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4453B1 -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장치 - Google Patents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4453B1
KR102564453B1 KR1020180105614A KR20180105614A KR102564453B1 KR 102564453 B1 KR102564453 B1 KR 102564453B1 KR 1020180105614 A KR1020180105614 A KR 1020180105614A KR 20180105614 A KR20180105614 A KR 20180105614A KR 102564453 B1 KR102564453 B1 KR 102564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door
lower rail
rail
vehic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5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7379A (ko
Inventor
윤형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5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4453B1/ko
Publication of KR20200027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73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4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44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의 중앙에 상기 도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장착된 센터레일; 상기 센터레일이 이동 되도록 차체에 장착되는 센터롤러; 상기 차체의 하부에 상기 차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장착된 로워레일; 및 상기 로워레일을 따라 이동되며 상기 도어를 실외 측으로 이동시키는 도어오픈부;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오픈부는, 상기 로워레일에 면 접촉한 상태로 상기 로워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베어링; 상기 로워레일의 하부에 장착된 래크기어에 치합되어 상기 가이드베어링의 이동에 따라 회전되는 기어부; 및 상기 도어에 장착된 마운팅브라켓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기어부의 축에 타단이 결합되어 상기 기어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도어를 실외 측으로 이동시키는 스윙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체 상부에 레일을 삭제하여 박스형 차량이나 승합 차량이 아닌 일반 승용차에도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장치{OPPOSED TYPE SLIDING DOOR DEVICE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도어가 원만하게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하는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어 및 직선의 로워레일 을 활용하여 차체의 내부 공간을 확보하고 구조를 단순화시킨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운전자나 그 동반 탑승자가 탑승할 수 있는 소정 크기의 차실이 형성되어 있고, 차실을 개폐하기 위해 차체에는 차실 개폐 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차실 개폐 도어는 승용차의 경우에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방에 설치된 프론트 도어와,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후방에 설치된 리어 도어를 구비하고, 프론트 도어와 리어 도어는 통상적으로 차체에 힌지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한편, 많은 사람이 승합할 수 있는 승합차의 경우에는 차실 개폐 도어가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로 슬라이딩 운동을 하면서 차실을 개폐하도록 되어 있다.
근래에는, 도어 개구부를 완전하게 개방하여 장애인의 탑승, 짐의 적재 등을 용이하게 할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승합차뿐만 아니라 일반 승용차에도 슬라이딩 도어의 설치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의 한국등록특허 제10-1542980호(차량의 리어 도어장치)는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하여 차체의 도어 개구부를 개폐하는 리어 도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직선의 상부레일과 곡선의 하부레일 및 링크구조를 활용하여 슬라이딩 도어를 개폐하는 리어 도어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다만, 종래의 기술은 곡선의 하부레일 적용에 따라 레일이 차체 내부 공간을 지나치게 많이 차지하여 전기 자동차와 같이 차체 내부에 넓은 배터리 장착 공간이 요구되는 차량에는 적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롤러의 구조가 다수의 링크로 구성되어 구조가 복잡하여 잔고장 발생이 잦고 제품의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42980호
본 발명은 기존의 슬라이딩 도어 장치에 있어 직선 형상의 로워레일을 활용하여 차체 내부 공간을 확보하며 충돌 성능을 강화하고, 도어오픈부에 기어를 활용하여 구조를 단순화 시킨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어의 중앙에 도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장착된 센터레일; 센터레일이 이동 되도록 차체에 장착되는 센터롤러; 차체의 하부에 차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장착된 로워레일; 및 로워레일을 따라 이동되며 도어를 실외 측으로 이동시키는 도어오픈부;를 포함하며, 도어오픈부는, 로워레일에 면 접촉한 상태로 로워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베어링; 로워레일의 하부에 장착된 래크기어에 치합되어 상기 가이드베어링의 이동에 따라 회전되는 기어부; 및 도어에 장착된 마운팅브라켓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기어부의 축에 타단이 결합되어 기어부의 회전에 따라 도어를 실외 측으로 이동시키는 스윙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도어는, 프론트도어와 리어도어를 포함하고, 도어의 개폐를 위해 센터레일, 센터롤러, 로워레일 및 도어오픈부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도어오픈부는, 내부에 기어부를 수용하며 축을 매개로 스윙브라켓이 상단에 결합되는 기어하우징; 및 로워레일의 상단에 n 형상으로 절곡된 가이드부의 내부에 가이드부를 지지 하도록 삽입된 로드베어링;을 더 포함하고, 