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1002A - 플로팅 커넥터 - Google Patents

플로팅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1002A
KR20240011002A KR1020220088465A KR20220088465A KR20240011002A KR 20240011002 A KR20240011002 A KR 20240011002A KR 1020220088465 A KR1020220088465 A KR 1020220088465A KR 20220088465 A KR20220088465 A KR 20220088465A KR 20240011002 A KR20240011002 A KR 202400110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housing
floating connector
terminals
connector
fix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8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호
Original Assignee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88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1002A/ko
Publication of KR20240011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10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91Coupling devices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or self alig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01R13/631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connection

Abstract

기판에 실장되며, 상대 커넥터(20)와 결합되는 플로팅 커넥터(10)가 제공된다.
플로팅 커넥터(10)는, 고정 하우징(10-5F)과, 상기 고정 하우징에 대하여 플로팅 가능한 가동 하우징(10-5M)과, 상기 고정 하우징 및 상기 가동 하우징에 설치되는 복수의 단자(10-3)를 포함한다.
상기 단자(10-3)는, 상기 가동 하우징에 의하여 위치되는 제1 고정부(10-3-F1)와, 상기 고정 하우징에 의하여 위치되는 제2 고정부(10-3-F2)와, 제1 고정부 및 제2 고정부 사이의 탄성부(10-3-E)와, 상기 제2 고정부와 연결되는 실장부를 가지며, 상기 단자(10-3)는 상기 플로팅 커넥터(10)의 폭방향으로 적어도 4개 배치된다.

Description

플로팅 커넥터{FLOATING CONNECTOR}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플로팅 커넥터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판들이 상호 연결되는 경우, 솔더링(soldering)과 같은 방법에 의하여 각각의 기판과 연결되는 두 개의 커넥터가 사용되고, 상기 두 개의 커넥터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두 개의 커넥터 중 하나는 플러그 커넥터이며, 나머지 하나는 소켓 커넥터이다. 소켓 커넥터는 리셉터클(receptacle) 커넥터라고도 불리운다. 이러한 플러그 커넥터와 소켓 커넥터는 몰드부에 단자를 배치하여 형성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와 소켓 커넥터는 서로 체결되어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다.
전자 기기의 소형화 추세에 따라 커넥터의 소형화 및 저배화(低背化)되는 추세이다. 그러나, 피치를 줄이거나 부품을 작게 하여 커넥터를 소형화 및 저배화하는 데에는 어느 정도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한편, 커넥터가 소형화되면서 커넥터의 내구성을 확보하기가 전보다 어려워진 측면도 있다. 부재가 작으므로 이전보다 작은 힘에도 파손되거나 변형되기가 쉽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변형의 일종으로서, 커넥터끼리의 결합 과정 중에, 또는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금속 재질의 단자가 특정의 형상으로 계속 유지되고 있으면 소성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소성 변형이란 탄성 변형의 반대 개념으로, 재질에 가해진 하중이 제거되더라도 재료가 가지고 있는 원래의 모양으로 되돌아가지 않는 변형을 유지하는 상태를 말한다. 모든 재료는 일반적으로 탄성을 가지고 있으나 응력이 발생하면 모양에 변형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점점 미세화되고 있는 커넥터의 단자에 있어서, 이러한 소성 변형을 방지할 필요성도 존재한다.
그리고, 커넥터의 수지 몰드(하우징)를 인서트 성형으로 제작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에 수지의 흐름성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서 하우징의 성형이 제대로 되는지가 결정되므로, 수지의 흐름성을 개선할 필요성도 존재한다.
또한, 통상적으로 금속 재질인 단자를 제작함에 있어서 제조의 방식(예컨대, 딥드로잉 방식의 사용 여부)에 따라서도 단자 자체 및 수지 몰드의 구조의 한계가 존재하는 바, 이러한 점을 고려할 필요성도 존재한다.
또한, 인서트 성형 등에 있어서, 수지 사출물이 금속 재질을 덮는 문제점을 고려할 필요성도 존재한다.
