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7663A - 건물 내외장재를 지지하기 위한 트러스 구조물 - Google Patents

건물 내외장재를 지지하기 위한 트러스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7663A
KR20110037663A KR1020090095197A KR20090095197A KR20110037663A KR 20110037663 A KR20110037663 A KR 20110037663A KR 1020090095197 A KR1020090095197 A KR 1020090095197A KR 20090095197 A KR20090095197 A KR 20090095197A KR 20110037663 A KR20110037663 A KR 201100376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ss structure
vertical
building
vertical members
interi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5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곤
Original Assignee
(주)하나강구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나강구조 filed Critical (주)하나강구조
Priority to KR1020090095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37663A/ko
Publication of KR20110037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76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0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the wall
    • E04F13/0808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the wall adjustable in several directions one of which is perpendicular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04B1/6812Compressable seals of solid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2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 E04F13/082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engaging side holes preformed into the cove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건물 내외장재를 지지하기 위한 트러스 구조물이 개시된다. 개시된 트러스 구조물은 건물의 층별 슬라브 또는 층간 옹벽에 고정되는 다수의 수직부재; 상기 다수의 수직부재에 직각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수평부재; 상기 수직부재에 볼트 체결되어 건물 내외장재를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지지브라켓; 상기 다수의 수직부재 전방을 커버하는 다수의 빗물차단플레이트; 및 상기 빗물차단플레이트와 수직부재의 체결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체결부분으로 빗물이 스며드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수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수직부재 및 수평부재는 볼트가 탄력적으로 결합되는 버링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트러스, 내외장재, 건물, 방수, 차수, 수밀, 빗물

Description

건물 내외장재를 지지하기 위한 트러스 구조물{Truss structure of wallboard for building}
본 발명은 트러스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물의 층별 슬라브 사이에 고정되거나 층간 옹벽에 고정되어 건물의 외측 또는 내측에 설치되는 대리석 등의 석재로 이루어진 내외장재를 지지하기 위한 트러스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외장재를 지지하기 위한 트러스 구조물은 판 형상의 대리석으로 이루어진 외장재를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수직부재와, 이 다수의 수직부재를 서로 연결 고정하기 위해 수직부재에 대하여 직각으로 설치하는 수평부재를 구비한다. 이러한 수직 및 수평부재는 강성을 고려하여 대부분 단면이 사각 또는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진 파이프나 ㄷ-형강, C-형강을 사용하였다. 아울러 이들 수직 및 수평부재에는 습기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아연도금, 방청페인트 크롬도금 또는 아연-크롬도금 처리가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트러스 구조물을 통해 다음과 같이 외장재를 지지하였다. 다수의 수직부재를 브라켓을 통해 층별 슬라브 또는 층간 옹벽에 소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고정설치하고, 수평부재를 통해 다수의 수직부재를 서로 연결한 뒤, 지지 브라켓을 외장재의 높이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수평부재에 체결하여 외장재의 상/하단을 각각 지지하였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트러스 구조물은 외측에 설치되는 다수의 외장재 사이로 빗물이 유입되는 경우, 그대로 트러스 구조물을 통과하여 건물의 벽체로 스며들기 때문에 노후화된 건물인 경우 누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트러스 구조물의 일부 볼트 체결부분 등이 빗물에 노출됨에 따라 이 노출부분에서 부식이 진행됨에 따라 트러스 구조물의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국내특허등록 제374995호 및 국내등록실용신안 제438982호에 각각 개시된 트러스 구조물은 시공 시, 현장에서 수평 및 수직부재 간에 또는 파이프와 브라켓 간에 용접을 실시하여 상호 연결하였다. 그런데, 이와 같이 각 부재 간에 용접을 통해 연결함에 다음과 같은 문제점 들이 있었다.
