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7819B1 - 단면보강구조를 갖는 경량 방음터널 - Google Patents

단면보강구조를 갖는 경량 방음터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7819B1
KR102607819B1 KR1020220031419A KR20220031419A KR102607819B1 KR 102607819 B1 KR102607819 B1 KR 102607819B1 KR 1020220031419 A KR1020220031419 A KR 1020220031419A KR 20220031419 A KR20220031419 A KR 20220031419A KR 102607819 B1 KR102607819 B1 KR 102607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plate
frame
right vertical
cross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1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34290A (ko
Inventor
최한순
박춘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지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주식회사 태창닛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지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주식회사 태창닛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지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220031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7819B1/ko
Publication of KR20230134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4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7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78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3Details, e.g.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17Plate-lik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38Waterproofing; Heat insulating; Soundproofing; Electric insul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음터널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간격마다 도로 양측을 따라 지면에 시공된 기초콘크리트(10,10a) 상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방음패널(50)을 지지하는 좌우측수직지주(20,20a)와, 상기 좌우측수직지주(20,20a)의 각 상단을 방음터널 길이방향으로 수평되게 설치연결하는 좌우측길이방향수평보강대(30,30a)와, 상기 좌우측수직지주(20,20a) 상단을 상부에서 만곡되게 연결하여 다수의 방음패널(50)을 지지하는 지붕골조프레임(40)을 구비하여 차량이 통행하는 일부의 방음구간에 설치되는 방음터널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수직지주(20,20a)와 지붕골조프레임(40)은, 측단면이 "工"형상인 프레임으로, 상측에 수평판체인 상단수평판(21,41)을 갖고, 상단수평판(21,41)과 일정거리 수평이격되는 수평판체인 하단수평판(22,42)을 갖으며, 상단수평판(21,41)과 하단수평판(22,42) 각 중심부를 수직으로 이음고정시키는 이음수직판(23,43)을 갖고; 상기 좌우측수직지주(20,20a)의 하단부, 상기 좌우측수직지주(20,20a)와 지붕골조프레임(40)이 만나는 좌우측 선단부, 상기 지붕골조프레임(40)의 중간부의 각 하단수평판(22,42)에는, 단면력을 키우기 위해 단면 계수를 높이는 보강프레임(60,60a,60b)이 용접고정되는 단면보강구조를 갖는 경량 방음터널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방음터널의 뼈대(골조)를 이루는 좌우측수직지주와 지붕골조프레임의 휨모멘트도(B.M.D;Bending Moment Diagram) 취약부분인 좌우측수직지주 상단부와 지붕골조프레임 선단부 및 지붕골조프레임 중간부의 단면 강도 및 강성을 보강하여 작용하중에 대하여 충분한 구조적 단면 안전성을 보유함으로써, 내구품질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질적으로 터널 시공시 사용되는 강재의 크기 및 두께를 실질적으로 줄여 시공기간을 단축하고 시공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으며, 전체적인 중량을 줄여 방음터널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단면보강구조를 갖는 경량 방음터널{Lightweight soundproof tunnel with reinforced cross section}
본 발명은 단면보강구조를 갖는 경량 방음터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방음터널의 뼈대(골조)를 이루는 좌우측수직지주와 지붕골조프레임의 휨모멘트도(B.M.D;Bending Moment Diagram) 취약부분인 좌우측수직지주 상단부와 지붕골조프레임 선단부 및 지붕골조프레임 중간부의 단면 강도 및 강성을 보강하여 작용하중에 대하여 충분한 구조적 단면 안전성을 보유함으로써, 내구품질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질적으로 터널 시공시 사용되는 강재의 크기 및 두께를 실질적으로 줄여 시공기간을 단축하고 시공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으며, 전체적인 중량을 줄여 방음터널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는 단면보강구조를 갖는 경량 방음터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통소음을 감소시키는 방법으로는 소음원을 없애거나 감소시키는 방법이 가장 좋지만 도로 및 철로변과 같이 근본적으로 소음원을 차단시키지 못하는 경우 소음전파 경로를 차단하거나 분산시키는 간접적인 방법을 사용하여야 한다. 경로 차단에 의한 대표적인 소음대책수단으로는 방음벽과 방음터널(터널형 방음벽)을 들 수 있다.
방음벽은 기본적으로 소음의 전달경로상에 장애물을 설치하여 소음이 직접 전달되지 못하고 우회경로를 통하여 전달되게 하여 전달경로를 길게 만드는 음의 회절감쇠 특성을 이용하여 소음감쇠효과를 가진다.
