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6772A - 기판 접속 커넥터 - Google Patents

기판 접속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6772A
KR20220016772A KR1020210089272A KR20210089272A KR20220016772A KR 20220016772 A KR20220016772 A KR 20220016772A KR 1020210089272 A KR1020210089272 A KR 1020210089272A KR 20210089272 A KR20210089272 A KR 20210089272A KR 20220016772 A KR20220016772 A KR 202200167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ptacle
plug
connector
lock
lock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9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쇼헤이 호소다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16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67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0Pins, blades, or sockets shaped, or provided with separate member, to retain co-operating parts toge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Abstract

(과제) 기판 간을 접속하는 기판 접속 커넥터끼리의 접속 상태의 유지를, 각 커넥터의 금속 부재의 볼록부와 오목부가 끼워맞춤으로써 행하고 있기 때문에, 커넥터의 탈착 시에 걸리는 힘은, 금속 부재의 볼록부 및 오목부에 집중하고, 그들이 변형하거나 마모하거나 함으로써, 끼워맞춤 상태를 유지하는 힘이 약해질 우려가 있다.
(해결 수단) 복수의 단자와, 상대 커넥터의 끼워맞춤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부가 부재와, 하우징을 포함하는 커넥터로서, 부가 부재는 제1 로크부 및 제2 로크부를 구비하고, 하우징은 제1 로크부를 보유지지한 제1 측벽부와 제2 로크부를 보유지지한 제2 측벽부를 포함하고, 제1 로크부 및 제2 로크부를, 각각 제1 측벽부의 표면 및 제2 측벽부의 표면보다도 돌출된 곡면이 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커넥터의 탈착 시에 걸리는 힘이 한 점에 집중하는 것을 막아, 변형이나 마모에 강한 로크부를 구비한 커넥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기판 접속 커넥터{CONNECTOR FOR CONNECTING SUBSTRATE}
본 발명은,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접속할 때에, 커넥터끼리를 끼워맞춤(嵌合)하기 쉽고, 또한, 빠지기 어렵게 하기 위한 로크부를 구비한 커넥터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단자가 보유지지(保持)된 하우징을 구비한 커넥터는, 프린트 배선 기판이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등의 기판끼리를 접속하기 위한 기판 접속 커넥터이고, 기판 접속 커넥터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는 금구(金具) 부재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단자가 하우징에 인서트 성형(일체 성형) 등에 의해 배열 보유지지되어, 기판 간을 접속하는 기판 접속 커넥터로서, 예를 들면, 일본공개특허공보 2020-031025호(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커넥터가 있다. 당해 커넥터는, 플러그측의 커넥터(플러그 커넥터)와 접속되는 리셉터클측의 커넥터(리셉터클 커넥터)이고, 복수의 단자를 긴쪽 방향으로 배열 보유지지한, 장방형 형상의 하우징을 구비한다.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는, 각각 프린트 배선 기판 또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등에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면 실장 등으로 프린트 배선 기판에 형성된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단부에 형성된 플러그 커넥터를 서로 끼워맞춤으로써, 기판 간을 접속할 수 있다.
종래, 커넥터끼리를 접속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각 커넥터는, 서로 끼워맞춤하는 구조를 갖고 있다. 예를 들면, 앞서 서술한 선행예(특허문헌 1)의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에서는, 복수의 단자 외에, 당해 복수의 단자의 열을 사이에 두고, 긴쪽 방향의 양측에 금속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의 내측을 향한 금속 부재의 일부분에는, 볼록 형상의 부가 부재가 형성되고, 플러그 커넥터의 외측을 향한 금속 부재의 일부분에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커넥터끼리의 끼워맞춤 시에, 볼록 형상의 부가 부재가, 오목부에 끼임으로써, 플러그 커넥터의 금속 부재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금속 부재가 전기적으로 접속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20-031025호
그러나, 커넥터끼리의 접속 상태의 유지를, 각 커넥터의 금속 부재의 볼록부(부가 부재)와 오목부가 끼워맞춤으로써 행하고 있기 때문에, 커넥터의 탈착 시에 걸리는 힘은, 금속 부재의 볼록부 및 오목부에 집중하고, 그들이 변형하거나 마모하거나 함으로써, 각 커넥터의 금속 부재의 볼록부와 오목부의 끼워맞춤 상태를 유지하는 힘이 약해질 우려가 있다.
또한, 기판 간을 접속하는 종래의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는, 스마트 폰, 휴대 단말 등의 소형 전자 기기 내의 기판에 실장되기 때문에, 매우 작은 커넥터이며, 그 부품인 복수의 단자뿐만 아니라 금속 부재도 매우 작은 것이다. 그 때문에, 금속 부재의 가공을 오차 없이 행하여, 한쪽의 금속 부재에 볼록부(부가 부재)를 형성하고, 다른 한쪽의 금속 부재에 오목부를 형성하는 것은, 제조 비용이 드는 공정이 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는, 복수의 단자와, 상대 커넥터의 끼워맞춤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부가 부재와, 하우징을 포함하는 커넥터로서, 부가 부재는 제1 로크부 및 제2 로크부를 구비하고, 하우징은 제1 로크부를 보유지지한 제1 측벽부와 제2 로크부를 보유지지한 제2 측벽부를 포함하고, 제1 로크부 및 제2 로크부를, 각각 제1 측벽부의 표면 및 제2 측벽부의 표면보다도 돌출된 곡면이 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제조 공정에 있어서 금속 부재를 가공하여 볼록부나 오목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생략하여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커넥터의 탈착 시에 걸리는 힘이 한 점에 집중하는 것을 막아, 변형이나 마모에 강한 로크부를 구비한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는, 복수의 단자와, 상대 커넥터의 끼워맞춤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부가 부재와, 하우징을 포함하는 커넥터로서,
상기 부가 부재는, 제1 로크부와 제2 로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로크부를 보유지지한 제1 측벽부와 상기 제2 로크부를 보유지지한 제2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로크부 및 상기 제2 로크부는, 각각 상기 제1 측벽부의 표면 및 상기 제2 측벽부의 표면보다도 돌출된 곡면이고,
상기 제1 로크부는, 상기 제1 측벽부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에서 분할되고,
