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85268B1 - 차량 및 차량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및 차량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85268B1
KR102685268B1 KR1020170008183A KR20170008183A KR102685268B1 KR 102685268 B1 KR102685268 B1 KR 102685268B1 KR 1020170008183 A KR1020170008183 A KR 1020170008183A KR 20170008183 A KR20170008183 A KR 20170008183A KR 102685268 B1 KR102685268 B1 KR 1026852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ata
display
control unit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8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4496A (ko
Inventor
김항태
최경동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08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85268B1/ko
Priority to PCT/KR2018/000544 priority patent/WO2018135804A1/en
Priority to EP18741282.0A priority patent/EP3544873B1/en
Priority to CN201880005316.6A priority patent/CN110099836B/zh
Priority to US15/873,727 priority patent/US10189427B2/en
Publication of KR20180084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4496A/ko
Priority to US16/218,326 priority patent/US10604089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85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852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1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 B60R16/0236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for economical driv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r relative disposition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60Q9/008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for anti-collision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06Side-view mirrors, e.g. V-shaped mirrors located at the front or rear part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4Adaptive cruis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40/09Driving style or behaviou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6Type of output information
    • B60K2360/175Autonomous driv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8Information management
    • B60K2360/186Displaying information according to relevancy
    • B60K2360/1868Displaying information according to relevancy according to driving situ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33Illumination features
    • B60K2360/334Projec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55Remote control arrangements
    • B60K2360/56Remote control arrangements using mobile devices
    • B60K2360/563Vehicle displaying mobile device inform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3Head-up displays [HU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8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video entertainment or vehicle dynamics information;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for attracting the attention of the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9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information is handled, e.g. showing information on plural displays or prioritising information according to driv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8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instru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2001/1253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cameras, video cameras or video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2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 B60R2300/202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displaying a blind spot scene on the vehicle part responsible for the blind sp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2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 B60R2300/205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using a head-up disp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3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image processing
    • B60R2300/307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image processing virtually distinguishing relevant parts of a scene from the background of the sc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4Cruis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2Driver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서는 차량 및 차량 내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을 개시한다. 여기서, 상기 차량은 자율 주행을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율 주행을 지원하는 차량의 일 예는, 센서들; 상기 차량 전면 유리 상에 형성된 스크린을 포함한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차량의 운행 모드와 상기 차량 탑승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센서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통해 센싱되는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및 차량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및 차량 내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기록 또는 재생하는 장치와 오디오를 기록 내지 재생하는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로는 예를 들어, 텔레비전, 모니터, 프로젝터, 태블릿 등이 포함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방송 출력이나 영상 재생 기능 외에도,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게임, 방송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편의를 위해 각종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차량 내부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되는 위치 내지 영역이 고정되거나 제한되었을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사이즈 역시 작아 그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 확인 과정 등이 오히려 운전자의 불편을 초래하였다. 또한, 종래 차량 내부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미리 설정된 데이터의 종류 내지 타입 예컨대, 차량의 상태나 기능 등에 한정된 내용만을 출력할 뿐, 차량 운행 과정에서 발생 가능한 다양한 이벤트나 차량 탑승자의 요구에 능동적인 대처가 불가능하여 차량 운행에 불편함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차량 내 인텔리전트 디스플레이 구성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일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차량 운행 모드, 차량 운행 지역, 차량 속도, 차량 탑승자, 차량 운행 시간 등 팩터와 다양한 팩터들의 어떤 조합에 기초하여 차량 탑승자의 차량 이용 편의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모든 차량 탑승자의 차량 이용 편의를 제고하고 차량 운행 과정에 발생 가능한 다양한 이벤트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차량 및 차량 내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에 대한 다양한 실시 예(들)을 개시한다. 여기서, 상기 차량은 자율 주행을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율 주행을 지원하는 차량의 일 예는, 센서들; 상기 차량 전면 유리 상에 형성된 스크린을 포함한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차량의 운행 모드와 상기 차량 탑승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센서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통해 센싱되는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기술적 해결 수단은 이상에서 언급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해결 수단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차량 내 인텔리전트 디스플레이 구성 및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차량 운행 모드, 차량 운행 지역, 차량 속도, 차량 탑승자, 차량 운행 시간 등 팩터와 다양한 팩터들의 어떤 조합에 기초하여 차량 탑승자의 차량 이용 편의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모든 차량 탑승자의 차량 이용 편의를 제고하고 차량 운행 과정에 발생 가능한 다양한 이벤트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한 차량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한 차량의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 단말기와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을 하는 이동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의 일 실시 예;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 단말기와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을 하는 이동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의 다른 실시 예;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단말기 디스플레이 제어를 위한 구성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 디스플레이 구성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차량 내 탑승자 인식/식별 모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9 내지 10은 본 발명에 따라 동승자 인식/식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탑승자 권한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라 차량 탑승자 인식/식별 및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따라 이동 단말기와의 연동을 통한 차량 탑승자 인식/식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에 따라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차량 탑승자 인식/식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6 내지 17은 본 발명에 따라 차량과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커뮤니케이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8과 1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탑승객 인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운행 중 운전자 또는 탑승자에게 전화가 오는 경우에 그 처리 방법;
도 2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사이드미러가 장착된 차량의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이드미러가 없는 차량 즉, 미러리스 차량을 도시한 도면;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미러리스 차량을 도시한 도면;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러리스 차량의 사이드미러 데이터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미러리스 차량의 사이드미러 데이터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내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차량 운행 모드에 따른 차량 내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차량 운행 모드가 수동 모드인 경우에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표;
도 2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차량 운행 모드가 수동 모드인 경우에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표;
도 30은 본 발명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데이터 디스플레이 영역과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주변 환경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주변 환경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현재 차량 위치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차량 운전자의 시야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차량 운행 시 타 디바이스와의 데이터 커뮤니케이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도 3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후방 주행 또는 주차시의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3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주변 환경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및 차량 내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부" 등은 단지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부여되는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양자는 혼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로 기술한 경우에도 그것이 순서를 의미하기보다는 해당 용어의 설명 편의를 위한 것일 뿐, 그러한 용어나 서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도,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따른 기능을 고려하여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만,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나, 이에 대해서는 관련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술할 것이다. 따라서, 해당 용어를 단지 그 명칭이 아니라 그가 가진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기술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 둔다. 한편, 본 명세서 또는/및 도면에 기술된 내용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 예로서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를 통해 결정되어야 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편의상 차량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차량 운행 중”이라 함은, 차량의 시동이 꺼진 경우를 제외한 모든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차량 운행 중이라고 기술하면, 그 의미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정차, 주차 등과 같이 차량의 시동이 켜져 있으나 해당 차량이 움직이지 않고 있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차량(100)의 개략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차량(100)이라 함은, 내연기관이 구비된 가솔린 자동차, 경유 자동차, 가스 자동차 등 통상적인 의미의 자동차뿐만 아니라 순수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등도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 전술한 4륜의 자동차뿐만 아니라 2륜이나 바퀴가 없는 형태의 탈것에도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적용 가능하며, 본 발명에 포함될 수 있다. 다만, 편의상 이하에서는 4륜 자동차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한 차량(100)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량(100)은, 동력원으로서 엔진(201)과 모터/발전기 유닛(Motor/Generator unit: M/G 유닛)(202)을 포함한다. 동력원에 의하여 구동되는 구동륜(driven wheel)은 전륜 구동 차량(front-wheel drive vehicle)에서는 전륜, 그리고 후륜 구동 차량(rear-wheel drive vehicle)에서는 후륜이다. 편의상 이하에서는 전륜 구동 차량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후륜 구동 차량에 관한 실시 예는 전륜 구동 차량에 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자명하다.
상기 M/B 유닛(202)은 구동 상태에 따라 모터 또는 발전기로 선택적으로 기능하는 장치로서,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이하에서 편의상 M/G 유닛(202)을 모터 혹은 발전기와 같은 명칭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 모두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상기 전기 자동차의 엔진(201)과 모터(202)는 직렬로 변속기(transmission: T/M)에 연결된다.
상기 M/G 유닛(202)은 모터 제어 유닛(motor control unit: MCU)(203)의 제어에 따라 인버터(inverter)(204)의 신호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인버터(204)는 MCU(203)의 제어에 의하여, 배터리(205)에 저장된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M/G 유닛(202)을 동력원으로서 구동하고, 상기 M/G 유닛(202)을 발전기로 구동하는 경우에 M/G 유닛(202)에서 발전된 전기에너지를 배터리(205)에 충전한다.
상기 엔진(201)과 M/G 유닛(202)의 동력은 클러치(206)를 통해 변속기(T/M)(207)로 전달되며, 최종 감속 기어(final drive gear: F/R)(208)를 통해 전륜(209)으로 전달된다. 후륜(210)은 엔진(201)과 M/G 유닛(202)에 의해 구동되지 않는 비구동륜이다.
상기 전륜(209)과 후륜(210) 각각에는, 각 바퀴의 회전속도를 저감시키기 위한 휠 브레이크 장치(wheel brake apparatus)(211)가 개재된다. 그리고 각 휠 브레이크 장치(211)를 구동할 수 있도록, 브레이크 페달(212) 및 브레이크 페달(212)의 조작에 따라 생성된 유압을 기초로 각 휠 브레이크 장치(211)를 유압 제동하는 유압 제어 시스템(hydraulic control system)(213)을 포함한다. 전기 자동차는 상기 유압 제어 시스템(213)을 제어하고 유압 제어 시스템(213)으로부터 브레이크 제어 상태를 수신하는 브레이크 제어 유닛(brake control unit: BCU)(214)을 포함한다.
상기 BCU(214)는 운전자의 브레이크 페달(212) 조작 시, 유압 제어 시스템(213)에서 발생하는 유압을 검출한다. 상기 BCU(214)는 이를 기초로 구동륜(예를 들어, 전륜(209))에 인가될 제동력과 이 중 유압에 의해 제동될 유압 제동력 및 회생제동에 의해 제동될 회생 제동력을 산출한다. 이에 따라 상기 BCU(214)는 산출된 유압 제동력을 유압 제어 시스템(213)의 제어를 통해 전륜(209)의 휠 브레이크 장치(211)에 공급한다.
상기 전기 자동차는 BCU(214) 및 MCU(203)와 통신하여 이들을 제어함으로써 최대 속도 제한 방법을 수행하는 전기 자동차를 구현하는 전기 자동차 전자 제어 유닛(hybrid electric vehicle electronic control unit: HEV-ECU)(215)을 포함한다.
상기 BCU(214)에서 산출된 회생 제동력은 상기 HEV-ECU(215)로 전달되고, 이에 따라 HEV-ECU(215)는 수신한 회생 제동력을 기초로 MCU(203)를 제어한다. 따라서 MCU(203)는 HEV-ECU(215)로부터 지정된 회생 제동력이 구현되도록 M/G 유닛(202)을 발전기로서 구동한다. 이때, 상기 M/G 유닛(202)에 의해 발전된 전기에너지는 배터리(205)에 저장된다.
상기 전기 자동차는 차량 속도를 검출하는 차속 검출기(216)를 더 구성한다.
상기 HEV-ECU(215)는 차속 검출기(216)에서 검출된 차량 속도를 BCU(214) 및 MCU(203)의 제어를 위한 데이터로 활용한다.
또한, 상기 전기 자동차는 상기 배터리(205)의 전압을 검출하는 배터리 전압 검출부(217)를 포함한다. 상기 배터리 전압 검출부(217)는 배터리(205)의 현재 전압을 검출하고, 검출된 현재 전압과 미리 설정된 기준 전압의 편차에 따라 상기 HEV-ECU(215)가 전기 자동차의 최대 속도를 제한할 수 있도록 결과 데이터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차량 내 단말기(300)의 구성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 단말기(3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300)는 상기 단말기(300)를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예를 들면, 중앙처리장치,CPU)(312)와,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313)와, 각종 키 신호를 제어하는 키 제어부(311),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314)를 내장한 메인보드(310)로 구성된다.
상기 메모리(313)는 길 안내 정보를 디지털 지도상에 표시하기 위한 지도 정보(지도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313)는 차량이 현재 주행하는 도로 상황에 따른 교통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교통 정보 수집 제어 알고리즘 및 상기 알고리즘의 제어를 위한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메인보드는 고유의 기기 번호가 부여되어 차량에 내장된 이동 통신 단말기인 통신 모듈(306), 차량의 위치 안내, 출발지부터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 추적 등을 위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를 수신하거나 사용자에 의해서 수집된 교통 정보를 GPS 신호로 송신하는 GPS 모듈(307), 오디오 기록매체 등에 기록된 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오디오 데크(Audio Deck)(308), 자이로 센서(gyro sensor)(309)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통신 모듈(306), GPS 모듈(307)은 안테나(304, 305)를 통해서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방송 수신 모듈(322)은 상기 메인보드(210)에 연결되고, 안테나(323)를 통해서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메인보드(310)에는 인터페이스 보드(303)를 통해서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314)의 제어를 받는 디스플레이부(301)와, 키 제어부(311)의 제어를 받는 프론트 보드(302)와 차량의 내부 및/또는 외부를 촬영하는 카메라(327)가 연결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01)는, 각종 비디오 신호, 문자 신호를 표시하고, 상기 프론트 보드(302)는 각종 키 신호 입력을 한 버튼을 구비하고, 사용자 선택이 이루어진 버튼에 해당하는 키 신호를 메인보드(310)에 제공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301)는 도 2의 근접 센서 및 터치 센서(터치-스크린)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01)는 HUD(Head Up Display) 또는 차량 계기판(Cluster)이 될 수도 있다.
상기 프론트 보드(302)는 교통 정보를 직접 입력하기 위한 메뉴 키를 구비하며, 상기 메뉴 키는 키 제어부(311)의 제어를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보드(317)는 상기 메인 보드와 연결되고, 각종 오디오 신호를 처리한다. 상기 오디오 보드(317)는 오디오 보드(317)의 제어를 위한 마이크로컴퓨터(319), 라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튜너(318), 상기 마이크로컴퓨터(319)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316), 각종 음성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315)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오디오 보드(317)는 라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라디오 안테나(320)와, 오디오 기록매체의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오디오 데크(321)로 구성된다. 상기 오디오 보드(317)는 상기 오디오 보드(317)에서 신호 처리된 음성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음성 출력부(예를 들면, 앰프)(326)를 더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음성 출력부(앰프)(326)는 차량 인터페이스(324)에 연결된다. 즉, 상기 오디오 보드(317)와 메인 보드는 상기 차량 인터페이스(324)에 연결된다. 상기 차량 인터페이스(324)는 음성 신호를 입력하는 핸즈프리(325a), 탑승자 안전을 위한 에어백(325b), 차량의 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속도 센서(325c) 등이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속도 센서(325c)는 차량 속도를 산출하고, 그 산출된 차량 속도 정보를 상기 중앙 처리 장치(312)에 제공한다.
