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9775Y1 - 레일과 레일브래킷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직이동형비계 - Google Patents

레일과 레일브래킷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직이동형비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9775Y1
KR200369775Y1 KR20-2004-0021674U KR20040021674U KR200369775Y1 KR 200369775 Y1 KR200369775 Y1 KR 200369775Y1 KR 20040021674 U KR20040021674 U KR 20040021674U KR 200369775 Y1 KR200369775 Y1 KR 2003697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bracket assembly
rail bracket
couple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16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영주
김병준
김상신
임헌범
Original Assignee
남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영주 filed Critical 남영주
Priority to KR20-2004-00216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97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97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977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04G2003/286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mobile verti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조물의 외벽면에 고정되는 고정브래킷과, 상기 고정브래킷에 탈부착이 가능하며 서로 마주보는 면이 압착되어 상하로 연장되는 레일을 고정시키는 걸쇠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브래킷 조립체와; 상기 레일브래킷 조립체에 안내되어 상하로 이동되며, 상기 레일브래킷 조립체의 전면으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슬래브, 구조물 외부 빔 및 와이드 빔에 설치 가능하도록 좁은 폭으로 형성되고, 중량이 가볍고 조립이 간편하여 설치 및 이동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안전성도 우수한 레일과 레일브래킷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직이동형 비계를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레일과 레일브래킷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직이동형 비계{Rail, rail bracket assembly and vertical moving type scaffold including these}
본 고안은 레일과 레일브래킷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직이동형 비계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구조물의 외벽에 고정되는 레일브래킷 조립체와, 레일브래킷 조립체에 안내되어 수직방향으로 안정되게 이동되는 레일 및 상기 레일브래킷 조립체와 레일을 포함하는 수직이동형 비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계는 작업원 또는 공사에 필요한 자재의 이동통로 및 작업공간을 확보하고, 공사 중 발생되는 낙하물에 의해 작업자와 행인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레일브래킷 조립체는 상기와 같은 용도로 건축물의 둘레에 설치되는 비계를 좀 더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레일과 레일브래킷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직이동형 비계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a는 종래의 레일브래킷 조립체가 레일과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며, 도 1b는 도 1a의 레일브래킷 조립체의 가이드부재가 레일과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레일과 레일브래킷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직이동형 비계는, 구조물에 고정되는 레일브래킷 조립체(10)와, 상기 레일브래킷 조립체(10)에 안내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한 레일(20)로 구성된다.
상기 레일브래킷 조립체(10)는, 외부 구조물에 고정되는 몸체(12)와; 상기 몸체(12) 위에 측방향 회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단부에 상기 레일(20)의 측부 연장부(22)가 삽입되는 안내홈(32)이 형성되어 상기 레일(20)이 상하로 미끄럼 이동하도록 안내하며, 회동에 의해 상기 레일의 측부 연장부(22)가 상기 안내홈(32)에 걸림 및 걸림해제되게 하는 제 1 및 제 2 가이드부재(30)와; 상기 몸체(12)에 수평방향보다 상방향으로만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토퍼(4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레일(20)은 양측단부에 상기 제 1 및 제 2 가이드부재(30)의 안내홈(32)에 삽입되는 측부 연장부(22)가 형성되고 정면에는 상기 스토퍼(40)가 삽입되는 스토퍼용 채널(52)이 형성되는 지주(5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주(50)의 측면에는 상기 스토퍼용 채널(52)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통공(54)이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통공(54)에는 지지로드(56)가 탈부착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레일(20)의 하강 시 상기 스토퍼(40)에 걸려 상기 레일(20)의 높이를 고정시키게 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레일과 레일브래킷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직이동형 비계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레일브래킷 조립체가 넓은 폭으로 제작되어 슬래브, 구조물 외부 빔 및 와이드 빔 등에 고정이 용이하지 않다.
종래의 레일에 사용되는 지주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채널이 결합되어 구성되는 바, 상기 채널이 가이드부재를 통해 수직방향으로 이송되기 위하여 레일브래킷 조립체의 폭은 상기 지주에 비해 넓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통상의 슬래브, 빔 또는 와이드 빔에는 상기와 같은 레일브래킷 조립체의 적용이 불가능하며, 또한 외벽형상이 함몰되거나 돌출된 경우에는 더더욱 그러하다.
