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6118B1 - 유산균, 혈중 철 증가제, 및 빈혈 개선제 - Google Patents

유산균, 혈중 철 증가제, 및 빈혈 개선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6118B1
KR102656118B1 KR1020217005716A KR20217005716A KR102656118B1 KR 102656118 B1 KR102656118 B1 KR 102656118B1 KR 1020217005716 A KR1020217005716 A KR 1020217005716A KR 20217005716 A KR20217005716 A KR 20217005716A KR 102656118 B1 KR102656118 B1 KR 1026561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tic acid
acid bacteria
iron
bloo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5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8631A (ko
Inventor
아츠히사 니시무라
노리유키 아사이
토시히코 쿠마자와
Original Assignee
이치비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치비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치비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38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8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6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61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6Antianae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2035/11Medicinal preparations comprising living procariotic cells
    • A61K2035/115Probio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46Streptococcus ; Enterococcus; Lactococc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ycology (AREA)
  • Diabet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식품적성이 높고, 제조가 용이하며, 또한 혈중 철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빈혈을 개선할 수 있는 유산균을 제공한다. 혈중 철 농도를 증가시키는 내염성을 갖는 유산균.

Description

유산균, 혈중 철 증가제, 및 빈혈 개선제
본 발명은 유산균, 혈중 철 증가제, 및 빈혈 개선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식품 적성이 높고, 제조하기 쉬우며 또한, 혈중 철 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어 빈혈을 개선할 수 있는 유산균, 혈중 철 증가제, 및 빈혈 개선제에 관한 것이다.
평성 28년 국민 건강·영양 조사의 결과에 의하면, 대부분의 영양소의 평균 섭취량은 추정 필요량을 웃돌고 있지만, 성인 여성(월경 있음)의 철분(철)은 여전히 부족한 것이 현 상황이다.
철분의 부족이 계속되면, 우선, 혈청 페리틴을 주로 한 저장철이 저하되고, 그 후, 헤모글로빈량의 저하, 혈청 철량의 저하를 일으켜서, 철 결핍성 빈혈에 도달한다.
저장 철이 저하되고 있는 상태는, 빈혈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잠재성 철결핍(이른바 「숨은 철부족」)이라고 하며, 병은 아니지만, 「어딘지 모르게 쉽게 피곤하다」, 「일의 효율이 나쁘다」, 「의욕이 없다」라는 신체의 부진(부정 수소(愁訴))의 원인이 되고 있는 경우가 있다. 또, 최근 연구에서는, 저장 철이 저하되고 있는 상태는, 불면이나 우울증상과의 관련도 있다고 말해지고 있다. 이러한 「숨은 철부족」은, 여성의 사회 진출이 진행되고 있는 현대에 있어 매우 큰 문제가 되고 있다.
철분의 부족의 원인으로서는, 식생활의 편향 등의 문제가 알려져 있다. 그리고, 이 철분의 부족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식생활을 개선하여 올바른 식생활을 보내는 것이 중요하다. 식생활의 개선에는, 흡수율이 좋은 철(헤모철)이 풍부한 축육이나 어육 등 동물성 식품을 적극적으로 섭취하고, 흡수율이 낮은 철(비헤모철)을 많이 포함한 야채, 콩, 해조 등은, 흡수를 높이는 비타민을 많이 포함한 야채류와 함께 섭취하는 것 등이 중요하다.
그러나, 철부족 경향이 있는 여성은, 일반적으로 채식 경향이 강하기 때문에, 동물성 식품의 섭취를 늘리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또, 습관적인 동물성 식품의 과잉 섭취는, 비만을 초래하기 쉽고, 동맥 경화나 뇌경색 등 생활 습관병의 발증 리스크를 증가시킨다는 문제도 있다.
이와 같이, 식생활의 개선은 용이한 것은 아니다. 따라서, 철부족의 증상이 진행되었을 경우에는, 철제의 복용이 효과적이다. 그러나, 철제의 복용은, 그 부작용으로서 복통, 오심(惡心), 구토, 설사, 변비 등 주로 위장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으므로, 철제는 안이하게 복용해도 좋은 것은 아니다. 또, 철제의 복용 시에는, 철의 흡수 효과를 높이기 위해, 비타민 C를 병용하기도 하지만, 비타민 C는 위산으로 분해되기 때문에, 1000mg/회와 같이 대량으로 섭취하지 않으면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의외로 스포츠 선수도 빈혈(이른바 스포츠 빈혈)로 고생하는 경우가 많고, 이것은 스포츠 선수에 있어서 내과적 질환으로서 가장 자주 인정되는 것의 하나이다.
스포츠 빈혈의 원인은, (1) 스포츠 선수는 활동량이 많아 철분도 많이 필요하지만, 운동 중 땀에 의해서, 철분이 없어져 버리는 것(철 결핍성 빈혈), (2) 혈액 중의 적혈구가, 물리적으로 파괴되어 일어나는 빈혈(운동성 용혈성 빈혈)이 있다. 이 운동성 용혈성 빈혈은, 특히 다리 뒤에 강한 충격이 걸리는 경기(마라톤, 육상 등의 장거리 경기, 발리볼, 축구, 농구, 가라테, 검도 등)에서 생기기 쉽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스포츠 빈혈의 대책으로서 철제의 처방(정제 복용, 철제의 주사(철제 주사)등)를 실시해 왔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체내의 철분은 그 대부분이 헤모글로빈으로서 적혈구 안에 있으며, 전신에 산소를 운반하는 책임을 다하고 있다.
지구(持久)계의 운동(지구력을 필요로 하는 운동)의 경우, 에너지를 만들어 내기 위해서, 운동 처음에는 포도당을 사용하지만, 그 후, 지방이나 근육 중의 글리코겐을 사용한다. 이러한 에너지 산생을 위해서는 산소가 필요하다(이른바 유산소 운동을 실시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 때, 헤모글로빈(혈중 철분)이 많으면 전신에 효율적으로 산소를 옮길 수 있기 때문에, 지구력의 상승으로 이어지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중고생 연대의 경기자를 지도하는 지도자가, 경기력 향상을 목적으로서 경기자(선수)에게 사용시키거나 실업단 등의 선수 자신이 경기력 향상을 목적으로 사용하거나 하는 실태가 있었다.
그러나, 과잉 철분 섭취는, 간장 등의 기능 장해 등을 일으키는 염려가 있어, 일본 육상경기연맹은, 빈혈 대책에 사용되어 온 「철제 주사」를 원칙적으로 금지로 하는 지침을 냈다.
이러한 배경으로부터, 철의 이용 효율을 올리고, 부작용이 없는 혈중 철 증가제 및 빈혈 개선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었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혈중 철 증가제」란, 혈액 중의 철분(헤모글로빈으로 대표되는 헤모철, 페리틴이나 헤모시데린과 같은 저장철, 혈청철을 포함한다)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갖는 물질을 의미한다.
