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9481B1 - 염모제 조성물 및 염모제 조성물의 색조 안정화 방법 - Google Patents

염모제 조성물 및 염모제 조성물의 색조 안정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9481B1
KR102619481B1 KR1020160007035A KR20160007035A KR102619481B1 KR 102619481 B1 KR102619481 B1 KR 102619481B1 KR 1020160007035 A KR1020160007035 A KR 1020160007035A KR 20160007035 A KR20160007035 A KR 20160007035A KR 102619481 B1 KR102619481 B1 KR 1026194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ent
mass
hair dye
dye
dy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7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0755A (ko
Inventor
요스케 코바야시
Original Assignee
호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호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90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07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9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94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7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61K8/411Aromatic amines, i.e. where the amino group is directly linked to the aromatic nucle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61K8/415Amino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61K8/418Amines containing nitro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0Preparations for permanently dye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61K2800/43Pigments; D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61K2800/43Pigments; Dyes
    • A61K2800/432Direct dyes
    • A61K2800/4322Direct dyes in preparations for temporarily coloring the hair further containing an oxidizing ag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61K2800/43Pigments; Dyes
    • A61K2800/432Direct dyes
    • A61K2800/4324Direct dyes in preparations for permanently dye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8Two- or multipart kits
    • A61K2800/884Sequential applic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염모제 조성물 중에 탄산염을 포함하는 구성에 있어서, 염료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염모제 조성물 및 염모제 조성물의 색조 안정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탄산염을 함유하는 염모제 조성물에 있어서, (A) 레조르신 및 그 유도체, 그리고 그들의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며, (A)성분의 배합량의 상한이 0.2질량% 이하와, (B) 5-(2-히드록시에틸아미노)-2-메틸페놀, 1,5-디히드록시나프탈렌 및 니트로 염료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염료를 함유한다.

Description

염모제 조성물 및 염모제 조성물의 색조 안정화 방법{Hair dye composition and tone stabilizing method of hair dye composition}
본 발명은 탄산염을 포함하는 염모제 조성물 및 염모제 조성물의 색조 안정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약제를 혼합함으로써 효과를 발휘하는 염모제 조성물이 알려져 있다. 그와 같은 염모제 조성물로서는, 예를 들어 알칼리제 및 염료를 함유하는 제1 제와, 산화제, 예를 들어 과산화수소를 함유하는 제2 제로 구성되는 염모제 조성물이 알려져 있다. 염료는, 원하는 색, 명도, 채도 등의 관점에서 공지의 염료로부터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높은 명도 및 채도가 요구되고 있는 패션 컬러 분야에 있어서는, 염료로서 5-(2-히드록시에틸아미노)-2-메틸페놀, 1,5-디히드록시나프탈렌 또는 니트로 염료를 소정량 배합하는 염모제 조성물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알칼리제는, 제2 제에 함유되는 산화제의 작용을 촉진하는 동시에, 모발을 팽윤시켜 모발로의 염료의 침투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염모력을 향상시킨다. 종래부터, 염모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알칼리제로서는, 암모니아 등이 알려져 있다. 하지만, 암모니아는 배합량을 많게 하면 자극적인 냄새를 수반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종래부터, 예를 들어 특허문헌 1~3에 개시되는 염모제 조성물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3은, 알칼리제로서 암모니아와 탄산염을 병용함으로써, 암모니아의 배합량을 종래보다 저하시키는 동시에 염모력의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공보 2001-206825호 특허문헌 2: 일본공개특허공보 2001-328926호 특허문헌 3: 일본공개특허공보 2008-127343호
그런데, 5-(2-히드록시에틸아미노)-2-메틸페놀, 1,5-디히드록시나프탈렌, 또는 니트로 염료를 소정량 배합하는 염모제 조성물에 있어서, 염료의 안정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었다. 특히, 탄산염을 병용한 경우, 이러한 탄산염에 의하여 염료의 안정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염모제 조성물 중에 탄산염을 포함하는 구성에 있어서, 염료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염모제 조성물 및 염모제 조성물의 색조 안정화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염모제 조성물 중에 탄산염을 포함하는 구성에 있어서, 레조르신 등을 병용함으로써, 염료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발견한 것에 근거하는 것이다. 한편, 성분의 함유량을 나타내는 질량%의 수치는, 물 등의 가용화제도 포함한 제형 중에 있어서의 수치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탄산염을 함유하는 염모제 조성물에 있어서, (A) 레조르신 및 그 유도체, 그리고 그들의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며, (A)성분의 배합량의 상한이 0.2질량% 이하와, (B) 5-(2-히드록시에틸아미노)-2-메틸페놀, 1,5-디히드록시나프탈렌 및 니트로 염료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염료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염모제 조성물 중에 있어서, 상기 (A)성분은 0.005질량% 이상 함유하여도 좋다. 더욱이, 산화염료로서 (C) 염료중간체를 함유하고, 산화염모제 제1 제로서 구성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제에 탄산염을 함유하는 염모제 조성물의 색조 안정화 방법으로서, 상기 염모제 조성물 중에 있어서, (A) 레조르신 및 그 유도체, 그리고 그들의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며, (A)성분의 배합량의 상한이 0.2질량% 이하와, (B) 5-(2-히드록시에틸아미노)-2-메틸페놀, 1,5-디히드록시나프탈렌 및 니트로 염료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염료를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염료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염모제 조성물을 구체화한 일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염모제 조성물로서의 산화염모제 제1 제(이하. 단순히 '제1 제'라고 함)는, 2제식의 산화염모제 조성물의 제1 제로서 구성된다. 2제식의 산화염모제 조성물은, 예를 들어 적어도 탄산염 및 산화염료를 함유하는 제1 제, 적어도 산화제를 함유하는 제2 제로 구성된다. 이러한 산화염모제 조성물은, 이 제1 제와 제2 제가 혼합된 혼합물이 조제된 후, 모발의 염모처리에 사용된다.
<제1 제>
제1 제는, 알칼리제 및 염료 이외에, 염료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A) 레조르신 및 그 유도체, 그리고 그들의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함유한다.
탄산염은, 명도 향상의 관점에서 배합된다. 탄산염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공지의 탄산염, 예를 들어 탄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칼륨, 탄산수소칼륨, 탄산리튬,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탄산바륨, 탄산구아니딘, 탄산수소구아니딘, 탄산암모늄 및 탄산수소암모늄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의 탄산염 중 1종만이 단독으로 함유되어도 좋고, 2종 이상이 조합되어 함유되어도 좋다.
