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8611B1 - 다목적 활주장치 - Google Patents

다목적 활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8611B1
KR102608611B1 KR1020230092266A KR20230092266A KR102608611B1 KR 102608611 B1 KR102608611 B1 KR 102608611B1 KR 1020230092266 A KR1020230092266 A KR 1020230092266A KR 20230092266 A KR20230092266 A KR 20230092266A KR 102608611 B1 KR102608611 B1 KR 102608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tongs
coupled
guid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2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호섭
Original Assignee
윤호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호섭 filed Critical 윤호섭
Priority to KR1020230092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86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8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86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A62B35/0062Rail-form lifelines for permanent instal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A62B35/0068Ancho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81Equipment which can travel along the length of a lifeline, e.g. travelers

Abstract

본 발명은 다목적 활주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고소작업자의 안전한 이동을 담보하는 안전줄이 연결되는 다목적 활주장치로서, 각기 다른 방향으로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2개의 고정부 중 하나의 고정부는 건설현장의 비계와 갖은 지지 대상물에 고정결합되고, 다른 하나의 고정부에는 안전줄이 연결된 활주부재의 롤러부가 활주하는 고정 대상물인 장착부재가 결합되는 고정부재가 구비되되, 이러한 고정부재의 각 고정부는 집게하우징의 요입안착홈에 대상물을 탈착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집게의 집힘결합이 유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결합위치도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수단이 구비되는 다목적 활주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목적 활주장치{Sliding apparatus of multi-purpose}
본 발명은 다목적 활주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고소작업자의 안전한 이동을 담보하는 안전줄이 연결되는 다목적 활주장치로서, 각기 다른 방향으로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2개의 고정부 중 하나의 고정부는 건설현장의 비계와 갖은 지지 대상물에 고정결합되고, 다른 하나의 고정부에는 안전줄이 연결된 활주부재의 롤러부가 활주하는 고정 대상물인 장착부재가 결합되는 고정부재가 구비되되, 이러한 고정부재의 각 고정부는 집게하우징의 요입안착홈에 대상물을 탈착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집게의 집힘결합이 유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결합위치도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수단이 구비되는 다목적 활주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용노동부의 산업재해 현황 부가통계 "2022년 재해조사 대상 사고사망 발생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22년 사망사고 발생 644명 중 떨어짐(추락) 사망사고자는 388명으로, 전체 사망사고자의 60% 를 차지한다고 한다.
이러한 추락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안전장치는 이미 제안되어 있으며, 그 사용 또한 의무화 되어 있다.
일례로, 국내 등록특허 제10-1208817호(2012.11.29.등록; 다목적 가이드 홀더)에서는 일측의 일부가 길이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는 가이드관과; 머리부가 상기 가이드관의 내부에 가이드 결합하는 롤러부재와; 상기 가이드관에 형성된 가이드홀을 포함하는 다목적 가이드 홀더가 제안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에서는 롤러부재가 활주하는 가이드관의 설치를 위해 지지대를 추가로 설치해야 함은 물론, 가이드관의 내부에 안착되어 안전줄이 연결되도록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롤러부재는 연속하는 가이드관의 연결설치가 전제되어야만 가이드관의 내부를 슬라이딩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에 따라 전구간에 걸쳐 가이드관이 끊김없이 연속으로 연결설치 되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국내 등록특허 제10-2055377호(2019.12.06.