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0731B1 - 알코올계 겔 형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법 - Google Patents

알코올계 겔 형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0731B1
KR102630731B1 KR1020187014608A KR20187014608A KR102630731B1 KR 102630731 B1 KR102630731 B1 KR 102630731B1 KR 1020187014608 A KR1020187014608 A KR 1020187014608A KR 20187014608 A KR20187014608 A KR 20187014608A KR 102630731 B1 KR102630731 B1 KR 1026307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cohol
gel composition
gel
based gel
m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4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9361A (ko
Inventor
요시미 타이지
Original Assignee
에스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스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79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9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0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07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02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 C08J3/03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in aqueous media
    • C08J3/075Macromolecular g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01N25/04Dispersions, emulsions, suspoemulsions, suspension concentrates or g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38Solanaceae [Potato family], e.g. nightshade, tomato, tobacco or chilli pepp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2Deodorant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being in a special form, e.g. gels, emuls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5Alcohols; Metal alcoh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0Compositions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L1/08Cellulose deriva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Essential oils; Perfum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 Colloid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겔화되는 용매로서 알코올을 이용하면서도, 가열 등의 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고, 실용성이 높은 겔 형태 조성물을 얻기 위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해당 과제를 해결한 겔 형태 조성물은, 하이드록시알킬셀룰로스, 하이드록시알킬알킬셀룰로스, 알코올 및 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알코올계 겔 형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법
본 발명은, 알코올계 겔 형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요한 용매로서 알코올을 이용하고, 그리고 가열하는 일 없이 제조가 가능한 알코올계 겔 형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각종 분야에 있어서, 용매로서 물이나 알코올을 사용하고, 겔화제를 이용해서 겔화한 겔 형태 조성물이 널리 사용되어 있다. 알코올을 주된 용매로 하는 겔에 대해서는, 물을 주된 용매로 한 겔과 비교해서 응고점이 낮고, 저온환경 하에서의 부동효과가 얻어지므로, 냉동고나 한랭지 등에 있어서도 이용 가능한 겔 형태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또, 알코올 자체를 유효 성분으로서 이용하거나, 물을 기피하는 환경에 이용할 경우에도 유용하다. 그렇지만, 물과 비교해서 알코올을 겔화시키기 위한 실용적인 기술의 보고는 적다.
예를 들면, 물과 에탄올 등의 저급 알코올을, 겔화제로서 다이벤질리덴-D-솔비톨에 의해 겔화한 겔 형태 방향제가 보고되어 있다(특허문헌 1). 그러나, 이 다이벤질리덴-D-솔비톨은 상온에서의 에탄올에 대한 용해도가 낮고, 겔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에탄올을 그 비점인 80℃ 부근까지 가열하고, 다이벤질리덴-D-솔비톨을 용해시킬 필요가 있으므로, 그 결과, 대량의 에탄올이 휘발되어, 공장에서의 제조에는 인화, 폭발 등의 위험이 따르고 있었다. 또한, 향료 등의 휘산성 물질은, 겔의 조제 과정에 있어서, 가열에 의해 변성이나 휘산되어 버릴 우려가 있으므로, 겔 조성물 중에 휘산성 물질의 배합량을 유지해두는 것이 곤란하거나, 향기의 향조(香調)가 변화되어 버릴 우려가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없애면서 저급 알코올계 겔을 얻는 방법으로서, 다당류인 구아검을 화학적으로 변성시킨 변성 구아검에 산을 첨가함으로써, 특히 가열하는 일도 없이 실온에서도 용이하게 탄력성이 있는 겔을 얻는 기술이 보고되어 있다(특허문헌 2). 그러나, 변성 구아검이 천연물에 유래하고 있으므로, 치환기의 변성도를 일정하게 유지한 변성 구아검을 얻는 것은 어렵고, 이것을 이용해서 알코올의 농도나 증점 후의 겔 형태 조성물의 물성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또한, 천연물에 유래하는 구아검의 입수가 불안정해지기 쉬우므로, 변성 구아검 그 자체의 입수가 불안정해지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JPS60-41967 A JP 2002-212298 A
본 발명은 상기 실상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겔화되는 용매로서 알코올을 이용하면서도, 가열 등의 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고, 실용성이 높은 겔 형태 조성물을 얻기 위한 기술의 제공을 그 과제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알코올을 겔화시키기 위한 기술에 대해서 연구를 거듭하여 행하고 있었던 바, 겔화제로서 수용성 고분자인 하이드록시알킬셀룰로스와 하이드록시알킬알킬셀룰로스의 조합을 이용하고, 또한 적량의 물을 가함으로써, 가열 등의 공정을 행하지 않고, 실온에 있어서 알코올계 겔 형태 조성물이 얻어지는 것을 찾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하이드록시알킬셀룰로스, 하이드록시알킬알킬셀룰로스, 알코올 및 물을 함유하는 알코올계 겔 형태 조성물이다.
