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8904B1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8904B1
KR102668904B1 KR1020190035993A KR20190035993A KR102668904B1 KR 102668904 B1 KR102668904 B1 KR 102668904B1 KR 1020190035993 A KR1020190035993 A KR 1020190035993A KR 20190035993 A KR20190035993 A KR 20190035993A KR 102668904 B1 KR102668904 B1 KR 102668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area
driving integrated
folding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5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5877A (ko
Inventor
김원태
김지혜
전재현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5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8904B1/ko
Priority to US16/796,601 priority patent/US11425819B2/en
Priority to CN202010229169.XA priority patent/CN111754866A/zh
Publication of KR20200115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5877A/ko
Priority to US17/892,634 priority patent/US11758663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8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89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7Bendability or stretchability details
    • H05K1/028Bending or folding regions of flexible printed circu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7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at least one of the printed circuits being bent or folded, e.g. by using a flexibl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9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flexible or folded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26Layout of electrodes and conne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G09G2380/02Flexible display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5Flexible printed circuits [FPCs]
    • H05K2201/056Folded around rigid support or compon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009Substrate related
    • H05K2201/09063Holes or slots in insulating substrate not used for electrical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28Display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폴딩 영역, 상기 폴딩 영역의 일측에 위치한 제1 언폴딩 영역. 및 상기 폴딩 영역의 타측에 위치한 제2 언폴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로서,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모듈; 및 상기 표시 패널에 부착되고 상기 표시 모듈의 하부에 배치된 제1 회로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회로 기판은 베이스 필름, 상기 제1 언폴딩 영역에 배치된 제1 구동 집적 회로, 및 상기 제2 언폴딩 영역에 배치된 제2 구동 집적 회로를 포함하며,상기 제1 구동 집적 회로와 상기 제2 구동 집적 회로는 폴딩 시, 두께 방향으로 비중첩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접혀진 상태(folded state)와 펼쳐진 상태(unfolded state) 간의 상태 전환이 가능한 폴더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장치로서,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이나 액정 표시 패널과 같은 표시 패널을 포함한다. 표시 장치는 텔레비전, 모니터 등과 같은 고정형 전자 기기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이동형 전자 기기 등에 적용되어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한다. 최근에는 상대적으로 작은 부피나 두께를 가지면서도 더 큰 표시 화면을 갖는 이동형 전자 기기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사용시에만 보다 대화면을 제공하기 위해 접고 펼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폴더블 표시 장치 또는 벤더블 표시 장치도 개발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폴딩시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에 배치된 구동 집적 회로들의 접촉을 방지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명세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폴딩 영역, 상기 폴딩 영역의 일측에 위치한 제1 언폴딩 영역. 및 상기 폴딩 영역의 타측에 위치한 제2 언폴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로서,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모듈; 및 상기 표시 패널에 부착되고 상기 표시 모듈의 하부에 배치된 제1 회로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회로 기판은 베이스 필름, 상기 제1 언폴딩 영역에 배치된 제1 구동 집적 회로, 및 상기 제2 언폴딩 영역에 배치된 제2 구동 집적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구동 집적 회로와 상기 제2 구동 집적 회로는 상기 제1 언폴딩 영역으로부터 상기 폴딩 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 비중첩한다.
상기 제1 회로 기판은 상기 폴딩 영역에서 상기 표시 패널에 부착되는 일 에지로부터 리세스된 제1 만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회로 기판의 상기 일 에지와 대향하는 타 에지의 상기 제1 언폴딩 영역에 부착된 제1 베이스 기판, 및 상기 타 에지의 상기 제2 언폴딩 영역에 부착된 제2 베이스 기판을 포함하는 제2 회로 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회로 기판은 상기 폴딩 영역에서 상기 타 에지로부터 리세스된 제2 만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만곡부의 상기 제1 언폴딩 영역으로부터 상기 폴딩 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의 제1 폭은 상기 만곡부의 상기 제1 언폴딩 영역으로부터 상기 폴딩 영역을 향하는 바향으로의 제2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1 회로 기판은 상기 폴딩 영역에서 상기 제1 만곡부 및 상기 제2 만곡부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폴딩 홀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폴딩 홀은 상기 제1 회로 기판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제2 회로 기판은 상기 폴딩 영역에 배치된 연성 필름을 더 포함하되, 상기 연성 필름은 상기 제1 베이스 기판과 상기 제2 베이스 기판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 베이스 기판은 제3 구동 집적 회로, 및 상기 제3 구동 집적 회로와 상기 제1 회로 기판을 연결하는 제1 신호 배선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신호 배선은 상기 연성 필름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베이스 기판은 제3 구동 집적 회로, 및 상기 제3 구동 집적 회로와 상기 제1 회로 기판을 연결하는 제1 신호 배선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신호 배선은 상기 제1 회로 기판의 상기 제2 만곡부를 따라 상기 제1 회로 기판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구동 집적 회로 및 상기 제2 구동 집적 회로를 직접 연결하는 신호 배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호 배선은 타이밍 동기화 배선일 수 있다.
상기 제1 회로 기판은 상기 제1 구동 집적 회로가 배치된 제1 서브 회로 기판, 및 상기 제2 구동 집적 회로가 배치된 제2 서브 회로 기판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서브 회로 기판, 및 상기 제2 서브 회로 기판은 상기 폴딩 영역을 사이에 두고 분리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회로 기판은 상기 표시 패널에 부착되는 일 에지, 및 상기 일 에지와 대향하는 타 에지를 포함하고, 상기 폴딩 영역에서 상기 제1 회로 기판의 상기 타 에지로부터 리세스된 만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회로 기판은 상기 폴딩 영역에서 상기 만곡부 및 상기 제1 회로 기판의 상기 일 에지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폴딩 홀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폴딩 홀은 상기 제1 회로 기판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다.
상기 표시 모듈은 상기 제1 회로 기판이 배치된 제1 표면, 및 상기 제1 표면의 반대면에 배치된 제2 표면을 포함하되, 상기 표시 모듈은 상기 제1 표면의 상기 폴딩 영역을 중심으로 상기 제1 표면의 상기 제1 언폴딩 영역과 상기 제1 표면의 상기 제2 언폴딩 영역이 서로 마주볼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폴딩 영역, 상기 폴딩 영역의 일측에 위치한 제1 언폴딩 영역. 및 상기 폴딩 영역의 타측에 위치한 제2 언폴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로서,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모듈; 및 상기 표시 모듈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 패널에 부착되는 일 에지를 포함하는 제1 회로 기판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회로 기판은 상기 폴딩 영역에서 상기 일 에지로부터 리세스된 제1 만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회로 기판의 상기 일 에지와 대향하는 타 에지의 상기 제1 언폴딩 영역에 부착된 제1 베이스 기판, 및 상기 타 에지의 상기 제2 언폴딩 영역에 부착된 제2 베이스 기판을 포함하는 제2 회로 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회로 기판은 상기 폴딩 영역에서 상기 타 에지로부터 리세스된 제2 만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회로 기판은 상기 폴딩 영역에서 상기 제1 만곡부 및 상기 제2 만곡부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폴딩 홀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폴딩 홀은 상기 제1 회로 기판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다.
상기 표시 모듈은 상기 제1 회로 기판이 배치된 제1 표면, 및 상기 제1 표면의 반대면에 배치된 제2 표면을 포함하되, 상기 표시 모듈은 상기 제2 표면의 상기 폴딩 영역을 중심으로 상기 제2 표면의 상기 제1 언폴딩 영역과 상기 제2 표면의 상기 제2 언폴딩 영역이 서로 마주볼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의하면, 폴딩시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에 배치된 구동 집적 회로들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폴딩 영역에서 유연성이 확보된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 배치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회로 기판의 평면 배치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Ⅴ-Ⅴ'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배면의 평면 배치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 배치도이다.
도 1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 배치도이다.
도 1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 배치도이다.
도 1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 배치도이다.
도 1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 배치도이다.
도 1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 배치도이다.
도 1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 배치도이다.
도 1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 배치도이다.
도 1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XIX- XIX'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2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 배치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회로 기판의 평면 배치도이고, 도 3은 도 2의 Ⅲ-Ⅲ'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Ⅴ-Ⅴ'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배면의 평면 배치도이다. 도 1은 표시 장치(1)의 전면(front surface)을 보여준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는 동영상이나 정지영상을 표시하는 장치로서, 표시장치는 모바일 폰, 스마트 폰,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및 스마트 워치, 워치 폰, 이동 통신 단말기, 전자 수첩, 전자 책,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UMPC(Ultra Mobile PC)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기기 뿐만 아니라 텔레비전, 노트북, 모니터, 광고판, 사물 인터넷 등의 다양한 제품의 표시 화면으로 사용될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폴더블(foldable) 표시 장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폴더블이란, 플렉시블한 상태를 지칭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벤더블(badable), 롤러블(rollable) 등을 포함하여 지칭되는 용어이다. 나아가, 폴더블(foldable)은 표시 장치(1)의 일부에만 폴더블 기능을 적용하기 위해 후술할 폴딩 영역이 표시 장치(1)를 완전히 가로지르지 않고 일부에만 적용된 "부분" 폴더블, 표시 장치(1)의 전체에 폴디블 기능을 적용하기 위해 상기 폴딩 영역이 표시 장치(1)를 완전히 가로지르는 "전체" 폴더블, 표시 장치(1)의 폴딩 시 표시면이 덮이는 "인" 폴더블, 표시 장치(1)의 폴딩 시 표시면이 외측을 향하는 "아웃" 폴더블을 모두 포함하여 지칭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표시 장치(1)는 표시 영역(DA)과 그 주변에 배치된 비표시 영역(NA)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화면이 표시되는 영역이고, 비표시 영역(NA)은 화면이 표시되지 않은 영역이다. 표시 영역(DA)은 표시 장치(1)의 중앙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표시 장치(1)가 펼쳐진 상태에서 표시 영역(DA)이 바라보는 방향을 전면이라 정의하고, 상기 전면의 반대면을 배면이라고 정의하기로 한다.
