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05578B1 - 필기구 - Google Patents
필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05578B1 KR102705578B1 KR1020207037416A KR20207037416A KR102705578B1 KR 102705578 B1 KR102705578 B1 KR 102705578B1 KR 1020207037416 A KR1020207037416 A KR 1020207037416A KR 20207037416 A KR20207037416 A KR 20207037416A KR 102705578 B1 KR102705578 B1 KR 10270557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ameter base
- shaft
- axle
- mentioned
- writing instrument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5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321 preser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1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3011 m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717 re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966 trim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5056 cell body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1615 conjug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2—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or similar porous or capillary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11/00—Filling devices
- B43K11/005—Filling devices for refilling capillary reservoi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8—Protecting means, e.g. ca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8—Protecting means, e.g. caps
- B43K23/12—Protecting means, e.g. caps for pe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3/00—Nib hold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5/00—Pens with ink reservoirs in holders, e.g. fountain-pens
- B43K5/005—Pen barr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03—Pen barr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2—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or similar porous or capillary material
- B43K8/04—Arrangements for feeding ink to writing-poi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2—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or similar porous or capillary material
- B43K8/04—Arrangements for feeding ink to writing-points
- B43K8/12—Arrangements for feeding ink to writing-points writing-points or writing-point units being separable from reservo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필기구(1)에 있어서, 잉크 흡장체(7)를 수용한 후축(6)에, 전축(5)이 착탈자유롭게 마련된다. 전축(5)의 후부 외면에 감합부(51)가 마련되고, 감합부(51)는, 후축(6)의 개구부 내면에 형성된 피감합부(61)에 착탈자유롭게 걸린다. 감합부(51)는, 외향 압접부(53)와, 지름방향에 관통해서 마련되는 슬릿(54)을 구비한다. 피감합부(61)는, 내향 압접부(63)를 구비한다. 전축(5)과 후축(6)을 접속했을 때는, 전축(5)과 후축(6)이 지름방향으로 압접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잉크 흡장체를 수용한 후축(後軸)에 전축(前軸)을 착탈자유롭게 마련하고, 상기 전축을 상기 후축으로부터 떼어낸 상태에서 상기 잉크 흡장체를 교환하거나 또는 상기 잉크 흡장체에 잉크를 보충하는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본체통에 대해서 착탈통을 축방향으로 끼우고 떼어낼 수 있도록 되어 있고, 그 본체통 및/또는 그 착탈통 내부의 잉크 수용체를 착탈할 수 있도록 구성된 필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본체통과 상기 착탈통 중, 그 한쪽의 통에는, 둘레방향(周方向)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지름방향으로 돌출하는 돌기부가 복수 마련되어 있고, 그 다른쪽의 통에는, 상기 복수의 돌기부에 접촉가능한 요철이 없는 압접면(壓接面)이 마련되어 있고, 이들 쌍방의 통을 접속했을 때에 그 돌기부와 그 압접면이 지름방향으로 서로 압접하도록 되어 있다. 해당 필기구에 따르면, 본체통에 대한 착탈통의 끼우고 떼어냄이 용이하며, 본체통과 착탈통을 나사결합 접속한 양태와 같이 본체통과 착탈통이 꽉 끼게(뻑뻑하게) 너무 죄어 버리는 일이 없고, 나아가서는, 잉크 수용체의 교환을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구성에서는, 돌기부와 압접면과의 지름방향의 압접에 의해서만 본체통과 착탈통이 접속(감합(嵌合))된다. 이 때문에, 본체통과 착탈통이 수지 부품인 경우에는, 수지 부품의 크리프에 의해서 감합력이 원하는 레벨보다 작아져 버려, 본체통으로부터 착탈통이 원치 않게 분리되어(빠져) 버릴 우려가 있고, 또, 반대로, 수지 부품끼리의 고착(固着)(이른바 블록화(blocking))에 의해서 감합력이 원하는 레벨보다 커져 버려, 원하는 힘으로 본체통으로부터 착탈통을 분리하는(빼내는) 것이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즉,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구성에서는, 본체통과 착탈통을 착탈자유롭게 접속(감합)시킬 때의 적절한 감합력의 설정 및 그 유지가 곤란하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서, 전축(특허문헌 1의 착탈통에 상당)과 후축(특허문헌 1의 본체통에 상당)을 착탈자유롭게 접속(감합)시킬 때의 적절한 감합력의 설정 및 그 유지가 비교적 용이한 필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전(前)」이란, 펜끝측을 가리키고, 「후(後)」란, 그 반대측을 가리킨다.
본 발명은, 잉크 흡장체를 수용한 후축에 전축을 착탈자유롭게 마련하고, 상기 전축을 상기 후축으로부터 떼어낸 상태에서 상기 잉크 흡장체를 교환하거나 또는 상기 잉크 흡장체에 잉크를 보충하는 필기구로서, 상기 전축의 후방부와, 상기 후축의 전방부가, 서로 착탈자유롭게 감합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전축의 후방부 및 상기 후축의 전방부의 한쪽이, 원통모양의 소경 기부(小徑基部)와, 상기 소경 기부의 외면에 있어서 지름방향으로 돌출해서 마련된 외향 압접부(壓接部)와, 축선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함과 동시에, 적어도 일부의 축선방향의 위치가 상기 외향 압접부의 적어도 일부의 축선방향의 위치와 겹치는 패턴으로, 상기 소경 기부를 지름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관통해서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슬릿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전축의 후방부 및 상기 후축의 전방부의 다른쪽이, 상기 소경 기부보다 대경(大徑)으로 상기 소경 기부가 삽입되는 원통모양의 대경 기부와, 상기 대경 기부의 내면에 마련된 내향 압접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전축의 상기 후방부와 상기 후축의 상기 전방부가 감합될 때에, 상기 외향 압접부와 상기 내향 압접부가 서로 지름방향으로 압접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경 기부를 지름방향으로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슬릿이, 축선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하고 있고, 또한, 그 적어도 일부의 축선방향의 위치가 외향 압접부의 적어도 일부의 축선방향의 위치와 겹쳐 있다. 따라서, 소경 기부가 대경 기부 내에 삽입될 때(압입시)에는, 해당 슬릿의 폭이 작아지도록 소경 기부가 변형함으로써, 삽입 작업이 원활하게 되는 반면에, 삽입 후(압입 후)에는, 해당 슬릿의 폭이 원래대로 돌아가려고 하는 복원력 때문에, 외향 압접부와 내향 압접부가 서로 지름방향으로 충분한 힘으로 압접된다. 이것에 의해, 전축과 후축을 착탈자유롭게 접속(감합)시킬 때의 적절한 감합력의 설정 및 그 유지가, 비교적 용이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향 압접부는, 상기 슬릿이 관통해서 마련된 부분을 제외하고, 둘레방향으로 연장존재(延在)하고 있다. 이 경우, 전축과 후축의 접속이 한층 더 안정되기 때문에, 양호한 필기감 및 필기 성능이 얻어진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향 압접부는, 상기 소경 기부의 선단부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안쪽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전축의 상기 후방부와 상기 후축의 상기 전방부가 감합될 때, 상기 소경 기부의 선단부에 있어서, 해당 소경 기부의 외면과 상기 대경 기부의 내면은 지름방향으로 접촉하지 않는다(비접촉이다). 이 경우, 압접부 이외의 부분에 대해서, 높은 치수 정밀도가 불필요해지고, 전축과 후축을 착탈자유롭게 접속시킬 때의 적절한 감합력의 설정 및 그 유지가 더욱더 용이화된다. 또, 부품(전축 및 후축)의 생산성도 향상한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경 기부는, 상기 외향 압접부로부터 축선방향으로 이간하는 외향 걸림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대경 기부는, 상기 내향 압접부로부터 축선방향으로 이간하는 내향 걸림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전축의 상기 후방부와 상기 후축의 상기 전방부가 감합될 때에, 상기 외향 걸림부와 상기 내향 걸림부는, 서로 축선방향으로 걸리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전축과 후축의 축선방향의 걸림 기능이 가해지기(미치기) 때문에, 전축과 후축의 접속이 한층 더 안정되어, 보다 양호한 필기감 및 필기 성능이 얻어진다,
또, 이 경우,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향 압접부는, 상기 슬릿이 관통해서 마련된 부분을 제외하고 둘레방향으로 연장존재하고 있고, 상기 내향 압접부는, 둘레방향으로 연장존재해서, 상기 외향 압접부와 서로 지름방향으로 압접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외향 걸림부는, 상기 슬릿이 관통해서 마련된 부분을 제외하고 둘레방향으로 연장존재하고 있고, 상기 내향 걸림부는, 둘레방향으로 연장존재해서, 상기 외향 걸림부와 서로 축선방향으로 걸리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전축과 후축의 접속이 더욱더 한층 안정되기 때문에, 더욱더 양호한 필기감 및 필기 성능이 얻어진다,
또, 이 경우,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향 걸림부는, 상기 대경 기부의 내면에 있어서 지름방향으로 오목하게 마련되어 있고, 상기 내향 압접부는, 상기 대경 기부의 내면에 매끄럽게 연속함과 동시에 상기 대경 기부의 내면과 동일한 곡률을 가지는 원통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경우, 내향 압접부용의 특별한 가공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부품의 생산성이 향상한다.