또 본 발명은, 하이드록시알킬셀룰로스, 하이드록시알킬알킬셀룰로스 및 알코올의 혼합물 중에, 1℃ 내지 30℃의 물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코올계 겔 형태 조성물의 제조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온 하에서도 안정적으로, 실용성이 있는 알코올계 겔 형태 조성물이 얻어진다. 그리고 이 겔 형태 조성물은, 알코올이나 수분, 휘산성 성분의 휘산에 의해 조성물이 수축되고, 그 종점이 명확하기 때문에, 성분을 휘산 시키는 유형의 조성물로서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a는 작성된 겔의 상단의 위치, b는 겔을 비이커마다 옆으로 쓰러뜨려서 5분 경과한 후의 겔 표면 선단의 위치이다.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 알코올계 겔 형태 조성물(이하, 「겔 형태 조성물」이라 칭함)이란, 알코올을 함유하는 용매를 이용한, 겔 형태의 외관을 지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겔 형태」란, 높은 점성을 가져서 유동성을 잃어버리고, 그 외관이 일반적으로 겔이라고 일컬어지는 상태를 의미하고, 예를 들면, 100㎖ 비이커에 총량 50g의 겔을 작성하고, 비이커에 있어서의 작성 후의 겔 상단의 위치부터, 그 겔을 비이커마다 옆으로 쓰러뜨려서 5분 경과한 후의 겔 표면 선단의 위치와의 거리가, 0㎜ 내지 45㎜인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겔 형태 조성물은, 겔화제로서 하이드록시알킬셀룰로스 및 하이드록시알킬알킬셀룰로스를 함유하고, 용매로서 알코올 및 물을 함유하는 것이며, 필요에 따라서, 방향 성분, 소취 성분, 살충·살균 성분 등의 유효성분을 함유해도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용되는 하이드록시알킬셀룰로스(이하, 「HAC」라 약칭함)는, 셀룰로스를 가성 소다로 처리 후, 알킬렌 옥사이드와 반응시켜서 얻어지는 비이온성의 수용성 셀룰로스 에터이며, 셀룰로스의 수산기의 수소원자의 일부를 하이드록시알킬기로 치환함으로써, 수소결합을 소실시켜, 수용성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한 HAC의 치환도, 즉, 셀룰로스의 글루코스 고리 단위당에 존재하는 하이드록시알킬기로 치환된 수산기의 평균 개수는,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0, 더욱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1.5의 범위이다. 또 치환 몰수, 즉 셀룰로스의 글루코스 고리 단위당에 부가한 하이드록시알킬기의 평균 몰수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8의 범위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HAC를 물에 용해시켰을 때의 바람직한 수용액의 점도는, 2% 수용액으로서 20 내지 100000 mPa·s가 바람직하고, 80 내지 100000 mPa·s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 점도는, 25℃에서, B형 점도계를 이용해서 측정한 값이다.
또한, HAC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전 조성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질량%(이하, 단지 %라 칭함),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이다.
