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4311B1 -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작동 장치 - Google Patents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작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4311B1
KR102644311B1 KR1020180159594A KR20180159594A KR102644311B1 KR 102644311 B1 KR102644311 B1 KR 102644311B1 KR 1020180159594 A KR1020180159594 A KR 1020180159594A KR 20180159594 A KR20180159594 A KR 20180159594A KR 102644311 B1 KR102644311 B1 KR 102644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er
door
rail
roller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9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1956A (ko
Inventor
윤형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9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4311B1/ko
Priority to EP19200747.4A priority patent/EP3667006B1/en
Priority to US16/590,998 priority patent/US11525293B2/en
Priority to JP2019190164A priority patent/JP7489179B2/ja
Priority to CN201911016278.7A priority patent/CN111301124A/zh
Publication of KR20200071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19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4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43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05D15/1005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the wing being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horizontal planes
    • E05D15/101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the wing being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horizontal plan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 B60J5/047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with two doors opening in opposite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05D15/1042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transversely moving carriage
    • E05D15/1047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transversely moving carriage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05D15/1065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transversely moving track
    • E05D15/1081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transversely moving track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05D2015/102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accessories, e.g. sliding or rolling guides, la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8Hol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C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5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the fixed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6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의 내측 중앙에 차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장착되되 도어의 개방 시 도어가 차량의 실외 측으로 이동되도록 곡선으로 형성된 센터레일; 센터레일에 대응 되도록 차체에 장착되며 도어의 개폐 시 일측에 형성된 센터베어링부가 센터레일에 안착됨에 따라 센터레일과 결합되어 센터레일을 이동시키는 센터롤러; 차체의 하부에 차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장착되되 도어의 폐쇄 시 도어가 차량의 내부를 이동되도록 곡선으로 형성된 로워레일; 및 로워레일에 대응 되도록 도어의 내측 하부에 장착되며 도어의 개폐 시 일측에 형성된 로워베어링부가 로워레일에 안착됨에 따라 로워레일과 결합되어 로워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로워롤러;를 포함하며, 센터롤러는 센터베어링부와 이격된 위치에 센터축이 형성되고 로워롤러는 로워베어링부와 이격된 위치에 로워축이 형성되어 센터축 및 로워축은 각각 센터롤러 및 로워롤러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작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곡선의 센터레일과 로워레일을 활용하여 도어의 이동구조를 단순화 시킨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축이 형성된 센터롤러 및 로워롤러가 별도의 개폐에 필요한 링크 구조 없이 도어를 차체의 실내외 측으로 이동시키며 제조가 용이하고 원가가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작동 장치{OPPOSED TYPE SLIDING DOOR OPERATION DEVICE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도어가 원만하게 대향형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하는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작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회전축이 형성된 센터롤러와 로워롤러 및 곡선 형상의 센터레일과 로워레일을 활용하여 도어의 개폐감을 향상시키고 구조를 단순화시킨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작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운전자나 그 동반 탑승자가 탑승할 수 있는 소정 크기의 차실이 형성되어 있고, 차실을 개폐하기 위해 차체에는 차실 개폐 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차실 개폐 도어는 승용차의 경우에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방에 설치된 프론트 도어와,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후방에 설치된 리어 도어를 구비하고, 프론트 도어와 리어 도어는 통상적으로 차체에 힌지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한편, 많은 사람이 승합할 수 있는 승합차의 경우에는 차실 개폐 도어가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로 슬라이딩 운동을 하면서 차실을 개폐하도록 되어 있다.
근래에는, 도어 개구부를 완전하게 개방하여 장애인의 탑승, 짐의 적재 등을 용이하게 할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승합차뿐만 아니라 일반 승용차에도 슬라이딩 도어의 설치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의 한국등록특허 제10-1542980호(차량의 리어 도어장치)는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하여 차체의 도어 개구부를 개폐하는 리어 도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직선의 상부레일과 곡선의 하부레일 및 링크구조를 활용하여 슬라이딩 도어를 개폐하는 리어 도어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다만, 종래의 기술은 롤러의 구조가 다수의 링크로 구성되어 구조가 복잡하여 잔고장 발생이 잦고 제품의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도어의 개폐 시 도어의 회전 또는 유동을 방지하는 구성을 포함하지 않아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42980호
