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3520B1 - 기판 접속 커넥터를 위한 단자, 커넥터 및 커넥터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기판 접속 커넥터를 위한 단자, 커넥터 및 커넥터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13520B1 KR102613520B1 KR1020190136312A KR20190136312A KR102613520B1 KR 102613520 B1 KR102613520 B1 KR 102613520B1 KR 1020190136312 A KR1020190136312 A KR 1020190136312A KR 20190136312 A KR20190136312 A KR 20190136312A KR 102613520 B1 KR102613520 B1 KR 10261352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fixed
- movable
- connector
- hous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8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8
- 230000013011 mat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0106 Liquid crysta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977 Liquid-crystal polymers (LCP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10000906 Bronz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74 bronz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KUNSUQLRTQLHQQ-UHFFFAOYSA-N copper tin Chemical compound [Cu].[Sn] KUNSUQLRTQLHQ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76 sold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5—U-shaped sockets having inwardly bent legs, e.g. spade typ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01R13/631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connect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05—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65—Positioning or centering articles in the moul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639—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for obtaining an insulating effect, e.g. for electrical componen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01R13/05—Resilient pins or blad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Bases; Cases formed as an integral body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8—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8—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bases or cases for contact memb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01R43/24—Assembling by moulding on contact memb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4—Electrical apparatus, e.g. sparking plugs or parts thereof
- B29L2031/36—Plugs, connectors, or parts thereof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0—Pins, blades, or sockets shaped, or provided with separate member, to retain co-operating parts toge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과제) 기판 간을 접속하는 종래의 커넥터는, 스마트 폰, 휴대 단말 등의 소형 전자 기기 내의 기판에 실장되기 때문에, 매우 작은 커넥터이다. 하우징에 매입되는 복수의 단자 자체가 작으면, 그들 단자와 하우징을 인서트 성형할 때에, 하우징으로부터 노출시키는 단자의 일부분을 충분히 금형 또는 고정 지그 등으로 극간 없이 덮을 수 없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당해 일부분으로의 수지의 유입을 막을 수 없다.
(해결 수단) 상대 단자와의 접점이 되는 가동 접점을 구비한 가동부와, 상대 단자와의 접점이 되는 고정 접점을 구비한 고정부와, 가동부와 고정부의 사이를 연결하는 저부를 포함하는 단자에 있어서, 고정 접점과 저부의 사이의 측면에 고정부의 폭을 넓히도록 구성된 경사부를 형성함으로써, 경사부가 금형 또는 고정 지그 등에 의한 지지에 적합한 돌기가 되어, 단자를 극간 없이 충분히 지지할 수 있고, 인서트 성형에 의한 하우징의 형성에 적합한 단자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상대 단자와의 접점이 되는 가동 접점을 구비한 가동부와, 상대 단자와의 접점이 되는 고정 접점을 구비한 고정부와, 가동부와 고정부의 사이를 연결하는 저부를 포함하는 단자에 있어서, 고정 접점과 저부의 사이의 측면에 고정부의 폭을 넓히도록 구성된 경사부를 형성함으로써, 경사부가 금형 또는 고정 지그 등에 의한 지지에 적합한 돌기가 되어, 단자를 극간 없이 충분히 지지할 수 있고, 인서트 성형에 의한 하우징의 형성에 적합한 단자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복수의 단자가 보유지지(保持)된 하우징을 구비한 커넥터를 제조할 때에, 복수의 단자와 하우징을 인서트 성형(일체 성형)하는 데에 적합한 단자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커넥터 제조 시에 금형에 있어서 복수의 단자의 각각을 고정하여, 하우징을 성형하는 절연체인 수지를 금형에 유입시킬 때에, 수지가 의도하지 않은 위치로 유입되는 것을 막고, 설계한 대로 단자의 일부분을 덮는 것에 적합한 단자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단자가 하우징에 인서트 성형(일체 성형) 등에 의해 배열 보유지지되어, 기판 간을 접속하는 커넥터로서, 예를 들면, 일본공개특허공보 2017-069133호(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커넥터가 있다. 당해 커넥터는, 플러그측의 커넥터(플러그 커넥터)와 접속되는 리셉터클측의 커넥터(리셉터클 커넥터)이고, 복수의 단자를 긴쪽 방향으로 배열 보유지지한, 장방형 형상의 하우징을 구비한다.
리셉터클 커넥터 및 플러그 커넥터는, 각각 프린트 배선 기판 또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등에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면 실장 등으로 프린트 배선 기판에 형성된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단부에 형성된 플러그 커넥터를 서로 감합함으로써, 기판 간을 접속할 수 있다.
종래, 리셉터클 커넥터(또는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은, 인서트 성형에 의해, 복수의 단자가 매입되어 형성된다. 인서트 성형에서는, 일반적으로, 금형, 고정 지그 등에 의해 하우징의 긴쪽 방향이 될 수 있는 방향으로 단자를 배열하고, 다음으로, 금형에 의해 정해진 공간에 절연체인 수지를 유입시킴으로써 단자의 일부분을 수지로 덮고, 마지막으로, 수지를 경화시킴으로써, 복수의 단자가 매입되어 보유지지된 하우징이 형성된다. 단자에 있어서 하우징의 수지로부터 노출되는 부분은, 수지로 덮이지 않도록 금형이나 고정 지그 등으로 수지의 유입을 막고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의 설계에 기초하여 만들어진 금형, 고정 지그 등에 의해, 단자의 표면 상의 수지의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하우징에 있어서, 단자의 표면을 수지로 덮은 부분과 수지로부터 노출시킨 부분을 나누어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기판 간을 접속하는 종래의 리셉터클 커넥터 및 플러그 커넥터는, 스마트 폰, 휴대 단말 등의 소형 전자 기기 내의 기판에 실장되기 때문에, 매우 작은 커넥터이며, 그 부품인 복수의 단자도 매우 작고, 금형, 고정 지그 등으로 그들 단자를 보유지지하여 고정하고, 인서트 성형에 의해, 설계대로 하우징을 형성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커넥터의 사이즈가 작을수록 그 난이도가 올라간다. 예를 들면, 하우징에 매입되는 복수의 단자 자체가 작으면, 그들 단자와 하우징을 인서트 성형할 때에, 하우징으로부터 노출시키는 단자의 일부분을 충분히 금형 또는 고정 지그 등으로 극간 없이 덮을 수 없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당해 일부분으로의 수지의 유입을 막을 수 없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종래의 리셉터클 커넥터의 하우징에 매입되는 복수의 단자의 각각에서는, 하우징의 수지로부터 내측에 노출된 단자의 일부분(상대 단자와의 접촉부를 구비한 스프링부를 마주보는 대향부)의 양측 측면이 평탄하다. 그 때문에, 금형 또는 고정 지그 등으로 단자를 지지할 때에, 단자의 평탄한 측면에는 지지에 적합한 돌기 등의 걸림이 없기 때문에, 금형 또는 고정 지그 등과의 극간이 없어 단자를 충분히 지지할 수 없고, 인서트 성형 시에 수지가 그 극간으로부터 유입되어, 본래라면 하우징으로부터 노출시키는 단자의 표면을 덮어버린다는 문제가 생긴다. 단자의 평탄한 측면과 금형 또는 고정 지그 등의 극간은, 예를 들면, 단자의 제조상의 오차 등의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단자의 평탄한 측면에 변형 등이 생긴 경우에 발생된다.