상기 부가 부재는, 상기 제1 로크부의 양측에, 상기 제1 로크부와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재하는 상기 제2 로크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는, 상대 커넥터와 접속했을 때에, 하우징에 형성된 로크부는, 측벽부의 표면보다도 돌출된 곡면이 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대 커넥터의 상대 로크부와, 점이 아니라 면에서 걸어맞춤(係合)하여, 커넥터끼리의 끼워맞춤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커넥터의 탈착 시에 걸리는 힘을 분산할 수 있어, 로크부의 변형이나 마모를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의 로크부는, 측벽부의 표면으로부터 돌출시키도록 구성시킴으로써, 부가 부재(금속 부재)의 표면에 볼록부나 오목부를 형성하도록 가공할 필요가 없어,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는, 제1 로크부 및 제2 로크부를 구비함으로써, 상대 커넥터의 제1 상대 로크부 및 제2 상대 로크부와 각각 걸어맞춤하여, 커넥터끼리의 끼워맞춤 상태를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한쪽의 커넥터의 제1 로크부를 분할하여 2개로 나눔으로써, 커넥터끼리의 끼워맞춤 시에, 2개로 분할한 제1 로크부와 함께 당해 제1 로크부를 보유지지하는 제1 측벽부를 변형하기 쉽게 하고, 제1 로크부에 걸리는 힘을 빠져나가게 하여, 커넥터끼리의 끼워맞춤에 걸리는 힘을, 조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플러그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의 각각에 포함되는 플러그 부가 부재 및 리셉터클 부가 부재만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측면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절단 개소 A-A로 절단한 플러그 단자 및 리셉터클 단자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낸 절단 개소 B-B로 절단한 전원 단자 및 전원 단자가 접촉하는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리셉터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낸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의 각각에 포함되는 플러그 부가 부재 및 리셉터클 부가 부재만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리셉터클 커넥터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낸 절단 개소 C-C로 절단한 리셉터클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플러그 커넥터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낸 절단 개소 D-D로 절단한 플러그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플러그 부가 부재 및 리셉터클 부가 부재가 끼워맞춤한 상태를 전원 단자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13은 플러그 부가 부재 및 리셉터클 부가 부재가 끼워맞춤한 상태를 플러그측에서 본 상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나타낸 절단 개소 E-E로 절단한 플러그 부가 부재 및 리셉터클 부가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에 나타낸 절단 개소 F-F로 절단한 플러그 부가 부재 및 리셉터클 부가 부재의 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든 도면에 있어서, 동일 부재에는 원칙적으로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의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 또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구성, 형상은, 끼워맞춤 방향(Z축 방향)의 중지축을 대칭점으로 하여 점대칭의 관계에 있기 때문에, 부호가 붙여진 부분, 부재, 부품 등에 대하여 점대칭인 부분, 부재, 부품 등에 대해서는, 기본적으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는 것을 생략한다. 또한, 각각의 실시 형태는, 독립적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서로의 구성 요소를 조합하여, 플러그 커넥터 또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구성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커넥터 장치라고도 부른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의 범위에 있어서는, 2개의 커넥터를 구별하기 위해,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라고 부르고, 각각의 부재 또는 부품 등을, 플러그 하우징과 리셉터클 하우징, 플러그 단자와 리셉터클 단자, 제1 플러그 로크부와 제1 리셉터클 로크부, 제2 플러그 로크부와 제2 리셉터클 로크부, 플러그 평면부와 리셉터클 평면부 등이라고 부르고 있지만, 커넥터의 형상으로 구별하지 않고 부르는 경우에는, 플러그 및 리셉터클이라는 표현을 생략하고, 간단히 커넥터, 하우징, 단자, 제1 로크부, 제2 로크부, 평면부 등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또한, 커넥터의 형상으로 구별하지 않는 경우에는, 한쪽의 커넥터와 끼워맞춤하는 다른 한쪽의 커넥터를 상대 커넥터라고 부르고, 상대 커넥터의 제1 로크부 및 제2 로크부를 제1 상대 로크부 및 제2 상대 로크부라고 부르기로 한다.
도 1에서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를, 플러그측(Z2측)에서 보았을 때의 각각의 커넥터의 외관을 나타낸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의 각각에 포함되는 플러그 부가 부재 및 리셉터클 부가 부재만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측면(Y1측)에서 본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절단 개소 A-A로 절단한 플러그 단자 및 리셉터클 단자의 단면을 나타내고, 도 5는, 도 3에 나타낸 절단 개소 B-B로 절단한 전원 단자 및 전원 단자가 접촉하는 부분의 단면을 나타낸다. 또한, 도 6은, 도 1과는 상하가 역전되고, 리셉터클 커넥터측(Z1측)에서 보았을 때의 각각의 커넥터의 외관을 나타낸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낸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의 각각에 포함되는 플러그 부가 부재 및 리셉터클 부가 부재만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은, 예를 들면, 휴대 전화나 스마트 폰, 디지털카메라, 노트북 컴퓨터 등의 소형 전자 기기에 있어서의 내부 부품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커넥터의 끼워맞춤 방향은, 도면 중의 Z1-Z2 방향(Z축 방향)이다. 플러그 커넥터(200)는, Z축 방향의 Z1측에 있는 상대 커넥터인 리셉터클 커넥터(100)와 끼워맞춤하고, 리셉터클 커넥터(100)는, Z축 방향의 Z2측에 있는 상대 커넥터인 플러그 커넥터(200)와 끼워맞춤하여,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직사각형 형상의 커넥터의 긴쪽 방향은 X1-X2 방향(X축 방향)이고, 긴쪽 방향(X축 방향)과 직교하는 짧은쪽 방향은 Y1-Y2 방향(Y축 방향)이다.
또한, 리셉터클 커넥터(100) 및 리셉터클 단자(120)에 있어서의 상하에 대해서, 기판측(기판에 부착되는 측)을 「하」 또는 「뒤」로 하고, 플러그 커넥터(200) 및 플러그 단자(220)를 수용하는 측을 「상」 또는 「앞」으로 한다. 마찬가지로, 플러그 커넥터(200) 및 플러그 단자(220)에 있어서의 상하에 대해서, 기판측(기판에 부착되는 측)을 「하」 또는 「뒤」로 하고, 리셉터클 커넥터(100) 및 리셉터클 단자(120)를 수용하는 측을 「상」 또는 「앞」으로 한다.
리셉터클 커넥터(100) 및 플러그 커넥터(200)는, 프린트 배선 기판 또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등에 납땜되어 실장된다. 여기에서는, 프린트 배선 기판 및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등, 커넥터가 실장되는 것을, 간단히 「기판」이라고 부른다.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100)는 기판(300)에 실장되고, 도 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200)는 기판(400)에 실장된다.
우선, 도 1 및 도 2를 주로 참조하여,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리셉터클 커넥터(100)는, 리셉터클 하우징(110)과, 리셉터클 단자(120)와, 상대 커넥터인 플러그 커넥터(200)의 끼워맞춤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리셉터클 부가 부재(150)를 포함한다. 리셉터클 단자(120)는, 인청동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리셉터클 하우징(110)의 긴쪽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재한 제2 측벽부(114)에 매입되어, 상대 단자인 플러그 단자(220)와 접촉하는 표면을 제2 측벽부(114)로부터 노출시켜 리셉터클 하우징(110)에 보유지지된다. 리셉터클 단자(120)는, 납땜 등에 의해 기판(300)에 부착하기 위한 실장부(121)를 단부에 구비한다.