제1 제 중에 있어서의 탄산염의 함유량의 하한은, 적절하게 설정되지만, 바람직하게는 0.01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5질량% 이상이다. 탄산염의 함유량이 0.01질량% 이상이면, 특히 명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알칼리제로서 암모니아를 병용하는 경우, 암모니아의 배합량을 저감시킴으로써 암모니아 유래의 자극적인 냄새의 저감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제1 제 중에 있어서의 탄산염의 함유량의 상한은, 적절하게 설정되지만, 바람직하게는 20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질량% 이하이다. 탄산염의 함유량이 20질량% 이하이면, 특히 가용화제를 사용하는 경우, 가용화제에 대한 용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알칼리제로서, 상기 탄산염만으로 구성하여도 좋고, 탄산염 이외의 알칼리제를 병용하여도 좋다. 탄산염 이외의 알칼리제로서는, 예를 들어 암모니아, 알카놀아민, 규산염, 메타규산염, 황산염, 염화물, 인산염, 유기아민, 및 염기성 아미노산을 들 수 있다. 알카놀아민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어 모노에탄올아민, 및 트리에탄올아민을 들 수 있다. 규산염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어 규산나트륨, 및 규산칼륨을 들 수 있다. 메타규산염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어 메타규산나트륨, 및 메타규산칼륨을 들 수 있다. 황산염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어 황산암모늄을 들 수 있다. 염화물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어 염화암모늄을 들 수 있다. 인산염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어 인산 제1 암모늄, 및 인산 제2 암모늄을 들 수 있다. 유기아민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어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AMP), 2-아미노-2-메틸-1,3-프로판디올, 및 구아니딘을 들 수 있다. 염기성 아미노산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어 알기닌, 및 리딘을 들 수 있다. 이들의 탄산염 이외의 알칼리제 중, 1종만이 단독으로 함유되어도 좋고, 2종 이상이 조합되어 함유되어도 좋다. 이들 중에서 염모력 향상의 관점에서 암모니아 및 암모늄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탄산염 이외의 알칼리제를 병용하는 경우, 제1 제 및 제2 제의 혼합물 중에 있어서의 총알칼리제의 함유량에 대한 탄산염의 함유량의 질량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탄산염을 사용한 경우의 자극적인 냄새의 저감 효과의 발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2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4 이상이다. 즉, 전체 알칼리제 중에 있어서의 탄산염 이외의 알칼리제의 함유량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80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0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60질량% 이하이다. 이러한 전체 알칼리제 중에 있어서의 탄산염 이외의 알칼리제의 함유량의 비율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명도 향상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1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3질량% 이상이다.
알칼리제는 제1 제 및 제2 제의 혼합물, 즉 사용시의 산화염모제 조성물의 pH가 7~12의 범위가 되는 양으로 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혼합물의 pH를 7 이상으로 함으로써, 제2 제에 포함되는 산화제의 작용을 보다 촉진할 수 있다. 혼합물의 pH를 12 이하로 함으로써, 모발의 손상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제1 제는, 염료로서, (B) 5-(2-히드록시에틸아미노)-2-메틸페놀, 1,5-디히드록시나프탈렌 및 니트로 염료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함유한다. 이들 염료의 구체예 중 1종만이 단독으로 함유되어도 좋고, 2종 이상이 조합되어 함유되어도 좋다. 5-(2-히드록시에틸아미노)-2-메틸페놀 및 1,5-디히드록시나프탈렌은, 산화염료의 커플러이다. 또한, 니트로 염료는, 직접 염료의 1종이다. 염료로서 (B)성분이 함유됨으로써, 명도 및 채도가 향상된다.
니트로 염료로서는, 예를 들어 4-니트로-o-페닐렌디아민, 2-니트로-p-페닐렌디아민, 2-아미노-4-니트로페놀, 2-아미노-5-니트로페놀, 피크라민산, 피크린산, 및 그들의 염, HC Blue No.2, HC Blue No.4, HC Blue No.5, HC Blue No.6, HC Blue No.8, HC Blue No.9, HC Blue No.10, HC Blue No.11, HC Blue No.12, HC Blue No.13, HC Blue No.14, HC Brown No.1, HC Brown No.2, HC Green No.1, HC Orange No.1, HC Orange No.2, HC Orange No.3, HC Orange No.5, HC Red No.1, HC Red No.3, HC Red No.7, HC Red No.8, HC Red No.9, HC Red No.10, HC Red No.11, HC Red No.13, HC Red No.14, HC Violet No.1, HC Violet No.2, HC Yellow No.4, HC Yellow No.5, HC Yellow No.6, HC Yellow No.7, HC Yellow No.8, HC Yellow No.9, HC Yellow No.10, HC Yellow No.11, HC Yellow No.12, HC Yellow No.13, HC Yellow No.14, HC Yellow No.15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니트로 염료의 구체예 중 1종만이 단독으로 함유되어도 좋고, 2종 이상이 조합되어 함유되어도 좋다. 이들의 니트로 염료의 구체예 중, 색조의 안정성 향상의 관점으로부터, 4-니트로-o-페닐렌디아민, 2-니트로-p-페닐렌디아민, HC Blue No.2, 및 HC Yellow No.4가 바람직하게 적용된다.
(B)성분은 색조의 베리에이션을 용이하게 도모할 수 있는 등의 관점에서, 2종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제 중에 있어서의 상기 (B)성분의 함유량의 하한은 적절히 설정되는데, 바람직하게는 0.005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질량% 이상이다. (B)성분의 함유량이 0.005질량% 이상이면, 특히 채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제 중에 있어서의 상기 (B)성분의 함유량의 상한은 적절히 설정되는데, 바람직하게는 5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질량% 이하이다. (B)성분의 함유량이 5질량% 이하이면, 특히 명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제1 제는 산화염료를 함유한다. 산화염료는, 제2 제에 함유되는 산화제에 의한 산화중합에 기인하여 발색 가능한 화합물이며, 염료중간체 및 그 염료중간체와 결합함으로써 발색하는 커플러로 분류된다. 본 실시형태의 제1 제는 산화염료로서 (C) 염료중간체를 함유한다. 한편, 산화염료로서의 커플러에는, (A)성분은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사용되는 (C) 염료중간체로서는, 예를 들어 p-페닐렌디아민, 톨루엔-2,5-디아민, p-아미노페놀, N-페닐-p-페닐렌디아민, 4,4'-디아미노디페닐아민, o-아미노페놀, p-메틸아미노페놀, N,N-비스(2-히드록시에틸)-p-페닐렌디아민, 2-히드록시에틸-p-페닐렌디아민, o-크롤-p-페닐렌디아민, 4-아미노-m-크레졸, 2-아미노-4-히드록시에틸아미노아니솔, 2,4-디아미노페놀 및 그들의 유도체, 그리고 그들의 염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염료중간체의 구체예 중 1종만이 단독으로 함유되어도 좋고, 2종 이상이 조합되어 함유되어도 좋다. 이들의 (C) 염료중간체의 사용에 의하여, 보다 높은 명도 및 채도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높은 명도 및 채도가 요구되고 있는 패션 컬러 분야에 있어서 바람직한 색조로 할 수 있다.
이들의 (C) 염료중간체 중에서 명도 및 채도가 뛰어난 관점에서 p-페닐렌디아민, 톨루엔-2,5-디아민, p-아미노페놀 및 N,N-비스(2-히드록시에틸)-p-페닐렌디아민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 바람직하다. 제1 제 중에 있어서의 총 염료중간체의 함유량에 대한 p-페닐렌디아민, 톨루엔-2,5-디아민 및 p-아미노페놀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함유량의 질량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이들의 바람직한 염료중간체 유래의 색조를 얻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6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7 이상이다.
