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9385B1 - 작업용 발판 - Google Patents

작업용 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9385B1
KR102259385B1 KR1020190042744A KR20190042744A KR102259385B1 KR 102259385 B1 KR102259385 B1 KR 102259385B1 KR 1020190042744 A KR1020190042744 A KR 1020190042744A KR 20190042744 A KR20190042744 A KR 20190042744A KR 102259385 B1 KR102259385 B1 KR 102259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e plate
handrail
plate member
scaffold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2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0184A (ko
Inventor
엄석호
이광길
강정기
김무성
김대년
이종태
정수호
김종호
Original Assignee
에스폼 주식회사
삼목에스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폼 주식회사, 삼목에스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42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9385B1/ko
Publication of KR20200120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01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9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9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4Rai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28Clips or connections for securing boards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용 발판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소정의 폭을 가지는 발판에 있어서, 폭방향으로 연장되고 상호 끼움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제1결합수단이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발판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나란하게 배열되어 있는 2개 이상의 면판부재; 상기 면판부재의 사이에 배치되고 면판부재의 제1결합수단에 끼움식으로 결합되며 면판부재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바형상의 보강부재; 발판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나란하게 배치된 면판부재의 단부를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면판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며 난간이 설치될 수 있는 복수의 난간대를 포함하는 작업용 발판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작업용 발판{Working platform}
본 발명은 작업용 발판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작이 용이하면서 생산성이 우수한 작업용 발판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공사나 기타 다양한 작업장에서는 발판이 설치되어 작업자가 그 발판에 올라간 상태에서 소정의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발판은 통상적으로 금속철재로 이루어지고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구성되어 상기 작업자가 상기 발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걸으면서 소정의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발판은 발판본체와 상기 발판본체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와, 상기 발판에서 세워지고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하는 난간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기존의 발판은 발판본체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어서 이미 설치된 후에 다른 작업을 수행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즉, 작업환경에 따라서 필요한 길이에 맞게 제조되고 있기 때문에 다른 작업장에서 사용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또한, 발판을 조립하는 공정도 주로 볼트체결 또는 용접 등에 의존하기 때문에 고정설치를 위한 시간이 많이 들뿐 아니라, 해체에도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도 있다.
이와 함께 발판은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있기 때문에 발판을 강도보강하기 위한 구조를 마련하게 되는데, 이러한 강도보강용 구조도 설치시 볼트결합 또는 용접등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설치를 위한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작업환경에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조립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강도보강도 쉽게 될 수 있게 하는 작업용 발판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작업용 발판은,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소정의 폭을 가지는 발판에 있어서,
폭방향으로 연장되고 상호 끼움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제1결합수단이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발판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나란하게 배열되어 있는 2개 이상의 면판부재;
상기 면판부재의 사이에 배치되고 면판부재의 제1결합수단에 끼움식으로 결합되며 면판부재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바형상의 보강부재;
발판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나란하게 배치된 면판부재의 단부를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면판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며 난간이 설치될 수 있는 복수의 난간대를 포함한다.