등록; 추락방지용 안전고리)에서는 원둘레방향을 따라 일정길이의 개구가 형성된 원형의 고리본체와; 상기 고리본체의 양단에 탄성적으로 삽입 및 돌출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개구의 폭을 조절하여 상기 고리본체가 비계에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하는 한 쌍의 개폐핑거를 포함하는 추락방지용 안전고리가 소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에서는 비계의 수평파이프를 따라 고리본체가 이동할 때, 고리본체의 개구 양단에 설치된 개폐핑거가 비계의 수직파이프 부분에서 탄성작동하여 개구의 폭을 조절하면서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는 비계의 모든 수평파이프가 작업자의 안쪽으로 배치되고, 모든 수직파이프는 작업자의 바깥쪽으로 설치되는 경우를 전제하여 작동되는 개념으로, 그 적용범위가 제한적이라는 단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선행기술의 개폐핑거는 비계파이프와의 접촉시 고리본체의 개구 폭을 탄성적으로 단속하는 구성으로, 작업자의 추락과 같은 집중하중의 발생시 개폐핑거는 비계파이프에 접촉게 되는데, 이경우 개폐핑거가 비계파이프에 접촉하면서 벌림작동할 수 있어 추락예방 효과에 의문이 제기될 수 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1208817호(2012.11.29.등록) 국내 등록특허 제10-2055377호(2019.12.06.등록) 국내 등록특허 제10-2450385호(2022.09.28.등록) 국내 공개특허 제10-2023-0033308호(2023.03.08.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방식이나 선행기술의 장단점과 문제점을 감안하여, 가장 효과적인 방식을 채책하되 보다 경제적이고 단순 간결한 구조이면서도, 선행기술의 구성과는 차이를 갖는 구성을 제안함으로써 기술적 다양성을 풍부하게 하는 다목적 활주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소작업의 작업경로, 특히 시스템 비계의 전체 작업경로를 따라 별도의 부착장치 없이도 활주장치를 설치할 수 있는 간단한 구성으로, 설치 및 해체의 편리성은 물론, 경제성까지도 담보할 수 있는 다목적 활주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활주장치를 대상물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가 외력이 발생하더라도 안정적으로 결합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다목적 활주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장착부재 및/또는 연결부재를 따라 미끄럼 이동하는 활주부재가 장착부재 및/또는 연결부재에 대해 회전이 방지되도록 하여 일정하고 안정적인 활주가 가능한 다목적 활주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다목적 활주장치는, 대상물을 집게하우징의 요입안착홈에 탈착가능하게 안착결합시키는 집게가 구비되는 고정부 2개가 각기 다른 방향으로 결합구성되며, 상기 집게에 의한 대상물의 결합상태를 유지시킴과 동시에 결합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이 구비되는 고정부재; 안내관부를 일체로 구비하는 고정헤드부가 어느 하나의 상기 고정부에 고정결합되는 장착부재; 및 상기 안내관부를 따라 활주하는 롤러부가 구비되는 활주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집게하우징에는 지지판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부에 상기 요입안착홈이 구비되는 한 쌍의 대향측벽을 일직선상으로 관통하는 대향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대향측벽에 설치되는 축봉을 축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집게발이 토션스프링에 의해 탄성작동하도록 설치되어 대상물을 상기 요입안착홈으로 진입안착시켜 결합고정하는 상기 집게에는 한 쌍의 집게발에 집게발통공이 관통형성되되, 대상물에 대한 상기 집게의 집힘작동시 상기 대향관통공 및 집게발통공은 일직선상으로 배치되고, 이러한 대향관통공 및 집게발통공을 가로지르는 봉형상의 상기 고정수단을 끼움결합시켜 상기 고정부를 대상물에 위치고정시킨다.
바람직하게,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에 결합되어 서로 이격배치되고, 이격배치되는 상기 장착부재는 적어도 상기 안내관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관부가 구비되는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구성된다.
바람직하게,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돌출형성되는 돌출헤드를 이용해 상기 고정헤드부가 상기 고정부에 걸림고정되고, 상기 고정헤드부에 연결부로 연결되는 상기 안내관부의 외둘레면 길이방향으로는 상기 롤러부가 활주됨과 함께, 상기 안내관부의 길이방향 양단에 구비되는 접속소켓에는 소켓연결구를 매개로 상기 연결부재의 연결관부가 결합설치되는 구성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안내관부 및 연결관부는 서로 대응하는 원형관으로 형성되고, 이 원형관의 외둘레면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롤러부가 활주하되, 상기 원형관의 외둘레면중 일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평탄한 절삭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절삭면을 활주하는 상기 롤러부의 원주방향 회전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다목적 활주장치는, 다방향으로 접속결합이 가능한 고정부재에 고정장착되는 장착부재를 따라 안전줄이 연결된 활주부재가 활주하거나, 또는 장착부재 및 이 장착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타고 활주부재가 활주하는 간결하고 단순한 구성을 통해, 경제적이면서도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 고정부재는 대상물을 탈착가능하게 고정결합시키는 2개의 고정부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해 결합구성되기 때문에, 수직관계 또는 수평관계에 있는 서로 다른 대상물이라 할지라도 얼마든지 이들을 연결구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 