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8575A - 화상판독장치 및 셰이딩 보정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판독장치 및 셰이딩 보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8575A
KR19980018575A KR1019970038215A KR19970038215A KR19980018575A KR 19980018575 A KR19980018575 A KR 19980018575A KR 1019970038215 A KR1019970038215 A KR 1019970038215A KR 19970038215 A KR19970038215 A KR 19970038215A KR 19980018575 A KR19980018575 A KR 199800185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ection
image
read
image scanner
imag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8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79863B1 (ko
Inventor
미노루 다께우찌
미쓰오 히라노
Original Assignee
가따오까 마사따까
알프스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8212462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56566A/ja
Priority claimed from JP8335891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173918A/ja
Application filed by 가따오까 마사따까, 알프스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따오까 마사따까
Publication of KR19980018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8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9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98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0Picture signal circuits
    • H04N1/401Compensating positionally unequal response of the pick-up or reproducing h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 Image Signal Circuits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이미지 스캐너가 판독한 원고의 이미지 정보에 근거하여 기록에 농담오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양호한 재현성을 가지는 고품질의 기록을 실시한다.
이미지 스캐너에 의해 판독된 이미지 정보를 이미지 스캐너가 판독한 기준판의 표면 농도정보에 대응하도록 보정하여 기록정보를 작성하는 제어수단이 이미지 정보로부터 기록정보를 작성할 때에 농도보정을 실시하고, 셰이딩 보정에 더하여 농도보정을 실시함으로써, 판독한 원고의 이미지 정보에 근거한 기록에 농담오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명도의 크기에 대한 각 판독소자의 출력치가 비례관계로 되는 보정치를 각 판독소자마다 설정하고, 판독소자로 판독한 화상정보를 보정치에 의거해서 보정하여 출력치를 작성한다.

Description

화상판독장치 및 셰이딩 보정 방법
본 발명은 원고의 이미지 정보를 판독하는 이미지 스캐너를 탑재한 화상판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미지 스캐너로 판독한 원고의 이미지 정보를 양호한 재현성으로 기록할 수 있는 화상판독장치 및 셰이딩 보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반송롤러 및 이것에 압접되는 압접롤러 사이에 소정 기록매체를 끼워 플래턴 (platen) 과 기록수단으로서의 서멀헤드 사이로 반송하고, 그 후 캐리지에 탑재한 상기 서멀헤드를 상기 기록매체에 대하여 소정 압접력으로 압접하도록 하며, 이 상태에서 캐리지를 이동시킴과 동시에 캐리지에 탑재한 리본 카세트의 잉크리본을 감으면서 원하는 기록신호에 의거하여 서멀헤드를 동작시킴으로써 잉크리본의 잉크를 용융전사하여 상기 기록매체에 원하는 기록을 실시하는 열전사 프린터가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다.
또한 광원을 통해 빛을 원고로 조사하고, 원고로부터 반사된 반사광을 정렬배치된 복수의 CCD 소자 등의 판독소자로 판독하여 원고의 화상정보를 전기신호로 변환해서 출력하는 이미지 스캐너라 일컫는 화상판독수단이 컴퓨터의 주변기기나 화상판독수단을 탑재한 기록장치 등에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최근 출원인들은 캐리지에 이미지 스캐너를 부착하여, 캐리지와 플래턴 사이로 소정 원고를 반송한 상태에서 상기 캐리지를 이동시키면서 이미지 스캐너로 원고를 주사함으로써 상기 원고의 이미지 정보를 판독하고, 이 이미지 정보에 의거하여 소정 기록매체에 기록하도록 한 열전사 프린터를 개발하였다.
상술한 이미지 스캐너에 의한 원고의 판독은 이미지 스캐너에 배치되어 있는 발광부재를 통해 원고에 대하여 빛이 조사되고, 그 빛의 반사광을 수광하여 소정 이미지를 판독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발광부재는 복수의 램프 등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램프에서 각각 조사된 빛은 원고상에서 부분적으로 겹치게 된다. 이들 빛이 겹치는 부분의 반사광은 다른 단독 빛의 반사광보다 밝기 때문에, 판독한 이미지 화상에는 실제의 농담(濃淡)과 상이한 농담 정보가 포함되게 된다. 즉, 판독한 이미지 화상은 빛이 겹져 있는 부분의 농담이 실제보다 밝은 농도로 판독되며, 다른 부분의 농담은 이보다 어두운 농도로 판독된다.
이와 같은 스캐너의 출력 불균등이라는 문제점은 광원의 광도 불균등, 렌즈의 정밀도, 원고와 CCD 소자의 위치 정밀도(원고와 CCD 소자의 거리) 불균등 등에 의해서도 발생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스캐너의 출력 불균등이라는 문제점에 대처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는 백색 기준판을 설치하고, 이미지 스캐너로 원고의 화상정보를 판독하기 전에 미리 백색 기준판의 밝기 및 색 (기준정보) 을 판독하여 각 CCD 소자마다 판독한 백색 기준판의 기준정보에 의한 판독 데이터 (출력치) 를 CCD 소자의 출력 최대치가 되도록 보정기준 데이터를 구해 둔다. 그리고, 이 보정기준 데이터를 사용함으로써 동일한 색을 판독하였을 때의 각 CCD 소자마다 상이한 출력치를 각 CCD 소자마다 동일한 출력치로 보정하는 셰이딩 보정이 실시되고 있다.
이 셰이딩 보정은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루어진다. 도 8 의 각 그래프에 있어서 가로축은 이미지 스캐너의 센서를 구성하는 각 CCD 를 일단에서 타단까지 차례로 나타낸 것이고, 세로축은 각 CCD 에 있어서의 출력 (계조도 : 0 ∼ 255) 을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이미지 스캐너로 백색 기준판을 판독하면, 이미지 스캐너의 2 개의 램프 중간부위에 위치하는 각 CCD 의 출력은 커지고, 또한 어느 한 램프의 외측에 위치하는 각 CCD 의 출력은 작아진다. 이 상태가 도 8a 에 나타나 있다.
