 구성으로 인해, 발산광(351)은 홀로그램(622)에 의해 회절되게 되어 회절광(352)이 생성되고, 이 회절광은 기준광으로서 광감응부재(50)에 도입된다. 달리 말하면, 도 32의 발산광(351)은 도 2의 기준광(35)으로서 기능하게 되어, 도 2의 기준광(35)에서의 βi보다 증가된 기준광의 투사각(βi)을 제공한다. 결과적으로, 홀로그램(622)이 없는 도 2의 경우와 비교해 도 32에서 E에 길이에 만큼의 광확산체(52)의 크기의 증가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홀로그램 스크린의 가시영역의 증가가 이루어진다.
도 32의 홀로그램 스크린의 재생프로세스 동안, 홀로그램 스크린은 점선(352) 방향으로, 즉 β0의 각도에서 광에 의해 조사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게다가, 광감응부재(50)에서, 홀로그램은 또한 홀로그램(622)에서 회절됨이 없이 광감응부재를 통과하는 제2기준광으로서의 광에 의해 생성된다. 따라서, 제1기준광에 의해 생성된 홀로그램과 제2기준광에 의해 생성된 홀로그램의 조합에 따라 훌륭한 스크린 특성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각 홀로그램의 특성이 결합된다는 사실 때문에 홀로그램 스크린의 색특성(재생파의 특성)의 개선이 이루어진다. 게다가, 홀로그램의 재생 프로세스 동안 노출시의 각도에 대해 투사각을 변경시킴으로써, 회절광의 재생파장 특성의 변위가 이루어진다. 달리 말하면, 상이한 파장특성이 중첩된다는 사실 때문에, 보다 넓은 범위의 파장특성이 획득된다. 일반적으로 이야기하자면, 노출 동안 각도가 재생프로세스시의 각도 보다 작을 때 긴 파장측으로 파장특성의 변위가 이루어진다. 이와는 반대로, 노출동안 각도가 재생프로세스시의 각도보다 클 때, 파장측으로 파장특성의 변위가 이루어진다.
[제24실시예]
도 33은 실시예는, 프레넬형 홀로그램소자(624)에 도입되는 기준광(351)이 광감응부재(50)를 향해 회절되어 광감응부재(50)를 향해 가는 발산광(350)이 생성되도록, 광감응부재(50)를 향해 연장하게끔 프레넬형 홀로그램소자(624)가 도 2에 도시된 기준광(35)측에 인접한 광확산체(52)의 단부에 설치되는 것이 특징이다. 프레넬형 홀로그램소자(624)의 구성은, 도 33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광을 포함하는 발산광(350)이 도 2의 기준광(35)과 일치되도록 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이러한 구조에서, 프레넬형 홀로그램소자(624)의 특성과 구성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도 33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재생프로세스 동안 스크린에 대한 개구각과 투사광의 방향뿐만 아니라 노출프로세스 동안 기준광의 개구각과 투사방향은 원하는대로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대물광(36)을 구성하는 광학시스템의 셋팅의 자유도가 증가된다. 즉, 도 2와 비교해 도 33의 길이(E) 이상으로 광확산체(52)를 증가시킬 수 있어서, 광감응부재(50)에 대한 대물광(50)의 투사각 범위가 증가되고, 이에 의해 홀로그램 스크린의 가시영역이 확장된다.
나머지 구성은 제1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다.
[제25실시예]
도 34의 이 실시예는 투명형의 홀로그램 스크린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이 특징으로서, 투명한 프레넬형 홀로그램소자(63)가 광감응부재(50)의 전면에 설치되는 한편, 홀로그램소자(63)의 전면은 발산광(351)과 광확산체(52)를 통과한 확산광(346)으로 조사된다.
이 실시예에서, 홀로그램소자(63)는 도 35의 광학적구성으로 획득되는 것이다. 즉, 이러한 구성에서, 광감응부재(500)는 도 34의 홀로그램소자(63)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설치되고, 적절한 지향성의 광확산체(64)가 사용되어, 도 34의 발산광(351)에 상응하는 제1투사광(371)이 방향의 변화없이 통과하는 한편, 상이한 방향의 제2투사광(372)은 산란되게 된다.
다음, 도 34에 도시된 구성에서, 발산광(351)은 기준광으로서 홀로그램소자(63)를 부분적으로 통과하는 한편, 광확산체(52)에서 확산되어 홀로그램소자(63)를 통과한 광은 제1대물광이 되고, 홀로그램소자(63)에서 부분적으로 확상된 발산광(351)은 제2대물광이 된다. 따라서, 홀로그램이 기준광과 대물광에 의해 생성된다.
