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4079A - 디젤엔진의 부실식(副室式) 연소실 - Google Patents

디젤엔진의 부실식(副室式) 연소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4079A
KR19980024079A KR1019970031224A KR19970031224A KR19980024079A KR 19980024079 A KR19980024079 A KR 19980024079A KR 1019970031224 A KR1019970031224 A KR 1019970031224A KR 19970031224 A KR19970031224 A KR 19970031224A KR 19980024079 A KR19980024079 A KR 199800240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communication hole
combustion chamber
auxiliary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1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9317B1 (ko
Inventor
오사무 다키이
슈우이치 야마다
아키노리 무라오카
키요시 하타우라
아츠시 야마구치
히데오 하세가와
마나부 미야자키
히데야 미야자키
Original Assignee
미츠이 코우헤이
가부시키가이샤 구보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이 코우헤이, 가부시키가이샤 구보타 filed Critical 미츠이 코우헤이
Publication of KR19980024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40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9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93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19/00Engines characterised by precombustion chambers
    • F02B19/16Chamber shapes or constructions not specific to sub-groups F02B19/02 - F02B19/10
    • F02B19/18Transfer passages between chamber and cylind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23/00Other engines characterised by special shape or construction of combustion chambers to improve ope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Methods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주 연소실(2)와 부실(5)과를 연통공(6)으로 연통시켜, 연통공(6)을 주 연통공(7)과 부 연통공(8)로 구성하고, 주 연통공(7)의 좌우 양협의 주면부분에 한쌍의 부 연통공(8),(8)을 구상(球狀)의 주면과 부 연통공(8),(8)의 주면과의 경계에, 부 연통공(8),(8) 보다도 폭이 작은 보조 연통구(9),(9)를 우묵하게 들어가게 마련했다.

Description

디젤엔진의 부실식(副室式) 연소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한 부실식 연소실을 설명하는 그림으로,
제1도(a)는 (口金)의 종단면도,
제1도(b)는 연통공 부근의 확대종단면도,
제1도(c)는 연통공의 사시도,
제1도(d)는 연통공의 제1도(b)에 있어서의 D 방향 화살표시도, 제1도(e)는 연통공의 제1도(b)에 있어서의 E 방향 화살표시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한 부실식 연소실을 설명하는 그림으로,
제2(a)는 연소실의 종단면도,
제2도(b)는 제2도(a)의 B-B선 단면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한 부실식 연소실을 설명하는 그림으로,
제3도(a)~(e)는 제1도(a)~(e)의 대응도이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관한 부실식 연소실을 설명하는 그림으로,
제4도(a)~(e)는 제1도(a)~(e)의 대응도이다.
제5도는 어리어 테크노로지(earlier Technology)에 관한 부실식 연소실을 설명하는 그림으로,
제5도(a)~(e)는 제1도의(a)~(e)의 대응도이다.
제6도는 어리어 테크노로지에 관한 부실식 연소실을 설명하는 그림으로,
제6도(a)~(e)는 제2도(a)~(e)의 대응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실린더2:주 연소실
3:실린더 헤드4:연료분사 노즐
5:부실6:연통공
7:주연통공8:부연통공
9:보조연통구10:교차점
11:봉우리13:꼭지점
14:분사연료1a:실린더 중심축선
7a:주연통공축선7b:부실측 연장선
7c:주연소실측 연장선8a:부연통공축선
8b:부실측 연장선
본 발명의 디젤엔진의 부실식(副室式) 연소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등은, 본 발명에 앞서서, 제5도 및 제6도에 나타난 디젤엔진의 부실식 연소실을 제작하였다.
이 부실식 연소실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6도(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101) 내에 주 연소실(102)을 마련하고, 실린더 헤드(103) 내에 연료분사 노즐(104)을 가지게한 부실(副室)(105)을 마련하고, 주연소실(102)과 부실(105)을 연통공(漣通孔)(106)으로 연통시켜,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통공(106)을 주 연통공(107)과 부 연통공(108)으로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제5도(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 중심축선(101a)과 평행한 방향으로 보아서, 다음과 같이 하고 있다.
