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8817B1 - 다목적 가이드 홀더 - Google Patents

다목적 가이드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8817B1
KR101208817B1 KR1020100070268A KR20100070268A KR101208817B1 KR 101208817 B1 KR101208817 B1 KR 101208817B1 KR 1020100070268 A KR1020100070268 A KR 1020100070268A KR 20100070268 A KR20100070268 A KR 20100070268A KR 101208817 B1 KR101208817 B1 KR 101208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guide tube
roller member
couple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0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8911A (ko
Inventor
김태환
Original Assignee
김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환 filed Critical 김태환
Priority to KR1020100070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8817B1/ko
Publication of KR20120008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8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8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다목적 가이드 홀더가 개시된다. 하면의 중앙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관과; 머리부가 상기 가이드관의 내부에 결합하며, 상기 가이드돌기에 대응하는 위치에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는 롤러부재와; 상기 가이드관의 외부에 착탈되도록 결합되며, 외부의 구조물과 결합될 수 있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다목적 가이드 홀더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다목적 가이드 홀더 {MULTI-PURPOSE GUODE HOLDER}
본 발명은 다목적 가이드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설현장에서 작업하는 근로자가 시공중에 구조물에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온실에서 바구니를 쉽게 운반시킬 수 있으며, 산업용으로 물건을 쉽게 나를 수 있도록 하는 다목적 가이드 홀더에 관한 것이다.
건설사고에서 건설현장 근로자들이 작업 중 추락 사고로 인한 사망 재해 비중은 매년 53%이상(한국산업안전공단 2008년 자료 기준)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추락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근로자 개인이 착용하는 안전장치는 개발이 되어 있고, 그 사용이 의무화 되어 있다.
그러나, 도 1과 같이 이러한 종래의 안전장치는 구간마다 안전줄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러한 안전줄을 지지하기 위하여 지지대가 설치되어 있다. 안전줄과 지지대가 연결된 지점에서는 근로자가 안전고리를 풀어서 다시 걸어야 했다.
이러한 과정은 번거로운 것이어서, 근로자가 안전고리를 안전줄에 걸지 않는 일이 비일비재하였다. 뿐만 아니라, 안전고리와 안전줄의 마찰과 안전고리와 지지기둥의 막힘 현상으로 인하여 근로자의 움직임을 방해하였다.
또한, 온실 내부의 작업자가 과일이나 채소를 수확할 경우 바구니에 담아서 운반해야 했다. 이러한 수확과정은 작업자의 피로도를 증가시켜 작업 능률이 떨어졌다. 온실의 바닥면은 고르지 못하기 때문에 운반수레를 이용하여 농작물을 나르는 것도 힘든 작업이었다.
또한, 산업 현장에서는 무거운 물체를 안전하고 쉽게 운반해야 할 필요가 있었다. 특히, 진동에 취약한 물건은 부드럽게 운반해야 할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은 건설현장, 온실 및 산업현장에서 다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가이드 홀더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롤러부재와 가이드관의 마찰이 적은 다목적 가이드 홀더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측에서 안전줄로 잡아당기더라도, 롤러부재의 머리부가 뒤틀리지 않도록 하는 다목적 가이드 홀더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진동이나 출렁거림이 발생하더라도 롤러부재가 가이드관으로 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다목적 가이드 홀더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여러 개의 가이드관을 연결하더라도 연결부분에서 단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다목적 가이드 홀더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일측의 일부가 길이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는 가이드관과;
머리부가 상기 가이드관의 내부에 가이드 결합하는 롤러부재를 포함하는 다목적 가이드 홀더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관의 내부에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머리부에는 가이드돌기에 대응하는 위치에 가이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가이드 홀더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관과 마찰되는 상기 머리부에는 마찰저감부재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가이드 홀더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롤러부재는,
상기 머리부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꼬리부를 더 포함하는 다목적 가이드 홀더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머리부의 상부에 형성된 안전핀홈과;
상기 안전핀홈에 삽입되는 안전핀과;
상기 안전핀홈에 삽입되며, 상기 안전핀을 상부로 밀어올리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다목적 가이드 홀더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관에 형성된 가이드홀을 더 포함하는 다목적 가이드 홀더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작업도중에 안전장치를 해제할 필요가 없는 다목적 가이드 홀더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롤러부재와 가이드관의 마찰이 적은 다목적 가이드 홀더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측에서 안전줄로 잡아당기더라도, 롤러부재의 머리부가 뒤틀리지 않도록 하는 다목적 가이드 홀더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진동이나 출렁거림이 발생하더라도 롤러부재가 가이드관으로 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다목적 가이드 홀더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웃한 가이드관과의 단차가 거의 형성되지 않아, 롤러부재의 이동이 부드러운 다목적 가이드 홀더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다목적 가이드 홀더를 체결한 근로자의 작업 예시도.
