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6944A - 다기능 장갑 - Google Patents

다기능 장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6944A
KR20220146944A KR1020210053876A KR20210053876A KR20220146944A KR 20220146944 A KR20220146944 A KR 20220146944A KR 1020210053876 A KR1020210053876 A KR 1020210053876A KR 20210053876 A KR20210053876 A KR 20210053876A KR 20220146944 A KR20220146944 A KR 202201469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hand
palm
joint
wr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3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1659B1 (ko
Inventor
강우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앤지티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앤지티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앤지티씨
Priority to KR1020210053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1659B1/ko
Publication of KR20220146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6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1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16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41D19/01576Protective gloves made of a patchwork of different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8Arm or hand
    • A41D13/081Hand 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41D19/01547Protective gloves with grip improv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41D19/0157Protective gloves with luminous or reflective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0/00Wristbands or headbands, e.g. for absorbing swea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80Friction or grip reinfor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love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장갑에 관한 것으로, 손가락과 손등, 손바닥 및 손목을 감싸도록 착용하는 손가락삽입부와 손바닥부 및 손등부, 손목부를 포함하는 장갑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삽입부는 손가락의 첫째마디와 중간마디는 신축성소재로 형성되는 손가락신축부; 손가락 첫째마디와 중간마디 사이의 손가락관절부위에 대응되어 형성되는 주름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등부는 너클에 대응되어 신축성소재로 형성되는 너클신축부;를 구비하고, 검지가 삽입되는 손가락삽입부는 엄지 방향으로 측면에 보호패드가 형성되고, 상기 손가락삽입부의 손허리뼈상부와 손가락 첫마디가 만나는 부위 가운데 일 이상의 부위에 대응되어 패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찰력이 강하여 미끄럼을 방지하며 그립성이 뛰어나고, 충격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내구성이 좋고, 정전기를 방지하여 안전성이 향상되고, 손목, 손가락 등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며 통풍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기능 장갑{Multifunctional Gloves}
본 발명은 다기능 장갑에 관한 것으로, 산업현장, 가정용도, 군사적 용도, 건설작업 용도를 포함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손바닥과 손등 및 손가락, 손목을 보호하는 다기능 장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갑은 손을 보호하기 위해 착용되는 것으로, 겨울철 손을 추위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착용하는 보온 장갑은 저온에 노출된 손의 열 손실을 약 60~90%까지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장갑은 손을 보호하기 위하여 손바닥과 손등 및 손가락, 손목 부위를 두껍게 형성하기도 한다.
이러한 보호장갑은 사용자의 손에 발생되는 부상 또는 추위로부터 사용자의 손을 보호하기 위하여 착용되는 의류의 일종으로써 널리 사용되고 있다.
산업현장 또는 가정에서 작업시에 사용자는 손을 보호하기 위하여 보호장갑을 착용한다. 보호장갑은 절연 재질로 제조되며, 섬유, 피혁, 합성수지 또는 고무 재질로 소정의 두께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군대에서 사용하는 장갑도 각종 작업에 견딜 수 있도록 내구성이 높아야 하고, 손가락을 굽히는 작동에 무리가 없어야 하며, 고 온에도 견딜 수 있는 내화성능이 요구되며, 작업하는 과정에서 장갑을 착용하고 벗기에 편리해야 하며, 손가락 끝부분을 포함하여 손의 보호가 필요하다.
또한 야간작업시 장갑을 착용하여 작업하는 과정에서 손의 보호가 필요하다.
터치스크린으로 작동하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은 관련 업계 종사자 뿐만 아니라 일반인들의 필수 장비가 되었다. 특히 겨울철 실외 작업 중 장갑을 착용하고 있을 경우 터치스크린 사용이 불편하기 때문에 종종 장갑을 벗은 후 기기를 사용하는 불편이 있다.