이 도 8a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미지 스캐너의 센서의 출력파형은 중앙부에 위치하는 각 CCD 로부터의 것이 높고, 양단부에 위치하는 각 CCD 로부터의 것은 낮은 곡선을 그리게 된다.
따라서, 셰이딩 보정으로서 도 8b 에 도시된 것처럼, 도 8a 에 있어서 센서의 출력파형과 요철을 반대로 한 보정계수(0.5 ∼ 1.5)를 작성하고, 이 도 8b 의 보정계수를 도 8a 의 센서의 출력파형에 곱한다. 그러면, 이 셰이딩 보정의 결과로서 도 8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축과 평행한 이상적인 센서의 출력파형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프린터에 있어서는, 이미지 스캐너에 의해 판독되는 원고가 그 판독위치에서 상기 백색 기준판의 평면에 대하여 전후로 기우는 등 각도를 가지게 되면, 상술한 셰이딩 보정을 실시하여도, 실제로 원고가 위치하는 면에 백색 기준판이 있다고 가정하였을 때의 센서로부터의 실제 출력파형은, 도 8d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측으로 올라간 구배를 가지는 직선을 그리게 된다. 또한, 이 도 8d 의 출력파형의 고저차는 도 8a 에 있어서의 출력파형보다도 커진다.
또한, 상기 이미지 스캐너의 각 램프의 광량의 불균일로 인한 조사범위의 편차 등이 발생하면, 사진 등을 이미지 스캐너로 판독하였을 때에 무채색이며 명도가 높은 백색이나 회색 부분에 농도가 불균일한 화이트 셰이딩 (white shading) 이라 일컫는 농담오차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셰이딩 보정을 실시하는 것만으로는, 이미지 스캐너로 판독한 이미지 정보에 의거하여 얻어지는 기록화상은 상기 판독소자에 대응하는 기록소자의 상하위치에서 잘못된 농담이 발생하여 기록품질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었다.
그리고 상술한 종래의 셰이딩 보정에 있어서는, 가장 명도가 큰 (빛 강도가 큰) 백색부터 명도가 작은 (빛 강도가 작은) 흑색까지의 사이에 있는 중간 명도를 가지는 중간색을 판독한 경우, 각 CCD 소자의 출력치가 달라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즉, 종래의 셰이딩 보정에 있어서는 백색을 판독하였을 때의 각 CCD 소자간의 출력치가 일정해지도록 보정되기 때문에, 백색에 관한 각 CCD 소자간의 오차를 없앨 수 있었다. 또한, 가장 명도가 작은 흑색을 판독한 경우에도, 흑색은 명도가 0 이기 때문에 각 CCD 소자의 출력치에 오차는 발생하지 않았다.
그러나, 명도가 최소 (흑색) 에서 최대 (백색) 까지의 사이에 있는, 소위 중간색을 각 CCD 소자로 판독하도록 할 경우에는, 각 CCD 소자의 출력치가 달라진다. 즉,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명도의 크기 (입사광의 강도) 변화에 대하여 각 CCD 소자의 출력치는 비례 (선형) 관계로 되지 않고, 각 CCD 소자마다 각각 고유의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그 결과, 동일한 중간색이 CCD 소자에 판독되었다 하더라도 각 CCD 소자의 출력치는 달라져서 농담차가 발생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오차가 발생하는 원인은 각 CCD 소자의 감도 등의 특성 및 배열위치에 의거하는 반사광 강도의 상이에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미지 스캐너에 대하여 원고가 기울어져서 반송되거나 또한 이미지 스캐너의 발광부재의 광량에 편차가 있어도, 판독한 원고의 이미지 정보에 의거하는 기록에 농담오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고품질의 기록을 실시할 수 있는 프린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미지 스캐너에 의해 판독된 이미지 정보를 이미지 스캐너가 판독한 기준판의 표면정보에 대응하도록 보정하여 기록정보를 작성하는 제어수단이 이미지 정보로부터 기록정보를 작성할 때에 농도보정을 실시하고, 셰이딩 보정에 더하여 농도보정을 실시함으로써, 판독한 원고의 이미지 정보에 의거하는 기록에 농담오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농도보정이 기준판과 원고의 기울기의 불일치로 인한 농도보정과, 이미지 스캐너의 발광부재의 조사범위의 편차로 인한 화이트 셰이딩 보정을 실시함으로써, 이미지 스캐너에 대하여 원고가 기울어져서 반송되거나 또한 이미지 스캐너의 발광부재의 광량에 편차가 있어도 판독한 원고의 이미지 정보에 의거하는 기록에 농담오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농도기준 챠트를 상기 이미지 스캐너로 판독하고, 이 농도기준 챠트의 챠트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농도보정을 실시하며, 이 농도기준 챠트를 원고판독전에 이미지 스캐너에 판독하도록 하여 센서의 출력파형을 검출함으로써 양호한 농도보정을 실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중간색이라도 이미지 스캐너의 각 판독소자간에 출력치의 오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관한 프린터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열전사 프린터의 평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캐리지 부분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이미지 스캐너 부분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 는 도 1 의 측면도이다.
도 5 는 도 1 의 열전사 프린터의 제어장치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 은 도 1 의 열전사 프린터에 있어서 농도보정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 은 도 1 의 열전사 프린터에 있어서 농도보정의 다른 구체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 은 종래의 프린터에 있어서 셰이딩 보정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 는 도 1 의 열전사 프린터의 제어수단의 요부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 은 도 9 에 있어서 보정치 격납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보정 테이블의 설명도이다.
