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9680A - 미네랄 함유 유산균을 포함하는 식품 또는 의약품 - Google Patents

미네랄 함유 유산균을 포함하는 식품 또는 의약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9680A
KR20080009680A KR1020077019820A KR20077019820A KR20080009680A KR 20080009680 A KR20080009680 A KR 20080009680A KR 1020077019820 A KR1020077019820 A KR 1020077019820A KR 20077019820 A KR20077019820 A KR 20077019820A KR 20080009680 A KR20080009680 A KR 200800096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tic acid
composition
weight
acid bacteria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9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이지 미야우치
나호미 아이카와
고코 하토리
마사코 게토쿠
마사토 고지마
요시유키 후지모리
Original Assignee
기린 야쿠르트 넥스트 스테이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린 야쿠르트 넥스트 스테이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기린 야쿠르트 넥스트 스테이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09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968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6Inorganic salts, minerals or trac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2Stomatological preparations, e.g. drugs for caries, aphtae, periodontit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4Immunostimu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6Antianae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Diabet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물을 비롯한 수성 매체에, 바람직하게는 사용시에 분산ㆍ용해시켜 이용하는 조성물로서, 수성 매체에의 분산ㆍ용해성 및 분산ㆍ용해 후의 안정성이 우수하고, 또한 수성 매체에 분산ㆍ용해된 것이 식품 또는 의약품으로서 외관, 맛, 풍미 및 까슬까슬함 등의 식감에 있어서도 바람직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조성물은, 미네랄 성분을 고농도로 포함하는 유산균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매체에 분산ㆍ용해시켜 이용하는 조성물이다.
유산균, 미네랄

Description

미네랄 함유 유산균을 포함하는 식품 또는 의약품{FOOD OR DRUG COMPRISING LACTIC ACID BACTERIUM CONTAINING MINERAL}
본 발명은 미네랄 성분을 고농도로 포함하는 유산균을 포함하는, 수성 매체에 분산ㆍ용해시켜 이용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미네랄은 사람의 생리 기능 조정에 필수적인 영양소이지만, 인체에서 만들 수 없는 영양소이고, 그 때문에 외부로부터 섭취해야만 한다. 미네랄이 결핍되면, 예를 들면 아연의 경우 미각 장해, 면역 기능 저하 등이 발생하고, 구리의 경우 빈혈 외에 심장 관련의 이상도 관찰되었다. 지금까지도 미네랄의 적정 소요량이 정해져 왔지만, 2005년 4월 내지 2010년 3월의 5년간 채용될 예정인 「일본인의 식사 섭취 기준」에서는, 보다 일본인의 현상황에 맞는 각 미네랄의 섭취량 기준이 정해져 있다.
미네랄 섭취를 보완하는 것으로서는, 의약품 외에, 주로 수술 전후의 환자나 통상식은 연하(嚥下) 곤란한 노인 등에의 영양 보급에 이용되는 유동식이나, 낮은 영양 상태나 소화 흡수 기능이 저하되어 있을 때 뿐 아니라 일상적으로 부족하기 쉬운 미네랄을 보완하는 식품, 또한 운동시 또는 비만 방지를 위한 다이어트시의 영양 보급을 목적으로 한 식품 등이 있다.
이러한 미네랄 성분을 추가한 의약품 또는 식품에 대한 요구가 있지만, 그의 실현에는 여러 과제가 존재한다. 특히, 섭취 직전에 분말 등의 형태의 조성물을 물에 녹여 섭취하는 식품은 제품의 맛ㆍ풍미ㆍ까슬까슬함 등의 식감은 물론, 물 등에 대한 분산성ㆍ안정성이 요구된다. 또한, 식품에 속하는 경구 유동식에는, 유아용 조정 분유를 제외하고는 아연이나 망간 등의 무기 미네랄을 첨가하는 것이 인정되지 않았다. 그 때문에, 미네랄의 공급원은, 예를 들면 식품원 재료 등으로 한정되었다.
