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2833B1 - 소음저감용 방음터널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소음저감용 방음터널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2833B1
KR100712833B1 KR1020060071196A KR20060071196A KR100712833B1 KR 100712833 B1 KR100712833 B1 KR 100712833B1 KR 1020060071196 A KR1020060071196 A KR 1020060071196A KR 20060071196 A KR20060071196 A KR 20060071196A KR 100712833 B1 KR100712833 B1 KR 100712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soundproof tunnel
bolts
nuts
concret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1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웅
Original Assignee
신성산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성산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성산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1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28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2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2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38Waterproofing; Heat insulating; Soundproofing; Electric insul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17Plate-lik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3Details, e.g.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9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with porous surfaces, e.g. concrete with porous fi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향설계 기법에 의한 효율적인 설계 및 구조물의 경량화로 경제성을 추구하며, 내외장 패널의 부분교체가 가능하며, 외장패널 설치로 H빔 노출문제 해결 및 배면에 컬러디자인을 도입하여 미관을 도모하며, 초기 설계시 효율적인 흡음면적의 산출로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내외장 패널 설치가 가능하여, 교통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소음저감용 방음터널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소음저감용 방음터널은 가운데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소정의 높이 및 폭으로 이루어지며, 콘크리트가 타설 양생된 한 쌍의 기초콘크리트층과; 상기 각각의 기초콘크리트층에 앵커볼트로 고정 설치되는 기초판과; 상기 각각의 기초판 상을 가로질러 볼트 및 너트로 고정 설치되는 H빔과; 상기 H빔의 상단부에 볼트 및 너트로 고정 설치되는 지붕재패널과; 상기 지붕재패널의 하단부에 위치된 H빔에 볼트 및 너트로 고정 설치되는 벽체패널과; 상기 H빔에 볼트 및 너트로 고정 설치되는 내장패널 및 소음차폐판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소음저감용 방음터널 시공방법은 가운데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소정의 높이 및 폭으로 지면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지면콘크리트층의 인접한 소정의 공간에서 방음터널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지면콘크리트층에 파일기초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제작된 방음터널을 파일기초상에 설치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방음터널, 시공방법

Description

소음저감용 방음터널 및 이의 시공방법{The soundproof tunnel for noise reduction, and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i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음저감용 방음터널(S-1형)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음저감용 방음터널(S-1형)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음저감용 방음터널(S-2형)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음저감용 방음터널(S-2형)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음저감용 방음터널(S-3형)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소음저감용 방음터널(S-3형)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소음저감용 방음터널(S-4형)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소음저감용 방음터널(S-4형)을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소음저감용 방음터널(S-5형)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소음저감용 방음터널(S-5형)을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소음저감용 방음터널(S-6형)을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소음저감용 방음터널(S-6형)을 도시한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소음저감용 방음터널(S-7형)을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소음저감용 방음터널(S-7형)을 도시한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소음저감용 방음터널(L-1형)을 도시한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소음저감용 방음터널(L-1형)을 도시한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소음저감용 방음터널(L-2형)을 도시한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소음저감용 방음터널(L-2형)을 도시한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소음저감용 방음터널(L-3형)을 도시한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소음저감용 방음터널(L-3형)을 도시한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소음저감용 방음터널(L-4형)을 도시한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소음저감용 방음터널(L-4형)을 도시한 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소음저감용 방음터널(L-5형)을 도시한 사시도,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소음저감용 방음터널(L-5형)을 도시한 단면도,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소음저감용 방음터널(L-6형)을 도시한 사시도,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소음저감용 방음터널(L-6형)을 도시한 단면도,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소음저감용 방음터널(L-7형)을 도시한 사시도,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소음저감용 방음터널(L-7형)을 도시한 단면도,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소음저감용 방음터널(T-1형)을 도시한 사시도,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소음저감용 방음터널(T-1형)을 도시한 단면도,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소음저감용 방음터널(T-2형)을 도시한 사시도,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소음저감용 방음터널(T-2형)을 도시한 단면도,
도 33은 본 발명에 따른 소음저감용 방음터널을 설치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기초콘크리트층 20: 기초판
22: 앵커볼트 30: H빔
40: 지붕재패널 42: 투명패널
44: 외장패널 50: 벽체패널
52: 투명패널 54: 외장패널
60: 내장패널 70: 소음차폐판
80: 경량지붕 차음재 82: 투명패널
84: 외장패널 90: 경량 막구조 지붕재
100: 연결재 110: 레일 지지대
120: 레일 130: 롤러
140: 거푸집 150: 콘크리트
160: 파일기초 C: 지면콘크리트층
T: 방음터널
본 발명은 소음저감용 방음터널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음터널은 수음점에서 음원으로서의 가시선을 직접 차단하는 터널 형태의 구조물을 말하며, 소음감소 효과는 방음터널의 길이, 크기 및 방음자재에 의해서 결정된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방음터널은 대부분이 수직형 방음벽 개념의 연장선에서 만들어진 것이어서 과도한 중량, 고가의 공사비 및 주변 경관에 부적절한 미관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시공 전에 음향적인 성능이나, 구조의 안전성, 미관 등과 같은 설계 검토가 취약하여 설치된 방음터널조차 그 성능 및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종래의 방음터널은 첫째, 설계기법에 있어서, 구조물의 과대설계, 고중량화로 비경제적이며, 둘째, 유지보수에 있어서, 기존 방음판 사용시 구조물과 간섭현상 및 유지보수에 불리하며, 셋째, 미관에 있어서, 획일적인 회색류의 방음판 배면부의 미관 저하현상과 H빔의 노출문제로 미관이 열악하며, 넷째, 시공에 있어서, 교통통제를 기본으로 하여 교통혼란을 초래하면서 시공이 이루어지고, 외부 마감시 방음판과 마감재의 이중 설치로 경제적인 부담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음향설계 기법에 의한 효율적인 설계 및 구조물의 경량화로 경제성을 추구하며, 내외장 패널의 부분교체가 가능하며, 외장패널 설치로 H빔 노출문제 해결 및 배면에 컬러디자인을 도입하여 미관을 도모하며, 초기 설계시 효율적인 흡음면적의 산출로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내외장 패널 설치가 가능하여, 교통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소음저감용 방음터널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소음저감용 방음터널은 가운데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소정의 높이 및 폭으로 이루어지며, 콘크리트가 타설 양생된 한 쌍의 기초콘크리트층과; 상기 각각의 기초콘크리트층에 앵커볼트로 고정 설치되는 기초판과; 상기 각각의 기초판 상을 가로질러 볼트 및 너트로 고정 설치되는 H빔과; 상기 H빔의 상단부에 볼트 및 너트로 고정 설치되는 지붕재패널과; 상기 지붕재패널의 하단부에 위치된 H빔에 볼트 및 너트로 고정 설치되는 벽체패널과; 상기 H빔에 볼트 및 너트로 고정 설치되는 내장패널 및 소음차폐판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소음저감용 방음터널 시공방법은 가운데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소정의 높이 및 폭으로 지면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지면콘크리트층의 인접한 소정의 공간에서 방음터널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지면콘크리트층에 파일기초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제작된 방음터널을 파일기초상에 설치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음저감용 방음터널은 가운데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소정의 높이 및 폭으로 이루어지며, 콘크리트가 타설 양생된 한 쌍의 기초콘크리트층(10)과; 상기 각각의 기초콘크리트층(10)에 앵커볼트(22)로 고정 설치되는 기초판(20)과; 상기 각각의 기초판(20) 상을 가로질러 볼트 및 너트로 고정 설치되는 H빔(30)과; 상기 H빔(30)의 상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지붕재패널(40)과; 상기 지붕재패널(40)의 하단부에 위치된 H빔(30)에 고정 설치되는 벽체패널(50)과; 상기 H빔(30)에 고정 설치되는 내장패널(60) 및 소음차폐판(70)으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소음저감용 방음터널은 기초콘크리트층(10), 기초판(20), H빔(30), 지붕재패널(40), 벽체패널(50), 내장패널(60) 및 소음차폐판(70)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구조물이다.