본 발명은 기존의 슬라이딩 도어 작동 장치에 있어 회전축이 형성된 센터롤러와 로워롤러 및 곡선 형상의 센터레일과 로워레일을 활용하여 구조를 단순화시키고 회전방지베어링을 활용하여 도어 개폐 시 도어의 회전을 방지하며 스토퍼를 활용하여 개폐상태의 도어의 유동을 방지하는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작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어의 내측 중앙에 차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장착되되 도어의 개방 시 도어가 차량의 실외 측으로 이동되도록 곡선으로 형성된 센터레일; 센터레일에 대응 되도록 차체에 장착되며 도어의 개폐 시 일측에 형성된 센터베어링부가 센터레일에 안착됨에 따라 센터레일과 결합되어 센터레일을 이동시키는 센터롤러; 차체의 하부에 차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장착되되 도어의 폐쇄 시 도어가 차량의 내부를 이동되도록 곡선으로 형성된 로워레일; 및 로워레일에 대응 되도록 도어의 내측 하부에 장착되며 도어의 개폐 시 일측에 형성된 로워베어링부가 로워레일에 안착됨에 따라 로워레일과 결합되어 로워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로워롤러;를 포함하며, 센터롤러는 센터베어링부와 이격된 위치에 센터축이 형성되고 로워롤러는 로워베어링부와 이격된 위치에 로워축이 형성되어 센터축 및 로워축은 각각 센터롤러 및 로워롤러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작동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도어는, 프론트도어 및 리어도어를 포함하고, 센터레일, 센터롤러, 로워레일 및 로워롤러는 각각 한 쌍이 좌우 대칭으로 장착되어 프론트도어 및 리어도어가 대향하여 개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센터레일은, 센터롤러를 향하여 n 형상으로 절곡되며 센터레일의 상부에 위치하는 센터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센터레일은, 센터롤러를 향하여 센터레일의 하부가 절곡된 센터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센터롤러는, 일측이 차체에 장착되어 센터롤러를 차체에 고정시키며 타측이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며 센터축이 형성된 센터고정부; 및 일단이 센터고정부와 센터축을 중심으로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에 센터베어링부가 장착된 센터회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센터롤러는, 센터고정부와 센터축을 중심으로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되 센터회전부의 측면에 장착되어 도어의 개폐 시 센터회전부의 회전각을 제한하는 센터회전제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센터회전부는, 도어의 개방 시 센터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센터롤러가 곡선의 센터레일을 따라 상대 이동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도어를 차체의 실외 측으로 회전시키고 도어의 폐쇄 시 센터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센터롤러가 곡선의 센터레일을 따라 상대 이동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도어를 차체의 실내 측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센터베어링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센터가이드부의 하부에 센터가이드부의 측면과 원주면이 접촉하도록 삽입되며 도어의 개폐 시 원주면이 센터가이드부의 측면을 따라 회전하여 센터롤러를 구름 이동시키는 센터가이드베어링;을 더 포함하고, 센터가이드베어링은 센터롤러가 센터레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도어의 이동 궤적을 가이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센터베어링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센터지지부의 상부에 센터지지부와 원주면이 접촉하도록 삽입되며 도어의 개폐 시 원주면이 센터지지부의 상면에 접촉되어 회전되는 센터베어링부;를 더 포함하고, 센터베어링부는 도어의 개폐 시 도어의 하중에 의한 도어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센터베어링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센터지지부의 하부에 센터지지부와 원주면이 접촉하도록 삽입되며 도어의 개폐 시 원주면이 센터지지부의 하면에 접촉되어 회전되는 센터로드베어링;을 더 포함하고, 센터로드베어링은 도어의 하중을 지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센터베어링부는, 상부에 돌기 형상의 메일스토퍼가 형성되어 센터레일이 소정 범위 이상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센터레일은, 일측에 도어의 개방 시 메일스토퍼와 접촉하도록 형성된 풀오픈피메일스토퍼; 및 타측에 도어의 폐쇄 시 메일스토퍼와 접촉도록 형성된 클로즈피메일스토퍼;를 더 포함하며, 풀오픈피메일스토퍼, 클로즈피메일스토퍼 및 메일 스토퍼는 도어의 개폐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풀오픈피메일스토퍼는 메일스토퍼와 도어의 개방 상태에서 도어를 고정시킴에 따라 도어의 유동을 방지하고 클로즈피메일스토퍼는 메일스토퍼와 도어의 폐쇄 상태에서 도어를 고정시킴에 따라 도어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로워레일은, 로워롤러를 향하여 n형상으로 절곡되며 로워레일의 상부에 위치하는 로워가이드부; 및 로워가이드로부터 로워롤러를 향하여 연장된 로워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로워레일은, 로워롤러를 향하여 로워레일의 하부가 절곡된 로워회전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로워롤러는, 일측이 도어에 장착되어 로워롤러를 도어에 고정시키며 타측이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며 로워축이 형성된 로워고정부; 및 일단이 로워고정부와 로워축을 중심으로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에 로워베어링부가 장착된 로워회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로워회전부는, 도어의 개방 시 로워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로워롤러가 곡선의 로워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도어를 차체의 실외 측으로 회전시키고 도어의 폐쇄 시 로워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로워롤러가 곡선의 로워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도어를 차체의 실내 측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로워베어링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로워가이드부의 하부에 로워가이드부의 측면과 원주면이 접촉하도록 삽입되며 도어의 개폐 시 로워레일을 따라 구름이동 되는 로워가이드베어링;을 더 포함하고, 로워가이드베어링은 로워롤러가 로워레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도어의 이동 궤적을 가이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로워베어링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로워지지부의 하부에 로워지지부의 하면과 원주면이 접촉하도록 삽입되어 도어의 개폐 시 로워지지부를 따라 구름이동 되는 로워로드베어링;을 더 포함하고, 로워로드베어링은 도어의 하중을 지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로워베어링부는, 로워회전방지부와 원주면이 접촉되도록 위치하여 도어의 개폐 시 도어의 하중에 의한 도어의 회전을 방지하는 로워회전방지베어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로워회전방지베어링은, 로워회전방지부의 상면과 원주면이 접촉되도록 위치하여 도어의 개폐 시 로워회전방지부를 따라 구름이동 하는 제 1 로워회전방지베어링; 및 로워회전방지부의 측면과 원주면이 접촉되도록 위치하여 도어의 개폐 시 로워회전방지부를 따라 구름이동 하는 제 2 로워회전방지베어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곡선의 센터레일이 도어의 개방 시, 도어를 실외 측으로 이동시켜 도어의 개방 시 요구되는 동력을 저감시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센터레일을 차체에 장착하는 대신 도어에 장착하여 내부 공간 활용이 가능하고, 외부로 센터레일이 노출 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체 상부에 레일을 삭제하여 박스형 차량이나 승합 차량이 아닌 일반 승용차에도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곡선의 센터레일과 로워레일을 활용하여 도어의 이동구조를 단순화 시킨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축이 형성된 센터롤러 및 로워롤러가 별도의 개폐에 필요한 링크 구조 없이 도어를 차체의 실내외 측으로 이동시키며 제조가 용이하고 원가가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축이 형성된 센터롤러 및 로워롤러가 곡선의 선터레일과 로워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어 도어의 개폐감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동시에 도어의 유동을 방지시키는 메일스토퍼가 센터롤러에 장착되고 피메일스토퍼가 센터레일에 장착되어 도어 개폐 시 안정성 및 정확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센터롤러 및 로워롤러에 회전방지 베어링을 장착하여 도어의 하중에 의한 회전을 방지하여 도어 동작의 정확도가 향상되고 부품의 내구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의 (a)는 도어의 폐쇄 시 본 발명의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작동 장치가 장착된 차량의 정면도.
