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0226B1 - 건축물 시공용 발판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건축물 시공용 발판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0226B1
KR101080226B1 KR1020090094939A KR20090094939A KR101080226B1 KR 101080226 B1 KR101080226 B1 KR 101080226B1 KR 1020090094939 A KR1020090094939 A KR 1020090094939A KR 20090094939 A KR20090094939 A KR 20090094939A KR 101080226 B1 KR101080226 B1 KR 101080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ffold
clip
horizontal
footrest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4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7475A (ko
Inventor
박도봉
이한만
홍용기
Original Assignee
현대알루미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알루미늄(주) filed Critical 현대알루미늄(주)
Priority to KR1020090094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0226B1/ko
Publication of KR20110037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74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0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02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02Workplatforms, railings; Arrangements for pouring concrete, attached to the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시공용 발판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기의 발판을 수평바에 유동됨없이 손쉽고 견고하게 결합 고정함에 따라 상기 발판의 설치가 용이하여 작업효율성이 향상되고, 작업자가 발판을 밟고 다녀도 형상 변경을 최대한 줄여 발판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하며, 상기 발판을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인해 상기 발판의 교체비용 및 시공비용을 절감하고, 다양한 크기의 발판을 보다 용이하게 설치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벽체거푸집 외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수평·수직보강대와, 복수개의 수직·수평지지바와, 발판이 얹혀져 고정되는 복수개의 수평바와, 복수개의 수직·수평핸들바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수평바의 외측면에는 장공형상인 복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발판은 일정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됨과 함께 상기 발판의 저면부에 길이방향으로 긴 결합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평바와 발판 사이에는 머리부가 결합홈부에 삽입 결합됨과 함께 다리부는 체결공과 일치되어 볼트 체결되는 결합공이 형성되는 판형의 티(T)클립이 복수개 설치 결합된 것이다.
발판, 수평바, 체결공, 연결홈부, 결합홈부, 티클립

Description

건축물 시공용 발판 고정구조{FIXING STRUCTURE FOR SCAFFOLD IN BUILDING CONSTRUCTION}
본 발명은 다층 구조의 건축물 시공할 때 작업자가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발판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의 발판을 수평바에 유동됨없이 손쉽고 견고하게 결합 고정할 뿐만 아니라 상기 발판의 손상이나 파손 및 형상변경을 최대한 줄여 발판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상기의 발판을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어 교체비용 및 시공비용을 절감하며, 상기 발판의 폭이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정가능함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발판을 용이하게 설치가능하도록 하는 건축물 시공용 발판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근 콘크리트 구조의 다층 콘크리트 건축물을 시공할 때 상기 건축물의 벽체 두께만큼 공간을 이루도록 양면에 벽체거푸집을 설치하여 상기의 벽체거푸집 사이의 공간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건축물의 벽체를 시공한다.
상기 건축물의 벽체를 시공하기 위해 설치되는 벽체거푸집의 외방에는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게 되는데, 즉 작업자의 이동통로는 다층 건축물의 층층마다 위치되도록 복수개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벽체거푸집의 외면에는 상기 벽체거푸집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복수개의 수평보강대와 수직보강대가 서로 직교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수평보강대의 외측에 수직보강대를 설치하거나 또는, 상기 수직보강대의 외측에 수평보강대를 설치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벽체거푸집의 제작 여건 및 설치목적이나 효과 등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벽체거푸집을 제작하기 위함이며, 여기서는 수평보강대의 외측에 수직보강대가 설치된 상태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상기 벽체거푸집 외방에는 작업자가 밟고 다니면서 이동가능하도록 하는 구조물이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의 구조물은 상기 벽체거푸집의 수평보강대 외면에 상기 수평보강대와 직교되도록 복수개의 수직지지바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각 수직지지바는 상기 벽체거푸집의 수직보강대 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상기 각 수직지지바의 일면에는 수직지지바와 직교되도록 복수개의 수평지지바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각 수직지지바에는 상면에 설치되는 발판을 지지 고정하는 복수개의 수평바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수평바의 일단에는 복수개의 수직핸들바와 수평핸들바가 서로 직교되도록 결합되어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상기 벽체거푸집의 외방에는 상기 작업자가 이동할 때 밟도록 하는 발판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의 발판은 상기 벽체거푸집 외방에는 수직·수평보강대와, 수직·수평지지바 및, 수평바 그리고, 수직·수평핸들바에 의해 지지되어 있음에 따라 작업자는 발판을 밟으면서 용이하게 이동함은 물론 작업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상기 수직, 수평핸들바에 의해 작업자가 건축물의 외측으로 떨어지는 사고를 방지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건축물 시공용 발판은 그물망처럼 무수히 많은 구멍이 뚫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평바와 발판을 결합할 때 상기 발판의 구멍으로 U볼트의 양단부를 삽입한 후 상기 U볼트의 양단부로 판넬을 끼워 상기 수평바의 하면과 접촉되도록 한 다음 상기 U볼트의 양단부에 너트를 체결하여 상기 수평바에 발판을 고정한다.