여기서, 상기 기초콘크리트층(10)은 가운데에 일정한 간격(소정의 차선)을 두고 소정의 높이 및 폭으로 이루어지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킨 구조물이다.
또한, 상기 기초판(20)은 기초콘크리트층(10)상에 앵커볼트(22)에 의해서 고정 설치되어, 방음터널(T)의 골조를 이루는 H빔(30)을 고정하기 위한 받침이다.
그리고 상기 H빔(30)은 규격 및 재질이 KS D 3503 (SS 400)이며, 크기는 구조설계에 따르며, 표면은 탈지, 산세, 수세 등의 공정을 거친 후에, 용융아연도금을 하여야 하며, 아연 부착량은 550g/㎡ 이상 한다.
또한, 상기 지붕재패널(40)은 투명패널(42)과 외장패널(44)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투명패널(42)은 투명형 차음패널(2,980mm(L) × 500 ∼ 2,000mm(H) × 6mm(T))로서, 소음차단, 외부투시용, 터널 내 조광용 패널이며, 외장패널(44)은 컬러도장 외장용 절곡 강판(2,980mm(L) × 480mm(H) × 1.6mm(T))으로 소음차단, 외장 및 미관용 패널이다.
여기서, 상기 외장패널(44)은 용융 아연 도금법에 따라 도금 부착량 표시기 호 Z 27, 두께 1.6mm의 아연도 강판으로 기계적 절곡과 가공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투명패널(42)은 P.C(Polycarbonate) 혹은 PMMA(Poly Methyl Methacrylate)로서 1/3 옥타브 밴드 중심주파수 500Hz에서 15dB이상 1,000Hz에서 20dB이상 투과손실 성능이 있다.
특히 상기 투명패널(42)의 투명판 가공은 열팽창과 수축을 고려하여 절단하고, 프레임 가공은 알루미늄 압출형재는 기계적 절단 후 전착피막처리 하여야 하며 피막 두께는 6㎛ 이상이어야 한다.
또한, 상, 하부 및 측면 프레임의 접합은 일정 높이 두께의 사각 밀폐형으로 스테인리스 합금재 볼트(∮4.2MM)를 사용하여 조립한다.
그리고 상기 투명패널(42)의 조립은 열팽창을 고려하여 절단된 투명판을 기계적 절단과 전착 피막처리된 프레임(알루미늄 압출형재)의 정위치에 놓고 프레임과 투명판을 조립하고 결합 부위를 방수처리한다.
한편, 상기 벽체패널(50)은 외장패널(54)과 투명패널(52)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외장패널(54)은 컬러 외장패널(벽체용 - 2,980mm(L) × 500 ∼ 1,000mm(H) × 1.6mm(T) 상부 캡용 - 2,980mm(L) × 250 ∼ 700mm(H) × 1.6mm(T))로서, 소음차단, 외장 및 미관용 패널이다.
여기서, 상기 외장패널(44)은 금속패널과 목재패널이 각각 단독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혼합하여 구성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이들 금속패널과 목재패널에는 각각 컬러도장을 하여 주변 경관과 조화를 이루도록 한다.
상기 외장패널(54)의 가공은 용융 아연 도금법에 따라 도금 부착량 표시기호 Z 27, 두께 1.6 ∼ 2.3mm의 아연도 강판으로 기계적 절곡과 가공이 가능해야 하며, 도장은 도시 미관 증진과 주변 경관과의 조화를 목적으로 환경디자인을 사전에 고안하여 도장 처리한다.
또한, 상기 외장패널(54)의 도장처리는 분체소부도장으로 반광택이어야 하며 지정 색상을 사용하며, 아연도 강판의 소부도장시는 탈지, 수세 등 전처리 과정을 거쳐 먼지나 기름, 기타 오염물을 제거하여야 하며, 알루미늄판 및 아연도 강판 페인트의 접착을 높이기 위해 프라이머를 10㎛로 도장하고 자연 건조하며, 1차 하도 후 하도 포함하여 30㎛가 되도록 지정색 상도 처리하고 150℃로 약 30분 가열한 후 60℃로 30분 보관한다.
그리고 상기 도장 완료된 외장패널(54)은 긁힘 등이 생기지 않도록 유의하여야 하며, 긁힘이 발생시 정도에 따라 재도장 또는 적합한 용제 도료로 부분 보수도장을 한다.
또한, 상기 내장패널(60)은 양면 흡음형 EX-METAL 패널로서 외장재는 익스팬디드 메탈(EXPANDED METAL, (2,980mm(L) × 450mm(H) × 50mm(T) 흡음재- 2,980mm(L) × 430mm(H) × 25.50mm(T), 패널프레임 1.6mm)이며, 흡음재는 설계공법에 의거 선정된 흡음재 패널 프레임 - "ㄷ"(절곡 강판)으로서, 터널 내부 흡음용 패널이다.