이런 방음벽은 기초부, 지주, 방음판의 3가지로 구성되며 지면에 시공된 기초 위에 지주가 앵커볼트로 고정되어 이 지주에 방음판이 클립, 볼트 등으로 고정되는 형태로 시공된다. 방음벽은 소음학적 측면에서 볼 때 소음의 이격거리 감쇠현상을 이용하여 소음을 저감시키는 방식이므로 소음의 직접적인 도달이나 회절이 되는 부분은 저감시키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방음벽에 의한 감쇠효과는 합리적인 높이와 길이를 가질 경우 일반적으로 10dB 정도, 최대 20dB 정도 얻을 수 있다고 보고 있으나 최대 감음량 20dB은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저감 목표값이 이를 초과한다면 다른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이렇게 방음벽이 가지는 소음감쇠효과의 한계를 극복하고 강화되는 소음에 대한 환경기준에 따라 방음터널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런 방음터널은 기존의 방음벽에서 고층부와 저층부 전반에 걸쳐 발생되는 회절음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어 소음감쇠효과를 높일 수 있는 대표적인 방법으로, 소음의 전파 경로를 완전히 둘러싸 차단하는 방식으로서 음의 직접전달이나 회절을 거의 무시할 수 있고 투과에 의해 전달되는 것만 고려하면 된다.
그런데 이러한 방음터널을 교량이나 고가도로에 적용할 경우 그 무게가 추가적인 고정하중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구조적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무게를 최소화해야 한다.
또한, 방음터널은 기타 건축 및 토목 구조물에 비해 시공 조건이 불리한 편이기 때문에 시공성 및 경제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전체적으로 경량화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고강도 소재로 만든 강관 기둥과 아치형의 강관 보를 이용하여 트러스 구조물로 방음터널이 설치되고 있는데, 이는 H형강 기둥 및 보 대비 약 53%까지 무게를 줄일 수 있으며, 아울러 구조적 강성을 향상시켜 처짐 등의 감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방음터널은 아치형 보의 중앙에 수직하중에 기인한 응력이 집중되어 작용하므로 이를 분산시키기 위해 도로 중앙에 별도의 지지용 프레임을 추가로 설치해야 하고, 이로 인해 공사비용의 증가는 물론 공사기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둥은 아치형 보의 양단을 충분히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하부의 응력집중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단면적이 넓고 두께가 두꺼운 강관을 적용해야 하는 구조상의 한계가 있다
한편 방음터널의 경우 입출부에서의 소음문제로 인해 방음터널의 연장이 결정되고 이에 따라 경제성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입출부에서의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또한 방음터널은 설계기법에 있어서 구조물의 과대설계가 이루어질 우려가 많고, 고중량화로 비경제적인바, 경제적인 부담을 저감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할 필요도 있다.
이런 방음터널로서, "가운데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소정의 높이 및 폭으로 이루어지며, 콘크리트가 타설 양생된 한 쌍의 기초콘크리트층(10)과; 상기 각각의 기초콘크리트층(10)에 앵커볼트(22)로 고정 설치되는 기초판(20)과; 상기 각각의 기초판(20) 상을 가로질러 아치형상으로 볼트 및 너트로 고정 설치되는 H빔(30)과; 상기 H빔(30)의 상단부에 볼트 및 너트로 고정 설치되며, 투명패널(42) 및 외장패널(44)로 이루어지는 지붕재패널(40)과; 상기 지붕재패널(40)의 하단부에 위치된 H빔(30)에 볼트 및 너트로 고정 설치되며, 외장패널(52), 투명패널(54)로 이루어지는 벽체패널(50)과; 상기 H빔(30)의 내측에 볼트 및 너트로 고정 설치되는 내장패널(60)과; 상기 H빔(30)의 상단부 내측에 볼트 및 너트로 고정 설치되는 소음차폐판(7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용 방음터널과 그 시공방법."이 특허등록 제10-712833호(2007.05.02.등록공고)로 개시된바 있었다.