고정부재는 대상물을 고정시키는 2개의 고정부를 갖되, 개별 고정부에는 대상물을 집어 고정시키는 집게의 집힘결합력을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수단이 구비되기 때문에, 외력이 발생하더라도 대상물에 대한 고정부재의 고정결합력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활주부재가 활주하는 장착부재 및/또는 연결부재는 길이방향을 따라 외주면의 일측이 일정한 절삭면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이 절삭면에 의해 활주부재의 원주방향 회전이 방지되어 안정적인 활주가 담보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 활주장치가 설치된 시스템 비계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활주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고정부재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2의 측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이들 도면에 의해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꼭 필요한 구성이라 하더라도 공지기술에 속하거나, 통상의 기술자가 공지기술로부터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 다목적 활주장치(10)는 고소작업시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도 1과 같이 건설현장의 시스템 비계에 주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는 활주장치(10)가 시스템 비계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을 전제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 활주장치(10)는 시스템 비계 이외에도, 온실이나, 호이스트, 건물관리용 작업라인 등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본 발명 다목적 활주장치(10)는 각기 다른 방향의 대상물을 고정시키는 2개의 고정부(110)에 고정수단(120)이 구비되는 고정부재(100), 안내관부(220)가 일체로 구비된 고정헤드부(210)가 상기 고정부(110) 중 하나에 결합되는 장착부재(200), 및 상기 안내관부(220)를 따라 활주하는 활주부재(30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재(100)는 작업경로를 따라 다수개가 설치되며, 다수개로 설치되는 고정부재(100)에는 연결부재(400) 없이도 장착부재(200)만으로 선형태로 연이어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도 1에서 처럼, 하나의 고정부재(100)에 하나의 장착부재(200)가 결합되며, 하나의 장착부재(200)에 이웃하는 다른 장착부재(200)는 연결부재(400)로 연결된다.
도 1과 같이, 상기 고정부재(100)는 수직파이프(1)와 수평파이프(2)가 연결형성된 시스템 비계에서 작업발판이 설치되는 장선파이프(3)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직파이프(1)나 수평파이프(2)에도 고정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 각 파이프가 서로 수직관계 또는 수평관계에 있더라도 설치가 가능하다. 이렇게 다양한 위치에 설치 가능한 이유는 상기 고정부재(100)에 각기 다른 방향으로 탈착가능하게 고정결합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2개의 고정부(110) 때문이다. 그리고 여기에 더해 고정부(110)에 결합된 장선파이프(3), 수직파이프(1) 및 수평파이프(2)를 포함하는 비계는 고정수단(120)에 의해 각 고정부(110)에 고정결합됨과 함께 결합위치가 고정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개별 고정부(110)는 대상물이 삽입안착되는 요입안착홈(111a)이 구비되는 집게하우징(111)에 삽입된 대상물을 고정결합시키는 집게(1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에서 처럼, 각기 다른 방향을 향해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상기 2개의 고정부(110)는 사각형상을 갖는 하나의 지지판(111b)의 수평변이 서로 쌍을 이루어 수직하게 절곡연장되는 2쌍의 대향측벽(111c)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각 쌍을 이루는 대향측벽(111c)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는 2쌍의 대향측벽(111c)은 각기 상이한 지지판(111b)에 구비된 후, 각 지지판(111b)이 결합형성되는 구성을 갖을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대향측벽(111c)의 연장단부에는 홈형태의 요입안착홈(111a)이 형성된다.
또한, 쌍을 이루는 상기 대향측벽(111c)에는 양쪽의 개별 대향측벽(111c)을 일직선상으로 관통하는 축관통공(111e)과 대향관통공(111d)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축관통공(111e)에는 축봉(114)이 설치되는데, 상기 축봉(114)에는 이 축봉(114)에 대응결합되는 축공(112c)을 축으로 회전동작하도록 대향하는 구조로 구비되는 한 쌍의 집게발(112a)인 상기 집게(112)가 설치되어, 상기 요입안착홈(111a)으로 삽입되는 대상물을 안착고정시킨다. 여기서 한 쌍의 집게발(112a)은 중심부가 상기 축봉(114)에 끼움설치되고, 양단이 각각 한 쌍의 집게발(112a)의 단부에 걸림고정되는 토션스프링(113)에 의해 집게(112)는 전체적으로 탄성작동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집게(112)를 구성하는 한 쌍의 집게발(112a)에는 집게발통공(112b)이 관통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집게발통공(112b)과 상기 대향측벽(111c)에 관통형성되는 대향관통공(111d)은 상기 고정수단(120)의 설치를 위한 구성이다.