여기서, 상기 내장패널(60)의 외장재는 익스펜디드 메탈 2.3mm - KS D 3601이며, 내장패널(60)의 흡음재는 설계공법에 의거 선정된 흡음재, 흡음성능 KS F 3503 0.5M 이상으로 한다.
특히, 상기 내장패널(60)의 가공은 익스펜디드 메탈 2.3mm - KS D 8308 부착량-350g/㎡ 이상으로 하여, 필요시 도시 미관 증진을 목적으로 색상을 도장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음차폐판(70)은 양면 흡음형 EX-METAL 차단벽으로서 외장재로 익스펜디드 메탈(EXPANDED METAL, 2.3mm, 1.6mm)을 사용하고, 흡음재로 설계공법에 의거 선정된 흡음재를 사용하며, 측면 덮개는 "∇" 형 절곡 강판이다.
또한, 상기 소음차폐판(70)의 규격은 익스팬디드 메탈패널(2,980mm(L) × 450mm(H) × 50mm(T))로 흡음재는 2,960mm(L) × 430mm(H) × 25.50mm(T)이며 측면 덮개 - 200mm(B) × 850mm(A) × 330mm(H) × 1.6mm(T)이며, 터널 내부 흡음재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소음저감용 방음터널 시공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음저감용 방음터널 시공방법은 가운데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소정의 높이 및 폭으로 지면콘크리트층(C)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지면콘크리트층(C)의 인접한 소정의 공간에서 방음터널(T)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지면콘크리트층(C)에 파일기초(160)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제작된 방음터널(T)을 파일기초(160)상에 설치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S형 방음터널(T) 제작단계는 H빔(30)에 투명패널(42) 및 외장패널(44)로 이루어진 지붕재패널(40)을 볼트 및 너트로 설치하며, 상기 H빔(30)의 지붕재패널(40)의 하단부에 벽체패널(50)을 볼트 및 너트로 고정 설치하며, 상기 H빔(30)의 내측에 내장패널(60) 및 소음차폐판(70)을 볼트 및 너트로 고정 설치하며, 상기 지붕재패널(40)과 벽체패널(50)의 접합부를 누수 및 소음 차단을 위해 코킹 마감하여 제작한다.
또한, 상기 S형 방음터널(T) 설치단계는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음터널(T) 설치단계는 파일기초(160)상에 연결재(100)를 볼트로 고정 설치하고, 상기 연결재(100)상에 레일 지지대(110)를 설치하고, 상기 레일 지지대(110)상에 레일(120)을 설치하며, 방음터널(T)을 형성하는 각각의 H빔(30)에 용접 부착되는 기초판(20)의 하단에 롤러(130)를 고정 설치하고, 레일(120) 상에 안착시킨 후, 상기 방음터널(T)을 각각의 파일기초(160) 상단부까지 밀어서 이동시켜, H빔(30)과 파일기초(160)와의 수직선상에서 연결재(100)와 레일지지대(110),레일(120),롤러(130)을 순차적으로 해체하면, 기초판(20)과 파일기초(160)가 접촉하게 되고, 이를 용접 고정한 후, 상기 용접된 기초판(20)과 파일기초(160)간에 걸쳐 거푸집(140)을 설치하고, 상기 거푸집(140)내에 콘크리트(150)를 타설 및 양생시켜 기초콘크리트층(10)을 형성하고, 상기 기초판(20)을 앵커볼트(22)로 기초콘크리트층(10)에 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앵커볼트(22)는 구조설계에 따라 H빔(30) 1개소당 4개 혹은 6개 기초콘크리트층(10)에 설치하되, 앵커볼트(22) 설치간격은 중심점이 각각 2,000∼3000mm(L=3M 기준) 간격으로 수직, 수평을 맞추어 기존 철근에 용접하여 설치하며, 앵커볼트(22)가 구조물에서 노출되는 길이는 와셔, 너트를 조이고 나서 10mm 정도 여유있게 높이를 정한다.
또한, 상기 H빔(30)은 패널(40, 50, 60) 마감선의 수평을 확인하고, 높은 부분은 절단하고 낮은 부분은 무수축 모르타르로 마감하여 기초판(20)과 패널(40, 50, 60)이 완전히 밀착되게 H빔(30)을 설치하며, 수직 수평을 맞춘 후 너트로 조인 후, 지붕 골조용 H빔(30)을 양쪽 H빔(30)의 이음부에 정확히 밀착, 고장력 볼트로 연결, 고정하는 한편, 변위 방지용 타이 채널을 지붕 골조 H빔(30)에 수평 간격을 정확히 맞추며 고장력 체결한다.
그리고 상기 지붕재패널(40) 설치는 지붕재 강판 고정용 C-형강을 지붕골조 상단부 H빔(30)에 L앵글을 이용하여 고정한 후, 투명패널(42)과 외장패널(44)로 이루어진 지붕재패널(40)을 고정볼트를 이용 C형강의 상부에 설치하되 이음부 홈은 누수 방지를 위해 마감 작업시 코킹 처리한다.
또한, 지붕 작업시 물홈통 작업을 병행하며 설계도면상의 위치에 정확히 시공한다.
한편, 상기 벽체패널(50) 설치는 벽체패널(50)의 연결 후크를 이용하여 H빔(30)의 상단부터 H빔(30) 혹은 고정용 C-형강에 볼트로 직결 설치하며, 누수 방지를 위해 H빔(30)과 벽체패널(50)의 이음부에 코킹 처리한다.
또한, 상기 내장패널(60) 및 소음차폐판(70)의 설치는 내장패널(60) 횡지지 ㄷ바를 횡방향으로 수평의 레벨을 정확히 실측하여 설치하며, 상기 내장패널(60) 횡지지 ㄷ바에 내장패널(60)을 삽입 볼트를 사용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벽체패널(50)의 투명패널과 접합부는 미관을 고려하여 특수 제 작된 투명 프레임을 적용 마감한다.
선형 시공에 유의하며 경사패널이 발생하는 구간은 별도 실측하여 제작된 패널을 슬롯 홀에 볼트 고정한다.
소음차폐판(70)의 고정용 T바를 지붕 골조 H빔(30)의 날개빔 사이에 삽입 볼트 고정한다.
현장 조립된 소음차폐판(70)을 T바의 날개빔에 앉히고 볼트 고정하며, 소음차폐판(70)의 선형에 유의하며 비규격 및 경사 소음차폐판(70)이 발생하는 구간은 실측하여 제작된 패널을 슬롯 홀에 볼트 고정하며, 내장패널(60)과 소음차폐판(70)의 선형을 조정하며 마감한다.