한편, 장시간 작업할 경우 손의 피부 혈류량은 감소하게 되며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지면 동상의 위험 뿐만 아니라 손의 기민성도 감소하게 된다. 특히, 손의 기민성은 작업수행능력 뿐만 아니라 작업 안전에도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저온 환경에서 터치스크린을 사용해야 하는 작업자들에게 손의 쾌적성은 유지되면서 동시에 손의 기민성 저하는 최소화할 수 있는 장갑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6413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손에 착용하여 각종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부상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고, 손목, 손가락 등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고 손이 접히는 등 작업에 편안하며, 마찰력이 강하여 미끄럼을 방지하며 그립성이 뛰어나고, 충격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전자기기의 터치패널을 터치할 수 있어 장갑을 벗지 않고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손가락의 굽힘이 편하도록 하여 물건을 잡기 용이하고 과도한 힘이 낭비되지 않도록 하여 작업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손가락 첫마디뼈에 대응되어 장갑의 손가락 부위에 가죽과 직물을 복합적으로 구성하여 기민성은 저하하지 않으면서 손가락 끝을 보호하고, 장갑의 착용과 벗기에 편리하고, 내구성이 좋고, 야간 작업시에도 손의 보호가 가능하고, 정전기를 방지하여 안전성이 향상되고, 통풍이 용이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다기능 장갑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손가락과 손등, 손바닥 및 손목을 감싸도록 착용하는 손가락삽입부와 손바닥부 및 손등부, 손목부를 포함하는 장갑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삽입부는 손가락의 첫째마디와 중간마디는 신축성소재로 형성되는 손가락신축부; 손가락 첫째마디와 중간마디 사이의 손가락관절부위에 대응되어 형성되는 주름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등부는 너클에 대응되어 신축성소재로 형성되는 너클신축부;를 구비하고, 검지가 삽입되는 손가락삽입부는 엄지 방향으로 측면에 보호패드가 형성되고, 상기 손가락삽입부의 손허리뼈상부와 손가락 첫마디가 만나는 부위 가운데 일 이상의 부위에 대응되어 패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장갑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손가락삽입부는 엄지, 중지, 약지 끝마디부분에 형성되어 손가락 끝을 보호하는 보호부; 상기 약지의 내부에 형성되는 경질로 된 보호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바닥은 손바닥보호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바닥보호부는 각 손가락삽입부를 향해 연장된 연장부와, 손바닥의 주름을 따라 다수의 골이 형성되어 복수의 분할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다기능 장갑일 수 있다.
상기 손목부는 외부로 노출되며 장갑을 끼거나 벗을때 잡을 수 있는 고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등부는 펀칭 에어네오프렌, 골스판, 스판, 신축직물 중 택일되고, 상기 손바닥부는 샤무드, 인조가죽, 충격완화패드, 터치기능을 갖는 도전사, 정전기 방지원사 중 택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손등과 손목이 연결되는 부위의 상부에는 손허리뼈에 대응되어 신축성소재로 된 손목신축부;를 구비하고, 상기 손목부는 손목관절부분에 밀착되는 손목밴드;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검지 손가락삽입부의 끝마디에 형성되는 터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엄지손가락삽입부는 엄지의 첫마디 부분에 대응되는 외면에 엄지보호부가 형성되고, 상기 엄지보호부는 엄지 첫마디와 끝마디 사이의 접힘부분에 대응되어 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등부에는, 반사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찰력이 강하여 미끄럼을 방지하며 그립성이 뛰어나고, 충격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내구성이 좋고, 정전기를 방지하여 안전성이 향상되고, 손목, 손가락 등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며 통풍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손에 착용하여 각종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부상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고, 손의 형상에 맞춰 손목, 손가락 등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고 손이 접히는 등 작업에 편안하며, 마찰력이 강하여 미끄럼을 방지하며 그립성이 뛰어나고, 충격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전자기기의 터치패널을 터치할 수 있어 장갑을 벗지 않고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손가락의 굽힘이 편하도록 하여 물건을 잡기 용이하고 과도한 힘이 낭비되지 않도록 하여 작업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손가락 첫마디뼈에 대응되어 장갑의 손가락 부위에 가죽과 직물을 복합적으로 구성하여 기민성은 저하하지 않으면서 손가락 끝을 보호하고, 장갑의 착용과 벗기에 편리하고, 내구성이 좋고, 야간 작업시에도 손의 보호가 가능하고, 정전기를 방지하여 안전성이 향상되고, 통풍이 용이하여 쾌적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장갑에 대한 상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장갑에 대한 배면도.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장갑에 대한 상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장갑에 대한 배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장갑은, 손가락과 손등, 손바닥 및 손목을 감싸도록 착용하는 손가락삽입부(101~105)와 손바닥부(200) 및 손등부(300), 손목부(400)를 포함한다.