다시 말해, 상기 요입안착홈(111a)의 단부로 대상물을 접촉시킨 후 밀어넣으면, 요입안착홈(111a)의 입구를 폐쇄하고 있던 한 쌍의 집게발(112a)이 상기 토션스프링(113)의 탄성작동에 의해 상기 축봉(114)을 축으로 벌어지면서 대상물이 요입안착홈(111a)으로 진입하여 안착된다. 대상물의 안착이 완료됨과 동시에 토션스프링(113)의 수축작용으로 한 쌍의 집게발(112a)은 오므려지는 집힘작동으로 요입안착홈(111a)의 입구를 폐쇄하여 대상물을 요입안착홈(111a) 상에 고정결합시키게 된다.
한편, 한 쌍의 집게발(112a)인 집게(112)의 집힘동작이 완료되면, 상기 대향관통공(111d)과 상기 집게발통공(112b)이 일직선상으로 배치된다. 이렇게 일직선상에 놓이는 대향관통공(111d) 및 집게발통공(112b)에는 이들을 가로지르는 봉형상의 상기 고정수단(120)을 삽입결합시킨다. 대향관통공(111d) 및 집게발통공(112b)에 삽입된 고정수단(120)에 의해 상기 집게하우징(111)과 상기 집게(112)는 일체화 되어 대상물을 안정적이면서도 확고하게 고정지지하게 된다. 이를 통해 대상물 및/또는 활주장치(10)에 외력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고정부(110)에 고정된 대상물은 이탈의 염려없이 결합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이와 동시에 대상물과 상기 고정부재(100)의 결합위치 또한 안정적으로 유지고정된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 고정수단(120)은 전체적으로 봉형상을 갖는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도 3에서 처럼, 봉형상의 일단부인 삽입부(121)는 관통공에 대한 삽입이 용이하도록 그 단부가 점차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타단부인 봉손잡이부(122)에는 파지가 용이하도록 손잡이고리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120)의 삽입부(121)에는 삽입된 관통공의 단부에 탄성적으로 걸림작동하는 걸림작동구(121d)가 결합시트(121b)에 탄성스프링(121c)으로 탄성지지되어 삽입부(121)의 삽입홀(121a)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재(200)는 어느 하나의 상기 고정부(110)에 고정결합되는 고정헤드부(210)와, 이 고정헤드부(210)에 일체로 구비되는 안내관부(220)를 포함한다. 여기서 고정헤드부(210)와 안내관부(220)는 길이방향을 따라 판상으로 형성되는 장착연결부(230)로 연결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헤드부(210)는 상기 고정부(110)에 구비된 집게(112)와의 결합력이 담보될 수 있도록 하는 돌출헤드(211)가 구성된다. 상기 돌출헤드(211)는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면이 바깥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장착연결부(230)의 상단에 형성되어 "T" 자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형성되는 고정헤드부(210)의 단면상 중심부에는 길이방향의 양단부에 홈형태로 형성되거나, 또는 길이방향 전체를 따라 관통공의 형태로 형성되거나, 이와는 달리 길이방향의 양단부에 돌출결합봉의 형태, 또는 관통이나 홈형태의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고정연결봉(213)의 여러 결합방법 중 서로 대응하는 결합방법으로 헤드고정구(2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내관부(220)는 후술할 상기 활주부재(300)의 롤러부(310)가 활주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안내관부(220)는 상기 롤러부(310)가 안내관부(220)의 외둘레면을 길이방향으로 활주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롤러부(310)의 활주가 용이하도록 건설현장에서 통상적인 비계파이프로 사용되는 지름48.6mm * 두께2.3mm 의 원형강관이 사용된다. 그러나 안내관부(220)의 형상이 원형관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삼각관이나 사각관과 같은 다각관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안내관부(220)가 원형관으로 형성되는 경우, 원형관의 외둘레면 중 일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평탄한 절삭면인 절삭안내면(223)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되는 상기 절삭안내면(223)을 따라서는 상기 활주부재(300)의 롤러부(310)가 밀착하여 미끄럼 이동하는데, 절삭안내면(223)의 평평한 수평면에 롤러부(310)의 롤러가 넓은 면적으로 접촉하여 슬라이딩하기 때문에, 안내관부(220)가 원형관으로 형성되더라도 롤러부(310)가 원형관의 원주방향으로 회전됨이 없이 절삭안내면(223)을 따라 일정한 방향성을 갖은 채로 활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안내관부(220)는 이웃하는 다른 안내관부(220)와 안내관부(220)끼리 직접 연결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안내관부(220)에 일체로 형성되는 상기 고정헤드부(210)도 다른 하나의 안내관부(220)에 일체로 형성되는 다른 하나의 고정헤드부(210)에 직접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필요에 따라서는 도 1에서 처럼, 상기 연결부재(400)의 연결관부(410)가 하나의 안내관부(220)와 