미네랄을 포함하는 효모를 식품 원료로서 사용하는 시도로서, 아연 고함유 효모가 제안되었다(일본 특허 공개 (평)8-332082호 공보). 이 공보에서는, 이용되는 식품의 구체적인 형태에 대해서는 언급되지 않았다. 또한, 미네랄을 포함하는 효모를 미용ㆍ건강용 조성물로 하는 제안도 이루어졌다(일본 특허 공개 (평)9-124438호 공보). 이 공보에는 섭취 직전에 분말 등의 형태의 조성물을 물에 녹여 섭취하는 조성물에 대한 개시는 없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제2001-46016호에는 미네랄을 높은 농도로 포함하는 효모를 첨가한 유동식이 제안되었다. 동일한 공보 단락 0029에는 미네랄 고함유 효모를 사용한 경우, 그의 배합량이 0.2 중량%를 초과하면 효모의 침전이 생기거나 분산 안정성이 나빠지고, 물성적으로 문제가 발생하기 쉬워지며, 관능 평가상에서도 까슬까슬한 감이 보인다고 하는 기재가 있었다. 또한, 효모 자체가 갖는 맛이나 풍미에 있어서 기호성이 부족하고, 보존시에는 열화에 의한 이미(異味)ㆍ이취가 발현되기 쉬워지는 것이 시사되었다.
또한, WO92/21749호 공보(대응하는 일본 특허 공표 (평)6-508516호 공보)에는 미네랄을 높은 농도로 포함하는 유산균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었지만, 얻어진 유산균을 원료로 한 구체적인 식품 및 의약품에 대한 개시는 없었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자들은 이번에 미네랄 성분을 고농도로 포함하는 유산균이, 물을 비롯한 수성 매체에의 분산ㆍ용해성 및 분산ㆍ용해 후의 안정성이 우수하고, 또한 수성 매체에 분산ㆍ용해된 것이 식품 또는 의약품으로서 외관, 맛, 풍미 및 까슬까슬함 등의 식감에 있어서도 양호하기 때문에, 수성 매체에 분산ㆍ용해시켜 이용하는 조성물에 유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발견에 기초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성 매체에 분산ㆍ용해시켜 이용하는 조성물이며, 수성 매체에의 분산ㆍ용해성 및 분산ㆍ용해 후의 안정성이 우수하고, 또한 수성 매체에 분산ㆍ용해된 것이 식품 또는 의약품으로서 외관, 맛, 풍미 및 까슬까슬함 등의 식감에 있어서도 바람직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미네랄 성분을 고농도로 포함하는 유산균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매체물에 분산ㆍ용해시켜 이용하는 것이다.
<발명의 구체적 설명>
미네랄 함유 유산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산균은 미네랄 성분을 높은 농도로 함유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산균이 함유하는 미네랄의 예로서는, 마그네슘, 철, 망간, 아연, 구리, 셀레늄, 크롬 및 몰리브덴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미네랄을 들 수 있다. 이들 미네랄은 단독 뿐 아니라 복수개로 유산균에 함유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미네랄의 종류와 바람직한 함유량은 이하와 같다. 즉,
- 마그네슘은 7 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4 중량%이고,
- 철은 4.5 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중량% 이상이고,
- 망간은 5 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상이고,
- 아연은 4.5 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중량% 이상이고,
- 구리는 0.9 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8 중량% 이상이고,
- 셀레늄은 0.05 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이상이고,
- 크롬은 0.1 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중량% 이상이고,
- 몰리브덴은 0.1 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중량% 이상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산균은 기본적으로는 함유시키고자 하는 미네랄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배양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미네랄 성분 이외의 배지 조성을 적정화함으로써, 더욱 양호한 효율로 그것을 함유시킬 수 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미네랄 성분을 높은 농도로 함유하면서 또한 인간에 대한 안전성에 문제가 없는 한, 그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유산균은, 예를 들면 상기 WO92/21749호 공보(대응하는 일본 특허 공표 (평)6-508516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또한, 미네랄 성분을 높은 농도로 포함하는 유산균은 시판되고 있고, 예를 들면 그로우 캄파니 인크.(Grow Company Inc.)(미국, 뉴저지주 Nackensack)로부터 입수 가능한 「바이오거트(Biogurt)」를 들 수 있다. 바이오거트로는, 바이오거트 마그네슘(마그네슘을 14 내지 16 % 함유), 바이오거트 아이론(Iron)(철을 9.5 내지 11 % 함유), 바이오거트 망가네즈(Manganese)(망간을 10 내지 12 % 함유), 바이오거트 징크(Zinc)(아연을 9.5 내지 10 % 함유), 바이오거트 쿠퍼(Copper)(구리를 1.8 내지 2.3 % 함유) 등이 있고, 모두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 이용 가능하다.
