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1658B1 - 다기능 장갑 - Google Patents

다기능 장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1658B1
KR102601658B1 KR1020210050517A KR20210050517A KR102601658B1 KR 102601658 B1 KR102601658 B1 KR 102601658B1 KR 1020210050517 A KR1020210050517 A KR 1020210050517A KR 20210050517 A KR20210050517 A KR 20210050517A KR 102601658 B1 KR102601658 B1 KR 1026016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
thumb
wrist
insertion portion
glo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0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4437A (ko
Inventor
강우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앤지티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앤지티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앤지티씨
Priority to KR1020210050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1658B1/ko
Publication of KR20220144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44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1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16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06Gloves made of several layers of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41D13/0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with controlled temperature
    • A41D13/0051Heated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1Linin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2Gloves with pock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34Retai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41D19/01523Protective gloves absorbing shocks or vib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41D19/01547Protective gloves with grip improving means
    • A41D19/01558Protective gloves with grip improving means using a layer of grip improving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0Impermeable to liquids, e.g. waterproof; Liquid-repellent
    • A41D31/102Waterproof and breathabl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4Air permeable, i.e. capable of being penetrated by gas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2Closures using slid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8Closures using adhesiv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32Closures using elastic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10Heat retention or warm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80Friction or grip reinfor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lo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장갑에 관한 것으로, 손가락과 손등, 손바닥 및 손목을 감싸도록 착용하는 갑피를 포함하는 장갑에 있어서, 엄지와 검지가 삽입되는 엄지수납부와 검지수납부와, 나머지 손가락을 수용하는 삼지수납부로 분할 형성되는 손삽입부; 상기 손삽입부의 후단에 통하도록 연결 형성되어 손목을 삽입할 수 있고, 손목을 덮도록 형성되는 손목삽입부; 상기 손삽입부와 손목삽입부가 연결되는 부위에 형성되는 밴드와, 손등과 손목삽입부가 연결되는 부위에 형성되는 조임끈으로 이루어진 중간조임수단; 상기 손등과 손목삽입부 가운데 일 이상에 형성되는 수납부;를 포함하고, 상기 엄지수납부는 엄지의 손등과, 엄지의 측면으로 이루어지는 엄지상부측 외면에 형성되는 땀 흡수부; 엄지의 손바닥측 엄지보호부; 및 상기 땀 흡수부와 엄지보호부 사이에 형성되는 분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땀 흡수부는 내피와 외피 사이에 방수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장갑은 손가락의 굽힘이 편하도록 하여 물건을 잡기 용이하고 과도한 힘이 낭비되지 않도록 하여 작업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장시간 작업 과정에서 장갑으로 땀을 닦거나 간단한 오염원을 제거하기 위하여 장갑을 사용하는 경우, 장갑의 전체 세탁 없이도 오염부분을 부분 세탁하여 장갑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기능 장갑{Multifunctional Gloves}
본 발명은 다기능 장갑에 관한 것으로, 산업현장, 가정용도, 군사적 용도, 건설작업 용도를 포함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손바닥과 손등 및 손가락, 손목을 보호하는 다기능 장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갑은 손을 보호하기 위해 착용되는 것으로, 겨울철 손을 추위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착용하는 보온 장갑은 저온에 노출된 손의 열 손실을 약 60~90%까지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장갑은 손을 보호하기 위하여 손바닥과 손등 및 손가락, 손목 부위를 두껍게 형성하기도 한다.
이러한 보호장갑은 사용자의 손에 발생되는 부상 또는 추위로부터 사용자의 손을 보호하기 위하여 착용되는 의류의 일종으로써 널리 사용되고 있다.
산업현장 또는 가정에서 작업시에 사용자는 손을 보호하기 위하여 보호장갑을 착용한다. 보호장갑은 절연 재질로 제조되며, 섬유, 피혁, 합성수지 또는 고무 재질로 소정의 두께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군대에서 사용하는 장갑도 각종 작업에 견딜 수 있도록 내구성이 높아야 하고, 손가락을 굽히는 작동에 무리가 없어야 하며, 고 온에도 견딜 수 있는 내화성능이 요구되며, 야간작업시 장갑을 착용하여 작업하는 과정에서 손의 보호가 필요하다.
