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1944B1 -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1944B1
KR101771944B1 KR1020160047786A KR20160047786A KR101771944B1 KR 101771944 B1 KR101771944 B1 KR 101771944B1 KR 1020160047786 A KR1020160047786 A KR 1020160047786A KR 20160047786 A KR20160047786 A KR 20160047786A KR 101771944 B1 KR101771944 B1 KR 1017719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rocessor
unit
parallax barrier
b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7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욱
김경락
황상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47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19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1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19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G02B27/2214
    • H04N13/045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56Image reproducers having separate monoscopic and stereoscopic modes
    • H04N13/359Switching between monoscopic and stereoscopic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1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 B60R2300/107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using stereoscopic 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2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카메라를 통해 시선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시선에 대응하는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고, 상기 카메라를 통해 시선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2D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고, 상기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과 상기 2D 영상 간의 전환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단위시간당 휘도변화량을 조정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Display Apparatus for Vehicl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에 구비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탑승하는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장치이다. 대표적으로 자동차를 예를 들 수 있다.
한편, 차량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각 종 센서와 전자 장치 등이 구비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사용자의 운전 편의를 위한 다양한 장치 등이 개발되고 있다.
차량에 다양한 전자 장치가 구비되면서, 여러 편의 장치 또는 시스템들이 차량에 장착된다.
또한, 시청자가 안경을 착용하지 않고도 볼수 있는 3D 영상인 패럴렉스 배리어(Parallax barrier) 3D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있다.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은, 시청자의 시선이 시청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입체감이 느껴지는 3D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그러나, 차량에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치하는 경우, 차량의 움직임으로 인하여 시청자의 시선이 시청 범위에서 벗어나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과 2D 영상 간의 전환하는 경우,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과 2D 영상의 휘도 차이로 인하여, 깜박임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시선을 감지하여 시선의 움직임에 따라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을 출력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연구 중에 있다. 또한,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과 2D 영상 간의 전환시 깜박임을 감소시키는 기술이 연구 중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시선을 감지하여 시선의 움직임에 따라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을 출력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과 2D 영상 간의 전환시 깜박임을 감소시키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카메라,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카메라를 통해 시선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시선에 대응하는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고, 상기 카메라를 통해 시선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2D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고, 상기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과 상기 2D 영상 간의 전환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단위시간당 휘도변화량을 조정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과 2D 영상 간의 전환시 디스플레이의 단위시간당 휘도변화량이 감소되어 깜박임이 방지된다.
둘째, 운전 중 사용자의 시선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2D 영상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운전 중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정보를 안정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사용자의 시선의 움직임에 따라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을 출력하므로, 사용자가 차량의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으로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및 1b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부와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블록도이다.
도 4a 내지 4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출력하는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카메라를 통해 검출되는 시선에 대응하여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을 출력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6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시선 감지 여부에 따라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이나 2D 영상을 출력하는 것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7a 및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자가 선글라스를 착용하는 경우,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이나 2D 영상을 출력하는 것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8a 및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a 및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영상출력부(232)의 휘도를 조정하여, 디스플레이부(230)의 단위시간당 휘도변화량을 조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a 및 10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배리어부의 오픈 슬릿 비율(Open slit ratio)을 조정하여, 디스플레이부의 단위시간당 휘도변화량을 조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a 및 1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과 2D 영상 간의 전환시, 배리어부의 오픈 슬릿 비율(Open slit ratio)를 유지시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a 및 1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과 2D 영상 간의 전환시, 영상출력부의 휘도와 배리어부의 오픈 슬릿 비율(Open slit ratio)가 반비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클러스터인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차량은, 자동차, 오토바이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차량에 대해 자동차를 위주로 기술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차량은, 동력원으로서 엔진을 구비하는 내연기관 차량, 동력원으로서 엔진과 전기 모터를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차량, 동력원으로서 전기 모터를 구비하는 전기 차량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차량의 좌측은 차량의 주행 방향의 좌측을 의미하고, 차량의 우측은 차량의 주행 방향의 우측을 의미한다.
도 1a 및 1b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부와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을 참조하면, 차량(100)은 동력원에 의해 회전하는 바퀴, 차량(100)의 진행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조향 입력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차량(100)은 자율 주행 차량일 수 있다. 자율 주행 차량의 경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자율 주행 모드 또는 메뉴얼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메뉴얼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자율 주행 차량(100)은 조향 입력 장치를 통해 조향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전장(overall length)은 차량(100)의 앞부분에서 뒷부분까지의 길이, 전폭(width)은 차량(100)의 너비, 전고(height)는 바퀴 하부에서 루프까지의 길이를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전장 방향(L)은 차량(100)의 전장 측정의 기준이 되는 방향, 전폭 방향(W)은 차량(100)의 전폭 측정의 기준이 되는 방향, 전고 방향(H)은 차량(100)의 전고 측정의 기준이 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b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차량 내부에 구비된다.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a, 200b 및 200c)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HUD(Head Up Display)(200a), 클러스터(Cluster)(200b) 및 CID(Center Information Display)(200c)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a, 200b 및 200c) 전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다양한 정보를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이나 2D 영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량(100)은,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25), 메모리(130), 출력부(140), 차량 구동부(150), 제어부(170), 인터페이스부(180), 전원 공급부(190) 및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근거리 통신 모듈(113), 위치 정보 모듈(114), 광통신 모듈(115) 및 V2X 통신 모듈(116)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3)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113)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형성하여, 차량(100)과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 사이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근거리 통신 모듈(113)은 이동 단말기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3)은 이동 단말기로부터 날씨 정보, 도로의 교통 상황 정보(예를 들면,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를 수신할 수 있다. 가령, 사용자가 차량(100)에 탑승한 경우,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와 차량(100)은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의해, 서로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 정보 모듈(114)은, 차량(100)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이 있다. 예를 들면, 차량은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위치 정보 모듈(114)은 통신부(110)에 포함되는 구성요소가 아닌, 센싱부(125)에 포함되는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광통신 모듈(115)은, 광발신부 및 광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광수신부는, 광(light)신호를 전기 신호로 전환하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광수신부는 광을 수신하기 위한 포토 다이오드(PD, Photo Diode)를 포함할 수 있다. 포토 다이오드는 빛을 전기 신호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수신부는 전방 차량에 포함된 광원에서 방출되는 광을 통해, 전방 차량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광발신부는 전기 신호를 광 신호로 전환하기 위한 발광 소자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발광 소자는 LED(Light Emitting Diode)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발신부는, 전기 신호를 광 신호로 전환하여, 외부에 발신한다. 예를 들면, 광 발신부는 소정 주파수에 대응하는 발광소자의 점멸을 통해, 광신호를 외부에 방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광발신부는 복수의 발광 소자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광발신부는 차량(100)에 구비된 램프와 일체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발신부는 전조등, 후미등, 제동등, 방향 지시등 및 차폭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광통신 모듈(115)은 광 통신을 통해 타 차량과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V2X 통신 모듈(116)은, 서버 또는 타 차량과의 무선 통신 수행을 위한 모듈이다. V2X 모듈(116)은 차량간 통신(V2V) 또는 차량과 인프라간 통신(V2I) 프로토콜이 구현 가능한 모듈을 포함한다. 차량(100)은 V2X 통신 모듈(116)을 통해, 외부 서버 및 타 차량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운전 조작 장치(121), 마이크로 폰(123) 및 사용자 입력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운전 조작 장치(121)는, 차량(100) 운전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운전 조작 장치(121)는 조향 입력 장치, 쉬프트 입력 장치, 가속 입력 장치, 브레이크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조향 입력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차량(100)의 진행 방향 입력을 수신한다. 조향 입력 장치는 회전에 의해 조향 입력이 가능하도록 휠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 조향 입력 장치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또는 버튼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쉬프트 입력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차량(100)의 주차(P), 전진(D), 중립(N), 후진(R)의 입력을 수신한다. 쉬프트 입력 장치는 레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 쉬프트 입력 장치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또는 버튼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가속 입력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차량(100)의 가속을 위한 입력을 수신한다. 브레이크 입력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차량(100)의 감속을 위한 입력을 수신한다. 가속 입력 장치 및 브레이크 입력 장치는 페달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 가속 입력 장치 또는 브레이크 입력 장치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또는 버튼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마이크로 폰(123)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다. 처리된 데이터는 차량(100)에서 수행 중인 기능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마이크로 폰(123)은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전기적인 데이터로 전환할 수 있다. 전환된 전기적인 데이터는 제어부(170)에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122) 또는 마이크로 폰(123)은 입력부(120)에 포함되는 구성요소가 아닌, 센싱부(125)에 포함되는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부(124)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이다. 사용자 입력부(124)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7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차량(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4)는 터치식 입력수단 또는 기계식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입력부(124)는 스티어링 휠의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경우, 사용자는 스티어링 휠을 잡은 상태에서, 손가락으로 사용자 입력부(124)를 조작할 수 있다.
센싱부(125)는, 차량(100)의 각종 상황 또는 차량의 외부 상황을 센싱한다. 이를 위해, 센싱부(125)는, 충돌 센서, 휠 센서(wheel sensor), 속도 센서, 경사 센서, 중량 감지 센서, 헤딩 센서(heading sensor), 요 센서(yaw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포지션 모듈(position module), 차량 전진/후진 센서, 배터리 센서, 연료 센서, 타이어 센서, 핸들 회전에 의한 스티어링 센서, 차량 내부 온도 센서, 차량 내부 습도 센서, 초음파 센서, 조도 센서, 가속 페달 포지션 센서, 브레이크 페달 포지션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125)는, 차량 충돌 정보, 차량 방향 정보, 차량 위치 정보(GPS 정보), 차량 각도 정보, 차량 속도 정보, 차량 가속도 정보, 차량 기울기 정보, 차량 전진/후진 정보, 배터리 정보, 연료 정보, 타이어 정보, 차량 램프 정보, 차량 내부 온도 정보, 차량 내부 습도 정보, 스티어링 휠 회전 각도, 차량 외부 조도, 가속 페달에 가해지는 압력, 브레이크 페달에 가해지는 압력 등에 대한 센싱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센싱부(125)는, 그 외, 가속페달센서, 압력센서, 엔진 회전 속도 센서(engine speed sensor), 공기 유량 센서(AFS), 흡기 온도 센서(ATS), 수온 센서(WTS), 스로틀 위치 센서(TPS), TDC 센서, 크랭크각 센서(CAS),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위치 정보 모듈(114)은 센싱부(125)의 하위 구성 요소로 분류될 수도 있다.
센싱부(125)는 차량 주변의 오브젝트를 감지할 수 있는 오브젝트 센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오브젝트 센싱부는, 카메라 모듈, 레이더(Radar), 라이더(Lidar), 초음파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경우, 센싱부(125)는, 카메라 모듈, 레이더(Radar), 라이더(Lidar) 또는 초음파 센서를 통해 차량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 오브젝트 또는 차량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 오브젝트를 감지할 수 있다.