다른 하나의 안내관부(220)를 연결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하나의 안내관부(220)가 다른 하나의 안내관부(220)에 연결되거나 또는 연결부재(400)의 연결관부(410)에 연결되도록, 안내관부(220)의 길이방향 양단에는 접속소켓(221)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접속소켓(221)은 상기 안내관부(220)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홈형태, 또는 길이방향을을 관통하는 관통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는 달리 길이방향 양단부에 돌출결합봉의 형태, 또는 관통이나 홈형태의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소켓연결봉(222)의 여러 결합방법 중 서로 대응하는 결합방법으로 접속소켓(221)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에서 하나의 장착부재(200)가 다른 하나의 장착부재(200)와 직접 연결될 수 있는데, 이 경우 고정연결봉(213)에 의해 고정헤드부(210)끼리 결합연결되고, 소켓연결봉(222)에 의해 안내관부(220)끼리 결합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의 특성에 기인하여 장착부재(200)끼리는 일정한 방향성을 갖게 되어 외력이 발생하더라도 일정한 방향성의 결합력이 유지되고, 이에 따라 안내관부(220)를 활주하는 상기 활주부재(300)의 안정적인 활주가 담보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 1과 같이, 상기 연결부재(400)는 상기 고정부재(100)에 결합된 상기 장착부재(200)가 서로 이격배치될 때, 이격배치되는 장착부재(200)를 일렬로 연결하여 상기 활주부재(300)가 끊김없이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적어도 상기 장착부재(200)의 구성중 상기 활주부재(300)가 활주하는 안내관부(220)가 연결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 상기 연결부재(400)는 이격배치되는 안내관부(220)가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되, 안내관부(220)를 활주하던 활주부재(300)가 안내관부(220)에 연결된 연결부재(400)를 저항없이 연이어 원활하게 활주할 수 있도록, 안내관부(22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연결관부(410)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관부(410)는 상기 안내관부(220)를 활주하던 상기 활주부재(300)가 저항없이 연이어 원활하게 이행활주가 가능하도록 안내관부(220)에 대응하는 형상이다. 이에, 안내관부(220)가 원형관으로 형성되는 경우, 연결관부(410) 또한 안내관부(220)와 동일한 원형관으로 형성된다. 또한, 안내관부(220)가 삼각 또는 사각의 다각관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연결관부(410)도 이에 대응하는 삼각 또는 사각의 다각관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관부(410)가 원형관으로 형성되는 경우, 이 연결관부(410)에는 상기 안내관부(220)의 절삭면인 절삭안내면(223)에 대응하는 절삭면으로 절삭연결면(411)이 형성된다. 상기 절삭연결면(411)은 원형관으로 형성되는 연결관부(410)의 외둘레면 중 일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평평하게 형성되는 평탄면이다. 이렇게 형성되는 상기 절삭연결면(411)을 따라서는 상기 활주부재(300)의 롤러부(310)가 밀착하여 미끄럼 이동하는데, 절삭연결면(411)의 평평한 수평면에 롤러부(310)의 롤러가 넓은 면적으로 접촉하여 슬라이딩하기 때문에, 연결관부(410)가 원형관으로 형성되더라도 롤러부(310)가 원형관의 원주방향으로 회전됨이 없이 절삭연결면(411)을 따라 일정한 방향성을 갖은 채로 활주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관부(410)에는 상기 장착부재(200)의 고정헤드부(210)에 대응하는 연결헤드부(420)가 중간연결부(430)로 연결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관부(410)와 상기 연결헤드부(420)의 길이방향 양단부에는 각각 상기 안내관부(220)와 상기 고정헤드부(210)와의 결합을 목적으로 하는 연결소켓(412)과 연결고정구(42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소켓(412) 및 연결고정구(421)는 상기 접속소켓(221) 및 헤드고정구(212)에 대응하여 삽입홈, 관통공, 돌출봉 또는 연결봉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소켓(412)은 상기 연결관부(410)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안내관부(220)의 접속소켓(221)과 직접 결합하여 연결되거나, 소켓연결봉(222)을 매개로 연결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고정구(421)는 상기 연결헤드부(420)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헤드부(210)의 헤드고정구(212)와 직접 결합하여 연결되거나, 고정연결봉(213)을 매개로 연결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400)에 상기 연결관부(410)와 상기 연결헤드부(420)가 중간연결부(430)로 연결되어 일체로 구성된 후, 상기 소켓연결봉(222)과 상기 고정연결봉(213)을 이용해 상기 장착부재(200)의 안내관부(220)와 고정헤드부(2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고정구(421)에 의해 고정헤드부(210)와 연결헤드부(420)가 결합연결되고, 소켓연결봉(222)에 의해 안내관부(220)와 연결관부(410)가 결합연결되기 때문에, 연결부재(400)는 장착부재(200)에 대해 일정한 방향성을 유지하면서 연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안내관부(220)를 활주하는 상기 활주부재(300)의 안정적인 활주가 담보된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활주부재(300)는 상기 장착부재(200)의 안내관부(220) 및/또는 상기 연결부재(400)의 연결관부(410)를 활주하는 롤러부(310)를 포함한다. 