터치스크린으로 작동하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은 관련 업계 종사자 뿐만 아니라 일반인들의 필수 장비가 되었다. 특히 겨울철 실외 작업 중 장갑을 착용하고 있을 경우 터치스크린 사용이 불편하기 때문에 종종 장갑을 벗은 후 기기를 사용하는 불편이 있다.
한편, 장시간 작업할 경우 손의 피부 혈류량은 감소하게 되며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지면 동상의 위험 뿐만 아니라 손의 기민성도 감소하게 된다. 특히, 손의 기민성은 작업수행능력 뿐만 아니라 작업 안전에도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저온 환경에서 터치스크린을 사용해야 하는 작업자들에게 손의 쾌적성은 유지되면서 동시에 손의 기민성 저하는 최소화할 수 있는 전도성 보온 장갑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장시간 작업 과정에서 장갑으로 땀을 닦거나 간단한 오염원을 제거하기 위하여 장갑을 사용하는 경우, 장갑의 전체 세탁 없이도 오염부분을 부분 세탁하여 장갑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는 장갑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6413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손에 착용하여 각종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부상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고, 손의 형상에 맞춰 자연스럽게 손바닥쪽으로 구부러지게 제작하여 손이 접히는 등 작업에 편안하며, 혹한기 작업시 손등에 형성된 수납공간에 발열수단을 넣어 손의 동상 위험을 방지할 수 있으며, 손목 부위의 수납공간을 구비하여 출입카드, 신용카드 등 소품의 수납이 가능하고, 전자기기의 터치패널을 터치할 수 있어 장갑을 벗지 않고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손가락의 굽힘이 편하도록 하여 물건을 잡기 용이하고 과도한 힘이 낭비되지 않도록 하여 작업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야간 작업 시 손의 보호가 가능하고, 장시간 작업 과정에서 장갑으로 땀을 닦거나 간단한 오염원을 제거하기 위하여 장갑을 사용하는 경우, 장갑의 전체 세탁 없이도 오염부분을 부분 세탁하여 장갑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는 다기능 장갑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손가락과 손등, 손바닥 및 손목을 감싸도록 착용하는 갑피를 포함하는 장갑에 있어서, 엄지와 검지가 삽입되는 엄지수납부와 검지수납부와, 나머지 손가락을 수용하는 삼지수납부로 분할 형성되는 손삽입부; 상기 손삽입부의 후단에 통하도록 연결 형성되어 손목을 삽입할 수 있고, 손목을 덮도록 형성되는 손목삽입부; 상기 손삽입부와 손목삽입부가 연결되는 부위에 형성되는 밴드와, 손등과 손목삽입부가 연결되는 부위에 형성되는 조임끈으로 이루어진 중간조임수단; 상기 손등과 손목삽입부 가운데 일 이상에 형성되는 수납부;를 포함하고, 상기 엄지수납부는 엄지의 손등과, 엄지의 측면으로 이루어지는 엄지상부측 외면에 형성되는 땀 흡수부; 엄지의 손바닥측 엄지보호부; 및 상기 땀 흡수부와 엄지보호부 사이에 형성되는 분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땀 흡수부는 외피와 내피 사이에 방수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장갑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손목삽입부의 상면부에는 조임밴드가 형성되고, 상기 조임밴드가 접착되도록 손목삽입부의 상면부에 형성된 접착부를 포함하며, 손목삽입부의 측단부에 연결고리가 형성된다.
상기 갑피는 가죽 또는 경질 섬유로 이루어진 외피와, 외피에 겹쳐져 형성되는 내피 및 상기 외피와 내피 사이에 순차 적층되는 투습방수가공소재층과 충진재층을 포함한다.
상기 갑피는 가죽 또는 경질 섬유로 이루어진 외피와, 외피에 겹쳐져 형성되는 내피 및 상기 외피와 내피 사이에 개재되는 투습방수가공소재층을 포함한다.