여기서, 부작용이 없는 혈중 철 증가제 및 빈혈 개선제의 성분으로서 유산균을 사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으며, 예를 들면, 락토바실루스·아시도필루스에 속하는 유산균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발효유를 포함한 철 결핍성 빈혈 치료용 조성물 등이 보고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이 유산균은, 종래, 식품을 통해 섭취되어 온 것이므로 인체에 대한 안전성이 높고, 부작용의 염려가 낮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유산균은, 옛부터 발효식품의 생산 등에 이용되며, 이 발효식품을 통해 섭취되는 것이 실시되고 있다. 그리고, 유산균에는, 여러가지 작용이 있는 것이 알려져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정장 작용·장내 세균총개선, 콜레스테롤 저감, 항비만 효과, 인지 기능 개선 효과, 미용 효과 등이 보고되어 있다. 또, 유산균은, 면역 개선(알레르기 개선, 암예방, 감염 방어) 효과가 있다는 것도 알려져 있다.
특허 문헌 1 JP H07-53391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철 결핍성 빈혈 치료용 조성물은, 그 제조시에, 상기 유산균을 이용하여 발효유를 조제하는 공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발효를 위한 설비나 시간도 필요하다. 또한,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철 결핍성 빈혈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에 이용하는 유산균 자체도, 그 생육 시에는 환경을 충분히 정리할 필요가 있거나 엄밀한 배양액의 처리가 필요하거나 하는 등 제조에 수고나 제조 비용이 든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혈중 철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빈혈을 개선할 수 있는 것이며, 배양이 용이한 유산균, 이 유산균을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효과를 가지면서 제조가 간편한 혈중 철 증가제 및 빈혈 개선제의 개발이 절망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혈중 철농도를 증가시켜서 빈혈을 개선할 수 있는 유산균, 이 유산균을 포함한 혈중 철 증가제, 및, 상기 유산균을 포함한 빈혈 개선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하에 나타내는 유산균, 혈중 철 증가제, 및 빈혈 개선제가 제공된다.
[1]혈중의 철농도를 증가시키는, 내염성을 갖는 유산균.
[2]된장의 양조 공정에서 단리되는 상기[1]에 기재된 유산균.
[3]염분 농도 12w/v%인 배지에서 배양했을 때의 증식 배율이 30배 이상이 되는 상기[1]또는[2]에 기재된 유산균.
[4]테트라제노코커스·할로필루스인, 상기[1]∼[3]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유산균.
[5]수탁 번호 NITE BP-02318의 유산균, 또는 수탁 번호 NITE BP-03010의 유산균인 상기[1]∼[4]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유산균.
[6]상기[1]∼[5]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유산균을 함유하는 혈중 철 증가제.
[7] 상기[1]∼[5]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유산균을 함유하는 빈혈 개선제.
본 발명의 유산균은, 식품 적성이 높고(즉, 안전성이 높고), 배양이 간단하기 때문에 제조하기 쉽다. 또한, 본 발명의 유산균은 혈중의 철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어 빈혈을 개선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혈중 철 증가제는, 본 발명의 유산균을 포함하는 것이기 때문에, 식품 적성이 높고(즉, 안전성이 높고) 또한 제조하기 쉬우며, 또한, 혈중 철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어 빈혈을 개선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빈혈 개선제는, 본 발명의 유산균을 포함하는 것이기 때문에, 식품 적성이 높고(즉, 안전성이 높고) 또한 제조하기 쉬우며, 또한, 혈중 철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어 빈혈을 개선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의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당업자의 통상의 지식에 근거하여, 이하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 적절히 변경, 개량 등이 더해진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는 것으로 이해되는 것이 당연하다.
[1]유산균:
본 발명의 유산균은, 혈중 철농도를 증가시키는, 내염성을 갖는 유산균이다.이 유산균은, 식품 적성이 높고(즉, 안전성이 높고), 배양이 간단하기 때문에 제조하기 쉽다. 또한, 본 발명의 유산균은, 혈중 철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어 빈혈을 개선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유산균은, 테트라제노코커스·할로필루스로 할 수 있다. 「혈중 철농도」는, 혈청철의 농도, 저장철(페리틴, 헤모시데린 등), 헤모글로빈으로 대표되는 헤모철의 농도를 의미한다.
여기서,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철 결핍성 빈혈 치료용 조성물은, 발효유를 함유하는 것이며, 이 발효유를 제조할 때에 소정의 유산균을 이용한다. 이 때문에, 해당 유산균 자체가 철의 흡수에 관여하는 것에 대하여는 개시가 되어 있지 않다. 한편, 본 발명은 소정의 유산균이 상기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 통상의 유산균(내염성을 갖지 않은 유산균)을 상업적으로 생산하는 경우에는, 균체의 농축이나 정제, 배양액의 처리(예를 들면, 오토클레이브 상당에 따른 살균) 등이 필요하다. 또한, 배양 시에는, 잡균 등의 오염균이 혼입하지 않는 듯한 환경 하를 유지할 필요가 있으며, 제조에 있어서의 수고나 제조비용이 든다. 한편, 본 발명의 유산균은 내염성을 갖는 것이기 때문에, 오염균이 증식하기 어려운 환경인 염분 농도의 높은 환경 하에서의 배양이 가능하고, 오염균의 증식을 억제한 상태에서의 배양이 용이하다.
본 명세서에서, 「혈중 철농도를 증가시킨다」란, 계속적으로 유산균을 경구 섭취하는 것에 의해서, 섭취 전후에 대해 혈중 철농도가 증가하는 것을 말한다. 「혈중 철농도를 증가시킨다」는 경우란, 구체적으로는, 혈중 철농도가 유의하게 증가한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Wilcoxon 부호 첨부 순위 검정에 의해 검정을 실시한 바 위험률(유의 수준) 5% 이하로 유의차가 있도록, 혈중 철농도를 증가시키는 능력을 갖는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내염성을 갖는다」란, 염분 농도가 높은(구체적으로는, 염분 농도 11w/v%이상) 배지에서의 배양이 가능한 성질을 갖는 것을 말한다. 내염성의 정도로서는, 염분 농도 12w/v%인 배지에서 배양했을 때의 증식 배율이 30배 이상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산균은, 예를 들면, 된장(특히 쌀된장)의 양조 공정에서 단리된것으로 할 수 있다. 쌀된장의 양조 공정에서 단리된 내염성을 갖는 유산균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상품명 「장화 유산균 LTK-1」(이치비키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또, 「된장의 양조 공정에서 단리되는」유산균이란, 된장 양조 공정에 있어서의 「창고」, 「방」, 「통」 등에 정착하고 있는 내염성을 갖는 유산균을 말한다. 또한, 된장의 사입에서부터 숙성 공정에서 증식 가능한 균을 말한다. 이 「된장의 양조 공정에서 단리되는」유산균은, 된장에 포함되는 내염성 유산균(즉, 된장 유산균)이라고 할 수도 있고, 환언하면, 된장 유래의 내염성의 유산균(즉, 된장을 기원으로 하는 내염성의 유산균)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된장의 양조 공정에서 단리되는」유산균이란, 된장의 양조 공정에서 단리한 그것으로 한정하지 않고, 된장의 양조 공정에서 단리되고, 그 후에 배양(계대 배양)된 것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유산균은, 상술한 바와 같이, 혈중 철농도를 증가시키고, 내염성을 갖는 유산균인 한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면, 수탁 번호 NITE BP-02318의 유산균, 수탁 번호 NITE BP-03010의 유산균(ICK-3주), 후술하는 실시예 4에 기재된, ICK-4주, ICK-5주, No.185주, No.259주, No.448주를 들 수 있으며, 이와같은, 수탁 번호 NITE BP-02318의 유산균, 수탁 번호 NITE BP-03010의 유산균, 후술 하는 실시예 4에 기재된, ICK-4주, ICK-5주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내염성을 갖는 유산균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테트라제노코커스·할로필루스를 들 수 있다.