한편, 마감시공은 지붕패널과 벽체패널(50)의 접합부를 누수 및 소음차단의 목적으로 코킹 마감하며, 앵커볼트(22)를 가리기 위해 단부 마감용 안전표지판을 현장 여건에 맞게 제작하여 가림 시공한 후, 주변을 정리 및 청소하여 마감한다.
이하, 본 발명을 다양한 실시 예를 예로 들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방수터널 L형
도 15 내지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소음저감용 방음터널은 가운데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소정의 높이 및 폭으로 이루어지며, 콘크리트가 타설 양생된 한 쌍의 기초콘크리트층(10)과; 상기 각각의 기초콘크리트층(10)에 앵커볼트(22)로 고정 설치되는 기초판(20)과; 상기 각각의 기초판(20) 상을 가로질러 볼트 및 너트로 고정 설치되는 H빔(30)과; 상기 H빔(30)에 볼트 및 너트로 고정 설치되는 경량지붕 차음재(80)와; 상기 경량지붕 차음재(80)의 하단의 H빔(30)에 볼트 및 너트로 고정 설치되는 벽체패널(50)과; 상기 H빔(30)에 고정 설치되는 내장패널(60) 및 소음차폐판(7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방음터널은 기초콘크리트층(10), 기초판(20), H빔(30), 경량지붕 차음재(80), 벽체패널(50), 내장패널(60) 및 소음차폐판(70)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구조이다.
특히 상기 경량지붕 차음재(80)는 외장패널(84)과 투명패널(82)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외장패널(84)은 컬러도장 외장용 절곡 강판(2,980mm(L) × 480mm(H) × 1.6mm(T))으로 소음차단, 외장 및 미관용 패널이며, 투명패널(82)은 투명형 차음패널(2,980mm(L) × 500 ∼ 2,000mm(H) × 6mm(T))로서, 소음차단, 외부투시용, 터널 내 조광용 패널이다.
여기서, 상기 외장패널(84)은 용융 아연 도금법에 따라 도금 부착량 표시기호 Z 27, 두께 1.6mm의 아연도 강판으로 기계적 절곡과 가공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투명패널(82)은 P.C(Polycarbonate) 혹은 PMMA(Poly Methyl Methacrylate)로서 1/3 옥타브 밴드 중심주파수 500Hz에서 15dB이상 1,000Hz에서 20dB이상 투과손실 성능이 있다.
특히 상기 투명패널(82)의 투명판 가공은 열팽창과 수축을 고려하여 절단하고, 프레임 가공은 알루미늄 압출형재는 기계적 절단 후 전착피막처리 하여야 하며 피막 두께는 6㎛ 이상이어야 한다.
또한, 상, 하부 및 측면 프레임의 접합은 일정 높이 두께의 사각 밀폐형으로 스테인리스 합금재 볼트(∮4.2MM)를 사용하여 조립한다.
그리고 상기 투명패널(82)의 조립은 열팽창을 고려하여 절단된 투명판을 기계적 절단과 전착 피막처리된 프레임(알루미늄 압출형재)의 정위치에 놓고 프레임과 투명판을 조립하고 결합 부위를 방수처리한다.
한편, 상기 지붕바탕재(CEMENT BOARD)는 목재와 시멘트를 혼합하여 압출한 경질 성형판으로서, 규격은 2,440mm(L) × 1,220mm(H) × 12mm(T), 밀도: 1,250 ∼ 1,350kg/㎡로 소음차단 및 구조용 부재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소음저감용 방음터널 시공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음저감용 방음터널 시공방법은 가운데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소정의 높이 및 폭으로 지면콘크리트층(C)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지면콘크리트층(C)의 인접한 소정의 공간에서 방음터널(T)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지면콘크리트층(C)에 파일기초(160)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제작된 방음터널(T)을 파일기초(16))상에 설치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L형 방음터널(T) 제작단계는 H빔(30)에 볼트 및 너트로 경량지붕 차음재(80)를 설치하고, 상기 경량지붕 차음재(80) 하단의 H빔(30)에 볼트 및 너트로 벽체패널(50)을 설치하며, 상기 H빔(30)에 볼트 및 너트로 내장패널(60) 및 소음차폐판(70)을 설치하며, 상기 벽체패널(50)의 접합부를 누수 및 소음 차단을 위해 코킹 마감하여 제작한다.
또한, 상기 L형 방음터널(T) 설치단계는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기초(160)상에 연결재(100)를 볼트로 고정 설치하고, 상기 연결재(100)상에 레일 지 지대(110)를 설치하고, 상기 레일 지지대(110)상에 레일(120)을 설치하며, 방음터널(T)을 형성하는 각각의 H빔(30)에 용접 부착되는 기초판(20)의 하단에 롤러(130)를 고정 설치하고, 레일(120) 상에 안착시킨 후, 상기 방음터널(T)을 각각의 파일기초(160) 상단부까지 밀어서 이동시켜, H빔(30)과 파일기초(160)와의 수직선상에서 연결재(100)와 레일지지대(110),레일(120),롤러(130)을 순차적으로 해체하면, 기초판(20)과 파일기초(160)가 접촉하게 되고, 이를 용접 고정한 후, 상기 용접된 기초판(20)과 파일기초(160)간에 걸쳐 거푸집(140)을 설치하고, 상기 거푸집(140)내에 콘크리트(150)를 타설 및 양생시켜 기초콘크리트층(10)을 형성하고, 상기 기초판(20)을 앵커볼트(22)로 기초콘크리트층(10)에 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앵커볼트(22)는 구조설계에 따라 H빔(30) 1개소당 4개 혹은 6개 기초콘크리트층(10)에 설치하되, 앵커볼트(22) 설치간격은 중심점이 각각 2,000∼3000mm(L=3M 기준) 간격으로 수직, 수평을 맞추어 기존 철근에 용접하여 설치하며, 앵커볼트(22)가 구조물에서 노출되는 길이는 와셔, 너트를 조이고 나서 10mm 정도 여유있게 높이를 정한다.
