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8023B1 - 호이스트의 프레임 구조 - Google Patents

호이스트의 프레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8023B1
KR102668023B1 KR1020207019744A KR20207019744A KR102668023B1 KR 102668023 B1 KR102668023 B1 KR 102668023B1 KR 1020207019744 A KR1020207019744 A KR 1020207019744A KR 20207019744 A KR20207019744 A KR 20207019744A KR 102668023 B1 KR102668023 B1 KR 1026680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tructure
hoist
support frame
plates
suspe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9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7313A (ko
Inventor
아테 라흐틴마키
테포 린드버그
미코 유틸라
미코 리탈라
미코 미크라
헨리 헬키오
헨리 코코
니코 라우카넨
Original Assignee
코네크레인스 글로벌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네크레인스 글로벌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코네크레인스 글로벌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00097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73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8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80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9/00Travelling gear incorporated in or fitted to trolleys or cranes
    • B66C9/02Travelling gear incorporated in or fitted to trolleys or cranes for underhung trolleys or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3/00Elevated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9/00Apparatus for assisting manual handling having suspended load-carriers movable by hand or gravity
    • B65G9/002Load-carriers, roll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1/00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 B66C11/02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with operating gear or operator's cabin suspended, or laterally offset, from runway or track
    • B66C11/04Underhung trolle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1/00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 B66C11/02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with operating gear or operator's cabin suspended, or laterally offset, from runway or track
    • B66C11/04Underhung trolleys
    • B66C11/06Underhung trolleys running on mono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9/00Travelling gear incorporated in or fitted to trolleys or cranes
    • B66C9/14Trolley or crane travel dr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 Handcart (AREA)
  • Leg Units, Guards, And Driving Tracks Of Crane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호이스트의 프레임 구조로서, 상기 프레임 구조(1)는 지지 프레임 구조(2)와, 서스펜더들(4)에 의해 상기 지지 프레임 구조(2)에 고정되어 주 지지구조(12) 상에 호이스트를 지지하고 상기 호이스트를 상기 주 지지구조(12) 상에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베어링 휠 배열(3)을 포함하되, 상기 베어링 휠 배열(3)은, 호이스트의 이동 방향으로, 그 반대 측에 배열된 베어링 휠들(5)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지지 프레임 구조(2)에 고정된 상부 도르래 배열(5)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 프레임 구조(2)는 서로 대향하여 일정 거리에 배치된 두 개의 플레이트들(7)을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8)는 서로에 대해 구부러지고, 상기 지지 프레임 구조(2)에는 두 개의 플레이트들(7)을 통과하는 축(10)이 배치되어 있되, 그 축 상에는 도르래가 플레이트들(7) 사이에 배치되고,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의 구부러진 상부(8)는 서스펜더들(4)에 의해 상기 지지 프레임 구조(2)의 대향하는 측면들에 배열된 베어링 휠들(5) 사이의 상호 거리를 조절하기 위해 쐐기 잠금장치(29)에 의해 또는 볼트 잠금장치에 의해 상기 서스펜더들(4)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호이스트의 프레임 구조
본 발명은 호이스트(hoist)의 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지지 프레임 구조와, 서스펜더들(suspender)에 의해 상기 지지 프레임 구조에 고정되어 호이스트를 주 지지구조(main support structure) 상에 지지하고 그 호이스트를 상기 주 지지구조 상에서 이동시키는 베어링 휠 배열(bearing wheel arrangement)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베어링 휠 배열은 호이스트의 이동 방향으로 그 대향하는 측면에 배열된 베어링 휠들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구조는 또한 상기 지지 프레임 구조에 고정된 상부 도르래 배열(sheave arrangements)을 포함하는 구조의 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산업에서 종종 사용되는 크레인 유형은, 레일(들)에서 동작하는 브리지, 상기 브리지에서 동작하는 트롤리(trolley), 및 상기 트롤리에 고정된 하중용 호이스트로 구성된 브리지 크레인(bridge crane)이다. 상기 브리지 크레인의 호이스트는 전형적으로 로프 크레인이다. 사용 가능한 작업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크레인의 유용성에 중요하다.
