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3251B1 - 롤러 케이스 - Google Patents

롤러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3251B1
KR102643251B1 KR1020197029186A KR20197029186A KR102643251B1 KR 102643251 B1 KR102643251 B1 KR 102643251B1 KR 1020197029186 A KR1020197029186 A KR 1020197029186A KR 20197029186 A KR20197029186 A KR 20197029186A KR 102643251 B1 KR102643251 B1 KR 1026432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shaft
case body
case
outer periphe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9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5487A (ko
Inventor
치즈루 마치다
쇼타 카자마
타다시 카와구치
Original Assignee
아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35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54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3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32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 B65D85/0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10Devices to locate articles in containers
    • B65D25/107Grooves, ribs, or the like, situated on opposed walls and between which the articles are loc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 Rolls And Other Rotary Bodies (AREA)

Abstract

롤러 케이스(10)는 제1 케이스 몸체(11)와 제2 케이스 몸체(12)를 구비한다. 롤러 수납 상태에서는 제1 케이스 몸체(11)와 제2 케이스 몸체(12)의 맞물림에 의해 케이스 닫힘 상태가 유지되고, 롤러(1)의 롤러 본체(2)가 제1 케이스 몸체(11) 및 제2 케이스 몸체(12)로부터 이간된 상태로 롤러 본체 수용공간(46)에 수용되며, 롤러(1)의 회전축(3)의 일단 측 및 타단 측이 제1 케이스 몸체(11)의 제1 지지부(25)와 제2 케이스 몸체(12)의 제2 지지부(42) 사이에서 축 교차방향에서 클램핑되어 유지되고, 제1 케이스 몸체(11) 및 제2 케이스 몸체(12)에 의해 롤러(1) 전체가 덮인다.

Description

롤러 케이스
본 발명은 탄성 다공질재로 이루어지는 롤러 본체가 회전축에 지지된 롤러를 수납하기 위한 롤러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캡을 가지는 관상(管狀) 출하용 용기가 기재되어 있다. 이 관상 출하용 용기는 브러쉬를 둘러싸고 보호하기 위한 거의 원통 형상의 강성 구조체를 구비하고, 공동(空洞) 개구를 가지는 내방(內方) 공동부를 획정한다. 캡은 공동 개구에서 관상 출하용 용기에 결합함으로써, 관상 출하용 용기의 단부(端部)를 둘러싸거나 막도록 구성된다.
일본 공표특허공보 특표2015-532246호
특허문헌 1의 관상 출하용 용기에서는 관상 출하용 용기에 브러쉬(탄성 다공질재로 이루어지는 롤러 본체)를 수납하는 경우나 수납된 브러쉬를 관상 출하용 용기로부터 꺼내는 경우, 내방 공동부와 외부 사이에서 공동 개구를 통해 브러쉬를 축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수납이나 꺼내는 작업이 번잡하다. 또한, 수납할 때나 꺼낼 때에 브러쉬가 관상 출하용 용기에 닿아, 브러쉬에 변형이나 손상이나 오염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납이나 꺼내는 작업이 용이하고, 수납할 때나 꺼낼 때의 롤러 본체의 변형이나 손상이나 오염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롤러 케이스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양태는 롤러를 수납하기 위한 롤러 케이스로서, 제1 케이스 몸체와 제2 케이스 몸체를 구비한다. 롤러는 롤러 본체와 회전축을 가진다. 롤러 본체는 탄성 다공질재로 이루어지는 원통 형상이고, 롤러 본체의 내주면(內周面)은 회전축의 외주면(外周面)에 지지되어 있다.
제1 케이스 몸체는 회전축의 일단(一端) 측 및 타단(他端) 측을 회전축의 축방향과 교차하는 축 교차방향의 일방(一方) 측으로부터 지지 가능한 일측(一側) 및 타측(他側)의 제1 지지부와, 축 교차방향의 타방(他方) 측이 개방된 제1 수용공간을 일측의 제1 지지부와 타측의 제1 지지부 사이에 형성하는 제1 커버부를 가진다. 제2 케이스 몸체는 회전축의 일단 측 및 타단 측을 축 교차방향의 타방 측으로부터 지지 가능한 일측 및 타측의 제2 지지부와, 축 교차방향의 일방 측이 개방된 제2 수용공간을 일측의 제2 지지부와 타측의 제2 지지부 사이에 형성하는 제2 커버부를 가진다. 제2 케이스 몸체는 제1 수용공간과 제2 수용공간이 롤러 본체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닫힘 상태에서 제1 케이스 몸체에 맞물려서 케이스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롤러가 수납된 롤러 수납 상태에서는 제1 케이스 몸체와 제2 케이스 몸체의 맞물림에 의해 케이스 닫힘 상태가 유지되고, 롤러 본체가 제1 케이스 몸체 및 제2 케이스 몸체로부터 이간된 상태에서 롤러 본체 수용공간에 수용되며,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 사이에서 회전축의 일단 측 및 타단 측이 축 교차방향에서 클램핑되어 유지되고, 제1 케이스 몸체 및 제2 케이스 몸체에 의해 롤러의 전체가 덮인다.
상기 구성에서는 롤러 케이스에 롤러를 수납하는 경우, 롤러 케이스를, 제1 케이스 몸체와 제2 케이스 몸체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롤러 본체 수용공간이 개방된 케이스 열림 상태로 하고, 예를 들면 제1 케이스 몸체를 제1 수용공간이 상방으로 개구하는 자세로 유지하고, 제1 케이스 몸체의 상방으로부터 롤러를 하강시키고, 회전축의 일단 측 및 타단 측을 일측 및 타측의 제1 지지부에 올려 놓는다. 이러한 회전축 올려 놓음 상태에서는 롤러 본체의 하부가 제1 수용공간에 들어가고, 롤러 본체의 외주면의 아래쪽 영역이 제1 커버부에 비접촉 상태로 덮인다. 다음으로, 제1 케이스 몸체에 제2 케이스 몸체를 상방에서 씌워, 제2 케이스 몸체를 제1 케이스 몸체에 맞물린다. 이러한 롤러 수납 상태(롤러가 수납된 케이스 닫힘 상태)에서는 롤러 본체의 상부가 제2 수용공간에 들어가고, 롤러 본체의 외주면의 위쪽 영역이 제2 커버부에 비접촉 상태로 덮이며, 롤러 본체가 롤러 본체 수용공간에 수용된다. 또한, 롤러 수납 상태에서는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 사이에서 회전축의 일단 측 및 타단 측이 축 교차방향에서 클램핑되어 유지되고, 롤러 전체가 제1 케이스 몸체와 제2 케이스 몸체에 의해 덮인다. 반대로, 롤러 케이스로부터 롤러를 꺼내는 경우, 제1 케이스 몸체와 제2 케이스 몸체의 맞물림을 해제하여 케이스 열림 상태로 하고, 예를 들면 회전축의 일단 측과 타단 측을 양손의 손가락 끝으로 지지하여 롤러(회전축)를 끌어 올려, 롤러를 제1 케이스 몸체로부터 꺼낸다. 이와 같이, 롤러를 롤러 케이스에 수납하는 경우나 수납된 롤러를 롤러 케이스로부터 꺼내는 경우, 롤러를 축방향이 아닌 축 교차방향으로 이동시키므로, 수납이나 꺼내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수납할 때나 꺼낼 때에 롤러 본체가 롤러 케이스(제1 케이스 몸체)에 접촉하기 어려워, 롤러 본체의 변형이나 손상이나 오염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양태는 제1 양태의 롤러 케이스로서, 회전축의 적어도 일단 측에서는 회전축에 탈착이 자유롭게 장착된 축 장착 부재가 일측의 제1 지지부와 일측의 제2 지지부 사이에 클램핑되어 유지된다.
상기 구성에서는 회전축의 일단 측의 단면(端面)이 롤러 본체의 단면으로부터 충분히 돌출되어 있지 않은 경우여도 축 장착 부재를 통해 회전축의 일단 측을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양태는 제1 양태의 롤러 케이스로서, 회전축의 적어도 일단 측에서는 롤러 본체의 단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회전축의 축 단부가 일측의 제1 지지부와 일측의 제2 지지부 사이에 클램핑되어 유지된다. 일측의 제1 지지부는 축 단부의 외주면을 올려 놓을 수 있는 홈 형상이다. 제1 케이스 몸체는 일측의 제1 지지부에 대하여 제1 수용공간의 반대 측에 배치되어 일측의 제1 지지부와 인접하는 개구 홈부를 가진다. 개구 홈부는 일측의 제1 지지부에 올려 놓여진 축 단부가 삽입통과할 수 없으면서 일측의 제1 지지부에 올려 놓여진 축 단부의 단면을 외부로 면하게 하는 홈 형상이다.
본 발명의 제4 양태는 제2 양태의 롤러 케이스로서, 일측의 제1 지지부는 축 장착 부재의 외주면을 올려 놓을 수 있는 홈 형상이다. 제1 케이스 몸체는 일측의 제1 지지부에 대하여 제1 수용공간의 반대 측에 배치되어 일측의 제1 지지부와 인접하는 개구 홈부를 가진다. 개구 홈부는 일측의 제1 지지부에 올려 놓여진 축 장착 부재가 삽입통과할 수 없으면서 일측의 제1 지지부에 올려 놓여진 축 장착 부재의 단면을 외부로 면하게 하는 홈 형상이다.
상기 구성에서는 개구 홈부를 작업자의 손가락 끝이 삽입 가능한 크기로 형성함으로써, 작업자는 롤러를 수납할 때나 꺼낼 때에 축 단부의 단면 또는 축 장착 부재의 단면에 축방향으로부터 손가락 끝을 댄 상태로 회전축(롤러)을 승강시킬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제5 양태는 제1 양태의 롤러 케이스로서, 회전축의 적어도 일단 측에서는 롤러 본체의 단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회전축의 축 단부가 일측의 제1 지지부와 일측의 제2 지지부 사이에 클램핑되어 유지된다. 축 단부의 외주면은 요철 형상을 가진다. 일측의 제1 지지부 및 일측의 제2 지지부 중 적어도 한쪽은 축 단부의 요철 형상과 맞물려 축 단부의 이동을 규제하는 요철 형상을 가진다.
본 발명의 제6 양태는 제2 양태의 롤러 케이스로서, 축 장착 부재의 외주면은 요철 형상을 가진다. 일측의 제1 지지부 및 일측의 제2 지지부 중 적어도 한쪽은 축 장착 부재의 요철 형상과 맞물려 축 장착 부재의 이동을 규제하는 요철 형상을 가진다.
상기 구성에서는 일측의 제1 지지부 및/또는 일측의 제2 지지부의 맞물림에 의해 축 단부 또는 축 장착 부재의 이동이 규제되므로, 롤러를 롤러 케이스에 수납하여 반송할 때 등에, 롤러 케이스와의 접촉에 기인하는 롤러 본체의 변형이나 손상이나 오염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 양태는 제1 양태의 롤러 케이스로서, 회전축의 적어도 일단 측에는 축 낙하 규제 부재가 탈착이 가능하게 장착된다. 회전축에 장착된 축 낙하 규제 부재의 바깥둘레 가장자리부의 대략 전역은 롤러 본체의 외주면보다도 롤러 본체의 지름방향 외측으로 돌출된다. 제1 케이스 몸체 및 제2 케이스 몸체 중 적어도 한쪽은 축 낙하 규제 부재의 바깥둘레 가장자리부와 맞물려서 축 낙하 규제 부재의 축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축 낙하 규제 부재 맞물림 홈을 가진다.