도 1의 (b)는 도어의 폐쇄 시 본 발명의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작동 장치가 장착된 차량에서 도어를 제거한 정면도.
도 2의 (a)는 도어의 개방 시 본 발명의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작동 장치가 장착된 차체의 정면도.
도 2의 (b)는 도어의 개방 시 본 발명의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작동 장치가 장착된 차체에서 도어를 제거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센터롤러가 결합된 센터레일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센터롤러의 사시도.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센터레일에 결합된 센터베어링부의 사시도.
도 5의 (b)는 본 발명의 센터레일에 결합된 센터베어링부의 측부 단면도.
도 6의 (a)는 도어의 폐쇄 시 본 발명의 센터레일에 결합된 센터롤러의 상면도.
도 6의 (b)는 도어의 개방 시 본 발명의 센터레일에 결합된 센터롤러의 상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로워레일에 결합된 로워롤러의 사시도.
도 8의 (a)는 본 발명의 로워레일에 결합된 로워베어링부의 사시도.
도 8의 (b)는 본 발명의 로워레일에 결합된 로워베어링부의 측면도.
도 9의 (a)는 도어의 폐쇄 시 본 발명의 로워레일의 상면도.
도 9의 (b)는 도어의 개방 시 본 발명의 로워레일의 상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예시적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 참조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의 (a)는 도어를 폐쇄한 경우 본 발명의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작동 장치가 장착된 차량의 정면도를 나타내고, 도 1의 (b)는 도어를 폐쇄한 경우 본 발명의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작동 장치가 장착된 차량에서 도어를 제거한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1의 (a) 및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작동 장치는 센터레일(10), 센터롤러(20), 로워레일(30) 및 로워롤러(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어는, 프론트도어(1) 및 리어도어(2)를 포함하고, 센터레일(10), 센터롤러(20), 로워레일(30) 및 로워롤러(40)는 각각 한 쌍이 대칭으로 장착되어 프론트도어(1) 및 리어도어(2)가 대향하여 개방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레일(10)은 도어의 내측 중앙에 차체(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장착될 수 있다.
센터레일(10)이 종래의 센터레일과 달리 도어의 내측에 장착됨에 따라 차량의 도어가 폐쇄되더라도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종래의 센터레일은 차체(3)에 장착됨에 따라 프론트도어(1)의 경우, 차체(3)에 센터레일(10)이 장착 될만한 공간이 없어 프론트도어(1)와 리어도어(2)를 대향하여 슬라이딩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센터레일(10)이 도어에 장착됨에 따라 리어도어(2)뿐만 아니라 프론트도어(1) 역시 슬라이딩 방식의 도어를 설치할 수 있어 프론트도어(1)와 리어도어(2)를 각각 대향하여 개방할 수 있다.
센터롤러(20)는 센터레일(10)에 결합될 수 있도록 그 대응되는 위치로 차체(3)에 장착 및 고정되며, 도어의 개폐 시 일측에 형성된 센터베어링부(250)(도 4 참조)가 센터레일(10)에 안착되어 도어의 개폐 시 센터레일(10)이 센터롤러(20)로 하여금 이동 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어 개폐 시 센터롤러(20)는 차체(3)에 고정되어 있으나, 센터레일(10)이 이동함에 따라 센터롤러(20)는 센터레일(10)과 상대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로워레일(30)은 차체(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차량의 내부를 향하도록 차체(3)의 하부에 곡선으로 장착될 수 있다.
로워롤러(40)는 로워레일(30)에 결합될 수 있도록 그 대응되는 위치로 도어의 내측 하부에 장착되며, 도어의 개폐 시 일측에 형성된 로워베어링부(430)(도 7 참조)가 로워레일(30)에 안착되어 로워레일(30)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도 2의 (a)는 도어의 개방 시 본 발명의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작동 장치가 장착된 차체(3)의 정면도를 나타내고, 도 2의 (b)는 도어의 개방 시 본 발명의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작동 장치가 장착된 차체(3)에서 도어를 제거한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2의 (a) 및 (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손으로 도어의 개방을 시도하거나 기계적인 매커니즘에 의해 자동으로 도어가 개방될 시, 도어에 장착된 센터레일(10)이 센터롤러(20)에 의해 구름 이동되며 로워롤러(40)가 로워레일(30)을 따라 구름 이동됨에 따라 도어가 실외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센터롤러(20)는 센터롤러(2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센터베어링부(250)와 이격된 위치에 센터축(23)이 형성되고 로워롤러(40)는 로워롤러(4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로워베어링부(430)와 이격된 위치에 로워축(45)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센터롤러(20) 및 로워롤러(40)가 각각 센터축(23) 및 로워축(45)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도어의 개폐 시 도어를 차체(3)의 실내외 측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동시에 곡선의 센터레일(10) 및 로워레일(30)을 따라 센터롤러(20)와 로워롤러(4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관하여는 이하에서 자세히 서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센터롤러(20)가 결합된 센터레일(10)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센터레일(10)은 도어의 개방 시 도어가 실외 측으로 향하도록 도어의 내측 중앙에 차체(3)의 길이 방향을 따라 곡선으로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도어의 개방을 시도하는 경우, 센터레일(10)이 센터롤러(20)에 의해 구름 이동됨과 동시에 도어가 그 이동의 시작점부터 곡선을 따라 차체(3)의 길이방향인 좌우로 움직일 뿐만 아니라 실외 측으로 움직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센터롤러(20)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센터롤러(20)는 센터고정부(21), 센터회전부(25), 센터회전제한부(22) 및 센터베어링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센터고정부(21)는 일측이 차체(3)에 장착되어 센터롤러(20)를 차체(3)에 고정시키며 차체(3)에 나란히 결합되고, 타측에 센터회전부(25)와 센터축(23)을 중심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소정의 각도로 절곡될 수 있다.