그러나 이런 종래의 소음저감형 방음너털은, 방음터널의 골조를 아치형상으로 구부린 H형강(194mm×150mm, 수직판 두께6mm, 수평판 두께 9mm)으로 이루어지고지주간격 2m로 이루어져 전체 중량이 27톤이 넘어 매우 무겁고 외관이 투박하며 적용 스팬에 제한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런 일반적인 방음터널은, 도 7에서와 같이, 정면에서 볼 때 좌각부와 우각부 및 중앙기붕부의 단면 안정성이 특히 미흡하여 구조적인 보강을 필요로 하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KR)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712833호(2007.05.02.등록공고) (KR)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188485호(2012.10.08.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방음터널의 뼈대(골조)를 이루는 좌우측수직지주와 지붕골조프레임의 휨모멘트도(B.M.D;Bending Moment Diagram) 취약부분인 좌우측수직지주 상단부와 지붕골조프레임 선단부 및 지붕골조프레임 중간부의 단면 강도 및 강성을 보강하여 작용하중에 대하여 충분한 구조적 단면 안전성을 보유함으로써, 내구품질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질적으로 터널 시공시 사용되는 강재의 크기 및 두께를 실질적으로 줄여 시공기간을 단축하고 시공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으며, 전체적인 중량을 줄여 방음터널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는 단면보강구조를 갖는 경량 방음터널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방음터널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간격마다 도로 양측을 따라 지면에 시공된 기초콘크리트(10,10a) 상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방음패널(50)을 지지하는 좌우측수직지주(20,20a)와, 상기 좌우측수직지주(20,20a)의 각 상단을 방음터널 길이방향으로 수평되게 설치연결하는 좌우측길이방향수평보강대(30,30a)와, 상기 좌우측수직지주(20,20a) 상단을 상부에서 만곡되게 연결하여 다수의 방음패널(50)을 지지하는 지붕골조프레임(40)을 구비하여 차량이 통행하는 일부의 방음구간에 설치되는 방음터널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수직지주(20,20a)와 지붕골조프레임(40)은, 측단면이 "工"형상인 프레임으로, 상측에 수평판체인 상단수평판(21,41)을 갖고, 상단수평판(21,41)과 일정거리 수평이격되는 수평판체인 하단수평판(22,42)을 갖으며, 상단수평판(21,41)과 하단수평판(22,42) 각 중심부를 수직으로 이음고정시키는 이음수직판(23,43)을 갖고;
상기 좌우측수직지주(20,20a)의 하단부, 상기 좌우측수직지주(20,20a)와 지붕골조프레임(40)이 만나는 좌우측 선단부, 상기 지붕골조프레임(40)의 중간부의 각 하단수평판(22,42)에는, 단면력을 키우기 위해 단면 계수를 높이는 보강프레임(60,60a,60b)이 용접고정되는 특징이 있다.
상기 좌우측수직지주(20,20a)와 지붕골조프레임(40)은, 상기 상단수평판(21,41)의 두께가 12mm, 길이가 200mm이고, 상기 하단수평판(22,42)의 두께가 12mm, 길이가 200mm이며, 상기 이음수직판(23,43)의 두께가 8mm, 길이가 76mm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강프레임(60)은, 측단면이 "┸"형상을 이루는 프레임으로, 상기 하단수평판(22,42) 중심부 저면에 상단면이 용접고정되는 보강수직판(61)을 갖고, 보강수직판(61) 하단면에는 중심부 상면이 한몸연결되는 보강수평판(62)를 갖으며, 보강수직판(61)의 두께가 5.5mm, 길이가 92mm이고, 보강수평판(62)의 두께가 8mm, 길이가 100mm인 특징이 있다.
상기 보강프레임(60a)은, 측단면이 "┗┛"형상을 이루는 프레임으로, 상기 하단수평판(22,42) 좌측 저면에 상단면이 용접고정되는 보강좌측수직판(63)을 갖고, 하단수평판(22,42) 우측 저면에 상단면이 용접고정되는 보강우측수직판(64)을 갖으며, 보강좌우측수직판(63,64) 하단을 수평으로 한몸연결시키는 보강연결수평판(65)을 갖고, 보강좌우측수직판(63,64)의 두께는 5mm, 길이는 45mm이고, 보강연결수평판(65)의 두께는 5mm, 길이는 100mm인 특징이 있다.