상기 HAC로서는, 예를 들면,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등의 하이드록시C2 - 4알킬 셀룰로스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이하, 「HEC」라 약칭함)가 바람직하고, HEC는, 예를 들면, 「HEC 다이셀」 (다이셀파인켐(주) 제품) 등으로서 시판되고 있으므로, 이것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이용되는 하이드록시알킬알킬셀룰로스(이하, 「HAAC」라 약칭함)는, 셀룰로스를 가성 소다로 처리 후, 염화알킬, 산화알킬렌 등의 에터화제와 반응시켜서 얻어지는 비이온성의 수용성 셀룰로스 에터이며, 셀룰로스의 수산기의 수소원자의 일부를 알킬기나 하이드록시알킬기로 치환함으로써, 수소결합을 소실시켜, 수용성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한 HAAC의 치환도, 즉, 셀룰로스의 글루코스 고리단위당에 존재하는 알콕실기로 치환된 수산기의 평균 개수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의 범위이다. 또 치환 몰수, 즉, 셀룰로스의 글루코스 고리단위당에 부가한 하이드록시알콕시기의 평균 몰수는,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40, 더욱 바람직하게는 0.10 내지 0.30의 범위이다.
또,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HAAC를 물에 용해시켰을 때의 바람직한 수용액의 점도는, 2% 수용액으로서 300 내지 100000 mPa·s가 바람직하고, 3000 내지 40000 mPa·s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점도는, 20℃에서, B형 점도계를 이용해서 측정한 값이다.
또한 HAAC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전체 조성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이다.
상기 HAAC로서는, 예를 들면, 하이드록시에틸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에틸에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등의 하이드록시C2 - 4알킬C1 - 4알킬 셀룰로스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이하, 「HPMC」라 약칭함)가 바람직하고, HPMC는, 예를 들면, 「메톨로즈(Metholose)」(신에츠카가쿠코교)(주) 제품) 등으로서 시판되고 있으므로, 이것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증점되는 알코올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탄소수가 5 이하인 저급 알코올, 또는 하기 식 (1)로 제시되는 방향족 알코올이 바람직하다:
식 중, n은 1 내지 3의 자연수를 나타낸다.
구체적인 알코올의 예로서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아이소프로판올, n-부탄올, 아이소부탄올, sec-부탄올, tert-부탄올, 2-메틸-1-프로판올, 2-메틸-2-프로판올, 펜탄올, 페녹시에탄올 등의 모노알코올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겔 형태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알코올의 양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50% 이상이며, 60 내지 85%가 보다 바람직하고, 60 내지 80%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겔 형태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물의 양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이며, 10 내지 25%가 보다 바람직하고, 10 내지 20%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용매성분 중에, 알칼리제를 첨가해서 겔화시킴으로써, 보다 유동성이 낮은 겔 형태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알칼리제로서는, 예를 들면, 중조, 세스퀴탄산나트륨, 탄산나트륨 등의 탄산염,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칼슘 등의 무기수산화물, 알칸올아민, 메틸아민, 에틸아민 등의 유기 알칼리, 아세트산 나트륨, 구연산나트륨 등의 유기산의 알칼리 금속염을 들 수 있고, 이 중에서도, 세스퀴탄산나트륨, 수산화칼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용매성분 중에, 방향성분, 소취 성분, 살충·방충성분, 살균 성분 등의 유효성분을 첨가해도 된다.
상기 유효성분으로서는, 특별히 제약은 없지만, 예를 들면, 향료, 정유(精油) 등의 방향성분, 황산알루미늄, 염화암모니아, 명반, 황산구리, 황화아연, 스테아르산아연, 스테아르산 알루미늄, 산화티타늄 산화아연, 플라보노이드 화합물, 카테킨, 폴리페놀, 사이클로덱스트린, 제올라이트, 층상 알루미노규산아연, 활성탄, 비장탄 등의 소취 성분, 엔펜트린, 트랜스플루트린, 아레스린, 페노트린, 메토플루트린, 프로플루트린, 파라다이클로로벤젠, 나프탈렌, 장뇌, 2-페녹시에탄올, 고추분말, 우엉 분말, 커민 알데하이드, 염화벤잘코늄, 염화알킬트라이메틸암모늄 등의 살충·방충·살균 성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계면활성제 등의 유화·분산 성분, 산·알칼리 등의 pH 조정 성분, 합성 색소, 천연색소 등의 색소 성분 등을 첨가할 수도 있다.