또한, 상기 H빔(30)은 패널(50, 60, 80) 마감선의 수평을 확인하고, 높은 부분은 절단하고 낮은 부분은 무수축 모르타르로 마감하여 기초판(20)과 패널(50, 60, 80)이 완전히 밀착되게 H빔(30)을 설치하며, 수직 수평을 맞춘 후 너트로 조인 후, 지붕 골조용 H빔(30)을 양쪽 H빔(30)의 이음부에 정확히 밀착, 고장력 볼트로 연결, 고정하는 한편, 변위 방지용 타이 채널을 지붕 골조 H빔(30)에 수평 간격을 정확히 맞추며 고장력 체결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지붕 골조용 H빔(30)에 직각 방향으로 지붕받침재를 설치하고, 상기 지붕받침재의 간격에 맞추어 지붕바탕재를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지붕바탕재 설치는 지붕바탕재의 상부에서 지붕바탕재 1매당 6개소에 대하여 셀프 피스로 지붕받침재에 설치하되, 지붕바탕재의 한 줄과 그 다음 줄은 반씩 엇갈리도록 배치하고, 처마에서 용마루 방향으로 잇는다.
또한, 상기 경량지붕 차음재(80) 설치는 지붕재 강판 고정용 C-형강을 지붕골조 상단부 H빔(30)에 L앵글을 이용하여 고정한 후, 투명패널(82)과 외장패널(84)로 이루어진 경량지붕 차음재(80)를 고정볼트를 이용 C형강의 상부에 설치하되 이음부 홈은 누수 방지를 위해 마감 작업시 코킹 처리한다.
또한, 지붕 작업시 물홈통 작업을 병행하며 설계도면상의 위치에 정확히 시공한다.
한편, 상기 벽체패널(50) 설치는 벽체패널(50)의 연결 후크를 이용하여 H빔(30)의 상단부터 H빔(30) 혹은 고정용 C-형강에 볼트로 직결 설치하며, 누수 방지를 위해 H빔(30)과 벽체패널(50)의 이음부에 코킹 처리한다.
또한, 상기 내장패널(60) 및 소음차폐판(70)의 설치는 내장패널(60) 횡지지 ㄷ바를 횡방향으로 수평의 레벨을 정확히 실측하여 설치하며, 상기 내장패널(60) 횡지지 ㄷ바에 내장패널(60)을 삽입 볼트를 사용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벽체패널(50)의 투명패널(52)과 내장패널(6))의 접합부는 미관을 고려하여 특수 제작된 투명 프레임을 적용 마감한다.
선형 시공에 유의하며 경사패널이 발생하는 구간은 별도 실측하여 제작된 패 널(50, 60)을 슬롯 홀에 볼트 고정한다.
소음차폐판(70)의 고정용 T바를 지붕 골조 H빔(30)의 날개빔 사이에 삽입 볼트 고정한다.
현장 조립된 소음차폐판(70)을 T바의 날개빔에 앉히고 볼트 고정하며, 소음차폐판(70)의 선형에 유의하며 비규격 및 경사 소음차폐판(70)이 발생하는 구간은 실측하여 제작된 패널(50, 60, 80)을 슬롯 홀에 볼트 고정하며, 내장패널(60)과 소음차폐판(70)의 선형을 조정하며 마감한다.
한편, 마감시공은 경량지붕 차음재(80)와 벽체패널(50)의 접합부를 누수 및 소음차단의 목적으로 코킹 마감하며, 앵커볼트(22)를 가리기 위해 단부 마감용 안전표지판을 현장 여건에 맞게 제작하여 가림 시공한 후, 주변을 정리 및 청소하여 마감한다.
[실시예 2] T형 시스템
도 29 내지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음저감용 방음터널은 가운데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소정의 높이 및 폭으로 이루어지며, 콘크리트가 타설 양생된 한 쌍의 기초콘크리트층(10)과; 상기 각각의 기초콘크리트층(10)에 앵커볼트(22)로 고정 설치되는 기초판(20)과; 상기 각각의 기초판(20) 상을 가로질러 볼트 및 너트로 고정 설치되는 H빔(30)과; 상기 H빔(30) 상단에 볼트 및 너트로 고정 설치되는 경량 막구조 지붕재(90)와; 상기 경량 막구조 지붕재(90)로부터 하부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볼트 및 너트로 고정 설치되는 벽체패널(50)과; 상기 H빔(30)의 내측에 볼트 및 너트로 고정 설치되는 내장패널(60) 및 소음차폐판(70)으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소음저감용 방음터널은 기초콘크리트층(10), 기초판(20), 경량 막구조 지붕재(90), 벽체패널(50), 내장패널(60) 및 소음차폐판(70)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경량 막구조 지붕재(90)는 고강도 알루미늄 형태의 구조물과 고강도 탄력의 막재 삽입 막구조물로써 설치ㆍ해체가 용이하며 설압, 풍압에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구조로서, 특수막 긴장공법으로 응력분산을 제어하는 방식으로서, 막재(FABRIC)를 삽입할 수 있는 구조와 형태로 알루미늄 형재를 제작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소음저감용 방음터널 시공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음저감용 방음터널 시공방법은 가운데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소정의 높이 및 폭으로 지면콘크리트층(C)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지면콘크리트층(C)의 인접한 소정의 공간에서 방음터널(T)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지면콘크리트층(C)에 파일기초(160)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제작된 방음터널(T)을 파일기초(16))상에 설치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T형 방음터널(T) 제작단계는 H빔(30)의 상단부에 볼트 및 너트로 경량 막구조 지붕재(90)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경량 막구조 지붕재(90)의 하단부 H빔(30)에 볼트 및 너트로 벽체패널(50)을 고정 설치하며, 상기 H빔(30)의 내측에 볼트 및 너트로 내장패널(60) 및 소음차폐판(70)을 고정 설치하며, 상기 벽체패널(50)의 접합부를 누수 및 소음 차단을 위해 코킹 마감하여 제작한다.