또한, 수탁 번호 NITE BP-02318의 유산균은, 2016년 8월 3일(국내 기탁일)에, 독립 행정법인 제품 평가 기술 기반 기구의 특허 미생물 기탁 센터(NPMD)에 기탁되어, 2017년 9월 6일에, 부다페스트 조약에 근거하는 국제 기탁에 이관되어 있다. 또, 수탁 번호 NITE BP-03010의 유산균은, 2019년 8월 5일에, 독립 행정법인 제품 평가 기술 기반 기구의 특허 미생물 기탁 센터(NPMD)에 국제 기탁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산균은, 사균체거나 생균체일 수도 있다.
[2] 본 발명의 유산균의 배양 방법:
본 발명의 유산균의 배양 조건은,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면 염분 농도 11∼18w/v%의 배지에서 배양할 수 있고, 염분 농도 11∼16w/v%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2∼14w/v%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w/v%」는, (질량(g)/체적(100mL))%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조건으로 배양하면, 다른 세균(잡균 등의 오염균)은 증식하기 어렵고, 한편, 본 발명의 유산균은 배양 가능하기 때문에 간편하면서도 양호하게 본 발명의 유산균을 주로 하여 배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범위의 염분 농도로 배양하면, 내염성을 갖지 않는 오염균에 대해서는 증균을 방지하고, 한편, 내염성 스타필로 코쿠스속세균 등과 같이 내염성을 갖는 세균(내염성 오염균) 보다 증균속도가 빨라진다. 즉, 내염성을 갖는 오염균과의 관계에서도, 상기 오염균이 증식하기 전에 배양을 종료시켜 회수할 수 있다. 염분 농도 11w/v% 미만의 배지에서 배양하면, 오염균이 증식하기 쉬워져서, 충분한 수량을 확보하는 것이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또, 염분 농도 18w/v%초과의 배지에서 배양하면, 오염균이 더욱 증식하기 어려워지지만, 필요한 수량을 얻기 위해서는 배양 날짜가 길어져서, 내염성 오염균이 증식해 버리게 된다.
이상과 같이, 상기 염분 농도의 배지에서 배양하면, 밀폐계의 무균배양 장치 등이 특별한 장치를 사용하는 일 없이 간단하고 쉬운 개방계의 배양 장치(단, 살균·보온을 할 수 있는 것)에서도, 효율적으로 또한 다량으로 본 발명의 유산균을 배양할 수 있다.
배양 온도는 20∼40℃가 바람직하고, 28∼37℃가 더욱 바람직하다. 배양 시간은 24∼120시간 정도이며, 배양 중에 교반할 수 도 있다. 또, 배지의 pH는 5∼9가 바람직하고, 6∼7이 더욱 바람직하다.
배지로서는, 질소원 및 탄소원을 함유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질소원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면, 간장, 된장, 고기 엑기스, 펩톤, 글루텐, 카제인, 효모 엑기스, 아미노산 등을 들 수 있다. 또, 탄소원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면, 글루코오스, 국소화액, 쌀의 당화액, 수크로스, 전분, 분이, 글리세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질소원 및 탄소원 외에, 무기질로서 예를 들면, 초산나트륨, 마그네슘, 망간, 철 등의 무기염 등을 함유하고 있을 수 있고, 비타민류 등을 함유할 수도 있다.
[3]본 발명의 유산균의 조제 방법:
본 발명의 유산균은 배양 후, 살균 등의 처리를 실시하여 조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배양 종료 후, 원심분리 등의 수단에 의해 식염을 포함한 배지 성분을 제거하고, 세정·정제한다. 그리고, 가열 살균을 실시하고, 그 후, 동결건조·감압 건조·열풍 건조 등의 수단에 의해 건조·농축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유산균을 조제할 수 있다.
또한, 가열 살균은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구체적으로는 오토클레이브 살균(121℃, 20분) 또는 동일한 정도의 살균이 바람직하다.
[4]유산균의 섭취 기간:
본 발명의 유산균은 2주간 이상의 섭취를 계속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4주간 이상의 섭취를 계속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5]혈중 철 증가제:
본 발명의 혈중 철 증가제는, 본 발명의 유산균을 함유하는 것이며, 일정기간 섭취하는 것으로, 혈중의 철 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유산균은, 내염성이기 때문에 배양하기 쉽기 때문에, 상기 유산균을 사용하는 본 발명의 혈중 철 증가제는, 그 제조가 용이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의 혈중 철 증가제는, 본 발명의 유산균을 함유하는 것에 의해서, 혈중의 철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그 결과적으로 빈혈을 개선할 수 있다는 효과도 발휘하는 것이다.
[5-1]유산균:
본 발명의 혈중 철 증가제는, 상술한 본 발명의 유산균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이다. 이 유산균을 채용하는 것에 의해서, 혈중의 철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그 결과적으로 빈혈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유산균을 채용하는 것에 의해서, 안전성이 높고, 제조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유산균으로서는, 1종의 균주를 함유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의 균주를 함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혈중 철 증가제는, 본 발명의 유산균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한 그 함유 비율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회당 균수로 100억개(약 2.5mg 상당)∼5조개(약 1.25g 상당) 정도 섭취하도록, 본 발명의 유산균을 함유시킬 수 있다. 혈중 철 증가제는, 의약품이나 서플리먼트로서 식전 또는 식후에 경구 섭취하면 좋다.
본 발명의 혈중 철 증가제는, 본 발명의 유산균의 배양 방법으로 얻을 수 있는 배양물, 균체 또는 균체 성분을 함유할 수도 있다.
[5-2]그 외의 성분:
본 발명의 혈중 철 증가제는, 본 발명의 유산균(또는, 배양물 등을 포함하는 것)만으로 구성되어 있을 수 있고, 본 발명의 유산균 이외에 그 외의 성분을 함유할 수도 있다.
그 외의 성분으로서는, 의약품, 의약 부외품, 음식품 등의 용도에 맞추어 적당 배합되는 성분을 채용할 수 있다.
의약품, 의약 부외품의 경우, 그 외의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부형제, 피막제, 결합제, 증량제, 붕괴제, 계면활성제, 활택제, 희석제, 분산제, 완충제, 침투압 조정제, pH조정제, 유화제, 방부제, 안정제, 산화 방지제, 착색제, 자외선 흡수제, 보습제, 증점제, 활성 증강제, 항염증제, 살균제, 교미제, 교취제 등을 들 수 있다. 또, 철염과의 병용도 효과적이다. 철염으로서는, 무기철염, 유기철염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해치지 않는 이상 본 발명의 유산균 이외의 유효 성분이나 약리 성분을 함유할 수도 있다.
