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8812A - 차량용 투명 디스플레이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투명 디스플레이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8812A
KR20140128812A KR1020130047763A KR20130047763A KR20140128812A KR 20140128812 A KR20140128812 A KR 20140128812A KR 1020130047763 A KR1020130047763 A KR 1020130047763A KR 20130047763 A KR20130047763 A KR 20130047763A KR 20140128812 A KR20140128812 A KR 201401288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on mode
transmittance
mode
vehicle
vehicl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7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홍석
홍종철
Original Assignee
인포뱅크 주식회사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포뱅크 주식회사,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포뱅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47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28812A/ko
Publication of KR20140128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88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7/00Dashboar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information/image process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는 차량 제어 장치에 있어서, 카시트 장치의 장착에 대응되는 차량 모드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카시트 장치의 장착을 검출하는 센서부; 및 상기 카시트 장치의 장착이 검출되면, 차량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모드 변경에 따라 상기 장착된 카시트 장치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투명 디스플레이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AN METHOD FOR CONTROLLING A TRANSPARANT DISPLAY FOR A VEHICLE AND AN APPRATUS USING IT}
본 발명은 차량용 투명 디스플레이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운전 모드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드 변경을 제어할 수 있는 차량용 투명 디스플레이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투명 디스플레이는 화면이 투과도를 가지고 있어 화면 뒷면이 보이는 특징을 가지는 디스플레이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투명 디스플레이는 HUD 등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투사형 디스플레이, 교류형 무기박막 EL 디스플레이, 투명 OLED, 투명 LCD, 투과형 투명디스플레이, 투명 LED 디스플레이 등이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더욱 다양한 기술로 기능이 개선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한편, 자동차의 보급이 늘면서 자동차는 현대인의 필수품으로 잡아가고 있으며, 차량 관리 및 유지와 관련하여 편리한 자동차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한편, 자동차의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현재의 자동차의 중요부분들의 제어는 대부분 전자적인 제어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이 같은 장치들로부터 전자적인 제어뿐만 아니라, 다양한 자동차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어, 운전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들이 개발되고 상용화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전자적인 제어가 가능한 투명 디스플레이가 차량의 앞유리에도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편의 장치가 제공됨에도 불구하고, 투명 디스플레이의 모드 변경에는 불편함이 존재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인공 지능을 이용한 자동 운전 방식개발이 매우 진척되어 있으며, 무인 자동차의 상용화도 곧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자동 운전 또는 무인 자동차가 제공됨에도 불구하고, 운전자는 수동 운전을 선호할 수 있으며, 자동 운전 제어가 오동작하는 경우에도 수동으로 전환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앞으로 양산될 자동 운전 또는 무인 자동차의 경우에도 수동 운전 모드와 자동 운전 모드는 구분되어 적용되어야 한다.
그런데, 수동 운전시 차량의 전면 유리를 통해 들어오는 불빛에 의해 눈부심이 발생하는 경우 운전자의 시야 확보 불가능 상황 발생하여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눈부심으로 인한 사고 발생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여러 기술들, 예를 들면 헤드램프의 빛을 감지하여 전면유리 또는 헤드램프 렌즈를 물리적으로 차단하는 기술들이 제시되고는 있으나, 빛의 감지에서부터 빛을 물리적으로 차단하는 동작 메카니즘이 대부분 기계적인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응답성 측면에서 좋지 않고, 또 차단으로 인한 시야확보의 어려움이 다시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수동 운전시에는 전면 유리 또는 룸미러를 통해 오는 불빛을 차단할 수 있으면서도 운전 시야를 확보시켜줄 필요성이 있으나, 자동 운전시에는 운전자의 시야 확보 필요성이 적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운전 모드에 따라 차량 디스플레이의 투과도를 제어할 수 있는 차량 제어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 운전시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차량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제어 장치의 모드 변경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 상기 모드 변경 입력에 따라 상기 차량 제어 장치의 운전 모드를 제1 운전 모드에서 제2 운전 모드로 변경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운전 모드에서 제1 투과도가 적용되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운전 모드로 변경된 경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일부 또는 전부에 적용되는 제1 투과도를 제2 투과도로 변경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운전 모드에서 제1 투과도를 투명 디스플레이에 적용하는 단계; 