제1 제 중에 있어서의 상기 (C) 염료중간체의 함유량의 하한은 적절히 설정되는데, 바람직하게는 0.001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02질량% 이상이다. (C) 염료중간체의 함유량이 0.001질량% 이상이면, 특히 채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제 중에 있어서의 상기 (C) 염료중간체의 함유량의 상한은, 적절히 설정되는데, 바람직하게는 5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5질량% 이하이다. (C) 염료중간체의 함유량이 5질량% 이하이면, 명도 및 채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상기 (B)성분에 포함되는 커플러 이외의 커플러 성분을 병용하여도 좋다. 커플러로서, 예를 들어 5-아미노-o-크레졸, m-아미노페놀, α-나프톨, m-페닐렌디아민, 2,4-디아미노페녹시에탄올, 톨루엔-3,4-디아민, 2,6-디아미노피리딘, 디페닐아민, N,N-디에틸-m-아미노페놀, 페닐메틸피라졸론 및 그들의 염을 들 수 있다. 더욱이, 2,4-디아미노페녹시에탄올로서, 예를 들어 염산 2,4-디아미노페녹시에탄올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커플러의 구체예 중 1종만이 단독으로 함유되어도 좋고, 2종 이상이 조합되어 함유되어도 좋다.
또한, 제1 제 중에 있어서의 총 커플러의 함유량에 대한 상기 (B)성분에 함유되는 커플러의 함유량의 질량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 (B)성분에 포함되는 커플러 유래의 색조를 얻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2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이상이다.
제1 제는 상기 산화염료 이외의 염료로서, 예를 들어 '의약부외품 원료규격'(2006년 6월 발행, 약사일보사)에 기재된 산화염료를 더욱 적절하게 함유하여도 좋다.
제1 제 중에 있어서의 총 염료의 함유량의 하한은 적절히 설정되는데, 바람직하게는 0.01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08질량% 이상이다. 총 염료의 함유량이 0.01질량% 이상이면, 특히 채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제 중에 있어서의 총 염료의 함유량의 상한은 적절히 설정되는데, 바람직하게는 10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질량% 이하이다. 총 염료의 함유량이 10질량% 이하이면, 특히 가용화제를 사용하는 경우, 가용화제에 대한 용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특히 명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제 있어서, (A) 레조르신 및 그 유도체, 그리고 그들의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 배합된다. 레조르신의 유도체로서는, 예를 들어 알킬화 레조르신, 할로겐화 레조르신 등을 들 수 있다. 알킬화 레조르신의 구체예로서는, 2-메틸레조르신 등을 들 수 있다. 할로겐화 레조르신의 구체예로서는, 4-클로로레조르신, 2-클로로레조르신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레조르신 중 1종만이 단독으로 함유되어도 좋고, 2종 이상이 조합되어 함유되어도 좋다. (A)성분은 특히 제1 제 중에 탄산염을 포함하는 구성에 있어서, 상술한 염료로서의 (B)성분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제1 제 중에 있어서의 상기 (A)성분의 함유량의 하한은 적절히 설정되는데, 바람직하게는 0.005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03질량% 이상이다. (A)성분의 함유량이 0.005질량% 이상이면, 상술한 (B)성분의 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제 중에 있어서의 상기 (A)성분의 함유량의 상한은 0.2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15질량% 이하, 보다 바람작하게는 0.1질량% 이하이다. (A)성분의 함유량이 0.2질량% 이하이면, (A)성분 유래의 색조의 발현을 억제하여, 채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제 중에 있어서의 상기 (A)성분의 함유량에 대한 상기 (B)성분의 함유량의 질량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0.1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4 이상이다. 이러한 질량비가 0.1 이상이면, 특히 채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제 중에 있어서의 상기 (A)성분의 함유량에 대한 상기 (B)성분의 함유량의 질량비의 상한은 적절히 설정되는데, 바람직하게는 12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1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다. 이러한 질량비가 12 이하이면, 특히 명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제는 필요에 따라서 상술한 성분 이외의 성분, 예를 들어 가용화제,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 유성 성분, 다가알코올, 계면활성제, 당, 방식제, 안정제, 상기 이외의 pH조정제, 식물추출물, 생약추출물, 비타민, 향료, 산화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킬레이트화제 및 산화조제를 더욱 함유하여도 좋다.
가용화제는, 예를 들어 제1 제를 액상으로 하는 경우에 배합된다. 사용되는 가용화제의 예로는, 예를 들어 물 및 유기용매(용제)를 들 수 있다. 유기용매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어 에탄올, n-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메틸셀로솔브, 에틸셀로솔브, 메틸카르비톨, 에틸카르비톨, 벤질알코올, 페네틸알코올, γ-페닐프로필알코올, 계피알코올, 아니스알코올, p-메틸벤질알코올, α-디메틸페네틸알코올, α-페닐에탄올, 페녹시에탄올, 페녹시이소프로판올, 2-벤질옥시에탄올, N-알킬피롤리돈, 탄산알킬렌, 및 알킬에테르를 들 수 있다. 이들 가용화제 중, 1종만이 단독으로 함유되어도 좋고, 2종 이상이 조합되어 함유되어도 좋다. 이들 중에서 제1 제 중의 그 밖의 성분을 용해하는 능력에 뛰어난 것으로부터 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용매로서 물이 사용되는 경우, 제1 제와 제2 제의 혼합물 중에 있어서의 물의 함유량(사용시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50질량%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60질량% 이상이다.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은, 혼합물에 적절한 점도를 준다.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어 천연고분자, 반합성고분자, 합성고분자, 및 무기물계 고분자를 들 수 있다. 천연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구아검, 로커스트빈검, 퀸스시드, 카라기난, 갈락탄, 아라비아검, 트라가칸트검, 펙틴, 만난, 크산탄검, 덱스트란, 석시노글루칸, 카도란, 히알루론산, 젤라틴, 카제인, 알부민, 및 콜라겐을 들 수 있다.
반합성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디메틸디아릴암모늄클로라이드,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카티온화 셀룰로오스, 카티온화 구아검, 전분인산에스테르,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에스테르, 및 알긴산염을 들 수 있다.
합성의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메틸에테르,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폴리아크릴산소다,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에틸렌옥사이드,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블록 공중합체, 아크릴산/아크릴산알킬 공중합체, 및 폴리염화디메틸메틸렌피페리디늄을 들 수 있다. 또한, 합성 고분자로서는, 예를 들어 이타콘산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와의 반에스테르, 또는 메타크릴산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와의 에스테르와,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및 그들의 알킬에스테르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의 단량체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이들의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 중, 1종만이 단독으로 함유되어도 좋고, 2종 이상이 조합되어 함유되어도 좋다.
유성 성분은, 모발에 습윤감을 부여한다. 그 때문에, 제1 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유성 성분을 함유한다. 유성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유지, 왁스, 고급알코올, 탄화수소, 고급지방산, 알킬글리세릴에테르, 에스테르, 및 실리콘을 들 수 있다.
