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1634A - 도어 트림 락킹 슬라이더 - Google Patents

도어 트림 락킹 슬라이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1634A
KR20200131634A KR1020190056475A KR20190056475A KR20200131634A KR 20200131634 A KR20200131634 A KR 20200131634A KR 1020190056475 A KR1020190056475 A KR 1020190056475A KR 20190056475 A KR20190056475 A KR 20190056475A KR 20200131634 A KR20200131634 A KR 202001316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member
locking slider
coupling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6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제원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56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31634A/ko
Priority to US16/684,680 priority patent/US20200362606A1/en
Priority to CN201911172372.1A priority patent/CN111942118A/zh
Publication of KR20200131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16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05D15/1005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the wing being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horizontal planes
    • E05D15/101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the wing being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horizontal plan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68Fixation or mounting means specific for door compon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36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 E05B83/40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for sliding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6Assembly panels to be installed in doors as a module with components, e.g. lock or window lifter, attached there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 B60J5/08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of roller-blind type made of rigid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37Side or rear panels
    • B60R13/0243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36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 E05B83/38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for pillar-less vehicles, i.e. vehicles where a front and a back door engage each other in the closed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2Sea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20Combinations of elements
    • E05Y2800/21Combinations of elements of identical elements, e.g. of identical compression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vibration or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트림 락킹 슬라이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슬라이딩 도어의 이동 시 도어 트림의 하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잠그거나 잠금 해제시킬 수 있는 락킹 슬라이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플레이트를 가지고 슬라이딩 도어의 센터롤러에 장착된 도어 트림 락킹 슬라이더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트림 락킹 슬라이더는 상기 플레이트 상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고, 복수의 돌기에 의한 맞물림 또는 맞물림 해제 동작을 통해 서로 체결되거나 체결 해제되는 2개의 개폐부재;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이동 경로 상에서 상기 개폐부재를 안착시키도록 상기 플레이트의 양측에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재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힘을 가하도록 형성된 2개의 결합부재; 및 상기 결합부재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플레이트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재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힘을 가하도록 형성된 분리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도어 트림 락킹 슬라이더{LOCKING SLIDER OF DOOR TRIM}
본 발명은 도어 트림 락킹 슬라이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슬라이딩 도어의 이동 시 도어 트림의 하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잠그거나 잠금 해제시킬 수 있는 락킹 슬라이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운전자나 그 동반 탑승자가 탑승할 수 있는 소정 크기의 차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차실을 개폐하기 위해 차체에는 개폐 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특히, 슬라이딩식 차실 개폐 도어는 차실 개폐 도어가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여 차실을 개방하는 반면에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여 차실을 폐쇄하게 되어 있어서 힌지식 차실 개폐 도어보다 도어 개폐에 필요한 개폐 필요 공간이 작은 장점이 있다.