이 경우, 호이스트의 구조는 이용 가능한 자유 높이를 사용하여 가능한 한 높은 하중을 들어올리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나 호이스트의 구조는 제작하기에 경제성이 있고 신뢰성이 있는 것이 요구된다.
호이스트의 설치기능성 및 유지보수 기능성의 관점에서, 호이스트의 구조는 그 호이스트가 간단하고 빠른 방식으로 브리지, 주 지지구조 상에서 적응적으로 조정될 수 있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가 해결될 수 있도록 하는 호이스트의 구조를 개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독립 청구항에 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 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은 종속 청구항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호이스트의 프레임 구조에 기초하고, 상기 프레임 구조는 지지 프레임 구조와, 서스펜더에 의해 상기 지지 프레임 구조에 고정되어 호이스트를 주 지지구조 상에 지지하고 그 호이스트를 상기 주 지지구조 상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베어링 휠 배열을 포함하되, 상기 베어링 휠 배열은 호이스트의 이동 방향으로 그 대향하는 측면에 배열된 베어링 휠들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프레임 구조는 상기 지지 프레임 구조에 고정되는 상부 도르래 배열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 프레임 구조는 서로 대향하여 일정 거리를 두고 배치된 두 개의 플레이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는 서로에 대해 향해 구부러져 있고, 상기 지지 프레임 구조에는 두 개의 플레이트를 통과하는 축(axle)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축 상에는 도르래가 상기 플레이트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구부러진 상부는 서스펜더들에 의해 반대 측에 배열된 베어링 휠들 사이의 상호 거리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서스펜더에 쐐기 잠금장치(wedge locking)에 의해 착탈형으로 고정 가능하다.
본 발명의 호이스트의 프레임 구조의 이점은, 이용 가능한 자유 높이를 활용하여 가능한 한 높이 하중을 들어올리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작은 높이 치수이다. 상기한 호이스트의 구조는 그 호이스트를 간단하고 빠른 방식으로 주 지지구조 상에 적응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하,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호이스트의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호이스트의 프레임 구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호이스트의 프레임 구조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호이스트의 프레임 구조의 측면도이다.
도 5는 호이스트의 프레임 구조의 측면도이다.
도 6은 서스펜더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6의 서스펜더를 도시한다.
도 8은 도 1-5의 호이스트의 프레임 구조에 사용될 수 있는 서스펜더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다.
호이스트의 프레임 구조(1)는, 예를 들어, 브리지 크레인의 트롤리에 사용될 수 있다. 트롤리는 크레인의 주 지지구조를 따라 이동한다. 상기 주 지지구조는 전형적으로 프로파일 빔(profile beam)을 포함하는데, 이에 의해 트롤리가 프로파일 빔의 하부 플랜지 상에서 지지 된다. 따라서, 상기 주 지지구조는 가장 간단한 경우에는 하나의 빔이며, 대부분 경우 I-형 빔인 지지 구조를 지칭한다. 로프 호이스트의 호이스팅 장치는 트롤리에 배치된다.