유지로서는, 예를 들어 라놀린, 올리브유, 동백유, 시어 지방, 아몬드유, 새플라워유, 해바라기유, 대두유, 면실유, 참기름, 옥수수유, 유채유, 쌀겨유, 맥아유, 포도씨유, 아보카도유, 마카다미아너츠유, 아주까리유, 야자유 및 달맞이꽃유를 들 수 있다. 왁스로서는, 예를 들어 밀납, 칸델릴라 왁스, 카르나우바 왁스, 호호바유 및 라놀린을 들 수 있다. 고급알코올로서는, 예를 들어 세틸알코올(세탄올), 2-헥실데칸올, 스테아릴알코올, 이소스테아릴알코올, 세토스테아릴알코올, 올레일알코올, 아라킬알코올, 베헤닐알코올, 2-옥틸도데칸올, 라우릴알코올, 미리스틸알코올, 데실테트라데칸올 및 라놀린알코올을 들 수 있다.
탄화수소로서는, 예를 들어 파라핀, 올레핀올리고머, 폴리이소부텐, 수첨폴리이소부텐, 미네랄오일, 스쿠알렌, 폴리부텐, 폴리에틸렌,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및 바셀린을 들 수 있다. 고급지방산으로서는, 예를 들어 라우린산, 미리스틴산, 파르미틴산, 스테아린산, 베헤닌산, 이소스테아린산,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 올레인산 및 라노린 지방산을 들 수 있다. 알킬글리세릴에테르로서는, 예를 들어 바틸알코올, 키밀알코올, 세라킬알코올 및 이소스테아릴글리세릴에테르를 들 수 있다.
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어 아디프산디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옥탄산세틸, 이소노난산이소노닐,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파르미틴산이소프로필, 스테아린산스테아릴, 미리스틴산미리스틸, 미리스틴산이소트리데실, 파르미틴산 2-에틸헥실, 리시놀레산옥틸도데실, 10~30의 탄소수를 가지는 지방산 콜레스테릴/라노스테릴, 유산세틸, 초산라놀린, 디-2-에틸헥산산에틸렌글리콜, 펜타에리스리톨지방산에스테르, 디펜타에리스리톨지방산에스테르, 카프르산세틸, 트리카프르산글리세릴, 사과산디이소스테아릴, 호박산디옥틸 및 2-에틸헥산산세틸을 들 수 있다.
실리콘으로서는, 예를 들어 디메틸폴리실록산(디메티콘),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헥사실록산, 말단수산기 변성 디메틸폴리실록산, 고중합 실리콘,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예를 들어, (PEG/PPG/부틸렌/디메티콘)코폴리머), 아미노 변성 실리콘, 베타인 변성 실리콘, 알킬 변성 실리콘, 알콕시 변성 실리콘, 메르캅토 변성 실리콘, 카르복시 변성 실리콘 및 불소 변성 실리콘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유성 성분 중 1종만이 단독으로 함유되어도 좋고, 2종 이상이 조합되어 함유되어도 좋다.
다가알코올로서는, 예를 들어 글리콜 및 글리세린을 들 수 있다. 글리콜로서는,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이소프렌글리콜 및 1,3-부틸렌글리콜을 들 수 있다. 글리세린으로서는, 예를 들어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및 폴리글리세린을 들 수 있다. 이들의 다가알코올 중 1종만이 단독으로 함유되어도 좋고, 2종 이상이 조합되어 함유되어도 좋다.
계면활성제는, 유화제 또는 각 성분을 가용화시키기 위한 성분으로서 산화염모제 조성물을 사용할 때에 유화 또는 가용화시켜, 점도를 조정하거나 점도 안정성을 향상시키거나 한다. 계면활성제로서는, 아니온성 계면활성제, 카티온성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들 수 있다.
아니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알킬에테르황산염, 알킬황산염, 알킬에테르황산에스테르염, 알케닐에테르황산염, 알케닐황산염, 올레핀술폰산염, 알칸술폰산염,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염, 알킬 또는 알케닐에테르카르본산염, α-술폰지방산염, N-아실아미노산형 계면활성제, 인산모노 또는 디에스테르형 계면활성제, 술포호박산에스테르 및 그들의 유도체를 들 수 있다. 이들의 계면활성제의 아니온기의 대이온으로서는, 예를 들어 나트륨 이온, 칼륨 이온 및 트리에탄올아민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알킬에테르황산에스테르염으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틸렌(이하, 'POE'라고 함) 라우릴에테르황산나트륨을 들 수 있다. 알킬황산염으로서, 예를 들어 라우릴황산나트륨 및 세틸황산나트륨을 들 수 있다. 알킬황산염의 유도체로서, 예를 들어 POE라우릴황산나트륨을 들 수 있다. 술포호박산에스테르로서, 예를 들어 술포호박산라우릴이나트륨을 들 수 있다.
카티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염화라우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틸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취화세틸트리메틸암모늄, 취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에틸황산라노린지방산아미노프로필에틸디메틸암모늄,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사카린, 세틸트리메틸암모늄사카린, 염화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트리메틸암모늄 및 메틸황산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활성제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어 코코베타인, 라우라미도프로필베타인, 코카미드프로필베타인, 라우로안호초산나트륨, 코코안호초산나트륨, 야자유지방산아미드프로필베타인 및 라우릴베타인(라우릴디메틸아미노초산베타인)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어 에테르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에스테르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알킬글루코사이드를 들 수 있다. 에테르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어 POE세틸에테르(세테스), POE스테아릴에테르(스테아레스), POE베헤닐에테르, POE올레일에테르(오레스), POE라우릴에테르(라우레스), POE옥틸도데실에테르, POE헥실데실에테르, POE이소스테아릴에테르, POE노닐페닐에테르 및 POE옥틸페닐에테르를 들 수 있다.
에스테르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어 모노올레인산 POE소르비탄, 모노스테아린산 POE소르비탄, 모노파르미틴산 POE소르비탄, 모노라우린산 POE소르비탄, 트리올레인산 POE소르비탄, 모노스테아린산 POE글리세린, 모노미리스틴산 POE글리세린, 테트라올레인산 POE소르비탄, 헥사스테아린산 POE소르비트, 모노라우린산 POE소르비트, POE소르비트 밀납, 모노올레인산 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스테아린산 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라우린산 폴리에틸렌글리콜, 친유형 모노올레인산 글리세린,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모노올레인산 소르비탄, 세스키올레인산 소르비탄, 트리올레인산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린산 소르비탄, 모노파르미틴산 소르비탄, 모노라우린산 소르비탄, 자당지방산 에스테르, 모노라우린산 데카글리세릴, 모노스테아린산 데카글리세릴, 모노올레인산 데카글리세릴 및 모노미리스틴산 데카글리세릴을 들 수 있다.
알킬글루코사이드로서, 예를 들어 알킬(탄소수 8~16)글루코사이드, POE메틸글루코사이드 및 POE디올레인산 메틸글루코사이드를 들 수 있다. 이들의 계면활성제의 구체예 중 1종만이 단독으로 함유되어도 좋고, 2종 이상이 조합되어 함유되어도 좋다.
