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5377B1 - 추락방지용 안전고리 - Google Patents

추락방지용 안전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5377B1
KR102055377B1 KR1020180090771A KR20180090771A KR102055377B1 KR 102055377 B1 KR102055377 B1 KR 102055377B1 KR 1020180090771 A KR1020180090771 A KR 1020180090771A KR 20180090771 A KR20180090771 A KR 20180090771A KR 102055377 B1 KR102055377 B1 KR 102055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ffold
ring body
opening
pair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0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윤
장영준
윤상아
김형석
함영길
Original Assignee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90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53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5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5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A62B35/0075Details of ropes or similar equipment, e.g. between the secured person and the lifeline or ancho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81Equipment which can travel along the length of a lifeline, e.g. trave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61Safety-nets; Safety mattresses; 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04G21/3276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고리에 관한 것으로서, 원둘레방향을 따라 일정길이의 개구가 형성된 원형의 고리본체와; 상기 고리본체의 양단에 탄성적으로 삽입 및 돌출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개구의 폭을 조절하여 상기 고리본체가 비계에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하는 한 쌍의 개폐핑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추락방지용 안전고리{SAFETY HOOK FOR CRASH PREVENTION}
본 발명은 추락방지용 안전고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건설현장에서 작업자가 편리하게 비계에 탈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동이 용이한 추락방지용 안전고리에 관한 것이다.
안전고리는 건설현장에서 작업자의 추락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사용하는 도구이다. 안전고리는 작업자가 비계에 걸어 고층에서 추락하는 사고를 방지한다.
도 1은 종래 안전고리(10)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안전고리(10)는 고리본체(11)에 레버(13)가 탄성적으로 회동되게 결합된다. 이 때, 레버(13)는 고리본체(11)에 닫혀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받는다.
종래 안전고리(10)는 건설현장의 비계에 결합되고, 작업자의 허리에는 소형훅(20)이 결합되고, 안전고리(10)와 소형훅(20) 사이는 로프(30)가 연결된다. 이에 의해 작업자가 추락하는 것이 방지되어 안전한 작업이 가능해진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안전고리(10)를 비계에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한손으로는 고리본체(11)를 잡고 다른 손으로 비계를 잡아 레버(13)를 가압해야 한다. 즉, 안전고리(10)를 비계에 결합시키거나 안전고리(10)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양손으로 모두 사용해야되고, 착탈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
특히, 작업자가 이동을 할 때는 안전고리(10)가 비계를 따라 이동하는데, 비계에 결합된 클램프나 장애물을 만나면, 안전고리(10)를 비계로부터 분리한 후 장애물과 떨어진 위치에서 다시 비계에 결합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함 때문에 건설현장에서 작업자가 위험함을 알면서도 안전고리(10)를 비계에 결합하지 않고 작업을 하는 경우가 많고, 이에 의해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된다.