슬라이딩 도어의 유형 중 프론트 도어와 리어 도어가 마주보는 형태를 취하는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의 경우, 종래에는 도어를 차체에 장착하기 위해 어퍼 레일과, 센터레일 및 로워레일이 필요하였다. 다만, 직선형 어퍼레일을 사용할 경우 차량의 루프부를 곡선형으로 디자인하는데 제약이 있었고, 직선형 센터레일을 사용할 경우 펜더부 및 헤드램프 연결부를 디자인하는데 제약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 등록특허 제10-1637289호는 프론트 도어 및/또는 리어 도어에 장착된 중앙 레일과, 차체에 장착된 하부 레일만을 사용함으로써 차량의 부품수와 중량 및 원가 절감을 도모하고, 차량의 외관 디자인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구성을 살펴보면, 슬라이딩 도어(10)가 열리기 위해 차체에 장착된 센터롤러(20)가 도어(10)에 장착된 센터레일(30)을 따라 작동되어야 하므로, 이 작동 공간을 위한 센터레일(30) 주변의 도어 트림에 개구부(40)가 적용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레일(30) 및 센터롤러(20)의 상부는 어퍼트림(50)에 의해 덮힐 수 있으나, 그 하부는 개구부(40)에 의해 개방된다. 이러한 개구부(40)가 노출되면, 차량 주행 시 발생되는 윈드 노이즈, 로드 노이즈 등으로 NVH(NOISE, VIBRATION AND HARSHNESS)를 최적화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비가 오거나 먼지 농도가 높은 열악한 환경에서 차량 주행 시 외부 물질이 차량 내부로 유입될 수 있고, 개구부(40)에 인체의 일부가 삽입됨으로 인해 인체가 오염되거나 안정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37289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간단한 구성으로 도어 트림의 하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잠그거나 잠금 해제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발명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플레이트를 가지고 슬라이딩 도어의 센터롤러에 장착된 도어 트림 락킹 슬라이더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트림 락킹 슬라이더는 상기 플레이트 상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고, 복수의 돌기에 의한 맞물림 또는 맞물림 해제 동작을 통해 서로 체결되거나 체결 해제되는 2개의 개폐부재;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이동 경로 상에서 상기 개폐부재를 안착시키도록 상기 플레이트의 양측에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재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힘을 가하도록 형성된 2개의 결합부재; 및 상기 결합부재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플레이트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재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힘을 가하도록 형성된 분리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슬라이딩 도어가 닫힐 때 개폐부재가 잠김으로써 도어 트림의 하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차단할 수 있으므로, 차량 주행 시 발생되는 노이즈 또는 차량 외부에서 발생되는 물질 등이 차량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결합부재 및 분리부재에 형성된 롤러, 결합부재의 회전, 돌기의 원형 형상 등을 통해 개폐부재에 형성된 돌기들이 서로 맞닿으면서 발생될 수 있는 마찰, 소음 등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라 센터레일 하부에 형성된 트림 개구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락킹 슬러이더가 센터롤러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락킹 슬라이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락킹 슬라이더에서 결합부재가 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어가 닫히는 동안 락킹 슬라이더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은 도어가 열리는 동안 락킹 슬라이더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닫힐 때까지 도어 트림의 개구부가 잠기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트림 락킹 슬라이더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트림 락킹 슬라이더가 센터롤러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락킹 슬라이더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락킹 슬라이더에서 결합부재가 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센터롤러(20)는 차체에 고정되고, 센터레일(30)은 슬라이딩 도어(10)에 장착된다. 센터롤러(20)가 차체에 고정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도어(10)는 센터롤러(20)와 구름 결합된 센터레일(3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즉, 센터롤러(20)와 센터레일(30) 접촉 영역 또는 그 부근에서는 슬라이딩 도어(10)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트림 락킹 슬라이더(100)는 센터롤러(20)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플레이트(110)와, 결합부재(120a, 120b)와, 분리부재(130) 및 개폐부재(140a, 140b)를 포함한다.
락킹 슬라이더(100)는 센터롤러(20)의 일측에 장착된다. 락킹 슬라이더(100)는 센터롤러(20)에 장착된 상태에서 센터레일(30)의 하부에 형성된 개구부(40)를 가리는 위치와 평행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락킹 슬라이더(100)는 센터롤러(20)의 이동면에 수직되도록 위치한다. 그러면 센터롤러(20)가 도어(10)에 장착 시 락킹 슬라이더(100)는 개구부(40)의 하부와 평행하게 위치한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락킹 슬라이더(100)는 센터롤러(20)의 이동면과 다른 각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110)는 슬라이딩 도어(10)의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하고, 후술할 개폐부재(140a, 140b)를 안착시키도록 평평한 형상을 갖는다. 플레이트(110)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나, 개폐부재(140a, 140b)를 안정적으로 안착시키기 위해 평평한 형상을 갖는 것이 좋다. 플레이트(110)의 일면에는 결합부재(120a, 120b)와 분리부재(130)가 함께 형성된다.