주 연통공 축선(107a)을 중앙으로 하고, 주 연통공(107)의 좌우양협(兩脇)의 주면부분에 한쌍의 부 연통공(108)·(108)을 구상(溝狀)으로 우묵하게 들어가게 마련하고 있다.
주 연통공(107a)의 주 연소실측 연장선(107c)이 주 연소실(102)의 중앙부를 통과하여, 주 연통공 축선(107a)의 부실측 연장선(107b)이 부실(105)의 중앙부를 통과 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한쌍의 부 연통공(108)·(108)의 부 연통공 축선(108a)·(108a)의 부실측 연장선(108b)·(108b)이 주 연통공 축선(107a)의 부실측 연장선(107b)에 점차로 가깝게 되도록 하여, 부 연통공 축선(108a)·(108a)의 부실측 연장선(108b)·(108b)끼리가 소정의 교차점(110)으로 교차 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기술로서는, 제5(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 연통공(107)의 주면과 부 연통공(108)의 주면과의 경계는 끝이 예민한 봉(111)으로 되어 있다.
상기 기술로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제6도(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 공정에서는 주 연소실(102)로부터 연통공(106)을 통해 부실(105)에 공기의 흐름이 도입된다. 주 연통공(107d)을 통과한 주공기류(空氣流)(107)와 부 연통공(108)·108)을 통과한 부 공기류(108d)·(108d)는 어느 것이나 부실(105)의 중앙공간(105a)을 향하여 도입 된다. 이 때문에, 부실(105)의 좌우 양협공간(105b)·(105b)이 공기의 흐름에 의하여 교반 되기 어려운 도랑 같은 공간이 되어, 부실(105) 내에서의 공기와 분사연료(114)와의 혼합이 불충분하게 되어, 연소가 불량하게 되는 것이 있다. 이 결과, 고출력은 얻기 어려운 경우가 있고, 또한, 배기 가스중의 미연소 유해성분이 많아지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디젤엔진의 부실식 연소실에 관한 것이고, 부실의 좌우 양협공간에의 공기흐름의 도입을 촉진하는 것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2(a)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1) 내에 주 연소실(2)을 마련하여, 실린더 헤드(3) 내에 연소분사 노즐(4)을 가지게 한 부실(5)을 마련하여, 주 연소실(2)과 부실(5)을 연통공(6)으로 연통시키고,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통공(6)을 주 연통공(7)과 부 연통공(8)으로 구성한다.
그리고, 제1도(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 중심축선(1a)과 평행한 방향으로 보아서, 다음과 같이 하고 있다.
주 연통공 축선(7a)을 중앙으로 하고, 주 연통공(7)의 좌우 양협의 주면부분에 한쌍의 부 연통공(8)·(8)을 구상(構狀)으로 우묵하게 들어가도록 하고 있다.
주 연통공 축선(7a)의 주 연소실측 연장선(7c)이 주 연소실(2)의 중앙부를 통과하여, 주 연통공 축선(7a)의 부실측 연장선(7b)이 부실(5)의 중앙부를 통과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한쌍의 부 연통공(8)·(8)의 부 연통공 축선(8a)·(a)의 부실측 연장선(8b)·(8b)이 주 연통공 축선(7a)의 부실측 연장선(7b)에 점차로 가까이 가도록 하여, 부 연통공(8a)·(8a)의 부실측 연장선(8b)·(8b)끼리의 소정의 교차점(10)으로 교차하도록 하고 있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 연통공(7)의 주면과 부 연통공(8)·(8)의 주면과의 경계에, 부 연통공(8)·(8)보다도 폭이 작은 보조 연통구(9)·(9)를 우묵하게 들어가게 마련하고 있다. 제1도(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 중심축선(1a)과 평행한 방향으로 보아아서 다음과 같이 하고 있다.