상기 갑피는 손등이 손바닥에 비해 크기가 크게 형성되어 손을 구부린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진다.
상기 수납부는 방수지퍼가 형성되고, 발열수단이 삽입된다.
상기 손등에는, 반사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가락과 손바닥 가운데 일 이상에는 미끄럼 방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목삽입부의 측단부에 연결고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손에 착용하여 각종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부상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고, 손의 형상에 맞춰 자연스럽게 손바닥쪽으로 구부러지게 제작하여 손이 접히는 등 작업에 편안하며, 혹한기 작업시 손등에 형성된 수납공간에 발열수단을 넣어 손의 동상 위험을 방지할 수 있으며, 손목 부위의 수납공간을 구비하여 출입카드, 신용카드 등 소품의 수납이 가능하고, 전자기기의 터치패널을 터치할 수 있어 장갑을 벗지 않고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야간 작업 시 손등의 반사체로 인해 식인성이 향상되어 손의 보호가 가능하고, 손가락의 굽힘이 편하도록 하여 물건을 잡기 용이하고 과도한 힘이 낭비되지 않도록 하여 작업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장시간 작업 과정에서 장갑으로 땀을 닦거나 간단한 오염원을 제거하기 위하여 장갑을 사용하는 경우, 장갑의 전체 세탁 없이도 오염부분을 부분 세탁하여 장갑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장갑을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장갑을 나타낸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장갑을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장갑의 내부를 보여주는 측면도.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장갑을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장갑을 나타낸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장갑을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장갑의 내부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장갑은, 손가락과 손등, 손바닥 및 손목을 감싸도록 착용하는 갑피(100, 100')를 포함하고, 손삽입부(200)와 손목삽입부(300)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손삽입부(200)는 엄지와 검지가 삽입되는 엄지수납부(3)와 검지수납부(4)와, 나머지 손가락을 수용하는 삼지수납부(5)로 분할 형성되고, 손바닥과 손등을 각기 감싸도록 하는 하면 및 상면 갑피(100, 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삼지는 중지, 약지, 소지를 포함한다. 따라서 엄지와 검지를 개별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여 엄지수납부(3)와 검지수납부(4)를 이용하여 물체를 집을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삼지수납부(5)를 오므리거나 펼수 있어 물체를 잡기에 용이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물체를 잡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갑피(100, 100')는 손가락 관절의 굽힘 작동이 편하도록 스판소재로 된 접이부(52, 52')가 하면 및 상면 갑피(100, 100')에 각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갑피는 손등이 손바닥에 비해 크기가 크게 형성되어 손을 구부린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손등이 손바닥에 비해 약 2 ~ 5 mm 크게 재단되어, 봉제하여 장갑을 제조하여 통상의 손의 형상이 구부러지는 것과 일치한다. 이를 통해 장갑이 자연스럽게 구부러지게 형성되어 손이 가볍게 구부러지는 형상을 하는 것과 일치하고, 작업시에도 손이 접힐 때에 편하게 장갑도 접히게 되어 착용감 및 작업 시 손의 활동이 편하게 된다.
장갑의 손가락과 손바닥 가운데 일 이상에는 미끄럼 방지부(7)가 형성된다. 미끄럼 방지부(7)는 장갑을 착용하고 작업하는 경우에도 물건을 잡을 때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인조가죽, 천연가죽, 실리콘, 라텍스고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재질로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미끄러움을 방지하기 위한 소재를 포함한다.
또한 검지수납부(4)의 끝단에는 터치패널 터치가 가능하도록 터치부(42)가 형성된다.