도 2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가이드 홀더의 롤러부재의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가이드 홀더의 롤러부재의 단면도.
도 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가이드 홀더의 롤러부재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 4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가이드 홀더의 가이드관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가이드 홀더의 지지대의 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가이드 홀더의 지지대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가이드 홀더의 고정부가 H빔에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가이드 홀더의 지지대의 분리 단면도.
도 9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가이드 홀더의 고정부가 H빔에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가이드 홀더의 지지대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가이드 홀더의 가이드관의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가이드 홀더의 가이드 로드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가이드를 온실에 설치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써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2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가이드 홀더의 롤러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3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가이드 홀더의 롤러부재의 단면도이며, 도 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가이드 홀더의 롤러부재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며, 도 4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가이드 홀더의 가이드관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가이드 홀더의 지지대의 사시도이며, 도 6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가이드 홀더의 지지대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가이드 홀더의 고정부가 H빔에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가이드 홀더의 지지대의 분리 단면도이며, 도 9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가이드 홀더의 고정부가 H빔에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다목적 가이드 홀더는, 일측의 일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가이드돌기(213,214)가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관(20)과; 머리부(11)가 가이드관(20)의 내부에 결합하며, 가이드돌기(213,214)에 대응하는 위치에 가이드홈(111,112)이 형성되어 있는 롤러부재(10)를 포함한다. (도1 내지 도 4 참조)
가이드관(20)은 단면이 동일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압출성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가이드관(20)은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가이드관(20)은 좌우가 대칭적인 형상을 취할 수 있다.(도 4 참조)
가이드관(20)의 일측의 일부는 개방된 형태이다. 본 실시예의 가이드관(20)은 하부의 중앙부가 개방되어 있으나, 측면이나 상면의 일부분이 개방될 수도 있다. 이렇게 가이드관(20)의 개방된 중앙부를 통하여 롤러부재(10)를 90도로 비틀어서 삽입한 후, 다시 롤러부재(10)를 90도로 비틀어서 도 4의 점선과 같이 가이드관(20)의 내부에 롤러부재(10)를 삽입할 수 있다. 가이드관(20)의 내벽에는 가이드돌기(213,124)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돌기들(213,214)은 각각 한쌍으로 이루어져 가이드관(20)의 내벽에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돌기(213,214)는 롤러부재(10)의 가이드홈(111,112)에 삽입되어, 롤러부재(10)가 이동중에 가이드관(20)으로부터 이탈되거나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도 4 참조)