표시 장치(1)는 평면상 실질적으로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표시 장치는 4개의 에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표시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된 장변 에지들과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된 단변 에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표시 장치(1)의 평면 형상으로 정사각형이나 원형 등의 기타 다른 형상이 적용될 수도 있다.
표시 장치(1)는 전면이 폴딩 영역(FA), 폴딩 영역(FA)의 일측 방향에 위치한 제1 언폴딩 영역(UFA1), 및 폴딩 영역(FA)의 타측 방향에 위치한 제2 언폴딩 영역(UFA2)을 포함할 수 있다. 폴딩 영역(FA)은 표시 장치(1)가 폴딩 방향으로 소정의 곡률을 가지고 접혀지거나 휘어지는 영역이고, 언폴딩 영역(UFA1, UFA2)은 폴딩 영역(FA)과 달리 접히지 않는 영역일 수 있다. 언폴딩 영역(UFA1, UFA2)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일부 폴딩 방향으로 각각 휘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폴딩 영역(FA)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변 에지들을 가로질러 배치된 폴딩 라인(FL1, FL2)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제1 언폴딩 영역(UFA1)은 폴딩 영역(FA)의 제1 방향(DR1) 일측 방향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언폴딩 영역(UFA2)은 폴딩 영역(FA)을 사이에 두고 제1 언폴딩 영역(UFA1)과 이격하여 폴딩 영역(FA)의 제1 방향(DR1) 타측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폴딩 영역(FA), 제1 언폴딩 영역(UFA1), 및 제2 언폴딩 영역(UFA2)의 표시 영역(DA)은 화면을 표시하는 영역이고, 폴딩 영역(FA), 제1 언폴딩 영역(UFA1), 및 제2 언폴딩 영역(UFA2)의 비표시 영역(NA)은 화면을 표시하지 않는 영역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폴딩 영역(FA)은 표시 장치(1)가 폴딩 방향으로 절곡되는 영역일 수 있다. 이 경우 폴딩 영역(FA)은 폴딩 라인(FL1, FL2)들 사이에 위치한 폴딩 축을 기준으로 폴딩 영역(FA)이 상기 폴딩 방향을 따라 절곡될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폴딩 영역(FA)이 접히면서 제1 언폴딩 영역(UFA1) 및 제2 언폴딩 영역(UFA2)은 전면이 아닌 다른 방향을 바라볼 수 있다. 즉, 표시 장치(1)는 펴진 상태에서 폴딩 영역(FA), 제1 언폴딩 영역(UFA1), 및 제2 언폴딩 영역(UFA2)이 동일한 방향, 예컨대 전면을 바라볼 수 있다. 반면 도 4의 아웃 폴딩힘(F_OUT)이 작용하여 접혀진 상태에서는 제1 언폴딩 영역(UFA1) 및 제2 언폴딩 영역(UFA2)은 서로 다른 방향을 바라볼 수 있다. 즉, 표시 장치(1)가 접혀진 상태에서는 복수의 방향으로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표시 모듈(100), 표시 모듈(100)에 부착된 제1 회로 기판(300), 및 제1 회로 기판(300)에 부착된 제2 회로 기판(500)을 포함한다. 표시 모듈(1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적층된 패널 및/또는 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모듈(100)은 표시 패널(150), 표시 패널(150)의 하부에 배치된 하부 커버 패널(130), 표시 패널(150)의 상부에 배치된 상부 커버 부재(170), 및 상부 커버 부재(170) 상부에 배치된 윈도우(19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모듈(100)의 저면에는 지지 플레이트(110)가 배치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110)는 외력에 의해 표시 패널(150)이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하거나 구부러지는 정도(예를 들어, 구부러지는 각도, 구부러지는 곡률 반경)를 완화시킬 수 있다. 즉, 지지 플레이트(110)는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표시 패널(150)을 상대적으로 평탄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110)는 경성(rigid)을 가지거나 반-경성(semi-rigid)을 가지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 플레이트(110)는 스테인레스 스틸(SUS), 알루미늄(aluminum) 등과 같은 금속 물질 또는 폴리메닐메타아크릴레이트(polymethyl metacrylate, PMMA), 폴리카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비닐알콜(polyvinylalcohol, PVA), 아크릴로 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acrylonitirle-butadiene-styrene, ABS),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와 같은 고분자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지지 플레이트(110)는 표시 장치(1)의 언폴딩 영역(UFA1, UFA2)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플레이트(110)는 표시 장치(1)의 폴딩 영역(FA)에 비배치되고 폴딩 영역(FA)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배치된 두 개의 서브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에서 "상부", "탑", "상면"은 표시 패널(150)을 기준으로 표시면 측을 의미하고, "하부", "바텀", "하면"은 표시 패널(150)을 기준으로 표시면의 반대측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지지 플레이트(110) 상에는 하부 커버 패널(130)이 배치될 수 있다. 하부 커버 패널(130)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층은 완충 기능, 방열 기능, 전자파 차폐기능, 접지 기능, 강도 보강 기능, 지지 기능 압력 센싱 기능, 디지타이징 기능 등을 수행하는 층일 수 있다. 하부 커버 패널(130)은 단일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서로 다른 기능층이 적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부 커버 패널(130)은 완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완충 부재는 외부(예를 들어, 하부 커버 패널(130)의 하부 방향)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이 표시 패널(15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완충 부재는 폼(foam) 재질로 형성되며,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실리콘(Si), 폴리디메틸아크릴아미드(polydimethylacrylamide, PDMA)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 커버 패널(130)은 후술할 표시 패널(150)의 상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부재보다 낮은 광투과도를 가질 수 있다. 즉, 표시 패널(150)의 상부 층들은 상대적으로 높은 광투과도를 가지고, 표시 패널(150)의 표시 영역로부터 발산되는 광을 상부로 투과시킬 수 있다. 반면, 하부 커버 패널(130)은 상대적으로 낮은 광투과도를 가져 표시 패널(150)의 표시 영역으로부터 하부로 출사되는 광을 차단시킬 수 있다.
하부 커버 패널(130) 상에는 표시 패널(150)이 배치될 수 있다.
표시 패널(150)은 입력된 데이터 신호에 의해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 패널(150)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 액정 표시 패널, 플라즈마 표시 패널, 전기 영동 표시 패널, 전기습윤 표시 패널, 양자점 발광 표시 패널, 마이크로 LED(Light emitting diode) 표시 패널 등이 표시 패널로서 적용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표시 패널(150)로서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이 적용되어 있다.
표시 패널(150)은 폴리이미드(PI) 등과 같은 가요성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표시 패널(150)은 휘어지거나, 꺾이건, 접히거나, 말릴 수 있다. 표시 패널(150)은 대체로 표시 장치(1)의 평면상 형상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표시 패널(150)의 표시 영역(DA)에는 복수의 화소(PX)가 배치될 수 있다. 비표시 영역(NA)은 복수의 배선 패드들이 배치된 패널 패드 영역(P_PA)을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할 제1 회로 기판(300)은 패널 패드 영역(P_PA)에 부착되어 표시 패널(150)과 연결되고 벤딩되어 표시 모듈(100)의 배면으로 접힐 수 있다. 또, 후술할 제2 회로 기판(500)은 제1 회로 기판(300)에 부착된 상태로 제1 회로 기판(300)과 마찬가지로 표시 모듈(100)의 배면으로 접힐 수 있다.
화소(PX)는 발광층과 상기 발광층의 발광량을 제어하는 회로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로층은 복수의 배선, 복수의 전극 및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층은 유기 발광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층은 봉지막에 의해 밀봉될 수 있다. 상기 봉지막은 상기 발광층을 밀봉하여, 외부에서 수분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봉지막은 무기막의 단일 또는 다층막이나, 무기막과 유기막을 교대로 적층한 적층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표시 패널(150) 상에는 상부 커버 부재(170)가 배치될 수 있다.