음식품의 경우, 그 외의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감미료, 산미료, 탄산 가스, 무기 염류, 향료, 과즙, 비타민, 산화 방지제, 에스테르류, 색소, 유화제, 보존료, 조미료, 야채 엑기스, 꿀엑기스, 품질 안정제, 고미(苦味) 억제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음식품의 경우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목적을 해치지 않는 이상 본 발명의 유산균 이외의 유효 성분이나 약리 성분을 함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혈중 철 증가제는, 임의의 형태(경구 섭취의 형태나 비경구 섭취의 형태)로 섭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경구 섭취하는 경우, 정제, 피복 정제, 과립제, 가루약, 캅셀제와 같은 고형상의 형태, 엘릭시르(elixir), 시럽과 같은 액체상의 형태 등을 들 수 있다.
[6] 혈중 철 증가제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혈중 철 증가제는, 예를 들면, 유산균 준비 공정과 원료 조제 공정을 구비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제법에 의해, 간편하게 혈중 철 증가제를 제조할 수 있다. 이 방법은,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철 결핍성 빈혈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과 비교하여, 유산균을 이용하여 발효유를 얻는 공정이 불필요하고, 발효를 위한 시간이나 설비 등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간편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또, 유산균 자체에 대해서도, 내염성을 갖는 것이기 때문에, 배양이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유산균 준비 공정은, 상술한 본 발명의 유산균을 준비하는 공정이다. 상기 유산균은, 종균을 입수하여, 이 종균을 상술한 방법으로 배양하는 것으로 준비할 수도 있고, 시판의 유산균(예를 들면, 상품명 「장화유산균 LTK-1」(이치비키사 제조)을 구입 등 하여 준비할 수도 있다.
원료 조제 공정은, 유산균 준비 공정에서 준비한 본 발명의 유산균과 필요에 따라서 그 외의 성분을 혼합하고, 혈중 철 증가제의 원료를 조제하는 공정이다.
또한, 본 발명의 혈중 철 증가제를 본 발명의 유산균(또는, 배양물 등을 포함하는 것)만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본 공정은 불필요하다. 이 점,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철 결핍성 빈혈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서는, 발효유와 철염을 혼합하여 원료를 조제할 필요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유산균 등만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본 공정이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이 점에 대해서도 제조가 용이해진다.
정제와 같은 고형상의 형태의 경우, 원료 조제 공정의 뒤에, 고형상의 형태를 형성하기 위한 공정(상태 형성 공정)을 채용할 수도 있다.
[7]혈중 철 증가제의 섭취 기간:
본 발명의 혈중 철 증가제는, 2주간 이상의 섭취를 계속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4주간 이상의 섭취를 계속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8]빈혈 개선제:
본 발명의 빈혈 개선제는, 본 발명의 유산균을 함유하는 것이며, 일정기간 섭취하는 것으로, 혈중의 철농도를 증가시키고, 그 결과, 빈혈(특히, 철 결핍성 빈혈)을 개선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유산균은 내염성이기 때문에 배양하기 쉽기 때문에, 상기 유산균을 사용하는 본 발명의 빈혈 개선제는, 그 제조가 용이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의 빈혈 개선제는, 본 발명의 유산균을 함유하는 것에 의해서, 혈중의 철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그 결과적으로 빈혈을 개선할 수 있다는 효과도 발휘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빈혈 개선제는, 본 발명의 유산균을 함유하는 것이지만, 본 발명의 혈중 철 증가제를 함유하는 것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1회당의 균수로 100억개(약 2.5mg 상당)∼5조개(약 1.25g 상당) 정도 섭취하도록, 본 발명의 유산균을 함유시킬 수 있다. 빈혈 개선제는, 의약품이나 서플리먼트로서 식전 또는 식후에 경구 섭취할 수 있다.
[8-1]유산균:
본 발명의 빈혈 개선제는, 상술한 본 발명의 유산균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 하는 것이다. 이 유산균을 채용하는 것에 의해서, 혈중의 철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어 그 결과적으로 빈혈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빈혈 개선제는, 상기 유산균을 채용하는 것에 의해서, 안전성이 높고, 제조가 용이해진다. 또한, 유산균으로서는, 1종의 균주를 함유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의 균주를 함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빈혈 개선제는, 본 발명의 유산균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한 그 함유 비율은 특별히 제한은 없고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빈혈 개선제는, 본 발명의 유산균의 배양 방법으로 얻어지는 배양물, 균체 또는 균체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8-2]그 외의 성분:
본 발명의 빈혈 개선제는 본 발명의 유산균(또는, 배양물 등을 포함하는 것)만으로 구성되어 있을 수 있고, 본 발명의 유산균 이외에 그 외의 성분을 함유 할 수도 있다.
그 외의 성분으로서는, 의약품, 의약 부외품, 음식품 등의 용도에 맞추어 적절히 배합되는 성분을 채용할 수 있다.
의약품, 의약 부외품의 경우, 그 외의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부형제, 피막제, 결합제, 증량제, 붕괴제, 계면활성제, 활택제, 희석제, 분산제, 완충제, 침투압 조정제, pH조정제, 유화제, 방부제, 안정제, 산화 방지제, 착색제, 자외선 흡수제, 보습제, 증점제, 활성 증강제, 항염증제, 살균제, 교미제, 교취제 등을 들 수 있다. 또, 철염과의 병용도 효과적이다. 철염으로서는, 무기철염, 유기철염 중어느 하나일 수 있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해치지 않는 이상 본 발명의 유산균 이외의 유효 성분이나 약리 성분을 함유할 수도 있다.
음식품의 경우, 그 외의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감미료, 산미료, 탄산 가스, 무기 염류, 향료, 과즙, 비타민, 산화 방지제, 에스테르류, 색소, 유화제, 보존료, 조미료, 야채 엑기스, 꿀엑기스, 품질 안정제, 고미 억제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음식품의 경우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목적을 해치지 않는 이상 본 발명의 유산균 이외의 유효 성분이나 약리 성분을 함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빈혈 개선제는, 임의의 형태(경구 섭취의 형태나 비경구 섭취의 형태)로 섭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경구 섭취하는 경우, 정제, 피복 정제, 과립제, 가루약, 캅셀제와 같은 고형상의 형태, 엘릭시르, 시럽과 같은 액체상의 형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빈혈 개선제는, 상술한 본 발명의 혈중 철 증가제와 상기 그 외의 성분을 혼합해 제작할 수도 있고, 본 발명의 혈중 철 증가제를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다(즉, 본 발명의 혈중 철 증가제만으로부터 구성할 수도 있다).
[9]빈혈 개선제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빈혈 개선제는, 본 발명의 혈중 철 증가제의 제조 방법과 같은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유산균 준비 공정과 원료 조제 공정을 구비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법에 의해, 간편하게 빈혈 개선제를 제조할 수 있다. 이 방법은,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철 결핍성 빈혈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과 비교하여 유산균을 이용하여 발효유를 얻는 공정이 불필요하고, 발효를 위한 시간이나 설비 등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간편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또, 유산균 자체에 대해서도, 내염성을 갖는 것이기 때문에, 배양이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유산균 준비 공정은, 상술한 본 발명의 유산균을 준비하는 공정이다. 상기 유산균은 종균을 입수하고, 이 종균을 상술한 방법으로 배양하는 것으로 준비할 수도 있고, 시판의 유산균(예를 들면, 상품명 「장화유산균 LTK-1」(이치비키사 제조)을 구입 등하여 준비할 수도 있다.