센싱부(125)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은, 차량 외부를 촬영하는 외부 카메라 모듈 및 차량 내부를 촬영하는 외부 카메라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카메라 모듈은, 차량(100)의 외부를 촬영하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카메라 모듈은 AVM(Arond View Monitoring) 장치, BSD(Blind Spot Detection) 장치 또는 후방 카메라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AVM 장치는, 복수의 카메라에서 획득된 복수의 영상을 합성하여, 차량 주변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AVM 장치는 복수의 영상을 합성하여 사용자가 보기 편한 영상으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VM 장치는 복수의 영상을 합성하여 탑뷰 영상으로 전환하여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AVM 장치는, 제1 내지 제4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이경우, 제1 카메라는, 프런트 범퍼 주변, 라디에이터 그릴 주변, 엠블럼 주변 또는 윈드 쉴드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카메라는, 좌측 사이드 미러, 좌측 프런트 도어, 좌측 리어 도어, 좌측 휀더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카메라는, 우측 사이드 미러, 우측 프런트 도어, 우측 리어 도어 또는 우측 휀더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카메라는, 리어 범퍼 주변, 엠블럼 주변 또는 번호판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BSD 장치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에서 획득된 영상에서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오브젝트와의 충돌 가능성이 판단되는 경우,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BSD 장치는, 제1 및 제2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이경우, 제1 카메라는, 좌측 사이드 미러, 좌측 프런트 도어, 좌측 리어 도어 또는 좌측 휀더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카메라는, 우측 사이드 미러, 우측 프런트 우측 리어 도어 또는 우측 휀더에 배치될 수 있다.
후방 카메라는, 차량 후방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후방 카메라는 리어 범퍼 주변, 엠블럼 주변 또는 번호판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포함되는 센서(도 3의 230) 중 카메라는, 차량(100)에 구비되는 AVM 장치, BSD 장치, 후방 카메라 장치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되는 카메라 일 수 있다.
내부 카메라 모듈은 차량(100)의 실내를 촬영하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는 사용자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내부 카메라 모듈의 프로세서는, 차량(100) 내에 사용자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여, 탑승 인원이 몇 명인지, 사용자가 어느 자리에 탑승하였는지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내부 카메라는 동승자의 탑승 유무 및 탑승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제어부(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메모리(130)는 유닛에 대한 기본데이터, 유닛의 동작제어를 위한 제어데이터,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하드웨어적으로,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 일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제어부(17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차량(100)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출력부(14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 음향 출력부(142) 및 햅틱 출력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42)는 제어부(170)로부터의 전기 신호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를 위해, 음향 출력부(142)는 스피커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42)는, 사용자 입력부(724) 동작에 대응하는, 사운드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햅틱 출력부(143)는 촉각적인 출력을 발생시킨다. 예를 들면, 햅틱 출력부(143)는, 스티어링 휠, 안전 벨트, 시트를 진동시켜, 사용자가 출력을 인지할 수 있게 동작할 수 있다.
차량 구동부(150)는, 차량 각종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차량 구동부(150)는 동력원 구동부(151), 조향 구동부(152), 브레이크 구동부(153), 램프 구동부(154), 공조 구동부(155), 윈도우 구동부(156), 에어백 구동부(157), 썬루프 구동부(158) 및 서스펜션 구동부(159)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원 구동부(151)는, 차량(100) 내의 동력원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석 연료 기반의 엔진(미도시)이 동력원인 경우, 동력원 구동부(151)는, 엔진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엔진의 출력 토크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동력원 구동부(151)가 엔진인 경우,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엔진 출력 토크를 제한하여 차량의 속도를 제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기 기반의 모터(미도시)가 동력원인 경우, 동력원 구동부(151)는, 모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모터의 회전 속도, 토크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조향 구동부(152)는, 차량(100) 내의 조향 장치(steering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차량의 진행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브레이크 구동부(153)는, 차량(100) 내의 브레이크 장치(brake apparatus)(미도시)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퀴에 배치되는 브레이크의 동작을 제어하여, 차량(100)의 속도를 줄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좌측 바퀴와 우측 바퀴에 각각 배치되는 브레이크의 동작을 달리하여, 차량(100)의 진행 방향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조정할 수 있다.
램프 구동부(154)는, 차량 내, 외부에 배치되는 램프의 턴 온/턴 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램프의 빛의 세기, 방향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방향 지시 램프, 브레이크 램프 등의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공조 구동부(155)는, 차량(100) 내의 공조 장치(air cinditioner)(미도시)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 내부의 온도가 높은 경우, 공조 장치가 동작하여, 냉기가 차량 내부로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윈도우 구동부(156)는, 차량(100) 내의 윈도우 장치(window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의 측면의 좌,우 윈도우들에 대한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에어백 구동부(157)는, 차량(100) 내의 에어백 장치(airbag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위험시, 에어백이 터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썬루프 구동부(158)는, 차량(100) 내의 썬루프 장치(sunroof apparatus)(미도시)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썬루프의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서스펜션 구동부(159)는, 차량(100) 내의 서스펜션 장치(suspension apparatus)(미도시)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로면에 굴곡이 있는 경우, 서스펜션 장치를 제어하여, 차량(100)의 진동이 저감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차량 구동부(150)는 샤시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샤시 구동부는 조향 구동부(152), 브레이크 구동부(153) 및 서스펜션 구동부(159)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제어부(170)는, 차량(100) 내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ECU(Electronic Contol Unit)로 명명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하드웨어적으로,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80)는, 차량(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부(180)는 이동 단말기와 연결 가능한 포트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포트를 통해, 이동 단말기와 연결할 수 있다. 이경우, 인터페이스부(180)는 이동 단말기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한편, 인터페이스부(180)는 연결된 이동 단말기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가 인터페이스부(18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인터페이스부(180)는 전원 공급부(190)에서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를 이동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차량 내부의 배터리(미도시) 등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이나 2D 영상을 출력한다. 이하에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카메라(220), 디스플레이부(230) 및 프로세서(27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메모리(240), 입력부(260), 전원 공급부(290) 및 인터페이스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220)는, 차량(100) 내부에서 카메라 시야각 내의 이미지를 획득한다. 카메라(220)는, 상기 카메라 시야각 내에 존재하는 사용자의 시선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한다. 카메라(220)는, 프로세서(2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카메라(220)는, 사용자의 시선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여 프로세서(270)에 제공할 수 있다. 카메라(220)는, 사용자의 얼굴 또는 동공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여 프로세서(270)에 제공할 수 있다.
카메라(220)는, 열감지 카메라일 수 있다. 카메라(220)가 열감지 카메라인 경우, 조도가 낮은 환경에서 사용자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30)는, 다양한 정보를 그래픽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230)는 차량 관련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차량 관련 정보는, 차량에 대한 직접적인 제어를 위한 차량 제어 정보, 차량 사용자에게 운전 가이드를 위한 차량 운전 보조 정보, 현재 차량의 상태를 알려주는 차량 상태 정보, 및 차량의 운행과 관련되는 차량 운행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3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30)는, 터치 센서와 이중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터치 스크린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30)가 터치 스크린인 경우, 디스플레이부(230)는, 차량(100)에 대한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입력부로 기능할 수 있고, 차량(100)에 대한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출력부로 기능할 수도 있다. 이경우, 디스플레이부(230)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230)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230)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17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230)는, 사용자가 상기 차량 상태 정보 또는 상기 차량 운행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클러스터(cluster)를 포함할 수 있다. 클러스터는 대시보드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이경우, 사용자는, 시선을 차량 전방에 유지한채로 클러스터에 표시되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30)는 HUD(Head Up Display)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30)가 HUD인 경우, 윈드 쉴드에 구비되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통해 정보를 출력하거나, 윈드 쉴드에 이미지를 투사하는 투사모듈을 통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는 소정의 투명도를 가지면서, 소정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는, 투명도를 가지기 위해, 투명 디스플레이는 투명 TFEL(Thin Film Elecroluminescent), 투명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투명 LCD(Liquid Crystal Display), 투과형 투명디스플레이, 투명 LED(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투명도는 조절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30)는, 배리어부(231) 및 영상출력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배리어부(231) 및 영상출력부(232)를 통하여, 2D 영상이나,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은 안경과 같은 별도의 장비없이 시청할 수 있는 3D 영상이다.
배리어부(231)는 투명한 액정(liquid crystal)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배리어부(231)는, 프로세서(2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배리어부(231)는, 프로세서(270)로부터 제어신호를 받는다. 프로세서(270)가 제공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배리어부(231)에는 투명한 Slit 구간 및 불투명한 Block 구간이 표시될 수 있다.
Slit 구간은 빛이 통과할 수 있는 투명한 구간이다. 사용자는, Slit 구간을 통하여 영상출력부(232)에 표시되는 영상을 볼 수 있다.
Block 구간은 빛이 통과할 수 없는 불투명한 구간이다. Block 구간은, 영상출력부(232)에 표시되는 영상이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도록 한다.
오픈 슬릿 비율(Open slit ratio)는, 배리어부(231)에서 Slit 구간이 차지하는 비율이다. 예를 들어, 배리어부(231)의 오픈 슬릿 비율(Open slit ratio)가 50%라는 것은, 배리어부(231)에서 Slit 구간이 50%이고, Block 구간이 50%라는 것이다.
액정으로 구현되고 Slit 구간 및 Block 구간을 조절할 수 있는 배리어부(231)를 스위처블 페럴렉스 베리어(Switchable Parallax barrier)라고 한다.
배리어부(231)는, 영상출력부(232) 상단에 일정한 거리로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배리어부(231)는, 영상표시부(233)와 백라이트(234)의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배리어부(231)는, 영상표시부(233) 하단에 일정한 거리로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배리어부(231)는, 시차 장벽을 구현할 수 있다.
시차 장벽은, 적어도 하나의 불투명한 Block 구간과 적어도 하나의 투명한 Slit 구간으로 이루어진다.
배리어부(231)가 영상출력부(232)나 영상표시부(233)로부터 일정하게 떨어벼 있으므로, 사용자가 시차 장벽을 통하여 영상출력부(232)에 나타나는 영상을 보는 경우, 양안 시차가 발생한다.
양안 시차는, 사용자의 좌안을 통하여 보이는 부분과 우안을 통하여 보이는 부분을 다른 것을 의미한다.
즉, 시차 장벽은, 사용자가 영상출력부(232)에 나타나는 영상을 보는 경우, 사용자의 좌안에 보이는 부분과 사용자의 우안에 보이는 부분을 다르게한다.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은, 시차 장벽에 의하여, 사용자의 좌안에 L 영상만 보이고, 사용자의 우안에 R 영상만 보이는 경우, 사용자가 입체감을 느낄 수 있는 3D 영상이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시차 장벽은, Block 구간과 Slit 구간이 수직 방향으로 구성된 수직 시차 장벽, Slit 구간이 복수의 핀홀(Pinhole)인 핀홀 시차 장벽, 해상도 저하를 수평 및 수직으로 균등화시키는 스탭(Step) 시차 장벽, 및 두 개의 배리어를 맞물리게 배치하고 시분할 방식을 적용하는 시분할 시차 장벽일 수 있다. 상술한 시차 장벽의 종류에 따라 영상출력부(232)에 출력되는 디스패러티(Disparity) 영상이 달라진다.
영상출력부(232)는, 디스패러티 영상, 또는 2D 영상을 출력한다.
영상출력부(232)는, 시차 장벽에 대응하는 디스패러티 영상을 출력한다. 또한, 영상출력부(232)는, 2D 영상을 출력한다.
디스패러티 영상은, 사용자의 우안에 보여지는 R 영상과 사용자의 좌안에 보여지는 L 영상이 조합되어 형성된 영상이다. R 영상은, 사용자의 우안에 보여지기 위한 영상이다. L 영상은, 사용자의 좌안에 보여지기 위한 영상이다.
사용자의 우안에는, 시차 장벽의 Slit 구간을 통하여 R 영상이 보여진다. 시차 장벽의 Block 구간으로 인하여, 사용자의 우안에는, L 영상이 보이지 않는다.
사용자의 좌안에는, 시차 장벽의 Slit 구간을 통하여 L 영상이 보여진다. 시차 장벽의 Block 구간으로 인하여, 사용자의 좌안에는, R 영상이 보이지 않는다.