혹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축의 상기 후방부와 상기 후축의 상기 전방부가 감합될 때에, 상기 외향 압접부와 상기 내향 압접부는, 서로 축선방향으로 걸리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도, 전축과 후축의 축선방향의 걸림 기능이 가해지기 때문에, 전축과 후축의 접속이 한층 더 안정되어, 보다 양호한 필기감 및 필기 성능이 얻어진다,
또, 비(非)필기시에 상기 전축을 덮는 뚜껑을 더 구비하고, 상기 뚜껑 내면의 일부는, 상기 후축 외면의 일부의 전체둘레에 걸쳐서 밀접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뚜껑을 뺄(분리할) 때에 전축이 빠진다고 하는 일이 없다. 이것에 의해, 전축과 후축을 공고히 감합할 필요가 없고, 전축과 후축과의 적절한 감합력의 설정이 한층 더 용이해진다. 또, 후축의 외면의 형상 내지는 외경은 일반적으로 안정되어 있기 때문에, 뚜껑의 내면과 후축의 외면과의 감합에 있어서 확실한 기밀 성능이 얻어진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축을 상기 후축으로부터 떼어낼 때에, 상기 잉크 흡장체는 상기 후축으로부터 떼어내져서 상기 전축의 내부에 수용 보존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잉크 흡장체를 교환할 때의 작업성, 또는, 잉크 흡장체에 잉크를 보충할 때의 작업성이 향상한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릿은, 상기 소경 기부의 선단부측에 개구하고 있고, 해당 소경 기부의 선단부측으로부터 안쪽을 향해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 소경 기부가 대경 기부 내에 삽입될 때(압입시)에는, 슬릿의 선단부측의 비교적 폭넓은 부분이 활용되는 반면에, 삽입 후(압입 후)에는, 슬릿의 안쪽의 비교적 폭좁은 부분에 의해서, 굴곡에 대한 강성이 높아진다. 또, 이와 같은 슬릿의 형상이 채용되는 경우, 전축을 트리밍다이(拔型)로 제조하는 것이 용이하고,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가 있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릿은, 둘레방향에 대략 등간격으로 3 이상의 홀수(奇數)의 개수가 마련되어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슬릿의 폭을 좁게 해도, 소경 기부가 대경 기부 내에 삽입될 때의 작업성을 높게 유지할 수가 있다. 한편, 각각의 슬릿의 폭을 좁게 하는 것에 의해, 굴곡에 대한 강성이 높아진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경 기부의 내면에는, 상기 슬릿 내에 삽입되는 리브가 마련되어 있다. 이 경우, 굴곡에 대한 강성이 높아진다. 또, 전축과 후축과의 상대 회전을 방지하는 기능을 부가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필기구에 의하면, 전축과 후축을 착탈자유롭게 접속(감합)시킬 때의 적절한 감합력의 설정 및 그 유지가 비교적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1∼제6 실시형태의 보존유지 부재의 종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c는 도 3a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1∼제6 실시형태의 펜끝의 정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펜끝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주요부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전축의 정면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후축의 종단면도이다.
도 6c는 도 6a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의 실시형태의 주요부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전축의 정면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후축의 종단면도이다.
도 8c는 도 8a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의 전축의 정면도이다.
도 9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의 후축의 종단면도이다.
도 9c는 도 9a의 E-E선 단면도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의 전축의 정면도이다.
도 10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의 후축의 종단면도이다.
도 10c는 도 10a의 F-F 단면도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의 주요부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11b는 도 11a의 H-H선 단면도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의 전축의 정면도이다.
도 12b는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의 후축의 종단면도이다.
도 12c는 도 12a의 G-G 단면도이다.
도 12d는 도 12b의 K-K 단면도이다.
도 13a는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의 주요부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13b는 도 13a의 I-I선 단면도이다.
도 14a는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의 전축의 정면도이다.
도 14b는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의 후축의 종단면도이다.
도 14c는 도 14a의 J-J 단면도이다.
도 14d는 도 14b의 L-L 단면도이다.
도 15a는 본 발명의 제7 실시형태의 전축의 정면도이다.
도 15b는 본 발명의 제7 실시형태의 후축의 종단면도이다.
도 15c는 도 15a의 N-N선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1∼제6 실시형태의 보존유지 부재의 종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c는 도 3a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1∼제6 실시형태의 펜끝의 정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펜끝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주요부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전축의 정면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후축의 종단면도이다.
도 6c는 도 6a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의 실시형태의 주요부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전축의 정면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후축의 종단면도이다.
도 8c는 도 8a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의 전축의 정면도이다.
도 9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의 후축의 종단면도이다.
도 9c는 도 9a의 E-E선 단면도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의 전축의 정면도이다.
도 10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의 후축의 종단면도이다.
도 10c는 도 10a의 F-F 단면도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의 주요부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11b는 도 11a의 H-H선 단면도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의 전축의 정면도이다.
도 12b는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의 후축의 종단면도이다.
도 12c는 도 12a의 G-G 단면도이다.
도 12d는 도 12b의 K-K 단면도이다.
도 13a는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의 주요부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13b는 도 13a의 I-I선 단면도이다.
도 14a는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의 전축의 정면도이다.
도 14b는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의 후축의 종단면도이다.
도 14c는 도 14a의 J-J 단면도이다.
도 14d는 도 14b의 L-L 단면도이다.
도 15a는 본 발명의 제7 실시형태의 전축의 정면도이다.
도 15b는 본 발명의 제7 실시형태의 후축의 종단면도이다.
도 15c는 도 15a의 N-N선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6개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필기구(1)는, 주로, 뚜껑(2)과, 펜끝(3)과, 펜끝(3)을 보존유지한 보존유지 부재(4)와, 잉크 흡장체(7)와, 잉크 흡장체(7)를 내부에 수용한 전축(5)과, 후축(6)으로 이루어져 있다. 보존유지 부재(4)는, 전축(5)의 보존유지 부재 감합부(58)에 압입 감합되어 있다. 필기구(1)는, 잉크 흡장체(7)를 수용한 후축(6)에 전축(5)을 착탈자유롭게 마련하고, 전축(5)을 후축(6)으로부터 떼어낸 상태에서 잉크 흡장체(7)를 교환하거나 또는 잉크 흡장체(7)에 잉크를 보충하는 필기구이다.
·펜끝
펜끝(3)의 일단부가, 필기부(31)로서, 보존유지 부재(4)의 전방 개구부의 전단 가장자리부(44)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펜끝(3)의 타단부(후부(後部)(35))는, 잉크 흡장체(7)의 전단부에, 찔러넣는 모양(突刺狀)으로 접속되어 있다. 예를 들면, 필기부(31)는, 치즐(chisel) 형상으로 가공되어 있다. 무엇보다, 필기부(31)는, 치즐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포탄 형상, 장방형상, 사각기둥 형상, 판모양 형상 등의 목적에 따른 다른 형상으로 가공되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필기구의 형태는, 도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잉크 흡장체(7)의 양단에 서로 다른 형태의 펜끝을 장착시킨 양두식(兩頭式) 필기구이더라도 좋다.
펜끝(3)은, 도 2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단에 필기부(31)를 가지는 전부(前部)(33)와, 보존유지 부재(4) 및 전축(5)에 의해 외면이 전후방향으로 협지(挾持)되는 원통모양의 중앙부(34)와, 잉크 흡장체(7)의 전단부와 찔러넣는 모양으로 접속되는 원통모양의 후부(35)를 가지고 있다. 펜끝(3)의 전부(33)는, 횡단면 대략 장방형상을 가지고 있다. 필기시에 있어서, 펜끝(3)의 전부(33)는, 횡단면 대략 장방형상의 긴변측으로 휨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그와 같은 가요성을 가지고 있다).
펜끝(3)은, 연속 기포를 가지는 합성 수지의 다공질체로 이루어진다. 무엇보다, 펜끝(3)은, 잉크가 유통가능하며 가요성을 가지는 것이면 좋고, 구체적으로는, 섬유 펜끝, 펠트 펜끝, 모필(毛筆) 펜끝, 축선방향의 모세관 통로를 가지는 플라스틱 펜끝 등을 들 수 있다.