원료 조제 공정은, 유산균 준비 공정에서 준비한 본 발명의 유산균과 필요에 따라서 그 외의 성분을 혼합하고, 빈혈 개선제의 원료를 조제하는 공정이다.
또한, 본 발명의 빈혈 개선제를 본 발명의 유산균(또는, 배양물 등을 포함하는 것)만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본 공정은 불필요하다. 이 점,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철 결핍성 빈혈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서는, 발효유와 철염을 혼합하여 원료를 조제할 필요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유산균 등만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본 공정이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이 점에 대해서도 제조가 용이하게 된다.
정제와 같은 고형상의 형태의 경우, 원료 조제 공정의 뒤에, 고형상의 형태를 형성하기 위한 공정(상태 형성 공정)을 채용할 수도 있다.
[10]빈혈 개선제의 섭취 기간:
본 발명의 빈혈 개선제는, 2주간 이상의 섭취를 계속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4주간 이상의 섭취를 계속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근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20세 이상에서 45세 이하의 건강한 일본인 20명을 대상으로, 유산균의 섭취전, 섭취 후(14일째, 28일째)에 있어서의 혈청 중의 철 농도(혈청 철농도)를 측정했다. 또한 혈청 철농도는 비색법을 이용하여 측정했다.
섭취 방법은 유산균으로서 본 발명의 유산균(구체적으로는, 수탁 번호 NITE BP-02318의 유산균)인 상품명 「장화유산균 LTK-1」(이치비키사 제조)을 포함한 정제(혈중 철 증가제, 빈혈 개선제)를, 1일 10정(「장화유산균 LTK-1」을 1250mg 함유한다) 물과 함께 경구 섭취하는 것으로 했다. 섭취 기간은, 28일간으로 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상품명 「장화유산균 LTK-1」의 섭취에 의한 안전성에 대해서도 확인하여, 인과관계가 인정되는 유해 사상은 확인되지 않았다.
경구 섭취한 정제의 성분은, 이하와 같다. 상품명 「장화유산균 LTK-1」이 41.7질량%, 덱스트린이 39.0질량%, 분말 셀룰로오스가 15.0질량%,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가 2.0질량%, 미립 이산화 규소가 2.0질량%, 셀락 0.3질량%이었다.
표 1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산균을 포함한 정제(혈중 철 증가제, 빈혈 개선제)를 섭취하기 전에 비해, 섭취한 후 (섭취 개시부터 14일째, 28일째)의 혈청 철농도가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 결과로부터는, 본 발명의 유산균을 포함하는 것(혈중 철 증가제, 빈혈 개선제)은, 혈청 철농도를 양호하게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때문에, 빈혈(특히, 철 결핍성 빈혈)의 개선에 효과를 발휘하는(빈혈 개선제로서 이용 가능하다)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결과에 대해서, 유의차의 유무의 확인을 실시했다. 이 유의차는, Wilcoxon 부호 첨부 순위 검정에 의해서 확인을 실시했다. 위험률(유의 수준) 5%이었다.
(유산균의 내염성 평가)
배지의 염분 농도를 12w/v%로 한 경우에서, 상품명 「장화유산균 LTK-1」, 수탁 번호 NITE BP-03010의 유산균(이하, 「ICK-3주」또는 「ICK-3」이라고 적기도 함), 「ICK-4주」(「ICK-4」라고 적기도 함), 및, 「ICK-5주」( 「ICK-5」라고 적기도 함)을 대상으로 하여, 증식 배율의 시험을 실시했다. 이하에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배지)
질소원 및 미량 미네랄분으로서 간장(이치비키사 제조의 상품명 「진간장」), 탄소원으로서 포도당(칸토카가쿠사 제조)을 사용하고, 그 외의 원료로서는, 식염(칸토카가쿠사 제조)과 물을 사용했다. 이와 같이 하여 식품 원료만으로부터 이루어진 배지를 작성했다.
상기 배지는, 구체적으로는, 진간장이 20w/v%, 포도당이 1.7w/v%, 염분 농도가 12w/v%가 되도록, 진간장, 포도당, 및 식염을 물과 혼합하고 그 후, 식품첨가물의 수산화 나트륨(칸토카가쿠사 제조)으로 pH가 7.0이 되도록 조정한 것을 이용했다.
제작한 배지를 시험관(직경 18mm×180mm)에 10mL 넣고, 실리코센(등록상표)으로 마개를 한 후, 121℃, 15분간 오토클레이브에서 멸균 처리했다.
(배양)
계대 배양을 상정하고, 상기 배지에서 배양해 둔 유산균을 1v/v% 첨가했다. 이 때 처음 균수는 1.0×107cfu/mL였다. 이것을 30℃의 항온기 안에서 20시간 정치 배양했다.
(생균수의 측정)
정치 배양 후, 생균수의 측정을 실시했다. 생균수의 측정은, 「10 SG10N 평판 배지」에 희석균액을 도포한 후, 배양(30℃에서 4일간, 혐기 배양)하고, 그 후에 콜로니수를 계측하는 것으로 실시하였다.
「10SG10N 평판 배지」는, 간장(이치비키사 제조의 상품명 「진간장」) 10v/v%, 포도당 1.0w/v%, 효모 엑기스 1.0w/v%, 폴리펩톤 0.5w/v%, 초산나트륨3수화물 0.2w/v%, 염화나트륨 10w/v%, 「Tween80」0.0025w/v%, 황산마그네슘7수화물 0.02w/v%, 유산망간4수화물 0.001w/v%, 황산철7수화물 0.001w/v%를 함유하는, pH6.8, 한천 2w/v%의 것이었다.
20시간 배양 후의 균수를 초발균수로 나눈 값(20시간 후의 균수/초발균수)을 20시간의 증식 배율(배/20시간)로서 산출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본 발명의 유산균은, 모두, 염분 농도 12 w/v%에서도 왕성하게 증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통상 이러한 염분 농도의 높은 조건에서는 다른 세균(잡균 등의 오염균)은 증식하는 것이 어려운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오히려 높은 염분 농도의 조건에서 유산균을 배양하는 것에 의해서, 오염균이 혼입했다고 해도 우선적으로 본 발명의 유산균이 배양되게 되어, 용이하게 배양물을 얻을 수 있다.
(실시예 2)
22∼27세의 건강한 실업단의 장거리 경기자 9명을 대상으로, 유산균의 섭취전(2개월 전, 4개월 전, 6개월 전), 섭취 후(2개월 후, 4개월 후)에 있어서의 혈액 검사를 실시했다. 이 혈액 검사는, 상기와 같이 2개월에 1회 실시했다.
혈액 검사의 검사 항목 중, 헤모글로빈, 혈청철, 및, 페리틴에 대해서, 유산균의 섭취전과 섭취 후의 결과를 표 3∼표 6에 나타낸다. 표 3∼표 5 중, 「섭취 개시 전의 평균값」은, 유산균의 섭취전에 3회 실시한 혈액검사(섭취 개시 2개월전, 4개월전, 6개월 전에 실시)의 각자의 평균값을 평균한 것을 나타낸다. 또, 「섭취 개시 후의 평균값」은, 유산균의 섭취 후에 2회 실시한 혈액검사(유산균의 섭취 개시부터 2개월째 및 4개월째에 실시)의 각자의 평균값을 평균한 것을 나타낸다.