상기 보강프레임(60b)은, 측단면이 "V"형상을 이루는 프레임으로, 상기 하단수평판(22,42) 좌측 저면에 상단면이 사선으로 용접고정되어 우측하향 경사지는 보강좌측경사판(65)을 갖고, 일단은 보강좌측경사판(65) 하단에 한몸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하단수평판(22,42) 우측 저면에 사선으로 용접고정되어 우측상향 경사지는 보강우측경사판(66)을 갖으며, 보강좌측경사판(65)의 두께는 7mm, 길이는 100mm이고, 보강좌측경사판(66)의 두께는 7mm, 길이는 100mm인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방음터널의 뼈대(골조)를 이루는 좌우측수직지주와 지붕골조프레임의 휨모멘트도(B.M.D;Bending Moment Diagram) 취약부분인 좌우측수직지주 상단부와 지붕골조프레임 선단부 및 지붕골조프레임 중간부의 단면 강도 및 강성을 보강하여 작용하중에 대하여 충분한 구조적 단면 안전성을 보유함으로써, 내구품질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질적으로 터널 시공시 사용되는 강재의 크기 및 두께를 실질적으로 줄여 시공기간을 단축하고, 시공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으며, 전체적인 중량을 21톤으로 크게 줄여 방음터널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단면보강구조를 갖는 경량 방음터널의 시공모습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단면보강구조를 갖는 경량 방음터널의 시공모습을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단면보강구조를 갖는 경량 방음터널의 시공모습을 보인 우측면도,
도 4는 도 1의 보강프레임의 일 실시예 시공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A-A'선 단면도,
도 5는 도 1의 보강프레임의 다른 실시예 시공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A-A'선 단면도,
도 6은 도 1의 보강프레임의 또 다른 실시예 시공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A-A'선 단면도,
도 7은 종래 방음터널의 보강단면이 필요한 구간을 표시한 휨모멘트도(B.M.D).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아래 실시 예에서의 선택적인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단면보강구조를 갖는 경량 방음터널은, 차량이 통행하는 일부의 방음구간에 설치되는 방음터널으로, 방음터널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간격마다 도로 양측을 따라 지면에 시공된 기초콘크리트(10,10a) 상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방음패널(50)을 지지하는 좌우측수직지주(20,20a)와, 상기 좌우측수직지주(20,20a)의 각 상단을 방음터널 길이방향으로 수평되게 설치연결하는 좌우측길이방향수평보강대(30,30a)와, 상기 좌우측수직지주(20,20a) 상단을 상부에서 만곡되게 연결하여 다수의 방음패널(50)을 지지하는 지붕골조프레임(40)와, 단면력을 키우기 위해 상기 좌우측수직지주(20,20a)의 하단부 및 상기 좌우측수직지주(20,20a)와 지붕골조프레임(40)이 만나는 좌우측 선단부 및 상기 지붕골조프레임(40)의 중간부위의 각 하단수평판(22,42)에 용접고정되어 단면 계수를 높이는 보강프레임(60,60a,60b)으로 구성된다.
상기 좌우측수직지주(20,20a)와 지붕골조프레임(40)은, 측단면이 "工"형상인 프레임으로, 상측에 수평판체인 상단수평판(21,41)을 각각 갖고, 상단수평판(21,41)과 일정거리 수평이격되는 수평판체인 하단수평판(22,42)을 각각 갖으며, 상단수평판(21,41)과 하단수평판(22,42) 각 중심부를 수직으로 이음고정시키는 이음수직판(23,43)을 각각 갖는다.
상기 좌우측수직지주(20,20a)와 지붕골조프레임(40)은, 상기 상단수평판(21,41)의 두께가 12mm, 길이가 200mm이고, 상기 하단수평판(22,42)의 두께가 12mm, 길이가 200mm이며, 상기 이음수직판(23,43)의 두께가 8mm, 길이가 76mm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프레임(60)은, 측단면이 "┸"형상을 이루는 프레임으로, 상기 하단수평판(22,42) 중심부 저면에 상단면이 용접고정되는 보강수직판(61)을 갖고, 보강수직판(61) 하단면에는 중심부 상면이 한몸연결되는 보강수평판(62)를 갖으며, 보강수직판(61)의 두께가 5.5mm, 길이가 92mm이고, 보강수평판(62)의 두께가 8mm, 길이가 100mm로 이루어진다.
상기 보강프레임(60a)은, 측단면이 "┗┛"형상을 이루는 프레임으로, 상기 하단수평판(22,42) 좌측 저면에 상단면이 용접고정되는 보강좌측수직판(63)을 갖고, 하단수평판(22,42) 우측 저면에 상단면이 용접고정되는 보강우측수직판(64)을 갖으며, 보강좌우측수직판(63,64) 하단을 수평으로 한몸연결시키는 보강연결수평판(65)을 갖고, 보강좌우측수직판(63,64)의 두께는 5mm, 길이는 45mm이고, 보강연결수평판(65)의 두께는 5mm, 길이는 100mm로 이루어진다.