조성물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수성 용매에 분산ㆍ용해시켜 이용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상기 수성 용매에 분산ㆍ용해시킨 후에, 인간을 포함하는 동물에 의해 섭취된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수성 매체에의 분산ㆍ용해성 및 분산ㆍ용해 후의 안정성이 우수하다. 특히, 수성 매체에 용이하게 분산ㆍ용해되기 때문에, 사용시에 제조되어 섭취되는 조성물로서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식품 및 의약에 있어서는, 안정성 관점에서 조성물의 형태로 제공되고, 사용시에 수성 매체에 분산ㆍ용해시켜 이용하는 것으로서 제공되는 것이 유리한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수성 매체에 분산ㆍ용해시키기 위해서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지면, 분산ㆍ용해가 불완전한 채로 섭취되어, 그에 대한 충분한 흡수를 기대할 수 없거나, 또는 상품으로서 매력이 결여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에 있어서는, 통상인이 컵 등의 용기에서 휘젓는 조작에 의해, 대략 40 초 이내의 시간에 완전히 분산ㆍ용해시킬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는 20 초 이하, 또한 10 초 전후의 시간에 완전히 분산ㆍ용해시킬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유리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섭취 직전에 수성 용매에 사용시 분산ㆍ용해시켜 이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섭취된다」란, 넓게는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을 수성 용매에 분산ㆍ용해시킨 것을, 소화관을 통해 체내에 취입하는 것을 포함하고, 따라서 경구적으로 먹는 것 뿐만 아니라, 경관에 의해 장을 통해 제공하여 섭취되는 것도 포함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구체적으로는 식품 또는 의약으로서 제공되고,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미네랄 보급을 위한 식품 또는 의약, 또한 미네랄 성분을 강화시킨 영양 보급 식품, 저칼로리 식품 또는 다이어트 식품으로서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을 수성 매체에 분산ㆍ용해시킨 것은 유동식으로서 이용 가능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유동식 제조용 식품으로서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이 분산ㆍ용해되는 수성 매체는 물을 주체로 하고, 또한 후술하는 본 발명의 우수한 분산ㆍ용해성 등의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끓인 물을 포함하는 물, 우유, 두유, 유청 음료, 청량 음료수 등을 그의 구체적인 예로서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끓인 물을 포함하는 물이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수성 매체에의 분산ㆍ용해성 및 분산ㆍ용해 후의 안정성이 우수하다. 또한, 수성 매체에 분산ㆍ용해된 것은, 식품 또는 의약품으로서 외관, 맛, 풍미 및 까슬까슬함 등의 식감에 있어서도 양호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자들이 얻은 발견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에 있어서는 상기 일본 특허 공개 제2001-46016호에서 시사되는, 미네랄 고함유 효모의 첨가 한계인 0.2 중량%를 초과하여도 양호한 용해ㆍ분산성 및 안정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효모의 경우에 비해 보다 고농도로 미네랄 성분을 조성물에 첨가할 수 있고, 또한 그의 섭취량을 늘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그의 외관, 맛, 풍미 및 까슬까슬함 등의 식감에 있어서도 미네랄 고함유 효모에 비해 유리하다. 미네랄 성분을 고농도로 포함하는 유산균이, 동일하게 미네랄 성분을 고농도로 포함하는 효모와 비교하여 상기 관점에서 유리한 것은 의외라고 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수성 매체에 사용시 용해ㆍ분산되면, 그의 형태는 분말상, 과립상, 또는 유산균을 고농도로 포함하는 농축된 액체상, 반고체상 등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경우에 따라서 후술하는 다른 성분과 함께 조립(造粒)되어 분체가 된다. 조립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분무 드라이, 교반 조립법, 유동층 조립법, 전동 조립법, 압출 조립법 등의 이용이 바람직하다. 또한, 조립 후에, 후술하는 다른 성분을 혼합하여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그의 부피 비중이 0.22 내지 0.45 g/cm3의 범위내가 되도록 제조되는 것이, 그 수성 매체에의 분산ㆍ용해성 및 분산ㆍ용해 후의 안정성이 우수하고, 또한 식품 또는 의약품으로서의 외관, 맛, 풍미, 까슬까슬함 등의 식감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에 있어서의 유산균의 함유량은 함유시키고자 하는 미네랄 성분의 농도를 감안하여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지만, 건조 형태의 유산균 환산으로 0.001 중량%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 중량%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유산균의 함유량은 건조 형태의 유산균 환산으로,