이상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대 단자와의 접점이 되는 가동 접점을 구비한 가동부와, 가동부에 대향하는 고정부로서 상대 단자와의 접점이 되는 고정 접점을 구비한 고정부와, 가동부와 고정부의 사이를 연결하는 저부를 포함하는 단자에 있어서, 고정 접점과 저부의 사이의 측면에 고정부의 폭을 넓히도록 구성된 경사부를 형성함으로써, 금형 또는 고정 지그 등으로 단자의 측면을 지지할 때에, 고정부의 폭을 넓힌 경사부가 금형 또는 고정 지그 등에 의한 지지에 적합한 돌기가 되어, 단자를 극간 없이 충분히 지지할 수 있고, 인서트 성형에 의한 하우징의 형성에 적합한 단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 따른 단자는, 커넥터에 이용되는 단자로서,
상대 커넥터의 상대 단자와의 접점이 되는 가동 접점을 구비한 가동부와,
상기 가동부와 대향하고, 상기 상대 단자와의 접점이 되는 고정 접점을 구비한 고정부와,
상기 가동부와 상기 고정부의 사이를 연결하는 저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한 쌍의 경사부를 갖고, 상기 경사부의 각각은 상기 고정부의 양측의 고정부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는, 상기 고정부의 폭을 넓히도록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자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상기 단자는, 상기 저부를 통하여 상기 고정부와 상기 가동부가 대향하도록, 상기 저부와 상기 고정부의 사이 및 상기 저부와 상기 가동부의 사이를 만곡시켜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에서 상기 저부의 도중까지의 사이의 단자 측면에 광폭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자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상기 단자는, 기판에 부착하기 위한 실장부를 단부에 구비한 다리부와, 상기 고정 접점 및 상기 고정부와 상기 다리부의 사이를 연결하는 정부(頂部)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다리부는, 상기 고정부와 대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는, 상기 단자와, 상기 단자를 보유지지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단자의 상기 가동부측에 감합 볼록부와, 상기 단자의 상기 고정부측에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하우징 이면에 형성된 개구부로부터 적어도 상기 저부의 저부 이면을 노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측벽부에 매입되어 지지되고, 상기 가동부와 대향하는 면 및 상기 고정부의 측면의 일부를 상기 측벽부로부터 노출시킨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상기 측벽부로부터 노출된 상기 고정부 측면의 일부에는, 상기 고정 접점의 측부인 접점 측부의 일부와, 상기 경사부의 일부와, 상기 광폭부의 일부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상기 저부의 평탄한 부분의 저부 표면과, 상기 저부 표면의 주위의 상기 하우징의 수지의 표면은 면일(面一)인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상기 고정 접점은, 상기 측벽부의 내벽면보다도, 상기 가동 접점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정부는, 상기 측벽부의 정부 벽면과 면일인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단자를 복수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단자는, 상기 하우징의 긴쪽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열되고,
상기 복수의 단자의 상기 다리부 및 상기 고정부는, 대향하는 면이 상기 측벽부에 의해 지지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 제조 방법은, 고정 지그에 의해 상기 단자를 고정측 금형에 고정하는 공정과,
상기 단자가 고정된 상기 고정측 금형에, 상기 단자를 내부에 수납 가능하도록 구성된 가동측 금형을 씌움으로써, 상기 단자를 상기 가동측 금형의 내부에 넣어, 상기 단자의 상기 경사부의 각각을 상기 가동측 금형으로 누르는 공정과,
상기 고정측 금형과 상기 가동측 금형의 사이의 공간에, 상기 하우징을 형성하기 위한 절연성의 수지를 주입하는 공정과,
상기 수지를 경화하는 공정과,
상기 가동측 금형 및 상기 고정측 금형을 떼어내고, 상기 수지를 경화하여 형태가 만들어지고, 상기 단자를 보유지지하는 하우징을 꺼내는 공정
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제조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상기 하우징의 하우징 이면에 형성된 상기 개구부는, 상기 단자로부터 상기 고정 지그를 떼어냄으로써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제조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상기 단자의 상기 경사부의 각각을 상기 가동측 금형으로 누르는 공정은, 상기 경사부의 각각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가동측 금형을 정위치에 위치 결정하는 것
을 특징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제조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상기 단자의 상기 경사부의 각각을 상기 가동측 금형으로 누르는 공정은, 상기 가동측 금형의 중앙 부분에 형성된 저부 고정벽에서, 상기 단자의 상기 저부의 저부 표면을 누르고, 상기 가동측 금형의 단 부분에 형성된 가동부 지지벽에서, 상기 단자의 상기 가동부를 지지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가동측 금형에 의해, 상기 단자의 상기 고정부의 고정부 표면과 상기 저부 고정벽의 사이의 제1 공간 및, 상기 저부 고정벽과 상기 가동부 지지벽의 사이의 제2 공간으로서, 상기 단자의 상기 가동부의 주위의 제2 공간이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대 단자와의 접점이 되는 가동 접점을 구비한 가동부와, 가동부에 대향하는 고정부로서 상대 단자와의 접점이 되는 고정 접점을 구비한 고정부와, 가동부와 고정부의 사이를 연결하는 저부를 포함하는 단자에 있어서, 고정 접점과 저부의 사이의 측면에 경사부를 형성함으로써, 금형 또는 고정 지그 등으로 단자의 측면을 지지할 때에, 경사부가 금형 또는 고정 지그 등에 의한 지지에 적합한 돌기가 되어, 단자를 극간 없이 충분히 지지할 수 있고, 인서트 성형 시에 절연체의 수지가 의도하지 않은 부분에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단자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와 상대측의 플러그 커넥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단자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와 상대측의 플러그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단자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플러그 커넥터와 감합하는 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3 중의 선 A-A를 따라 잘라낸 리셉터클 커넥터에 포함되는 단자 주변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내는 단자 주변 부분을 측면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내는 단자 주변 부분을 플러그 커넥터와 감합하는 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에 나타내는 단자 주변 부분을 기판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에 나타내는 단자 주변 부분으로부터 꺼낸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단자만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6에 나타내는 단자 주변 부분 중 하우징 부분만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7에 나타내는 단자 주변 부분 중 하우징 부분만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인서트 성형 시에 금형에 의해 단자의 하부를 지지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인서트 성형 시에 단자의 하부를 지지하는 고정측 금형에 상부로부터 다른 가동측 금형을 씌운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 중의 선 B-B를 따라 가동측 금형 및 단자를 절단하고 상방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단자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와 상대측의 플러그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단자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플러그 커넥터와 감합하는 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3 중의 선 A-A를 따라 잘라낸 리셉터클 커넥터에 포함되는 단자 주변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내는 단자 주변 부분을 측면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내는 단자 주변 부분을 플러그 커넥터와 감합하는 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에 나타내는 단자 주변 부분을 기판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에 나타내는 단자 주변 부분으로부터 꺼낸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단자만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6에 나타내는 단자 주변 부분 중 하우징 부분만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7에 나타내는 단자 주변 부분 중 하우징 부분만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인서트 성형 시에 금형에 의해 단자의 하부를 지지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인서트 성형 시에 단자의 하부를 지지하는 고정측 금형에 상부로부터 다른 가동측 금형을 씌운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 중의 선 B-B를 따라 가동측 금형 및 단자를 절단하고 상방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든 도면에 있어서, 동일 부재에는 원칙적으로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반복의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각각의 실시 형태는, 독립적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서로의 구성 요소를 조합하여 커넥터 및 단자를 구성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단자를 포함하는 커넥터(리셉터클 커넥터)와 상대측 커넥터(플러그 커넥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예를 들면, 휴대 전화나 스마트 폰, 디지털 카메라, 노트 PC 등의 소형 전자 기기에 있어서의 내부 부품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여기에서는, 본 발명에 있어서, 커넥터에 포함되는 복수의 단자가 배열된 방향을 긴쪽 방향이라고 칭하고, 긴쪽 방향은 X1-X2 방향(X축 방향)이고, 긴쪽 방향(X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짧은쪽 방향이라고 칭하고, 짧은쪽 방향은 Y1-Y2 방향(Y축 방향)이다.