저온 환경에서는 탭, 드래그, 멀티터치 작업 시 직물 장갑의 만족도가 더 높았다. 장갑을 착용하게 되면 손가락의 표면적이 증가하고 이 때문에 손가락 끝이 한 점이나 아이콘보다 더 넓은 면적을 차지하게 된다. 따라서, 가죽이나 직물 재질에 비해 터치스크린의 사용 시 반응성이 더 빠르게 나타내는 전도성 원단으로 된 터치부(42)를 형성하여 장갑을 벗지 않고도 터치스크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장갑의 소재는 양모사, 전도사 100%, 양모사와 전도사의 혼합, 합성섬유로 폴리에스터, 아크릴 또는 양모사와 전도사를 혼합한 것을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도사 100%를 사용한 장갑은 세 손가락의 손 끝 부분만 터치가 되는 것이 아닌 장갑의 어느 부분을 사용하더라도 터치스크린이 가능한 것이나 보온성과 착용감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검지수납부(4)에 손가락 끝에만 전도사를 사용하여 터치부(42)를 형성하므로, 따뜻하고 부드러우며 스마트폰 스크린 터치도 가능하다. 폴리에스터사 또는 아크릴사에 양모사와 전도사를 혼합 사용하여 만든 장갑은 아크릴사만으로 제작된 장갑에 비해 보온성이 우수하고 가격도 저렴한 이점이 있다. 또한, 전도사를 사용하지 않고 양모사 또는 아크릴사, 양모 혼방사를 사용하여 터치부(42)를 형성할 ㅅ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장갑소재로 은 나노 혼방사를 사용하여 전자파차단, 정전기제거, 원적외선 방사 효과 등 부가적인 기능을 부여하도록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천연가죽이나 인조가죽 등으로 만들어진 장갑의 표면에 전도성을 부여함으로써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을 작동하기 위한 터치부(42)를 형성할 수 있으며, 전도성 고분자 용액과 CNT 분산액을 가죽의 표면에 적용함으로써 부도체인 가죽의 표면에 전도성을 부여하고,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스크린을 작동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해보면, 손등에는 반사체(46)가 형성되어 야간에 식별이 용이하도록 한다. 반사체는 야광띠 또는 축광띠, 재귀반사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손등에는 수납부(47)가 형성된다. 상기 수납부(47)에 지퍼가 형성되어 개폐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퍼는 방수지퍼이다. 방수지퍼를 열고 수납부(47)에 발열수단을 넣어 보온성을 갖도록 한다. 발열수단으로는 핫팩이 포함되며, 휴대할 수 있는 발열체는 포함한다. 한편 상기 수납부(47)에는 손의 보온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신용카드, 티켓, 물티슈 등의 작은 소품을 넣어 수납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해보면, 손목삽입부(300)는 손삽입부(200)의 후단에 통하도록 연결 형성되어 손목을 덮을 수 있도록 길게 형성된다.
손삽입부(200)와 손목삽입부(300)의 경계 부위에 중간조임수단(6)이 형성된다. 중간조임수단(6)은 손삽입부(200)와 손목삽입부(300)의 경계부위 저면부에 형성되는 밴드(62)와, 손등과 손목삽입부(300)의 상면부 사이에는 조임끈(64)으로 이루어진다. 밴드(62)는 신축성 고무줄을 지그재그 형상으로 주름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상시 조임력이 발휘될 수 있다. 손에 착용한 후 조임끈(64)을 당겨 조여서 손목에 밀착시킴으로써 외부공기가 손삽입부(20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시켜줄 수 있다.
한편 상기 손목삽입부(300)에도 수납부(47')가 형성된다. 수납부(47')도 전술한 바와 같이 방수지퍼로 개폐되도록 하여 방수기능을 제공함과 동시에 물건을 넣어 수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손목삽입부(300)의 상면부에는 조임밴드(320)가 형성되고, 상기 조임밴드(320)가 접착되도록 손목삽입부(300)의 상면부에 형성된 접착부(322)를 포함하도록 하여 조임밴드(320)를 이용하여 손목삽입부(300)의 개구부를 오므리도록 하여 방한성이 향상될 수 있다. 조임밴드(320)와 접착부(322)는 벨크로테이프가 형성되어 서로 접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조임밴드(320)의 표면에는 다양한 문양을 인쇄시킬 수 있다. 다양한 로고를 인쇄하여 장식적인 미감을 높일 수 있고, 상표나 홍보용 문구나 로고를 표시하는 경우 광고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손목삽입부(300)의 측단부에 연결고리(330)가 형성되어 장갑 한켤레를 상호 연결하여 보관할 수 있고, 연결고리(330)에 호루라기나 나침반 등 소품을 걸 수 있으며, 착용 후 보관 시에 벽걸이에 걸어서 보관할 수 있어 분실 방지 및 수납이 편리해질 수 있다.