로드베어링은 기어하우징에 장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기어하우징은, 실외 측에 기어부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가 형성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기어하우징은, 로드베어링의 하단에 로드베어링이 가이드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이드부에 상단면이 접촉되도록 형성된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기어부는, 가이드베어링의 이동에 따라 회전되는 제 1기어; 제 1기어에 치합되는 제 2기어; 및 제 2기어에 치합되며 스윙브라켓과 결합되어 스윙브라켓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 3기어;를 더 포함하고, 제 1기어와 제 3기어는 축에 장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 1기어는, 래크기어에 치합되는 피니언부; 및 피니언부 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피니언부의 상부에 위치한 평기어부;를 더 포함하고, 제 2기어는, 평기어부에 치합되는 하부톱니; 및 하부톱니 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하부톱니의 상부에 위치한 상부톱니;를 더 포함하고, 제 3기어는 상부톱니에 치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 1기어 내지 제 3기어의 기어비에 따라 가이드베어링의 이동 길이 대비 스윙브라켓의 회전 각도의 비율이 조절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마운팅브라켓은, 도어에 장착되는 고정부; 고정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스윙브라켓에 타단이 결합되는 ㄴ자 형상의 연결부; 및 고정부로부터 연결부와 이격되도록 절곡되어 스윙브라켓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연결부는, 스윙브라켓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스윙브라켓은, 도어의 이동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돌출된 스톱퍼가 형성되어 마운팅브라켓에 의해 상기 도어가 소정 각도 이상으로 회전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직선의 로워레일을 활용하여 충돌 성능이 강화되고 내부 공간 활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센터레일을 도어에 장착하여 차체에 센터레일을 장착하지 않아 내부 공간 활용이 가능하고, 센터레일이 노출 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체 상부에 레일을 삭제하여 박스형 차량이나 승합 차량이 아닌 일반 승용차에도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오픈부에 기어를 활용하여 구조를 단순화 시킴에 따라 제조가 용이하고 원가가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장치가 장착된 차량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장치가 장착된 차체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센터레일과 센터롤러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로워레일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도어오픈부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로워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도어오픈부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기어부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기어하우징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마운팅브라켓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스윙브라켓의 사시도.
도 11a는 본 발명의 도어가 폐쇄 시 본 발명의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장치의 사시도.
도 11b는 본 발명의 도어가 개방 시 본 발명의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장치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예시적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 참조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 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장치가 장착된 차량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장치가 장착된 차체(3)의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슬라이딩 도어 장치는 센터레일(10), 센터롤러(20), 로워레일(30) 및 도어오픈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장치는 종래 슬라이딩 도어 장치의 차체 또는 도어의 상부에 위치하던 레일을 삭제하여, 박스형 이나 봉고 차량 뿐만 아니라 차체의 상부가 직선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차종에도 적용할 수 있다.
센터레일(10)은 도어(1,2)의 중앙에 도어(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장착될 수 있다.
센터롤러(20)는 센터레일(10)에 대응되도록 차체(3)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도어(1,2)의 개방을 시도하거나 기계적인 매커니즘에 의해 자동으로 도어(1,2)가 개방될 시에 센터레일(10)이 센터롤러(20)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로워레일(30)은 차체(3)의 하부에 차체(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장착될 수 있다.
도어오픈부(40)는 로워레일(30)에 대응되도록 도어(1,2)에 장착되어, 센터롤러(20)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손으로 도어(1,2)의 개방을 시도하거나 기계적인 매커니즘에 의해 자동으로 도어(1,2)가 개방될 시에 로워레일(30)을 따라 이동되며 도어(1,2)를 실외 측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도어(1,2)는, 프론트도어(1)와 리어도어(2)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론트도어(1)와 리어도어(2)를 각각 개폐할 수 있도록 센터레일(10), 센터롤러(20), 로워레일(30) 및 도어오픈부(40)는 적어도 두 개 이상씩 장착될 수 있다.
프론트도어(1) 및 리어도어(2)에 장착되는 센터레일(10)은 좌우 대칭으로 각각 한 쌍이 장착될 수 있고, 도어오픈부(40)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차체(3)에 장착되는 센터롤러(20)는 좌우 대칭으로 한 쌍이 장착될 수 있고, 로워레일(30)도 마찬가지이다.
