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4912Y1 - 안전장갑 - Google Patents

안전장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4912Y1
KR200434912Y1 KR2020060027339U KR20060027339U KR200434912Y1 KR 200434912 Y1 KR200434912 Y1 KR 200434912Y1 KR 2020060027339 U KR2020060027339 U KR 2020060027339U KR 20060027339 U KR20060027339 U KR 20060027339U KR 200434912 Y1 KR200434912 Y1 KR 2004349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ove
fabric
waterproof
gloves
wr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73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신권
Original Assignee
주경방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경방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경방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273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49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49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491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41D19/01529Protective gloves with thermal or fire pro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8Arm or han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06Gloves made of several layers of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1Linin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41D19/01547Protective gloves with grip improv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41D19/01582Protective gloves with means to restrain or support the ha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lo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재진화시, 위험물질 취급시, 재난 구조시 사용되는 안전장갑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장갑을 부드러운 내열 및 방수기능을 갖는 가죽으로 이루어진 외피와; 방수성과 내전압성이 탁월한 투습방수원단(gore tex)으로 이루어진 내피를 중첩시켜 가장자리를 봉제한 몸체와; 장갑의 손가락 선단 부위 내측에 덧대어져 마찰에 대응되도록 봉제된 보조피와; 착용자의 손목과 밀착되도록 장갑 손목부위에 설치된 조임밴드와; 조임밴드 위치의 손등부에 설치되며 일측에 고정된 금속링에 끼워져 손목부위를 조일 수 있도록 된 조임부재와; 장갑의 입구 내면에 일측단이 결합되고 타측단은 신축밴드가 설치된 보조토시가 구성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소방대원이 화재진압시, 인명구조시, 화공약품 취급시 외부의 위험으로부터 손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된 안전장갑에 관한 것이다.
안전장갑, 소방장갑, 투습방수원단

Description

안전장갑{safety glove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장갑의 손바닥과 손등을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장갑 손목부위의 조임부재와 보관고리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장갑의 손목부위에 설치된 조임밴드와 손가락 선단에 보조피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안전장갑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장갑 10':입구
11:외피 12:내피
13:투습방수원단 14a,14b:직물원단
15:장갑몸체 16:보조피
17:조임밴드 18:금속링
19:조임부재 20:신축밴드
21:보조토시 22:보관고리
본 고안은 화재진화시, 위험물질 취급시, 재난 구조시 사용되는 안전장갑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재난 사고현장에서 위험물질이나 소화수 등으로부터 소방활동시 대원의 손을 보호할 수 있도록 방수성과 내열성 및 내전압성을 갖도록 하고, 더불어서 소방대원이 구조활동시 손가락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한 소방용 안전장갑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소방대원들이 화재현장에서 소방활동시 손을 보호하기 위해 석면이 도포된 가죽장갑을 사용함으로써, 화염으로부터 손을 보호할 수는 있으나 두껍고 딱딱한 관계로 손가락을 자유롭게 구부리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에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안전장갑 역시 내열성이 우수한 재질의 원단으로 내·외피를 형성한 것이나 방수성과 투습성을 동시 갖지 못함으로써 방수가 이루어지면 내부에서 생긴 땀이 발산되지 않고 땀이 발산될 수 있도록 투 습성을 가지면 방수가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다시 말해서 내피와 외피는 내열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나, 물에 대한 방수기능은 전혀 이루어지지 못하여 물 접촉시 외피는 물론, 내피가 물을 흡수하는 문제점이 발생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내·외피에 방수기능을 부가하게되면 투습이 안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소방활동시 단시간 작업에도 손에 땀이 차 진화작업에 지장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기존의 안전장갑은 내전압성과 내열성과 투습성을 동시에 갖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재난 사고현장에서 위험물질이나 소화수 등으로부터 소방 대원의 손을 보호할 수 있도록 방수성과 내열성 및 내전압성을 갖도록 하고, 또한 소방대원이 구조활동시 손가락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한 안전장갑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갖는 본 고안은 장갑을 부드러운 내열성, 방수성의 기능을 갖는 가죽으로 외피를 형성하고, 방수성과 내전압성이 탁월한 투습방수원단(gore tex)으로 이루어진 내피를 중첩시켜 장갑을 형성함으로써 소방대원이 화재진압시, 인명구조시, 화공약품 취급시 외부의 위험으로부터 손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안전장갑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소방용 안전 장갑에 있어서,
장갑을 부드러운 내열 및 방수기능을 갖는 가죽으로 이루어진 외피(11)와, 방수성과 내전압성이 탁월한 투습방수원단(gore tex)으로 이루어진 내피(12)를 중첩시켜 봉제한 장갑몸체(15)와;
장갑의 손가락 선단 부위 내측에 덧대어져 마찰에 대응되도록 봉제 된 보조 피(16)와;
착용자의 손목과 밀착되도록 장갑 손목부위에 설치한 조임밴드(17)와;
조임밴드(17) 위치의 손목부위에 설치되며 일측에 고정된 금속링(18)에 끼워져 손목부위를 조일 수 있도록 상부에 설치된 조임부재(19)와;
장갑의 입구 내면 테두리에 일측단이 결합되고 타측단은 신축밴드(20)가 설치된 보조토시(21)로 안전장갑이 구성된다.