상부 커버 부재(170)는 표시 패널(150)의 표시 영역(DA)의 일부 또는 전부를 커버하도록 표시 패널(150)과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커버 부재(170)는 표시 패널(150)의 비표시 영역(NA)을 커버할 수도 있고,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NA)을 모두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상부 커버 부재(170)는 다양한 기능성 부재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커버 부재(170)는 편광 기능을 갖는 편광판이나 편광 부재, 터치 센싱 기능을 갖는 터치 패널이나 터치 모듈, 컬러 필터, 컬러 변환 필름, 광학 필름, 반사 방지 부재, 및/또는 지문 인식 센서 등과 같은 생체 정보 인식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커버 부재(170) 상에는 윈도우(190)가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190)는 하부에 배치된 구성(110, 130, 150, 170)들을 커버하여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윈도우(190)는 유리, 석영, 투명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표시 모듈(100)은 각 부재(110, 130, 150, 170, 190) 사이에서 이들을 결합하는 복수의 결합층(210, 220, 230, 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층(210)은 지지 플레이트(110)와 하부 커버 패널(130)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을 상호 결합시키고, 제2 결합층(220)은 하부 커버 패널(130)과 표시 패널(150)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을 상호 결합시키고, 제3 결합층(230)은 표시 패널(150)과 상부 커버 부재(170)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을 상호 결합시키며, 제4 결합층(240)은 상부 커버 부재(170)와 윈도우(190)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을 상호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한 복수의 결합층(210, 220, 230, 240)은 상면 및 하면 모두에 접착 특성을 가지는 막으로, 예를 들어, 압력 민감 점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광학 투명 접착제(optical clear adhesive; OCA), 광학 투명 수지(optical clear resin; OCR)일 수 있다. 각 결합층(210, 220, 230, 240)은 아크릴계 수지 또는 실리콘계 수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결합층(210, 220, 230, 240)은 100% 내지 1,000%의 연신율을 가질 수 있다.
제1 회로 기판(300)은 표시 패널(150)의 패널 패드 영역(P_PA)에 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회로 기판(300)은 표시 패널(150)의 상기 복수의 배선 패드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회로 기판(300)은 인쇄 베이스 필름(310), 인쇄 베이스 필름(310) 상에 배치된 구동 집적 회로(330, 350), 인쇄 베이스 필름(310) 상에 배치된 복수의 신호 배선(SL3, SL4, SL7~SL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로 기판(300)은 표시 모듈(100)의 전면 및/또는 배면으로 접힐 수 있는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집적 회로는 구동칩일 수 있다. 상기 구동칩은 예를 들어 칩 온 필름(chip on film, COF)일 수 있다.
제1 회로 기판(300)은 복수의 회로 영역(CA1~CA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로 영역(CA1)은 표시 패널(150)의 패널 패드 영역(P_PA)에 부착되는 영역이고, 제2 회로 영역(CA2)은 제1 구동 집적 회로(330)가 배치된 영역이고, 제3 회로 영역(CA3)은 제2 구동 집적 회로(350)가 배치된 영역이고, 제4 회로 영역(CA4)은 제2 회로 기판(500)이 부착된 영역일 수 있다. 제2 회로 영역(CA2)은 제3 회로 영역(CA3)과 제1 회로 영역(CA1) 사이에 배치되고, 제3 회로 영역(CA3)은 제2 회로 영역(CA2)과 제4 회로 영역(CA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회로 기판(300)의 평면 형상은 대체로 직사각형일 수 있다. 즉, 제1 회로 기판(300)은 장변 에지(LEG1, LEG2)들과 단변 에지(SEG1, SEG2)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로 기판(300)의 제1 장변 에지(LEG1)는 제1 회로 영역(CA1) 상에 배치되고 표시 패널(150)의 패널 패드 영역(P_PA)에 부착될 수 있고, 제1 회로 기판(300)의 제2 장변 에지(LEG2)는 제4 회로 영역(CA4) 상에 배치되고 제2 회로 기판(500)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회로 기판(300)의 제1 단변 에지(SEG1)는 도 1의 평면상 좌측에 배치되고, 제1 회로 기판(300)의 제2 단변 에지(SEG2)는 도 1의 평면상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인쇄 베이스 필름(310)은 플렉시블한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플렉시블한 물질의 예로는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phone: PES),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PA),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PAR),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 PEI),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thalate: PEN),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드(polyethylene terepthalate: PET),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PPS), 폴리알릴레이트(polyally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cellulose triacetate: CAT),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onate: CAP) 또는 이들의 조합을 들 수 있다.
구동 집적 회로(330, 350)는 표시 패널(150)을 구동하기 위한 신호들과 전압들을 출력한다. 구동 집적 회로(330, 350)은 데이터 구동부와 타이밍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집적 회로(330, 350)의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표시 패널(150)의 화소(PX)를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고, 구동 집적 회로(330, 350)의 상기 타이밍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구동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데이터 신호의 타이밍을 제어할 수 있다.
제1 회로 기판(300)이 표시 모듈(100)의 배면으로 접힌 상태에서, 제1 구동 집적 회로(330)는 표시 장치(1)의 제1 언폴딩 영역(UFA1)에 배치되고 제2 구동 집적 회로(350)는 표시 장치(1)의 제2 언폴딩 영역(UFA2)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 집적 회로(330, 350)는 각각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필름(310)의 표시 장치(1)의 배면 방향을 바라보는 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동 집적 회로(330)와 제2 구동 집적 회로(350)는 표시 장치(1)의 언폴딩 시, 제1 언폴딩 영역(UFA1)으로부터 폴딩 영역(FA)을 향하는 방향, 예컨대 제1 방향(DR1)으로 비중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표시 장치(1)의 폴딩 시, 제1 구동 집적 회로(330)와 제2 구동 집적 회로(350)가 두께 방향으로 중첩 배치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회로 기판(300)이 펴진 상태 및 표시 모듈(100)의 배면으로 접힌 상태에서, 제1 구동 집적 회로(330)는 제2 구동 집적 회로(350)보다 표시 패널(150)의 패널 패드 영역(P_PA)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구동 집적 회로(330)는 제2 구동 집적 회로(350)보다 제1 장변 에지(LEG1)에 인접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표시 장치(1)가 아웃 폴딩되는 경우 구동 집적 회로(330, 350) 간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구동 집적 회로(330)와 제2 구동 집적 회로(350)는 표시 장치(1)의 언폴딩 시, 제1 언폴딩 영역(UFA1)으로부터 폴딩 영역(FA)을 향하는 방향, 예컨대 제1 방향(DR1)으로 비중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표시 장치(1)의 폴딩 시, 제1 구동 집적 회로(330)와 제2 구동 집적 회로(350)가 두께 방향으로 중첩 배치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회로 기판(300)이 표시 모듈(100)의 배면으로 접힌 경우 제2 구동 집적 회로(350)는 제1 구동 집적 회로(330)보다 제2 회로 기판(500)에 더 가깝게 위치하고, 다시 말하면 제1 구동 집적 회로(330)는 제2 구동 집적 회로(350)보다 제2 회로 기판(500)에 더 멀리 위치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제1 구동 집적 회로(330)가 제1 언폴딩 영역(UFA1)에 배치되고 제2 구동 집적 회로(350)가 제2 언폴딩 영역(UFA2)에 배치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또한, 제1 구동 집적 회로(330)가 제2 구동 집적 회로(350)보다 표시 패널(150)의 패널 패드 영역(P_PA)에 더 가까운 것으로 예시되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제1 회로 기판(300)의 복수의 신호 배선(SL3, SL4, SL7~SL10)은 제1 회로 기판(300)이 표시 모듈(100)의 배면으로 접힌 상태에서 언폴딩 영역(UFA1, UFA2)에 배치되되, 폴딩 영역(FA)에는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제11 신호 배선(SL11)은 폴딩 영역(FA)을 지나갈 수 있다.
제3 신호 배선(SL3)은 후술할 제2 회로 기판(500)의 제1 신호 배선(SL1)을 표시 패널(150)에 연결하고, 제4 신호 배선(SL4)은 제2 회로 기판(500)의 제2 신호 배선(SL2)을 표시 패널(150)에 연결할 수 있다. 제3 신호 배선(SL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변 에지(SEG1)에 인접 배치되고 제4 신호 배선(SL4)은 제2 단변 에지(SEG2)에 인접 배치될 수 있다.
제7 신호 배선(SL7)은 제2 회로 기판(500)의 후술할 제2 회로 기판(500)의 제5 신호 배선(SL5)을 제1 구동 집적 회로(330)에 연결하고, 제8 신호 배선(SL8)은 후술할 제2 회로 기판(500)의 제6 신호 배선(SL6)을 제2 구동 집적 회로(350)에 연결하고, 제9 신호 배선(SL9)은 제1 구동 집적 회로(330)를 표시 패널(150)에 연결하고, 제10 신호 배선(SL10)은 제2 구동 집적 회로(350)를 표시 패널(150)에 연결하고, 제11 신호 배선(SL11)은 제1 구동 집적 회로(330)와 제2 구동 집적 회로(35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제11 신호 배선(SL11)은 각 구동 집적 회로(330, 350)의 상기 타이밍 제어부의 각 타이밍 신호를 동기화하는 타이밍 동기화 배선일 수 있다.
