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2847A - 장갑 - Google Patents

장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2847A
KR20130002847A KR1020110064051A KR20110064051A KR20130002847A KR 20130002847 A KR20130002847 A KR 20130002847A KR 1020110064051 A KR1020110064051 A KR 1020110064051A KR 20110064051 A KR20110064051 A KR 20110064051A KR 20130002847 A KR20130002847 A KR 201300028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plate
gloves
finger
plate
gl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4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문수
Original Assignee
안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문수 filed Critical 안문수
Priority to KR1020110064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2847A/ko
Publication of KR20130002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28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13Gloves with openings, e.g. for the nails or for exposing jewellery
    • A41D19/0017Gloves with openings, e.g. for the nails or for exposing jewellery with slits for the fingers or part of the han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4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44Donning facil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loves (AREA)

Abstract

장갑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장갑은, 사용자의 손바닥이 접하도록 배치되는 앞판과, 앞판의 일측 테두리 또는 양측 테두리에 재봉으로 고정되어 사용자의 손등에 접하는 등판과, 앞판과 등판의 전후로 연결 형성되고, 검지, 중지, 약지, 소지의 4개 손가락이 삽입되어 노출되는 개방공과, 앞판의 전측이 등판의 전측에 비하여 길게 형성되어 4개 손가락의 일부를 가려주고, 장갑 분리시 벗김 역할을 하는 벗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장갑{GLOVES}
본 발명은 장갑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앞판에 길게 형성된 벗김부로 장갑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고, 검지보호부와 소지보호부를 앞판에 일체로 형성하여 재봉하므로 원단소비를 줄여 생산단가를 저감하고, 착용감을 향상시키는 장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갑은 손을 보호하거나 추위를 막거나 장식하기 위하여 손에 끼는 물건으로서, 5개의 손가락을 모두 낄 수 있는 긴장갑과, 장갑의 각 손가락 마디 단부를 일정하게 절단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이 부분적으로 노출될 수 있는 반장갑으로 나뉜다.
이중 반장갑은 골프, 자전거, 헬스 등의 운동을 하거나, 등산 등의 여가 활동을 할 경우 손을 보호하기 위해 또는 손의 땀으로 인해 운동 기구 등이 손으로 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은 종래의 반장갑을 보인 도면으로서, 종래의 반장갑(2)은 사용자의 손바닥이 위치하는 장갑본체(2)와, 장갑본체(2)의 전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이 끼워지는 손가락삽입부(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장갑본체(2)와 손가락삽입부(4)는 2개의 패드 테두리를 서로 재봉하여 손이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되도록 가공된다.
이러한 반장갑(2)은 손가락의 일부만 수용하기 때문에 반장갑(2)을 벗을 경우 각각의 손가락삽입부(2)로부터 손가락이 전부 빠질 때까지 여러 군데를 잡고 벗어야 했기에 많은 불편이 따랐고, 시간도 많이 걸렸다.
또한, 손에 땀이 많이 찬 상태에서는 손과 장갑의 마찰 때문에 반장갑(2)을 벗기가 더욱 힘들었다.
즉, 운동을 하게 되면 손에 땀이 발생하게 되는데, 손에 발생한 땀과 반장갑의 장갑본체와 손가락삽입부가 상호 달라붙게 되므로 착용한 그대로 반장갑을 벗기가 어려우므로 반장갑의 손목 부분을 잡고 손가락 부분을 향해 반대로 뒤집어서 반장갑을 벗어야만 하며, 반장갑을 벗은 후, 다시 뒤집어 놓아야 하는 불편함과 번거로움이 뒤따르게 된다.