둘째, 종래의 레일브래킷 조립체는 상술한 바와 같이 그 폭이 넓음에 따라 중량 또한 육중하다. 이에 따라, 레일의 수직이동 시 하부레벨에서 상부레벨로 레일브래킷 조립체를 이송해야 되는데 중량이 육중하여 인력을 이용한 이송은 용이하지 못하며, 상부레벨로 이송하였다 하여도 그 설치가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셋째, 종래의 레일브래킷 조립체는 그 구조상 지주가 상부 또는 하부방향에서만 결합이 가능하므로 설치가 용이하지 못하다. 특히, 플랫폼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복수개의 레일브래킷 조립체가 요구되는 바, 그 설치가 더욱 더 힘들어진다. 또한, 레일브래킷 조립체에 이상이 생겨 교체를 해야 하는 경우에도 그러하다.
넷째, 크레인과 연결한 연결수단이 끊어지거나 어느 한 레벨의 레일브래킷 조립체에 이상이 발생하여 이동형 비계가 추락할 경우, 이에 대한 예방책이 없어 커다란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슬래브, 구조물 외부 빔 및 와이드 빔에 설치 가능하도록 좁은 폭으로 형성되고, 중량이 가볍고 조립이 간편하여 설치 및 이동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안전성도 우수한 레일과 레일브래킷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직이동형 비계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a는 종래의 레일브래킷 조립체가 레일과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b는 도 1a의 레일브래킷 조립체의 가이드부재가 레일과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2a는 본 고안에 의한 수직이동형 비계의 레일브래킷 조립체가 레일과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2b는 도 2의 레일브래킷 조립체가 레일과 결합된 상태를 후면에서 도시한다.
도 3은 도 2의 레일브래킷 조립체가 지주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4a~4d는 본 고안에 의한 수직이동형 비계가 설치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5a~도5e는 본 고안에 의한 수직 이동형 비계가 구조물에 설치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레일브래킷 조립체 : 100 고정브래킷 : 200
후면플레이트 : 210 수평플레이트 : 220
측면플레이트 : 230 지지부재 : 240
회전플레이트 : 260 걸쇠장치 : 300
프레임 : 310 걸림쇠 : 320
회전축: 330 레일 : 400
지주 : 410 결합공 : 420
플랫폼 : 500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레일과 레일브래킷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직이동형 비계는, 구조물의 외벽면에 고정되는 고정브래킷과, 상기 고정브래킷에 탈부착이 가능하며 서로 마주보는 면이 압착되어 상하로 연장되는 레일을 고정시키는 걸쇠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브래킷 조립체와; 상기 레일브래킷 조립체에 안내되어 상하로 이동되며, 상기 레일브래킷 조립체의 전면으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는 본 고안에 의한 수직이동형 비계의 레일브래킷 조립체가 레일과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고, 도 2b는 도 2의 레일브래킷 조립체가 레일과 결합된 상태를 후면에서 도시하며, 도 3은 도 2의 레일브래킷 조립체가 지주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다.
이하, 상세한 설명을 함에 있어서, 레일 브래킷 조립체를 기준으로 구조물의 외벽면과 접하는 측을 후면으로, 그 반대 측을 전면으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구조물의 외벽면에 고정되는 고정브래킷(200)과, 상기 고정브래킷(200)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걸쇠장치(300)로 구성되는 레일 브래킷 조립체(100)와; 상기 레일브래킷 조립체의 전면으로 탈부착이가능하도록 조립되는 레일(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브래킷(200)은 구조물의 외벽면과 접하는 후면플레이트(210)와, 상기 후면플레이트(210)의 전면으로 돌출되는 수평플레이트(220)와, 상기 수평플레이트(220)의 상면에 상기 걸쇠장치(300)가 삽입 가능하도록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측면플레이트(230)와, 상하로 연장되는 레일(400) 및 레일(400)과 결합되는 플랫폼의 자중 등에 의한 상기 수평플레이트(220)의 처짐을 방지하는 지지부재(240)로 구성된다.