·잉크 흡장체
잉크 흡장체(7)는, 잉크를 함침(含浸)가능한 연속 기공을 가지는 부재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섬유다발의 열융착 가공체, 섬유다발의 수지 가공체, 펠트의 수지 가공체, 펠트의 니들펀치 가공체, 다공질체(예를 들면, 스펀지 등의 합성 수지의 연속 기포체) 등을 들 수 있다. 또, 잉크 흡장체(7)는, 그의 외주면에 합성 수지 필름 등으로 이루어지는 외피를 가져도 좋다.
전축(5)을 후축(6)으로부터 떼어낼 때, 잉크 흡장체(7)는, 전축(5)의 세로리브(57)의 후단으로부터 축선방향 후방으로 연장하는 보존유지 리브(59)에 보존유지된 채 후축(6)으로부터 떼어내져서, 전축(5)의 내부에 수용 보존유지된다. 이것에 의해, 잉크 흡장체(7)를 교환할 때의 작업성, 또는, 잉크 흡장체(7)에 잉크를 보충할 때의 작업성이 향상한다. 또한, 전축(5)의 보존유지 리브(59)는, 전축(5)의 감합부(51)의 내면 상으로까지 연장하고 있어도 좋다.
·뚜껑
비필기시에 전축(5)을 덮는 뚜껑(2)은, 후단이 개구되고 또한 전단이 폐색된, 바닥벽(底壁)과 둘레벽(周壁)으로 이루어지는 원통모양의 바닥부가 있는(有底) 통체이다. 뚜껑(2)은, 예를 들면, 합성 수지(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등)의 사출 성형에 의해 얻어진다.
본 실시형태의 뚜껑(2)은, 후축(6)과 착탈자유롭게 접속된다. 상세하게는, 뚜껑(2)의 내면에 마련된 후축 감합부(22)가, 후축(6)의 외면에 마련된 뚜껑 감합부(65)에 감합된다. 이것과 동시에, 후축 감합부(22)의 전방에 마련된 고리모양(環狀) 밀봉부(21)가, 뚜껑 감합부(65)의 전방에 마련된 기밀부(64)에 대해서 기밀하게 감합된다. 즉, 비필기시에 있어서, 뚜껑(2)은 전축(5)을 덮고, 뚜껑(2) 내면의 일부(후축 감합부(22))는 후축(6) 외면의 일부(뚜껑 감합부(65))에 감합되고, 뚜껑(2) 내면의 일부(고리모양 밀봉부(21))가 후축(6) 외면의 일부(기밀부(64))에 전체둘레에 걸쳐서 밀접된다.
여기서, 특허문헌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돌기부가 소정 간격을 두고 3개 마련되어 있는 경우는, 착탈통이 감합된 본체통의 횡단면 형상은 삼각형에 가까운 형상으로 된다. 이 경우에는, 뚜껑과 본체통의 밀접부 사이에서 적절한 기밀 성능이 얻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있고, 펜끝 건조에 의한 필기 불량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를 회피할 수 있도록,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축(5)의 외향 작용부(외향 걸림부(係止部)(53a)와 외향 압접부(53b))와 후축(6)의 내향 작용부(내향 걸림부(63a)와 내향 압접부(63b))가 둘레방향에 있어서 연속적으로 연장존재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전축(5)과 후축(6)을 감합한 상태에 있어서, 후축(6)의 외면의 횡단면 형상은, 대략 진원(眞圓)이다. 이것에 의해, 뚜껑(2)과 후축(6) 사이에서 적절한 기밀 성능을 얻을 수가 있다.
·전축
전축(5)은, 양단부가 개구된 통모양체(筒狀體)이고, 예를 들면 합성 수지의 사출 성형에 의해 얻어진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축(5)의 전단부 내면에는, 보존유지 부재(4)의 후단부 외면(제2의 리브(43b): 도 3 참조)이 압입 감합되는 보존유지 부재 감합부(58)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전축(5)의 보존유지 부재 감합부(58)의 후방에는, 축선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개(여기에서는 8개)의 세로리브(57)가, 둘레방향에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존유지 부재(4)의 제1의 맞닿음(當接) 벽부(42)와, 세로리브(57)의 전단측의 제2의 맞닿음 벽부(56a)에 의해서, 펜끝(3)의 중앙부(34)가 전후방향으로 협지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보존유지 부재(4)로부터의 펜끝(3)의 빠짐(이탈) 내지는 보존유지 부재(4)(전축(5))에의 펜끝(3)의 매몰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펜끝(3)의 보존유지 부재(4)로부터의 돌출량을 정확하게 규제할 수도 있다. 또한, 세로리브(57)의 후단측의 제3의 맞닿음 벽부(56b)는, 잉크 흡장체(7)의 전단부를 전후방향으로 규제한다.
전축(5)의 후부는, 감합부(51)로 되어 있고, 해당 감합부(51)는, 후축(6)의 개구부의 피감합부(61)에 착탈자유롭게 감합되어 있다.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감합부(51)는, 원통모양의 소경 기부(小徑基部)(52)와, 소경 기부(52)의 외면에 있어서 지름방향으로 돌출해서 마련된 외향 걸림부(53a)와, 소경 기부(52)의 외면에 있어서 마찬가지로 지름방향으로 돌출해서 마련됨과 동시에 외향 걸림부(53a)로부터는 축선방향으로 이간해 있는 외향 압접부(53b)와, 축선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함과 동시에 소경 기부(52)를 지름방향으로 관통하도록(가로지르도록) 관통해서 마련된 하나의 슬릿(54)을 가지고 있다. 외향 걸림부(53a)는, 둘레방향으로(슬릿(54)이 마련된 부분을 제외하고 고리모양으로) 연장존재하고 있고, 외향 압접부(53b)도, 마찬가지로 둘레방향으로(슬릿(54)이 마련된 부분을 제외하고 고리모양으로) 연장존재하고 있다. 슬릿(54)은, 그의 일부의 축선방향의 위치가, 외향 걸림부(53a)의 축선방향의 위치 및 외향 압접부(53b)의 축선방향의 위치와 겹친다고 하는 바와 같은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다(슬릿(54)이, 외향 걸림부(53a) 및 외향 압접부(53b)에 걸치는 바와 같은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소경 기부(52)가 대경 기부(大徑基部)(62)(도 6b 참조) 내에 삽입될 때(압입시)에는, 슬릿(54)의 폭이 작아지도록 소경 기부(52)가 변형함으로써 삽입 작업이 원활하게 된다. 한편, 삽입 후(압입 후)에는, 슬릿(54)의 폭이 원래대로 돌아가려고 하는 복원력 때문에, 외향 압접부(53b)와 내향 압접부(63b)(도 6b 참조)가 서로 지름방향으로 충분한 힘으로 압접된다. 이것에 의해, 전축(5)과 후축(6)을 착탈자유롭게 접속(감합)시킬 때의 적절한 감합력의 설정 및 그 유지가, 비교적 용이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향 압접부(53b)는, 외향 걸림부(53a)의 후방(소경 기부(52)의 선단에 가까운 쪽)에 마련되어 있다. 또, 전축(5)은, 후축(6)의 개구부가 맞닿는 단차부(段部)(55)를 가지고 있다.
또한, 전축(5)은, 그의 외면에, 펜끝(3)의 향함(방향)을 식별하기 위한 방향 식별부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방향 식별부는, 축선방향으로 연장하는 돌기에 의해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필기하기 직전에 펜끝(3)의 방향을 눈으로 보는 것(目視)에 의해서 확인할 필요가 없고, 펜끝(3)을 노출시킨 후, 즉시(즉석에서) 필기 사용할 수가 있다.
치수의 구체예를 들면, 소경 기부(52)의 길이(단차부(55)로부터 후방의 길이)는 15㎜이고, 소경 기부(52)의 내경은 φ7.2㎜이고, 소경 기부(52)의 외경은 φ8.8㎜이다. 슬릿(54)의 길이는 14.5㎜이고, 슬릿(54)의 폭은 균일하며 1㎜이다. 외향 걸림부(53a)는, 축선방향으로 단차부(55)로부터 3.8㎜∼5.2㎜인 영역에 있어서 둘레모양(周狀)(슬릿(54) 부분을 제외하고 고리모양)으로, 단면이 원호모양(圓弧狀)인 융기부(소경 기부(52)로부터의 융기 높이 0.15㎜)로서 형성되어 있다. 외향 압접부(53b)는, 축선방향으로 단차부(55)로부터 11.3㎜∼12.7㎜인 영역에 있어서 둘레모양(슬릿(54)의 부분을 제외하고 고리모양)으로, 단면이 원호모양인 융기부(소경 기부(52)로부터의 융기 높이 0.15㎜)로서 형성되어 있다.
