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0230A - 안전고리용 거치대 - Google Patents

안전고리용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0230A
KR20220040230A KR1020200123167A KR20200123167A KR20220040230A KR 20220040230 A KR20220040230 A KR 20220040230A KR 1020200123167 A KR1020200123167 A KR 1020200123167A KR 20200123167 A KR20200123167 A KR 20200123167A KR 20220040230 A KR20220040230 A KR 202200402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safety
holder
safety ring
detach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3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0125B1 (ko
Inventor
김홍중
백현민
이상와
임홍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트리니티윙
김홍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트리니티윙, 김홍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트리니티윙
Priority to KR1020200123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0125B1/ko
Publication of KR20220040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0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0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0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62B35/0025Details and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62B35/0025Details and accessories
    • A62B35/0031Belt sorting accessories, e.g. devices keeping the belts in comfortable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62B35/0025Details and accessories
    • A62B35/0037Attachments for lifelines and lany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5/00Hooks; Eyes
    • F16B45/02Hooks with pivoting or elastically bending closing memb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고리용 거치대는 산업 현장에서 쓰이는 안전대의 벨트가 삽입되는 슬릿을 갖는 벨트 클립; 및 벨트 클립에 고정되며, 일면이 선택적으로 개방되어 상기 안전대의 안전고리를 거치하는 후크 링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안전고리용 거치대{CRADLE FOR SAFETY HOOK}
본 발명은 산업 현장에서 쓰이는 안전고리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각종 산업 현장에서는 크고 작은 안전사고 발생 위험이 상존한다. 특히, 고소 작업을 진행하는 작업자가 추락할 경우 사망으로도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추락 시에도 최소한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도록, 작업자는 안전 규정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안전대를 착용하고, 안전대의 죔줄(4)에 연결된 안전고리(3)를 거치대(1)와 주변 지지물 사이에 체결해야 한다.
기본적으로 종래의 거치대(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2)가 체결되는 벨트 홀(1a)과, 안전고리(3)가 체결되는 후크 링(1b)으로 구성된다.
산업 현장에서는 안전고리(3)를 거치대(1)에 탈착 시 손목이 꺾이는 등의 불편함을 호소하거나 장착 자체에 어려움을 겪는 작업자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여서 해당 문제를 해결할 거치대의 구조적 변경이 불가피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산업 현장에서 작업자가 안전고리를 어려움 없이 손쉽게 탈착할 수 있는 안전고리용 거치대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고리용 거치대는 산업 현장에서 쓰이는 안전대의 벨트가 삽입되는 슬릿을 갖는 벨트 클립; 및 벨트 클립에 고정되며, 일면이 선택적으로 개방되어 상기 안전대의 안전고리를 거치하는 후크 링을 포함한다.
후크 링은 고리부, 도어부 및 탈착부를 포함한다.
고리부는 일단 측부가 상기 벨트 클립에 고정되는 U자 형상이다.
이러한 고리부는 하부 프레임과, 장착 홈을 포함한다.
하부 프레임은 고리부의 몸체 골격을 이룬다.
하부 프레임에는 마그넷 센서가 내장될 수 있다.
이때, 하부 프레임은 마그넷 센서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 홈은 하부 프레임의 일부 구간에 형성되어, 탈착부의 하단부를 수용한다.
도어부는 고리부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어부는 고리부의 타단에 힌지 연결되어, 후크 링의 내측을 개폐하는 도어 바를 구비할 수 있다.
탈착부는 고리부의 일단 상부에 승강 조절이 가능하도록 탈착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탈착부는 상부 프레임과, 탈착 스위치를 포함한다.
상부 프레임은 고리부의 개방된 상단부를 개폐하도록, 고리부의 일단 상부에 삽입되어 승강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절곡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부 프레임은 로드 바, 스프링 홈 및 탄성 스프링을 포함한다.