- 유산균이 마그네슘을 포함하는 것인 경우, 0.4 내지 8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 유산균이 철을 포함하는 것인 경우, 0.02 내지 0.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 유산균이 망간을 포함하는 것인 경우, 0.007 내지 0.2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 유산균이 아연을 포함하는 것인 경우, 0.01 내지 0.3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 유산균이 구리를 포함하는 것인 경우, 0.007 내지 0.2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 유산균이 셀레늄을 포함하는 것인 경우, 0.005 내지 0.1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 유산균이 크롬을 포함하는 것인 경우, 0.003 내지 0.06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 유산균이 몰리브덴을 포함하는 것인 경우, 0.002 내지 0.04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상기 유산균에 부가적으로, 의약 또는 식품으로서 요구되는 다른 성분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백질, 지질, 탄수화물, 식물 섬유, 비타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백질로서는, 유단백질(전유 단백질, 카제인 나트륨, 카제인 칼슘 등) 및 이들의 가수분해물, 그 밖의 동물성 단백질(난단백질, 젤라틴 등) 및 이들의 가수분해물, 및 식물성 단백질(대두 등) 및 그의 가수분해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단백질을 주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조성으로 할 수 있다. 총 단백질의 함유량은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1일 섭취 필요량의 3분의 1을 섭취 기준으로 하면 13 내지 30 g/400 ml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비타민도, 비타민 A, B1, B2, B6, B12, C, D, E, K2, 니아신, 판토텐산, 엽산 등을 첨가할 수 있으며, 단독으로 첨가될 수도 혼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건조 효모(예를 들면 맥주 효모, 빵 효모 등)을 추가로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미네랄 성분은 유산균에 함유되어 제공되지만, 그것에 추가 또는 보조되는 것으로서, 나트륨, 칼슘, 마그네슘, 칼륨, 철을 식품으로서 수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의 총 열량도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다이어트시의 영양 보급을 목적으로 한 조성물의 경우, 0.4 kcal/ml 정도가 되는 것이 통상적이고,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0.5 kcal/ml 정도가 된다. 또한, 일회 용량으로 개별 포장된 경우, 그의 총 열량은 300 kcal 이하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바람직한 경우에는 일회 용량당 총 열량은 150, 160, 170, 180, 190, 200, 210, 220, 230, 240, 250, 260, 270, 280, 290, 300, 310, 320, 330, 340 또는 350 kcal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기호성이나 분산성, 안정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미네랄 성분을 높은 농도로 포함하는 효모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을 수성 매체에 분산ㆍ용해시키는 것을 적어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상, 반고체상 또는 젤리상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한 대로,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수성 매체에의 분산ㆍ용해성 및 분산ㆍ용해 후의 안정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제조 방법에 따르면, 효율적이면서 또한 안정성이 우수한 액체상, 반고체상 또는 젤리상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대로,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이 수성 매체에 분산ㆍ용해된 것은, 식품 또는 의약품으로서 외관, 맛, 풍미 및 까슬까슬함 등의 식감에 있어서도 양호하다고 하는 이점을 갖는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진 액체상, 반고체상 또는 젤리상 조성물은, 구체적으로는 식품 또는 의약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미네랄 보급을 위한 식품 또는 의약, 또한 미네랄 성분을 강화시킨 영양 보급 식품, 저칼로리 식품, 다이어트 식품, 유동식으로서 이용된다.