상기 보강프레임(60b)은, 측단면이 "V"형상을 이루는 프레임으로, 상기 하단수평판(22,42) 좌측 저면에 상단면이 사선으로 용접고정되어 우측하향 경사지는 보강좌측경사판(65)을 갖고, 일단은 보강좌측경사판(65) 하단에 한몸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하단수평판(22,42) 우측 저면에 사선으로 용접고정되어 우측상향 경사지는 보강우측경사판(66)을 갖으며, 보강좌측경사판(65)의 두께는 7mm, 길이는 100mm이고, 보강좌측경사판(66)의 두께는 7mm, 길이는 100mm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방음터널의 뼈대(골조)를 이루는 좌우측수직지주(20,2a)와 지붕골조프레임(40)의 휨모멘트도(B.M.D;Bending Moment Diagram) 취약부분인 좌우측수직지주(20,20a) 상단부와 지붕골조프레임(40) 선단부 및 지붕골조프레임(40) 중간부의 구조해석 결과, 휨응력 1,105kg/cm2(< 1,400kg/cm2), 전단응력 87kg/cm2(< 800kg/cm2), 휨과 전단의 합성응력 0.63(< 1.1) 으로 단면 강도 및 강성을 보강하여 작용하중에 대하여 충분한 구조적 단면 안전성을 보유함으로써, 내구품질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질적으로 터널 시공시 사용되는 강재의 크기 및 두께를 실질적으로 줄여 시공기간을 단축하고, 시공비용을 크게 절감하며, 전체적인 중량을 21톤으로 크게 줄여 방음터널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10a : 기초콘크리트
20,20a : 좌우측수직지구
21,41 : 상단수평판
22,42 : 하단수평판
23,43 : 이음수직판
30,30a : 좌우측길이방향수평보강대
40 : 지붕골조프레임
50 : 방음패널
60,60a,60b : 보강프레임
61 : 보강수직판
62 : 보강수평판
63 : 보강좌측수직판
64 : 보강우측수직판
65 : 보강연결수평판
66 : 보강좌측경사판
67 : 보강우측경사판

Claims (4)

  1. 측단면이 "工"형상인 프레임으로 방음터널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간격마다 도로 양측을 따라 지면에 시공된 기초콘크리트(10,10a) 상에 설치되고 상측에 수평판체인 상단수평판(21)을 갖으며 상단수평판(21)과 일정거리 수평이격되는 수평판체인 하단수평판(22)을 갖고 상단수평판(21)과 하단수평판(22) 각 중심부를 수직으로 이음고정시키는 이음수직판(23)을 갖으며 방음패널(50)을 지지하는 좌우측수직지주(20,20a)와, 상기 좌우측수직지주(20,20a)의 각 상단을 방음터널 길이방향으로 수평되게 설치연결하는 좌우측길이방향수평보강대(30,30a)와, 측단면이 "工"형상인 프레임으로 상측에 수평판체인 상단수평판(41)을 갖고 상단수평판(41)과 일정거리 수평이격되는 수평판체인 하단수평판(42)을 갖으며 상단수평판(41)과 하단수평판(42) 각 중심부를 수직으로 이음고정시키는 이음수직판(43)을 갖고 상기 좌우측수직지주(20,20a) 상단을 상부에서 만곡되게 연결하여 다수의 방음패널(50)을 지지하는 지붕골조프레임(40)와, 단면력을 키우기 위해 용접고정되는 보강프레임(60,60a,60b)을 구비하여 차량이 통행하는 일부의 방음구간에 설치되는 방음터널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수직지주(20,20a)는 상기 기초콘크리트(10,10a) 상에서 직상부방향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좌우측수직지주(20,20a)와 지붕골조프레임(40)은, 상기 상단수평판(21,41)의 두께가 12mm, 길이가 200mm이고, 상기 하단수평판(22,42)의 두께가 12mm, 길이가 200mm이며, 상기 이음수직판(23,43)의 두께가 8mm, 길이가 76mm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강프레임(60,60a,60b)은, 상기 좌우측수직지주(20,20a)의 하단부, 상기 좌우측수직지주(20,20a)와 지붕골조프레임(40)이 만나는 좌우측 선단부, 상기 지붕골조프레임(40)의 중간부의 각 하단수평판(22,42)에 각각 용접고정되어 단면 계수를 높이되, 상기 보강프레임(60b)은, 측단면이 "V"형상을 이루는 프레임으로, 상기 하단수평판(22,42) 좌측 저면에 상단면이 사선으로 용접고정되어 우측하향 경사지는 보강좌측경사판(65)을 갖고, 일단은 보강좌측경사판(65) 하단에 한몸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하단수평판(22,42) 우측 저면에 사선으로 용접고정되어 우측상향 경사지는 보강우측경사판(66)을 갖으며, 보강좌측경사판(65)의 두께는 7mm, 길이는 100mm이고, 보강좌측경사판(66)의 두께는 7mm, 길이는 10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면보강구조를 갖는 경량 방음터널.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20031419A 2022-03-14 2022-03-14 단면보강구조를 갖는 경량 방음터널 KR102607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1419A KR102607819B1 (ko) 2022-03-14 2022-03-14 단면보강구조를 갖는 경량 방음터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1419A KR102607819B1 (ko) 2022-03-14 2022-03-14 단면보강구조를 갖는 경량 방음터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4290A KR20230134290A (ko) 2023-09-21