주 연통공 축선(7a)을 중앙으로 하여, 좌측의 보조 연통구(9)의 형성방향에 따라 축선(9a)의 부실측 연장선(9b)이 상기 교차점(10)의 좌측을 통과하여, 오른쪽의 보조연통구(9)의 형성방향에 따라 축선(9a)의 부실측 연장선(9b)이 상기 교차점(10)의 오른쪽을 통과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얻어진다.
제2도(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 공정에서는 주 연소실(2)로부터 연통공(6)을 통해 부실(5)에 공기흐름이 도입 된다. 제2도(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 연통공(7)을 통과한 주 공기류(7d)와 부 연통공(8)·(8)을 통과한 부 공기류(8d)·(8d)는 어느것이나 부실(5)의 중앙공간(5a)에 도입되지만, 보조 연통구(9)·(9)를 통과한 보조 공기류(9d)·(9d)는 부실(5)의 좌우 양협공간(5b)·(5b)에 도입 된다. 이것 때문에, 부실(5)의 좌우 양협공간(5b)·(5b) 내에서의 공기의 유동이 촉진되어, 부실(5) 내에서의 공기와 분사연료(14)와의 혼합상태가 양호하게 되어, 연소가 양호하게 된다. 이 결과, 고출력이 얻어지고, 또한, 배기 가스중의 미연소 유해성분을 적게 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도 얻어진다.
연소 공정에서는 부실(5)로부터 연통공(6)을 통해 주연소실(2)에 미연소 팽창가스가 도입된다. 주 연통공(2)을 통과한 주 팽창가스와 보조 연통구(9)·(9)를 통과한 보조 팽창가스는 주 연소실(2)의 중앙공간에 도입되어, 부 연통공(8)·(8)을 통과한 부소(副燒) 팽창가스는 주 연소실(2)의 좌우 양협공간에 도입된다. 이 발명으로서는, 보조 연통구(9)·(9)의 폭을 부 연통공(8)·(8) 보다 좁게 하고 있기 때문에, 주 연소실(2)의 좌우 양협공간에의 부 팽창가스의 도입량이 보조 연통구(9)·(9)에 의해서 감소되게끔 비율을 작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주 팽창가스에 비교해서 도입량이 적은 부 팽창가스의 감소비율을 작게함에 따라, 주 연소실(2)의 좌우 양협공간에서의 공기의 미연소 팽창가스와의 양호한 혼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양호한 연소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한 디젤엔진의 부실식 연소실을 설명하는 그림이다.
이 부실식 연소실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1) 내에 주 연소실(2)을 마련하여, 실린더 헤드(3) 내에 연료분사 노즐(4)을 가지게 한 부실(5)을 마련하여, 주 연소실(2) 부실(5)을 연통공(6)으로 연통시켜,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연통공(6)을 주 연통공(7)과 부 연통공(8)으로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제1도(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 중심축선(1a)과 평행한 방향으로 보아서, 다음과 같이 하고 있다.
주 연통공 축선(7a)을 중앙으로 하여, 주 연통공(7)의 좌우 양협의 주면부분에 한쌍의 부 연통공(8)·(8)을 구상(構狀)으로 우묵들어가게 마련하고 있다.
주 연통공 축선 (7a)의 주 연소실측 연장선(7c)이 주 연소실(2)의 중앙부를 통과하여, 주 연통공 축선(7a)의 부실측 연장선(7b)이 부실(5)의 중앙부를 통과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한쌍의 부 연통공(8)·8)의 부 연통공 축선(8a)·(8a)의 부실측 연장선(8b)·(8b)이 주 연통공 축선(7a)의 부실측 연장선(7b)에 점차로 가까이 가도록 하여, 부 연통공 축선(8a)·(8a)의 부실측 연장선(8b)·(8b)끼리가 소정의 교차점(10)으로 교차하도록 하고 있다.