도 1 내지 5는 호이스트의 프레임 구조(1)를 도시한다. 호이스트의 프레임 구조(1)는 프레임 지지 구조(frame support structure)(2), 베어링 휠 배열(bearing wheel arrangement)(3) 및 서스펜더들(suspenders)(4)을 포함한다. 베어링 휠 배열(3)은 서스펜더(4)에 의해 지지 프레임 구조(2)에 고정되어 주 지지구조 상에서 호이스트를 지지하고 상기 호이스트를 주 지지구조 상에서 이동시킨다. 베어링 휠 배열(3)은 베어링 휠들(5)을 포함하고, 이 때 베어링 휠들(5) 사이의 상호 거리(s)는 이동 방향(x)에 수직이다. 상부 도르래 배열(6)은 지지 프레임 구조(2)에 고정된다. 지지 프레임 구조(2)는 서로 일정 거리를 두고 대면하여 배열되는 2개의 플레이트들(7)을 포함한다. 플레이트의 상부(8)는 지지 프레임 구조의 플레이트들(7)의 굴곡진 상부(8) 사이에 간격(9)이 형성되도록 서로에 대해 구부러져 있다. 지지 프레임 구조(2)에는, 양자의 플레이트들(7)을 통과하는 축(axle)(10)이 배치되며, 그 축(10) 상에는 적어도 하나의 도르래(11)가 플레이트들(7)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서스펜더(4)에 의해 대향 측면들에 배치된 베어링 휠들(5) 사이의 상호 거리를 조절하기 위하여 플레이트의 상기 구부러진 상부(8)는 쐐기 잠금장치(wedge locking)에 의해 서스펜더(4)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호이스트의 트롤리는, 상기한 프레임 구조(1) 외에, 도면들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부분들도 포함한다. 상기 트롤리는 호이스트 로프를 위한 로프 홈을 갖는 로프 드럼을 가지는 호이스팅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상기 트롤리는 상부 도르래 배열 및 하부 도르래 배열을 가지는 로프 풀리 배열(rope pulley arrangements)을 포함한다. 상기 로프 풀리 배열을 통해, 호이스트 로프는 로프 드럼으로부터 고정 지점(fastening point)으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트롤리는 하중을 들어올리기 위해 호이스트 로프와 협력하는 호이스트 부재를 더 포함한다. 호이스트 로프의 제1단부의 고정 지점은, 로프 배열에 따라, 예를 들어, 호이스트 부재 또는 지지 프레임 구조(2) 상에 적응형으로 조정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스펜더(4)에 의해 베어링 휠 배열(3)에 고정된지지 프레임 구조(2)는 바로 근처에 있는 주 지지구조(12)의 하부 플랜지 아래에 배치된다. 이 경우, 지지 프레임 구조의 플레이트들(7) 사이의 도르래(11)의 위치는 또한 주 지지구조물(12)에 더 가깝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플레이트의 상부(8)는 실질적으로 수평면으로 구부러진다. 도면들에서, 지지 프레임 구조의 플레이트(7)는 그 플레이트(7)가 대체로 L자형이 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구부러지고, 지지 프레임 구조의 플레이트들은 서로 다른 것의 거울상(미러 이미지)의 프로파일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호이스트의 프레임 구조는 로프 호이스트의 프레임 구조를 포함하고, 지지 프레임 구조(2)의 제1 플레이트(7)의 중간 부분에는 호이스트 로프를 위한 고정 지점(13)이 배열되며, 여기에 호이스트 로프의 자유단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고정 지점(13)은, 바람직하게는, 지지 프레임 구조의 플레이트(7)를 통과하는 축(10)의 단부에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지지 프레임 구조의 제2 플레이트(7)의 중간 부분에는 호이스트 로프의 로프 드럼과 같은 호이스트의 다른 부분에 대하여 연결 지점(14)이 배치된다. 상기 연결 지점(14)은, 바람직하게는, 지지 프레임 구조의 플레이트(7)를 통과하는 축(10)의 단부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휠 상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된 제2 부품 개체는 상기 연결 지점(14)에 결합될 수 있는데, 이 부품 개체에 대해 로프 드럼은 그의 구동 모터 및 기어로써 적응적으로 맞춰진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지지 프레임 구조의 2개의 플레이트들(7)은 부싱(bushing)과 같은 스페이서(15)에 의해 서로 거리를 두고 대면하여 배치된다. 지지 프레임 구조(2)의 높이 방향(h)으로 상기 스페이서(15), 즉 부싱의 위치는, 서스펜더(4)의 하부(18)가 스페이서들(15)과 플레이트의 굴곡진 상부(8) 사이에 남아 있는 공간에서 이동할 여지를 갖도록 배열된다.