제1 회로 기판(300)이 표시 모듈(100)의 배면으로 접히는 상태에서 제3 신호 배선(SL3), 제7 신호 배선(SL7), 및 제9 신호 배선(SL9)은 제1 언폴딩 영역(UFA1)에 배치되고, 제4 신호 배선(SL4), 제8 신호 배선(SL8), 및 제10 신호 배선(SL10)은 제2 언폴딩 영역(UFA2)에 배치되고, 제11 신호 배선(SL11)은 제1 언폴딩 영역(UFA1), 폴딩 영역(FA), 및 제2 언폴딩 영역(UFA2)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1 회로 기판(300)의 장변 에지(LEG1, LEG2)들은 각각 만곡부(IDP1, IDP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폴딩 영역(FA)에서 제1 회로 기판(300)의 제1 장변 에지(LEG1)는 언폴딩 영역(UFA1, UFA2)에서 제1 회로 기판(300)의 제1 장변 에지(LEG1)보다 제1 회로 기판(300)의 내부로 만입된 제1 만곡부(IDP1)를 포함할 수 있고, 폴딩 영역(FA)에서 제1 회로 기판(300)의 제2 장변 에지(LEG2)는 언폴딩 영역(UFA1, UFA2)에서 제1 회로 기판(300)의 제2 장변 에지(LEG2)보다 제1 회로 기판(300)의 내부로 만입된 제2 만곡부(IDP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만곡부(IDP1)는 제1 회로 기판(300)의 제1 장변 에지(LEG1)로부터 리세스된 트렌치 형상을 가지고, 제2 만곡부(IDP2)는 제1 회로 기판(300)의 제2 장변 에지(LEG2)로부터 리세스된 트렌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제1 만곡부(IDP1)가 제1 회로 기판(300)의 제1 회로 영역(CA1)에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제2 만곡부(IDP2)가 제4 회로 영역(CA4)에 걸쳐 배치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제1 만곡부(IDP1)는 제1 회로 기판(300)의 제2 회로 영역(CA2)에도 형성될 수 있고, 제2 만곡부(IDP2)는 제1 회로 기판(300)의 제3 회로 영역(CA3)에도 형성될 수도 있다.
나아가, 제1 회로 기판(300)은 폴딩 영역(FA)에서 평면상 제1 장변 에지(LEG1)와 제2 장변 에지(LEG2) 사이에 복수의 폴딩 홀(PF)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폴딩 홀(PF)은 제1 회로 기판(300)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홀일 수 있다. 각 폴딩 홀(PF)은 제1 회로 기판(300)의 내부에 배치되고, 각 폴딩 홀(PF)은 평면상 제1 회로 기판(300)의 구성 물질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폴딩 홀(PF)은 제1 회로 기판(300)의 제2 회로 영역(CA2) 및 제3 회로 영역(CA3)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폴딩 홀(PF)이 5개인 것으로 예시되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폴딩 홀(PF)이 1개, 2개 내지 4개, 및 6개 이상일 수 있다. 또, 폴딩 홀(PF)의 평면 형상이 원형인 것으로 예시되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삼각형, 사각형, 타원, 기타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제1 회로 기판(30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표시 모듈(100)의 배면으로 접힌 후 폴딩 방향을 따라 표시 모듈(100)을 추종하여 함께 폴딩될 수 있다. 상술한 제1 회로 기판(300)의 만곡부(IDP1, IDP2), 및 복수의 폴딩 홀(PF)은 제1 회로 기판(300)의 폴딩 시 유연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제2 회로 기판(500)은 베이스 기판(510, 530), 제1 베이스 기판(510) 상에 배치된 제3 구동 집적 회로(570), 베이스 기판(510, 530) 상에 배치된 연성 필름(550), 및 복수의 신호 배선(SL1, SL2, SL5, SL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베이스 기판(510) 및 제2 베이스 기판(530)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 회로 기판(500)이 표시 모듈(100)의 배면으로 접힌 상태에서 제1 베이스 기판(510)은 표시 장치(1)의 제1 언폴딩 영역(UFA1)에 배치되고 제2 베이스 기판(530)은 표시 장치(1)의 제2 언폴딩 영역(UFA2)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베이스 기판(510) 및 제2 베이스 기판(530)은 폴딩 영역(FA)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 기판(510, 530)은 각각 제1 회로 기판(300)에 부착되는 회로 패드 영역(C_PA)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회로 기판(500)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베이스 기판(510, 530)들을 포함함으로써 제2 회로 기판(500)이 표시 모듈(100)을 추종하여 폴딩되는 경우 폴딩 영역(FA)에서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제3 구동 집적 회로(570)는 소스/드레인 IC 및 전압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스/드레인 IC는 제1 구동 집적 회로(330) 및 제2 구동 집적 회로(350)의 상기 데이터 구동 집적 회로에 상기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여 전달할 수 있고, 상기 전압 구동부는 표시 패널(150)에 고전위 전압 및/또는 저전위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제3 구동 집적 회로(570)가 제1 베이스 기판(510) 상에 배치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3 구동 집적 회로(570)는 제2 베이스 기판(530)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신호 배선(SL1)은 제3 구동 집적 회로(570)와 제1 회로 기판(300)을 연결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제1 신호 배선(SL1) 및 제2 신호 배선(SL2)이 1개인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제1 신호 배선(SL1) 및 제2 신호 배선(SL2)은 각각 복수개일 수 있다.
제1 신호 배선(SL1)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제3 구동 집적 회로(570)의 상기 전압 구동부에서 생성된 전압을 제1 회로 기판(300)의 제3 신호 배선(SL3)에 전달할 수 있다. 제3 신호 배선(SL3)은 제1 신호 배선(SL1)으로부터 인가된 상기 전압을 표시 패널(150)의 고전위 전압 배선 및/또는 저전위 전압 배선에 전달할 수 있다.
제2 신호 배선(SL2)은 제3 구동 집적 회로(570)의 상기 전압 구동부에서 생성된 전압을 제1 회로 기판(300)에 전달할 수 있다. 즉, 제2 신호 배선(SL2)은 상기 전압 구동부에서 생성된 전압을 제1 회로 기판(300)의 제4 신호 배선(SL4)에 전달할 수 있다. 제4 신호 배선(SL4)은 제2 신호 배선(SL2)으로부터 인가된 상기 전압을 표시 패널(150)의 고전위 전압 배선 및/또는 저전위 전압 배선에 전달할 수 있다.
제2 신호 배선(SL2)은 제3 구동 집적 회로(570)로부터 나와 후술할 연성 필름(550)을 지나 제2 베이스 기판(530)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신호 배선(SL2)은 베이스 기판(510, 530), 및 연성 필름(550)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제5 신호 배선(SL5)은 제3 구동 집적 회로(570)와 제1 회로 기판(300)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5 신호 배선(SL5)은 제3 구동 집적 회로(570)의 상기 소스/드레인 IC에서 생성된 상기 데이터 신호를 제1 회로 기판(300)의 제7 신호 배선(SL7)을 통해 제1 회로 기판(300)에 전달할 수 있다.
제6 신호 배선(SL6)은 제5 신호 배선(SL5)과 마찬가지로 제3 구동 집적 회로(570)와 제1 회로 기판(300)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6 신호 배선(SL6)은 제3 구동 집적 회로(570)의 상기 소스/드레인 IC에서 생성된 상기 데이터 신호를 제1 회로 기판(300)의 제8 신호 배선(SL8)을 통해 제1 회로 기판(300)에 전달할 수 있다.
제6 신호 배선(SL6)은 제2 신호 배선(SL2)과 마찬가지로 제3 구동 집적 회로(570)로부터 나와 후술할 연성 필름(550)을 지나 제2 베이스 기판(530)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신호 배선(SL2)은 베이스 기판(510, 530), 및 연성 필름(550)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연성 필름(550)은 제1 베이스 기판(510), 및 제2 베이스 기판(530)을 물리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연성 필름(550)은 표시 장치(1)의 폴딩 영역(FA)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연성 필름(550)이 베이스 기판(510, 530)에 각각 일부 중첩 배치되면서 부착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연성 필름(550)은 베이스 기판(510, 530)에 각각 접속부를 통해 체결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연성 필름(550) 상에는 제2 회로 기판(500)의 제2 신호 배선(SL2), 및 제6 신호 배선(SL6)이 배치될 수 있다.
연성 필름(550)은 베이스 기판(510, 530)보다 플렉시블한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성 필름(550)은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phone: PES),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PA),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PAR),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 PEI),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thalate: PEN),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드(polyethylene terepthalate: PET),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PPS), 폴리알릴레이트(polyally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cellulose triacetate: CAT),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onate: CAP)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연성 필름(550)은 상기한 플렉시블한 물질을 포함함으로써 제2 회로 기판(500)은 표시 모듈(100)과 함께 폴딩되는 경우 폴딩 영역(FA)에서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는 표시 장치(1)의 배면 방향으로 아웃 폴딩힘(F_OUT)이 작용하는 경우, 표시 모듈(100), 제1 회로 기판(300), 및 제2 회로 기판(500)은 폴딩 영역(FA)을 중심으로 접힐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표시 모듈(100)은 표시 장치(1)의 상기 전면에 해당하는 제1 표면, 및 표시 장치(1)의 상기 배면에 해당하는 제2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1)에 아웃 폴딩힘(F_OUT)이 작용하는 경우, 표시 모듈(100)의 상기 제2 표면은 서로 마주볼 수 있다. 즉, 표시 모듈(100)의 상기 제2 표면의 제1 언폴딩 영역(UFA1) 및 제2 언폴딩 영역(UFA2)은 서로 마주볼 수 있다.