그러므로, 상기 발판을 수평바에 U볼트만으로는 견고하게 고정하지 못함에 따라 상기 수평바에서 발판이 움직이는 등의 문제가 발생됨은 물론 그로 인하여 작업자가 발판을 밟고 이동할 때 불안정하여 안전사고 즉, 발판에서 작업자가 벗어나 떨어지게 되는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발판이 그물망처럼 무수히 많은 구멍이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부분이 얇아서 오랫동안 사용하게 되면 얇은 부분이 쉽게 끊어지거나 절단되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상기 발판을 교체하여야 하는 등 교체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그리고, 상기 발판을 밟고 이동하는 작업자의 머리가 상부측 발판을 고정하는 U볼트의 양단부에 부딪히므로 인해 다치거나 또는, 상기 발판의 얇은 부분이 끊어지거나 절단됨에 따라 상기 발판을 밟고 이동하는 작업자의 발이 걸려 넘어지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발판을 일정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함과 함께 상기 발판과 수평바를 클립과 볼트로 결합하도록 하여 상기의 발판을 수평바에 유동됨없이 손쉽고 견고하게 결합 고정함에 따라 상기 발판의 설치가 용이하여 작업효율성이 향상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판을 일정두께의 판형으로 형성함에 따라 상기 작업자가 발판을 밟고 다녀도 형상 변경을 최대한 줄이므로 인해 상기 발판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발판을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어 상기 발판의 교체비용을 절감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판과 발판 사이에 다양한 크기의 연결부재를 연결 결합함과 함께 상기 발판의 길이방향으로 발판과 발판을 밀착된 상태로 견고하게 연결 결합하므로 상기 다양한 크기의 발판을 용이하게 설치가능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축물 벽체를 시공하기 위해 설치되는 벽체거푸집의 외방에 발판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벽체거푸집 외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수평·수직보강대와, 상기 수평·수직보강대의 외면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수직·수평지지바와, 상기 각 수직지지바의 일면에 결합되어 발판이 얹혀져 고정되는 복수개의 수평바와, 상기 각 수평바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수직·수평핸들바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수평바의 외측면에는 장공형상인 복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발판은 일정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됨과 함께 상기 발판의 저면부에 길이방향으로 긴 결합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평바와 발판 사이에는 머리부가 결합홈부에 삽입 결합됨과 함께 다리부는 체결공과 일치되어 볼트 체결되는 결합공이 형성되는 판형의 티(T)클립이 복수개 설치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시공용 발판 고정구조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판형의 발판은, 상기 판형의 발판 상면에는 복수개의 미끄럼방지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판형 발판의 내부 양측부에는 상기 발판과 발판을 길이방향으로 서로 연결 결합하는 연결바의 일부가 삽입 결합되는 연결홈부가 발판의 길이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며, 상기 판형 발판의 각 연결홈부 사이인 상기 판형 발판의 내부 중앙부에는 상기 발판을 수평바에 고정 결합하는 티(T)클립의 머리부가 삽입 결합되도록 하면이 개방되는 결합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부의 개방된 측에는 상기 결합홈부 내로 삽입된 티(T)클립의 머리부를 고정하도록 하는 클립고정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시공용 발판 고정구조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홈부는 전, 후면을 제외한 상, 하면과 좌, 우측면이 일체로 연이어지도록 중공형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시공용 발판 고정구조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결합홈부의 하면은 발판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부에서 개방된 측의 양측부에는 절곡부를 갖는 클립고정부를 각각 형성하여, 상기 결합홈부에 티클립이 복수개 결합됨과 함께 상기 결합홈부 내로 삽입 결합된 티클립의 머리부 하단면이 클립고정부에 접촉되어 고정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시공용 발판 고정구조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발판과 발판을 길이방향으로 서로 연결하는 연결바는 상기의 각 발판에 나사 체결 방식으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시공용 발판 고정구조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발판의 폭 방향으로 상기의 발판과 발판을 서로 연결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발판의 양측면 중 어느 한 측면에는 끼움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발판과 발판 사이에는 상기의 각 발판과 서로 연결 결합하도록 상기 각 발판의 끼움홈부에 각각 끼움 결합되는 