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8306A -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8306A
KR20230158306A KR1020220057898A KR20220057898A KR20230158306A KR 20230158306 A KR20230158306 A KR 20230158306A KR 1020220057898 A KR1020220057898 A KR 1020220057898A KR 20220057898 A KR20220057898 A KR 20220057898A KR 20230158306 A KR20230158306 A KR 202301583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width direction
lead
metal fitting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7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근오
Original Assignee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57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8306A/ko
Priority to CN202321034444.8U priority patent/CN220106978U/zh
Publication of KR20230158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83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기판에 실장되며, 상대 커넥터(20)와 결합되는 전기 커넥터(10)가 제공된다.
전기 커넥터(10)는, 하우징(10-5), 금구(10-1); 및 복수의 컨택트(10-3)를 포함한다.
금구(10-1)는 로크부(10-1-LP); 및 길이 방향 리드부(10-1-L1)를 가진다.
상기 로크부(10-1-LP)는, 상기 전기 커넥터(10)가 상기 상대 커넥터(20)와 끼워맞춤되도록 하며,
상기 길이 방향 리드부(10-1-L1)는, 상기 제1 벽부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기판에 실장될 부위이다.
상기 전기 커넥터(10)의 길이 방향을 향해 상기 전기 커넥터(10)의 제1 벽부를 볼 때, 상기 로크부(10-1-LP)의 폭과, 상기 길이 방향 리드부(10-1-L1)의 폭은 상기 전기 커넥터(10)의 폭 방향(Y 방향)에서 겹치지 않도록 형성된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ELECTRIC CONNECTOR}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금구에 있어서 로크부와 길이 방향 리드부의 위치 관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판들이 상호 연결되는 경우, 솔더링(soldering)과 같은 방법에 의하여 각각의 기판과 연결되는 두 개의 커넥터가 사용되고, 상기 두 개의 커넥터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두 개의 커넥터 중 하나는 플러그 커넥터이며, 나머지 하나는 소켓 커넥터이다. 소켓 커넥터는 리셉터클(receptacle) 커넥터라고도 불리운다. 이러한 플러그 커넥터와 소켓 커넥터는 몰드부(하우징)에 단자를 배치하여 형성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와 소켓 커넥터는 서로 체결되어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다.
전자 기기의 소형화 추세에 따라 커넥터의 소형화 및 저배화(低背化)되는 추세이다. 그러나, 피치를 줄이거나 부품을 작게 하여 커넥터를 소형화 및 저배화하는 데에는 어느 정도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한편, 커넥터가 소형화되면서 커넥터의 내구성을 확보하기가 전보다 어려워진 측면도 있다. 부재가 작으므로 이전보다 작은 힘에도 파손되거나 변형되기가 쉽기 때문이다.
그리고, 커넥터의 수지 몰드(하우징)를 인서트 성형으로 제작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에 수지의 흐름성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서 하우징의 성형이 제대로 되는지가 결정되므로, 수지의 흐름성을 개선하거나, 또는 이를 고려하여 금형의 설계를 변경할 필요성도 존재한다.
또한, 실장부의 위치 관계를 어떻게 구성하고, 그 실장부를 어떻게 기판에 실장하고, 강도를 보장할지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기 커넥터에 금구에 있어서, 제작의 난이도가 낮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인서트 성형에 있어서, 금속부(예컨대, 금구나 컨택트)가 어떠한 형상인지에 따라서 금형의 제작 난이도가 증가하는 경우가 있어, 이를 고려한 것이다.