한편 엄지수납부(3)는 엄지의 손등 및 손바닥으로 이어지는 엄지의 측면으로 이루어지는 엄지상부측 외면에 땀을 흡수할 수 있는 땀 흡수부(32)와, 엄지의 손바닥측 엄지보호부(34), 상기 땀 흡수부(32)와 엄지보호부(34) 사이에 분리부(33)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엄지보호부(34)의 손가락 첫마디뼈에 대응되어 형성되며 충격완화를 위한 복합소재부(35)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착용감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소가락 첫마디뼈에 대응되어 장갑의 손가락 부위에 가죽과 직물을 복합적으로 구성하여 기민성은 저하하지 않으면서 보온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다른 부위보다 섬유 강도가 높아 손가락 끝을 보호한다.
상기 땀 흡수부(32)는 외피와 내비 사이에 방수층이 형성되어 땀 흡수부(32)에 묻은 오염물질을 부분적으로 닦아낼 수 있도록 한다. 즉, 장갑 전체를 세탁하지 않아도, 상기 땀 흡수부(32)만 물티슈나 물로 부분적으로 세탁을 할 수 있으며, 방수층이 형성되어 장갑의 다른 부분으로 물이 흡수되는 것을 막거나 최소화하여 부분 세탁이 가능하다.
땀 흡수부(32)는 타월, 스웨이드 원단, 기모 원단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땀 흡수부(32)의 원단은 방오가공된 소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땀흡수부(32)는 내피와 외피 사이에 방수층이 형성되며, 상기 방수층은 나일론 직물에 나일론 트리코트를 친수성 폴리우레탄 필름을 사용하여 라미네이팅한 직물, 폴리에스터 직물에 친수성 폴리에스터 필름을 라미네이팅한 직물 및 나일론/면 교직물 소재이면서 라미네이팅 가공된 투습방수 직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일 이상 선택된 직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땀 흡수부(32)와, 상기 땀 흡수부(32)와 엄지보호부(34) 사이에 분리부(33)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땀 흡수부(32)는 오염시 부분 세탁을 할 수 있으며, 엄지보호부(34)로 부분세탁에 의한 세제 또는 수분이 스며들지 않도록 상기 땀 흡수부(32)와 엄지보호부(34) 사이에 분리부(33)를 형성하며, 상기 분리부(33)는 방수 재질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장갑을 착용한 상태로 땀 흡수부(32)로 작업 중 땀을 닦아낼 수 있어 별도의 수건 이 없어도 장갑으로 간단하게 땀을 닦고 작업을 계속하여 수행할 수 있어 작업 방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측 확대 원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갑피(100, 100')는 가죽 또는 경질 섬유로 이루어진 외피(101)와, 외피(101)에 겹쳐져 형성되는 내피(104)로 구성되되 상기 외피(101)와 내피(104) 사이에 순차 적층되는 투습방수가공소재층(102)과 충진재층(103)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는 우측 확대 원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갑피(100')는 가죽 또는 경질 섬유로 이루어진 외피(101)와, 외피(101)에 겹쳐져 형성되는 내피(104) 및 상기 외피(101)와 내피(104) 사이에 개재되는 투습방수가공소재층(102)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투습방수가공소재층(102)은 하이포라 원단이 적용될 수 있다. 투습방수가공소재는 나일론/스판덱스 직물, 나일론/스판덱스/면 복합 교직물, 폴리에스터/스판덱스 직물, 나일론 고밀도 직물이 포함되며 투습성을 부여하기 위한 가공방법은 코팅, 라미테이팅, 도트 라미네이팅, 핫멜트 가공을 포함한다.