상기 후면플레이트(210)는 수평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가로부재(211)와, 상기 가로부재(211)의 하단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는 두 개의 세로부재(213)가 'ㅠ'자형의 전면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때, 구조물의 외벽면과 접하는 상기 후면플레이트(210)의 일측은 설치 시 밀착이 가능하도록 평평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로부재(211) 상에는 복수의 체결공(215)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후면플레이트(210)의 전면형상이 'ㅠ'자로 제작된 이유는 불필요한 부분을 없애 상기 고정브래킷(200)의 중량을 줄여 설치·제거 및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수평플레이트(220)는 상기 가로부재(211)의 하단부위에서 전면으로 돌출되며, 전단측 중앙으로 개구부를 갖는 소정 크기의 안내홈(221)이 형성되어 상기 이동형 비계(400)가 삽입된다.
상기 측면플레이트(230)는 평면형상이 'ㄴ'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평플레이트(220)의 측면과 전면의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수평플레이트(220)의 양측에서 상부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바, 상기 후면플레이트 및 측면플레이트에 의해 상기 수평플레이트(220) 상에 소정의 공간(25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공간(250)에는 상기 걸쇠장치(300)가 안착된다.
상기 지지부재(240)는 상기 수평플레이트(220)의 하면과 상기 세로부재(213)의 전면 사이에 소정의 각도로 구비되어 수평플레이트(220)로 인가되는 하중을 후면플레이트(210)를 통해 구조물의 외벽으로 전달시킴으로써 수평플레이트(220)의 처짐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240)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종래 레일 브래킷 조립체보다 더 큰 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하였다. 게다가, 상기 지지부재(240)는 속이 빈 중공의 사각 파이프로 제작되므로 상기 고정브래킷(200)의 중량을 줄여 설치·제거 및 이송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고정브래킷(200)은 상기 공간(250)에 안착되는 걸쇠장치(300)가 상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플레이트(260)가 구비되는 바, 상기 회전플레이트(260)는 상기 수평플레이트(220)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필요에 따라 상기 걸쇠장치(300)의 탈착이 가능하도록 개폐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플레이트(260)와 측면플레이트(230)가 접하는 부위에는 결합돌기(261)와 홈(263)이 형성되어 폐쇄된 회전플레이트(260)가 외력에 의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고정브래킷(200)은 상기 체결공(215)을 통해 구조물의 외벽면에 설치되는 바, 그 설치방법은 앵커볼트나 가시볼트에 의한 통상의 방법에 해당되어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걸쇠장치(300)는 상기 고정브래킷(200)에 결합 가능한 형상 및 크기로형성되는 프레임(310)과, 서로 마주보는 면의 압착으로 상기 이동형 비계(400)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구비되는 걸림쇠(320)와, 상기 걸림쇠(320)가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310)에 결합시키는 회전축(330)으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310)은 상기 고정브래킷(200)의 내부 공간에 결합 가능한 형상을 갖는 상부플레이트(311)와, 상기 상부플레이트(311)와 소정의 간격으로 수직방향 이격되는 하부플레이트(313)와, 상기 상·하부플레이트(311,313) 사이에 구비되는 수직플레이트(315)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플레이트(311)와 하부플레이트(313)는 평면형상이 동일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레일(400)이 삽입 가능하도록 안내홈(317)이 형성되는 바, 상기 안내홈(317)은 평면 상 상기 수평플레이트의 안내홈(221)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며 동일한 평면형상과 크기를 갖는다.
상기 상·하부플레이트(311,313) 사이에 구비되는 수직플레이트(315)는 상기 안내홈(317)의 양측에 위치되는 제 1 수직플레이트(315a)와, 상기 후면플레이트(210) 측에 위치되는 제 2 수직플레이트(315b)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 1 수직플레이트(315a)는 상기 걸림쇠(320)가 결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된다.