도 6 내지 7은 프레임 구조의 서스펜더(4)를 도시한다. 상기 서스펜더(4)는 상부(16), 중간부(17) 및 하부(18)를 포함한다. 서스펜더의 상부(16)는 베어링 휠 배열(3)에 대한 연결 수단을 갖는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스펜더(4)는 축 조인트(axle joint)(28)로써 베어링 휠 배열(3)에 그의 상부(16)에 의해 연결된다. 축 조인트는 반경 방향의 힘을 잘 유지한다. 축 조인트는 또한 제조하기에 경제성이 있다. 더욱이, 상기한 축 조인트는 실수에 의해 열리지 않는 안전한 조인트이다. 상기 축 조인트(28)와 관련하여, 서스펜더(4)는 스크루 조인트(19)로써 베어링 휠 배열(3)에 그 중간 부분(17)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스크루 조인트(19)는 축 조인트(28) 주위의 회전을 방지한다. 베어링 휠 배열(3)에 대한 스크루 조인트(19)는 도 1 및 3에 도시되어 있다.
서스펜더의 상부(16)에서, 예를 들어, 호이스트를 설치하기 위해 호이스팅 러그(hoisting lug)(20)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서스펜더의 대체로 수평인 하부(18)에는 호이스트의 지지 프레임 구조(2)에 대한 연결 수단이 존재한다. 호이스트의 지지 프레임 구조(2)는 쐐기 잠금장치(wedge locking)(29)에 의해 그 단부(21)의 양쪽에서 서스펜더(4)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서스펜더의 하부(18)는 지지 프레임 구조(2)의 내부, 즉, 플레이트의 구부러진 상부(8)의 하부 표면에 대해 상기 하부의 하부 표면에 배치된다. 서스펜더의 수직의 중간 부분(17) 및 상부(16)는 지지 프레임 구조의 플레이트(7)의 구부러진 상부들(8) 사이에 형성된 간격(9)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플레이트의 구부러진 상부(8)는 서스펜더의 하부(18)와 서스펜더의 중간 부분(17)에 고정된 상부 보강 플레이트(22) 사이에 배치된다.
서스펜더의 하부(18)를 덮는 상부 보강 플레이트(22)는,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 L(도 1 참조)에 대해 횡 방향으로, 지지 프레임 구조(2)의 외부 상에 지지 프레임 구조의 플레이트(7)의 구부러진 상부(8)의 상부 표면에 대해 설정된다. 상부 보강 플레이트(22)는 서스펜더(4)의 중간 부분(17)에 연결된다. 상기 상부 보강 플레이트(22)는, 바람직하게는, 체결의 강건함을 향상시키기 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플레이트(7)의 수직 측면 위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도 7은 상부 보강 플레이트(22)가 제거된 서스펜더(4)를 도시한다. 서스펜더의 하부(18)는 하부 보강 플레이트(23) 및 쐐기 부분들(24)을 포함한다. 하부 보강 플레이트(23)는 지지 프레임 구조(2)의 길이 방향(L)에 대해 횡 방향으로 양쪽 플레이트들의 구부러진 상부(8) 아래에 설정된다. 상기한 쐐기 부분들(24)은 서스펜더의 중간 부분(17)의 양측에 하부 보강 플레이트(23) 위에 배열된다. 상기한 쐐기 부분들(24)은, 바람직하게는, 하부 보강 플레이트(23)에 형성된 구획들(compartments)(25)에 배치된다. 서스펜더(4)와 지지 프레임 구조(2) 사이의 쐐기 잠금장치(29)는 하부 보강 플레이트와 지지 프레임 구조의 구부러진 상부(8) 사이에서 보강 플레이트(23)의 경사면을 따라서, 그 단부들 중의 하나에서 더 두꺼운 상태의 쐐기 부분(24)을 이동시킴으로써 달성된다. 하부 보강 플레이트(23)의 경사진 표면은, 예를 들어, 재료의 두께가 변화함에 따라 달성될 수 있다. 쐐기 잠금장치(29)를 느슨하게 함으로써, 서스펜더(4)와 지지 프레임 구조(2) 사이의 압력이 제거되고, 서스펜더(4)가 이동될 수 있다.