가이드관(20)의 내부에는 레일(215,216)이 돌출되어 있다. 레일(215,216)은 롤러부재(10)의 마찰저감부재(121,122)가 위치한 지점에 대응하여, 가이드관(20)의 내부에 돌출되어 있다. 레일(215,216)에 의해서, 마찰저감부재(121,122)는 가이드관(20)의 내벽과 상당한 이격거리를 두고 가이드관(2)의 내부를 이동할 수 있다. 그 결과, 롤러부재(10)가 뒤틀리더라도, 롤러부재(10)와 가이드관(20)의 내벽이 마찰될 가능성을 줄여준다. 마찰저감부재(121,122)는 볼의 형태일 수도 있고, 베어링의 형태일 수도 있다.(도3a 및 도4 참조)
가이드관(20)의 외부에는 체결홈(211,212)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홈(211,212)은 지지대(30)와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도 4 참조)
롤러부재(10)는 머리부(11)와 꼬리부(13)로 구성된다. 머리부(11)는 "T"자 형태일 수 있으며, 가이드관(20)의 내부에 가이드 결합된다. 머리부(11)의 하부에는 꼬리부(13)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꼬리부(13)에는 조임부재가(131) 결합될 수 있어, 머리부(11)에 형성된 홀에 꼬리부(13)를 결합할 수 있다. 꼬리부(13)는 근로자의 몸에 결합된 안전줄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꼬리부(13)는 농작물을 담는 바구니와 끈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근로자의 안전줄이나 바구니와 연결된 끈이 일방향에서 꼬리부(13)를 당기면 꼬리부(13)는 도 2의 점선과 같이 머리부(11)로부터 젖혀지게 된다. 그 결과, 머리부(11)는 가이드관(20)에서 뒤틀리지 않고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도 2 참조)
꼬리부(13)와 머리부(11)가 일체적으로 결합될 경우, 안전줄을 당기는 방향으로 머리부(11)가 뒤틀릴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머리부(11)가 가이드관(20)의 내벽과 마찰이 일어나게 되어, 롤러부재(10)가 가이드관(20)의 내부에서 부드럽게 이동할 수 없게 된다.
롤러부재(10)의 머리부(11)에는 마찰저감부재(121,122)가 결합되어 있다. 마마찰저감부재(121,122)는 머리부(11)와 가이드관(20)의 내벽과의 마찰을 줄여준다. 도 3b와 같이, 마찰저감부재는(121)는 볼의 형태일 수 있다. 마찰저감부재(121,122)의 위치에 대응되는 지점에는 홈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홈에는 스프링(151,152)이 개재되어 있어서, 마찰저감부재(121,122)를 외부로 밀어낼 수 있게 된다. (도 3a, 도 3b 참조)
한편, 머리부(11)의 상부에는 안전핀(14)이 결합되어 있다. 안전핀(14)은 안전핀홈(114)에 삽입된다. 안전핀홈(114)에는 스프링(153)이 개재되어 있어서, 안전핀(14)을 외부로 밀어낸다.(도 3a 참조)
안전핀(14)은 롤러부재(10)가 가이드관(20)에 삽입될 경우, 가이드관(20)의 내부에서 롤러부재(10)가 쉽게 유동되지 않도록 한다. 롤러부재(10)가 가이드관(20)에 삽입되면, 가이드홈(111,112)과 가이드돌기(213,214)의 결합에 의해서, 롤러부재(10)는 쉽게 가이드관(2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그러나, 외부의 힘에 의해서 롤러부재(10)가 출렁이게 되면, 롤러부재(10)가 가이드관(20)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안전핀(14)은 외부로 돌출되어 롤러부재(10)가 외부의 힘에 의해서 상부로 유동하여, 가이드관(20)으로 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롤러부재(10)의 위치를 고정한다. (도 3a 참조)
롤러부재(10)가 가이드관(20)에 삽입될 경우에는, 안전핀(14)이 눌려져서 쉽게 롤러부재(10)가 가이드관(20)에 삽입된다. 롤러부재(10)가 가이드관(20)에 삽입된 이후에는, 안전핀(14)이 스프링(153)에 의해서 복원이 이루어져, 도 2과 같이 외부로 돌출된다.(도1 및 도 3a 참조)
지지대(30)는 가이드관(20)의 체결홈(211,212)과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상부 착탈부(31)와; 상부 착탈부(31)와 일단이 나사결합하며, 타단은 콘크리트 구조물과 결합할 수 있는 연장부(32)를 포함할 수 있다.(도 5 참조)
상부 착탈부(31)는 나사홈(314)이 형성된 몸체부(311)와, 몸체부(311)의 측면에 결합되며, 체결홈(211,212)과 가이드 결합하는 가이드판(312,3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이드판(312,313)은 가이드관(20)의 외부에 형성된 체결홈(211,212)과 가이드 결합된다. (도 5 참조)