안전줄(4)은 활주부재(30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도 4에서 처럼, 롤러하우징(320)의 하부에 구비되는 안전줄부(330)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롤러부(310)가 설치되는 롤러하우징(320)은 안내관부(220) 및/또는 연결관부(410)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원형관으로 형성되는 안내관부(220) 및/또는 연결관부(410)에 대응하여 원형링 중 일부가 개방된 개구부를 구비하여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장착부재(200) 및/또는 연결부재(400)의 연결부(230,240)와의 간섭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롤러하우징(320)에는 상기 안내관부(220) 및/또는 연결관부(410)의 외둘레면을 따라 활주하는 롤러부(310)가 설치되는데, 바람직하게는 등변삼각형의 형태인 제1,2,3롤러부(310a,310b,310c)로 형성된다.
등변삼각형태의 밑변에 구비되는 제1롤러부(310a)는 안내관부(220) 및/또는 연결관부(410)의 절삭면인 상기 절삭안내면(223) 및/또는 절삭연결면(411)에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으로 활주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통해 안내관부(220) 및/또는 연결관부(410)가 원형관으로 형성되더라도, 제1롤러부(310a)와 절삭안내면(223) 및/또는 절삭연결면(411)의 넓은 면적의 접지로 인해, 활주부재(300)는 원형관의 원주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고 직선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등변삼각형태의 양쪽 등변에는 각각 제2롤러부(310b)와 제3롤러부(310c)가 구비된다. 제2,3롤러부(310b,310c)는 원형관인 상기 안내관부(220) 및/또는 연결관부(410)의 외둘레면에 선접촉으로 활주부재(300)의 안정적인 활주를 안내하게 된다.
또한, 활주하우징의 하부에는 안전줄부(330)가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안전줄부(330)에는 작업자의 몸과 연결된 안전줄(4)의 연결고리가 유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1: 수직파이프 2: 수평파이프
3: 장선파이프 4: 안전줄
10: 활주장치
100: 고정부재
110: 고정부 111: 집게하우징
111a: 요입안착홈 111b: 지지판
111c: 대향측벽 111d: 대향관통공
111e: 축관통공 112: 집게
112a: 집게발 112b: 집게발통공
112c: 축공 113: 토션스프링
114: 축봉 120: 고정수단
121: 삽입부 121a: 삽입홀
121b: 결합시트 121c: 탄성스프링
121d: 걸림작동구 122: 봉손잡이부
200: 장착부재
210: 고정헤드부 211: 돌출헤드
212: 헤드고정구 213: 고정연결봉
220: 안내관부 221: 접속소켓
222: 소켓연결봉 223: 절삭안내면
230: 장착연결부
300: 활주부재
310: 롤러부 320: 롤러하우징
330: 안전줄부
400: 연결부재
410: 연결관부 411: 절삭연결면
412: 연결소켓 420: 연결헤드부
421: 연결고정구 430: 중간연결부

Claims (6)

  1. 대상물을 집게하우징(111)의 요입안착홈(111a)에 탈착가능하게 안착결합시키는 집게(112)가 구비되는 고정부(110) 2개가 각기 다른 방향으로 결합구성되며, 상기 집게(112)에 의한 대상물의 결합상태를 유지시킴과 동시에 결합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120)이 구비되는 고정부재(100);
    안내관부(220)를 일체로 구비하는 고정헤드부(210)가 어느 하나의 상기 고정부(110)에 고정결합되는 장착부재(200);
    상기 안내관부(220)를 따라 활주하는 롤러부(310)가 구비되는 활주부재(300); 를 포함하며,
    상기 집게하우징(111)에는 지지판(111b)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부에 상기 요입안착홈(111a)이 구비되는 한 쌍의 대향측벽(111c)을 일직선상으로 관통하는 대향관통공(111d)이 형성되고, 상기 대향측벽(111c)에 설치되는 축봉(114)을 축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집게발(112a)이 토션스프링(113)에 의해 탄성작동하도록 설치되어 대상물을 상기 요입안착홈(111a)으로 진입안착시켜 결합고정하는 상기 집게(112)에는 한 쌍의 집게발(112a)에 집게발통공(112b)이 관통형성되되, 대상물에 대한 상기 집게(112)의 집힘작동시 일직선상으로 배치되는 상기 대향관통공(111d) 및 집게발통공(112b)을 가로지르는 봉형상의 상기 고정수단(120)을 삽입결합시켜 상기 고정부(110)와 대상물간의 위치가 고정되는 다목적 활주장치.