커넥터의 감합 방향은, 도면 중의 Z1-Z2 방향(Z축 방향)이다. 리셉터클 커넥터(100)는, Z축 방향의 Z2측에 있는 상대 커넥터인 플러그 커넥터(200)와 감합하고, 플러그 커넥터(200)는, Z축 방향의 Z1측에 있는 상대 커넥터인 리셉터클 커넥터(100)와 감합하여,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리셉터클 커넥터(100) 및 리셉터클 단자(120)에 있어서의 상하에 대해서, 기판측(기판에 부착되는 측)을 「하」 또는 「이측」라고 하고, 플러그 커넥터(200) 및 플러그 단자(220)를 수용하는 측을 「상」 또는 「표측」이라고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인 리셉터클 커넥터(100)는, 리셉터클 하우징(110)과, 리셉터클 단자(1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크기는, 긴쪽 방향(X축 방향)은 1.5∼3.0㎜ 정도, 짧은쪽 방향(Y축 방향)은 1.5∼2.5㎜ 정도, 감합 방향(Z축 방향)은 0.5∼1.0㎜ 정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단자인 리셉터클 단자(120)는, 인 청동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리셉터클 하우징(110)의 긴쪽 방향(X축 방향)의 제1 측벽부(112)에 매입되어, 상대 단자인 플러그 단자(220)와 접촉하는 표면을 제1 측벽부(112)로부터 노출시켜 리셉터클 하우징(110)에 보유지지된다. 리셉터클 단자(120)는, 기판에 부착하기 위한 실장부(121)를 단부에 구비한다.
리셉터클 하우징(110)은, 액정 폴리머(LCP) 등의 절연성의 수지로 이루어지고, 긴쪽 방향(X축 방향)의 제1 측벽부(112) 및 짧은쪽 방향(Y축 방향)의 제2 측벽부(114)를 구비하고, 제1 측벽부(112) 및 제2 측벽부(114)로 둘러싸인 중앙 부분에 긴쪽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재(延在)한 감합 볼록부(116)를 구비한다. 즉, 리셉터클 하우징(110)은, 리셉터클 단자(120)의 가동부(127)측에, 감합 볼록부(116)와, 리셉터클 단자(120)의 고정부(125)측에 제1 측벽부(112)를 포함한다.
상대 커넥터인 플러그 커넥터(200)는, 플러그 하우징(210)과, 플러그 단자(2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200)의 크기는, 긴쪽 방향(X축 방향)은 1.0∼2.5㎜ 정도, 짧은쪽 방향(Y축 방향)은 1.2∼2.0㎜ 정도, 감합 방향(Z축 방향)은 0.4∼0.8㎜ 정도이다. 플러그 단자(220)는, 인 청동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플러그 하우징(210)의 긴쪽 방향(X축 방향)의 제1 측벽부(212)에 매입되어, 리셉터클 단자(120)와 접촉하는 표면을 제1 측벽부(212)로부터 노출시켜, 플러그 하우징(210)에 보유지지된다. 플러그 단자(220)는, 기판에 부착하기 위한 실장부(221)를 단부에 구비한다. 플러그 하우징(210)은, 액정 폴리머(LCP) 등의 절연성의 수지로 이루어지고, 긴쪽 방향(X축 방향)의 제1 측벽부(212) 및 짧은쪽 방향(Y축 방향)의 제2 측벽부(214)를 구비하고, 제1 측벽부(212) 및 제2 측벽부(214)로 둘러싸인 중앙 부분에 감합 오목부(216)(도 2 참조)를 구비한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리셉터클 커넥터(100) 및 상대측의 커넥터인 플러그 커넥터(200)를 각각 짧은쪽 방향(Y축 방향)으로, 리셉터클 단자(120) 및 플러그 단자(220)가 있는 위치로부터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에서는, 도 1에서는 도시하지 않았던 기판도 나타낸다. 여기에서는, 프린트 배선 기판 및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등, 커넥터가 실장되는 것을, 간단히 「기판」이라고 칭한다. 리셉터클 단자(120)의 실장부(121)는, 납땜 등에 의해 기판(300)에 부착되고, 플러그 단자(220)의 실장부(221)는, 납땜 등에 의해 기판(400)에 부착된다. 리셉터클 커넥터(100)와 플러그 커넥터(200)의 감합 상태에 있어서, 감합 볼록부(116)는, 감합 오목부(216)에 수용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리셉터클 단자(120)는, 기판측의 단부에 실장부(121)를 구비하고, 실장부(121)로부터 상방(Z축 방향의 Z2측)으로 만곡된 부분을 통하여 다리부(122)를 구비하는 다리부(122)는, 고정 접점(124) 및 고정부(125)와 리셉터클 하우징(110)의 제1 측벽부(112)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고, 다리부(122)와 고정 접점(124) 및 고정부(125)의 사이는, 제1 측벽부(112)의 단부에 위치하는 정부(123)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도 2와 함께 도 1을 아울러 참조하면, 다리부(122)의 주위는, 정부(123)에 인접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모두 리셉터클 하우징(110)의 수지로 덮여 있다. 즉, 다리부(122)는, 정부(123)에 인접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제1 측벽부(112)에 매입되어, 리셉터클 하우징(110)에 보유지지된다. 다리부(122), 정부(123), 고정 접점(124) 및 고정부(125)의 이면(상대 단자에 접촉하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은, 제1 측벽부(112)에 의해 지지된다. 즉, 리셉터클 단자(120)의 다리부(122) 및 고정부(125)는, 각각 대향하는 면이 제1 측벽부(112)에 의해 지지된다.