상기 단말기(300)에 적용된 네비게이션 세션(399)은, 지도 데이터 및 차량 현재 위치 정보를 근거로 길 안내 정보를 발생하고, 발생한 길 안내 정보를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01)는 근접 센서를 통해 표시창 내에서 근접 터치를 감지한다. 예를 들면, 상기 표시부(301)는 포인터(예를 들면,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가 근접 터치될 때 그 근접 터치의 위치를 검출하고, 그 검출된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상기 제어부(312)에 출력한다.
음성 인식 장치(또는 음성 인식 모듈)(398)는 사용자에 의해 발성된 음성을 인식하고, 그 인식된 음성 신호에 따라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단말기(300)에 적용된 내비게이션 세션(session)(399)은, 지도 데이터 상에 주행 경로를 표시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가 상기 주행 경로에 포함된 사각지대로부터 미리 정한 거리 이내일 때 무선 통신(예를 들면,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주변 차량에 장착된 단말기(예를 들면, 차량 네비게이션 장치) 및/또는 주변 보행자가 휴대하고 있는 이동 단말기와 자동으로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주변 차량에 장착된 단말기로부터 그 주변 차량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주변 보행자가 휴대하고 있는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주변 보행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폰, 노트북 컴퓨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 울트라북,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smart watch),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는 차량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에서, 유/무선 네트워크는, 전술한 차량과 이동 단말기 사이의 페어링(pairing) 또는/및 연결, 데이터 커뮤니케이션 등을 위한 모든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며, 표준에 의해 현재 지원되거나 향후 지원될 네트워크도 포함한다. 한편,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는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신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유/무선 네트워크는 예컨대, USB(Universal Serial Bus),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컴포넌트(Component), S-비디오(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GB, D-SUB와 같은 유선 연결을 위한 네트워크와 그를 위한 통신 규격 내지 프로토콜과, 블루투스(Bluetooth), WLAN(Wireless LAN)(Wi-Fi), Wi-Fi 다이렉트(direct),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LTE/LTE-A(Long Term Evolution/LTE-Advanced) 등과 같은 무선 연결을 위한 네트워크와 그를 위한 통신 규격 내지 프로토콜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 단말기(300)와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을 하는 이동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의 일 실시 예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400)는, 무선 통신부(410), A/V(Audio/Video) 입력부(420), 유저 입력부(430), 센싱부(440), 출력부(450), 메모리(460), 인터페이스부(470), 제어부(480), 전원 공급부(4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410)는, 이동 단말기(4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와, 이동 단말기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410)는 방송 수신 모듈(411), 이동 통신 모듈(412), 무선 인터넷 모듈(413), 근거리 통신 모듈(414), 위치 정보 모듈(4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4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과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하며,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프로바이더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4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 관련 정보는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400)에서 EPG(Electronic Program Guide)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을 생성하고 출력하기 위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411)은 예를 들어, ATSC, DVB-T(Digital Video Broadcasting-Terrestrial), DVB-S(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방송 수신 모듈(4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411)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와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4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 통신 모듈(4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 신호는, 음성 신호, 화상 통화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4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포함하여, 이동 단말기(4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Fi), Wibro, Wimax, HSDPA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4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 RFID, 적외선 통신(IrDA), UWB, 지그비, RS-232, RS-385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415)은, 이동 단말기(400)의 위치 정보 획득을 위한 모듈로서, GPS 모듈을 예로 할 수 있다.
A/V 입력부(420)는, 오디오 또는/및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421)와 마이크(4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421)는,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획득되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4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4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4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4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4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422)는,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4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4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유저 입력부(430)는, 유저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유저 입력부(4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jog wheel), 조그 스위치(jog switch)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440)는, 이동 단말기(4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400)의 위치, 유저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400)의 현재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4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400)가 이동되거나 기울어지면, 이동 단말기의 위치 내지 기울기 등을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4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470)의 외부 디바이스 결합 여부 등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센싱부(44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을 포함한 근접 센서(3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4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451), 음향 출력 모듈(452), 알람부(453), 및 햅틱 모듈(4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51)는, 이동 단말기(4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 또는 GUI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4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451)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3차원 디스플레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4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유저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4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4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4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4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4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451)는 출력 디바이스 이외에 입력 디바이스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4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4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4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480)는 디스플레이부(4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4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이면,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 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452)은, 호신호 수신,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 인식 모드, 방송 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4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4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452)은 이동 단말기(4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4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 부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453)는, 이동 단말기(4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4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451)나 음성 출력 모듈(4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451,452)은 알람부(4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454)은, 유저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4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4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4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4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저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454)은, 이동 단말기(4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460)는, 제어부(4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 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4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 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4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 하드디스크 타입,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SRAM, 롬(ROM), EEPROM, PROM,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400)는 인터넷상에서 상기 메모리(4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470)는, 이동 단말기(4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디바이스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470)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4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4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디바이스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4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4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유저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유저 인증 모듈(Universal SIM,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디바이스(이하 '식별 디바이스')는, 스마트카드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디바이스는 포트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400)와 연결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470)는, 이동 단말기(4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4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유저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이동 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4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4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480)는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480)는, 멀티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4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481)은, 제어부(4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4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480)는, 터치-스크린상에서 이루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490)는, 제어부(4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디바이스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 예는 ASICs, DSPs, DSPDs, PLDs, FPGAs,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컨트롤러, 마이크로프로세서,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이 제어부(4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 진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460)에 저장되고, 제어부(4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한편, 유저가 주로 손에 쥐고 사용하는 차원을 넘어서,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본 명세서에서 디지털 디바이스 또는 외부 디바이스로 동작 또는 기능할 수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는 스마트 워치, 스마트 글래스, HMD 등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다른 디바이스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또는 연동)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414)은, 이동 단말기(400) 주변에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480)는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이동 단말기(4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이동 단말기(4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근거리 통신 모듈(414)을 통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유저는 이동 단말기(4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하여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400)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거나, 이동 단말기(400)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 단말기(200)와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을 하는 이동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의 다른 실시 예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즉, 스마트워치(500)는 디스플레이부(551)를 구비하는 본체(501) 및 본체(501)에 연결되어 손목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밴드(502)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스마트워치(500)는 도 4의 이동 단말기(400)의 특징 또는 그와 유사한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501)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는 각종 전자 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제1 케이스(501a) 및 제2 케이스(501b)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되어 유니 바디의 이동 단말기(5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스마트워치(500)는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본체(501)에는 상기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안테나는 케이스를 이용하여 그 성능을 확장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라운드 영역 또는 방사 영역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체(501)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5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551)에는 터치 센서가 구비되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551)의 윈도우(551a)는 제1 케이스(501a)에 장착되어 제1 케이스(501a)와 함께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501)에는 음향 출력부(552), 카메라(521), 마이크로폰(522), 유저 입력부(523)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551)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유저 입력부(523)로 기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체(501)에 별도의 키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밴드(502)는 손목에 착용되어 손목을 감싸도록 이루어지며, 착용이 용이하도록 플렉시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예로서, 밴드(502)는 가죽, 고무, 실리콘, 합성수지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밴드(502)는 본체(501)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유저가 취향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밴드로 교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밴드(502)는 안테나의 성능을 확장시키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밴드에는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라운드 영역을 확장시키는 그라운드 확장부(미도시)가 내장될 수 있다.
밴드(502)에는 파스너(fastener,502a)가 구비될 수 있다. 파스너(502a)는 버클, 스냅핏(snap-fit)이 가능한 후크(hook) 구조, 또는 벨크로(velcro; 상표명) 등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신축성이 있는 구간 또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파스너(502a)가 버클 형태로 구현된 예를 제시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방법에 관한 다양한 실시 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편의상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차량 내 설치되는바, 이하에서는 차량 단말기라 명명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차량 단말기는 전술한 도 4 내지 5와 같은 이동 단말기와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단말기 디스플레이 제어를 위한 구성 블록도이다.
차량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메모리, 스크린상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데이터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차량에 탑승하는 탑승자의 인식 또는 식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추가적인 데이터 영역을 더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영역에는, 운전자의 운행을 위한 운전자 데이터 영역, 상기 운전자의 운행을 보조하기 위한 운행 보조 데이터 영역 또는 동승자를 위한 동승자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에 탑승자가 존재하지 않고 운전자만 존재하면, 상기 운전자 데이터 영역과 운행 보조 데이터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영역을 포함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에 운전자 외에 탑승자가 존재하면, 상기 운전자 데이터 영역과 운행 보조 데이터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영역 외 상기 동승자 데이터 영역도 포함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각 좌석에 구비된 무게 센서, 상기 차량에 구비된 카메라 센서, 페어링되는 이동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상기 탑승자를 인식/식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자 데이터 영역, 상기 운행 보조 데이터 영역 및 탑승자 데이터 영역이 제공되는 위치를 변경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차량 탑승자에 대한 등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탑승자 데이터 영역을 구성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되, 상기 차량 내/외부 상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공되는 각 데이터 영역 데이터 또는 그 설정을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운전자와 상기 차량의 탑승자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결정된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데이터 영역을 재구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식별된 탑승자 또는 상기 결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의 데이터영역 접근 권한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차량 단말기 디스플레이 제어를 위하여, 차량은 통신부(610), 제어부(620), 메모리(630), 디스플레이부(65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차량은 디스플레이부 제어를 위하여 별도의 디스플레이 제어부(6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610)는 차량 내부 및 차량 외부,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터치 입력 등 다양한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싱 환경 등을 제공한다.
제어부(620)는 도 6의 각 구성요소뿐만 아니라 차량 전반의 제어를 수행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620)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디스플레이 제어부(640)를 통해 또는 직접 디스플레이부(650)를 제어할 수 있다. 관련 상세 내용은 후술한다. 한편, 이하에서 단지 차량이라고 명명하여 설명하는 경우, 이는 상기 제어부(620)를 의미할 수도 있다.
메모리(630)는 제어부(620)의 제어에 따라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렇게 메모리(630)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하나로 후술하는 탑승자 등록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650)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차량의 대시보드 상에 구비되는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관한 전반적인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는 예컨대, 터치-스크린과 같이 터치 가능한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650)는 제어부(62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스크린상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데이터 영역을 구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영역에는 운전자의 주요 운행 기능에 관련된 운전자 데이터 영역, 상기 운전자의 운행 보조를 위한 운전 보조 데이터 영역, 차량 탑승자가 존재하는 경우 그 탑승자에 관한 탑승자 데이터 영역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 차량 단말기라 함은 단지 차량 내 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즉, 차량 디스플레이부뿐만 아니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차량 내 구성까지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단말기 디스플레이 구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차량 단말기는 차량 내부의 모든 곳에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차량 단말기는 차량의 대시보드 상 또는/및 좌석의 후면부에 위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대시보드의 경우에는 특히, 운전자의 전면부에 해당하는 영역과 그 이웃 영역에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좌석의 후면부에 위치하는 차량 단말기는 해당 좌석에 임베디드 또는 개별 디스플레이가 상기 좌석 후면부와 결합하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대시보드 상에 구비되는 차량 단말기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단말기는 대시보드 상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는 적어도 2개의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는 상기 운전자 데이터 영역이고, 다른 하나는 운전 보조 데이터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운전 보조 데이터 영역은 전술한 바와 같이, 운전자의 주요 운행 기능 외에 상기 차량 운행을 보조하는 데이터 영역이다. 한편, 상기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는, 추가로 차량에 탑승자가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탑승자 데이터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대시보드 상에 구비되는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는 하드웨어적으로 일체형으로 구성되나 소프트웨어적 또는 가상으로 전술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데이터 영역들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는 처음부터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데이터 영역들 각각이 개별 하드웨어 구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대시보드 상의 차량 단말기의 데이터 영역은, 운전자 데이터 영역, 운행 보조 데이터 영역운행 보조 데이터 영역, 및 탑승자 데이터 영역으로 구분된다.
도 7b는 상기 도 7a와 대동소이하나 상기 차량 단말기의 데이터 영역의 크기 내지 사이즈가 상기 도 7a와 다르게 구성한 것이다.
도 7c는 도 7a 내지 7b와 달리, 대시보드 상의 차량 단말기의 데이터 영역은 운전자 데이터 영역과 그 밖의 영역으로 구분되었다.
도 7d는 전술한 도 7c와 유사하나, 경우에 따라 운전자 데이터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임의의 데이터 영역이 더 제공되었다. 이러한 임의의 데이터 영역은 일반적인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서 구현되는 화면 분할과 같은 형태일 수도 있고, 하드웨어적으로 구현된 형태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임의의 데이터 영역은 예를 들어, 차량의 사이드미러, 룸미러 등을 통해 볼 수 있는 이미지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출력되는 영역일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운전자 데이터 영역은 차량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보거나 조작할 수 있는 모든 기능에 대응되는 데이터 영역으로, 상기 기능에는 통상적인 차량에서 운전석에서 운전자가 보거나 조작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된다.
상기에서 운행 보조 데이터 영역은 차량 운전자를 위한 네비게이션 데이터를 제공하는 영역이다. 여기서, 상기 운행 보조 데이터 영역은 상술한 네비게이션 데이터와 상기 운전자 데이터 영역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를 제외한 차량 운행 보조와 관련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여기서, 상기 운행 보조 데이터 영역은 전술한 상기 운전자를 위한 차량 제어 기능 외의 나머지 차량 제어 기능에 대응된다.
상기에서 탑승자 데이터 영역은 상술한 운전자 데이터 영역 또는/및 운행 보조 데이터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으로 동승자가 있는 경우에 그를 위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영역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탑승자 데이터 영역은 전술한 운전자 데이터 영역 또는/및 운행 보조 데이터 영역과 동일하게 차량 제어와 관련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일부 데이터는 상술한 영역들의 데이터와 동일하거나 관련될 수도 있다.