또한, 기존의 반장갑 제조시 손가락삽입부의 재봉가공이 매우 어려워 재봉 작업시간과 생산단가가 증가하고, 복잡한 손가랍삽입부로 인하여 불필요하게 버려지는 원단이 증가하고, 손가락삽입부로 인하여 이물감과 착용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반장갑은 골프, 자전거, 헬스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격렬한 운동으로 인하여 검지, 중지, 약지, 소지 손가락에 물집이 생기거나 심한 경우 손가락 바닥이 벗겨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앞판에 길게 형성된 벗김부로 장갑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고, 검지보호부와 소지보호부를 앞판에 일체로 형성하여 재봉하므로 원단소비를 줄여 생산단가를 저감하고, 착용감을 향상시키는 장갑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검지보호부와 소지보호부를 손가락 마디 모두를 감싸도록 길게 형성하여 긴장갑 용도로 사용하면서 등판 부위는 반장갑 형태로 개방 형성하므로 이물감을 줄이면서 골프, 자전거, 헬스 등의 격렬한 운동에도 손가락 바닥이 까지는 것을 방지하는 장갑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갑은, 사용자의 손바닥이 접하도록 배치되는 앞판; 상기 앞판의 일측 테두리 또는 양측 테두리에 재봉으로 고정되어 사용자의 손등에 접하는 등판; 상기 앞판과 상기 등판의 전후로 연결 형성되고, 검지, 중지, 약지, 소지의 4개 손가락이 삽입되어 노출되는 개방공; 및 상기 앞판의 전측이 상기 등판의 전측에 비하여 길게 형성되어 4개 손가락의 일부를 가려주고, 장갑 분리시 벗김 역할을 하는 벗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앞판 또는 상기 앞판과 상기 등판의 경계 부위에는 엄지손가락 삽입되는 엄지삽입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엄지삽입공에는 상기 앞판과 상기 등판을 별개로 형성할 때, 앞판과 등판에서 일체로 각각 길게 형성되어 엄지 손가락의 마디를 감싸도록 양측 테두리가 재봉되는 엄지보호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벗김부에는 검지손가락이 삽입되고, 검지손가락의 마디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검지보호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검지보호부는 원단의 커팅시 상기 앞판의 일측 테두리를 일체로 길게 형성하여 단부를 앞판의 벗김부에 재봉하여 형성하거나, 상기 앞판과 별개로 구비하여 상기 앞판의 벗김부에 양측 단부를 각각 재봉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벗김부에는 소지손가락이 삽입되고, 소지손가락의 마디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소지보호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지보호부는 원단의 재단시 상기 앞판의 일측 테두리를 일체로 길게 형성하여 단부를 앞판의 벗김부에 재봉하여 형성하거나, 상기 앞판과 별개로 구비하여 상기 앞판의 벗김부에 양측 단부를 각각 재봉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등판에는 상기 4개 손가락의 상측 일부를 가려주는 손가락가리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가락가리개는 상기 등판에 일체로 형성하거나, 별개로 형성하여 상기 등판에 재봉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앞판의 전면에는 상기 앞판에 대응되어 물체에 접촉되는 덧대기판이 더 구비되고, 상기 등판에는 손목을 감아주도록 밴드부가 구비되며, 상기 앞판에는 상기 4개 손가락 사이의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재봉선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갑은, 앞판에 길게 형성된 벗김부로 장갑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고, 검지보호부와 소지보호부를 앞판에 일체로 형성하여 재봉하므로 원단소비를 줄여 생산단가를 저감하고, 장갑 착용시 검지, 중지, 약지, 소지의 4개 손가락의 이물감을 최소화하여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검지보호부와 소지보호부를 손가락 마디 모두를 감싸도록 길게 형성하여 긴장갑 용도로 사용하면서 등판 부위는 반장갑 형태로 개방 형성하므로 이물감을 줄이면서 골프, 자전거, 헬스 등의 격렬한 운동에도 손가락 바닥이 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반장갑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장갑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장갑의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장갑의 사용 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장갑의 재봉 전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장갑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장갑의 재봉 전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장갑의 재봉 전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장갑의 재봉 전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장갑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장갑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갑을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장갑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장갑의 저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장갑의 사용 상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장갑의 재봉 전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장갑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장갑의 재봉 전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장갑의 재봉 전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장갑의 재봉 전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장갑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장갑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장갑은, 앞판(10), 등판(20), 개방공(30) 및 벗김부(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장갑은 반장갑 형태를 기준으로 도시하고 설명한다.
앞판(10)은 사용자의 손바닥이 접하도록 배치되는 구성으로서, 물체를 잡을 수 있도록 하는 장갑의 전면부 구성이다.
등판(20)은 앞판(10)의 일측 테두리 또는 양측 테두리에 재봉으로 고정되어 사용자의 손등에 접한다.