센터회전부(25)는 일단이 센터고정부(21)와 센터축(23)을 중심으로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에 센터레일(10)과 결합되는 센터베어링부(250)가 장착된다.
센터회전부(25)가 센터고정부(21)는 센터롤러(20)가 차체(3)에 고정됨에 따라 곡선으로 형성된 센터레일(10)의 이동에 대응하기 위해 피봇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센터고정부(21)와 센터회전부(25)가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는 결과, 도어의 개방 시 센터롤러(20)가 센터축(23)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곡선의 센터레일(10)을 따라 상대 이동할 수 있는 동시에 도어를 차체(3)의 실외 측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도어의 폐쇄 시 센터롤러(20)가 센터축(23)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곡선의 센터레일(10)을 따라 상대 이동할 수 있는 동시에 도어를 차체(3)의 실내 측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센터회전제한부(22)는 센터고정부(21)와 센터축(23)을 중심으로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며 센터회전부(25)의 측면에 장착되어 도어의 개폐 시 센터회전부(25)의 회전각을 제한할 수 있다.
센터베어링부(250)는 센터가이드베어링(253), 센터회전방지베어링(255), 센터로드베어링(257) 및 메일스토퍼(251)를 포함할 수 있다.
센터베어링부(250)가 센터레일(10)에 결합되어 결과적으로 센터레일(10)이 센터롤러(20)를 매개로 구름이동 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센터레일(10)에 결합된 센터베어링부(250)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5의 (b)는 본 발명의 센터레일(10)에 결합된 센터베어링부(250)의 측부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의 (a) 및 (b)를 참조하면, 센터레일(10)은 센터가이드부(15) 및 센터지지부(17)를 포함할 수 있다.
도 (b)를 참조하면, 센터가이드부(15)는 선터롤러를 향하여 n 형상으로 센터레일(10)의 상부가 절곡되며, 센터지지부(17)는 센터롤러(20)를 향하여 센터레일(10)의 하부가 절곡될 수 있다.
센터가이드베어링(253)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센터가이드부(15)의 하부에 센터가이드부(15)의 측면과 원주면이 접촉하도록 삽입되며 도어의 개폐 시 원주면이 센터가이드부(15)의 측면을 따라 회전하여 센터롤러(20)를 구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센터가이드베어링(253)은 센터가이드부(15)의 양측면이 모두 원주면에 맞닿도록 형성되어 센터롤러(20)가 센터레일(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도어의 이동 궤적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센터회전방지베어링(255)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센터지지부(17)의 상부에 센터지지부(17)와 원주면이 접촉하도록 삽입되며 도어의 개폐 시 원주면이 센터지지부(17)의 상면에 접촉되어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어의 개폐 시 센터롤러(20)가 센터레일(10)을 이동시키는 것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도어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센터로드베어링(257)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센터지지부(17)의 하부에 센터지지부(17)와 원주면이 접촉하도록 삽입되며 도어의 개폐 시 원주면이 센터지지부(17)의 하면에 접촉되어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센터로드베어링(257)은 도어의 하중을 지탱할 수 있다.
또한, 센터베어링부(250)는 상부에는 돌기 형상의 메일스토퍼(251)가 형성된다. 메일스토퍼(251)는 센터레일(10)이 센터롤러(20)를 따라 소정 범위 이상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센터레일(10)에는 일측에 도어의 개방 시 메일스토퍼(251)와 접촉하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풀오픈피메일스토퍼(13)가 형성되고, 타측에 도어의 폐쇄 시 메일스토퍼(251)와 접촉하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클로즈피메일스토퍼(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풀오픈피메일스토퍼(13)와 클로즈피메일스토퍼(11) 및 메일 스토퍼는 도어의 개폐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풀오픈피메일스토퍼(13)는 메일스토퍼(251)와 도어의 풀오픈 상태에서 도어를 지지함에 따라 도어의 유동을 방지하고, 클로즈피메일스토퍼(11)는 메일스토퍼(251)와 도어의 폐쇄 상태에서 마찬가지로 도어를 지지함에 따라 도어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클로즈피메일스토퍼(11)와 메일스토퍼(251)는 면접촉 되어 있으나, 센터가이드베어링(253)과 메일스토퍼(251)의 고정 부위는 접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클로즈피메일스토퍼(11) 풀오픈피메일스토퍼(13), 및 메일스토퍼(251)를 고무와 같은 재질로 형성하는 경우, 부품간의 소음을 방지하고 부품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6의 (a)는 도어의 폐쇄 시 본 발명의 센터레일(10)에 결합된 센터롤러(20)의 상면도를 나타내고, 도 6의 (b)는 도어의 개방 시 본 발명의 센터레일(10)에 결합된 센터롤러(20)의 상면도를 나타낸다.