당으로서는, 예를 들어 글루코오스, 갈락토오스 등의 단당, 말토오스, 수크로오스, 푸르크토오스, 트레할로오스 등의 이당 및 당알코올을 들 수 있다. 방식제로서는, 예를 들어 파라벤을 들 수 있다. 안정제로서는, 예를 들어 페나세틴, 8-히드록시퀴노린, 아세트아닐리드, 피롤린산나트륨, 바르비투르산, 요산 및 타닌산을 들 수 있다. pH조정제로서는, 예를 들어 구연산, 주석산, 유산, 사과산, 호박산, 푸말산, 말레인산, 피롤린산, 글루콘산, 글루크론산, 안식향산 등을 들 수 있다. 산화방지제로서는, 예를 들어 아스코르브산 및 아황산염을 들 수 있다. 킬레이트화제로서는, 예를 들어 에데틱산(에틸렌디아민사초산(EDTA)), 에데틱산이나트륨, 에데틱산사나트륨, 디에틸렌트리아민오초산 및 그 염류, 에틸렌디아민히드록시에틸삼초산 및 그 염류, 그리고 히드록시에탄디포스폰산(HEDP) 및 그 염류를 들 수 있다.
제1 제의 제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구체예로서, 예를 들어 액상, 겔형상, 폼형상, 크림형상 및 고체형상을 들 수 있다. 액상으로서는, 예를 들어 수용액, 분산액 및 유화액을 들 수 있다.
<제2 제>
제2 제는 산화제 이외에, 상술한 가용화제 등을 배합할 수도 있다. 산화제는, 모발에 포함되는 멜라닌의 탈색성을 보다 향상시킨다. 산화제의 구체예로서는, 과산화수소, 과산화요소, 과산화멜라민, 과탄산나트륨, 과탄산칼륨, 과붕산나트륨, 과붕산칼륨, 과황산암모늄, 과황산칼륨, 과황산나트륨, 과산화나트륨, 과산화칼륨, 과산화마그네슘, 과산화바륨, 과산화칼슘, 과산화스트론튬, 황산염의 과산화수소 부가물, 인산염의 과산화수소 부가물 및 피롤린산염의 과산화수소 부가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산화제의 구체예 중 1종만이 단독으로 함유되어도 좋고, 2종 이상이 조합되어 함유되어도 좋다. 제2 제 중에 있어서의 산화제의 함유량은 적절히 설정되는데, 바람직하게는 0.1질량%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질량%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0질량% 이상이다. 산화제의 함유량이 0.1질량% 이상인 경우, 멜라닌의 탈색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제 중에 있어서의 산화제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15.0질량%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0질량%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6.0질량% 이하이다. 산화제의 함유량이 15.0질량% 이하인 경우, 모발의 손상 등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산화제로서 과산화수소를 제2 제에 배합하는 경우, 과산화수소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제2 제는 안정화제,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페닐에테르(페녹시에탄올), 히드록시에탄디포스폰산 및 그 염을 함유한다. 히드록시에탄디포스폰산염으로서는, 예를 들어 히드록시에탄디포스폰산사나트륨 및 히드록시에탄디포스폰산이나트륨을 들 수 있다. 제2 제는 산화염모제 조성물에 일반적으로 함유되고, 또한 상술한 각 성분의 작용을 저해하지 않는 각 성분을 함유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상술한 제1 제에 함유되는 성분을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적절하게 함유하여도 좋다.
제2 제의 제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데, 구체예로서, 예를 들어 액상, 겔형상, 폼형상, 크림형상 및 고체형상을 들 수 있다. 액상으로서는, 수용액, 분산액 및 유화액을 들 수 있다. 산화염모제 조성물의 사용시에는, 제1 제 및 제2 제를 혼합함으로써 혼합물이 조제된다. 이어서, 필요량의 혼합물이, 예를 들어 얇은 장갑을 낀 손, 콤(빗) 또는 솔에 부착되어 모발에 도포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제1 제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높은 명도 및 채도가 요구되고 있는 패션 컬러 분야에 있어서 사용되고 있는 5-(2-히드록시에틸아미노)-2-메틸페놀, 1,5-디히드록시나프탈렌 또는 니트로 염료는, 염료의 안정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었다. 특히 탄산염과 병용한 경우, 보존안정성이 저하되어, 염모처리 후의 색조가 변하는 경우가 있었다. 예를 들어, 염료의 배합량을 증가시킨 경우, 염료가 안정화하는 경우가 있는데, 명도가 저하되는 방향으로 변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원하는 명도를 얻으면서 염료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쉽지 않았다. 본 발명은, 특정량의 (A) 레조르신 등의 방향족 화합물을 더욱 첨가함으로서, 장기 보존한 경우에도 5-(2-히드록시에틸아미노)-2-메틸페놀, 1,5-디히드록시나프탈렌 또는 니트로 염료의 보존안정성을 향상시켜, 색조의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염료의 안정성 향상을 위하여 염료의 배합량을 조정할 필요가 없으므로, 이러한 관점으로부터도 색조의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제1 제는 이하의 이점을 가진다.
(1) 본 실시형태는, 제1 제 중에 탄산염을 포함하는 구성에 있어서, 특정량의 (A) 레조르신 등을 병용하였다. 따라서, 염료, 보다 구체적으로는 (B) 5-(2-히드록시에틸아미노)-2-메틸페놀, 1,5-디히드록시나프탈렌 및 니트로 염료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염료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장기 보존한 경우에도 색조의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2) 더욱이, 산화염료로서, (C) 염료중간체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명도 및 채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높은 명도 및 채도가 요구되고 있는 패션 컬러 분야에 있어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는 이하와 같이 변경되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의 염모제 조성물로서, 산화염모제 제1 제로서 구성하였다. 상기 실시형태의 염모제 조성물에 있어서, 염료로서 (C) 염료중간체를 배합하지 않는 구성을 채용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C) 염료중간체 및 산화제를 사용하지 않고, 탄산염, 배합량의 상한이 0.2질량% 이하인 (A)성분과, (B)성분으로서 니트로 염료를 함유하는 반영구 염모료로서 구성하여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술한 염료 이외의 염료로서,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예를 들어 '의약부외품 원료규격'(2006년 6월 바행, 약사일보사)에 기재된 니트로 염료 이외의 직접 염료를 적절히 함유하여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탄산염 및 염료 등을 함유하는 제1 제, 산화제 등을 함유하는 제2 제의 다제식 산화염모제 조성물을 구성하였다. 하지만, 탄산염, 및 (A) 및 (B)성분을 동일한 제 중에 배합하는 이상, 산화염모제 조성물은 2제식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제1 제 및 제2 제에 함유되는 각 성분의 일부를 별제로서 구성하여, 복수제식, 예를 들어 3제식 이상으로 구성하여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제가 적용되는 분야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데, 일반적으로 높은 명도 및 채도가 요구되고 있는 패션 컬러 분야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
다음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은 실시예칸 기재의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처방예 1)
처방예 1은, 본 실시형태의 염모제 조성물을 산화염모제 조성물의 크림형상의 제1 제로서 구성하였다. 표 1, 2에 나타내는 각 성분을 함유하는 산화염모제 조성물의 제1 제 및 제2 제를 조제하였다. 표 1, 2에 있어서의 각 성분을 나타내는 칸 중의 수치는 해당 칸의 성분의 함유량을 나타내고, 그 단위는 질량%이다. 그리고, 제1 제와 제2 제를 1:1의 질량비로 혼합하여 산화염모제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얻어진 산화염모제 조성물을 흑모의 인모 모속(15cm의 뷰렉스사 제품)(이하, 단순히 모속이라고 함)에 솔을 이용하여 도포하고, 실온(25℃)에서 30분간 방치하였다. 다음으로, 모속에 부착된 산화염모제 조성물을 물로 씻어 낸 후, 모속에 샴푸(호유사 제품의 비겐트리트먼트 샴푸)를 2회, 및 린스(호유사 제품의 비겐트리트먼트 린스)를 1회 실시하였다. 이어서, 모속을 온풍으로 건조한 후, 1일간 방치하였다. 염모처리가 실시된 모속에 대하여, 하기에 나타내는 방법에 따라 명도 및 채도의 평가를 행하였다. 또한,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제1 제를 소정 기간 보존한 후, 염모 처리하였을 때의 모속에 대하여, 하기에 나타내는 방법에 따라서 색조의 변화에 대하여 평가를 행하였다. 한편, 표 중 '성분'칸에 있어서의 (A)~(C)의 표기는, 본원 청구항 기재의 각 성분에 대응하는 화합물을 나타낸다.