프레넬형 홀로그램소자(63)를 생성하기 위하여, 광확산체(64)(도 36)는 광감응부재(500)에 횡으로 설치된다. 광확산체(64)는, 규정된 투사방향의 광(371)이 광확산체를 바로 통과하게 되는 반면, 상기 규정된 방향외의 방향의 광, 특히 횡으로 도입되는 광(372)에 강한 산란특성을 제공하도록 지향성을 가진다. 홀로그램은 기준광으로서 광확산체(64)를 바로 통과한 광(373)과 목적광으로서 산란된 광(374)을 사용하여 획득된다.
따라서, 홀로그램소자(63)는 발산광(351)이 그대로 부분적으로 통과하게 하여, 광지향성을 가지는 광이 발산광(351)의 일부에 의해 도 34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에서 재생되고 또한 확산광(362)이 광감응부재(50)로 가게하는 회절특성이 생성되게 한다. 게다가, 제2확산광(362)의 생성으로 인해, 광감응부재에 대한 대물광(확산광)의 투사각이 크게 될 때 획득되는 기능과 동일한 기능이 획득되거나 또는 대물광의 형성을 위해 광확산체(52)가 상향으로 연장될 때 획득되는 기능과 동일한 기능이 획득된다. 따라서, 증가된 가시영역을 가지는 홀로그램 스크린이 광감응부재에 생성된다.
나머지 구성은 제1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다.
[제26실시예]
도 36은 광감응부재(50)가 동일측에서, 대물광(36)으로서 광확산체(52)를 통과한 확산광과 기준광(35)으로서 광확산체(52)를 통과하지 않은 발산광(351)으로 조사되게 되는 홀로그램 스크린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의 실시예를 보여주고, 기준광(35)과 대물광(36)의 사이에 바람직한 반사도 또는 투명도의 경계면(651 내지 653)을 가지는 프리즘(65)이 설치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 실시예의 동작시에, 광확산체(52)를 통과한 확산광은 경계면(651 내지 653)에서 소망된 방향으로 편향되어 대물광이 획득되는 반면, 발산광(351)은 경계면(652)에서 소망된 방향으로 편향되어 기준광이 획득되며 그리고 홀로그램이 기준광과 대물광(35 및 36)에 의해 광감응부재상에 생성된다.
보다 상세히 말하면, 광확산체(52)는 프리즘(65)의 제1경계(651)의 전면에 설치되고, 반사필름은 광감응부재(50)를 향하는 제2경계(652)에 형성되고 그리고 거울코팅(661)이 제3경계(653)에 형성된다.
이 구성에서, 제2경계상에 코팅되는 반사필름의 제공은 소망된 광세기가 유지되게 하는 한편, 광감응부재(50)에 대한 제2경계(652)의 투사각을 변경시키는 것은, 발산광(351)의 방향이 조절될 수 있게 한다. 게다가, 제1경계(651)를 통해 도입된 확산광은, 광각으로 광감응부재(50)에 도입딜 수 있게 되도록 거울코팅(661)에 의해 광감응부재(50)의 방향으로 편향된다. 게다가, 거울코팅(661)은 또한 제1경계(651)에서 광감응부재(50)로 확산광을 편향시켜, 광감응부재(50)로의 방향회의 방향으로 확산광의 누설을 감소시킨다. 짧게 말하면, 광의 사용 효율성의 거울코팅(661)에 의해 증가된다.
나머지 구성은 제1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다.
[제27실시예]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 제1공원의 발산광(351)은 프리즘(65)이 제3경계(653)를 통해 프리즘(65)내로 도입되고, 제1경계(651)에서 반사되고 그리고 제2경계면(652)에서 광감응부재로 방출된다. 이 구성에서, 제1경계(651)로 도입되는 확산광(351)의 투사각은 전체 내부 반사각에 합치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100%의 광의 반사가 경계(651)에 이뤄져, 광의 손실을 상당히 감소시킨다.
이 실시예에서, 발산광(351)은 광확산체(52)와 평행한 경계(651)로 도입된 다음, 광감응부재(50)의 방향으로 편향 및 반사되게 된다. 따라서, 발산광이 광감응부재로 직접 가게되는, 도 2의 구조의 구성과 비교하면, 광로의 구성은 자유도가 증가된다. 따라서, 광확산체(52)의 크기가 증가되는 경우에도 기준광에 대한 광로이 형성이 용이해진다. 즉, 증가된 가시영역을 가지는 홀로그램 스크린의 생성이 용이해진다.