즉, 사용자는, 시차 장벽으로 인하여, 좌안으로는 L 영상만 보고, 우안으로는 R 영상만 본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230)에 나타나는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을 보고 입체감을 느낀다.
디스패러티 영상에서의 R 영상과 L 영상의 조합 형태는, 배리어부(231)가 구현하는 시차 장벽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므로, 시차 장벽의 종류가 달라지면, 디스패러티 영상도 달라진다.
영상출력부(232)는, LCD, TFT LCD, LED, OLED, 및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중 하나일 수 있다. 영상출력부(232)가 OLED, 또는 AMOLED인 경우, 영상출력부(232)는 백라이트(234)없이 영상표시부(233)만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영상출력부(232)는 영상표시부(233) 및 백라이트(234)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표시부(233)는, 2D 영상 또는 디스패러티 영상를 표시할 수 있다.
영상표시부(233)는, 액정 패널(liquid crystal panel)일 수 있다.
영상표시부(233)는, 프로세서(2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영상표시부(233)는, 프로세서(270)가 제공하는 신호에 대응하여 2D 영상 또는 디스패러티 영상를 표시할 수 있다.
영상출력부(232)가 OLED, 또는 AMOLED인 경우, 백라이트(234)는,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백라이트(234)는, 영상표시부(233)가 있는 방향으로 빛을 발산시킬 수 있다. 백라이트(234)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백라이트(234)는, 프로세서(2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백라이트(234)는, 프로세서(270)가 제공하는 신호에 대응하여 발산하는 빛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백라이트(234)는, LED일 수 있다. 백라이트(234)가 LED인 경우, PWM 방식에 따라 백라이트(234)의 밝기가 조절될 수 있다.
백라이트(234)의 밝기가 PWM 방식으로 조절되는 경우, 백라이트(234)의 듀티비(Duty ratio)가 증가하면, 백라이트(234)의 밝기가 증가하여 디스플레이부(230)에 나타나는 영상의 휘도는 증가한다. 백라이트(234)의 듀티비가 감소하면, 백라이트(234)의 밝기가 감소하여 디스플레이부(230)에 나타나는 영상의 휘도는 감소한다.
프로세서(270)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여러 유닛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카메라(220)로부터 획득된 이미지를 제공받을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카메라(220)가 획득한 이미지를 통하여, 사용자의 시선(310)을 검출되는 경우, 검출된 시선(310)의 위치에 대응하는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을 디스플레이부(230)로 출력한다.
프로세서(270)가 시차 장벽 및 디스패러티 영상을 시선(310)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배치하면, 디스플레이부(230)에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이 나타난다.
시선(310)의 위치에 대응하는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이란, 시차 장벽 및 디스패러티 영상이 시선(310)의 위치에 대응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30)에 나타나는 영상이다. 시차 장벽 및 디스패러티 영상이 시선(310)의 위치에 대응한다는 것은, 시차 장벽으로 인하여, 사용자의 우안에 R 영상만 보이고, 사용자의 좌안에 L 영상만 보이는 것을 말한다.
즉, 시선(310)의 위치에 대응하는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이란, 사용자의 우안에 R 영상만 보이고, 사용자의 좌안에 L 영상만 보이는 영상이다.
이 때, 사용자는,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을 보고 입체감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270)는, 사용자의 우안에 R 영상만 보이고, 사용자의 좌안에 L 영상만 보이도록, 배리어부(231)에서의 시차 장벽의 위치와 영상출력부(232)에서의 디스패러티 영상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한다.
또한, 프로세서(270)는, 카메라(220)가 획득한 이미지에서 검출되는 시선(310)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시차 장벽 및 디스패러티 영상이, 변경된 시선(310)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배리어부(231)에서의 시차 장벽의 위치와 영상출력부(232)에서의 디스패러티 영상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한다.
프로세서(270)는, 카메라(220)가 획득한 이미지를 통하여, 사용자의 시선(310)을 검출되지 않는 경우, 2D 영상을 디스플레이부(230)로 출력한다.
사용자의 시선(310)을 검출되지 않는 경우, 배리어부(231)에서의 시차 장벽의 위치와 영상출력부(232)에서의 디스패러티 영상의 위치의 기준이 없으므로, 프로세서(270)는, 2D 영상을 디스플레이부(230)로 출력한다.
프로세서(270)는, 배리어부(231)를 투명하게 제어하고, 영상출력부(232)에 2D 영상을 출력하여, 디스플레이부(230)에 2D 영상이 나타나게 한다.
프로세서(270)가 디스플레이부(230)에 2D 영상을 출력하는 경우, 배리어부(231)는 투명한 상태이므로, 사용자가 보는 영상의 휘도는 감소하지 않는다.
반면, 프로세서(270)가 디스플레이부(230)에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을 출력하는 경우, 배리어부(231)에 구현되는 시차 장벽은, 사용자의 시선(310)과 백라이트(234)의 사이에 위치하여, 백라이트(234)의 빛의 일부를 차단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보는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의 휘도는 2D 영상의 휘도보다 낮다.
디스플레이부(230)에 나타나는 2D 영상과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의 휘도가 상이하기 때문에,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과 2D 영상 간의 전환시, 사용자는 깜박임(Fliker)을 느낄 수 있다.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과 2D 영상 간의 전환시 발생하는 깜박임를 방지하기 위하여, 프로세서(270)는,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과 2D 영상 간의 전환시, 디스플레이부(230)의 단위시간당 휘도변화량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과 2D 영상 간의 전환시 걸리는 시간이 1ms이고,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과 2D 영상 간의 휘도 차이가 300nit인 경우, 상기 단위시간당 휘도변화량은 300nit/1ms이다.
이 때, 프로세서(270)는,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과 2D 영상 간의 전환시, 배리어부(231) 및 영상출력부(232)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부(230)의 단위시간당 휘도변화량을 제1 설정값 이하로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설정값이 10nit/1ms라고 가정하면, 프로세서(270)는, 디스플레이부(230)의 단위시간당 휘도변화량을 10nit/1ms이하로 감소시킬 수 있다.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 출력시 디스플레이부(230)의 휘도가 300nit이고, 2D 영상 출력시 디스플레이부(230)의 휘도가 600nit라고 가정하면,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과 2D 영상 간의 전환시 걸리는 시간은 30ms가 된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230)의 휘도가 순차적으로 변화되므로, 깜박임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1 설정값은, 프로세서(270)가 디스플레이부(230)의 단위시간당 휘도변화량을 조정하는 경우 기준이 되는 값이다. 상기 제1 설정값은,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과 2D 영상 간의 전환시, 깜박임을 발생하지 않게 하는 디스플레이부(230)의 단위시간당 휘도변화량일 수 있다. 상기 제1 설정값은, 실험에 의해 결정된 값일 수 있다. 상기 제1 설정값은, 메모리(240)에 저장된 값일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과 2D 영상 간의 전환시, 영상출력부(232)의 휘도를 조정하여, 상기 단위시간당 휘도변화량을 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과 2D 영상 간의 전환시, 영상출력부(232)의 단위시간당 휘도변화량을 제2 설정값 이하로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30)의 단위시간당 휘도변화량은, 상기 제1 설정값 이하가 될 수 있다.
상기 제2 설정값은, 영상출력부(232)의 단위시간당 휘도변화량에 대한 값이다. 상기 제2 설정값은,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과 2D 영상 간의 전환시, 깜박임을 발생하지 않게 하는 영상출력부(232)의 단위시간당 휘도변화량일 수 있다. 상기 제2 설정값은, 실험에 의해 결정된 값일 수 있다. 상기 제2 설정값은, 메모리(240)에 저장된 값일 수 있다.
이하, 프로세서(270)가 영상출력부(232)의 휘도를 조정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이 때, 2D 영상의 휘도는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의 휘도의 2배라고 가정한다. 또한,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 출력시, 배리어부(231)의 오픈 슬릿 비율(Open slit ratio)는 50%이고, 디스패러티 영상의 휘도는 2D 영상의 휘도와 동일하다고 가정한다.
디스플레이부(230)에 2D 영상을 출력하다가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을 출력하는 경우, 프로세서(270)는, 영상출력부(232)의 단위시간당 휘도변화량을 상기 제2 설정값 이하로 조정한다.
프로세서(270)는, 조정된 영상출력부(232)의 단위시간당 휘도변화량에 따라 영상출력부(232)로 출력되는 2D 영상의 휘도를 감소시킨다. 이 때, 영상출력부(232)의 단위시간당 휘도변화량이 상기 제2 설정값 이하이므로, 상기 2D 영상은 서서히 어두워진다.
프로세서(270)는, 2D 영상의 휘도가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의 휘도와 동일할 때까지, 조정된 영상출력부(232)의 단위시간당 휘도변화량에 따라 상기 2D 영상의 휘도를 감소시킨다.
프로세서(270)는, 상기 2D 영상의 휘도가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의 휘도와 동일해지면, 디스플레이부(230)에 출력되는 2D 영상을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으로 전환한다.
프로세서(270)는, 배리어부(231)에 시차 장벽을 구현하고, 영상출력부(232)에 시차장벽에 대응하는 디스패러티 영상을 출력한다. 이 때, 프로세서(270)는, 디스패러티 영상의 휘도는 감소되기 전 2D 영상의 휘도와 동일하다.
프로세서(270)는, 카메라(220)를 통해 검출되는 시선(310)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시차 장벽 및 디스패러티 영상의 배치를 조정하여, 디스플레이부(230)에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이 나타나게 한다.
위와 반대로, 디스플레이부(230)에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을 출력하다가 2D 영상을 출력하는 경우, 프로세서(270)는, 배리어부(231) 전체를 투명하게 하고,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과 동일한 휘도의 2D 영상을 영상출력부(232)에 출력한다.
프로세서(270)는, 영상출력부(232)의 단위시간당 휘도변화량을 상기 제2 설정값 이하로 조정한다.
프로세서(270)는, 상기 제2 설정값 이상 이하로 조정된 단위시간당 휘도변화량에 따라 영상출력부(232)의 휘도를 증가시킨다. 이 때, 영상출력부(232)에 출력되는 2D 영상은 서서히 밝아진다.
영상출력부(232)가 영상표시부(233) 및 백라이트(234)를 포함하는 경우, 영상출력부(232)의 휘도는 백라이트(234)의 휘도와 거의 동일하므로, 프로세서(270)는, 백라이트(234)의 휘도를 조정하여, 영상출력부(232)의 휘도를 조정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270)는,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과 2D 영상 간의 전환시, 백라이트(234)의 단위시간당 휘도변화량을 상기 제2 설정값 이하로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30)의 단위시간당 휘도변화량은, 상기 제1 설정값 이하가 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과 2D 영상 간의 전환시, 배리어부(231)의 오픈 슬릿 비율(Open slit ratio)를 조정하여, 디스플레이부(230)의 단위시간당 휘도변화량을 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과 2D 영상 간의 전환시, 배리어부(231)의 단위시간당 오픈 슬릿 비율(Open slit ratio) 변화량을 제3 설정값 이하로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30)의 단위시간당 휘도변화량은, 상기 제1 설정값 이하가 될 수 있다.
오픈 슬릿 비율(Open slit ratio)는, 배리어부(231)에서 Slit 구간이 차지하는 비율이다. 예를 들어, 배리어부(231)의 오픈 슬릿 비율(Open slit ratio)가 50%라는 것은, 배리어부(231)에서 투명한 Slit 구간이 50%이고, 불투명한 Block 구간이 50%라는 것이다.
프로세서(270)는, 배리어부(231)에서의 Slit 구간 및 Block 구간을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270)는, 배리어부(231)의 오픈 슬릿 비율(Open slit ratio)를 조정할 수 있다.