도 11 은 종래의 이미지 스캐너에 있어서 명도의 크기 (입사광의 강도) 와 판독소자에 의한 화상정보의 출력치 (전압) 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6 ... 이미지 스캐너
28 ... CPU 29 ... ROM 30 ... RAM
31 ... 서멀헤드 구동회로 32 ... 서멀헤드 근접·이반 구동회로
33 ... 이미지 스캐서 구동회로 34 ... 캐리지 모터 구동회로
35 ... 반송롤러 구동회로 40 ... 메모리
41 ... 컨트롤러 42 ... A/D 컨버터
우선,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 는 본 발명에 관한 화상판독장치를 적용한 열전사 프린터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프린터(1)의 프레임(8)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평판형상의 플래턴(9)이 배치되어 있고, 프레임(8)의 양측면 사이에는 플래턴(9)의 앞측에 위치하며 플래턴(9)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캐리지샤프트(10)가 지지되어 있다. 이 캐리지샤프트(10) 에는 캐리지(11)가 이 캐리지샤프트(10)를 따라 자유롭게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부착되어 있고, 이 캐리지(11)의 선단부에는 플래턴(9)에 대항해서 기록수단으로서의 서멀헤드(12)가 자유롭게 접근·이반동작할 수 있도록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캐리지(11)의 상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잉크리본을 수납하며, 이 잉크리본을 서멀헤드(12)와 플래턴(9) 사이로 안내하는 리본카세트(13)가 착탈이 자유롭도록 장착되어 있고, 캐리지(11)의 상면에는 리본카세트(13)의 잉크리본을 감기 위한 권취보빈(14) 및 리본카세트를 내보내는 송출보빈(15)이 각각 배치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캐리지(11)의 일측에는 이미지스캐너(16)가 배치되어 있고,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미지스캐너(16)의 플래턴(9)에 대항하는 면에는 개구부(1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미지스캐너(16) 내부의 개구부(17) 양측에는 램프 등으로 이루어지는 2 개의 발광부재(18)가 개구부(17)를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이미지스캐너(16)의 내부에는 발광부재(18)를 통해 원고에 대하여 조사한 빛의 반사광을 도시하지 않은 렌즈를 통해 수광하고, 그 광량에 대응하여 출력하는 이미지센서유니트(19)가 배치되어 있다. 이 이미지센서유니트(19)의 센서는 반사광을 수광하기 위하여 정렬배치된 복수의 CCD 와 같은 판독소자(도시생략)로 구성되며, 각 판독소자의 광도를 센서의 출력으로 한 것으로서, 원고의 이미지 정보의 농담에 따라 빛의 원고면에 있어서의 반사율이 달라짐으로써, 이미지 정보에 대응한 센서의 출력을 얻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프레임(8)의 일단부 하측에는 캐리지 구동모터(20)가 그 출력축이 프레임(8) 상면으로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이 캐리지 구동모터(20)의 출력축에는 이 캐리지 구동모터(20)에 의하여 회전구동되는 구동풀리(21)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8)의 타단부 상면에는 종동(從動)풀리(22)가 회전이 자유롭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구동풀리(21)와 종동풀리(22) 사이에는 일부가 캐리지(11)의 하면에 연결된 캐리지 구동벨트(23)가 걸쳐져 있다. 그리고, 캐리지 구동모터(20)를 회전구동하여 구동풀리(21)를 통해 캐리지 구동벨트(23)를 구동시킴으로써, 캐리지(11)를 캐리지샤프트(10)를 따라 플래턴(9)과 평행하게 왕복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 플래턴(9)의 후부 하측에는 소정 기록매체를 소정 속도로 반송하는 반송롤러(24)가 배치되어 있고, 이 반송롤러(24)의 하측에는 이 반송롤러(24)에 압접되는 복수의 압접롤러(25)가 회전이 자유롭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프레임(8)의 후측에는 도시하지 않은 급지장치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 급지장치에는, 예를 들면 원고 혹은 소정 원고를 지지한 원고홀더와 용지 등의 기록매체가 번갈아 포개진 상태로 수납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은 반송모터에 의하여 반송롤러(24)를 회전구동시킴으로써, 급지장치로부터 반송롤러(24)와 이 압접롤러(25)사이로 공급되는 원고홀더 및 기록매체를 서멀헤드(12)와 플래턴(9) 사이로 반송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플래턴(9)의 상측에는 기록후의 기록매체를 안내하는 배지(排紙)롤러(26)가 배치되어 있다.
또, 프레임(8)의 플래턴(9) 일측에는 이미지스캐너(16)에 의한 판독시에 셰이딩 보정을 실시하기 위한 기준판인 백색기준판(27)이 배치되어 있다. 이 백색기준판(27)은 표면을 백색 일색으로 무늬없이 형성하고 있다.
도 5 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화상판독장치의 제어수단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CPU(28)에는 사용되는 기록매체의 종류에 대응한 기록조건 등이 기억된 ROM(29) 및 각종 데이터를 기억하는 RAM(30)이 접속되어 있다. CPU(28)에는 이미지스캐너(16)에 의해 판독된 이미지 정보가 보내지도록 이루어져 있고, 이 CPU(28)로부터는 서멀헤드(12)에 대한 통전제어를 실시하는 서멀헤드 구동회로(31), 서멀헤드(12)를 플래턴(9)에 대하여 근접·이반동작하도록 하는 서멀헤드 근접·이반 구동회로(32), 이미지스캐너(16)의 구동제어를 실시하는 이미지 스캐너 구동회로(33), 캐리지 구동모터 구동회로(34) 및 반송롤러 구동회로(35)에 대하여 각각 제어신호가 보내지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이미지스캐너(16)로 판독한 원고의 이미지 정보에 관한 농도보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농도보정으로서는, 이미지스캐너(16)에 의해 판독되는 원고가 그 판독위치에서 백색기준판(27)의 평면에 대하여 전후로 기우는 등 각도를 가지고 있는 경우의 보정이 있다. 즉, 원고가 백색기준판(27)의 평면에 대하여 각도를 가지고 있으면, 백색기준판(27)과 실제로 판독되는 원고의 기울기의 불일치가 발생하기 때문에, 아무리 이미지스캐너(16)로 백색기준판(27)의 표면을 판독하여 셰이딩 보정을 실시하도록 하여도, 판독한 원고의 이미지 정보에 의거하는 기록매체상의 기록에는 농담오차가 발생하므로, 이 농담오차를 방지하기 위한 농도보정이 필요하다.