고정 접점(124)은, 정부(123)에 인접한 고정부(125)의 부분을, 가동 접점(128)측(Y1측에 고정부(125)가 있으면 Y2측, Y2측에 고정부(125)가 있으면 Y1측)으로 돌출시켜 형성된다. 고정 접점(124)은, 상대 단자인 플러그 단자(220)와의 감합 상태에 있어서, 외측 다리부(225)에 맞닿아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고정 접점(124) 및 고정부(125)는, 상대 단자와의 감합 시에 움직이는 일이 없도록, 상대 단자와 접촉하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이 제1 측벽부(112)에 의해 지지되어 고정된다.
리셉터클 단자(120)는, 고정부(125)와 가동부(127)의 사이에, 그들과 연결되어 있는 저부(126)를 포함한다. 저부(126)는,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짧은쪽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직각으로 만곡된 부분을 통하여 고정부(125) 및 가동부(127)에 연결되어 있다. 저부(126)의 기판측(상대 단자를 수용하는 면(Z2측의 면)과는 반대측(Z1측))의 면의 일부분은, 리셉터클 하우징(110)의 감합 볼록부(116) 부근의 수지에 의해 지지된다.
가동부(127)는, 감합 볼록부(116)의 측벽에는 접하고 있지 않아 자유단이고, 단부 주변을 고정 접점(124)측으로 돌출시켜 형성된 가동 접점(128)을 포함하고, 가동 접점(128)보다도 가장자리에는 가동 단부(129)를 포함한다. 가동부(127)는, 상대 단자인 플러그 단자(220)를 수용하여 감합할 때에, 탄성에 의해 감합 볼록부(116)측으로 눌려 변형하고, 감합 상태에 있어서, 가동 접점(128)은, 플러그 단자(220)의 내측 다리부(222)에 맞닿아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플러그 단자(220)는, 기판측의 단부에 실장부(221)를 구비하고, 실장부(221)로부터 하방으로 만곡된 부분을 통하여 내측 다리부(222)를 구비한다. 내측 다리부(222)는, 외측 다리부(225)와 플러그 하우징(210)의 제1 측벽부(212)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고, 내측 다리부(222)와 외측 다리부(225)의 사이는, 제1 측벽부(212)의 단부에 위치하는 정부(223)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내측 다리부(222), 정부(223), 접점(224), 외측 다리부(225)의 이면(상대 단자에 접촉하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은, 제1 측벽부(212)에 의해 지지된다.
접점(224)은, 정부(223)에 인접한 외측 다리부(225)의 부분을 외측으로 돌출시켜 형성되고, 상대 단자인 리셉터클 단자(120)와의 감합 상태에 있어서, 고정부(125)에 맞닿아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내측 다리부(222), 정부(223), 접점(224) 및 외측 다리부(225)는, 상대 단자와의 감합 시에 움직이는 일이 없도록 제1 측벽부(212)에 의해 고정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단자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상측(플러그 커넥터와 감합하는 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3에서는,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있어서의 복수의 단자 중 일부에 부호 「120」을 부여하고, 그 외의 동일한 형상의 단자의 부호를 생략하여 나타낸다. 리셉터클 하우징(110)은, 리셉터클 단자(120)를 복수 포함하고, 복수의 리셉터클 단자(120)는, 리셉터클 하우징(110)의 긴쪽 방향(X축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열된다.
도 3 중의 선 A-A를 따라 잘라낸 단자 주변 부분을 도 4 내지 도 7에 나타낸다. 도 4는, 선 A-A를 따라 잘라낸 단자 주변 부분을 상방으로부터 본 도면이고, 도 5는 단자 주변 부분을 측면(X축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6은, 선 A-A를 따라 잘라낸 단자 주변 부분을 상방(Z축 방향의 Z2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고, 도 7은, 단자 주변 부분을 하방(Z축 방향의 Z1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나타나는 바 같이, 리셉터클 단자(120)의 가동 단부(129)는,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감합 볼록부(116)에 형성된 공간에 들어가게 되어, 상대 단자인 플러그 단자(220)와의 감합 상태에 있어서, 가동부(127)가 변형하여 가동 단부(129)는 감합 볼록부(116)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단자(120)는, 감합 방향(Z축 방향)의 플러그 커넥터(200)측(Z2측)으로부터 보면 좌우 대칭이고, 한쪽의 편측의 구성은, 당연한 것이지만 다른 한쪽의 편측의 구성과 동일하다.
도 5 및 도 7 등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단자(120)의 고정부(125)는, 제1 측벽부(112)에 매입되어 지지되고, 가동부(127)와 대향하는 고정부 표면(125A) 및 고정부(125)의 고정부 측면(125B)(고정 접점(124)과 저부(126)의 사이의 측면)의 일부는, 제1 측벽부(112)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즉, 고정부(125)의 고정부 측면(125B)은, 리셉터클 단자(120)의 판두께까지, 리셉터클 하우징(110)의 수지에 의해 모두 덮이는 것은 아니다. 고정부 표면(125A) 및 고정부 측면(125B)의 일부분은, 제1 측벽부(112)의 내벽면(112A)으로부터 노출된 상태로, 고정부(125)가 제1 측벽부(112)에 지지 고정된다.
도 4 내지 도 7 등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단자(120)의 고정 접점(124)은, 제1 측벽부(112)의 내벽면(112A)보다도 감합 볼록부(116)측으로 돌출되고, 고정 접점(124)의 접점 측면(131)이 제1 측벽부(112)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리셉터클 하우징(110)의 기판에 대향하는 면인 하우징 이면(110A)에는, 개구부(140)가 형성되어, 적어도 리셉터클 단자(120)의 저부(126)의 이면인 저부 이면(126B) 및 그 주변의 만곡 부분이 개구부(140)로부터 노출된다.
도 8은, 도 6에 나타내는 단자 주변 부분으로부터 꺼낸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단자만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더하여,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고정부(125)는, 고정부 측면(125B)에 있어서, 고정 접점(124)과 저부(126)의 사이의 위치에 경사부(130)를 구비한다. 경사부(130)는, 고정부(125)의 폭을 넓히도록 형성된다. 고정부(125)는, 한 쌍의 경사부(130)를 갖고 있고, 경사부(130)의 각각은, 고정부(125) 양측의 고정부 측면(125B)에 형성된다. 즉, 고정부(125)는, 한 쌍의 경사부(130) 중 한쪽의 경사부를 한쪽의 측의 고정부 측면(125B)에, 다른 한쪽의 경사부를 다른 한쪽의 측의 고정부 측면(125B)에 각각 구비한다.