나머지 구성은 제1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다.
[제28실시예]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 프리즘(65)의 제2 및 제3경계(652 및 653)에 광확산체(522 및 523)가 각각 설치되고, 제1경계면(651)에는 반사코팅이 형성되고 그리고 광감응부재(50)에 대한 광원의 구성은, 광감응부재로 향하는 기준광으로서의 반사광을 구하기 위하여 제1광원으로서의 발산광(351)이 제1경계면(651)에서 반사되게 되도록 된다. 이 구성에서, 평행광(344)이 제1광학산체의 전면에서부터 제1광확산체(522)내로 도입되고, 한편으로는 제2광확산체(523)의 뒷면에는 톱니모양 경계에서 거울코팅을 가지는 프리즘시트(614)가 설치된다. 광확산체(522)의 전면에 있는 조준렌즈(662)는 발산광을 광확산체(522)내로 도입되게 되는 평행광으로 변확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38의 프리즘(65)의 확대도인 도 39에서, 제1광확산체(522)를 통과한 확산광 대부분은 제1경계면(651)에서 반사되어 제2광확산체(523)으로 도입된다. 광확산체(523)으로 도입된 광은, 번호 346 및 347로 도시된 바와 같이 부분적으로 산란되어, 프리즘(65)을 통해 제1대물광으로서 광감응부재(50)로 도입된다. 제1경계면(651)에서 반사되게 되는 나머지 부분들은 제2광확산체(523)를 통과하고, 프리즘시트(615)의 톱니모양의 거울코팅(615)에서 반사되고, 제2광확산체로 다시 도입되고 그리고 다시 산란되어 제2대물광으로서 프리즘(65)통과하여, 광감응부재(50)로 도입된다.
프리즘시트의 톱니모양 거울코팅(615)은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련의 경사표면을 가지는 단을 가지고 그리고 경사는, 도 39에서 346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확산되지 않고서 제1광확산체(522)를 통과한 광(347)이 제1경계면(651)에서 정반사되어 최종적으로 확산되지 않고서 제2광확산체를 통과하여, 도 40에서 348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되어 제2광확산체(523)에 수직으로 도입되도록 된다.
거울코팅(615)의 경사면에서 반사된 광(348)은 다시 한번 제2광확산체(523)에서 확산되어 프리즘(65)을 통과하여 그리고 제2대물광으로서 광감응부재에 도입된다.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2광확산체(523)는 제1광확산체(522)와 프리즘시트와 협동하도록 제공될 뿐만 아니라 설치되어, 광감응부재에 도입하는 광의 규일한 분포가 이루어지게 된다.
제1광확산체(522)가 없는 경우에, 제2광확산체(523)에 의해 획득된 확산광은 투사공의 정반사를 위한 방향에만 국한되게 된다. 제1광확산체(522)의 제공은 광의 확산이 발생되게 된다. 달리 말하면, 다양한 광의 투사각이 이루어져, 확산광의 분포가 국지화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관점에서, 제1광확산체(522)는 확산광의 분포를 개선시키는 기능을 한다. 그러나, 제2광확산체(523)에 의해 반사된 광의 세기의 분포에서, 제1광확산체(522)를 향하는 방향으로의 광 세기는 여전히 불충분하여, 즉 바람직한 분포특성으로부터 벗어나 있다. 분포특성을 개선시키는 것을 프리즘시트(614)이다. 즉, 거울코팅의 경사면(615)을 증가된 세기의 졍반사된 광성분이 횡으로, 제2광확산체(523)로 가게 하는 기능을 한다. 그러나, 경사의 적절한 선택은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광확산체(522)를 향해 반사된 광이 회전되게 한다. 따라서, 제2광확산체(523)에 의해 확산된 광의 분포에 대한 또 다른 개선이 이루어진다.
게다가, 거울코팅(615)에 의한 광의 반사는 외측에 대한 광의 손실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마지막으로, 이 실시예에서, 제1광원으로서의 기준광(351)의 방향과 제2광원으로서의 투사광(343)의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반대이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행기술에서 발생되는, 제1 및 제2광원의 공간적 구성의 자유도에 대한 개선이 이루어진다.
나머지 구성은 제1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다.
[제29실시예]
도 41은 투명형 홀로그램 스크린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광감응부재(50)는 광감응부재(50)로 방출되는 대물광으로서 광확산체(52)를 통과한 확산광과 광확산체(52)를 통과한 기준광으로서의 발산광(351)에 의해 동일면이 조사된다. 방법은, 투사광을 발산시키기 위한 볼록렌즈(66)가 광감응부재(50)의 전면에 설치되어, 광감응부재에 대한 보다 넓은 투사광의 각도가 획득되는 것이 특징이다.