한편, 이러한 전기 커넥터는 여러 가지 타입이 있으나, 그 중에서 플로팅 커넥터라 불리우는 구조체는 예컨대 플러그 커넥터(또는 소켓 커넥터)가 2개의 하우징으로 나뉘고, 기판에 가까운 측의 하우징인 고정 하우징과 기판에서 먼쪽의 하우징인 가동 하우징을 갖는 형태이다. 이러한 플로팅 타입의 커넥터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커넥터의 사이즈를 최소화하고, 실장 면적을 줄이고, 조립성을 우수하게 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시도가 있어왔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단자(특히 신호 단자)의 수를 늘리면서도 실장 면적이 최소화되는 플로팅 커넥터를 얻는 것이다.
또한, 폭방향에서 볼 때 다열의 단자를 갖는 플로팅 커넥터를 얻는 것이다.
또한, 필요한 신호 단자의 종류(구조)를 최소화하면서 플로팅 커넥터를 제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판에 실장되며, 상대 커넥터와 결합되는 플로팅 커넥터로서,
고정 하우징과,
상기 고정 하우징에 대하여 플로팅 가능한 가동 하우징과,
상기 고정 하우징 및 상기 가동 하우징에 설치되는 복수의 단자
를 포함하며,
상기 단자는,
상기 가동 하우징에 의하여 위치되는 제1 고정부와,
상기 고정 하우징에 의하여 위치되는 제2 고정부와,
상기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 사이의 탄성부와,
상기 제2 고정부와 연결되는 실장부를 가지며,
상기 단자는 상기 플로팅 커넥터의 폭방향으로 적어도 4개 배치되는 플로팅 커넥터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탄성부는 제1 굴곡부 및 제2 굴곡부로 연결되고,
상기 제2 고정부와 상기 탄성부는 제3 굴곡부 및 제4 굴곡부로 연결되고,
상기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는 직선 형상이고,
상기 탄성부는 사선으로 배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동 하우징은 2개의 단벽과 2개의 측벽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가동 하우징의 측벽의 내측과 외측에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4개의 단자는 모두 동일한 형상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2개의 측벽 중 하나의 측벽을 기준으로 볼 때, 상기 단자는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2개의 측벽 중 하나의 측벽을 기준으로 볼 때, 상기 단자는 반대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장부는 솔더볼, 딥(dip), 리드(lead), 짧은 리드(short lead), 넓은 폭배열 리드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의 형상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동 하우징을 제1 가동 하우징이라 할 때, 상기 제1 가동 하우징의 내측에 제2 가동 하우징이 추가로 존재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로팅 커넥터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4개의 상기 단자가 배치될 때, 상기 4개의 단자 중 상기 플로팅 커넥터의 폭방향의 외측에 배치되는 2개의 단자는 상기 제1 가동 하우징에 고정되며, 상기 4개의 단자 중 상기 플로팅 커넥터의 폭방향의 내측에 배치되는 2개의 단자는 상기 제2 가동 하우징에 고정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자(특히 신호 단자)의 수를 늘리면서도 실장 면적이 최소화되는 플로팅 커넥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폭방향에서 볼 때 다열의 단자를 갖는 플로팅 커넥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필요한 신호 단자의 종류(구조)를 최소화하면서 플로팅 커넥터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플로팅 커넥터) 중 플러그 커넥터(10)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플러그 커넥터(10)에서 고정 하우징(10-5F)를 제외한 것이다.
도 3은 도 1의 플러그 커넥터(10)에서 가동 하우징(10-5M) 및 전원 단자(10-1)를 제외한 것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플러그 커넥터(플로팅 커넥터)(10)가 기판(S-10)에 실장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5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플러그 커넥터(플로팅 커넥터)(10)의 상대 커넥터인 소켓 커넥터(20)가 기판(S-20)에 실장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6은 도 4의 플러그 커넥터(플로팅 커넥터)(10)에, 도 5의 소켓 커넥터(20)를 상하 반전하여 결합한 모습을 나타낸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난 B-B' 라인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나타난 A-A' 라인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과 동일한 도면이나, 신호 단자(10-3)의 구체적인 구조에 초점을 두고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8 또는 도 9의 플로팅 커넥터(10)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11은 도 8 또는 도 9의 플로팅 커넥터(10)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12는 도 8 또는 도 9의 플로팅 커넥터(10)의 또다른 변형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플로팅 커넥터) 중 플러그 커넥터(10)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는, 일예로 플러그 커넥터(10)의 전원 단자(10-1), 신호 단자(10-3), 가동 하우징(10-5M; 몰드부), 고정 하우징(10-5F; 몰드부)이 도시되어 있다.