제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 연소실(2)은 실린더 헤드(3)와 피스톤(12)과의 사이에 형성하고 있다. 부실(5)은 실린더 중심축선(1a)에서 편심한 위치에 배치하여, 구상(構狀)으로 형성하고 있다. 연통공(6)은 구금(口金)(13)으로 형성하고 있다. 연통공(6)은 실린더(1)의 중심부에 향해있다. 또한, 연통공(6)은 부실(5)의 실린더 주벽 집합 구면(5c)으로 향함과 동시에, 구면(球面)(5c)의 접선방향으로 경사시켜, 부실(5)을 와류실로 형성하고 있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 연통공(8)은 한쌍으로 형성하고 있다. 제1도(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 연통공(7)은 실린더 중심축선(1a)과 직교하는 방향의 구금저면(13a)에 대하여 45°의 각도로 경사하는 원주공이다. 부 연통공(8)의 주면은 주 연소실(2)로부터 부실(5)에 향하여 점차로 통로 단면적이 좁게 되는 테이퍼 모양으로 형성하고 있다.
이 실시예로서는, 부실(5)의 좌우 양협공간(5b)·(5b)에의 공기흐름의 도입을 촉진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하고 있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 연통공(7)의 주면과 부 연통공(8)·(8)의 주면과의 경계에 , 부 연통공(8)·(8) 보다도 폭이 작은 보조 연통구(9)·(9)를 우묵하게 들어가게 마련하고 있다. 제1도(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 중심축선(1a)과 평행한 방향으로 보아서, 다음과 같이 하고 있다.
주 연통공 축선(7a)을 중앙으로 하고, 좌측의 보조연통구(9)의 형성방향에 따라 축선(9a)의 부실측 연장선(9b)이 상기 교차점(10)의 좌측을 통과하여, 오른쪽의 보조연통구(9)의 형성방향에 따라 축선(9a)의 부실측 연장선(9b)이 상기 교차점(10)의 오른쪽을 통과하게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다음의 이점이얻어 진다.
제2도(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공저에서는 주 연소실(2)로부터 연통공(6)을 통해 부실(5)에 공기류가 도입된다. 제2도(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 연통공(7)을 통과한 주 공기류(7d)와 부 연통공(8)·(8)을 통과한 부 공기류(8d)·(8d)는 어느것이나 부실(5)의 중앙공간(5a)에 도입되지만, 보조 연통구(9)·(9)를 통과한 보조 공기류(9d)·(9d)는 부실(5)의 좌우 양협공간(5b)·(5b)에 도입된다. 이것 때문에, 부실(5)의 좌우 양협공간(5b)·(5b) 내에서의 공기의 유동이 촉진되어, 부실(5) 내에서의 공기와 분사연료(14)와의 혼합상태가 양호하게 되어, 연소가 양호하게 된다. 이 결과, 고출력이 얻어지고, 또한, 배기 가스중의 미연소 유해성분을 적게 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다음의 이점도 얻어진다.
연소공정에서는 부실(5)로부터 연통공(6)을 통해 주 연소실(2)에 미연소 팽창가스가 도입된다. 주 연통공(2)을 통과한 주 팽창가스와 보조 연통구(9)·(9)를 통과한 보조 팽창가스는 주 연소실(2)의 중앙공간에 도입되어, 부 연통공(8)·(8)을 통과한 부소(副燒) 팽창가스는 주 연소실(2)의 좌우 양협 공간에 도입된다. 이 실시예로서는, 보조 연통구(9)·(9)의 폭을 부 연통공(8)·(8)보다 좁게 하고 있기 때문에, 주 연소실(2)의 좌우 양협 공간에의 부 팽창가스의 도입량이 보조 연통구(9)·(9)에 의해서 감소되게금 비율을 작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주 팽창가스에 비교해서 도입량이 적은 부 팽창가스의 감소비율을 작게함에 따라, 주 연소실(2)의 좌우 양협공간에서의 공기와 미 연소 팽창가스와의 양호한 혼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양호한 연소를 유지할 수 있다.