볼록렌즈(66) 때문에, 광감응부재에 대한 투사광(365)은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광(340)에 의해 제공되는 광과 동등하다. 따라서,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광확산체의 면적이 증가될 때 또는 광확산체가 보다 가까이에 위치될 때 획득되는 것과 동일한 효과가 이루어져, 증가된 가시영역을 가지는 홀로그램 스크린의 생성이 이루어지게 된다.
나머지 구성은 제1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다.
[제30실시예]
도 42는 투명형 홀로그램 스크린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광감응부재(50)은 광감응부재(50)로 방출되는 대물광으로서 광확산체(52)를 통과한 확산광과 광확산체(52)를 통과한 기준광으로서의 발산광(351)에 의해 동일면이 조사되고, 그리고 광확산체(52)에 대물렌즈(67)가 부착되는 개구가 형성되고 그리고 기준광(35)으로서의 광이 대물렌즈(67)를 통과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 실시예에서, 광원으로부터의 빔은 기준광(35)을 제공하기 위해 대물렌즈(67)에서 발산광으로 변환된다. 이와는 반대로, 평행광(344)이 광확산체(52)에 도입되어, 광이 광확산체를 통과하게 되어, 대물광(36)으로서 확산광이 제공된다.
이 실시예에서, 렌즈(67)는 기준광 형성을 위한 빔(350)으로 조사되어, 기준광이 광확산체(52)에 의해 산란되거나 또는 약화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기준광의 손실이 감소되어, 이에 이해 에너지효율이 증가되어, 광로의 설계를 용이하게 하고 또한 광세기를 개선한다.
게다가, 기준광(35)의 발산점이 광감응부재 근처에 위치되는 경우, 즉 투사광원이 스크린 가까이에 위치되는 경우에, 광확산체를 광감응부재에 가까이 위치시키는 것이 쉬워져, 넓은 가시영역의 홀로그램 스크린을 생성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마지막으로, 스크린상에 구멍의 재생위치는 재생프로세스 동안 광원의 위치와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스크린의 소망된 기능은, 재생된 영상에 구멍의 존재에 상관없이 유지된다.
나머지 구성은 제1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다.
내용 없음

Claims (17)

  1. 확산광 또는 확산되지 않은 광에 의해 조사되는 광감응부재의 일측에서 생성되는 홀로그램과 같은 투명형 홀로그램 스크린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는데, 방법은;
    광감응부재의 일측에서 광확산체를 위치시키는 단계;
    제1광을 확산체를 통과시켜, 상기 대물광으로서 광감응부재에 도입되는 확산된 광을 생성하기 위한 제1광을 도입시키는 단계;
    상기 기준광으로서 광감응부재에 대한 발산광과 같은 제2광을 도입시키는 단계; 및
    광감응부재에 대한 대물광의 바람직한 투사각을 유지하면서 제2광이 광확산체에 의해 차단되지 않도록 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확산광 및 확산되지 않은 광으로 조사되는 광감응부재의 일측에서 생성되는 홀로그램과 같은 투명형 홀로그램 스크린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광확산체의 일측에 기준광의 제1광로의 광감응부재를 위치시키는 한편, 광확산체의 타측에 대물광의 제2광로를 위치시키는 단계;
    광을 광확산체로 통과시켜, 상기 대물광으로서 확산된 광을 생성하도록 광을 제2광로를 통해 도입시키는 단계; 및
    상기 기준광으로 반사광을 제공하기 위하여 광이 광확산체에서 정반사되게 되도록 광을 제1광로를 통해 도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확산광 또는 확산되지 않은 광에 의해 조사되는 광감응부재의 일측에서 생성되는 홀로그램과 같은 투명형 홀로그램 스크린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기준광의 제1광로와 광감응부재를 광확산체의 일측에 위치시키는 한편, 대물광의 제2광로를 광확산체의 타측에 위치시키는 단계;
    광확산체과 광감응부재 사이에 반거울을 위치시키는 단계;
    광을 반거울 뿐만 아니라 광확산체를 통과하게하여 상기 대물광으로서 확산된 광을 생성하기 위한 광을 제2광로를 통해 도입시키는 단계; 및
    상기 기준광으로서 반사광을 제공하기 위해 상류측에서부터 온 광이 반거울에서 반사되도록 광을 제1광로를 통해 도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확산광 또는 확산되지 않은 광에 의해 조사되는 광감응부재의 일측에서 생성되는 홀로그램으로서 투명형 홀로그램 스크린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기준광의 제1광로와 광감응부재를 광확산체의 일측에 위치시키는 한편, 대물광의 제2광로를 광확산체의 타측에 위치시키는 단계;
    확산되지 않은 광을 재생시키기 위해 광확산체과 광감응부재 사이에 투명한 리프만형 홀로그램소자를 위치시키는 단계;
    광을 리프만형 홀로그램소자 뿐만 아니라 광확산로 통과시켜, 상기 대물광으로서 확산광을 발생시키도록 광을 제2광로를 통해 도입시키는 단계; 및