전원 단자(10-1)는 커넥터(10)의 강도를 보완하기 위한 금속제의 구조체임과 동시에, 전원 전기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다. 신호 단자(10-3)는 데이터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다.
단, 이는 일예이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전원 단자(10-1)는 별도의 금구와 전원 단자로서 분리되어 만들어질 수도 있다.
또한, 예컨대, 신호 단자(10-3)는 0.3A의 전류를 허용하는 4개의 PIN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0.3A를 초과하여, 예컨대, 전원 단자로 기능하도록 5A의 전류까지 허용되는 단자일 수 있다. 단, PIN의 갯수가 4개라는 것은 일예이다. 참고로, 도 1의 예에서 신호 단자(10-3)의 갯수는 80개이다.
도 2는 도 1의 플러그 커넥터(10)에서 고정 하우징(10-5F)를 제외한 것이다.
도 1에는 가동 하우징(10-5M)과 고정 하우징(10-5F)이 모두 도시되어 있는데, 구조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고정 하우징(10-5F)을 제거한 가상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2에서 높이 방향(Z 방향)의 중간쯤에는 YZ 평면에 평행하는 편평부가 존재하고, 그 편평부로부터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벽부를 가지며, 벽부에, 전원 단자(10-1), 신호 단자(10-3) 등이 형성된다.
벽부는 크게 4개의 부분으로 형성되며, 제1 벽부(10-5-W1), 제2 벽부(10-5-W2), 제3 벽부(10-5-W3), 제4 벽부(10-5-W4)를 포함한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벽부(10-5-W1)-제2 벽부(10-5-W2)-제3 벽부(10-5-W3)-제4 벽부(10-5-W4)의 순으로 연결되며, 제4 벽부(10-5-W4)는 다시 제1 벽부(10-5-W1)과 연결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제1 벽부(10-5-W1)와 제3 벽부(10-5-W3)를 단벽이라 부르고, 제2 벽부(10-5-W2)와 제4 벽부(10-5-W4)를 측벽이라 부르는 경우도 있다.
플러그 커넥터(10)의 가동 하우징(10-5M) 및 고정 하우징(10-5F)은 플라스틱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LCP(Liquid Crystal Polymer)일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5M, 10-5F)은 수지 및 에폭시 등을 포함하는 절연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플러그 커넥터(10)의 전원 단자(10-1), 신호 단자(10-3)는 금속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구리일 수도 있고, 구리 합금에 금도금(니켈 언더 레이어)을 한 것일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플러그 커넥터(10)에서 가동 하우징(10-5M) 및 전원 단자(10-1)를 제외한 것이다.
도 1에는 가동 하우징(10-5M)과 고정 하우징(10-5F)이 모두 도시되어 있는데, 구조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도 3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가동 하우징(10-5M)(및 전원 단자(10-1))을 제거한 가상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3에는 고정 하우징(10-5F)과 신호 단자(10-3)가 도시되어 있다. 신호 단자(10-3)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며, 신호 단자(10-3)의 상부는 도 2에서와 같이 가동 하우징(10-5M)에 고정되어 있으며, 신호 단자(10-3)의 하부는 도 3에서와 같이 고정 하우징(10-5F)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고정 하우징(10-5F)에 끼워져 있으며 우측 하단에 보이는 부재는 기판에의 실장(고정)을 위한 부재이다. 신호 단자(10-3)의 최하단도 기판에 실장되어 신호를 주고 받는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플러그 커넥터(플로팅 커넥터)(10)가 기판(S-10)에 실장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5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플러그 커넥터(플로팅 커넥터)(10)의 상대 커넥터인 소켓 커넥터(20)가 기판(S-20)에 실장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6은 도 4의 플러그 커넥터(플로팅 커넥터)(10)에, 도 5의 소켓 커넥터(20)를 상하 반전하여 결합한 모습을 나타낸다.
이처럼 결합될 때에, 가동 하우징(10-5M)이 다소 이동하면서 탄성을 제공하고, 또한, 두 커넥터(10, 20)가 끼워맞춤되기 위해 삽입될 때에 다소간 위치가 어긋나 있더라도, 가동 하우징(10-5M)이 다소 이동하면서 그 위치 어긋남을 보정해 주고, 결합(끼워맞춤)이 완료되면 각 부재가 정확한 위치로 되돌아가게 해 준다.