전술한 도 7을 참조하여,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포함하여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내 영역(들)은 그 위치 내지 제공 데이터가 항상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차량 이용 시 상황에 따라 예컨대, 운행 전, 운행 중, 동승자 여부 등 다양한 팩터에 기초하여 변경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라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차량 운행 전, 차량 운행 중, 동승자가 있는 경우, 운행 종료 시 등과 같이, 차량의 상태 등에 기초하여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편의상 차량 운행 중(차량 운행 시작 시도 포함)의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하되 특히, 차량 내 탑승자가 운전자 혼자인 경우와 추가 탑승자 즉, 동승자가 있는 경우의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한편, 통상 차량 소유자가 운전자인 경우가 많으므로 편의상 차량 소유자는 운전자로 설명한다. 또한, 편의상 이하에서 탑승자라 함은 운전자를 제외한 탑승자 즉, 차량 동승자를 의미할 수 있다.
차량은 운전자의 설정에 따라 탑승자 즉, 동승자 존재 여부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식별할 수 있다. 예컨대, 차량에 동승자 수동 디텍트 모드가 설정되면, 차량은 운전자만 있는 경우를 가정 즉, 운전자만을 위한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구성하여 제공한다. 다만, 이때, 차량은 운전자의 수동 설정에 따라 동승자 인식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구성을 변경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8과 같이, 차량에 동승자 자동 디텍트 모드가 설정되면, 차량은 운행 시작을 위한 신호가 수신되면 운전자 외 차량 탑승자 즉, 동승자 유무를 자동으로 디텍트하고 판단한다. 이 경우,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운전자만 있는 경우와 차량 내 탑승자가 존재한 경우에 그 구성을 달리할 수 있다. 즉, 도 8을 참조하면, 차량 운전자는 동승자 디텍트 모드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선택 및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수동 또는 자동 동승자 디텍트 모드에 따라 차량 내 운전자만 탑승한 경우에는, 차량은 도 7c 또는 7d와 같은 형태로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구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는 운전자 데이터 영역과 운행 보조 데이터 영역만을 제공할 수 있다. 반면, 차량 내에 운전자 외의 적어도 한 명의 탑승자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도 7c 또는 7d가 아니라 도 7a 또는 7b와 같이 탑승자 데이터 영역을 포함하여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구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후자에서, 동승자 수, 동승자의 탑승 위치, 동승자의 권한 등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술한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는 또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동승자가 있다는 것만으로 반드시 상기 탑승자 데이터 영역이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포함되어 제공되는 것은 아닐 수도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차량 내 탑승자 즉, 동승자 인식 또는/및 식별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컨대, 여기서, 동승자 인식이라 함은, 동승자의 차량 내 탑승 유무에 관한 내용을 그리고 동승자 식별은 인식된 동승자의 수, 동승자의 탑승 위치, 동승자의 권한 등에 관한 내용을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동승자 인식이나 동승자 식별이란 용어는 상기 의미 구분없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동승자 인식이라고 하더라도 동승자 식별 내용까지 포함할 수 있으며, 반대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동승자 인식/식별은 예컨대, 차량에 구비된 무게 센서, 카메라 센서(예를 들어, 3D 센서 등), 온도 센서, 열감지 센서, 오디오(음성)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향기 또는 냄새 센서, 지문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동승자 인식/식별은 차량 특히, 차량 내 각 좌석에 구비된 무게 센서를 통해 센싱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판단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상술한 바와 같이 다른 센서에 의해서 또는 다른 센서에 의해 센싱되는 데이터와의 조합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동승자 인식/식별은 상기한 센서와 함께 또는 별도로 탑승자가 소지하거나 착용하는 이동 단말기와의 페어링, 연결 등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을 통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과 10은 본 발명에 따라 동승자 인식/식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차량은, 동승자 좌석에 구비된 좌석 무게 센서를 통해 센싱되는 데이터 즉, 동승자의 무게 데이터로부터 동승자의 탑승 여부, 동승자의 수, 동승자의 탑승 위치 내지 탑승 좌석 등을 식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용 디스플레이 내 탑승자 데이터 영역 데이터 제공 여부, 상기 탑승자 데이터 영역의 제공 데이터의 타입, 종류, 속성 등이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도 9에서는 이러한 좌석 무게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해당 동승자가 누구인지 식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은 사용자의 입력 내지 설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동승자가 누구인지 식별할 수 있으며 그 외 적어도 한 번 이상 탑승한 자가 있는 경우 해당 탑승자의 무게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이렇게 저장된 탑승자의 무게 데이터를 추후 차량 탑승자 식별에 이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한 번 차량에 탑승한 자에 대한 무게 데이터를 저장 후 다음 탑승 시에 상기 저장된 무게 데이터에 기초하여 해당 탑승자를 식별하는 것이다.
한편, 탑승자를 식별하는 방법에는 다양한 방법이 있다.
다만, 도 9에서는 탑승자를 식별함에 있어서, 좌석 무게 센서를 통해 센싱되는 무게 데이터에 기초하여 성인, 어린이, 유아 등으로 구분하는 것을 일 예로 하였다. 예를 들어, 차량은 탑승자의 무게가 45kg 이상이면 성인, 7kg-44kg 사이이면 어린이 그리고 7kg 미만이면 유아로 구분할 수 있다. 한편, 좌석에 유아용 보조시트가 설치된 경우에는 상기 보조시트의 무게를 고려하거나 해당 좌석 탑승자는 유아로 미리 간주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도 9를 참조하면, 탑승자의 무게를 기초로 성인 등으로 구분하였으나, 도 10에서는 이와 달리 가족, 직장 동료, 언노운(unknown) 등으로 동승자를 구분하는 것을 예로 하였다.
도 10을 참조하면, 큰 카테고리로 가족, 직장 내지 업무, 언노운으로 구분하였으며, 이는 그룹의 의미일 수도 있다. 도 8이나 본 명세서의 디스플레이 데이터에 이러한 내용은 모두 적용 가능하다.
다시 말해, 가족을 선택하면, 가족 구성원에 따라 부모님, 와이프/남편, 자녀 등과 같이 서브 그룹까지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직장 내지 업무와 관련하여, 직장 동료, 선배, 후배, 고객 등 다양한 형태의 서브 그룹까지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언노운은 차량을 처음 탑승하여 탑승자 등록이 되어 있지 않거나 기탑승 이력은 있으나 탑승자 등록이 되지 않은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그 밖에, 도 9 내지 10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탑승자를 식별하는 방법이 있으며, 본 발명은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무게 센서를 통해 차량에 처음 탑승하는 탑승자를 식별하는 것은 전술한 무게 데이터게 기초하여 적절히 판단할 수 있다. 다만, 차량에 탑승 이력이 있거나 등록된 탑승자라고 하더라도, 측정된 무게 센서 데이터만으로 상기 탑승 이력이 있거나 등록된 탑승자를 정확히 식별하는 것은 오류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어, 등록된 탑승자의 이전 몸무게와 탑승 시점에 탑승자의 몸무게가 서로 다를 경우에는 동일한 탑승자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탑승자로 인식하거나 언노운으로 인식할 수 있다. 반대로, 다른 탑승자임에도 불구하고 등록되어 있는 탑승자와 무게가 동일한 경우에, 차량은 상기 다른 탑승자를 기등록된 탑승자로 인식하는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은 탑승자의 무게 데이터에 오차를 두어 판단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센서를 통해 센싱되는 데이터를 탑승자 식별에 더 참조할 수 있다. 또는, 차량은 상기 센싱 데이터와 함께 또는 그와 관계없이 탑승자의 이동 단말기(웨어러블 디바이스도 포함) 등을 통해 탑승자를 식별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동승자에 관한 내용은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 내지 방식으로 운전자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
이하 전술한 내용에 기초하여 차량 내에 운전자만 탑승한 경우뿐만 아니라 적어도 한 명 이상의 동승자가 있는 경우에 차량 제어 또는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에 대한 다양한 실시 예를 기술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와 관련하여, 동승자와 같은 식별된 탑승자에 따라 해당 탑승자의 권한을 달리함으로써 차량 제어 및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차량은 예컨대, 기탑승 이력이 있거나 등록된 탑승자가 식별된 경우에는 해당 탑승자의 운행 등 차량 이용에 관한 개인화 내지 커스터마이즈드 서비스(이하 '커스터마이즈드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커스터마이즈드 서비스는 예를 들어, 동승자 수, 동승자 위치, 동승자 우선순위, 차량 내/외부 환경 내지 조건, 차량 운행 안정성, 페어링 또는 연결된 단말기 존재 또는/및 그 이용 여부 등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 내지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먼저 차량 내 탑승자에 대한 권한 설정 방식에 대해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이는 임의적인 것으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방식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여 차량 제어 방법에 관한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이러한 차량 제어 방법은 예를 들어, 운전자/탑승자에 대한 개인화된 데이터 제공, 차량 단말기의 데이터 영역에 제공되는 컨텐트의 제어, 차량 단말기와 통신 가능한 이동 단말기와의 데이터 커뮤니케이션 등에 관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탑승자 권한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라 차량 탑승자 인식/식별 및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은 운행 시작 시, 운전자 외의 차량 탑승자를 인식하고 식별한다. 이렇게 식별된 운전자 및 차량 탑승자에 따라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구성이 달라질 수 있다.
여기서, 차량 탑승자 즉, 동승자 인식 및 식별은 예를 들어, 동승자의 수, 동승자의 탑승 위치 등을 포함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차량 단말기의 데이터 영역들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는 차량에서 인식한 운전자/동승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차량은 만약 동승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인식되면 인식된 동승자를 식별한다. 이때, 상기 인식된 동승자가 식별되면, 식별된 동승자에 대하여 권한 설정이 가능하도록 다양한 메뉴를 제공한다. 그러나 만약 상기 인식된 동승자가 식별되지 않으면, 언노운으로 처리하고 차량 탑승자로 등록 여부에 대한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차량은 식별된 동승자가 기등록되었으며 권한 설정이 완료된 경우에는, 상기 권한 설정 내용을 미리 고지할 수 있다.
도 11에서는 차량 단말기의 데이터 영역 내 제1 서브 영역(1110)에 인식/식별된 탑승에 대한 정보와 미등록 탑승자의 등록을 위한 아이콘 등 데이터가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도 11의 차량 단말기의 데이터 영역 내 제2 서브 영역(1120)에는 차량 기능 이용 등과 관련된 권한 설정 사항들이 제공된다.
도 1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제어 및 차량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차량은 먼저, 차량 운행 시작 신호가 입력되면(S1202), 운전자 외에 차량 탑승자 존재 유무를 판단한다(S1204).
상기 S1204 단계 판단 결과, 운전자 외에 차량 탑승자가 인식되면, 인식된 차량 탑승자의 수를 판단한다(S1206). 이와 동시에, 차량은 상기 인식된 차량 탑승자의 탑승 좌석 위치를 판단한다(S1208). 여기서, 상기 S1206 단계는 시스템에 따라 판단하지 않고 바이패스할 수도 있다.
차량은 S1206 단계 판단 결과, 인식된 차량 탑승자의 수가 복수 명이면, 각 인식된 차량 탑승자가 차량에 등록 여부를 판단한다(S1210).
또한, 차량은 S1208 단계 판단 결과, 인식된 차량 탑승자의 좌석 위치가 식별되면, 상기 식별된 차량 탑승자의 차량에 등록 여부를 판단한다(S1210).
차량은 S1206 단계 판단 결과, 상기 인식된 차량 탑승자 중 적어도 한 명의 차량 탑승자가 등록된 경우에는 해당 등록 탑승자에 대해 미리 설정된 권한 설정 내용을 참조하여,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구성한다(S1212).
차량은 차량 단말기의 데이터 영역에 상기 구성에 따른 데이터를 제공한다(S1214).
한편, 차량은 S1208 단계 판단 결과, 차량 탑승자의 좌석이 운전자의 옆좌석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차량 탑승자의 등록 유무와 관계없이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운전자만 탑승한 경우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차량은 상기 차량 탑승자가 비록 차량 내 뒷좌석에 탑승하였다고 하더라도 미리 등록된 권한 설정 내용이 있는 경우에는, 일부 또는 전부를 해당 좌석과 관련된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제공할 수도 있다.
또는, 차량은 S1208 단계 판단 결과, 차량 탑승자의 좌석이 운전자의 옆좌석이면, 그에 따라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구성하고(S1212), 상기 구성에 따른 데이터를 차량 단말기의 데이터 영역에 제공한다(S1214).
여기서, 상기 옆좌석에 탑승한 차량 탑승자가 차량에 미등록된 탑승자이면, 상기 S1212 단계에서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구성할 때 먼저, 등록 유도 및 권한 설정을 위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옆좌석에 탑승한 차량 탑승자가 차량에 등록된 탑승자이면, 미리 설정된 권한 설정 내용을 반영한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바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1에서는 비록 차량에 등록된 탑승자의 권한과 관련하여, 주로 차량 기능에 관한 내용을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외에도 다양한 내용에 대하여 권한 설정을 할 수 있다.
전술한 차량 탑승자 인식/재인식하고 식별한 후에, 식별된 차량 탑승자에 따라 권한 설정을 다르게 할 수 있다. 이는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식된 차량 탑승자가 성인으로 식별되면, 해당 탑승자는 차량 내 이용 권한을 풀(Full)로 할당할 수 있다. 이 경우, 이용 권한이 풀이라 함은 운전자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제한적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인식된 차량 탑승자가 어린이나 유아로 식별되면, 해당 탑승자는 차량 내 이용 권한을 일부만 할당, 최소화 또는 권한이 없도록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식별된 차량 탑승자가 어린이나 유아이면, 그는 차량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거나 잘못된 선택을 할 가능성이 있고 이로 인해 차량 운행 과정에서 발생 가능한 안전성 우려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다른 권한 설정 방식으로는, 식별된 차량 탑승자가 성별에 기초하여 여자인 경우와 남자인 경우로 구분하여, 그에 따라 차량 내 이용 권한 내지 이용 가능한 컨텐트를 미리 설정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운행 중 음악을 재생하고자 하는 경우, 식별된 차량 탑승자가 여성이면, 발라드 장르의 음악이 먼저 재생될 수 있고, 식별된 차량 탑승자가 남성이면 록 장르의 음악이 먼저 재생될 수 있다.