· 후축
전축(5)의 후단부에 착탈자유롭게 연결되는 후축(6)은, 전단이 개구되고 또한 후단이 폐색된, 바닥벽과 둘레벽으로 이루어지는 원통모양의 바닥부가 있는 통체이다. 후축(6)은, 예를 들면, 합성 수지(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등)의 사출 성형에 의해 얻어진다.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감합부(61)는, 소경 기부(52)보다 대경으로 소경 기부(52)가 삽입되는 원통모양의 대경 기부(62)와, 대경 기부(62)의 내면에 있어서 지름방향으로 오목하게 마련된 내향 걸림부(63a)와, 대경 기부(62)의 내면에 매끄럽게 연속함과 동시에 대경 기부(62)의 내면과 동일한 곡률을 가지는 원통면으로 이루어지는 내향 압접부(63b)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내향 압접부(63b)는, 내향 걸림부(63a)의 후방에 마련되어 있다.
외향 압접부(53b)와 내향 압접부(63b)(도 6b 참조)가 서로 지름방향으로 충분한 힘으로 압접되는 것에 더하여, 외향 걸림부(53a)와 내향 걸림부(63a)(도 6b 참조)가 서로 축선방향으로 걸리는 것에 의해, 전축(5)과 후축(6)이 지름방향 및 축선방향의 양쪽에 대해서 「덜컹거림(헐거움)」없이 접속된다. 이 때문에, 쓰는 느낌이 좋고 안정된 필기가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향 압접부(53b)는, 소경 기부(52)의 선단부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안쪽(전방)에 마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전축(5)과 후축(6)이 감합될 때, 소경 기부(52)의 선단부에 있어서, 감합부(51)의 외면(소경 기부(52)의 외면)과 후축(6)의 선단 내면(대경 기부(62)의 내면)은 지름방향으로 접촉하지 않는다(비접촉이다).
만일 가령, 전축(5)과 후축(6)이 감합될 때에, 소경 기부(52)의 선단부에 있어서 감합부(51)의 외면과 후축(6)의 선단 내면이 지름방향으로 접촉한다면, 접속 후의 후축(6)의 외경(즉 기밀부(64)의 외경)이 너무 크게 될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뚜껑(2)이 후축(6)의 외면에 감합되면, 뚜껑(2)과 후축(6)과의 감합력이 너무 높게(꽉 끼게) 될 우려가 있다.
이에 반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전축(5)과 후축(6)이 감합될 때에, 소경 기부(52)의 선단부에 있어서 감합부(51)의 외면과 후축(6)의 선단 내면이 지름방향으로 접촉하지 않기(비접촉이기) 때문에, 감합부(51)는 기밀부(64)의 외경 치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외향 압접부(53b)(및 외향 걸림부(53a)) 이외의 부분에 대해서, 소경 기부(52)에 높은 치수 정밀도가 불필요해지고, 전축(5)과 후축(6)을 착탈자유롭게 접속시킬 때의 적절한 감합력의 설정 및 그 유지가 더욱더 용이화되고 있다. 또 부품(전축(5) 및 후축(6))의 생산성도 향상한다. 또, 후축(6)의 외면의 형상 내지는 외경은 일반적으로 안정되어 있기 때문에, 뚜껑(2)의 내면과 후축(6)의 외면과의 감합에 있어서 확실한 기밀 성능 및 감합력이 얻어진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내향 걸림부(63a)는, 외향 걸림부(53a)와 걸림가능한 고리모양 홈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반면에, 내향 압접부(63b)는, 외향 압접부(53b)와 접촉가능한 요철이 없는 압접면(대경 기부(62)의 내면에 매끄럽게 연속함과 동시에 대경 기부(62)의 내면과 동일한 곡률을 가지는 원통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전축(5)과 후축(6)이 감합될 때, 후축(6)의 개구부와 단차부(55)가 맞닿게 되고, 외향 걸림부(53a)와 내향 걸림부(63a)(고리모양 홈)가 축선방향으로 걸리고, 외향 압접부(53b)와 내향 압접부(63b)(압접면)가 지름방향으로 압접된다. 이것에 의해, 전축(5)과 후축(6)이 적절한 걸림 위치에서 감합되기 때문에, 전축(5)과 후축(6)을 착탈자유롭게 접속시킬 때의 적절한 감합력을 보다 확실하게 얻을 수가 있다. 또, 전축(5)과 후축(6)을 정상적으로 접속할 수 있던 것을, 사용자에게 알기 쉽게 인식시킬 수가 있다.
이 점에 관해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구성에서는, 본체통과 착탈통과의 감합에 클릭감을 부여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즉, 사용자에게 본체통과 착탈통을 정상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고 하는 안심감을 줄 수 없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이에 반해, 본 실시형태의 필기구(1)에 의하면, 전축(5)과 후축(6)과의 감합을 클릭감이 있는 감합으로 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사용자에게 전축(5)과 후축(6)을 정상적으로 접속할 있다고 하는 안심감을 줄 수가 있다.
또, 외향 걸림부(53a)와 내향 걸림부(63a)가 축선방향으로 걸리고, 외향 압접부(53b)와 내향 압접부(63b)가 지름방향으로 압접되기 때문에, 전축(5)과 후축(6)은 축선방향의 2군데에서 서로 작용한다. 이것에 의해, 필기시에 있어서 전축(5)과 후축(6)이 축선방향 및 지름방향의 양쪽에 대해서 「덜컹거림(헐거움)」없이 접속되고, 쓰는 느낌이 좋고 안정된 필기가 가능해진다.
치수의 구체예를 들면, 대경 기부(62)의 내경은 φ8.9㎜이고, 대경 기부(62)의 외경은 φ10.7㎜이다. 내향 걸림부(63a)는, 축선방향으로 대경 기부(62)의 선단(전방단)으로부터 4.1㎜∼5.5㎜인 영역에 있어서 둘레모양으로, 단면이 사다리꼴모양(台形狀) 또는 단면이 원호모양인 오목부(최대 깊이 0.15㎜)로서 형성되어 있다. 뚜껑 감합부(65)는, 축선방향으로 대경 기부(62)의 선단으로부터 8.6㎜∼10.4㎜인 영역에 있어서 둘레방향에 이산적으로 대략 등간격의 4점(4군데)에서 단면이 원호모양인 융기부(융기 높이 0.3㎜)로서 형성되어 있다.
·보존유지 부재
보존유지 부재(4)는, 양단부가 개구된 통모양체이고, 예를 들면 합성 수지의 사출 성형에 의해 얻어진다.
도 3a∼도 3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존유지 부재(4)의 후부(횡단면 원형상)의 내면에는, 펜끝(3)의 중앙부(34)가 압입 감합되는 축선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개(여기에서는 4개)의 제1의 리브(43a)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보존유지 부재(4)의 후부(횡단면 원형상)의 외면에는, 전축(5)의 보존유지 부재 감합부(58)에 압입 감합되는 축선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개(여기에서는 6개)의 제2의 리브(43b)가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의 리브(43b)와 전축(5)의 보존유지 부재 감합부(58)에 의해서 형성되는 연통구멍(連通孔)은, 공기 유통구멍으로서 기능해서, 펜끝(3)으로부터의 원활한 잉크 토출(吐出)을 가능하게 한다.
또, 도 2도 참조하면, 보존유지 부재(4)는, 전방측에, 펜끝(3)의 전부(33)를 포위하는 횡단면 대략 장방형상의 보존유지부(41)를 가지고 있다. 필기부(31)는, 보존유지 부재(4)의 보존유지부(41)의 전단 가장자리부(44)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해 있다.
펜끝(3)의 정부(頂部)(32)는, 보존유지 부재(4)의 전단 가장자리부(44)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해 있지만, 그 돌출량은, 0.2㎜보다 크고 6.0㎜보다 작은 것, 바람직하게는, 1.0㎜보다 크고 5.0㎜보다 작은 것이 유효하다. 이와 같은 바람직한 범위 내에 있어서, 돌출량이 작으면 강성감이 있는 확고한(안정되어 있는) 필감(筆感)이 얻어지고, 돌출량이 크면 부드러운 필감이 얻어진다.