공개특허 제10-2013-0069963호 "원터치식 자석 안전고리"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비계에 착탈이 용이한 안전고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계로부터 분리하지 않고도 장애물을 통과할 수 있는 이동이 용이한 안전고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추락방지용 안전고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안전고리는, 원둘레방향을 따라 일정길이의 개구가 형성된 원형의 고리본체와; 상기 고리본체의 양단에 탄성적으로 삽입 및 돌출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개구의 폭을 조절하여 상기 고리본체가 비계에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하는 한 쌍의 개폐핑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리본체의 양단 내부에는 상기 한 쌍의 개폐핑거가 수용되는 한 쌍의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수용공간에는 상기 개폐핑거의 하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핑거탄성부재가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한 쌍의 개폐핑거가 상기 고리본체에 대해 돌출된 닫힌 상태로 상기 고리본체가 상기 비계를 따라 이동할 때 상기 비계에 결합된 장애물을 만나면, 상기 한 쌍의 개폐핑거가 상기 장애물과 접촉되며 탄성적으로 가압되어 상기 개폐핑거가 상기 고리본체에 대해 삽입되는 열린 상태가 되며 상기 장애물을 통과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추락방지용 안전고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안전고리는, 원둘레방향을 따라 일정길이의 개구가 형성된 원형의 고리본체와; 상기 고리본체의 양단에 탄성적으로 삽입 및 돌출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고리본체가 비계에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하는 한 쌍의 개폐핑거와; 상기 고리본체의 외주면에서 상기 고리본체의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고리본체 내부에 수용된 상기 비계를 접촉 지지하는 한 쌍의 비계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한 쌍의 비계지지부재는 상기 고리본체에 대해 탄성적으로 길이가 가변되게 구비된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원둘레방향을 따라 일정길이의 개구가 형성된 원형의 고리본체와; 상기 고리본체의 양단에 탄성적으로 삽입 및 돌출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고리본체가 비계에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하는 한 쌍의 개폐핑거와; 상기 고리본체의 내주면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고리본체 내부에 수용된 상기 비계를 접촉 지지하는 한 쌍의 비계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고리본체의 양단 내부에는 상기 한 쌍의 개폐핑거가 수용되는 한 쌍의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수용공간에는 상기 개폐핑거의 하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핑거탄성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용 안전고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원둘레방향을 따라 일정길이의 개구가 형성된 원형의 고리본체와; 상기 고리본체의 양단에 탄성적으로 삽입 및 돌출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고리본체가 비계에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하는 한 쌍의 개폐핑거와; 상기 고리본체의 내주면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고리본체 내부에 수용된 상기 비계를 접촉 지지하는 한 쌍의 비계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고리본체의 양단 내부에는 상기 한 쌍의 개폐핑거가 수용되는 한 쌍의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수용공간에는 상기 개폐핑거의 하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핑거탄성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비계지지부재는 각각, 상기 고리본체의 외주면에 고정결합된 본체결합블럭과; 상기 고리본체의 내주면에서 상기 본체결합블럭 내부로 하부가 삽입된 비계가압바와; 상기 본체결합블럭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비계가압바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가압바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용 안전고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원둘레방향을 따라 일정길이의 개구가 형성된 원형의 고리본체와; 상기 고리본체의 양단에 탄성적으로 삽입 및 돌출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고리본체가 비계에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하는 한 쌍의 개폐핑거와; 상기 고리본체의 내주면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고리본체 내부에 수용된 상기 비계를 접촉 지지하는 한 쌍의 비계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비계지지부재는 각각, 상기 고리본체의 외주면에 고정결합된 본체결합블럭과;상기 고리본체의 내주면에서 상기 본체결합블럭 내부로 하부가 삽입된 비계가압바와; 상기 본체결합블럭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비계가압바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가압바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용 안전고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추락방지용 안전고리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안전고리장치는, 원둘레방향을 따라 일정길이의 개구가 형성되며, 양단에 탄성적으로 삽입 및 돌출되는 개폐핑거가 형성되어 비계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안전고리와; 상기 안전고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대형훅과; 작업자가 착용한 안전벨트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소형훅과; 상기 대형훅과 상기 소형훅을 서로 연결하는 로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안전고리는, 상기 개구가 형성된 원형의 고리본체와; 상기 고리본체의 양단에 탄성적으로 삽입 및 돌출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고리본체가 비계에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하는 한 쌍의 개폐핑거와; 상기 고리본체의 내주면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고리본체 내부에 수용된 상기 비계를 접촉 지지하는 한 쌍의 비계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고리는 한 쌍의 개폐핑거가 비계와 접촉하면서 탄성적으로 간격이 벌어지거나 좁혀지는 동작에 의해 비계에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이 간편한 안전고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안전고리는 복수개의 비계지지부재에 의해 고리본체가 비계와 일정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작업자가 이동할 때, 고리본체가 비계를 따라 원활히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비계를 따라 고리본체의 이동중에 장애물을 만날 경우, 한 쌍의 개폐핑거가 장애물에 가압되면서 탄성적으로 벌어지고, 장애물을 통과하면 다시 좁혀지면서 별도로 고리본체를 분리하지 않고도 장애물을 통과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안전고리의 일례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고리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고리를 작업자가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고리가 비계를 따라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고리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고리(10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고리(100)를 작업자가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4는 비계(B)를 따라 안전고리(100)가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5는 안전고리(100)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전고리(100)는 원둘레를 따라 일정길이 개방된 개구(A)가 형성된 원형의 고리본체(110)와, 고리본체(110)의 양단에 탄성적으로 돌출 및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개폐핑거(120,130)와, 고리본체(110)에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비계(B)를 접촉 지지하는 한 쌍의 비계지지부재(140,1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고리(100)는 고리본체(110)에 결합된 한 쌍의 개폐핑거(120,130) 사이의 개구(A) 간격이 탄성적으로 좁혀지거나 벌어지면서 고리본체(110)가 비계(B)에 탈부착되도록 한다. 이에 의해 작업자가 한손으로도 용이하게 안전고리(100)를 비계에 탈부착할 수 있는 간편함이 있다.