손가락삽입부(101~105)는 손가락의 첫째마디와 중간마디는 신축성소재로 된 손가락신축부(106)가 형성되고, 손가락 첫째마디와 중간마디 사이의 손가락관절부위에 형성되는 주름부(107)와, 상기 손등부(300)는 너클에 대응되어 신축성소재로 형성된 너클신축부(320)와, 검지가 삽입되는 손가락삽입부(102)는 엄지 방향으로 측면에 보호패드(109)가 형성되고, 상기 손가락삽입부(101~105)의 손허리뼈상부와 손가락 첫마디가 만나는 부위 가운데 일 이상의 부위에 대응되어 패턴부(110);가 형성된다.
손허리뼈에 대응되도록 손등과 손목이 연결되는 상부에는 신축성소재로 된 손목신축부(340) 및 상기 손목부(400)에 형성되고 손목관절부분에 밀착되는 손목밴드(3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손가락삽입부(101~105)의 손가락 끝마디는 보호부(130)가 형성된다. 상기 보호부(130)는 충격완화를 위한 복합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착용감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손가락 첫마디뼈에 대응되어 장갑의 손가락 부위에 가죽과 직물을 복합적으로 구성하여 기민성은 저하하지 않으면서 보온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다른 부위보다 섬유 강도가 높은 소재를 사용하여 손가락 끝을 보호한다.
너클신축부(320)는 주먹을 쥐었을때 돌출되는 뼈에 해당되는 부위인 너클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신축성소재로 이루어져 주먹을 쥐거나 펼때 압박감이 해소될 수 있다.
손목신축부(340)는 손허리뼈를 보호하되 신축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된다.
너클신축부(320) 또는 손목신축부(340)를 구성하는 신축성소재는 탄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 펀칭된 에어 네오프렌, 골스판이다. 또는 신축성소재는 충격흡수 및 손가락보호를 위해 패드가 구비된 것으로, 폼충전재, 네오프랜, 스판 중 택일될 수 있다.
손가락삽입부(101~105)는 엄지, 중지, 약지 끝마디부분에 형성되어 손가락 끝을 보호하는 보호부(130)와, 약지의 내부에 형성되는 경질로 된 보호구(140);를 포함한다.