상기 구성에서는 롤러 수납 상태의 롤러 케이스에 의도하지 않은 외력이 작용하고,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에 의한 회전축의 일단 측의 유지가 해제된 경우여도 롤러 케이스에 대한 회전축의 하강에 의한 롤러 본체와 롤러 케이스의 간섭을 축 낙하 규제 부재에 의해 저지할 수 있고, 롤러를 롤러 케이스에 수납하여 반송할 때 등에, 롤러 케이스와의 접촉에 기인하는 롤러 본체의 변형이나 손상이나 오염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8 양태는 제2 양태의 롤러 케이스로서, 회전축에 장착된 축 장착 부재의 바깥둘레 가장자리부의 대략 전역 또는 복수개의 영역은 롤러 본체의 외주면보다도 롤러 본체의 지름방향 외측으로 돌출된다. 축 장착 부재는 롤러 본체의 외주면보다도 돌출되는 영역에서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 사이에 클램핑되어 유지된다.
상기 구성에서는 롤러 본체의 외주면보다도 돌출되는 영역에서 축 장착 부재가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 사이에 클램핑됨으로써 회전축의 일단 측이 유지되므로, 롤러 수납 상태의 롤러 케이스에 의도하지 않은 외력이 작용한 경우여도 회전축의 일단 측의 유지가 해제되기 어려워, 롤러를 롤러 케이스에 수납하여 반송할 때 등에, 롤러 케이스와의 접촉에 기인하는 롤러 본체의 변형이나 손상이나 오염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9 양태는 제7 양태의 롤러 케이스로서, 축 낙하 규제 부재는 회전축으로부터 축 교차방향으로 나뉘어 탈리 가능한 복수개의 분할판을 조합함으로써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서는 축 낙하 규제 부재를 회전축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복수개의 분할판을 축 교차방향으로부터 회전축으로 조립하면 되고, 축 낙하 규제 부재를 회전축으로부터 떼내는 경우에는 복수개의 분할판을 회전축으로부터 축 교차방향으로 나누어 탈리시키면 된다. 따라서, 축 낙하 규제 부재에 축 삽입통과 구멍을 형성하고, 축 삽입통과 구멍에 회전축을 삽입통과시킴으로써 축 낙하 규제 부재를 회전축에 장착하고, 축 삽입통과 구멍으로부터 회전축을 뽑아냄으로써 축 낙하 규제 부재를 떼내는 경우에 비해, 축 낙하 부재의 탈착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롤러 케이스에 의하면, 수납할 때나 꺼낼 때의 롤러 본체의 변형이나 손상이나 오염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롤러 케이스의 롤러 수납 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a)는 축을 올려 놓은 상태의 도 1의 아래 케이스의 평면도, (b)는 롤러 수납 상태의 도 1의 롤러 케이스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b)의 III-III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b)의 IV-IV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V-V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6은 위 케이스에 아래 케이스를 겹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어댑터 및 롤러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제2 실시형태의 주요부의 평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IX-IX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플랜지(flange) 및 롤러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제3 실시형태의 주요부의 평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XII-XII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3은 제3 실시형태의 변형예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제4 실시형태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제5 실시형태에 따른 케이스 몸체 및 플랜지를 비스듬하게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케이스 몸체를 비스듬하게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7은 제5 실시형태에 따른 롤러 케이스의 롤러 수납 전의 측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롤러 수용 후의 제1 케이스 몸체의 후면도이다.
도 19는 제5 실시형태의 일단 측의 측단면도이다.
도 20은 제5 실시형태의 타단 측의 측단면도이다.
도 21은 제5 실시형태의 플랜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2는 제6 실시형태에 따른 앞쪽 플랜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3은 제6 실시형태에 따른 뒤쪽 플랜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뒤쪽 플랜지를 장착한 경우의 롤러 수용 후의 제1 케이스 몸체의 후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롤러 케이스(10)에 대해, 도 1~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러 케이스(10)는 제조된 롤러(1)를 반송(출하)하는 경우나 보관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 롤러(1)를 보호하는 용기로 사용된다. 롤러(1)는 원통 형상의 롤러 본체(2)의 내주면이 회전축(3)의 외주면에 고정적으로 지지된 소위 축이 달린 롤러이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 상하방향은 대략 연직방향을 의미하고, 전후방향은 상하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회전축(3)의 축방향을 의미하며, 좌우방향은 상하방향 및 전후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각 방향은 롤러 케이스(10)에 수납된 롤러(1)의 회전축(3)이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는 상태를 상정한 방향이다. 또한, 축방향 내측이란, 회전축(3)의 축방향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롤러 케이스(10)에 대해서는 이에 상당하는 방향)이며, 축방향 외측이란, 회전축(3)의 축방향의 중심에서 멀어지는 방향(롤러 케이스(10)에 대해서는 이에 상당하는 방향)이다.
롤러 본체(2)는 탄성을 가지는 연질 다공질 소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롤러 본체(2)의 외주면은 곡면 형상이어도 되고, 다수의 돌기가 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등의 요철 형상이어도 된다. 연질 다공질 소재로는 고분자 화합물 다공질 소재, 예를 들면 함수(含水) 상태에서 탄성을 가지는 폴리비닐아세탈계 다공질 소재(PVAt계 다공질 소재)나, 건조 및 함수 상태에서 모두 탄성을 가지는 폴리우레탄계 다공질 소재 등이 사용된다.
회전축(3)은 예를 들면, 롤러 본체(2)의 안지름 이상의 바깥지름을 가지는 대략 원기둥 형상 또는 대략 원통관 형상이며, 롤러 본체(2)의 안지름부에 삽입되어 롤러 본체(2)를 유지한다. 회전축(3)은 금속이나 플라스틱 등의 경질인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회전축(3)의 일단 측(전단(前端) 측) 및 타단 측(후단(後端) 측)에는 회전축(3)의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롤러 본체(2)의 양 단면(전후의 단면)보다도 돌출되는 축 단부(4)가 일체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한편, 회전축(3)의 바깥둘레의 절단면 형상은 원형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다각형이나 요철을 가지는 형상 등이어도 된다. 롤러 본체(2)는 회전축(3)과의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서만 회전축(3)에 유지되어도 되고, 접착제 등에 의해 회전축(3)에 유지되어도 된다. 또한, 원료를 포함하는 액체(혼합액)를 틀 내에서 고화(固化)하여 다공질 소재(롤러 본체(2))를 제조하는 경우, 회전축(3)을 틀 내에 세팅한 상태에서 혼합액을 고화함(제조 후의 롤러 본체(2)에 회전축(3)을 삽입하지 않고, 롤러 본체(2)를 회전축(3)과 일체적으로 형성함)으로써, 회전축(3)에 롤러 본체(2)를 유지시켜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축 단부(4)는 롤러 본체(2)를 유지하는 회전축(3)의 중앙부보다 작은 지름이며, 중앙부와 축 단부(4) 사이에는 단차(5)가 형성되어 있다. 축 단부(4)의 단면에는 절단면 원 형상의 축 단면 구멍(6)이 형성되어 있다.
롤러 케이스(10)는 아래쪽의 제1 케이스 몸체(아래 케이스)(11)와 위쪽의 제2 케이스 몸체(위 케이스)(12)를 구비한다. 제1 케이스 몸체(11) 및 제2 케이스 몸체(12)는 그 각 부가 진공 성형 등에 의해 얇은 형상으로 일체 형성된 수지제이다. 본 실시형태의 롤러 케이스(10)는 표면을 손가락 끝으로 가압하면 탄성 변형하여 움푹 패일 정도의 두께를 가지며, 제2 케이스 몸체(12) 및 제1 케이스 몸체(11)를 형성하는 수지로는 예를 들면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S(폴리스티렌), PP(폴리프로필렌), PE(폴리에틸렌),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PC(폴리카보네이트), PVC(폴리염화비닐) 등이 사용된다. 한편, 제1 케이스 몸체(11) 및/또는 제2 케이스 몸체(12)를 투명 또는 반투명한 수지로 형성함으로써, 수용물(롤러(1))이 외부에서 보일 수 있게 된다.
제1 케이스 몸체(11)는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액자 형상)의 제1 베이스면부(13)와, 제1 베이스면부(13)의 안둘레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움푹 패인 제1 커버부(14)와, 제1 베이스면부(13)의 바깥둘레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제1 커버부(14)의 외측을 덮는 제1 외측 둘레면부(15)와, 제1 외측 둘레면부(15)의 하단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1 가장자리면부(16)를 일체적으로 가진다.
제1 베이스면부(13)는 직사각형 프레임의 긴 변인 좌우 1쌍의 제1 베이스 장면(長面)부(17)와, 직사각형 프레임의 짧은 변인 전후 1쌍의 제1 베이스 단면(短面)부(18)를 가진다. 제1 베이스 장면부(17)는 롤러(1)(회전축(3))의 축방향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베이스 단면부(18)는 롤러(1)의 축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축 교차방향(지름방향)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 커버부(14)는 좌우 1쌍의 제1 커버 장면부(19)와 전후 1쌍의 제1 커버 단면부(20)와 커버 밑면부(21)를 가진다. 제1 커버 장면부(19)는 제1 베이스 장면부(17)의 안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상이며, 제1 커버 단면부(20)는 인접하는 제1 커버 장면부(19)의 끝가장자리로부터 곡절된 상태로 제1 베이스 단면부(18)의 안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상이며, 커버 밑면부(21)는 제1 커버 장면부(19)와 제1 커버 단면부(20)가 형성하는 직사각형 통 형상의 하단을 막는 직사각형상이다. 커버 밑면부(21)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보강용의 제1 리브(22)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제1 외측 둘레면부(15)는 좌우 1쌍의 제1 외측 장면부(23)와 전후 1쌍의 제1 외측 단면부(24)를 가진다. 제1 외측 장면부(23)는 제1 베이스 장면부(17)의 바깥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상이며, 제1 외측 단면부(24)는 인접하는 제1 외측 장면부(23)의 끝가장자리로부터 곡절된 상태로 제1 베이스 단면부(18)의 바깥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상이다.
전후의 제1 베이스 단면부(18) 각각에는 원호(圓弧) 형상으로 하방으로 움푹 패인 홈 형상의 제1 축 대향 홈부(제1 지지부)(25)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축 대향 홈부(25)는 회전축(3)의 축 단부(4)의 바깥둘레를 따르도록 형성되고, 각 제1 축 대향 홈부(25)에는 회전축(3)의 전후의 축 단부(4)가 각각 올려 놓여진다. 제1 커버부(14)는 상방이 개방된 제1 수용공간(26)을 전후의 제1 축 대향 홈부(25)의 사이에 형성하고, 제1 축 대향 홈부(25)의 축방향 내측은 제1 수용공간(26)으로 개구한다. 한편, 제1 축 대향 홈부(25)의 안지름은 축 단부(4)가 진입 가능한 크기이면 되고, 제1 케이스 몸체(11)의 탄성 변형에 의해 축 단부(4)가 삽입 가능해지는 범위라면, 축 단부(4)의 바깥지름보다도 작아도 된다. 또한, 제1 축 대향 홈부(25)의 형상은 원호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축 단부(4)를 지지 가능한 형상이면 된다.