로드 바는 고리부의 일단 상부에 삽입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스프링 홈은 로드 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탄성 스프링은 스프링 홈에 배치되어 고리부의 일단과 로드 바를 연결하는 기능을 갖는다.
탈착 스위치는 고리부의 일단과 상부 프레임 사이에 스프링 회동 구조로 이루어져, 상부 프레임을 고리부의 일단으로부터 탈착 조절한다.
여기서, 탈착 스위치는 고리부의 일단과 상부 프레임 사이에서 잠금 설정이 가능하고, 잠금이 해제된 상태에서만 회동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탈착 스위치는 몸체 상단부와 상부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잠금 스프링과, 몸체 하단부에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고리부의 일단 내측부에 걸림 구조를 갖는 장착 돌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고리부의 일단 내측부에는 장착 돌기와 맞물리는 걸림 턱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전고리용 거치대는 산업 현장에서 작업자가 안전고리를 어려움 없이 손쉽게 탈착할 수 있도록 하여 종래의 탈착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특히, 탄성 스프링 구조를 통해 안전고리를 거치대에 장착하거나 탈거 시, 작업자가 안전고리를 거치대에 부속된 탈착 스위치를 향해 위로 올리는 동작만으로도 손쉽게 거치대로부터 안전고리를 탈거할 수 있다.
이때, 안전고리가 탈거된 거치대(탈착부의 상부 프레임 구조)는 별도의 조작 없이 고정위치(초기위치)로 복귀되는 구조적 특징을 갖는다.
또한, 마그넷 센서를 내장하여 이와 연동된 안전고리의 특정 작동 기능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은 종래의 안전고리용 거치대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종래의 안전고리용 거치대를 나타낸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고리용 거치대의 구조적 특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고리용 거치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고리용 거치대의 구성 및 구성 간 체결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B 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고리용 거치대의 구조적 특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 예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고리용 거치대에 안전고리가 장착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고리용 거치대에 안전고리가 탈거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고리용 거치대의 구조적 특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 예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고리용 거치대(10)는 작업자로 하여금 안전고리(3)를 손쉽게 장착하거나 탈거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적 특징을 갖는다.
안전고리용 거치대(10)는 안전고리(3)을 장착한 상태에서, 다시 안전고리(3)를 탈거할 경우 1차적으로 잠금을 해제한 후 작업자가 손쉽게 위로 올리는 동작을 통해 안전고리(3)가 탈거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조적 특징은 후술되는 도면을 통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고리용 거치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고리용 거치대(10)의 벨트 클립(100)은 전체적으로 사각 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안전대(미도시)에 부속된 벨트(미도시)와의 접촉 면적을 넓힘으로써 견고성을 늘리기 위함이다.
벨트 클립(100)은 기본 골격을 이루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 하단부에 형성되어 안전대의 벨트가 삽입되는 슬릿(120)을 포함한다.
이때, 베이스 플레이트(110)에는 슬릿(120) 외에도 제1 옵션 홀(130)과, 제2 옵션 홀(140)이 형성된다.
제1 옵션 홀(130)은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중앙으로부터 방사형으로 이루어지고, 제2 옵션 홀(140)은 제1 옵션 홀(130)과 같은 선상에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제1 옵션 홀(130)은 장공으로 이루어지고, 제2 옵션 홀(140)은 원형으로 이루어진다.
제1, 2 옵션 홀(130, 140)은 전기 케이블과 같은 미세한 와이어 등이 관통되거나 별도의 후크(미도시)가 걸리는 하나의 옵션 영역이다.
여기서, 제1, 2 옵션 홀(130, 140)의 형상 및 크기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은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양측면 일부 구간에는 절삭부(150)가 형성된다. 절삭부(150)는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경사 구조를 갖는다. 또한, 절삭부(15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양단에 대칭되게 형성된다. 이를 통해, 절삭부(150)는 안전대에 베이스 플레이트(110)가 체결 시, 그립감을 높일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고리용 거치대의 구성 및 구성 간 체결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B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고리용 거치대의 구조적 특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 예시도이다.