표시 모듈(100)이 접히는 경우, 제1 회로 기판(300), 및 제2 회로 기판(500)은 표시 모듈(100)에 추종하여 함께 접히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회로 기판(300)은 폴딩 영역(FA)에 배치된 제1 만곡부(IDP1), 및 제2 만곡부(IDP2)를 포함함으로써 제1 회로 기판(300)이 표시 패널(150), 및 제2 회로 기판(500)에 부착되는 영역에서 폴딩 시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회로 기판(300)은 폴딩 영역(FA)에 배치된 복수의 폴딩 홀(FP)을 포함함으로써 만곡부(IDP1, IDP2)와 마찬가지로 폴딩 시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표시 장치(1)에 아웃 폴딩힘(F_OUT)이 작용하는 경우 제1 회로 기판(300)은 구동 집적 회로(330, 350)가 배치된 상기 일면이 서로 마주볼 수 있다. 즉, 제1 회로 기판(300)의 상기 일면의 제1 언폴딩 영역(UFA1) 및 제2 언폴딩 영역(UFA2)이 서로 마주볼 수 있다. 이 경우, 제1 언폴딩 영역(UFA1)에 배치된 제1 구동 집적 회로(330), 및 제2 언폴딩 영역(UFA2)에 배치된 제2 구동 집적 회로(350)는 서로 물리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다만,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의 제1 회로 기판(300)의 제1 구동 집적 회로(330)와 제2 구동 집적 회로(350)는 제1 언폴딩 영역(UFA1)으로부터 폴딩 영역(FA)을 향하는 방향, 예컨대 제1 방향(DR1)으로 비중첩하도록 배치함으로써 표시 장치(1)가 아웃 폴딩되는 경우 두께 방향으로 제1 구동 집적 회로(330)와 제2 구동 집적 회로(350)가 비중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구동 집적 회로(330, 350) 간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여 구동 집적 회로(330, 350)들의 물리적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로서 지칭하고, 그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화한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2)는 "인" 폴더블 표시 장치가 적용되었다는 점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와 상이하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2)는 전면 방향으로 인 폴딩힘(F_IN)이 작용하여 표시 모듈(100), 제1 회로 기판(300a), 및 제2 회로 기판(500)이 폴딩 영역(FA)을 중심으로 접힐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4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 모듈(100)은 표시 장치(1)의 상기 전면에 해당하는 제1 표면, 및 표시 장치(1)의 상기 배면에 해당하는 제2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1)에 인 폴딩힘(F_IN)이 작용하는 경우, 표시 모듈(100)의 상기 제1 표면은 서로 마주볼 수 있다. 즉, 표시 모듈(100)의 상기 제1 표면의 제1 언폴딩 영역(UFA1) 및 제2 언폴딩 영역(UFA2)은 서로 마주볼 수 있다.
표시 모듈(100)이 접히는 경우, 제1 회로 기판(300a), 및 제2 회로 기판(500)은 표시 모듈(100)에 추종하여 함께 접히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회로 기판(300a)은 폴딩 영역(FA)에 배치된 제1 만곡부(IDP1), 및 제2 만곡부(IDP2)를 포함함으로써 제1 회로 기판(300a)이 표시 패널(150), 및 제2 회로 기판(500)에 부착되는 영역에서 폴딩 시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회로 기판(300a)은 폴딩 영역(FA)에 배치된 복수의 폴딩 홀(FP)을 포함함으로써 만곡부(IDP1, IDP2)와 마찬가지로 폴딩 시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2)에 인 폴딩힘(F_IN)이 작용하는 경우 제1 회로 기판(300a)은 구동 집적 회로(330a, 350a)가 배치된 상기 일면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와 달리, 서로 다른 방향을 바라볼 수 있다. 즉, 제1 회로 기판(300a)의 상기 일면의 제1 언폴딩 영역(UFA1) 및 제2 언폴딩 영역(UFA2)은 서로 다른 방향을 바라볼 수 있다. 이 경우, 제1 언폴딩 영역(UFA1)에 배치된 제1 구동 집적 회로(330a), 및 제2 언폴딩 영역(UFA2)에 배치된 제2 구동 집적 회로(350a)는 서로 다른 방향을 바라볼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동 집적 회로(330a) 및 제2 구동 집적 회로(330b)는 제1 언폴딩 영역(UFA1)으로부터 폴딩 영역(FA)을 향하는 방향으로 정렬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구동 집적 회로(330a) 및 제2 구동 집적 회로(330b)는 제1 언폴딩 영역(UFA1)으로부터 폴딩 영역(FA)을 향하는 방향으로 서로 중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표시 장치(2)의 제1 회로 기판(300a)의 제1 구동 집적 회로(330a)와 제2 구동 집적 회로(350a)는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 언폴딩 영역(UFA1)으로부터 폴딩 영역(FA)을 향하는 방향, 예컨대 제1 방향(DR1)으로 비중첩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 배치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3)는 제1 회로 기판(300_1)의 만곡부(IDP1_1, IDP2_1)들의 폭이 상이하다는 점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와 상이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3)는 제1 회로 기판(300_1)의 만곡부(IDP1_1, IDP2_1)들의 제1 언폴딩 영역(UFA1)으로부터 폴딩 영역(FA)을 향하는 방향, 예컨대 제1 방향(DR1)으로의 폭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즉, 제1 회로 기판(300_1)의 제1 만곡부(IDP1_1)의 제1 방향(DR1)의 제1 폭(W1)은 제1 회로 기판(300_1)의 제2 만곡부(IDP2_1)의 제2 폭(W2)보다 작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만곡부(IDP1_1)는 제1 회로 기판(300_1)의 제1 회로 영역(CA1)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제1 회로 기판(300_1)의 제1 만곡부(IDP1_1)의 제1 폭(W1)이 제1 회로 기판(300_1)의 제2 만곡부(IDP2_1)의 제2 폭(W2)보다 작음으로써 제1 회로 기판(300_1)의 제1 회로 영역(CA1)의 제1 방향(DR1)의 폭을 더욱 확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회로 기판(300_1)의 제1 회로 영역(CA1)에 배치되고 표시 패널(150)의 패널 패드 영역(P_PA)의 상기 복수의 배선 패드에 신호를 전달하는 리드 배선들을 더욱 많이 배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표시 모듈(100)이 접히는 경우, 제1 회로 기판(300_1), 및 제2 회로 기판(500)은 표시 모듈(100)에 추종하여 함께 접히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회로 기판(300_1)은 폴딩 영역(FA)에 배치된 제1 만곡부(IDP1_1), 및 제2 만곡부(IDP2_1)를 포함함으로써 제1 회로 기판(300_1)이 표시 패널(150), 및 제2 회로 기판(500)에 부착되는 영역에서 폴딩 시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회로 기판(300_1)은 폴딩 영역(FA)에 배치된 복수의 폴딩 홀(FP)을 포함함으로써 만곡부(IDP1_1, IDP2_1)와 마찬가지로 폴딩 시 유연성을 더욱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3)의 제1 회로 기판(300_1)의 제1 구동 집적 회로(330)와 제2 구동 집적 회로(350)는 제1 언폴딩 영역(UFA1)으로부터 폴딩 영역(FA)을 향하는 방향, 예컨대 제1 방향(DR1)으로 비중첩하도록 배치함으로써 표시 장치(3)가 아웃 폴딩되는 경우 구동 집적 회로(330, 350) 간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여 구동 집적 회로(330, 350)들의 물리적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 배치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4)의 제2 회로 기판(500_1)의 제2 신호 배선(SL2_1) 및 제4 신호 배선(SL4_1)의 배치 영역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와 상이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회로 기판(500_1)은 제1 베이스 기판(510) 상에 배치된 제3 구동 집적 회로(570)로부터 나온 제2 신호 배선(SL2_1) 및 제4 신호 배선(SL4_1)이 연성 필름(550_1) 상에 배치되지 않고 제1 회로 기판(300)을 통해 제2 베이스 기판(530)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구동 집적 회로(570)로부터 나온 제2 신호 배선(SL2_1) 및 제4 신호 배선(SL4_1)은 제1 회로 기판(300)의 제1 언폴딩 영역(UFA1)과 연결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1 회로 기판(300)은 제2 신호 배선(SL2_1) 및 제4 신호 배선(SL4_1)과 연결되는 리드 배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로 기판(300)의 상기 리드 배선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로 기판(300)의 제2 만곡부(IDP2)를 따라 제1 회로 기판(300)의 제2 언폴딩 영역(UFA2)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회로 기판(300)의 제2 언폴딩 영역(UFA2)으로 연장된 상기 제1 회로 기판(300)의 상기 리드 배선은 제2 베이스 기판(530)과 연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신호 배선(SL2_1) 및 제4 신호 배선(SL4_1) 배치 및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신호 배선(SL2) 및 제4 신호 배선(SL4)의 배치가 조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표시 모듈(100)이 접히는 경우, 제1 회로 기판(300), 및 제2 회로 기판(500_1)은 표시 모듈(100)에 추종하여 함께 접히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회로 기판(300)은 폴딩 영역(FA)에 배치된 제1 만곡부(IDP1), 및 제2 만곡부(IDP2)를 포함함으로써 제1 회로 기판(300)이 표시 패널(150), 및 제2 회로 기판(500_1)에 부착되는 영역에서 폴딩 시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회로 기판(300)은 폴딩 영역(FA)에 배치된 복수의 폴딩 홀(FP)을 포함함으로써 만곡부(IDP1, IDP2)와 마찬가지로 폴딩 시 유연성을 더욱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4)의 제1 회로 기판(300)의 제1 구동 집적 회로(330)와 제2 구동 집적 회로(350)는 제1 언폴딩 영역(UFA1)으로부터 폴딩 영역(FA)을 향하는 방향, 예컨대 제1 방향(DR1)으로 비중첩하도록 배치함으로써 표시 장치(4)가 아웃 폴딩되는 경우 구동 집적 회로(330, 350) 간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여 구동 집적 회로(330, 350)들의 물리적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 배치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5)의 제2 회로 기판(500_2)은 제2 베이스 기판(530) 상에 제4 구동 집적 회로(580)가 더 배치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와 상이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2 회로 기판(500_2)은 베이스 기판(510, 530), 제1 베이스 기판(510) 상에 배치된 제3 구동 집적 회로(570), 제2 베이스 기판(530) 상에 배치된 제4 구동 집적 회로(580), 베이스 기판(510, 530) 상에 배치된 연성 필름(550), 및 복수의 신호 배선(SL1, SL2_1, SL5, SL6_1)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5)의 제2 회로 기판(500_2)의 제3 구동 집적 회로(570)와 제4 구동 집적 회로(580)는 제1 언폴딩 영역(UFA1)으로부터 폴딩 영역(FA)을 향하는 방향, 예컨대 제1 방향(DR1)으로 비중첩하도록 배치함으로써 표시 장치(5)가 아웃 폴딩되는 경우 구동 집적 회로(570, 580) 간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여 구동 집적 회로(570, 580)들의 물리적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다만, 도 8 및 도 9에 따른 실시예와 같이 표시 장치(5)가 인 폴딩되는 경우에는 구동 집적 회로(570, 580)가 배치된 제2 회로 기판(500_2)의 일면이 서로 다른 방향을 바라볼 수 있다. 즉, 제3 구동 집적 회로(570) 및 제4 구동 집적 회로(580)는 서로 다른 방향을 바라볼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제3 구동 집적 회로(570) 및 제4 구동 집적 회로(580)는 제1 언폴딩 영역(UFA1)으로부터 폴딩 영역(FA)을 향하는 방향으로 정렬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즉, 제3 구동 집적 회로(570) 및 제4 구동 집적 회로(580)는 제1 언폴딩 영역(UFA1)으로부터 폴딩 영역(FA)을 향하는 방향으로 서로 중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4 구동 집적 회로(580)는 제3 구동 집적 회로(570)와 마찬가지로 소스/드레인 IC 및 전압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회로 기판(500_2)의 제2 신호 배선(SL2_2)은 제4 구동 집적 회로(580)와 제1 회로 기판(300)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신호 배선(SL2_2)은 제4 구동 집적 회로(580)의 상기 전압 구동부에서 인가된 전압을 제1 회로 기판(300)의 제4 신호 배선(SL4)에 전달할 수 있다.