상기 작업용 발판에서,
상기 면판부재는 압출성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작업용 발판에서,
상기 면판부재 중 어느 하나는 인접한 면판부재와 제1결합수단에 의하여 끼움결합되고, 면판부재 중 다른 하나는 상기 보강부재와 끼움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작업용 발판에서,
상기 면판부재는 상기 발판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오목부와 볼록부가 연속된 요철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요철은 상기 발판의 폭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작업용 발판에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발판의 폭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바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면판부재의 두께보다 큰 두께를 가지고 있고, 양측면에 상기 면판부재의 제1결합수단과 끼움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 제2결합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작업용 발판에서,
상기 보강부재의 양단은 상기 지지대와 볼트에 의하여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작업용 발판에서,
상기 지지대의 양 끝단에는 작업용 발판을 거치대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가 마련되고,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지지대의 단부에 고정되고 거치대를 삽입될 수 있도록 입구부가 마련된 고리몸체;
상기 고리몸체의 일면에서 돌출되는 안내핀; 및
상기 안내핀이 삽입되는 호형의 장공을 구비하며 상기 고리몸체의 입구부를 개방하는 위치와, 입구부를 폐쇄하는 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이동편을 포함하되,
상기 이동편은 입구부를 개방하는 위치에 놓이거나 폐쇄하는 위치에 놓였을 때 자중에 의하여 다른 위치로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작업용 발판에서,
상기 고리몸체에는 반원의 호형상의 고리부가 마련되고,
상기 안내핀은 상기 고리부의 호형상을 따라서 2개 이상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안내핀은 고리부의 중앙에서 일측에 치우쳐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작업용 발판에서,
상기 난간대는,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한 쌍의 난간을 함께 지지할 수 있도록 상부와 중앙에 각각 난간지지부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작업용 발판에서,
상기 난간대에 지지되는 한 쌍의 난간은, 원형봉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각각의 난간은 수직바에 의하여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작업용 발판에서,
상기 수직바는 연결체에 의하여 한 쌍의 난간에 고정설치되되,
상기 연결체는,
일면은 원형봉 형상의 난간과 대응되는 곡면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타면은 수직바의 단부와 대응되는 평면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작업용 발판에서,
상기 연결체는 난간에 일면이 접촉된 상태에서 나사고정되고, 타면이 상기 수직바에 접촉되어 용접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발판은, 바닥면을 구성하는 면판부재가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가지면서 발판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나란하게 배열되고 서로 끼움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다양한 작업환경에 맞게 설치될 수 있으며 조립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발판은, 면판부재의 사이에 끼움식으로 결합되는 보강부재를 배치하여 조립이 용이하면서도 쉽게 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발판은, 면판부재가 압출성형에 의하여 제작되므로 제작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작업용 발판을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작업용 발판을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의 도 1의 작업용 발판의 면판부재와 지지대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1의 작업용 발판의 면판부재를 결합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분리사시도.
도 6은 도 4의 면판부재의 결합모습을 확대한 도면.
도 7은 도 4의 면판부재와 보강부재의 결합모습을 확대한 도면.
도 8 및 도 9는 도 1의 작업용 발판의 단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10 및 도 11은 도 8에 나타난 고정장치의 작동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도 1의 작업용 발판에서 난간과 난간대의 분리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난간의 분리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발판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발판(10)은 각종 공사현장, 작업장 등에 사용되는 발판(10)으로서, 면판부재(20), 보강부재(30), 지지대(40), 고정장치(50), 난간대(60) 및 난간(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면판부재(20)는, 작업용 발판(10)에서 작업자가 보행을 하기 위하여 발로 딛는 부분으로서 작업용 발판(10)의 바닥부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면판부재(20)는 알루미늄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압출성형에 의하여 제조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면판부재(20)는 대략 정사각형의 판재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오목부와 볼록부가 연속된 다수의 요철(201)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면판부재(20)는,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발판(10)의 길이방향과 수직인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요철(201)이 발판(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속되어 있으며 이러한 요철(201)은 발판(10)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게 된다.
상기 면판부재(20)는 작업환경에 맞게 쉽게 조립될 수 있도록 정사각형을 가지면서 양측면에는 제1결합수단(21)이 마련되어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1결합수단(21)은, 면판부재(20)의 일측면에 형성된 돌출고정부(211)와, 면판부재(20)의 타측면에 형성된 오목고정부(212)로 이루어진다.