또, HAC와 HAAC는, 비이온성의 화합물이므로, 첨가하는 계면활성제나 휘발성 유효성분 등에 대하여 선택성이 높다. 또한, HAC와 HAAC는 기재 냄새가 대단히 낮으므로, 향료 등을 이용한 경우에도 영향을 주기 어려워, 폭넓은 휘발성 유효성분에 대하여 이용 가능한 겔 형태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HAAC가 지니는 계면활성작용에 의해, 계면활성제의 첨가량을 억제하면서도 고농도의 향료를 비롯하여 휘발성 유효성분을 함유한 겔 형태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또, 향료의 함유량은,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일반적으로는, 전체 조성에 대하여, 0.1 내지 30%가 바람직하고, 1 내지 20%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겔 형태 조성물의 제조는, 알코올 중에 HAC 및 HAAC를 첨가해서 분산시킨 후, 특별히 가열 등을 하는 일 없이 상온(25℃ 정도)에서, 1℃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의 물을 가하여 교반해서 균일화시킴으로써 행해진다. 이 방법에 있어서는, 알코올 중에 HAC와 HAAC를 첨가한 단계에서는, 유동성이 높은 분산액이지만, 물을 가함으로써 HAC와 HAAC는 물에 용해되어, 조성물 전체가 겔화된다.
이와 같이 해서 얻어지는 본 발명의 겔 형태 조성물은, 비가열로 고농도의 알코올을 취급이 용이한 HAC 및 HAAC를 이용함으로써 겔화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겔 형태 조성물의 조제 과정에 있어서, 알코올을 과열하는 것에 의한 폭발·화재 등의 위험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 알코올을 50% 이상의 고농도로 배합하는 것에 의해, 방충효과 및 저온환경 하에서의 부동효과를 갖게 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게다가, 조제 시에는 물의 첨가에 의해 조성물의 겔화가 일어나므로, 안전하면서도 용이하게 겔 형태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성질로부터, 본 발명의 겔 형태 조성물은, 휘산성의 방향제, 소취제, 살충·방충제, 살균제 등으로서 유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 실시예 ]
다음에 실시예를 제시하고,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하등 제약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겔 형태 조성물의 조제 및 물성 평가(1):
표 1에 나타낸 조성에 따라서, 실온 하에서 하기의 방법에 의해 겔 형태 조성물을 조제했다. 얻어진 겔 형태 조성물에 대해서, 하기 평가 기준에 의해 그 물성을 평가했다. 결과를 아울러서 표 1에 나타낸다.
[제법]
실온 하, 플라스틱제의 100㎖용 비이커 중에 95% 에탄올을 취하고, 이것에 수용성 고분자(HEC 및 HPMC 또는 CMC)를 첨가하여, 현탁액을 얻었다. 이 현탁액을 교반기에서 교반하면서, 20℃의 이온 교환수를 가하여 겔화시켜, 겔 형태 조성물을 얻었다.
겔 형태 조성물의 물성 평가:
상기 겔 형태 조성물에 대해서, 하기 평가 기준에 의해 그 물성을 평가했다.
[물성 평가]
(1) 교반성
겔 형태 조성물 제조 시의 교반 상태를, 하기 기준으로 평가했다.
◎: 교반기 정지까지의 시간이 5초 이상
○: 교반기 정지까지의 시간이 3 내지 4초
△: 교반기 정지까지의 시간이 2초 이내
(2) 겔 형성성
증점을 위한 교반을 정지 후, 비이커에 넣은 조성물을 실온에서 밤새 정치시킨 후의 상태를 하기 기준으로 평가했다.