<명도>
10명의 패널이 각 산화염모제 조성물로 처리한 후의 인모 모속의 명도를 표준광원 하에서 눈으로 관찰하고, 3점, 2점, 1점의 3단계로 채점하였다. 각 패널의 채점 결과에 대하여 평균값을 산출하고, 평균값이 2.6점 이상을 '◎', 1.6점 이상 2.6점 미만을 '○', 1.6점 미만을 '×'로 하여 평가 결과로 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채도>
10명의 패널이 각 산화염모제 조성물로 처리한 후의 인모 모속의 채도를 표준광원 하에서 눈으로 관찰하고, 3점, 2점, 1점의 3단계로 채점하였다. 각 패널의 채점 결과에 대하여 평균값을 산출하고, 평균값이 2.6점 이상을 '◎', 1.6점 이상 2.6점 미만을 '○', 1.6점 미만을 '×'로 하여 평가 결과로 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색조의 변화>
각 예의 제1 제를 45℃의 항온조 내에서 1개월 보존하였다. 소정기간 보존된 각 예의 제1 제를 사용하여, 상기와 마찬가지로 염모 처리함으로써 각 모속을 얻었다. 보존 처리하고 있지 않은 각 예의 제1 제에 대하여도, 마찬가지로 염모처리함으로써 각 모속을 작성하여, 그것을 컨트롤로 하였다. 얻어진 각 모속에 대하여, 보존 처리의 유무에 따른 색조(명도 및 채도)의 변화의 유무를 10명의 패널이 표준광원 하에서 눈으로 관찰하고, 하기의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컨트롤에 비하여 염모 결과에 거의 변화가 없는 경우를 3점, 컨트롤에 비하여 염모 결과에 근소한 변화가 보이는 경우를 2점, 컨트롤에 비하여 염모 결과에 변화가 보이는 경우를 1점으로 하고, 3단계로 채점하였다. 각 패널의 채점 결과에 대하여 평균값을 산출하고, 평균값이 2.6점 이상을 '◎', 1.6점 이상 2.6점 미만을 '○', 1.6점 미만을 '×'로 하여 평가 결과로 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
[표 2]
표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각 실시예에 따른 제1 제를 사용한 산화염모제 조성물에 있어서, 각 비교예에 대하여 명도, 채도 및 색조의 변화의 평가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표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레조르신을 함유하지 않은 비교예 1~3은, 각 실시예에 대하여 색조의 변화의 평가가 낮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제1 제 중에 있어서의 레조르신의 배합량이 0.3질량%인 비교예 4는, 각 실시예에 대하여 채도의 평가가 낮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탄산염을 함유하지 않은 비교예 5는, 각 실시예에 대하여 명도의 평가가 낮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처방예 2)
처방예 2에서는, 본 실시형태의 염모제 조성물을 산화염모제 조성물의 거품형상의 제1 제로서 구성하였다. 표 3에 나타내는 각 성분을 함유하고, 에어졸캔에 충전되며, 거품형상으로 토출되는 산화염모제 조성물의 제1 제 및 제2 제를 조제하였다. 사용시에 표 3에 나타내는 제1 제 및 제2 제를 각각 에어졸캔으로부터 브러시 상에 거품형상으로 토출하였다. 한편, 제1 제와 제2 제는 1:1의 질량비로 토출하였다. 다음으로, 처방예 1과 같은 모속을 사용하여, 브러시로 도포하면서 각 제를 혼합하였다. 이후, 처방예 1과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염모처리하였다. 처방예 1에 나타내는 방법에 따라 명도, 채도 및 색조의 변화의 각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한편, 처방예 2에 있어서 레조르신을 배합하지 않은 점만 다른 비교예도 함께 실시하였다(데이터 미첨부).
[표 3]
표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처방에 있어서도, 비교예에 대하여 특히 색조의 변화 등의 평가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처방예 3)
처방예 3에서는, 본 실시형태의 염모제 조성물을 산화염모제 조성물의 크림형상의 제1 제로서 구성하였다. 표 4에 나타내는 각 성분을 함유하고, 에어졸캔에 충전되며, 크림형상으로 토출되는 산화염모제 조성물의 제1 제 및 제2 제를 조제하였다. 사용시에, 표 4에 나타내는 제1 제 및 제2 제를 각각 에어졸캔으로부터 브러시 상에 크림형상으로 토출하였다. 한편, 제1 제와 제2 제는 1:1의 질량비로 토출하였다. 다음으로, 처방예 1과 같은 모속을 사용하여, 브러시로 도포하면서 각 제를 혼합하였다. 이후, 처방예 1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염모처리하였다. 처방예 1에 나타내는 방법에 따라 명도, 채도 및 색조의 변화의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한편, 처방예 3에 있어서, 레조르신을 배합하지 않은 점만 다른 비교예도 함께 실시하였다(데이터 미첨부).
[표 4]
표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처방에 있어서도, 비교예에 대하여 특히 색조의 변화 등의 평가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처방예 4)
처방예 4에서는, 본 실시형태의 염모제 조성물을 산화염모제 조성물의 겔에멀젼 형상의 제1 제로서 구성하였다. 표 5에 나타내는 각 성분을 함유하는 산화염모제 조성물의 겔에멀젼 형상의 제1 제 및 액상의 제2 제를 조제하였다. 그리고, 제1 제와 제2 제를 1:1의 질량비로 혼합하여 산화염모제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이후, 처방예 1과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염모처리하였다. 처방예 1에 나타내는 방법에 따라서 명도, 채도 및 색조의 변화의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한편, 처방예 4에 있어서, 레조르신을 배합하지 않은 점만 다른 비교예도 함께 실시하였다(데이터 미첨부).