상기 내피는 중앙에 투습방수원단(13)이 위치되고 양면에 직물 원단(14a)(14b)을 위치시켜 3중 원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 토시(21)는 방수천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갑 몸체는 일측에 보관 고리(2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임부재(19)는 일면 말단부에 숫 벨크로즈(19a)가 형성되고 동일면 내측에는 암 벨크로즈(19b)가 연장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장갑의 손바닥과 손등을 나타낸 예시도로서, 장갑(10)의 손가락 선단부의 내측에는 보조피(16)를 덧댄 구성으로 사용시 장갑의 손가락 선단 부분이 마찰에 의하여 가장 먼저 닳게 됨으로써 이를 방지 함과 더불어 마찰을 높여 물건을 간단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손목부위의 내측에는 탄성을 갖는 조임밴드(17)가 설치되어 장갑 착용자의 손목과 밀착되도록 한다.
본 고안의 장갑 손등의 손목부위에는 소정의 폭을 갖는 조임부재(19)를 설치하되 조임부재(19)의 재질은 장갑몸체(15)의 외피(11)와 동일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조임부재(19)는 장갑의 손목부분을 더욱 견고하게 조일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조임부재(19)의 일측단은 손목부분의 외측에 봉제로 고정되고 타측단은 손목부분의 내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사각 금속링(18)에 끼워져 암수 벨크로즈(19b)(19a)에 의해 결속 고정된다.
상기 암수 벨크로즈(19b)(19a)는 조임부재(19)의 외면 말단부에 숫 벨크로즈(19a)를 형성하고, 그 나머지 부분에는 암 벨크로즈(19b)가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조임부재(19)가 금속링(18)을 통과한 후 절첩되면서 서로 부착되도록 하였다. 조임부재에 설치되는 암수 벨크로즈는 통상적인 것을 사용하였다.
또한, 본 고안의 장갑은 일반인이 사용하기보다는 주로 소방대원이나 특수직업에 근무하는 사람들이 사용하게 됨으로써 보관시 식별하기 쉬운 관물대, 보관함 등에 걸어서 보관하기 위해 일측에 보관고리(22)를 구비하였다.
본 고안의 도 1에서는 장갑의 입구(10')에 설치된 보조토시(21)를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 도시하였다.
도 2는 본 고안의 안전장갑 손등부위에 손목 조임부재와 보관고리이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로서, 장갑 착용시 조임부재(19)를 이용하여 손목부분을 조이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조임부재(19)는 일측단은 장갑 몸체 일측에 고정되고 타측단은 직사각형의 금속링(18)에 끼워진 상태이므로 조임부재를 일측으로 당기면서 암수벨크로 즈(19b)(19a)를 접착시키면 간단 용이하게 고정된다.
또한, 장갑을 벗을 때 역시 조임부재의 암수 벨크로즈를 분리시킨 후 간단 용이하게 벗을 수 있게 된다.
즉, 소방대원이 소방활동을 하면서 신속하게 장갑을 벗었다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순간 상황의 대처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것으로 장갑의 구조에 따라서 행동의 신속성이 좌우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안전장갑 손바닥의 손목부위에 설치된 조임밴드와 손가락 선단 내측에 보조피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로서 도1과 상응하는 것이나 도3에서는 손가락 바닥의 선단부에 설치된 보조피(16)를 설명하기로 한다.
손가락 선단부(끝부분) 바닥에 설치된 보조피(16)는 가죽의 속부분을 사용하여 겉 표면이 거칠고 부드러운 것을 사용함으로써 소방대원이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 소방기구 또는 구조 장비를 잡을 때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작용과 더불어서 착용자가 물건을 잡을 때 착용자의 손가락 말단 부분이 물건과 가장 먼저 접촉되면서 끝 부분에 힘이 집중되므로 다른 부분에 비하여 마찰이 심화되므로 닳아서 뚫어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보조피(16)를 덧붙인 것이다.