센터레일(10), 센터롤러(20), 로워레일(30) 및 도어오픈부(40)의 각각 한 쌍은 프론트도어(1)를 개폐하고 나머지 한 쌍은 리어도어(2)를 개폐하여 프론트도어(1)와 리어도어(2)가 대향하여 개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센터레일(10)과 센터롤러(20)의 정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종래의 센터레일이 차체(3)에 장착되던 것과 달리 본 발명의 센터레일(10)은 도어(1,2)에 장착되어 도어(1,2)가 폐쇄 되더라도 센터레일(10)이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센터레일은 프론트도어의 경우, 차체에 그 장착 공간이 없어 슬라이딩 도어를 설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센터레일(10)은 도어(1,2)에 장착되므로 리어도어(2)뿐만 아니라 프론트도어(1) 역시 슬라이딩 도어(1,2)를 설치할 수 있어, 프론트도어(1)와 리어도어(2)를 각각 대향하는 방향으로 개방할 수 있는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1,2)를 구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로워레일(30)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로워레일(30)은 가이드부(31), 슬라이딩부(33) 및 기어장착부(35)로 이루어질 수 있다.
로워레일(30)은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그 단면 형상이 'ㄷ'자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31)는, 로워레일(30)의 상부에 위치하며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그 단면이 'n'형상으로 절곡될 수 있다.
가이드부(31)는 도어오픈부(40)가 로워레일(30)을 따라 이동되며 도어(1,2)를 개폐할 시에, 로드베어링(42)의 이탈을 방지하여 도어오픈부(40)의 로워레일(30)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로드베어링(42)이 가이드부(31)의 상면을 아래에서 지지하여 로워레일(30)로 하여금 도어(1,2)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슬라이딩부(33)는, 'ㄷ'자 형상의 로워레일(30)의 움푹 파인 중앙 부분으로, 가이드베어링(41)이 슬라이딩부(33)에 삽입되어 좌우로 슬라이딩부(33)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기어장착부(35)는, 로워레일(3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기어장착부(35)에 래크기어(37)가 장착되어 도어오픈부(40)의 기어부(45), 특히, 가이드베어링(41)의 이동에 따른 동력을 제 1기어(451)에 전달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도어오픈부(40)의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어오픈부(40)는 기어하우징(49), 가이드베어링(41), 스윙브라켓(43), 마운팅브라켓(47), 기어부(45), 및 로드베어링(42)을 포함할 수 있다.
기어하우징(49)은 내부에 기어부(45)를 포함하며, 그 외부에 가이드베어링(41) 및 로드베어링(42)이 장착될 수 있고, 기어부(45)의 축(457)을 매개로 스윙브라켓(43)이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베어링(41)은 로워레일(30)의 슬라이딩부(33)에 면 접촉한 상태로 로워레일(30)을 따라 이동되며, 이동을 위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베어링(41)은 원활한 이동을 위해 적어도 두 개 이상일 수 있다.
스윙브라켓(43)은 도어(1,2)에 장착된 마운팅브라켓(47)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기어부(45)의 축(457)에 타단이 결합되어 상기 기어부(45)의 회전에 따라 상기 도어(1,2)를 실외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마운팅브라켓(47)은 일측이 도어(1,2)에 장착될 수 있다. 타측에는 스윙브라켓(43)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도어(1,2) 개방 시 스윙브라켓(43)이 기어부(45)의 회전에 따라 움직이면서 마운팅브라켓(47)을 회동시키고 이에 따라 도어(1,2)가 개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로워레일(30)을 따라 이동하는 도어오픈부(40)의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로드베어링(42)은, 로워레일(30)의 가이드부(31)의 내부에 가이드부(31)를 지지 하도록 삽입되며, 원형으로 형성되어 가이드부(31)를 따라 좌우로 구름이동 할 수 있다.
로드베어링(42)이 가이드부(31)를 지지함에 따라 로워레일(30)은 도어(1,2)의 하중을 견딜 수 있다. 로드베어링(42)은 원활한 이동과 안정적인 도어(1,2)의 하중 지지를 위해 적어도 두 개 이상일 수 있다.
