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4501B1 - 중화면용 반죽시트의 제조시스템 - Google Patents

중화면용 반죽시트의 제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4501B1
KR102654501B1 KR1020210048521A KR20210048521A KR102654501B1 KR 102654501 B1 KR102654501 B1 KR 102654501B1 KR 1020210048521 A KR1020210048521 A KR 1020210048521A KR 20210048521 A KR20210048521 A KR 20210048521A KR 102654501 B1 KR102654501 B1 KR 1026545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ough sheet
hopper
forming roller
stir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8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2143A (ko
Inventor
이성록
Original Assignee
이성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록 filed Critical 이성록
Priority to KR1020210048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4501B1/ko
Publication of KR20220142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21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4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45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3/00Machines or apparatus for shaping batches of dough before subdivision
    • A21C3/02Dough-sheeters; Rolling-machines; Rolling-pi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003Plant; Systems, i.e. flow charts or diagram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06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with horizontally-mounted mixing or kneading tools; Worm or screw mixer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14Structural elements of mixing or kneading machines; Parts; Accessories
    • A21C1/142Feeding mechanisms, e.g. skip lifting mechanisms
    • A21C1/1425Feeding mechanisms, e.g. skip lifting mechanisms for feeding in measured dose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14Structural elements of mixing or kneading machines; Parts; Accessories
    • A21C1/145Controlling; Testing; Measuring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3/00Machines or apparatus for shaping batches of dough before subdivision
    • A21C3/04Dough-extruding machines ; Hoppers with moving elements, e.g. rollers or belts as wall elements for drawing the dough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3/00Machines or apparatus for shaping batches of dough before subdivision
    • A21C3/10Machines or apparatus for shaping batches of dough before subdivision combined with dough-divid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5/00Dough-divid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9Types of pasta, e.g. macaroni or nood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20Extru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otany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Abstract

중화면용 면발을 제조하는데 많은 시간과 인력이 요구되는 반죽과정 및 반죽시트 성형과정을 중식당에서 생략할 수 있는 중화면용 반죽시트를 제조하는 중화면용 반죽시트의 제조시스템이 개시된다. 이를 위하여 물을 수용하는 제1 호퍼와 상기 제1 호퍼를 통해 배출되는 물의 배출량을 감지하는 제1 배출량 감지센서와 상기 제1 호퍼에 수용된 물의 배출을 조절하는 제1 개폐모듈이 포함된 호퍼부와, 상기 물과 밀가루가 포함된 혼합물을 교반하는 교반부와, 상기 교반부를 통해 배출된 혼합물을 제1 성형롤러와 제2 성형롤러의 사이로 통과시켜 시트 형상의 초벌 반죽시트를 생성하는 성형부와, 상기 성형부를 통과한 초벌 반죽시트를 압착롤러 사이로 통과시켜 초벌 반죽시트보다 압착된 반죽시트를 생성하는 압착부와, 상기 압착부를 통과한 반죽시트를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절단하는 절단부와, 상기 절단부를 통해 절단된 반죽시트를 포장하는 포장부와, 선택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제공된 선택신호에 따라 호퍼부, 교반부, 성형부, 압착부, 절단부, 포장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중화면용 반죽시트의 제조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중식당이 주방에 제면기만을 설치하더라도 자장면 등의 중화면을 제면할 수 있도록 하는 중화면용 반죽시트를 생산하여 유통할 수 있다.

Description

중화면용 반죽시트의 제조시스템{MANUFACTURING SYSTEM OF DOUGH SHEET FOR CHINESE NOODLE}
본 발명은 중식당에서 제면기로 제면해 중화면용 면발을 제조할 수 있는 중화면용 반죽시트의 제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중화면용 면발을 제조하는데 많은 시간과 인력이 요구되는 반죽과정 및 반죽시트 성형과정을 중식당에서 생략할 수 있도록 반죽과정 및 반죽시트 성형과정을 통과한 중화면용 반죽시트를 제조하는 중화면용 반죽시트의 제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자장면은 오랜 기간 동안 식당 등에서 판매되어온 저렴한 음식의 하나로 춘장과 야채를 기름에 볶아서 자장소스를 제조하고 제조된 자장소스를 면과 섞어서 먹는 방식으로 판매되고 있다.
이러한 자장면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밀가루의 반죽이 필수적이고, 이러한 반죽에 있어 반죽량이 많이 소요되는 중식당과 같은 장소에서는 수작업에 의한 반죽이 어려워 동력을 사용하는 기계장치의 반죽기를 이용해서 반죽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미 알려진 반죽기는 재료가 되는 밀가루 및 물을 소정의 비율로 반죽통 내에 넣고, 전기적인 모터의 구동 또는 작업자의 조작핸들을 돌리는 것에 의해 반죽통 내의 감속 기구를 통하여 샤프트가 회전하고, 반죽날개가 반죽통 내에서 소맥분과 물을 교반 및 혼련하여 글루텐화시키도록 한 것이다.
이렇게 반죽된 반죽물(반죽덩어리)로 자장면용 면발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평평하게 펼쳐서 반죽시트를 형성하고, 상기 반죽시트를 소정 간격으로 절단하여 면발을 형성하는 작업공정을 거쳐 제조된다.