KR102607819B1 true KR102607819B1 (ko) 2023-12-01

Family

ID=88189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1419A KR102607819B1 (ko) 2022-03-14 2022-03-14 단면보강구조를 갖는 경량 방음터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781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384B1 (ko) * 2013-07-10 2014-06-03 김건영 압축력 전달판을 구비하는 철골보 및, 그 시공방법
KR101518446B1 (ko) * 2013-12-02 2015-05-15 컨베스트 주식회사 모멘트 발생크기를 고려한 특수구조보강재를 부착한 보와 기둥의 제작방법 및 이를 구비한 철골구조물의 시공방법과 철골구조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833B1 (ko) 2006-07-28 2007-05-02 신성산건 주식회사 소음저감용 방음터널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389111B1 (ko) * 2011-07-08 2014-04-28 주식회사 대흥미래기술 방음터널
KR101188485B1 (ko) 2011-09-30 2012-10-08 테크스타 코리아 주식회사 경량 방음터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384B1 (ko) * 2013-07-10 2014-06-03 김건영 압축력 전달판을 구비하는 철골보 및, 그 시공방법
KR101518446B1 (ko) * 2013-12-02 2015-05-15 컨베스트 주식회사 모멘트 발생크기를 고려한 특수구조보강재를 부착한 보와 기둥의 제작방법 및 이를 구비한 철골구조물의 시공방법과 철골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4290A (ko) 2023-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8485B1 (ko) 경량 방음터널
KR101389111B1 (ko) 방음터널
KR100876679B1 (ko) 교량용 방음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607819B1 (ko) 단면보강구조를 갖는 경량 방음터널
JP6013701B2 (ja) 橋梁
KR100931318B1 (ko) 트러스 구조의 지점부를 갖는 가설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102133079B1 (ko) 지하주차장 무량판 구조시스템
KR102050553B1 (ko) 합성구조로 제작된 하로형 철도교 및 그 시공방법
JP4416338B2 (ja) コンクリート床版鋼桁橋の補強構造
KR102132338B1 (ko) 아치형보강재를 포함하는 강합성 psc 거더
WO2021209078A2 (zh) 一种空心板桥梁
KR100916740B1 (ko) 교량상부구조물 추가 시공방법
JP6166005B1 (ja) 道路橋地覆拡幅ユニット
JP4080652B2 (ja) 鉄道高架橋用桁
KR102596742B1 (ko) 터널용 정체 기류 저감 거더 시스템
JP2002173912A (ja) 鋼道路橋における鋼床版の補強構造
KR100656428B1 (ko) 프리캐스트 난간
US5454127A (en) Unbalanced bascule bridge with concrete slab roadway
CN215405578U (zh) 一种适用于双幅顶推桥梁的中央分隔护栏
KR102622588B1 (ko) 파형강판이 적용된 켄틸레버 브라켓
CN211772896U (zh) 一种用于钢混组合梁施工的支架系统
KR102369877B1 (ko) 스판테크로드를 이용한 보행로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보행로 시공방법
CN218322340U (zh) 一种钢栈桥用环保绿化护栏
KR102586172B1 (ko) 안전 플랫판을 갖는 압축 플랜지 보강체가 구성된 h형 단면의 강재보
CN211621958U (zh) 一种不等高钢梁的连接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310100181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30824

Effective date: 20231006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