도 6의 (a) 및 (b)를 참조하면 도어의 폐쇄 시, 클로즈피메일스토퍼(11)는 메일스토퍼(251)와 접촉되어 도어의 폐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센터레일(10)이 도 6의 (a)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도 6의 (b)의 풀오픈 상태가 되면 풀오픈피메일스토퍼(13)는 메일스토퍼(251)와 접촉되어 도어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며, 도어가 더 이상 움직이지 않도록 하여 그 이동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또한, 도 6의 (a) 및 (b)를 참조하면, 센터회전제한부(22)는 센터회전부(25)의 측면에서 센터회전부(25)가 도어가 완전히 개방되거나 완전히 폐쇄되었을 때, 센터회전부(25)가 소정 각도의 범위 내에서 회전 할 수 있도록 그 범위를 제한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로워레일(30)에 결합된 로워롤러(40)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로워롤러(40)는, 로워고정부(41), 로워회전부(43) 및 로워베어링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로워고정부(41)는 일측이 도어에 장착되어 로워롤러(40)를 도어에 고정시키며 타측이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ㄴ'자로 절곡되며 로워축(45)이 형성되어 로워축(45)을 중심으로 로워회전부(43)가 결합될 수 있다.
로워회전부(43)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일단이 로워고정부(41)와 로워축(45)을 중심으로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에 로워베어링부(430)가 장착될 수 있다.
로워레일(30) 차체(3)에 곡선으로 고정됨에 따라 로워롤러(40)가 로워레일(30)을 따라 이동하기 위해 로워회전부(43)가 로워고정부(41)에 피봇 가능하도록 연결한다.
그 결과 도어의 개방 시 로워축(45)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로워롤러(40)가 곡선의 로워레일(30)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도어를 차체(3)의 실외 측으로 회전시키고 도어의 폐쇄 시 로워축(45)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로워롤러(40)가 곡선의 로워레일(30)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도어를 차체(3)의 실내 측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로워베어링부(430)는 로워가이드베어링(431), 로워로드베어링(433) 및 로워회전방지베어링을 포함하며, 로워베어링부(430)가 로워레일(30)에 결합되어 결과적으로 로워롤러(40)가 로워레일(30)을 따라 구름이동 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의 (a)는 본 발명의 로워레일(30)에 결합된 로워베어링부(430)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8의 (b)는 본 발명의 로워레일(30)에 결합된 로워베어링부(430)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8의 (b)를 참조하면, 로워레일(30)은, 로워가이드부(31), 로워지지부(33) 및 로워회전방지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로워가이드부(31)는 로워롤러(40)를 향하여 n형상으로 로워레일(30)의 상부가 절곡될 수 있고, 로워지지부(33)는 로워가이드로부터 로워롤러(40)를 향하여 연장되며, 로워회전방지부(35)는 로워롤러(40)를 향하여 로워레일(30)의 하부가 절곡 될 수 있다.
도 8의 (a) 및 (b)를 참조하면, 로워가이드베어링(431)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로워가이드부(31)의 하부에 로워가이드부(31)의 측면과 원주면이 접촉하도록 삽입되며 도어의 개폐 시 로워레일(30)을 따라 구름이동 될 수 있다.
로워가이드베어링(431)은 로워롤러(40)가 로워레일(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도어의 이동 궤적을 가이드할 수 있다.
로워로드베어링(433)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로워지지부(33)의 하부에 로워지지부(33)의 하면과 원주면이 접촉하도록 삽입되어 도어의 개폐 시 로워지지부(33)를 따라 구름이동 되며, 도어의 하중을 지탱할 수 있다.