제2 회로 기판(500_2)의 제6 신호 배선(SL6_2)은 제4 구동 집적 회로(580)와 제1 회로 기판(300)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6 신호 배선(SL6_2)은 제4 구동 집적 회로(580)의 상기 소스/드레인 IC에서 인가된 데이터 신호를 제1 회로 기판(300)의 제8 신호 배선(SL8)에 전달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구동 집적 회로(570, 580)가 타이밍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제1 구동 집적 회로(330), 및 제2 구동 집적 회로(350)는 상기 타이밍 제어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제3 구동 집적 회로(570) 및 제4 구동 집적 회로(580)를 연결하고 제2 회로 기판(500_2)의 연성 필름(550) 상에 배치된 타이밍 동기화 배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표시 모듈(100)이 접히는 경우, 제1 회로 기판(300), 및 제2 회로 기판(500_2)은 표시 모듈(100)에 추종하여 함께 접히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회로 기판(300)은 폴딩 영역(FA)에 배치된 제1 만곡부(IDP1), 및 제2 만곡부(IDP2)를 포함함으로써 제1 회로 기판(300)이 표시 패널(150), 및 제2 회로 기판(500_2)에 부착되는 영역에서 폴딩 시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회로 기판(300)은 폴딩 영역(FA)에 배치된 복수의 폴딩 홀(FP)을 포함함으로써 만곡부(IDP1, IDP2)와 마찬가지로 폴딩 시 유연성을 더욱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5)의 제1 회로 기판(300)의 제1 구동 집적 회로(330)와 제2 구동 집적 회로(350)는 제1 언폴딩 영역(UFA1)으로부터 폴딩 영역(FA)을 향하는 방향, 예컨대 제1 방향(DR1)으로 비중첩하도록 배치함으로써 표시 장치(5)가 아웃 폴딩되는 경우 구동 집적 회로(330, 350) 간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여 구동 집적 회로(330, 350)들의 물리적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 배치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6)는 제2 회로 기판(500_3)의 제3 구동 집적 회로(570_1)가 타이밍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와 상이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2 회로 기판(500_3)의 제3 구동 집적 회로(570_1)는 타이밍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이밍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타이밍 신호는 제1 회로 기판(300b)의 구동 집적 회로(330b, 350b)에 인가될 수 있다.
나아가, 제1 구동 집적 회로(330b) 및 제2 구동 집적 회로(350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구동 집적 회로(330) 및 제2 구동 집적 회로(350)와 달리 타이밍 제어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6)의 제1 회로 기판(300b)은 제11 신호 배선(SL11)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표시 모듈(100)이 접히는 경우, 제1 회로 기판(300b), 및 제2 회로 기판(500_3)은 표시 모듈(100)에 추종하여 함께 접히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회로 기판(300b)은 폴딩 영역(FA)에 배치된 제1 만곡부(IDP1), 및 제2 만곡부(IDP2)를 포함함으로써 제1 회로 기판(300b)이 표시 패널(150), 및 제2 회로 기판(500_3)에 부착되는 영역에서 폴딩 시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회로 기판(300b)은 폴딩 영역(FA)에 배치된 복수의 폴딩 홀(FP)을 포함함으로써 만곡부(IDP1, IDP2)와 마찬가지로 폴딩 시 유연성을 더욱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6)의 제1 회로 기판(300b)의 제1 구동 집적 회로(330b)와 제2 구동 집적 회로(350b)는 제1 언폴딩 영역(UFA1)으로부터 폴딩 영역(FA)을 향하는 방향, 예컨대 제1 방향(DR1)으로 비중첩하도록 배치함으로써 표시 장치(6)가 아웃 폴딩되는 경우 구동 집적 회로(330b, 350b) 간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여 구동 집적 회로(330b, 350b)들의 물리적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 배치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7)는 제1 회로 기판(300_2)이 폴딩 영역(FA)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된다는 점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와 상이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회로 기판(300_2)은 제1 언폴딩 영역(UFA1)에 배치된 제1 서브 회로 기판(311) 및 제2 언폴딩 영역(UFA2)에 배치된 제2 서브 회로 기판(3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브 회로 기판(311) 및 제2 서브 회로 기판(312)은 폴딩 영역(FA)을 사이에 두고 서로 분리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7)는 제1 회로 기판(300_2)이 폴딩 영역(FA)을 사이에 두고 분리된 2개의 서브 회로 기판(311, 312)을 포함함으로써 표시 모듈(100)의 배면에 배치된 제1 회로 기판(300_2)이 표시 모듈(100)에 추종하여 함께 접히는 경우 폴딩 영역(FA)에서 유연성을 더욱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7)의 제1 회로 기판(300_2)의 제1 구동 집적 회로(330)와 제2 구동 집적 회로(350)는 제1 언폴딩 영역(UFA1)으로부터 폴딩 영역(FA)을 향하는 방향, 예컨대 제1 방향(DR1)으로 비중첩하도록 배치함으로써 표시 장치(7)가 아웃 폴딩되는 경우 구동 집적 회로(330, 350) 간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여 구동 집적 회로(330, 350)들의 물리적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 배치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8)는 제2 회로 기판(500_4)이 연성 필름(550)을 포함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도 12에 따른 표시 장치(5)와 상이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회로 기판(500_4)은 폴딩 영역(FA)에 배치되어 제1 베이스 기판(510) 및 제2 베이스 기판(530)을 연결하는 연성 필름(550)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1 베이스 기판(510)과 제2 베이스 기판(530)은 서로 물리적으로 분리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8)는 폴딩 영역(FA)에서 서로 물리적으로 분리된 제2 회로 기판(500_4)을 포함함으로써 표시 모듈(100)의 배면에 배치된 제2 회로 기판(500_4)이 표시 모듈(100)에 추종하여 함께 접히는 경우 폴딩 영역(FA)에서 유연성을 더욱 확보할 수 있다.
표시 장치(8)의 제2 회로 기판(500_4)의 제3 구동 집적 회로(570)와 제4 구동 집적 회로(58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언폴딩 영역(UFA1)으로부터 폴딩 영역(FA)을 향하는 방향, 예컨대 제1 방향(DR1)으로 비중첩하도록 배치함으로써 표시 장치(8)가 아웃 폴딩되는 경우 구동 집적 회로(570, 580) 간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여 구동 집적 회로(570, 580)들의 물리적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다만, 도 8 및 도 9에 따른 실시예와 같이 표시 장치(5)가 인 폴딩되는 경우에는 제3 구동 집적 회로(570) 및 제4 구동 집적 회로(580)는 제1 언폴딩 영역(UFA1)으로부터 폴딩 영역(FA)을 향하는 방향으로 정렬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표시 모듈(100)이 접히는 경우, 제1 회로 기판(300), 및 제2 회로 기판(500_4)은 표시 모듈(100)에 추종하여 함께 접히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회로 기판(300)은 폴딩 영역(FA)에 배치된 제1 만곡부(IDP1), 및 제2 만곡부(IDP2)를 포함함으로써 제1 회로 기판(300)이 표시 패널(150), 및 제2 회로 기판(500_4)에 부착되는 영역에서 폴딩 시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회로 기판(300)은 폴딩 영역(FA)에 배치된 복수의 폴딩 홀(FP)을 포함함으로써 만곡부(IDP1, IDP2)와 마찬가지로 폴딩 시 유연성을 더욱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8)의 제1 회로 기판(300)의 제1 구동 집적 회로(330)와 제2 구동 집적 회로(350)는 제1 언폴딩 영역(UFA1)으로부터 폴딩 영역(FA)을 향하는 방향, 예컨대 제1 방향(DR1)으로 비중첩하도록 배치함으로써 표시 장치(8)가 아웃 폴딩되는 경우 구동 집적 회로(330, 350) 간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여 구동 집적 회로(330, 350)들의 물리적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 배치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9)는 제1 회로 기판(300_3)이 제1 만곡부(IDP1)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와 상이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회로 기판(300_3)의 제1 장변 에지(LEG1)는 제1 방향(DR1)을 따라 실질적으로 직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회로 기판(300_3)의 제1 회로 영역(CA1)의 제1 방향(DR1)의 폭을 더욱 확보하고, 제1 회로 기판(300_3)의 제1 회로 영역(CA1)에 배치되고 표시 패널(150)의 패널 패드 영역(P_PA)의 상기 복수의 배선 패드에 신호를 전달하는 리드 배선들을 더욱 많이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회로 기판(300_3)과 표시 패널(150) 간의 신호 채널을 더욱 확보할 수 있다.