즉, 용접시 트러스용 파이프의 온도가 상승하였다가 급격히 식으면서 용접부분에 용접응력이 발생하게 되어 휨현상이 발생하게 되므로 정밀한 시공을 기대하기 어려웠다. 또한 용접부위에 코팅된 부식방지용 도금재가 타거나 녹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이를 페인트로 마감하여도 파이프 내부에는 페인팅처리가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근본적인 대책이 될 수 없었다. 아울러 고층건물의 외벽시공 시 통상 작업자가 곤돌라를 타고 용접을 행하여야 하므로 용접 시 발생하는 불똥이 낙하함에 따라 아래에 적재된 자재등에 옮겨 붙을 경우 화재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이러한 트러스 구조물 시공 시 용접작업을 행함에 따라, 작업시간 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작업량이 늘어나는 것은 물론, 전력사용량이 크게 늘어 전체적인 시공비가 증가되는 문제가 있었다.
국내특허등록 제415374호 및 국내등록실용신안 제410714호에 각각 개시된 트러스 구조물은 용접을 피하고 볼트를 사용하여 조립하는 시공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들 종래기술은 창호 설치를 위한 영역을 확보하기 위해서 수평부재를 사용하는 경우 역시 종래와 마찬가지로 용접을 통해 각 부재를 연결하였으며, 더욱이 각 부재 간의 연결 시 일일이 너트와 와셔를 함께 사용해야 하므로 이 역시 많은 작업시간이 소요됨에 따라 작업이 지연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평9-273284호에는 수평 및 수직부재의 일측을 따라 각각 연장 형성된 채널형상의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나사홈에 나사를 체결함으로써 너트 없이 볼트 만으로 수평/수직 부재 및 브라켓을 체결하는 구성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기술은 수평/수직 부재 조립체에 지속적으로 진동 또는 충격이 반복적으로 가해지는 경우, 나사가 원 체결위치를 유지하지 못하고 나사홈을 따라 소정구간 슬라이딩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수의 외장재 사이로 유입되는 빗물이 건물의 벽체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는 차수기능을 가지는 건물 내외장재를 지지하기 위한 트러스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접작업을 생략하고 볼트 체결만을 이용하여 수직부 재, 수평부재 및 지지브라켓 들 간의 조립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는 건물 내외장재를 지지하기 위한 트러스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건물의 층별 슬라브 또는 층간 옹벽에 고정되는 다수의 수직부재; 상기 다수의 수직부재에 직각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수평부재; 상기 수직부재에 볼트 체결되어 건물 내외장재를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지지브라켓; 상기 다수의 수직부재 전방을 커버하는 다수의 빗물차단플레이트; 및 상기 빗물차단플레이트와 수직부재의 체결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체결부분으로 빗물이 스며드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수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수직부재 및 수평부재는 볼트가 탄력적으로 결합되는 버링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내외장재를 지지하기 위한 트러스 구조물을 제공한다.
상기 수밀부재는 수밀성이 뛰어난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고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밀부재는 상기 빗물차단플레이트와 상기 다수의 지지브라켓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빗물차단플레이트는 온도 변화에 따라 상기 다수의 수직부재와 함께 신축되도록 상기 다수의 수직부재가 서로 이어지는 부분에서 서로 인접한 상기 다수의 빗물차단플레이트가 상호 오버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다수의 빗물차단플레이트의 오버랩부분에 부착하여 다수의 빗물차단플레이트 간의 수밀을 유지하는 연결테이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링부는 그 주변부가 상기 버링부를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볼트를 상기 버링부에 체결함에 따라 주변부가 당겨짐에 따라 탄성력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버링부는, 상기 수직 및 수평부재에 관통구멍 천공 시 마찰열에 의해 가열될 때 압축공기를 섞어 오일을 분사함으로써 1차 열처리되고, 상기 버링부에 나사 탭 가공 시 마찰열에 의해 가열될 때 압축공기에 오일을 섞어 분사함으로써 2차 열처리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버링부는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탭은 전조 