도 6 은 이 농도보정을 셰이딩 보정에 가미한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6 의 각 그래프에 있어서 가로축은 이미지스캐너(16)의 센서를 구성하는 각 CCD를 일단에서 타단까지 순서대로 나타낸 것이고, 세로축은 각 CCD 에 있어서의 출력(계조도 : 0 ∼ 255)을 나타낸 것이다.
도 6 에 있어서, 이미지스캐너(16)로 백색기준판(27)을 판독하면, 이미지스캐너의 2 개의 발광부재(18) 중간부분에 위치하는 각 CCD 의 출력은 커지고, 또한 어느 한 발광부재(18)의 외측에 위치하는 각 CCD 의 출력은 작아진다. 이 상태가 도 6a 에 나타나 있다.
이 도 6a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미지스캐너(16)의 센서의 출력파형은 중앙부에 위치하는 각 CCD 로부터의 것이 높고, 양단부에 위치하는 각 CCD 로부터의 것이 낮은 곡선을 그리게 된다.
따라서, 셰이딩 보정으로서 도 6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도 6a 에 있어서 센서의 출력파형의 요철을 반대로 한 보정계수를 작성하고, 이 도 6b 의 보정계수를 도 6a 의 센서의 출력파형에 곱한다. 그러면, 이 셰이딩 보정의 결과로서 도 6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 축과 평행한 이상적인 센서의 출력파형이 얻어지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이미지스캐너(16)에 의해 판독되는 원고가 그 판독위치에서 백색기준판(27)의 평면에 대하여 전후로 기우는 등 각도를 가지게 되면, 상술한 셰이딩 보정을 실시하여도, 이 실제로 원고가 위치하는 면에 백색기준판(27)이 있다고 가정하였을 때의 센서로부터의 실제 출력파형은, 도 6d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측으로 올라간 구배를 가지는 직선을 그리게 된다. 또한, 이 도 6d 의 출력파형의 고저차는 도 6a 에 있어서의 출력파형보다도 커진다.
그런데, 상술한 백색기준판(27)과 원고의 기울기에 대하여 설명하자면, 프린터(1)의 제조에 있어서 각 부품의 조립시에 백색기준판(27)의 방향은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고, 또한 프린터(1) 기구의 조립완성시에 원고홀더에 지지된 원고를 판독위치에 위치결정함으로써 원고의 방향도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백색기준판(27)과 원고의 기울기는 프린터(1) 기구의 완성시에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백색기준판(27)과 원고의 기울기에 의거하는 도 6e 의 보정계수를 산출하고, 이것을 도 6d 의 센서의 출력파형에 곱한다. 그 결과, 도 6f 에 나타내는 보정된 출력파형이 얻어진다. 이 도 6f 에 있어서 센서의 출력파형은 도 6d 에 있어서의 출력파형과 비교하여 고저차가 완만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이 도 6f 의 출력파형을 기준으로 하면, 단순한 셰이딩 보정 뿐만 아니라 백색기준판(27)과 원고의 기울기에 의거하는 농도보정을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농담오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고품질의 기록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미지스캐너(16)의 각 발광부재(18)의 광량의 불균일로 인한 조사범위의 편차 등이 발생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사진 등을 이미지스캐너(16)로 판독하였을 때에 무채색이며 명도가 높은 백색이나 회색 부분에 농도가 불균일한 화이트 셰이딩이라 일컫는 농담오차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이 화이트 셰이딩으로 인한 농도오차를 방지하기 위한 농도보정을 상술한 셰이딩 보정과 기울기로 인한 농도보정에 가미하면, 더욱 양호한 품질의 기록을 실시할 수 있다.
도 7 은 이와 같은 화이트 셰이딩 해소의 농도보정을 가미한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 7a ∼ 7e 는 상술한 도 6a ∼ 6e 와 동일하다.
따라서, 도 7 e 에 나타내는 백색기준판(27)과 원고의 기울기에 의거하는 보정계수를 산출하면, 계속해서 미리 설정해 둔 도 7f 에 나타내는 화이트 셰이딩의 해소를 위한 보정계수를 도 7e 의 보정계수와 함께 도 7d 의 센서의 출력파형에 곱한다. 그 결과, 도 7g 에 나타내는 보정된 출력파형이 얻어진다. 이 도 7g 에 있어서 센서의 출력파형은 도 7d 에 있어서의 출력파형과 비교할 것도 없이 고저차가 거의 없어졌다.
따라서, 이 도 7g 의 출력파형을 기준으로 하면, 단순한 셰이딩 보정 뿐만 아니라 백색기준판(27)과 원고의 기울기에 의거하는 농도보정 및 화이트 셰이딩 해소의 농도보정도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농담오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고품질의 기록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실시형태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열전사 프린터(1)에 의하여 원고홀더에 지지된 원고에 대한 판독과 기록매체에 대한 기록을 실시할 경우에는, 우선 원고가 지지된 원고홀더와 기록매체를 번갈아 포갠 상태에서 급지장치에 수납하여 둔다.
그리고, CPU(28)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반송롤러(24)를 회전구동시킴으로써, 급지장치로부터 반송롤러(24)와 이 압접롤러(25)사이로 공급되는 원고홀더를 서멀헤드(12)와 플래턴(9) 사이로 반송한다.
이어서, CPU(28)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이미지스캐너(16)가 셰이딩 보정을 위하여 백색기준판(27)의 주사를 실시하고, 그 센서의 출력파형이 RAM(30)에 입력된다. 그리고, RAM(30)에는 도 6e 의 기울기 보정계수, 혹은 도 7e 와 도 7f 의 기울기 보정계수와 화이트 셰이딩 보정계수가 미리 입력되어 있으며, 셰이딩 보정을 실시한 출력파형이 상기 보정계수를 곱함으로써 보정된다.