로워회전방지베어링은 로워레일(30)과 원주면이 접촉하도록 위치하여 도어의 개폐 시 도어가 로워레일(30)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발생하는 도어의 하중에 의한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로워회전방지베어링은, 로워회전방지부(35)의 상면과 원주면이 접촉되도록 위치한 제 1 로워회전방지베어링(435) 및 로워회전방지부(35)의 측면과 원주면이 접촉되도록 위치한 제 2 로워회전방지베어링(437)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로워회전방지베어링(435) 및 제 2로워회전방제베어링은 센터회전방지베어링(255)과 마찬가지로 도어의 개폐 시 로워롤러(40)가 로워레일(30)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도어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9의 (a)는 도어의 폐쇄 시 본 발명의 로워레일(30)의 상면도를 나타내고, 도 9의 (b)는 도어의 개방 시 본 발명의 로워레일(30)의 상면도를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로워레일(30)은 도어의 폐쇄 시 도어가 차량의 내부를 향하도록 차체(3)의 길이 방향을 따라 곡선으로 차체(3)에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도어의 폐쇄를 시도하는 경우, 로워롤러(40)가 로워레일(30)을 따라 구름 이동됨과 동시에 도어가 그 이동의 시작점부터 곡선을 따라 차체(3)의 길이방향인 좌우로 움직일 뿐만 아니라 실내 측으로 움직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어가 완전히 폐쇄 되어 있다가 개방 되는 경우 도 9의 (a)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로워롤러(40)가 이동하게 되고 이때 로워회전부(43)가 곡선의 로워레일(30)을 따라 로워축(45)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도 9의 (b)와 같이 풀오픈 상태가 되면 로워고정부(41)와 로워회전부(43) 사이의 각도가 상이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어가 차체(3)의 길이방향인 좌우로 움직일 뿐만 아니라, 도어가 실외 측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 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1: 프론트도어
2: 리어도어
3: 차체
10: 센터레일
11: 클로즈피메일스토퍼
13: 풀오픈피메일스토퍼
15: 센터가이드부
17: 센터지지부
20: 센터롤러
21: 센터고정부
22: 센터회전제한부
23: 센터축
25: 센터회전부
250: 센터베어링부
251: 메일스토퍼
253: 센터가이드베어링
255: 센터회전방지베어링
257: 센터로드베어링
30: 로워레일
31: 로워가이드부
33: 로워지지부
35: 로워회전방지부
40: 로워롤러
41: 로워고정부
43: 로워회전부
430: 로워베어링부
431: 로워가이드베어링
433: 로워로드베어링
435: 제 1 로워회전방지베어링
437: 제 2 로워회전방지베어링
45: 로워축

Claims (21)

  1. 도어의 내측 중앙에 차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장착되되 도어의 개방 시 상기 도어가 차량의 실외 측으로 이동되도록 곡선으로 형성된 센터레일;
    상기 센터레일에 대응 되도록 차체에 장착되며 상기 도어의 개폐 시 일측에 형성된 센터베어링부가 상기 센터레일에 안착됨에 따라 상기 센터레일과 결합되어 상기 센터레일을 이동시키는 센터롤러;
    상기 차체의 하부에 상기 차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장착되되 상기 도어의 폐쇄 시 상기 도어가 상기 차량의 내부를 이동되도록 곡선으로 형성된 로워레일; 및
    상기 로워레일에 대응 되도록 상기 도어의 내측 하부에 장착되며 상기 도어의 개폐 시 일측에 형성된 로워베어링부가 상기 로워레일에 안착됨에 따라 상기 로워레일과 결합되어 상기 로워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로워롤러;를 포함된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작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센터롤러 및 상기 로워롤러를 회전시키도록 한 로워축이 로워베어링부와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센터롤러는 상기 센터베어링부와 이격된 위치에 센터축이 형성되고,
    상기 센터베어링부는,
    상부에 돌기 형상의 메일스토퍼가 형성되어 상기 센터레일이 소정 범위 이상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되, 상기 센터롤러는 일측이 상기 차체에 장착되어 상기 센터롤러를 상기 차체에 고정시키며 타측이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며 상기 센터축이 형성된 센터고정부; 및 일단이 상기 센터고정부와 상기 센터축을 중심으로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에 상기 센터베어링부가 장착된 센터회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작동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프론트도어 및 리어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센터레일, 상기 센터롤러, 상기 로워레일 및 상기 로워롤러는 각각 한 쌍이 좌우 대칭으로 장착되어 상기 프론트도어 및 상기 리어도어가 대향하여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작동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레일은,
    상기 센터롤러를 향하여 n 형상으로 절곡되며 상기 센터레일의 상부에 위치하는 센터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작동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레일은,
    상기 센터롤러를 향하여 상기 센터레일의 하부가 절곡된 센터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작동 장치.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롤러는,
    상기 센터고정부와 상기 센터축을 중심으로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센터회전부의 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 시 상기 센터회전부의 회전각을 제한하는 센터회전제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작동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회전부는,
    상기 도어의 개방 시 상기 센터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센터롤러가 곡선의 센터레일을 따라 상대 이동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상기 도어를 상기 차체의 실외 측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도어의 폐쇄 시 상기 센터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센터롤러가 곡선의 센터레일을 따라 상대 이동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상기 도어를 상기 차체의 실내 측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작동 장치.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베어링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센터가이드부의 하부에 상기 센터가이드부의 측면과 원주면이 접촉하도록 삽입되며 상기 도어의 개폐 시 상기 원주면이 상기 센터가이드부의 측면을 따라 회전하여 상기 센터롤러를 구름 이동시키는 센터가이드베어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센터가이드베어링은 상기 센터롤러가 상기 센터레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도어의 이동 궤적을 가이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작동 장치.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베어링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센터지지부의 상부에 상기 센터지지부와 원주면이 접촉하도록 삽입되며 상기 도어의 개폐 시 상기 원주면이 상기 센터지지부의 상면에 접촉되어 회전되는 센터회전방지베어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센터회전방지베어링은 상기 도어의 개폐 시 상기 도어의 하중에 의한 상기 도어의 회전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작동 장치.
  1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베어링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센터지지부의 하부에 상기 센터지지부와 원주면이 접촉하도록 삽입되며 상기 도어의 개폐 시 상기 원주면이 상기 센터지지부의 하면에 접촉되어 회전되는 센터로드베어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센터로드베어링은 상기 도어의 하중을 지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작동 장치.