    상기 기준광으로서 반사광을 제공하기 위해 상류측에서부터 온 광이 상기 리프만형 홀로그램소자에서 반사되게 되도록 광을 제1광로를 통해 도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확산광 또는 확산되지 않은 광에 의해 조사되는 광감응부재의 일측에서 생성되는 홀로그램과 같은 투명형 홀로그램 스크린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기준광과 대물광을 위한 광로에 투명한 광확산체를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기준광으로서의 확산되지 않은 광을 생성할 뿐만 아니라 상기 대물광으로서의 확산광을 생성하기 위해 광이 상기 광확산체를 통과하게 되도록 광로를 통해 광을 도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확산광 또는 확산되지 않은 광에 의해 조사되는 광감응부재의 일측에서 생성되는 홀로그램과 같은 투명형 홀로그램 스크린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규정된 투사각의 범위내에 있는 광만이 확산되기 하도록하는 지향성을 가지는 유형인 투명한 광확산체를 기준광과 대물광을 위한 광로내에 위치시키는 단계;
    광이 상기 광확산체를 통과하도록하여, 상기 대물광으로서 확산된 광이 생성되도록 투사각의 범위내 각도에서 광로를 통해 광을 도입시키는 단계; 및
    광이 상기 광확산체를 통과하도록하여, 상기 기준광으로서 확산되지 않은 광이 생성되도록 투사각의 범위내 밖의 각도에서 광로를 통해 광을 도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확산광 또는 확산되지 않은 광으로 조사되는 광감응부재의 일측에서 생성되는 홀로그램과 같은 투명형 홀로그램 스크린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홀로그램을 생성하기 위해 대물광으로서의 확산광과 기준광으로서의 발산광으로 일측으로부터 광감응 플레이트를 조사하고, 플레이트를 기준광과 대물광의 투사방향에 대한 광로를 향해 돌출된 만곡형태로 형성시킴으로써 생성되는, 광확산체가 기록되는 프레넬형 홀로그램소자를 기준광과 대물광을 위한 광로에 위치시키는 단계;
    만곡형태의 곡률 중심측에 광감응소자를 위치시키는 단계;
    광이 상기 프레넬형 홀로그램소자를 통과하도록하여, 상기 대물광으로서 확산된 광이 생성되도록 광을 광로를 통해 도입시키는 단계; 및
    광이 상기 프레넬형 홀로그램소자를 통과하도록하여, 상기 기준광으로서 확산되지 않은 광이 생성되도록 광을 광로를 통해 도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확산광 또는 확산되지 않은 광으로 조사되는 광감응부재의 일측에서 생성되는 홀로그램과 같은 투명형 홀로그램 스크린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홀로그램을 생성하기 위해 각각 기준광과 대물광으로 양측에서부터 광감응플레이트를 조사하고 그리고, 그런 다음 대물광의 투사방향에 대한 광로를 향해 돌출된 만곡형태로 플레이트를 형성시킴으로써 생성되는, 광확산체가 위에 기록되는 리프만형 홀로그램소자를 기준광에 대한 광로에 위치시키는 단계;
    기준광에 대한 광로가 위치되는 측에 반대인, 리프만형 홀로그램소자의 측에 대물광에 대한 광로를 위치시키는 한편, 만곡형의 곡률 중심측에 광감응부재를 위치시키는 단계;
    광이 리프만형 홀로그램소자에 의해 회절되고 반사되도록 하여, 광감응부재가 조사되게 되는 상기 대물광으로서의 분산광이 생성되도록 광을 광로를 통해 도입시키는 단계; 및
    광이 리프만형 홀로그램소자를 통과하도록하여, 광감응부재가 조사되게 되는 상기 기준광으로서 분산되지 않은 광이 생성되도록 광을 광로를 통해 도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확산광 또는 확산되지 않은 광에 의해 조사되는 광감응부재의 일측에서 생성되는 홀로그램과 같은 투명형 홀로그램 스크린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광확산체가 안에 기록되고 또한 광감응부재를 향하는, 홀로그램 재생을 위한 투사표면을 가지며, 또한 제2홀로그램소자의 위의 광원에 인접한 측에 위치되는 리프만형 홀로그램소자인 제1홀로그램소자와, 평면거울이 기록되고 또한 광감응부재에 인접한 측에 위치되지만 광감응부재에 대해 반대편인 홀로그램재생을 위한 투사표면을 가지는 리프만형 홀로그램소자인 제2홀로그램소자를 광조사를 위한 광로에 위치시키는 단계; 및
    기준광을 구성하기 위해 확산됨이 없이 광이 부분적으로 제1 및 제2홀로그램을 통과하고, 제1홀로그램소자의 투과후 광은 부분적으로 제2홀로그램소자에서 제1홀로그램소자로 회절되고 반사되어, 여기서 광은 더 회절되어 반사광을 형성하여 대물광이 되게 되어, 이에 의해 단일 광빔으로 홀로그램 스크린을 생성하도록 제1 및 제2홀로그램을 통해 광을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광확산체를 통과하는 확산광과 확산되지 않은 광으로 조사되는 광감응부재의 일측에서 생성되는 홀로그램과 같은 투명형 홀로그램 스크린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광이 광확산체를 통과하도록하여, 대물광으로서 확산광을 생성되게끔 광을 도입하는 단계;
    광이 광확산체를 통과하지 않도록 광을 광감응부재에 직접 도입시키는 단계; 및