이외에도, 식별된 차량 탑승자의 나이, 성별 외에도 가족 유무 등을 참고하여 다양하게 권한 설정 및 그에 따른 탑승자에 커스터마이즈된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인식된 차량 탑승자의 수가 1명이거나 복수 명이면, 차량 탑승자의 식별 결과에 기초하여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이용 권한 등을 다르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식된 차량 탑승자가 1명이라고 하더라도 운전자와의 관계에서 식별된 차량 탑승자 사이에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이용 권한 등을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운전자 외에 차량 탑승자의 우선순위가 상기 운전자보다 높은 경우에는 차량 탑승자를 위한 영역을 포함하여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구성하고, 반대의 경우에는 운전자만을 위한 영역이 포함된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인식된 차량 탑승자가 복수 명이라면, 식별된 복수의 차량 탑승자 중 어떤 탑승자를 기준으로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이용 권한을 구성할 지 여부도 상기 식별된 각 차량 탑승자 사이의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3명의 차량 탑승자들이 있다고 가정하면, 가장 우선순위가 높은 차량 탑승자를 기준으로 하여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구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만약 상기 가장 우선순위가 높은 차량 탑승자의 탑승 좌석 위치가 운전자의 옆자리가 아니거나 상기 운전자보다 우선순위가 낮은 경우에는, 상기와 달리 탑승자를 위한 영역이 포함된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구성하지 않고 운전자만을 위한 영역이 포함된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구성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3a를 참조하면, 예컨대, 차량 단말기의 데이터 영역 중 탑승자 데이터 영역에 네비게이션 데이터가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동승자인 차량 탑승자는 예컨대, 그 권한에 네비게이션 이용 권한이 있다.
도 13a를 참조하면, 네비게이션 데이터와 관련하여, 맵 데이터의 론칭을 원하는 항목과 오토 드라이빙 항목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에서 탑승자 데이터 영역의 네비게이션 데이터 중 맵 데이터의 론칭 항목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차량은 상기 탑승자 데이터 영역 또는 다른 영역 예컨대, 차량 단말기의 탑승자 데이터 영역이 아닌 운행 보조 데이터 영역에 도 13b와 같이 맵 데이터를 제공한다. 동승자나 운전자는 상기 제공되는 맵 데이터에 기초하여 목적지, 경로 등 네비게이션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네비게이션 데이터와 함께 차량 탑승자의 데이터를 함께 제공하거나 저장하여 추후 해당 차량 탑승자가 식별되는 경우에 이를 추천 등 이용할 수도 있다.
다만, 상기에서 탑승자 데이터 영역의 네비게이션 데이터 중 오토 드라이빙 항목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차량은 운전자 데이터 영역 또는 운행 보조 데이터 영역에 도 13c와 같은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3c의 데이터는 예컨대, 차량 탑승자 정보, 목적지 정보, 오토 드라이빙 요청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운전자는 상기 도 13c의 요청에 대하여 승인 또는 거부할 수 있다. 상기 오토 드라이빙은 자율 주행이라고도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은 인식된 차량 탑승자를 식별함에 있어서, 상기 차량 탑승자가 소지한 또는 보유한 이동 단말기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라 이동 단말기와의 연동을 통한 차량 탑승자 인식/식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a는 미등록된 차량 탑승자가 식별된 경우에, 차량에서 차량 단말기의 데이터 영역 중 하나에 제공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이를 참조하면, 차량은 식별된 차량 탑승자의 차량에 등록 여부와 해당 차량 탑승자의 권한 설정 항목들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4b는 도 14a와 달리 차량 탑승자를 인식 및 식별함에 있어서, 매뉴얼로 차량 탑승자 또는 운전자가 해당 차량 탑승자를 직접 등록 등을 하거나 또는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 단말기를 통해 등록을 할지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후자에서, 전술한 좌석의 무게 센서를 통한 무게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차량 탑승자를 인식/식별하는 경우에, 무게가 있는 물건, 무생물 등을 단지 무게 센싱 데이터에 따라 차량 탑승자로 인식하고 그에 따른 데이터 제공 등 오동작 우려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라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차량 탑승자 인식/식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전술한 도 14b에서 이동 단말기 항목을 선택한 경우에, 차량 내 탑승자의 이동 단말기를 인식 및 식별하는 경우이다.
도 15a와 같이, 차량은 소정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일정 범위 내의 이동 단말기 존부를 판단하기 위해 신호를 브로드캐스팅 또는 애드버타이징(broadcasting or advertising)한다. 도 15b에서 이동 단말기에서 상기 차량에서 전송되는 브로드캐스팅 또는 애드버타이징 신호가 수신에 따라 응답 신호를 전송하면, 상기 차량과 응답한 이동 단말기 사이에 페어링이 이루어진다. 한편, 여기서, 차량 내부 또는 주변을 가정하면, 상기 소정 통신 프로토콜은 예를 들어, 블루투스나 와이-파이 등이 주로 이용될 수 있다. 다만, 도 15에서는 편의상 블루투스를 예로 하여 도시하였다.
이렇게 한 번 페어링이 이루어지고 나면, 상기 이동 단말기를 소지한 탑승자가 차량 주변 또는 차량 내부에 진입하면, 차량은 운전자 또는 차량 탑승자의 별도의 동작이나 입력이 없어도 미리 페어링을 하여 상기 차량 탑승자를 인식 및 식별하고 그에 기초하여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만약 차량에서 운행을 위해 차량 탑승자를 인식/식별할 때,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는 경우에 페어링되는 이동 단말기가 1개 또는 복수 개이면, 전술한 바와 같이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페어링되는 이동 단말기가 1개인 경우, 차량은 상기 이동 단말기를 통해 식별된 차량 탑승자와 운전자의 우선순위를 판단하여, 그 결과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페어링되는 이동 단말기가 복수 개이면, 복수 개의 이동 단말기를 통해 식별된 복수의 차량 탑승자들 중 가장 우선순위가 높은 차량 탑승자를 기준으로 하여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장 우선순위가 높은 차량 탑승자가 만약 탑승 좌석이 운전자의 옆좌석이 아니거나 운전자보다 우선순위가 낮은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달리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6 내지 17은 본 발명에 따라 차량과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커뮤니케이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a와 16b는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상에 탑승자 등록을 위한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6c는 도 16a 내지 16b에 따라 등록된 탑승자 정보를 제공하는 영역에 대한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도시한 것이다.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상에 탑승자 등록 방법은, 도 16a와 같이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제공되는 데이터를 직접 터치 등을 통한 입력을 통해 수행하는 방법과, 도 16b와 같이 페어링되는 이동 단말기를 통해 수행하는 방법이 있다.
도 16에서 차량 탑승자 등록과 관련하여 입력 항목은 예를 들어, 탑승자 이름 내지 닉네임, 연락처, 생일이 도시되었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차량 탑승자 등록과 관련된 입력 항목으로 도 16에 도시된 항목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전술한 바와 같이, 해당 탑승자에 대하여 무게 센서를 통해 센싱된 무게 데이터, 기타 권한 요청 데이터 등도 포함될 수 있다.
그 밖에, 도 17과 같이, 상기 차량 탑승자 등록 시에 해당 탑승자의 선호 기능, 선호 데이터 등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에서 선호 데이터라 함은 해당 탑승자 탑승시 원하는 음악 장르, 원하는 비디오 데이터 등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선호 기능과 관련하여, 차량 탑승자가 차량 기능 중 원하는 기능 예컨대, 네비게이션 기능, 에어컨 온도 조절 기능, 라디오 주파수 설정 기능, 좌석 전후 위치 내지 좌석 기울기 등에 대한 내용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선호 기능 중 일부 내지 전부는 별도 설정을 하지 않더라도 해당 탑승자의 기능 이용에 따라 자동으로 차량에 입력 내지 설정되어 저장되고 추후 해당 탑승자의 재탑승 시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그 외에, 도 16a에서는 입력할 항목을 제공하고, 도 16b의 이동 단말기를 통해 각 항목에 대한 입력이 수신되면, 자동으로 도 16c와 같이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해당 항목의 데이터가 입력되는 방식도 이용할 수 있다.
도 18과 1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탑승객 인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예컨대, 차량 내 구비된 음성 인식 센서를 통해 센싱된 차량 탑승자의 음성 인식을 통하여 해당 차량 탑승자를 식별하는 방법이고, 도 19는 탑승자가 차량에 진입하면 해당 탑승자의 이동 단말기로 미리 등록된 고유 데이터를 전송하여 해당 차량 탑승자를 식별하는 방법이다.
도 18a를 참조하면, 차량은 탑승자가 차량에 진입하면, 그에 대한 다양한 데이터를 센싱하고 센싱된 데이터 수집한다. 예컨대, 탑승자가 좌석에 앉으면 해당 좌석의 위치, 상기 탑승자의 무게 데이터, 음성 데이터 등을 센싱하고 수집한다.
차량은, 상기 수집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해당 탑승자를 인식하고 인식된 탑승자를 식별한다. 차량은 이렇게 식별된 탑승자의 신원을 확인하기 위해, 도 18b와 같이,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 등을 통해 식별된 탑승자의 신원을 판단한다. 도 18c와 같이, 탑승자의 피드백 등을 통해 해당 탑승자의 신원이 식별된 탑승자가 맞으면, 차량은 메모리에 미리 저장된 해당 탑승자의 데이터를 읽어, 도 18d와 같이 식별된 탑승자를 위한 탑승자 데이터 영역 데이터를 구성하고, 이를 반영하여 차량 단말기용 디스플레이 구성, 제공 및 제어를 한다.
도 19를 참조하면, 도 18과 함께 또는 별개로 수행될 수 있다. 비록 차량 탑승자로 등록이 되었다고 하더라도 탑승자의 개인 정보는 고유한 것으로, 이러한 개인 정보는 잘못 제공될 경우 해당 탑승자의 개인 정보 유출의 우려가 있다. 따라서, 차량은 탑승객의 등록 정보에 기초하여 그와 다른 임시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등록된 탑승자의 이동 단말기 번호가 010-1234-5678이라고 하면, 차량은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등록된 탑승자의 이동 단말기 번호를 010-9876-5432로 변경하거나 010-1234-xxxx로 처리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는 해당 탑승자의 이동 단말기 번호를 아예 블록 처리할 수도 있다. 한편, 차량은 이동 단말기를 통해 해당 탑승자를 식별할 때, 비록 010-1234-5678로 전화를 걸더라도 상기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상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010-9876-5432나 010-1234-xxx로 처리하여 제공할 수 있다. 차량은, 상기와 같이 전화 통화를 시도하여 해당 이용자의 통화를 통화 허락을 하거나 통화 허락 후 해당 사용자의 음성이나 지문 데이터 등을 수신하여 이로부터 해당 사용자 즉, 탑승자를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임시 번호나 일부 블록된(blocked) 전화번호 등을 이용하여 통화하는 경우를 예로 하였으나, 그 밖에 SMS, MMS, SNS 등을 통한 텍스트 데이터를 이용할 수도 있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운행 중 운전자 또는 탑승자에게 전화가 오는 경우에 그 처리 방법이다.
도 20은, 운전자와 적어도 한 명의 탑승자가 탑승된 차량의 운행 중, 외부로부터 상기 운전자 또는 탑승자에게 전화가 오는 경우의 처리 방법이다.
여기서, 상기 전화를 걸어 온 외부 사람이 예컨대, 차량 내 탑승자 정보에 포함된 경우에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에 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그렇지 않으면, 도 20에 도시된 바와 달리 전화번호 정도만 제공될 수 있다.
도 20a에서 예컨대, 운전자의 이동 단말기로 외부로부터 전화가 걸려오는 경우 그 처리 방법에 대해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통상 운전자는 도 20b에 도시된 자신의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직접 또는 미리 설정한바 등에 따라 이어폰, 블루투스 기기 등을 통해 직접 통화를 할 수도 있다.
다만, 운전자가 직접 통화를 하는 경우 운행 중 사고 위험이 증가하므로, 도 20a에 도시된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내 드라이버/운행 보조 데이터 영역 또는 도 20d에 도시된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내 탑승자 데이터 영역 상에 외부 전화 건 사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통화 주체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드라이버가 아니라 탑승자를 선택하면, 차량은 해당 전화를 상기 탑승자에 대해 미리 등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탑승자가 수신할 수 있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차량은 운전자의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또는 직접 상기 통화 데이터를 탑승자의 이동 단말기를 통해 수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은 상기 선택에 따라 운전자의 이동 단말기에 대한 전화 요청을 디스커넥트(disconnect)하고, 탑승자의 이동 단말기가 커넥트(connect)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스커넥트/커넥트는 단지 해당 이동 단말기 상의 표시일 뿐 실제로 완전히 디스커넥트/커넥트의 의미가 아닐 수도 있다. 그 밖에, 이는 이용되는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변경될 수도 있다.
한편, 도 20에서는 비록 전화와 같이 통화 애플리케이션의 경우를 예로 하였으나, 그 밖에 운전자나 탑승자의 이동 단말기 또는 차량에 인스톨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처리 역시 전술한 방식을 이용하여 처리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특히, 자율 주행 즉, 전술한 오토 드라이빙이 가능한 차량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기술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율 주행을 지원하는 차량의 일 예는, 센서들, 상기 차량 전면 유리 상에 형성된 스크린을 포함한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차량의 운행 모드와 상기 차량 탑승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센서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통해 센싱되는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차량의 일 영역에 설치되어 사이드미러 데이터를 획득하는 렌즈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렌즈는, 글로벌 셔터 센서가 적용된 어안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어안 렌즈의 시야각은 180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렌즈를 통해 획득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프로세싱하여 상기 스크린 내 소정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운행 모드가 자율 주행 모드이면, 센서들을 통해 센싱된 데이터를 상기 스크린상에 출력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차량의 운행 모드가 수동 모드이면, 센서들을 통해 센싱된 데이터와 상기 렌즈를 통해 획득되는 데이터를 상기 스크린의 특정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들을 통해 수집되는 데이터로부터 상기 차량 주변 환경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스크린의 투명도, 해상도, 또는 밝기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운행 모드가 자율 주행 모드이고, 상기 차량의 탑승자 정보에 기초할 때 상기 차량의 탑승자가 복수이면, 상기 센서로부터 센싱된 차량 운행 데이터를 상기 차량 탑승자의 등록된 이동 단말기의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를 통해 상기 차량의 운전자의 시선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시선 정보를 기초로 결정된 상기 스크린의 영역 상에 상기 센서를 통해 수집된 차량 운행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 밖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운행 모드가 수동 모드이면, 상기 운행 중인 차량의 속도, 상기 운행 중인 차량의 현재 위치, 현재 시각, 또는 상기 운행 중인 차량의 목적지까지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된 상기 스크린의 특정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 상기 센서를 통해 수집된 차량 운행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라 차량 운행 모드, 차량 운행 지역, 차량 속도, 차량 탑승자, 차량 운행 시간 등 팩터 또는 그러한 팩터들의 어떤 조합에 기초하여 차량 탑승자의 차량 이용 편의를 기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것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차량 탑승자 등의 등록 정보에 기초하여, 단지 운행 시작 시뿐만 아니라 운행 중에 발생한 가능한 다양한 이벤트에 따라 상기 설정 등록된 내용을 적절히 가변할 수도 있다. 또한, 차량은 비록 탑승자의 기등록 정보가 있다고 하더라도 탑승자의 차량 탑승 중 이용 패턴 등을 학습하여 운행 중 또는 해당 탑승자의 추후 탑승 시에 그러한 내용을 반영하여, 탑승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도 7에서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내 각 영역은 운전자 또는 탑승자에 의해 그 디스플레이 위치를 스위칭하거나 데이터를 변경 처리할 수도 있다.