  11. 삭제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레일은,
    일측에 상기 도어의 개방 시 상기 메일스토퍼와 접촉하도록 형성된 풀오픈피메일스토퍼; 및
    타측에 상기 도어의 폐쇄 시 상기 메일스토퍼와 접촉도록 형성된 클로즈피메일스토퍼;를 더 포함하며,
    상기 풀오픈피메일스토퍼, 상기 클로즈피메일스토퍼 및 상기 메일 스토퍼는 상기 도어의 개폐 범위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작동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풀오픈피메일스토퍼는 상기 메일스토퍼와 상기 도어의 개방 상태에서 상기 도어를 고정시킴에 따라 상기 도어의 유동을 방지하고 상기 클로즈피메일스토퍼는 상기 메일스토퍼와 상기 도어의 폐쇄 상태에서 상기 도어를 고정시킴에 따라 상기 도어의 유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작동 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워레일은,
    상기 로워롤러를 향하여 n형상으로 절곡되며 상기 로워레일의 상부에 위치하는 로워가이드부; 및
    상기 로워가이드로부터 상기 로워롤러를 향하여 연장된 로워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작동 장치.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워레일은,
    상기 로워롤러를 향하여 상기 로워레일의 하부가 절곡된 로워회전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작동 장치.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워롤러는,
    일측이 상기 도어에 장착되어 상기 로워롤러를 상기 도어에 고정시키며 타측이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며 상기 로워축이 형성된 로워고정부; 및
    일단이 상기 로워고정부와 상기 로워축을 중심으로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에 상기 로워베어링부가 장착된 로워회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작동 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로워회전부는,
    상기 도어의 개방 시 상기 로워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로워롤러가 곡선의 로워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상기 도어를 상기 차체의 실외 측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도어의 폐쇄 시 상기 로워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로워롤러가 곡선의 로워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상기 도어를 상기 차체의 실내 측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작동 장치.
  18.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로워베어링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로워가이드부의 하부에 상기 로워가이드부의 측면과 원주면이 접촉하도록 삽입되며 상기 도어의 개폐 시 상기 로워레일을 따라 구름이동 되는 로워가이드베어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로워가이드베어링은 상기 로워롤러가 상기 로워레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도어의 이동 궤적을 가이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작동 장치.
  19.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로워베어링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로워지지부의 하부에 상기 로워지지부의 하면과 원주면이 접촉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 시 로워지지부를 따라 구름이동 되는 로워로드베어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로워로드베어링은 도어의 하중을 지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작동 장치.
  20.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로워베어링부는,
    상기 로워회전방지부와 원주면이 접촉되도록 위치하여 상기 도어의 개폐 시 상기 도어의 하중에 의한 상기 도어의 회전을 방지하는 로워회전방지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작동 장치.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로워회전방지베어링은,
    상기 로워회전방지부의 상면과 원주면이 접촉되도록 위치하여 상기 도어의 개폐 시 상기 로워회전방지부를 따라 구름이동 하는 제 1 로워회전방지베어링; 및
    상기 로워회전방지부의 측면과 원주면이 접촉되도록 위치하여 상기 도어의 개폐 시 상기 로워회전방지부를 따라 구름이동 하는 제 2 로워회전방지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작동 장치.
KR1020180159594A 2018-12-12 2018-12-12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작동 장치 KR1026443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594A KR102644311B1 (ko) 2018-12-12 2018-12-12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작동 장치
EP19200747.4A EP3667006B1 (en) 2018-12-12 2019-10-01 Vehicle comprising opposite sliding doors and a device for operating opposite sliding doors
US16/590,998 US11525293B2 (en) 2018-12-12 2019-10-02 Device for operating opposite sliding doors
JP2019190164A JP7489179B2 (ja) 2018-12-12 2019-10-17 対向型スライドドア作動装置
CN201911016278.7A CN111301124A (zh) 2018-12-12 2019-10-24 用于操作对置滑动门的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594A KR102644311B1 (ko) 2018-12-12 2018-12-12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작동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1956A KR20200071956A (ko) 2020-06-22
KR102644311B1 true KR102644311B1 (ko) 2024-03-07

Family

ID=68109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9594A KR102644311B1 (ko) 2018-12-12 2018-12-12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작동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525293B2 (ko)
EP (1) EP3667006B1 (ko)
JP (1) JP7489179B2 (ko)
KR (1) KR102644311B1 (ko)
CN (1) CN11130112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43866A1 (en) * 2018-10-23 2020-04-29 Ningbo Geely Automobile Research & Development Co. Ltd. Fastening arrangement for vehicle sliding door
KR20210044010A (ko) * 2019-10-14 2021-04-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의 이중 로워 레일 구조
EP3932708A1 (en) * 2020-06-30 2022-01-05 Ningbo Geely Automobile Research & Development Co. Ltd. A vehicle door system and a method for improving durability of a door system
EP3932709B1 (en) * 2020-06-30 2023-10-18 Ningbo Geely Automobile Research & Development Co. Ltd. A vehicle door system and a method for improving durability of a door system
JP7316311B2 (ja) * 2021-03-12 2023-07-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スライドドア構造
DE102021121532A1 (de) * 2021-08-19 2023-02-23 Audi Aktiengesellschaft Fahrzeu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57550A1 (en) * 2012-12-07 2014-06-12 Hyundai Motor Company Linear center rail structure for sliding door
US20160129769A1 (en) * 2014-11-06 2016-05-12 Hyundai Motor Company Sliding door device for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64863A (en) * 1980-08-30 1984-08-14 Nissan Motor Company, Limited Sliding type door assembly
JPS5934926A (ja) * 1982-08-23 1984-02-25 Nissan Motor Co Ltd 自動車用スライドドア装置
FR2739329B1 (fr) * 1995-10-02 1997-12-26 Peugeot Dispositif de protection d'un rail d'une porte coulissante d'un vehicule automobile