탭핑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링부의 길이는 상기 수직부재 및 수평부재를 형성하는 강판의 두께에 대하여 1∼2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수의 수직부재는 볼트에 의해 체결되는 제1 연결브라켓에 의해 상기 층별 슬라브 또는 상기 층간 옹벽에 고정되고, 상기 다수의 수평부재는 또 다른 볼트를 통해 제2 연결브라켓에 의해 상기 수직부재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수직부재를 가로지르도록 연속적으로 다수의 수직부재 간의 연결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다수의 수직부재와 볼트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다수의 석재 외장재와 트러스 사이에 설치된 다수의 빗물차단플레이트를 통해 다수의 석재 외장재 간에 벌어진 틈 사이로 유입되는 빗물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또한 지지브라켓이 체결되는 각 부분에 EPDM 고무로 형성되는 수밀부재를 배치함으로써 완벽한 수밀 유지할 수 있 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볼트 체결만으로 다수의 수직/수평부재와 지지브라켓 등을 연결함에 따라, 용접작업으로 인해 발생하는 전력사용량을 현격히 줄여 작업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더욱이 용접과 같이 숙련된 기술을 갖는 고급기술인력이 아니더라도 충분히 작업이 가능하므로 작업인력을 조달하기가 수월한 것을 물론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 구조물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 구조물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표시된 Ⅱ-Ⅱ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표시된 Ⅲ부분을 나타내는 확대도이고, 도 4는 수직 및 수평프레임의 연결부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 표시된 Ⅳ부분을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고, 도 6은 버링부에 볼트가 체결되기 전/후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고,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제1 연결브라켓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제1 연결브라켓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 및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 구조물은 다수의 수직부재(10), 수평부재(20), 지지프레임(30), 제1 연결브라켓(41), 제2 연결브라켓(42), 지지브라켓(50), 빗물차단플레이트(110,120) 및 수밀부재(140)를 포함한다.
수직부재(10)는, 도 2와 같이, 층별 슬라브(1,3)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데, 이 경우 수직부재(10)는 강성을 고려하여 단면이 대략 직사각형의 파이프로 이루어지며, 트러스 구조물 시공 시, 건물 외부로부터 건물을 향하여 발생하는 풍압에 견딜 수 있도록 수직부재(10)의 단변(短邊)이 건물의 전후방으로 배치되도록 수직부재(1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직부재(10)는 4면에 버링부(62, 도 4 참조)가 각 브라켓(41,42,50)의 체결부분에 선택적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버링부(62)는 건물의 디자인 또는 지지하기 위한 외장재의 크기나 모양을 고려하여 수직부재(10)의 4면 중 일부분에만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즉, 제1 및 제2 연결브라켓(41,42)이나 지지브라켓(50)이 체결될 위치에 1개의 버링부(62)를 형성하고, 현장 시공 시 버링부(62)의 설계상 가공위치에 대한 오차범위를 보완할 수 있도록 상기 버링부(62)의 아래위로 적어도 1개의 여유 버링부(62)를 더 형성할 수 있다.
더욱이, 수직부재(10)는 수직부재(10)끼리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는 경우, 도 3과 같이, 양측이 각각 서로 접하는 연결편(80)이 수직부재(10)의 외측을 감싸는 상태에서 볼트(65)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이 경우, 서로 접하는 수직부재(10)는 소정 간격(D)으로 이격된 상태로 연결되며, 상기 볼트(65)가 체결되는 체결공(81)은 수직부재(10)가 온도의 변화에 따라 길이가 가변되는 것을 고려하여 장공 형상으로 형성된다.
수평부재(20)는 주로 건물의 창호(5)가 시공될 영역을 확보함과 동시에 다수의 수직부재(10) 간의 측방향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견고한 연결을 행할 수 있다. 이러한 수평부재(20)는 도 4와 같이, 제2 연결브라켓(42)을 통해 다수의 수직부 재(10)에 직각방향으로 볼트 체결된다.
또한 수평부재(20)는 수직부재(10)와 마찬가지로 단면이 대략 사각형상의 파이프로 이루어지며 수평부재(20)의 4면 중 각 브라켓(41,42,50)의 체결부분에 선택적으로 형성된다.