이어서, CPU(28)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캐리지 구동모터(20)를 구동하여 캐리지(11)를 이동시켜 이미지스캐너(16)를 원고에 대하여 가로방향으로 주사시킨다. 그러면, 원고를 판독하기 위하여 이미지스캐너(16)가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며, 각 발광부재(18)에서 원고로 빛을 조사함과 동시에 이 원고로부터의 반사광을 이미지센서유니트(19)로 수광하여 원고의 가로방향의 이미지 정보를 판독한다. CPU(28)는 이 이미지 정보에 RAM(30)에 기억시켜 둔 보정계수에 의거하여 보정된 출력파형을 가미하여 RAM(30)에 기억시켜 둔다.
그 후, 반송롤러(24)를 구동하여 원고홀더를 소정량 반송하고, 다시 캐리지(11)를 이동시키면서 원고의 다음 부위의 이미지 정보를 판독한다. CPU(28)는 이 이미지 정보에 RAM(30)에 기억시켜 둔 보정계수에 의거하여 보정된 출력파형을 가미하여 RAM(30)에 기억시켜 둔다.
이와 같이 하여 원고의 반송과 이미지스캐너(16)에 의한 원고의 이미지 정보의 판독을 번갈아 실시하여 원고의 모든 이미지 정보를 판독하면, 원고를 지지하고 있는 원고홀더를 배출함으로써, 원고의 이미지 정보의 판독동작이 종료된다.
그리고, CPU(28)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반송롤러(24)를 회전구동시킴으로써, 급지장치로부터 반송롤러(24)와 이 압접롤러(25) 사이로 공급되는 기록매체를 서멀헤드(12)와 플래턴(9) 사이로 반송한다. 그 후, CPU(28)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서멀헤드(12)를 플래턴(9)에 압접시킨 상태에서 캐리지 구동모터(20)를 구동하여 캐리지(11)를 이동시킴과 동시에 권취보빈(14)을 회전구동하여 잉크리본을 감으면서 RAM(30)에 기억된 셰이딩 보정 및 농도보정후의 원고에 이미지 정보에 의거하여 서멀헤드(12)의 발열소자를 선택적으로 발열시킴으로써, 소정 기록매체에 대하여 보정을 실시한 출력파형을 사용하여 기록하게 된다. 이 출력파형으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셰이딩 보정에 도 6e 의 기울기 보정계수, 혹은 도 7e 와 도 7f 의 기울기 보정계수와 화이트 셰이딩 보정계수에 의한 보정을 가한 것으로 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미지스캐너(16)가 판독하여 원고의 이미지 정보를 셰이딩 보정 뿐만 아니라 농도보정하여 기록정보로 변환하였기 때문에, 기록의 농담오차를 보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셰이딩 보정을 위한 기준판으로서 백색기준판(27)을 플래턴(9)의 길이방향의 연장상에 배치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기준판을 원고의 판독에 사용하는 원고홀더에 설치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농도보정에 사용하는 기울기 보정계수와 화이트 셰이딩 보정계수를 프린터(1)의 기구완성시에 미리 설정하도록 설명하였으나, 이미지 스캐너에 의한 원고의 판독전에 기울기 보정계수와 화이트 셰이딩 보정계수를 합한 농도 보정계수를 설정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는 이미지 스캐너로 판독하도록 하는 농도기준 챠트라 일컫는 시트가 사용된다. 이 농도기준 챠트는 이미지 스캐너에 의해 판독되는 측의 표면에 일례로서 반사율 50 % 의 회색 단색원고가 기재된 것이다.
그리고, 실제 원고의 판독전에 이 농도기준 챠트를 원고홀더에 장착하여 이미지 스캐너로 농도기준 챠트의 반사율 50 % 의 회색 단색원고가 기재된 면을 판독하고, 판독한 농도기준 챠트의 이미지 정보에 상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한 셰이딩 보정을 실시하여 센서의 출력파형을 형성하고, 이 형성한 출력파형을 근거로 농도 보정계수를 설정한다. 그리고, 이 농도 보정계수를 셰이딩 보정한 출력파형에 곱하여 최종적인 출력파형을 결정한다. 이 최종적인 출력파형이 고저차가 없는 직선상으로 되면, 상술한 농도 보정계수를 실제로 판독한 원고의 이미지 정보의 출력파형에 곱하는 보정을 실시하면 된다. 또한, 만약 상술한 최종적인 출력파형이 고저차를 가지는 곡선상으로 되면, 이미지 스캐너에 의한 농도기준 챠트의 판독부터 재개한다.
이와 같이 농도보정 챠트를 이미지 스캐너에 판독하도록 하여 센서의 출력파형을 검출함으로써 더욱 양호한 농도보정을 실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상판독장치에 의하면, 이미지 스캐너에 대하여 원고가 기울어져서 반송되거나 또한 이미지 스캐너의 발광부재의 광량에 편차가 있어도, 판독한 원고의 이미지 정보에 의거하는 기록에 농담오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고품질의 기록을 실시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화상 처리 장치를 적용한 기록장치인 프린터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로서 설명한 것과 구성 및 동작이 동일하며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9 는 본 실시형태의 열전사 프린터(1)의 제어장치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적어도 CPU(28)와, 적절한 용량의 ROM, RAM 등으로 형성된 메모리(40)와, 프린터(1)의 각부를 구동하기 위한 컨트롤러(41)를 가지고 있다.