또한, 실장부의 위치 관계를 어떻게 구성하고, 그 실장부를 어떻게 기판에 실장하고, 강도를 보장할지에 대해서도 고려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판에 실장되며, 상대 커넥터와 결합되는 전기 커넥터로서,
기저부와, 상기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벽부, 상기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 벽부와 교차하는 제2 벽부, 상기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2 벽부와 교차하며 상기 제1 벽부와 대향하는 제3 벽부, 상기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 및 제3 벽부와 교차하며 상기 제2벽부와 대향하는 제4 벽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적어도 상기 제1 벽부에 설치되는 금구; 및
적어도 상기 제2 벽부 및 제4 벽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컨택트
를 포함하며,
상기 금구는, 로크부; 및 길이 방향 리드부를 가지며,
상기 로크부는, 상기 전기 커넥터가 상기 상대 커넥터와 끼워맞춤되도록 하며,
상기 길이 방향 리드부는, 상기 제1 벽부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기판에 실장될 부위이며,
상기 전기 커넥터의 길이 방향을 향해 상기 전기 커넥터의 제1 벽부를 볼 때, 상기 로크부의 폭과, 상기 길이 방향 리드부의 폭은 상기 전기 커넥터의 폭 방향에서 겹치지 않도록 형성된, 전기 커넥터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길이 방향 리드부는, 상기 로크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제1 연결부를 통해 상기 로크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로크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그로부터 상기 전기 커넥터의 폭 방향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직각 형상의 연결 부위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금구는,
상기 제1 벽부측에 2개의 길이 방향 리드부를 갖고,
상기 제2 벽부측에 제1 폭 방향 리드부를 갖고,
상기 제4 벽부측에 제2 폭 방향 리드부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폭 방향 리드부는, 상기 금구로부터 상기 제2 벽부측에서 하방을 향해 뻗은 제2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제2 폭 방향 리드부는, 상기 금구로부터 상기 제4 벽부측에서 하방을 향해 뻗은 제3 연결부를 통해 연결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기 커넥터에 금구에 있어서, 제작의 난이도가 낮아진다.
특히, 인서트 성형에 있어서, 금속부(예컨대, 금구나 컨택트)가 어떠한 형상인지에 따라서 금형의 제작 난이도가 증가하는 경우가 있는데, 로크부와 리드부의 위치 관계를 조절하여 이 난이도를 낮게 한다.
또한, 금구의 길이 방향 리드부와 폭 방향 리드부를 한 가지 형태의 사출물(지지벽)으로 감싸는 형태로, 사출물과 리드 사이의 벌어짐을 방지하여 강도가 보강된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 중 플러그 커넥터(10)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플러그 커넥터(10)와 상대되는 리셉터클 커넥터(20)를 나타낸다.
도 3a는 도 1에서 하우징(10-5)을 제거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3b는 도 3a에서 금구(10-1)만을 따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도 3a를 다른 방향에서 본 것이다.
도 5는 도 1의 플러그 커넥터(10)를 다른 각도에서 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플러그 커넥터(10)의 모서리 구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 중 플러그 커넥터(10)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는, 일예로 플러그 커넥터(10)의 전원 단자(10-1), 신호 단자(10-3), 하우징(10-5; 몰드부)이 도시되어 있다. 전원 단자(10-1)는 금구(10-1)라 칭하기도 하며, 신호 단자(10-3)는 컨택트(10-3)라 칭하기도 한다.
전원 단자(10-1)는 커넥터(10)의 강도를 보완하기 위한 금속제의 구조체임과 동시에, 전원 전기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다. 신호 단자(10-3)는 데이터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다.
단, 이는 일예이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전원 단자(10-1)는 별도의 금구와 전원 단자로서 분리되어 만들어질 수도 있다.
또한, 예컨대, 신호 단자(10-3)는 0.3A의 전류를 허용하는 4개의 PIN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0.3A를 초과하여, 예컨대, 전원 단자로 기능하도록 5A의 전류까지 허용되는 단자일 수 있다. 단, PIN의 갯수가 4개라는 것은 일예이다.
하우징(10-5)은 기저부를 갖는다. 하우징(10-5)은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벽부를 가지며, 벽부에, 전원 단자(10-1), 신호 단자(10-3) 등이 형성된다.
벽부는 예컨대 4개이며,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벽부(10-5-W1),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제1 벽부와 교차하는 제2 벽부(10-5-W2),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제2 벽부와 교차하며 제1 벽부와 대향하는 제3 벽부(10-5-W3),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제1 및 제3 벽부와 교차하며 제2 벽부와 대향하는 제4 벽부(10-5-W4)를 포함한다.
플러그 커넥터(10)의 하우징(10-5; 몰드부)은 플라스틱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LCP(Liquid Crystal Polymer)일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5)은 수지 및 에폭시 등을 포함하는 절연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플러그 커넥터(10)의 전원 단자(10-1), 신호 단자(10-3)는 금속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구리일 수도 있고, 구리 합금에 금도금(니켈 언더 레이어)을 한 것일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플러그 커넥터(10)와 상대되는 리셉터클 커넥터(20)를 나타낸다.
도 1의 플러그 커넥터(10)는 도 2의 리셉터클 커넥터(20)에 끼워맞춰 결합된다. 리셉터클 커넥터(20)는 소켓 커넥터(20)라고도 한다.