참고로, 도 4~6에는, 플러그 커넥터(10)는 가동 하우징(10-5M) 및 고정 하우징(10-5F)을 가지고, 소켓 커넥터(20)는 단일의 하우징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예이며, 소켓 커넥터(20)도 가동 하우징과 고정 하우징으로 나누어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플러그 커넥터(10)과 소켓 커넥터(20) 둘 다 가동 하우징 및 고정 하우징을 갖는 구성도 가능하고, 플러그 커넥터(10)과 소켓 커넥터(20) 중의 하나는 가동 하우징 및 고정 하우징을 갖고, 다른 하나는 단일의 하우징을 갖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후술하겠으나, 가동 하우징은 반드시 하나의 부재일 필요는 없고, 두개 이상으로 나뉜 부재(제1 가동 하우징 및 제2 가동 하우징)일 수도 있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난 B-B' 라인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즉, 도 7은 도 1에 나타난 플러그 커넥터(10)를 커넥터의 길이 방향으로 가운데를 잘라서 나타낸 것이다.
도 7에는, 전원 단자(10-1)(특히, 전원 단자(10-1)의 하단의 실장부), 신호 단자(10-3), 신호 단자(10-3)의 실장부로서 기능하는 솔더볼(BGA), 가동 하우징(10-5M), 고정 하우징(10-5F) 등이 도시되어 있다.
신호 단자(10-3)의 실장부로서의 솔더볼은 예시이며, 그 외에도 딥(dip), 리드, 짧은 리드, 넓은 폭배열 리드 등의 다양한 구성을 채택할 수 있다.
도 8은 도 1에 나타난 A-A' 라인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8의 단면에는 측벽(10-5M-W2, 10-5M-W4)이 있고, 단벽(10-5M-W3)이 있으며, 4개의 신호 단자(10-3)(구체적으로는 10-3(1), 10-3(2), 10-3(3), 10-3(4)))가 있고, 신호 단자(10-3)의 최하단에는 기판에의 실장을 위한 솔더볼(BGA)이 있다.
참고로, 솔더볼(BGA) 아래에 보이는 전원 단자(10-1)는 솔더볼(BGA)과 이어져 있는 것이 아니라, X 방향으로 거리를 두고 더 뒤쪽에 존재하는 부재이다(도 2 등 참조).
도 8의 단면도에서는 4개의 신호 단자(10-3)가 보이나, 이는 일예이고, 4개를 초과하는 신호 단자(10-3)가 단면에서 보이는 실시형태도 가능하다.
도 8의 단면도에 보이는 신호 단자(10-3)는 4개이나, 이는 2종류의 신호 단자(10-3)이다. 신호 단자(10-3(1))와 신호 단자(10-3(2))는 구조가 거의 유사해 보이지만, 최상부의 사선 방향이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즉, 신호 단자(10-3(1))와 신호 단자(10-3(2))는 서로 다른 구조이다. 또한, 신호 단자(10-3(3))와 신호 단자(10-3(4))도 구조가 거의 유사해 보이지만, 최상부의 사선 방향이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즉, 신호 단자(10-3(3))와 신호 단자(10-3(4))는 서로 다른 구조이다.
한편, 신호 단자(10-3(1))과 신호 단자(10-3(4))는 배치 방향만이 상이할 뿐 동일한 구조임을 알 수 있다. 한편, 신호 단자(10-3(2))과 신호 단자(10-3(3))도 배치 방향만이 상이할 뿐 동일한 구조임을 알 수 있다.
즉, 도 8의 단면에 나타난 4개의 신호 단자(10-3)는 구조상 2종류의 단자임을 알 수 있다. 참고로, 도 10 등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단면에 나타난 4개의 신호 단자(10-3)가 구조상 동일한 단자(1종류 단자)인 실시예도 가능하며, 도 8과 같은 형태, 도 10과 같은 형태는 후술할 각각의 장점을 갖는다.
도 9는 도 8과 동일한 도면이나, 신호 단자(10-3)의 구체적인 구조에 초점을 두고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에는 고정 하우징(10-5F), 고정 하우징에 대하여 플로팅 가능한 가동 하우징(10-5M), 고정 하우징 및 가동 하우징에 설치되는 복수의 단자(10-3)가 개시되어 있다.