결합부재(120a, 120b)는 개폐부재(140a, 140b)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고, 서로 마주보도록 플레이트(110)의 양측에 2개로 형성된다. 여기서 개폐부재(140a, 140b)는 결합부재(120a, 120b)의 사이에 안착되고, 슬라이딩 도어(10)의 이동 경로는 결합부재(120a, 120b) 사이에서 개폐부재(140a, 140b)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때, 플레이트(110)에 형성된 슬라이딩 도어(10)의 이동 경로를 제1 방향(도 4에서는 위 방향) 및 제2 방향(도 4에서는 아래 방향)으로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2개의 결합부재(120a, 120b)가 서로 마주보는 면(이하 경사면이라 한다)은 제2 방향으로 갈수록 2개의 결합부재(120a, 120b)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일정한 경사를 갖는다. 따라서 결합부재(120a, 120b)의 제1 방향 일단 사이의 거리는 가장 멀고, 결합부재(120a, 120b)의 제2 방향 타단 사이의 거리는 가장 가깝다. 여기서, 결합부재(120a, 120b)의 제2 방향 타단 사이의 거리는 2개의 개폐부재(140a, 140b)가 서로 체결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결합부재(120a, 120b)에는 경사면 외부로 돌출된 결합롤러(122a, 122b)가 형성된다. 즉,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롤러(122a, 122b)의 회전면은 결합부재(120a, 120b)의 경사면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하나의 결합부재(120a)에 형성된 결합롤러(122a)와 이와 마주보는 결합부재(120b)에 형성된 결합롤러(122b)는 서로 대칭되도록 마주본다. 도 4 및 도 5에는 제2 방향에 가깝도록 위치하는 4개의 결합롤러(120a, 120b)가 도시되어 있으나, 결합롤러(120a, 120b)의 형성위치 및 개수는 제한이 없다. 다만, 결합롤러(120a, 120b)는 개폐부재(140a, 140b)가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제2 방향에 가깝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재(120a, 120b)의 제1 방향 일단은 플레이트(110)에 회전축(Z)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결합부재(120a, 120b)의 제2 방향 타단은 결합부재(120a, 120b)의 회전축(Z)을 중심으로 플레이트(110)의 외측(도 5의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분리부재(130)는 개폐부재(140a, 140b)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고, 제1 방향에 가깝도록 플레이트(110)의 중심부근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분리부재(130)는 개폐부재(140a, 140b)가 결합부재(120a, 120b) 사이에 안착된 상태에서 개폐부재(140a, 140b)의 중심에 오도록 플레이트(110)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부재(130)는 제2 방향으로 갈수록 폭방향 간격이 줄어들도록 일정한 경사를 갖는다. 따라서, 분리부재(130)의 일단은 타단보다 폭방향 길이가 짧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분리부재(130)는 사다리꼴 형태를 갖는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분리부재(130)는 직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분리부재(130)의 일단(폭방향 거리가 짧은 단)면은 개폐부재(140a, 140b)가 플레이트(110)에 안착 시 개폐부재(140a, 140b)의 중심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위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부재(130)의 일단면에는 분리롤러(132a, 132b)가 마련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롤러(132a, 132b)는 분리부재(130)의 일단면에 나란하게 형성된 제1 분리롤러(132a)와 제2 분리롤러(132b)를 포함한다.
한편, 락킹 슬라이더(100)의 결합부재(120a, 120b) 및 분리부재(130)가 노출된 면에는 플레이트(110)와 동일한 플레이트(미도시)가 놓일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재(140a, 140b)는 서로 마주보도록 2개가 형성되고, 각각의 개폐부재(140a, 140b)는 복수의 돌기(142a, 142b)를 갖는다. 이러한 돌기(142a, 142b)는 스틸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개폐부재(140a)에 형성된 돌기(142a)는 다른 하나의 개폐부재(140b)에 형성된 돌기(142b)들 사이에 삽입된다. 삽입 시 발생되는 마찰을 줄이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기(142a, 142b)의 일단은 일정한 곡률을 가진 원형 형상을 갖는다.