배리어부(231)는, 영상출력부(232) 상단에 배치되거나, 백라이트(234)의 상단 및 영상표시부(233)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배리어부(231)에는 불투명한 Block 구간이 존재할 수 있으므로, 배리어부(231)는, 디스플레이부(230)의 휘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리어부(231)의 오픈 슬릿 비율(Open slit ratio)가 50%이면, 불투명한 Block 구간이 50%이므로, 영상출력부(232)나 백라이트(234)에서 발생하는 빛이 50%정도 차단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부(230)의 밝기는 최대 밝기 대비 50%정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과 2D 영상 간의 전환시, 배리어부(231)의 단위시간당 오픈 슬릿 비율(Open slit ratio) 변화량이 조정되면, 디스플레이부(230)의 단위시간당 휘도변화량도 조정된다.
상기 제3 설정값은, 배리어부(231)의 단위시간당 오픈 슬릿 비율(Open slit ratio) 변화량에 대한 값이다. 상기 제3 설정값은,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과 2D 영상 간의 전환시, 깜박임을 발생하지 않게 하는 배리어부(231)의 단위시간당 오픈 슬릿 비율(Open slit ratio) 변화량일 수 있다. 상기 제3 설정값은, 실험에 의해 결정된 값일 수 있다. 상기 제3 설정값은, 메모리(240)에 저장된 값일 수 있다.
이하, 프로세서(270)가 오픈 슬릿 비율(Open slit ratio)를 조정함으로써,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과 2D 영상 간의 전환시 디스플레이부(230)의 단위시간당 휘도변화량을 조정하는 것을 설명한다. 이 때, 2D 영상의 휘도는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의 휘도의 2배라고 가정한다. 또한,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 출력시, 배리어부(231)의 오픈 슬릿 비율(Open slit ratio)는 50%이고, 디스패러티 영상의 휘도는 2D 영상의 휘도와 동일하다고 가정한다.
프로세서(270)는, 디스플레이부(230)에 2D 영상을 출력하다가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을 출력하는 경우, 배리어부(231)의 단위시간당 오픈 슬릿 비율(Open slit ratio) 변화량을 상기 제3 설정값 이하로 조정한다.
프로세서(270)는, 조정된 단위시간당 오픈 슬릿 비율(Open slit ratio) 변화량에 따라 배리어부(231)의 오픈 슬릿 비율(Open slit ratio)를 감소시킨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30)에 나타나는 2D 영상의 휘도는 순차적으로 감소한다. 즉, 디스플레이부(230)에 나타나는 2D 영상은 서서히 어두워진다.
프로세서(270)는, 상기 2D 영상의 휘도가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의 휘도와 동일할 때까지, 조정된 단위시간당 오픈 슬릿 비율(Open slit ratio) 변화량에 따라 배리어부(231)의 오픈 슬릿 비율(Open slit ratio)를 감소시킨다.
상기 2D 영상의 휘도가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의 휘도와 동일해지면, 배리어부(231)에는 시차 장벽이 구현된다.
프로세서(270)는, 2D 영상의 휘도가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의 휘도와 동일해지면, 시차 장벽에 대응하는 디스패러티 영상을 영상출력부(232)로 출력한다. 또한, 프로세서(270)는, 카메라(220)를 통해 검출되는 시선(310)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시차 장벽 또는 디스패러티 영상의 배치를 조정하여, 디스플레이부(230)에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을 표시한다.
위와 반대로, 디스플레이부(230)에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을 출력하다가 2D 영상을 출력하는 경우, 프로세서(270)는, 영상출력부(232)에 2D 영상을 출력한다. 이 때, 프로세서(270)는, 상기 2D 영상을 출력하면서, 배리어부(231)에 구현된 시차 장벽을 유지시킨다.
프로세서(270)는, 배리어부(231)의 단위시간당 오픈 슬릿 비율(Open slit ratio) 변화량을 상기 제3 설정값 이하로 조정한다.
프로세서(270)는, 조정된 단위시간당 오픈 슬릿 비율(Open slit ratio) 변화량에 따라 배리어부(231)의 오픈 슬릿 비율(Open slit ratio)를 증가시킨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30)에 나타나는 2D 영상의 휘도는 순차적으로 증가한다. 즉, 디스플레이부(230)에 나타나는 2D 영상은 서서히 밝아진다.
프로세서(270)는,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과 2D 영상 간의 전환시, 배리어부(231)의 오픈 슬릿 비율(Open slit ratio)를 유지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270)가 디스플레이부(230)에 2D 영상을 출력하는 경우, 배리어부(231)에 시차 장벽이 구현되면, 디스플레이부(230)에 출력되는 2D 영상의 휘도가 감소할 뿐, 2D 영상 자체에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270)는,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 출력시의 오픈 슬릿 비율(Open slit ratio)와 2D 영상 출력시의 오픈 슬릿 비율(Open slit ratio)를 동일하게 하여,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과 2D 영상 간의 전환시 디스플레이부(230)의 단위시간당 휘도변화량을 제1 설정값 이하로 조정할 수 있다.
이하, 이에 대한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때, 2D 영상의 휘도는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의 휘도의 2배라고 가정한다. 또한,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 출력시, 배리어부(231)의 오픈 슬릿 비율(Open slit ratio)는 50%이고, 디스패러티 영상의 휘도는 2D 영상의 휘도와 동일하다고 가정한다.
프로세서(270)는, 디스플레이부(230)에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을 출력하다가 2D 영상을 출력하는 경우, 배리어부(231)에 구현된 시차 장벽을 유지시키면서, 영상출력부(232)에 출력되는 디스패러티 영상을 2D 영상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270)는, 2D 영상을 디스패러티 영상과 동일한 휘도로 출력한다.
배리어부(231)에 구현된 시차 장벽을 유지되므로, 배리어부(231)의 오픈 슬릿 비율(Open slit ratio)가 유지된다. 또한, 배리어부(231)의 오픈 슬릿 비율(Open slit ratio)가 유지되고, 디스패러티 영상의 휘도와 2D 영상의 휘도가 동일하므로,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과 2D 영상 간의 전환시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의 휘도와 2D 영상의 휘도는 동일할 수 있다.
위와 반대로, 프로세서(270)는, 디스플레이부(230)에 2D 영상을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을 출력하다가 2D 영상을 출력하는 경우, 배리어부(231)의 단위시간당 오픈 슬릿 비율(Open slit ratio) 변화량을 상기 제3 설정값 이하로 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조정된 단위시간당 오픈 슬릿 비율(Open slit ratio) 변화량에 따라 배리어부(231)의 오픈 슬릿 비율(Open slit ratio)를 감소시킴으로써, 배리어부(231)에 시차 장벽을 구현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배리어부(231)에 시차 장벽을 구현한 후, 시차 장벽에 대응하는 디스패러티 영상을 영상출력부(232)에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디스패러티 영상의 휘도는 2D 영상의 휘도와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과 2D 영상 간의 전환시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의 휘도와 2D 영상의 휘도는 동일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과 2D 영상 간의 전환시, 영상출력부(232)의 휘도와 배리어부(231)의 오픈 슬릿 비율(Open slit ratio)가 반비례하도록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부(230)의 단위시간당 휘도변화량을 조정할 수 있다.
시차 장벽의 불투명한 Block 구간은, 영상출력부(232)의 빛을 차단하여 디스플레이부(230)의 휘도를 감소시킨다. 오픈 슬릿 비율(Open slit ratio)가 클수록 상기 Block 구간이 작어지므로, 디스플레이부(230)의 휘도가 증가한다. 배리어부(231)의 오픈 슬릿 비율(Open slit ratio)는, 디스플레이부(230)의 휘도와 정비례 관계이다.
영상출력부(232)의 휘도는, 디스플레이부(230)의 휘도와 정비례 관계이다.
디스플레이부(230)에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이 출력되는 경우, 배리어부(231)에는 시차 장벽이 구현된다. 이 때, 오픈 슬릿 비율(Open slit ratio)는 100%보다 작다. 반면, 디스플레이부(230)에 2D 영상이 출력되는 경우, 오픈 슬릿 비율(Open slit ratio)는 100%이다.
이와 같이,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이 출력되는 경우의 오픈 슬릿 비율(Open slit ratio)가 2D 영상이 출력되는 경우의 오픈 슬릿 비율(Open slit ratio)보다 작다.
이 때, 프로세서(270)는,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 출력시 영상출력부(232)의 휘도를, 2D 영상 출력시 영상출력부(232)의 휘도보다 크도록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부(230)의 단위시간당 휘도변화량을 상기 제1 설정값 이하로 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과 2D 영상 간의 전환시, 영상출력부(232)의 휘도와 배리어부(231)의 오픈 슬릿 비율(Open slit ratio)가 반비례하도록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부(230)의 휘도변화량을 0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과 2D 영상 간의 전환시 깜박임은 발생하지 않는다.
프로세서(270)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입력부(260)는, 2D 영상 모드나 3D 영상 모드에 대한 선택 입력을 받을 수 있다. 입력부(120)는, 2D 영상 모드나 3D 영상 모드에 대한 선택 입력시, 인터페이스부(250)를 통해 프로세서(270)로 선택 입력 신호를 제공한다.
프로세서(270)는, 2D 영상 모드에 대한 선택 입력이 있는 경우, 2D 영상을 디스플레이부(230)로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디스플레이부(230)에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이 출력되는 중, 2D 영상 모드에 대한 선택 입력이 있으면, 디스플레이부(230)로 출력되는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을 2D 영상으로 전환한다.
프로세서(270)는, 3D 영상 모드에 대한 선택 입력이 있는 경우, 카메라(220)를 통한 시선(310) 검출 여부에 따라,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 또는 2D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3D 영상 모드에 대한 선택 입력이 있는 경우, 카메라(220)가 획득한 이미지에서 시선(310)을 검출한다.
프로세서(270)는, 카메라(220)를 통하여 시선(310)이 검출되는 경우, 검출된 시선(310)의 위치에 대응하는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을 디스플레이부(230)로 출력한다. 프로세서(270)는,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의 출력 중, 카메라(220)를 통하여 시선(310)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2D 영상을 디스플레이부(230)로 출력한다.
반면, 프로세서(270)는, 카메라(220)를 통하여 시선(310)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2D 영상을 디스플레이부(230)로 출력한다. 프로세서(270)는, 2D 영상의 출력 중, 카메라(220)를 통하여 시선(310)이 검출되는 경우, 검출된 시선(310)의 위치에 대응하는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을 디스플레이부(230)로 출력한다.