    기준광이 광감응부재이 도입되는 측의 광확산체의 단부에 위치되고, 광감응부재의 광투사면에 대한 법선에 대해 기준광이 형성되는 각의 대각에서 도입되는 광이 광감응부재의 방향으로 반사되도록 상기 광확산체의 단부에서 광감응부재를 향해 연장하는 반사성 광학적소자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광확산체를 통과한 확산광의 일부는 반사성 광학적소자에서 부분적으로 반사되게 되어, 반사된 광은 광감응부재로 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반사성 광학적소자는 광이 부분적으로 통과될 수 있게 되는 투명한 소자를 포함하고, 광확산체를 통과한 확산광의 일부는 반사성 광학적소자에서 반사되게 된 다음, 광감응부재로 도입되게 되는 한편, 반사성 광학적소자를 통과한 기준광의 광원으로부터 온 광은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을 광감응부재에 도입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광확산체를 통과한 확산광 또는 확산되지 않은 광에 의해 조사되는 광감응부재의 일측에서 생성되는 홀로그램과 같은 투명형 홀로그램 스크린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광이 광확산체를 통과하다록하여, 대물광으로서 확산광이 생성되도록 광을 도입시키는 단계;
    광확산체를 통과하지 않도록 하면서, 기준광으로서 발산광을 광감응부재에 직접 도입시키는 단계; 및
    광감응부재의 투사각을 증가시키도록, 광감응부재의 앞쪽 표면에 볼록렌즈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광확산체를 통과한 확산광 또는 확산되지 않은 광에 의해 조사되는 광감응부재의 일측에서 생성되는 홀로그램과 같은 투명형 홀로그램 스크린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광이 광확산체를 통과하도록 하여, 대물광으로서 확산광이 생성되도록 광을 도입시키는 단계;
    광확산체를 통과하지 않도록 하면서, 기준광으로서 발산광을 직접 광감응부재에 도입시키는 단계; 및
    대물렌즈를 통과한 발산광에 의해 대물광이 형성되도록, 광확산체의 작은 개구에 대물렌즈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광확산체를 통과한 확산광 또는 확산되지 않은 광에 의해 조사되는 광감응부재의 일측에서 생성되는 홀로그램과 같은 투명형 홀로그램 스크린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대물광으로서 확산광을 생성시키기 위하여 광이 광확산체를 통과하도록 광을 도입하는 단계;
    광확산체를 통과하지 않도록 하면서, 기준광으로서 발산광을 직접 광감응부재에 도입시키는 단계; 및
    회절광의 배출면의 법선에 대한 회절광의 각도가 유입면의 법선에 대한 조사광의 각도 보다 작게되도록, 광감응부재의 전면에 프레넬형 홀로그램소자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광확산체를 통과한 확산광 또는 확산되지 않은 광에 의해 조사되는 광감응부재의 일측에서 생성되는 홀로그램과 같은 투명형 홀로그램 스크린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대물광으로 확산광을 생성시키기 위하여 광이 광확산체를 통과하도록 광을 도입시키는 단계;
    광확산체를 통과하지 않도록 하면서, 기준광으로서 발산광을 직접 광감응부재에 도입시키는 단계; 및
    기준광이 광감응부재에 도입되는 측에 인접한 광확산체의 단부에 인접한 위치에 프레넬형 홀로그램소자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넬형 홀로그램소자는 광확산체에서 광감응부재로 연장하고, 프레넬형 홀로그램소자의 구성은, 프레넬형 홀로그램소자에 도입된 기준광이 광감응부재를 향해 회절되게 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광확산체를 통과한 확산광 또는 확산되지 않은 광에 의해 조사되는 광감응부재이 전측에서 생성되는 홀로그램과 같은 투명형 홀로그램 스크린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대물광으로서 확산광을 생성시키기 위하여, 광이 광확산체를 통과하도록 광을 도입시키는 단계;
    광확산체를 통과하지 않도록 하면서, 발산광을 직접 광감응부재에 도입시키는 단계; 및
    상이한 방향으로부터 온 제2투사광이 확산되는 동안 발산광의 방향으로 가는 제1광이 일직선으로 통과하게 하는 지향성의 광확산체가 기록되는 프레넬형 홀로그램소자를 광감응부재의 전면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기준광은 프레넬형 홀로그램소자를 통과한 발산광으로 구성되고;
    대물광은 광확산체를 통과한 다음 프레넬형 홀로그램소자를 통과하는 확산광인 제1대물광과 프레넬형 홀로그램소자에서 회절되는 확산광인 제2대물광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광확산체를 통과한 확산광 또는 확산되지 않은 광에 의해 조사되는 광감응부재의 일측에서 생성되는 홀로그램과 같은 투명형 홀로그램 스크린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대물광으로서 확산광을 생성시키기 위하여, 광이 광확산체를 통과하도록 광을 도입시키는 단계;
    광확산체를 통과하지 않도록 하면서, 발산광을 직접 광감응부재에 도입시키는 단계; 및