◎: 균일하게 겔화되어 있어, 이수(離水)도 보이지 않았다
○: 균일하게 겔화되어 있지만, 소량의 이수가 확인되었다
×: 겔화되지 않았다
(3) 휘산에 의한 수축성
용매 휘산의 잔사의 성상에 대해서, 하기 기준으로 평가했다
◎: 겔이 상사형으로 수축되어, 균일한 잔사가 남는다
○: 겔은 수축되지만 형상이 부정(벽면에 잔사의 일부가 남음)
×: 체적수축률이 작아 수축을 알기 어렵다
-: 조성물이 겔화되어 있지 않으므로, 평가를 실시하지 않았다
실시예 2
겔 형태 조성물의 조제 및 물성 평가(2):
표 2에 나타낸 조성에 따라서, 이용하는 물의 비율을 변화시켜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겔 형태 조성물을 조제했다. 얻어진 겔 형태 조성물에 대해서, 상기와 마찬가지로 그 물성을 평가했다. 결과를 아울러서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3
겔 형태 조성물의 조제 및 물성 평가(3):
표 3에 나타낸 조성에 따라서, 현탁액을 얻을 때에 휘산성 물질(향료)을 배합한 후에, 실시예 1과 마찬가지 방법에 의해, 겔 형태 조성물을 조제했다. 얻어진 겔 형태 조성물을 상기와 마찬가지로 그 물성을 평가했다. 결과를 아울러서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4
겔 형태 조성물의 조제 및 물성 평가(4):
표 4에 나타낸 조성에 따라서, 각종 알코올을 이용해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 방법에 의해 겔 형태 조성물을 조제하고, 상기와 마찬가지로 그 물성을 평가했다. 결과를 아울러서 표 4에 나타낸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4의 결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에탄올 및 물을 용매로 하고, HEC 및 HPMC를 이용함으로써, 교반성, 겔 형성성, 휘산 후의 수축성이 우수한 겔 형태 조성물을 형성할 수 있었다.
실시예 5
겔 형태 조성물의 조제 및 물성 평가(5):
표 5에 나타낸 조성에 따라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 방법에 의해 겔 형태 조성물을 얻었다. 겔 형성을 위한 교반을 정지 후, 실온에서 20분 정치한 100㎖ 비이커를 옆으로 쓰러뜨리고, 도 1과 같이 해서 겔의 이동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겔 형태 조성물의 유동성에 대해서 평가했다. 즉, 작성된 겔의 상단의 위치(도면 중, a)로부터, 그 겔을 비이커마다 옆으로 쓰러뜨려서 5분 경과한 후의 겔 표면 선단의 위치(도면 중, b)와의 거리(이동 거리)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아울러서 표 5에 나타낸다.
이 결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겔 형태 조성물에 세스퀴탄산나트륨을 첨가하면, 보다 유동성이 낮은, 우수한 겔 형태 조성물을 형성할 수 있었다.
실시예 6
겔 형태 조성물의 조제 및 물성 평가(6):
표 6에 나타낸 조성에 따라서, 분자량이 다르기 때문에 수용액의 점도가 다른 HEC 및 HPMC를 이용해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 방법에 의해 겔 형태 조성물을 조제하고, 교반성 및 겔 형성성을 상기와 마찬가지로 평가했다. 결과를 아울러서 표 6에 나타낸다. 또, 표 6에 기재한 수용액의 점도는, HEC는 25℃, HPMC는 20℃에 있어서의 측정값이다.
실시예 7
제제 예:
표 7의 조성에 의해, 결 형태 방충제 및 겔 형태 탈취제를 조제했다. 모두 균일한 교반이 가능하여, 양호한 겔 형성성을 나타내는 동시에, 겔로부터의 이수도 적고 용매의 휘산에 따른 겔이 상사형으로 수축하는, 이용 가치가 높은 제제를 얻을 수 있었다.