  2. 대상물을 집게하우징(111)의 요입안착홈(111a)에 탈착가능하게 안착결합시키는 집게(112)가 구비되는 고정부(110) 2개가 각기 다른 방향으로 결합구성되며, 상기 집게(112)에 의한 대상물의 결합상태를 유지시킴과 동시에 결합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120)이 구비되는 고정부재(100);
    안내관부(220)를 일체로 구비하는 고정헤드부(210)가 어느 하나의 상기 고정부(110)에 고정결합되는 장착부재(200);
    상기 안내관부(220)를 따라 활주하는 롤러부(310)가 구비되는 활주부재(300); 를 포함하며,
    상기 안내관부(220)는 원형관으로 이 원형관의 외둘레면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롤러부(310)가 활주하되, 상기 원형관의 외둘레면 중 일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평탄한 절삭면인 절삭안내면(223)으로 형성되어 상기 절삭안내면(223)을 활주하는 상기 롤러부(310)의 원주방향 회전이 방지되는 다목적 활주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200)는 상기 고정부재(100)에 결합되어 서로 이격배치되고,
    이격배치되는 상기 장착부재(200)는 적어도 상기 안내관부(220)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관부(410)가 구비되는 연결부재(400)에 의해 연결구성되며,
    상기 활주부재(300)는 상기 안내관부(220) 및 연결관부(410)를 따라 활주하는 다목적 활주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200)는,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돌출형성되는 돌출헤드(211)를 이용해 상기 고정헤드부(210)가 상기 고정부(110)에 걸림고정되고,
    상기 고정헤드부(210)에 장착연결부(230)로 연결되는 상기 안내관부(220)의 외둘레면 길이방향으로는 상기 롤러부(310)가 활주됨과 함께, 상기 안내관부(220)의 길이방향 양단에 구비되는 접속소켓(221)에는 상기 연결부재(400)의 연결관부(410)가 결합설치되는 구성을 포함하는 다목적 활주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관부(220) 및 연결관부(410)는 서로 대응하는 원형관으로 형성되고, 이 원형관의 외둘레면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롤러부(310)가 활주하되,
    상기 원형관의 외둘레면 중 일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평탄한 절삭면으로써 절삭안내면(223)과 절삭연결면(411)으로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절삭안내면(223) 및 절삭연결면(411)을 활주하는 상기 롤러부(310)의 원주방향 회전이 방지되는 다목적 활주장치.