마찰 발생을 더욱 방지하기 위해,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돌기(142a, 142b)는 마찰방지재(144)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마찰방지재(144)는 돌기(142a, 142b)의 형상과 비슷하고, 우레탄, 고무 등 마찰을 줄일 수 있는 다양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개폐부재(140a, 140b)는 락킹 슬라이더(100)가 센터롤러(20)에 장착된 상태에서 센터레일(30)의 하부에 형성된 개구부(40)에 마련된다. 이러한 개폐부재(140a, 140b)는 락킹 슬라이더(100)와 평행하게 위치한다.
이하,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트림 락킹 슬라이더(100)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차체에 고정된 센터롤러(20)를 통해 차체에 고정되고 슬라이딩 도어(10)가 이동하는데, 슬라이딩 도어(10)의 이동 경로 상에 락킹 슬라이더(100)가 있다. 또한, 개폐부재(140a, 140b)는 슬라이딩 도어(10)에 형성된 개구부(40)에 마련되므로, 슬라이딩 도어(10)와 같이 움직인다. 이러한 개폐부재(140a, 140b)의 일정영역은 락킹 슬라이더(100)에 안착된다. 슬라이딩 도어(10)는 락킹 슬라이더(100)를 기준으로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데, 각각의 이동 방향에 따라 개폐부재(140a, 140b)가 체결되거나 체결 해제된다.
우선, 도 8을 참조하여, 2개의 개폐부재(140a, 140b)가 서로 체결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슬라이딩 도어(10)가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면, 락킹 슬라이더(100)에 안착된 개폐부재(140a, 140b)는 결합부재(120a, 120b)의 힘을 받으면서 슬라이딩 도어(10)와 함께 이동한다. 구체적으로, 도 8에 도시된 좌측 개폐부재(140a)의 돌기(142a)와 우측 개폐부재(140b)의 돌기(142b)는 결합부재(120a, 120b)의 경사면을 타고 이동하면서 서로 가까워진다. 이는 결합부재(120a, 120b)의 경사면이 제2 방향으로 갈수록 기울어진 형상이므로 좌측 및 우측의 개폐부재(140a, 140b)를 외측에서 내측으로 힘을 가하기 때문이다.
경사면을 타고 서로 가까워진 좌측 및 우측 개폐부재(140a, 140b)의 돌기(142a, 142b)들은 경사면에 형성된 결합롤러(122a, 122b)의 회전력을 받으면 휘어진다. 그러면 좌측(또는 우측) 개폐부재(140a)의 돌기(142a)는 우측(또는 좌측) 개폐부재(140b)의 돌기(142b)들 사이로 삽입된다. 구체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개폐부재(140a)의 돌기(142a)는 좌측 결합롤러(122a)의 회전력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우측 개폐부재(140b)의 돌기(142b)는 우측 결합롤러(122b)의 회전력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즉, 이러한 회전력은 좌측 및 우측 돌기(142a, 142b)들이 서로 가까워지면서 체결될 수 있는 힘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좌측 및 우측 돌기(142a, 142b)들이 서로 체결되는 과정에서 결합부재(120a, 120b)의 제2 방향 쪽 타단이 회전한다. 그러면 좌측 및 우측 돌기(142a, 142b)들이 체결되면서 발생되는 마찰을 줄일 수 있고, 체결이 부드럽게 이루어진다.
한편, 돌기(142a, 142b)의 일단은 원형 형상이므로 좌측 및 우측 돌기(142a, 142b)가 돌기(142a, 142b)들 사이로 삽입할 때 발생되는 마찰 및 소음이 최소화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마찰방지재가 마련되면 마찰 및 소음이 더욱 최소화될 수 있다.