기어부(45)는, 제 1기어(451)가 래크기어(37)에 치합되어 가이드베어링(41)의 이동에 따라 회전되며, 기어부(45)의 동력은 제 3기어(455)를 통해 스윙브라켓(43)에 전달되어 도어(1,2)가 슬라이딩 되는 동시에 실외 측으로 이동하여 개방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기어부(45)의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기어부(45)는, 제 1기어(451), 제 2기어(453) 및 제 3기어(455)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기어(451)는 가이드베어링(41)의 이동에 따라 회전될 수 있다.
제 1기어(451)는, 래크기어(37)에 치합되는 피니언부(4511); 및 피니언부(4511)의 상부에 위치하며 피니언부(4511) 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평기어부(45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베어링(41)의 이동에 따라 래크기어(37)에 치합되는 피니언부(4511)가 회전하고, 이때 피니언부(4511)와 동일한 축(457)으로 이루어지며 피니언부(4511)의 상부에 장착된 평기어부(4513)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제 2기어(453)는 제 1기어(451)와 별도의 축에 장착되며, 제 1기어(451)에 치합될 수 있다.
제 2기어(453)는, 평기어부(4513)에 치합되는 하부톱니(4531); 및 하부톱니(4531)의 상부에 위치하며 하부톱니(4531) 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 상부톱니(45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평기어부(4513)의 회전에 따라, 평기어부(4513)에 치합된 하부톱니(4531)가 회전하고, 이때 하부톱니(4531)와 동일한 축(457)으로 이루어지며 피니언부(4511)의 상부에 장착된 상부톱니(4533)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제 3기어(455)는 제 2기어(453)의 상부톱니(4533)에 치합되며, 제 1기어(451)와 같은 축(457)의 상부에 장착될 수 있다. 제 3기어(455)는 상부톱니(4533)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고 상부에 결합된 스윙브라켓(43)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제 1기어(451)의 회전량은 제 1기어(451) 내지 제 3기어(455)의 기어비를 통해 감속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베어링(41)의 이동거리 대비 스윙브라켓(43)의 회전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다.
제 1기어(451) 내지 제 3기어(455)의 기어비를 조절하여 원하는 각도까지 도어(1,2)가 회전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기어(453)와 제 3기어(455)의 기어비를 조절하여, 제 1기어(451)가 10 바퀴 회전하는 동안 제 3기어(455)에 결합된 스윙브라켓(43)은 1 바퀴를 회전할 수 있다.
기어부(45)는, 제 1기어(451)의 회전량을 감속하기 위해 제 1기어(451) 내지 제 3기어(455) 외에 추가적으로 기어를 구비하여 원하는 기어비를 도출할 수 있다.
기어부(45)를 사용함에 따라, 기존의 감속기가 없어도 원하는 각도만큼 도어(1,2)를 회전시킬 수 있어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기어하우징(49)의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기어하우징(49)은 실외 측에, 기어부(45)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48)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기어하우징(49)은 로드베어링(42)의 하단에 로드베어링(42)이 가이드부(3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이드부(31)에 상단면이 접촉되도록 형성된 이탈방지부(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탈방지부(44)는 가이드베어링(41)의 이동에 따라 로드베어링(42)과 함께 가이드부(31)에 접촉되어 슬라이딩 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마운팅브라켓(47)의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마운팅브라켓(47)은 고정부(471), 연결부(475) 및 지지부(473)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471)는 도어(1,2)의 내부 판넬에 볼팅과 같은 방법으로 장착될 수 있다.
연결부(475)는 고정부(471)에 일단이 결합되고 스윙브라켓(43)에 타단이 결합되며 ㄴ자로 중앙이 절곡될 수 있다. 타단에 스윙브라켓(43)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연결부(475)가 절곡됨에 따라 스윙브라켓(43)이 이동될 시에 도어(1,2)가 실외 측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연결부(475)는 스윙브라켓(43)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홈(477)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473)는 고정부(471)로부터 연결부(475)와 이격되도록 절곡되고, 스윙브라켓(43)이 고정부(471)와 연결부(475) 사이로 결합됨에 따라 지지부(473)는 스윙브라켓(43)을 지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스윙브라켓(43)의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스윙브라켓(43)은 일단에 제 3기어(455)가 결합되는 기어결합부(431)와 마운팅브라켓(47)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부(435)가 형성되어 있다.