본 발명의 겔 형태 조성물은, 비가열로 다량의 알코올을 취급이 용이한 HAC 및 HAAC를 이용함으로써 겔화된 것이다. 이 겔 형태 조성물은, 알코올이나 수분, 휘산성 성분의 휘산에 의해 조성물이 수축되어, 그 종점이 명확하기 때문에, 성분을 휘산시키는 유형의 소취제, 살충·방충제, 살균제, 방향제 등에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1)

  1. 하이드록시알킬셀룰로스 0.5 내지 5질량%, 하이드록시알킬알킬셀룰로스 0.5 내지 5질량%, 알코올 28 내지 84질량% 및 물 10 내지 66질량%를 함유하는 알코올계 겔 형태 조성물이고,
    상기 알코올이 탄소수 5 이하의 저급 알코올, 또는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방향족 알코올인, 알코올계 겔 형태 조성물:

    식 중, n은 1 내지 3의 자연수를 나타낸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하이드록시알킬셀룰로스가 하이드록시C2-4알킬 셀룰로스이고, 하이드록시알킬알킬셀룰로스가 하이드록시C2-4알킬C1-4알킬 셀룰로스인, 알코올계 겔 형태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하이드록시C2-4알킬 셀룰로스가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이고, 하이드록시C2-4알킬C1-4알킬 셀룰로스가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인, 알코올계 겔 형태 조성물.
  5. 삭제
  6. 제1항, 제3항,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물의 함유량이 10 내지 30질량%인, 알코올계 겔 형태 조성물.
  7. 제1항, 제3항,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알칼리제를 더 함유하는, 알코올계 겔 형태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알칼리제가 세스퀴탄산나트륨 또는 수산화칼륨인, 알코올계 겔 형태 조성물.
  9. 제1항, 제3항,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향료를 더 함유하는, 알코올계 겔 형태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향료의 함유량이 0.1 내지 30질량%인, 알코올계 겔 형태 조성물.
  11. 하이드록시알킬셀룰로스 0.5 내지 5질량%, 하이드록시알킬알킬셀룰로스 0.5 내지 5질량% 및 알코올 28 내지 84질량%의 혼합물 중에, 1℃ 내지 30℃의 물 10 내지 66질량%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코올계 겔 형태 조성물의 제조법이고,
    상기 알코올이 탄소수 5 이하의 저급 알코올, 또는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방향족 알코올인, 알코올계 겔 형태 조성물의 제조법:

    식 중, n은 1 내지 3의 자연수를 나타낸다.
KR1020187014608A 2015-11-05 2016-10-20 알코올계 겔 형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법 KR1026307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217721A JP6676343B2 (ja) 2015-11-05 2015-11-05 アルコール系ゲル状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法
JPJP-P-2015-217721 2015-11-05
PCT/JP2016/081155 WO2017077872A1 (ja) 2015-11-05 2016-10-20 アルコール系ゲル状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9361A KR20180079361A (ko) 2018-07-10
KR102630731B1 true KR102630731B1 (ko) 2024-01-29

Family

ID=58661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4608A KR102630731B1 (ko) 2015-11-05 2016-10-20 알코올계 겔 형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676343B2 (ko)
KR (1) KR102630731B1 (ko)
CN (1) CN108350224B (ko)
PH (1) PH12018500976A1 (ko)
WO (1) WO20170778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61004B2 (ja) 2020-09-08 2023-10-13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アルコール組成物の製造方法
CN112438945A (zh) * 2020-11-30 2021-03-05 北方天普纤维素有限公司 免洗消毒凝胶及其制备方法
WO2024004982A1 (ja) * 2022-06-28 2024-01-04 住友精化株式会社 アルコール含有粘性組成物
CN115381769A (zh) * 2022-07-20 2022-11-25 季华实验室 一种醇溶性凝胶及其制备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3565A (ja) 1998-08-20 2000-02-29 Shin Etsu Chem Co Ltd 粒状水溶性セルロースエーテ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096238A (ja) 2001-07-18 2003-04-03 Shin Etsu Chem Co Ltd 新規なゲル、これを用いたゲル状保冷剤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239773A (ja) * 2007-03-27 2008-10-09 Daicel Chem Ind Ltd 水性ゲル組成物及び保冷剤