참고로, 도 6 내지 도 8은 안전고리용 거치대(10)를 투명하게 조절하여 내부 구성이 보일 수 있도록 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살펴보면, 안전고리용 거치대(10)는 크게 벨트 클립(100)과, 후크 링(200)을 포함한다.
벨트 클립(100)은 안전대(미도시)의 벨트가 체결되는 부위로서, 기본적으로 안전대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벨트 클립(100)이 안전대에 고정되는 방법으로는, 기본적으로 벨트를 통해 체결되는 방법이 있고, 다른 예로 안전대로부터 슬라이딩 형식으로 탈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억지 끼움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벨트 클립(100)은 폴리케톤(Polyketone)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폴리케톤은 금속을 대체하는 공업용 플라스틱 소재로 쓰이고, 일산화탄소와 에틸렌, 프로필렌을 공조합시켜 만든 신소재로서, 열과 마찰, 충격, 화학물질 등에 견디는 재질적 특성을 갖는다.
후크 링(200)은 벨트 클립(100)에 고정되며, 일면이 선택적으로 개방되어 안전대의 안전고리(도 3, 4의 3)를 거치한다. 여기서, 후크 링(200)은 'O'링 형태로 이루어지지만 종래와 다르게 상단이 승강 조절을 통해 개방되는 탈착 구조를 갖는다.
이를 위하여 후크 링(200)은 고리부(210), 도어부(220) 및 탈착부(23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고리부(210)는 일단 측부가 벨트 클립(100)에 고정되며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고리부(210)는 몸체 골격을 이루는 하부 프레임(211)과, 하부 프레임(211)의 일부 구간에 형성된 장착 홈(212)을 포함한다.
여기서, 장착 홈(212)은 탈착부(230)의 하단부를 수용한다.
하부 프레임(211)은 안전고리가 안착되는 구간인 중앙 부분에 마그넷 센서(240)를 내장한다. 마그넷 센서(240)는 안전고리와 하부 프레임(211)이 상호 접촉 유무를 판단함으로써, 안전고리가 하부 프레임(211)에 제대로 체결됐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안전고리에는 마그넷 센서(240)와 상호 연동하는 자석이 내장되는 것은 물론이다.
하부 프레임(211)은 마그넷 센서(240)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25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원공급부(250)는 하부 프레임(211)에 배터리 형태로 내장되어 USB 단자와 같은 전기케이블을 통해 충전이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전원공급부(250)는 하부 프레임(211)에 내장된 상태로 고정되거나 탈착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다른 예로, 전원공급부(250)는 태양광 패널로 이루어져 마그넷 센서(240)로 전력을 공급하거나, 전원공급부(250)와 더불어 태양광 패널을 구성한 패키지 조합으로 마그넷 센서(240)에 전력을 공급할 수도 있다.
도어부(220)는 고리부(210)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어부(220)의 용도는 안전고리가 장착될 시, 안전고리가 밀고 들어갈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것이다.
이러한 도어부(220)는 도어 바(221)와 도어 핀(222)으로 구성된다.
도어 바(221)는 고리부(210)의 타단에 도어 핀(222)과 힌지 연결되어, 후크 링(200)의 내측을 개폐한다.
탈착부(230)는 고리부(210)의 일단 상부에 승강 조절이 가능하도록 탈착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탈착부(230)는 상부 프레임(231) 및 탈착 스위치(232)를 포함한다.
상부 프레임(231)은 고리부(210)의 개방된 상단부를 개폐하도록, 고리부(210)의 일단 상부에 삽입되어 승강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절곡 형상을 띤다. 즉, 상부 프레임(231)은 'ㄱ'자 형상을 띤다.