스윙브라켓(43)은 중앙이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어 별도의 링크 없이도 제 1기어(451)의 직선운동을 도어(1,2)의 회전운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스윙브라켓(43)은 도어(1,2)의 이동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돌출된 스톱퍼(433)가 형성되어 마운팅브라켓(47)에 의해 소정 각도 이상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스윙브라켓(43)은 도어(1,2)가 실외 측으로 이동될 때 다른 부품과의 간섭이 없도록 하는 도어(1,2)의 이동 각도를 계산하여, 계산된 소정의 각도 이상 도어(1,2)가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위치에 스톱퍼(433)를 형성할 수 있다.
소정의 각도로 도어(1,2)가 회전되어 개방된 경우, 스톱퍼(433)가 홈(477)에 접촉하여 더 이상 도어가 움직일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도 11a는 본 발명의 도어가 폐쇄 시 본 발명의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1b는 본 발명의 도어가 개방 시 본 발명의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로워레일(30)은 직선 구조로 차체(3)에 장착되어 도어(1,2)가 개방될 때 차체(3) 내부로 도어(1,2)가 침입하지 않아, 곡선 구조로 장착될 때 보다 내부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일반 차량뿐만 아니라 전기 자동차와 같이 내부에 배터리 장착 공간이 많이 필요한 특수한 차량에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차체(3)의 측면으로 충격이나 충돌이 있을 경우, 곡선일 때에 비해 충돌 성능이 강화될 수 있다.
직선의 레일구조를 활용하여 충돌 성능이 강화된 본 발명의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장치는 B필라가 없는 B필라리스 차제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11a를 참조하면, 도어(1,2)가 닫혀있을 때 실외 측에서 바라본 로워레일(30)과 도어오픈부(40)의 모습을 알 수 있다. 도어(1,2)가 닫혀있을 때, 스윙브라켓(43)과 연결부(475)는 소정의 각도로 떨어져 있을 수 있다.
도 11b를 참조하면, 개방되었을 때 실외 측에서 바라본 로워레일(30)과 도어오픈부(40)의 모습을 알 수 있다.
스윙브라켓(43)은 도어(1,2)가 개방되었을 때, 연결부(475)와 접촉하는 면의 형상을 접촉 부위에 대응되도록 형성하여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도어(1,2)가 개방되었을 때, 스윙브라켓(43)과 연결부(475)는 접촉되어 더 이상 도어(1,2)가 회전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 1기어(451) 내지 제 3기어(455)의 기어비에 따라 가이드베어링(41)의 이동 길이 대비 스윙브라켓(43)의 회전 각도의 비율이 조절 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스윙브라켓(43)의 형상을 달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1: 프론트도어
2: 리어도어
3: 차체
10: 센터레일
20: 센터롤러
30: 로워레일
31: 가이드부
33: 슬라이딩부
35: 기어장착부
37: 래크기어
40: 도어오픈부
41: 가이드베어링
42: 로드베어링
43: 스윙브라켓
431: 기어결합부
433: 스톱퍼
435: 회동부
44: 이탈방지부
45: 기어부
451: 제 1기어
4511: 피니언부
4513: 평기어부
453: 제 2기어
4531; 하부톱니
4533: 상부톱니
455: 제 3기어
457: 축47: 마운팅브라켓
471: 고정부
473: 지지부
475: 연결부
477: 홈
48: 커버
49: 기어하우징

Claims (11)

  1. 도어의 중앙에 상기 도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장착된 센터레일과, 상기 센터레일이 이동 되도록 차체에 장착되는 센터롤러와, 상기 차체의 하부에 상기 차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장착된 로워레일; 및 상기 로워레일을 따라 이동되며 상기 도어를 실외 측으로 이동시키는 도어오픈부;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오픈부는 상기 로워레일에 면 접촉한 상태로 상기 로워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베어링과, 상기 로워레일의 하부에 장착된 래크기어에 치합되어 상기 가이드베어링의 이동에 따라 회전되는 기어부; 및 상기 도어에 장착된 마운팅브라켓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기어부의 축에 타단이 결합되어 상기 기어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도어를 실외 측으로 이동시키는 스윙브라켓;을 포함한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오픈부는,
    내부에 상기 기어부를 수용하며 상기 축을 매개로 상기 스윙브라켓이 상단에 결합되는 기어하우징; 및
    상기 로워레일의 상단에 n 형상으로 절곡된 가이드부의 내부에 상기 가이드부를 지지 하도록 삽입된 로드베어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로드베어링은 상기 기어하우징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하우징은,
    실외 측에 상기 기어부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하우징은,
    상기 로드베어링의 하단에 상기 로드베어링이 상기 가이드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부에 상단면이 접촉되도록 형성된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는,
    상기 가이드베어링의 이동에 따라 회전되는 제 1기어;
    상기 제 1기어에 치합되는 제 2기어; 및
    상기 제 2기어에 치합되며 상기 스윙브라켓과 결합되어 상기 스윙브라켓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 3기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기어와 상기 제 3기어는 상기 축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기어는,
