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3308A - 비계용 안전고리 연결 브라켓 - Google Patents

비계용 안전고리 연결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3308A
KR20230033308A KR1020210116102A KR20210116102A KR20230033308A KR 20230033308 A KR20230033308 A KR 20230033308A KR 1020210116102 A KR1020210116102 A KR 1020210116102A KR 20210116102 A KR20210116102 A KR 20210116102A KR 20230033308 A KR20230033308 A KR 202300333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scaffolding
horizontal
pipe
safety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6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4320B1 (ko
Inventor
권해국
Original Assignee
권해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해국 filed Critical 권해국
Priority to KR1020210116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4320B1/ko
Publication of KR20230033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33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4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4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01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against falling down relating to scaffold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20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계용 안전고리 연결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비계 통로를 따라 이동하는 작업자에 연결된 안전고리의 거치 및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추락에 따른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직 비계파이프(10)에 체결된 클램프(40)에 수평방향으로 체결이 이루어지는 메인 브라켓(30)과; 상기 메인 브라켓(30) 일측에 일체로 연결되되, 내부 중공(31a)에는 수평 비계파이프(20)가 관통 삽입되는 가이드 브라켓(31)과; 상기 가이드 브라켓(31) 및 수평 비계파이프(20)를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일측이 개방된 "C"형상의 단면 구조를 이룸과 함께 일측에는 안전고리 연결공(33)이 형성된 이동 브라켓(32);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계용 안전고리 연결 브라켓{Safety Hook Connection Bracket for Scaffolding}
본 발명은 비계용 안전고리 연결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 공사시에 설치하는 임시 가설물인 비계에 작업자 추락 방지를 위한 안전고리 연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설치가 이루어지는 안전고리 연결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비계의 각 층 통로에서는 작업자가 보행하면서 작업이 가능하도록 타공 발판이 설치되어 있으나, 갑작스러운 흔들림이나 강풍 등으로 인해 작업자의 추락 사고 위험이 존재한다.
이와 같은 추락사고의 방지를 위해 작업 전에 안전로프 양끝을 비계의 수직파이프 또는 수평파이프에 묶어 안전 로프가 수평방향으로 일자형이 되도록 하고, 그 후 안전로프에 작업자와 연결된 안전고리를 걸어 작업자가 추락하는 경우에 안전로프에 작업자가 매달리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추락이 예방되도록 하였다.
그런데 위와 같이 안전로프 양끝을 묶는 방식으로 안전줄을 가설하는 경우에는 안전로프의 견고한 가설이 담보되지 않았다.
또한, 견고한 가설을 위해 안전로프 양끝을 강력하게 결속하면 안전로프의 가설에 상당한 시간이 필요한 불편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2262253호(2021.06.02.등록)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276189호(2013.06.12.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비계 통로를 이동하는 작업자의 안전고리가 용이하게 거치 됨과 함께 수평 비계 파이프를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연결 브라켓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안전고리 연결 브라켓은, 수직 비계파이프에 체결된 클램프에 수평방향으로 체결이 이루어지는 메인 브라켓과; 상기 메인 브라켓 일측에 일체로 연결되되, 내부 중공에는 수평 비계파이프과 관통 삽입되는 가이드 브라켓과; 상기 가이드 브라켓 및 수평 비계파이프를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일측이 개방된 "C"형상의 단면 구조를 이룸과 함께 일측에는 안전고리 연결공이 형성된 이동 브라켓;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 브라켓에는 클램프의 고정력 향상을 위한 고정돌기가 돌출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브라켓의 양단부에는 수평 비계파이프를 따라 이동된 이동 브라켓의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일정 경사 형태의 테이퍼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안전고리 연결브라켓은, 비계 통로를 따라 이동하는 작업자에 연결된 안전고리의 거치 및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추락에 따른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메인 브라켓과 가이드 브라켓은 비계 파이프에 고정된 상태에서 이동 브라켓이 수평방향으로 안내되면서 이동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되는 이점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고리 연결 브라켓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안전고리 연결 브라켓 조립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연결 브라켓 측면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이동 브라켓 부품 분리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연결 브라켓이 수직 비계파이프에 체결된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 연결 브라켓에 수평 비계파이프 및 안전고리가 연결된 상태 상세도.