도 8은 도 1 내지 5의 호이스트의 프레임 구조에 사용될 수 있는 서스펜더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다. 도 8의 실시 예는 도 6 및 7의 실시 예에 대부분 상응하므로, 아래와 같은 도 8의 실시 예는 이들 실시 예들 간의 차이점을 개시함으로써 주로 설명될 것이다. 도 8에서, 서스펜더 및 지지 프레임 구조의 잠금 동작은 볼트 잠금장치(30)에 의해 구현된다. 볼트 잠금장치(30)는 클램프 부분(31) 및 적어도 하나의 고정장치(fastener)(32)를 포함한다. 도 8의 실시 예는 두 개의 고정장치들을 포함하는데, 이것은, 예를 들어, 볼트들일 수 있다. 또한, 볼트 잠금장치(30)는 볼트(32)를 위한 베이스 플레이트(3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서, 볼트(32)는 클램프 부분(31)으로써 서스펜더를 지지 프레임 구조(2)에 고정시키도록 배열되며, 여기서 상기 볼트(32)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스펜더의 하부(35)에 구멍들(34)을 통해 수직으로 배열된다. 도 8의 서스펜더는 그 서스펜더의 중간 부분(37)에 구멍(36)을 포함한다. 상기 구멍(36)은, 클램프 부분(31)이 서스펜더를 지지 프레임 구조에 고정시키기 위한 서스펜더의 하부(35)의 상단에서 그 구멍(36)을 통해 삽입될 수 있도록 충분히 넓다. 또한, 서스펜더의 상부(38)는 그 서스펜더를 베어링 휠 배열(3)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 수단은,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플레이트(39) 및 2개의 고정장치들(fasteners)(40)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서스펜더의 상부(38)는 숄더(41)를 포함한다. 도 8에서, 서스펜더는 또한 플레이트(43), 볼트(44) 및 서스펜더의 중간 부분(37)에 있는 돌출부(45)를 포함하는 플레이트 조인트(42) 및 볼트에 의해 그 중간 부분(37)으로부터 베어링 휠 배열(3)에 연결된다.
지지 프레임 구조(2)의 양 단부들(21)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 서스펜더(4)는 지지 프레임 구조(2)의 길이 방향(L)으로 무단(stepless)으로 이동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서스펜더(4)에 고정된 베어링 휠들(5) 사이의 상호 거리(s)는 지지 프레임 구조(2) 상의 서스펜더(4)의 고정 지점들을 서로 더 가깝게 또는 더 멀게 이동시킴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조절 가능한 거리로 인해, 호이스트는 크기가 다른 주 지지구조들에 의해 지지되도록 매달릴 수 있다.
도 1 내지 4는, 호이스트의 대향 측면들 상에, 적어도 두 개의 배열된 베어링 휠들(5)을 항상 포함하고 있는, 베어링 휠 배열(3)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다. 호이스트의 동일 측면 상의 베어링 휠들(5)은 서스펜더(4)에 의해 지지 프레임 구조(2)에 부착되는 동일한 서스펜더 부분(26)에 임의 시점에 배치된다. 상기 베어링 휠들(5)에 의해 지지되어, 전체 호이스트는 주 지지구조(12)의 하부 플랜지의 상부면을 따라서 이동한다.
도 5는 베어링 휠 장치(3)의 실시 예를 도시하며, 여기서 그의 이동 방향으로 호이스트의 반대쪽에는 트롤리 플랜지들(27)이 배치되어 있고, 그 위에는 베어링 휠들(5)이 연결된다. 양쪽에는 항상 적어도 두 개의 베어링 휠들(5)이 존재한다. 베어링 휠들(5)은 트롤리 플랜지들(27)의 내부 측면 상에 주 지지구조(12)를 향하여 위치하고, 그에 의해 지지 되어 트롤리 플랜지들(27) 및 따라서 전체 호이스트는 주 지지구조(12)의 하부 플랜지의 상부 면을 따라 이동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으로써 작은 높이 치수의 호이스트가 달성되며, 이것은 호이스팅 높이를 확대시킨다. 도르래와 같은 상부 로프 구성 요소들의 주 지지구조까지의 거리는 본 해결책으로 작게 만들 수 있다.