본 발명을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하에 있어서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백분율은 중량 기준이다.
[실시예 1] 조성물의 제조
(1) 유산균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이용한 유산균 및 효모, 및 이들의 미네랄 함유율은 이하와 같다.
Figure 112007063279468-PCT00001
상기에 있어서, 미네랄 고함유 유산균 바이오거트는 그로우 캄파니 인크.(미국, 뉴저지주 Nackensack)로부터 입수한 것이고, 또한 미네랄 고함유 효모는 켈라트론 캄파니(Kelatron C0.)(미국, 유타주 Ogden)로부터 입수한 것이다.
(2) 조성물의 제조
상기 유산균 또는 효모와, 하기의 표 2에 기재된 성분을 준비하였다. 표에 기재된 성분을 혼합하고, 혼합물 1 Kg에 대하여 230 ml의 물을 결합제로 하여, 프로인트 산교사 제조 유동층 조립기에서 30 분간 각각 조립하였다. 또한, 이 때의 유동층 조립기의 흡기 온도는 섭씨 75 도, 배기 온도는 섭씨 40 도였다.
조립된 조성물을 20 메쉬로 체질하고, 부피 비중을 0.30±0.05 g/cm3, 수분값 3±1 %로 조정하였다. 얻어진 조성물을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이라 하였다.
또한, 표 2에 기재된 조성에 있어서 미네랄 및 비타민의 성분은 표 3에 기재된 바와 일치하는 양으로 배합하였다. 또한, 유산균 또는 효모의 균체량도 등량이 되도록 맥주 효모로써 그 양을 조정하였다.
Figure 112007063279468-PCT00002
Figure 112007063279468-PCT00003
또한,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과 동일한 성분이지만, 조립 조건 등을 바꾸어 부피 비중을 변화시킨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들을 실시예 2 내지 5 및 비교예 2 내지 5라 하였다.
[실험예 1] 물에 대한 분산성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5의 조성물 50 g을, 350 ml의 상온의 물과 혼합하고, 마그네틱 교반기에 의해 일정 조건에서 균일하게 분산될 때까지 교반하며 그의 모습을 관찰하였다. 이것을, 실시예와 비교예 각각의 조성물에 대하여 3 세트씩 행하였다.
그 결과는 이하의 표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았다.
Figure 112007063279468-PCT00004
Figure 112007063279468-PCT00005
[실험예 2] 분산 안정성
실험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의 안정성을 이하와 같이 평가하였다. 분산체를 각각 100 ml의 메스실린더에 옮겨 120 분에 걸쳐 정치하고, 그 사이의 분산체의 모습 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는 이하의 표 6에 나타내어지는 것과 같았다.
Figure 112007063279468-PCT00006
[실험예 3] 관능 평가 시험
실험예 1 및 비교예 2에서 얻어진 분산체에 대해서 12명의 숙련된 패널리스트에 의해 관능 평가를 행하였다. 즉, 제조된 분산체의 외관, 맛ㆍ풍미, 식감(까슬까슬함)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Figure 112007063279468-PCT00007
실시예 2 내지 5 및 비교예 2 내지 5에 대하여, 용해 용이성(분산 용이성)에 대하여 12명의 패널리스트에 의해 이하의 실험을 행하였다. 즉, 조성물 50 g을 350 ml의 상온의 물에 혼합하고, 스패츌라(spatula)를 이용하여 각자의 손으로 교반하여 분산시켰다. 그 결과, 녹기 쉽다고 대답한 사람수를 이하와 같이 평가하였다.