끼움돌부가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 연결부재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시공용 발판 고정구조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티(T)클립의 머리부 상면 양측부에는 상기 머리부가 클립고정부의 단부와 접촉된 상태에서 결합홈부 내로 슬라이딩되면서 삽입되도록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머리부의 하면은 클립고정바의 접촉면적을 넓히도록 일자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티(T)클립의 다리부에는 수평바의 체결공과 일치되어 볼트 체결되는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티(T)클립의 머리부 하면에는 클립고정부의 절곡부가 삽입되는 끼움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시공용 발판 고정구조가 제공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건축물 벽체 시공용 벽체거푸집 외면에 결합되는 수평바에 장공형상인 복수개의 체결공을 형성하고, 상기 수평바의 상면에 지지 고정되는 발판을 일정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함은 물론 발판을 수평바에 고정하는 티(T)클립이 삽입 결합되는 결합홈부와 클립고정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각 수평바의 상면에 얹혀지는 발판은 티클립의 머리부가 발판의 결합홈부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 결합됨과 함께 상기 수평바에 티클립의 다리부가 볼트 체결에 의해 결합됨에 따라 상기 각 수평바에 발판은 보다 손쉽고 용이하게 결합될 뿐만 아니라 상기 발판을 설치하는 작업 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와 함께, 발판의 결합홈부에 형성된 클립고정부에 티클립의 머리부 하단면이 접촉된 상태에서 고정됨에 따라 상기 티클립의 이탈을 방지하는 등 상기의 클립고정부와 티클립에 의해 수평바의 상면에서 발판이 유동됨없이 견고하게 결합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하여, 상기 발판을 밟고 원하는 장소로 이동하는 작업자는 견고하게 결합 고정된 발판을 작업자가 안정적으로 밟으면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발판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수평바의 상면에 결합 고정되는 발판은 판형형상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작업자가 상기 판형의 발판을 오랜 기간동안 밟고 다니거나 사용하여도 상기 발판의 손상이나 파손 및 발판의 형상 변형을 최대한 줄임에 따라 상기 판형의 발판을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발판의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함에 따라 상기의 발판 교체에 따른 교체비용을 절감함은 물론 상기 발판을 재 사용 가능하여 시공비를 절감하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발판과 발판의 측면 사이에 다양한 크기를 갖는 연결부재를 설치함에 따라 상기 발판의 전체적인 폭 조정이 가능함은 물론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발판과 발판을 보다 밀착된 상태로 견고하게 결합할 뿐만 아니라 상기 발판과 발판의 연결부위에 연결바를 나사 체결함에 따라 상기 발판과 발판의 연결부위에서 외부의 힘에 의해 휘어지는 휨현상을 방지함은 물론 연결바에 의해 상기 발판과 발판의 전체적인 길이도 조정하면서 보다 견고하게 결합하는 등 상기 다양한 크기의 발판을 용이하게 설치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시공용 발판 고정구조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건축물 시공용 발판 고정구조를 전체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건축물 시공용 발판 고정구조를 전체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건축물 시공용 수평바에 발판이 설치 결합된 상태를 확대한 확대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건축물 시공용 수평바와 발판을 분리한 상태로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수평바에 발판이 티클립에 의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건축물 시공용 발판 고정구조의 티(T)클립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체를 시공하기 위해 설치되는 벽체거푸집의 외방에는 상기 건축물의 층층마다 위치하여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발판 고정구조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의 발판 고정구조는 도 1과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벽체거푸집(1)의 외면에는 상기 벽체거푸집(1)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복수개의 수평보강대(2)와 수직보강대(3)가 서로 직교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각 수평보강대(2)의 외면에는 수평보강대(2)와 직교되도록 복수개의 수직지지바(4)가 각각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각 수직지지바(4)의 일면에는 수직지지바(4)와 직교되도록 복수개의 수평지지바(5)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각 수직지지바(4)에는 복수개의 수평바(6)가 지면과 평행하도록 수평방향으로 결합되어 있고, 상기 각 수평바(6)의 상면에는 작업자가 이동할 때 밟고 지나다닐 수 있도록 작업자의 이동통로를 형성하는 발판(9)이 얹혀지는 상태로 지지 고정되어 있다.