제1 회로 기판(300_3)의 복수의 폴딩 홀(FP)은 제1 회로 기판(300_3)의 제1 장변 에지(LEG1)와 제2 만곡부(IDP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표시 모듈(100)이 접히는 경우, 제1 회로 기판(300_3), 및 제2 회로 기판(500)은 표시 모듈(100)에 추종하여 함께 접히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회로 기판(300_3)은 폴딩 영역(FA)에 배치된 제2 만곡부(IDP2)를 포함함으로써 제1 회로 기판(300_3)이 표시 패널(150), 및 제2 회로 기판(500)에 부착되는 영역에서 폴딩 시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회로 기판(300_3)은 폴딩 영역(FA)에 배치된 복수의 폴딩 홀(FP)을 포함함으로써 제2 만곡부(IDP2)와 마찬가지로 폴딩 시 유연성을 더욱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9)의 제1 회로 기판(300_3)의 제1 구동 집적 회로(330)와 제2 구동 집적 회로(350)는 제1 언폴딩 영역(UFA1)으로부터 폴딩 영역(FA)을 향하는 방향, 예컨대 제1 방향(DR1)으로 비중첩하도록 배치함으로써 표시 장치(9)가 아웃 폴딩되는 경우 구동 집적 회로(330, 350) 간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여 구동 집적 회로(330, 350)들의 물리적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 배치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는 제1 회로 기판(300_4)의 제1 장변 에지(LEG1)와 복수의 폴딩 홀(PF) 배치 영역 사이에 복수의 서브 폴딩 홀(PF_1)이 더 배치될 수 있다는 점에서 도 16에 따른 표시 장치(9)와 상이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회로 기판(300_4)은 제1 장변 에지(LEG1)와 복수의 폴딩 홀(PF) 배치 영역 사이에 복수의 서브 폴딩 홀(PF_1)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서브 폴딩 홀(PF_1)은 폴딩 홀(PF)과 마찬가지로 제1 회로 기판(300_4)의 베이스 필름(310_4)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홀일 수 있다.
서브 폴딩 홀(PF_1)의 평면 형상은 실질적으로 폴딩 홀(PF)과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으나, 다른 형상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도 17에서는 서브 폴딩 홀(PF_1)이 2개인 것으로 예시되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서브 폴딩 홀(PF_1)은 1개, 또는 3개 이상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는 제1 회로 기판(300_4)의 제1 장변 에지(LEG1)와 복수의 폴딩 홀(PF) 영역 사이에 복수의 서브 폴딩 홀(PF_1)이 더 배치됨으로써 제1 회로 기판(300_4)의 폴딩 시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9는 도 18의 XIX- XIX'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1)는 제1 및 제2 구동 집적 회로(330, 350)이 각각 제1 회로 기판(300)의 내부에 배치된다는 점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와 상이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구동 집적 회로(330)와 제2 구동 집적 회로(350)는 제1 방향(DR1)을 따라 정렬될 수 있다. 제1 구동 집적 회로(330)와 제2 구동 집적 회로(350)는 제1 회로 기판(300)의 베이스 필름(3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8 및 도 19에서는 제1 및 제2 구동 집적 회로(330, 350)의 표면들이 각각 베이스 필름(310)의 표면과 정렬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1 및 제2 구동 집적 회로(330, 350)의 표면 높이는 베이스 필름(310)의 인접 표면의 높이보다 더 낮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1)는 제1 및 제2 구동 집적 회로(330, 350)이 제1 회로 기판(300)의 내부에 배치되고 적어도 표면이 베이스 필름(310)의 표면보다 낮게 위치함으로써 표시 장치(11)의 폴딩 시 제1 및 제2 구동 집적 회로(330, 350)가 물리적 접촉으로 인해 물리적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2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2)는 폴딩 영역(FA)을 기준으로 제1 및 제2 구동 집적 회로(330, 350)의 이격 거리가 서로 상이하다는 점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와 상이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2)는 폴딩 영역(FA)을 기준으로 제1 및 제2 구동 집적 회로(330, 350)는 제1 방향(DR1)을 따라 정렬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회로 기판(300)은 폴딩 영역(FA)을 기준으로 제1 방향(DR1) 일측과 타측의 면적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동 집적 회로(330)가 배치된 제1 회로 기판(300)의 제1 방향(DR1) 타측의 면적이 제2 구동 집적 회로(350)가 배치된 제1 방향(DR1) 일측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제1 구동 집적 회로(330)의 폴딩 영역(FA)을 기준으로 이격 거리는 제2 구동 집적 회로(350)의 폴딩 영역(FA)을 기준으로 이격 거리보다 클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구동 집적 회로(330)의 폴딩 영역(FA)을 기준으로의 이격 거리는 제2 구동 집적 회로(350)와 폴딩 영역(FA) 간의 이격 거리와 제2 구동 집적 회로(350)의 자체 제1 방향(DR1) 폭 길이의 합보다 클 수 있다.
이로 인해, 표시 장치(12)의 폴딩 시, 제1 구동 집적 회로(330)와 제2 구동 집적 회로(350)가 두께 방향으로 중첩 배치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표시 장치(12)의 불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표시 장치
100: 표시 모듈
300: 제1 회로 기판
500: 제2 회로 기판

Claims (20)

  1. 폴딩 영역,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폴딩 영역의 일측에 위치한 제1 언폴딩 영역. 및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폴딩 영역의 타측에 위치한 제2 언폴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로서,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모듈; 및
    상기 표시 패널에 부착되고 상기 표시 모듈의 하부에 배치된 제1 회로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회로 기판은 베이스 필름, 상기 제1 언폴딩 영역에 배치된 제1 구동 집적 회로, 및 상기 제2 언폴딩 영역에 배치된 제2 구동 집적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구동 집적 회로와 상기 제2 구동 집적 회로는 상기 표시 장치의 폴딩 시, 두께 방향으로 비중첩하고,
    상기 표시 패널은 일측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일측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타측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회로 기판은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일측에 부착되고,
    상기 제1 회로 기판은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타측과 이격된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로 기판은 상기 폴딩 영역에서 상기 표시 패널에 부착되는 일 에지로부터 리세스된 제1 만곡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로 기판의 상기 일 에지와 대향하는 타 에지의 상기 제1 언폴딩 영역에 부착된 제1 베이스 기판, 및 상기 타 에지의 상기 제2 언폴딩 영역에 부착된 제2 베이스 기판을 포함하는 제2 회로 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회로 기판은 상기 폴딩 영역에서 상기 타 에지로부터 리세스된 제2 만곡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만곡부의 상기 제1 언폴딩 영역으로부터 상기 폴딩 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의 제1 폭은 상기 제2 만곡부의 상기 제1 언폴딩 영역으로부터 상기 폴딩 영역을 향하는 바향으로의 제2 폭보다 작은 표시 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로 기판은 상기 폴딩 영역에서 상기 제1 만곡부 및 상기 제2 만곡부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폴딩 홀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폴딩 홀은 상기 제1 회로 기판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표시 장치.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로 기판은 상기 폴딩 영역에 배치된 연성 필름을 더 포함하되, 상기 연성 필름은 상기 제1 베이스 기판과 상기 제2 베이스 기판을 연결하는 표시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 기판은 제3 구동 집적 회로, 및 상기 제3 구동 집적 회로와 상기 제1 회로 기판을 연결하는 제1 신호 배선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신호 배선은 상기 연성 필름에 걸쳐 배치된 표시 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 기판은 제3 구동 집적 회로, 및 상기 제3 구동 집적 회로와 상기 제1 회로 기판을 연결하는 제1 신호 배선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신호 배선은 상기 제1 회로 기판의 상기 제2 만곡부를 따라 상기 제1 회로 기판에 걸쳐 배치된 표시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 집적 회로 및 상기 제2 구동 집적 회로를 직접 연결하는 신호 배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 배선은 타이밍 동기화 배선인 표시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로 기판은 상기 제1 구동 집적 회로가 배치된 제1 서브 회로 기판, 및 상기 제2 구동 집적 회로가 배치된 제2 서브 회로 기판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서브 회로 기판, 및 상기 제2 서브 회로 기판은 상기 폴딩 영역을 사이에 두고 분리되어 배치된 표시 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로 기판은 상기 표시 패널에 부착되는 일 에지, 및 상기 일 에지와 대향하는 타 에지를 포함하고,
    상기 폴딩 영역에서 상기 제1 회로 기판의 상기 타 에지로부터 리세스된 만곡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로 기판은 상기 폴딩 영역에서 상기 만곡부 및 상기 제1 회로 기판의 상기 일 에지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폴딩 홀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폴딩 홀은 상기 제1 회로 기판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표시 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모듈은 상기 제1 회로 기판이 배치된 제1 표면, 및 상기 제1 표면의 반대면에 배치된 제2 표면을 포함하되,
    상기 표시 모듈은 상기 제1 표면의 상기 폴딩 영역을 중심으로 상기 제1 표면의 상기 제1 언폴딩 영역과 상기 제1 표면의 상기 제2 언폴딩 영역이 서로 마주보는 표시 장치.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로 기판은 상기 제1 언폴딩 영역과 중첩하는 제1 영역의 폭이 상기 제2 언폴딩 영역과 중첩하는 제2 영역의 폭보다 크고, 상기 폴딩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1 구동 집적 회로의 이격 거리는 상기 폴딩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구동 집적 회로의 이격 거리보다 큰 표시 장치.