지지프레임(30)은 다수의 수직부재(10)를 가로질러 연속적으로 다수의 수직부재(10)를 연결한다. 이 경우 지지프레임(30)은, 도 2와 같이, 제2 연결브라켓(42)을 통해 볼트(65)로 체결된다. 이러한 지지프레임(30)은 트러스 구조물이 풍압에 견디도록 일조를 하는 것과 동시에 수직부재(10) 간의 연결구조를 더욱 강화한다. 이러한 지지프레임(30)은 단면이 사각형상, L자 형상, ㄷ자 형상 등 다양한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용접을 통하지 않고 볼트 체결방식으로 다수의 수직부재(10)와 체결된다.
제1 연결브라켓(41)은, 도 2와 같이, 수직부재(10)를 슬라브(1,3)에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일측이 스터드 볼트(73)에 의해 슬라브(1,3)의 선단에 고정되고 타측이 볼트(65)를 통해 수직부재(10)에 체결된다. 이 경우, 수직부재(10)는 보조브라켓(43)을 통해 슬라브(1,3)를 지지하고 있는 H빔(7)에 고정되며, 수직부재(10)와 보조브라켓(43)이 볼트(65)로 체결되고, 보조브라켓(43)과 H빔(7)의 하단이 볼트(65)로 각각 체결된다.
이와 같은 제1 연결브라켓(41)은 단일 피스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도 7 및 도 8과 같이, 복수 개 즉, 제1 및 제2 피스(241,247)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제1 피스(241)는 대략 L자형상으로 절곡되며, 일측(241a)이 스터드볼트(73)를 통해 슬라브(3)에 고정되고 타측이(241b)이 고정볼트(249a)를 통해 제2 피스(247)과 연결된다. 이 경우 일측 및 타측(241a,241b)에는 각각 길이방향으로 장공(243a,243b)이 형성된다. 또한 타측(241b)에는 장공(243b) 주변을 따라 미끄럼방지돌기(245)가 형성되고, 평와셔(249c)에는 미끄럼방지돌기(245)와 대응하는 면에 소정의 미끄럼방지돌기(미도시)가 형성된다. 미설명부호 73a는 스터드볼트(73)에 체결되는 너트이다.
제2 피스(247)는 대략 U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좌/우측(247a,247b)은 각각 볼트(65)를 통해 수직부재(10)의 양측에 체결되고 중앙(247c)은 제1 피스(241)의 타측(241b)에 연결된다. 이 경우 좌/우측(247a,247b)에는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 장공(248a,248b)이 각각 형성되며, 중앙(247c)에는 좌/우측(247a,247b)의 장공(248a,248b)에 대략 직각방향으로 소정 길이의 장공(248c)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피스(241,247)로 이루어진 제1 연결브라켓을 사용하는 경우, 각각의 장공(243a;234b,248c;248a,248b)이 형성된 3부분에서 수평 및 수직위치의 조정이 가능하므로, 수직부재(10)의 고정위치 설정이 용이하다.
더욱이 제1 연결브라켓(41)은 단면이 직사각형인 파이프(141)로 이루어지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 경우, 별도의 브라켓(142)을 사용하여 파이프(145)와 수직부재(10), 파이프(145)와 슬라브(3)를 볼트체결로 연결한다.
제2 연결브라켓(42)은, 도 4와 같이, 대략 L자형상으로 절곡 형성되며, 양편에는 소정 길이의 장공(42a,42b)이 각각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2 연결브라켓(42) 은 볼트(65)를 통해 수직부재(10)에 체결된다.
지지브라켓(50)은, 도 3과 같이, 수직부재(10)에 설치되는 제1 부분(51)과, 외장재(9)의 선단을 지지하는 제2 부분(52)을 포함한다. 제1 부분(51)은, 도 5와 같이, 대략 L자형으로 절곡되며 양편에 볼트(65)가 관통하는 장공(51a,51b)이 각각 형성되고, 제2 부분(52)은 대략 평면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제1 부분(51)은 일측에 볼트(65)가 관통하는 장공(52a)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외장재(9)로 삽입되는 삽입봉(52b)이 상하로 돌출 형성된다. 이 경우, 제1 및 제2 부분(51,52)을 연결하는 볼트(70)에는 너트(71)를 체결하여 고정한다.