이러한 자장면용 반죽시트를 제조함에 있어서 종래에는 작업자가 반죽덩어리를 도마 위에 올려놓고 밀대를 이용하여 소정두께로 펼쳐서 반죽시트로 형성하였으나, 수작업으로 인해 대량생산에는 부적합할 뿐만 아니라 반죽시트의 두께를 일정하게 형성하기가 매우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최근에는 중식당에서 반죽물로 반죽시트를 제조하는 반죽시트 성형기가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대량으로 자장면용 면발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대형의 반죽기와 반죽시트 성형기가 주방에 설치되어야 하지만, 임대료 등의 상승으로 넓은 면적의 식당을 확보하기가 어려워지고 있어 제면기만을 주방에 설치하여 자장면용 면발을 확보할 수 있는 자장면용 반죽시트의 유통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88795호(2018.08.14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09383호(2020.05.12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092572호(2020.08.04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73295호(2013.06.11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수량이 높은 중화면의 특성을 나타내도록 일정하게 물을 투입하여 반죽물을 형성할 수 있고, 대용량의 반죽과 대용량의 반죽시트의 성형이 가능하며, 유통할 수 있도록 포장되는 중화면용 반죽시트의 제조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물을 수용하는 제1 호퍼와 상기 제1 호퍼의 하단에 설치되어 제1 호퍼를 통해 배출되는 물의 배출량을 감지하는 제1 배출량 감지센서와 상기 제1 호퍼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1 호퍼에 수용된 물의 배출을 조절하는 제1 개폐모듈이 포함된 호퍼부와, 상기 물과 밀가루가 포함된 혼합물을 교반하는 교반부와, 상기 교반부를 통해 배출된 혼합물을 제1 성형롤러와 제2 성형롤러의 사이로 통과시켜 시트 형상의 초벌 반죽시트를 생성하는 성형부와, 상기 성형부를 통과한 초벌 반죽시트를 압착롤러 사이로 통과시켜 초벌 반죽시트보다 압착된 반죽시트를 생성하는 압착부와, 상기 압착부를 통과한 반죽시트를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절단하는 절단부와, 상기 절단부를 통해 절단된 반죽시트를 포장하는 포장부와, 선택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제공된 선택신호에 따라 호퍼부, 교반부, 성형부, 압착부, 절단부, 포장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중화면용 반죽시트의 제조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중식당이 주방에 제면기만을 설치하더라도 자장면 등의 중화면을 제면할 수 있도록 하는 중화면용 반죽시트를 생산하여 유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식당의 운영자는 중화면용 반죽시트를 구매하여 사용하면 주방에 반죽기와 반죽시트 성형기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중식당의 창업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중화면의 제면하는 인력을 줄일 수 있어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균일한 품질의 중화면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외식업계의 공통적인 위협요소인 품질변화 리스크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성형압축과 교정압축을 통해 반죽시트의 순차적인 압축을 도모하여 정형화된 두께를 갖는 반죽시트의 성형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양질의 품질을 갖는 중화면의 제조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반죽시트 제조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반죽시트 제조시스템의 호퍼부와 반죽부 및 이송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반부의 임펠러 블레이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반부의 임펠러 블레이드를 나타내는 전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반죽시트 제조시스템의 성형부와 압착부 및 절단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한 중화면용 반죽시트의 제조시스템(이하, '반죽시트 제조시스템'이라 약칭함)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반죽시트 제조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반죽시트 제조시스템은 미리 지정된 유량의 물을 배출하는 호퍼부(100)와, 상기 호퍼부(100)로부터 배출된 물과 밀가루가 포함된 혼합물을 교반하는 교반부(200)와, 상기 교반부(200)를 통과한 혼합물을 초벌 반죽시트로 성형하는 성형부(300)와, 상기 성형부(300)를 통과한 초벌 반죽시트를 1회 이상 압착하는 압착부(400)와, 상기 압착부(400)를 통과한 반죽시트를 포장하는 포장부(600)와, 관리자로부터 선택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700), 및 상기 입력부(700)로 입력된 선택신호에 따라 호퍼부(100), 교반부(200), 성형부(300), 압착부(400), 포장부(600)를 제어하는 제어부(800)를 포함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반죽시트 제조시스템의 호퍼부와 반죽부 및 이송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반죽시트 제조시스템은 호퍼부(100)를 포함한다.
상기 호퍼부(100)는 물을 수용하는 제1 호퍼(112)와, 상기 제1 호퍼(112)의 하단에 설치되어 제1 호퍼(112)를 통해 배출되는 물의 배출량을 감지하는 제1 배출량 감지센서(114)와, 상기 제1 호퍼(112)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1 호퍼(112)에 수용된 물의 배출을 조절하는 제1 개폐모듈(116)이 포함된다.
또한, 호퍼부(100)는 밀가루를 수용하는 제2 호퍼(122)와, 상기 제2 호퍼(122)의 하단에 설치되어 제2 호퍼(122)를 통해 배출되는 밀가루의 배출량을 감지하는 제2 배출량 감지센서(124)와, 상기 제2 호퍼(122)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2 호퍼(122)에 수용된 밀가루의 배출을 조절하는 제2 개폐모듈(126)이 포함될 수 있다.
아울러, 호퍼부(100)는 첨가물을 수용하는 제3 호퍼(132)와, 상기 제3 호퍼(132)의 하단에 설치되어 제3 호퍼(132)를 통해 배출되는 첨가물의 배출량을 감지하는 제3 배출량 감지센서(134)와, 상기 제3 호퍼(132)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3 호퍼(132)에 수용된 첨가물의 배출을 조절하는 제3 개폐모듈(136)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첨가물은 주정, 소금, 흑미가루, 찹쌀가루, 전분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치자, 노니, 칡 등의 건강식재료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 배출량 감지센서(114)와 제2 배출량 감지센서(124) 및 제3 배출량 감지센서(134)는 계측된 배출량 정보를 제어부(800)로 제공한다.
상기 제1 개폐모듈(116)과 제2 개폐모듈(126) 및 제3 개폐모듈(136)은 제어부(800)의 제어에 따라 개방되거나 폐쇄되도록 동작한다.