리셉터클 단자(120)는, 저부(126)를 통하여 고정부(125)와 가동부(127)가 대향하도록 저부(126)와 고정부(125)의 사이를, 저부(126)에 대하여 감합 방향(Z축 방향) 상방(Z2측)으로 만곡시키고, 저부(126)와 가동부(127)의 사이도 동일하게, 저부(126)에 대하여 감합 방향(Z축 방향) 상방(Z2측)으로 만곡시킴으로써, 리셉터클 단자(120)의 고정부(125)에서 저부(126)를 통하여 가동부(127)까지의 부분은 U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리셉터클 단자(120)는, 경사부(130)와 저부(126)의 사이의 단자 측면(경사부(130)와 저부(126)의 사이의 만곡 부분 및 그 주변 부분의 측면)으로 광폭부(132)를 갖는다. 즉, 광폭부(132)는, 고정부(125)의 경사부(130)에서 만곡 부분을 통하여 저부(126)의 측면의 도중까지의 사이에 형성된다.
도 5 또는 도 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고정부(125)의 고정부 측면(125B)의 일부는, 제1 측벽부(112)로부터 노출된다. 고정부(125)의 고정부 측면(125B)의 일부에는, 접점 측면(131)의 일부와, 고정부(125)의 고정부 측면(125B)에 형성된 경사부(130)의 일부와, 광폭부(132)의 일부를 포함한다. 저부(126)의 평탄한 부분의 표면인 저부 표면(126A)은, 저부 표면(126A)의 주위의 리셉터클 하우징(110)의 수지의 표면과 면일이다. 또한, 고정 접점(124)은, 제1 측벽부(112)의 내벽면보다도, 가동 접점(128)측으로 돌출되고, 정부(123)는, 제1 측벽부(112)의 정부 벽면(112B)과 면일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단자 주변 부분 중 하우징 부분만을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다. 리셉터클 단자(120)와의 인서트 성형에 의해 형성되는 리셉터클 하우징(110)은, 절연체의 수지가 리셉터클 단자(120)의 주위를 둘러싸고, 리셉터클 단자(120)를 지지하는 하우징 부분은, 리셉터클 단자(120)의 경사부(130)에 접하는 경사 내벽부(141)와, 광폭부(132)에 접하는 광폭 내벽부(142)와, 정부(123)의 이면(기판측의 면)을 지지하는 지지 정부(143)를 포함한다. 또한, 리셉터클 하우징(110)의 이면인 하우징 이면(110A)에는, 리셉터클 단자(120)의 저부(126)의 저부 이면(126B) 및 그 주변 부분을 노출하는 개구부(140) 외에, 실장부(121)를 지지하는 지지 실장부(144)를 포함한다.
도 11은, 인서트 성형 시에 금형에 의해 리셉터클 단자의 하부를 지지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복수의 리셉터클 단자(120)를 긴쪽 방향(X축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2열로 배열한 리셉터클 하우징(110)을 인서트 성형에 의해 형성하기 위해, 리셉터클 단자(120)는, 고정측 금형(500)의 고정 지그(510)에 의해 금형에 고정된다. 고정 지그(510)는, 리셉터클 단자(120)의 저부(126)의 저부 이면(126B) 및 그 주변의 만곡 부분을 지지하여 고정한다. 도 7 및 도 10에 나타나는, 리셉터클 하우징(110)의 하우징 이면(110A)에 형성되는 개구부(140)는, 인서트 성형 후에 고정 지그(510)를 떼어낸 흔적이다. 즉, 개구부(140)는, 리셉터클 단자(120)를 고정하고 있던 금형, 고정 지그 등을, 인서트 성형 종료 후에 리셉터클 단자(120)로부터 떼어냈을 때에 형성되는 구멍이다.
도 12는, 인서트 성형 시에 단자의 하부(Z축 방향의 Z1측)를 지지하는 고정측 금형에 상부(Z축 방향의 Z2측)로부터 다른 가동측 금형을 씌운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가동측 금형(600)은, 고정 지그(510)로 고정측 금형(500)에 고정된 리셉터클 단자(120)를 내부에 수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측 금형(600)은, 리셉터클 단자(120)를 고정 지그(510)로 고정한 고정측 금형(500)에 씌움으로써, 리셉터클 단자(120)를 가동측 금형(600)의 내부에 넣어, 리셉터클 단자(120)의 다리부(122)의 주위, 다리부(122)와 고정부(125)의 사이, 저부 이면(126B)과 고정측 금형(500)의 사이에 수지가 들어가는 공간을 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리부(122)와 고정부(125)의 사이 및 다리부(122)의 외측(도 12 중의 Y2측)에, 가동측 금형(600)에 의해, 제1 수지 충전 공간(520) 및 제2 수지 충전 공간(530)이 각각 가능하다. 이때에, 리셉터클 단자(120)의 경사부(130)의 각각은, 가동측 금형(600)에 의해 눌려진다.
가동측 금형(600)은, 리셉터클 단자(120)의 가동부(127)측(도 12 중의 Y1측)의 단 부분에, 가동부(127)를 지지하여 인서트 성형 시에 수지의 침입을 막기 위한 가동부 지지벽(610)을 갖는다. 또한, 가동측 금형(600)은, 저부(126)의 저부 표면(126A)에 맞닿고, 저부 이면(126B)을 고정하기 위해 고정 지그(510)와의 사이에, 저부(126)를 사이에 두기 위한 저부 고정벽(612)을 중앙 부분에 갖는다. 또한, 가동측 금형(600)은, 다리부(122)측(도 12 중의 Y2측)에, 다리부(122)의 제2 수지 충전 공간(530)을 정하는 외측벽부(614)를 갖는다.
가동측 금형(600)으로 리셉터클 단자(120)의 측면을 지지할 때에, 리셉터클 단자(120)의 한 쌍의 경사부(130)는, 가동측 금형(600)에 의한 지지에 적합한 돌기가 되어, 리셉터클 단자(120)를 극간 없이 충분히 지지할 수 있다. 즉, 인서트 성형을 행할 때에, 가동측 금형(600)을 위(Z2측)에서 아래(Z1측)로 움직여, 가동측 금형(600)을 고정측 금형(500)에 씌웠을 때에, 가동측 금형(600)은, 리셉터클 단자(120)의 한 쌍의 경사부(130)를 돌기로 하여 확실히 누를 수 있어, 리셉터클 단자(120)를 고정측 금형(500)에 확실히 고정할 수 있다. 또한, 가동측 금형(600)은, 리셉터클 단자(120)의 한 쌍의 경사부(130)를 누름으로써, 경사부(130)의 각각의 위치를 기준으로, 가동측 금형(600)을 정위치로 위치 결정할 수 있어, 가동측 금형(600)의 어긋남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금형과 단자의 사이의 극간을 미리 막을 수 있다.
인서트 성형에 의해, 1 이상의 리셉터클 단자(120)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하우징(110)을 형성할 때에, 우선, 고정측 금형(500), 가동측 금형(600), 고정 지그(510) 등에 의해 리셉터클 하우징(110)의 긴쪽 방향(X축 방향)이 될 수 있는 방향으로 단자를 배열한다. 다음으로, 금형에 의해 정해진 공간(제1 수지 충전 공간(520) 및 제2 수지 충전 공간(530) 등)에 유동성이 있는 절연성 수지를 유입시킴으로써, 리셉터클 단자(120)의 정부(123)의 주변 부분을 제외한 다리부(122)의 주위를 모두 수지로 덮을 수 있다. 또한, 리셉터클 단자(120)의 정부(123), 고정부(125)의 고정부 표면(125A)과 고정부 측면(125B)의 일부, 저부 표면(126A) 및, 가동부(127)를 수지로부터 노출시키고, 그 이외의 부분을 수지로 덮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수지를 경화시킨 후, 가동측 금형(600) 및 고정측 금형(500)을 떼어내고, 수지의 경화에 의해 형태가 만들어진 하우징을 꺼낼 수 있다. 최종적으로, 복수의 리셉터클 단자(120)가 매입되어 보유지지된 리셉터클 하우징(110)을 형성할 수 있다.