여기서, 제1 실시예의 경우 앞판(10)은 등판(30)에 일측 테두리에만 재봉이 이루어지도록 하나의 통판을 커팅하여 타측 테두리를 접어준 후, 일측 테두리를 재봉하여 형성하는 것이다.
앞판(10)과 등판(20)의 일측 테두리를 재봉하는 경우는 제1 실시예와 아래에서 설명하는 제2 실시예(도 6참조)에서 도시하고 있고, 앞판(10)과 등판(20)의 양 테두리를 재봉하는 경우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제3 실시예(도 8참조)와 제4 실시예(도 9 및 도 10 참조)에서 도시하고 있다.
앞판(10)과 등판(20)의 일측 테두리 또는 양측 테두리를 일치시켜 재봉할 때 적용하는 재봉방법은 박음질, 감침질, 기타 여러 종류의 바느질방법에 의하여 형성할수 있으나, 박음질을 적용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
앞판(10) 또는 앞판(10)과 등판(20)의 경계 부위에는 엄지손가락 삽입되는 엄지삽입공(12)이 형성된다.
앞판(10)에 엄지삽입공(12)이 형성되는 경우는 앞판(10)과 등판(20)이 원단 커팅시 하나로 연결된 경우이다.
앞판(10)과 등판(20)의 경계 부위에 엄지삽입공(12)이 형성되는 경우는 앞판(10)과 등판(20)이 원단에서 서로 분리된 상태로 커팅된 경우이다.
이 경우, 엄지삽입공(12)은 앞판(10)과 등판(20)의 양측 테두리 재봉시 엄지손가락이 위치하는 부위에 절개부위를 형성하고, 절개부위를 재봉하지 않으므로 형성된다.
개방공(30)은 앞판(10)과 등판(20)의 전후로 연결 형성되고, 검지, 중지, 약지, 소지의 4개 손가락이 삽입되어 노출된다.
즉, 개방공(30)은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4개의 손가락이 삽입되므로 사용자가 4개 손가락을 굽히거나 펼칠 때, 검지, 중지, 약지, 소지 손가락이 이물감이 없이 편안하고 자유롭게 동작하게 구성된다.
벗김부(40)는 앞판(10)의 전측이 등판(20)의 전측에 비하여 길게 형성되어 4개 손가락의 일부를 가려주고, 장갑 분리시 벗김 역할을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벗김부(40)는 사용자가 장갑을 착용하여 사용하다가 장갑을 벗고자 하는 경우, 다른 손의 엄지 및 검지손가락으로 벗김부(40)를 잡고서 당겨주면, 한 손에 착용한 장갑을 벗겨줄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다른 손의 장갑 역시 벗겨 줄 수 있다.
사용자의 손에서 발생한 땀이 장갑 전체에 흡수되더라도 앞판(10)의 전측에 구비된 벗김부(40)를 쉽게 잡고 당길 수 있으므로 손으로부터 장갑의 분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벗김부(40)에는 검지손가락이 삽입되고, 검지손가락의 마디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검지보호부(60)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는 검지손가락의 세 번째 마디를 감싸는 반장갑 형태를 기준으로 도시하고 설명한다. 물론, 검지손가락의 첫 번째 마디 또는 두 번째 마디를 감싸는 긴장갑 형태로 사용할 수도 있다.
검지손가락의 세 번째 마디는 검지손가락에서 손바닥에 가까운 마디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여기서, 마디는 손가락 관절 사이 구간을 지칭한다. 첫 번째 마디는 손톱이 형성되는 마디이고, 두 번째 마디는 첫 번째 마디와 세 번째 마디 사이의 마디이다. 중지, 약지, 소지손가락 역시 동일하다.
검지보호부(60)는 원단의 커팅시 앞판(10)의 일측 테두리를 일체로 길게 형성하여 단부를 앞판(10)의 벗김부(40)에 재봉하여 형성한다.
다른 실시 예로서, 검지보호부(60)는 앞판(10)과 별개로 구비하여 앞판(10)의 벗김부(40)에 양측 단부를 각각 재봉하여 검지 손가락이 삽입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즉, 앞판(10) 및 검지보호부(60)를 각각 커팅하여 별개의 부재로 만든 후 검지보호부(60) 양단을 앞판(10)에 재봉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이다.