이와 같이, 호퍼부(100)는 물과 밀가루 및 첨가물이 교반부(200)에서 미리 지정된 혼합비율로 혼합될 수 있도록 제어부(800)의 제어에 따라 미리 지정된 배출량을 자동으로 배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호퍼부(100)에서는 밀가루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물 35 내지 45 중량부, 및 첨가물 2 내지 6 중량부가 교반부(200)로 배출되도록 제어부(800)가 제1 개폐모듈(116)과 제2 개폐모듈(126) 및 제3 개폐모듈(136)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치자반죽시트를 제조하는 경우, 제어부(800)는 밀가루 100 중량부와 물 36 내지 40 중량부와, 면파우더 첨가물 0.8 내지 1.2 중량부와, 소금 1.6 내지 1.9 중량부, 및 주정 1.1 내지 1.4 중량부가 혼합되도록 호퍼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흑미반죽시트를 제조하는 경우, 제어부(800)는 밀가루 100 중량부와 물 36 내지 40 중량부와, 면파우더 첨가물 0.8 내지 1.2 중량부와, 소금 1.6 내지 1.9 중량부, 및 흑미 1.5 내지 1.8 중량부가 혼합되도록 호퍼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백면반죽시트를 제조하는 경우, 제어부(800)는 밀가루 100 중량부와 물 36 내지 40 중량부와, 식소다 0.7 내지 1.0 중량부와, 냉소다 0.3 내지 0.5 중량부와, 소금 1.6 내지 1.9 중량부, 및 주정 1.1 내지 1.4 중량부가 혼합되도록 호퍼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냉소다는 탄산나트륨(무수) 40 중량%와 중탄산나트륨 5 중량%, 및 정제수 55 중량%로 구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제1 호퍼(112)와 제2 호퍼(122) 및 제3 호퍼(132)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내용물이 다량 저장된 상태에서 내용물의 잔량이 일정량 이하로 떨어지면, 보관량 감지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조명이나 음향 등의 알람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보관량 감지센서는 제1 호퍼(112), 제2 호퍼(122), 제3 호퍼(132)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반죽시트 제조시스템은 교반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물과 밀가루가 포함된 혼합물을 교반하는 것으로, 호퍼부(100)로부터 배출된 물 등이 내부로 투입될 수 있도록 호퍼부(100)의 아래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교반부(200)는 물과 밀가루 및 첨가물이 포함된 혼합물이 수용될 공간을 제공하는 교반통(230)과, 상기 교반통(230)에 한 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2개가 설치되는 임펠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임펠러는 곡면을 갖는 제1 곡면부와, 상기 제1 곡면부의 반대 방향에 제1 곡면부보다 짧게 형성되며 곡면을 갖는 제2 곡면부와, 상기 제1 곡면부의 우측과 제2 곡면부의 우측을 연결하며 평면을 갖는 제1 평면부, 및 상기 제1 곡면부의 좌측과 제2 곡면부의 좌측을 연결하며 평면을 갖는 제2 평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임펠러 블레이드가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임펠러는 교반통(2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교반통(230)에 설치되는 중심봉(210)과, 상기 중심봉(210)에 복수개가 설치되는 임펠러 블레이드(220), 상기 중심봉(210)에 연결되어 중심봉(210)을 회전시키는 제1 구동력 제공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교반통(230)은 길이 방향을 따라 자유 낙하하는 호퍼부(100)의 내용물이 원활히 투입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에서 혼합된 혼합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부가 개방된다. 그리고 교반통(230)은 상부의 단면적이 넓고 하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좁아지는 상광하협형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심봉(210)은 교반통(2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교반통(230)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1 구동력 제공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구동력에 의해 축회전 한다. 이러한 중심봉(210)은 임펠러 블레이드(220)가 설치될 수 있도록 내주면에 나선부가 형성된 결합홈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임펠러 블레이드(220)는 중심봉(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중심봉(210)의 외주면에 복수개가 설치되는 것으로, 회전되는 동안 교반통(230)을 통과하는 내용물(물과 밀가루 및 첨가물)을 혼합시켜 혼합물을 생성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반부의 임펠러 블레이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반부의 임펠러 블레이드를 나타내는 전면도이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임펠러 블레이드(220)는 도 3과 같이 중심봉(210)에 형성된 결합홈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 조립봉(221)과, 상기 조립봉(221)의 말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교반통(230)을 통과하는 물과 밀가루 등을 혼합시키는 혼합봉(225)으로 구성된다.