또한, 안전고리(100)에 방사상으로 결합된 한 쌍의 비계지지부재(140,150)가 비계(B)를 접촉지지하여 고리본체(110)가 비계(B)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이에 의해 고리본체(110)가 비계(B)를 따라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게 한다.
고리본체(110)는 원의 형태를 갖고 있으나, 원둘레 방향으로 일정 길이가 절단된 개구(A)를 갖는다. 이에 의해 고리본체(110)에는 개방된 영역이 형성된다. 개구(A)의 폭(W1)은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개폐핑거(120,130)가 닫힌 상태일 때는 좁게 형성되고,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개폐핑거(120,130)가 열린 상태일 때는 개구(A)의 폭(W2)이 넓게 형성된다.
고리본체(110)의 양단에는 제1개폐핑거(120)와 제2개폐핑거(130)가 삽입된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본체(110)의 양단의 내부에는 제1수용공간(111)과 제2수용공간(113)이 형성된다. 제1수용공간(111)과 제2수용공간(113)에는 각각 제1개폐핑거(120)와 제2개폐핑거(130)의 하부가 수용된다.
고리본체(110)는 건설현장에서 사용되는 비계(B)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고리본체(110)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바람직하다.
한 쌍의 개폐핑거(120,130)는 고리본체(110)의 양단에 결합되어 탄성적으로 고리본체(110)로부터 돌출 및 삽입되며 한 쌍의 개폐핑거(120,130)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하여 고리본체(110)가 비계(B)에 결합되거나 분리되도록 한다.
즉,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개폐핑거(120,130)가 고리본체(110)로부터 돌출된 상태, 즉 닫힌 상태에서는 한 쌍의 개폐핑거(120,130) 사이의 거리(W1)가 비계(B)의 직경 보다 좁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고리본체(110)가 비계(B)에 결합된 상태에서 비계(B)로부터 고리본체(11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다.
반대로,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개폐핑거(120,130)가 고리본체(110)에 탄성적으로 삽입되면 한 쌍의 개폐핑거(120,130) 사이의 거리(W2)가 비계(B)의 직경 보다 커지게 된다. 이에 의해 작업자가 고리본체(110)를 비계(B)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수용공간(111)과 제2수용공간(113)에는 각각 제1개폐핑거(120)와 제2개폐핑거(13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1핑거탄성부재(123)와 제2핑거탄성부재(133)가 수용된다.
제1핑거탄성부재(123)와 제2핑거탄성부재(133)는 제1수용공간(111)과 제2수용공간(113)에 수용된 상태로 압축 및 신장되며 제1개폐핑거(120)와 제2개폐핑거(130)가 삽입 및 돌출되게 지지한다. 이 때, 제1핑거탄성부재(123)와 제2핑거탄성부재(133)는 제1개폐핑거(120)과 제2개폐핑거(130)가 닫힌 상태, 즉 개구(A)가 좁아지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인가한다.