슬리이딩 도어(10)가 제1 방향으로 계속 움직이면 2개의 개폐부재(140a, 140b)가 모두 체결된 상태에 이르게 된다. 따라서, 제1 방향은 슬라이딩 도어(10)가 닫히는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여, 2개의 개폐부재(140a, 140b)가 서로 체결 해제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슬라이딩 도어(10)가 제2 방향으로 이동하면, 락킹 슬라이더(100)에 안착된 개폐부재(140a, 140b)는 분리부재(130)의 힘을 받으면서 슬라이딩 도어(10)와 함께 이동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체결된 좌측 개폐부재(140a)의 돌기(142a)와 우측 개폐부재(140b)의 돌기(142b)는 분리부재(130)의 일단면에 의해 내측에서 외측으로 힘을 받으며 양측으로 분리될 수 있다.
서로 체결된 좌측 및 우측 개폐부재(140a, 140b)의 돌기(142a, 142b)들은 분리부재(130)의 일단면에 형성된 분리롤러(132a, 132b)의 회전력을 받으며 휘어지면서 완전히 분리된다. 구체적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개폐부재(140a)의 돌기(142a)는 좌측 분리롤러(132a)의 회전력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우측 개폐부재(140b)의 돌기(142b)는 우측 분리롤러(132b)의 회전력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즉, 이러한 회전력은 좌측 및 우측 돌기(142a, 142b)들이 서로 멀어지면서 분리될 수 있는 힘을 제공한다.
분리된 좌측 및 우측 개폐부재(140a, 140b)는 결합부재(120a, 120b)의 경사면을 타고 벌이지면서 넓어진다.
슬라이딩 도어(10)가 제2 방향으로 계속 움직이면 2개의 개폐부재(140a, 140b)가 모두 체결 해제된 상태에 이르게 된다. 따라서, 제2 방향은 슬라이딩 도어(10)가 열리는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 10a는 슬라이딩 도어(10)가 열린 상태이다. 여기서, 도어 트림의 개구부(40)는 2개의 개폐부재(140a, 140b)가 서로 체결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슬라이딩 도어(10)가 열린 상태에서는 개구부(40)가 차량 내 탑승자에게 노출될 염려가 없기 때문이다. 이후 슬라이딩 도어(10)가 닫히는 동작 중에는 도 10b와 같이 2개의 개폐부재(140a, 140b)가 서로 체결된다. 이후, 슬라이딩 도어(10)가 완전히 닫히면 도 10c와 같이 2개의 개폐부재(140a, 140b)가 서로 체결됨으로써 도어 트림의 개구부(40)를 완전히 밀폐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 슬라이딩 도어 20 : 센터롤러
30 : 센터레일 40 : 개구부
50 : 어퍼트림 100 : 락킹 슬라이더
110 : 플레이트 120a, 120b : 결합부재
122a, 122b : 결합롤러 130 : 분리부재
132a, 132b : 분리롤러 140a, 140b : 개폐부재
142a, 142b : 돌기 144 : 마찰방지재

Claims (9)

  1. 플레이트를 가지며, 슬라이딩 도어의 센터롤러에 장착된 도어 트림 락킹 슬라이더로서,
    상기 플레이트 상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고, 복수의 돌기에 의한 맞물림 또는 맞물림 해제 동작을 통해 서로 체결되거나 체결 해제되는 2개의 개폐부재;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이동 경로 상에서 상기 개폐부재를 안착시키도록 상기 플레이트의 양측에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재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힘을 가하도록 형성된 2개의 결합부재; 및
    상기 결합부재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플레이트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재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힘을 가하도록 형성된 분리부재;를 포함하는 도어 트림 락킹 슬라이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의 일단의 형상은 일정한 곡률을 가지며, 어느 하나의 개폐부재의 이웃하는 돌기 사이로 마주보는 개폐부재의 돌기의 일단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트림 락킹 슬라이더.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의 일단에는 일정한 곡률을 가진 마찰방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트림 락킹 슬라이더.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개폐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분리부재에 가까운 방향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서로 가까워지도록 일정한 경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트림 락킹 슬라이더.