보존유지 부재(4)의 전단 가장자리부(44)에는, 모따기(面取) 또는 R(둥글림)이 마련되어 있다. 특히, 적어도 펜끝(3)이 접촉할 가능성이 있는 펜끝(3)측의 가장자리에는, 모따기 또 R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펜끝(3)이 과도하게 휘어 보존유지 부재(4)의 전단 가장자리부(44)에 접촉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펜끝(3)의 전부(33)에 가해지는 부하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어, 펜끝(3)의 부러짐이나 손상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도 2 및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존유지 부재(4)의 전단 가장자리부(44)는 대략 직선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필기부(31)의 정부(32)는 대략 직선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보존유지 부재(4)의 전단 가장자리부(44)의 축선방향에 대한 각도는, 필기부(31)의 정부(32)의 축선방향에 대한 각도와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펜끝(3)이 과도하게 휜 경우에 보존유지 부재(4)의 전단 가장자리부(44)에 의해서 펜끝(3)에 가해지는 부하가, 펜끝(3)의 전부(33)에 균일하게 가해져서, 펜끝(3)의 부러짐이나 손상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여기서, 보존유지 부재(4)의 전단 가장자리부(44)의 축선방향에 대한 각도란, 보존유지 부재(4)의 전단 가장자리부(44)와 축선방향이 이루는 각도 중, 90도 이하의 각도를 가리키고, 필기부(31)의 정부(32)의 축선방향에 대한 각도란, 정부(32)와 축선방향이 이루는 각도 중, 90도 이하의 각도를 가리킨다. 또, 이들 양각도가 대략 동일하다는 것은, 바꾸어 말하면, 보존유지 부재(4)의 전단 가장자리부(44)와 정부(32)가 대략 평행하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 이들 각도는, 30도 이상 90도 이하로 설정되고, 바람직하게는 45도 이상 90도 이하로 설정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필기부(31)가 지면에 접촉하는 짧은변의 연장선을 따르는 방향에서 필기구 전체를 보았을 때에, 보존유지 부재(4)로부터 노출한 펜끝(3)의 형상은, 대략 평행 사변형 혹은 장방형이다. 이것에 의해, 필기부(31)의 형상 및 그 방향은, 전단 가장자리부(44)의 형상에 의해서 파악될 수 있다. 이 때문에, 필기하기 직전에 펜끝(3)의 향함(방향)을 직접 눈으로 보고 확인할 필요가 없고, 펜끝(3)을 노출시킨 후, 즉시 필기 사용할 수가 있다.
또한, 보존유지 부재(4)의 색은, 펜끝(3)의 색(즉 잉크색)과 다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전단 가장자리부(44)의 향함(방향)이 보다 두드러져, 필기부(31)의 형상 및 그 방향을 보다 확인하기 쉬워진다. 또한, 펜끝(3) 자체를 검정(黑) 등의 어두운 색으로 착색하고, 보존유지 부재(4)를 펜끝(3)과는 다른 밝은 색으로 착색한 경우는, 한층 더 전단 가장자리부(44)의 향함이 두드러져, 필기부(31)의 형상 및 그 방향을 보다 확인하기 쉬워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전축(5)과 후축(6)을 착탈자유롭게 감합시키는 구조는, 보존유지 부재(4)와 전축(5)과의 감합 구조에 적용해도 좋다. 이것에 의하면, 보존유지 부재(4)와 전축(5)이 적절한 감합력으로 착탈자유롭게 감합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기분 좋은 감각을 줄 수가 있다. 또, 사용자에게 보존유지 부재(4)와 전축(5)을 정상적으로 접속할 수 있던 것을 알기 쉽게 인식시킬 수 있기 때문에, 펜끝의 교환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다.
<제2 실시형태>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주요부 확대 종단면도이고, 도 8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전축의 정면도이고, 도 8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후축의 종단면도이고, 도 8c는, 도 8a의 D-D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전축(205)의 감합부(251)와 후축(206)의 피감합부(261)가, 제1 실시형태와는 다르다. 제2 실시형태의 그밖의 구성은, 제1 실시형태의 필기구(1)와 대략 마찬가지이다. 도 7∼도 8c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 구성 부분에는 마찬가지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축
전축(205)도, 양단부가 개구된 통모양체이고, 예를 들면 합성 수지의 사출 성형에 의해 얻어진다. 전축(205)의 후부가, 감합부(251)로 되어 있고, 해당 감합부(251)는, 후축(206)의 개구부의 피감합부(261)에 착탈자유롭게 감합되어 있다. 도 7 및 도 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감합부(251)는, 원통모양의 소경 기부(252)와, 소경 기부(252)의 외면에 있어서 지름방향으로 돌출해서 마련된 제1 외향 압접부(253a)와, 소경 기부(252)의 외면에 매끄럽게 연속함과 동시에 소경 기부(252)의 외면과 동일한 곡률을 가지는 원통면으로 이루어지는 제2 외향 압접부(253b)와, 축선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함과 동시에 소경 기부(252)를 지름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관통해서 마련된 하나의 슬릿(254)을 가지고 있다. 제1 외향 압접부(253a)는, 둘레방향으로(슬릿(254)이 마련된 부분을 제외하고 고리모양으로) 연장존재하고 있다. 슬릿(254)은, 그 일부의 축선방향의 위치가, 제1 외향 압접부(253a)의 축선방향의 위치와 겹친다고 하는 바와 같은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다(슬릿(254)이, 제1 외향 압접부(253a)에 걸치는 바와 같은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소경 기부(252)가 대경 기부(262)(도 8b 참조) 내에 삽입될 때(압입시)에는, 슬릿(254)의 폭이 작아지도록 소경 기부(252)가 변형함으로써 삽입 작업이 원활하게 된다. 한편, 삽입 후(압입 후)에는, 슬릿(254)의 폭이 원래대로 돌아가려고 하는 복원력 때문에, 제1 외향 압접부(253a)와 제1 내향 압접부(263a)(도 8b 참조)가 서로 지름방향으로 충분한 힘으로 압접된다. 이것에 의해, 전축(205)과 후축(206)을 착탈자유롭게 접속(감합)시킬 때의 적절한 감합력의 설정 및 그 유지가, 비교적 용이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외향 압접부(253b)가, 제1 외향 압접부(253a)의 후방(소경 기부(252)의 선단에 가까운 쪽)에 마련되어 있다. 또, 전축(205)은, 후축(206)의 개구부가 맞닿는 단차부(255)를 가지고 있다.
치수의 구체예를 들면, 소경 기부(252)의 길이(단차부(255)로부터 후방의 길이)는 15㎜이고, 소경 기부(252)의 내경은 φ7.2㎜이고, 소경 기부(252)의 외경은 φ8.8㎜이다. 슬릿(254)의 길이는 8㎜이고, 슬릿(254)의 폭은 균일하며 1㎜이다. 제1 외향 압접부(253a)는, 축선방향으로 단차부(255)로부터 9.8㎜∼11.2㎜인 영역에 있어서 둘레모양(슬릿(254)의 부분을 제외하고 고리모양)으로, 단면이 원호모양인 융기부(융기 높이 0.15㎜)로서 형성되어 있다.
· 후축
전축(205)의 후단부에 착탈자유롭게 연결되는 후축(206)도, 전단이 개구되고 또한 후단이 폐색된, 바닥벽과 둘레벽으로 이루어지는 원통모양의 바닥부가 있는 통체이다. 후축(206)도, 예를 들면, 합성 수지(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등)의 사출 성형에 의해 얻어진다.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감합부(261)는, 소경 기부(252)보다 대경으로 소경 기부(252)가 삽입되는 원통모양(엄밀하게는 도중에 내경이 변화하는 단차(段差)가 마련되어 있다)의 대경 기부(262)와, 대경 기부(262)의 내면에 있어서 지름방향으로 돌출해서 마련된 제1 내향 압접부(263a)와, 대경 기부(262)의 내면에 있어서 마찬가지로 지름방향으로 돌출해서 마련된 제2 내향 압접부(263b)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내향 압접부(263b)는, 제1 내향 압접부(263a)의 후방에 마련되어 있다.
제1 외향 압접부(253a)와 제1 내향 압접부(263a)가 서로 지름방향으로 충분한 힘으로 압접되는 것에 더하여, 제2 외향 압접부(253b)와 제2 내향 압접부(263b)도 서로 지름방향으로 압접되기 때문에, 전축(205)과 후축(206)이 지름방향에 대해서 「덜컹거림(헐거움)」없이 접속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외향 압접부(253a)와 제1 내향 압접부(263a)가 서로 축선방향으로 걸리도록(외향 걸림부 및 내향 걸림부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전축(205)과 후축(206)이 축선방향에 대해서도 「덜컹거림」없이 접속된다. 이 때문에, 쓰는 느낌이 좋고 안정된 필기가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도, 제2 외향 압접부(253b)는, 소경 기부(252)의 선단부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안쪽(전방)에 마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전축(205)과 후축(206)이 감합될 때, 소경 기부(252)의 선단부에 있어서, 감합부(251)의 외면(소경 기부(252)의 외면)과 후축(206)의 선단 내면(대경 기부(262)의 내면)은 지름방향으로 접촉하지 않는다(비접촉이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외향 압접부(253a) 및 제2 외향 압접부(253b) 이외의 부분에 대해서, 소경 기부(252)에 높은 치수 정밀도가 불필요하다. 이 때문에, 전축(205)과 후축(206)을 착탈자유롭게 접속시킬 때의 적절한 감합력의 설정 및 그 유지가 더욱더 용이화되어 있다. 또 부품(전축(205) 및 후축(206))의 생산성도 향상한다. 또, 후축(206)의 외면의 형상 내지는 외경은 일반적으로 안정되어 있기 때문에, 뚜껑(2)의 내면과 후축(206)의 외면과의 감합에 있어서 확실한 기밀 성능 및 감합력이 얻어진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축(205)과 후축(206)이 감합될 때, 후축(206)의 개구부와 단차부(255)가 맞닿게 되고, 제1 외향 압접부(253a)와 제1 내향 압접부(263a)가 축선방향으로 걸리고 또한 지름방향으로 압접되고, 제2 외향 압접부(253b)와 제2 내향 압접부(263b)도 지름방향으로 압접된다. 이것에 의해, 전축(205)과 후축(206)이 적절한 걸림 위치에서 감합되기 때문에, 전축(205)과 후축(206)을 착탈자유롭게 접속시킬 때의 적절한 감합력을 보다 확실하게 얻을 수가 있다. 또, 전축(205)과 후축(206)을 정상적으로 접속할 수 있던 것을, 사용자에게 알기 쉽게 인식시킬 수가 있다. 이 때문에, 사용자에게 전축(205)과 후축(206)을 정상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고 하는 안심감을 줄 수가 있다.