전면이 달팽이 형상인 상기 걸림쇠(320)는 상기 제 1 수직플레이트(315a)에 결합되며, 일부가 상기 안내홈(317)의 내부로 돌출된다. 상기 안내홈(317)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걸림쇠(320)의 일측은 평탄한 면으로 형성되고, 타측은 단부가 반원형인 연장부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수직플레이트(315a)에 결합되어지되, 회전축(330)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걸림쇠(320)는서로 마주보는 면에 걸림턱(321)과 상기 걸림턱(321)과 대응되는 걸림홈(323)이 각각 형성되는 바, 도면 상 제 1 걸림쇠(320a)에는 걸림턱(321)이 형성되며 제 2 걸림쇠(320b)에는 걸림홈(323)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레일브래킷 조립체(100)의 중량을 줄여 설치·제거 및 이송이 용이하도록 상기 걸림쇠(320)의 반원형 연장부 일부분에는 슬릿(325)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330)과 결합되는 부위에는 와셔형 돌출부(327)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공간(250)에 삽입되는 레일(400)은 수직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지주(410)와, 상기 지주(410)의 측면을 관통하며 수직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복수개 이상의 결합공(420)으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 프레임과 걸림쇠 및 레일의 결합관계를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걸림쇠(320)는 제 1 수직플레이트(315a)와 하부플레이트(313)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결합되어 안내홈(317)의 전후방향 중심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걸림쇠(320)는 상기 제 1 수직플레이트(315a)에 결합되어지되, 회전축(330)에 회동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걸림쇠(320)의 회동은 상기 하부플레이트(313)에 의해 수평이하로는 제한되고, 수평이상으로만 회동 가능하다. 따라서, 걸림쇠(320)는 상기 레일(400)에 하향으로 하중 또는 외력이 인가되면 폐쇄되어 레일(400)을 고정하는 반면, 상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쉽게 개방되어 레일(400)의 수직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하향으로 인가되는 하중 또는 외력이 클수록 상기 걸림쇠(320) 사이의간격이 좁아져 더 단단하게 고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레일브래킷 조립체(100)는 시공되는 구조물의 모든 층에 하나 이상 구비되고, 상기 레일(400)은 상기 다수의 레일브래킷 조립체(100)에 의해 안내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며, 하나의 레일(400)마다 수직방향으로 최소 두 개 이상이 결합되어야한다.
또한, 시공되는 구조물의 한 층에는 수평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두 개 이상의 레일브래킷 조립체(100)가 고정되고, 상기 레일(400)에는 각 지주(410)를 서로 연결시키는 발판과, 상기 발판의 외곽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난간을 포함하는 플랫폼이 추가로 구비된다.
도 4a~4d는 본 고안에 의한 수직이동형 비계가 설치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수직이동형 비계가 설치되는 설치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구조물의 외벽면에 고정브래킷(200)을 설치한다. 이때, 설치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앵커볼트나 가시볼트에 의한 통상의 방법을 이용한다.
상기 고정브래킷(200)이 외벽면에 설치되면, 고정브래킷(200)의 상면에 결합된 회전플레이트(260)를 회동시켜 상면을 개방한 후 걸쇠장치(300)를 안착시킨다. 이때, 상기 고정브래킷(200)은 상기 걸쇠장치(300)가 안착되는 공간(250)의 전후방향 길이를 다양하게 하여 제작되는 바, 그 이유는 돌출 또는 함몰부위가 형성되는 구조물에 적용하기 위함이다. 통상적으로 구조물 외벽면의 돌출 또는 함몰되는 치수는 통상 5~10㎝정도이며 최대 15㎝를 넘어서는 안되므로 이를 고려하여 상기 고정브래킷(200)을 제작한다.
상기 걸쇠장치(300)가 안착되면, 상기 회전플레이트(260)를 최초의 위치(폐쇄위치)로 복귀시키고, 레일(400)이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걸림쇠(320)를 회동시킨다.
그 후, 제 1 걸림쇠(320a)의 걸림턱(321)이 상기 이동형 비계(400)의 결합공(420)을 관통하여 제 2 걸림쇠(320b)의 걸림홈(323)에 삽입되면 설치가 완료된다. 이때, 상기 레일(400)의 삽입방향은 종래의 수직상향 또는 수직하향이던 것을 레일 브래킷 조립체(100)의 전면에서 삽입 가능하도록 하였다.
도 5a~도5e는 본 고안에 의한 수직이동형 비계가 구조물에 설치되는 과정을 도시한다.
우선, 본 고안의 수직이동형 비계는 크레인 등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며, 기본적으로 수직이동형 비계를 상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원하는 높이에서 놓는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방식을 이용한다.
도 5a는 구조물의 1층과 2층 외벽면에 레일브래킷 조립체(100)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다. 상기 레 브래킷 조립체(100a,100b)는 최초 2개가 설치되지만, 층수가 높아지면 최대 3개가 요구된다. 이때, 필요한 레일브래킷 조립체의 개수는 상기한 개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레일의 길이 및 그 외의 상황에 따라 다양한 개수가 요구될 수 있다.