전후의 제1 베이스 단면부(18) 각각에는 제1 축 대향 홈부(25)의 축방향 외측(제1 수용공간(26)의 반대 측)에 배치되어 원호 형상으로 하방으로 움푹 패인 홈 형상의 개구 홈부(27)가 제1 축 대향 홈부(25)에 인접(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개구 홈부(27)의 안지름은 제1 축 대향 홈부(25)의 안지름보다도 작게 설정되고, 제1 축 대향 홈부(25)와 개구 홈부(27) 사이에는 단차 형상의 홈 경계부(28)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축 대향 홈부(25)에 올려 놓여진 축 단부(4)는 홈 경계부(28)에 의해 축방향 외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제1 축 대향 홈부(25)와 인접하는 개구 홈부(27)를 삽입통과할 수 없으면서 축 단부(4)의 단면은 인접하는 개구 홈부(27)를 통해 외부에 면한다. 개구 홈부(27)의 안지름은 작업자의 손가락 끝이 삽입 가능한 크기로 설정되고, 작업자는 제1 축 대향 홈부(25)에 올려 놓여진 축 단부(4)의 단면에 개구 홈부(27)를 통해 손가락 끝을 댈 수 있다.
좌우의 제1 외측 장면부(23) 각각에는 내측(대향하는 제1 외측 장면부(23) 측)으로 움푹 패인 맞물림 오목부(29)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케이스 몸체(12)는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액자 형상)의 제2 베이스면부(30)와, 제2 베이스면부(30)의 안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제2 커버부(31)와, 제2 베이스면부(30)의 바깥둘레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2 외측 둘레면부(32)와, 제2 외측 둘레면부(32)의 하단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 가장자리면부(33)를 일체적으로 가진다.
제2 베이스면부(30)는 직사각형 프레임의 긴 변인 좌우 1쌍의 제2 베이스 장면부(34)와, 직사각형 프레임의 짧은 변인 전후 1쌍의 제2 베이스 단면부(35)를 가진다. 제2 베이스 장면부(34)는 축방향을 따라 전후로 연장되고, 제2 베이스 단면부(35)는 축 교차방향을 따라 좌우로 연장된다.
제2 커버부(31)는 좌우 1쌍의 제2 커버 장면부(36)와 전후 1쌍의 제2 커버 단면부(37)와 커버 윗면부(38)를 가진다. 제2 커버 장면부(36)는 제2 베이스 장면부(34)의 안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상이고, 제2 커버 단면부(37)는 인접하는 제2 커버 장면부(36)의 끝가장자리로부터 곡절된 상태로 제2 베이스 단면부(35)의 안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상이며, 커버 윗면부(38)는 제2 커버 장면부(36)와 제2 커버 단면부(37)가 형성하는 직사각형 통 형상의 상단을 막는 직사각형상이다. 커버 윗면부(38)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보강용의 제2 리브(39)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제2 외측 둘레면부(32)는 좌우 1쌍의 제2 외측 장면부(40)와 전후 1쌍의 제2 외측 단면부(41)를 가진다. 제2 외측 장면부(40)는 제2 베이스 장면부(34)의 바깥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상이며, 제2 외측 단면부(41)는 인접하는 제2 외측 장면부(40)의 끝가장자리로부터 곡절된 상태로 제2 베이스 단면부(35)의 바깥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상이다.
전후의 제2 베이스 단면부(35) 각각에는 원호 형상으로 상방으로 움푹 패인 홈 형상의 제2 축 대향 홈부(제2 지지부)(42)가 형성되고, 제2 커버부(31)는 하방이 개방된 제2 수용공간(43)을 전후의 제2 축 대향 홈부(42) 사이에 형성한다. 제2 축 대향 홈부(42)의 축방향 내측은 제2 수용공간(43)으로 개구하고, 제2 축 대향 홈부(42)의 축방향 외측(제2 수용공간(43)의 반대 측)은 홈 단부(44)에 의해 폐지(閉止)되어 있다. 제2 축 대향 홈부(42)는 회전축(3)의 축 단부(4)의 바깥둘레를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2 축 대향 홈부(42)의 안지름은 축 단부(4)가 진입 가능한 크기이면 되고, 제2 케이스 몸체(12)의 탄성 변형에 의해 축 단부(4)가 삽입 가능해지는 범위라면, 축 단부(4)의 바깥지름보다도 작아도 된다. 또한, 제2 축 대향 홈부(42)의 형상은 원호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축 단부(4)를 지지 가능한 형상이면 된다.
제2 외측 둘레면부(32)의 내측에 제1 커버부(14)가 삽입 가능한 바와 같이, 좌우의 제2 외측 장면부(40)의 내면간 거리는 좌우의 제1 외측 장면부(23)의 외면간 거리와 대략 동일하거나 약간 길게 설정되고, 전후의 제2 외측 단면부(41)의 내면간 거리는 전후의 제1 외측 단면부(24)의 외면간 거리와 대략 동일하거나 약간 길게 설정되어 있다. 좌우의 제2 외측 장면부(40) 각각에는 내측(대향하는 제2 외측 장면부(40) 측)으로 돌출되는 잠금 돌출부(45)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1 케이스 몸체(11) 및/또는 제2 케이스 몸체(12)의 탄성 변형에 의해 제2 외측 둘레면부(32)의 내측에 제1 커버부(14)가 삽입 가능해지는 범위라면, 좌우의 제2 외측 장면부(40)의 내면간 거리는 좌우의 제1 외측 장면부(23)의 외면간 거리보다 짧아도 되고, 전후의 제2 외측 단면부(41)의 내면간 거리는 전후의 제1 외측 단면부(24)의 외면간 거리보다 짧아도 된다.
제1 수용공간(26)이 상방으로 개구하는 자세(기본 자세)로 제1 케이스 몸체(11)를 두고, 제2 외측 둘레면부(32)의 내측에 제1 외측 둘레면부(15)를 삽입하도록 제1 케이스 몸체(11)에 제2 케이스 몸체(12)를 겹쳐 내리누르면, 제2 케이스 몸체(12)의 잠금 돌출부(45)가 제1 케이스 몸체(11)의 맞물림 오목부(29)와 맞물려 케이스 닫힘 상태가 된다. 케이스 닫힘 상태는 잠금 돌출부(45)와 맞물림 오목부(29)의 맞물림에 의해 유지된다. 케이스 닫힘 상태에서는 제1 베이스면부(13)와 제2 베이스면부(30)가 근접 또는 접촉하여 상대향하고, 제1 수용공간(26)과 제2 수용공간(43)이 롤러 본체 수용공간(46)을 형성한다. 또한, 개구 홈부(27)의 축방향 외측은 제2 케이스 몸체(12)의 제2 외측 단면부(41)에 의해 폐지된다(도 5 참조).
잠금 돌출부(45)와 맞물림 오목부(29)의 맞물림이 해제되고, 제1 케이스 몸체(11)와 제2 케이스 몸체(12)가 분리되어 롤러 본체 수용공간(46)이 개방된 케이스 열림 상태에서, 기본 자세의 제1 케이스 몸체(11)의 전후의 제1 축 대향 홈부(25)에 회전축(3)의 전단 측 및 후단 측의 축 단부(4)를 올려 놓고, 제1 케이스 몸체(11)에 제2 케이스 몸체(12)를 겹쳐 케이스 닫힘 상태로 함으로써, 롤러 케이스(10)에 롤러(1)가 수납된 롤러 수납 상태가 된다. 롤러 수납 상태에서는 롤러 본체(2)가 제1 케이스 몸체(11) 및 제2 케이스 몸체(12)로부터 이간된 상태로 롤러 본체 수용공간(46)에 수용되고, 제1 축 대향 홈부(25)와 제2 축 대향 홈부(42) 사이에서 전단 측 및 후단 측의 축 단부(4)가 축 교차방향에서 클램핑되어 유지되며, 제1 케이스 몸체(11) 및 제2 케이스 몸체(12)에 의해 롤러(1) 전체가 덮인다. 회전축(3)의 축 교차방향의 이동은 제1 축 대향 홈부(25)와 제2 축 대향 홈부(42)에 의해 저지되고, 회전축(3)의 축방향의 이동은 홈 경계부(28)와 홈 단부(44)에 의해 저지된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수용공간(43)이 하방으로 개구하는 자세로 제2 케이스 몸체(12)를 두고, 제1 외측 둘레면부(15)의 내측에 제2 커버부(31)를 삽입하도록 제2 케이스 몸체(12)에 제1 케이스 몸체(11)를 겹치면, 제2 케이스 몸체(12)의 제2 리브(39)에 제1 케이스 몸체(11)의 제1 리브(22)가 상방으로부터 겹쳐서 올려 놓여짐과 함께, 제1 케이스 몸체(11)의 좌우의 맞물림 오목부(29)의 내측에 제2 케이스 몸체(12)의 제2 커버부(31)가 삽입되어 맞물린다. 이러한 맞물림에 의해, 제1 케이스 몸체(11)와 제2 케이스 몸체(12)의 겹침 상태가 안정되므로, 롤러 수납 상태의 롤러 케이스(10)를 다단으로 겹쳐 쌓아 둘 수 있다.
롤러 케이스(10)에 롤러(1)를 수납하는 경우, 롤러 케이스(10)를 케이스 열림 상태로 하고, 제1 케이스 몸체(11)를 제1 수용공간(26)이 상방으로 개구하는 기준 자세로 두며, 제1 케이스 몸체(11)의 상방으로부터 롤러(1)를 하강시키고, 롤러(1)의 전후의 축 단부(4)를 전후의 제1 축 대향 홈부(25)에 각각 올려 놓는다. 이러한 회전축 올려 놓음 상태에서는 롤러 본체(2)의 하부가 제1 수용공간(26)에 들어가고, 롤러 본체(2)의 외주면의 아래쪽 영역이 제1 커버부(14)에 비접촉 상태로 덮인다. 다음으로, 제1 케이스 몸체(11)에 제2 케이스 몸체(12)를 상방에서 씌우고, 제2 케이스 몸체(12)의 잠금 돌출부(45)를 제1 케이스 몸체(11)의 맞물림 오목부(29)에 맞물린다. 이러한 롤러 수납 상태(롤러(1)가 수납된 케이스 닫힘 상태)에서는 롤러 본체(2)의 상부가 제2 수용공간(43)에 들어가고, 롤러 본체(2)의 외주면의 위쪽 영역이 제2 커버부(31)에 비접촉 상태로 덮이며, 롤러 본체(2)가 롤러 본체 수용공간(46)에 수용된다. 또한, 롤러 수납 상태에서는 전후의 제1 축 대향 홈부(25)와 전후의 제2 축 대향 홈부(42) 사이에서 전후의 축 단부(4)가 상하방향에서 클램핑되어 유지되며, 롤러(1) 전체가 제1 케이스 몸체(11)와 제2 케이스 몸체(12)에 의해 덮인다.
롤러 케이스(10)로부터 롤러(1)를 꺼내는 경우, 제2 케이스 몸체(12)를 제1 케이스 몸체(11)로부터 떼어 놓는 바와 같이 들어 올리고, 제1 케이스 몸체(11)의 맞물림 오목부(29)와 제2 케이스 몸체(12)의 잠금 돌출부(45)의 맞물림을 해제하여 케이스 열림 상태로 하며, 회전축(3)의 전후의 축 단부(4)를 양손의 손가락 끝으로 지지하여 롤러(1)(회전축(3))를 끌어 올려, 롤러(1)를 제1 케이스 몸체(11)로부터 꺼낸다.