그 밖에, 차량은 차량 탑승자로 등록된 탑승자 데이터 중 일부를 임의로 변경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은 차량 내부 또는/및 외부 환경 등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기등록된 데이터 중 일부를 설정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탑승자가 여름에 등록하면서 에어컨 온도를 섭씨 18도로 설정하였으나, 겨울이 되면 상기 설정은 변경이 요구된다. 따라서, 이러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설정 내용에 대응되는 적절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차량 내부 또는/및 외부 환경에는 상기 계절뿐만 아니라 탑승 시각 내지 현재 시각, 탑승자 수, 차량 상태, 현재 날씨, 현재 운행 지역 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편의상 운전자 또는 탑승자에 대해 기술한 내용은, 탑승자 또는 운전자에 대해서도 모두 적용 가능하며, 하나의 도면으로 설명된 내용은 다른 도면과 조합되어 새로운 하나의 실시 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최근 자율 주행 연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에 따라 차량 운행 모드를 자율 주행 모드와 수동 모드로 구분하여, 그에 따라 차량 디스플레이의 구성을 다르게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최근 차량 사각지대 해소, 외부 환경 요인 최소화, 연비 절약, 차량 디자인의 한계 등과 관련하여, 사이드미러(또는 백미러(back mirror))를 물리적으로 차량으로부터 제거하려는 시도가 있다. 다만, 차량 운행의 특성상 상기 물리적인 사이드미러를 통해 차량 운전자가 제공받는 데이터는 차량 운행에 많은 도움이 되는바 상기와 같이, 물리적으로 사이드미러를 차량으로부터 제거한다고 하더라도 이를 어떤 식으로든 차량 운전자에게 제공해 주는 것이 차량 운행의 안전에 유리하다. 특히, 전술한 차량 운행 모드 중 수동 모드의 경우에는 필수 데이터일 수 있다. 그러나 차량 운행 모드가 자율 주행 모드일 때에는, 굳이 제공하지 않더라도 상관없을 것이다. 통상 자율 주행 모드일 때, 차량 내 탑승자가 굳이 원래 사이드미러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는 데이터를 몰라도 차량 운행에는 지장이 없을 수 있다. 왜냐하면, 차량의 상기 자율 주행을 제어하는 파트에서 이러한 데이터를 고려하면 되지 굳이 탑승자에게 제공할 필요는 없기 때문이다. 또한, 차량 운전자가 통상 자율 주행 모드를 이용하는 것은 운전에 신경을 쓰지 않기 위함이므로 상기 운전자가 차량 내 디스플레이를 모니터링하지 않는 경우도 많다. 다만, 상술한 자율 주행 모드라고 하더라도, 차량 탑승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에는 그러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별론으로 한다. 이때에는, 후술하는 수동 모드에서의 사이드미러 데이터 제공 방법에 따를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차량은 사이드미러가 물리적으로 제거된 차량을 일 예로 설명한다. 따라서, 이때 “사이드미러 데이터(side mirror data)”라고 함은, 통상 상기 사이드미러가 물리적으로 제거되지 않은 차량의 사이드미러가 차량 탑승자에게 제공하는 뷰 이미지 데이터(view image data)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나타낸다. 다만, 이러한 사이드미러 데이터는 반드시 이미지 형태일 필요는 없으며, 오디오, 비디오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차량 사이드미러와 관련하여 먼저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사이드미러(2110,2120)가 장착된 차량의 도면이다.
도 21a는 사이드미러가 있는 일반적인 차량의 내부 뷰(inner view)이다. 다시 말해, 차량 좌측과 우측에 각각 사이드미러(2110,2120)가 존재하고, 내부 정면에는 룸미러(미도시)가 존재하다.
한편, 도 21b는 일반적인 차량의 사이드미러(2130)의 시야각에 대한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이드미러가 없는 차량 즉, 미러리스 차량(Mirrorless vehicle)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미러리스 차량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a는 미러리스 차량의 전체 도면이고, 도 22b는 도 22a에 도시된 차량의 사이드미러 대신하는 부분(2210)을 확대한 도면이다.
특히, 도 22b는, 종래 물리적인 사이드미러를 대신하여 카메라 모듈(2220)이 장착되었다. 이 경우, 미러리스 차량 즉, 사이드미러가 없는 차량은, 사이드미러 데이터를 상기 장착된 카메라 모듈(2220)을 통해 데이터를 획득하고, 이를 이미지 프로세싱하여 차량 탑승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종래 차량은 사이드미러에 단지 거울을 채용하여, 탑승자에 따라 다른 정보를 제공받을 수도 있고, 날씨나 주변 환경에도 많은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오디오 등 다른 데이터의 제공은 불가능하였다. 반면, 본 발명과 같이, 미러리스 차량에서는 카메라 모듈(2220)을 제어하여 종래에 비하여 더욱 선명하고, 예상 가능하며 고정적인 뷰 이미지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오디오 등 차량 운행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데이터도 함께 제공 가능하다. 또한, 미러리스 차량에 장착되는 카메라 모듈(2220)의 해상도, 밝기 등 다양한 기능을 통하여 주변 환경이나 밝기 등에도 불구하고 보다 선명하고 시야각이 넓은 뷰 이미지를 제공받아 차량 운행에 안정성을 도모할 수도 있다.
한편, 도 22의 미러리스 차량이나 상기 미러리스 차량의 종래 사이드미러에 대응되는 부분(2210)의 형상, 외관, 구성 등은 일 실시 예일 뿐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카메라 모듈(2220)을 사이드미러의 대체로 이용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 역시 아니다.
예컨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하나로 도 23의 어안 렌즈(2310)를 채용할 수도 있다.
도 22a의 미러리스 차량은 비록 사이드미러를 대신하여 카메라 모듈(2220)을 장착하였으나, 상기 사이드미러에 비하여 사이즈나 외관의 차이는 있으나 상기 장착된 카메라 모듈(2220)을 통하여 뷰 이미지 등 사이드미러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 종래와 사이드미러와 유사하게 후방을 주시하도록 설계된 예시이다.
반면, 도 23a는 전술한 도 22a와는 상이하게 사이드미러가 있는 위치에 어안 렌즈(2310)를 장착하여 차량의 외관이 상이하다. 한편, 도 23b와 같이, 상기 장착된 어안 렌즈(2310)는 예를 들어, 180도 시야각을 가진 렌즈를 채용함으로써 도 22b와 달리 렌즈 자체를 위한 공간을 마련하고 그러한 공간이 후방을 주시하는 형태로 구현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전술한 미러리스 차량의 목적 내지 디자인의 편의를 더욱 기할 수 있다.
또한, 도 23에 따르면, 180도의 시야각을 가진 어안 렌즈(2310)를 장착한 미러리스 차량에서는, 종래 또는 도 22의 카메라 모듈(2220)에 비하여 더욱 시야각을 넓힐 수 있어, 사각의 존재로 인한 차량 운행의 어려움 또는 차량 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안 렌즈(2310)는 사이드미러뿐만 아니라 차량의 후방 카메라 대용으로 채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어안 렌즈(2310)는 후방 영상 획득 후 필터를 통하여 볼록 거울, 오목 거울 또는 와이드 거울 효과, 영상 표시 범위 등을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어안 렌즈(2310)는 고속 촬영 시에 영상 왜곡을 최소화하는 글로벌 셔터 센서를 채용할 수도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러리스 차량의 사이드미러 데이터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미러리스 차량의 사이드미러 데이터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24a 내지 24d를 참조하면, 사이드미러 데이터는 차량 내에 미리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제공된다.
특히, 도 24에서는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차량 내부의 디스플레이 장치(2410,2422,2424,2430,2440)를 구비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2220) 또는 어안 렌즈(2310)를 통해 획득되는 사이드미러 데이터를 제공한다.
다만, 도 24에 따라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비용 문제나 전원 문제, 미러리스에 따른 카메라 모듈(2220) 또는 어안 렌즈(2310)와의 호환성, 그리고 차량 내부 인테리어의 한계를 가져올 수 있다.
반면, 도 25의 경우, 차량 전면 유리 상에 구현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활용함으로써, 차량 전면 뷰를 그대로 투명하게 보면서 카메라 모듈이나 어안 렌즈를 통해 획득되는 사이드미러 데이터(2512)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25a의 이미지(2514)는 이해를 위해 이미지(2512)를 확대한 이미지이다. 또한, 도 25b의 경우, 차량은 사이드미러 데이터를 원래 각 사이드미러(2522,2524)가 위치한 부근에 제공하여, 유저의 기존 운전 습관에 따른 혼동을 방지할 수 있다.
그 밖에, 도 25a 내지 25b에 따르면, 미러리스 차량은 카메라 모듈이나 어안 렌즈(이하 어안 렌즈)를 통해 제공되는 데이터를 차량 탑승자에 따라 개별화 등 가공하거나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어, 차량 탑승자에 따라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24의 경우, 미러리스 차량이라고 하더라도 차량 탑승자에 따라 탑승자가 임의로 사이드미러 데이터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물리적으로 그 위치를 조정하거나 그 위치를 변경하지 못한다. 반면, 도 25a 내지 25b의 경우에는 적어도 미러리스 차량의 전면 유리에 구현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이즈 내에서는 임의 디스플레이 위치 변경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해상도 조절, 사이즈 변경, 사이드미러 데이터의 디스플레이 방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제어 가능하다. 따라서, 차량 탑승자에 따른 최적화된 서비스가 가능하다.
다음으로, 미러리스 차량에서의 차량 운행 모드에 따른 데이터 디스플레이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여기서, 차량 운행 모드라 함은 최근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는 자율 주행을 고려하여, 자율 주행 모드와 수동 모드를 의미한다. 상기 자율 주행 모드라 함은 말 그대로 유저가 아닌 차량 내 운행을 제어하는 모듈 내지 구성(이하 ‘자율 주행 제어부’라 함)에서 차량 운전자의 운행 조작이 없더라도 차량을 운행하는 경우를 말한다. 상기 자율 주행 제어부는 제어부로 명명하여 설명할 수 있으며, 그 의미는 통상적인 차량 내 제어부와 동일 개체 내지 구성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자율 주행 모드는 차량 운전자의 운전 조작이 있더라도 상기 차량 운행에 일부 개입하여 그를 보조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동 모드라 함은, 차량 운행이 오롯이 차량 운전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서만 이루어지는 경우를 말한다. 다만, 상기에서 자율 주행 모드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자율 주행 제어부의 차량 운행에 대한 개입이 미미하거나 특정한 이벤트에서만 이루어지고 대부분의 차량 운행이 차량 운전자의 수동 조작에 의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에도 불구하고 수동 모드로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 내 제어부에 차량 운행 모드 판단과 관련된 소프트웨어 등에 미리 설정된 데이터를 참고하여 판단할 수 있다.
먼저,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내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제어부는 차량 주변에 탑승자가 감지되면(S2602), 차량 시동을 온한다(S2604). 상기 S2602 단계는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S2604 단계는, 전술한 S2602 단계에도 불구하고 이루어지지 않고 탑승자가 차량에 탑승하여 직접 수행할 수도 있다. 전술한 S2602 단계에서 차량 주변이라 함은 상기 차량에 설치된 센서에 따라 감지 가능한 범위와 동일한 의미일 수 있다. 한편, 상기 S2602 단계에서, 차량 주변에 차량 탑승자가 감지되더라도 상기 감지된 차량 탑승자가 반드시 차량 소유주이거나 정당한 권리가 있는 탑승자가 아닐 수도 있으므로, 어떤 방식으로든 상기 감지된 차량 탑승자의 권한을 판단한 후에 상기 판단 결과 정당한 권한이 있는 탑승자로 판명된 경우에만 상기 S2604 단계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S2604 단계에서 차량 시동이 켜지면, 제어부는 그때부터 차량, 차량 탑승자, 차량 주변 환경 등 차량 운행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하여 센서를 턴-온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는 이렇게 턴-온 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통해 센싱된 데이터를 수집한다.
이후 제어부는 탑승자의 의사에 따라 차량 운행을 시작한다(S2606).
제어부는 차량 운행이 시작되면, 센서, 어레인 렌즈 등을 통해 차량 운행 데이터를 수집한다. 제어부는 이렇게 수집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처리된 데이터를 차량 내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출력한다(S2608).
이후 제어부는 차량 운행이 종료 즉, 차량의 시동이 오프되면(S2610), 상기 S2608 단계의 데이터 출력을 종료한다.
이때, 제어부는 차량 운행 종료에 따라 직전 차량 운행 데이터를 자체 분석 또는 이전 또는 기저장된 차량 운행 데이터와 비교하여 분석하고 이를 저장 제어할 수 있다(S2612). 다만, 본 S2612 단계는 시스템에 따라 구현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단계를 통해 운행 데이터를 분석 및 저장함으로써 차량의 탑승자에 대한 학습이 가능해지고, 이러한 학습을 통하여 차량 운행에 대한 개인화 서비스 내지 개인화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차량 운행 모드에 따른 차량 내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여기서, 도 27는 도 26의 일부에 대한 상세 과정일 수 있다. 예컨대, 편의상 도 26에서는 차량 운행 모드에 따른 차량 내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은 생략하였다. 따라서, 도 27은 예를 들어, 도 26의 S2604 또는 S2606 단계 내지 S2608 단계의 상세 단계일 수 있다.
도 26의 S2604 단계의 차량 시동이 턴-온 되면, 차량은 운행 가능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차량은 차량 운행 모드에 따라 운행이 된다. 따라서, 제어부는, 차량 운행 시작 전, 차량 운행 시작과 동시 또는 차량 운행 시작 이후 중 적어도 한 시점에 차량 내 기설정 내용이나 유저의 선택 등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운행 모드가 결정되면, 그에 따라 차량이 운행되도록 제어한다.
다시 말해, 제어부는 차량 시동이 턴-온 되면, 차량 운행 모드를 판단한다(S2702).