단자(10-3)를 구체적으로 보면, 도 9에서, 신호 단자(10-3)는 위에서부터 아래로 가면서, 제1 고정부(10-3-F1), 제1 굴곡부(10-3-C1), 제2 굴곡부(10-3-C2), 탄성부(10-3-E), 제3 굴곡부(10-3-C3), 제4 굴곡부(10-3-C4), 제2 고정부(10-3-F2)를 갖는다.
제1 고정부(10-3-F1)는 가동 하우징(10-5M)에 의하여 위치되며, 제2 고정부(10-3-F2)는 고정 하우징(10-5F)에 의하여 위치되며, 제1 고정부(10-3-F1)와 탄성부(10-3-E)는 2개의 굴곡부(10-3-C1, 10-3-C2)에 의해 연결되며, 제2 고정부(10-3-F2)와 탄성부(10-3-E)는 다른 2개의 굴곡부(10-3-C3, 10-3-C4)에 의해 연결되며, 제1 고정부(10-3-F1)와 제2 고정부(10-3-F2)는 직선 형상이며, 탄성부(10-3-E)는 사선 형상이다.
가동 하우징(10-5M)은 2개의 단벽(10-5-W1, 10-5-W3)과 2개의 측벽(10-5-W2, 10-5-W4)을 가지며, 제1 고정부(10-3-F1)는 가동 하우징(10-5M)의 측벽(10-5-W2, 10-5-W4)의 내측과 외측에 고정된다.
도 10은 도 8 또는 도 9의 플로팅 커넥터(10)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10과 도 8를 비교해 보면, 신호 단자(10-3(1), 10-3(4))의 배치는 동일하나, 신호 단자(10-3(2), 10-3(3))의 배치는 상이함을 알 수 있다.
즉, 도 8은 하나의 측벽(10-5-W2)을 기준으로 볼 때, 신호 단자(10-3(1))와 신호 단자(10-3(2))가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으나, 도 10은 하나의 측벽(10-5-W2)을 기준으로 볼 때, 신호 단자(10-3(1))와 신호 단자(10-3(2))가 반대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도 8과 같은 형태의 장점은 실장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점이고, 도 10과 같은 형태의 장점은 1종의 신호 단자(10-3)만으로 커넥터 전체에 적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참고로, 도 8의 형태에서는 맨 윗부분의 뾰족한 부분의 방향이 다른 2종의 신호 단자(10-3)가 필요함).
도 11은 도 8 또는 도 9의 플로팅 커넥터(10)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11은 도 8(또는 도 9)과 유사하나, 신호 단자(10-3)의 실장부가 짧은 리드(short lead) 또는 솔더볼이 아니라, 리드(lead) 구조인 변형예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신호 단자(10-3)의 실장부로서의 솔더볼은 예시이며, 딥(dip), 리드, 짧은 리드, 넓은 폭배열 리드 등의 다양한 구성을 채택할 수 있다.
도 12는 도 8 또는 도 9의 플로팅 커넥터(10)의 또다른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8 또는 도 9에서는 가동 하우징(10-5M)이 하나의 수지제 몰드부였으나, 도 12의 예에서는 가동 하우징이 제1 가동 하우징(10-5M-1), 제2 가동 하우징(10-5M-2)으로 나뉘어 있다. 제1 가동 하우징(10-5M-1)은 외측에 있으며, 제2 가동 하우징(10-5M-2)은 제1 가동 하우징(10-5M-1)의 내측에 있다.