리셉터클 하우징(110)은, 액정 폴리머(LCP) 등의 절연성의 수지로 이루어지고, 짧은쪽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재한 제1 측벽부(112) 및 긴쪽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재한 제2 측벽부(114)를 구비하고, 제1 측벽부(112) 및 제2 측벽부(114)로 둘러싸인 중앙 부분에 긴쪽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재한 끼워맞춤 볼록부(116)를 구비한다. 즉, 리셉터클 하우징(110)은, 리셉터클 단자(120)의 가동부(127)측에, 끼워맞춤 볼록부(116)와, 리셉터클 단자(120)의 고정부(125)측에 제2 측벽부(114)를 포함한다. 또한, 리셉터클 하우징(110)은, 끼워맞춤 볼록부(116)와 제1 측벽부(112) 및 제2 측벽부(114)의 사이에 공간으로서의 수용부(118)를 구비한다.
리셉터클 커넥터(100)와 플러그 커넥터(200)가 접속했을 때에는, 끼워맞춤 볼록부(116)는, 플러그 커넥터(200)의 끼워맞춤 오목부(216)(도 6 참조)에 수용되고, 끼워맞춤 오목부(216)의 제1 측벽부(212) 및 제2 측벽부(214)(도 6 참조)는,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수용부(118)에 수용된다.
여기에서, 도 1 및 도 2에 더하여, 도 4를 참조하면, 리셉터클 단자(120)는, 실장부(121)로부터 상방(Z축 방향의 Z2측)으로 절곡된 부분을 통하여 다리부(122)를 구비한다. 다리부(122)는, 고정 접점(124) 및 고정부(125)와 리셉터클 하우징(110)의 제2 측벽부(114)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며, 다리부(122)와 고정 접점(124) 및 고정부(125)의 사이는, 제2 측벽부(114)의 상단에 위치하는 정부(123)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다리부(122)의 주위는, 정부(123)에 인접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모두 리셉터클 하우징(110)의 수지(주벽부(113)와 제2 측벽부(114)의 수지)로 덮여 있다. 즉, 다리부(122)는, 정부(123)에 인접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제1 측벽부(112) 및 제2 측벽부(114)를 둘러싸는 주벽부(113)에 의해, 제2 측벽부(114)에 매입되어, 리셉터클 하우징(110)에 보유지지된다. 다리부(122), 정부(123), 고정 접점(124) 및 고정부(125)의 이면(상대 단자에 접촉하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은, 제2 측벽부(114)에 의해 지지된다. 즉, 리셉터클 단자(120)의 다리부(122) 및 고정부(125)는, 각각 대향하는 면이 제2 측벽부(114)에 의해 지지된다.
리셉터클 단자(120)의 고정 접점(124)은, 제2 측벽부(114)의 표면보다도 끼워맞춤 볼록부(116)측으로 돌출되고, 고정 접점(124)의 접점 측면(129)이 제2 측벽부(114)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고정 접점(124)은, 상대 단자인 플러그 단자(220)와의 끼워맞춤 상태에 있어서, 외측 다리부(225)에 맞닿아 전기적으로 접속된다(도 4 참조). 고정 접점(124) 및 고정부(125)는, 상대 단자와의 끼워맞춤 시에 움직이는 일이 없도록, 상대 단자와 접촉하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이 제1 측벽부(112)에 의해 지지되어 고정된다.
도 4에 나타내는 단면도로부터도 분명한 바와 같이, 리셉터클 단자(120)는, 리셉터클 하우징(110)과의 인서트 성형(일체 성형)에 의해, 가동부(127)측의 부분 이외는, 리셉터클 하우징(110)에 밀착되어 있다. 또한, 리셉터클 단자(120)의 다리부(122), 정부(123), 고정 접점(124) 및 고정부(125)로 둘러싸인 공간은, 수지(하우징)가 충전되어 있다.
리셉터클 단자(120)는, 고정부(125)와 가동부(127)의 사이에, 그들과 연결되어 있는 저부(126)를 포함한다. 저부(126)는,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짧은쪽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직각으로 절곡된 부분을 통하여 고정부(125) 및 가동부(127)에 연결되어 있다. 저부(126)의 판두께 방향은, 끼워맞춤 방향(Z축 방향)을 따르고 있고, 저부(126)의 수용부(118)측의 면(Z2측의 면)은, 리셉터클 하우징(110)의 저벽(119)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저부(126)의 기판측(상대 단자를 수용하는 면(Z2측의 면)과는 반대측(Z1측))의 면(즉, 이면)의 일부분은, 리셉터클 하우징(110)의 저벽(119)의 이면으로부터 노출되고, 노출된 부분 이외의 부분은, 제2 측벽부(114) 및 끼워맞춤 볼록부(116) 부근의 수지에 의해 지지된다(도 6 참조). 그 때문에, 저벽의 이면측으로부터 가동부(127)는 시인할 수 없다.