프로세서(270)는, 입력부(260)에 대한 선택 입력, 또는 카메라(220)를 통한 시선(310) 검출 여부에 따라,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과 2D 영상 간의 전환이 발생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30)의 단위시간당 휘도변화량을 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입력부(260)에 대한 선택 입력에 따라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과 2D 영상 간의 전환이 발생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30)의 단위시간당 휘도변화량을 상기 제1 설정값 이하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70)는, 카메라(220)를 통한 시선(310) 검출 여부에 따라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과 2D 영상 간의 전환이 발생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30)의 단위시간당 휘도변화량을 상기 제1 설정값 이하로 조정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50)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차량(100) 내부의 제어부(170), 센싱부(125), 입력부(120), 차량 구동부(150) 및 통신부(110) 등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50)는, 프로세서(270)와 수신되는 각종 정보를 프로세서(270)로 제공하거나, 프로세서(270)에서 처리 또는 생성된 신호, 정보 또는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인터페이스부(250)로부터 제공받은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부(230)로 출력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50)는, 제어부(170),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60) 또는 별도의 내비게이션 장치와의 데이터 통신에 의해, 내비게이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내비게이션 정보는 설정된 목적지 정보, 상기 목적지에 따른 경로 정보, 차량 주행과 관련된 맵(map) 정보,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 및 도로상에서 차량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인터페이스부(250)로부터 상기 내비게이션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230)로 출력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50)는, 제어부(170) 또는 센싱부(125)로부터, 센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센서 정보는, 차량 방향 정보, 차량 위치 정보(GPS 정보), 차량 각도 정보, 차속 정보, 차량 가속도 정보, 차량 기울기 정보, 차량 전진/후진 정보, 배터리 정보, 연료 정보, 타이어 정보, 차량 램프 정보, 차량 내부 온도 정보, 차량 내부 습도 정보, 비가 오는지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정보는, 헤딩 센서(heading sensor), 요 센서(yaw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포지션 모듈(position module), 차량 전진/후진 센서, 휠 센서(wheel sensor), 차량 속도 센서, 차체 경사 감지센서, 배터리 센서, 연료 센서, 타이어 센서, 핸들 회전에 의한 스티어링 센서, 차량 내부 온도 센서, 차량 내부 습도 센서, 레인 센서 등으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한편, 포지션 모듈은, GPS 정보 수신을 위한 GPS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정보 중, 차량 주행과 관련한, 차량 방향 정보, 차량 위치 정보, 차량 각도 정보, 차량 속도 정보, 차량 기울기 정보 등을 차량 주행 정보라 명명할 수 있다.
메모리(240)는, 프로세서(27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200)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40)는, 하드웨어적으로,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 일 수 있다. 메모리(240)는,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270)의 하위 구성으로 포함될 수 있다.
메모리(240)는, 디스플레이부(230)의 단위시간당 휘도변화량의 기준값인 상기 제1 설정값, 영상출력부(232)의 단위시간당 휘도변화량의 기준값인 상기 제2 설정값, 및 배리어부(231)의 단위시간당 오픈 슬릿 비율(Open slit ratio) 변화량의 기준값인 상기 제3 설정값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상기 제1 내지 3 설정값을 변경하여 메모리(240)에 저장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290)는, 프로세서(270)가 동작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270)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전원 공급부(190)와 별도로 전원을 공급하는 수단을 구비할 수도 있다.
도 4a 내지 4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출력하는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프로세서(270)는, 배리어부(231) 및 영상출력부(232)를 통하여,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배리어부(231)는, 영상출력부(232)와 사용자의 시선(310) 사이에 배치된다.
프로세서(270)는, 배리어부(231)에 시차 장벽을 구현한다. 프로세서(270)는, 영상출력부(232)에 시차 장벽에 대응하는 디스패러티 영상을 출력한다. 이 때, 디스플레이부(230)에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이 나타난다.
시차 장벽은, 적어도 하나의 불투명한 Block 구간(231a)과 적어도 하나의 투명한 Slit 구간(231b)으로 이루어진다.
Slit 구간(231b)은 투명하므로 빛이 통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Slit 구간(231b)을 통하여 영상출력부(232)에 표시되는 영상을 볼 수 있다.
Block 구간(231a)은 불투명하므로 빛이 통과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영상출력부(232)에 표시되는 영상에서 Block 구간(231a)으로 인하여 가려지는 부분은 볼 수 없다.
디스패러티 영상은, R 영상과 L 영상이 조합된 영상이다. R 영상은 사용자의 좌안에 보여지기 위한 영상이다. L 영상은 사용자의 우안에 보여지기 위한 영상이다.
시차 장벽은, 사용자의 좌안(L)에 L 영상만 보이게 하고, 사용자의 우안(R)에 R 영상만 보이게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는, 입체감이 있는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이 보일 수 있다.
R 영상과 L 영상의 조합 형태는, 배리어부(231)가 구현하는 시차 장벽의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
시차 장벽의 종류에는, Block 구간과 Slit 구간이 수직 방향으로 구성된 수직 시차 장벽, Slit 구간이 복수의 핀홀(Pinhole)인 핀홀 시차 장벽, 해상도 저하를 수평 및 수직으로 균등화시키는 스탭(Step) 시차 장벽, 및 두 개의 배리어부를 맞물리게 배치하고 시분할 방식을 적용하는 시분할 시차 장벽 등이 있다.
상술한 시차 장벽의 종류에 따라 R 영상과 L 영상의 조합 형태가 달라지므로, 영상출력부(232)에 출력되는 디스패러티 영상이 달라진다.
도 4b를 참조하면, 배리어부(231) 및 영상표시부(233)의 동작은, 2D 영상이 출력되는 경우와,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이 출력되는 경우가 상이하다.
도 4b의 (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30)에 2D 영상이 출력되는 경우, 프로세서(270)는, 배리어부(231)의 모든 구간을 빛이 통과되는 Slit 구간이 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배리어부(231) 전체가 투명하게 되다.
프로세서(270)는, 영상표시부(233)로 2D 영상을 출력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230)에 출력되는 영상을 2D 영상으로 인지한다.
도 4b의 (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30)에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이 출력되는 경우, 프로세서(270)는, 배리어부(231)의 특정 구간을 불투명한 Block 구간이 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Block 구간 외의 나머지 구간은 Slit 구간이 되어, 배리어부(231)에 시차 장벽이 구현된다.
프로세서(270)는, 영상표시부(233)로 시차 장벽에 대응하는 디스패러티 영상을 출력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좌안에는 L 영상만 보이고, 우안에는 R 영상만 보인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230)에 출력되는 영상을 3D 영상으로 인지한다.
디스플레이부(230)의 구조에 있어서, 배리어부(231)는, 영상출력부(232)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30)의 구조에 있어서, 배리어부(231)는, 영상표시부(233)와 백라이트(234)의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4C의 (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30)에 2D 영상이 출력되는 경우, 프로세서(270)는, 배리어부(231)의 모든 구간을 빛이 통과되는 Slit 구간이 되도록 제어한다. 배리어부(231)는 백라이트(234)의 빛을 통과시킨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동공(310)에 영상표시부(233)의 모든 부분에 표시된 영상이 보이게 된다.
프로세서(270)는, 영상표시부(233)로 2D 영상을 출력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230)에 출력되는 영상을 2D 영상으로 인지한다.
도 4C의 (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30)에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이 출력되는 경우, 프로세서(270)는, 배리어부(231)의 특정 구간을 불투명한 Block 구간이 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배리어부(231)에 시차 장벽이 구현된다. 시차 장벽의 Block 구간은, 영상표시부(233)로 향하는 백라이트(234)의 빛을 차단한다.
프로세서(270)는, 영상표시부(233)로 시차 장벽에 대응하는 디스패러티 영상을 출력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좌안에는 L 영상만 보이고, 우안에는 R 영상만 보인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230)에 출력되는 영상을 3D 영상으로 인지한다.
도 4d를 참조하면, 프로세서(270)가 디스플레이부(230)에 출력하는 2D 영상의 휘도는,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의 휘도와 상이하다.
프로세서(270)가 디스플레이부(230)에 2D 영상을 출력하는 경우, 배리어부(231)는 투명한 상태이므로, 백라이트(234)의 빛은 차단되지 않고 사용자의 시선(310)으로 전달된다.
반면, 프로세서(270)가 디스플레이부(230)에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을 출력하는 경우, 배리어부(231)에 구현되는 시차 장벽은, 백라이트(234)의 빛의 일부를 차단한다. 배리어부(231)에 구현되는 시차 장벽은, 사용자의 시선(310)과 백라이트(234)의 사이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시선(310)을 향하는 백라이트(234)의 빛의 일부를 차단하므로, 상기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은 2D 영상보다 어둡다.
배리어부(231)의 오픈 슬릿 비율(Open slit ratio)가 50%인 경우, 사용자의 시선(310)을 향하는 백라이트(234)의 빛은 약 50% 정도 차단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30)에 출력되는 2D 영상의 휘도는, 디스플레이부(230)에 출력되는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의 휘도의 약 2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230)에 출력되는 2D 영상의 휘도가 600nit인 경우, 디스플레이부(230)에 출력되는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의 휘도는 300nit일 수 있다.
2D 영상과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의 휘도 차이 때문에, 프로세서(270)가 디스플레이부(230)에 2D 영상을 출력하다가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을 출력하거나,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을 출력하다가 2D 영상을 출력하는 경우, 사용자는 영상이 깜빡인다고 느낄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프로세서(270)는,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과 2D 영상 간의 전환시 디스플레이부(230)의 단위시간당 휘도변화량을 감소시킨다.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과 2D 영상 간의 전환시 디스플레이부(230)의 단위시간당 휘도변화량이 감소하면,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과 2D 영상 간의 전환시 디스플레이부(230)가 서서히 밝아지거나, 서서히 어두워진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카메라를 통해 검출되는 시선에 대응하여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을 출력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프로세서(270)는, 카메라(220)를 통해 검출된 시선(310)의 위치에 대응하는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을 디스플레이부(230)로 출력한다.
배리어부(231)에 구현되는 시차 장벽 및 시차 장벽에 대응하는 디스패러티 영상이 사용자의 시선 위치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면, 사용자는 입체감을 느낄 수 있다.
반면, 시차 장벽 및 디스패러티 영상이 사용자의 시선 위치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는 입체감을 느낄 수 없다.
그러므로, 프로세서(270)는, 시차 장벽 및 디스패러티 영상이, 카메라(220)를 통해 검출된 시선(310)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배리어부(231) 및 영상출력부(232)를 제어한다.
검출되는 시선(310)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프로세서(270)는, 시차 장벽 및 디스패러티 영상이 변경된 시선(310)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배리어부(231)에서의 시차 장벽의 위치와 영상출력부(232)에서의 디스패러티 영상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한다.
도 6a 내지 6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시선 감지 여부에 따라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이나 2D 영상을 출력하는 것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6a의 (a)를 참조하면, 프로세서(270)는, 카메라(220)가 획득한 이미지에서 검출된 시선(310)의 위치에 대응하여,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을 디스플레이부(230)에 출력한다.
카메라(220)는, 촬영 가능한 범위인 카메라 시야각(211)을 갖는다. 카메라 시야각(211) 내에 사용자의 시선(310)이 존재하는 경우, 프로세서(270)는, 카메라(220)를 통해 시선(310)을 검출하고, 검출된 시선(310)의 위치에 대응하여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을 출력한다.
도 6a의 (b)를 참조하면, 프로세서(270)는, 카메라 시야각(211) 내에 사용자의 시선(310)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시선(310)을 검출할 수 없으므로, 2D 영상을 디스플레이부(230)에 출력한다.
프로세서(270)가 시선(310)을 검출할 수 없는 경우, 프로세서(270)는 배리어부(231)에 구현되는 시차 장벽의 위치 및 영상출력부(232)에 출력되는 디스패러티 영상의 위치를 특정할 수 없으므로,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을 출력할 수 없다. 따라서, 프로세서(270)는, 사용자의 시선(310)이 검출되지 않으면, 디스플레이부(230)에 2D 영상을 출력한다.
이 밖에 차량(100)이 오프로드를 주행하거나 연속적인 커브길을 주행하는 경우, 카메라 시야각(211) 내에 사용자의 시선(310)이 존재하더라도 시선(310) 자체의 잦은 움직임으로 인하여, 프로세서(270)가 시선(310)의 위치를 검출하지 못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270)는, 디스플레이부(230)에 2D 영상을 출력한다.
도 6b를 참조하면, 프로세서(270)의 시선(310) 감지 여부는, 카메라(220)의 촬영 환경의 조도에 따라 달라진다.