호이스트의 프레임 구조는 그 호이스트가 간단하고 빠른 방식으로 주 지지 구조 상에 적응적으로 맞춰질 수 있게 한다. 주 지지구조의 반대쪽 측면 상에 구성된 베어링 휠과 그의 서스펜션 부품들, 또는 트롤리 플랜지들 사이의 거리는 지속적으로 조절 가능하다. 이것은 호이스트의 설치 기능성 및 유지보수 기능성을 향상시킨다.
플레이트들로 형성된 지지 프레임 구조는 종래의 프레임 구조물보다 더 낮은 중량을 갖는다. 이것 또한, 그 부품에 대해 호이스트의 설치 기능성과 유지보수 기능성을 향상시킨다.
1 호이스트의 프레임 부품; 2 지지 프레임 구조; 3 베어링 휠 배열; 4 서스펜더; 5 베어링 휠; 6 상부 도르래 배열; 7 지지 프레임 구조의 플레이트; 8 플레이트 상부; 9 간격; 10 축(axle); 11 도르래(sheave); 12 주 지지구조; 13 고정 지점(fastening point); 14 연결 지점(joining point); 15 스페이서; 16 상부; 17 중간 부분; 18 하부; 19 스크루 조인트; 20 호이스트 러그; 21 단부; 22 상부 보강 플레이트; 23 하부 보강 플레이트; 24 쐐기 부분(wedge part); 25 구획(compartment); 26 서스펜션 부분; 27 트롤리 플랜지; 28 축 조인트(axle joint); 29 쐐기 잠금장치(wedge locking); h 높이 방향; L 세로 방향; s 베어링 휠들 사이의 거리; x 이동 방향.
당해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이 많은 상이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 및 그 실시 예들은 전술한 예에 국한되지 않고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서 변할 수 있다.

Claims (12)

  1. 호이스트의 프레임 구조로서, 상기 프레임 구조(1)는, 지지 프레임 구조(2)와, 서스펜더들(4)에 의해 상기 지지 프레임 구조(2)에 고정되어 주 지지구조(12) 상에 호이스트를 지지하고 상기 호이스트를 상기 주 지지구조(12) 상에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베어링 휠 배열(3)을 포함하되, 상기 베어링 휠 배열(3)은 베어링 휠들(5)을 포함하고, 이 때 베어링 휠들(5) 사이의 상호 거리(s)는 이동 방향에 수직이며, 그리고 상기 지지 프레임 구조(2)에 고정된 상부 도르래 배열(6)을 포함하는 호이스트의 프레임 구조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 구조(2)는 서로 대향하여 일정 거리에 배치된 두 개의 플레이트들(7)을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8)는 서로에 대해 구부러져 있고, 상기 지지 프레임 구조(2)에는 두 개의 플레이트들(7)을 통과하는 축(10)이 배치되어 있되, 그 축 상에는 도르래(11)가 플레이트들(7) 사이에 배치되고,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의 구부러진 상부(8)는 상기 서스펜더들(4)에 의해 베어링 휠들(5) 사이의 상호 거리를 조절하기 위해 쐐기 잠금장치(29)에 의해 또는 볼트 잠금장치에 의해 상기 서스펜더들(4)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의 프레임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8)는 수평한 평면 내로 구부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의 프레임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 구조의 플레이트(7)는 그 플레이트가 실질적으로 L-자형이 되도록 구부러지고, 상기 지지 프레임 구조의 플레이트들(7)은 서로의 거울상(미러 이미지)의 프로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의 프레임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호이스트 로프를 위한 상기 지지 프레임 구조의 플레이트(7)의 중간 부분에 고정 지점(13)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의 프레임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호이스트 로프의 로프 드럼을 위한 상기 지지 프레임 구조의 플레이트(7)의 중간 부분에 결합 지점(14)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의 프레임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 구조의 두 개의 플레이트들(7)은 부싱(bushing)에 의해 서로 대향하여 일정 거리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의 프레임 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더(4)는 축 조인트(28)에 의해 베어링 휠 배열(3)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의 프레임 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더(4)는 스크루 조인트(19)에 의해 베어링 휠 배열(3)에 대해 그 중간 부분(17)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의 프레임 구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더(4)는 상부(16), 중간 부분(17) 및 하부(18)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18)는 