평가 ×: 녹기 쉽다고 대답한 사람이 0 내지 2명
평가 △: 녹기 쉽다고 대답한 사람이 3 내지 5명
평가 ○: 녹기 쉽다고 대답한 사람이 6 내지 8명
평가 ◎: 녹기 쉽다고 대답한 사람이 9 내지 12명
결과는 이하의 표에 기재와 같았다.
Figure 112007063279468-PCT00008

Claims (25)

  1. 미네랄 성분을 고농도로 포함하는 유산균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매체에 분산ㆍ용해시켜 이용하는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이, 마그네슘, 철, 망간, 아연, 구리, 셀레늄, 크롬 및 몰리브덴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미네랄을 고농도로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인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이 7 중량% 이상의 마그네슘, 4.5 중량% 이상의 철, 5 중량% 이상의 망간, 4.5 중량% 이상의 아연, 0.9 중량% 이상의 구리, 0.05 중량% 이상의 셀레늄, 0.1 중량% 이상의 크롬 또는 0.1 중량% 이상의 몰리브덴을 함유하는 것인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을 건조 형태의 유산균 환산으로 0.001 중량%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이 마그네슘을 포함하는 것인 경우, 그 유산균을 건조 형태의 유산균 환산으로 0.4 내지 8 중량%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유산균이 철을 포함하는 것인 경우, 그 유산균을 건조 형태의 유산균 환산으로 0.02 내지 0.5 중량%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유산균이 망간을 포함하는 것인 경우, 그 유산균을 건조 형태의 유산균 환산으로 0.007 내지 0.2 중량%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유산균이 아연을 포함하는 것인 경우, 그 유산균을 건조 형태의 유산균 환산으로 0.01 내지 0.3 중량%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유산균이 구리를 포함하는 것인 경우, 그 유산균을 건조 형태의 유산균 환산으로 0.007 내지 0.2 중량%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유산균이 셀레늄을 포함하는 것인 경우, 그 유산균을 건조 형태의 유산균 환산으로 0.005 내지 0.1 중량%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유산균이 크롬을 포함하는 것인 경우, 그 유산균을 건조 형태의 유산균 환산으로 0.003 내지 0.06 중량%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유산균이 몰리브덴을 포함하는 것인 경우, 그 유산균을 건조 형태의 유산균 환산으로 0.002 내지 0.04 중량%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말상, 과립상, 액체상 또는 반고체상 형태인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시에 수성 매체에 분산ㆍ용해시켜 이용하는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백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질, 탄수화물, 식물 섬유, 비타민 또는 건조 효모를 추가로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피 비중이 0.22 내지 0.45 g/cm3인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일회 용량으로 개별 포장되고, 그의 총 열량이 300 kcal 이하인 조성물.
  12. 미네랄 성분을 고농도로 포함하는 유산균을 조립(造粒)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의 제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 공정을 단백질, 지질, 탄수화물, 식물 섬유, 비타민 또는 건조 효모를 첨가하여 행하는 것인 제조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조립 후에, 단백질, 지질, 탄수화물, 식물 섬유, 비타민, 또는 건조 효모를 혼합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조 방법.
  15.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득되는 조성물의 부피 비중이 0.22 내지 0.45 g/cm3이 되도록 조립을 행하는 것인 제조 방법.
  16.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성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식품.
  17. 제16항에 있어서, 미네랄 보급 식품, 저칼로리 식품, 다이어트 식품 또는 유동식 제조용 식품인 식품.
  18.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성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의약품.
  19.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성물을 수성 매체에 분산ㆍ용해시키는 것을 적어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상, 반고체상 또는 젤리상 조성물의 제조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사용시에 상기 조성물을 수성 매체에 분산ㆍ용해시키는 것인 제조 방법.
  21. 제19항 또는 제20항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조된 액체상, 반고체상 또는 젤리상 조성물.
  22. 제21항에 기재된 조성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식품.