제어부는 상기 판단 결과 차량 운행 모드가 자율 주행 모드로 판단되면, 차량 운행 데이터를 수집한다(S2704). 이때, 수집되는 데이터는 예컨대, 후술할 S2714 단계의 차량 운행 모드가 수동 모드인 경우에 수집되는 데이터와 같을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제어부는 수집되는 차량 운행 데이터를 처리하고 처리된 차량 운행 데이터를 분석한다(S2706). 이후 제어부는 이렇게 분석된 차량 운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자율 주행을 시작하거나 기자율 주행인 경우에는 그에 따라 운행을 유지한다(S2708).
제어부는 S2708 단계에 따라 자율 주행 모드로 차량 운행 중 주기 또는 비주기로 차량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체크한다(S2710). 여기서, 상기 차량 이벤트라 함은 운행 중인 차량, 자율 주행 모드와 관련하여 발생 가능한 모든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상기 체크 결과 만약 차량 이벤트가 발생하였으면, 차량 내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상기 차량 이벤트, 자율 주행 모드 등에 관련된 데이터를 출력한다(S2712).
이후 제어부는 차량 탑승자의 선택, 이벤트 등 다양한 상황에 따라 미리 설정된 내용이나 프로그램에 따라 차량 운행 제어를 결정하고, 그에 따를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는 상기 S2702 단계의 차량 운행 모드 판단 결과 만약 수동 모드로 판단되면, 운행 데이터를 수집한다(S2714). 이때, 수집되는 운행 데이터는 전술한 S2704 단계의 자율 주행 모드에서 수집되는 운행 데이터와 같을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다만, 양 모드에서 수집되는 운행 데이터가 동일하다고 하더라도 그 제공 방법 등은 모드에 따라 서로 다를 수 있다.
제어부는 S2714 단계를 통해 수집된 수동 모드 운행 데이터를 처리하고 이를 분석한다(S2716). 이후 제어부는 차량 운행 과정에서 이벤트 발생 여부틀 체크하고, 체크 결과 소정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에는, 상기 발생된 이벤트에 대응되는 분석 데이터에 기초하여 차량 내 디스플레이 장치상에 제공한다(S2718). 한편, 상기 이벤트는 정의하기 나름이나 예컨대, 상기 이벤트를 네비게이션 요청, 사이드미러 데이터, 후방 데이터, 차선 변경, 전화 수신이나 그 밖의 차량 탑승자의 요청 등의 경우로 가정하면, 그 외에도 분석 데이터에 기초하여 계속하여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차량 탑승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의 운행 모드가 자율 주행 모드인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는 한 상기 차량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이 필수적이지 않을 수 있다. 왜냐하면, 제어부는 수집, 처리 및 분석된 데이터를 자율 주행에 이용하면 되고 차량 탑승자 역시 매번 그러한 데이터를 접하는 것은 자율 주행이라는 목적 내지 의도와 부합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단지 제어부는 자율 주행 과정에서 차량 탑승자의 요청이 있거나 미리 설정된 이벤트, 목적지에 도착 등의 경우와 같이, 차량 탑승자에게 어떠한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거나 차량 탑승자의 인식 및 제어가 필요한 경우에만 차량 내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정보를 제공하면 족하다.
반면, 차량의 운행 모드가 수행 모드인 경우에는, 제어부는 차량 탑승자의 차량 운행을 보조하기 위해 전술한 수집, 처리 및 분석된 데이터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
관련하여,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차량 운행 모드가 수동 모드인 경우에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표이고, 도 2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차량 운행 모드가 수동 모드인 경우에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표이다.
여기서, 도 28과 29는 편의상 차량 운행 모드가 수동 모드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자율 주행 모드의 데이터 디스플레이 방법에 적용 또는 참조될 수 있다.
도 28은 수동 차량 운행 모드 즉, 수동 모드에서의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제어를 위하여 다양한 차량 운행 관련 팩터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참조할 수 있다.
도 28에서는 그러한 차량 운행 팩터들로 차량 운행 속도 팩터, 현재 운행 중인 차량의 위치 팩터, 현재 차량 운행 중인 시간 팩터, 및 차량 운행의 목적지까지의 거리 팩터가 도시되었다. 다만, 본 발명은 도 28에서 예시한 팩터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각 팩터는 제어부에서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를 위한 개별 팩터로서 기능하는 것으로 예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시되었거나 비록 미도시되었으나 참조 가능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팩터들과의 어떤 조합을 참조하여 데이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편의상 도 28과 29에서는 이러한 차량 운행 팩터들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출력할 데이터의 디스플레이 위치 내지 영역 제어를 예로 하여 설명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차량 운행 팩터들 중 차량 운행 속도 팩터에 대해 설명한다.
도 28a를 참조하면, 차량 운행 팩터들 중 차량 운행 속도 팩터는 미리 정한 속도와 현재 속도를 기준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어느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것인지 결정한다. 편의상 도 28a에서는 시속 40km/h를 예로 들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현재 차량 운행 속도가 빠르면 빠를수록 차량 운전자는 차량 운행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전방을 계속하여 주시하여야 한다. 통상 차량 운행 속도가 전술한 미리 정한 속도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더욱 주변 환경 등에 대해 주의하여야 하므로, 이 경우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단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미리 정한 속도 미만이면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단 또는/및 하단에 디스플레이한다.
도시되진 않았지만, 현재 차량 운행 속도가 고정되지 않고 계속하여 변경되면, 제어부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되는 데이터의 출력 영역, 출력 데이터의 사이즈 등을 상황에 따라 임의 조정할 수 있다. 예컨대, 현재 차량 운행 속도가 80km/h에서 몇 초 사이에 100km/h가 되고 다시 몇 초 후에 120km/h를 넘었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 제어부는 차량 운행 속도가 계속하여 증가하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통상 차량 속도가 증가하면 사고 위험은 증가할 수 있고 연비는 나빠질 수 있다. 통상 차량 속도가 증가하면 전방 주시 거리는 길어진다. 따라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단에 디스플레이하는 것보다 조금 더 상단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차량 운행 속도에 따라 그러한 점을 차량 탑승자에게 알리기 위해 현재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을 임의로 조정, 차량 속도가 미리 정한 범위를 넘어서면 디스플레이되는 데이터 컬러, 데이터 사이즈, 데이터 선명도, 데이터 디스플레이 영역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전체의 해상도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임의 조정할 수 있다. 그 밖에 차량 속도와 관련된 다른 데이터도 전술한 바와 같이 임의 조정하여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예시인 속도가 증가 경우와 반대 경우에는 전술한 임의 조정을 반대로 수행하면 족할 것이다.
다음으로, 차량 운행 팩터들 중 현재 차량의 위치 내지 장소에 대해 설명한다.
도 28b를 참조하면, 제어부는 현재 차량이 정차나 주차를 한 경우와 이동 중인 경우에 현재 위치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차량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차량 운행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단 또는 하단 영역에 디스플레이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도시된 바와 달리, 제어부는 수집한 차량 위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친숙한 위치이면, 아예 차량 운행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는 다른 차량 운행 팩터들에도 유사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제어부는 현재 차량 위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현재 차량이 위치한 장소가 익숙한 장소이면, 차량 운행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단에만 제공한다. 반대로, 제어부는 현재 차량 위치 데이터 분석 결과, 현재 차량이 위치한 장소가 익숙하지 않은 장소이면, 차량 운행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단과 하단 모두에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예컨대, 현재 차량 위치가 익숙하지 않은 장소이면, 익숙한 경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욱 많은 데이터를 제공하여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여기서, 현재 차량 위치가 익숙한 장소 또는 익숙하지 않은 장소라는 것은, 제어부가 차량 운행 기록을 통해 해당 장소에 미리 정한 횟수 이상 방문 여부로 판단할 수 있다. 통상 처음 방문하는 장소를 가는 경우, 차량 운행 속도가 평소 차량 운행 속도에 비하여 떨어지거나 예상 소요 시간보다 많이 걸리거나 최적의 경로를 벗어나 경로가 복잡해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차량 운행 기록으로부터 이러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차량 탑승자의 해당 장소에 대한 익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및, 제어부는 유저의 입력이나 기타 데이터에 기초하여 장소의 익숙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예컨대, 유저가 네비게이션을 이용하면서 회사, 집, 거래처 등과 같이, 직접 주소가 아니라 주소명을 입력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장소는 이미 차량 탑승자가 익숙한 장소라는 것을 유추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이러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적어도 한 번 이상 해당 장소에 방문하고 나면 그 이후부터는 해당 장소는 익숙한 장소로 판단할 수 있다. 그 밖에, 차량 탑승자의 행동, 탑승자 간 대화, 탑승자의 통화 내용 등 다양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해당 장소에 대한 익숙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차량 운행 팩터들 중 현재 차량 운행 시간에 대해 설명한다.
도 28c를 참조하면, 제어부는 현재 차량 운행 시간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상의 데이터 디스플레이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차량 운행 시간이 평일이면, 통상 정해진 루트를 반복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 경우에는 주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단에만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반면, 차량 운행 시간이 주말이면, 전술한 평일과는 다른 루트를 가질 수 있으므로 이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단과 하단 모두에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여기서 차량 운행 팩터로 현재 차량 운행 시간을 평일이냐 주말이냐 여부만을 예시하였으나, 현재 차량 운행 시간이 아침, 점심, 저녁 또는 현재 시각을 기준으로 하여 데이터 디스플레이 영역을 다르게 할 수 있다. 예컨대, 현재 차량 운행 시간이 아침이나 저녁 시간이면 이 경우 차량은 정해진 이동 경로를 운행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점심시간에는, 상대적으로 정해지지 않은 이동 경로를 가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 디스플레이 영역을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28d를 참조하면, 제어부는 차량의 이동 거리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데이터 디스플레이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차량 이동 거리가 장거리이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단에만 데이터를 제공하고, 상기 차량 이동 거리가 단거리이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단과 하단 모두에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이는 통상 차량의 이동 거리가 증가할수록 차량 탑승자의 피로도가 증가할 것이므로 많은 데이터를 제공하여 상기 차량 탑승자의 피로도를 더욱 증가시키기보다는 상대적으로 필요한 데이터만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29는 전술한 도 28에서 설명한 차량 운행 팩터들 중 특히 차량 운행 시간과 관련된 상세 설정으로 볼 수도 있다.
도 29를 참조하면, 제어부는 평일과 주말을 구분한다. 제어부는 평일도 휴가인 경우와 휴가가 아닌 경우로 구분한다. 이러한 구분은 차량 운행 시간, 차량 탑승자의 일정 정보, 기타 정보에 기초하여 인지할 수 있다.
먼저, 제어부가 휴가가 아닌 평일에 차량이 운행되는 경우, 차량 기록 데이터에 기초할 때 주동선 구간 내에서 운행 중으로 판단되면 예컨대, 집에서 근무지로의 이동과 같이 지형이 익숙함을 인식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제어부는 그 판단에 따라 차량 운행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것으로 아니지만 긴급히 제공하여야 할 데이터가 아니라면 오히려 차량 운행 정보보다는 차량 탑승자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제공한다. 예컨대, 차량의 운행 경로가 근무지로 이동하는 것으로 인식이 되면, 제어부는 오늘의 일정 정보나 현재 시각 기준 다음 일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반면 제어부가 휴가가 아닌 평일에 차량이 운행되는 경우, 차량 기록 데이터에 기초할 때 주동선 구간이 아닌 구간을 운행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출장으로 인식하여 시급한 일정이 아니면 차량 운행 정보 제공에 집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현재 시각, 목적지 정보, 현재 이동 경로 정보, 도로 상황 등을 기준으로 판단하여, 차량 탑승자의 일정과 비교함으로써 우회도로를 추천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가 평일이나 휴가이고 차량이 운행되면, 마치 후술할 주말과 유사하게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는 주말이고 현재 차량의 이동 경로가 주말에 주동선 구간 내 운행이면, 목적지까지의 소모 연료, 소모 시간, 구간 내 추천 주유소 정보 표시, 목적지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품목 세일 등) 등이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이 되도록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제어부는 주말이나 현재 차량의 이동 경로가 주말의 주동선 구간 외이면, 목적지 근처 유명 관광지, 맛집 정보, 정보 선택 시 세부 정보 확대 표시, 목적지 자동 설정, 시간에 따른 식당 위주 추천 정보, 유명지 위주 추천 변동, 맛집 도착 예상 시간에 따른 식당 추천 등을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도 30은 본 발명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데이터 디스플레이 영역과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편의상 차량 운전자석이 차량 내부의 좌측에 형성된 경우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0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 전면 유리와 대응되게 구현되고, 디스플레이 장치 내 디스플레이 영역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가로축을 기준으로 제1 영역 내지 제3 영역으로 명명하여 설명하고, 세로축을 기준으로 각 영역은 다시 상단, 중단 및 하단 영역으로 명명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영역은 차량 운전자의 정면 영역을 나타내고, 제3 영역은 차량 운전자의 보조석 즉, 보조석의 정면 영역을 나타내고, 마지막으로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과 제3 영역 사이를 나타낸다. 이때, 각 영역은 동일 또는 다른 사이즈로 구현될 수 있으며, 차량 운행 과정에서 상기 사이즈가 임의로 변경될 수도 있다. 한편, 여기서, 상기 각 디스플레이 영역은 예컨대,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일 경우에는 가상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의미하고, 복수의 디스플레이 구성을 결합하여 구현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물리적인 디스플레이 영역을 의미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정의 내지 설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량 운행과 관련하여 그 의미는 다르게 해석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 영역을 적절히 분할하여 제공함으로써 그 효과를 증대할 수 있다.
도 30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영역 A(3010)는 제1 영역-하단 영역에 제공, 디스플레이 영역 B(3020)는 제2 영역-중단 영역에 제공, 그리고 디스플레이 영역 C(3030)는 제3 영역-상단 영역에 제공되고 있다. 이는 예컨대, 디스플레이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실시 예로서 데이터가 반드시 특정 영역이라고 하더라도 도시된 바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0을 참조하면, 제어부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따라 출력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선명도, 해상도, 투명도 등을 다양하게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도 30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영역 A(3010)가 가장 투명도가 높고, 디스플레이 영역 C(3030)로 갈수록 투명도가 낮아진다. 이는 디스플레이 영역 A(3010)가 차량 운전자의 전방에 형성됨에 따라 투명도를 높여 차량 운행의 편의를 제공하고 사고 방지를 위함이다. 반면, 디스플레이 영역 C(3030)는 투명도가 가장 낮은데 이는 아무래도 전방 디스플레이 영역들 중 차량 운행 또는 운행 안전도와 가장 관련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통상 디스플레이 영역 C(3030)는 사이드미러가 있는 차량에서 차량 우측 사이드미러를 보기 위한 경우가 아니라면 차량 운행 과정에서는 차량 운전자가 잘 보지 않고 주로 차량 동승자 즉, 차량 운전자를 제외한 다른 탑승자를 위한 디스플레이 영역이기 때문이다.