상기 차량 제어 장치의 모드 변경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모드 변경 입력에 따라 상기 차량 제어 장치의 운전 모드를 제1 운전 모드에서 제2 운전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운전 모드로 변경된 경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일부 또는 전부에 적용되는 제1 투과도를 제2 투과도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차량의 운전 모드에 따라 투명 디스플레이의 투과도가 제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적응적으로 투명 디스플레이의 투과도가 제어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눈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차량 모드 변경시 투과도가 제어된 화면에 미리 설정된 영상을 표시함에 따라 불필요한 빛을 차단하고,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차량 제어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블럭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프로세서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표시된 기능 블럭을 포함하는 도면에 도시된 다양한 소자의 기능은 전용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의 사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상기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별적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중 일부는 공유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제어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시되는 용어의 명확한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인용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램(RAM) 및 비 휘발성 저장부를 암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지관용의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에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 표현된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 소자의 조합 또는 펌웨어/마이크로 코드 등을 포함하는 모든 형식의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든 방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었으며, 상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한 적절한 회로와 결합된다. 이러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은 다양하게 열거된 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들이 결합되고 청구항이 요구하는 방식과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본 명세서로부터 파악되는 것과 균등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운전 모드에 따라 투명 디스플레이의 투과도는 상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차량 제어 장치(100)는, 제1 운전 모드에서 제1 투과도를 투명 디스플레이에 적용할 수 있으며, 모드 변경 입력을 수신하면, 모드 변경 입력에 따라 차량 제어 장치(100)의 운전 모드를 제1 운전 모드에서 제2 운전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운전 모드로 변경된 경우, 차량 제어 장치(100)는 투명 디스플레이의 일부 또는 전부에 적용되는 제1 투과도를 제2 투과도로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 제어 장치(100)는 모드 변경 입력에 따라 제2 운전 모드에서 제1 운전 모드로 변경된 경우, 조절된 투과도를 제1 투과도로 복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운전 모드는 수동 운전 모드이고, 제2 운전 모드는 자동 운전 모드일 수 있다.
그리고, 차량 제어 장치(100)는 제2 운전 모드(자동 운전 모드)에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에 미리 설정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 제어 장치(100)는 제2 운전 모드에서 다시 제1 운전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미리 설정된 영상을 제거하고, 다시 제1 투명도로 투명 디스플레이를 복원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제어 장치(100)는 눈부심 발생원인으로부터 조사되는 임계치 이상의 조도가 검출되면, 투과도를 제어함으로써 눈부심으로부터 사용자의 눈을 보호할수 있다.
이를 위해, 차량 제어 장치(100)는 눈부심 발생 원인으로부터 차량 제어 장치(100)로 조사되는 빛의 조도를 검출하고, 상기 조도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에 적용되는 제1 투과도를 상기 조도에 따라 제2 투과도로 조절하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에 대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투과도는 투명 디스플레이가 완전히 불투명한 상태로 제어될 때의 값과 비교하여 산출되는 상대적인 값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투과도는 제1 투과도보다 낮을 수 있다.
그리고 차량 제어 장치(100)는 빛의 조도가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조절된 투과도를 상기 제1 투과도로 복원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 제어 장치(100)는 빛의 조도가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대체 영상을 제거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기 차량 제어 장치(100)는 무선 통신부(110), 제어부(120), 저장부(130), 센서부(140), 복수의 전장 모듈(160) 및 전장 제어부(ECU, 1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단말 장치가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제어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부 및 출력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차량 제어 장치(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차량 제어 장치(100)와 원격 제어 장치(2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차량 제어 장치(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단말 장치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사용자 입력부는 사용자가 차량 제어 장치(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차량 제어 장치(100)의 차량 모드가 자동 운전 모드 또는 수동 운전 모드로 변경될 수 있다.