검지가 삽입되는 손가락삽입부(102)는 엄지 방향으로 측면에 보호패드(109)가 형성되고, 엄지, 검지, 중지가 삽입되는 손가락삽입부(101~105)는 손허리뼈상부와 손가락 첫마디가 만나는 부분에 패턴부(110);가 형성되어 형태안정성을 갖게 되고, 손가락을 보호하게 된다. 상기 패턴부(110)는 신축성을 갖는 신축성소재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형태안정성을 갖기 위해 가죽소재로
상기 검지가 삽입되는 손가락삽입부(102)는 측면(엄지쪽)에 보호패드(109)가 형성되어 진동과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검지 손가락삽입부(102)의 끝마디에는 터치부(T)가 형성되어 터치스크린 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저온 환경에서는 탭, 드래그, 멀티터치 작업 시 직물 장갑의 만족도가 더 높았다. 장갑을 착용하게 되면 손가락의 표면적이 증가하고 이 때문에 손가락 끝이 한 점이나 아이콘보다 더 넓은 면적을 차지하게 된다. 따라서, 가죽이나 직물 재질에 비해 터치스크린의 사용 시 반응성이 더 빠르게 나타내는 전도성 원단으로 된 터치부(42)를 형성하여 장갑을 벗지 않고도 터치스크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장갑의 소재는 양모사, 전도사 100%, 양모사와 전도사의 혼합, 합성섬유로 폴리에스터, 아크릴 또는 양모사와 전도사를 혼합한 것을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도사 100%를 사용한 장갑은 세 손가락의 손 끝 부분만 터치가 되는 것이 아닌 장갑의 어느 부분을 사용하더라도 터치스크린이 가능한 것이나 보온성과 착용감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검지수납부(4)에 손가락 끝에만 전도사를 사용하여 터치부(42)를 형성하므로, 따뜻하고 부드러우며 스마트폰 스크린 터치도 가능하다. 폴리에스터사 또는 아크릴사에 양모사와 전도사를 혼합 사용하여 만든 장갑은 아크릴사만으로 제작된 장갑에 비해 보온성이 우수하고 가격도 저렴한 이점이 있다. 또한, 전도사를 사용하지 않고 양모사 또는 아크릴사, 양모 혼방사를 사용하여 터치부(42)를 형성할 ㅅ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장갑소재로 은 나노 혼방사를 사용하여 전자파차단, 정전기제거, 원적외선 방사 효과 등 부가적인 기능을 부여하도록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천연가죽이나 인조가죽 등으로 만들어진 장갑의 표면에 전도성을 부여함으로써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을 작동하기 위한 터치부(42)를 형성할 수 있으며, 전도성 고분자 용액과 CNT 분산액을 가죽의 표면에 적용함으로써 부도체인 가죽의 표면에 전도성을 부여하고,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스크린을 작동할 수 있다.
손가락 끝을 보호하는 보호부(130)는 가죽 재질로 이루어지고, 보호구(140)는 경질 플라스틱판재로 이루어지며 손가락 끝을 보호하기 위해 강성을 가지는 소재는 포함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새끼손가락이 삽입되는 손가락삽입부는 활동성을 좋게하기 위해 가죽재질을 형성하지 않고 연질직물소재로 이루어진다.
엄지, 검지, 중지가 삽입되는 손가락삽입부(101,102,103) 각각에는 손허리뼈 상부와 손가락 첫마디가 만나는 부분에 가죽소재로 형성된 패턴부(110);를 포함한다.
엄지손가락삽입부(101~105)는 엄지의 첫마디 부분에 대응되는 외면에 가죽으로 덧대어 엄지보호부(160)가 형성된다.
상기 엄지보호부(160)는 접힘활동이 용이하도록 엄지 첫마디와 끝마디 사이의 접힘부분에 맞도록 골(162)이 형성된다.
상기 손등부에는 반사체(500)가 형성되어 야간에 식별이 용이하도록 한다. 반사체는 야광띠 또는 축광띠, 재귀반사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손목부(400)에는 외부로 노출되며 장갑을 끼거나 벗을때 잡을 수 있는 고리(420)가 형성된다. 상기 고리(420)는 손목부(400)의 밴드(360)에 연결된다.
손삽입구는 탄성재질의 밴드(360)로 형성된다.
손삽입구와 근접된 손목관절부분에는 밴드(360)가 형성되어 손에 맞도록 조여서 외부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고 벗겨짐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손등부(300)의 소재로서 펀칭 에어네오프렌, 골스판, 스판, 신축직물 중 택일된다.
또한 손바닥부(200)의 소재로서 샤무드, 인조가죽, 충격완화패드, 터치기능을 갖는 도전사, 정전기 방지원사 중 택일된다.
상기 손바닥에는 미끄럼을 방지하고 그립성이 향상될 수 있고 손바닥을 보호하도록 형성되는 손바닥보호부(260);를 포함한다.
상기 손바닥보호부(260)는 장갑을 착용하고 작업하는 경우에도 물건을 잡을 때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고 손바닥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인조가죽, 천연가죽, 실리콘, 라텍스고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재질로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미끄럼을 방지하고, 그립성이 뛰어나고, 손바닥을 보호하기 위한 재질은 포함하는 것이다.