상기 지지 프레임 구조(2)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중간 부분(17) 및 상부(16)는 상기 지지 프레임 구조의 플레이트들(7)의 구부러진 상부들(8) 사이에 형성된 간격(9)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의 프레임 구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더(4)의 중간 부분(17)에 고정된 상부 보강 플레이트들이 존재하고, 상기 서스펜더(4)의 하부(18)는 하부 보강 플레이트(23) 및 그 위의 쐐기 부분들(24)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지지 프레임 구조의 플레이트(7)의 구부러진 상부(8)는 상기 상부 보강 플레이트(22)와 상기 쐐기 부분들(24) 사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의 프레임 구조.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휠 배열(3)은 호이스트의 대향 측면 상에 항상 적어도 두 개의 배열된 베어링 휠들(5)을 포함하고, 상기 호이스트의 동일한 측면 상의 베어링 휠들(5)은 상기 서스펜더(4)에 의해 지지 프레임 구조(2)에 고정되는 동일한 서스펜션 부분(26) 상에 임의의 시점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의 프레임 구조.
  12.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휠 배열(3)은, 호이스트의 이동 방향으로, 그의 대향 측면들에 배치되고 베어링 휠들(5)을 갖는 트롤리 플랜지들(2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의 프레임 구조.
KR1020207019744A 2017-12-12 2018-12-12 호이스트의 프레임 구조 KR1026680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20176106A FI128022B (fi) 2017-12-12 2017-12-12 Nostimen runkorakenne
FI20176106 2017-12-12
PCT/FI2018/050908 WO2019115877A1 (en) 2017-12-12 2018-12-12 Frame structure of hois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7313A KR20200097313A (ko) 2020-08-18
KR102668023B1 true KR102668023B1 (ko) 2024-05-23

Family

ID=66819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9744A KR102668023B1 (ko) 2017-12-12 2018-12-12 호이스트의 프레임 구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1840429B2 (ko)
EP (1) EP3724122A4 (ko)
JP (1) JP7270627B2 (ko)
KR (1) KR102668023B1 (ko)
CN (1) CN111601768B (ko)
AU (1) AU2018382676B2 (ko)
FI (1) FI128022B (ko)
MX (1) MX2020005727A (ko)
RU (1) RU2745407C1 (ko)
WO (1) WO2019115877A1 (ko)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51308A (en) * 1925-08-25 I-beam traveler
US2905806A (en) * 1956-04-09 1959-09-22 Gilbert H Tunney Studio lighting system
US3974777A (en) * 1974-10-29 1976-08-17 Maxime Monne Rolling element for a handling equipment and equipments comprising such elements
JPS5627197Y2 (ko) * 1976-11-12 1981-06-29
JPS55172273U (ko) * 1979-05-31 1980-12-10
SU1081117A1 (ru) * 1982-12-24 1984-03-23 Всесоюзны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 проектно-конструкторский институт подъемно-транспортного машиностроения Грузоподъе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крана
DE3418800C1 (de) 1984-05-19 1985-08-29 Mannesmann AG, 4000 Düsseldorf Fahrwerk
FR2590881B1 (fr) * 1985-12-02 1988-09-02 Canalisations Indles Controles Dispositif de manutention motorise
US5669518A (en) * 1996-02-26 1997-09-23 Kundel; Robert Modular lift rail system
EP0845435B1 (de) * 1996-11-29 2003-03-26 Demag Cranes & Components GmbH Fahrwerk einer Hebevorrichtung
NL1008536C2 (nl) * 1998-03-09 1999-11-24 Shelter Engineering B V Fietsenlift en daarvan vooziene installatie voor het stallen van fietsen.