이와 같이, 롤러(1)를 롤러 케이스(10)에 수납하는 경우나 수납된 롤러(1)를 롤러 케이스(10)로부터 꺼내는 경우, 롤러(1)를 축방향(전후방향)이 아닌 축 교차방향(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므로, 수납이나 꺼내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수납할 때나 꺼낼 때에 롤러 본체(2)가 롤러 케이스(10)(제1 케이스 몸체(11))에 접촉하기 어려워, 롤러 본체(2)의 변형이나 손상이나 오염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개구 홈부(27)의 안지름이 작업자의 손가락 끝이 삽입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작업자는 롤러(1)를 수납할 때나 꺼낼 때에 전후의 축 단부(4)의 단면에 축방향 외측으로부터 양손의 손가락 끝을 대서(축 단면 구멍(6)에 손가락 끝을 걸쳐서) 회전축(3)을 지지한 상태로 롤러(1)(회전축(3))를 승강시킬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대해 도 7~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형태는 회전축(3)에 어댑터(축 장착 부재)(47)를 장착한 것이며, 제1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7~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댑터(47)는 축 단부(4)와 대략 동일한 바깥지름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 또는 원통 형상의 어댑터 기부(基部)(48)와, 어댑터 기부(48)의 일단으로부터 돌출되는 원기둥 형상 또는 원통 형상의 어댑터 작은 지름부(49)와, 어댑터 기부(48)의 타단에 마련된 날밑 형상의 어댑터 큰 지름부(50)를 일체적으로 가진다. 어댑터 작은 지름부(49)는 어댑터 기부(48)보다도 작은 지름이며, 어댑터 큰 지름부(50)는 어댑터 기부(48)보다도 큰 지름이면서 롤러 본체(2)보다도 작은 지름이다. 어댑터 작은 지름부(49)의 바깥지름은 축 단부(4)의 축 단면 구멍(6)의 안지름과 대략 동일하거나 약간 작게 설정되고, 어댑터 작은 지름부(49)를 축 단면 구멍(6)에 삽입함으로써, 어댑터(47)가 축 단부(4)의 단면에 탈착이 가능하게 장착된다. 어댑터(47)(어댑터 큰 지름부(50))의 단면에는 어댑터 단면 구멍(51)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케이스 몸체(11)의 제1 축 대향 홈부(25)와 제2 케이스 몸체(12)의 제2 축 대향 홈부(42)에는 어댑터 기부(48)의 바깥지름에 맞춘 얕은 홈부(52)와, 어댑터 큰 지름부(50)의 바깥지름에 맞춘 깊은 홈부(53)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제1 축 대향 홈부(25)의 깊은 홈부(53)와 개구 홈부(27) 사이에는 단차 형상의 홈 경계부(28)가 형성되고, 어댑터 큰 지름부(50)의 바깥지름은 개구 홈부(27)의 안지름보다도 크다.
어댑터(47)를 제1 축 대향 홈부(25)에 올려 놓는 경우, 어댑터 기부(48)가 얕은 홈부(52)에, 어댑터 큰 지름부(50)가 깊은 홈부(53)에 각각 삽입된다. 케이스 닫힘 상태에서는 상하의 얕은 홈부(52) 사이에 어댑터 기부(48)가 클램핑되어 유지되고, 및/또는 상하의 깊은 홈부(53) 사이에 어댑터 큰 지름부(50)가 클램핑되어 유지된다. 이와 같이, 어댑터(47)의 외주면은 요철 형상을 가지며, 제1 축 대향 홈부(25) 및 제2 축 대향 홈부(42)는 어댑터(47)의 요철 형상과 맞물려서 어댑터(47)의 이동을 규제하는 요철 형상을 가진다. 한편, 제1 축 대향 홈부(25) 및 제2 축 대향 홈부(42) 중 한쪽에만 어댑터(47)의 요철 형상과 맞물려서 어댑터(47)의 이동을 규제하는 요철 형상을 마련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회전축(3)의 축 단부(4)가 롤러 본체(2)의 단면으로부터 충분히 돌출되어 있지 않은 경우여도 어댑터(47)를 통해 회전축(3)의 전단 측 및 후단 측을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개구 홈부(27)의 안지름이 작업자의 손가락 끝이 삽입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작업자는 롤러(1)를 수납할 때나 꺼낼 때에 전후의 어댑터(47)의 단면에 축방향 외측으로부터 양손의 손가락 끝을 대서(어댑터 단면 구멍(51)에 손가락 끝을 걸쳐서) 회전축(3)을 지지한 상태로 롤러(1)(회전축(3))를 승강시킬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제1 축 대향 홈부(25) 및 제2 축 대향 홈부(42)와 어댑터(47)가 맞물려서 어댑터(47)의 이동이 규제되므로, 롤러 수납 상태의 롤러 케이스(10)에 의도하지 않은 외력이 작용하고, 제1 축 대향 홈부(25)가 축방향 외측으로 이동하도록 롤러 케이스(10)가 변형된 경우여도 제1 축 대향 홈부(25)로부터의 어댑터(47)의 낙하가 방지된다. 따라서, 롤러(1)를 롤러 케이스(10)에 수납하여 반송할 때 등에, 롤러 케이스(10)와의 접촉에 기인하는 롤러 본체(2)의 변형이나 손상이나 오염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어댑터(47)의 이동을 저지하기 위한 요철 형상은 생략 가능하며, 회전축(3)의 전단 측 및 후단 측의 어댑터(47) 중 한쪽 또는 양쪽을 이러한 요철 형상을 가지지 않는 어댑터로 해도 된다.
또한, 회전축(3)의 전단 측 및 후단 측 중 한쪽에만 어댑터(47)를 장착하고, 다른 쪽에 대해서는 축 단부(4)를 제1 축 대향 홈부(25) 및 제2 축 대향 홈부(42)에 의해 직접 지지해도 된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서, 제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축 단부(4)에 요철 형상을 마련함과 함께, 제1 축 대향 홈부(25) 및/또는 제2 축 대향 홈부(42)에 축 단부(4)의 요철 형상과 맞물려서 축 단부(4)의 이동을 규제하는 요철 형상을 마련해도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대해 도 10~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3 실시형태는 제1 실시형태의 회전축(3)의 전단 측 및 후단 측에 플랜지(축 낙하 규제 부재)(54)를 장착한 것이며, 제1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랜지(54)는 롤러 본체(2)의 바깥지름보다도 큰 바깥지름을 가지는 구멍이 있는 원판 형상이다. 플랜지(54)의 중심부에는 축 단부(4)의 바깥지름과 대략 동일하거나 약간 큰 안지름을 가지는 축 삽입통과 구멍(55)이 형성되고, 축 삽입통과 구멍(55)에 축 단부(4)를 삽입통과시킴으로써, 플랜지(54)가 전단 측 및 후단 측의 축 단부(4)에 탈착이 가능하게 장착된다. 축 단부(4)에 장착된 플랜지(54)의 바깥둘레 가장자리부의 전역은 롤러 본체(2)의 외주면보다도 롤러 본체(2)의 지름방향 외측으로 돌출된다. 플랜지(54)의 축방향 내측으로의 삽입 한계는 축 단부(4)의 단차(5)에 의해 규정되고, 플랜지(54)와 롤러 본체(2)가 비접촉으로 유지된다.
제1 케이스 몸체(11)의 제1 커버부(14)에는 플랜지(54)의 바깥둘레 가장자리부의 아래쪽 영역과 맞물려서 플랜지(54)의 축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1 플랜지 맞물림 홈(축 낙하 규제 부재 맞물림 홈)(56)이 형성되고, 제2 케이스 몸체(12)의 제2 커버부(31)에는 플랜지(54)의 바깥둘레 가장자리부의 아래쪽 영역과 맞물려서 플랜지(54)의 축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2 플랜지 맞물림 홈(축 낙하 규제 부재 맞물림 홈)(57)이 형성되어 있다. 롤러 수납 상태에서는 플랜지(54)는 롤러 본체 수용공간(46) 중 롤러 본체(2)가 배치되는 중앙부의 축방향 양측에 배치되고, 플랜지(54)의 바깥둘레 가장자리부는 제1 플랜지 맞물림 홈(56) 및 제2 플랜지 맞물림 홈(57)에 맞물린다. 플랜지(54)의 외주면은 제1 플랜지 맞물림 홈(56)의 홈 바닥 및 제2 플랜지 맞물림 홈(57)의 홈 바닥에 근접 또는 접촉한다.