제1개폐핑거(120)와 제2개폐핑거(130)는 고리본체(110)와 동일한 곡률을 갖는 막대 형태로 형성된다. 제1개폐핑거(120)와 제2개폐핑거(130)의 길이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핑거탄성부재(123) 및 제2핑거탄성부재(133)와 함께 제1수용공간(111)과 제2수용공간(113)에 모두 삽입될 수 있게 구비되는 것이 비계(B)와의 원활한 착탈을 위해 바람직하다 .
제1개폐핑거(120)와 제2개폐핑거(130)의 단부에는 제1볼(121)과 제2볼(131)이 일체로 결합된다. 제1볼(121)과 제2볼(131)은 구의 형태로 형성되어 작업자가 비계(B)에 접촉시키면, 비계(B)와 닿으면서 가압되어 탄성적으로 제1개폐핑거(120)와 제2개폐핑거(130)가 벌어지도록 한다.
이에 의해 작업자가 양손을 이용하지 않고 한 손으로 고리본체(110)를 잡은 상태에서 제1개폐핑거(120)와 제2개폐핑거(130)를 결합시키고자 하는 비계(B)에 가압하는 원터치 동작만으로 고리본체(110)가 비계에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한 쌍의 개폐핑거(120,130)는 탄성적으로 고리본체(110)에 대해 삽입 및 돌출이 가능하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본체(110)가 비계(B)를 따라 이동하던 중에 장애물(C)을 만나면 한 쌍의 개폐핑거(120,130)가 벌어지며 한번에 이동이 가능해진다.
즉, 종래에는 장애물을 만나면 작업자가 안전고리(도 1의 10)을 비계(B)로부터 분리한 후, 장애물이 없는 지점에서 다시 비계(B)에 결합시켜야 했다.
반면, 본 발명의 안전고리(100)는 장애물(C)을 만나면 제1볼(121)과 제2볼(131)이 장애물(C)과의 접촉에 의해 가압되며 한 쌍의 개폐핑거(120,130)가 장애물(C)의 폭 만큼 벌어지게 된다. 그리고, 장애물을 지나게 되면 제1핑거탄성부재(123)와 제2핑거탄성부재(133)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다시 제1개폐핑거(120)와 제2개폐핑거(130)가 닫혀지게 된다.
이에 의해 비계(B)를 따라 이동할 때, 작업자가 장애물(C)의 위치에 따라 안전고리(100)를 비계(B)로부터 착탈할 필요없이 한번에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한 쌍의 비계지지부재(140,150)는 고리본체(110)의 중심을 향해 방사상으로 결합되어 고리본체(110) 내부에 수용된 비계(B)와 고리본체(110)가 일정 거리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즉, 고리본체(110)가 비계(B)와 접촉되지 않고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고리(100)가 비계(B)를 따라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이에 의해 도 1에 도시된 종래 안전고리(10)가 비계(B)와 접촉되면서 마찰에 의해 원활히 이동되지 못하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한 쌍의 비계지지부재(140,150)는 각각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본체(110)의 외벽면에 결합되는 본체결합블럭(141,151)과, 고리본체(110)의 내벽면에서 본체결합블럭(141,151) 내부로 결합된 비계가압바(143,153)와, 본체결합블럭(141,151)의 내부에 수용되어 비계가압바(143,153)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가압바탄성부재(145,155)를 포함한다.
본체결합블럭(141,151)은 내부에 가압바탄성부재(145,155)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비계가압바(143,153)는 고리본체(110)를 관통하여 삽입된다. 이 때, 본체결합블럭(141,151)의 내부에 수용된 가압바탄성부재(145,155)가 비계가압바(143,153)의 하부를 지지하게 된다.
도 5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계가압바(143,153)는 비계(B)의 직경에 따라 가압바탄성부재(145,155)가 압축되거나 신장되어 비계(B)의 표면을 접촉 가압하게 된다. 이 때, 비계가압바(143,153)의 상단에는 비계(B)의 곡률에 대응되는 곡면을 갖는 비계가압헤드(143a,153a)가 일정면적 형성된다.