치수의 구체예를 들면, 대경 기부(262)의 내경은 φ9.2㎜이고(엄밀하게는 선단측 5.5㎜의 길이에 있어서 φ9.2㎜, 그 안쪽에서는 φ8.9㎜이다(단차가 있다)), 대경 기부(262)의 외경은 φ10.7㎜이다. 제1 내향 압접부(263a)는, 축선방향으로 대경 기부(262)의 선단(전방단)으로부터 3㎜∼4㎜인 영역에 있어서 둘레모양으로, 단면이 원호모양인 융기부(융기 높이 0.15㎜)로서 형성되어 있다. 제2 내향 압접부(263b)는, 축선방향으로 대경 기부(262)의 선단(전방단)으로부터 9.8㎜∼11.2㎜인 영역에 있어서 둘레모양으로, 단면이 원호모양인 융기부(융기 높이 0.15㎜)로서 형성되어 있다. 뚜껑 감합부(265)는, 축선방향으로 대경 기부(262)의 선단으로부터 8.6㎜∼10.4㎜인 영역에 있어서 둘레방향에 이산적으로 대략 등간격의 4점(4군데)에서 단면이 원호모양인 융기부(융기 높이 0.3㎜)로서 형성되어 있다.
<제3 실시형태>
도 9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의 전축의 정면도이고, 도 9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의 후축의 종단면도이고, 도 9c는, 도 9a의 E-E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슬릿(354)의 형상이, 제1 실시형태와는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슬릿(354)이, 소경 기부(52)의 선단부측으로부터 안쪽을 향해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제3 실시형태의 그밖의 구성은, 제1 실시형태의 필기구(1)와 대략 마찬가지이다. 도 9a∼도 9c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 구성 부분에는 마찬가지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소경 기부(52)가 대경 기부(62) 내에 삽입될 때(압입시)에는, 슬릿(354)의 선단부측의 비교적 폭넓은 부분이 활용되는 반면에, 삽입 후(압입 후)에는, 슬릿(354)의 안쪽의 비교적 폭좁은 부분에 의해서, 굴곡에 대한 강성이 높아진다. 또, 이와 같은 슬릿(354)의 형상이 채용되는 경우, 전축(5)을 트리밍 다이(拔型)로 제조하는 것이 용이하고,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가 있다.
치수의 구체예를 들면, 슬릿(354)의 길이는 14.5㎜이고, 슬릿(354)의 폭은 선단부에 있어서 1.5㎜이고, 안쪽을 향해 테이퍼 각도 2°로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이다.
<제4 실시형태>
도 10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의 전축의 정면도이고, 도 10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의 후축의 종단면도이고, 도 10c는, 도 10a의 F-F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슬릿(454)의 형상 및 개수가, 제1 실시형태와는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도 10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3개의 슬릿(454)이 둘레방향에 대략 등간격으로 마련되어 있는 반면에, 각 슬릿(454)의 폭이, 제1 실시형태의 슬릿(54)의 폭보다 좁게 되어 있다. 제4 실시형태의 그밖의 구성은, 제1 실시형태의 필기구(1)와 대략 마찬가지이다. 도 10a∼도 10c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 구성 부분에는 마찬가지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각각의 슬릿(454)의 폭을 좁게 해도, 소경 기부(52)의 전체적인 휨 변형의 양이 확보되기 때문에, 소경 기부(52)가 대경 기부(62) 내에 삽입될 때의 작업성을 높게 유지할 수가 있다. 한편, 각각의 슬릿(454)의 폭을 좁게 하는 것에 의해, 굴곡에 대한 강성이 높아진다.
치수의 구체예를 들면, 각 슬릿(454)의 길이는 14.5㎜이고, 각 슬릿(454)의 폭은 균일하며 0.3㎜이다.
슬릿의 개수는, 3개에 한정되지 않고, 3 이상의 홀수의 개수이면 좋다. 한편, 짝수(偶數)의 개수의 슬릿을 둘레방향에 대략 등간격으로 배치하면, 서로 대향하는 슬릿 2개와 정렬하는 방향의 굴곡에 대한 강성이 불충분하게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제5 실시형태>
도 11a는,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의 주요부 확대 종단면도이고, 도 11b는, 도 11a의 H-H선 단면도이고, 도 12a는,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의 전축의 정면도이고, 도 12b는,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의 후축의 종단면도이고, 도 12c는, 도 12a의 G-G 단면도이고, 도 12d는, 도 12b의 K-K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슬릿(554)의 형상이, 제1 실시형태와는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슬릿(554)은, 소경 기부(52)의 선단부측으로부터 외향 압접부(53b)의 후방단까지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고, 외향 압접부(53b)의 후방단보다 안쪽(전방)에서는 균일한 폭으로 되어 있다. 또, 대경 기부(62)의 내면에, 후축(6)의 슬릿(554) 내에 삽입되는 리브(569)가 마련되어 있다. 리브(569)는, 내향 걸림부(63a)에 걸치도록, 내향 걸림부(63a)보다 약간(조금) 전방의 위치로부터 후방으로 축선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제5 실시형태의 그밖의 구성은, 제1 실시형태의 필기구(1)와 대략 마찬가지이다. 도 11a∼도 12d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 구성 부분에는 마찬가지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소경 기부(52)가 대경 기부(62)(도 12b 참조) 내에 삽입될 때(압입시)에는, 슬릿(554)의 폭이 작아지도록 소경 기부(52)가 변형함으로써 삽입 작업이 원활하게 된다. 그리고, 삽입 작업의 도중부터, 슬릿(554) 내에 리브(569)가 삽입되는 것에 의해, 굴곡에 대한 강성을 현저하게 높일 수가 있다. 이 때, 슬릿(554)의 선단부가 테이퍼형상(테이퍼형상인 대신에 모따기나 R 등이 실시되어 있어도 좋다)이기 때문에 리브(569)의 삽입이 원활하다. 그리고, 삽입 후(압입 후)에는, 외향 압접부(53b)와 내향 압접부(63b)가 서로 지름방향으로 충분한 힘으로 압접되기 때문에, 전축(5)과 후축(6)을 착탈자유롭게 접속(감합)시킬 때의 적절한 감합력의 설정 및 그 유지가, 비교적 용이하다.
또,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슬릿(554) 내에 리브(569)가 삽입되는 것에 의해, 전축(5)과 후축(6)과의 상대 회전을 방지하는 기능이 부가된다.
치수의 구체예를 들면, 슬릿(554)의 길이는 14.5㎜이고, 슬릿(554)의 폭은 선단부에 있어서 5㎜이고, 테이퍼 부분의 테이퍼 각도는 90°이고, 균일폭 부분의 폭은 1㎜이다. 또, 리브(569)의 폭은 균일하며 1㎜이고, 리브(569)의 융기 높이는 균일하며 0.7㎜이고, 리브(569)의 전방단의 위치는 대경 기부(62)의 전방단의 위치로부터 3㎜만큼 후방이다.