이렇게 장갑의 손가락 부분이 가장 먼저 뚫어지는 것은 모든 장갑의 공통사항이다.
또한, 도 3과 도 4에서는 장갑의 입구에 부착된 보조 토시(21)를 밖으로 인출시켜 도시한 것으로서, 소방대원이 장갑을 착용시 착용자의 팔목 상부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보조토시(21)는 직물로 형성하되 방수처리된 것으로 외 부에서 물이나 액체, 가스등과 접촉시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된 것이다.
특히, 보조토시(21)의 일측단은 장갑의 입구 내측 테두리부분과 연결되도록 봉제하고 돌출된 타측단은 신축밴드(20)를 설치하여 착용자의 팔목 윗부분을 조여 밀착되도록 함으로서 외부에서 이물질 액체 분진 등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토록 한다.
상기와 같이 된 본 고안의 안전장갑은 착용자의 손목부분을 조임밴드(17)와 조임부재(19)를 이용하여 2중으로 결속하고 그 상단부를 다시 보조토시(21)의 신축밴드(20)로 조여 밀착하도록 함으로서 2중 3중으로 착용자의 손목에 밀착되도록 하여 소방대원이 소방활동 중에 분주히 움직이더라도 장갑은 안전하게 착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안전장갑 단면도로서 내부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의 장갑은 소방활동과 위험물 취급에 있어서 안전하도록 장갑의 외피는 가죽으로 하되 부드러우면서 방수기능을 갖도록 하였다,
또한 외피(11)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피(12)는 3겹으로 형성한 것으로서 내피의 중앙부에는 투습방수원단(gore tex)(13)을 형성하고 양측 외면에는 직물 원단(14a)(14b)이 구성되도록 한 것으로서, 내피(12)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투습방수원단(13)은 물방울은 통과하지 못하고 수증기는 통과하도록 된 것이다.
즉, 투습방수원단(gore tex)의 구조는 모세공이 형성되어 물방울 입자보다는 작고 수증기의 입자보다는 크게 형성되어 장갑을 착용하고 사용시 외부에서 물방울 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는 반면 내부에서 발생된 열에 의한 습기는 수증로 변하여 외부로 방출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투습방수원단(gore tex)의 양측에 위치하는 직물원단(14a)(14b) 역시 방수 처리되어 어느 정도의 방수가 이루어지며 더불어서 양면의 직물원단은 투습방수원단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내피(12)는 중앙에 투습방수원단(13)이 위치하고 양면에 직물 원단(14a)(14b)이 위치하여 3중 원단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섭씨 60℃이하에서 30회 이상 세탁하더라도 방수기능이 유지되도록 하고, 내피의 방습, 투습성은 5.4㎏/㎠ 이상 되도록 제작된 것이다.
또한, 내피의 방습 및 투습에 있어서 투습도(습기배출)는 20,000g/㎡/24hrs이상 되도록 한 것이며, AC 3,000Volt의 고압전류에서 1분 이상 견디도록 하여 전기 절연성을 갖는다.
본 고안은 이외에 각종 오물, 오일, 저농도의 화공약품으로부터 손을 보호할 수 있도록 제작된 것이다.
이렇게 제작된 본 고안은 내전압성, 방수성, 방투습성, 내마찰성을 동시에 가지므로 소방대원의 손을 어떠한 악조건에서도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안전장갑은 외피와 내피로 구성하되 내피를 투습방수원단(gore tex)을 갖는 3중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방습성과 투습성 을 갖는 동시에 내전압성을 가짐으로써 소방대원이 소방 활동시 손을 위험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며, 또한 장갑의 손목 부분에 조임밴드와 조임부재로 된 2중 조임장치를 형성하고 장갑입구 상단부에 신축밴드를 갖는 보조토시를 형성함으로서 소방대원이 소방 및 구조 활동을 위해 분주히 움직이더라도 착용된 장갑이 유동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외부에서 이물질과 가스, 액체등의 유입을 완벽하게 차단시켜 손을 보호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3)

  1. 소방용 안전 장갑에 있어서,
    장갑를 부드러운 내열 및 방수기능을 갖는 가죽으로 이루어진 외피(11)와, 방수성과 내전압성이 탁월한 투습방수원단(gore tex)으로 이루어진 내피(12)를 중첩시켜 봉제한 장갑 몸체(15)와;
    장갑의 손가락 선단 부위 내측에 덧대어져 마찰에 대응되도록 봉제 된 보조피(16)와;
    착용자의 손목과 밀착되도록 장갑 손목부위에 설치한 조임밴드(17)와;
    조임밴드(17) 위치의 손목부에 설치되며 일측에 고정된 금속링(18)에 끼워져 손목부위를 조일 수 있도록 상부에 설치된 조임부재(19)와;
    장갑의 입구 내면 테두리에 일측단이 결합되고 타측단은 신축밴드(20)가 설치된 보조토시(2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갑.