    상기 래크기어에 치합되는 피니언부; 및
    상기 피니언부 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피니언부의 상부에 위치한 평기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기어는,
    상기 평기어부에 상기 치합되는 하부톱니; 및
    상기 하부톱니 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톱니의 상부에 위치한 상부톱니;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3기어는 상기 상부톱니에 치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기어 내지 상기 제 3기어의 기어비에 따라 상기 가이드베어링의 이동 길이 대비 상기 스윙브라켓의 회전 각도의 비율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브라켓은,
    상기 도어의 이동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돌출된 스톱퍼가 형성되어 상기 마운팅브라켓에 의해 상기 도어가 소정 각도 이상으로 회전되는 것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장치.
KR1020180105614A 2018-09-04 2018-09-04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장치 KR102564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614A KR102564453B1 (ko) 2018-09-04 2018-09-04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614A KR102564453B1 (ko) 2018-09-04 2018-09-04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7379A KR20200027379A (ko) 2020-03-12
KR102564453B1 true KR102564453B1 (ko) 2023-08-08

Family

ID=69803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5614A KR102564453B1 (ko) 2018-09-04 2018-09-04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44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5560A (ko) 2020-05-25 2021-12-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2980B1 (ko) 2013-12-27 2015-08-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리어 도어장치
KR101637289B1 (ko) * 2014-11-06 2016-07-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장치
KR101673339B1 (ko) * 2014-11-03 2016-11-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스윙 록킹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79767A (en) * 1999-06-29 2000-06-27 Daimlerchrysler Corporation Power sliding door for a motor vehicle
EP1908906A3 (de) * 2006-10-04 2009-04-08 Delphi Technologies, Inc. Vorrichtung zum Bewegen einer Fahrzeugschiebetü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2980B1 (ko) 2013-12-27 2015-08-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리어 도어장치
KR101673339B1 (ko) * 2014-11-03 2016-11-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스윙 록킹장치
KR101637289B1 (ko) * 2014-11-06 2016-07-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7379A (ko) 2020-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962556B (zh) 使用行星齿轮减速器的车辆的对置式滑动车门装置
CN105584332B (zh) 用于车辆的滑动车门装置
CN106218369B (zh) 用于车辆的滑动车门装置
KR102644311B1 (ko)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작동 장치
JP4625332B2 (ja) 車両に用いられるパラレルグライド式ドア
CN105229251A (zh) 用于打开和关闭车门的装置
CN104044437A (zh) 隐形滑动车门饰件结构
US11505045B2 (en) Structure for preventing opposite sliding doors from swaying
CN113665328A (zh) 用于滑动门的引导机构
KR102564453B1 (ko)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장치
US4991348A (en) Power window apparatus
US20040010974A1 (en) Drive system of powered doors or gates for vehicles
EP1336023B1 (en) Opening mechanism for the side sliding door of a motor vehicle
US6155630A (en) Slide door device for automotive vehicles
CN110550055B (zh) 轨道车辆的车门驱动装置、车门总成及轨道车辆
JP2017109549A (ja) スライドドア装置
CN115680430B (zh) 一种单电机控制滑门系统及车辆
JPH0227513B2 (ko)
JP3780317B2 (ja) 収納式連動引吊戸装置
KR100348075B1 (ko) 자동차용 도어 체커
JPS625931Y2 (ko)
KR100203496B1 (ko) 승합차의 도어 자동개폐장치
JPH0675826U (ja) リヤウィンドウ開閉装置
JPS6112254Y2 (ko)
JPH0229155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