또, 표 6 중, 「섭취 개시 전의 평균값」은, 유산균의 섭취전에 3회 실시한 혈액검사(섭취 개시의 2개월 전, 4개월전, 6개월 전에 실시)의 각자(A∼I)의 평균값을 나타낸다. 또, 표 6중, 「섭취 개시 2월 후」는, 유산균의 섭취 개시부터 2개월째에 실시한 혈액검사의 각자(A∼I)의 결과를 나타낸다. 「섭취 개시 4월 후」는, 유산균의 섭취 개시부터 4개월째에 실시한 혈액검사의 각자(A∼I)의 결과를 나타낸다.
유산균의 섭취 방법은, 유산균으로서 본 발명의 유산균(구체적으로는, 수탁 번호 NITE BP-02318의 유산균)인 상품명 「장화유산균 LTK-1」(이치비키사 제조)을 포함한 정제(혈중 철 증가제, 빈혈 개선제)를, 1일 2정(「장화유산균 LTK-1」을 250mg 함유한다)을 물과 함께 경구 섭취하는 것으로 했다. 섭취 기간은, 상기와 같이 4개월이다. 또한 시험 중의 식사는, 평상시와 변함없는 통상의 식사를 섭취했다.
경구 섭취한 정제의 성분은 이하와 같다. 상품명 「장화유산균 LTK-1」이 41.7질량%, 덱스트린이 39.0질량%, 분말 셀룰로오스가 15.0질량%,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가 2.0질량%, 미립 이산화 규소가 2.0질량%, 셀락 0.3질량%이었다.
혈액검사의 결과를, 이하의 표 3∼표 6에 나타낸다. 표 3에는 혈청 철농도의 변화를 나타낸다. 표 4에는, 페리틴 농도의 변화를 나타낸다. 표 5, 표 6에는, 헤모글로빈 농도의 변화를 나타낸다. 「혈청 철농도」는, 비색법에 의해 측정한 값이다. 「페리틴 농도」는 CLIA(화학 발광 면역 측정법)에 의해 측정한 값이다.「헤모글로빈 농도」는 SLS-헤모글로빈법에 의해 측정한 값이다.
표 3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산균을 포함한 정제(혈중 철 증가제, 빈혈 개선제)를 섭취하기 전에 비해, 본 발명의 유산균을 섭취한 후의 혈청철의 농도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4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산균을 포함한 정제(혈중 철 증가제, 빈혈 개선제)를 섭취하기 전에 비해, 본 발명의 유산균을 섭취한 후의 페리틴의 농도가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5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산균을 포함한 정제(혈중 철 증가제, 빈혈 개선제)를 섭취하기 전에 비해, 본 발명의 유산균을 섭취한 후의 헤모글로빈의 농도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표 6은, 대상자 A∼I의 각자의 혈액검사의 결과를 나타내고 있으며, 유산균의 섭취 개시에서부터 4개월째에 실시한 혈액검사로는, 9명의 대상자 중, 8명에서 헤모글로빈 농도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대상자 B, G, I에서는 그 경향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고 생각된다.
(실시예 3)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시험은, 이중맹검 병행군간 비교 시험으로 실시하였다. 20세 이상에서 59세 이하의 일본인 여성 중, 헤모글로빈치 12g/dL미만이며 또한, 혈청 페리틴 12ng/mL 미만인 「경도의 빈혈」이라고 판단된 14명을 대상자(시험 대상자)로 했다. 이들 14명을, 2군(A군, B군)에 배분했다. 그 후, A군(피험식품 섭취군)의 시험 대상자에게는, 정제의 피험식품(본 발명의 유산균을 포함하는 것)을 1일 2정, 매일, 물과 함께 경구 섭취하고, B군(대조 식품 섭취군)의 시험 대상자에게는, 정제의 대조 식품(본 발명의 유산균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1일 2정, 매일, 물과 함께 경구 섭취하였다. 또한 섭취 기간은 8주간으로 했다.
경구 섭취한 정제(피험식품 및 대조 식품)의 성분 비율은, 이하와 같다.
(피험식품)
피험식품은, 상품명 「장화유산균 LTK-1」(이치비키사 제조)이 41.7질량%, 덱스트린이 39.0질량%, 분말 셀룰로오스가 15.0질량%,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가 2.0질량%, 미립 이산화 규소가 2.0질량%, 셀락 0.3 질량%이었다.
(대조 식품)
대조 식품은 덱스트린이 79.7 질량%, 분말 셀룰로오스가 15.0질량%,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가 2.0질량%, 미립 이산화 규소가 2.0질량%, 캬라멜 색소가 1.0질량%, 셀락이 0.3질량%이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섭취 개시전과 섭취 개시 8주일 후의, 헤모글로빈, 혈청철, 망상 적혈구수, 총 철결합능(total iron binding capacity(TIBC)), 및 혈청 페리틴의 각각의 값을 측정했다. 또한 헤모글로빈의 측정은, SLS-헤모글로빈법을 채용하고, 망상 적혈구수의 측정은, 유세포 분석법(flow cytometry)을 채용하고, 혈청철의 측정은 비색법을 채용하고, TIBC의 측정은 비색법을 채용하며, 혈청 페리틴의 측정은 CLIA(화학 발광 면역 측정법)를 채용하여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7에 나타낸다.
표 7로부터 알 수 있듯이, 대조 식품 섭취군에서는, 헤모글로빈의 변화는 인정되지 않았지만, 혈청철이 감소하고, TIBC가 증가하며, 혈청 페리틴이 감소하고 있었다. 이것으로부터, 대조 식품 섭취군에서는, 철 부족을 저장철로부터 보충하는 것으로 헤모글로빈의 감소를 막고 있을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한편, 피험식품 섭취군에서는, 혈청철, 혈청 페리틴도 증가하고 있으며, 음식으로부터의 철 공급이 소비분을 웃돌고 있을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또한, 철 결핍성 빈혈을 철제제투여로 치료한 경우, 수일에서 망상 적혈구수가 증가하고, 그 후의 6∼8주간에 헤모글로빈이 정상화해가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오카다 사다무:철결핍제 빈혈의 치료 방침 일내회지 99, 1220-1225(2010) 참조). 이러한 보고로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시험 기간(8주간)의 결과에서는 대조 식품 섭취군과 동일하게 피험식품 섭취군에서도 헤모글로빈은 변화가 인정되지 않았지만, 피험식품 섭취군에서는 망상 적혈구수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부터, 헤모글로빈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인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시험 기간을 8주간으로 하고 있지만, 시험 기간을 8주간 이상 실시하고 있으면, 헤모글로빈의 증가도 확인된다고 추측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품명 「장화유산균 LTK-1」의 섭취에 의한 안전성에 대해서도 확인하고, 그 결과, 부작용은 확인되지 않았다.