손바닥보호부(260)는 내부에 진동과 충격완화시키는 충격방지 패드가 내장된다.
손바닥보호부(260)는 각 손가락삽입부(101~105)를 향해 연장된 연장부(262)와, 손바닥의 주름을 따라 분할되어 복수의 분할부(264)가 형성되어 대략 손금선에 대응되는 패턴을 갖도록 형성된다.
즉, 손바닥보호부(260)는 인체공학적 패턴이 되도록 하기위해, 연장부(262)는 손허리뼈상부와 손가락 첫마디가 만나는 부분에 대응하여 4개가 뾰족하게 각 손가락의 뿌리부분까지 돌출되어 형성되고, 복수의 분할부(264)는 손바닥의 손금선에 대응되어 형성된다.
예를들어 손금선은 크게 감정선, 두뇌선, 생명선으로 구분되므로 이들 선에 대응되는 부위가 접히는 부분이고, 이 3부분에 대응되어 골(266)이 형성되고, 골과 골 사이에는 탄성을 갖는 패드가 내장된다.
따라서 손바닥보호부(260)의 길게 홈으로 패인 골(266)이 복수개 형성됨으로써 손바닥을 보호하면서도 주먹을 쥘때 접힘 활동이 용이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실시 예로 변경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1,102,103,104,105 : 손가락 삽입부
106 : 손가락신축부 107 : 주름부
109 : 패턴부 160 ; 엄지보호부
162 : 골 200 : 손바닥부
260 : 손바닥보호부 262 : 연장부
266 : 골 300 : 손등부
320 : 너클신축부 340 : 손목신축부
360 : 손목밴드 400 : 손목부

Claims (10)

  1. 손가락과 손등, 손바닥 및 손목을 감싸도록 착용하는 손가락삽입부와 손바닥부 및 손등부, 손목부를 포함하는 장갑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삽입부는
    손가락의 첫째마디와 중간마디는 신축성소재로 형성되는 손가락신축부;
    손가락 첫째마디와 중간마디 사이의 손가락관절부위에 대응되어 형성되는 주름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등부는
    너클에 대응되어 신축성소재로 형성되는 너클신축부;를 구비하고,
    검지가 삽입되는 손가락삽입부는
    엄지 방향으로 측면에 보호패드가 형성되고,
    상기 손가락삽입부의 손허리뼈상부와 손가락 첫마디가 만나는 부위 가운데 일 이상의 부위에 대응되어 패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장갑.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삽입부는
    엄지, 중지, 약지 끝마디부분에 손가락 끝을 보호하는 보호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장갑.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바닥은
    손바닥보호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바닥보호부는
    각 손가락삽입부를 향해 연장된 연장부와, 손바닥의 주름을 따라 다수의 골이 형성되어 복수의 분할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장갑.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손목부는
    외부로 노출되며 장갑을 끼거나 벗을때 잡을 수 있는 고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장갑.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등부는
    펀칭 에어네오프렌, 골스판, 스판, 신축직물 중 택일되고,
    상기 손바닥부는
    샤무드, 인조가죽, 충격완화패드, 터치기능을 갖는 도전사, 정전기 방지원사 중 택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장갑.
  6. 제 1항에 있어서,
    손등과 손목이 연결되는 부위의 상부에는
    손허리뼈에 대응되어 신축성소재로 된 손목신축부;를 구비하고,
    상기 손목부는
    손목관절부분에 밀착되는 손목밴드;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장갑.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약지의 내부에 보호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장갑.
  8. 제 1항에 있어서,
    검지 손가락삽입부의 끝마디에 형성되는 터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장갑.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엄지손가락삽입부는
    엄지의 첫마디 부분에 대응되는 외면에 엄지보호부가 형성되고,
    상기 엄지보호부는
    엄지 첫마디와 끝마디 사이의 접힘부분에 대응되어 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장갑.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등부에는,
    반사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장갑.