센서부(140)는 차량 제어 장치(100)의 주변에 위치한 탑승자(300)를 센싱하고, 이를 식별하기 위한 데이터를 제어부(120)로 출력한다. 센서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40)는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할 수 있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제어부(120)에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140)는 카메라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을 저장부(13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는 탑승자 식별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출력부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 음향 출력 모듈, 알람부, 및 햅틱 모듈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차량 제어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차량 설정에 따른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제어부(12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차량 설정 값, 센싱 데이터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13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제어 장치(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저장부(13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제어부(120)는 통상적으로 차량 제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20)는 후술할 차량 제어 장치(100)의 동작 방법에 따라, 탑승자를 식별하고, 탑승자의 식별 정보에 따라 설정 대상 전장을 결정하며, 설정 대상 전장을 제어하도록 전장 제어부(150)에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전장 제어부(150)는 제어부(120)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대상 전장(160)의 모듈을 특정하고, 상기 대상 전장 모듈로 설정값을 전달하여 제어를 수행한다.
여기서, 전장(160)은 복수 개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모듈은 각각 차량 내 편의를 구현하기 위한 별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장(160)은 엔진제어 모듈, 도어 모듈, 통합 메모리 시스템 모듈, AVN 모듈, 공조시스템 및 TFT 클러스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엔진 제어 모듈(Engine management System, EMS) 모듈은 시동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모듈일 수 있다.
도어 모듈(Drive Door Module, DDM)은 차량의 도어를 잠금/해제시키는 모듈일 수 있다.
또한, 통합 메모리 시스템 모듈(Integrated Memory System, IMS)은 제어부(120)에서 전달된 설정값에 따라 운전 위치를 조정하고, 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합 메모리 시스템 모듈은 운전자 시트, 사이드 미러, 스티어링 컬럼 의 설정값을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또한, 통합 메모리 시스템 모듈은 제어부(120)에서 설정된 탑승자 맞춤형 설정값에 따라 운전자 시트, 사이드 미러, 스티어링 컬럼을 조정함으로써, 탑승자의 체형에 맞는 최적의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에이브이엔(AVN) 모듈은 차량 내 편의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및 음성 출력을 제공할 수 있다. AVN 모듈에서 지원하는 차량 내 편의 기능으로는, 멀티미디어 재생, 경로 탐색, 검색 기능, 운전자 인식 정보 제공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AVN 모듈의 디스플레이는 차량 제어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설정에 따른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AVN 모듈의 디스플레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는 투명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투명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투명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투명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투명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공조 시스템은 운전자별 공조 정보를 자동 세팅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 예로 운전자별 바람 출구, 외기온도에 따른 선호 온도를 미리 세팅하거나, 차량 내 온도에 따라 에어컨 및 열선 시트/스티어링을 가동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TFT 클러스터 모듈은 운전 모드에 따라, 스킨 변경 모드, 조명 조절 모드, 고령자 모드 등을 제어하여, 각 모드별로 운전자가 선호하는 유형으로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차량 제어 장치(100)의 제어부(120)는 운전 모드에 따라 투과도를 결정하여, 제어 신호를 ECU(150)로 출력하고, ECU는 제어 신호에 따라 AVN모듈을 제어하여 차량 전면에 위치한 투명 디스플레이의 투과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AVN모듈의 디스플레이부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투과도가 제어된 이후, 미리 설정된 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영상은 멀티미디어 영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차량 정보, 목적지 정보, 운전 모드 정보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미리 설정된 영상은 차량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차량 제어 장치(100)의 전방 또는 후방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동 운전의 경우 불필요한 눈부심 발생을 미리 차단할 수 있으며, 차단이후의 운전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차량 제어 장치(100)는 제1 운전 모드에 따른 제1 투과도를 설정한다(S100).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차량 제어 장치(100)의 제어부(120)는 센서부(140)에서 센싱되는 조도 정보에 기초하여 제1 투과도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제어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설정 명령에 기초하여 제1 투과도를 설정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차량 제어 장치(100)는 복수의 운전 모드에 따른 복수의 투과도를 복수의 셋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제어 장치(100)는 수동 운전 모드에 따른 투과도를 100으로 설정하여 투명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차량 제어 장치(100)는 운전 모드 변경 입력을 수신한다(S110).