EP0800944B1 (en) * 1996-04-09 2001-12-19 Mitsubishi Jidosha Kogyo Kabushiki Kaisha A sliding door supporting apparatus
JP3465514B2 (ja) * 1997-01-29 2003-11-10 三菱自動車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スライドドア支持装置
KR200185310Y1 (ko) * 1997-12-03 2000-08-01 정몽규 자동차의도어글래스캐치장치
JP4039644B2 (ja) * 1998-01-13 2008-01-30 プレス工業株式会社 スライドドア開閉機構
US5934022A (en) * 1998-07-21 1999-08-10 Chrysler Corporation Sliding door lower track stabilizer
JP2001090426A (ja) * 1999-09-17 2001-04-03 Komatsu Ltd スライドドアの支持機構
US6328374B1 (en) * 2000-06-21 2001-12-11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Fully-openable slidable vehicle door assembly
JP2003097137A (ja) * 2001-09-26 2003-04-03 Nissan Shatai Co Ltd スライドドアのガイドレール構造
EP1566508B1 (en) * 2004-02-18 2018-11-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 sliding door assembly
FR2878553B1 (fr) * 2004-11-26 2007-04-06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permettant d'empecher l'ouverture d'une porte coulissante de vehicule automobile en cas de choc frontal
WO2008028945A2 (en) * 2006-09-06 2008-03-13 Liexco S.A. Modular rail system for suspending sliding doors and sliding door system with user accessible braking / stopping element
JP4750661B2 (ja) * 2006-09-28 2011-08-17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車両用スライドドアの支持構造
JP5040512B2 (ja) * 2006-10-27 2012-10-0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のスライドドア構造
KR100861561B1 (ko) * 2006-11-08 2008-10-02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중장비용 운전실
JP4867641B2 (ja) * 2006-12-22 2012-02-01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スライドドアのストッパ装置
US7950719B2 (en) * 2007-09-14 2011-05-3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dual hinge rear door articulating and sliding system
JP5267013B2 (ja) * 2008-09-29 2013-08-21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スライドドア構造
US8007028B2 (en) * 2009-07-31 2011-08-30 Nissan North America, Inc. Vehicle sliding door structure
US8308221B2 (en) * 2009-10-20 2012-11-13 Honda Motor Co., Ltd. Roller assembly for sliding vehicle closure
KR101886445B1 (ko) * 2012-10-19 2018-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의 직선형 센터레일 링크 구조
KR101534729B1 (ko) * 2013-12-17 2015-07-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레일 록킹장치
KR101542980B1 (ko) 2013-12-27 2015-08-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리어 도어장치
KR101542981B1 (ko) * 2013-12-27 2015-08-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프론트 도어장치
JP2016175522A (ja) * 2015-03-19 2016-10-06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車両用ドア構造
GB2544112B (en) * 2015-11-09 2018-01-03 Ford Global Tech Llc Sliding door brake assembly
JP6710950B2 (ja) * 2015-12-09 2020-06-17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ガイドレール及び車両用スライドドア装置
GB2550890B (en) * 2016-05-27 2020-02-19 Ford Global Tech Llc A vehicle having a braked sliding door
GB2572145B (en) * 2018-03-19 2022-02-23 S G Technical Systems Ltd A vehicle sliding door
JP7135814B2 (ja) * 2018-12-10 2022-09-13 株式会社アイシン ローラユニット
KR20200071952A (ko) * 2018-12-12 2020-06-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의 슬라이딩 트림 커버 구조
KR20200131634A (ko) * 2019-05-14 2020-11-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 트림 락킹 슬라이더
KR102603543B1 (ko) * 2019-09-16 2023-11-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의 유동 방지 구조
KR20210057616A (ko) * 2019-11-12 2021-05-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도어 개폐장치
KR20210069304A (ko) * 2019-12-03 2021-06-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의 유동 방지 구조
KR20220039092A (ko) * 2020-09-21 2022-03-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도어 개폐장치
KR20220046295A (ko) * 2020-10-07 2022-04-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슬라이딩 도어용 4절링크형 유동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57550A1 (en) * 2012-12-07 2014-06-12 Hyundai Motor Company Linear center rail structure for sliding door
US20160129769A1 (en) * 2014-11-06 2016-05-12 Hyundai Motor Company Sliding door device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093773A (ja) 2020-06-18
JP7489179B2 (ja) 2024-05-23
US11525293B2 (en) 2022-12-13
EP3667006B1 (en) 2024-04-24
EP3667006A1 (en) 2020-06-17
US20200190880A1 (en) 2020-06-18
CN111301124A (zh) 2020-06-19
KR20200071956A (ko) 2020-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4311B1 (ko)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작동 장치
US4152872A (en) Sliding mechanism for vehicle sliding door
KR102603543B1 (ko)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의 유동 방지 구조
US10914108B2 (en) Opposed type sliding door device of vehicle using planetary gear reducer
CN103774945A (zh) 用于车辆的滑动门的线型中心轨道连杆结构
US20160114659A1 (en) Vehicle door structure
US6840567B2 (en) Sliding door structure for vehicle
US5832668A (en) Vehicle sliding door modular glide system
US11505045B2 (en) Structure for preventing opposite sliding doors from swaying
US4569553A (en) Sliding door track guiding mechanism
US2992851A (en) Sliding door for motor vehicles
KR20200071952A (ko)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의 슬라이딩 트림 커버 구조
JP2009114782A (ja) 車両用スライドドア構造
JP2017109549A (ja) スライドドア装置
JPS6125572B2 (ko)
KR102564453B1 (ko)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장치
GB2572145A (en) A vehicle sliding door
JPS625931Y2 (ko)
JPH0534969Y2 (ko)
KR20230093686A (ko)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장치
JPH057059Y2 (ko)
JPH0260825A (ja) 自動車用スライドドアの上部支持構造
JPS6112254Y2 (ko)
JPS6114901Y2 (ko)
JP4089337B2 (ja) 車両のスライドドア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