가동부(127)는, 끼워맞춤 볼록부(116)의 측벽에는 접하고 있지 않아 자유단이고, 단부 주변을 고정 접점(124)측으로 돌출시켜 형성된 가동 접점(128)을 포함한다. 가동부(127)는, 상대 단자인 플러그 단자(220)를 수용하여 끼워맞춤할 때에, 탄성에 의해 끼워맞춤 볼록부(116)측으로 눌려 변형되고, 끼워맞춤 상태에 있어서, 가동 접점(128)은, 플러그 단자(220)의 내측 다리부(222)에 맞닿아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리셉터클 부가 부재(150)는, 리셉터클 단자(120)가 보유지지된 제2 측벽부(114)의 중앙 부분을 사이에 두고,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양측에 배치된다. 즉, 리셉터클 부가 부재(150)는,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긴쪽 방향(X축 방향) 양측의 단에, 각각 형성된다. 리셉터클 부가 부재(150)는, 1개의 제1 리셉터클 로크부(154)와, 한 쌍의 제2 리셉터클 로크부(155)를 포함한다. 리셉터클 하우징(110)은, 제1 리셉터클 로크부(154)를 제1 측벽부(112)에서 보유지지하고, 제2 리셉터클 로크부(155)를 제2 측벽부(114)에서 보유지지한다. 리셉터클 부가 부재(150)는, 제1 측벽부(112)에 보유지지된 제1 리셉터클 로크부(154)의 양측(Y1 및 Y2측)에, 제1 리셉터클 로크부(154)와는 직교하는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재하는 제2 리셉터클 로크부(155)를 구비한다. 즉, 제1 리셉터클 로크부(154)는, 짧은쪽 방향(Y축 방향)에 있어서, 한 쌍의 제2 리셉터클 로크부(155)의 사이에 위치한다. 제1 리셉터클 로크부(154)를 구비하는 부분과 제2 리셉터클 로크부(155)를 구비하는 부분은, 리셉터클 연결부(165)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리셉터클 연결부(165)는, 리셉터클 하우징(110)에 매설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 1 및 도 2에 더하여, 도 8 및 도 9도 아울러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를 상방에서 본 상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 나타낸 절단 개소 C-C로 절단한 리셉터클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리셉터클 부가 부재(150)는, 납땜 등에 의해 기판(300)에 부착하기 위한 실장부(151A, 151B)를 구비하고 있고, 실장부(151A, 151B)로부터 상방(Z축 방향의 Z2측)으로 절곡된 부분을 통하여 리셉터클 다리부(152A, 152B)를 구비한다. 제1 리셉터클 로크부(154) 및 리셉터클 다리부(152A)는, 제1 측벽부(112)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며, 제1 리셉터클 로크부(154)와 리셉터클 다리부(152A)의 사이는, 제1 측벽부(112)의 단부에 위치하는 정부(153A)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리셉터클 로크부(155) 및 리셉터클 다리부(152B)는, 제2 측벽부(114)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며, 제2 리셉터클 로크부(155)와 리셉터클 다리부(152B)의 사이는, 제2 측벽부(114)의 단부에 위치하는 정부(153B)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제1 리셉터클 로크부(154)는, 리셉터클 다리부(152A)를 통하여 실장부(151A)와 연결되어 있고, 실장부(151A)를 납땜 등에 의해 기판(300)에 부착함으로써, 커넥터끼리의 접속 시에, 리셉터클 부가 부재(150)에 걸리는 힘에 견딜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리셉터클 로크부(155)는, 리셉터클 다리부(152B)를 통하여 실장부(151B)와 연결되어 있고, 실장부(151B)를 납땜 등에 의해 기판(300)에 부착함으로써, 커넥터끼리의 접속 시에, 리셉터클 부가 부재(150)에 걸리는 힘에 견딜 수 있다.
리셉터클 다리부(152A, 152B)의 주위는, 정부(153A, 153B)에 인접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모두 리셉터클 하우징(110)의 수지로 덮여 있다. 즉, 리셉터클 다리부(152A, 152B)는, 정부(153A, 153B)에 인접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제1 측벽부(112) 및 제2 측벽부(114)를 둘러싸는 주벽부(113)에 의해, 제1 측벽부(112) 및 제2 측벽부(114)에 매입되어, 리셉터클 하우징(110)에 보유지지된다. 리셉터클 다리부(152A), 정부(153A) 및 제1 리셉터클 로크부(154)의 이면은, 제1 측벽부(112)에 의해 지지되고, 리셉터클 다리부(152B), 정부(153B) 및 제2 리셉터클 로크부(155)의 이면은, 제2 측벽부(114)에 의해 지지된다.
제1 리셉터클 로크부(154)는, 제1 측벽부(112)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곡면이 되도록 구성되고, 짧은쪽 방향(Y축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 형상이 동일한 곡면으로서 짧은쪽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재하고 있다. 제2 리셉터클 로크부(155)는, 제2 측벽부(114)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곡면이 되도록 구성되고, 긴쪽 방향(X축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 형상이 동일한 곡면으로서 긴쪽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재하고 있다. 제1 리셉터클 로크부(154) 및 제2 리셉터클 로크부(155)는, 각각 제1 측벽부(112) 및 제2 측벽부(114)로부터 리셉터클 로크 측면(159A, 159B)을 노출한다. 리셉터클 부가 부재(150)는, 제1 리셉터클 로크부(154) 및 제2 리셉터클 로크부(155)가 형성된 위치보다도 리셉터클 하우징(110)의 저측(Z1측)에, 제1 리셉터클 로크부(154) 및 제2 리셉터클 로크부(155)보다도 제1 측벽부(112) 및 제2 측벽부(114)측에 위치하는 리셉터클 평면부(156A, 156B)를 각각 구비한다.
리셉터클 부가 부재(150)는, 제1 리셉터클 로크부(154)에 대향하여 T자부(158)를 포함하고, T자부(158)는, 저부(157), 리셉터클 평면부(156A)를 통하여 제1 리셉터클 로크부(154)와 연결되어 있다. T자부(158)는, 끼워맞춤 방향(Z축 방향)으로 연재하는 리셉터클 고정부(161)에 의해, 끼워맞춤 볼록부(116)의 긴쪽 방향(X축 방향)의 단 부분의 측벽을 덮도록 보유지지되고, 리셉터클 부가 부재(150)를 리셉터클 하우징(110)에 고정할 수 있다. 저부(157), 리셉터클 평면부(156A) 및 리셉터클 고정부(161)는 리셉터클 하우징(110)으로부터 노출된 상태로 수용부(118)에 면하고 있다. 또한, 리셉터클 부가 부재(150)는, 리셉터클 단자(120)에 인접하는 측(X1측의 리셉터클 부가 부재(150)의 X2측, X2측의 리셉터클 부가 부재(150)의 X1측)에, 전원 단자(160)를 구비한다. 전원 단자(160)는, 수 암페어 정도의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단자이다. 리셉터클 부가 부재(150)의 전원 단자(160)는, 리셉터클 단자(120)의 양측(X1측 및 X2측)에 등간격으로 배열된다.
여기에서, 도 1 및 도 2에 더하여, 도 5를 참조하면, 리셉터클 부가 부재(150)의 리셉터클 다리부(152B)는, 제2 리셉터클 로크부(155) 및 리셉터클 평면부(156B)와 리셉터클 하우징(110)의 제2 측벽부(114)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며, 리셉터클 다리부(152B)와 제2 리셉터클 로크부(155) 및 리셉터클 평면부(156B)의 사이는, 제2 측벽부(114)의 상단에 위치하는 정부(153B)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리셉터클 다리부(152B)의 주위는, 정부(153B)에 인접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모두 리셉터클 하우징(110)의 수지(주벽부(113)와 제2 측벽부(114)의 수지)로 덮여 있다. 즉, 리셉터클 다리부(152B)는, 정부(153B)에 인접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제1 측벽부(112) 및 제2 측벽부(114)를 둘러싸는 주벽부(113)에 의해, 제2 측벽부(114)에 매입되어, 리셉터클 하우징(110)에 보유지지된다. 리셉터클 다리부(152B), 정부(153B), 제2 리셉터클 로크부(155) 및 리셉터클 평면부(156B)의 이면(제2 플러그 로크부(235)에 접촉하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은, 제2 측벽부(114)에 의해 지지된다. 즉, 리셉터클 부가 부재(150)의 제2 리셉터클 로크부(155)측의 리셉터클 다리부(152B) 및 리셉터클 평면부(156B)는, 각각 대향하는 면이 제2 측벽부(114)에 의해 지지된다.