JP2008260888A (ja) 2007-04-13 2008-10-30 Kao Corp ゲル化剤
JP2016183313A (ja) 2015-03-27 2016-10-20 エステー株式会社 アルコール系ゲル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1967A (ja) 1983-08-17 1985-03-05 株式会社共立樹脂 芳香剤
JP3617034B2 (ja) 2001-01-12 2005-02-02 ローディア日華株式会社 低級アルコールの増粘方法
JP2004155805A (ja) * 2002-11-01 2004-06-03 Shin Etsu Chem Co Ltd 改質セルロースエーテルフィルム
EP1844091B2 (en) * 2005-01-22 2015-10-07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Water-soluble film with resistance to solubility prior to being immersed in water
CN100500747C (zh) * 2005-06-29 2009-06-17 上海医药工业研究院 成膜凝胶组合物及其用途
KR100789586B1 (ko) * 2006-02-16 2007-12-28 고재훈 알코올 함유 고점성 겔 조성물의 제조방법
US20080262216A1 (en) * 2007-04-20 2008-10-23 Shin-Etsu Chemical Co., Ltd. Hydroxyalkyl methylcellulose having solubility and thermoreversible gelation properties improved
JP5576165B2 (ja) * 2010-03-31 2014-08-20 株式会社ノエビア ゲル組成物
KR20140073291A (ko) * 2012-12-06 2014-06-16 삼성정밀화학 주식회사 셀룰로오스 에테르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한 시멘트계 압출성형용 모르타르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3565A (ja) 1998-08-20 2000-02-29 Shin Etsu Chem Co Ltd 粒状水溶性セルロースエーテ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096238A (ja) 2001-07-18 2003-04-03 Shin Etsu Chem Co Ltd 新規なゲル、これを用いたゲル状保冷剤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239773A (ja) * 2007-03-27 2008-10-09 Daicel Chem Ind Ltd 水性ゲル組成物及び保冷剤
JP2008260888A (ja) 2007-04-13 2008-10-30 Kao Corp ゲル化剤
JP2016183313A (ja) 2015-03-27 2016-10-20 エステー株式会社 アルコール系ゲル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676343B2 (ja) 2020-04-08
JP2017088679A (ja) 2017-05-25
KR20180079361A (ko) 2018-07-10
WO2017077872A1 (ja) 2017-05-11
CN108350224B (zh) 2020-08-18
PH12018500976A1 (en) 2019-01-28
CN108350224A (zh) 2018-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0731B1 (ko) 알코올계 겔 형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법
US10507257B2 (en) Inorganic gel for controlled releasing of fragrance and disinfectant
JP2010506007A (ja) 高アルコール量泡剤
JP6585360B2 (ja) アルコール系ゲル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法
JP2009001501A (ja) 人体用害虫忌避剤
JP2006008920A5 (ko)
JP6745463B2 (ja) 外用ジェル剤
EP1482992A1 (en) Perfume gel composition
JP3699038B2 (ja) 水性ゲル組成物
KR102372160B1 (ko) 겔 형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법 그리고 겔 형태 조성물의 수축 개선제 및 수축 개선 방법
JP2017025183A (ja) ゲル状組成物
JP2024006666A (ja) アルコール系ゲル状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683526B2 (ja) ゲル状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791143B2 (ja) 透明ゲル化剤組成物、透明ゲルおよび透明ゲルの製造方法
JP2006169505A (ja) 水性ゲル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231043A (ja) 容器入り水系組成物
JP6918640B2 (ja) 害虫忌避剤
JP7204660B2 (ja) 水系ゲル状組成物
JP2003171204A (ja) ゲル状昆虫忌避製剤
JP7239964B2 (ja) 耐水性忌避剤
JP2003171205A (ja) ゲル状昆虫忌避製剤
JP2005287570A (ja) 水性蛍光芳香消臭剤組成物
KR20170004459A (ko) 하부 휘발겔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01091487B (zh) 藻酸盐印模用消毒喷雾剂及其制备方法
CN110292052A (zh) 一种液体蚊香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