한편, 롤러 케이스(10)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은 통상의 상태에서는 회전축(3)의 전단 측 및 후단 측은 제1 축 대향 홈부(25) 및 제2 축 대향 홈부(42)에 의해 지지되고, 플랜지(54)에 의해 회전축(3)은 지지되지 않는다. 단, 본 발명은 플랜지(54)에 의한 회전축(3)의 지지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며, 제1 축 대향 홈부(25) 및 제2 축 대향 홈부(42)와 플랜지(54) 쌍방에 의해 회전축(3)을 지지해도 된다. 이 경우, 제1 축 대향 홈부(25)와 제1 플랜지 맞물림 홈(56)이 제1 지지부를 구성하고, 제2 축 대향 홈부(42)와 제2 플랜지 맞물림 홈(57)이 제2 지지부를 구성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롤러 수납 상태의 롤러 케이스(10)에 의도하지 않은 외력이 작용하고, 제1 축 대향 홈부(25)가 축방향 외측으로 이동하도록 롤러 케이스(10)가 변형되어, 축 단부(4)가 제1 축 대향 홈부(25)로부터 이탈한 경우여도 롤러 케이스(10)에 대한 롤러(1)의 하강이 플랜지(54)에 의해 저지된다. 따라서, 롤러(1)를 롤러 케이스(10)에 수납하여 반송할 때 등에, 롤러 케이스(10)와의 접촉에 기인하는 롤러 본체(2)의 변형이나 손상이나 오염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회전축(3)의 전단 측 및 후단 측 쌍방이 아닌, 그 중 한쪽에만 플랜지(54)를 장착해도 된다. 또한, 축 단부(4)의 단차(5)와 롤러 본체(2)의 단면이 축방향에서 대략 동일한 위치인 경우에는 예를 들면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차(5)에 부딪치는 원통 형상의 돌기(58)를 플랜지(54)의 축방향 내측에 마련함으로써, 플랜지(54)와 롤러 본체(2)의 비접촉을 유지하면 된다. 또한, 회전축(3)에 탈착이 자유롭게 장착되고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 사이에 클램핑되어 유지되는 어댑터(예를 들면 제2 실시형태와 같은 어댑터(47))에 플랜지를 일체적으로 마련해도 된다. 또한, 플랜지(54)의 형상은 원판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회전축(3)에 장착된 상태로 플랜지의 바깥둘레 가장자리부의 대략 전역이 롤러 본체(2)의 외주면보다도 지름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이면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대해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4 실시형태는 제1 실시형태의 제1 케이스 몸체(11)와 제2 케이스 몸체(12)를 힌지부(59)를 통해 연결한 것이며, 제1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롤러 케이스(60)에서는 제1 케이스 몸체(11)의 한쪽(도면 중 왼쪽)의 제1 외측 장면부(23)에, 제2 케이스 몸체(12)의 제2 외측 장면부(40)의 한쪽(도면 중 오른쪽)이 힌지부(59)를 통해 개폐가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케이스 몸체(11)와 제2 케이스 몸체(12)가 힌지부(59)를 통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롤러 케이스(60)의 개폐 작업을 비교적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대해 도 15~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5 실시형태의 롤러 케이스(100)는 동일 형상의 2개의 케이스 몸체(70)를 제1 케이스 몸체(11) 및 제2 케이스 몸체(12)로 이용함과 함께, 전후의 플랜지(앞쪽 플랜지(71) 및 뒤쪽 플랜지(72))에 의해 회전축(3)의 전단 측 및 후단 측을 지지한 것이며, 제1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축(3)의 전단 측 및 후단 측의 축 단부(4)에는 축 장착 부재로서의 플랜지(앞쪽 플랜지(71) 및 뒤쪽 플랜지(72))가 탈착이 자유롭게 장착된다. 앞쪽 플랜지(71) 및 뒤쪽 플랜지(72)는 롤러 본체(2)의 바깥지름보다도 큰 바깥지름을 가지는 원판 형상이다. 도 15 및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앞쪽 플랜지(71)의 중심부에는 축 단부(4)의 바깥지름과 대략 동일하거나 약간 큰 안지름을 가지는 축 삽입통과 구멍(73)이 형성되고, 축 삽입통과 구멍(73)에 축 단부(4)를 삽입통과시킴으로써, 앞쪽 플랜지(71)가 앞쪽의 축 단부(4)에 탈착이 가능하게 장착된다. 도 15 및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뒤쪽 플랜지(72)에는 축 삽입통과 구멍(73) 대신에, 축 단부(4)의 바깥지름과 대략 동일하거나 약간 큰 안지름을 가지는 바닥이 있는 통 형상부(74)가 일체적으로 마련되고, 바닥이 있는 통 형상부(74)의 안지름부에 축 단부(4)를 삽입함으로써, 뒤쪽 플랜지(72)가 후단 측의 축 단부(4)에 탈착이 가능하게 장착된다. 본 실시형태의 바닥이 있는 통 형상부(74)에는 바닥이 있는 통 형상부(74)의 안지름부로의 축 단부(4)의 삽입에 따라 축 단부(4)의 축 단면 구멍(6)에 삽입되는 원기둥 봉체(棒體) 형상의 축삽입부(75)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각 플랜지(71, 72)를 축 단부(4)에 장착한 상태로, 각 플랜지(71, 72)의 바깥둘레 가장자리부의 전역은 롤러 본체(2)의 외주면보다도 롤러 본체(2)의 지름방향 외측으로 돌출된다. 한편, 앞쪽 플랜지(71)를 뒤쪽 플랜지(72)와 같은 형상으로 해도 되고, 뒤쪽 플랜지(72)를 앞쪽 플랜지(71)와 같은 형상으로 해도 된다. 또한, 앞쪽 플랜지(71) 및 뒤쪽 플랜지(72) 중 한쪽만 마련하고, 다른 쪽 측의 축 단부(4)를 직접 또는 어댑터를 개재하여 케이스 몸체(70)에 지지해도 된다.
도 15~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 몸체(70)는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액자 형상)의 베이스면부(76)와, 베이스면부(76)의 안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축 교차방향의 일방 측으로 움푹 패인 커버부(77)를 일체적으로 가진다. 제1 케이스 몸체(11)의 커버부(77)는 제1 커버부(14)를 구성하고, 제2 케이스 몸체(12)의 커버부(77)는 제2 커버부(31)를 구성한다. 커버부(77)는 축 교차방향의 타방 측으로 개구하는 수용공간(78)(제1 수용공간(26), 제2 수용공간(43))을 형성한다. 케이스 몸체(70)는 제1 케이스 몸체(11) 및 제2 케이스 몸체(12) 쌍방으로 기능하도록 축방향에 대하여 좌우 대칭으로 개략 구성되어 있다. 2개의 케이스 몸체(70)(제1 케이스 몸체(11) 및 제2 케이스 몸체(12))는 그 중 한쪽(제1 케이스 몸체(11))을 제1 수용공간(26)이 상방으로 개구하는 자세(기본 자세)로 두고, 다른 쪽(제2 케이스 몸체(12))을 제2 수용공간(43)이 하방으로 개구하도록 기본 자세로부터 반전(축방향을 중심으로 하여 180도 회전)시킨 자세(반전 자세)로 제1 케이스 몸체(11)에 상방으로부터 겹침으로써 사용된다.
베이스면부(76)는 직사각형 프레임의 긴 변인 좌우 1쌍의 베이스 장면부(79)와, 직사각형 프레임의 짧은 변인 전후 1쌍의 베이스 단면부(80)를 가진다. 베이스 장면부(79)는 축방향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고, 베이스 단면부(80)는 축 교차방향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연장된다.
커버부(77)는 축방향의 중앙에 광범위하게 형성되는 중앙 커버부(81)와, 중앙 커버부(81)의 축방향의 양측에 형성되어 중앙 커버부(81)와 연속하는 전후 1쌍의 단(端) 커버부(82)를 가진다. 중앙 커버부(81)는 좌우 1쌍의 커버 측면부(83)와 전후 1쌍의 커버 연결면부(84)와 커버 정상면부(cover top-face portion)(85)를 가지며, 전후의 단 커버부(82) 각각은 원호면부(86)와 커버 단면부(87)를 가진다. 커버 측면부(83)는 베이스 장면부(79)의 축방향의 중앙 부분의 안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상이며, 커버 정상면부(85)는 좌우의 커버 측면부(83)의 끝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직사각형상이다. 원호면부(86)는 베이스 장면부(79)의 양단 부분의 안가장자리끼리를 연결하는 원호면 형상이며, 커버 단면부(87)는 베이스 단면부(80)의 안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반원판 형상이다. 커버 연결면부(84)는 커버 측면부(83) 및 커버 정상면부(85)의 축방향 외측의 끝가장자리와 원호면부(86)의 축방향 내측의 끝가장자리 사이를 막도록, 커버 측면부(83) 및 커버 정상면부(85)의 끝가장자리와 원호면부(86)의 끝가장자리를 연결한다.
원호면부(86)의 축방향 외측의 끝가장자리부와 커버 단면부(87) 사이에는 원호면부(86)의 내면으로부터 움푹 패인 플랜지 맞물림 홈(앞쪽 플랜지 맞물림 홈(88) 및 뒤쪽 플랜지 맞물림 홈(89))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케이스 몸체(11)의 앞쪽 플랜지 맞물림 홈(88) 및 뒤쪽 플랜지 맞물림 홈(89)은 제1 지지부를 구성하고, 제2 케이스 몸체(12) 앞쪽 플랜지 맞물림 홈(88) 및 뒤쪽 플랜지 맞물림 홈(89)은 제2 지지부를 구성한다. 커버 정상면부(85)는 케이스 몸체(70)를 기본 자세로 한 경우에는 커버 밑면부가 되고, 반전 자세로 한 경우에는 커버 윗면부가 된다.
전후의 베이스 단면부(80) 각각에는 원호 형상으로 움푹 패인 홈 형상의 축 대향 홈부(90)가 형성되어 있다. 앞쪽의 축 대향 홈부(90)의 안지름은 회전축(3)의 축 단부(4)의 바깥지름보다도 약간 크게 설정되고, 앞쪽의 축 대향 홈부(90)의 내면은 회전축(3) 앞쪽의 축 단부(4)의 외면과 근접 또는 접촉한 상태로 대향한다. 뒤쪽의 축 대향 홈부(90)의 안지름은 뒤쪽 플랜지(72)의 바닥이 있는 통 형상부(74)의 바깥지름보다도 약간 크게 설정되고, 뒤쪽의 축 대향 홈부(90)의 내면은 바닥이 있는 통 형상부(74)의 외면과 근접 또는 접촉한 상태로 대향한다.
앞쪽 플랜지 맞물림 홈(88)은 앞쪽 플랜지(71)의 바깥둘레 가장자리부의 대략 반둘레 만큼의 영역과 맞물려서, 앞쪽 플랜지(71)를 지름방향 외측으로부터 지지함과 함께, 앞쪽 플랜지(71)의 축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뒤쪽 플랜지 맞물림 홈(89)은 뒤쪽 플랜지(72)의 바깥둘레 가장자리부의 대략 반둘레 만큼의 영역과 맞물려서, 뒤쪽 플랜지(72)를 지름방향 외측으로부터 지지함과 함께, 뒤쪽 플랜지(72)의 축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앞쪽 및 뒤쪽의 커버 단면부(87)에는 축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단면 돌출부(91)가 형성되어 있다. 앞쪽 플랜지(71)에는 앞쪽 플랜지 맞물림 홈(88)과 맞물린 상태로 앞쪽의 단면 돌출부(91)와 맞물리는 앞 플랜지 오목부(66)가 형성되어 있다. 앞 플랜지 오목부(66)와 앞쪽의 단면 돌출부(91)의 맞물림에 의해, 앞쪽 플랜지 맞물림 홈(88) 내에서의 앞쪽 플랜지(71)의 위치가 규정됨과 함께, 케이스 몸체(70)에 의한 앞쪽 플랜지(71)의 지지가 안정된다. 마찬가지로, 뒤쪽 플랜지(72)에는 뒤쪽 플랜지 맞물림 홈(89)과 맞물린 상태로 뒤쪽의 단면 돌출부(91)와 맞물리는 뒤 플랜지 오목부(67)가 형성되어 있다. 뒤 플랜지 오목부(67)와 뒤쪽의 단면 돌출부(91)의 맞물림에 의해, 뒤쪽 플랜지 맞물림 홈(89) 내에서의 뒤쪽 플랜지(72)의 위치가 규정됨과 함께, 케이스 몸체(70)에 의한 뒤쪽 플랜지(72)의 지지가 안정된다.
한편, 롤러 케이스(100)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은 통상의 상태에서는 회전축(3)의 전단 측 및 후단 측은 앞쪽 플랜지(71) 및 뒤쪽 플랜지(72)에 의해 지지되고, 축 대향 홈부(90)에 의해 회전축(3)은 지지되지 않는다. 단, 본 발명은 축 대향 홈부(90)에 의한 회전축(3)의 지지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며, 축 대향 홈부(90)와 플랜지(71, 72) 쌍방에 의해 회전축(3)을 지지해도 된다. 이 경우, 제1 케이스 몸체(11)의 축 대향 홈부(90)와 앞쪽 플랜지 맞물림 홈(88)과 뒤쪽 플랜지 맞물림 홈(89)이 제1 지지부를 구성하고, 제2 케이스 몸체(12)의 축 대향 홈부(90)와 앞쪽 플랜지 맞물림 홈(88)과 뒤쪽 플랜지 맞물림 홈(89)이 제2 지지부를 구성한다.