여기서, 상부 프레임(231)은 로드 바(231a), 스프링 홈(231b) 및 탄성 스프링(231c)을 포함한다. 여기서, 위와 같은 구성들은 'ㄱ'자 형상의 상부 프레임(231) 중에서, 'ㅡ'가 아닌 'ㅣ' 부분에 배치된다. 상부 프레임(231)의 'ㅡ' 부분은 고리부(210)의 개방된 상단부를 개폐하는 영역이고, 'ㅣ' 부분은 고리부(210)의 일단 상부에 삽입되는 영역이다.
로드 바(231a)는 고리부(210)의 일단 상부 즉, 장착 홈(212)에 삽입 가능하다. 로드 바(231a)는 길이 방향을 따라 부분적으로 빈 공간을 가지며, 이 빈 공간은 탄성 스프링(231c)이 삽입되는 스프링 홈(231b)이다.
여기서, 탄성 스프링(231c)은 고리부(210)의 장착 홈(212)과 로드 바(231a)를 연결한다. 또한, 탄성 스프링(231c)은 로드 바(231a)가 장착 홈(212)으로부터 탈거될 시, 탄성 변형을 통해 다시 로드 바(231a)를 초기 위치인 장착 홈(212) 내로 복귀시킨다.
탈착 스위치(232)는 고리부(210)의 일단과 상부 프레임(231) 사이에 스프링 회동 구조로 이루어져, 상부 프레임(231)을 고리부(210)의 일단으로부터 탈착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탈착 스위치(232)는 잠금 스프링(232a), 스위치 핀(232b) 및 장착 돌기(232c)를 포함한다.
이때, 탈착 스위치(232)는 고리부(210)의 일단과 상부 프레임(231) 사이에서 잠금 설정이 가능하고, 잠금이 해제된 상태에서만 회동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탈착 스위치(232)의 잠금 및 해제는 탈착 스위치(232)를 위로 밀면, 잠금 스프링(232a)이 수축함과 동시에 스위치 핀(232b)을 통해 탈착 스위치(232)가 회동되어, 장착 돌기(232c)가 걸림 턱(213)으로부터 해제된다.
안전고리가 후크 링(200)에서 탈거되면, 잠금 스프링(232a)의 탄성 작용에 의해 상부 프레임(231)의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이와 다른 예로, 탈착 스위치(232)의 잠금 및 해제는 회동 구간상에 배치된 별도의 잠금부재(미도시)를 통해 누름 및/또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가능하다.
잠금 스프링(232a)은 탈착 스위치(232)의 몸체 상단부와 상부 프레임(231) 사이에 배치되어, 탄성력을 제공한다. 여기서, 탈착 스위치(232)의 몸체 상단부는, 잠금 스프링(232a)을 체결할 수 있는 별도의 체결 홈(232d)을 구비할 수 있다. 체결 홈(232d)은 잠금 스프링(232a)이 닿는 내측면의 일단부가 경사진 구조로 이루어져, 잠금 스프링(232a)의 변위 자유도를 확보할 수 있다.
스위치 핀(232b)은 상부 프레임(231)의 절곡 중앙부에 탈착 스위치(232)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시킨다.
장착 돌기(232c)는 탈착 스위치(232)의 몸체 하단부에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고리부(210)의 일단 내측부에 걸림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고리부(210)의 일단 내측부에는 장착 돌기(232c)와 맞물리는 걸림 턱(213)이 형성된다.
후크 링(200)도 벨트 클립(100)과 마찬가지로 폴리케톤(Polyketone)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후크 링(200)의 구성 중 금속으로 이루어진 핀(도어 핀; 222, 스위치 핀; 232)과 스프링(탄성 스프링; 231c, 잠금 스프링; 232a), 마그넷 센서(240) 및 전원공급부(250)는 예외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고리용 거치대에 안전고리가 장착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의 (a) 내지 (c)는, 안전고리(3)가 안전고리용 거치대(10)에 장착되는 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이다. 해당 도면은 안전고리(3)와 안전고리용 거치대(10) 간의 체결 구조를 간단히 나타내기 위해 도시한 것으로서, 안전고리용 거치대(10)는 안전대에 고정된 상태임을 가정하고, 안전고리(3)는 죔줄 등과 같은 로프로 연결된 상태임을 가정한다.