전원 단자(160)는, 리셉터클 평면부(156B)로부터 끼워맞춤 볼록부(116)를 향하여 연장 돌출되고, 리셉터클 평면부(156B)와 가동부(163)의 사이에, 그들과 연결되어 있는 저부(162)를 포함한다. 저부(162)는,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짧은쪽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직각으로 절곡된 부분을 통하여 리셉터클 평면부(156B) 및 가동부(163)에 연결되어 있다. 저부(162)의 기판측(상대 단자를 수용하는 면(Z2측의 면)과는 반대측(Z1측))의 면(즉, 이면)의 일부분은, 리셉터클 하우징(110)의 이면으로부터 노출되고, 노출된 부분 이외의 부분은, 제2 측벽부(114) 및 끼워맞춤 볼록부(116) 부근의 수지에 의해 지지된다(도 5 및 6 참조).
도 5에 나타내는 단면도로부터도 분명한 바와 같이, 리셉터클 부가 부재(150)는, 리셉터클 하우징(110)과의 인서트 성형(일체 성형)에 의해, 전원 단자(160)의 가동부(163)측의 부분 이외는, 리셉터클 하우징(110)에 밀착되어 있다. 또한, 리셉터클 부가 부재(150)의 리셉터클 다리부(152B), 정부(153B), 제2 리셉터클 로크부(155) 및 리셉터클 평면부(156B)로 둘러싸인 공간은, 수지(하우징)가 충전되어 있다.
가동부(163)는, 끼워맞춤 볼록부(116)의 측벽에는 접하고 있지 않아 자유단이고, 단부 주변을 제2 리셉터클 로크부(155)측으로 돌출시켜 형성된 가동 접점(164)을 포함한다. 가동부(163)는, 상대 부가 부재인 플러그 부가 부재(230)를 수용하여 끼워맞춤할 때에, 탄성에 의해 끼워맞춤 볼록부(116)측으로 눌려 변형하고, 끼워맞춤 상태에 있어서, 가동 접점(164)은, 플러그 부가 부재(230)의 플러그 다리부(232)에 맞닿아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다음으로, 도 6 및 도 7을 주로 참조하여, 플러그 커넥터(20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플러그 커넥터(200)는, 플러그 하우징(210)과, 플러그 단자(220)와, 상대 커넥터인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끼워맞춤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플러그 부가 부재(230)를 포함한다. 플러그 단자(220)는, 인청동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플러그 하우징(210)의 긴쪽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재한 제2 측벽부(214)에 매입되어, 리셉터클 단자(120)와 접촉하는 표면을 제2 측벽부(214)로부터 노출시켜, 플러그 하우징(210)에 보유지지된다. 플러그 단자(220)는, 납땜 등에 의해 기판(400)에 부착하기 위한 실장부(221)를 단부에 구비한다.
플러그 하우징(210)은, 액정 폴리머(LCP) 등의 절연성의 수지로 이루어지고, 짧은쪽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재한 제1 측벽부(212) 및 긴쪽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재한 제2 측벽부(214)를 구비하고, 제1 측벽부(212) 및 제2 측벽부(214)로 둘러싸인 중앙 부분에, 끼워맞춤 볼록부(116)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으로서 끼워맞춤 오목부(216)를 구비한다.
플러그 커넥터(200)와 리셉터클 커넥터(100)가 접속했을 때에는, 끼워맞춤 오목부(216)는,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끼워맞춤 볼록부(116)를 수용하고, 끼워맞춤 오목부(216)의 제1 측벽부(212) 및 제2 측벽부(214)는,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수용부(118)에 수용된다.
여기에서, 도 6 및 도 7에 더하여, 도 4를 참조하면, 플러그 단자(220)는, 기판측(Z2측)의 단부에 실장부(221)를 구비하고, 실장부(221)로부터 상방(Z1측)으로 직각으로 절곡된 부분을 통하여 내측 다리부(222)를 구비한다. 내측 다리부(222)는, 외측 다리부(225)와 플러그 하우징(210)의 제2 측벽부(214)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며, 내측 다리부(222)와 외측 다리부(225)의 사이는, 제2 측벽부(214)의 단부에 위치하는 정부(223)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내측 다리부(222), 정부(223), 돌출부(224), 외측 다리부(225)의 이면(상대 단자에 접촉하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은, 제2 측벽부(214)에 의해 지지된다.
돌출부(224)는, 정부(223)에 인접한 외측 다리부(225)의 부분을 외측으로 돌출시켜 형성된다. 돌출부(224)의 접점 측면(226)은, 제2 측벽부(214)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상대 단자인 리셉터클 단자(120)와의 끼워맞춤 상태에 있어서, 돌출부(224)는, 제2 리셉터클 로크부(155)에 걸어맞춤하여 끼워맞춤한 상태(로크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내측 다리부(222), 정부(223), 돌출부(224) 및 외측 다리부(225)는, 상대 단자와의 끼워맞춤 시에 움직이는 일이 없도록 제2 측벽부(214)에 의해 고정된다.
도 4에 나타내는 단면도로부터도 분명한 바와 같이, 플러그 단자(220)는, 플러그 하우징(210)과의 인서트 성형(일체 성형)에 의해, 플러그 하우징(210)에 밀착되어 있다. 또한, 플러그 단자(220)의 내측 다리부(222), 정부(223), 돌출부(224) 및 외측 다리부(225)로 둘러싸인 공간은, 수지(하우징)가 충전되어 있다.