또한, 각 플랜지(71, 72)의 형상은 원판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회전축(3)에 장착된 상태로 플랜지의 바깥둘레 가장자리부의 대략 전역 또는 복수개의 영역이 롤러 본체(2)의 외주면보다도 롤러 본체(2)의 지름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이면 된다. 플랜지의 바깥둘레 가장자리부의 복수개의 영역이 롤러 본체(2)의 외주면보다도 지름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한 경우에는 플랜지를 이러한 복수개의 영역에서 제1 케이스 몸체(11)와 제2 케이스 몸체(12) 사이에 클램핑하여 유지하면 된다. 예를 들면,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3변의 각 중앙 부분이 롤러 본체(2)의 외주면보다도 지름방향 내측에 위치하고, 3군데의 정점 부분(102)이 롤러 본체(2)의 외주면보다도 지름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삼각판 형상의 플랜지(101)의 경우, 2군데의 정점 부분(102)을 제1 케이스 몸체(11)의 플랜지 맞물림 홈에 맞물리고, 1군데의 정점 부분(102)을 제2 케이스 몸체(12)의 플랜지 맞물림 홈에 맞물리는 등에 의해, 플랜지(101)를 3군데의 정점 부분(102)에서 제1 케이스 몸체(11)와 제2 케이스 몸체(12) 사이에 클램핑하여 유지하면 된다.
앞쪽의 베이스 단면부(80)에는 앞쪽의 잠금 돌출부(93) 및 맞물림 오목부(94)가 형성되고, 뒤쪽의 베이스 단면부(80)에는 뒤쪽의 잠금 돌출부(95) 및 맞물림 오목부(96)가 형성되어 있다. 앞쪽 및 뒤쪽의 잠금 돌출부(93, 95)는 베이스 단면부(80)로부터 축 교차방향의 타방 측으로 돌출되고, 앞쪽 및 뒤쪽의 맞물림 오목부(94, 96)는 앞쪽 및 뒤쪽의 잠금 돌출부(93, 95)와 맞물림 가능하게 베이스 단면부(80)로부터 축 교차방향의 일방 측으로 움푹 패인다. 기본 자세의 케이스 몸체(70)와 반전 자세의 케이스 몸체(70)가 맞물림 가능해지도록, 앞쪽의 잠금 돌출부(93)와 맞물림 오목부(94), 및 뒤쪽의 잠금 돌출부(95)와 맞물림 오목부(96)는 각각 축방향에 대하여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좌우의 베이스 장면부(79)에는 위치 결정 돌출부(97) 및 위치 결정 오목부(98)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오른쪽 및 왼쪽의 위치 결정 돌출부(97)는 베이스 장면부(79)로부터 축 교차방향의 타방 측으로 돌출되고, 오른쪽 및 왼쪽의 위치 결정 오목부(98)는 왼쪽 및 오른쪽의 위치 결정 돌출부(97)가 삽입 가능하게 베이스 장면부(79)로부터 축 교차방향의 일방 측으로 움푹 패인다. 기본 자세의 케이스 몸체(70)와 반전 자세의 케이스 몸체(70)가 맞물림 가능해지도록, 왼쪽의 위치 결정 돌출부(97)와 오른쪽의 위치 결정 오목부(98), 및 왼쪽의 위치 결정 오목부(98)와 오른쪽의 위치 결정 돌출부(97)는 각각 축방향에 대하여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수용공간(78)이 상방으로 개구하는 기본 자세로 한쪽의 케이스 몸체(70)(제1 케이스 몸체(11))를 두고, 수용공간(78)이 하방으로 개구하는 반전 자세의 다른 쪽의 케이스 몸체(70)(제2 케이스 몸체(12))를, 위치 결정 돌출부(97)가 위치 결정 오목부(98)에 삽입되도록 상방으로부터 겹쳐서 내리누르면, 제2 케이스 몸체(12)의 잠금 돌출부(93, 95)가 제1 케이스 몸체(11)의 맞물림 오목부(94, 96)와 맞물려서 케이스 닫힘 상태가 된다. 케이스 닫힘 상태는 잠금 돌출부(93, 95)와 맞물림 오목부(94, 96)의 맞물림에 의해 유지된다. 케이스 닫힘 상태에서는 제1 케이스 몸체(11)의 베이스면부(76)와 제2 케이스 몸체(12)의 베이스면부(76)가 근접 또는 접촉하여 상대향하고, 제1 수용공간(26)과 제2 수용공간(43)이 롤러 본체 수용공간(46)을 형성한다.
잠금 돌출부(93, 95)와 맞물림 오목부(94, 96)의 맞물림이 해제되고, 제1 케이스 몸체(11)와 제2 케이스 몸체(12)가 분리되어 롤러 본체 수용공간(46)이 개방된 케이스 열림 상태에서, 기본 자세의 제1 케이스 몸체(11)의 앞쪽 플랜지 맞물림 홈(88) 및 뒤쪽 플랜지 맞물림 홈(89)에 앞쪽 플랜지(71) 및 뒤쪽 플랜지(72)를 각각 상방으로부터 맞물려서 올려 놓고, 제1 케이스 몸체(11)에 제2 케이스 몸체(12)를 겹쳐 케이스 닫힘 상태로 함으로써, 롤러 케이스(100)에 롤러(1)가 수납된 롤러 수납 상태가 된다. 롤러 수납 상태에서는 롤러 본체(2)가 제1 케이스 몸체(11) 및 제2 케이스 몸체(12)로부터 이간된 상태로 롤러 본체 수용공간(46)에 수용되고, 제1 케이스 몸체(11)의 앞쪽 플랜지 맞물림 홈(88) 및 뒤쪽 플랜지 맞물림 홈(89)과 제2 케이스 몸체(12)의 앞쪽 플랜지 맞물림 홈(88) 및 뒤쪽 플랜지 맞물림 홈(89) 사이에서 앞쪽 플랜지(71) 및 뒤쪽 플랜지(72)가 축 교차방향에서 클램핑되어 유지되고, 제1 케이스 몸체(11) 및 제2 케이스 몸체(12)에 의해 롤러(1) 전체가 덮인다. 회전축(3)의 축방향 및 축 교차방향의 이동은 앞쪽 플랜지(71) 및 뒤쪽 플랜지(72)에 의해 저지된다.
또한, 커버 정상면부(85)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커버 정상면부(85)를 보강하는 이랑(furrow) 형상 리브(68) 및 환상(環狀) 리브(69)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이랑 형상 리브(68)와 2개의 환상 리브(69)가 대각 형상으로 배치되고, 한쪽의 케이스 몸체(70)의 커버 정상면부(85)의 외면과 다른 쪽의 케이스 몸체(70)의 커버 정상면부(85)의 외면을 대향시켜서 겹침으로써, 이랑 형상 리브(68)가 환상 리브(69)의 내측에 삽입되어 맞물린다. 이러한 맞물림에 의해, 제1 케이스 몸체(11)와 제2 케이스 몸체(12)의 겹침 상태가 안정되므로, 롤러 수납 상태의 롤러 케이스(100)를 다단으로 겹쳐 쌓아 둘 수 있다.
롤러 케이스(100)에 롤러(1)를 수납하는 경우, 회전축(3)에 앞쪽 플랜지(71) 및 뒤쪽 플랜지(72)를 장착하고, 롤러 케이스(100)를 케이스 열림 상태로 하며, 제1 케이스 몸체(11)를 제1 수용공간(26)이 상방으로 개구하는 기준 자세로 두고, 제1 케이스 몸체(11)의 상방으로부터 롤러(1)를 하강시키고, 제1 케이스 몸체(11)의 앞쪽 플랜지 맞물림 홈(88) 및 뒤쪽 플랜지 맞물림 홈(89)에 앞쪽 플랜지(71) 및 뒤쪽 플랜지(72)를 각각 상방으로부터 맞물려서 올려 놓는다. 이러한 회전축 올려 놓음 상태에서는 롤러 본체(2)의 하부가 제1 수용공간(26)에 들어가고, 롤러 본체(2)의 외주면의 아래쪽 영역이 제1 커버부(14)에 비접촉 상태로 덮인다. 다음으로, 위치 결정 돌출부(97)가 위치 결정 오목부(98)에 삽입되도록 제1 케이스 몸체(11)에 반전 자세의 제2 케이스 몸체(12)를 상방에서 씌워, 잠금 돌출부(93, 95)를 맞물림 오목부(94, 96)에 맞물린다. 이러한 롤러 수납 상태(롤러(1)가 수납된 케이스 닫힘 상태)에서는 롤러 본체(2)의 상부가 제2 수용공간(43)에 들어가고, 롤러 본체(2)의 외주면의 위쪽 영역이 제2 커버부(31)에 비접촉 상태로 덮이며, 롤러 본체(2)가 롤러 본체 수용공간(46)에 수용된다. 또한, 롤러 수납 상태에서는 제1 케이스 몸체(11)의 앞쪽 플랜지 맞물림 홈(88) 및 뒤쪽 플랜지 맞물림 홈(89)과 제2 케이스 몸체(12)의 앞쪽 플랜지 맞물림 홈(88) 및 뒤쪽 플랜지 맞물림 홈(89) 사이에서 앞쪽 플랜지(71) 및 뒤쪽 플랜지(72)가 축 교차방향에서 클램핑되어 유지되고, 롤러(1)의 전체가 제1 케이스 몸체(11)와 제2 케이스 몸체(12)에 의해 덮인다.
롤러 케이스(100)로부터 롤러(1)를 꺼내는 경우, 제2 케이스 몸체(12)를 제1 케이스 몸체(11)로부터 떼어 놓는 바와 같이 들어 올리고, 제1 케이스 몸체(11)의 맞물림 오목부(94, 96)와 제2 케이스 몸체(12)의 잠금 돌출부(93, 95)의 맞물림을 해제하여 케이스 열림 상태로 하며, 앞쪽 플랜지(71) 및 뒤쪽 플랜지(72)를 양손으로 집어서 롤러(1)(회전축(3))를 끌어 올려, 롤러(1)를 제1 케이스 몸체(11)로부터 꺼낸다.
이와 같이, 롤러(1)를 롤러 케이스(100)에 수납하는 경우나 수납된 롤러(1)를 롤러 케이스(100)로부터 꺼내는 경우, 롤러(1)를 축방향(전후방향)이 아닌 축 교차방향(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므로, 수납이나 꺼내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수납할 때나 꺼낼 때에 롤러 본체(2)가 롤러 케이스(100)(제1 케이스 몸체(11))에 접촉하기 어려워, 롤러 본체(2)의 변형이나 손상이나 오염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롤러(1)를 수납할 때나 꺼낼 때에 앞쪽 플랜지(71)와 뒤쪽 플랜지(72)를 양손으로 쥔 상태로 롤러(1)(회전축(3))를 승강시킬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롤러 본체(2)보다도 큰 지름인 원판 형상의 앞쪽 플랜지(71) 및 뒤쪽 플랜지(72)가 제1 케이스 몸체(11)(제1 케이스 몸체(11)의 앞쪽 플랜지 맞물림 홈(88) 및 뒤쪽 플랜지 맞물림 홈(89))와 제2 케이스 몸체(12)(제2 케이스 몸체(12)의 앞쪽 플랜지 맞물림 홈(88) 및 뒤쪽 플랜지 맞물림 홈(89)) 사이에 클램핑됨으로써 회전축(3)의 전단 측 및 후단 측이 유지되므로, 롤러 수납 상태의 롤러 케이스(100)에 의도하지 않은 외력이 작용한 경우여도 회전축(3)의 전단 측 및 후단 측의 유지가 해제되기 어려워, 롤러(1)를 롤러 케이스(100)에 수납하여 반송할 때 등에, 롤러 케이스(100)와의 접촉에 기인하는 롤러 본체(2)의 변형이나 손상이나 오염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회전축(3)의 축 단부(4)가 롤러 본체(2)의 단면으로부터 충분히 돌출되어 있지 않은 경우여도 앞쪽 플랜지(71) 및 뒤쪽 플랜지(72)를 개재하여 회전축(3)의 전단 측 및 후단 측을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 대해 도 22~도 2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6 실시형태는 제5 실시형태의 각 플랜지(앞쪽 플랜지(71) 및 뒤쪽 플랜지(72))를 복수개(본 실시형태에서는 2매)의 분할 플랜지(분할판)(103, 104)를 조합함으로써 구성한 것이며, 제5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앞쪽 플랜지(71)는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축(3)으로부터 축 교차방향으로 나뉘어 이탈 가능한 2매의 분할 플랜지(103)를 조합함으로써 구성되고, 축 삽입통과 구멍(73)도 2분할되어 있다. 뒤쪽 플랜지(72)도 마찬가지로,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축(3)으로부터 축 교차방향으로 나뉘어 이탈 가능한 2매의 분할 플랜지(104)를 조합함으로써 구성되고, 바닥이 있는 통 형상부(74) 대신에 통 형상부(99)가 마련되고, 통 형상부(99)도 2분할되어 있다. 2매의 분할 플랜지(103)는 대략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이며, 그 분할면(조합면)은 앞쪽 플랜지(71)의 직경방향을 따라 설정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2매의 분할 플랜지(104)는 대략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이며, 그 분할면(조합면)은 뒤쪽 플랜지(72)의 직경방향을 따라 설정되어 있다. 한편, 각 플랜지(앞쪽 플랜지(71) 및 뒤쪽 플랜지(72))를 3매 이상의 분할판으로 분할해도 된다.