    기준광의 광원과 대물광의 광원 사이에 프리즘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프리즘은, 광확산체를 통과한 확산광의 방향이 프리즘의 대응하는 경계에서 대물광으로서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경되는 한편, 발산광은 프리즘의 대응하는 경계에서 기준광으로서 바람직한 방향으로 편향되도록 반사 또는 투과를 위한 바람직한 특성의 경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70045989A 1996-09-05 1997-09-05 투명형 홀로그램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 KR1002717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5758896 1996-09-05
JP96-257588 1996-09-05
JP9254346A JPH10133283A (ja) 1996-09-05 1997-09-02 透過型ホログラムスクリーンの製造方法
JP97-254346 1997-09-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4384A true KR19980024384A (ko) 1998-07-06
KR100271742B1 KR100271742B1 (ko) 2000-11-15

Family

ID=26541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5989A KR100271742B1 (ko) 1996-09-05 1997-09-05 투명형 홀로그램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020090A (ko)
EP (1) EP0828202A3 (ko)
JP (1) JPH10133283A (ko)
KR (1) KR1002717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49649A3 (en) 1996-12-20 1999-05-12 Denso Corporation Hologram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EP0971247A1 (en) 1998-07-07 2000-01-12 Denso Corporation A hologram screen and a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US20030202228A1 (en) 1998-07-07 2003-10-30 Kenichiro Takada Hologram screen and a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2002287605A (ja) 2001-01-22 2002-10-04 Denso Corp ホログラムスクリーンの製造方法及びホログラム撮影装置
US6755534B2 (en) * 2001-08-24 2004-06-29 Brookhaven Science Associates Prismatic optical display
KR100707164B1 (ko) * 2005-06-08 2007-04-13 삼성전기주식회사 색분산 개선용 확산판 및 이를 채용한 디스플레이 소자용조명장치
JP5223452B2 (ja) * 2008-05-20 2013-06-26 株式会社リコー プロジェクタ及び投影画像形成方法及び車両用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US9304491B2 (en) * 2012-11-26 2016-04-05 Intel Corporation Transparent holographic display with dynamic image control
JP2014149405A (ja) * 2013-01-31 2014-08-21 Nippon Seiki Co Ltd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38903A (en) * 1965-10-29 1974-10-01 Battelle Development Corp Wavefront reconstruction
GB1282716A (en) * 1968-06-20 1972-07-26 Rca Corp Holography
GB1273329A (en) * 1968-09-19 1972-05-10 Agfa Gevaert Ag Light sensitive photographic material
US3680944A (en) * 1968-11-21 1972-08-01 Trw Inc Holographic apparatus utilizing a pulsed laser
US3578837A (en) * 1969-04-01 1971-05-18 Trw Inc Double-diffuser holographic system
US3614234A (en) * 1969-07-11 1971-10-19 Trw Inc Fringe-generating holographic system
US3680943A (en) * 1970-12-22 1972-08-01 Ibm Holographic imaging having improved resolution and intensity by synthetically enlarging the aperture
US3677616A (en) * 1971-05-03 1972-07-18 Battelle Development Corp Reduced noise high resolution holographic imaging using spatially incoherent reconstructing radiation
IL50125A (en) * 1976-07-26 1980-11-30 Yeda Res & Dev Holographic focusing screens
JPS5589806A (en) * 1978-12-27 1980-07-07 Canon Inc Optical making method of diffusion plate
SU866534A1 (ru) * 1979-11-22 1981-09-23 Всесоюзны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 испытательный институт медицинской техники Устройство дл голографировани