안전고리용 거치대(10)의 도어 바(221)가 안쪽으로 밀리면서 안전고리(3)가 고리부(210)에 안착된다. 이때, 안전고리(3)에 자석이 내장되거나 각종 기능(예: 체결 시 식별 가능한 점등 형태, 경고음을 포함한 음원 발생 등)이 탑재된 경우, 안전고리(3)는 마그넷 센서(240)와의 상호 작용으로 인해 특정 기능을 멈추거나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안전고리(3)가 도어 바(221)를 통과해 고리부(210)에 안착되면, 도어 바(221)는 탄성 복원을 통해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고리용 거치대에 안전고리가 탈거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을 살펴보면, 도 9와 반대로 안전고리용 거치대(10)로부터 안전고리(3)가 탈거되는 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낸다.
안전고리(3)는 비교적 손쉽게 안전고리용 거치대(10)로부터 탈거될 수 있다. 안전고리(3)를 위로 올리면, 안전고리(3)와 탈착 스위치(232)가 맞물리고, 탈착 스위치(232)는 회동되며 고리부(210)의 일단 상부로부터 잠금이 해제된다. 이때, 상부 프레임(231)은 고리부(210)로부터 분리되어 승강 조절된다.
상부 프레임(231)이 고리부(210)로부터 분리된 틈 사이로 안전고리(3)를 손쉽게 탈거할 수 있다. 이때, 안전고리(3)가 탈거되면 탈착부(230)의 상부 프레임(231)은 탄성 복원력에 따라 초기 위치로 복귀되며, 이와 연동된 탈착 스위치(232)도 자동으로 잠금 설정이 완료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 종래 거치대 1a: 벨트 홀
1b: 후크 링 2: 벨트
3: 안전고리 4: 죔줄
10: 안전고리용 거치대 100: 벨트 클립
110: 베이스 플레이트 120: 슬릿
130: 제1 옵션 홀 140: 제2 옵션 홀
150: 절삭부 200: 후크 링
210: 고리부 211: 하부 프레임
212: 장착 홈 213: 걸림 턱
220: 도어부 221: 도어 바
222: 도어 핀 230: 탈착부
231: 상부 프레임 231a: 로드 바
231b: 스프링 홈 231c: 탄성 스프링
232: 탈착 스위치 232a: 잠금 스프링
232b: 스위치 핀 232c: 장착 돌기
232d: 체결 홈 240: 마그넷 센서
250: 전원공급부

Claims (11)

  1. 산업 현장에 쓰이는 안전고리용 거치대에 있어서,
    안전대의 벨트가 삽입되는 슬릿을 갖는 벨트 클립; 및
    상기 벨트 클립에 고정되며, 일면이 선택적으로 개방되어 상기 안전대의 안전고리를 거치하는 후크 링을 포함하는 안전고리용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링은
    일단 측부가 상기 벨트 클립에 고정되는 U자 형상의 고리부;
    상기 고리부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도어부; 및
    상기 고리부의 일단 상부에 승강 조절이 가능하도록 탈착 구조를 갖는 탈착부를 포함하는 것인 안전고리용 거치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는
    몸체 골격을 이루는 하부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의 일부 구간에 형성되어, 상기 탈착부의 하단부를 수용하는 장착 홈을 포함하는 것인 안전고리용 거치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에는
    마그넷 센서가 내장되는 것인 안전고리용 거치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은
    상기 마그넷 센서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인 안전고리용 거치대.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는
    상기 고리부의 타단에 힌지 연결되어, 상기 후크 링의 내측을 개폐하는 도어 바를 구비하는 것인 안전고리용 거치대.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부는
    상기 고리부의 개방된 상단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고리부의 일단 상부에 삽입되어 승강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절곡 형상의 상부 프레임; 및
    상기 고리부의 일단과 상기 상부 프레임 사이에 스프링 회동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상부 프레임을 상기 고리부의 일단으로부터 탈착 조절하는 탈착 스위치 포함하는 것인 안전고리용 거치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은
    상기 고리부의 일단 상부에 삽입 가능한 로드 바;
    상기 로드 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부분적으로 형성된 스프링 홈; 및
    상기 스프링 홈에 배치되어 상기 고리부의 일단과 상기 로드 바를 연결하는 탄성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인 안전고리용 거치대.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 스위치는