플러그 부가 부재(230)는, 플러그 단자(220)가 보유지지된 제2 측벽부(214)의 중앙 부분을 사이에 두고, 플러그 커넥터(200)의 양측에 배치된다. 즉, 플러그 부가 부재(230)는, 플러그 커넥터(200)의 긴쪽 방향(X축 방향) 양측의 단에, 각각 형성된다. 플러그 부가 부재(230)는, 2개의 제1 플러그 로크부(234)와, 한 쌍의 제2 플러그 로크부(235)를 포함한다. 플러그 하우징(210)은, 제1 플러그 로크부(234)를 제1 측벽부(212)에서 보유지지하고, 제2 플러그 로크부(235)를 제2 측벽부(214)에서 보유지지한다. 플러그 부가 부재(230)는, 제1 측벽부(212)에 보유지지된 제1 플러그 로크부(234)의 양측(Y1 및 Y2측)에, 제1 플러그 로크부(234)와는 직교하는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재하는 제2 플러그 로크부(235)를 구비한다. 즉, 2개의 제1 플러그 로크부(234)는, 짧은쪽 방향(Y축 방향)에 있어서, 한 쌍의 제2 리셉터클 로크부(155)의 사이에 위치한다. 제1 플러그 로크부(234)를 구비하는 부분과 제2 플러그 로크부(235)를 구비하는 부분은, 플러그 연결부(238)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플러그 연결부(238)는, 플러그 하우징(210)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플러그 부가 부재(230)는, 납땜 등에 의해 기판(400)에 부착하기 위한 실장부(231)를 구비하고 있고, 실장부(231)로부터 상방(Z축 방향의 Z1측)으로 절곡된 부분을 통하여 플러그 다리부(232)를 구비한다. 제2 플러그 로크부(235) 및 플러그 다리부(232)는, 제2 측벽부(214)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며, 제2 플러그 로크부(235)와 플러그 다리부(232)의 사이는, 제2 측벽부(214)의 단부에 위치하는 정부(233B)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단면도로부터도 분명한 바와 같이, 플러그 부가 부재(230)는, 플러그 하우징(210)과의 인서트 성형(일체 성형)에 의해, 플러그 하우징(210)에 밀착되어 있다. 또한, 플러그 부가 부재(230)의 플러그 다리부(232), 정부(233B), 제2 플러그 로크부(235) 및 플러그 평면부(236B)로 둘러싸인 공간은, 수지(하우징)가 충전되어 있다.
플러그 다리부(232)는, 제2 측벽부(214)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플러그 다리부(232)와 실장부(231)의 사이의 부분은, 플러그 하우징(210)의 수지로 덮여, 플러그 하우징(210)에 보유지지된다. 제1 플러그 로크부(234) 및 정부(233A)의 이면은, 제1 측벽부(212)에 의해 지지되고, 제2 플러그 로크부(235), 정부(233A) 및 플러그 다리부(232)의 이면은, 제2 측벽부(214)에 의해 지지된다.
여기에서, 도 6 및 도 7에 더하여, 도 10 및 도 11도 아울러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를 상방에서 본 상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나타낸 절단 개소 D-D로 절단한 플러그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플러그 부가 부재(230)의 플러그 다리부(232)는, 플러그 단자(220)의 플러그 다리부(232)의 양측(X1측 및 X2측)을 등간격으로 사이를 두고 제2 측벽부(214)에 보유지지된다.
제1 플러그 로크부(234)는, 제1 측벽부(212)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곡면이 되도록 구성되고, 짧은쪽 방향(Y축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 형상이 동일한 곡면으로서 짧은쪽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재하고 있다. 제2 플러그 로크부(235)는, 제2 측벽부(214)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곡면이 되도록 구성되고, 긴쪽 방향(X축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 형상이 동일한 곡면으로서 긴쪽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재하고 있다. 제1 플러그 로크부(234) 및 제2 플러그 로크부(235)는, 각각 제1 측벽부(212) 및 제2 측벽부(214)로부터 플러그 로크 측면(237)을 노출한다. 플러그 부가 부재(230)는, 제1 플러그 로크부(234) 및 제2 플러그 로크부(235)가 형성된 위치보다도 플러그 하우징(210)의 저측(Z1측)에, 플러그 평면부(236A, 236B)를 각각 구비한다.
제1 플러그 로크부(234)는, 짧은쪽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재하는 제1 측벽부(212)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X축 방향)으로 분할되어 있다. 분할된 제1 플러그 로크부(234) 및 플러그 평면부(236A)의 단부에는, 납땜 등에 의해 기판(400)에 부착하기 위한 실장부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즉, 분할된 제1 플러그 로크부(234) 및 플러그 평면부(236A)의 단부는 자유단이다. 한편으로, 리셉터클 부가 부재(150)의 제1 리셉터클 로크부(154) 및 제2 리셉터클 로크부(155)의 각각의 리셉터클 평면부(156A, 156B)가 실장부(151A, 151B)에 의해 기판(300)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제1 리셉터클 로크부(154) 및 제2 리셉터클 로크부(155)가 리셉터클 하우징(110)에 강고하게 고정됨으로써 리셉터클 부가 부재(150)가 기준이 되어, 플러그 부가 부재(230)와의 간섭량 등을 조정함으로써, 플러그 커넥터(200)와 리셉터클 커넥터(100)가 접속할 때 및 접속 중에 걸리는 힘(여기에서는, 「로크력」이라고 함)을 미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2개로 분할한 제1 플러그 로크부(234) 및 플러그 평면부(236A)를 기판(400)에 고정하지 않도록 구성함으로써, 커넥터끼리의 끼워맞춤 시에, 2개로 분할한 제1 플러그 로크부(234)와 함께 당해 제1 플러그 로크부(234)를 보유지지하는 제1 측벽부(212)를 변형하기 쉽게 하고, 제1 플러그 로크부(234)에 걸리는 힘을 빠져나가게 하여, 로크력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리셉터클 부가 부재(150)의 제1 리셉터클 로크부(154) 및 제2 리셉터클 로크부(155)와, 플러그 부가 부재(230)의 제1 플러그 로크부(234) 및 제2 플러그 로크부(235)를, 각각 제1 측벽부(112, 212)의 표면 및 제2 측벽부(114, 214)의 표면보다도 돌출된 곡면이 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제조 공정에 있어서 금속 부재(리셉터클 부가 부재(150)나 플러그 부가 부재(230))를 가공하여 볼록부나 오목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생략하여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리셉터클 부가 부재(150)의 제1 리셉터클 로크부(154) 및 제2 리셉터클 로크부(155)와, 플러그 부가 부재(230)의 제1 플러그 로크부(234) 및 제2 플러그 로크부(235)는, 각각 측벽부에 의해 지지된 곡면이기 때문에 커넥터의 탈착 시에 걸리는 힘이 한 점에 집중하는 것을 막아, 변형이나 마모에 강한 구조이다.