메모리(40)에는 적어도 이미지 스캐너(16)로부터 출력되며 A/D 컨버터(42)에 의해 디지털 전기신호로 변환된 화상 데이터나 그 농담을 나타내는 명도 등의 각종 입력 데이터가 격납되는 입력데이터 격납부(43)와, 이미지센서유니트(19)의 각 CCD 소자가 판독한 빛의 강도(명도가 큰)에 대하여 출력치(출력전압)가 비례관계로 되도록 보정하기 위한 보정식 또는 보정 테이블이 격납되어 있는 보정치 격납부(44)와, 각종 프로그램을 격납하는 프로그램 격납부(45)와, 기록을 위한 기록 데이터, 화상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제어지령, 기록을 실시하기 위한 제어지령 등의 각종 출력 데이터를 격납하는 출력 데이터 격납부(46)를 가지고 있다.
보정치 격납부(44)에는 구체적으로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관계, 즉 명도의 크기에 관한 입력 데이터에 대하여 출력 데이터(출력치)가 비례관계로 되는 보정치가 설정되어 있는 보정 테이블 또는 보정식이 격납되어 있다. 이 도 10 에 나타내는 입력 데이터와 출력 데이터의 관계는, 어느 한 CCD 소자가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센서특성을 가지는 경우에 대응하는 보정치로서, 각 CCD 소자마다 미리 검사되어 설정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보정치에 의하여 입력데이터를 보정함으로써, 중간색에 관한 명도의 크기와 출력치가 비례관계를 가지게 되어 각 CCD 소자간의 명도 크기에 대한 오차를 없앨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격납부(45)에는 적어도 각 CCD 소자마다 판독한 원고의 화상정보를 보정치 격납부(44)내의 각 CCD 소자마다의 보정 테이블 또는 보정식에 의거하여 셰이딩 보정을 실시한 출력치(출력데이터)로 변환하는 연산처리를 위한 프로그램이 격납된 보정 처리부(47)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화상데이터(출력데이터)를 Y(노란색), C(청록색), M(적자색)으로 이루어지는 삼원색의 3색 색데이터로 색분해하여 Y색 화상 데이터, C색 화상 데이터, M색 화상 데이터 3 종류의 색화상 데이터를 형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각 색마다의 색화상 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기록을 위한 기록 데이터를 각 색마다 형성하는 프로그램, 이미지 스캐너(16)에서 출력되는 입력데이터(스캔한 모든 데이터)에서 원고 또는 용지의 유무, 부(副)주사방향으로 주행하는 원고 또는 용지의 선단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프로그램, 이미지 스캐너(16)에서 출력되는 입력데이터에서 주(主)주사방향에 위치하는 원고 또는 용지의 양단위치를 검출하는 프로그램, 캐리지(11)의 기준위치를 검출하는 프로그램, 기록시에 각 색마다의 기록 데이터를 소정 색의 순서로 라인단위(기록업(業) 단위)로 출력 데이터 격납부(46)로 출력하기 위한 프로그램, 판독한 원고의 화상정보를 엽서 등의 용지에 직접 기록하는 기록시에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기록 프로그램 등이 격납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기록시에는 기록 프로그램에 의하여 각 색마다 형성된 각 기록 데이터의 전부를 출력 데이터 격납부(46)로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프로그램 격납부(45)의 보정 처리부(47)에 격납된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CPU(28)가 각 색마다의 기록 데이터를 형성하고, 이 각 색마다의 기록 데이터는 출력 데이터 격납부(46)에 기억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입력 데이터 격납부(43), 보정치 격납부(44) 및 보정 처리부(47)에 의하여 본 실시형태의 화상처리장치가 구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화상처리장치를 프린터(1)의 제어수단(3) 내부에 설치하였으나, 이 화상처리장치를 이미지 스캐너(16)의 내부에 설치하여도 된다. 또한, 제어수단(3)은 예를 들면 각 부를 복수로 분할하여 독립적으로 설치하는 구성이어도 되며, 특별히 본 실시형태의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어서,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실시형태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프린터(1)에 의한 원고의 화상정보의 판독은, 수작업 등에 의하여 원고의 선단을 반송롤러(24)와 도 4 에 있어서 반송롤러(24)의 좌측에서 비스듬하게 하측에 나타낸 압접롤러(25)의 사이에 끼워 세트상태로 함으로써 개시된다. 그리고 원고가 세트상태로 되면, 메모리(40)에 미리 기억된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제어수단(3)으로부터 이미지 스캐너(16), 캐리지 구동모터(20) 및 종이 이송 모터(2)로 제어지령이 송출됨으로써, 이미지 스캐너(16)의 각 발광부재(18)가 점등되어 가동상태로 됨과 동시에, 캐리지(11)는 도 1 에 있어서 좌측에 나타내는 홈포지션(HP)을 향하여 플래턴(9)을 따라 이미지 스캐너(16)의 주주사방향으로 주행을 개시하고, 원고는 이미지 스캐너(16)의 부주사방향으로 주행을 개시한다. 그리고, 캐리지(11)가 미리 홈포지션(HP)에 위치할 경우에는, 일단 우측으로 주행한 후에 홈포지션(HP)으로 복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미지 스캐너(16)는 화상판독시 뿐만 아니라 기록시에도 각 발광부재(18)가 점등되어 가동상태로 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이미지 스캐너(16)가 홈포지션(HP)을 향하여 주주사방향으로 주행하는 도중에 이미지 스캐너(16)에 의하여 이미지 스캐너(16)의 앞측에 위치하는 모든 정보가 판독됨과 동시에 원고의 화상정보의 판독을 개시하기 위하여 원고의 앞부분을 내보낸다.
이 때, 이미지 스캐너(16)에 의해 판독된 입력 데이터(스캔한 모든 데이터) 는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A/D 컨버터(42)에 의하여 디지털 전기신호로 변환되어 메모리(40)의 입력 데이터 격납부(43)에 기억된다.