카메라(220)의 촬영 환경의 조도가 높은 경우, 프로세서(270)는 카메라(220)가 획득한 이미지에서 시선(310)을 검출할 수 있고, 검출된 시선(310)의 위치에 대응하여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을 디스플레이부(230)에 출력한다.
카메라(220)의 촬영 환경의 조도가 낮은 경우, 카메라(220)가 획득한 이미지가 상대적으로 어두우므로, 프로세서(270)는 카메라(220)가 획득한 이미지에서 시선(310)을 검출할 수 없다. 이 경우, 프로세서(270)는 배리어부(231)에 구현되는 시차 장벽의 위치 및 영상출력부(232)에 출력되는 디스패러티 영상의 위치를 특정할 수 없으므로,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을 출력할 수 없다. 따라서, 프로세서(270)는, 디스플레이부(230)에 2D 영상을 출력한다.
카메라(220)가 열감지 카메라인 경우, 프로세서(270)는, 촬영 환경의 조도가 낮아도 카메라(220)가 획득한 이미지에서 시선(310)을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220)가 열감지 카메라이고, 촬영 환경의 조도가 낮은 경우, 프로세서(270)는, 시선(310)의 위치를 검출하고, 시선(310)의 위치에 대응하여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을 출력한다.
카메라(220)가 열감지 카메라가 아니더라도, 낮은 조도에서 시선 검출 가능한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이면, 프로세서(270)는 시선(310)의 위치를 검출하고, 시선(310)의 위치에 대응하여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을 출력한다.
도 6c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고개를 돌리는 경우, 프로세서(270)는 시선(310)을 감지할 수 없다.
프로세서(270)는, 카메라(220)가 획득한 이미지에서 사용자의 얼굴을 검출하고, 상기 사용자의 눈, 코, 입의 위치를 검출하여 시선(310)을 검출한다.
사용자가 고개를 돌리는 경우, 사용자의 얼굴이 정면을 향하고 있지 않으므로, 프로세서(270)는 상기 사용자의 얼굴과 눈, 코, 입을 검출할 수 없고, 시선(310)을 검출할 수 없다. 이 경우, 프로세서(270)는, 배리어부(231)에 구현되는 시차 장벽의 위치 및 영상출력부(232)에 출력되는 디스패러티 영상의 위치를 특정할 수 없으므로,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을 출력할 수 없다. 따라서, 프로세서(270)는, 디스플레이부(230)에 2D 영상을 출력한다.
사용자가 운전 중 잠시 고개를 정면이 아닌 방향으로 돌리고, 다시 고개를 정면을 향하여 돌리는 경우, 프로세서(270)가 잠시 2D 영상을 출력하다가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을 출력하는 것은 비효율적일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270)는 카메라(220)가 획득한 이미지에서 시선(310)이 검출되지 않는 순간부터 설정시간 동안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을 출력한다.
상기 설정시간 이내에 카메라(220)가 획득한 이미지에서 시선(310)이 검출되는 경우, 프로세서(270)는, 검출된 시선(310)의 위치에 대응하여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을 출력한다. 상기 설정시간 경과 후 카메라(220)가 획득한 이미지에서 시선(310)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프로세서(270)는, 디스플레이부(230)에 2D 영상을 출력한다.
도 6d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선글라스를 착용하는 경우, 프로세서(270)는 시선(310)을 감지할 수 없다.
사용자가 선글라스(311)를 착용하는 경우, 카메라(220)가 획득하는 이미지에 검출 가능한 시선(310)이 나타나지 않으므로, 프로세서(270)는 2D 영상을 출력한다.
다만, 사용자가 선글라스(311)를 착용하더라도, 카메라(220)가 획득하는 이미지에 시선(310)이 검출 가능한 정도로 나타나면, 프로세서(270)는 시선(310)의 위치를 검출하고, 시선(310)의 위치에 대응하여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을 출력한다.
도 7a 및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자가 선글라스를 착용하는 경우,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이나 2D 영상을 출력하는 것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선글라스(311)를 착용하고, 프로세서(270)가 시선(310)을 감지할 수 없는 경우, 프로세서(270)는, 카메라(220)가 획득한 이미지에서 선글라스(311) 자체를 검출한다.
선글라스(311)의 위치에 따라 사용자 시선(310)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으므로, 프로세서(270)는, 검출된 선글라스(311)의 위치에 대응하여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을 출력한다.
프로세서(270)가 카메라(220)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에서 선글라스(311)를 검출하고, 선글라스(311)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프로세서(270)는 변경되는 선글라스(311)의 위치에 대응하여, 배리어부(231)의 시차 장벽 및 영상출력부(232)의 디스패러티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한다.
프로세서(270)는, 배리어부(231)에 구현되는 시차 장벽 및 영상출력부(232)에 출력되는 디스패러티 영상이 변경된 선글라스(311)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배리어부(231)에서의 시차 장벽의 위치와 영상출력부(232)에서의 디스패러티 영상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한다.
또한, 프로세서(270)는, 선글라스(311)의 위치에 대응하여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이 출력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30)의 휘도를 설정 값 이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설정 값은, 메모리(240)에 저장된 값일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프로세서(270)는, 사용자가 선글라스(311)를 착용하는 경우, 2D 영상을 디스플레이부(230)에 출력한다.
프로세서(270)는, 카메라(220)가 획득한 이미지에서 사용자 시선(310)이 검출되지 않고 선글라스(311)만 검출되거나, 사용자 시선(310)과 선글라스(311)가 동시에 검출되는 경우, 2D 영상을 디스플레이부(230)에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230)에 2D 영상이 출력되는 경우의 휘도가,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이 출력되는 경우의 휘도보다 크고, 사용자가 선글라스(311)를 착용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보이는 영상의 휘도가 감소하므로, 선글라스(311)를 착용한 사용자에게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은 상대적으로 더욱 어둡게 보일 것이다. 이 경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230)에 표시되는 중요한 정보를 인지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위험하다.
따라서, 프로세서(270)는, 카메라(220)가 획득한 이미지에서 선글라스(311)가 감지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30)에 2D 영상을 출력한다.
도 8a 및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입력부(260)는, 2D 영상 모드나 3D 영상 모드에 대한 선택 입력을 받을 수 있다. 입력부(260)는, 3D 영상 모드에 대한 선택 입력이 있는 경우, 프로세서(270)로 3D 영상 모드 선택 입력 신호를 제공한다(S81).
프로세서(270)는, 입력부(260)로부터 3D 영상 모드 선택 입력 신호가 전달되면, 카메라(220)를 통하여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이미지에서 사용자의 시선(310)을 검출한다(S82).
프로세서(270)는, 카메라(220)를 통해 획득한 이미지에서 검출된 시선(310)의 위치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230)에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을 출력한다(S83).
프로세서(270)는, 카메라(220)를 통해 획득한 이미지에서 시선(310)이 검출되는지 판단한다(S84).
프로세서(270)는, 카메라(220)를 통해 획득한 이미지에서 시선(310)이 검출되고 시선(310)의 위치가 변동되는 경우, 변동되는 시선(310)의 위치에 대응하여 배리어부(231)에서의 시차 장벽의 위치와 영상출력부(232)에서의 디스패러티 영상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함으로써, 입체감이 나타나는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이 디스플레이부(230)에 구현되도록 한다(S83).
프로세서(270)는, 카메라(220)를 통해 획득한 이미지에서 시선(310)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2D 영상을 디스플레이부(230)에 출력한다(S85).
이 경우, 프로세서(270)는, 디스플레이부(230)의 단위시간당 휘도변화량을 조정한다. 프로세서(270)는, 디스플레이부(230)의 단위시간당 휘도변화량을 상기 제1 설정값 이하로 조정하여, 깜박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70)는, 카메라(220)를 통해 획득한 이미지에서 시선(310)이 검출되지 않는 순간부터 설정시간동안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을 디스플레이부(230)에 출력하고, 시선(310)이 검출되지 않는 순간부터 상기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2D 영상을 디스플레이부(230)에 출력할 수도 있다.
이는, 순간적으로 카메라(220)를 통해 획득한 이미지에서 시선(310)이 검출되지 않다가 다시 시선(310)이 검출되는 경우, 프로세서(270)가 순간적으로 2D 영상을 출력하는 것보다, 다시 검출되는 시선(310)의 위치에 대응하여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을 출력하는 것이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도 8b를 참조하면, 입력부(120)는, 3D 영상 모드에 대한 선택 입력을 받아서,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프로세서(270)로 3D 영상 모드 선택 입력 신호를 제공한다(S181).
프로세서(270)는, 카메라(220)를 통해 획득한 이미지에서 시선(310)이 검출되는지 판단한다(S102).
프로세서(270)는, 시선(310)이 검출되는 경우, 검출되는 시선(310)의 위치에 대응하여 시차 장벽의 위치와 디스패러티 영상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함으로써,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을 디스플레이부(230)에 출력한다(S185).
프로세서(270)는, 시선(310)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2D 영상을 디스플레이부(230)에 출력한다(S183). 이를 위해, 프로세서(270)는, 배리어부(231) 전체를 투명하게 하고, 영상출력부(232)에 2D 영상을 출력한다. 이 때, 프로세서(270)는, 디스플레이부(230)의 단위시간당 휘도변화량을 상기 제1 설정값 이하로 조정하여, 깜박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프로세서(270)는, 3D 영상 모드가 선택된 상태이므로, 카메라(220)로부터 획득된 이미지를 수신하고, 사용자의 시선(310)을 검출되는지 판단한다(S184). 프로세서(270)는, 시선(310)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2D 영상을 디스플레이부(230)에 출력한다(S183).
프로세서(270)는, 시선(310)이 검출되는 경우, 시선(310)의 위치에 대응하는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을 디스플레이부(230)로 출력한다(S185). 이 때, 프로세서(270)는, 디스플레이부(230)의 단위시간당 휘도변화량을 상기 제1 설정값 이하로 조정하여, 깜박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프로세서(270)는,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을 디스플레이부(230)로 출력하는 중, 입력부(260)를 통해 2D 영상 모드에 대한 선택 입력이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30)에 2D 영상을 출력한다. 이 때, 프로세서(270)는, 디스플레이부(230)의 단위시간당 휘도변화량을 상기 제1 설정값 이하로 조정하여, 깜박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도 9a 및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영상출력부(232)의 휘도를 조정하여, 디스플레이부(230)의 단위시간당 휘도변화량을 조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 및 9b을 참조하면, 프로세서(270)는,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과 2D 영상 간의 전환시, 영상출력부(232)의 휘도를 조정하여, 디스플레이부(230)의 단위시간당 휘도변화량을 조정한다.
영상출력부(232)가 영상표시부(233) 및 백라이트(234)를 포함하는 경우, 영상출력부(232)로 출력되는 영상의 휘도는 백라이트(234)의 휘도에 비례하므로, 프로세서(270)는, 백라이트(234)의 휘도를 조정하여 영상출력부(232)의 휘도를 조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270)는, 백라이트(234)의 휘도를 PWM(Pulse Width Modulation) 방식으로 제어한다.
프로세서(270)는, 카메라(220)를 통해 검출된 시선(310)에 대응하여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을 출력한다(S91). 프로세서(270)는, 배리어부(231)에 투명한 Slit 구간의 비율(오픈 슬릿 비율(Open slit ratio))이 50%인 시차 장벽을 구현하고, 영상표시부(233)에 디스패러티 영상을 출력하며, 백라이트(234)의 듀티비를 100%로 조정한다.