[표 5]
표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처방에 있어서도, 비교예에 대하여 특히 색조의 변화 등의 평가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처방예 5)
처방예 5에서는, 본 실시형태의 염모제 조성물을 산화염모제 조성물의 겔형상의 제1 제로서 구성하였다. 표 6에 나타내는 각 성분을 함유하는 산화염모제 조성물의 겔형상의 제1 제 및 액상의 제2 제를 조제하였다. 그리고, 제1 제와 제2 제를 1:1의 질량비로 혼합하여 산화염모제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이후, 처방예 1과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염모처리하였다. 처방예 1에 나타내는 방법에 따라서 명도, 채도 및 색조의 변화의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6에 나타낸다. 한편, 처방예 5에 있어서, 레조르신을 배합하지 않은 점만 다른 비교예도 함께 실시하였다(데이터 미첨부).
[표 6]
표 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처방에 있어서도, 비교예에 대하여 특히 색조의 변화 등의 평가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처방예 6)
처방예 6에서는, 본 실시형태의 염모제 조성물을 산화염모제 조성물의 액상의 제1 제로서 구성하였다. 표 7에 나타내는 각 성분을 함유하는 산화염모제 조성물의 액상의 제1 제 및 액상의 제2 제를 조제하였다. 그리고, 제1 제와 제2 제를 1:1의 질량비로 혼합하여 산화염모제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이후, 처방예 1과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염모처리하였다. 처방예 1에 나타내는 방법에 따라 명도, 채도 및 색조의 변화의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7에 나타낸다. 한편, 처방예 6에 있어서, 레조르신을 배합하지 않은 점만 다른 비교예도 함께 실시하였다(데이터 미첨부).
[표 7]
표 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처방에 있어서도, 비교예에 대하여 특히 색조의 변화 등의 평가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참고 처방예 1)
레조르신을 0.05질량%, 이소노난산이소노닐을 0.5질량%, 스테아린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를 2.5질량%, HC Blue No.2를 0.5질량%, HC Yellow No.4를 0.1질량%, 4-니트로-o-페닐렌디아민을 0.1질량%, 세토스테아릴알코올을 8질량%, 밀랍을 0.5질량%, 유동파라핀을 3질량%, 글리세린을 2질량%, 유산을 0.5질량%, 페녹시에탄올을 0.3질량%, 디메틸폴리실록산을 0.5질량%, 향료를 0.5질량%, 정제수를 잔량 혼합하여 참고 처방예 1의 반영구 염모료(컬러 트리트먼트)를 조제하였다. 또한, 참고 처방예 1의 구성에 있어서, 레조르신을 배합하지 않은 점만 다른 참고 비교예 1의 컬러 트리트먼트를 조제하였다.
얻어진 각 컬러 트리트먼트를 백모의 인모 모속(15cm의 뷰렉스사 제품)에 솔을 이용하여 도포하고, 실온(25℃)에서 30분간 방치하였다. 다음으로, 모속에 부착된 반영구 염료를 물로 씻어냈다. 이어서, 모속을 온풍으로 건조한 후, 1일간 방치하였다. 염모처리가 실시된 각 모속에 대하여, 처방예 1과 같은 방법에 따라 색조의 변화의 평가를 행하였다.
그 결과, 참고 처방예 1에 있어서, 참고 비교예 1에 대하여 색조의 변화의 평가가 높은 것이 확인되었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탄산염을 더 사용하지 않고, 레조르신 등을 0.2질량% 이하와, (B)성분으로서 니트로 염료를 함유하는 반영구 염모료로서 구성한 경우에도, 레조르신 등에 의한 염료의 안정성 향상의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참고 처방예 2)
레조르신을 0.05질량%, 4-니트로-o-페닐렌디아민을 0.1질량%, 흑색 401호를 0.2질량%, 적색 106호를 0.05질량%, HC Blue No.2를 0.5질량%, HC Yellow No.4를 0.1질량%,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를 3질량%, 유산(50%)을 2.5질량%, 호박산디에톡시에틸을 4.5질량%, 벤질알코올을 0.5질량%, 에탄올을 5질량%, 향료를 0.3질량%, 정제수를 잔량으로 혼합하여 참고 처방예 2의 반영구 염모료(헤어 매니큐어)를 조제하였다. 또한, 참고 처방예 2의 구성에 있어서, 레조르신을 배합하지 않은 점만 다른 참고 비교예 2의 헤어 매니큐어를 조제하였다. 이후, 처방예 1과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염모처리하였다. 염모처리가 실시된 각 모속에 대하여, 처방예 1과 같은 방법에 따라서 색조의 변화의 평가를 행하였다.
그 결과, 참고 처방예 2에 있어서, 참고 비교예 2에 대하여 색조의 변화의 평가가 높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상기 실시형태 및 다른 예로부터 파악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에 대하여, 그들의 효과와 함께 이하에 추기한다.
(가) 패션 컬러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염모제 조성물. 본 발명의 염모제 조성물은, 뛰어난 명도 및 채도를 가지므로, 특히 패션 컬러 분야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나) (A) 레조르신 및 그 유도체, 그리고 그들의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며, (A)성분의 배합량의 상한이 0.2질량% 이하와, (b) 니트로 염료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영구 염모료.
(다) (A) 레조르신 및 그 유도체, 그리고 그들의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며, (A)성분의 배합량의 상한이 0.2질량% 이하와, (b) 니트로 염료를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영구 염모료의 색조 안정화 방법. (나) 및 (다)의 구성에 있어서, (A)성분에 의하여, (b) 니트로 염료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라) 상기 (b) 니트로 염료는, 4-니트로-o-페닐렌디아민, 2-니트로-p-페닐렌디아민, 2-아미노-4-니트로페놀, HC Blue No.2 및 HC Yellow No.4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상기 반영구 염모료. 색조를 보다 안정화시켜, 모발에 뛰어난 명도 및 채도를 부여할 수 있다.

Claims (4)

  1. 탄산염을 함유하는 염모제 조성물에 있어서,
    (A) 레조르신 및 그 유도체, 그리고 그들의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며, (A)성분의 배합량의 상한이 0.2질량% 이하와,
    (B) 5-(2-히드록시에틸아미노)-2-메틸페놀, 1,5-디히드록시나프탈렌 및 니트로 염료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염료를 함유하며,
    (A)성분의 함유량에 대한 (B)성분의 함유량의 질량비가 0.6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모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염모제 조성물 중에 있어서, 상기 (A)성분은 0.005질량% 이상 함유하는 염모제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산화염료로서 (C) 염료중간체를 더 함유하고, 산화염모제 제1 제로서 구성되는 염모제 조성물.