한 쌍의 비계가압바(143,153)는 서로 다른 각도에서 비계(B)의 표면을 접촉지지하여 고리본체(110)가 비계(B)에 동심원 상으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의 이동에 의해 고리본체(110)가 비계(B)를 따라 이동되면, 비계가압헤드(143a,153a)가 비계(B)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며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고리(100)의 사용과정과 동작과정을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건설현장에서 작업자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고리(100)가 결합된 안전장치를 착용하게 된다. 안전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계(B)에 결합되는 안전고리(100)와, 안전고리(100)에 결합되는 대형훅(200)과, 작업자의 작업벨트(D)에 결합되는 소형훅(400)과, 대형훅(200)과 소형훅(400)을 연결하는 로프(300)를 포함한다.
도면에는 로프(300)의 길이가 짧게 도시되었으나, 로프(300)의 길이는 작업현장 마다 상이하게 구비될 수 있다.
비계(B)에 결합되지 않았을 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개폐핑거(120,130)는 서로 간의 이격간격(W1)이 좁게 닫힌 상태를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이격간격(W1)을 비계(B)와 맞닿게 위치시키고 고리본체(110)를 비계(B) 방향으로 가압하면 한 쌍의 볼(121,131)이 미끄러지면서 한 쌍의 개폐핑거(120,130)가 벌어지게 된다.
이에 의해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개폐핑거(120,130) 사이의 이격거리(W2)가 비계(B)의 직경보다 크게 벌어져 비계(B)가 고리본체(11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비계(B)가 고리본체(110) 내부에 수용되면, 볼(121,131)에 대한 가압력이 해제되어 한 쌍의 개폐핑거(120,130)는 한 쌍의 핑거탄성부재(123,133)의 탄성력에 의해 도 5의 (a)와 같이 고리본체(110)로부터 돌출되며 닫혀진다.
이 때, 한 쌍의 비계지지부재(140,150)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계(B)의 외주면을 접촉 가압하여 고리본체(110)와 비계(B) 사이의 거리가 이격되게 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이동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계가압헤드(143a,153a)가 비계(B)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안전고리(100)가 비계(B)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동 중에 장애물(C)을 만나게 되면, 한 쌍의 볼(121,131)이 장애물(C)과 접촉되며 가압되어 한 쌍의 개폐핑거(120,130)가 장애물(C)의 두께만큼 벌어지고, 장애물(C)을 지나게 되면 다시 한 쌍의 개폐핑거(120,130)가 닫혀진다.
이에 의해 작업자가 한번 비계(B)에 안전고리(100)를 결합하면, 장애물이 있더라도 안전고리(100)가 장애물을 타고 넘게 되므로 안전고리(100)를 별도로 분리한 후 재결합하는 번거로움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된다.
한편, 안전고리(100)를 비계(B)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때는, 고리본체(110)를 비계(B)와 분리되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이에 의해 한 쌍의 개폐핑거(120,130)가 비계(B)와 접촉하며 벌어지고 고리본체(110)가 비계(B)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전고리는 한 쌍의 개폐핑거가 비계와 접촉하면서 탄성적으로 간격이 벌어지거나 좁혀지는 동작에 의해 비계에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이 간편한 안전고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안전고리는 복수개의 비계지지부재에 의해 고리본체가 비계와 일정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작업자가 이동할 때, 고리본체가 비계를 따라 원활히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비계를 따라 고리본체의 이동중에 장애물을 만날 경우, 한 쌍의 개폐핑거가 장애물에 가압되면서 탄성적으로 벌어지고, 장애물을 통과하면 다시 좁혀지면서 별도로 고리본체를 분리하지 않고도 장애물을 통과할 수 있다.