<제6 실시형태>
도 13a는,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의 주요부 확대 종단면도이고, 도 13b는, 도 13a의 I-I선 단면도이고, 도 14a는,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의 전축의 정면도이고, 도 14b는,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의 후축의 종단면도이고, 도 14c는, 도 14a의 J-J 단면도이고, 도 14d는, 도 14b의 L-L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슬릿(654) 및 리브(669)가 3개씩 마련되어 있는 점에서, 제5 실시형태와는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도 14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3개의 슬릿(654)이 둘레방향에 대략 등간격으로 마련되어 있는 반면에, 도 14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3개의 리브(669)가 마찬가지로 둘레방향에 대략 등간격으로 마련되어 있다. 제6 실시형태의 그밖의 구성은, 제5 실시형태의 필기구와 대략 마찬가지이다. 도 13a∼도 14d에 있어서, 제5 실시형태와 마찬가지 구성 부분에는 마찬가지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해서도, 소경 기부(52)가 대경 기부(62)(도 14b 참조) 내에 삽입될 때(압입시)에는, 각 슬릿(654)의 폭이 작아지도록 소경 기부(52)가 변형함으로써 삽입 작업이 원활하게 된다. 그리고, 삽입 작업의 도중부터, 각 슬릿(654) 내에 대응하는 리브(669)가 삽입되는 것에 의해, 굴곡에 대한 강성을 현저하게 높일 수가 있다. 이 때, 슬릿(654)의 선단부가 테이퍼형상(테이퍼형상인 대신에 모따기나 R 등이 실시되어 있어도 좋다)이기 때문에 리브(669)의 삽입이 원활하다. 그리고, 삽입 후(압입 후)에는, 외향 압접부(53b)와 내향 압접부(63b)가 서로 지름방향으로 충분한 힘으로 압접되기 때문에, 전축(5)과 후축(6)을 착탈자유롭게 접속(감합)시킬 때의 적절한 감합력의 설정 및 그 유지가, 비교적 용이하다.
또, 본 실시형태에 의해서도, 슬릿(654) 내에 리브(669)가 삽입되는 것에 의해, 전축(5)과 후축(6)과의 상대 회전을 방지하는 기능이 부가된다.
치수의 구체예를 들면, 각 슬릿(654)의 길이는 14.5㎜이고, 각 슬릿(654)의 폭은 선단부에 있어서 5㎜이고, 테이퍼 부분의 테이퍼 각도는 90°이고, 균일폭 부분의 폭은 1㎜이다. 또, 각 리브(669)의 폭은 균일하며 0.8㎜이고, 각 리브(669)의 융기 높이는 균일하며 0.7㎜이고, 각 리브(669)의 전방단의 위치는 대경 기부(62)의 전방단의 위치로부터 3㎜만큼 후방이다.
<제7 실시형태>
도 15a는, 본 발명의 제7 실시형태의 전축의 정면도이고, 도 15b는, 본 발명의 제7 실시형태의 후축의 종단면도이고, 도 15c는, 도 15a의 N-N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7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외향 걸림부(753a)는, 축선방향으로 단차부(55)로부터 3.8㎜∼5.2㎜인 영역에 있어서, 슬릿(54)과 겹치지 않도록 둘레방향에 이산적으로 대략 등간격의 8점(8군데)에서, 대략 돔모양의 융기부(소경 기부(52)로부터의 융기 높이 0.15㎜)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양태에서도, 슬릿(54)의 일부의 축선방향의 위치가, 외향 압접부(753b)의 축선방향의 위치와 겹쳐 있다. 외향 압접부(753b)는, 축선방향으로 단차부(55)로부터 11.3㎜∼12.7㎜인 영역에 있어서, 역시 슬릿(54)과 겹치지 않도록 둘레방향에 이산적으로 대략 등간격의 8점(8군데)에서, 대략 돔모양의 융기부(소경 기부(52)로부터의 융기 높이 0.15㎜)로서 형성되어 있다. 제7 실시형태의 그밖의 구성은, 제1 실시형태의 필기구(1)와 대략 마찬가지이다. 도 15a∼도 15c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 구성 부분에는 마찬가지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해서도,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 작용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특히, 전축(5)과 후축(6)이 감합될 때, 후축(6)의 개구부와 단차부(55)가 맞닿게 되고, 외향 걸림부(753a)와 내향 걸림부(63a)(고리모양 홈)가 축선방향으로 걸리고, 외향 압접부(753b)와 내향 압접부(63b)(압접면)가 지름방향으로 압접된다. 이것에 의해, 전축(5)과 후축(6)이 적절한 걸림 위치에서 감합되기 때문에, 전축(5)과 후축(6)을 착탈자유롭게 접속시킬 때의 적절한 감합력을 보다 확실하게 얻을 수가 있다. 또, 전축(5)과 후축(6)을 정상적으로 접속할 수 있던 것을, 사용자에게 알기 쉽게 인식시킬 수가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대해서도, 제3 실시형태∼제6 실시형태의 각각에 있어서 설명한 변경을 실시할 수가 있다.
1: 필기구
2: 뚜껑
21: 고리모양 밀봉부
22: 후축 감합부
3: 펜끝
31: 필기부
32: 정부
33: 전부
34: 중앙부
35: 후부
4: 보존유지 부재
41: 보존유지부
42: 제1의 맞닿음 벽부
43a: 제1의 리브
43b: 제2의 리브
44: 전단 가장자리부
5: 전축
51: 감합부
52: 소경 기부
53a: 외향 걸림부
53b: 외향 압접부
54: 슬릿
55: 단차부
56a: 제2의 맞닿음 벽부
56b: 제3의 맞닿음 벽부
57: 세로리브
58: 보존유지 부재 감합부
59: 보존유지 리브
6: 후축
61: 피감합부
62: 대경 기부
63a: 내향 걸림부
63b: 내향 압접부
64: 기밀부
65: 뚜껑 감합부
7: 잉크 흡장체
205: 전축
206: 후축
251: 감합부
252: 소경 기부
253a: 제1 외향 압접부
253b: 제2 외향 압접부
254: 슬릿
255: 단차부
261: 피감합부
262: 대경 기부
263a: 제1 내향 압접부
263b: 제2 내향 압접부
265: 뚜껑 감합부
354: 슬릿
454: 슬릿
554: 슬릿
569: 리브
654: 슬릿
669: 리브
753a: 외향 걸림부
753b: 외향 압접부
2: 뚜껑
21: 고리모양 밀봉부
22: 후축 감합부
3: 펜끝
31: 필기부
32: 정부
33: 전부
34: 중앙부
35: 후부
4: 보존유지 부재
41: 보존유지부
42: 제1의 맞닿음 벽부
43a: 제1의 리브
43b: 제2의 리브
44: 전단 가장자리부
5: 전축
51: 감합부
52: 소경 기부
53a: 외향 걸림부
53b: 외향 압접부
54: 슬릿
55: 단차부
56a: 제2의 맞닿음 벽부
56b: 제3의 맞닿음 벽부
57: 세로리브
58: 보존유지 부재 감합부
59: 보존유지 리브
6: 후축
61: 피감합부
62: 대경 기부
63a: 내향 걸림부
63b: 내향 압접부
64: 기밀부
65: 뚜껑 감합부
7: 잉크 흡장체
205: 전축
206: 후축
251: 감합부
252: 소경 기부
253a: 제1 외향 압접부
253b: 제2 외향 압접부
254: 슬릿
255: 단차부
261: 피감합부
262: 대경 기부
263a: 제1 내향 압접부
263b: 제2 내향 압접부
265: 뚜껑 감합부
354: 슬릿
454: 슬릿
554: 슬릿
569: 리브
654: 슬릿
669: 리브
753a: 외향 걸림부
753b: 외향 압접부
Claims (12)
- 잉크 흡장체를 수용한 후축에 전축을 착탈자유롭게 마련하고, 상기 전축을 상기 후축으로부터 떼어낸 상태에서 상기 잉크 흡장체를 교환하거나 또는 상기 잉크 흡장체에 잉크를 보충하는 필기구로서,
상기 전축의 후방부와 상기 후축의 전방부가, 서로 착탈자유롭게 감합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전축의 후방부 및 상기 후축의 전방부의 한쪽이,
원통모양의 소경 기부와,
상기 소경 기부의 외면에 있어서 지름방향으로 돌출해서 마련된 외향 압접부와,
축선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함과 동시에, 적어도 일부의 축선방향의 위치가 상기 외향 압접부의 적어도 일부의 축선방향의 위치와 겹치는 패턴으로, 상기 소경 기부를 지름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관통해서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슬릿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전축의 후방부 및 상기 후축의 전방부의 다른쪽이,
상기 소경 기부보다 대경으로 상기 소경 기부가 삽입되는 원통모양의 대경 기부와,
상기 대경 기부의 내면에 마련된 내향 압접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전축의 상기 후방부와 상기 후축의 상기 전방부가 감합될 때에, 상기 외향 압접부와 상기 내향 압접부가 서로 지름방향으로 압접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소경 기부는, 상기 외향 압접부로부터 축선방향으로 이간하는 외향 걸림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대경 기부는, 상기 내향 압접부로부터 축선방향으로 이간하는 내향 걸림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전축의 상기 후방부와 상기 후축의 상기 전방부가 감합될 때에, 상기 외향 걸림부와 상기 내향 걸림부는, 서로 축선방향으로 걸리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향 압접부는, 상기 슬릿이 관통해서 마련된 부분을 제외하고, 둘레방향으로 연장존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향 압접부는, 상기 소경 기부의 선단부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안쪽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전축의 상기 후방부와 상기 후축의 상기 전방부가 감합될 때, 상기 소경 기부의 선단부에 있어서, 해당 소경 기부의 외면과 상기 대경 기부의 내면은 지름방향으로 접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향 압접부는, 둘레방향으로 연장존재해서, 상기 외향 압접부와 서로 지름방향으로 압접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외향 걸림부는, 상기 슬릿이 관통해서 마련된 부분을 제외하고 둘레방향으로 연장존재하고 있고,