상기 조립봉(221)은 체결홈에 내삽되는 선단이 체결홈에 원활히 조립될 수 있도록 선단의 외주면에 중심봉(210)과의 조립을 위한 나선부(2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혼합봉(225)은 교반통(230)을 통과하는 내용물이 서로 혼합되어 혼합물이 형성될 수 있도록 도 3 및 도 4와 같이 곡면을 갖는 제1 곡면부(226)와, 상기 제1 곡면부(226)의 반대 방향에 제1 곡면부(226)보다 짧게 형성되며 곡면을 갖는 제2 곡면부(227)와, 상기 제1 곡면부(226)의 우측과 제2 곡면부(227)의 우측을 연결하며 평면을 갖는 제1 평면부(228), 상기 제1 곡면부(226)의 좌측과 제2 곡면부의 좌측을 연결하며 평면을 갖는 제2 평면부(22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도 4와 같이 제1 곡면부(226)의 중점과 제2 곡면부(227)의 중점을 연결하는 직선과 제1 평면부 사이의 내각은 21° 내지 22.5°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내각이 21° 미만이면 회전 시 반죽의 이동이 없어서 헛도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며, 내각이 22.5°를 초과하면 회전 시 반죽에 의한 저항이 커져서 제1 구동력 제공수단과 임펠러 블레이드(220)가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제1 구동력 제공수단은 제어부(800)에 연결되고, 제어부(800)의 제어에 따라 중심봉(210)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며, 교반통(230)의 외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구동력 제공수단으로는 구동모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반죽시트 제조시스템의 성형부와 압착부 및 절단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반죽시트 제조시스템은 성형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성형부(300)는 교반부(200)를 통해 배출된 혼합물을 제1 성형롤러(310)와 제2 성형롤러(320)의 사이로 통과시켜 시트 형상의 초벌 반죽시트를 생성하는 것으로, 제1 성형롤러(310)와, 상기 제1 성형롤러(310)에 이격되도록 설치된 제2 성형롤러(320)와, 교반부(200)를 통해 배출된 혼합물을 제1 성형롤러(310)와 제2 성형롤러(320)의 사이로 밀어 넣는 압력판(330)과, 일단이 압력판(330)에 연결되어 압력판(330)이 교반부(200)와 제1,2 성형롤러(310,320)의 사이에서 타원 궤적으로 움직이도록 왕복으로 이동시키는 제2 구동력 제공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성형부(300)는 제1 성형롤러(310)와 제2 성형롤러(320)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구동기구는 제2 구동력 제공수단과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성형부(300)는 제1 성형롤러(310) 및 제2 성형롤러(320)가 설치될 공간을 제공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성형롤러(310)는 혼합물이 시트 형상으로 펼쳐지도록 혼합물에 가압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원통형 구조로 형성되며, 한 쌍의 지지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제2 성형롤러(320)는 제1 성형롤러(310)와 함께 제1 성형롤러(310)와의 사이에 투입된 혼합물이 시트 형상으로 성형되도록 혼합물에 가압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원통형 구조로 형성되며, 제1 성형롤러(310)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한 쌍의 지지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된다. 예컨대, 제2 성형롤러(320)는 제1 성형롤러(310)로부터 9㎜ 내지 11㎜로 이격되도록 한 쌍의 지지프레임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압력판(330)은 교반부(200)를 통해 배출된 혼합물이 제1 성형롤러(310)와 제2 성형롤러(320)의 사이로 원활히 투입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상기 혼합물을 제1 성형롤러(310)와 제2 성형롤러(320)의 사이로 밀어 넣는 것으로, 사각형 평판의 외형을 갖도록 형성된다.
필요에 따라, 압력판(330)의 하부 양측에는 교반부(200)를 통해 배출된 혼합물의 이동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연장형성된 한 쌍의 곡면판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곡면판은 교반부(200)를 통해 배출된 혼합물이 균일하게 제1 성형롤러(310)와 제2 성형롤러(320)의 사이로 투입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2 구동력 제공수단은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구동모터로부터 제공되는 구동력에 의해 압력판(330)이 교반부(200)와 제1,2 성형롤러(310,320)의 사이에서 타원 궤적으로 움직이도록 이동시키는 크랭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구동력 제공수단은 제어부(8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80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한다.
상기 구동기구는 제1 성형롤러(310)나 제2 성형롤러(320) 또는 이들 모두가 축 회전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제1,2 성형롤러(310,320)를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러한 구동기구는 제어부(8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80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한다. 또한, 제1 성형롤러(310)와 제2 성형롤러(320)가 모두 축 회전되도록 한 쌍의 지지프레임에 설치되면, 구동기구는 제1 성형롤러(310)와 제2 성형롤러(320)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반죽시트 제조시스템은 이송부(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부(900)는 교반부(200)로부터 배출된 혼합물을 성형부(300)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교반부(200)와 성형부(300)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교반부(200)로부터 자유 낙하하는 혼합물이 원활히 안착될 수 있도록 교반부(200)의 아래에 위치하며 그 후단이 성형부(30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이송부(900)로는 혼합물을 이송하는 벨트 컨베이어가 사용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이송부(900)는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좌측 말단과 우측 말단에 격벽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격벽은 교반부(200)로부터 배출된 혼합물이 컨베이어의 벨트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혼합물의 이동을 가이드하며, 혼합물의 이송과정 중 혼합물이 컨베이어의 벨트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혼합물의 이동을 차단한다.
또한, 이송부(900)는 성형부(300)를 마주보는 후단에 'ㄱ'자형 배출관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출관은 이송부(900)에 의해 이송된 혼합물이 제1 성형롤러(310)와 제2 성형롤러(320)의 사이로 투입되도록 혼합물의 배출경로를 제공한다.
아울러, 이송부(900)는 그 후단에 성형부(300)의 제1 성형롤러(310)와 제2 성형롤러(320)의 사이로 배출되는 혼합물을 분쇄하는 분쇄기(9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분쇄기(910)는 교반기에서 뭉쳐진 혼합물이 성형부(300)로 고르게 투입되도록 뭉쳐진 혼합물을 분쇄하여 분산시키는 것으로, 성형부(300)로 투입된 혼합물이 초벌 반죽시트로 원활히 성형될 수 있도록 성형부(300)로 투입되기 직전에 덩어리진 혼합물을 분산시킨다.