회전축(3)에 대한 플랜지(71, 72)의 장착 상태(2매의 분할 플랜지(103, 104)를 각각 조합한 상태)는 플랜지(71, 72)를 제1 케이스 몸체(11) 및 제2 케이스 몸체(12)의 플랜지 맞물림 홈(88, 89)에 맞물리고, 제1 케이스 몸체(11)와 제2 케이스 몸체(12)를 닫아서 롤러 수납 상태로 함으로써 유지된다.
앞쪽 플랜지(71)를 구성하는 2매의 분할 플랜지(103)는 각 분할 플랜지(103) 모두가 제1 케이스 몸체(11)의 앞쪽 플랜지 맞물림 홈(88)과 제2 케이스 몸체(12)의 앞쪽 플랜지 맞물림 홈(88) 쌍방과 맞물리는 자세로 회전축(3)에 장착되고, 뒤쪽 플랜지(72)를 구성하는 2매의 분할 플랜지(104)는 각 분할 플랜지(104) 모두가 제1 케이스 몸체(11)의 뒤쪽 플랜지 맞물림 홈(89)과 제2 케이스 몸체(12)의 뒤쪽 플랜지 맞물림 홈(89) 쌍방과 맞물리는 자세로 회전축(3)에 장착된다. 바꿔 말하면, 회전축(3)으로부터의 분할 플랜지(103, 104)의 이탈 방향은 제1 케이스 몸체(11)와 제2 케이스 몸체(12)의 분리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케이스 몸체(11)와 제2 케이스 몸체(12)의 분리 방향과 회전축(3)으로부터의 분할 플랜지(103, 104)의 이탈 방향이 대략 직교하도록, 각 방향이 설정되고, 케이스 몸체(70)의 상하 플랜지 맞물림 홈(88) 각각에는 2매의 분할 플랜지(103) 각각의 대략 절반의 영역이 각각 맞물리며, 케이스 몸체(70)의 뒤쪽의 상하 플랜지 맞물림 홈(89) 각각에는 2매의 분할 플랜지(104) 각각의 대략 절반의 영역이 각각 맞물린다.
롤러 케이스(100)에 롤러(1)를 수납하는 경우, 롤러 케이스(100)를 케이스 열림 상태로 하고, 제1 케이스 몸체(11)를 제1 수용공간(26)이 상방으로 개구하는 기준 자세로 두고, 회전축(3)에 전후의 플랜지(71, 72)를 조립한 상태(회전축(3)의 전후에서 2매의 분할 플랜지(103, 104)를 각각 조합한 상태)로, 제1 케이스 몸체(11)의 상방으로부터 롤러(1)를 하강시키고, 제1 케이스 몸체(11)의 전후의 플랜지 맞물림 홈(88, 89)에 전후의 플랜지(71, 72)를 각각 상방으로부터 삽입하여 맞물린다. 이러한 회전축 올려 놓음 상태에서는 롤러 본체(2)의 하부가 제1 수용공간(26)에 들어가고, 롤러 본체(2)의 외주면 및 양 단면의 아래쪽 영역이 제1 커버부(14)에 비접촉 상태로 덮인다. 도 24는 회전축 올려 놓음 상태의 제1 케이스 몸체의 후면도이다. 한편, 이후의 순서는 제5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또한, 롤러 케이스(100)로부터 롤러(1)를 꺼내는 경우, 제5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케이스 열림 상태로 한 후, 회전축(3)의 전후의 축 단부(4)를 양손의 손가락 끝으로 지지하여 롤러(1)를 끌어 올려, 롤러(1)를 제1 케이스 몸체(11)로부터 꺼냄과 함께, 전후의 분할 플랜지(103, 104)를 회전축(3)으로부터 떼낸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전후의 플랜지(71, 72)를 회전축(3)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앞쪽의 분할 플랜지(103) 및 뒤쪽의 분할 플랜지(104)를 축 교차방향으로부터 회전축(3)으로 각각 조립하면 되고, 플랜지(71, 72)를 회전축(3)으로부터 떼내는 경우에는 앞쪽의 분할 플랜지(103) 및 뒤쪽의 분할 플랜지(104)를 회전축(3)으로부터 축 교차방향으로 나누어 각각 이탈시키면 된다. 따라서, 제5 실시형태와 같은 비분할 타입의 플랜지(71, 72)에 비해, 플랜지(71, 72)의 탈착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일례로 설명한 상술한 실시형태, 및 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실시형태 등 이외여도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라면, 설계 등에 따라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축 장착 부재(어댑터(47), 앞쪽 플랜지(71), 뒤쪽 플랜지(72), 플랜지(101))를 회전축(3)에 장착하는 구조는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구조(예를 들면, 축 장착 부재 및 회전축(3) 중 한쪽 및 다른 쪽에 수나사부와 암나사부를 형성하고, 수나사부와 암나사부의 나사 조임에 의해 장착하는 구조 등)이어도 된다.
본 발명은 탄성 다공질재로 이루어지는 롤러 본체가 회전축에 지지된 롤러를 수납하기 위한 롤러 케이스로서 유용하다.
1: 롤러
2: 롤러 본체
3: 회전축
4: 축 단부
5: 단차
6: 축 단면 구멍
10, 60, 100: 롤러 케이스
11: 제1 케이스 몸체(아래 케이스)
12: 제2 케이스 몸체(위 케이스)
13: 제1 베이스면부
14: 제1 커버부
15: 제1 외측 둘레면부
16: 제1 가장자리면부
17: 제1 베이스 장면부
18: 제1 베이스 단면부
19: 제1 커버 장면부
20: 제1 커버 단면부
21: 커버 밑면부
22: 제1 리브
23: 제1 외측 장면부
24: 제1 외측 단면부
25: 제1 축 대향 홈부(제1 지지부)
26: 제1 수용공간
27: 개구 홈부
28: 홈 경계부
29, 94, 96: 맞물림 오목부
30: 제2 베이스면부
31: 제2 커버부
32: 제2 외측 둘레면부
33: 제2 가장자리면부
34: 제2 베이스 장면부
35: 제2 베이스 단면부
36: 제2 커버 장면부
37: 제2 커버 단면부
38: 커버 윗면부
39: 제2 리브
40: 제2 외측 장면부
41: 제2 외측 단면부
42: 제2 축 대향 홈부(제2 지지부)
43: 제2 수용공간
44: 홈 단부
45, 93, 95: 잠금 돌출부
46: 롤러 본체 수용공간
47: 어댑터(축 장착 부재)
48: 어댑터 기부
49: 어댑터 작은 지름부
50: 어댑터 큰 지름부
51: 어댑터 단면 구멍
52: 얕은 홈부
53: 깊은 홈부
54: 플랜지(축 낙하 규제 부재)
55, 73: 축 삽입통과 구멍
56: 제1 플랜지 맞물림 홈(축 낙하 규제 부재 맞물림 홈)
57: 제2 플랜지 맞물림 홈(축 낙하 규제 부재 맞물림 홈)
58: 돌기
59: 힌지부
66: 앞 플랜지 오목부
67: 뒤 플랜지 오목부
68: 이랑 형상 리브
69: 환상 리브
70: 케이스 몸체
71: 앞쪽 플랜지(축 장착 부재)
72: 뒤쪽 플랜지(축 장착 부재)
74: 바닥이 있는 통 형상부
75: 축 삽입부
76: 베이스면부
77: 커버부
78: 수용공간
79: 베이스 장면부
80: 베이스 단면부
81: 중앙 커버부
82: 단 커버부
83: 커버 측면부
84: 커버 연결면부
85: 커버 정상면부
86: 원호면부
87: 커버 단면부
88: 앞쪽 플랜지 맞물림 홈(제1 지지부, 제2 지지부)
89: 뒤쪽 플랜지 맞물림 홈(제1 지지부, 제2 지지부)
90: 축 대향 홈부
91: 단면 돌출부
97: 위치 결정 돌출부
98: 위치 결정 오목부
101: 플랜지(축 장착 부재)
102: 정점 부분
103, 104: 분할 플랜지(분할판)

Claims (9)

  1. 탄성 다공질재로 이루어지는 원통 형상의 롤러 본체의 내주면(內周面)이 회전축의 외주면(外周面)에 지지된 롤러를 수납하기 위한 롤러 케이스로서,
    상기 회전축의 일단(一端) 측 및 타단(他端) 측을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과 교차하는 축 교차방향의 일방(一方) 측으로부터 지지 가능한 일측(一側) 및 타측(他側)의 제1 지지부와, 상기 축 교차방향의 타방(他方) 측이 개방된 제1 수용공간을 상기 일측의 제1 지지부와 상기 타측의 제1 지지부 사이에 형성하는 제1 커버부 및 상기 제1 커버부의 외측을 덮는 제1 외측 둘레면부를 가지는 제1 케이스 몸체와,
    상기 회전축의 상기 일단 측 및 상기 타단 측을 상기 축 교차방향의 상기 타방 측으로부터 지지 가능한 일측 및 타측의 제2 지지부와, 상기 축 교차방향의 상기 일방 측이 개방된 제2 수용공간을 상기 일측의 제2 지지부와 상기 타측의 제2 지지부 사이에 형성하는 제2 커버부 및 상기 제2 커버부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2 외측 둘레면부를 가지며, 상기 제1 수용공간과 상기 제2 수용공간이 롤러 본체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닫힘 상태로 상기 제1 외측 둘레면부가 상기 제2 외측 둘레면부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 맞물려서 상기 케이스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제2 케이스 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롤러가 수납된 롤러 수납 상태에서는 상기 제1 케이스 몸체의 상기 제1 외측 둘레면부가 상기 제2 케이스 몸체의 상기 제2 외측 둘레면부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 맞물림에 의해 상기 케이스 닫힘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롤러 본체가 상기 제1 케이스 몸체의 상기 제1 외측 둘레면부가 상기 제2 케이스 몸체의 상기 제2 외측 둘레면부의 내측으로부터 이간된 상태로 상기 롤러 본체 수용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회전축의 상기 일단 측 및 상기 타단 측이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 사이에서 상기 축 교차방향에서 클램핑되어 유지되고, 상기 제1 케이스 몸체 및 상기 제2 케이스 몸체에 의해 상기 롤러 전체가 덮이며,
    상기 회전축의 적어도 상기 일단 측에서는 상기 롤러 본체의 단면(端面)으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회전축의 축 단부(端部)가 상기 일측의 제1 지지부와 상기 일측의 제2 지지부 사이에 클램핑되어 유지되고,
    상기 일단 측의 상기 축 단부에는 판 형상의 축 낙하 규제 부재가 탈착이 자유롭게 장착되며,
    상기 축 낙하 규제 부재는 상기 롤러 수납 상태에서, 상기 롤러 본체와 상기 일측의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 사이에서 상기 롤러 본체의 상기 단면으로부터 이간되고,
    상기 축 단부에 장착된 상기 축 낙하 규제 부재의 바깥둘레 가장자리부의 전역은 상기 롤러 본체의 외주면보다도 상기 롤러 본체의 지름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1 케이스 몸체 및 상기 제2 케이스 몸체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축 낙하 규제 부재의 상기 바깥둘레 가장자리부와 맞물려서 상기 축 낙하 규제 부재의 상기 축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축 낙하 규제 부재 맞물림 홈을 가지며,
    상기 축 낙하 규제 부재는 상기 롤러 수납 상태에서 상기 일측의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에 의한 상기 축 단부의 유지가 해제된 경우에 상기 제1 케이스 몸체 및 상기 제2 케이스 몸체 중 적어도 한쪽에 지지되어서 상기 축 단부의 하강을 저지하며,
    상기 제2 외측 둘레면부의 양측면 각각에는 적어도 하나의 잠금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외측 둘레면부의 양측면 각각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잠금 돌출부가 맞물림 및 맞물림 해제되는 적어도 하나의 맞물림 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일측의 제1 지지부는 상기 축 단부의 외주면을 올려 놓을 수 있는 홈 형상이며,
    상기 제1 케이스 몸체는 상기 일측의 제1 지지부에 대하여 상기 제1 수용공간의 반대 측에 배치되어 상기 일측의 제1 지지부와 인접하는 개구 홈부를 가지며,
    상기 개구 홈부의 안지름은 상기 제1 지지부의 안지름보다도 작게 형성되되, 작업자의 손가락 끝이 삽입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개구 홈부 사이에는 단차 형상의 홈 경계부가 형성되는 상기 개구 홈부는 상기 일측의 제1 지지부에 올려 놓여진 상기 축 단부가 삽입통과할 수 없으면서 상기 일측의 제1 지지부에 올려 놓여진 상기 축 단부의 단면을 외부로 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케이스.