도 3a는 도 1에서 하우징(10-5)을 제거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3a에는 양단에 금구(10-1)이 도시되어 있고, 3개씩 2열로 나열된 복수의 컨택트(10-3)가 사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것이 나타나 있다.
금구(10-1)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컨대 전원 단자(10-1)일 수 있다.
금구(10-1)는 상단에 로크부(10-1-LP)(로킹 포인트라고도 함)를 가지며, 이 로크부(10-1-LP)가 다소 튀어나와 있어서 도 2에 나타난 소켓 커넥터(20)의 금구에 끼워져 결합되는 구조이다.
또한, 금구(10-1)는 하단에 길이 방향 리드(10-1-L1)('길이 방향 리드부'라고도 함)와 폭 방향 리드(10-1-L2)('폭 방향 리드부'라고도 함)를 갖는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 리드(10-1-L1)는 로크부(10-1-LP)의 하단으로부터 이어지는 부분의 단부이며, 일단의 금구(10-1)(도 3a의 왼쪽에 있는 금구)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10)의 길이 방향(-X 방향)으로 연장되어 2개 설치되어 있다. 물론, 타단의 금구(10-1)(도 3a의 오른쪽에 있는 금구)에 있어서는, 플러그 커넥터(10)의 길이 방향(+X 방향)으로 연장되어 2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 방향 리드(10-1-L2)는 금구(10-1)의 측벽(커넥터(10)의 길이 방향의 측벽)의 하단으로부터 이어지는 부분의 단부이며, 일단의 금구(10-1)(도 3a의 왼쪽에 있는 금구)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10)의 폭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2개(하나는 -Y 방향, 다른 하나는 +Y 방향)가 설치되어 있다. 물론, 타단의 금구(10-1)(도 3a의 오른쪽에 있는 금구)에 있어서도, 플러그 커넥터(10)의 폭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2개 설치되어 있다.
길이 방향 리드(10-1-L1)와 폭 방향 리드(10-1-L2)는 플러그 커넥터(10)를 기판에 납땜 등을 통해 고정시키는 부분이다.
그리고, 길이 방향 리드(10-1-L1)는 대략 직각 형상인 제1 연결부(10-1-B1)를 통해 로크부(10-1-LP)와 연결된다. 즉, 길이 방향 리드부(10-1-L1)는, 로크부(10-1-LP)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제1 연결부(10-1-B1)를 통해 로크부(10-1-LP)와 연결되어 있으며, 제1 연결부(10-1-B1)는, 로크부(10-1-LP)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그로부터 전기 커넥터(10)의 폭 방향(Y 방향)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직각 형상의 연결 부위이다.
또한, 폭 방향 리드(10-1-L2)는 제2 연결부(10-1-B2)를 통해 금구(10-1)의 상부와 연결되며, 동일 금구(10-1) 내의 다른 하나의 폭 방향 리드(10-1-L2)는 제3 연결부(10-1-B3)를 통해 금구(10-1)의 상부와 연결된다. 즉, 도 3a에서 오른쪽의 폭 방향 리드부(10-1-L2)(제1 폭 방향 리드부)는, 금구(10-1)로부터 제2 벽부측에서 하방을 향해 뻗은 제2 연결부(10-1-B2)를 통해 연결되며, 도 3a에서 왼쪽의 폭 방향 리드부(10-1-L2)(제2 폭 방향 리드부)는, 금구(10-1)로부터 제4 벽부측에서 하방을 향해 뻗은 제3 연결부(10-1-B3)를 통해 연결된다.
도 3a에 나타난 예시적인 플러그 커넥터(10)에서는, 각각의 측벽이 만나는 모서리마다 1개의 길이 방향 리드(10-1-L1)와 1개의 폭 방향 리드(10-1-L2)가 존재한다. 모서리는 4개이므로, '1개의 길이 방향 리드(10-1-L1)와 1개의 폭 방향 리드(10-1-L2)'도 4개의 세트가 존재한다. 이처럼 하나의 모서리에 대해서 2개소에서 기판에 고정하므로, 기판과 커넥터(10)와의 고정력이 향상된다.
도 3b는 도 3a에서 금구(10-1)만을 따로 나타낸 것이다.
후술하는 도 4에서도 알 수 있듯이, 도 3a의 금구(10-1)는 컨택트(10-3)와는 별도의 부재이며, 이를 도 3b에 따로 나타낸다. 도 3b는 도 3a의 일부로 볼 수도 있다.