구체적으로, 분쇄기(910)는 이송부(900)의 너비 방향으로 설치되는 회전봉과, 상기 회전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구비되는 복수개의 분쇄날개, 및 상기 회전봉에 연결되어 회전봉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3 구동력 제공수단을 포함한다. 이때, 분쇄날개는 회전봉의 외주면을 따라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구동력 제공수단은 모터 및 기어 등 회전봉에 결합되어 회전봉을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러한 제2 구동력 제공수단은 제어부(8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80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반죽시트 제조시스템은 압착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압착부(400)는 상기 성형부(300)를 통과한 초벌 반죽시트를 압착롤러 사이로 통과시켜 초벌 반죽시트보다 압착된 반죽시트를 생성하는 것으로, 한 쌍의 압착롤러가 구비된 압착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압착부(400)는 한 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4개의 압착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압착부(400)는 성형부(300)를 통과한 초벌 반죽시트를 가압하여 반죽시트를 생성하되, 이동방향을 따라 상기 반죽시트의 두께가 점차 감소되도록 반죽시트의 이동방향을 따라 사이 간격이 일정하게 감소되는 한 쌍의 압착롤러가 구비된 복수개의 압착기가 포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압착부(400)는 제1 압착기(410), 제2 압착기(420), 제3 압착기(430), 제4 압착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내지 제4 압착부는 순차적으로 반죽시트의 두께가 1㎜씩 감소될 수 있도록 순차적으로 한 쌍의 압착롤러의 간격이 1㎜씩 감소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성형부(300)와 압착기의 사이나 압착기와 압착기의 사이, 또는 이들 모두에는 반죽시트를 이송시키는 벨트 컨베이어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벨트 컨베이어는 반죽시트의 이동을 보조하여 가수량이 높은 반죽시트가 늘어져서 끊기는 것을 방지하기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제1 압착기(410)는 한 쌍의 제1 압착롤러(412)와, 한 쌍의 제1 압착롤러(412)가 설치될 공간을 제공하는 한 쌍의 제1 압착프레임, 및 한 쌍의 제1 압착롤러(412)를 회전시키는 제1 구동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제1 압착롤러(412)는 성형부(300)를 통과한 초벌 반죽시트의 두께가 줄어들도록 초벌 반죽시트에 가압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원통형 구조로 형성되며, 한 쌍의 제1 압착프레임에 설치된다. 이때, 한 쌍의 제1 압착롤러(412)의 사이간격은 제1 성형롤러(310)와 제2 성형롤러(320)의 사이간격보다 좁게 형성된다. 예컨대, 한 쌍의 제1 압착롤러(412)의 사이간격은 8㎜ 내지 10㎜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구동기구는 한 쌍의 제1 압착롤러(412)가 회전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한 쌍의 제1 압착롤러를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러한 제1 구동기구는 제어부(8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80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한다.
상기 제2 압착기(420)는 제1 압착기(410)의 후단에 설치되는 것으로, 한 쌍의 제2 압착롤러(422)와, 한 쌍의 제2 압착롤러(422)가 설치될 공간을 제공하는 한 쌍의 제2 압착프레임, 및 한 쌍의 제2 압착롤러(422)를 회전시키는 제2 구동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제2 압착롤러(422)는 제1 압착기(410)를 통과한 반죽시트의 두께가 줄어들도록 반죽시트에 가압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원통형 구조로 형성되며, 한 쌍의 제2 압착프레임에 설치된다. 이때, 한 쌍의 제2 압착롤러(422)의 사이간격은 한 쌍의 제1 압착롤러(412)의 사이간격보다 좁게 형성된다. 예컨대, 한 쌍의 제2 압착롤러(422)의 사이간격은 7㎜ 내지 9㎜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구동기구는 한 쌍의 제2 압착롤러(422)가 회전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한 쌍의 제2 압착롤러(422)를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러한 제2 구동기구는 제어부(8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80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한다.
상기 제3 압착기(430)는 한 쌍의 제3 압착롤러(432)와, 한 쌍의 제3 압착롤러(432)가 설치될 공간을 제공하는 한 쌍의 제3 압착프레임, 및 제3 구동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제3 압착롤러(432)는 제2 압착기(420)를 통과한 반죽시트의 두께가 줄어들도록 반죽시트에 가압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원통형 구조로 형성되며, 한 쌍의 제3 압착프레임에 설치된다. 이때, 한 쌍의 제3 압착롤러(432)의 사이간격은 한 쌍의 제2 압착롤러(422)의 사이간격보다 좁게 형성된다. 예컨대, 한 쌍의 제3 압착롤러(432)의 사이간격은 6㎜ 내지 8㎜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구동기구는 한 쌍의 제3 압착롤러(432)가 회전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한 쌍의 제3 압착롤러(432)를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러한 제3 구동기구는 제어부(8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80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한다.
상기 제4 압착기는 한 쌍의 제4 압착롤러와, 한 쌍의 제4 압착롤러가 설치될 공간을 제공하는 한 쌍의 제4 압착프레임, 및 제4 구동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제4 압착롤러는 제3 압착기(430)를 통과한 반죽시트의 두께가 줄어들도록 반죽시트에 가압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원통형 구조로 형성되며, 한 쌍의 제4 압착프레임에 설치된다. 이때, 한 쌍의 제4 압착롤러의 사이간격은 한 쌍의 제3 압착롤러(432)의 사이간격보다 좁게 형성된다. 예컨대, 한 쌍의 제4 압착롤러의 사이간격은 5㎜ 내지 7 ㎜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4 구동기구는 한 쌍의 제4 압착롤러가 회전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한 쌍의 제4 압착롤러를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러한 제4 구동기구는 제어부(8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80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한다.
또한, 압착부(400)는 각각의 압착기(410,420,430)에 이동속도 컨트롤러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속도 컨트롤러는 각 압착기에 설치되어 각 압착기를 통과하는 반죽시트의 이동속도를 감지하며, 반죽시트의 이동속도가 미리 지정된 수치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압착기에 구비된 압착롤러의 회전속도가 조절되도록 이상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800)로 전송한다.