(실시예 4)
3주령의 암컷 마우스(C57BL/6 JJcl)를 5마리 넣은 8개의 군으로 나누어 모든 군의 모든 마우스에 대해 저철사료(분말)를 3주간 섭취시키고, 빈혈 상태로 한 빈혈 모델 마우스를 제작했다. 그 후의 2주간, 이하의 각 사료를 주고 사육을 실시했다. 또한 표 9∼표 12에는, 저철사료(분말)와 통상식의 배합 처방을 나타낸다. 표 9는, 사료(저철사료(분말), 통상식)의 배합 내용을 나타내며, 표 10은 저철사료(분말)와 통상식의 각각의 미네랄 Mix의 배합 내용을 나타내고, 표 11은 사료 중의 비타민 Mix의 배합 내용을 나타내고 있다. 또, 표 12는 사료(저철사료(분말), 통상식) 중의 철의 함유량을 나타내고 있다.
수탁 번호 NITE BP-02318의 유산균(상품명 「장화유산균 LTK-1」(이치비키 사 제조))을 0.2질량% 포함한 저철사료를 준 군을 「LTK-1식군」이라고 하고, 내염성 유산균 「ICK-3」을 0.2질량% 포함한 저철사료를 준 군을 「ICK-3식군」이라고 하고, 내염성 유산균 「ICK-4」를 0.2질량% 포함한 저철사료를 준 군을 「ICK-4식군」이라고 하며, 내염성 유산균 「ICK-5」를 0.2질량% 포함한 저철사료를 준 군을 「ICK-5식군」이라고 했다. 또한, 3개의 균주(No.185주(「No.185」)라고 적기도 함), No.259주(「No.259」이라고 적기도 함), No.448주(「No.448」이라고 적기도 함))에 대해서도 평가를 실시했다. 그리고, 내염성 유산균 「No.185」를 0.2질량% 포함한 저철사료를 준 군을 「No.185식군」이라고 하고, 내염성 유산균 「No.259」를 0.2질량% 포함한 저철사료를 준 군을 「No.259식군」이라고 하고, 내염성 유산균 「No.448」을 0.2질량% 포함한 저철사료를 준 군을 「No.448식군」이라고 했다. 또한, 내염성 유산균을 포함하지 않는 저철사료를 준 군을 「저철식군」이라고 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유산균은, 모두 테트라제노코커스·할로필루스에 속한다.
또한, 시험 중, 통상식(닛폰 쿠레아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기초 사료 CE-2」)을 섭취시킨 군을 「통상식군」이라고 했다. 이 통상식군은, 저철사료(분말)를 주지 않고, 빈혈 상태로 하고 있지 않은 마우스이다.
각 군의 마우스의 사육 환경은, 모두 동일하게 하고, 구체적으로는 이하와 같이 하였다. 온도 20∼26℃, 습도 45∼70%(소독 때 등, 단시간의 변화는 제외), 환기 회수 10∼15회/시간으로 했다. 조명 시간은, 밝은 시간대를 7:00∼19:00으로 하고, 어두운 시간대를 9:00∼7:00으로 했다. 또, 미생물 학문적 그레이드는, Specific pathogen free animals(SPF)로 하고(실험동물을 무균적으로 사육하는 상황), 사육 락은 비닐 아이솔레이터(Max8 게이지)를 사용하며, 사육 게이지는 마우스 PC(182×260×128mm)를 채용했다. 음수(飮水)는 급수 보틀(250 cc)에 충전 후, 고압 증기 멸균(121℃ 30분) 후, 급수했다. 급수의 타이밍은 1개/2회/주로 했다. 급이기는 케이지 전용 뚜껑을 사용하고, 마루 깔개는 프레나칩(121℃에서 30분 고압 증기 멸균한 것)을 이용하고 케이지 교환은 1회/주로 했다.
사육 개시 후 3주간째(즉, 사료의 전환 시)와 5주간째(즉, 사료 전환에서부터 2주일 후)에 채혈하고, 동물용 혈구 계수기(전자동 혈구 계수기) 「CelltacαMEK-6458(니혼코덴사 제조)」를 이용하여 혈중 헤모글로빈 농도를 측정했다. 그 결과를 표 8에 나타낸다.
표 8로부터 알 수 있듯이, 내염성을 갖는 유산균을 섭취한 모든 군에 대해 저철식군과 비교하여 혈중 헤모글로빈 농도가 증가했다. 특히, LTK-1식군, ICK-3식군, ICK-4식군, ICK-5식군에서는, 저철식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혈중 헤모글로빈 농도가 증가했다. 이 결과로는, LTK-1, ICK-3, ICK-4, ICK-5, No.185, No.259, No.448과 같은 내염성을 가지는 유산균을 포함한 사료를 섭취하는 것으로, 빈혈의 개선 효과가 인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LTK-1, ICK-3, ICK-4, ICK-5의 각 유산균에 의한 빈혈의 개선 효과가 높다고 생각된다.
(결과 및 고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산균(본 발명의 혈중 철 증가제)은, 소정 기간 경구 섭취하는 것으로 사람의 혈청 중의 철량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표 1에 나타내는 결과로는, 본 발명의 유산균(본 발명의 혈중 철 증가제)은, 빈혈(특히, 철 결핍성 빈혈)을 개선 할 수 있는 것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3∼표 6의 결과로부터 하면 본 발명의 유산균을 포함하는 것(혈중 철 증가제, 빈혈 개선제)는, 혈청철 농도, 페리틴 농도, 및, 헤모글로빈 농도를 양호하게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으로부터, 빈혈(특히, 철 결핍성 빈혈)의 개선에 효과를 발휘하는(빈혈 개선제로서 이용 가능하다)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산균을 포함하는 것(혈중 철 증가제, 빈혈 개선제)은 혈중의 철분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스포츠 선수나 건강을 위해서 스포츠에 힘쓰고 있는 사람들의 스포츠 빈혈의 개선에 효과를 발휘한다(빈혈 개선제로서 이용 가능하다). 그리고, 이러한 효과 뿐만이 아니라, 특히, 장거리 달리기 등의 경기자인 지구계 애슬리트의 체내에 있어서의 효율적인 산소 운반을 도모하고, 유산소 운동을 항진함으로써, 애슬리트의 퍼포먼스를 향상시키는 효과(예를 들면, 지구력 등의 신체적 능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3(표 7)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유산균을 섭취하는 것에 의해서, 혈청철, 혈청 페리틴이 증가하고 있는 것을 알았다. 이것으로부터, 본 발명의 유산균에 의하면, 혈청 페리틴의 저하가 원인으로 여겨지는 숨은 빈혈(숨은 철부족)에 의한 부정 수소의 개선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4(표 8)의 결과로부터, 수탁 번호 NITE BP-02318의 유산균 이외에, 수탁 번호 NITE BP-03010의 유산균(ICK-3주), ICK-4주, ICK-5주, No.185주, No.259주, No.448주에 대해서도, 소정 기간 경구 섭취하는 것으로 혈청 중의 철량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4는, 마우스에 의한 시험이지만, 사람에서도 동일한 효과가 발현된다고 추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산균은 혈중 철 증가제나 빈혈 개선제의 유효 성분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혈중 철 증가제는, 혈중의 철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으로 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빈혈 개선제는, 빈혈(특히, 철 결핍성 빈혈)을 개선하기 위한의 것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and Evaluation (NITE) Patent Microorganisms Depositary NITEBP02318 20170906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and Evaluation (NITE) Patent Microorganisms Depositary NITEBP03010 20190805

Claims (7)

  1. 혈중의 철농도를 증가시키는, 테트라제노코커스·할로필루스인, 내염성을 갖는 유산균으로서,
    상기 유산균은 수탁 번호 NITE BP-02318의 유산균, 또는 수탁 번호 NITE BP-03010의 유산균인, 유산균.