상기 돌출고정부(211)는, 면판부재(20)에서 돌출되며 끝단 주변에 노치가 형성되어 있게 된다. 상기 오목고정부(212)는 상기 돌출고정부(211)를 내부에 수용하여 고정결합시킬 수 있는 부분으로서 돌출고정부(211)와 대응되는 홈을 가지고 있게 된다. 즉, 측면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패여진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입구에는 노치에 걸릴 수 있는 걸림부분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면판부재(20)를 상호 결합하기 위해서는 서로 다른 면판부재(20)를 인접하게 배치한 상태에서 어느 하나의 면판부재(20)를 돌출고정부(211)를 다른 면판부재(20)의 오목고정부(212)에 삽입한 상태에서 면판부재(20)를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서 면판부재(20)를 상호 끼움식으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일단 면판부재(20)가 끼움식으로 결합된 후에는 면판부재(20)가 서로 측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하지 않는 이상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러한 사각판 형태의 면판부재(20)는 상호 끼움식으로 결합되어 발판(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나란하게 배치됨으로서 필요한 발판(10)의 길이에 맞게 다양하게 늘어날 수 있게 된다. 즉, 규격화된 면판부재(20)를 발판(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복수개 결합시킴으로서 원하는 길이를 가지는 발판(10)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 보강부재(30)는 면판부재(20)와 면판부재(20)의 사이에 배치되어 면판부재(20)의 강도를 보강하는 것이다. 이러한 보강부재(30)는 모든 면판부재(20)들 사이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나, 필요에 따라서 2개의 면판부재(20)를 서로 결합한 후에 다른 면판부재(20)와의 사이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보강부재(30)는 면판부재(20)보다 폭이 좁고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진다. 즉, 바 형상을 가지고 있으면서 전체적인 판의 두께가 면판부재(20)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있어서 면판부재(20)를 보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보강부재(30)는 내부가 비어진 중공의 바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양측에는 면판부재(20)의 제1결합수단(21)과 끼움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 제2결합수단(31)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2결합수단(31)은 제1결합수단(21)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있어서 작업자는 필요한 면판부재(20)의 일측에 보강부재(30)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설치시 면판부재(20)간의 결합과 동일하게 보강부재(30)를 면판부재(20)와 엇갈리게 배치한 상태에서 제2결합수단(31)과 제1결합수단(21)을 끼운 후에 보강부재(30)를 면판부재(20)의 일측면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쉽게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40)는, 발판(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나란하게 배치된 면판부재(20)의 단부를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면판부재(20)를 지지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끼움식으로 결합된 면판부재(20)는 서로 엇갈려배치된 상태에서 슬라이드 이동하여 결합되는데, 이러한 면판부재(20)가 슬라이드 이동하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지대(40)를 형성하여 면판부재(2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지지대(40)는 발판(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으며 나란하게 배치된 면판부재(20) 및 보강부재(30)의 단부를 지나도록 형성되어 있게 된다.
지지대(40)의 상단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며 면판부재(20) 및 보강부재(30)의 단부를 연속적으로 수용하는 “ㄷ”형상의 돌출편(41)이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며, 하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수평판(42)에서 “┓”형상으로 돌출형성된 제1걸림편(421)이 마련되어 있다.
즉, 지지대(40)는 발판(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나란하게 배치된 면판부재(20) 및 보강부재(30)의 단부를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면판부재(20)를 지지한다. 상기 지지대(40)의 돌출편(41)에는 내부에 수용된 보강부재(30)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고정되는 체결수단이 나사결합된다. 지지대(40)는 강도가 강한 보강부재(30)에 나사결합되어 있음에 따라서 면판부재(20)에 결합된 것보다 결합력이 저하되는 일이 없게 된다.
이러한 지지대(40)는 면판부재(20)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상단이 면판부재(20)의 상단과 동일한 위치에 놓이게 하고 면판부재(20)의 상면에서 하측을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고정장치(50)는, 지지대(40)의 양 끝단에 설치되어 발판(10)을 거치대에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통상적으로 발판(10)은 봉형상의 거치대에 걸쳐서 설치되고 필요한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거치대에서 분리되어 다른 거치대에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고정장치(50)는 작업장에 있는 거치대에 용이하게 발판(10)이 거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고정장치(50)는 고리몸체(51), 안내핀(52), 이동편(5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리몸체(51)는, 지지대(40)의 단부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서 봉형상의 거치대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고리몸체(51)는, 지지대(40)에 고정되는 고정부분(511)과, 상기고정부분(511)과 일체로 결합되며 거치대가 삽입되어 걸릴 수 있는 고리부(512)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분(511)에는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멍에 볼트가 끼워져서 거치대에 고정결합될 수 있게 한다.