    상기 고리부의 일단과 상기 상부 프레임 사이에서 잠금 설정이 가능하고, 잠금이 해제된 상태에서만 회동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인 안전고리용 거치대.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 스위치는
    몸체 상단부와 상기 상부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잠금 스프링; 및
    몸체 하단부에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리부의 일단 내측부에 걸림 구조를 갖는 장착 돌기를 포함하는 것인 안전고리용 거치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의 일단 내측부에는 상기 장착 돌기와 맞물리는 걸림 턱이 형성되는 것인 안전고리용 거치대.
KR1020200123167A 2020-09-23 2020-09-23 안전고리용 거치대 KR102450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167A KR102450125B1 (ko) 2020-09-23 2020-09-23 안전고리용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167A KR102450125B1 (ko) 2020-09-23 2020-09-23 안전고리용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0230A true KR20220040230A (ko) 2022-03-30
KR102450125B1 KR102450125B1 (ko) 2022-10-05

Family

ID=80948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3167A KR102450125B1 (ko) 2020-09-23 2020-09-23 안전고리용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012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2857B1 (ko) * 2011-05-25 2013-07-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그네식 안전대
KR102055377B1 (ko) * 2018-08-03 2019-12-12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추락방지용 안전고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2857B1 (ko) * 2011-05-25 2013-07-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그네식 안전대
KR102055377B1 (ko) * 2018-08-03 2019-12-12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추락방지용 안전고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0125B1 (ko) 2022-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023351C (en) Conduit clamp
US20040099705A1 (en) Tool bag which can be carried next to the body of a person
CA2259620C (en) Guarded snap hook
IE981051A1 (en) Attachement device for excavating or digging apparatus
EP2731680B1 (en) Personal fall limiter arrangement and user connection arrangement therefor
AU1217397A (en) A lifting hook
KR102450125B1 (ko) 안전고리용 거치대
EA038441B1 (ru) Изнашиваемая деталь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с землеройным оборудованием
JP2007161357A (ja) フック収納部付バケットリンク
CN109529219A (zh) 一种生命线无障碍通行滑块及与其相匹配的生命线支撑座
CN113335334B (zh) 一种用于中间体过渡车钩的安全型组合式装卸工具
US20020152593A1 (en) Coupling self-locking hook
JP4974750B2 (ja) 安全帯取付治具及び安全帯取付方法
CA1078891A (en) Remote-controlled safety hook assembly
CN209679345U (zh) 一种生命线无障碍通行滑块及与其相匹配的生命线支撑座
KR101831578B1 (ko) 굴삭기 클램프용 안전장치
JP3593056B2 (ja) 吊具
JP2007055697A (ja) ジブクレーン
CN212863930U (zh) 一种升降装置、辅助安全设备及起重机
JP4002664B2 (ja) 重量物吊上げ用フック装置
CN220354385U (zh) 一种液压链接装置用工装及装置
JP3138878U (ja) 墜落防止用安全帯のストラップ巻取り器
KR200310978Y1 (ko) 굴삭기 어태치먼트 장착용 클램프의 안전키이
KR200163587Y1 (ko) 맨홀뚜껑홀더
JP3355809B2 (ja) 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