도 4는 도 3a를 다른 방향에서 본 것이다.
즉, 도 3a에서 하우징(10-5)이 없는 채로 금구(10-1)(예컨대, 전원 단자)와 컨택트(10-3)(예컨대, 신호 단자)가 도시되어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도 4에서도 하우징(10-5)은 나타나 있지 않으며, 단지 보는 각도를 달리한 것이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금구(10-1)는 컨택트(10-3)와는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플러그 커넥터(10)를 다른 각도에서 본 것이다.
도 5는 금구(10-1)를 YZ 평면에서 본 것이다.
금구(10-1)를 전체적으로 보면, 로크부(10-1-LP)가 상단에 있고, 그로부터 금속 재질이 이어져 길이 방향 리드(10-1-L1)에 이르는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로크부(10-1-LP)는 폭 방향 리드(10-1-L2)와도 이어져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하우징이 제거된 도 3a, 도 4를 통해 쉽게 알 수 있다.
도 5에서 로크부(10-1-LP)의 일측(예컨대, 왼쪽)과 좌측의 길이 방향 리드(10-1-L1)의 일측(예컨대, 오른쪽) 사이의 거리(d)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 거리(d)는 0 이상이다. 즉, 도 5에서, 길이 방향 리드(10-1-L1)의 내측단에서 위아래로 그은 선인 선(D1)과, 로크부(10-1-LP)의 일단(상기 길이 방향 리드(10-1-L1)에 가까운 측)에서 위아래로 그은 선인 선(D2)와의 관계에 있어서, 선(D1)이 선(D2)보다 더 내측에 있을 수는 없다는 것을 d≥0로 나타낸 것이다.
다시 구분하자면, d=0인 상태를 갭 0인 상태, d>0인 상태를 갭이 존재하는 상태라고 구분할 수도 있다.
이는, 도 5와 같은 YZ 평면에서 볼 때, 로크부(10-1-LP)의 위치와 리드(10-1-L1)의 위치는 겹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처럼 거리(d)가 0 이상임으로써 얻어지는 효과는 이하와 같다.
커넥터는 통상적으로 금속 부분(예컨대, 금구(10-1), 컨택트(10-3))와 수지 부분(예컨대, 하우징(10-5))을 포함하는데, 이 금속 부분과 수지 부분이 결합되는 방식은 크게 나누어, 조립 방식과 인서트 성형 방식이 있다.
조립 방식이란, 컨택트 등과 하우징을 별도로 만들어서 조립하는 방식이다. 예컨대, 수지로 만들어진 하우징에 금속으로 만들어진 금구를 위에서 끼우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는 달리(즉, 조립 방식이 아니라) 인서트 성형 방식으로 만들어진다. 인서트 성형 방식이란, 둘 이상의 서로 다른 재료(금속, 수지)를 금형 내에 함께 삽입하여 사출하는 방식이다. 예컨대, 금형(미도시) 내의 소정의 위치에 금속(컨택트(10-3), 금구(10-1) 등)을 고정시킨 후에, 용융 수지를 금형 내에 흘려보내고, 이 수지가 굳어서 하우징(10-5)이 되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의 장점은, 조립 과정과 부자재 비용을 줄이고, 그에 따라 인건비가 절감되고, 부품의 크기와 무게를 줄이고, 성형물의 강성/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접착 불량, 조립 불량의 불량을 줄인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인서트 성형 방식에 의하면, 금형 설계가 다소 까다로운 단점이 있으나, 조립 방식에 의해서는 얻을 수 없는 복잡한 모양을 얻을 수 있어 복잡한 모양의 부품 제작에 널리 이용된다.
본 발명의 커넥터의 경우, 이러한 형상의 복잡도 등을 고려하여 인서트 성형 방식으로 만들어지는데, 전술한 d≥0을 벗어나는 경우(즉, 도 5에서 D1이 D2보다 왼쪽에 있지 않고, D1이 D2보다 오른쪽에 있는 경우)를 상정해 보면, 금형(미도시)의 구조를 설정하는 것이 매우 어려워진다.