또한 갑피(100, 100')에는 손가락 첫마디뼈에 대응되어 형성되며 충격완화를 위한 복합소재부(108)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착용감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손가락 첫마디뼈에 대응되어 장갑의 손가락 부위에 가죽과 직물을 복합적으로 구성하여 기민성은 저하하지 않으면서 보온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복합소재부(108)는 TPR(Thermal Plastic Rubber)소재를 복합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TPR은 말랑말랑하고 내구성이 우수한 고무와 플라스틱 중간 형태의 재질로, 일반 고무보다 가볍고 신축성과 복원력이 우수할 뿐 아니라 미끄럼 방지 기능이 뛰어나서 기민성은 저하하지 않으면서 가죽과 직물을 복합적으로 구성하여 보온력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한편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갑피(100, 100')는 손허리관절에 대응하여 움켜쥐었을때의 형태를 본뜬 하드한 카본보호대(160)가 삽입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손허리손가락관절 부위에 하드타입의 카본보호대(160)를 삽입함으로써 움켜쥔 동작의 관절과 흡사한 형태로 외부의 물리적 충격으로부터 부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실시 예로 변경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3 : 엄지수납부 4 : 검지수납부
5 : 삼지수납부 6 : 중간조임수단
32 : 땀 흡수부 42 : 터치부
46 : 반사체 47 : 수납부
52 : 접이부 64 : 조임끈
100 : 갑피 101 : 외피
102 : 투습방수가공소재층 103 : 충진재층
104 : 내피 160 ; 카본보호대
200 : 손삽입부 300 : 손목삽입부

Claims (10)

  1. 손가락과 손등, 손바닥 및 손목을 감싸도록 착용하는 갑피를 포함하는 장갑에 있어서,
    엄지와 검지가 삽입되는 엄지수납부와 검지수납부와, 나머지 손가락을 수용하는 삼지수납부로 분할 형성되는 손삽입부;
    상기 손삽입부의 후단에 통하도록 연결 형성되어 손목을 삽입할 수 있고, 손목을 덮도록 형성되는 손목삽입부;
    상기 손삽입부와 손목삽입부가 연결되는 부위에 형성되는 밴드와, 손등과 손목삽입부가 연결되는 부위에 형성되는 조임끈으로 이루어진 중간조임수단;
    상기 손등과 손목삽입부 가운데 일 이상에 형성되는 수납부;를 포함하고,
    상기 엄지수납부는
    엄지의 손등과, 엄지의 측면으로 이루어지는 엄지상부측 외면에 형성되는 땀 흡수부;
    엄지의 손바닥측 엄지보호부; 및
    상기 땀 흡수부와 엄지보호부 사이에 형성되는 분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땀 흡수부는 외피와 내피 사이에 방수층이 형성되는 다기능 장갑에 있어서,
    상기 손목삽입부의 상면부에는 조임밴드가 형성되고, 상기 조임밴드가 접착되도록 손목삽입부의 상면부에 형성된 접착부를 포함하며,
    손목삽입부의 측단부에 연결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갑피는
    가죽 또는 경질 섬유로 이루어진 외피와, 외피에 겹쳐져 형성되는 내피;
    상기 외피와 내피 사이에 순차 적층되는 투습방수가공소재층; 및 충진재층을 포함하고,
    상기 땀 흡수부는 타월, 스웨이드 원단, 기모 원단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일 이상 선택된 직물을 사용한 것이고,
    상기 땀흡수부의 방수층은,
    나일론 직물에 나일론 트리코트를 친수성 폴리우레탄 필름을 사용하여 라미네이팅한 직물, 또는 폴리에스터 직물에 친수성 폴리에스터 필름을 라미네이팅한 직물 및 나일론/면 교직물 소재이면서 라미네이팅 가공된 투습방수 직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일 이상 선택된 직물을 사용한 것이고,
    상기 분리부는 방수 재질로 구성되어,
    땀 흡수부의 부분 세탁 시 엄지보호부로 세제 또는 수분이 스며들지 않도록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장갑.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갑피는 손가락 관절의 굽힘 작동이 편하도록 스판소재로 형성된 접이부;
    손가락 첫마디뼈에 대응되어 형성되며 충격완화를 위한 복합소재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소재부는 TPR(Thermal Plastic Rubber)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장갑.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갑피는
    손등이 손바닥에 비해 크기가 크게 형성되어 손을 구부린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장갑.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방수지퍼가 형성되고,
    발열수단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장갑.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등에는,
    반사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장갑.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과 손바닥 가운데 일 이상에는
    미끄럼 방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장갑.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목삽입부의 측단부에 연결고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장갑.