등판(20)에는 검지, 중지, 약지, 소지의 4개 손가락의 상측 일부를 가려주는 손가락가리개(22)가 구비될 수 있다.
손가락가리개(22)는 등판(20)에 일체로 형성하거나, 별개로 형성하여 등판(20)에 재봉하여 구비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 손가락가리개(22)는 검지, 중지, 약지, 소지 등 4개 손가락의 세 번째 마디 정도까지만 가려 주면 된다. 즉, 벗김부(40)의 전방 길이 까지만 형성되면 된다.
물론, 손가락가리개(22)는 검지, 중지, 약지, 소지 등 4개 손가락의 첫 번째 또는 두 번째 마디 까지 가려줄 수도 있다.
앞판(10)의 전면에는 앞판(10)에 대응되어 물체에 접촉되는 덧대기판(80)이 더 구비된다.
덧대기판(80)은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의 판재일 수 있다.
덧대기판(80)은 직물 재질의 원단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덧대기판(80)의 전면에는 그립력을 향상하도록 표면에 실리콘이 코팅된 실리콘코팅부를 구비할 수 있다.
실리콘코팅부는 다양한 형상 및 접촉면적을 갖도록 도포하여 형성할 수 있다.
앞판(10)에는 4개 손가락 사이의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재봉선(14)이 구비된다.
표시재봉선(14)는 앞판(10)에 덧개기판(80)의 부착력을 높여 주고, 앞판(10)의 벗김부(40)를 외관에서 볼 때, 4개 손가락 위치부위를 표시하여 밋밋함을 없애주고, 외관상 미감을 증진한다.
등판(20)에는 손목을 감아주도록 밴드부(90)가 구비된다.
밴드부(90)는 등판(20) 일측에 형성되는 고리형상의 후크를 갖는 숫벨크로테이프(92) 및 후크에 걸려지도록 등판(20) 타측에 루프(68)를 갖는 암벨크로테이프(94)를 포함한다.
숫벨크로테이프(92)와 암벨크로테이프(94)의 장착위치는 바뀔 수 있다.
밴드부(90)는 단추버튼을 적용하거나 기타 다른 방식의 접착수단을 적용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장갑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앞판(10), 등판(20), 개방공(30) 및 벗김부(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장갑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술한 것으로 대체하고 차이점만 살펴본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장갑은 반장갑 형태를 기준으로 도시하고 설명한다.
벗김부(40)에는 소지손가락이 삽입되고, 소지손가락의 마디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소지보호부(70)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는 소지손가락의 세 번째 마디를 감싸는 반장갑 형태를 기준으로 도시하고 설명한다. 물론, 소지손가락의 첫 번째 마디 또는 두 번째 마디를 감싸는 긴장갑 형태로 사용할 수도 있다.
소지보호부(70)는 원단의 재단시 앞판(10)의 일측 테두리를 일체로 길게 형성하여 단부를 앞판(10)의 벗김부(40)에 재봉하여 형성하거나,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다른 실시 예로서, 소지보호부(70)는 앞판(10)과 별개로 구비하여 앞판(10)의 벗김부(40)에 양측 단부를 각각 재봉하여 형성할 수 있다.
즉, 앞판(10) 및 소지보호부(70)를 각각 커팅하여 별개의 부재로 만든 후 소지보호부(70) 양단을 앞판(10)에 재봉함으로써 소지손가락 삽입공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장갑은, 제1,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앞판(10), 등판(20), 개방공(30) 및 벗김부(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장갑은 제1,제2 실시예와 대부분 동일하므로 상술한 것으로 대체하고 차이점만 살펴본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장갑은 반장갑 형태를 기준으로 도시하고 설명한다.
등판(20)은 앞판(10)과 별개로 커팅 형성하여 앞판(10)과 등판(20)의 양측 테두리를 재봉함으로써 고정되어 사용자의 손등에 접하도록 구성된다.
앞판(10)에는 검지보호부(60)와 소지보호부(70)를 일체로 형성하는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앞판(10)으로부터 검지보호부(60)와 소지보호부(70)를 별개로 커팅한 후, 양단을 앞판(10)에 재봉함으로써 검지손가락 및 소지손가락 삽입공이 형성된다.