본 발명의 커넥터(10)에 있어서, 금구(10-1)는 전반적으로 그 상부에서 커넥터(10)의 길이 방향의 외측을 지나 벤딩(그 부분에서 상대 커넥터와 로킹)되어 있고, 그에 연장되어 리드(길이 방향 리드(10-1-L1) 등)가 있는 구조이다. 그런데, 비교예 1로서, 금구가 전반적으로 커넥터의 길이 방향의 내측을 지나 벤딩(그 부분에서 상대 커넥터와 로킹)된 구조를 생각해 보면, 그 구조에서 다시 길이 방향의 외측으로 길이 방향 리드를 형성하는 것은 경로가 지나치게 길어지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고, 폭 방향 리드를 형성하는 정도에 그칠 가능성이 높다. 또한, 비교예 2로서, 금구가 그 상부에서 전반적으로 폭 방향의 내측을 지나 벤딩(그 부분에서 상대 커넥터와 로킹)된 구조를 생각해 보면, 길이 방향이든 폭 방향이든 리드가 존재할 수 있으나, 금구의 상부 벤딩부와 리드의 위치 관계가 어떻게 되든, 금형의 제작이 크게 어렵지는 않다.
반면에, 도 5 등과 같이, 전반적으로 그 상부에서 커넥터(10)의 길이 방향의 외측을 지나 벤딩(그 부분에서 상대 커넥터와 로킹)되어 있고, 그에 연장되어 리드(길이 방향 리드(10-1-L1) 등)가 있는 구조의 본 발명에서는, 선(D1)이 선(D2)보다 왼쪽에 있어야 금형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도 5에 나타난 높이 방향대로 금속부(금구(10-1), 컨택트(10-3) 등)를 배치하고, 수지를 흘려넣어 커넥터(10)를 만드는 경우를 생각해 보면, 금형의 관점에서는 받침대의 다소 하부측의 일부가 길이 방향 리드(10-1-L1)를 받치고, 받침대의 다소 상부측의 일부가 로크부(10-1-LP)를 받치는 형태로 금형이 만들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는, 도 5에 나타난 것과 반대의 높이 방향대로 금속부(금구(10-1), 컨택트(10-3) 등)를 배치(즉, 이 경우, 도 5의 금구(10-1)의 상부 및 컨택트(10-3)의 상부가 바닥에 닿는 형태)하고, 수지를 흘려넣어 커넥터(10)를 만드는 경우를 생각해 보면, 금형의 관점에서는 받침대의 다소 하부측의 일부가 로크부(10-1-LP)를 받치고, 받침대의 다소 상부측의 일부가 길이 방향 리드(10-1-L1)를 받치는 형태로 금형이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예시는 도 5의 도시와 같이 d≥0인 경우(즉, 도 5에서 선(D1)이 선(D2)보다 왼쪽에 있거나 동일 선상에 있는 경우)에 대한 것이다. 그런데, 반대로 d<0인 경우(즉, 도 5에서 선(D1)이 선(D2)보다 오른쪽에 있는 경우)에는, 금형의 제작이 다소 복잡해진다. 즉, 도 5에서 높이 방향 기준으로 상부측 구조인 로크부(10-1-LP)와 하부측 구조인 길이 방향 리드(10-1-L1)가 폭 방향으로 겹쳐 있으면(즉, d<0), 하부측 구조인 길이 방향 리드(10-1-L1)를 받치는 금형 부분은 통상대로 만들면 되지만, 상부측 구조인 로크부(10-1-LP)를 받치는 금형 부분은 아래에서 그대로 위로 연장하면 되는 것이 아니라, 하부측 금형 구조를 피해서 곡선으로 휘어져 올라가야 하며, 이는 금형의 구조의 복잡화를 초래한다.
최근 만들어지는 커넥터는 매우 소형(예컨대, 스마트폰용 등)인 경우도 있으며, 이러한 소형의 커넥터에서 금형의 구조가 조금이라도 복잡해지면 그 제작 난이도는 급격히 올라간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도 5에 도시된 d≥0의 조건(즉, 선(D1)이 선(D2)보다 왼쪽에 있거나, 적어도 동일선상에 있는 것)은 커넥터(10)의 제작을 용이하게 해 주는 요인이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플러그 커넥터(10)의 모서리 구조를 나타낸다.