또한, 상기 T형 방음터널(T) 설치단계는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기초(160)상에 연결재(100)를 볼트로 고정 설치하고, 상기 연결재(100)상에 레일 지지대(110)를 설치하고, 상기 레일 지지대(110)상에 레일(120)을 설치하며, 방음터널(T)을 형성하는 각각의 H빔(30)에 용접 부착되는 기초판(20)의 하단에 롤러(130)를 고정 설치하고, 레일(120) 상에 안착시킨 후, 상기 방음터널(T)을 각각의 파일기초(160) 상단부까지 밀어서 이동시켜, H빔(30)과 파일기초(160)와의 수직선상에서 연결재(100)와 레일지지대(110),레일(120),롤러(130)을 순차적으로 해체하면, 기초판(20)과 파일기초(160)가 접촉하게 되고, 이를 용접 고정한 후, 상기 용접된 기초판(20)과 파일기초(160)간에 걸쳐 거푸집(140)을 설치하고, 상기 거푸집(140)내에 콘크리트(150)를 타설 및 양생시켜 기초콘크리트층(10)을 형성하고, 상기 기초판(20)을 앵커볼트(22)로 기초콘크리트층(10)에 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앵커볼트(22)는 구조설계에 따라 H빔(30) 1개소당 4개 혹은 6개 기초콘크리트층(10)에 설치하되, 앵커볼트(22) 설치간격은 중심점이 각각 2,000∼3000mm(L=3M 기준) 간격으로 수직, 수평을 맞추어 기존 철근에 용접하여 설치하며, 앵커볼트(22)가 구조물에서 노출되는 길이는 와셔, 너트를 조이고 나서 10mm 정도 여유있게 높이를 정한다.
또한, 상기 H빔(30)은 패널(50, 60) 마감선의 수평을 확인하고, 높은 부분은 절단하고 낮은 부분은 무수축 모르타르로 마감하여 기초판(20)과 패널(50, 60)이 완전히 밀착되게 H빔(30)을 설치하며, 수직 수평을 맞춘 후 너트로 조인 후, 지붕 골조용 H빔(30)을 양쪽 H빔(30)의 이음부에 정확히 밀착, 고장력 볼트로 연결, 고 정하는 한편, 변위 방지용 타이 채널을 지붕 골조 H빔(30)에 수평 간격을 정확히 맞추며 고장력 체결한다.
이어서, 상기 경량 막구조 지붕재(90) 설치는 막재 삽입을 위해 H빔(30)의 아치 상부에 도달할 수 있는 3ton 이상의 무게를 들어올릴 수 있는 고소작업대와 8명의 작업자가 필요하며, 고소작업대에 4명의 작업자와 막재를 적재하여 아치의 최상부에 도달하여 삽입될 막재의 인장용 고리 2개에 로프를 연결하여 지면에 있는 4명의 작업자에게 전달하되, 로프는 인장대 위에 있어야 한다.
또한, 막재의 양쪽 끝부분의 레일이 알루미늄 멤브레인 리테이너와 H빔(30)의 사이에 형성된 홈으로 1m 정도 들어가게 함과 동시에 막재가 균형을 이루며 삽입되는지 확인한 후 상부의 막재를 홈으로 밀어 넣음과 동시에 지면의 막재에 연결된 로프를 균일하게 당겨 막재를 지면까지 끌어내린 후, 상층부의 막재의 중간점이 아치구조물의 중앙에 위치하면 당김 작업을 중지시키고 막재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알루미늄 멤브레인 리테이너와 H빔(30) 사이의 공간에 스톱파를 사용하여 막재를 고정한다.
동일한 방법으로 반대편 쪽의 막재 삽입 작업을 진행한다. 막재 삽입이 종료된 아치구조물의 상부캡을 볼트를 사용하여 고정한다. 유압 인장기를 사용하여 막재를 수직방향으로 인장 시킨 후 막재의 되끌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톱파를 사용하여 막재를 고정한다.
수직인장이 된 아치구조물의 하부캡을 볼트를 사용하여 고정한다. 아치구조물 상부에서 시작하여 막재를 인장하기 위해 빔(30) 사이에 결속된 인장대의 인장 용 바를 고정하고 있는 볼트를 제거한다. 인장대와 빔(30) 사이에 유압잭을 놓고 바의 다음 구멍이 나올 때까지 인장을 가한다.
다음 구멍이 인장대의 구멍과 일치하면 볼트를 설치하고 유압잭을 제거한다. 인장이 완료된 아치구조물은 기초판(20)을 설치면에 말뚝이나 앵커볼트(22) 등을 이용하여 고정한다. 필요하면 공기압에 의한 들뜸 방지를 위하여 막 구조물 상부를 일부 열어 공기압의 저항을 없애는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H빔(30)에 별도의 차음패널을 부착하여 설치하는 구조로 한다.
알루미늄 구조는 하부 구조물과 연결하되 브라켓을 사용하여 구조의 일체화가 되도록 설치된다.
한편, 상기 벽체패널(50) 설치는 벽체패널(50)의 연결 후크를 이용하여 H빔(30)의 상단부터 H빔(30) 혹은 고정용 C-형강에 볼트로 직결 설치하며, 누수 방지를 위해 H빔(30)과 벽체패널(50)의 이음부에 코킹 처리한다.
또한, 상기 내장패널(60) 및 소음차폐판(70)의 설치는 내장패널(60) 횡지지 ㄷ바를 횡방향으로 수평의 레벨을 정확히 실측하여 설치하며, 상기 내장패널(60) 횡지지 ㄷ바에 내장패널(60)을 삽입 볼트를 사용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벽체패널(50)의 투명패널(52)과 내장패널(60)의 접합부는 미관을 고려하여 특수 제작된 투명 프레임을 적용 마감한다.
선형 시공에 유의하며 경사패널이 발생하는 구간은 별도 실측하여 제작된 패널(60)을 슬롯 홀에 볼트 고정한다.
소음차폐판(70)의 고정용 T바를 지붕 골조 H빔(30)의 날개빔 사이에 삽입 볼트 고정한다.
현장 조립된 소음차폐판(70)을 T바의 날개빔에 앉히고 볼트 고정하며, 소음차폐판(70)의 선형에 유의하며 비규격 및 경사 소음차폐판(70)이 발생하는 구간은 실측하여 제작된 경량 막구조 지붕재(90)의 슬롯 홀에 볼트 고정하며, 내장패널(60)과 소음차폐판(70)의 선형을 조정하며 마감한다.