그 후,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일브래킷 조립체(100a,100b)에 지주(410)를 포함하는 레일(400)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레일(400)의 길이는 2층의높이보다 약간 긴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일(400)의 외측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연장프레임(510)이 설치되고, 레일(400)과 연장프레임(510)의 최상단, 최하단 및 그 중앙부근에는 플랫폼(500) 설치를 위한 사이드 프레임(520)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플랫폼(500)은 작업자의 작업공간 등을 제공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체이며, 플랫폼(500)의 설치 위치는 상기 레일(400)과 연장프레임(510)의 최상단, 최하단 및 그 중앙부근 모두 가능하다.
1층, 2층의 외벽면 시공이 완성되면, 도 5c와 같이 3층 외벽면에 또 다른 레일 브래킷 조립체(100c)를 설치하고, 상기 이동형 비계(400), 연장프레임(510) 및 플랫폼(500)을 상방향으로 이동·고정시킨다.
3층 외벽면의 시공이 완성되면, 도 5d와 같이 최하부(1층)에 설치된 레일 브래킷 조립체(100a)를 해체하여 4층에 설치하고 도 5c와 동일하게 레일(400), 연장프레임(510) 및 플랫폼(500)을 상방향으로 이동·고정시킨다.
상술한 설치과정은 구조물의 4층 정도까지를 감당할 수 있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상술한 설치과정을 반복하면 5층 이상도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술한 설치과정은 레일브래킷 조립체 전체를 탈·부착하는 방식을 사용한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그 외에 다수개의 고정브래킷을 구조물의 외벽면에 먼저 설치한 후 걸림장치만 결합·해체하여 사용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일과 레일브래킷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직이동형 비계의 구성 및 설치과정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 레일과 레일브래킷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직이동형 비계는, 구조물 외부 빔 및 와이드 빔에 설치 가능하도록 좁은 폭으로 형성되고, 외벽형상에 관계없이 장착 가능하며, 무게가 가벼워 설치, 이동 및 재설치가 용이하다.
또한, 하나의 레일에는 최소한 두 개 이상의 레일브래킷 조립체가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크레인과 연결한 연결수단이 끊어지거나 어느 한 레벨의 레일브래킷 조립체에 이상이 발생하여도 플랫폼이 안전하게 거치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제 1 걸림쇠와 제 2 걸림쇠의 서로 마주보는 면이 압착되어 레일을 고정하는 것으로 레일에 가해지는 하중이 클수록 더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플랫폼을 설치하기 위한 레일의 설치시 레일브래킷 조립체의 전면에서 삽입이 가능하므로 지주의 설치가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Claims (11)

  1. 구조물의 외벽면에 고정되는 고정브래킷과;
    상기 고정브래킷에 탈부착이 가능하며, 서로 마주보는 면이 압착되어 상하로 연장되는 레일을 고정시키는 걸쇠장치;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브래킷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쇠장치는,
    상기 고정브래킷에 결합 가능한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는 프레임과, 서로 마주보는 면의 압착으로 상기 이동형 비계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구비되는 걸림쇠와, 상기 걸림쇠가 상기 프레임과 회동 가능하도록 걸림쇠와 프레임을 연결하는 회전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브래킷 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쇠는,
    상기 프레임의 수평 이상으로만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서로 마주보는 면에 걸림턱과 걸림홈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브래킷 조립체.
  4. 제 1 항 또는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래킷은,
    구조물의 외벽면과 접하는 후면플레이트와, 상기 후면플레이트의 일면으로 돌출되는 수평플레이트와, 상기 수평플레이트의 상면에 상기 걸쇠장치가 삽입 가능하도록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측면플레이트와, 상기 이동형 비계 및 이동형 비계와 결합되는 플랫폼의 자중 등에 의한 상기 수평플레이트의 처짐을 방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브래킷 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래킷은,
    상기 걸쇠장치가 상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플레이트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브래킷 조립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플레이트는,
    고정볼트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의 상면에 결합되어지되, 고정부재의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걸쇠장치가 탈거될 수 있도록 수평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브래킷 조립체.