도 6은 예컨대 도 1에서 모서리 부분을 확대하여 본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금구(10-1)는 로크부(10-1-LP), 길이 방향 리드(10-1-L1), 폭 방향 리드(10-1-L2)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러한 금구(10-1)는 하우징(10-5)과 결합되어 있다. 인서트 성형으로 만들어지는 하우징(10-5)은 도 1 등에 나타난 바와 같은데, 특히, 하우징(10-5)은 그 4개소의 모서리부에 코너부(10-5-C)의 구조를 갖는다. 도 6에서 코너부(10-5-C)는 하우징(10-5)과 일체의 부재로 만들어진, 하우징(10-5)의 일부이다. 이 하우징(10-5)의 코너부(10-5-C)가 하는 역할은, 금구(10-1)의 길이 방향 리드(10-1-L1)와 폭 방향 리드(10-1-L2)를 한가지 형태의 사출물(인서트 성형에 의함)로 감쌈으로써 사출물과 리드(10-1-L1, 10-1-L2) 사이의 벌어짐을 방지하여 강도를 보강하는 것이다.
상기 코너부(10-5-C)는 지지벽(10-5-C)이라고도 칭한다. 이 코너부(지지벽(10-5-C))는 하우징(10-5)의 일부이다.
길이 방향 리드부(10-1-L1)는, 전기 커넥터(10)(예컨대, 플러그 커넥터)의 길이 방향(X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1 벽부(10-5-W1)측에 형성되어 있고, 기판(미도시)에 실장될 부위이다.
폭 방향 리드부(10-1-L2)는, 전기 커넥터(10)(예컨대, 플러그 커넥터)의 폭 방향(Y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2 벽부(10-5-W2)측에 형성되어 있고, 기판(미도시)에 실장될 부위이다.
길이 방향 리드부(10-1-L1) 및 폭 방향 리드부(10-1-L2)는 제1 벽부(10-5-W1) 및 제2 벽부(10-5-W2)보다 더욱 외측으로 돌출한 지지벽(10-5-C)에 의해 매몰되어 있다.
도 6에서는 제1 벽부(10-5-W1)와 제2 벽부(10-5-W2) 사이의 지지벽(10-5-C)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제2 벽부(10-5-W2)와 제3 벽부(10-5-W3) 사이에도 지지벽(10-5-C)이 있고, 제3 벽부(10-5-W3)와 제4 벽부(10-5-W4) 사이에도 지지벽(10-5-C)이 있고, 제4 벽부(10-5-W4)와 제1 벽부(10-5-W1) 사이에도 지지벽(10-5-C)이 있는 것이 바람직함은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폭 방향 리드부(10-1-L2)의 길이 방향의 사이즈(S3)가, 길이 방향 리드부(10-1-L1)의 폭 방향 사이즈(S1)보다 길다. 이러한 구성은, 길이 방향(X 방량)이 더 길고 폭 방향(Y 방향)이 더 짧은 커넥터(10)에 있어서, 더 긴 부분(길이 방향)에 대한 고정력을 더 부여한다. 이를 통해, 전체적으로 커넥터(10)의 기판(미도시)에 대한 고정력이 향상된다.
또한, 폭 방향 리드부(10-1-L2)가 지지벽(10-5-C)보다 폭 방향(-Y 방향)으로 돌출한 부분의 사이즈(S4)가, 길이 방향 리드부(10-1-L1)가 지지벽(10-5-C)보다 길이 방향(-X 방향)으로 돌출한 부분의 사이즈(S2)보다 길다. 이러한 구성은, 길이 방향(X 방향)이 더 길고 폭 방향(Y 방향)이 더 짧은 커넥터(10)에 있어서, 더 짧은 방향(폭 방향)에 대한 고정력을 더 부여한다. 이를 통해, 전체적으로 커넥터(10)의 기판(미도시)에 대한 고정력이 향상된다.