  23. 제22항에 있어서, 미네랄 보급 식품, 저칼로리 식품, 다이어트 식품 또는 유동식인 식품.
  24. 제21항에 기재된 조성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의약품.
  25. 사용시에 수성 매체에 분산ㆍ용해시켜 액체상, 반고체상 또는 젤리상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미네랄 성분을 고농도로 포함하는 유산균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성물의 용도.
KR1020077019820A 2005-01-31 2006-01-31 미네랄 함유 유산균을 포함하는 식품 또는 의약품 KR2008000968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023874 2005-01-31
JPJP-P-2005-00023874 2005-01-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9680A true KR20080009680A (ko) 2008-01-29

Family

ID=36740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9820A KR20080009680A (ko) 2005-01-31 2006-01-31 미네랄 함유 유산균을 포함하는 식품 또는 의약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080009680A (ko)
CN (1) CN101163414A (ko)
WO (1) WO20060805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40017A (zh) * 2018-08-17 2021-05-25 一引株式会社 乳酸菌、血中铁增加剂和贫血改善剂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57890A (en) * 1978-05-29 1979-12-13 Sapporo Breweries Production of microorganism cells
JPS62220157A (ja) * 1986-03-20 1987-09-28 Masato Akutsu ゲルマニウム含有食品の製造法
SE463796B (sv) * 1988-03-09 1991-01-28 Carl Erik Albertsson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en naeringskomposition och daervid framstaelld naeringskomposition
EP0587711B1 (en) * 1991-06-03 1999-12-29 Innovi N.V. Trace element-rich additive, method for preparing same, preparation in which the additive is included and use thereof
JP3017493B1 (ja) * 1999-02-25 2000-03-06 明治乳業株式会社 自己免疫疾患予防組成物
JP3046303B1 (ja) * 1999-06-24 2000-05-29 明治乳業株式会社 Helicobacterpylori除菌性飲食品
JP4308481B2 (ja) * 2002-06-18 2009-08-05 独立行政法人農業・食品産業技術総合研究機構 抗アレルギー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80522A1 (ja) 2006-08-03
CN101163414A (zh) 2008-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7266B1 (ko) 영양 조성물
US20070087036A1 (en) Edible film for transmucosal delivery of nutritional supplements
JP4702745B2 (ja) ミネラル吸収促進剤及びその用途
TW200812503A (en) Compositions, methods and kits for enhancing weight loss while inhibiting loss of lean body mass
JP2003500445A (ja) 栄養補助物
US20090181128A1 (en) Consumable product
JP2008247748A (ja) 透析患者用栄養組成物
JP2005097161A (ja) 抗疲労用組成物およびこれを含有する食品
ES2219571T3 (es) Alimento completo o suplemento nutritivo ricos en valor energetico, su procedimiento de preparacion y sus utilizaciones.
JP2017057147A (ja) ニンニク等、低塩分濃度の味噌、及びビタミンb1を含有する組成物
JP2000135070A (ja) 嚥下困難者用粉末栄養組成物
JPH07222571A (ja) 運動選手用飲食品
JP2010517949A (ja) (−)−エピガロカテキンガレートの新規な使用
CN109770365A (zh) 一种多种维生素咀嚼片及其制备方法
JP2007197327A (ja) 脂質代謝改善剤
KR20080009680A (ko) 미네랄 함유 유산균을 포함하는 식품 또는 의약품
JP2003313142A (ja) 栄養組成物
JP2006230404A (ja) ミネラル含有乳酸菌を含んでなる食品または医薬品
CN107753417A (zh) 脑机能改善组合物
JP2003169630A (ja) コエンザイムq10を含有する栄養組成物
US20050100593A1 (en) Capsule film composition and gelatin capsule
WO2010119804A1 (ja) 抗精神疲労剤
JPH09194364A (ja) ビタミンa吸収促進剤
JP2010095474A (ja) カルシウム吸収促進組成物及びカルシウム吸収促進飲食物
JP5377202B2 (ja) 栄養強化用食品素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