앞판(10)의 벗김부(40)에는 제1 실시예와 마간가지로 검지보호부(60)만 구비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장갑은, 제1,제2,제3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앞판(10), 등판(20), 개방공(30) 및 벗김부(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반장갑은 제1,제2,제3 실시 예와 대부분 동일하므로 상술한 것으로 대체하고 차이점만 살펴본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장갑은 반장갑 형태를 기준으로 도시하고 설명한다.
앞판(10)과 등판(20)의 경계 부위에는 엄지손가락 삽입되는 엄지삽입공(12)이 형성된다.
엄지삽입공(12)에는 앞판(10)과 등판(20)을 별개로 형성할 때, 앞판(10)과 등판(20)에서 일체로 각각 길게 형성되어 엄지 손가락의 마디를 감싸도록 양측 테두리가 재봉되는 엄지보호부(50)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서는 엄지손가락의 두 번째 마디를 감싸는 반장갑 형태를 기준으로 도시하고 설명한다. 물론, 엄지손가락의 첫 번째 마디를 감싸는 긴장갑 형태로 사용할 수도 있다.
엄지보호부(50)는 엄지손가락의 두 번째 마디를 감쌀 정도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장갑은, 제1,제2,제3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앞판(10), 등판(20), 개방공(30) 및 벗김부(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장갑은 제1,제2,제3,제4 실시 예와 대부분 동일하므로 상술한 것으로 대체하고 차이점만 살펴보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장갑은 긴장갑 형태를 갖는다는 점이다.
즉,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장갑에서 본 발명의 제1,제2,제3,제4 실시 예와 다른 점은 대부분의 구성이 동일하지만, 앞판(10)의 벗김부(40)가 검지, 중지, 약지, 소지손가락의 첫 번째 마디 까지 연장 형성되는 점이다.
이와 같이, 앞판(10)의 벗김부(40)가 긴장갑처럼 길게 형성되는 경우, 골프, 자전거, 헬스 등의 격렬한 운동에도 불구하고 손가락 바닥이 까지는 것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으며, 등판(20)은 세 번째 마디까지 노출되는 반장갑 기능을 가지므로 장갑의 이물감을 줄여주고 통기가 용이하여 땀이 차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반장갑과 긴장갑의 장점을 모두 보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장갑에서 등판(20)은 제1,제2,제3,제4 실시 예와 마찬가지인 세 번째 마디 노출상태를 도시하고 설명하지만, 등판(20)이 첫 번째 또는 두 번째 마디까지 연장되게 형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앞판에 길게 형성된 벗김부로 장갑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고, 검지보호부와 소지보호부를 앞판에 일체로 형성하여 재봉하므로 원단소비를 줄여 생산단가를 저감하고, 장갑 착용시 검지, 중지, 약지, 소지의 4개 손가락의 이물감을 최소화하여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검지보호부와 소지보호부를 손가락 마디 모두를 감싸도록 길게 형성하여 긴장갑 용도로 사용하면서 등판 부위는 반장갑 형태로 개방 형성하므로 이물감을 줄이면서 골프, 자전거, 헬스 등의 격렬한 운동에도 손가락 바닥이 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앞판 12 : 엄지삽입공
14 : 표시재봉선 20 : 등판
22 : 손가락가리개 30 : 개방공
40 : 벗김부 50 : 엄지보호부
60 : 검지보호부 70 : 소지보호부
80 : 덧대기판 90 : 밴드부

Claims (10)

  1. 사용자의 손바닥이 접하도록 배치되는 앞판;
    상기 앞판의 일측 테두리 또는 양측 테두리에 재봉으로 고정되어 사용자의 손등에 접하는 등판;
    상기 앞판과 상기 등판의 전후로 연결 형성되고, 검지, 중지, 약지, 소지의 4개 손가락이 삽입되어 노출되는 개방공; 및
    상기 앞판의 전측이 상기 등판의 전측에 비하여 길게 형성되어 4개 손가락의 일부를 가려주고, 장갑 분리시 벗김 역할을 하는 벗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앞판 또는 상기 앞판과 상기 등판의 경계 부위에는 엄지손가락 삽입되는 엄지삽입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엄지삽입공에는 상기 앞판과 상기 등판을 별개로 형성할 때, 앞판과 등판에서 일체로 각각 길게 형성되어 엄지 손가락의 마디를 감싸도록 양측 테두리가 재봉되는 엄지보호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벗김부에는 검지손가락이 삽입되고, 검지손가락의 마디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검지보호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보호부는 원단의 커팅시 상기 앞판의 일측 테두리를 일체로 길게 형성하여 단부를 앞판의 벗김부에 재봉하여 형성하거나,