  2. 청구항 1에 있어서,
    된장의 양조 공정에서 단리되는 유산균.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염분 농도 12w/v%인 배지에서 배양했을 때의 증식 배율이 30배 이상이 되는 기재된 유산균.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유산균을 함유하는 혈중 철 증가제.
  7.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유산균을 함유하는 빈혈 개선제.
KR1020217005716A 2018-08-17 2019-08-16 유산균, 혈중 철 증가제, 및 빈혈 개선제 KR1026561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53344 2018-08-17
JPJP-P-2018-153344 2018-08-17
JP2019007716 2019-01-21
JPJP-P-2019-007716 2019-01-21
JPJP-P-2019-072472 2019-04-05
JP2019072472 2019-04-05
PCT/JP2019/032181 WO2020036229A1 (ja) 2018-08-17 2019-08-16 乳酸菌、血中鉄増加剤、及び貧血改善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8631A KR20210038631A (ko) 2021-04-07
KR102656118B1 true KR102656118B1 (ko) 2024-04-11

Family

ID=69524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5716A KR102656118B1 (ko) 2018-08-17 2019-08-16 유산균, 혈중 철 증가제, 및 빈혈 개선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10228651A1 (ko)
EP (1) EP3839042A4 (ko)
JP (1) JP6675521B1 (ko)
KR (1) KR102656118B1 (ko)
CN (1) CN112840017A (ko)
WO (1) WO2020036229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03899A1 (ja) 2016-06-30 2018-01-04 アサヒ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腎性貧血改善用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5051A (ja) * 1991-07-19 1993-02-02 Meiji Seika Kaisha Ltd 貧血予防・治療剤
JP3618774B2 (ja) 1993-08-10 2005-02-09 雪印乳業株式会社 鉄欠乏性貧血治療用組成物
KR20080009680A (ko) * 2005-01-31 2008-01-29 기린 야쿠르트 넥스트 스테이지 가부시키가이샤 미네랄 함유 유산균을 포함하는 식품 또는 의약품
SE529199C2 (sv) * 2005-07-05 2007-05-29 Probi Ab Förstärkt absorption
JP4966679B2 (ja) * 2007-02-05 2012-07-04 長野県味噌工業協同組合連合会 乳酸菌およびこれを用いる製麹方法
EP2338976B1 (en) * 2008-09-30 2017-08-16 Meiji Co., Ltd. Lactic acid bacterium having high oxalic acid decomposition ability
JP5615285B2 (ja) * 2010-03-18 2014-10-29 森永乳業株式会社 貧血の予防又は治療用組成物
JP2013208071A (ja) * 2012-03-30 2013-10-10 Ishikawa Prefectural Public Univ Corp 魚醤から分離した乳酸菌、その培養物及びその利用
JP6594911B2 (ja) * 2015-02-06 2019-10-23 株式会社ゲノム創薬研究所 乳酸菌、該乳酸菌由来の自然免疫活性化剤、感染症予防治療剤及び飲食品
CN105969687A (zh) * 2016-05-20 2016-09-28 西北农林科技大学 一种富铁乳酸菌制剂及其生产方法
US11260085B2 (en) * 2016-09-12 2022-03-01 Ichibiki Co., Ltd. Salt-tolerant lactobacillus, method of culturing salt-tolerant lactobacillus, and immunostimulant
JP2018042507A (ja) * 2016-09-15 2018-03-22 イチビキ株式会社 植物性原料に生育しやすいエンテロコッカス属乳酸菌及びその増殖方法、ならびに、それを使用した豆味噌の製造方法および豆味噌
JP6846694B2 (ja) * 2016-09-21 2021-03-24 アダプトゲン製薬株式会社 体重又は内臓脂肪増加抑制剤若しくは体重又は内臓脂肪増加抑制用食品組成物若しくは体重又は内臓脂肪増加抑制用飼料組成物
JP7144811B2 (ja) * 2017-07-04 2022-09-30 学校法人順天堂 鉄栄養状態改善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03899A1 (ja) 2016-06-30 2018-01-04 アサヒ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腎性貧血改善用組成物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nternational J Food Microbiology.,121(3):245-252(2007.)
International J Food Science and Technology.,48(5):903-909(2013.5.1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228651A1 (en) 2021-07-29
CN112840017A (zh) 2021-05-25
KR20210038631A (ko) 2021-04-07
JP6675521B1 (ja) 2020-04-01
WO2020036229A1 (ja) 2020-02-20
EP3839042A1 (en) 2021-06-23
JPWO2020036229A1 (ja) 2020-08-20
EP3839042A4 (en) 2022-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eheshtipour et al. Supplementation of Spirulina platensis and Chlorella vulgaris algae into probiotic fermented milks
CN109329419A (zh) 一种能够维持肠道健康和提高免疫力的功能性益生菌固体饮料及其制备方法
CN103798553B (zh) 一种环保乳猪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
CN102212495B (zh) 一株嗜酸乳杆菌及其应用
CN108244252A (zh) 益生菌多元蛋白粉及其制备方法
CN103766604B (zh) 一种复合益生菌制剂的制备
CN102625828A (zh) 新型柠檬明串珠菌及将其用作发酵剂的发酵食品及组合物
CN103271274B (zh) 一种营养保健粥
CN110903995B (zh) 具有促消化功效的益生菌食用组合物及食品
CN105685970A (zh) 一种全消化道改善的复合营养食品
CN106472704A (zh) 豆浆发酵生产益生菌功能性饮料与食品及其制备方法
CN109042893A (zh) 一种益生菌植物蛋白粉固体饮料
CN109042881A (zh) 运动型发酵乳制品及制备方法
CN105166914A (zh) 一种能调节肠道微生态环境,提升宝宝抗病能力、改善腹泻的营养包
CN109170238A (zh) 一种不添加抗生素的肉羊无尿结石的精料补充料
CN105851485A (zh) 一种液态复合益生菌制剂及其制备方法
CN102907585A (zh) 一种中猪用益生素维生素预混料及配合料
CN101297679A (zh) 一种提高畜禽免疫力的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
US9826766B2 (en) Use of polysaccharides for the intestinal well-being of nursing infants and/or infants
CN107279532A (zh) 一种用于小猪饲料的组合物、复合预混料以及所得的小猪饲料
KR101106676B1 (ko) 두유와 우유를 복합 유산균으로 발효한 동·식물성 영양 밸런스 이유식과 환자식 및 그 제조방법
KR102656118B1 (ko) 유산균, 혈중 철 증가제, 및 빈혈 개선제
CN102687804B (zh) 一种重组乳杆菌和中草药合生元、合生元制剂及用途
KR101421284B1 (ko) 변비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9221697A (zh) 断奶猪仔用益生菌饲料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