백라이트(234)의 듀티비가 100%일 때의 백라이트(234) 휘도를 600nit이라고 가정하면, 오픈 슬릿 비율(Open slit ratio)가 50%인 시차 장벽으로 인하여 디스플레이부(230)로 출력되는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의 휘도는 약 300nit이다.
프로세서(270)는,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 출력 중, 카메라(220)가 획득한 이미지에서 시선(310)이 검출되지 않거나, 입력부(120)를 통해 2D 영상 모드에 대한 선택 입력이 있는지 판단한다(S92).
프로세서(270)는,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 출력 중, 카메라(220)가 획득한 이미지에서 시선(310)이 검출되지 않거나, 입력부(120)를 통해 2D 영상 모드에 대한 선택 입력이 있는 경우,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을 2D 영상으로 전환한다.
프로세서(270)는, 시선(310)이 검출되지 않은 시점부터 설정시간이 경과하는지 판단하여,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을 2D 영상으로 전환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270)는,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을 2D 영상으로 전환하는 경우, 배리어부(231)의 오픈 슬릿 비율(Open slit ratio)를 100%로 조정하면서, 영상표시부(233)에 2D 영상을 출력한다. 이 때, 프로세서(270)는, 백라이트(234)의 PWM 듀티비를 50%로 조정한다(S93).
백라이트(234)의 듀티비가 50%인 경우 백라이트(234)의 휘도는 300nit이 되고, 배리어부(231)의 오픈 슬릿 비율(Open slit ratio)가 100%이므로, 배리어부(231)는 백라이트(234)의 빛을 차단하지 않는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230)로 출력되는 2D 영상의 휘도는 약 300nit으로, 이전에 출력된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의 휘도와 동일하다.
프로세서(270)는,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이 2D 영상으로 전환되는 순간부터 10ms가 경과하는지 판단한다(S94). 프로세서(270)는, 10ms가 경과하지 않으면, 현재 상태를 유지시킨다(S93).
프로세서(270)는,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이 2D 영상으로 전환되는 순간부터 10ms가 경과하면, 백라이트(234)의 듀티비를 75%로 조정한다(S95).
백라이트(234)의 듀티비가 75%인 경우 백라이트(234)의 휘도는 450nit이 되고, 배리어부(231)의 오픈 슬릿 비율(Open slit ratio)가 100%이므로, 디스플레이부(230)로 출력되는 2D 영상의 휘도도 약 450nit가 된다.
프로세서(270)는, 백라이트(234)의 듀티비가 75%로 제어된 순간으로부터 10ms가 경과하는지 판단한다(S96). 프로세서(270)는, 10ms가 경과하지 않으면, 현재 상태를 유지시킨다(S95).
프로세서(270)는, 백라이트(234)의 듀티비가 75%로 제어된 순간으로부터 10ms가 경과하면, 백라이트(234)의 듀티비를 100%로 조정한다(S97).
백라이트(234)의 듀티비가 100%인 경우 백라이트(234)의 휘도는 600nit이 되고, 배리어부(231)의 오픈 슬릿 비율(Open slit ratio)가 100%이므로, 디스플레이부(230)로 출력되는 2D 영상의 휘도도 약 600nit가 된다.
상술한 과정에 따라, 프로세서(270)는,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과 2D 영상 간의 전환시 발생하는 휘도변화에 있어서, 영상출력부(232)로 출력되는 영상 자체의 휘도를 조정하여, 디스플레이부(230)의 단위시간당 휘도변화량을 조정한다.
단위시간을 10ms이고, 상기 제1 설정값이 150nit/10ms라고 가정하면, 도 9의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230)의 단위시간당 휘도변화량은 150nit/10ms이므로, 프로세서(270)는, 디스플레이부(230)의 단위시간당 휘도변화량을 상기 제1 설정값 이하로 조정한 것이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영상출력부(232)에 백라이트(234)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프로세서(270)는, 영상출력부(232) 자체의 밝기를 조정하여 상기 단위시간당 휘도변화량을 상기 설정값 이하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도 9a과 달리, 2D 영상이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으로 전환되는 경우, 프로세서(270)는, 2D 영상의 휘도를 단계적으로 300nit까지 감소시킨 후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을 출력함으로써 위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0a 및 10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배리어부의 오픈 슬릿 비율(Open slit ratio)을 조정하여, 디스플레이부의 단위시간당 휘도변화량을 조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a 및 10b을 참조하면, 프로세서(270)는,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과 2D 영상 간의 전환시, 배리어부(231)의 오픈 슬릿 비율(Open slit ratio)를 조정하여, 디스플레이부(230)의 단위시간당 휘도변화량을 조정한다.
프로세서(270)는, 배리어부(231)의 투명한 Slit 구간과 불투명한 Block 구간을 조절할 수 있다. 이 때, 배리어부(231)에서 Slit 구간이 차지하는 비율을 오픈 슬릿 비율(Open slit ratio)라고 한다. 예를 들어, 배리어부(231)의 오픈 슬릿 비율(Open slit ratio)가 50%라는 것은, 배리어부(231)에서 투명한 Slit 구간이 50%이고, 불투명한 Block 구간이 50%라는 것이다.
배리어부(231)의 Block 구간은, 영상출력부(232)에 출력되는 영상의 휘도에 영향을 미친다. 배리어부(231)의 오픈 슬릿 비율(Open slit ratio)가 50%이면, Block 구간이 50%이다. 이 경우, 영상출력부(232)나 백라이트(234)에서 발생하는 빛이 50%정도 차단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부(230)의 밝기는 최대 밝기 대비 50%정도일 수 있다.
이하, 프로세서(270)가 상술한 배리어부(231)의 오픈 슬릿 비율(Open slit ratio)를 조정함으로써,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과 2D 영상 간의 전환시 디스플레이부(230)의 단위시간당 휘도변화량을 상기 제1 설정값 이하로 조정하는 것을 설명한다.
프로세서(270)는, 카메라(220)를 통해 검출된 시선(310)에 대응하여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을 출력한다(S101). 프로세서(270)는, 배리어부(231)의 오픈 슬릿 비율(Open slit ratio)가 50%인 시차 장벽을 구현하고, 영상출력부(232)에 시차 장벽 및 시선의 위치(310)에 대응하는 디스패러티 영상을 출력한다.
영상출력부(232)로 출력되는 디스패러티 영상의 밝기를 600nit이라고 가정하면, 오픈 슬릿 비율(Open slit ratio)가 50%인 시차 장벽으로 인하여 디스플레이부(230)로 출력되는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의 휘도는 약 300nit일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 출력 중, 카메라(220)가 획득한 이미지에서 시선(310)이 검출되지 않거나, 입력부(120)를 통해 2D 영상 모드에 대한 선택 입력이 있는지 판단한다(S102).
프로세서(270)는,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 출력 중, 카메라(220)가 획득한 이미지에서 시선(310)이 검출되지 않거나, 입력부(120)를 통해 2D 영상 모드에 대한 선택 입력이 있는 경우,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을 2D 영상으로 전환한다.
프로세서(270)는, 시선(310)이 검출되지 않은 시점부터 설정시간이 경과하는지 판단하여,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을 2D 영상으로 전환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270)는,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을 2D 영상으로 전환하는 경우, 배리어부(231)의 오픈 슬릿 비율(Open slit ratio)를 50%로 유지시키면서, 영상출력부(232)에 2D 영상을 출력한다. 이 경우, 프로세서(270)는, 영상출력부(232)의 휘도를 유지시킨다(S103).
영상출력부(232)에 출력되는 2D 영상의 휘도가 600nit이고, 배리어부(231)의 오픈 슬릿 비율(Open slit ratio)가 50%이므로, 디스플레이부(230)에 나타는 2D 영상의 휘도는, 영상출력부(232)에 출력되는 2D 영상의 휘도에 비하여 50%정도 감소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30)에 나타나는 2D 영상의 휘도는 약 300nit이고, 이전에 출력된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의 휘도와 동일하다.
프로세서(270)는,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이 2D 영상으로 전환되는 순간부터 10ms가 경과하는지 판단한다(S104). 프로세서(270)는, 10ms가 경과하지 않으면, 현재 상태를 유지시킨다(S103).
프로세서(270)는,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이 2D 영상으로 전환되는 순간부터 10ms가 경과하면, 배리어부(231)의 오픈 슬릿 비율(Open slit ratio)를 75%로 조정한다(S105).
배리어부(231)의 오픈 슬릿 비율(Open slit ratio)가 75%인 경우, 영상출력부(232)에 출력되는 2D 영상의 휘도가 배리어부(231)에 의하여 25% 정도 감소하므로, 디스플레이부(230)에 나타나는 2D 영상의 휘도는 약 450nit가 된다.
프로세서(270)는, 오픈 슬릿 비율(Open slit ratio)를 75%로 조정한 순간부터 10ms가 경과하는지 판단한다(S106). 프로세서(270)는, 10ms가 경과하지 않으면, 현재 상태를 유지시킨다(S105).
프로세서(270)는, 오픈 슬릿 비율(Open slit ratio)를 75%로 조정한 순간으로부터 10ms가 경과하면, 배리어부(231)의 오픈 슬릿 비율(Open slit ratio)를 100%로 조정한다(S107).
배리어부(231)의 오픈 슬릿 비율(Open slit ratio)가 100%인 경우, 영상출력부(232)에 출력되는 2D 영상의 빛이 차단되지 않으므로, 디스플레이부(230)에 나타나는 2D 영상의 휘도는 약 600nit가 된다.
상술한 과정에 따라, 프로세서(270)는,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과 2D 영상 간의 전환시 발생하는 휘도변화에 있어서, 배리어부(231)의 단위시간당 오픈 슬릿 비율(Open slit ratio) 변화량을 조정하여, 디스플레이부(230)의 단위시간당 휘도변화량을 조정한다.
단위시간을 10ms이고, 상기 제1 설정값이 150nit/10ms라고 가정하면, 도 10의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230)의 단위시간당 휘도변화량은 150nit/10ms이므로, 프로세서(270)는, 디스플레이부(230)의 단위시간당 휘도변화량을 상기 제1 설정값 이하로 조정한 것이 된다.
또한, 도 10a와 달리, 2D 영상이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으로 전환되는 경우, 프로세서(270)는, 배리어부(231)의 오픈 슬릿 비율(Open slit ratio)를 단계적으로 50%까지 감소시킨 후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을 출력함으로써 위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1a 및 1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과 2D 영상 간의 전환시, 배리어부의 오픈 슬릿 비율(Open slit ratio)를 유지시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a 및 11b을 참조하면, 프로세서(270)는,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과 2D 영상 간의 전환시, 배리어부(231)의 오픈 슬릿 비율(Open slit ratio)를 유지하여, 디스플레이부(230)의 단위시간당 휘도변화량을 조정한다.
프로세서(270)가 디스플레이부(230)에 2D 영상을 출력하는 경우, 배리어부(231)에 시차 장벽이 구현되더라도, 디스플레이부(230)에 휘도가 감소한 2D 영상이 나타날 뿐, 2D 영상 자체에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270)는,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 출력시 오픈 슬릿 비율(Open slit ratio)와 2D 영상 출력시 오픈 슬릿 비율(Open slit ratio)를 동일하게 하여,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과 2D 영상 간의 전환시 디스플레이부(230)의 단위시간당 휘도변화량을 상기 제1 설정값 이하로 조정한다. 이하, 이에 대한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프로세서(270)는, 카메라(220)를 통해 검출된 시선(310)에 대응하여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을 출력한다(S111).
프로세서(270)는, 배리어부(231)의 오픈 슬릿 비율(Open slit ratio)가 50%인 시차 장벽을 구현하고, 영상출력부(232)에 시차 장벽 및 시선의 위치(310)에 대응하는 디스패러티 영상을 출력한다.