상기 각 수평바(6)의 일측부에는 발판(9)을 밟고 이동하는 작업자가 손으로 붙잡고 이동하거나 또는, 발판(9)의 외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복수개의 수직핸들바(7)와 수평핸들바(8)가 서로 직교되도록 결합되어 있다.
상기의 발판(9)은 벽체거푸집(1) 외방에 설치되는 수평·수직보강대(2,3)와, 수직·수평지지바(4,5) 및, 수평바(6) 그리고, 수직·수평핸들바(7,8)에 의해 지지되어 있음에 따라 작업자는 발판(9)을 밟으면서 용이하게 이동함은 물론 작업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건축물의 외측으로 떨어지는 사고를 방지한다.
상기의 각 수평바(6) 상면에 발판(9)을 지지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각 수평바(6)와 발판(9)의 저면부 사이에는 도 4와 도 6에서와 같은 머리부(21)와 다리 부(22)로 이루어진 판형의 티(T)클립(20)이 복수개 체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각 수평바(6)의 타측부는 수직지지바(4)에 볼트 체결에 의해 결합되는데, 이는 상기 수평바(6)의 결합 위치 및 목적, 효과 또는, 작업 여건 등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하기 위함이다.
상기 각 수평바(6)의 일측부에는 발판(9)을 밟고 이동하는 작업자가 손으로 붙잡는 수직핸들바(7)와 수평핸들바(8)가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의 수평바(6) 외측면에는 도 3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티(T)클립(20)의 다리부(22)에 형성된 결합공(22a)와 일치됨은 물론 상기 일치된 상태에서 볼트(a)가 삽입 체결되어 상기 티클립(20)에 의해 수평바(6)에 발판(9)을 유동됨없이 견고하게 결합하도록 하는 복수개의 체결공(6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각 체결공(61)은 원형 또는 타원형 및 장공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는데, 상기 각 체결공(61)은 상기 수평바(6)에 티클립(20)을 보다 용이하게 결합하기 위해서는 장공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판(9)은 도 3과 도 4에서와 같이, 일정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발판(9)의 상면에는 발판(9)을 밟고 이동하는 작업자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복수개의 미끄럼방지돌부(9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각 미끄럼방지돌부(91)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하거나 상기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미끄럼방지돌부(91)의 상면을 라운드 및 각진 형상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반원형상의 돌부형태로 돌출 형성하는 등 작업자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 지하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으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발판(9)의 내부 양측부에는 상기 발판(9)과 발판(9)을 길이방향으로 서로 연결 결합할 때 상기 발판(9)과 발판(9)의 연결부위가 외부의 힘 즉, 작업자가 발판(9)을 밟고 지나갈 때 상기 연결부위가 휘어지는 휨현상을 방지함은 물론 상기 발판(9)과 발판(9)을 길이방향으로 길이 조정도 할 수 있도록 상기 각 발판(9)과 발판(9)의 연결부위 사이에는 연결바(40)의 일부분이 각각 삽입 결합되도록 하는 연결홈부(9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연결홈부(92)는 전, 후면을 제외한 상, 하면과 좌, 우측면이 일체로 연이어지도록 중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발판(9)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의 연결바(40)는 연결홈부(92)의 내주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바(40)는 연결홈부(92) 내로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연결홈부(92)의 내경보다 조금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바(40)는 발판(9)의 연결홈부(92)에 삽입 결합됨과 함께 상기 발판(9)과 연결바(40)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나사 체결되어 있다.