  2. 탄성 다공질재로 이루어지는 원통 형상의 롤러 본체의 내주면이 회전축의 외주면에 지지되고, 상기 회전축의 양단의 축 단부가 상기 롤러 본체의 양측의 단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롤러를 수납하기 위한 롤러 케이스로서,
    상기 회전축의 일단 측 및 타단 측의 상기 축 단부를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과 교차하는 축 교차 방향의 일방 측으로부터 지지 가능한 일측 및 타측의 제1 지지부와, 상기 축 교차방향의 타방 측이 개방된 제1 수용공간을 상기 일측의 제1 지지부와 상기 타측의 제1 지지부 사이에 형성하는 제1 커버부를 가지는 제1 케이스 몸체와,
    상기 회전축의 상기 일단 측 및 상기 타단 측의 상기 축 단부를 상기 축 교차방향의 상기 타방 측으로부터 지지 가능한 일측 및 타측의 제2 지지부와, 상기 축 교차방향의 상기 일방 측이 개방된 제2 수용공간을 상기 일측의 제2 지지부와 상기 타측의 제2 지지부 사이에 형성하는 제2 커버부를 가지며, 상기 제1 수용공간과 상기 제2 수용공간이 롤러 본체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닫힘 상태로 상기 제1 케이스 몸체에 맞물려서 상기 케이스 닫힘 상태를 유지 가능한 제2 케이스 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축 단부에는 판 형상의 축 장착 부재가 탈착이 자유롭게 장착되며,
    상기 축 단부에 장착된 상기 축 장착 부재의 바깥둘레 가장자리부의 전역 또는 복수개의 영역은 상기 롤러 본체의 외주면보다도 상기 롤러 본체의 지름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롤러가 수납된 롤러 수납 상태에서는 상기 제1 케이스 몸체와 상기 제2 케이스 몸체의 맞물림에 의해 상기 케이스 닫힘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롤러 본체가 상기 제1 케이스 몸체 및 상기 제2 케이스 몸체로부터 이간된 상태로 상기 롤러 본체 수용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회전축의 상기 일단 측 및 상기 타단 측의 상기 축 단부에 장착된 상기 축 장착 부재가 상기 바깥둘레 가장자리부에서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 사이에 상기 축 교차방향에서 클램핑되어 유지되며, 상기 제1 케이스 몸체 및 상기 제2 케이스 몸체에 의해 상기 롤러 전체가 덮이고,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축 장착 부재의 상기 바깥둘레 가장자리부와 맞물려서 상기 축 장착 부재의 상기 축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플랜지 맞물림 홈을 가지며,
    상기 축 장착 부재는 상기 롤러 수납 상태에서 상기 롤러 본체의 상기 단면으로부터 이간되며,
    상기 제1 케이스 몸체 및 상기 제2 케이스 몸체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플랜지 맞물림 홈에 맞물린 상기 축 장착 부재에 상기 축방향으로부터 대향하는 단면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축 장착 부재는 상기 플랜지 맞물림 홈에 맞물린 상태로 상기 단면 돌출부와 맞물림 가능한 플랜지 오목부를 가지며,
    상기 플랜지 오목부와 상기 단면 돌출부가 맞물림으로써, 상기 플랜지 맞물림 홈에 대한 상기 축 장착 부재의 이동이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케이스.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 단부의 외주면은 요철 형상을 가지며,
    상기 일측의 제1 지지부 및 상기 일측의 제2 지지부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축 단부의 요철 형상과 맞물려서 상기 축 단부의 이동을 규제하는 요철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케이스.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축 장착 부재는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축 교차방향으로 나뉘어 이탈 가능한 복수개의 분할판을 조합함으로써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케이스.
KR1020197029186A 2017-04-06 2018-04-05 롤러 케이스 KR1026432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76218 2017-04-06
JPJP-P-2017-076218 2017-04-06
PCT/JP2018/014537 WO2018186464A1 (ja) 2017-04-06 2018-04-05 ローラケー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5487A KR20190135487A (ko) 2019-12-06
KR102643251B1 true KR102643251B1 (ko) 2024-03-05

Family

ID=63712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9186A KR102643251B1 (ko) 2017-04-06 2018-04-05 롤러 케이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148873B2 (ko)
JP (1) JP7053584B2 (ko)
KR (1) KR102643251B1 (ko)
CN (1) CN110506012B (ko)
TW (1) TWI770156B (ko)
WO (1) WO20181864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7172Y1 (ko) * 2019-11-13 2023-08-18 에스케이넥실리스 주식회사 동박용 수납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9639A (ja) * 2000-01-17 2001-07-24 Gold Kogyo Kk シートドラム用プロテクタ
JP2004325690A (ja) * 2003-04-23 2004-11-18 Inoac Corp トナー供給ローラとその製造方法
JP2013100133A (ja) * 2012-03-16 2013-05-23 Asahi Kasei E-Materials Corp 巻回体支持構造体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27660Y2 (ko) * 1975-04-16 1980-07-02
JPS51132376A (en) * 1975-05-14 1976-11-17 Tokico Ltd Liquid pressure control valve for anti skid
US4079835A (en) * 1976-12-30 1978-03-21 Ici Americas Inc. Enclosed shipping container for rolls
JPS60112485U (ja) * 1983-12-29 1985-07-30 千代田梱包工業株式会社 ロ−ル類の収納容器
JPH0511169Y2 (ko) * 1989-01-23 1993-03-18
DE19537547A1 (de) * 1994-12-15 1996-06-20 Hoechst Ag Verpackungssystem zur Aufnahme einer auf eine Wickelhülse in Rollenform aufgewickelten Folienbahn
JP2004026258A (ja) * 2002-06-27 2004-01-29 Asahi Kasei Electronics Co Ltd ロール梱包用軸受台及び梱包体
CN1201922C (zh) * 2003-01-30 2005-05-18 江苏中达新材料集团股份有限公司 共挤热封双向拉伸聚丙烯无纸盒条包烟用薄膜的制法
US7168654B2 (en) * 2004-01-21 2007-01-30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Media cartridge for wallpaper printer
JP5403462B2 (ja) * 2009-03-27 2014-01-29 穂高工業株式会社 クリーニングローラ及びクリーニングローラの製造方法
JP5174122B2 (ja) * 2010-10-28 2013-04-03 村角株式会社 ロール状製品用プロテクター
JP6199567B2 (ja) * 2012-01-26 2017-09-20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Oaローラ用梱包容器
EP2900571B1 (en) 2012-09-28 2017-08-30 Entegris, Inc. Cmp brush packaging
JP6501289B2 (ja) * 2014-09-10 2019-04-17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ローラ用梱包容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9639A (ja) * 2000-01-17 2001-07-24 Gold Kogyo Kk シートドラム用プロテクタ
JP2004325690A (ja) * 2003-04-23 2004-11-18 Inoac Corp トナー供給ローラとその製造方法
JP2013100133A (ja) * 2012-03-16 2013-05-23 Asahi Kasei E-Materials Corp 巻回体支持構造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86464A1 (ja) 2018-10-11
JPWO2018186464A1 (ja) 2020-02-20
KR20190135487A (ko) 2019-12-06
TW201841806A (zh) 2018-12-01
US20200071063A1 (en) 2020-03-05
TWI770156B (zh) 2022-07-11
US11148873B2 (en) 2021-10-19
CN110506012A (zh) 2019-11-26
CN110506012B (zh) 2021-07-27
JP7053584B2 (ja) 2022-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07370B2 (en) Preservation container
US20070187406A1 (en) Lid assembly
US10538367B2 (en) Container with sealable lid
US10021468B2 (en) Audio speaker protection systems
KR102643251B1 (ko) 롤러 케이스
JP6041699B2 (ja) 基板収納容器
JP5590916B2 (ja)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JP5100237B2 (ja) レンズ収納容器
JP4841176B2 (ja) 容器
BR112020026630B1 (pt) Receptáculo de medicamento compreendendo um corpo de receptáculo e uma base de recipiente
JP2019156417A (ja) ローラケース
JP6803208B2 (ja) ウェットティッシュ収納容器
JP5946239B2 (ja) 蓋付き容器
CN117729951A (zh) 安全针组件
JP2003335353A (ja) 気密容器
JP3159589U (ja) レンズホルダー付きキャップ
JP5236891B2 (ja) 鏡餅容器
JP6960021B2 (ja) ウェットティッシュ収納容器
KR200398353Y1 (ko) 보관함
WO2009037702A2 (en) Device, system, and method of packaging
JP2007269276A (ja) 車両荷室内収納構造
KR20180004415A (ko) 저장용기
JP2013245019A (ja) シート体収納容器
KR20160004455U (ko) 수납함
KR200486245Y1 (ko) 반지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