도 7은 본 발명 연결 브라켓에 안전고리 연결 상태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 연결 브라켓 설치에 따른 이동 브라켓의 이동상태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연결 브라켓 분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연결 브라켓 결합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다른 이동 브라켓 요부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표현한 구성요소의 형상 등은 더욱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술의 기능 및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계용 안전고리 연결 브라켓의 구조를 도 1 내지 도 9를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 예에서의 연결 브라켓은, 수직 비계파이프(10)에 체결된 클램프(40)에 수평방향으로 체결이 이루어지는 메인 브라켓(30)과. 상기 메인 브라켓(30) 일측에 일체로 연결되되, 내부 중공(31a)에는 수평 비계파이프(20)가 관통 삽입되는 가이드 브라켓(31)과, 상기 가이드 브라켓(31) 및 수평 비계파이프(20)를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일측이 개방된 "C"형상의 단면 구조를 이룸과 함께 일측에는 안전고리 연결공(33)이 형성된 이동 브라켓(32)의 구성을 이루게 된다.
이때, 메인 브라켓(30)에는 클램프(40)의 고정력 향상을 위한 고정돌기(30a)가 돌출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브라켓(31)의 양단부에는 수평 비계파이프(20)를 따라 이동된 이동 브라켓(32)의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일정 경사 형태의 테이퍼면(31b)이 형성된다.
또한, 이동 브라켓(32)은 곡률부(32')와 평탄부(32")로 이루어지는 2개의 상부 브라켓(32a)과 하부 브라켓(32b)이 쌍을 이루어서 볼트(34) 체결에 의한 조립이 이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이동 브라켓(32)의 개방 부위 크기는 수평 비계파이프(20)로 부터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도록 수평 비계파이프(20)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시킴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 안전고리 연결 브라켓의 설치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안전고리 연결 브라켓은 건축 공사 현장에서 건축물 주변을 따라 비계 파이프의 설치 작업시 함께 설치가 이루어지게 된다.
즉, 비계 파이프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2개가 쌍을 이루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구조를 이루는 클램프(40)의 일측을 수직 비계파이프(10)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클램프(40)의 타측에는 본 발명 연결 브라켓의 메인 브라켓(30)이 고정되어지게 된다.
이때, 메인 브라켓(30)은 수직 비계파이프(10)와 직교하는 수평 상태를 이루게 되며, 클램프(40)는 고정돌기(30a)에 의해 안정적인 고정상태를 이룰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메인 브라켓(30)이 클램프(40)에 의해 고정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일측에 연결된 가이드 브라켓(31)에는 수평 비계파이프(20)가 삽입되어 지지가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이동 브라켓(32)은 가이드 브라켓(31)을 감싸는 형태로 거치가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동 브라켓(32)은 곡률부(32')와 평탄부(32")로 이루어지는 2개의 상부 브라켓(32a)과 하부 브라켓(32b)이 쌍을 이루는 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상호간에 볼트(34) 체결에 의한 조립 체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 안전고리 연결 브라켓의 설치가 이루어진 상태에서는 이동 브라켓(32)의 안전고리 연결공(33)에 작업자 안전고리(50)를 연결한 상태에서 작업자의 비계 통로를 따라 이동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때 이동 브라켓(32)은 수평 비계파이프(20)를 따라 슬라이딩 안내에 따른 이동이 이루어짐과 함께 가이드 브라켓(31) 설치 부위를 지날 때에는 테이퍼면(31b)에 의해 안내가 이루어짐으로써 단턱 걸림 현상이 방지되는 가운데 원활한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안전고리 연결브라켓은, 비계 통로를 따라 이동하는 작업자에 연결된 안전고리의 거치 및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추락에 따른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메인 브라켓과 가이드 브라켓은 비계 파이프에 고정된 상태에서 이동 브라켓이 수평방향으로 안내되면서 이동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되는 이점을 나타낸다.
한편,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메인 브라켓(30) 일측에는 내구성 보강을 위한 봉 형상의 보강대(35)가 나사체결이 이루어지고, 상기 보강대(35)에는 수평 비계파이프(20)를 지지하기 위한 비계 지지구(36)가 일정 곡률의 곡면 형상을 이루어 구성되며, 상기 비계 지지구(36)는 탄성스프링(37)에 의해 탄성 지지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게 되면, 연결 브라켓의 설치시 수평 비계파이프(20)가 비계 지지구(36)에 의한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보다 안정적인 지지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특히, 탄성스프링(37)에 의한 완충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수평 비계파이프(20)의 진동이 신속하게 흡수되는 이점을 나타낸다.