리셉터클 단자(120)에 있어서, 리셉터클 하우징(110)의 수지로부터 노출시키는 부분은, 고정 접점(124)의 접점 측면(131), 고정부(125)의 고정부 측면(125B), 경사부(130), 광폭부(132)의 만곡 부분의 주변 부분을 가동측 금형(600)으로 눌러 덮고, 실장부(121)의 주변 부분을 고정측 금형(500)으로 덮음으로써, 인서트 성형 시에 수지의 유입을 막을 수 있다. 특히, 리셉터클 단자(120)의 고정부(125)의 고정부 측면(125B)에 형성된 경사부(130)는, 금형 또는 고정 지그 등에 의한 지지에 적합한 돌기로서 기능하고, 측면에 경사부를 형성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가동측 금형(600)에 의해 리셉터클 단자(120)를 고정 지그(510)에 밀어붙이는 수직 방향(Z축 방향의 Z1측)의 힘이, 리셉터클 단자(120)의 경사부(130)에도 전해져, 리셉터클 단자(120)(특히, 고정부(125))의 측면을 극간 없이 덮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가동측 금형(600)에 의해 리셉터클 단자(120)의 경사부(130)를 이용하여, 리셉터클 단자(120)를 고정측 금형(500)으로 사이에 둠으로써, 리셉터클 단자(120)의 고정부 측면(125B)을 극간 없이 지지할 수 있고, 리셉터클 단자(120)의 표면이나, 고정부(125)의 고정부 측면(125B)의 일부에 수지의 유입을 적절히 막을 수 있고, 인서트 성형을 거쳐, 예를 들면, 도 3 내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리셉터클 하우징(110)을 형성할 수 있다.
단자의 평탄한 측면과 금형 또는 고정 지그 등의 극간은, 예를 들면, 단자의 제조 상의 오차 등의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단자의 평탄한 측면에 변형 등이 발생한 경우에 일어나는 경우가 있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단자인 리셉터클 단자(120)의 측면에 경사부(130)를 형성함으로써, 가동측 금형(600)에 의한 수직 방향으로 누르는 힘이 경사부(130)에 전해져, 종래보다 강하게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단자의 평탄한 측면에 변형 등이 있었다고 해도, 그에 따라 생기는 측면과 금형의 극간을 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리셉터클 단자(120)의 표면이나, 고정부(125)의 고정부 측면(125B)의 일부에 수지의 유입을 적절히 막을 수 있다.
도 13은, 도 12 중의 선 B-B를 따라 금형 및 단자를 절단하여 상방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리셉터클 단자(120)의 고정부(125)의 고정부 측면(125B)은, 가동측 금형(600)의 저부 고정벽(612)의 표면에 오목 형상으로 형성된 홈 부분의 측면에 접하고, 경사부(130)는, 그 형상에 맞춰 형성된 가동측 금형(600)의 저부 고정벽(612)의 홈 부분에서 극간 없이 지지된다. 리셉터클 단자(120)의 고정부(125)의 고정부 표면(125A)과, 고정부(125)보다도 돌출한 고정 접점(124)에 면하는 저부 고정벽(612)의 사이에는 제1 공간(616)이 생기지만, 제1 공간(616)은 주위를 가동측 금형(600)(저부 고정벽(612))에 의해 극간 없이 막혀 있기 때문에, 인서트 성형 시에, 수지가 유입되지 않는 공간이다. 이러한 극간을 막음으로써, 리셉터클 단자(120)의 고정부(125)의 고정부 표면(125A) 및 고정부 측면(125B)의 일부를 리셉터클 하우징(110)의 수지로부터 노출시킬 수 있다.
가동부(127)와 저부 고정벽(612)의 사이에도 제2 공간(618)이 생기지만, 제2 공간(618)의 주위를 가동부 지지벽(610)과 저부 고정벽(612)에 의해 극간 없이 막혀 있기 때문에, 인서트 성형 시에, 수지가 유입되지 않는 공간이다. 이러한 극간을 막음으로써, 가동부(127)를 리셉터클 하우징(110)의 수지로부터 노출시킬 수 있다. 고정부(125)와 다리부(122)의 사이는, 수지를 충전하기 위한 공간인 제1 수지 충전 공간(520)이고, 다리부(122)와 외측벽부(614)의 사이도, 동일하게, 수지를 충전하기 위한 공간인 제2 수지 충전 공간(530)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개개의 실시 형태는, 독립적인 것이 아니라, 각각 조합하여 적절히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전기 신호의 고속 전송을 행하는 스마트 폰, 휴대 전화 등의 전자 기기에 있어서, 기판 간을 플랫 케이블로 접속하는 등의 용도에 이용할 수 있다.