상기 발판(9)의 저면부 즉, 상기 발판(9)의 연결홈부(92)와 연결홈부(92) 사이인 상기 발판(9)의 내부 중앙부에는 상기 발판(9)을 수평바(6)에 고정 결합하는 티(T)클립(20)의 머리부(21)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하면이 개방되는 결합홈부(93)가 발판(9)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홈부(93)의 개방된 측인 양측부에는 상기 결합홈부(93) 내로 삽입 되는 티(T)클립(20)의 머리부(21) 하단면과 접촉되어 상기 결합홈부(93)에서 티클립(20)의 머리부(21)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상기 발판(9)에 티클립(20)이 견고하게 고정 결합되도록 하는 클립고정부(94)가 발판(9)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 클립고정부(94)의 단부에는 후술할 티(T)클립(20)의 끼움홈(21d)에 삽입되어 상기 티클립(20)을 결합홈부(93) 내에서 슬라이딩되면서 이동될 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절곡부(94a)가 결합홈부(93) 측인 내측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발판(9)의 측면 즉, 발판(9)의 폭방향으로 상기 발판(9)과 발판(9)을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발판(9)과 발판(9) 사이에는 연결부재(30)가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발판(9)의 양측면 중 어느 한 측면에는 상기 발판(9)의 내측방향으로 오목하게 파여진 형태의 끼움홈부(9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재(30)의 양측면에는 상기 발판(9)과 연결부재(30)를 서로 연결 결합하도록 상기 끼움홈부(95) 내로 삽입결합되는 끼움돌부(3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발판(9)의 측면에만 끼움홈부(95)를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발판(9)의 폭을 넓게 하기 위해 상기 발판(9)를 복수개 설치함과 함께 상기 연결부재(30)를 복수개 설치할 경우에는 상기 발판(9)의 양측면에 끼움홈부(95)를 각각 형성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설치되는 발판(9)의 폭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발판(9) 및 연결부재(30)를 구비하기 위함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상기 발판(9)에 끼움홈부(95)를 형성함과 함께 상기 연결부재(30)에 끼움돌부(31)를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반대로 상기 발판(9)에 끼 움돌부를 형성함과 함께 연결부재(30)에 끼움홈부를 형성할 수 있는데, 이는 발판(9) 및 연결부재(30)의 설치 및 사용 목적이나 작용, 효과 또는, 제작 여건 및 구매자의 다양한 요구에 따라 발판(9)과 연결부재(30)를 다양한 형태로 제작하기 위함이다.
상기의 티(T)클립(20)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티클립(20)의 상부에는 발판(9)의 결합홈부(93) 내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머리부(2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티클립(20)의 하부에는 머리부(21)로부터 연이어지도록 다리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티클립(20)의 머리부(21)에서 상부측에 형성된 상면(21a)은 편평한 형태로 형성됨과 함께 상기 머리부(21)의 하부측에 형성된 하면(21b)은 클립고정부(94)와의 접촉면적을 넓히도록 편평한 형태인 일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티클립(20)의 머리부(21) 상면(21a) 양측부에는 상기 티클립(20)의 머리부(21)가 결합홈부(93) 내로 삽입될 때 상기 클립고정부(94) 단부와 접촉된 상태에서 클립고정부(94) 단부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머리부(21)가 삽입되도록 일정각도로 경사지는 경사면(21c)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티클립(20)의 머리부(21) 하면(21b)에는 상기 결합홈부(93) 내로 티클립(20)의 머리부(21)가 삽입될 경우 상기 클립고정부(94)의 각 단부에 형성된 절곡부(94a)가 삽입되어 상기 머리부(21)의 하면(21b)이 클립고정부(94)의 접촉면적을 넓히면서 상기 머리부(21)가 결합홈부(93)에 삽입된 상태에서 슬라이딩되면서 이동할 때 상기 티클립(20)이 결합홈부(93)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끼움홈(21d)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티클립(20)의 다리부(22) 소정위치에는 상기 티클립(20)을 수평바(6)에 결합 고정시키도록 상기 수평바(6)의 각 체결공(61)과 일치되어 볼트(a)가 삽입 체결되는 결합공(22a)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건축물의 층층마다 작업자가 밟고 지나다니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발판(5)을 상기의 건축물 외방에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건축물의 벽체를 시공하기 위해 설치되는 벽체거푸집(1)의 외면에 설치된 복수개의 수평보강대(2)와 수직보강대(3) 중 상기 수평보강대(2)에 수직지지바(4)를 각각 결합함과 함께 상기 수직지지바(4)의 외측에 수평지지바(5)가 상기 수직지지바(4)와 직교되도록 설치한다.