연장부(32)는 중심바(323)와, 중심바(323)의 일단에 형성된 제1 나사봉(322)과, 중심바(323)의 타단에 형성된 제2 나사봉(321)으로 구성된다. 제1 나사봉(322)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나사홈(314)과 체결될 수 있다. 제2 나사봉(321)은 콘 고정부재(33)와 나사결합될 수 있다. 고정부재(33)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설된 철근의 끝단에 결합될 수 있다. 연장부(32)와 상부 착탈부(31)의 나사결합 위치를 상하로 조정함으로써, 추후 결합될 연속적으로 결합될 가이드관(20)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다.(도 5 참조)
교량공사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이 설치된 공사장에는, 지지대(30)를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한다. 지재대(30)의 가이드판(312,313)을 따라 가이드관(20)을 연속적으로 결합한다. 이후, 가이드관(20)에 근로자의 롤러부재(10)를 체결하면 본 실시예의 다목적 가이드 홀더가 완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가이드 홀더의 지지대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가이드 홀더의 고정부가 H빔에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제1 실시예와 같이, 지지대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설치될 수도 있지만, H빔에 설치될 수도 있다. 철골구조의 건축물을 시공하고자 할 때, 우선 H빔의 철골을 지반에 삽입하고, 층간은 H빔을 연결하여 완성된다. 이때, H빔을 옮겨 다니면서 근로자가 작업해야 할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H빔의 형태의 철골구조에서는 제1 실시예의 지지대를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제2 실시예의 지지대(40)의 구조가 필요하다.
본 실시예의 지지대(40)는 상부 착탈부(41)와 고정부(42)를 포함한다. 상부 착탈부(41)는 절곡부(411)와; 절곡부(411)의 일측에 결합되며, 도 4의 체결홈(211,212)과 가이드 결합되는 가이드판(412,413)과; 일측에는 절곡부(411)가 체결될 수 있도록 고리(423)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에는 구조물에 체결될 수 있도록 클램프 구조(421,422)를 갖춘 고정부(42)를 포함한다.(도 6 참조)
절곡부(411)는 "U"자 형태를 뒤집어 놓은 형태이며, 절곡부(411)의 일측에는 가이드판(412,413)이 결합된다. 가이드판(412,413)은 도 4와 같은 형태의 가이드관(20)의 체결홈(211,212)에 가이드 결합된다.(도 6 참조)
고정부(42)는 클램프 구조(421,422), 체결부재(424), 고리(4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부(42)는 도 7과 같이 H빔의 양단에 체결된다. 고리(423)에 "U"자 형태의 절곡부(411)가 삽입된다. 절곡부(411)에는 탄성력에 의해서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돌기(414)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돌기(414)는 고리(423)에 형성된 홀에 끼워진다. 결과적으로, 고정부(42)로 부터 상부 착탈부(41)가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도 6 참조)
본 실시예의 지지대(40)는 철골구조로 시공되는 건물의 H빔에 체결된다.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 지지대(40)에 도 4과 같은 가이드관(20)이 연속적으로 가이드 결합하고, 이 가이드관(20)에 도 2과 같은 롤러부재(1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근로자의 몸은 롤러부재(10)에 안전줄로 연결하여 작업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가이드 홀더의 지지대의 분리 단면도이며, 도 9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가이드 홀더의 고정부가 H빔에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철골구조의 구조물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H빔이 적당한 높이로 배치되어 있을 경우에는 제2 실시예의 지지대(40)의 구조를 H빔에 체결하여, 다목적 가이드 홀더를 설치할 수 있다. 그러나, 바닥면의 H빔에 가이드관(20)을 설치하고자 할 경우, 바닥면의 H빔에서 적당한 높이 가이드관(20)을 올릴 필요가 있다. 제3 실시예의 지지대(50)는 바닥면의 H빔에 체결되며, 상부 착탈부(51)의 높이가 연장부(52)에 의해서 적절한 높이를 유지한다.(도 8 참조)