KR1020210053876A 2021-04-26 2021-04-26 다기능 장갑 KR1026016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876A KR102601659B1 (ko) 2021-04-26 2021-04-26 다기능 장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876A KR102601659B1 (ko) 2021-04-26 2021-04-26 다기능 장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6944A true KR20220146944A (ko) 2022-11-02
KR102601659B1 KR102601659B1 (ko) 2023-11-13

Family

ID=84045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3876A KR102601659B1 (ko) 2021-04-26 2021-04-26 다기능 장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16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5855B1 (ko) * 2023-01-13 2023-06-21 주식회사 가드원 안전장갑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0678Y1 (ko) * 2003-07-18 2003-10-17 박래경 벗김부재가 구비된 장갑
JP3101653U (ja) * 2003-11-14 2004-06-17 有限会社 城光建設 指プロテクタ
KR200379193Y1 (ko) * 2004-12-09 2005-03-17 국일통상 주식회사 충격흡수 및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가진 작업용 장갑
KR20050087356A (ko) * 2004-02-26 2005-08-31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신축성 장갑
KR200434912Y1 (ko) * 2006-09-30 2006-12-29 주경방재 주식회사 안전장갑
US20070245453A1 (en) * 2006-04-17 2007-10-25 Kenneth Dolenak Extrication glove
KR101026413B1 (ko) 2010-04-29 2011-04-07 변정조 일체형 손톱이 구성된 보호용 장갑
KR101752483B1 (ko) * 2016-12-20 2017-07-03 주식회사 지앤지티씨 다기능 장갑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1653B2 (ja) * 1996-08-29 2000-10-23 政行 二見 おにぎり成型器とこれを使用したおにぎり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0678Y1 (ko) * 2003-07-18 2003-10-17 박래경 벗김부재가 구비된 장갑
JP3101653U (ja) * 2003-11-14 2004-06-17 有限会社 城光建設 指プロテクタ
KR20050087356A (ko) * 2004-02-26 2005-08-31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신축성 장갑
KR200379193Y1 (ko) * 2004-12-09 2005-03-17 국일통상 주식회사 충격흡수 및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가진 작업용 장갑
US20070245453A1 (en) * 2006-04-17 2007-10-25 Kenneth Dolenak Extrication glove
KR200434912Y1 (ko) * 2006-09-30 2006-12-29 주경방재 주식회사 안전장갑
KR101026413B1 (ko) 2010-04-29 2011-04-07 변정조 일체형 손톱이 구성된 보호용 장갑
KR101752483B1 (ko) * 2016-12-20 2017-07-03 주식회사 지앤지티씨 다기능 장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5855B1 (ko) * 2023-01-13 2023-06-21 주식회사 가드원 안전장갑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1659B1 (ko) 2023-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101476A4 (en)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for protective gloves
US20210219641A1 (en) Glove
US20110030121A1 (en) Slip-resistant medical grip glove
CN110602960A (zh) 具有冲击保护的防护手套
US20180035734A1 (en) Protective glove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US6845514B1 (en) Protective device for the median and ulnar nerves
US20080120754A1 (en) Hand protector with friction inducing elements
US10701993B2 (en) Industrial impact safety glove
US9707467B2 (en) Athletic glove
US9820516B2 (en) Open-palm sun protective glove
US20120246790A1 (en) Finger Protector Kitchen Gloves
KR102601659B1 (ko) 다기능 장갑
US20160016065A1 (en) Glove
US20170127737A1 (en) Partial glove for protection of touchscreens
KR101026413B1 (ko) 일체형 손톱이 구성된 보호용 장갑
KR20230126478A (ko) 다기능 장갑
KR101752483B1 (ko) 다기능 장갑
KR102601658B1 (ko) 다기능 장갑
KR101568341B1 (ko) 만년 장갑
RU172694U1 (ru) Перчатка специальная для пожарного
CN207784381U (zh) 一种武警全指作战手套
CN219645113U (zh) 安保手套
CN210203483U (zh) 保暖手套
JP3192665U (ja) 作業用手袋
KR101397806B1 (ko) 이중장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