한편, 제1핑거탄성부재(123) 및 제2핑거탄성부재(133)에는 금속표면의 부식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부식방지도포층이 도포될 수 있다. 이 부식방지도포층의 도포 재료는 메트캅토트리아졸 20중량%, 페트롤륨술포네이트 15중량%, 머캅토벤조티아졸 10중량%, 하프늄 15중량%, 유화몰리브덴(MoS2) 10중량%, 산화알루미늄 30중량%로 구성되며, 코팅두께는 8㎛로 형성할 수 있다.
메트캅토트리아졸, 페트롤륨술포네이트 및 머캅토벤조티아졸은 부식 방지 및 변색 방지 등의 역할을 한다.
하프늄은 내부식성이 있는 전이 금속원소로서 뛰어난 방수성, 내식성 등을 갖도록 역할을 한다.
유화몰리브덴은 코팅피막의 표면에 습동성과 윤활성 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산화알루미늄은 내화도 및 화학적 안정성 등을 목적으로 첨가된다.
상기 구성 성분의 비율 및 코팅 두께를 상기와 같이 수치한정한 이유는, 본 발명자가 수차례 시험결과를 통해 분석한 결과, 상기 비율에서 최적의 부식방지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제1개폐핑거(120) 및 제2개폐핑거(130)에는 오염물질의 부착방지 및 제거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오염 방지도포용 조성물로 이루어진 오염방지도포층이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알킬레이트 폴리글루코사이드 및 아미노알킬 슬로베타인이 1:0.01 ~ 1:2 몰비로 포함되어 있고, 알킬레이트 폴리글루코사이드와 아미노알킬 슬로베타인의 총함량은 전체 수용액에 대해 1 ~10 중량%이다.
상기 알킬레이트 폴리글루코사이드 및 아미노알킬 슬로베타인는 몰비로서 1:0.01 ~ 1:2가 바람직한 바, 몰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기재의 도포성이 저하되거나 도포후 표면의 수분흡착이 증가하여 도포막이 제거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알킬레이트 폴리글루코사이드 및 아미노알킬 슬로베타인는 전제 조성물 수용액중 1 ~ 10 중량%가 바람직한 바, 1 중량% 미만이면 기재의 도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도포막 두께의 증가로 인한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쉽다.
한편, 본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을 기재 상에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스프레이법에 의해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재 상의 최종 도포막 두께는 500 ~ 2000Å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 2000Å이다. 상기 도포막의 두께가 500Å 미만이면 고온 열처리의 경우에 열화되는 문제점이 있고, 2000Å을 초과하면 도포 표면의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쉬운 단점이 있다.
또한, 본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알킬레이트 폴리글루코사이드 0.1 몰 및 아미노알킬 슬로베타인 0.05몰을 증류수 1000 ㎖에 첨가한 다음 교반하여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고리본체(110)에는 기능성 오일이 혼합된 방향제 물질이 코팅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고리본체(110)를 살균 처리하고, 작업자의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 방향제 물질에는 기능성 오일이 혼합될 수 있으며, 그 혼합 비율은 방향제 물질 95~97중량%에 기능성 오일 3~5중량%가 혼합되며, 기능성 오일은, 데알바타아카시아 오일(Acacia dealbata oil) 50중량%, 발레리아나 파우리아이 오일(Valeriana fauriei oil) 50중량%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기능성 오일은 방향제 물질에 대해 3~5중량%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능성 오일의 혼합 비율이 3중량%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며, 기능성 오일의 혼합비율이 3~5중량%를 초과하면 그 기능이 크게 향상되지 않는 반면에 제조 단가는 크게 증가된다.
데알바타아카시아 오일(Acacia dealbata oil)의 주 화학성분은 palmic aldehyde, enanthic acid 등이며, 향이 좋으며 살균, 항울작용, 스트레스 완화작용 등에 좋은 효과가 있다.
발레리아나 파우리아이 오일(Valeriana fauriei oil)은 주 화학성분은 bornyl acetate, pinene 등이며, 혈압강하작용과 더불어 마음을 가라앉히고 진정시키는 작용을 하므로 불안, 긴장완화 등에 작용효과가 우수하다.