한편, 마감시공은 경량 막구조 지붕재(90)와 벽체패널(50)의 접합부를 누수 및 소음차단의 목적으로 코킹 마감하며, 앵커볼트(22)를 가리기 위해 단부 마감용 안전표지판을 현장 여건에 맞게 제작하여 가림 시공한 후, 주변을 정리 및 청소하여 마감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음저감용 방음터널 및 이의 시공방법은 음향설계 기법에 의한 효율적인 설계 및 구조물의 경량화로 경제성을 추구하며, 내외장 패널의 부분교체가 용이하게 하여 유지보수가 쉽게 적용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외장패널을 금속재와 목재를 모두 설치가능토록 하여 H빔 노출문제 해결 및 배면에 컬러디자인을 도입하여 미관을 도모하며, 초기 설계시 효율적인 흡음면적의 산출로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내외장 패널 설치가 가능하여, 교통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동시에, 교통 통제 없이 주행 중인 도로상에서 시공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가운데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소정의 높이 및 폭으로 이루어지며, 콘크리트가 타설 양생된 한 쌍의 기초콘크리트층(10)과; 상기 각각의 기초콘크리트층(10)에 앵커볼트(22)로 고정 설치되는 기초판(20)과; 상기 각각의 기초판(20) 상을 가로질러 아치형상으로 볼트 및 너트로 고정 설치되는 H빔(30)과; 상기 H빔(30)의 상단부에 볼트 및 너트로 고정 설치되며, 투명패널(42) 및 외장패널(44)로 이루어지는 지붕재패널(40)과; 상기 지붕재패널(40)의 하단부에 위치된 H빔(30)에 볼트 및 너트로 고정 설치되며, 외장패널(52), 투명패널(54)로 이루어지는 벽체패널(50)과; 상기 H빔(30)의 내측에 볼트 및 너트로 고정 설치되는 내장패널(60)과; 상기 H빔(30)의 상단부 내측에 볼트 및 너트로 고정 설치되는 소음차폐판(7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용 방음터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패널(44)은 금속패널과 목재패널이 각각 단독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혼합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용 방음터널.
  3. 가운데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소정의 높이 및 폭으로 이루어지며, 콘크리트가 타설 양생된 한 쌍의 기초콘크리트층(10)과; 상기 각각의 기초콘크리트층(10)에 앵커볼트(22)로 고정 설치되는 기초판(20)과; 상기 각각의 기초판(20) 상을 가로질러 볼트 및 너트로 고정 설치되는 H빔(30)과; 상기 H빔(30)의 상단부에 볼트 및 너트로 고정 설치되는 경량지붕 차음재(80)와; 상기 경량지붕 차음재(80)의 하단의 H빔(30)에 볼트 및 너트로 고정 설치되는 벽체패널(50)과; 상기 H빔(30)에 고정 설치되는 내장패널(60) 및 소음차폐판(7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용 방음터널.
  4. 가운데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소정의 높이 및 폭으로 이루어지며, 콘크리트가 타설 양생된 한 쌍의 기초콘크리트층(10)과; 상기 각각의 기초콘크리트층(10)에 앵커볼트(22)로 고정 설치되는 기초판(20)과; 상기 각각의 기초판(20) 상을 가로질러 볼트 및 너트로 고정 설치되는 H빔(30)과; 상기 H빔(30) 상단에 볼트 및 너트로 고정 설치되는 경량 막구조 지붕재(90)와; 상기 경량 막구조 지붕재(90)로부터 하부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볼트 및 너트로 고정 설치되는 벽체패널(50)과; 상기 H빔(30)의 내측에 볼트 및 너트로 고정 설치되는 내장패널(60) 및 소음차폐판(7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용 방음터널.
  5. 삭제
  6. 가운데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소정의 높이 및 폭으로 지면콘크리트층(C)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지면콘크리트층(C)의 인접한 소정의 공간에서 방음터널(T)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지면콘크리트층(C)에 파일기초(160)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제작된 방음터널(T)을 파일기초(16))상에 설치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소음저감용 방음터널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음터널(T) 제작단계는 H빔(30)에 투명패널(42) 및 외장패널(44)로 이루어진 지붕재패널(40)를 볼트 및 너트로 설치하며, 상기 H빔(30)의 지붕재패널(40)의 하단부에 벽체패널(50)을 볼트 및 너트로 고정 설치하며, 상기 H빔(30)의 내측에 내장패널(60) 및 소음차폐판(70)을 볼트 및 너트로 고정 설치하며, 상기 지붕재패널(40)과 벽체패널(50)의 접합부를 누수 및 소음 차단을 위해 코킹 마감하므로써 자연적으로 배수로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용 방음터널 시공방법.
  7. 가운데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소정의 높이 및 폭으로 지면콘크리트층(C)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지면콘크리트층(C)의 인접한 소정의 공간에서 방음터널(T)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지면콘크리트층(C)에 파일기초(160)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제작된 방음터널(T)을 파일기초(16))상에 설치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소음저감용 방음터널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음터널(T) 제작단계는 H빔(30)에 볼트 및 너트로 경량지붕 차음재(80)를 설치하고, 상기 경량지붕 차음재(80) 하단의 H빔(30)에 볼트 및 너트로 벽체패널(50)을 설치하며, 상기 H빔(30)에 볼트 및 너트로 내장패널(60) 및 소음차폐판(70)을 설치하며, 상기 벽체패널(50)의 접합부를 누수 및 소음 차단을 위해 코킹 마감하여 제작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용 방음터널 시공방법.
  8. 가운데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소정의 높이 및 폭으로 지면콘크리트층(C)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지면콘크리트층(C)의 인접한 소정의 공간에서 방음터널(T)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지면콘크리트층(C)에 파일기초(160)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제작된 방음터널(T)을 파일기초(16))상에 설치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소음저감용 방음터널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음터널(T) 제작단계는 H빔(30)의 상단부에 볼트 및 너트로 경량 막구조 지붕재(90)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경량 막구조 지붕재(90)의 하단부 H빔(30)에 볼트 및 너트로 벽체패널(50)을 고정 설치하며, 상기 H빔(30)의 내측에 볼트 및 너트로 내장패널(60) 및 소음차폐판(70)을 고정 설치하며, 상기 벽체패널(50)의 접합부를 누수 및 소음 차단을 위해 코킹 마감하여 제작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용 방음터널 시공방법.
  9. 가운데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소정의 높이 및 폭으로 지면콘크리트층(C)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지면콘크리트층(C)의 인접한 소정의 공간에서 방음터널(T)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지면콘크리트층(C)에 파일기초(160)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제작된 방음터널(T)을 파일기초(16))상에 설치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소음저감용 방음터널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음터널(T) 설치단계는 파일기초(160)상에 연결재(100)를 볼트로 고정 설치하고, 상기 연결재(100)상에 레일 지지대(110)를 설치하고, 상기 레일 지지대(110)상에 레일(120)을 설치하며, 방음터널(T)을 형성하는 각각의 H빔(30)에 용접 부착되는 기초판(20)의 하단에 롤러(130)를 고정 설치하고, 레일(120) 상에 안착시킨 후, 상기 방음터널(T)을 각각의 파일기초(160) 상단부까지 밀어서 이동시켜, H빔(30)과 파일기초(160)와의 수직선상에서 연결재(100)와 레일지지대(110),레일(120),롤러(130)을 순차적으로 해체하면, 기초판(20)과 파일기초(160)가 접촉하게 되고, 이를 용접 고정한 후, 상기 용접된 기초판(20)과 파일기초(160)간에 걸쳐 거푸집(140)을 설치하고, 상기 거푸집(140)내에 콘크리트(150)를 타설 및 양생시켜 기초콘크리트층(1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초판(20)을 앵커볼트(22)로 기초콘크리트층(10)에 고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용 방음터널 시공방법.