또한, 보강대(35)는 메인 브라켓(30)과 나사 체결에 의한 연결 구조를 이룸으로써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이점을 나타낸다.
또한,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동 브라켓(32)의 내벽면에는 수평 비계파이프(20) 및 가이드 브라켓(31)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마찰력 및 소음 발생을 저감시키기 위한 기능성이 윤활층(38)이 코팅 형성된다.
이때, 상기 윤활층(38)은 불화 비닐리덴수지 15~35중량%, 카보나이트 라이드 10~30중량%, 폴리우레탄 10~20중량%, 폴리아미드 수지 10~30중량%, 페녹시폴리머 5~20중량%, 소듐바이카보네이트 5~10중량%, 다이메톡시다이메틸실레인 1~10중량%, 싸이오황산소듐 1~10중량%의 비율로 혼합 조성을 이룸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윤활층(38)이 이동 브라켓(32) 내벽면에 형성된 구성을 이루게 되면, 수평 비계파이프(20)와 가이드 브라켓(31)의 표면과 마찰력이 저감될 수 있게 되어 보다 원활한 이동이 이루어짐과 함께 이에 따른 마찰 소음이 저감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윤활층(38)에는 불화 비닐리덴수지 및 폴리아미드 수지 성분이 혼합되어 있기 때문에 내구성이 강화되어 마찰 충격에 따른 크랙 발생이 방지되고, 페녹시폴리머는 폴리아미드 수지 성분의 촉매 작용에 따른 경화 현상을 방지하며, 소듐바이카보네이트는 코팅층의 완충 기능을 통한 소음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다이메톡시다이메틸실레인 및 싸이오황산소듐은 각각 혼합 성분 상호간의 결합력 및 표면 윤활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윤활층(38)의 밀도를 강화시킴과 함께 원활한 이동 브라켓(32)의 이동에 도움을 주는 진보된 작용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연결 브라켓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해야 할 것이다.
10 : 수직 비계파이프 20 : 수평 비계파이프
30 : 메인 브라켓 31 : 가이드 브라켓
31a: 내부 중공 31b: 테이퍼면
32 : 이동 브라켓 33 : 안전고리 연결공
34 : 볼트 40 : 클램프
50 : 안전고리

Claims (5)

  1. 수직 비계파이프(10)에 체결된 클램프(40)에 수평방향으로 체결이 이루어지는 메인 브라켓(30)과;
    상기 메인 브라켓(30) 일측에 일체로 연결되되, 내부 중공(31a)에는 수평 비계파이프(20)가 관통 삽입되는 가이드 브라켓(31)과;
    상기 가이드 브라켓(31) 및 수평 비계파이프(20)를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일측이 개방된 "C"형상의 단면 구조를 이룸과 함께 일측에는 안전고리 연결공(33)이 형성된 이동 브라켓(32);
    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용 안전고리 연결 브라켓.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브라켓(30)에는 클램프(40)의 고정력 향상을 위한 고정돌기(30a)가 돌출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브라켓(31)의 양단부에는 수평 비계파이프(20)를 따라 이동된 이동 브라켓(32)의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일정 경사 형태의 테이퍼면(31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용 안전고리 연결 브라켓.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 브라켓(32)은 곡률부(32')와 평탄부(32")로 이루어지는 2개의 상부 브라켓(32a)과 하부 브라켓(32b)이 쌍을 이루어서 볼트(34) 체결에 의한 조립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용 안전고리 연결 브라켓.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브라켓(30) 일측에는 내구성 보강을 위한 봉 형상의 보강대(35)가 나사체결이 이루어지고, 상기 보강대(35)에는 수평 비계파이프(20)를 지지하기 위한 비계 지지구(36)가 일정 곡률의 곡면 형상을 이루어 구성되며, 상기 비계 지지구(36)는 탄성스프링(37)에 의해 탄성 지지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용 안전고리 연결 브라켓.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 브라켓(32)의 내벽면에는 수평 비계파이프(20) 및 가이드 브라켓(31)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마찰력 및 소음 발생 저감을 위한 윤활층(38)이 코팅 형성되되, 상기 윤활층(38)은 불화 비닐리덴수지, 카보나이트 라이드,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 수지, 페녹시폴리머, 소듐바이카보네이트, 다이메톡시다이메틸실레인, 싸이오황산소듐의 혼합 조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용 안전고리 연결 브라켓.