그런 다음, 상기 각 수직지지바(4)에 상기 발판(9)을 지지 고정하는 복수개의 수평바(6)를 각각 결합함과 함께 상기 각 수평바(6)의 일단에 수직, 수평핸들바(7,8)를 결합함으로서 상기 건축물의 외방에 작업자의 이동통로인 발판(9)을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의 발판(9)을 각 수평바(6)의 상면에 얹혀진 상태에서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면, 상기 발판(9)의 내부 중앙부에는 하면이 개방됨은 물론 양측부에 클립고정부(94)가 형성된 결합홈부(9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홈부(93)의 하방측인 각 수평바(6)의 외측면에는 장공형상인 복수개의 체결공(6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발판(9)과 수평바(6) 사이에는 상기 수평바(6)에 발판(9)을 지지 고정 및 결합하기 위한 티(T)클립(20)이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티(T)클립(20)의 머리부(21)를 결합홈부(93)의 하방측에 위치시킨 후 상기 티클립(20)을 비스듬하게 위치시켜 머리부(21)의 일측을 결합홈부(93) 내에 삽입시키고 나서 상기 티클립(20)이 세워지도록 민다.
그러면, 상기 머리부(21)가 결합홈부(93) 내에 위치됨은 물론 상기 머리부(21)의 끼움홈(21d)은 클립고정부(94)의 절곡부(94a)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티(T)클립(20)은 발판(9)의 저면부 즉, 클립고정부(94)에 머리부(21)의 하면(21b)가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티클립(20)은 결합홈부(93) 내를 슬라이딩하면서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상기 티(T)클립(20)을 결합홈부(93)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티(T)클립(20)의 다리부(22)를 수평바(6)의 외측면에 접촉되도록 위치시켜 상기 수평바(6)의 체결공(61)과 상기 다리부(22)의 결합공(22a)을 일치시키고 나서 상기 일치된 체결공(61)과 결합공(22a)으로 볼트(a)를 삽입 체결하여 상기 티(T)클립(20)의 다리부(22)를 수평바(6)에 결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평바(6)와 발판(9) 사이에 복수개의 티(T)클립(20)를 위치시켜 상기 각 티클립(20)의 머리부(21)를 발판(9)의 결합홈부(93)에 삽입 결합함과 함께 상기 티클립(20)의 다리부(22)를 수평바(6)에 볼트(a) 체결함에 따라 상기 티(T)클립(20)에 의하여 발판(9)은 각 수평바(6)의 상면에 얹혀진 상태에서 지지 고정 및 결합된다.
한편,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발판(9)의 폭 방향으로 상기 발판(9)과 발판(9)를 서로 연결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발판(9)과 발판(9) 사이에 연결부재(20)를 설 치하는데, 즉 상기 발판(9)의 양측면 중 어느 하나 측면에 형성된 끼움홈부(95)에 상기 연결부재(30)의 양측면에 형성된 끼움돌부(31) 중 어느 한 측면의 끼움돌부(31)를 끼워 고정하고, 상기 연결부재(30) 다른 측면의 끼움돌부(31)를 다른 발판(9)의 측면에 형성된 끼움홈부(95)에 끼워 고정하므로 상기 연결부재(30)에 의해 발판(9)과 발판(9)은 서로 연결 결합된다.
이 때, 상기 연결부재(30)의 폭은 다양한 치수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30)에 의해 전체 발판(9)의 폭 치수를 다양하게 형성하는 등 상기 전체적인 발판(9)의 폭 조정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발판(9)과 발판(9)을 길이방향으로 서로 연결 결합하는 연결부위에 상기 각 발판(9)의 연결홈부(92) 내로 삽입되는 연결바(40)를 위치 및 삽입시키고 나서 상기 연결바(40)를 발판(9)에 나사(b)로 체결함으로써, 상기 발판(9)과 발판(9)의 전, 후면 연결부위는 연결바(40)에 의해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 즉, 작업자가 밟고 이동할 때 상기 각 발판(9)의 연결부위가 휘어지는 휨현상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각 발판(9)과 발판(9)의 전, 후면 연결부위를 연결바(40)로 연결함에 따라 상기 전체적인 발판(9)의 길이 조정도 가능하다.
상기 각 발판(9)과 연결바(40)를 결합하는 나사(b)를 풀게 되면 상기 각 발판(9)과 연결바(40)는 분리되므로 인해 상기 분리된 각 발판(9)과 연결바(40)를 재사용함은 물론 상기 각 발판(9)과 연결바(40)의 이동 및 보관이 보다 용이하다.