그리고, 차량 제어 장치(100)는 운전 모드 변경 입력을 수신하면 제2 운전 모드로 변경하고(S120), 제2 운전 모드에 대응되는 제2 투과도로 변경한다(S130).
이에 따라, 차량 제어 장치(100)는 기존의 제1 투과도를 불투명 또는 불투명에 가까운 제2 투과도로 변경함으로써, 투명 디스플레이의 빛 투과를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 제어 장치(100)는 영상 인터페이스를 출력한다(S140).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운전 모드는 수동 운전 모드일 수 있으며, 제2 운전 모드는 자동 운전 모드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불필요한 조작 없이도 차량의 운전 모드 변경만으로 투명 디스플레이의 투과도를 조절하여 눈부심을 미리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자동 운전(또는 반자동 운전)으로 변경시 별도 조작 없이도 미리 설정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후, 차량 제어 장치(100)는 제1 모드로 전환되면, 투명 디스플레이를 원래의 투과도로 복원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동작에 따라 변화되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제어 장치(100)는 제1 운전 모드, 예를 들어 수동 운전모드로 주행하는 경우, 차량 전방에 위치한 투명 디스플레이의 투과도를 90 내지 100으로 제어하여,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전방의 모습을 투명하게 표시할 수 있다. 이?, 수동 운전으로 주행함을 나타내는 수동 운전 인디케이터가 화면 일부에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제어 장치(100)는 제2 운전 모드, 예를 들어 자동 운전모드로 주행하는 경우, 차량 전방에 위치한 투명 디스플레이의 투과도를 0 내지 10으로 제어하여, 사용자가 필요로 하지 않는 전방의 모습을 보이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이 때, 자동 운전으로 주행함을 나타내는 자동 운전 인디케이터가 화면 일부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 운전 모드로 변경된 경우, 제2 투과도로 처리된 투명 디스플레이에는 미리 설정된 별도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자동 운전 모드로 변경되더라도, 사용자 설정에 따라 네비 화면이 같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제2 투과도로 조절된 투명 디스플레이에 도착지까지의 정보를 네비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현재 위치, 현재 속도 등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투명 디스플레이의 투과도가 차량 모드 변경에 따라 가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눈을 보호하면서도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 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8)

  1. 차량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제어 장치의 모드 변경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
    상기 모드 변경 입력에 따라 상기 차량 제어 장치의 운전 모드를 제1 운전 모드에서 제2 운전 모드로 변경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운전 모드에서 제1 투과도가 적용되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운전 모드로 변경된 경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일부 또는 전부에 적용되는 제1 투과도를 제2 투과도로 변경하는 차량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드 변경 입력에 따라 상기 제2 운전 모드에서 상기 제1 운전 모드로 변경된 경우, 상기 조절된 투과도를 상기 제1 투과도로 복원하는 차량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운전 모드는 수동 운전 모드이고, 상기 제2 운전 모드는 자동 운전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운전 모드에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에 미리 설정된 영상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차량 제어 장치.
  5. 차량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운전 모드에서 제1 투과도를 투명 디스플레이에 적용하는 단계;
    상기 차량 제어 장치의 모드 변경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모드 변경 입력에 따라 상기 차량 제어 장치의 운전 모드를 제1 운전 모드에서 제2 운전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운전 모드로 변경된 경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일부 또는 전부에 적용되는 제1 투과도를 제2 투과도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변경 입력에 따라 상기 제2 운전 모드에서 상기 제1 운전 모드로 변경된 경우, 상기 조절된 투과도를 상기 제1 투과도로 복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 제어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운전 모드는 수동 운전 모드이고, 상기 제2 운전 모드는 자동 운전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운전 모드에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에 미리 설정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 제어 방법.