한편, 각 디스플레이 영역에 데이터 출력을 위하여 디스플레이 창을 제공할 수 있는데 이러한 디스플레이 창은 디스플레이 영역 내 어느 영역으로도 이동할 수 있으며 각 디스플레이 창은 영역들 간의 경계에 관계없이 그 사이즈를 임의 변경 가능하다.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주변 환경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1a를 참조하면, 제어부는 특히,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3110)가 구현된 전면 유리창의 선팅이나 시간, 장소 등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편의상 도 31a의 차량 전면 유리에 선팅이 이루어졌다고 가정하면, 상기 차량 전면 유리에 구현된 디스플레이 장치(3110)의 투명도 등에 관계없이 영향을 받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는 도 31b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3110)의 각 디스플레이 영역을 통해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창(3120,3130)의 투명도를 상기 선팅이나 주변 환경에도 불구하고 차량 탑승자의 차량 운행 안전을 확보 가능하도록 제어한다.
또는, 도 31과 같은 경우, 제어부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다음과 같이 활용할 수 있다.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주변 환경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 경우, 차량은 블랙박스와 같이, 차량 전방, 후방, 측방 등 차량 외부 영상을 획득 가능한 하드웨어 구성이 구비되었다고 가정한다. 상기 블랙박스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부로 대체될 수도 있고, 상기 센서부와 결합할 수도 있다.
도 31과 32를 참조하면, 제어부는 차량의 블랙박스로부터 차량 전방 뷰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한다(S3202).
제어부는 차량 전면 유리와 차량 측면 유리의 밝기를 비교하고 전면 유리의 밝기가 측면 유리의 밝기보다 밝은지 판단한다(S3204,S3206).
제어부는 상기 S3206 단계 판단 결과, 만약 차량 전면 유리의 밝기가 차량 측면 유리의 밝기에 비하여 밝지 않으면, 차량 전면 유리에 제공 중인 사이드미러 데이터의 밝기를 감소시킨다(S3208).
반면, 제어부는 상기 S3206 단계 판단 결과, 만약 차량 전면 유리의 밝기가 차량 측면 유리의 밝기에 비하여 밝으면, 차량 전면 유리에 제공 중인 사이드미러 데이터의 밝기를 증가시킨다(S3210).
한편, 제어부는 도 32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차량 운행 시각이 밤이라거나 터널 진입, 또는 차량 전면 유리의 선팅에 따른 밝기가 어두운 경우에는, 상기 블랙박스를 통해 획득한 외부 뷰 이미지를 차량 전면 유리창에 구현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마치 낮시간, 터널 탈출 또는 선팅이 안 된 것처럼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상기 블랙박스를 통해 획득한 외부 뷰 이미지를 프로세싱하여 차량 운전자의 운전 방해가 되지 않는 선에서 마치 차량 운전자가 낮에 직접 보는 것과 유사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이때 추가적인 차량 운행 데이터나 사이드미러, 룸미러 데이터는 차량 운전자의 식별 편의를 위하여 종래와 다르게 이미지 프로세싱할 수 있다.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현재 차량 위치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3은 편의상, 차량이 드라이브 쓰루(Drive Through) 지역에 진입한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제어부는 운행 중인 차량이 드라이브 쓰루 지역에 진입한 것으로 감지되면, GPS 센서, 차체와 업소 사이의 근거리 통신 등을 통해 드라이브 쓰루 지역 진입 사실을 알리고, 상기 업소로부터 드라이브 쓰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는 상기 수신한 드라이브 쓰루 정보를 처리하여 드라이브 쓰루 메뉴, 각 메뉴 가격, 결제 정보 등을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한다.
이때, 제어부는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행 중인 차량과 드라이브 쓰루 지역 내 업소와 커뮤니케이션이 원활하도록 특정 영역에 상기 처리된 드라이브 쓰루 정보(3310)를 제공한다.
또한, 제어부는 차량 내 탑승자의 드라이브 쓰루 메뉴 선택에 따른 신호를 상기 드라이브 쓰루 업소로 전송하고, 결제는 차량 내 하이패스 결제 방식 등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33을 참조하면, 제어부는 차량 내 디스플레이 장치의 좌측면 상에 세로 방향으로 일직선 형태로 드라이브 쓰루 메뉴를 제공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제어부는 상기 드라이브 쓰루 메뉴의 양에 따라 상술한 좌측면 상이 아니라 전면에 펼쳐서 제공할 수도 있고, 이 경우 탑승자의 선택 편의를 위하여 줌-인, 줌-아웃이나 제스처, 보이스 등에 기초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UI를 구성하고 제어를 할 수 있다.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차량 운전자의 시야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차량 운전자는 다른 개성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어부에서 일방적으로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면, 차량 운전자의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여기서는 제어부에서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를 차량 운전자(탑승자도 포함)에 맞추어 적응적인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이는 또한, 차량 탑승자의 앉은 키 등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에도 동일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적용 가능하다.
도 34a를 참조하면, 제어부는 전술한 차량 운행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할 때, 차량 운전자의 시야를 기초로 하여 상기 차량 운전자가 바라보는 곳과 상기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상의 디스플레이 영역이 만나는 접점(3412,3414) 상에 해당 차량 운행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도 34a에서는 차량 운전자가 전방 정면을 바라보고 있으면, 제어부는 그에 해당하는 영역(3412)에 차량 운행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 반면, 차량 운전자가 전방 정면을 바라보되 고개를 숙여 하단부를 바라보면, 제어부는 그에 해당하는 영역(3414)에 차량 운행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데이터 소정 디스플레이 영역이 제공 중인 경우에는, 제어부는 상기 영역(3414)으로 디스플레이 영역이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차량 운전자가 반드시 전방 정면을 바라보지 않을 수도 있다. 예컨대, 도 34b를 참조하면, 차량 운전자는 차량 정면을 바라보다가 우측으로 고개를 살짝 돌린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 운전자의 시야는 차량 정면이 아니게 되는데, 제어부에서 이 경우에도 계속하여 차량 정면에 정보(3422)를 제공하면, 차량 운전자는 이를 제대로 인지하거나 획득을 할 수 없다. 더구나 만약 상기 정보(3422)가 차량 운행에 또는 차량 운전자에게 중요한 정보라면 더더욱 그러하다. 따라서, 이 경우, 제어부는 차량 운전자가 전방 정면을 응시하지 않는 경에도, 운전자의 시야에 관련된 디스플레이 영역(3424)상에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4는 매 데이터에 적용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예컨대, 제어부는 모든 데이터가 아니라 차량 운행에 관련하여 중요하거나 차량 운전자나 탑승자에게 중요하다고 판단되거나 분류된 정보에 대해서는 도 34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34의 차량 운전자의 시야 변경 또는 초점 변경에 관하여는 차량 내부에 구비된 카메라 센서, 이미지 센서, 아이-트랙킹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그로부터 획득되는 데이터를 프로세싱하여 인지하고, 제어부에서 그에 따른 제어 커맨드를 생성하면 족하다.
도 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차량 운행 시 타 디바이스(3514,3524)와의 데이터 커뮤니케이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동 단말기(3514,3524)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차량 운행 시에 네비게이션, 블루투스 연동을 통한 음악 청취 등의 목적으로 이동 단말기(3514,3524)를 사용하는 차량 탑승자가 많다. 다만, 특히 차량을 수동 모드로 운행하는 경우에 이러한 이동 단말기(3514,3524)의 사용은 사고를 유발할 위험이 있다.
도 35를 참조하면, 제어부는 차량과 차량 내/외의 이동 단말기 간의 데이터 커뮤니케이션뿐만 아니라 관련 데이터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차량이 자동 주행 모드인 경우, 차량 탑승자는 차량 내 디스플레이 장치(3512,3522)에 데이터를 제공하더라도 이를 보지 않거나 신경 쓰지 않고, 이동 단말기(3514,3524)에 시선을 둘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차량 탑승자가 이동 단말기(3514,3524)를 이용하거나 이동 단말기(3514,3524)로 시선을 두는 등의 경우와 차량 탑승자에게 알려야 할 중요 데이터에 대해서는 차량 탑승자의 이동 단말기(3514,3524)를 통해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반면, 제어부는 이동 단말기(3514,3524)를 통해 수신하는 데이터는 차량 탑승자가 1명이 아니면 프라이버시 보호 차원에서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3512,3522)를 통해 디스플레이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차량 탑승자가 1명인 경우와 차량 탑승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에는 기제공 중인 차량 운행 데이터에 따라 차량 디스플레이 영역(3512,3522) 내 디스플레이 영역, 디스플레이 창 사이즈, 보이스로 전환 여부 등을 결정하여 적절히 대응한다.
도 35a에서는 차량 탑승자가 스마트워치와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경우이고, 도 35b는 차량 탑승자가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경우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후방 주행 또는 주차시의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6은 차량이 후진 주행을 하거나 후방 주차를 하고자 하는 경우에, 제어부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어부는 후진 기어가 들어가면 후방 센서 등을 통해 획득되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제공되도록 제어한다.
최근에는 차량의 후미에 후방 카메라가 설치되어 차량 운전자가 시선을 뒤쪽으로 돌리지 않고 시선을 전방에 두더라도 후방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이미지가 네비게이션 등을 통해 제공되고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차량 운전자는 후방뿐만 아니라 사이드미러 데이터가 필요한 경우도 있다. 또한, 후방 카메라에 따라서는 사각지대가 존재할 수 있어 후방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이미지에도 불구하고 후진 주행이나 후방 주차시에 많은 차량 운전자의 시선은 상기 후진 주행이나 후방 주차가 완료될 때까지 고정되어 있지 않다. 다만, 이와 같이, 차량 운전자의 시선이 변경이 되면, 상기 정보는 무의미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우선, 제어부에서 전술한 내용에 더하여 차량 운전자의 시선이 변경이 감지되면, 상기 감지된 변경 시선과 가까운 디스플레이 영역에 후방 카메라 등을 통해 획득된 이미지 데이터(3620)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이라 함은 반드시 차량 전면 유리에 구현된 디스플레이 장치상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의미하지 않고, 차량 좌측이나 후면 유리 상에 구현된 디스플레이 장치상의 디스플레이 영역도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한, 제어부는 차량 주변 소정 범위의 영역에 대한 오브젝트와 보이스 등을 감지하여, 상기 이미지 제공과 동시에 차량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36을 참조하면, 단지 후방 이미지뿐만 아니라 차량 전체 이미지와 주변 환경을 대비한 이미지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36에서는 차량 좌측과 우측의 이미지 즉, 차량 후방 이미지(3620) 제공 시에 사이드미러 데이터(3612,3614)를 함께 제공하여, 차량 운전자의 시선 변경을 최소화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할 수도 있다.
도 3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주변 환경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7은 차량 운행 중에 주변 환경이 변화된 경우에 제어부에서 적응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내용에 관한 것이다.
도 37a는 차량 운행 중에 갑자기 전면 시야(3710)가 어두워진 경우를 예시한 것으로, 제어부는 이 경우 전술한 도 31b와 유사한 형태로 제어한다.