예컨대, 제1 압착기(410)에는 제1 이동속도 컨트롤러가 설치될 수 있고, 제2 압착기(420)에는 제2 이동속도 컨트롤러가 설치될 수 있으며, 제3 압착기(430)에는 제3 이동속도 컨트롤러가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동속도 컨트롤러는 반죽시트의 이동속도를 계측하기 위한 적외선 센서 등의 속도감지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반죽시트 제조시스템은 압착부(400)의 후단에 압착부(400)를 통과한 반죽시트를 후방으로 이송하는 이송 컨베이어가 설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반죽시트 제조시스템은 절단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절단부(500)는 압착부(400)를 통과한 반죽시트를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절단하는 것으로, 압착부(400)의 후단에서 압착부(400)와 일정거리 이격된 곳에 설치되며, 포장의 편의성을 위해 반죽시트를 소정의 길이로 분리시킨다.
구체적으로, 절단부(500)는 압착부(400)의 후단에 설치되는 지지블록, 및 상기 지지블록에 설치되어 상하 이동을 통해 지지블록을 통과하는 반죽시트를 커팅하는 커팅블록(51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커팅블록은 반죽시트와 마주보는 표면에 칼날이 구비되어 지지블록과 접촉하는 과정 중 이송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반죽시트를 절단한다. 이를 위해, 지지블록은 'ㄷ'자형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반죽시트 제조시스템은 포장부(600)를 포함한다.
상기 포장부(600)는 절단부(500)를 통해 절단된 반죽시트를 포장하는 것으로, 절단된 반죽시트를 1개 또는 복수개로 소분하여 포장봉지로 포장한다.
구체적으로, 포장부(600)는 포장봉지 수납함과, 포장봉지 픽업유닛과, 진공밀봉유닛과,
상기 포장봉지 수납함은 이송 컨베이어의 측면에 배치되어 포장봉지가 적층된 상태로 수납될 수 있는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상기 포장봉지 픽업유닛은 상기 포장봉지 수납함의 최상단에 위치한 포장봉지를 흡착하여 상기 이송 컨베이어에 전달하는 것으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어떠한 픽업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러한 포장봉지 픽업유닛은 이송 컨베이어의 측면 및 상면에 설치된 고정 프레임에 설치되어 이송 컨베이어와 포장봉지 수납함 사이를 왕복으로 이동한다.
예를 들면, 포장봉지 픽업유닛은 공압실린더에 의해 구동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한 승강바디와 상기 승강바디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포장봉지 수납함의 최상단에 위치한 포장봉지의 상면을 진공 흡착하는 흡착헤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포장봉지 픽업유닛의 작동은 제어부(800)에 의해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제어된다.
상기 진공밀봉유닛은 절단된 반죽시트가 내부에 수용된 후 이송 컨베이어에 의해 후단으로 이송되는 포장봉지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이송 컨베이어에 설치되는 것으로, 포장봉지가 진공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반죽시트가 수용된 포장봉지를 진공배기하고 밀봉한다. 이때, 이송 컨베이어는 반죽시트가 수용된 포장봉지가 진공밀봉유닛에 도착하면 무한궤도를 갖는 직선형 벨트의 회전을 일정시간 동안 정지하며, 진공밀봉유닛은 이송 컨베이어의 벨트가 정지된 시간동안 포장봉지에 대한 진공배기 및 밀봉을 처리한다.
구체적으로, 진공밀봉유닛은 지지프레임, 흡기관, 가압대, 완충패드, 가열융착기, 및 밀봉용 구동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선택적으로 흡착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은 진공밀봉유닛의 흡기관, 가압대, 가열융착기, 밀봉용 구동기구의 설치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송 컨베이어의 일측면에 설치된다.
상기 흡착모듈은 흡기관이 포장봉지의 내부로 원활히 진입될 수 있도록 포장봉지의 상면을 들어 올려 포장봉지의 입구를 개방하는 것으로, 가압대에 인접한 위치에 상하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포장봉지의 입구를 개방하기 위한 진공압을 단속적으로 작용한다. 이를 위해, 흡착모듈은 외부의 진공압 발생장치와 연결되며, 포장봉지 1개당 1개씩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흡기관은 수액백이 수용된 포장봉지의 입구로 이동하여 포장봉지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구성으로, 제어부(800)의 제어에 따라 이송 컨베이어의 너비 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을 수행한다. 예컨대, 흡기관은 이송 컨베이어가 정지되면 포장봉지의 입구를 통해 포장봉지의 내부로 이동하며, 포장봉지 내부에 잔존하는 공기의 배기가 완료되면 포장봉지의 외부로 이동한다. 그리고 흡기관은 배기펌프와 호스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 가압대는 흡기관에 의한 진공배기가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흡기관이 포장봉지의 입구를 통해 포장봉지의 내부로 이동한 상태에서 포장봉지의 입구를 상하로 가압하여 밀폐시키는 것으로, 상부 가압대와 하부 가압대로 구성되며, 제어부(800)의 제어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을 수행한다. 예컨대, 흡기관이 포장봉지의 내부로 이동하면, 상부 가압대는 하강하고 하부 가압대는 상부 가압대에 접촉될 수 있도록 승강한다. 그리고 흡기관이 포장봉지의 외부로 이동하면, 상부 가압대는 승강하고 하부 가압대는 하강한다.
이러한 가압대는 지지프레임에 의해 이송 컨베이어의 측면에 설치되더라도 이송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된 포장봉지의 입구측이 이송 컨베이어에 안착되지 않고 이송 컨베이어의 측면으로 벗어나 있기 때문에 상하 이동을 통해 포장봉지의 입구를 밀폐시킬 수 있다.