KR1020130047763A 2013-04-29 2013-04-29 차량용 투명 디스플레이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201401288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7763A KR20140128812A (ko) 2013-04-29 2013-04-29 차량용 투명 디스플레이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7763A KR20140128812A (ko) 2013-04-29 2013-04-29 차량용 투명 디스플레이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8812A true KR20140128812A (ko) 2014-11-06

Family

ID=52454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7763A KR20140128812A (ko) 2013-04-29 2013-04-29 차량용 투명 디스플레이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28812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80389A (zh) * 2015-04-27 2016-11-09 Lg电子株式会社 显示设备及其控制方法
KR20170027598A (ko) 2015-09-02 2017-03-10 주식회사 서연전자 투명디스플레이패널을 이용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CN107428252A (zh) * 2015-03-16 2017-12-01 法雷奥开关和传感器有限责任公司 用于在自主驾驶模式期间操作机动车辆的通信装置的方法,通信装置以及机动车辆
KR20180011663A (ko) * 2016-07-25 2018-02-02 송영우 후진주행 보조시스템
JP2019018804A (ja) * 2017-07-20 2019-02-07 アルパイン株式会社 車載表示システム
JP2019043176A (ja) * 2017-08-29 2019-03-22 日本精機株式会社 車載表示装置
US11455043B2 (en) 2019-04-09 2022-09-27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Method and system for staging a change in operating mode of a transportation vehicle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28252A (zh) * 2015-03-16 2017-12-01 法雷奥开关和传感器有限责任公司 用于在自主驾驶模式期间操作机动车辆的通信装置的方法,通信装置以及机动车辆
KR20170140169A (ko) * 2015-03-16 2017-12-20 발레오 샬터 운트 센소렌 게엠베아 자율 주행 모드 동안의 자동차용 통신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통신 장치 및 자동차
CN106080389A (zh) * 2015-04-27 2016-11-09 Lg电子株式会社 显示设备及其控制方法
US10144289B2 (en) 2015-04-27 2018-12-04 Lg Electronics Inc.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6080389B (zh) * 2015-04-27 2018-12-04 Lg电子株式会社 显示设备及其控制方法
KR20170027598A (ko) 2015-09-02 2017-03-10 주식회사 서연전자 투명디스플레이패널을 이용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KR20180011663A (ko) * 2016-07-25 2018-02-02 송영우 후진주행 보조시스템
JP2019018804A (ja) * 2017-07-20 2019-02-07 アルパイン株式会社 車載表示システム
JP2019043176A (ja) * 2017-08-29 2019-03-22 日本精機株式会社 車載表示装置
US11455043B2 (en) 2019-04-09 2022-09-27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Method and system for staging a change in operating mode of a transportation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86762B2 (en) Vehicle display device and vehicle comprising same
KR20140128812A (ko) 차량용 투명 디스플레이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CN112088329B (zh) 用于多平面平视显示器的可再配置的光学器件
CN108688554B (zh) 车辆用灯泡
US7134707B2 (en) Selective light attenuation system
US9517776B2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evices based on a detected gaze
KR101809924B1 (ko)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
KR101965881B1 (ko)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
KR101924059B1 (ko)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
KR101610092B1 (ko) 차량용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91293A (ko) 차량용 사이드 미러 카메라 시스템
US20170270367A1 (en) Onboard display system
JP2009227018A (ja) 車両用防眩装置
KR101736991B1 (ko) 스마트 안경의 화면과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중첩을 회피하는 방법 및 장치
CN115151854B (zh) 平视显示器装置
US20160225186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gmented reality support
CN106575036A (zh) 用于在机动车的平视显示器的运行中减小反射的方法
KR20150142274A (ko) 자동차 운전자의 시야 확보 장치 및 방법
US20190100082A1 (en) Vehicle visor and system, vehicle and light blocking and display method
KR10173682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12108031A1 (ja) 表示装置、表示方法及び表示プログラム
KR101610169B1 (ko) 헤드업 디스플레이 및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제어방법
JP2016534379A (ja) 防眩スクリーンを備えるデータ表示眼鏡
CN107458299B (zh) 车灯控制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1771944B1 (ko)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