  6. 삭제
KR1020230092266A 2023-07-17 2023-07-17 다목적 활주장치 KR102608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2266A KR102608611B1 (ko) 2023-07-17 2023-07-17 다목적 활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2266A KR102608611B1 (ko) 2023-07-17 2023-07-17 다목적 활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8611B1 true KR102608611B1 (ko) 2023-11-30

Family

ID=88968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2266A KR102608611B1 (ko) 2023-07-17 2023-07-17 다목적 활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8611B1 (ko)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8850Y1 (ko) * 2006-03-20 2006-06-14 고영국 펜스 가설용 클램프
KR200427523Y1 (ko) * 2006-07-12 2006-09-27 김두연 펜스구조물 조립용 클램프
KR20070000522U (ko) * 2007-03-21 2007-05-07 고영국 펜스가설용 가변클램프
KR101208817B1 (ko) 2010-07-21 2012-12-06 김태환 다목적 가이드 홀더
KR102055377B1 (ko) 2018-08-03 2019-12-12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추락방지용 안전고리
JP2020065837A (ja) * 2018-10-26 2020-04-30 有限会社多ヶ谷興業 安全帯
KR102278956B1 (ko) * 2020-02-24 2021-07-19 금성에이스산업(주) 파이프 롤러 가이드
JP2021180733A (ja) * 2020-05-19 2021-11-25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安全帯取付用単管パイプ吊具、安全帯取付アタッチメント
KR102420849B1 (ko) * 2021-08-10 2022-07-13 박세현 클램프 결합용 안전로프 고정기구
KR102450385B1 (ko) 2020-05-06 2022-10-04 강명석 시스템 비계용 구명줄 이송장치
KR102494286B1 (ko) * 2022-08-17 2023-02-06 주식회사 더챌린지 스카이워크 레포츠 제공 시스템
KR20230033308A (ko) 2021-09-01 2023-03-08 권해국 비계용 안전고리 연결 브라켓
KR102548699B1 (ko) * 2022-06-07 2023-06-27 김형수 비계용 추락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8850Y1 (ko) * 2006-03-20 2006-06-14 고영국 펜스 가설용 클램프
KR200427523Y1 (ko) * 2006-07-12 2006-09-27 김두연 펜스구조물 조립용 클램프
KR20070000522U (ko) * 2007-03-21 2007-05-07 고영국 펜스가설용 가변클램프
KR101208817B1 (ko) 2010-07-21 2012-12-06 김태환 다목적 가이드 홀더
KR102055377B1 (ko) 2018-08-03 2019-12-12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추락방지용 안전고리
JP2020065837A (ja) * 2018-10-26 2020-04-30 有限会社多ヶ谷興業 安全帯
KR102278956B1 (ko) * 2020-02-24 2021-07-19 금성에이스산업(주) 파이프 롤러 가이드
KR102450385B1 (ko) 2020-05-06 2022-10-04 강명석 시스템 비계용 구명줄 이송장치
JP2021180733A (ja) * 2020-05-19 2021-11-25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安全帯取付用単管パイプ吊具、安全帯取付アタッチメント
KR102420849B1 (ko) * 2021-08-10 2022-07-13 박세현 클램프 결합용 안전로프 고정기구
KR20230033308A (ko) 2021-09-01 2023-03-08 권해국 비계용 안전고리 연결 브라켓
KR102548699B1 (ko) * 2022-06-07 2023-06-27 김형수 비계용 추락방지장치
KR102494286B1 (ko) * 2022-08-17 2023-02-06 주식회사 더챌린지 스카이워크 레포츠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26605B2 (ja) ロープグラブ
DK2707561T3 (en) Safety Barrier System
WO2020241957A1 (ko) 철근 유동방지형 원터치 커플러
KR102608611B1 (ko) 다목적 활주장치
JP3216562U (ja) 仮設足場用連結構造体
US4499967A (en) Scaffolding staging
JP5935111B1 (ja) 足場用安全帯取付具及び先行手摺用支柱部材
JP5379668B2 (ja) 足場装置
JP6241967B2 (ja) アクセス構造物一体化アセンブリおよび一体化アクセス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使用する方法
JP6628623B2 (ja) 足場用安全手摺の格納保持装置
JP2018044343A (ja) 手摺装置
KR102259385B1 (ko) 작업용 발판
KR200469390Y1 (ko) 선박용 비계
KR200412779Y1 (ko) 건축용 비계 클램프
WO2017164557A1 (ko) 건물 외벽 작업을 위한 안전 사다리
KR200467302Y1 (ko) 안전난간용 난간지주
KR20210000467U (ko) 케이블트레이용 연결구
KR200412780Y1 (ko) 건축용 비계 클램프
JPH07109833A (ja) 足場板の固定方法及び固定具
KR102131807B1 (ko) 롤러가 구비된 사다리 고정장치
KR200369775Y1 (ko) 레일과 레일브래킷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직이동형비계
KR102298730B1 (ko) 낙하방지 안전고리 연결용 프로파일앵커
CN220572585U (zh) 一种消防管道安装用固定装置
KR102516500B1 (ko) 비계의 안전 덮개
JP7264467B2 (ja) 仮設足場用の縦支柱、及び、それを使用した仮設足場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