상기 완충패드는 포장봉지에 접촉되는 가압대의 단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흡기관이 포장봉지의 입구로 내삽된 상태에서 포장봉지의 입구를 밀폐시키더라도 흡기관이 손상되지 않도록 흡기관이 내삽된 포장봉지의 입구를 밀폐시키는 것으로, 우레탄 고무, 실리콘, 생고무 등으로 형성된다.
상기 가열융착기는 완충패드가 포장봉지 입구를 밀폐시킨 상태에서 흡기관이 포장봉지의 입구로부터 이탈되면 상기 입구로 이동하고 입구를 가열하여 포장봉지를 진공상태로 밀봉시키는 구성으로, 상부 가열융착기와 하부 가열융착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어반의 제어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을 수행한다. 예컨대, 흡기관이 포장봉지의 내부에서 외부로 이동하면, 상부 가열융착기와 하부 가열융착기는 서로 접촉된 후 이격되도록 승하강 한다.
이러한 가열융착기는 지지프레임에 의해 이송 컨베이어의 측면에 설치되더라도 이송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된 포장봉지의 입구측이 이송 컨베이어에 안착되지 않고 이송 컨베이어의 측면으로 벗어나 있기 때문에 상하 이동을 통해 포장봉지의 입구를 밀봉시킬 수 있다.
상기 밀봉용 구동기구는 가압대와 가열융착기에 결합되어 가압대와 가열융착기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가압대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밀봉용 구동기구와 가열융착기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밀봉용 구동기구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반죽시트 제조시스템은 입력부(700)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부(700)는 선택신호를 입력받는 것으로, 터치스크린, 터치패드, 키보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터치스크린 입력부(700)는 GUI화면으로 구성되어 있고, 관리자가 반죽시트의 제조에 필요한 모든 데이터와 설비상태를 감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입력부(700)는 관리자로부터 호퍼부(100)의 설정조건, 교반부(200)의 설정조건, 성형부(300)의 설정조건, 압착부(400)의 설정조건, 절단부(500)의 설정조건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되면 반죽시트의 제조에 반영되도록 이를 제어부(800)로 전달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반죽시트 제조시스템은 제어부(800)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800)는 입력부(700)를 통해 제공된 선택신호에 따라 호퍼부(100), 교반부(200), 성형부(300), 압착부(400), 절단부(500), 포장부(600)에 의한 일련의 공정을 설정된 조건으로 제어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호퍼부(100), 교반부(200), 성형부(300), 압착부(400), 절단부(500), 및 포장부(6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예컨대, 제어부(800)는 입력부(700)를 통해 온(ON) 신호가 입력되면 일련의 공정이 진행되도록 호퍼부(100), 교반부(200), 성형부(300), 압착부(400), 절단부(500), 및 포장부(600)를 설정된 조건으로 제어하며, 입력부(700)를 통해 오프(OFF) 신호가 입력되면 일련의 공정이 정지되도록 호퍼부(100), 교반부(200), 성형부(300), 압착부(400), 절단부(500), 및 포장부(600)를 정지시킨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호퍼부 112 : 제1 호퍼
114 : 제1 배출량 감지센서 116 : 제1 개폐모듈
122 : 제2 호퍼 124 : 제2 배출량 감지센서
126 : 제2 개폐모듈 132 : 제3 호퍼
134 : 제3 배출량 감지센서 136 : 제3 개폐모듈
200 : 교반부 210 : 중심봉
220 : 임펠러 블레이드 300 : 성형부
310 : 제1 성형롤러 320 : 제2 성형롤러
400 : 압착부 410 : 제1 압착기
412 : 제1 압착롤러 420 : 제2 압착기
422 : 제2 압착롤러 430 : 제3 압착기
432 : 제3 압착롤러 500 : 절단부
510 : 커팅블록 600 : 포장부
700 : 입력부 800 : 제어부
900 : 이송부 910 : 분쇄기

Claims (8)

  1. 물을 수용하는 제1 호퍼와, 상기 제1 호퍼의 하단에 설치되어 제1 호퍼를 통해 배출되는 물의 배출량을 감지하는 제1 배출량 감지센서와, 상기 제1 호퍼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1 호퍼에 수용된 물의 배출을 조절하는 제1 개폐모듈이 포함된 호퍼부;
    상기 물과 밀가루가 포함된 혼합물을 교반하는 교반부;
    상기 교반부를 통해 배출된 혼합물을 제1 성형롤러와 제2 성형롤러의 사이로 통과시켜 시트 형상의 초벌 반죽시트를 생성하는 성형부;
    상기 성형부를 통과한 초벌 반죽시트를 압착롤러 사이로 통과시켜 초벌 반죽시트보다 압착된 반죽시트를 생성하는 압착부;
    상기 압착부를 통과한 반죽시트를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절단하는 절단부;
    상기 절단부를 통해 절단된 반죽시트를 포장하는 포장부;
    선택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제공된 선택신호에 따라 호퍼부, 교반부, 성형부, 압착부, 절단부, 포장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교반부를 통해 배출된 혼합물을 상기 제1 성형롤러와 제2 성형롤러의 사이로 이송하며, 그 후단에 제1 성형롤러와 제2 성형롤러의 사이로 배출되는 혼합물을 분쇄하는 분쇄기가 구비된 이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압착부는 상기 성형부를 통과한 초벌 반죽시트를 가압하여 반죽시트를 생성하되, 이동방향을 따라 상기 반죽시트의 두께가 점차 감소되도록 반죽시트의 이동방향을 따라 사이 간격이 일정하게 감소되며 사이간격이 제1 성형롤러와 제2 성형롤러의 사이간격보다 좁게 형성된 한 쌍의 압착롤러가 구비된 복수개의 압착기가 포함되고,
    상기 교반부는 상기 혼합물이 수용될 공간을 제공하는 교반통과, 상기 교반통에 한 개 이상 설치되는 임펠러가 포함되며,