KR1020060071196A 2006-07-28 2006-07-28 소음저감용 방음터널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712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1196A KR100712833B1 (ko) 2006-07-28 2006-07-28 소음저감용 방음터널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1196A KR100712833B1 (ko) 2006-07-28 2006-07-28 소음저감용 방음터널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2833B1 true KR100712833B1 (ko) 2007-05-02

Family

ID=38269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1196A KR100712833B1 (ko) 2006-07-28 2006-07-28 소음저감용 방음터널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2833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8956B1 (ko) 2012-09-19 2014-03-04 주식회사 태건 평면 패널을 이용한 곡면 방음 시설물
KR101530046B1 (ko) * 2013-10-01 2015-06-19 주식회사 픽슨 파형강판을 이용한 방음터널
KR20170025186A (ko) 2015-08-27 2017-03-08 테크스타 코리아 주식회사 트러스형 방음터널 구조물
KR101736811B1 (ko) * 2014-01-24 2017-05-17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경량 방음 터널
KR101946959B1 (ko) * 2018-04-30 2019-02-12 한국씨엠이엔지(주) 교량용 터널
CN110512538A (zh) * 2019-08-28 2019-11-29 深圳市双禹王声屏障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拱形全封闭式隔音屏障
KR20200052149A (ko) 2018-11-06 2020-05-14 김경환 U형 강재를 이용한 방음터널의 방음판 조립체
CN112796241A (zh) * 2019-11-13 2021-05-14 西藏中驰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新型结构的全封闭声屏障
KR20220086295A (ko) 2020-12-16 2022-06-23 (주)경서 내진구조를 가진 방음터널
KR20230134290A (ko) 2022-03-14 2023-09-21 주식회사 케이지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단면보강구조를 갖는 경량 방음터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92911U (ja) 1983-06-06 1984-12-21 ピ−・エス・コンクリ−ト株式会社 プレキヤストコンクリ−ト製スノ−シエルタ−
KR200260044Y1 (ko) 2001-09-10 2002-01-10 주식회사 건화엔지니어링 고층건물의 소음방지용 아치형 도로 방음벽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92911U (ja) 1983-06-06 1984-12-21 ピ−・エス・コンクリ−ト株式会社 プレキヤストコンクリ−ト製スノ−シエルタ−
KR200260044Y1 (ko) 2001-09-10 2002-01-10 주식회사 건화엔지니어링 고층건물의 소음방지용 아치형 도로 방음벽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380479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8956B1 (ko) 2012-09-19 2014-03-04 주식회사 태건 평면 패널을 이용한 곡면 방음 시설물
KR101530046B1 (ko) * 2013-10-01 2015-06-19 주식회사 픽슨 파형강판을 이용한 방음터널
KR101736811B1 (ko) * 2014-01-24 2017-05-17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경량 방음 터널
KR20170025186A (ko) 2015-08-27 2017-03-08 테크스타 코리아 주식회사 트러스형 방음터널 구조물
KR101946959B1 (ko) * 2018-04-30 2019-02-12 한국씨엠이엔지(주) 교량용 터널
KR20200052149A (ko) 2018-11-06 2020-05-14 김경환 U형 강재를 이용한 방음터널의 방음판 조립체
CN110512538A (zh) * 2019-08-28 2019-11-29 深圳市双禹王声屏障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拱形全封闭式隔音屏障
CN110512538B (zh) * 2019-08-28 2021-05-28 深圳市双禹王声屏障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拱形全封闭式隔音屏障
CN112796241A (zh) * 2019-11-13 2021-05-14 西藏中驰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新型结构的全封闭声屏障
KR20220086295A (ko) 2020-12-16 2022-06-23 (주)경서 내진구조를 가진 방음터널
KR20230134290A (ko) 2022-03-14 2023-09-21 주식회사 케이지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단면보강구조를 갖는 경량 방음터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2833B1 (ko) 소음저감용 방음터널 및 이의 시공방법
PL193842B1 (pl) Zestaw do mocowania płyt okładzinowych
CN211713729U (zh) 组合式全封闭声屏障
KR20020036927A (ko) 외벽 오픈조인트 구조 및 그 시공방법
WO2011018056A1 (en) Construction module for demountable prefabricated buildings
CN108952050B (zh) 石膏复合板隔音饰面墙及其施工方法
KR200417221Y1 (ko) 파형 강판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아치 패널
CN112726898B (zh) 一种清水砖外墙防水保温体系和施工方法
JP4077358B2 (ja) 構造物の側面と下面を覆うパネルカバーとその設置方法
WO2018116030A1 (en) Method for covering building walls and structure for supporting wall covers
CN109339355B (zh) 采用alc板做结构板的铝板屋面防水节点的施工方法
RU131752U1 (ru) Энергоэффективное здание
KR20110037663A (ko) 건물 내외장재를 지지하기 위한 트러스 구조물
CN209975897U (zh) 一种轻钢建筑防水女儿墙
WO2018107187A1 (en) Method of erecting a multilayer exterior wall of a building
KR20050034978A (ko) 평면, 곡면 및 각형 구조물 방수 겸 보수보강공법
KR200312362Y1 (ko) 내외장패널 조립용 서브프레임과 패널시스템
CN211815687U (zh) 组合式单悬臂声屏障
KR200445758Y1 (ko) 전천후 시공이 간편하고 완벽한 단열,방수 Al패널
US20140026507A1 (en) Modular Frontage
JPH02200940A (ja) 内外壁複合壁パネル
Nacheman The Empire State Building Facade: Evaluation and Repair of an Engineering Landmark
JP7363514B2 (ja) 化粧幕板材、外壁補修構造及び外壁材の補修方法
CN216713451U (zh) 一种钢结构建筑用预装配式外墙
RU2777236C1 (ru) Модульная многослойная навесная фасадная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её монтаж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