  4. 제1 제에 탄산염을 함유하는 염모제 조성물의 색조 안정화 방법으로서,
    상기 염모제 조성물 중에 있어서,
    (A) 레조르신 및 그 유도체, 그리고 그들의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며, (A)성분의 배합량의 상한이 0.2질량% 이하와,
    (B) 5-(2-히드록시에틸아미노)-2-메틸페놀, 1,5-디히드록시나프탈렌 및 니트로 염료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염료를 배합하며,
    (A)성분의 함유량에 대한 (B)성분의 함유량의 질량비가 0.6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모제 조성물의 색조 안정화 방법.
KR1020160007035A 2015-01-22 2016-01-20 염모제 조성물 및 염모제 조성물의 색조 안정화 방법 KR1026194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10747 2015-01-22
JP2015010747A JP6787539B2 (ja) 2015-01-22 2015-01-22 染毛剤組成物及び染毛剤組成物の色調安定化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0755A KR20160090755A (ko) 2016-08-01
KR102619481B1 true KR102619481B1 (ko) 2023-12-29

Family

ID=55446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7035A KR102619481B1 (ko) 2015-01-22 2016-01-20 염모제 조성물 및 염모제 조성물의 색조 안정화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226408B2 (ko)
EP (1) EP3047842B1 (ko)
JP (1) JP6787539B2 (ko)
KR (1) KR102619481B1 (ko)
CN (2) CN105816340A (ko)
HK (1) HK1258037A1 (ko)
TW (1) TWI69033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48615B2 (ja) 2016-07-22 2023-09-21 ホーユー株式会社 酸化染毛剤第1剤及び酸化染毛剤組成物の色調安定化方法
JP6940942B2 (ja) * 2016-10-31 2021-09-29 株式会社ミルボン 酸化染毛剤用第1剤、及び酸化染毛剤を用いた染毛方法
JP6814960B2 (ja) * 2016-12-15 2021-01-20 株式会社ダリヤ 毛髪化粧料組成物
JP7199070B2 (ja) * 2017-06-30 2023-01-05 ホーユー株式会社 酸化剤含有組成物及びその使用方法
JP2019151619A (ja) * 2018-03-01 2019-09-12 大正製薬株式会社 毛髪用組成物
JP2020002036A (ja) * 2018-06-27 2020-01-09 ホーユー株式会社 酸化染毛剤組成物
JP2022054227A (ja) * 2020-09-25 2022-04-06 ホーユー株式会社 酸性染毛料組成物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83557A1 (en) * 2002-11-01 2004-05-06 Unilever Home & Personal Care Usa, Division Of Conopco, Inc. Permanent coloring of hair using carbonate salts and bicarbonate salts and using percarbamic acid precursors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986019A (en) 1971-03-30 1976-03-23 Edward J. Milbrada Oxidation hair dyes and process
US3861868A (en) 1971-03-30 1975-01-21 Procter & Gamble Dyeing human hair with oxidation dyes and arginine or a protamine protein
FR2421606A1 (fr) * 1978-04-06 1979-11-02 Oreal Procede de teinture de fibres keratiniques en deux temps
JP3462350B2 (ja) * 1996-08-26 2003-11-05 株式会社資生堂 毛髪処理用乳化物
US6432147B1 (en) * 1996-12-23 2002-08-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Hair coloring compositions
DE19754281A1 (de) * 1997-12-08 1999-06-10 Henkel Kgaa Haarfärbemittel-Zubereitung
JPH11302138A (ja) * 1998-04-21 1999-11-02 Hoyu Co Ltd 染毛剤組成物
JP3762177B2 (ja) 2000-01-25 2006-04-05 花王株式会社 毛髪処理剤
JP4095756B2 (ja) 2000-05-19 2008-06-04 ホーユー株式会社 染毛剤組成物
US7060111B2 (en) 2003-07-03 2006-06-13 Unilever Home & Personal Care Usa, Division Of Conopco, Inc. Method for providing more vibrant, natural and long-lasting color to hair
US7226487B2 (en) * 2003-07-07 2007-06-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2-(amino or substituted amino)-5-(substituted oxymethyl)-phenol compounds, dyeing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and use thereof
FR2857867B1 (fr) * 2003-07-25 2005-10-14 Oreal Utilisation en coloration capillaire de derives de ninhydrine portant un groupe heteroalkyle
CA2588546A1 (en) 2004-12-02 2006-06-0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Hair colouring compositions
JP2006282627A (ja) * 2005-04-04 2006-10-19 Takasago Internatl Corp 染毛剤用安定組成物
JP2007001890A (ja) * 2005-06-22 2007-01-11 Mandom Corp 毛髪脱色剤又は酸化染毛剤用組成物
EP1820488A3 (en) * 2006-02-16 2010-09-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Hair colouring compositions
JP5142511B2 (ja) 2006-11-22 2013-02-13 玉理化学株式会社 2剤式毛髪脱色・染毛剤
JP2009078985A (ja) * 2007-09-25 2009-04-16 Hoyu Co Ltd 染毛剤組成物
JP5474289B2 (ja) 2007-10-12 2014-04-16 花王株式会社 多剤型染毛剤組成物
BRPI0822897B1 (pt) * 2008-08-04 2018-08-28 Hoyu Kk composição de preparação de descoloração de pêlo
EP2177203A1 (en) * 2008-10-20 2010-04-21 KPSS-Kao Professional Salon Services GmbH Colouring and perming compositions for hair
GB0911493D0 (en) * 2009-07-02 2009-08-12 Univ Leeds Catalysed dye system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83557A1 (en) * 2002-11-01 2004-05-06 Unilever Home & Personal Care Usa, Division Of Conopco, Inc. Permanent coloring of hair using carbonate salts and bicarbonate salts and using percarbamic acid precurs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47842A1 (en) 2016-07-27
EP3047842B1 (en) 2019-03-20
JP2016132662A (ja) 2016-07-25
KR20160090755A (ko) 2016-08-01
HK1258037A1 (zh) 2019-11-01
TWI690331B (zh) 2020-04-11
JP6787539B2 (ja) 2020-11-18
US10226408B2 (en) 2019-03-12
US20160213583A1 (en) 2016-07-28
TW201626979A (zh) 2016-08-01
CN108852877B (zh) 2021-08-17
CN105816340A (zh) 2016-08-03
CN108852877A (zh) 2018-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9481B1 (ko) 염모제 조성물 및 염모제 조성물의 색조 안정화 방법
CN107638301B (zh) 氧化染发剂第一剂和氧化染发剂组合物的色调稳定化方法
KR102619480B1 (ko) 산화염모제 제1 제 및 산화염모제 조성물의 색조 안정화 방법
JP2020083786A (ja) 酸化染毛剤組成物
KR102453228B1 (ko) 산화염모제 조성물
JP2013035755A (ja) 毛髪化粧料組成物
JP6689740B2 (ja) 毛髪化粧料用組成物及びその使用方法
JP5737877B2 (ja) 酸性染毛料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染毛方法
JP6871735B2 (ja) 多剤式染毛剤組成物
JP6821179B2 (ja) 多剤式染毛剤組成物
JP5506249B2 (ja) 毛髪化粧料組成物
JP2010275277A (ja) 毛髪化粧料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