상기 고리부(512)는, 원형봉 형상의 거치대가 삽입될 수 있도록 거치대와 대응되는 반원의 호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고리부(512)는 상부 또는 하측이 개방되어 있어서 입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입구부를 통해서 거치대(80)가 삽입되어 고리부(512) 내부에 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안내핀(52)은, 상기 고리몸체(51)의 고리부(512)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고리부(512)의 일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핀이다. 이러한 안내핀(52)은 이동편(53)이 이동하는 경로를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안내핀(52)은 고리부(512)의 중앙(반원형 호의 중심과 수직인 부분)에서 일측에 치우쳐서 배치되어 있게 된다. 즉, 고리부(512)를 따라서 전체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일부분에 치워져서 2개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안내핀(52)이 고리부(512)에 일측에 치워져서 배치됨에 따라서 이동편(53)이 개방위치에 놓였을 때에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자중에 의하여 폐쇄위치로 이동하지 않게 하고, 폐쇄위치에 안내핀(52)이 놓였을 때에도 안내핀(52)이 개방위치로 이동하지 않게 한다.
상기 이동편(53)은, 상기 안내핀(52)이 삽입되는 호형의 장공(531)을 가지는 것으로서, 고리몸체(51)의 입구부를 개방하는 위치(개방 위치)와 입구부를 폐쇄하는 위치(폐쇄위치) 사이를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이동편(53)이 개방위치에 놓였을 때에는 자중에 의하여 폐쇄위치로 이동하지 않고 폐쇄위치에 놓였을 때에는 인력에 의한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이상 개방위치로 복귀하지 않게 된다.
한편, 이동편(53)이 개방위치에 놓은 상태에서 거치대(80)를 입구부를 통해서 고리몸체(51) 내부에 삽입하여 안치시키고, 이후에 이동편(53)을 인위적으로 회전시켜 폐쇄위치에 놓음으로서 거치대(80)가 고리몸체(5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이동편(53)이 개방위치와 폐쇄위치에서 인력이 가해지지 않는 이상 다른 위치로 변경되지 않기 때문에, 작업자가 작업을 완료하여 개방위치에 이동편(53)을 이동시킨 후에 발판(10)을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이동편(53)이 폐쇄위치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되어 추후 새로운 위치에서 작업자가 거치대(80)에 거치를 위해서 이동편(53)을 개방위치로 이동조작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로 변경되지 않기 때문에, 설치후 작업자가 작업하는 과정에서 이동편(53)이 개방위치로 이동함으로서 발판(10)이 거치대(80)에서 이탈될 위험이 없게 된다.
상기 난간대(60)는 상기 지지대(40)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며 난간(70)이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난간대(60)는 복수개가 지지대(40)에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으며 발판(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일렬배치되어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난간대(60)은 난간고정체(62)에 의하여 지지대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진다. 상기 난간고정체(62)는, 난간대(60)의 하단에 고정설치되는 난간판부(621)와, 상기 난간판부(621)의 하부 일면에서 돌출형성되며 “┏”단면형상을 가지고 있어서 난간판부(621)와의 사이에 지지대(40)의 제1걸림편(421)이 끼워지게 하는 제2걸림편(622)을 포함한다.
상기 난간대(60)는 각봉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하단이 지지대(40)에 고정설치된다. 상기 난간대(60)에는 난간(70)이 분리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중앙과 상부에 각각 클립부재(61)가 형성된 난간지지부가 마련된다. 상기 클립부재(61)는 난간(70)이 분리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게 하는 것으로서 클립이 해재된 상태에서는 난간(70)이 난간지지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클립이 결합되었을 때에는 난간(70)이 난간지지부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난간(70)은 한 쌍이 수직바(71)에 결합되어 있으며 한 쌍의 난간(70)이 난간대(60)에 고정될 수 있다. 즉, 기존에는 하나의 원형봉 형태의 난간(70)을 각각 난간대(60)에 설치하고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한 쌍의 난간(70)을 수직바(71)에 의하여 결합된 상태로 제조되고 있으므로 한 쌍의 난간(70)을 각각 난간(70)지지대(40)에 결합할 필요가 없으므로 현장에서 조립이 간편하게 될 뿐 아니라, 운반도 용이하다.