이 실시예로서는, 주 연통공(7)과 부 연통공(8)과 보조 연통구(9)의 각 내주면은, 어느것이나 가상 회전체의 주면의 일부로 형성하고 있다. 주 연통공(7)의 ·내주면은 가상 원주의 주면의 일부로 형성하고, 부 연통공(8)의 내주면은 가상 원추대의 주면의 일부로 형성하여, 보조 연통구(9)의 내주면은 별도의 가상 원주의 주면의 일부로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가상 회전체의 각 축선이, 각각 주 연통공 축선(7a), 부 연통공 축선(8a), 보조 연통구(9)의 축선(9a)이 된다. 즉, 각 축선(7a)·(8a)·(9a)은, 주 연통공(7), 부 연통공(8), 보조 연통공(9)의 각 내주면의 곡율중심을 통과한다.
이 실시예로서는, 보조 연통구(9)를 통과한 보조 공기류(9d)를 부실(5)의 좌우 양협공간(5b)·(5b)에 일층 효율적으로 도입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하고 있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 중심축선(1a)과 평행한 방향으로 보아서, 보조 연통구(9)의 축선(9a)의 부실측 연장선(9)을, 일점 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주 연통구공 축선(7a)의 부실측 연장선(7b)과 평행한 방향으로 하고 있다. 보조 연통구(9)의 축선(9a)의 부실측 연장선(9b)을, 2점 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주 연통공 축선(7a)의 부실측 연장선(7b)과 평행한 방향 보다도 외측으로 기울게 하여, 또는 평행한 방향으로 부터 경사각도 15° 이내로 중앙측(7b)에 기울이더라도 좋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보조 연통구(9)를 통과한 보조 공기류(9d)·(9d)가 부실(5)의 좌우 양협공간(5b)·(5b)에 일층 효율적으로 도입된다. 이것 때문에, 부실(5)의 좌우 양협공간(5b)·(5b) 내에서의 공기의 유동이 촉진되어, 부실(5) 내에서의 공기와 분사연료(14)의 혼합이 양호하게 되어, 연소가 일층 양호하게 된다.
이 실시예로서는, 미소란류(亂流)를 부실(5)의 좌우 양협공간(5b)·(5b)에 도입하기 위해서, 제1도(e)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 연통공 축선(8a)·(8a)의 방향에 대하여 보조 연통구(9)의 축선(9a)의 방향으로 기울이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부 연통공(8)·(8)을 통과한 부 공기류(8d)·(8d)와 보조 연통구(9)·(9)를 통과하는 보조 공기류(9d)·(9d)와의 방향이 평행이 아니기 때문에, 부 연통공(8)과 보조 연통구(9)·(9)와의 경계에서 부 공기류(8d)와 보조 공기류(9d)·(9d)와의 마찰에 의한 미소 란류(微小亂流)가 생기고, 이 미소 란류가 부실(5)의 좌우 양협공간(5b)·(5b)에 도입된다. 이것 때문에, 부실(5)의 좌우 양협공간(5b)·(5b) 내에서의 공기의 유동이 촉진되어, 부실(5) 내에서의 공기와 분사연료(14)와의 혼합이 양호하게 되어, 연소가 일층 양호하게 된다.