상기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30)에 의해 발판(9)과 발판(9)이 폭 방향으로 서로 연결 결합됨에 따라 상기 발판(9)의 폭이 조정될 뿐만 아니라 상기 연결 바(40)에 의해 발판(9)과 발판(9)의 연결부위가 휘어지는 현상을 방지하면서도 상기 전체적인 발판(9)의 길이를 조정가능하고, 또한 상기 티(T)클립(20)에 의해 수평바(6)의 상면에 발판(9)을 보다 손쉽고 용이하면서 견고하게 결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발판(9)을 일정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함과 함께 상기 티(T)클립(20)에 의해 발판(9)이 수평바(6)의 상면에 유동됨없이 견고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건축물의 외방에 설치된 발판(9)을 작업자가 밟으면서 이동할 때 상기 발판(9)의 손상이나 파손 및 변형을 최대한 줄임은 물론 상기 발판(9)의 상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미끄럼방지돌부(91)에 의해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되는 등 보다 안정적으로 작업자가 발판(9)을 밟고 이동하면서 또 다른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함은 물론 안전사고의 위험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의 건축물 시공용 발판 고정구조는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발명의 기술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건축물 시공용 발판 고정구조를 전체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건축물 시공용 발판 고정구조를 전체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 건축물 시공용 수평바에 발판이 설치 결합된 상태를 확대한 확대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 건축물 시공용 수평바와 발판을 분리한 상태로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수평바에 발판이 티클립에 의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건축물 시공용 발판 고정구조의 티(T)클립을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벽체거푸집 2: 수평보강대
3: 수직보강대 4: 수직지지바
5: 수평지지바 6: 수평바
7: 수직핸들바 8: 수평핸들바
9: 발판 20: 티(T)클립
21: 머리부 21a: 상면
21b: 하면 21c: 경사면
21d: 끼움홈 22: 다리부
30: 연결부재 31: 끼움돌부
40: 연결바 91: 미끄럼방지돌부
92: 연결홈부 93: 결합홈부
94: 클립고정부 95: 끼움홈부

Claims (7)

  1. 건축물 벽체를 시공하기 위해 설치되는 벽체거푸집의 외방에 발판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벽체거푸집 외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수평·수직보강대와, 상기 수평·수직보강대의 외면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수직·수평지지바와, 상기 각 수직지지바의 일면에 결합되어 발판이 얹혀져 고정되는 복수개의 수평바와, 상기 각 수평바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수직·수평핸들바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수평바의 외측면에는 장공형상인 복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발판은 일정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됨과 함께 상기 발판의 저면부에 길이방향으로 긴 결합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평바와 발판 사이에는 머리부가 결합홈부에 삽입 결합됨과 함께 다리부는 체결공과 일치되어 볼트 체결되는 결합공이 형성되는 판형의 티(T)클립이 복수개 설치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시공용 발판 고정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판형의 발판은,
    상기 판형의 발판 상면에는 복수개의 미끄럼방지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판형 발판의 내부 양측부에는 상기 발판과 발판을 길이방향으로 서로 연결 결합하는 연결바의 일부가 삽입 결합되는 연결홈부가 발판의 길이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며, 상기 판형 발판의 각 연결홈부 사이인 상기 판형 발판의 내부 중앙부에는 상기 발판 을 수평바에 고정 결합하는 티(T)클립의 머리부가 삽입 결합되도록 하면이 개방되는 결합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부의 개방된 측에는 상기 결합홈부 내로 삽입된 티(T)클립의 머리부를 고정하도록 하는 클립고정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시공용 발판 고정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연결홈부는 전, 후면을 제외한 상, 하면과 좌, 우측면이 일체로 연이어지도록 중공형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시공용 발판 고정구조.
  4. 제 2 항에 있어서,
    결합홈부의 하면은 발판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부에서 개방된 측의 양측부에는 절곡부를 갖는 클립고정부를 각각 형성하여, 상기 결합홈부에 티클립이 복수개 결합됨과 함께 상기 결합홈부 내로 삽입 결합된 티클립의 머리부 하단면이 클립고정부에 접촉되어 고정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시공용 발판 고정구조.