US4427265A (en) * 1980-06-27 1984-01-24 Canon Kabushiki Kaisha Diffusion plate
US4372639A (en) * 1981-06-03 1983-02-08 Hughes Aircraft Company Directional diffusing screen
US5016950A (en) * 1988-07-05 1991-05-21 Hughes Aircraft Company Full-color zero-order suppressed diffraction optics diffusing screen/louver filter laminate
US5046793A (en) * 1989-05-26 1991-09-10 Litton Systems, Inc. Chromatically corrected directional diffusing screen
FR2640772B1 (fr) * 1989-06-01 1992-09-04 Lunazzi Jose Procedure et dispositif pour projeter et observer des images differenciees ou stereoscopiques, dessins, photographies, films cinematographiques ou video
DE3919834A1 (de) * 1989-06-16 1990-12-20 Fandrich Heinz Juergen Vorrichtung zur gleichmaessigen lichtverteilung in einem dreiecksaeulenfoermigen reflektorraum
JP3313122B2 (ja) * 1990-06-29 2002-08-12 富士通株式会社 表示装置
JP2985028B2 (ja) * 1991-09-24 1999-11-29 太平化学産業株式会社 抗菌・抗菌カビ性リン酸亜鉛組成物
WO1995034832A1 (fr) * 1992-12-15 1995-12-21 Thomson-Csf Ecran de projection holographique et procede de realisation
US5347376A (en) * 1993-02-05 1994-09-13 Saginaw Valley State University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holographic shadowgram
JP3448964B2 (ja) * 1994-07-12 2003-09-22 凸版印刷株式会社 ホログラフィック・ステレオグラムの作成方法
EP0772103A3 (en) * 1995-10-30 1998-01-21 Denso Corporation A method for producing a hologram and a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71742B1 (ko) 2000-11-15
EP0828202A2 (en) 1998-03-11
US6020090A (en) 2000-02-01
EP0828202A3 (en) 1998-09-02
JPH10133283A (ja) 1998-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90954B2 (ja) 体積ホログラフ拡散体の製造方法
US6392767B2 (en) Method for producing a hologram and a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JP2000509851A (ja) 後方スクリーン投射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において横方向色一定性を与えるように作製および使用される透過ホログラフィック拡散板
KR100271742B1 (ko) 투명형 홀로그램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
CN110275295B (zh) 衍射显示系统
US6924912B2 (en) Holographic screen
JPH01273084A (ja) ダイヤモンド形マスクを使用する多重露出ホログラム形成方法および形成装置
US6369920B1 (en) Reference beam deflecting element for recording a hologram
JP2001116908A (ja) 光学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ディスプレイ
JP2002049293A (ja) ホログラム作成方法
JPH0618810A (ja) 表示装置
JP3473152B2 (ja) ホログラムスクリーンの製造方法
JPH07101267A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JP3580920B2 (ja) ホログラムの作製方法
JPH08313712A (ja) 回折格子パターンおよびその作製方法
JP3412426B2 (ja) ホログラム反射板とそれを用いた反射型液晶表示装置
JP3423056B2 (ja) 反射型ホログラム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JP2874114B2 (ja) ホログラフィック表示装置
JP3581212B2 (ja) ホログラムの製造方法および露光装置
JPH10133019A (ja) ホログラム、その作製方法およびホログラフィック表示装置
JPH0526590U (ja) 車両用表示装置
JPH052350Y2 (ko)
JPH08286139A (ja) ホログラフィック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
JPH08272328A (ja) 屋外用発光表示器
JPH09127612A (ja) ホログラムの作製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