  2. 제1항에 있어서,
    내피는 중앙에 투습방수원단(13)이 위치하고 양면에 직물 원단(14a)(14b)이 위치하여 3중 원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갑.
  3. 제1항에 있어서,
    보조 토시는 장갑 입구에 소정의 길이를 갖는 방수천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 으로 안전장갑.
KR2020060027339U 2006-09-30 2006-09-30 안전장갑 KR2004349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7339U KR200434912Y1 (ko) 2006-09-30 2006-09-30 안전장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7339U KR200434912Y1 (ko) 2006-09-30 2006-09-30 안전장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4912Y1 true KR200434912Y1 (ko) 2006-12-29

Family

ID=41783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7339U KR200434912Y1 (ko) 2006-09-30 2006-09-30 안전장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4912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071B1 (ko) 2009-03-26 2009-07-15 주식회사 파이로 내열 방수 장갑
KR100981761B1 (ko) 2008-04-10 2010-09-13 (주)생활낙원 코팅을 이용한 방수용 이중장갑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제조된 이중장갑
KR200481874Y1 (ko) 2016-05-12 2016-11-21 김문수 손가락 장갑
CN112425847A (zh) * 2020-11-24 2021-03-02 东台市兴盾船舶设备有限公司 一种水域救援手套
CN113940470A (zh) * 2021-11-15 2022-01-18 哈尔滨体育学院 一种冬季体育户外运动手套
KR20220144437A (ko) * 2021-04-19 2022-10-27 주식회사 지앤지티씨 다기능 장갑
KR20220146944A (ko) * 2021-04-26 2022-11-02 주식회사 지앤지티씨 다기능 장갑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761B1 (ko) 2008-04-10 2010-09-13 (주)생활낙원 코팅을 이용한 방수용 이중장갑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제조된 이중장갑
KR100908071B1 (ko) 2009-03-26 2009-07-15 주식회사 파이로 내열 방수 장갑
KR200481874Y1 (ko) 2016-05-12 2016-11-21 김문수 손가락 장갑
CN112425847A (zh) * 2020-11-24 2021-03-02 东台市兴盾船舶设备有限公司 一种水域救援手套
KR20220144437A (ko) * 2021-04-19 2022-10-27 주식회사 지앤지티씨 다기능 장갑
KR102601658B1 (ko) * 2021-04-19 2023-11-14 주식회사 지앤지티씨 다기능 장갑
KR20220146944A (ko) * 2021-04-26 2022-11-02 주식회사 지앤지티씨 다기능 장갑
KR102601659B1 (ko) * 2021-04-26 2023-11-13 주식회사 지앤지티씨 다기능 장갑
CN113940470A (zh) * 2021-11-15 2022-01-18 哈尔滨体育学院 一种冬季体育户外运动手套
CN113940470B (zh) * 2021-11-15 2024-01-26 哈尔滨体育学院 一种冬季体育户外运动手套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4912Y1 (ko) 안전장갑
US3889297A (en) Protective wearing apparel
US8074299B2 (en) Protective ensemble
JP4728333B2 (ja) 防護衣服集合体
US7921471B2 (en) Protective coat for emergency responders
US8091144B2 (en) Flameproof, heat resistant, one-piece escape suit
EP2741827B1 (en) Chemical protective garment
US9409044B2 (en) Modular turnout gear
US9643033B2 (en) Disposable safety garment with improved neck closure
JP2018504232A5 (ko)
CN208972702U (zh) 一种消防水域救援用防护服
KR100908071B1 (ko) 내열 방수 장갑
ES2951831T3 (es) Ropa protectora
KR20170050479A (ko) 응급 구조용 물품
US20110047675A1 (en) Garment connection system
EP3335765A1 (en) Emergency filter system for ventilated hood
CN201263855Y (zh) 消防员防核防化服
CA2993706C (en) Protective interfaces for firefighter garments
RU172694U1 (ru) Перчатка специальная для пожарного
RU126904U1 (ru) Защитная перчатка для пожарного (варианты)
CN213908570U (zh) 一种儿童防护服
RU121707U1 (ru) Защитная перчатка для пожарного (варианты)
CN109011244A (zh) 一种防护性较好的消防服
US7856667B2 (en) Liquid-tight, pull-over, protective garment for upper torso
RU141602U1 (ru) Костюм герметичный изолирующи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