  5. 제 2 항에 있어서,
    발판과 발판을 길이방향으로 서로 연결하는 연결바는 상기의 각 발판에 나사 체결 방식으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시공용 발판 고정구조.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발판의 폭 방향으로 상기의 발판과 발판을 서로 연결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발판의 양측면 중 어느 한 측면에는 끼움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발판과 발판 사이에는 상기의 각 발판과 서로 연결 결합하도록 상기 각 발판의 끼움홈부에 각각 끼움 결합되는 끼움돌부가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 연결부재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시공용 발판 고정구조.
  7. 제 1 항에 있어서,
    티(T)클립의 머리부 상면 양측부에는 상기 머리부가 클립고정부의 단부와 접촉된 상태에서 결합홈부 내로 슬라이딩되면서 삽입되도록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머리부의 하면은 클립고정바의 접촉면적을 넓히도록 일자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티(T)클립의 다리부에는 수평바의 체결공과 일치되어 볼트 체결되는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티(T)클립의 머리부 하면에는 클립고정부의 절곡부가 삽입되는 끼움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시공용 발판 고정구조.
KR1020090094939A 2009-10-07 2009-10-07 건축물 시공용 발판 고정구조 KR1010802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4939A KR101080226B1 (ko) 2009-10-07 2009-10-07 건축물 시공용 발판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4939A KR101080226B1 (ko) 2009-10-07 2009-10-07 건축물 시공용 발판 고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7475A KR20110037475A (ko) 2011-04-13
KR101080226B1 true KR101080226B1 (ko) 2011-11-08

Family

ID=44044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4939A KR101080226B1 (ko) 2009-10-07 2009-10-07 건축물 시공용 발판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02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4986B1 (ko) * 2014-04-22 2016-02-17 강영호 발판패널
KR101691935B1 (ko) * 2015-07-22 2017-01-02 주식회사 그린플러스 크레인 차량의 잭 받침대
KR102259385B1 (ko) * 2019-04-11 2021-06-02 에스폼 주식회사 작업용 발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6020B1 (ko) 1996-04-26 2000-03-02 마찌다 가쯔히꼬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및 액정 표시 장치
KR200428184Y1 (ko) 2006-07-19 2006-10-11 주식회사 미래정공 건축용 상하 작업대의 연결구 체결구조
KR100758346B1 (ko) 2007-02-14 2007-09-14 주식회사 거성산업 거푸집용 조립식 작업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6020B1 (ko) 1996-04-26 2000-03-02 마찌다 가쯔히꼬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및 액정 표시 장치
KR200428184Y1 (ko) 2006-07-19 2006-10-11 주식회사 미래정공 건축용 상하 작업대의 연결구 체결구조
KR100758346B1 (ko) 2007-02-14 2007-09-14 주식회사 거성산업 거푸집용 조립식 작업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7475A (ko) 2011-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275888A1 (en) Platform system
US9145694B2 (en) Platform support structures and platform assemblies
KR100758346B1 (ko) 거푸집용 조립식 작업대
KR100722403B1 (ko) 거푸집용 조립식 작업대
KR101080226B1 (ko) 건축물 시공용 발판 고정구조
KR101076562B1 (ko) 슬래브거푸집의 지지구조
JP5837332B2 (ja) 廻り階段用作業足場
KR100697555B1 (ko) 벽체 거푸집 사선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벽체 거푸집 설치 구조
KR20080005634U (ko) 상승식 가설대 발판 고정용 클램프
KR200438908Y1 (ko) 놀이시설물용 데크 프레임
KR101104158B1 (ko) 건축물 시공용 하부 발판 지지구조
KR20100055605A (ko) 개량형 조립식 계단
KR101595177B1 (ko) 스텝 결합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계단
KR20120123836A (ko) 링크구조로 이루어진 발판을 구비한 사다리
KR101080223B1 (ko) 건축물 시공용 핸들바 결합구조
KR200385098Y1 (ko) 조립식 철재계단
KR101867332B1 (ko) 조립식 핸드 레일 설치방법
KR200460577Y1 (ko) 난간 지주
KR101138334B1 (ko) 거푸집 패널용 프레임
KR102554569B1 (ko) 거푸집 설치용 기둥 고정 밴드
KR102370425B1 (ko) 보거푸집의 안전난간대
KR20080072170A (ko) 거푸집 난간용 파이프 고정구
JP2018084089A (ja) 段床支持脚及びこれを用いた段床構造
KR100668457B1 (ko) 건축물의 슬래브 거푸집 지지체
KR200423800Y1 (ko) 각도조절용 일체 식 안전발판 안전난간 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