도 37b와 37c는 차량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에만 시야(3720)가 제한되는 경우를 예시한 것으로, 제어부는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내 시야가 제한되는 경우와 겹치는 디스플레이 영역이 아닌 디스플레이 영역에 차량 운행 데이터가 제공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37b와 37c는 전술한 바와 유사하게 예컨대, 빛이 차량 전면에 조사되어 차량 운행이 방해를 받는 경우에 상기 방해가 특히 일부 영역에서만 일어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영역들 중 해당 디스플레이 영역(3730)의 투명도, 해상도, 밝기, 명암 등을 조정하고, 그에 따라 차량 운행 데이터 역시 그 외의 디스플레이 영역(3740) 상에서만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7d는 차량 전면 유리에 구현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네비게이션 정보(3752,3754,3756)를 제공하는 경우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통상 네비게이션 정보는 정해진 사이즈의 스크린을 구비한 개별 기기나 이동 단말기를 통해 제공되어, 실제 주변의 축소판이다. 따라서, 차량 운전자는 복잡한 도로를 주행하는 경우에는 네비게이션의 축소화면만으로는 혼동을 느껴 원치 않는 도로에 진입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차량 운전자의 운행 편의를 위하여, 도 37d와 같이 실제 차량 운전자가 보는 시야와 동일한 사이즈의 디스플레이 장치상에 네비게이션 정보를 제공하여 차량 운전자의 도로 진입 혼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도 37d와 같이, 네비게이션 정보를 제공함에 있어서, 해당 인디케이터에서 나타내는 위치와의 남은 거리에 따라 관련 인디케이터의 길이, 사이즈, 컬러 등이 변경되어 직관적인 UI를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하여, 미러리스 차량이라 함은 사이드미러가 없는 차량을 의미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미러리스 차량에서도 상술한 사이드미러 데이터 자체는 수집하고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출력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미러리스 차량이라 함은 사이드미러가 없는 경우뿐만 아니라 상기 사이드미러 데이터 수집을 위한 예컨대, 카메라 모듈이나 어안 렌즈를 장착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이 구비된 차량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미러리스 차량은 사이드미러뿐만 아니라 차량 내부에 구비된 룸미러와 관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미러리스 차량은 룸미러가 제거된 차량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한편, 룸미러가 차량 내부에 존재하지 않는 미러리스 차량에서, 상기 룸미러 데이터는 사이드미러 데이터 디스플레이 방식을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상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룸미러 데이터가 상기 사이드미러 데이터와 함께 제공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장치상의 디스플레이 영역, 디스플레이 사이즈 등은 적절히 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차량 내 인텔리전트 디스플레이 구성 및 제어할 수 있고, 차량 운행 모드, 차량 운행 지역, 차량 속도, 차량 탑승자, 차량 운행 시간 등 팩터와 다양한 팩터들의 어떤 조합에 기초하여 차량 탑승자의 차량 이용 편의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를 통해 모든 차량 탑승자의 차량 이용 편의를 제고하고 차량 운행 과정에 발생 가능한 다양한 이벤트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은 차량, 이동 단말기 등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 등이 있으며,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웨이브(carrier-wave)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실시 예일 뿐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가 가능한 다양한 내용도 청구범위에 따른 권리범위에 속한다. 또한, 그러한 변형 실시들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610: 통신부 620: 제어부
630: 메모리 650: 디스플레이부

Claims (10)

  1. 자율 주행을 지원하는 차량에 있어서,
    센서들;
    상기 차량 전면 유리 상에 형성된 스크린을 포함한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차량의 운행 모드와 상기 차량 탑승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센서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통해 센싱되는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운행 모드가 자율 주행 모드인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통해 센싱되는 데이터는 디스플레이 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반면,
    상기 차량의 운행 모드가 수동 모드인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통해 센싱되는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특정 영역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차량의 운행 모드가 수동 모드이면, 상기 운행 중인 차량의 속도, 상기 운행 중인 차량의 현재 위치, 현재 시각, 또는 상기 운행 중인 차량의 목적지까지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된 상기 스크린의 특정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 상기 센서를 통해 수집된 차량 운행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일 영역에 설치되어 사이드미러 데이터를 획득하는 렌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글로벌 셔터 센서가 적용된 어안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어안 렌즈의 시야각은 18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렌즈를 통해 획득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프로세싱하여 상기 스크린 내 소정 디스플레이 영역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들을 통해 수집되는 데이터로부터 상기 차량 주변 환경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스크린의 투명도, 해상도, 또는 밝기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운행 모드가 자율 주행 모드이고, 상기 차량의 탑승자 정보에 기초할 때 상기 차량의 탑승자가 복수이면, 상기 센서로부터 센싱된 차량 운행 데이터를 상기 차량 탑승자의 등록된 이동 단말기의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를 통해 상기 차량의 운전자의 시선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시선 정보를 기초로 결정된 상기 스크린의 영역 상에 상기 센서를 통해 수집된 차량 운행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10. 삭제
KR1020170008183A 2017-01-17 2017-01-17 차량 및 차량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1026852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8183A KR102685268B1 (ko) 2017-01-17 2017-01-17 차량 및 차량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PCT/KR2018/000544 WO2018135804A1 (en) 2017-01-17 2018-01-11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a display therein
EP18741282.0A EP3544873B1 (en) 2017-01-17 2018-01-11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a display therein
CN201880005316.6A CN110099836B (zh) 2017-01-17 2018-01-11 车辆及控制其中的显示器的方法
US15/873,727 US10189427B2 (en) 2017-01-17 2018-01-17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a display therein
US16/218,326 US10604089B2 (en) 2017-01-17 2018-12-12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a display there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8183A KR102685268B1 (ko) 2017-01-17 2017-01-17 차량 및 차량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4496A KR20180084496A (ko) 2018-07-25
KR102685268B1 true KR102685268B1 (ko) 2024-07-16

Family

ID=62838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8183A KR102685268B1 (ko) 2017-01-17 2017-01-17 차량 및 차량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0189427B2 (ko)
EP (1) EP3544873B1 (ko)
KR (1) KR102685268B1 (ko)
CN (1) CN110099836B (ko)
WO (1) WO20181358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65508B2 (en) * 2003-06-11 2015-02-24 Jeffrey A. Matos Controlling a personal medical device
US20180148007A1 (en) * 2016-11-30 2018-05-31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djusting one or more vehicle settings
KR102685268B1 (ko) * 2017-01-17 2024-07-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및 차량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DE102018208513A1 (de) * 2018-05-29 2019-12-05 Continental Automotive Gmbh Kamera-Monitor-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und Verwendung eines Spiegelersatzsystems für ein Kraftfahrzeug
JPWO2019239450A1 (ja) * 2018-06-11 2021-02-12 三菱電機株式会社 入力制御装置、操作装置および入力制御方法
KR102621705B1 (ko) * 2018-09-07 2024-0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메시지 출력 장치 및 방법
KR20200042660A (ko) * 2018-10-16 2020-04-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618242B2 (en) * 2019-01-14 2023-04-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utomotive glass display
EP3921050A4 (en) * 2019-02-08 2022-11-09 Warner Bros. Entertainment Inc. PLAY IN A VEHICLE
JP7192570B2 (ja) * 2019-02-27 2022-12-20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記録再生装置、記録再生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674003B1 (en) * 2019-03-29 2020-06-02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Apparatus and system for identifying occupants in a vehicle
KR102354423B1 (ko) * 2019-05-21 2022-01-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차량 운전 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
WO2021029445A1 (ko) * 2019-08-09 2021-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경로 제공 장치 및 그것의 경로 제공 방법
KR20210023174A (ko) * 2019-08-22 2021-03-04 주식회사 이에스피 Avm 화면 및 차량주행정보를 제공하는 디지털 클러스터 및 디지털 클러스터의 통합주행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KR20210025767A (ko) * 2019-08-27 2021-03-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군집 주행 제어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1186510B (zh) * 2019-08-30 2020-11-17 杨丽 基于现场检测的语音报警平台、方法及存储介质
DE102019124218A1 (de) * 2019-09-10 2021-03-11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Anzeigen von Fahrzeuginformationen, Windschildsystem sowie Kraftfahrzeug
USD987652S1 (en) * 2019-09-11 2023-05-3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10885728B1 (en) * 2019-10-02 2021-01-05 William H. Havins Cognitively optimized user interface for motor vehicle
US11106336B2 (en) * 2019-10-02 2021-08-31 William H. Havins Cognitively optimized user interface for static equipment
JP7192742B2 (ja) * 2019-11-06 2022-12-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管理サーバー、車両管理方法、及び車両管理システム
TWI752375B (zh) * 2019-11-13 2022-01-11 中華汽車工業股份有限公司 用於電動車輛的儀表系統
CN110861649A (zh) * 2019-11-20 2020-03-06 徐州徐工矿业机械有限公司 一种电传动矿用自卸车司机驾驶行为监测系统及方法
KR20210077191A (ko) * 2019-12-17 2021-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내 무선 통신 연결 제어 장치 및 그의 무선 통신 연결 제어 방법
JP2021148914A (ja) * 2020-03-18 2021-09-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車両及び表示制御方法
CN111703301B (zh) * 2020-06-18 2022-03-04 北京航迹科技有限公司 一种车窗内容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1703385B (zh) * 2020-06-28 2022-03-11 广州易点智慧出行科技有限公司 一种内容互动方法以及一种车辆
JP2022011370A (ja) * 2020-06-30 2022-01-17 日本精機株式会社 車両用表示装置
JP7366850B2 (ja) * 2020-07-28 2023-10-2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情報共有システムおよび情報共有方法
KR102239570B1 (ko) * 2021-02-09 2021-04-15 (주)넥스트박스 Adas 모니터링 이벤트 시스템
WO2022210172A1 (ja) * 2021-03-30 2022-10-06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表示システム、車両用表示方法、及び車両用表示プログラム
JP7476845B2 (ja) * 2021-04-27 2024-05-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6704918A (zh) * 2022-02-25 2023-09-05 华为技术有限公司 显示检测装置、显示检测系统和显示检测方法
US20240092377A1 (en) * 2022-05-18 2024-03-21 Amazon Technologies, Inc. Package delivery guidance and assistance system using vehicle sensor data
CN115782835B (zh) * 2023-02-09 2023-04-28 江苏天一航空工业股份有限公司 一种旅客登机车自动驻车远程驾驶控制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51759A (ja) * 2013-02-07 2014-08-25 Kojima Press Industry Co Ltd 車両用固定窓
US20150053066A1 (en) 2013-08-20 2015-02-26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Driver assistance system
US20160148062A1 (en) 2014-11-21 2016-05-26 Magna Electronics Inc. Vehicle vision system with multiple cameras

Family Cites Families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63502B2 (en) * 1992-05-05 2010-02-16 Intelligent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Asset system control arrangement and method
JP2914066B2 (ja) * 1993-01-12 1999-06-2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自動調光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
EP1391349B1 (en) * 2001-05-28 2010-12-29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Device installation apparatus for moving body
US20060290782A1 (en) * 2005-06-23 2006-12-28 Jung-Ting Chen Automobile rearview imaging system
US7944371B2 (en) * 2007-11-05 2011-05-17 Magna Mirrors Of America, Inc. Exterior mirror with indicator
JP2008209724A (ja) * 2007-02-27 2008-09-11 Calsonic Kansei Corp 車両用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US8106755B1 (en) * 2008-02-14 2012-01-31 Epsilon Lambda Electronics Corp. Triple-function vehicle safety sensor system
US8977489B2 (en) * 2009-05-18 2015-03-1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Turn by turn graphical navigation on full windshield head-up display
DE102009048954A1 (de) * 2009-10-10 2011-04-14 Daimler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tomatischen Betreiben eines Fahrzeugs in einem keine Nutzeraktion erfordernden autonomen Fahrbetrieb
US8260482B1 (en) * 2010-04-28 2012-09-04 Google Inc.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internal state of autonomous driving system
WO2012024840A1 (en) * 2010-08-27 2012-03-01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Head up display
JP5704902B2 (ja) * 2010-11-26 2015-04-22 東芝アルパイン・オートモティブ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運転支援装置及び運転支援方法
US8692739B2 (en) * 2011-09-22 2014-04-0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Dynamic information presentation on full windshield head-up display
KR101553067B1 (ko) * 2012-11-22 2015-09-15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증강현실 내비케이터
US9008961B2 (en) * 2012-11-30 2015-04-14 Google Inc. Determining and displaying auto drive lanes in an autonomous vehicle
DE102013002533A1 (de) * 2013-02-13 2014-08-14 Audi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Darstellung von Informationen eines Systems
US9398287B2 (en) * 2013-02-28 2016-07-19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Context-based depth sensor control
US8676431B1 (en) * 2013-03-12 2014-03-18 Google Inc.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object-based indications in an autonomous driving system
KR20140128812A (ko) * 2013-04-29 2014-11-06 인포뱅크 주식회사 차량용 투명 디스플레이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JP6036548B2 (ja) * 2013-05-22 2016-11-30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の映像制御装置
US9513702B2 (en) * 2013-07-15 2016-12-06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for vehicular display system with gaze detection
DE102013012777A1 (de) * 2013-07-31 2015-02-05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Verfahren zum Nutzen eines Kommunikationsendgeräts in einm Kraftfahrzeug beim aktivierten Autopiloten und Kraftfahrzeug
DE102013110864A1 (de) * 2013-10-01 2015-04-02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für ein Fahrerassistenzsystem eines Fahrzeugs
KR102052405B1 (ko) * 2013-11-05 2019-12-05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차량 및 사용자 동작 인식에 따른 화면 제어 장치 및 그 운영방법
DE102013018966A1 (de) * 2013-11-12 2015-05-13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Displays beim Umschalten eines Kraftfahrzeugs von einem automatischen in einen manuellen Fahrmodus, Fahrerassistenzeinrichtung und Kraftfahrzeug
US9403482B2 (en) * 2013-11-22 2016-08-02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Enhanced view for connected cars
KR101511587B1 (ko) * 2013-12-12 2015-04-14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헤드업 디스플레이 정보 표시 장치 및 방법
RU2669910C2 (ru) * 2014-03-18 2018-10-16 Ниссан Мотор Ко., Лтд.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транспортным средством
JP6009123B2 (ja) * 2014-04-14 2016-10-19 三菱電機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表示制御用プログラム
JP6123761B2 (ja) * 2014-09-05 2017-05-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表示装置
JP2016155427A (ja) * 2015-02-24 2016-09-01 日本精機株式会社 画像生成装置、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
WO2016152682A1 (ja) * 2015-03-23 2016-09-29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撮像装置、車輌用灯具及び電子制御ユニット
KR101687543B1 (ko) * 2015-04-27 2016-1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309316B1 (ko) * 2015-06-02 2021-10-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
US9895975B2 (en) * 2015-06-05 2018-02-20 Lg Display Co., Ltd. Bar type display apparatus and vehicle comprising the same
US20170043664A1 (en) * 2015-08-12 2017-02-16 Panasonic Automotive Systems Company Of America, Division Of Panasonic Corporation Of North America Video display on windshield and windows in autonomous cars
US9958870B1 (en) * 2015-09-29 2018-05-01 Amazon Technologies, Inc. Environmental condition identification assistance for autonomous vehicles
US11488397B2 (en) * 2015-11-02 2022-11-01 Magna Electronics Inc. Vehicle customization system
JP6868805B2 (ja) * 2016-06-07 2021-05-1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画像生成装置、画像生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789984B1 (ko) * 2016-07-13 2017-10-25 엠엠피씨 주식회사 차량용 사이드 미러 카메라 시스템
CN106080393A (zh) * 2016-08-08 2016-11-09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自动驾驶辅助显示系统
KR102685268B1 (ko) 2017-01-17 2024-07-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및 차량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US10464577B1 (en) * 2018-11-15 2019-11-0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Contextual autonomous vehicle support through written interac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51759A (ja) * 2013-02-07 2014-08-25 Kojima Press Industry Co Ltd 車両用固定窓
US20150053066A1 (en) 2013-08-20 2015-02-26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Driver assistance system
US20160148062A1 (en) 2014-11-21 2016-05-26 Magna Electronics Inc. Vehicle vision system with multiple camera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604089B2 (en) 2020-03-31
WO2018135804A1 (en) 2018-07-26
EP3544873B1 (en) 2021-09-22
US20180201207A1 (en) 2018-07-19
KR20180084496A (ko) 2018-07-25
CN110099836B (zh) 2022-12-30
US10189427B2 (en) 2019-01-29
EP3544873A1 (en) 2019-10-02
US20190111871A1 (en) 2019-04-18
EP3544873A4 (en) 2020-07-29
CN110099836A (zh) 2019-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85268B1 (ko) 차량 및 차량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US9800717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200213835A1 (en) Mobile terminal
US10149132B2 (en) Pedestrial crash prevention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10431086B2 (en) Vehicle,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504490B2 (en) Configuring the display of passenger information in a vehicle based on weight and voice
EP3183151B1 (en) Wearab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05894733B (zh) 驾驶员监控系统
US9869556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1711835B1 (ko) 차량, 차량의 동작 방법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
KR101716145B1 (ko) 이동단말기, 차량과 이동 단말기의 연동 시스템
KR101878811B1 (ko) 실시간 지도 생성을 위한 v2x 통신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2017001458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41501B1 (ko) 카 쉐어링을 위한 이동 단말기 및 카 쉐어링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20170007980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28400B1 (ko) 휴대용 v2x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698102B1 (ko) 차량 제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73682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859043B1 (ko) 이동단말기, 차량과 이동 단말기의 연동 시스템
KR101916425B1 (ko)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차량과 이동 단말기의 연동 시스템
KR101892498B1 (ko)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차량과 이동 단말기의 연동 시스템
KR10222036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