US6499408B1 (en) * 2002-04-02 2002-12-31 Robert Kundel, Sr. Rail support assembly for monorail crane
AUPS266002A0 (en) * 2002-05-30 2002-06-20 Mckay, Douglas Mcgregor A crane assembly
CN2775022Y (zh) * 2005-02-19 2006-04-26 山东起重机厂有限公司 一种桥式起重机
DE102005047205A1 (de) 2005-10-01 2007-04-12 Demag Cranes & Components Gmbh Vorrichtung zum Aufhängen einer Schiene, insbesondere einer Fahrschiene eines Hängeförderers oder eines Hebezeugs
DE102006039812B3 (de) 2006-08-25 2008-02-21 Demag Cranes & Components Gmbh Fahrwerk, insbesondere Einschienenunterflansch-Fahrwerk für Hebezeuge
FI122067B (fi) * 2008-06-25 2011-08-15 Konecranes Oyj Nostinkokoonpano
CA2795178C (en) * 2010-01-22 2018-06-12 Ray Givens Slant-truss crane rail
KR101085826B1 (ko) * 2010-02-26 2011-11-22 한국고벨주식회사 마찰차를 이용한 호이스트
DE202010015616U1 (de) * 2010-11-18 2012-03-01 Liebherr-Werk Ehingen Gmbh Kran
US9663331B2 (en) * 2010-12-22 2017-05-30 Konecranes Plc Lifting device with an adjustable carriage
JP5590420B2 (ja) 2011-12-21 2014-09-17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設備
KR101474267B1 (ko) * 2013-02-04 2014-12-18 세보테크 주식회사 주행 레일상에서의 미끄러짐 방지 기능을 갖는 호이스트
US10549958B2 (en) * 2014-05-30 2020-02-04 Kito Corporation Rope hoist
KR102016325B1 (ko) * 2017-11-22 2019-08-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리프팅 트롤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7313A (ko) 2020-08-18
CN111601768B (zh) 2022-09-06
US20210179394A1 (en) 2021-06-17
MX2020005727A (es) 2020-08-13
AU2018382676B2 (en) 2022-03-10
AU2018382676A1 (en) 2020-07-16
US11840429B2 (en) 2023-12-12
RU2745407C1 (ru) 2021-03-24
EP3724122A1 (en) 2020-10-21
BR112020011765A2 (pt) 2020-11-17
CN111601768A (zh) 2020-08-28
FI128022B (fi) 2019-08-15
EP3724122A4 (en) 2021-03-03
FI20176106A1 (fi) 2019-06-13
WO2019115877A1 (en) 2019-06-20
JP7270627B2 (ja) 2023-05-10
JP2021505495A (ja) 2021-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52889B2 (en) Method of installing a machine in an elevator system
JP2006515554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用の三角形状支持構造
TWI344444B (en) Pulley arrangement for elevators
KR102668023B1 (ko) 호이스트의 프레임 구조
EP2323942B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fixing the compensating ropes of an elevator
KR101996595B1 (ko)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KR102367807B1 (ko) 와이어 로프 호이스트를 위한 저-구조 트롤리
JP6404493B1 (ja) エレベータ装置の釣合いおもり及びエレベータ装置
JP3397733B2 (ja) エレベーター
CN110191856B (zh) 电梯装置
JP2022099775A (ja) 金車
JP2010275743A (ja) 壁パネルの固定構造
JP6732156B1 (ja) エレベータの返し車梁装置及びエレベータ
KR20130123978A (ko) 트롤리 전도 방지 장치
US6250484B1 (en) Counterweight for monorail hoists
KR102551158B1 (ko) 가변 편심 구체 양중틀
JP6881865B1 (ja) 巻上機ユニット及びその据付方法
KR200497769Y1 (ko) 건축 부재의 이동 및 설치를 위한 지지 구조체
KR101807298B1 (ko) 방음터널용 작업대차
KR20180000504U (ko) 가변형 빔 클램프
JP2017137154A (ja) エレベーター
RU2003637C1 (ru) Подвесной кран
KR200479069Y1 (ko) 트랜스포터용 하중분산 지그
JP2004345775A (ja) エレベータの返し車支持装置
JP2008050159A (ja) エレベータの錘保持装置および主ロープ緩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