즉, 본 발명은 도 3a 등에 나타난 금구(10-1)의 일부로서 길이 방향 리드(10-1-L1)와 폭 방향 리드(10-1-L2)를 포함하는데, 이처럼 플러그 커넥터(10)의 모서리 하나에 단지 하나의 리드만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길이 방향 리드(10-1-L1)와 폭 방향 리드(10-1-L2)이 2개의 리드가 존재하므로, 이 리드를 기판에 납땜 등으로 고정함으로써 기판에의 고정력이 좋아진다. 또한, 한 모서리에 2개의 리드(기판에의 고정부)가 있다고 해도 이들 리드(10-1-L1, 10-1-L2)끼리 벌어지거나 또는 사출물(10-5)과의 틈이 벌어진다면 고정력이 높아짐으로써 오는 이점이 상쇄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당해 2개의 리드(10-1-L1, 10-1-L2)를 하나의 사출물로 감싸서 사출물과 리드의 벌어짐, 리드끼리의 벌어짐을 방지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플러그 커넥터
10-1: 금구(예컨대, 전원 단자)
10-1-LP: 로크부(로킹 포인트)
10-1-L1: 길이 방향 리드부
10-1-L2: 폭 방향 리드부
10-1-B1: 제1 연결부
10-1-B2: 제2 연결부
10-1-B3: 제3 연결부
10-3: 컨택트(예컨대, 신호 단자)
10-5: 하우징(몰드부)
10-5-C: 코너부(지지벽)
20: 리셉터클 커넥터(소켓 커넥터)

Claims (4)

  1. 기판에 실장되며, 상대 커넥터와 결합되는 전기 커넥터로서,
    기저부와, 상기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벽부, 상기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 벽부와 교차하는 제2 벽부, 상기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2 벽부와 교차하며 상기 제1 벽부와 대향하는 제3 벽부, 상기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 및 제3 벽부와 교차하며 상기 제2 벽부와 대향하는 제4 벽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적어도 상기 제1 벽부에 설치되는 금구; 및
    적어도 상기 제2 벽부 및 제4 벽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컨택트
    를 포함하며,
    상기 금구는, 로크부; 및 길이 방향 리드부를 가지며,
    상기 로크부는, 상기 전기 커넥터가 상기 상대 커넥터와 끼워맞춤되도록 하며,
    상기 길이 방향 리드부는, 상기 제1 벽부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기판에 실장될 부위이며,
    상기 전기 커넥터의 길이 방향을 향해 상기 전기 커넥터의 제1 벽부를 볼 때, 상기 로크부의 폭과, 상기 길이 방향 리드부의 폭은 상기 전기 커넥터의 폭 방향에서 겹치지 않도록 형성된, 전기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 리드부는, 상기 로크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제1 연결부를 통해 상기 로크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로크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그로부터 상기 전기 커넥터의 폭 방향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직각 형상의 연결 부위인, 전기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구는,
    상기 제1 벽부측에 2개의 길이 방향 리드부를 갖고,
    상기 제2 벽부측에 제1 폭 방향 리드부를 갖고,
    상기 제4 벽부측에 제2 폭 방향 리드부를 갖는,
    전기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폭 방향 리드부는, 상기 금구로부터 상기 제2 벽부측에서 하방을 향해 뻗은 제2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제2 폭 방향 리드부는, 상기 금구로부터 상기 제4 벽부측에서 하방을 향해 뻗은 제3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는,
    전기 커넥터.
KR1020220057898A 2022-05-11 2022-05-11 전기 커넥터 KR2023015830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7898A KR20230158306A (ko) 2022-05-11 2022-05-11 전기 커넥터
CN202321034444.8U CN220106978U (zh) 2022-05-11 2023-05-04 电连接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7898A KR20230158306A (ko) 2022-05-11 2022-05-11 전기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8306A true KR20230158306A (ko) 2023-11-20

Family

ID=88845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7898A KR20230158306A (ko) 2022-05-11 2022-05-11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58306A (ko)
CN (1) CN220106978U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20106978U (zh) 2023-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281852B (zh) 带遮挡屏蔽板的连接器
US20200194916A1 (en) Multipolar connector
US9065214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ground contact with a solder portion and a pair of grounding contact portions
US11139628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190148855A1 (en) Mounting metal fitting, connector and connection system
US20130149908A1 (en) Hermaphroditic board to board connector and assembly thereof with offset contact arrangement
CN101322287A (zh) 电连接器
KR102047677B1 (ko) 플러그 커넥터
WO2020139875A1 (en) Receptacle connector
JP2006210206A (ja) コネクタ及び携帯端末
JP2020140959A (ja) プラグコネクター
JP2011014365A (ja) 水平基板間接続コネクタ
JP2009266629A (ja) 電気コネクタ
JP2019033037A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20115350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alignment structure
JPH11144823A (ja) プリント基板用コネクタ及びその実装構造
JP2019033036A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と相手接続体との組立体
KR20230158306A (ko) 전기 커넥터
KR20230158309A (ko) 전기 커넥터
JP2020140958A (ja) プラグコネクター
JP2019033035A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CN114175409A (zh) 连接器
JP3340697B2 (ja) コネクタ及びそのハウジングの製造方法
KR102268474B1 (ko) 소켓 커넥터
KR20240011002A (ko) 플로팅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