KR1020210050517A 2021-04-19 2021-04-19 다기능 장갑 KR1026016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0517A KR102601658B1 (ko) 2021-04-19 2021-04-19 다기능 장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0517A KR102601658B1 (ko) 2021-04-19 2021-04-19 다기능 장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4437A KR20220144437A (ko) 2022-10-27
KR102601658B1 true KR102601658B1 (ko) 2023-11-14

Family

ID=83810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0517A KR102601658B1 (ko) 2021-04-19 2021-04-19 다기능 장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165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9193Y1 (ko) * 2004-12-09 2005-03-17 국일통상 주식회사 충격흡수 및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가진 작업용 장갑
KR200434912Y1 (ko) * 2006-09-30 2006-12-29 주경방재 주식회사 안전장갑
KR101752483B1 (ko) * 2016-12-20 2017-07-03 주식회사 지앤지티씨 다기능 장갑
JP6371018B1 (ja) * 2017-05-15 2018-08-08 譲子 清原 手袋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413B1 (ko) 2010-04-29 2011-04-07 변정조 일체형 손톱이 구성된 보호용 장갑
KR20140108095A (ko) * 2013-02-28 2014-09-05 굿파이낸셜 주식회사 충전지 및 이를 이용한 발열 장갑
KR20200071595A (ko) * 2018-12-11 2020-06-19 서도산업 주식회사 레펠장갑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9193Y1 (ko) * 2004-12-09 2005-03-17 국일통상 주식회사 충격흡수 및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가진 작업용 장갑
KR200434912Y1 (ko) * 2006-09-30 2006-12-29 주경방재 주식회사 안전장갑
KR101752483B1 (ko) * 2016-12-20 2017-07-03 주식회사 지앤지티씨 다기능 장갑
JP6371018B1 (ja) * 2017-05-15 2018-08-08 譲子 清原 手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4437A (ko) 2022-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26873A1 (en) Stretchable, multi-layered gloves
US20090100562A1 (en) Rubber heatproof mitten
US20140343469A1 (en) Orthopedic Cast Cover
US20080155726A1 (en) Fingernail protection work gloves
US20170127737A1 (en) Partial glove for protection of touchscreens
US20130007987A1 (en) Handle Gripping Device
CA2521468C (en) Double face work gloves
KR102601658B1 (ko) 다기능 장갑
CN103220928A (zh) 四指美容手套
KR102601659B1 (ko) 다기능 장갑
US20120204318A1 (en) Personal apparel garment particularly for health conscious three-finger-glove hand cover prophylactics
KR20130002847A (ko) 장갑
US20120019464A1 (en) Touch Screen Friction Reducing Finger Caps
CN202536168U (zh) 掌内面横缝读写保暖手套
US20190335970A1 (en) Dishwashing glove
US644977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the application and removal of gloves, such as dive gloves
KR20230126478A (ko) 다기능 장갑
CN210203483U (zh) 保暖手套
KR101181973B1 (ko) 정전식 감응기구 조작이 가능한 장갑
KR101468988B1 (ko) 터치패널용 장갑 및 그 제조방법
CN215649418U (zh) 一种多点位防护用手套
CN212036200U (zh) 一种便于写字的加热手套
CN104013140A (zh) 浅分岔手套
US20160360807A1 (en) Glove
JP2009174101A (ja) ポケット付手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