그리고, 이들 입력 데이터로부터 프로그램 격납부(45)에 격납된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CPU(28)가 원고의 유무, 원고의 선단위치, 원고의 측단위치 및 캐리지(11)의 기준위치를 검출하고, 이 검출결과에 의거하여 제어수단(3)으로부터 캐리지 구동모터(20) 및 종이 이송 모터(2)에 제어지령이 송출됨과 동시에 원고의 정확한 앞부분을 확실하게 내보낼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원고의 화상정보의 판독이 개시되면, 제어수단(3)으로부터의 제어지령에 의거하여 캐리지 구동모터(20)가 구동되어 캐리지(11)가 도 1 에 있어서 우측으로 이동하고, 이미지 스캐너(16)에 의하여 원고의 1 라인분 화상정보가 이미지 센서 유니트(19)의 각 CCD 소자마다 판독된다. 그리고, 원고의 1 라인분 화상정보의 판독이 종료되면, 제어수단(3)의 제어지령에 의거해서 종이 이송 모터(2)가 구동되어 원고를 1 라인분만큼 이미지 스캐너(16)의 주주사방향과 직교하는 부주사방향으로 주행시킨다.
이하, 동일한 방법으로 이미지 스캐너(16)의 1 라인분의 주주사방향으로의 주행과 원고의 이미지 스캐너(16)의 1 라인분의 주주사방향과 직교하는 부주사방향으로의 주행을 반복함으로써 원고의 모든 화상정보가 라인단위로 판독되며,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A/D 컨버터(42)에 의해 디지털 전기신호로 변환되어 메모리(40)의 입력 데이터 격납부(43)에 순차적으로 기억된다.
그리고, 이미지 스캐너(16)에 의하여 라인단위로 판독된 원고의 화상정보는, CPU(28)에 의하여 보정 처리부(47)에 격납된 프로그램을 따라 보정치 격납부(44)내의 해당 화상정보의 명도 크기에 대응하는 보정 테이블 또는 보정식에 의거하여 셰이딩 보정을 실시한 출력치(출력 데이터)로 된다. 그 후, 각종 데이터 처리가 실시되어 출력 데이터 격납부로 기록정보로서 순차적으로 기억된다.
본 실시형태의 프린터(1)에 의한 원고의 화상 데이터의 처리를 정리하면, 미리 각 CCD 소자마다 각 색의 명도 크기(입사광의 빛 강도)에 대한 출력치가 비례관계로 되는 보정 테이블 또는 보정식을 작성하여 보정치 격납부(44)에 격납하여 둔다. 그리고, CPU(28)가 이미지 스캐너(16)에 의하여 판독한 원고의 화상정보를 각 CCD 소자마다 보정치 격납부(44)에 격납된 각 CCD 소자의 고유한 보정 테이블 또는 보정식을 사용하여 셰이딩 보정함으로써, 원하는 보정 출력치(출력 데이터)를 얻을 수 있게 되어 있다. 그 후 각종 처리(원하는 출력을 얻기 위한 편집처리)를 실시함으로써 데이터 처리가 완료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명도의 크기와 각 CCD 소자의 출력치도 관계가 비례관계로 되며, 중간색이어도 각 CCD 소자간에 출력치의 오차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보다 정확한 고품질의 기록화상을 얻을 수 있다.

Claims (7)

  1. 원고의 이미지 정보를 판독하는 이미지 스캐너;
    상기 이미지 스캐너가 판독한 이미지 정보를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기록수단;
    상기 이미지 스캐너가 판독한 이미지 정보를 기록할 때의 출력을 균일하게 보정하기 위하여 상기 이미지 스캐너에 의하여 표면의 농도가 판독되는 기준판; 및
    상기 이미지 스캐너에 의해 판독된 이미지 정보를 이미지 스캐너가 판독한 상기 기준판의 표면 농도정보에 대응하도록 보정하여 기록정보를 작성하고 농도보정을 실시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농도보정은
    상기 기준판과 원고 기울기의 불일치로 인한 농도보정 및
    상기 이미지 스캐너의 발광부재의 조사범위의 편차로 인한 화이트 셰이딩 보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농도기준 챠트를 상기 이미지 스캐너로 판독하고, 상기 농도기준 챠트의 챠트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농도보정을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장치.
  4. 정렬배치한 복수의 판독소자를 가지는 화상 판독 수단의 감도 불균등을 보정하는 화상판독수단의 셰이딩 보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셰이딩 보정에서 명도의 크기에 대한 각 판독소자의 출력치가 비례관계로 되는 보정치를 각 판독소자마다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판독소자로 판독한 화상정보를 상기 보정치에 의거해서 보정하여 출력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수단의 셰이딩 보정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치는 각 판독소자마다의 보정 테이블에 화상정보를 조합(照合)하여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셰이딩 보정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치는 각 판독소자마다의 보정식에 화상정보를 대입함으로써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셰이딩 보정 방법.