100 : 리셉터클 커넥터
110 : 리셉터클 하우징
110A : 하우징 이면
112 : 제1 측벽부
112A : 내벽면
112B : 정부 벽면
114 : 제2 측벽부
116 : 감합 볼록부
120 : 리셉터클 단자
121 : 실장부
122 : 다리부
123 : 정부
124 : 고정 접점
125 : 고정부
125A : 고정부 표면
125B : 고정부 측면
126 : 저부
126A : 저부 표면
126B : 저부 이면
127 : 가동부
128 : 가동 접점
129 : 가동 단부
130 : 경사부
131 : 접점 측면
132 : 광폭부
140 : 개구부
141 : 경사 내벽부
142 : 광폭 내벽부
143 : 지지 정부
144 : 지지 실장부
200 : 플러그 커넥터
210 : 플러그 하우징
212 : 제1 측벽부
214 : 제2 측벽부
216 : 감합 오목부
220 : 플러그 단자
221 : 실장부
222 : 내측 다리부
223 : 정부
224 : 접점
225 : 외측 다리부
300 : 기판
400 : 기판
500 : 고정측 금형
510 : 고정 지그
520 : 제1 수지 충전 공간
530 : 제2 수지 충전 공간
600 : 가동측 금형
610 : 가동부 지지벽
612 : 저부 고정벽
614 : 외측벽부
616 : 제1 공간
618 : 제2 공간
110 : 리셉터클 하우징
110A : 하우징 이면
112 : 제1 측벽부
112A : 내벽면
112B : 정부 벽면
114 : 제2 측벽부
116 : 감합 볼록부
120 : 리셉터클 단자
121 : 실장부
122 : 다리부
123 : 정부
124 : 고정 접점
125 : 고정부
125A : 고정부 표면
125B : 고정부 측면
126 : 저부
126A : 저부 표면
126B : 저부 이면
127 : 가동부
128 : 가동 접점
129 : 가동 단부
130 : 경사부
131 : 접점 측면
132 : 광폭부
140 : 개구부
141 : 경사 내벽부
142 : 광폭 내벽부
143 : 지지 정부
144 : 지지 실장부
200 : 플러그 커넥터
210 : 플러그 하우징
212 : 제1 측벽부
214 : 제2 측벽부
216 : 감합 오목부
220 : 플러그 단자
221 : 실장부
222 : 내측 다리부
223 : 정부
224 : 접점
225 : 외측 다리부
300 : 기판
400 : 기판
500 : 고정측 금형
510 : 고정 지그
520 : 제1 수지 충전 공간
530 : 제2 수지 충전 공간
600 : 가동측 금형
610 : 가동부 지지벽
612 : 저부 고정벽
614 : 외측벽부
616 : 제1 공간
618 : 제2 공간
Claims (13)
- 커넥터에 이용되는 단자로서,
상대 커넥터의 상대 단자와의 접점이 되는 가동 접점을 구비한 가동부와,
상기 가동부와 대향하고, 상기 상대 단자와의 접점이 되는 고정 접점을 구비한 고정부와,
상기 가동부와 상기 고정부의 사이를 연결하는 저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한 쌍의 경사부를 갖고, 상기 경사부의 각각은 상기 고정부의 양측의 고정부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는, 상기 고정부의 폭을 넓히도록 형성되며,
상기 단자는, 상기 저부를 통하여 상기 고정부와 상기 가동부가 대향하도록, 상기 저부와 상기 고정부의 사이 및 상기 저부와 상기 가동부의 사이를 만곡시켜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에서 상기 저부의 도중까지의 사이의 단자 측면에 광폭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는, 기판에 부착하기 위한 실장부를 단부에 구비한 다리부와, 상기 고정 접점 및 상기 고정부와 상기 다리부의 사이를 연결하는 정부(頂部)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다리부는, 상기 고정부와 대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 단자와, 상기 단자를 보유지지(保持)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커넥터로서,
상기 단자는, (i) 상대 커넥터의 상대 단자와의 접점이 되는 가동 접점을 구비한 가동부와, (ii) 상기 가동부와 대향하고, 상기 상대 단자와의 접점이 되는 고정 접점을 구비한 고정부와, (iii) 상기 가동부와 상기 고정부의 사이를 연결하는 저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한 쌍의 경사부를 갖고, 상기 경사부의 각각은 상기 고정부의 양측의 고정부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는, 상기 고정부의 폭을 넓히도록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단자의 상기 가동부측에 감합 볼록부와, 상기 단자의 상기 고정부측에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하우징 이면에 형성된 개구부로부터 적어도 상기 저부의 저부 이면을 노출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측벽부에 매입되어 지지되고, 상기 가동부와 대향하는 면 및 상기 고정부의 측면의 일부를 상기 측벽부로부터 노출시킨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삭제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에서 상기 저부의 도중까지의 사이의 단자 측면에 광폭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측벽부로부터 노출된 상기 고정부 측면의 일부에는, 상기 고정 접점의 측부인 접점 측부의 일부와, 상기 경사부의 일부와, 상기 광폭부의 일부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저부의 평탄한 부분의 저부 표면과, 상기 저부 표면의 주위의 상기 하우징의 수지의 표면은 면일(面一)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는, 기판에 부착하기 위한 실장부를 단부에 구비한 다리부와, 상기 고정 접점 및 상기 고정부와 상기 다리부의 사이를 연결하는 정부(頂部)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고정 접점은, 상기 측벽부의 내벽면보다도, 상기 가동 접점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정부는, 상기 측벽부의 정부 벽면과 면일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는, 기판에 부착하기 위한 실장부를 단부에 구비한 다리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단자를 복수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단자는, 상기 하우징의 긴쪽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열되고,
상기 복수의 단자의 상기 다리부 및 상기 고정부는, 대향하는 면이 상기 측벽부에 의해 지지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커넥터를 제조하는 커넥터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커넥터는, 단자와, 상기 단자를 보유지지(保持)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단자는, (i) 상대 커넥터의 상대 단자와의 접점이 되는 가동 접점을 구비한 가동부와, (ii) 상기 가동부와 대향하고, 상기 상대 단자와의 접점이 되는 고정 접점을 구비한 고정부와, (iii) 상기 가동부와 상기 고정부의 사이를 연결하는 저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한 쌍의 경사부를 갖고, 상기 경사부의 각각은 상기 고정부의 양측의 고정부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는, 상기 고정부의 폭을 넓히도록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단자의 상기 가동부측에 감합 볼록부와, 상기 단자의 상기 고정부측에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하우징 이면에 형성된 개구부로부터 적어도 상기 저부의 저부 이면을 노출하며,
상기 커넥터 제조 방법은,
고정 지그에 의해 상기 단자를 고정측 금형에 고정하는 공정과,
상기 단자가 고정된 상기 고정측 금형에, 상기 단자를 내부에 수납 가능하도록 구성된 가동측 금형을 씌움으로써, 상기 단자를 상기 가동측 금형의 내부에 넣어, 상기 단자의 상기 경사부의 각각을 상기 가동측 금형으로 누르는 공정과,
상기 고정측 금형과 상기 가동측 금형의 사이의 공간에, 상기 하우징을 형성하기 위한 절연성의 수지를 주입하는 공정과,
상기 수지를 경화하는 공정과,
상기 가동측 금형 및 상기 고정측 금형을 떼어내고, 상기 수지를 경화하여 형태가 만들어지고, 상기 단자를 보유지지하는 하우징을 꺼내는 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제조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우징 이면에 형성된 상기 개구부는, 상기 단자로부터 상기 고정 지그를 떼어냄으로써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제조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의 상기 경사부의 각각을 상기 가동측 금형으로 누르는 공정은, 상기 경사부의 각각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가동측 금형을 정위치에 위치 결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제조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의 상기 경사부의 각각을 상기 가동측 금형으로 누르는 공정은, 상기 가동측 금형의 중앙 부분에 형성된 저부 고정벽에서, 상기 단자의 상기 저부의 저부 표면을 누르고, 상기 가동측 금형의 단 부분에 형성된 가동부 지지벽에서, 상기 단자의 상기 가동부를 지지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가동측 금형에 의해, 상기 단자의 상기 고정부의 고정부 표면과 상기 저부 고정벽의 사이의 제1 공간 및, 상기 저부 고정벽과 상기 가동부 지지벽의 사이의 제2 공간으로서, 상기 단자의 상기 가동부의 주위의 제2 공간이 정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8226801A JP7202866B2 (ja) | 2018-12-03 | 2018-12-03 | 基板接続コネクタ向けの端子、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製造方法 |
JPJP-P-2018-226801 | 2018-12-03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67083A KR20200067083A (ko) | 2020-06-11 |
KR102613520B1 true KR102613520B1 (ko) | 2023-12-12 |
Family
ID=70848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36312A KR102613520B1 (ko) | 2018-12-03 | 2019-10-30 | 기판 접속 커넥터를 위한 단자, 커넥터 및 커넥터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10931049B2 (ko) |
JP (2) | JP7202866B2 (ko) |
KR (1) | KR102613520B1 (ko) |
CN (1) | CN111262081B (ko) |
TW (1) | TWI795593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09822934U (zh) * | 2019-03-28 | 2019-12-20 | 东莞富强电子有限公司 | 弹片 |