영상출력부(232)로 출력되는 디스패러티 영상의 휘도를 600nit이라고 가정하면, 오픈 슬릿 비율(Open slit ratio)가 50%인 시차 장벽으로 인하여 디스플레이부(230)로 출력되는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의 휘도는 약 300nit일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 출력 중, 카메라(220)가 획득한 이미지에서 시선(310)이 검출되지 않거나, 입력부(120)를 통해 2D 영상 모드에 대한 선택 입력이 있는지 판단한다(S112).
프로세서(270)는,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 출력 중, 카메라(220)가 획득한 이미지에서 시선(310)이 검출되지 않거나, 입력부(120)를 통해 2D 영상 모드에 대한 선택 입력이 있는 경우,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을 2D 영상으로 전환한다.
프로세서(270)는, 시선(310)이 검출되지 않은 시점부터 설정시간이 경과하는지 판단하여,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을 2D 영상으로 전환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270)는,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을 2D 영상으로 전환하는 경우, 배리어부(231)의 오픈 슬릿 비율(Open slit ratio)를 50%로 유지시키면서, 영상출력부(232)에 2D 영상을 출력한다. 이 경우, 프로세서(270)는, 영상출력부(232)의 휘도를 유지시킨다(S113).
영상출력부(232)에 출력되는 2D 영상의 휘도가 600nit이고, 배리어부(231)의 오픈 슬릿 비율(Open slit ratio)가 50%이므로, 디스플레이부(230)에 나타는 2D 영상의 휘도는, 영상출력부(232)에 출력되는 2D 영상의 휘도에 비하여 50%정도 감소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30)에 나타나는 2D 영상의 휘도는 약 300nit이고, 이전에 출력된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의 휘도와 동일하다.
상술한 과정에 따라, 프로세서(270)는,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과 2D 영상 간의 전환시 발생하는 디스플레이부(230)의 단위시간당 휘도변화량을 0으로 조정한다. 이 경우, 깜박임은 발생하지 않는다.
도 12a 및 1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과 2D 영상 간의 전환시, 영상출력부의 휘도와 배리어부의 오픈 슬릿 비율(Open slit ratio)가 반비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a 및 12b을 참조하면, 프로세서(270)는,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과 2D 영상 간의 전환시, 영상출력부(232)의 휘도와 배리어부(231)의 오픈 슬릿 비율(Open slit ratio)가 반비례하도록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부(230)의 단위시간당 휘도변화량을 조정한다.
배리어부(231)의 오픈 슬릿 비율(Open slit ratio)는, 디스플레이부(230)의 휘도와 정비례 관계이다. 또한, 영상출력부(232)의 휘도는, 디스플레이부(230)의 휘도와 정비례 관계이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270)는, 영상출력부(232)의 휘도와 오픈 슬릿 비율(Open slit ratio)가 반비례하도록, 영상출력부(232) 및 배리어부(231)를 제어함으로써,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과 2D 영상 간의 전환시 디스플레이부(230)의 단위시간당 휘도변화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프로세서(270)는, 카메라(220)를 통해 검출된 시선(310)에 대응하여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을 출력한다(S121).
프로세서(270)는, 배리어부(231)에 오픈 슬릿 비율(Open slit ratio)가 50%인 시차 장벽을 구현하고, 영상출력부(232)에 600nit의 디스패러티 영상을 출력한다.
오픈 슬릿 비율(Open slit ratio)가 50%인 시차 장벽으로 인하여, 영상출력부(232)에 출력되는 휘도가 600nit인 디스패러티 영상의 빛이 약 50% 차단되므로, 디스플레이부(230)로 나타나는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의 휘도는 약 300nit이다.
프로세서(270)는,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 출력 중, 카메라(220)가 획득한 이미지에서 시선(310)이 검출되지 않거나, 입력부(120)를 통해 2D 영상 모드에 대한 선택 입력이 있는지 판단한다(S122).
프로세서(270)는,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 출력 중, 카메라(220)가 획득한 이미지에서 시선(310)이 검출되지 않거나, 입력부(120)를 통해 2D 영상 모드에 대한 선택 입력이 있는 경우,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을 2D 영상으로 전환한다.
프로세서(270)는, 시선(310)이 검출되지 않은 시점부터 설정시간이 경과하는지 판단하여,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을 2D 영상으로 전환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270)는,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을 2D 영상으로 전환하는 경우, 배리어부(231)의 오픈 슬릿 비율(Open slit ratio)를 100%로 조정하면서, 영상출력부(232)에 300nit의 2D 영상을 출력한다(S123).
배리어부(231)의 오픈 슬릿 비율(Open slit ratio)가 100%이므로, 영상출력부(232)에 출력되는 휘도가 300nit인 2D 영상의 빛이 차단되지 않고, 디스플레이부(230)로 나타나는 2D 영상의 휘도는 약 300nit이다. 즉, 이전에 출력된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의 휘도와 전환 후 출력된 2D 영상의 휘도는 동일하다.
이와 같이, 프로세서(270)는,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과 2D 영상 간의 전환시 영상출력부(232)로 출력되는 영상의 휘도와 배리어부(231)의 오픈 슬릿 비율(Open slit ratio)가 반비례하도록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부(230)의 단위시간당 휘도변화량을 0으로 조정한다. 이에 따라, 깜박임이 발생하지 않는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클러스터인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자동차 클러스터일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270)는, 디스플레이부(230)에 엔진회전계, 속도계, 연료계, 및 냉각수 온도계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엔진회전계(1301), 속도계(1302), 연료계(1303), 및 냉각수 온도계(1304) 중 적어도 하나를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으로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엔진 회전, 속도, 연료, 및 냉각수 온도 중 이상이 발생한 항목을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70)는, 차량의 연료가 설정 값 이하로 감소한 경우, 연료계(1303)를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으로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차량의 속도가 제한 속도 이상인 경우, 속도계(1302)를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으로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냉각수 온도가 설정 값 이상인 경우, 냉각수 온도계(1304)를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으로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차량(100)에 이 외의 문제가 발생한 경우, 발생된 문제에 대한 메시지를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 차량
200 :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Claims (10)

  1. 카메라;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카메라를 통해 시선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시선에 대응하는 패럴렉스 배리어(Parallax barrier) 3D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고,
    상기 카메라를 통해 시선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2D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고,
    상기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과 상기 2D 영상 간의 전환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단위시간당 휘도변화량을 조정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시차 장벽이 구현되는 배리어부; 및 디스패러티(Disparity) 영상, 또는 상기 2D 영상이 출력되는 영상출력부;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과 상기 2D 영상 간의 전환시,
    상기 배리어부의 오픈 슬릿 비율(Open slit ratio)을 조정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단위시간당 휘도변화량을 조정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검출되는 시선에 대응하여, 상기 시차 장벽 및 상기 디스패러티 영상을 출력함으로써, 상기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을 출력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과 상기 2D 영상 간의 전환시,
    상기 영상출력부의 휘도를 조정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단위시간당 휘도변화량을 조정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출력부는, 영상표시부 및 백라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백라이트의 휘도를 조정하여, 상기 영상출력부의 휘도를 조정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5. 삭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과 상기 2D 영상 간의 전환시, 상기 배리어부의 오픈 슬릿 비율(Open slit ratio)을 유지시키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영상출력부의 휘도와 상기 배리어부의 오픈 슬릿 비율(Open slit ratio)이 반비례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단위시간당 휘도변화량을 조정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2D 영상 모드 및 3D 영상 모드에 대한 선택 입력을 받는 입력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2D 영상 모드에 대한 선택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2D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고,
    상기 3D 영상 모드에 대한 선택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카메라를 통한 시선 검출 여부에 따라, 상기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 또는 상기 2D 영상을 출력하고,
    상기 입력부에 대한 선택 입력, 또는 상기 카메라를 통한 시선 검출 여부에 따라,
    상기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과 상기 2D 영상 간의 전환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단위시간당 휘도변화량을 조정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9.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 및 2D 영상을 출력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카메라를 통해 시선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시선에 대응되는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를 통해 시선이 검출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카메라를 통해 시선이 검출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배리어부의 오픈 슬릿 비율(Open slit ratio)을 조정하여, 단위시간당 휘도변화량이 설정값 이하이도록, 상기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을 2D 영상으로 전환하여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2D 영상 출력 후, 상기 카메라를 통해 시선이 감지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카메라를 통해 시선이 감지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단위시간당 휘도변화량이 설정값 이하이도록, 상기 2D 영상을 패럴렉스 배리어 3D 영상으로 전환하여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60047786A 2016-04-19 2016-04-19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7719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7786A KR101771944B1 (ko) 2016-04-19 2016-04-19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7786A KR101771944B1 (ko) 2016-04-19 2016-04-19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1944B1 true KR101771944B1 (ko) 2017-08-28

Family

ID=59759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7786A KR101771944B1 (ko) 2016-04-19 2016-04-19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19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38087A (zh) * 2018-07-18 2020-01-31 现代自动车株式会社 车辆的立体仪表盘、包括其的系统及提供立体画面的方法
CN110871685A (zh) * 2018-09-04 2020-03-10 现代自动车株式会社 显示装置、具有该显示装置的车辆及其控制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44243A (ja) 2005-08-10 2007-02-22 Seiko Epson Corp 表示装置、遊技機、及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JP2015215505A (ja) * 2014-05-12 2015-12-0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44243A (ja) 2005-08-10 2007-02-22 Seiko Epson Corp 表示装置、遊技機、及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JP2015215505A (ja) * 2014-05-12 2015-12-0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38087A (zh) * 2018-07-18 2020-01-31 现代自动车株式会社 车辆的立体仪表盘、包括其的系统及提供立体画面的方法
KR20200013150A (ko) * 2018-07-18 2020-0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입체 클러스터,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입체 화면 제공 방법
KR102506873B1 (ko) * 2018-07-18 2023-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입체 클러스터,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입체 화면 제공 방법
CN110738087B (zh) * 2018-07-18 2024-08-02 现代自动车株式会社 车辆的立体仪表盘、包括其的系统及提供立体画面的方法
CN110871685A (zh) * 2018-09-04 2020-03-10 现代自动车株式会社 显示装置、具有该显示装置的车辆及其控制方法
KR20200029650A (ko) * 2018-09-04 2020-03-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102531313B1 (ko) * 2018-09-04 2023-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19084B2 (en) Method for platooning of vehicles and vehicle using same
CN108688554B (zh) 车辆用灯泡
CN108974122B (zh) 停车辅助系统
CN107878460B (zh) 自动驾驶车辆的控制方法和服务器
KR102387613B1 (ko) 차량용 인터페이스 시스템
KR101838968B1 (ko) 차량용 운전 보조 장치
CN109774474B (zh) 显示设备和具有显示设备的车辆
CN109849906B (zh) 自主行驶车辆及其控制方法
KR101959305B1 (ko) 차량
KR101945809B1 (ko) 차량 보조 장치 및 차량
KR101843774B1 (ko)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및 차량
CN109835257B (zh) 显示装置及具有该显示装置的车辆
KR101855937B1 (ko)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KR20190007286A (ko) 차량용 주행 시스템 및 차량
CN109703363B (zh) 显示装置及包括其的车辆
CN109484343B (zh) 车辆上安装的车辆控制设备和用于控制车辆的方法
KR20200095313A (ko) 영상 출력 장치
KR10193429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차량
KR101771944B1 (ko)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00142443A (ko) 영상 출력 장치
KR101916426B1 (ko)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68501B1 (ko)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차량
KR20180020758A (ko)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59042B1 (ko)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차량
KR101929817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