한편, 한 쌍의 난간(70)을 수직바(71)에 결합하기 위하여 연결체(72)가 사용된다.
이러한 연결체(72)는 대략 육면체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일면에는 원형봉에 접촉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난간(70)과 대응되는 곡면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타면은 수직바(71)와 대응되는 평면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타면에는 수직바(71)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양단에 마련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연결체(72)는 일면과 타면을 관통하는 관통구멍(7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서 관통구멍(721)을 통과하는 나사(73)에 의하여 원형봉 형상의 난간(70)에 용이하게 고정조립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체(72)의 타면은 수직바(71)가 접촉된 상태에서 용접에 의하여 상기 수직바(71)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발판(10)은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가진다.
먼저, 작업자가 작업용 발판(10)을 필요한 위치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발판(10)이 필요한 길이를 잰 후에, 필요에 길이에 맞게 면판부재(20)를 준비한다. 또한, 면판부재(20)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서 필요한 개수의 보강부재(30)도 준비한다. 이후에 면판부재(20)들을 서로 끼움식으로 결합하고, 그 과정에서 보강부재(30)도 필요한 위치에 끼움식으로 결합한다.
이와 같이 면판부재(20)와 보강부재(30)를 서로 결합한 후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지지대(40)를 이용하여 나란하게 배열된 면판부재(20)의 단부에 고정시킨다. 지지대(40)까지 고정하고 나면 면판부재(20)와 보강부재(30)는 서로 분리불가능한 상태에 놓이게 된다.
이후에, 복수의 난간대(60)를 지지대(40)에 설치한다. 구체적으로 난간대(60)를 필요한 복수개소에 설치하게 된다. 난간대(60)의 설치가 완료되면 난간(70)을 난간대(60)에 설치한다. 이때 난간(70)은 한 쌍이 연결체(72)에 의하여 수직바(71)에 결합된 상태이므로 작업자는 한번의 작업으로 한 쌍의 난간(70)을 동시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난간(70)의 설치까지 완료되면 작업용 발판(10)을 필요한 거치대(80)에 거치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작업자는 이동편(53)이 개방위치에 놓여졌는지를 간단하게 확인하게 되고 개방위치에 이동편(53)이 놓은 것을 확인하면 고리몸체(51)의 고리부(512)에 거치대(80)를 안치하게 된다. 고리부(512)가 거치대(80)에 안전하게 안착된 것을 확인하면 이동편(53)을 폐쇄위치로 회동시킴으로서 작업용 발판(10)의 설치를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발판(10)은, 압출성형에 의하여 간편하게 제조된 면판부재(20)를 복수개 나란하게 배열시켜 제조하고 있으므로 작업여건에 맞게 발판(10)의 길이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면판부재(20)는 끼움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기존의 볼트, 너트의 결합방식에 비하여 조립시간이 현저하게 단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면판부재(20)의 사이에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재(30)도 끼움식으로 결합되어 조립이 간편할 뿐 아니라, 보강부재(30)도 규격화되어 있어서 전체적인 발판(10)의 길이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지지대(40)의 일측에는 이동편(53)이 자중에 의하여 별도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이상 개방위치 또는 폐쇄위치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설치가 간편할 뿐 아니라, 설치된 후에 안전성도 높아지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난간(70)은 난간대(60)에 상부와 하부에 설치하기 위하여 한 쌍의 난간(70)을 각각 조립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한 쌍의 난간(70)을 수직바(71)에 연결체(72)에 의하여 미리 결합시킨 상태에서 작업자에게 제공하고 있으므로 운반이 편리할 뿐 아니라, 조립시간이 단축되고 조립도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난간(70)의 조립시 원형봉과 사각봉에 동시에 조립하기 위하여 일면은 원형봉과 대응되는 곡면형상을 갖게 하고 타면은 각봉과 대응되는 평면형상을 갖도록 하여 원형병과 사각의 수직바(71)를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원형봉에는 사각봉 형상의 수직바(71)를 직접 설치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으나, 본 발명은 연결체(72)를 매개로 하여 원형봉과 수직바(71)를 쉽게 설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작업용 발판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과 같이 변형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지지대의 상단이 면판부재의 상단과 동일한 위치에 놓이게 하여 지지대가 면판부재의 상부에서 돌출되지 않은 구성을 개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지대의 상단이 면판부재에서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면판부재가 알루미늄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알루미늄 이외에 다른 금속소재가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면판부재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서 요철이 없는 면판부재를 도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고정장치의 안내핀이 2개씩 고리몸체에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3개 이상의 안내핀이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다양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로부터 합리적으로 해석될 수 있는 것이라면 무엇이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발판 20...면판부재