    상기 임펠러는 곡면을 갖는 제1 곡면부와, 상기 제1 곡면부의 반대 방향에 제1 곡면부보다 짧게 형성되며 곡면을 갖는 제2 곡면부와, 상기 제1 곡면부의 우측과 제2 곡면부의 우측을 연결하며 평면을 갖는 제1 평면부, 및 상기 제1 곡면부의 좌측과 제2 곡면부의 좌측을 연결하며 평면을 갖는 제2 평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임펠러 블레이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화면용 반죽시트의 제조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부는
    밀가루를 수용하는 제2 호퍼와, 상기 제2 호퍼의 하단에 설치되어 제2 호퍼를 통해 배출되는 밀가루의 배출량을 감지하는 제2 배출량 감지센서와, 상기 제2 호퍼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2 호퍼에 수용된 밀가루의 배출을 조절하는 제2 개폐모듈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화면용 반죽시트의 제조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부는
    제1 성형롤러와, 상기 제1 성형롤러에 이격되도록 설치된 제2 성형롤러와, 상기 교반부를 통해 배출된 혼합물을 상기 제1 성형롤러와 제2 성형롤러의 사이로 밀어 넣는 압력판, 및 일단이 상기 압력판에 연결되어 압력판이 교반부와 제1,2 성형롤러의 사이에서 타원 궤적으로 움직이도록 왕복으로 이동시키는 제2 구동력 제공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화면용 반죽시트의 제조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 블레이드는
    상기 제1 곡면부의 중점과 제2 곡면부의 중점을 연결하는 직선과 제1 평면부 사이의 내각이 21° 내지 22.5°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화면용 반죽시트의 제조시스템.
KR1020210048521A 2021-04-14 2021-04-14 중화면용 반죽시트의 제조시스템 KR1026545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8521A KR102654501B1 (ko) 2021-04-14 2021-04-14 중화면용 반죽시트의 제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8521A KR102654501B1 (ko) 2021-04-14 2021-04-14 중화면용 반죽시트의 제조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2143A KR20220142143A (ko) 2022-10-21
KR102654501B1 true KR102654501B1 (ko) 2024-04-05

Family

ID=83805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8521A KR102654501B1 (ko) 2021-04-14 2021-04-14 중화면용 반죽시트의 제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450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5108A (ja) * 2000-08-02 2002-02-12 Suzuki Menko:Kk 製麺装置及び製麺方法
KR101911896B1 (ko) * 2016-08-17 2018-10-30 (주)미정 다층구조의 면대 제조장치와 다층 구조의 면대를 이용한 면 제조방법
CN109527007A (zh) * 2017-09-22 2019-03-29 湖北十星杂粮食品有限公司 一种面条生产机中的自动称重配料机构
JP2019097438A (ja) * 2017-11-30 2019-06-24 日清食品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製麺ミキサーへの給水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7763A (ja) * 1997-10-29 1999-05-18 Higuchi Menki Seisakusho:Kk 縦型製麺機
KR101273295B1 (ko) 2012-11-08 2013-06-11 (주)환희 면 성형장치
KR101888795B1 (ko) 2017-11-15 2018-08-14 최환희 연속 압출 방식의 반죽시트 성형기 및 이를 이용한 생면류 제조장치
KR20200092572A (ko) 2019-01-25 2020-08-04 용 석 장 반죽시트 성형장치
KR102109383B1 (ko) 2019-01-31 2020-05-12 주식회사 진성종합식품 칼국수 면 제조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5108A (ja) * 2000-08-02 2002-02-12 Suzuki Menko:Kk 製麺装置及び製麺方法
KR101911896B1 (ko) * 2016-08-17 2018-10-30 (주)미정 다층구조의 면대 제조장치와 다층 구조의 면대를 이용한 면 제조방법
CN109527007A (zh) * 2017-09-22 2019-03-29 湖北十星杂粮食品有限公司 一种面条生产机中的自动称重配料机构
JP2019097438A (ja) * 2017-11-30 2019-06-24 日清食品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製麺ミキサーへの給水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2143A (ko) 2022-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7546303U (zh) 一种螺旋混料包装一体装置
CN204146891U (zh) 一种面包机的浆料挤入机构
CN110959642B (zh) 一种夹心面饼生产设备
KR102654501B1 (ko) 중화면용 반죽시트의 제조시스템
CN204054140U (zh) 一种面包机的剖缝机构及其应用的面包机
CN210097606U (zh) 一种辣条生产用原料卧式搅拌机
CN214732050U (zh) 一种小麦混合用绞龙
KR20160069873A (ko) 만두제조장치 및 그 방법
CN212035936U (zh) 一种混合型饲料加工流水线
CN110915841B (zh) 高粘物料专用挤出机
CN210206498U (zh) 一种固体土壤改良/修复剂的生产线
KR101833369B1 (ko) 쌀어묵 제조장치 및 이에 의해 생산된 쌀어묵
CN217564746U (zh) 一种新型食品包馅机
CN219190725U (zh) 一种磷石膏板材制备用干粉混料仓
CN216906613U (zh) 新型压面机
CN220494094U (zh) 自动面条机
CN2265858Y (zh) 块料破碎机
CN215455037U (zh) 一种用于冷面的剪切装置
RU2052956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макаронных изделий
CN114534629A (zh) 一种淀粉糖制作用生产线
CN218929965U (zh) 一种聚酯切片计量输送装置
CN217022959U (zh) 一种饼干加工用包装设备
CN219238451U (zh) 药板翻转装置
CN220047742U (zh) 一种振动上料自落式混料机
CN219249063U (zh) 往复式保潮饧面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