이러한 기능성 오일이 고리본체(110)에 코팅되므로 고리본체(110)를 살균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작업자의 피로 회복에 도움을 준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추락방지용 안전고리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추락방지용 안전고리 110 : 고리본체
111 : 제1수용공간 113 : 제2수용공간
120 : 제1개폐핑거 121 : 제1볼
123 : 제1핑거탄성부재 130 : 제2개폐핑거
131 : 제2볼 133 : 제2핑거탄성부재
140 : 제1비계지지부재 141 : 제1본체결합블럭
143 : 제1비계가압바 143a : 제1비계가압헤드
145 : 제1가압바탄성부재 150 : 제2비계지지부재
151 : 제2본체결합블럭 153 : 제2비계가압바
153a : 제2비계가압헤드 155 : 제2가압바탄성부재
200 : 대형훅 300 : 로프
400 : 소형훅
A : 개구
B : 비계
C : 장애물
D : 작업벨트
M : 작업자

Claims (10)

  1. 원둘레방향을 따라 일정길이의 개구가 형성된 원형의 고리본체(110)와;
    상기 고리본체(110)의 양단에 탄성적으로 삽입 및 돌출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개구의 폭을 조절하여 상기 고리본체(110)가 비계(B)에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하는 한 쌍의 개폐핑거(120,130)를 포함하고;
    상기 고리본체(110)의 양단 내부에는 상기 한 쌍의 개폐핑거(120,130)가 수용되는 한 쌍의 수용공간(111,113)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수용공간(111,113)에는 상기 개폐핑거(120,130)의 하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핑거탄성부재(123,133)가 구비되며;
    한 쌍의 개폐핑거(120,130)의 단부에는 각각 제1볼(121)과 제2볼(131)이 일체로 결합되고, 제1볼(121)과 제2볼(131)은 구의 형태로 형성되어 작업자가 비계(B)에 접촉시키면, 비계(B)와 닿으면서 가압되어 탄성적으로 제1개폐핑거(120)와 제2개폐핑거(130)가 벌어지도록 하므로, 개폐핑거(120,130)가 고리본체(110)에 대해 삽입되는 열린 상태가 되며 비계(B)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용 안전고리.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리본체(110)의 외주면에서 상기 고리본체(110)의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고리본체(110) 내부에 수용된 상기 비계(B)를 접촉 지지하는 한 쌍의 비계지지부재(140,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용 안전고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비계지지부재(140,150)는 상기 고리본체(110)에 대해 탄성적으로 길이가 가변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용 안전고리.
  6. 삭제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비계지지부재(140,150)는 각각,
    상기 고리본체(110)의 외주면에 고정결합된 본체결합블럭(141,151)과;
    상기 고리본체(110)의 내주면에서 상기 본체결합블럭(141,151) 내부로 하부가 삽입된 비계가압바(143,153)와;
    상기 본체결합블럭(141,151)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비계가압바(143,153)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가압바탄성부재(145,15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용 안전고리.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80090771A 2018-08-03 2018-08-03 추락방지용 안전고리 KR102055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0771A KR102055377B1 (ko) 2018-08-03 2018-08-03 추락방지용 안전고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0771A KR102055377B1 (ko) 2018-08-03 2018-08-03 추락방지용 안전고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5377B1 true KR102055377B1 (ko) 2019-12-12

Family

ID=69003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0771A KR102055377B1 (ko) 2018-08-03 2018-08-03 추락방지용 안전고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5377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5938B1 (ko) * 2020-12-07 2021-06-17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곤돌라형 소화시스템
KR20220040230A (ko) * 2020-09-23 2022-03-30 주식회사 트리니티윙 안전고리용 거치대
KR102399789B1 (ko) * 2021-06-21 2022-05-20 아성글로벌(주) 고소작업을 위한 추락방지 안전대 체결링
CN114769978A (zh) * 2022-06-21 2022-07-22 昆山圣翰智能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机器人自动装配装置