201...요철 21...제1결합수단
211...돌출고정부 212...오목고정부
30...보강부재 31...제2결합수단
40...지지대 41...돌출편
42...수평판 421...제1걸림편
50...고정장치 51...고리몸체
511...고정부분 512...고리부
52...안내핀 53...이동편
531...장공 60...난간대
61...클립부재 62...난간고정체
621...난간판부 622...제2걸림편
70...난간 71...수직바
72...연결체 721...관통구멍
73...나사

Claims (12)

  1.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소정의 폭을 가지는 발판에 있어서,
    폭방향으로 연장되고 상호 끼움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제1결합수단이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발판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나란하게 배열되어 있으며 발판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오목부와 볼록부가 연속된 요철이 형성된 2개 이상의 면판부재;
    상기 면판부재의 사이에 배치되고 면판부재의 제1결합수단에 끼움식으로 결합되며 면판부재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면판부재보다 두께가 두꺼운 바형상의 보강부재;
    발판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나란하게 배치되고 면판부재 및 보강부재의 단부를 연속적으로 연결하며 면판부재 및 보강부재를 지지하고, 상단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며 면판부재 및 보강부재의 단부를 연속적으로 수용하는 “ㄷ”형상의 돌출편이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며, 하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수평판에서 “┓”형상으로 돌출형성된 제1걸림편이 마련되어 있는 지지대;
    난간고정체에 의하여 상기 지지대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며 난간이 설치될 수 있는 복수의 난간대; 및
    상기 지지대의 양 끝단에 마련되고 작업용 발판을 거치대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돌출편에는 내부에 수용된 보강부재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고정하는 체결수단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난간고정체는, 난간대의 하단에 고정설치되는 난간판부와, 상기 난간판부의 하부 일면에서 돌출형성되며 “┏”단면형상을 가지고 있어서 난간판부와의 사이에 지지대의 제1걸림편이 끼워지게 하는 제2걸림편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지지대의 단부에 고정되고 거치대를 삽입될 수 있도록 입구부가 마련되며, 반원의 호형상으로 이루어진 고리부가 형성된 고리몸체;
    상기 고리몸체의 일면에서 돌출되고 고리부의 호형상을 따라서 2개 이상 이격되는 복수의 안내핀; 및
    복수의 안내핀이 삽입되는 호형의 장공을 구비하며 상기 고리몸체의 입구부를 개방하는 개방위치와, 입구부를 폐쇄하는 폐쇄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이동편을 포함하고,
    상기 안내핀은, 복수개가 장공내에 삽입되어 이동편이 정해진 경로상에서 이동가능하게 하고,
    상기 안내핀은 상기 이동편이 개방위치에 놓였을 때 고리부의 중앙에서 일측에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고, 개방위치에서 안내핀에 끼워진 이동편의 일측의 길이보다 안내핀에 끼워지지 않은 이동편의 타측의 길이가 길어서 자중에 의하여 이동편이 개방위치에서 폐쇄위치로 위치로 이동하지 않고,
    이동편이 폐쇄위치에 놓였을 때, 자중에 의하여 이동편이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로 이동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발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면판부재는 압출성형에 의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발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면판부재 중 어느 하나는 인접한 면판부재와 제1결합수단에 의하여 끼움결합되고, 면판부재 중 다른 하나는 상기 보강부재와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발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면판부재의 요철은 상기 발판의 폭방향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발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발판의 폭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바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양측면에 상기 면판부재의 제1결합수단과 끼움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 제2결합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발판.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대는,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한 쌍의 난간을 함께 지지할 수 있도록 상부와 중앙에 각각 난간지지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발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대에 지지되는 한 쌍의 난간은, 원형봉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각각의 난간은 수직바에 의하여 서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발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바는 연결체에 의하여 한 쌍의 난간에 고정설치되되,
    상기 연결체는,
    일면은 원형봉 형상의 난간과 대응되는 곡면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타면은 수직바의 단부와 대응되는 평면형상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발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는 난간에 일면이 접촉된 상태에서 나사고정되고, 타면이 상기 수직바에 접촉되어 용접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발판.