  7. 정렬배치한 복수의 판독소자를 가지는 화상 판독 수단으로 판독한 원고의 화상정보를 셰이딩 보정하기 위한 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처리장치가
    명도의 크기에 대한 각 판독소자의 출력치가 비례관계로 되는 보정치를 격납하는 보정치 격납부; 및
    각 판독소자에 의해 판독된 화상정보를 상기 보정치 격납부의 소정 보정치를 조합하여 셰이딩 보정을 실시한 출력치로 하기 위한 보정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KR1019970038215A 1996-08-12 1997-08-11 화상판독장치를구비한프린터 KR1002798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212462A JPH1056566A (ja) 1996-08-12 1996-08-12 プリンタ
JP96-212462 1996-08-12
JP8335891A JPH10173918A (ja) 1996-12-16 1996-12-16 画像読取手段のシェーディング補正方法および画像処理装置
JP96-335891 1996-12-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8575A true KR19980018575A (ko) 1998-06-05
KR100279863B1 KR100279863B1 (ko) 2001-03-02

Family

ID=26519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8215A KR100279863B1 (ko) 1996-08-12 1997-08-11 화상판독장치를구비한프린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075621A (ko)
KR (1) KR100279863B1 (ko)
CN (1) CN1096176C (ko)
DE (1) DE19734878A1 (ko)
FR (1) FR2752653B1 (ko)
GB (1) GB2316259B (ko)
TW (1) TW33949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72392A (en) * 2001-02-16 2002-08-21 Hewlett Packard Co Improvements to image capture
CN1193270C (zh) * 2001-09-10 2005-03-16 佳能株式会社 图像形成装置及其调整方法
JP4564705B2 (ja) * 2002-09-10 2010-10-20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ラー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TW574820B (en) * 2002-09-11 2004-02-01 Veutron Corp Image calibration method
KR100644687B1 (ko) * 2005-03-18 2006-11-10 삼성전자주식회사 복합기의 화상 보정 방법 및 장치
EP1705895A1 (en) * 2005-03-23 2006-09-27 Canon Kabushiki Kaisha Print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related control method
US7525693B2 (en) * 2005-08-15 2009-04-28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reading apparatus and image reading method
JP2007104444A (ja) * 2005-10-05 2007-04-19 Canon Inc 画像読取装置及びその異物領域表示方法
US20080118172A1 (en) * 2006-11-22 2008-05-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KR101090059B1 (ko) * 2007-06-12 2011-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처리장치 및 그 쉐이딩 방법
US20110286054A1 (en) * 2010-05-19 2011-11-24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Reading head
US10447890B2 (en) 2016-09-16 2019-10-15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reading apparatus with shading correction
JP7040117B2 (ja) * 2018-02-27 2022-03-2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読取データの生産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353299A1 (de) * 1972-12-18 1974-06-27 Ibm Kompensationsschaltung
DE3068810D1 (en) * 1979-10-12 1984-09-06 Xerox Corp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ensating a raster scanner for component deficiencies
US4285004A (en) * 1980-02-25 1981-08-18 Ampex Corporation Total raster error corre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automatic set up of television cameras and the like
US4404597A (en) * 1981-12-02 1983-09-13 Xerox Corporation Two dimensional radiometric compensation for scanning apparatus
JPS5916464A (ja) * 1982-07-20 1984-01-27 Fuji Xerox Co Ltd シエ−デイング補正装置
IT1183816B (it) * 1985-05-03 1987-10-22 Olivetti & Co Spa Dispositivo di lettura digitale di documenti per apparecchiature di trasmissioni e o riproduzione di immagini con compensazione in ampiezza dei segnali di lettura
US4980778A (en) * 1989-05-11 1990-12-25 At&T Bell Laboratories Method for correcting nonuniformities in pixel output level for a line scanner
US4970598A (en) * 1989-05-30 1990-11-13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for correcting shading effects in video images
US5202773A (en) * 1989-12-22 1993-04-13 Fuji Xerox Co., Ltd. Multiple value image input device with chromatic gradation correction
EP0439357B1 (en) * 1990-01-25 1997-07-23 Hewlett-Packard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nsor compensation in a document scanner
GB9007014D0 (en) * 1990-03-29 1990-05-30 Dowty Maritime Systems Ltd Thermal recording apparatus
JPH05500146A (ja) * 1990-05-10 1993-01-14 イーストマン・コダック・カンパニー 2進アーキテクチャプリントヘッドを使用するグレイレベルをプリントする方法及び装置
US5086343A (en) * 1990-05-11 1992-02-04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ensating for sensitivity variations in the output of a solid state image sensor
JP2811913B2 (ja) * 1990-05-19 1998-10-15 ソニー株式会社 光電変換素子のシェーディング補正回路
JPH0795804B2 (ja) * 1991-02-15 1995-10-1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JPH04368064A (ja) * 1991-06-14 1992-12-21 Minolta Camera Co Ltd イメージスキャナ
US5282053A (en) * 1991-10-23 1994-01-25 Xerox Corporation Scan image processing
JPH05153353A (ja) * 1991-11-29 1993-06-18 Mita Ind Co Ltd 画像形成装置
JPH066594A (ja) * 1992-06-18 1994-01-14 Ricoh Co Ltd カラー画像処理装置
JPH0785269A (ja) * 1993-09-09 1995-03-31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752653B1 (fr) 2001-08-31
GB2316259A (en) 1998-02-18
GB9716056D0 (en) 1997-10-01
GB2316259B (en) 2000-09-06
KR100279863B1 (ko) 2001-03-02
CN1173775A (zh) 1998-02-18
TW339494B (en) 1998-09-01
CN1096176C (zh) 2002-12-11
US6075621A (en) 2000-06-13
DE19734878A1 (de) 1998-02-19
FR2752653A1 (fr) 1998-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44952B2 (ja) イメージセンサユニット、及び、画像読取装置
KR100279863B1 (ko) 화상판독장치를구비한프린터
US8259370B2 (en) Image reading device having line sensor performing pre-scan based on condition set for main-scan
US8804208B2 (en) Image reading apparatus
JPH07101913B2 (ja) 画像形成装置
US20090195840A1 (en) Method of shading correction in image reader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JP2005271372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位置の補正方法
EP1193063B1 (en) Image forming device
US20140098151A1 (en) Inkjet recording apparatus and recording position adjustment method
US20060017944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7482691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テストパターン
JP2022150560A (ja) 画像読取装置
JP2005271369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位置の補正方法
EP2141904B1 (en) Image reading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reading method
KR100322147B1 (ko) 화상리드수단의쉐이딩보정방법및리드화상처리장치
JP2024031558A (ja) 画像読取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US7605950B2 (en) Printing apparatus
JP5500391B2 (ja) 画像読取装置、印刷装置
JPH0546374Y2 (ko)
JP2006352791A (ja) 複合機システム、複合機システムにおける給紙制御方法
JP2958912B2 (ja) 画像形成装置
JPH1056566A (ja) プリンタ
JP2022182374A (ja) 画像読取りシステム、画像読取り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2005094220A (ja) 画像読取装置、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H1051634A (ja) 画像読取装置及び基準濃度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