JP7484062B2 (ja) | 2020-08-17 | 2024-05-16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基板接続コネクタ |
JP7480073B2 (ja) | 2021-01-25 | 2024-05-09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インサート成形された端子を備えるコネクタ |
US20220295639A1 (en) * | 2021-03-10 | 2022-09-15 | Monolithic Power Systems, Inc. | Sandwich structure power supply module |
JP2023035715A (ja) * | 2021-09-01 | 2023-03-13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90061655A1 (en) | 2007-08-31 | 2009-03-05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Connector |
US20130137307A1 (en) | 2011-11-24 | 2013-05-30 |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 Plug connector, receptacle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
JP2017069133A (ja) | 2015-10-01 | 2017-04-06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Family Cites Families (2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90001470B1 (ko) * | 1983-09-30 | 1989-05-04 | 호시덴기세이조오 가부시기가이샤 | 접편(接片)을 매설지지시킨 스위치 구조체 |
US6503101B1 (en) * | 2001-12-04 | 2003-01-07 |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 Electrical connector having grounding path |
TWM250386U (en) * | 2003-08-08 | 2004-11-11 | Hon Hai Prec Ind Co Ltd | Electrical connector |
CN2667690Y (zh) * | 2003-09-06 | 2004-12-29 |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 电连接器 |
CN2736999Y (zh) * | 2004-09-23 | 2005-10-26 |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 电连接器组合 |
JP4287825B2 (ja) * | 2005-01-28 | 2009-07-01 |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 基板接続用コネクタ |
JP2007018785A (ja) * | 2005-07-06 | 2007-01-25 | D D K Ltd | コネクタ |
JP4694466B2 (ja) * | 2006-12-27 | 2011-06-08 |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 基板用コネクタ |
JP4454036B2 (ja) * | 2007-06-06 | 2010-04-21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回路基板用雄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
JP4445982B2 (ja) * | 2007-06-29 | 2010-04-07 | ホシデン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5623694B2 (ja) * | 2008-05-12 | 2014-11-12 | オムロン株式会社 | コネクタ |
TWI394327B (zh) * | 2008-09-16 | 2013-04-21 | Hon Hai Prec Ind Co Ltd | 電連接器 |
US20120122350A1 (en) * | 2009-06-29 | 2012-05-17 | Human Electronics Co., Ltd. | Board-to-board-type connector |
JP5498883B2 (ja) * | 2010-04-27 | 2014-05-21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電気コネクタ |
JP5890117B2 (ja) * | 2011-07-07 | 2016-03-22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US8986027B2 (en) * | 2012-10-31 | 2015-03-24 |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 Connector |
US8888506B2 (en) * | 2013-01-29 | 2014-11-18 |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 Connector |
JP6199666B2 (ja) * | 2013-09-04 | 2017-09-20 |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 基板対基板コネクタ |
JP5881666B2 (ja) * | 2013-11-19 | 2016-03-09 | 京セラコネクタプロダクツ株式会社 | リセプタクルコネクタの製造方法 |
US9065228B2 (en) * | 2013-11-21 | 2015-06-23 |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 Connector |
CN103715556A (zh) * | 2013-11-25 | 2014-04-09 | 立讯精密工业(昆山)有限公司 | 插座连接器、插头连接器及连接器组件 |
US9300064B2 (en) * | 2014-01-17 | 2016-03-29 |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 Connector |
US9755337B2 (en) * | 2014-09-02 | 2017-09-05 | Apple Inc. | Waterproof board-to-board connectors |
JP6341876B2 (ja) * | 2015-04-01 | 2018-06-13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
JP6655797B2 (ja) | 2016-04-28 | 2020-02-26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コネクタ、ヘッダおよびソケット |
JP7073054B2 (ja) | 2016-07-26 | 2022-05-23 | 株式会社フジクラ |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及び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の製造方法 |
JP6493611B1 (ja) * | 2018-08-03 | 2019-04-03 | Smk株式会社 | 電気コネクタ |
-
2018
- 2018-12-03 JP JP2018226801A patent/JP7202866B2/ja active Active
-
2019
- 2019-09-18 TW TW108133578A patent/TWI795593B/zh active
- 2019-10-30 KR KR1020190136312A patent/KR10261352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11-27 US US16/698,152 patent/US10931049B2/en active Active
- 2019-11-29 CN CN201911199160.2A patent/CN111262081B/zh active Active
-
2022
- 2022-12-26 JP JP2022208611A patent/JP7413497B2/ja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90061655A1 (en) | 2007-08-31 | 2009-03-05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Connector |
JP2009059620A (ja) * | 2007-08-31 | 2009-03-19 |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 コネクタ |
US20130137307A1 (en) | 2011-11-24 | 2013-05-30 |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 Plug connector, receptacle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
JP2017069133A (ja) | 2015-10-01 | 2017-04-06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US20170098900A1 (en) | 2015-10-01 | 2017-04-06 |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 Connect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7202866B2 (ja) | 2023-01-12 |
JP7413497B2 (ja) | 2024-01-15 |
US20200176909A1 (en) | 2020-06-04 |
KR20200067083A (ko) | 2020-06-11 |
JP2020091950A (ja) | 2020-06-11 |
CN111262081B (zh) | 2023-05-26 |
TW202023129A (zh) | 2020-06-16 |
JP2023036857A (ja) | 2023-03-14 |
TWI795593B (zh) | 2023-03-11 |
US10931049B2 (en) | 2021-02-23 |
CN111262081A (zh) | 2020-06-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613520B1 (ko) | 기판 접속 커넥터를 위한 단자, 커넥터 및 커넥터 제조 방법 | |
KR101674998B1 (ko) | 커넥터 | |
JP7484062B2 (ja) | 基板接続コネクタ | |
JP6941001B2 (ja) |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US8485832B2 (en) | Electrical connector | |
JP2022179771A (ja) | 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 |
JP6851937B2 (ja) |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JP2021153070A (ja) |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の製造方法 | |
JP2019033036A (ja) |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と相手接続体との組立体 | |
JP2019033033A (ja) |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 |
JP6849555B2 (ja) | 電気コネクタ組立体 | |
TWI744577B (zh) | 連接器及連接器系統 | |
KR20220016772A (ko) | 기판 접속 커넥터 | |
JP6974556B2 (ja) | 基板接続コネクタ向けの端子、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製造方法 | |
CN114792899A (zh) | 具备嵌件成型的端子的连接器 | |
CN220652406U (zh) | 连接器以及连接器组装体 | |
JP2024053293A (ja) | 電気コネク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