KR1020190042744A 2019-04-11 2019-04-11 작업용 발판 KR102259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744A KR102259385B1 (ko) 2019-04-11 2019-04-11 작업용 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744A KR102259385B1 (ko) 2019-04-11 2019-04-11 작업용 발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0184A KR20200120184A (ko) 2020-10-21
KR102259385B1 true KR102259385B1 (ko) 2021-06-02

Family

ID=73034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2744A KR102259385B1 (ko) 2019-04-11 2019-04-11 작업용 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93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0228B1 (ko) * 2020-11-27 2023-01-19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원통형 설비 내벽에 근접하여 발판을 설치할 수 있는 착탈식 거치대가 구비된 탈황설비용 비계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9661B1 (ko) * 2017-03-17 2018-03-29 에스폼 주식회사 펜던트 타입 노 내 시스템비계 및 이를 구성하는 단위 비계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18288B2 (ja) * 1996-06-25 2005-11-24 ジャパン スチールス インターナショナル株式会社 建設現場用仮設通路
KR101080226B1 (ko) * 2009-10-07 2011-11-08 현대알루미늄(주) 건축물 시공용 발판 고정구조
DK178217B1 (da) * 2014-10-10 2015-08-31 Ulstrupsmeden Aps Sikkerhedsrækværk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9661B1 (ko) * 2017-03-17 2018-03-29 에스폼 주식회사 펜던트 타입 노 내 시스템비계 및 이를 구성하는 단위 비계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0184A (ko) 2020-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45816B2 (en) Integral safety system which can be used for construction
EP301562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mbly of a shoring tower
KR200418247Y1 (ko) 건축용 비계
US10465401B2 (en) Construction safety net support apparatus
KR102259385B1 (ko) 작업용 발판
US11761217B2 (en) Scaffold gate toeboard assembly for use on a scaffold gate
US3883106A (en) Telescoping post
KR101076562B1 (ko) 슬래브거푸집의 지지구조
JP2014009453A (ja) 仮設足場組み立て冶具及び組み立て方法
KR101699425B1 (ko) 비계용 안전발판
KR20130003530A (ko) 가설 난간지주
KR200467252Y1 (ko) 건물 외부 작업용 케이지
KR20090099182A (ko) 조립식틀비계의 일체형 안전난간대
KR100828576B1 (ko) 이동식 틀비계용 난간대
KR102431956B1 (ko) 무용접 조립식 휀스 조립장치
KR200408510Y1 (ko) 건축용 비계틀의 난간구조
EP1972739A2 (en) Extendable safety guardrail
KR20190041976A (ko) 비계용 지주의 우선난간
JP2003097055A (ja) 先行手摺枠
EP3006648B1 (en) Guard rail
EP1876315A1 (en) Integral safety system which can be used for construction
KR200213263Y1 (ko) 고소 작업대
KR102433546B1 (ko) 슬라브 판넬 지지장치
KR101166795B1 (ko) 교량의 점검시설용 난간지주
KR102236750B1 (ko) 호환가능한 구조를 포함하는 1인 창호 작업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