이 실시예로서는, 보조 연통구(9)의 주면의 곡율을 부 연통공(8)의 주면의 곡율보다도 크게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부 연통공(8)·(8)을 통과하는 부 공기류(8d)·(8d)의 유속에 비하여 보조 연통구(9)·(9)를 통과하는 보조 공기류(9d)·(9d)의 유속이 느리게 되기 때문에, 부 연통공(8)과 보조 연통공(9)과의 경계에서 부 공기류(8d)와 보조 공기류(9d)와의 마찰에 의하는 미소 란류가 생겨, 이 미소 란류가 부실(5)의 좌우 양협공간(5b)·(5b)에 도입된다. 이것 때문에, 부실(5)의 좌우 양협공간(5b)·(5b) 내에서의 공기의 유동이 촉진되어, 부실(5) 내에서의 공기와 분사연료(14)와의 혼합이 양호하게 되어, 연소가 일층 양호하게 된다. 이 실시예로서는, 보조 연통구(9)를 통과한 보조 공기류(9d)를 부실(5)의 좌우 양협공간(5b)·(5b)에 일층 효율적으로 도입하기 위해서, 제1도(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 연통공(7)의 주면과 한쌍의 부연통공(8)·(8)의 주면과의 두쌍의 경계중, 실린더 중심축선(1a)과 평행한 방향으로 보아서, 주 연통공 축선(7a)을 중앙으로서, 외측 집합의 한쌍의 경계에 보조 연통구(9)·(9)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보조 연통구(9)·(9)가 외측 집합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보조 연통구(9)·(9)를 통과하는 보조 공기류(9d)·(9d)가 부실(5)의 좌우 양협공간(5b)·(5b) 내에서의 공기의 유동이 촉진되어, 부실(5) 내에서의 공기와 분사연료(14)와의 혼합이 양호하게 되어, 연소가 일층 양호하게 된다.
이 실시예로서는, 중앙집합의 한쌍의 경계에도 보조 연통구(9)·(9)를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보조 연통구(9)·(9)가 중앙 집합에도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보조 연통구(9)·(9)를 통과하는 보조 공기류(9d)·(9d)가 부실(5)의 좌우 양협공간(5b)·(5b)에 일층 효율적으로 도입된다. 이것 때문에, 부실(5)의 좌우 양협공간(5b)·(5b) 내에서의 공기의 유동이 촉진되어, 부실(5) 내에서의 공기와 분사연료(14)와의 혼합이 양호하게 되어, 연소가 일층 양호하게 된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는 그림이다. 이 제2실시예로서는 두쌍의 경계중, 외측 집합의 한쌍에 경계에, 보조 연통구(9)·(9)를 형성하여, 중앙 집합의 한쌍의 경계에서는 끝이 예리한 봉우리(11)를 그대로 남기고 있다. 또한, 제4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설명하는 그림이다. 이 제3실시예로서는, 두쌍의 경계중, 중앙 집합의 한쌍의 경계에만 보조 연통구(9)·(9)를 형성하여, 외측 집합의 한쌍의 경계에는 끝이 예리한 봉우리(11)를 그대로 남기고 있다. 다른 구조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하고 있다. 제3도 및 제4도중 제1실시예와 동일의 요소에는, 동일의 부호를 붙여둔다.

Claims (6)

  1. 실린더(1)안에 주 연소실(2)을 마련하고, 실린더 헤드(3)안에 연료분사 노즐(4)을 가지게 한 부실(5)을 마련하여, 주 연소실(2)과 부실(5)을 연통공(6)으로 연통시켜, 연통공(6)을 주 연통공(7)과 부 연통공(8)으로 구성하여, 실린더중심 축선(1a)과 평행한 방향으로 보아서,
    주 연통공 축선(7a)을 중앙으로 하고, 주 연통공(7)의 좌우 양협의 주면 부분에 한쌍의 부 연통공(8)·(8)을 구상(球狀)으로 우묵하게 들어가게 마련하고,
    주 연통공 축선(7a)의 주 연소실측 연장선(7c)의 주 연소실(2)의 중앙부를 통과하여, 주 연통공 축선(7a)의 부실측 연장선(7b)이 부실(5)의 중앙부를 통과하도록 하고,
    상기 한쌍의 부 연통공(8)·(8)의 부 연통공 축선(8a)·(8a)의 부실측 연장선(8b)·(8b)이 주 연통공 축선(7a)의 부실측 연장선(7b)에 점차로 가까이 가도록 하여, 부 연통공(8a)·(8a)의 부실측 연장선(8b)·(8b)끼리 소정의 교차점(10)으로 교차하도록한 디젤엔진의 부실식 연소실이고,
    주 연통공(7)의 주면과 부 연통공(8)·(8)의 주면과의 경계에, 부 연통공(8)·(8)보다도 폭이 작은 보조 연통구(9)·(9)를 우묵하게 들어가게 마련하여,
    실린더 중심 축선(1a)과 평행한 방향으로 보이서, 주 연통공 축선(7a)을 중앙으로 하고, 좌측의 보조 연통구(9)의 형성 방향으로 따르게 축선(9a)의 부실측 연장선(9b)이 상기 교차점(10)의 좌측을 통과하여, 오른쪽의 보조 연통구(9)의 형성 방향에 따라 축선(9a)으 부실측 연장선(9b)이 상기 교차점(10)의 오른쪽을 통과 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젤엔진의 부실시 연소실.