  5. 제 4 항에 있어서,
    서로 마주보는 2개의 결합부재의 경사면에는 결합롤러가 마련되고, 상기 결합롤러는 하나의 개폐부재의 돌기와 마주보는 개폐부재의 돌기가 서로 맞닿도록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트림 락킹 슬라이더.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의 일단은 상기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이동 시 상기 개폐부재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트림 락킹 슬라이더.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재는 상기 결합부재의 중심 위치에 있도록 상기 개폐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재의 중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일정한 경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트림 락킹 슬라이더.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재의 일단에는 분리롤러가 마련되고, 상기 분리롤러는 하나의 개폐부재의 돌기와 마주보는 개폐부재의 돌기가 서로 떨어지도록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트림 락킹 슬라이더.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롤러는 하나의 개폐부재의 돌기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 분리롤러와, 마주보는 개폐부재의 돌기를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 분리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트림 락킹 슬라이더.
KR1020190056475A 2019-05-14 2019-05-14 도어 트림 락킹 슬라이더 KR2020013163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6475A KR20200131634A (ko) 2019-05-14 2019-05-14 도어 트림 락킹 슬라이더
US16/684,680 US20200362606A1 (en) 2019-05-14 2019-11-15 Locking Slider for Door Trim
CN201911172372.1A CN111942118A (zh) 2019-05-14 2019-11-26 用于车门装饰件的锁定滑动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6475A KR20200131634A (ko) 2019-05-14 2019-05-14 도어 트림 락킹 슬라이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1634A true KR20200131634A (ko) 2020-11-24

Family

ID=73228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6475A KR20200131634A (ko) 2019-05-14 2019-05-14 도어 트림 락킹 슬라이더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00362606A1 (ko)
KR (1) KR20200131634A (ko)
CN (1) CN11194211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4311B1 (ko) * 2018-12-12 2024-03-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작동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7289B1 (ko) 2014-11-06 2016-07-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7289B1 (ko) 2014-11-06 2016-07-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362606A1 (en) 2020-11-19
CN111942118A (zh) 2020-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41265B2 (en) Vehicle window assembly with horizontal slider
US7207684B2 (en) Exterior mirror assembly isolated by elastomeric material
RU250900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крывания задней части автомобиля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ая задняя часть автомобиля
US7308731B2 (en) Dampened slide for an anti-chucking wedge assembly
US7681281B2 (en) Wedge assembly
KR20200131634A (ko) 도어 트림 락킹 슬라이더
EP2455246B1 (en) Roof apparatus for vehicle
JP2001047867A (ja) 乗物用オープンルーフ構造
CN116262432A (zh) 用于车辆的滑动车门装置
GB2425804A (en) Resilient wedge for a vehicle door wedge assembly
KR102654760B1 (ko) 차량 도어용 실링 실링 어셈블리
US9562376B2 (en) Anti-rattle closure panel latch assembly
US4275903A (en) Passive seat belt arrangement with wheeled belt carrier
JPH02267023A (ja) 自動車ドアーガラスのスライダリンク
KR100471843B1 (ko)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웨더스트립 장착구조
KR20230001351A (ko) 차량용 도어 힌지 장치
US11603692B2 (en) Locking structure for rectilinear center rail for opposite sliding doors
JP2022008774A (ja) グラスラン組付構造及びグラスラン組付方法
KR20220163755A (ko) 차량용 도어 힌지 장치
JP2022038815A (ja) 車両用スライドドア構造
JP5285456B2 (ja) 扉装置
US11904667B2 (en) Vehicle door assembly
KR102673162B1 (ko) 슬라이딩 타입의 도어용 실링 어셈블리
JP4464793B2 (ja) 可動ルーフの開閉構造
KR100525637B1 (ko) 리어 셀프 트림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