KR20230114037A (ko) 2022-01-24 2023-08-01 김경완 건설용 안전고리
KR102608611B1 (ko) 2023-07-17 2023-11-30 윤호섭 다목적 활주장치
KR102639932B1 (ko) * 2023-02-17 2024-02-22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고소 작업 시 임시가설물에서의 이동이 용이한 안전고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9963A (ko) 2011-12-19 2013-06-27 전승만 원터치식 자석 안전고리
KR101325688B1 (ko) * 2012-01-11 2013-11-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안전 고리
JP2014042715A (ja) * 2012-08-28 2014-03-13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墜落防止用ワイヤの中間支持装置
KR101552708B1 (ko) * 2014-03-19 2015-09-11 주재황 산업용 안전 연결고리
KR20180028723A (ko) * 2016-09-09 2018-03-19 최낙준 내진 및 방진용 배관 지지 행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9963A (ko) 2011-12-19 2013-06-27 전승만 원터치식 자석 안전고리
KR101325688B1 (ko) * 2012-01-11 2013-11-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안전 고리
JP2014042715A (ja) * 2012-08-28 2014-03-13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墜落防止用ワイヤの中間支持装置
KR101552708B1 (ko) * 2014-03-19 2015-09-11 주재황 산업용 안전 연결고리
KR20180028723A (ko) * 2016-09-09 2018-03-19 최낙준 내진 및 방진용 배관 지지 행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0230A (ko) * 2020-09-23 2022-03-30 주식회사 트리니티윙 안전고리용 거치대
KR102450125B1 (ko) * 2020-09-23 2022-10-05 주식회사 트리니티윙 안전고리용 거치대
KR102265938B1 (ko) * 2020-12-07 2021-06-17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곤돌라형 소화시스템
KR102399789B1 (ko) * 2021-06-21 2022-05-20 아성글로벌(주) 고소작업을 위한 추락방지 안전대 체결링
KR20230114037A (ko) 2022-01-24 2023-08-01 김경완 건설용 안전고리
CN114769978A (zh) * 2022-06-21 2022-07-22 昆山圣翰智能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机器人自动装配装置
KR102639932B1 (ko) * 2023-02-17 2024-02-22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고소 작업 시 임시가설물에서의 이동이 용이한 안전고리
KR102608611B1 (ko) 2023-07-17 2023-11-30 윤호섭 다목적 활주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5377B1 (ko) 추락방지용 안전고리
CA2613686C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rope
US9273717B2 (en) Connector for lifelines
US10149989B2 (en) Retainer assembly having a rotatable, releasable snap button engagement
BR9916104A (pt) Dispersões aquosas de polìmeros de flúor
US6962234B1 (en) Sliding anchorage device
WO2002071365A8 (en) Group notif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indicating the proximity between individuals or groups
KR200478295Y1 (ko) 안전 고리
US9744387B1 (en) Fixing device
AU722413B2 (en) Guarded snap hook
CN108367180A (zh) 线缆夹装置
GB2541458A (en) Fall protection
EP1596941B1 (en) Safety devices
KR200434912Y1 (ko) 안전장갑
GB2541457A (en) A karabiner
EP3074097B1 (en) Tank attachment arrangement for a self-contained breathing apparatus
KR102055376B1 (ko) 릴 타입 제동 안전벨트
JP2022553781A (ja) 自己格納式命綱のためのエネルギー吸収ユニット
US7100738B1 (en) Climbing device
KR101855167B1 (ko) 옥내소화전 방수밸브
WO2017115522A1 (ja) エアゾール式製品用のステム,このステムからなる内容物放出機構およびこの内容物放出機構を備えたエアゾール式製品
FR3008857A1 (fr) Systeme d'appairage d'articles d'habillement tels que des gants de protection
EP2571475B1 (en) Accident prevention emergency sprayhead
CN216220267U (zh) 一种可便捷对腰部进行紧束的防护服
US20180056135A1 (en) Angler QuickDraw Carabiner with Deflection F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