  2. 제1항에 있어서, 실린더 중심 축선(1a)과 평행한 방향으로 보아서,
    보조 연통구(9)의 축선(9a)의 연장선(9b)을, 주 연통공 축선(7a)의 부실측 연장선(7b)과 평행한 방향으로 하고, 또는 평행한 방향보다도 외측에 기울이며, 또 평행한 방향으로부터 경사각도 15°이내에서 중앙측으로 기울게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젤엔진의 부실식 연소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부 연통공 축선(8a)·(8a)의 방향에 대하여 보조 연통구(9)·(9)의 축선(9a)·(9a)의 방향으로 기울이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젤엔진의 부실식 연소실.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하나의 항에 있어서,
    보조 연통구(9)의 주면의 곡율을 부 연통공(8)의 주면의 곡율 보다고 크게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젤엔진의 부실식 연소실.
  5.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하나의 항에 있어서,
    주 연통공(7)의 주면과 한쌍의 부 연통공(8)·(8)의 주면과의 두쌍의 경계중, 실린더 중심 축선(1a)과 평행한 방향으로 보아서, 주 연통공 축선(7a)을 중앙에서, 외측 집합의 한쌍의 경계에 보조 연통구(9)·(9)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젤엔진의 부실식 연소실.
  6. 제5항에 있어서,
    중앙 집합의 한쌍의 경계에도 보조 연통구(9)·(9)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젤엔진의 부실식 연소실.
KR1019970031224A 1996-09-06 1997-07-05 디젤엔진의부실식(副室式)연소실 KR1004393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3605296A JP3191003B2 (ja) 1996-09-06 1996-09-06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副室式燃焼室
JP96-236052 1996-09-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4079A true KR19980024079A (ko) 1998-07-06
KR100439317B1 KR100439317B1 (ko) 2004-09-04

Family

ID=16995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1224A KR100439317B1 (ko) 1996-09-06 1997-07-05 디젤엔진의부실식(副室式)연소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746173A (ko)
EP (1) EP0828065B1 (ko)
JP (1) JP3191003B2 (ko)
KR (1) KR100439317B1 (ko)
CN (1) CN1078306C (ko)
DE (1) DE69710008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4635B1 (ko) * 2007-08-23 2009-02-23 주식회사 세미위즈 방전기능이 구비된 정전기척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57691B2 (ja) * 2001-09-26 2008-10-01 株式会社クボタ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渦流室式燃焼室
EP1403482B1 (en) * 2002-09-27 2010-04-21 Kubota Corporation Swirl chamber used in association with a combustion chamber for diesel engines
MY141622A (en) * 2003-06-19 2010-05-31 Yamaha Motor Co Ltd Exhaust system for an engine
JP2006199176A (ja) * 2005-01-21 2006-08-03 Yamaha Motor Co Ltd スノーモービルの排気装置
JP2006199175A (ja) * 2005-01-21 2006-08-03 Yamaha Motor Co Ltd スノーモービル
JP5984447B2 (ja) * 2012-03-26 2016-09-0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ガスタービンの車室の変形を防止する方法、これを実行するパージ装置、及びこの装置を備えているガスタービン
KR101654870B1 (ko) * 2015-02-05 2016-09-07 (주)우리숲에듀 자기주도놀이가 가능한 조립블록 완구
DE102015220539B4 (de) * 2015-10-21 2017-06-01 Mtu Friedrichshafen Gmbh Vorkammer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Brennkraftmaschine mit einer solchen Vorkammer und Verfahren zum Auslegen und/oder Herstellen einer solchen Vorkammer