또한, 플러그 부가 부재(230)의 제1 플러그 로크부(234)를 2개로 분할한 구성은, 리셉터클 부가 부재(150)의 제1 리셉터클 로크부(154)에도 적용할 수 있고, 리셉터클 부가 부재(150)의 제1 리셉터클 로크부(154)를, 2개로 분할하고, 제1 리셉터클 로크부(154)에 정부(153A)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리셉터클 다리부(152A)의 단부를 기판(300)에 고정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2는, 플러그 부가 부재 및 리셉터클 부가 부재가 끼워맞춤한 상태를 전원 단자측에서 본 도면이다. 전원 단자(160)는, 제2 리셉터클 로크부(155)의 하방(Z1측)에 수직으로 연재하는 리셉터클 평면부(156B)로부터 짧은쪽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저부(162)로부터 상방(Z2측)으로 절곡된 부분인 가동부(163)를 구비한다. 가동부(163)는, 리셉터클 하우징(110)의 수지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지 않는 자유단이고, 가동부(163)의 단부에는 가동 접점(164)을 포함한다. 가동부(163)는, 플러그 부가 부재(230)의 내측 다리부(222)를, 제2 리셉터클 로크부(155)와의 사이에 수용할 때에, 탄성에 의해 끼워맞춤 볼록부(116)측으로 눌려 변형하고, 수용한 상태에 있어서, 가동 접점(164)은, 플러그 부가 부재(230)의 내측 다리부(222)의 표면에 맞닿아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13은, 플러그 부가 부재 및 리셉터클 부가 부재가 끼워맞춤한 상태를 플러그측에서 본 상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에 나타낸 절단 개소 E-E로 절단한 플러그 부가 부재 및 리셉터클 부가 부재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15는 도 13에 나타낸 절단 개소 F-F로 절단한 플러그 부가 부재 및 리셉터클 부가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제1 리셉터클 로크부(154)와 제1 플러그 로크부(234)의 걸어맞춤의 모습을 나타낸다. 리셉터클 커넥터(100)와 상대 커넥터인 플러그 커넥터(200)의 접속 시에, 제1 리셉터클 로크부(154)는, 제1 상대 로크부인 제1 플러그 로크부(234)와 걸어맞춤하고, 제1 리셉터클 로크부(154)의 리셉터클 평면부(156A)는 제1 플러그 로크부(234)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플러그 커넥터(200)와 상대 커넥터인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접속 시에, 제1 플러그 로크부(234)는, 제1 상대 로크부인 제1 리셉터클 로크부(154)와 걸어맞춤하고, 제1 플러그 로크부(234)의 플러그 평면부(236A)는 제1 리셉터클 로크부(154)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리셉터클 평면부(156A)와 제1 플러그 로크부(234)의 곡면이 대응하여 긴쪽 방향(X축 방향)에 있어서 대면하고, 플러그 평면부(236A)와 제1 리셉터클 로크부(154)의 곡면이 대응하여 긴쪽 방향(X축 방향)에 있어서 대면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1 리셉터클 로크부(154)와 제1 플러그 로크부(234)가 걸어맞춤하여, 리셉터클 커넥터(100)와 플러그 커넥터(200)의 끼워맞춤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플러그 로크부(234) 및 플러그 평면부(236A)를 기판(300)에 고정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커넥터끼리의 끼워맞춤 시에, 제1 플러그 로크부(234)와 함께 당해 제1 플러그 로크부(234)를 보유지지하는 제1 측벽부(212)를 변형하기 쉽게 하고, 제1 플러그 로크부(234)에 걸리는 힘을 빠져나가게 하여, 로크력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5는, 제2 리셉터클 로크부(155)와 제2 플러그 로크부(235)의 걸어맞춤의 모습을 나타낸다. 리셉터클 커넥터(100)와 상대 커넥터인 플러그 커넥터(200)의 접속 시에, 제2 리셉터클 로크부(155)는, 제2 상대 로크부인 제2 플러그 로크부(235)와 걸어맞춤하고, 제2 리셉터클 로크부(155)의 리셉터클 평면부(156B)는 제2 플러그 로크부(235)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플러그 커넥터(200)와 상대 커넥터인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접속 시에, 제2 플러그 로크부(235)는, 제2 상대 로크부인 제2 리셉터클 로크부(155)와 걸어맞춤하고, 제2 플러그 로크부(235)의 플러그 평면부(236B)는 제2 리셉터클 로크부(155)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리셉터클 평면부(156B)와 제2 플러그 로크부(235)의 곡면이 대응하여 짧은쪽 방향(Y축 방향)에 있어서 대면하고, 플러그 평면부(236B)와 제2 리셉터클 로크부(155)의 곡면이 대응하여 짧은쪽 방향(Y축 방향)에 있어서 대면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2 리셉터클 로크부(155)와 제2 플러그 로크부(235)가 걸어맞춤하여, 리셉터클 커넥터(100)와 플러그 커넥터(200)의 끼워맞춤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리셉터클 부가 부재(150)의 T자부(158)로부터 끼워맞춤 방향의 하방(Z축 방향의 Z1측)으로 연장되는 리셉터클 고정부(161)는, 커넥터끼리의 끼워맞춤 시에, 플러그 부가 부재(230)의 플러그 다리부(232)와 마주보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개개의 실시 형태는, 독립적인 것이 아니라, 각각 조합하여 적절히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전기 신호의 고속 전송을 행하는 스마트 폰, 휴대 전화 등의 전자 기기에 있어서, 기판 간을 플랫 케이블로 접속하는 등의 용도로 이용할 수 있다.