본 실시예의 지지대(50)는, 도 4의 체결홈(211,212)과 가이드 결합되는 상부 착탈부(51)와; 상부 착탈부(51)와 일단이 나사결합하는 연장부(52)와; 연장부(52)의 타단과 나사결합하며, H빔의 일측과 결합될 수 있도록 "ㄷ"자 구조를 이루는 고정부(53)을 포함한다.(도 8 참조)
상부 착탈부(51)는 나사홈(514)이 형성된 몸체부(511)와, 몸체부(511)의 측면에 결합되며, 도 4의 체결홈(211,212)과 가이드 결합하는 가이드판(512,5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8 참조)
연장부(52)는 중심바(523)와, 중심바(523)의 일단에 형성된 제1 나사봉(522)과, 중심바(523)의 타단에 형성된 제2 나사봉(521)로 구성된다. 제1 나사봉(522)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나사홈(514)과 체결될 수 있다. 제2 나사봉(521)은 H빔에 결합된 고정부(53)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도 8 참조)
고정부(53)는 "ㄷ"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나사홀(533)이 형성된 상단부재(532)가 상부에 결합되어 있다. 도 9와 같이, 고정부(53)가 H빔(100)의 측면에 결합되면, 연장부(52)의 제2 나사봉(521)이 상단부재(532)의 나사홀(533)과 체결되고, 조여서 고정부(53)가 H빔(100)으로 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연장부(52)의 양단에는 조임돌기(524)가 형성되어 있어서, 손이나 도구를 이용하여 연장부(52)를 쉽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8 참조)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가이드 홀더의 지지대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지지대(60)는 상부 착탈부(61)와, 클램프(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철근 콘크리트 형태의 구조물을 시공할 경우, 시공중인 구조물의 외벽에는 안전봉들이 격자형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안정봉에 클램프(32)를 결합함으로써, 간단히 지지대(60)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가이드 홀더의 가이드관의 단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가이드 홀더의 가이드 로드의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가이드를 온실에 설치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1의 가이드관(70)은 온실에 설치할 수 있도록 구조적으로 변형된 형태이다. 상부에 절곡된 체결부(731,732)가 형성되어 있어서, 온실의 프레임(200)과 체결될 수 있다. 체결부(731.732)는 별도의 클램프나 연결부재, 나사, 볼트와 너트 등으로 프레임(200)에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관(70)에는 가이드홀(721,722)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홀(721,722)는 가이드관(7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가이드관(70)의 내부에 형성될 수도 있고 외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여러 개의 가이드관(70)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관(70)과 이웃한 가이드관의 연결부위가 정밀하지 못할 경우 단차가 발생한다. 이러한 단차를 롤러부재가 이동할 경우 움직임이 부드럽지 못하게 된다. 가이드관(70)과 이웃한 가이드관의 연결을 부드럽게 하기 위하여 가이드홀(721,722)에는 가이드 로드(741,742)의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로드(741,742)의 나머지 부분은 이웃한 가이드관(미도시)의 가이드홀(미도시)에 삽입될 수 있다. 이웃한 가이드관은 도 11의 가이드관(70)과 동일한 형상일 수 있다. 가이드 로드(741,742)가 가이드홀(721,722)에 각각 삽입되어, 이웃한 가이드관과 연결될 경우, 외부의 충격이나 뒤틀림에도 가이드관들의 결합은 유지된다. 따라서, 롤러부재는 부드럽게 가이드관들의 경계를 지나갈 수 있게 된다.
도 13은 온실에 본 실시예의 다목적 가이드 홀더를 설치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다목적 가이드 홀더의 롤러부재(80)는 지면과 수직인 방향으로 전후로 움직일 수 있다. 롤러부재(80)의 꼬리부에 끈(91)이 연결되어 있고, 이 끈(91)의 말단에는 바구니(92)가 연결되어 있다. 바구니(92)에는 수확한 농작물이 담겨있을 수 있다. 작업자는 수확한 농작물을 바구니(92)에 담고 바구니(92)를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다.