KR1020210116102A 2021-09-01 2021-09-01 비계용 안전고리 연결 브라켓 KR102584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6102A KR102584320B1 (ko) 2021-09-01 2021-09-01 비계용 안전고리 연결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6102A KR102584320B1 (ko) 2021-09-01 2021-09-01 비계용 안전고리 연결 브라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3308A true KR20230033308A (ko) 2023-03-08
KR102584320B1 KR102584320B1 (ko) 2023-09-27

Family

ID=85508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6102A KR102584320B1 (ko) 2021-09-01 2021-09-01 비계용 안전고리 연결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43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8611B1 (ko) 2023-07-17 2023-11-30 윤호섭 다목적 활주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8364Y1 (ko) * 2002-06-10 2002-09-09 인해식 생명줄 걸이대장치
KR101276189B1 (ko) 2012-09-06 2013-06-18 강민구 달비계용 로프 고정 장치
JP2016205102A (ja) * 2015-04-28 2016-12-08 有限会社 ステップアップ 足場用安全帯取付具及び先行手摺用支柱部材
JP2018044408A (ja) * 2016-09-16 2018-03-22 株式会社ピカコーポレイション 階段用手摺り取付装置
KR20180104364A (ko) * 2017-03-13 2018-09-21 신영기술개발(주) 방음터널용 패널파이프 지지장치
KR102262253B1 (ko) 2019-09-04 2021-06-07 장윤근 고층비계용 안전로프 설치기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8364Y1 (ko) * 2002-06-10 2002-09-09 인해식 생명줄 걸이대장치
KR101276189B1 (ko) 2012-09-06 2013-06-18 강민구 달비계용 로프 고정 장치
JP2016205102A (ja) * 2015-04-28 2016-12-08 有限会社 ステップアップ 足場用安全帯取付具及び先行手摺用支柱部材
JP2018044408A (ja) * 2016-09-16 2018-03-22 株式会社ピカコーポレイション 階段用手摺り取付装置
KR20180104364A (ko) * 2017-03-13 2018-09-21 신영기술개발(주) 방음터널용 패널파이프 지지장치
KR102262253B1 (ko) 2019-09-04 2021-06-07 장윤근 고층비계용 안전로프 설치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8611B1 (ko) 2023-07-17 2023-11-30 윤호섭 다목적 활주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4320B1 (ko) 2023-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93179B2 (ja) ブラケット
US6439344B1 (en) Concrete mounted safety stanchion and apparatus and methods for mounting to concrete
KR101678849B1 (ko) 출렁거림 및 비틀림 억제 구조를 가지는 케이블 교량의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된 케이블 교량
EP3409325A1 (en) Fall protection modular rigid rail system
AU744625B2 (en) Height safety system
KR20230033308A (ko) 비계용 안전고리 연결 브라켓
KR102169029B1 (ko) 강도 보강형 교량 점검시설
AU2008232642A1 (en) Erector scaffold deck fall arrest assembly
KR20220149959A (ko) 추락방지를 위한 와이어로프 안전장치
KR200491862Y1 (ko) 건물 난간용 로프 설치 장치
KR20160109033A (ko) 착탈식 안전난간대
US10238899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upporting an operator from a building
KR200494347Y1 (ko) 레이스웨이용 내진행거
JP6704612B2 (ja) エレベータ用ガイドレール保持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エレベータ
JP2015203185A (ja) 天井構造
KR20120001878U (ko) 분진망 및 안전 네트의 장력조절장치
CN110965797A (zh) 一种钢梁临边防护装置
JP7430071B2 (ja) 移動足場、移動足場システム、及び移動足場システムの設置方法
KR101559917B1 (ko) 낙하방지장치
JP3148464B2 (ja) ケーブル架設用吊り足場
WO2021141556A1 (en) Innovation in facade access systems
JP6568031B2 (ja) 乗客コンベア
JP2021075967A (ja) 吊り足場
KR102616862B1 (ko) 천장마감패널용 고정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천장마감시스템
GB2448199A (en) Support for scaffolding boar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