100 : 리셉터클 커넥터
110 : 리셉터클 하우징
112 : 제1 측벽부
113 : 주벽부
114 : 제2 측벽부
116 : 끼워맞춤 볼록부
118 : 수용부
119 : 저벽
120 : 리셉터클 단자
121 : 실장부
122 : 다리부
123 : 정부
124 : 고정 접점
125 : 고정부
126 : 저부
127 : 가동부
128 : 가동 접점
129 : 접점 측면
150 : 리셉터클 부가 부재
151A, 151B : 실장부
152A, 152B : 리셉터클 다리부
153A, 153B : 정부
154 : 제1 리셉터클 로크부
155 : 제2 리셉터클 로크부
156A, 156B : 리셉터클 평면부
157 : 저부
158 : T자부
159A, 159B : 리셉터클 로크 측면
160 : 전원 단자
161 : 리셉터클 고정부
162 : 저부
163 : 가동부
164 : 가동 접점
165 : 리셉터클 연결부
200 : 플러그 커넥터
210 : 플러그 하우징
212 : 제1 측벽부
214 : 제2 측벽부
216 : 끼워맞춤 오목부
220 : 플러그 단자
221 : 실장부
222 : 내측 다리부
223 : 정부
224 : 돌출부
225 : 외측 다리부
226 : 접점 측면
230 : 플러그 부가 부재
231 : 실장부
232 : 플러그 다리부
233A, 233B : 정부
234 : 제1 플러그 로크부
235 : 제2 플러그 로크부
236A, 236B : 플러그 평면부
237A, 237B: 플러그 로크 측면
238 : 플러그 연결부
300 : 기판
400 : 기판

Claims (7)

  1. 복수의 단자(120 또는 220)와, 상대 커넥터의 끼워맞춤(嵌合)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부가 부재(150 또는 230)와, 하우징(110 또는 210)을 포함하는 커넥터로서,
    상기 부가 부재(150 또는 230)는, 제1 로크부(154 또는 234)와 제2 로크부(155 또는 235)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110 또는 210)은, 상기 제1 로크부(154 또는 234)를 보유지지(保持)한 제1 측벽부(112 또는 212)와 상기 제2 로크부(155 또는 235)를 보유지지한 제2 측벽부(114 또는 214)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로크부(154 또는 234) 및 상기 제2 로크부(155 또는 235)는, 각각 상기 제1 측벽부(112 또는 212)의 표면 및 상기 제2 측벽부(155 또는 235)의 표면보다도 돌출된 곡면이고,
    상기 제1 로크부(154 또는 234)는, 상기 제1 측벽부(112 또는 212)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에서 분할되고,
    상기 부가 부재(150 또는 230)는, 상기 제1 로크부(154 또는 234)의 양측으로, 상기 제1 로크부(154 또는 234)와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재하는 상기 제2 로크부(155 또는 235)를 구비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100 또는 2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부재(150 또는 230)는, 상기 제1 로크부(154 또는 234) 및 상기 제2 로크부(155 또는 235)가 형성된 위치보다도, 상기 하우징(110 또는 210)의 저측에, 평면부(156A, 156B 또는 236A, 236B)를 각각 구비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100 또는 200).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로크부(154 또는 234) 및 상기 제2 로크부(155 또는 235)는, 상대 커넥터와의 접속 시에, 상기 상대 커넥터의 제1 상대 로크부(234 또는 154) 및 제2 상대 로크부(235 또는 155)와 걸어맞춤(係合)하고, 상기 제1 로크부(154 또는 234) 및 상기 제2 로크부(155 또는 235)의 상기 평면부(156A, 156B 또는 236A, 236B)는, 상기 제1 상대 로크부(234 또는 154) 및 상기 제2 상대 로크부(235 또는 155)를 각각 수용하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100 또는 200).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자(120 또는 220)는, 상기 제2 측벽부(114 또는 214)의 중앙 부분에 보유지지되고,
    상기 부가 부재(150 또는 230)는, 상기 중앙 부분을 사이에 두고, 상기 하우징(110 또는 210)의 양측에 배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100 또는 200).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커넥터(100 또는 200)를 2개 포함하고,
    상기 2개의 커넥터(100 또는 200) 중, 1개는 플러그 커넥터(200)이고, 다른 1개는 리셉터클 커넥터(100)이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200)에 있어서의 상기 부가 부재(150 또는 230), 상기 제1 로크부(154 또는 234) 및 상기 평면부(156A, 156B 또는 236A, 236B)는, 각각 플러그 부가 부재(230), 제1 플러그 로크부(234) 및 플러그 평면부(236A)이고,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있어서의 상기 부가 부재(150 또는 230), 상기 제1 로크부(154 또는 234) 및 상기 평면부(156A, 156B 또는 236A, 236B)는, 각각 리셉터클 부가 부재(230), 제1 리셉터클 로크부(154) 및 리셉터클 평면부(156A)이고,
    상기 제1 플러그 로크부(234)는, 상기 제1 플러그 로크부(234)가 연재하는 방향과는 직교하는 방향에서 분할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된 제1 플러그 로크부(234)의 상기 플러그 평면부(236A)의 단부는, 기판(400)에 부착하기 위한 실장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는 자유단이고,
    상기 제1 리셉터클 로크부(154)의 상기 리셉터클 평면부(156A)의 단부에는, 기판(300)에 부착하기 위한 실장부(151A)가 형성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부가 부재(130)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200)와의 전원용의 접점이 되는 복수의 전원 단자(160)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전원 단자(160)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200)의 단자(120)와 나열되어 상기 제2 측벽부(114)에 배열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KR1020210089272A 2020-08-03 2021-07-07 기판 접속 커넥터 KR2022001677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131426 2020-08-03
JP2020131426A JP2022028182A (ja) 2020-08-03 2020-08-03 基板接続コネク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6772A true KR20220016772A (ko) 2022-02-10

Family

ID=80004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9272A KR20220016772A (ko) 2020-08-03 2021-07-07 기판 접속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575223B2 (ko)
JP (1) JP2022028182A (ko)
KR (1) KR20220016772A (ko)
CN (2) CN11406928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31025A (ja) 2018-08-24 2020-02-2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及び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59589A (ja) * 2004-08-18 2006-03-02 Hirose Electric Co Ltd シールド付き電気コネクタ
US20130137308A1 (en) * 2011-11-25 2013-05-30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Board-to-board connector
JP5638026B2 (ja) * 2012-05-01 2014-12-1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6051242B2 (ja) * 2014-07-16 2016-12-2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6537890B2 (ja) * 2014-09-26 2019-07-0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513509B2 (ja) * 2015-07-01 2019-05-1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基板対基板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
JP2017084701A (ja) * 2015-10-30 2017-05-18 Smk株式会社 接続コネクタ
JP7253337B2 (ja) * 2018-08-22 2023-04-06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JP6986039B2 (ja) * 2019-03-15 2021-12-2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6817477B2 (ja) * 2020-02-10 2021-01-2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US11539170B2 (en) * 2020-05-13 2022-12-27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shielding surrounding board-to-board connectors in connected stat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31025A (ja) 2018-08-24 2020-02-2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及び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6161955U (zh) 2022-04-01
US11575223B2 (en) 2023-02-07
US20220037819A1 (en) 2022-02-03
CN114069286A (zh) 2022-02-18
JP2022028182A (ja) 2022-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1428494U (zh) 连接器以及连接器装置
CN110915068B (zh) 连接器组件
US8485832B2 (en) Electrical connector
CN215579162U (zh) 金属配件、端子、附加部件、连接器、插座连接器以及插头式连接器
CN213425337U (zh) 连接器以及连接器装置
JP2015135816A (ja) 端子、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アセンブリ
WO2018221095A1 (ja) 電気コネクタ
CN111262081B (zh) 端子、连接器以及连接器制造方法
KR20220016772A (ko) 기판 접속 커넥터
JP2022111252A (ja) コネクタ
CN220652406U (zh) 连接器以及连接器组装体
CN214505933U (zh) 连接器
JP7484062B2 (ja) 基板接続コネクタ
WO2018221094A1 (ja) コネクタ
CN220934443U (zh) 电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