수레를 이용할 경우 바닥면이 울퉁불퉁하여 운반이 쉽지 않았으나, 본 실시예와 같이, 가이드관과 롤러를 온실 프레임(200)에 부착하면 부드럽게 바구니(92)를 이동시킬 수 있어서 작업 능률이 높아진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이로써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를 바탕으로 균등한 범위까지 당업자가 변형 및 추가하는 범위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가이드돌기(213,214) 가이드관(20)
머리부(11) 가이드홈(111,112)
롤러부재(10) 가이드관(20)
지지대(30)

Claims (6)

  1. 일측의 일부가 길이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는 가이드관과;
    머리부가 상기 가이드관의 내부에 가이드 결합하는 롤러부재와;
    상기 가이드관에 형성된 가이드홀을 포함하는 다목적 가이드 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관의 내부에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머리부에는 가이드돌기에 대응하는 위치에 가이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가이드 홀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관과 마찰되는 상기 머리부에는 마찰저감부재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가이드 홀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재는,
    상기 머리부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꼬리부를 더 포함하는 다목적 가이드 홀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의 상부에 형성된 안전핀홈과;
    상기 안전핀홈에 삽입되는 안전핀과;
    상기 안전핀홈에 삽입되며, 상기 안전핀을 상부로 밀어올리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다목적 가이드 홀더.
  6. 삭제
KR1020100070268A 2010-07-21 2010-07-21 다목적 가이드 홀더 KR101208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0268A KR101208817B1 (ko) 2010-07-21 2010-07-21 다목적 가이드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0268A KR101208817B1 (ko) 2010-07-21 2010-07-21 다목적 가이드 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911A KR20120008911A (ko) 2012-02-01
KR101208817B1 true KR101208817B1 (ko) 2012-12-06

Family

ID=45833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0268A KR101208817B1 (ko) 2010-07-21 2010-07-21 다목적 가이드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88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8611B1 (ko) 2023-07-17 2023-11-30 윤호섭 다목적 활주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0385B1 (ko) * 2020-05-06 2022-10-04 강명석 시스템 비계용 구명줄 이송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17704A (ja) * 2005-09-30 2007-05-17 Midori Anzen Co Ltd 安全器のストッパ
JP2009279392A (ja) * 2008-04-22 2009-12-03 Midori Anzen Co Ltd 落下防止用安全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17704A (ja) * 2005-09-30 2007-05-17 Midori Anzen Co Ltd 安全器のストッパ
JP2009279392A (ja) * 2008-04-22 2009-12-03 Midori Anzen Co Ltd 落下防止用安全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8611B1 (ko) 2023-07-17 2023-11-30 윤호섭 다목적 활주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911A (ko) 2012-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2729B1 (ko)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KR101208817B1 (ko) 다목적 가이드 홀더
JP2010095856A (ja) 親綱支柱
US10022572B2 (en) System for assembly of provisional horizontal lifelines
CN113931095B (zh) 危岩体复合防护结构
CN211285647U (zh) 一种边坡防护网
KR200457436Y1 (ko) 주상 안전 유닛
KR200465639Y1 (ko) 사다리용 추락방지구조
CN218205601U (zh) 一种设有伸缩式辅助支撑杆的脚手架
JP2009102855A (ja) 防護柵
CN207131172U (zh) 防风围栏架
CN215207266U (zh) 一种叉车液压可伸缩式抱砖机
KR200473180Y1 (ko) 낙석방지망 고정장치
US8544486B1 (en) Walker adapter
CN205259977U (zh) 两用钻探垫叉组件
EP2959773B1 (en) Floating structure
JP2010185261A (ja) 親綱支柱
KR100392835B1 (ko) 건축용 낙하추락 겸용 안전 구조체
CN209066832U (zh) 一种新型钢结构工程支架
JP6257832B1 (ja) 防護柵
KR200485675Y1 (ko) 유실수 가지 지지장치
KR101873435B1 (ko) 시공이 용이하고 지지력이 보강된 야생동물 유도 울타리
CN205662935U (zh) 一种边坡支护专用的格栅固定装置
JP2006233479A (ja) 安全手摺
KR101653048B1 (ko) 분봉 받는 기구용 휨 방지 다단 파이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