  15. 폴딩 영역, 상기 폴딩 영역의 일측에 위치한 제1 언폴딩 영역. 및 상기 폴딩 영역의 타측에 위치한 제2 언폴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로서,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모듈; 및
    상기 표시 모듈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 패널에 부착되는 일 에지를 포함하는 제1 회로 기판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회로 기판은 상기 폴딩 영역에서 상기 일 에지로부터 리세스된 제1 만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회로 기판은 상기 일 에지와 대향하는 타 에지와 상기 제1 만곡부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폴딩 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폴딩 홀은 상기 제1 회로 기판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표시 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로 기판의 상기 일 에지와 대향하는 타 에지의 상기 제1 언폴딩 영역에 부착된 제1 베이스 기판, 및 상기 타 에지의 상기 제2 언폴딩 영역에 부착된 제2 베이스 기판을 포함하는 제2 회로 기판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로 기판은 상기 폴딩 영역에서 상기 타 에지로부터 리세스된 제2 만곡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폴딩 홀은 상기 제1 만곡부와 상기 제2 만곡부 사이에 배치된 표시 장치.
  19.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모듈은 상기 제1 회로 기판이 배치된 제1 표면, 및 상기 제1 표면의 반대면에 배치된 제2 표면을 포함하되,
    상기 표시 모듈은 상기 제2 표면의 상기 폴딩 영역을 중심으로 상기 제2 표면의 상기 제1 언폴딩 영역과 상기 제2 표면의 상기 제2 언폴딩 영역이 서로 마주보는 표시 장치.
  20. 폴딩 영역, 상기 폴딩 영역의 일측에 위치한 제1 언폴딩 영역. 및 상기 폴딩 영역의 타측에 위치한 제2 언폴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로서,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모듈; 및
    상기 표시 패널에 부착되고 상기 표시 모듈의 하부에 배치된 제1 회로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회로 기판은 베이스 필름, 상기 제1 언폴딩 영역에 배치된 제1 구동 집적 회로, 및 상기 제2 언폴딩 영역에 배치된 제2 구동 집적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구동 집적 회로 및 상기 제2 구동 집적 회로는 상기 제1 회로 기판의 내부에 실장되고,
    상기 제1 구동 집적 회로의 표면과 상기 제2 구동 집적 회로의 표면은 상기 베이스 필름의 표면 높이보다 낮은 표시 장치.
KR1020190035993A 2019-03-28 2019-03-28 표시 장치 KR102668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5993A KR102668904B1 (ko) 2019-03-28 2019-03-28 표시 장치
US16/796,601 US11425819B2 (en) 2019-03-28 2020-02-20 Display device
CN202010229169.XA CN111754866A (zh) 2019-03-28 2020-03-27 显示设备
US17/892,634 US11758663B2 (en) 2019-03-28 2022-08-22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5993A KR102668904B1 (ko) 2019-03-28 2019-03-28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5877A KR20200115877A (ko) 2020-10-08
KR102668904B1 true KR102668904B1 (ko) 2024-05-24

Family

ID=72605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5993A KR102668904B1 (ko) 2019-03-28 2019-03-28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1425819B2 (ko)
KR (1) KR102668904B1 (ko)
CN (1) CN11175486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74365B2 (ja) * 2019-06-26 2023-05-1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電子機器
JP7265443B2 (ja) * 2019-07-31 2023-04-2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配線板組立体
CN112987957A (zh) * 2019-12-17 2021-06-18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
KR20220007803A (ko) 2020-07-10 2022-01-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14489364A (zh) * 2020-11-11 2022-05-1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US11693451B2 (en) * 2021-01-19 2023-07-04 Samsung Display Co., Ltd. Digitiz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13066376B (zh) * 2021-03-26 2023-09-1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用于可折叠显示模组的盖板、可折叠显示模组及显示装置
CN115273655A (zh) * 2021-04-30 2022-11-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可折叠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027Y2 (ko) 1985-08-14 1992-01-23
KR101072931B1 (ko) 2007-05-29 2011-10-17 주식회사 신한은행 이종의 금융시스템 간 고객 병합 방법
KR101577300B1 (ko) 2008-10-28 2015-12-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양자점을 이용한 백색광 발광다이오드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KR101140309B1 (ko) 2009-01-09 2012-05-0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양자점 다층 박막을 포함한 전기발광소자
KR20110028124A (ko) * 2009-09-11 2011-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장치
SE535875C2 (sv) * 2010-08-23 2013-01-29 Security Devices Corp Sdc Ab Vikbart kort avsett att bilda en USB-stickkontakt
US8755953B2 (en) 2012-05-21 2014-06-17 The Boeing Company Aircraf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TWI509750B (zh) * 2013-09-30 2015-11-21 Chipmos Technologies Inc 多晶片捲帶封裝結構
KR102067148B1 (ko) * 2013-09-30 2020-01-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JP6233417B2 (ja) 2013-10-17 2017-11-2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発光デバイス
KR102135232B1 (ko) * 2014-12-08 2020-07-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곡면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87944A (ko) * 2015-01-14 2016-07-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인쇄 회로 기판 유닛,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355256B1 (ko) * 2015-01-22 2022-01-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1695442B1 (ko) 2015-01-29 2017-01-12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황색 및 청색 양자점 이중층을 포함하는 백색 전기 발광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10861A (ko) * 2015-03-13 2016-09-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연성 회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313366B1 (ko) * 2015-06-17 2021-10-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제조 방법
KR102400871B1 (ko) * 2015-07-31 2022-05-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70051667A (ko) 2015-10-30 2017-05-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21578B1 (ko) * 2015-12-02 2022-07-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CN105931572A (zh) * 2016-07-11 2016-09-0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设备及其制造方法
KR102638982B1 (ko) * 2016-11-25 2024-02-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603599B1 (ko) 2016-11-30 2023-11-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KR102693850B1 (ko) * 2016-12-22 2024-08-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WO2018120139A1 (zh) * 2016-12-30 2018-07-05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柔性显示屏和显示装置
US11849594B2 (en) 2017-09-12 2023-12-19 Lg Display Co., Ltd. Quantum dot emitting diode and quantum dot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678513B1 (ko) 2017-09-12 2024-06-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양자점 발광다이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양자점 발광표시장치
KR102452648B1 (ko) 2017-12-27 2022-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계 발광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611215B1 (ko) 2018-03-12 2023-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계 발광 소자, 및 표시 장치
KR102673644B1 (ko) 2018-03-19 2024-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계 발광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09041416A (zh) * 2018-07-23 2018-12-18 南京合纵连横供应链管理股份有限公司 可折叠的电路板
CN108766249B (zh) * 2018-08-09 2020-12-29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可折叠的显示面板及可折叠显示装置
KR102526949B1 (ko) * 2018-11-14 2023-04-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5877A (ko) 2020-10-08
US20220400552A1 (en) 2022-12-15
US11425819B2 (en) 2022-08-23
US20200315015A1 (en) 2020-10-01
CN111754866A (zh) 2020-10-09
US11758663B2 (en) 2023-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68904B1 (ko) 표시 장치
KR102494409B1 (ko) 표시 장치
KR102643282B1 (ko) 표시 장치
JP7265362B2 (ja) 表示装置
KR102457059B1 (ko) 표시 장치
US10553664B2 (en) Display device
US10268241B2 (en) Touch screen panel and mobile terminal including the same
US10510980B2 (en) Display module
US9285835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298370B1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07544710B (zh) 具有触摸感应功能的显示面板
US10181576B2 (en) Display device
US10651130B2 (en) Display device
KR20210027699A (ko) 표시 장치
KR20210090766A (ko) 표시 장치
KR20210048020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1933067A (zh) 输入感测设备和包括其的显示设备
KR20200113104A (ko) 표시 장치
KR102024233B1 (ko)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
WO2021081988A1 (zh) 显示模组和显示装置
CN112397667A (zh) 显示装置
KR102513324B1 (ko) 표시 장치
TWI764610B (zh) 觸控面板
KR20220030400A (ko) 이형 필름,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CN116056494A (zh) 显示设备和制造其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