    상기 앞판과 별개로 구비하여 상기 앞판의 벗김부에 양측 단부를 각각 재봉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벗김부에는 소지손가락이 삽입되고, 소지손가락의 세 번째 마디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소지보호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소지보호부는 원단의 재단시 상기 앞판의 일측 테두리를 일체로 길게 형성하여 단부를 앞판의 벗김부에 재봉하여 형성하거나,
    상기 앞판과 별개로 구비하여 상기 앞판의 벗김부에 양측 단부를 각각 재봉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등판에는 상기 4개 손가락의 상측 일부를 가려주는 손가락가리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가리개는 상기 등판에 일체로 형성하거나, 별개로 형성하여 상기 등판에 재봉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앞판의 전면에는 상기 앞판에 대응되어 물체에 접촉되는 덧대기판이 구비되고,
    상기 등판에는 손목을 감아주도록 밴드부가 구비되며,
    상기 앞판에는 상기 4개 손가락 사이의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재봉선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
KR1020110064051A 2011-06-29 2011-06-29 장갑 KR201300028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4051A KR20130002847A (ko) 2011-06-29 2011-06-29 장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4051A KR20130002847A (ko) 2011-06-29 2011-06-29 장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847A true KR20130002847A (ko) 2013-01-08

Family

ID=47835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4051A KR20130002847A (ko) 2011-06-29 2011-06-29 장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2847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44175A1 (en) * 2014-09-17 2016-03-24 Sekhon Ramanpreet Singh Exercise glove
USD766731S1 (en) 2015-09-16 2016-09-20 Ramanpreet Singh Sekhon Glove packaging
USD772529S1 (en) 2014-09-17 2016-11-29 Ramanpreet Singh Sekhon Glove
CN107137905A (zh) * 2017-06-14 2017-09-08 苏州群力防滑材料有限公司 一种用于健身的防滑保护手套
KR20180137879A (ko) * 2017-06-20 2018-12-28 방종훈 스포츠 장갑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44175A1 (en) * 2014-09-17 2016-03-24 Sekhon Ramanpreet Singh Exercise glove
USD772529S1 (en) 2014-09-17 2016-11-29 Ramanpreet Singh Sekhon Glove
USD766731S1 (en) 2015-09-16 2016-09-20 Ramanpreet Singh Sekhon Glove packaging
CN107137905A (zh) * 2017-06-14 2017-09-08 苏州群力防滑材料有限公司 一种用于健身的防滑保护手套
KR20180137879A (ko) * 2017-06-20 2018-12-28 방종훈 스포츠 장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34270B2 (en) Cold-weather glove
KR20130002847A (ko) 장갑
JP3157135U (ja) スキンケアのための手袋及び靴下
US10668357B2 (en) Single finger golf glove
KR101501743B1 (ko) 장갑 및 그 부속품
US20100242154A1 (en) Glove with aesthetic and functional design
US20150164157A1 (en) Hand glove with pull tabs
JP3127054U (ja) 手袋
KR101059200B1 (ko) 반장갑
JP3161596U (ja) 手袋
JP6426384B2 (ja) ホルダー兼保護用のハンド装着具
KR20130109637A (ko) 방한 장갑
KR102494516B1 (ko) 다기능 장갑
JP3132738U (ja) 結婚式用手袋
JPH08209413A (ja) 手 袋
US9185955B2 (en) Flexible jewelry cover
JP4915629B1 (ja) 見開き型防寒手袋
JP3149484U (ja) 手袋
JP3165202U (ja) 手袋及びその付属品
JP2000282310A (ja) 手袋付き衣類
JP2005220507A (ja) 手を保護するための帯状保護具
JP3076197U (ja) 釣り用手袋
KR200327637Y1 (ko) 장갑
JP3056042U (ja) 手 袋
KR101035049B1 (ko) 손목에 착용하여 휴대가능한 모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