상기 내향 걸림부는, 둘레방향으로 연장존재해서, 상기 외향 걸림부와 서로 축선방향으로 걸리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내향 걸림부는, 상기 대경 기부의 내면에 있어서 지름방향으로 오목하게 마련되어 있고,
상기 내향 압접부는, 상기 대경 기부의 내면에 매끄럽게 연속함과 동시에 상기 대경 기부의 내면과 동일한 곡률을 가지는 원통면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축의 상기 후방부와 상기 후축의 상기 전방부가 감합될 때에, 상기 외향 압접부와 상기 내향 압접부는, 서로 축선방향으로 걸리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비(非)필기시에 상기 전축을 덮는 뚜껑을 더 구비하고,
상기 뚜껑 내면의 일부는, 상기 후축 외면의 일부의 전체둘레(全周)에 걸쳐서 밀접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축을 상기 후축으로부터 떼어낼 때에, 상기 잉크 흡장체는 상기 후축으로부터 떼어내져서 상기 전축의 내부에 수용 보존유지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상기 소경 기부의 선단부측에 개구하고 있고, 해당 소경 기부의 선단부측으로부터 안쪽을 향해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으로 3 이상의 홀수의 개수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대경 기부의 내면에는, 상기 슬릿 내에 삽입되는 리브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8125090 | 2018-06-29 | ||
JPJP-P-2018-125090 | 2018-06-29 | ||
PCT/JP2019/025624 WO2020004555A1 (ja) | 2018-06-29 | 2019-06-27 | 筆記具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23893A KR20210023893A (ko) | 2021-03-04 |
KR102705578B1 true KR102705578B1 (ko) | 2024-09-12 |
Family
ID=68984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7037416A KR102705578B1 (ko) | 2018-06-29 | 2019-06-27 | 필기구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11667146B2 (ko) |
EP (1) | EP3815923A4 (ko) |
JP (1) | JP7345465B2 (ko) |
KR (1) | KR102705578B1 (ko) |
CN (1) | CN112368156A (ko) |
TW (1) | TWI827627B (ko) |
WO (1) | WO2020004555A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310587A (ja) * | 2000-04-28 | 2001-11-06 | Pilot Ink Co Ltd | 補充式筆記具 |
US20030049068A1 (en) * | 2001-08-10 | 2003-03-13 | Masahiro Yasunga | Applicator |
JP2016164006A (ja) * | 2016-06-16 | 2016-09-08 | 株式会社パイロットコーポレーション | 直液式筆記具 |
Family Cites Families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2435358A1 (fr) * | 1978-09-11 | 1980-04-04 | Dupont S T | Instrument a ecrire |
US4529328A (en) * | 1983-09-06 | 1985-07-16 | The Parker Pen Company | Projection-retraction mechanism for a writing instrument |
US4580816A (en) * | 1984-01-25 | 1986-04-08 | E. R. Squibb & Sons, Inc. | Quick disconnect tube coupling |
DE69027421T2 (de) * | 1989-09-29 | 1997-01-09 | Pentel Kk | Schreibgerät |
US5368405A (en) * | 1989-10-30 | 1994-11-29 | Sixiong; Xie | Non-mingling multicolor marker and its process |
JP2575312Y2 (ja) * | 1992-11-13 | 1998-06-25 | 三菱鉛筆株式会社 | 触指繰出式シャープペンシル |
US5336009A (en) | 1993-05-10 | 1994-08-09 | Jean Young | Ink guide for a ballpoint pen |
US6186685B1 (en) * | 1999-04-05 | 2001-02-13 | The Gillette Company | Marking instrument housing |
JP4368986B2 (ja) * | 1999-10-06 | 2009-11-18 | パイロットインキ株式会社 | 筆記具 |
JP2001310588A (ja) | 2000-04-28 | 2001-11-06 | Pilot Ink Co Ltd | 筆記具 |
JP4408609B2 (ja) * | 2001-08-10 | 2010-02-03 | 株式会社サクラクレパス | 塗布具 |
JP4628068B2 (ja) | 2004-11-17 | 2011-02-09 | ゼブラ株式会社 | 筆記具 |
US7942598B2 (en) * | 2004-12-24 | 2011-05-17 | The Pilot Ink Co., Ltd. | Writing implement |
JP2011178000A (ja) * | 2010-02-26 | 2011-09-15 | Pentel Corp | 文房具、並びに、化粧具、口腔衛生具の軸と軸との連結構造 |
FR2995247B1 (fr) * | 2012-09-11 | 2015-02-20 | Bic Soc | Instrument d'ecriture a assemblage simplifie |
FR3047689B1 (fr) | 2016-02-11 | 2019-06-28 | Societe Bic | Instrument d'ecriture a assemblage autobloquant |
CN111201145B (zh) * | 2017-09-19 | 2022-02-22 | 桑福德有限合伙人公司 | 可伸缩鼻锥体书写工具 |
-
2019
- 2019-06-27 US US17/256,728 patent/US11667146B2/en active Active
- 2019-06-27 CN CN201980044071.2A patent/CN112368156A/zh active Pending
- 2019-06-27 KR KR1020207037416A patent/KR10270557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06-27 EP EP19825509.3A patent/EP3815923A4/en active Pending
- 2019-06-27 JP JP2020527636A patent/JP7345465B2/ja active Active
- 2019-06-27 WO PCT/JP2019/025624 patent/WO2020004555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9-06-27 TW TW108122563A patent/TWI827627B/zh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310587A (ja) * | 2000-04-28 | 2001-11-06 | Pilot Ink Co Ltd | 補充式筆記具 |
US20030049068A1 (en) * | 2001-08-10 | 2003-03-13 | Masahiro Yasunga | Applicator |
JP2016164006A (ja) * | 2016-06-16 | 2016-09-08 | 株式会社パイロットコーポレーション | 直液式筆記具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815923A4 (en) | 2022-03-23 |
EP3815923A1 (en) | 2021-05-05 |
TW202005820A (zh) | 2020-02-01 |
US20210252903A1 (en) | 2021-08-19 |
JPWO2020004555A1 (ja) | 2021-07-08 |
TWI827627B (zh) | 2024-01-01 |
JP7345465B2 (ja) | 2023-09-15 |
CN112368156A (zh) | 2021-02-12 |
KR20210023893A (ko) | 2021-03-04 |
US11667146B2 (en) | 2023-06-06 |
WO2020004555A1 (ja) | 2020-01-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890830A (en) | Universal marking instrument apparatus | |
KR102705578B1 (ko) | 필기구 | |
JP6688335B2 (ja) | 筆記具 | |
JP3137996U (ja) | 筆記具用キャップ | |
EP0887205A1 (en) | Direct ink storing type writing instrument | |
JP3789518B2 (ja) | ボールペンレフィール | |
JP7419591B2 (ja) | 筆記具 | |
JP2537913Y2 (ja) | 筆記具などのキャップ | |
JP5340010B2 (ja) | 筆記具及びその製造方法 | |
JPS6323179Y2 (ko) | ||
JP7370765B2 (ja) | 筆記具 | |
WO2022190974A1 (ja) | 摩擦体ユニット及び熱変色性筆記具 | |
JP7118814B2 (ja) | ボールペン | |
JP6818073B2 (ja) | 消去部材を備える筆記具 | |
CN210881415U (zh) | 书写工具和笔尖 | |
WO2022210036A1 (ja) | 筆記具における取付構造、筆記具、及び軟質部材 | |
JPH08156478A (ja) | 筆記具用部材の圧入構造 | |
JP4285631B2 (ja) | キャップと軸筒体の嵌合構造 | |
JP2019214205A (ja) | 筆記具及び筆記具セット | |
CN117015478A (zh) | 摩擦体单元以及热变色性书写工具 | |
JP3894123B2 (ja) | 筆記具のキャップ | |
JP6511348B2 (ja) | 筆記具 | |
JP2024066455A (ja) | 塗布具 | |
JP2012006355A (ja) | クリップ付き筆記具用キャップ及び筆記具 | |
JP2001334787A (ja) | 筆記具のキャップ嵌合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