  7. 걸림수단이 구비되는 레일브래킷 조립체에 안내되어 상하로 이동되며, 상기 레일브래킷 조립체의 전면으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레일.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평단면이 H자 형상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지주와, 상기 걸림수단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상기 지주의 측면을 관통하는 결합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9. 구조물의 외벽면에 고정되는 고정브래킷과, 상기 고정브래킷에 탈부착이 가능하며 서로 마주보는 면이 압착되어 상하로 연장되는 레일을 고정시키는 걸쇠장치로 구성되는 레일브래킷 조립체와;
    상기 레일브래킷 조립체에 안내되어 상하로 이동되며, 상기 레일브래킷 조립체의 전면으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이동형 비계.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브래킷 조립체는 시공되는 구조물의 모든 층에 하나 이상 구비되고, 하나의 레일마다 최소한 두 개 이상의 레일브래킷 조립체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이동형 비계.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및 레일브래킷 조립체는 시공되는 구조물의 한 층에는 수평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두 개 이상 구비되고;
    상기 레일에는 각 레일을 서로 연결시키는 발판과, 상기 발판의 외곽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난간을 포함하는 플랫폼이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브래킷 조립체를 이용한 수직 이동형 비계.
KR20-2004-0021674U 2004-07-29 2004-07-29 레일과 레일브래킷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직이동형비계 KR2003697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1674U KR200369775Y1 (ko) 2004-07-29 2004-07-29 레일과 레일브래킷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직이동형비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1674U KR200369775Y1 (ko) 2004-07-29 2004-07-29 레일과 레일브래킷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직이동형비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9733A Division KR20060039038A (ko) 2004-07-29 2004-07-29 레일과 레일브래킷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직이동형비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9775Y1 true KR200369775Y1 (ko) 2004-12-14

Family

ID=49352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1674U KR200369775Y1 (ko) 2004-07-29 2004-07-29 레일과 레일브래킷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직이동형비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977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259B1 (ko) 2007-11-07 2009-11-16 금강공업 주식회사 가설대 승강장치
KR100927258B1 (ko) 2007-11-07 2009-11-16 금강공업 주식회사 가설대 승강장치
WO2011052854A1 (ko) * 2009-10-29 2011-05-05 금강공업(주) 가설대 조임 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259B1 (ko) 2007-11-07 2009-11-16 금강공업 주식회사 가설대 승강장치
KR100927258B1 (ko) 2007-11-07 2009-11-16 금강공업 주식회사 가설대 승강장치
WO2011052854A1 (ko) * 2009-10-29 2011-05-05 금강공업(주) 가설대 조임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66247B2 (en) Modular shoring assembly with length adjustable support
JP5237895B2 (ja) 飛散防止装置
KR20110108357A (ko) 다층 건물 상에 외장 부재들을 장착시키는 방법
KR100927259B1 (ko) 가설대 승강장치
KR20130001947A (ko) 갱폼 인양용 가이드레일 시스템
CN108699847B (zh) 侧护板、具有至少一个这种侧护板的天花板模板系统及用于架设这种侧护板的方法
US20160305138A1 (en) Construction safety net support apparatus
KR101240784B1 (ko) 리프트 장치
US3395501A (en) Hoist tower
KR200369775Y1 (ko) 레일과 레일브래킷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직이동형비계
KR100927258B1 (ko) 가설대 승강장치
JP4683595B2 (ja) 枠組み足場における手摺の取付方法
JP6498075B2 (ja) 鉄骨構造物の張出通路
JP4814620B2 (ja) 外部養生ユニットのクライミング工法
KR20060039038A (ko) 레일과 레일브래킷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직이동형비계
KR100609726B1 (ko) 상승식 가설대용 안내장치
KR101062138B1 (ko) 가설대 조임 장치 및 방법
KR200397948Y1 (ko) 상승식 가설대용 안내 걸림 장치
KR100501482B1 (ko) 건축물 시공용 빔 연결 보조 장치
JP6520533B2 (ja) 天井クレーン支持装置及び荷重受け部材
JP2019031837A (ja) 仮設足場用階段手摺
JP7239292B2 (ja) 仮設足場の墜落防止構造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隙間閉塞部材
KR101250709B1 (ko) 갱폼 인양용 가이드레일 시스템
KR20200120184A (ko) 작업용 발판
KR102430549B1 (ko) 소음방지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