플로팅 커넥터 자체가 신호 단자의 상부와 하부의 움직임에 다소간의 여유를 주는 것인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의 제1 가동 하우징(10-5-M1)과 내측의 제2 가동 하우징(10-5-M2)이 별도로 존재하면, 신호 단자의 상부와 하부의 움직임에 다소간의 여유를 줄 뿐만 아니라, 신호 단자(10-3(1), 10-3(2), 10-3(3), 10-3(4))의 상부 간에도 움직임이 완전히 동일할 필요없이 추가적인 여유를 주는 이점이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플러그 커넥터(플로팅 커넥터)
10-1: 전원 단자
10-3(또는 10-3(1), 10-3(2), 10-3(3), 10-3(4)): 신호 단자
10-3-F1: 제1 고정부
10-3-C1: 제1 굴곡부
10-3-C2: 제2 굴곡부
10-3-E: 탄성부
10-3-C3: 제3 굴곡부
10-3-C4: 제4 굴곡부
10-3-F2: 제2 고정부
BGA: 솔더볼
lead: 리드
10-5M: 가동 하우징(몰드부)
10-5F: 고정 하우징(몰드부)
10-5-W1: 제1 벽부
10-5-W2: 제2 벽부
10-5-W3: 제3 벽부
10-5-W4: 제4 벽부
20: 리셉터클 커넥터(소켓 커넥터)

Claims (10)

  1. 기판에 실장되며, 상대 커넥터와 결합되는 플로팅 커넥터로서,
    고정 하우징과,
    상기 고정 하우징에 대하여 플로팅 가능한 가동 하우징과,
    상기 고정 하우징 및 상기 가동 하우징에 설치되는 복수의 단자
    를 포함하며,
    상기 단자는,
    상기 가동 하우징에 의하여 위치되는 제1 고정부와,
    상기 고정 하우징에 의하여 위치되는 제2 고정부와,
    상기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 사이의 탄성부와,
    상기 제2 고정부와 연결되는 실장부를 가지며,
    상기 단자는 상기 플로팅 커넥터의 폭방향으로 적어도 4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탄성부는 제1 굴곡부 및 제2 굴곡부로 연결되고,
    상기 제2 고정부와 상기 탄성부는 제3 굴곡부 및 제4 굴곡부로 연결되고,
    상기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는 직선 형상이고,
    상기 탄성부는 사선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하우징은 2개의 단벽과 2개의 측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가동 하우징의 측벽의 내측과 외측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4개의 단자는 모두 동일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커넥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측벽 중 하나의 측벽을 기준으로 볼 때, 상기 단자는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커넥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측벽 중 하나의 측벽을 기준으로 볼 때, 상기 단자는 반대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커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장부는 솔더볼, 딥(dip), 리드(lead), 짧은 리드(short lead), 넓은 폭배열 리드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커넥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하우징을 제1 가동 하우징이라 할 때,
    상기 제1 가동 하우징의 내측에 제2 가동 하우징이 추가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커넥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팅 커넥터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4개의 상기 단자가 배치될 때,
    상기 4개의 단자 중 상기 플로팅 커넥터의 폭방향의 외측에 배치되는 2개의 단자는 상기 제1 가동 하우징에 고정되며,
    상기 4개의 단자 중 상기 플로팅 커넥터의 폭방향의 내측에 배치되는 2개의 단자는 상기 제2 가동 하우징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커넥터.
KR1020220088465A 2022-07-18 2022-07-18 플로팅 커넥터 KR202400110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8465A KR20240011002A (ko) 2022-07-18 2022-07-18 플로팅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8465A KR20240011002A (ko) 2022-07-18 2022-07-18 플로팅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1002A true KR20240011002A (ko) 2024-01-25

Family

ID=89721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8465A KR20240011002A (ko) 2022-07-18 2022-07-18 플로팅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100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11874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CN113300140B (zh) 插座连接器及包括其的连接器组件
US8257095B2 (en) Connector
US7329154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terminals arranged with narrow pitch
US8636543B2 (en) Mezzanine connector
CN109586063B (zh) 基板用连接器及其组合
US20090029592A1 (en) Connector
US20100029134A1 (en) Connector
US20230261403A1 (en) Connector
US20130149908A1 (en) Hermaphroditic board to board connector and assembly thereof with offset contact arrangement
US11962104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CN102570116B (zh) 用于电连接器的接口触头
KR20150031199A (ko) 전기 커넥터
JPH09511865A (ja) 低背電気コネクタ
US6827586B2 (en) Low-profile connector for circuit boards
KR20200104727A (ko) 플러그 커넥터
TW202133496A (zh) 通訊系統之插座連接器與電纜總成
KR20070014950A (ko) 커넥터 및 휴대단말
WO2021020459A1 (ja) コネクタ
KR20240011002A (ko) 플로팅 커넥터
US11626676B2 (en) Connec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20200104726A (ko) 플러그 커넥터
US20100035469A1 (en) Connector
KR20240029877A (ko) 전기 커넥터
CN217823353U (zh) 电连接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