CN110131031A (zh) * 2019-06-06 2019-08-16 大连理工大学 一种具备高扰动复合通道的发动机点火室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557449A (en) * 1978-04-07 1979-12-12 Goodacre C L Compression igniti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GB8611510D0 (en) * 1986-05-12 1986-06-18 Rawson F F H Ultrasonic devices
JPH0643806B2 (ja) * 1986-05-23 1994-06-08 株式会社クボタ デイ−ゼルエンジンのうず室式燃焼室
JPH0826769B2 (ja) * 1989-08-09 1996-03-21 株式会社クボタ デイーゼルエンジンの渦流室式燃焼室の噴口
JPH0768898B2 (ja) * 1989-08-09 1995-07-26 株式会社クボタ デイーゼルエンジンの渦流室式燃焼室の噴口
FR2653825B1 (fr) * 1989-10-26 1994-05-27 Peugeot Moteur a allumage par compression comportant une prechambre de turbulence ayant un canal de transfert a ecoulement divergent.
JP2564213B2 (ja) * 1991-04-26 1996-12-18 株式会社クボタ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うず室式燃焼室
JP2929058B2 (ja) * 1993-03-05 1999-08-03 株式会社クボタ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副室式燃焼室
JPH0719048A (ja) * 1993-06-30 1995-01-20 Isuzu Motors Ltd 副室式エンジン
JP3243546B2 (ja) * 1994-08-09 2002-01-07 株式会社クボタ 渦流室式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燃焼室
JP3268344B2 (ja) * 1994-08-09 2002-03-25 株式会社クボタ 渦流室式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燃焼室
JP3025860B2 (ja) * 1995-03-24 2000-03-27 株式会社クボタ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副室式燃焼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4635B1 (ko) * 2007-08-23 2009-02-23 주식회사 세미위즈 방전기능이 구비된 정전기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8306C (zh) 2002-01-23
EP0828065A2 (en) 1998-03-11
KR100439317B1 (ko) 2004-09-04
DE69710008T2 (de) 2002-06-06
EP0828065B1 (en) 2002-01-23
US5746173A (en) 1998-05-05
EP0828065A3 (en) 1998-08-19
CN1176339A (zh) 1998-03-18
DE69710008D1 (de) 2002-03-14
JP3191003B2 (ja) 2001-07-23
JPH1082322A (ja) 1998-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24079A (ko) 디젤엔진의 부실식(副室式) 연소실
US5245964A (en) Intake port structur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EP0148888B1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piston
JP2004316582A (ja) 内燃機関の吸気装置
JPH03189320A (ja) 内燃機関
JPH03182621A (ja) 内燃機関
US5596965A (en) Cylinder head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S60224920A (ja) ピストン頂面の燃焼室構造
JP3295260B2 (ja)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渦室式燃焼室
JP2001152858A (ja)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うず室式燃焼室
JPH0849542A (ja) 渦流室式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燃焼室
JP3295268B2 (ja)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副室式燃焼室
JPH0849546A (ja) 内燃機関の燃焼室
JPS63201315A (ja) 直噴式デイ−ゼルエンジン
JPH1054243A (ja)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渦室式燃焼室
JPH0196422A (ja) ディーゼル機関の燃焼室
JPS6114427A (ja) 2サイクル機関の掃気孔
JPH086595B2 (ja) 内燃機関の燃焼室
JPH0299716A (ja) 内燃機関の燃焼室
JPH0586875A (ja) エンジンの吸気通路構造
JPH0196421A (ja) ディーゼル機関の燃焼室
PL36540B1 (ko)
JPH01170714A (ja) ディーゼル機関の燃焼装置
JPH05195782A (ja) 副燃焼室式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燃焼室
JPH0368213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