다수의 버링부(62)는 천공단계 및 나사탭가공단계의 2단계를 거쳐 형성된다.
먼저, 천공단계는 소정의 가공툴(미도시)을 이용하여 수직 및 수평부재(10,20)의 소정 위치에 버링부(62)를 형성하기 직전에 형성되는 관통구멍(61, 도 6 참조)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관통구멍(61)이 형성될 때 마찰열에 의해 관통구멍 주변과 버링부(62)를 급냉시키기 위해 구멍을 뚫는 동안 관통구멍(61)과 그 주변에 지속적으로 강한 압축공기에 오일을 섞어 분사한다. 이에 따라 관통구멍(61)과 함께 형성되는 버링부(62)에는 1차 열처리가 이루어진다.
아울러, 버링부(62)는 관통구멍(61)을 형성함과 동시에 관통구멍(61)의 주변부에 버링부(62)를 향해서 소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64)를 가공한다. 이 경사부(64)로 인해 버링부(62)는 수직부재(10)의 표면으로부터 소정 깊이의 갭(t)이 형성된다. 이 갭(t)은, 도 12와 같이, 버링부(62)에 볼트(65)를 체결 시 버링부(62)가 브라켓(42) 측으로 당겨짐에 따라 브라켓(42)이 수직부재(10)에 탄력적으 로 결합되며, 이로 인해 체결력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다.
나사탭가공단계는 버링부(62) 내주면에 나사 탭(63)을 형성하는 단계로, 버링부의 단면적이 손실됨이 없이 전조 탭가공을 행한다. 이 경우에도 소정의 탭핑툴(미도시)을 통해 탭핑을 실시함과 동시에 탭핑 시 발생하는 마찰열에 의해 가열되는 버링부(62)를 급냉시키기 위해 탭핑 가공을 하는 동안 지속적으로 강한 압축공기에 오일을 섞어 분사함으로써 버링부(62)에 2차 열처리를 행한다.
이와 같이 버링가공 중에 2차에 걸친 열처리를 통해 버링부(62) 및 나사 탭(63)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버링부(62)는 체결된 볼트(65)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그 길이(L)를 수직 및 수평부재(10,20)의 각각의 두께(t)에 대하여 대략 1∼2배 정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볼트(65)는 건물에 가해지는 미세진동에 의해 발생하는 볼트 풀림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건물 외장재를 설치하기 위한 트러스 구조물의 연결에 사용되는 보통나선을 갖는 볼트보다 가는나선을 갖는 볼트를 사용함으로써 진동에도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볼트(65)는, 도 5와 같이, 헤드(66)에 와셔 역할을 하는 플랜지부(67)가 형성되고,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풀림방지미늘(68)이 형성된다.
빗물차단플레이트(110,120)는 다수의 수직부재(10)의 전방을 전체적으로 커버함으로써 외장재(9) 후방에 배치되며, 시공성과 내구성을 함께 고려하여 얇은 두께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빗물차단플레이트(110,120)는 볼트(65)가 관통하는 관통구멍(111)이 형성되며, 이 볼트(65)에 의해 수직부재(10)에 고정된다.
또한 빗물차단플레이트(110,120)는 온도 변화에 따라 다수의 수직부재(10)와 함께 신축될 수 있도록, 다수의 수직부재(10)가 서로 이어지는 위치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서로 인접한 빗물차단플레이트(110,120)가 상호 오버랩부분(A, 도 3 참조)을 갖도록 일부가 겹쳐진다.
상기 오버랩부분(A)의 일부에는 빗물차단플레이트(110,120) 간의 수밀을 유지하도록 연결테이프(130)를 부착함으로써, 오버랩부분(A)을 통해 빗물의 유입되는 것을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연결테이프(130)는 빗물차단플레이트(110,120) 간의 고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수의 수밀부재(140)는 빗물차단플레이트(110,120)와 지지브라켓(50)의 제2 부분(52) 사이에 각각 설치된다. 이 경우 수밀부재(140)는, 도 5와 같이, 제2 부분(52), 빗물차단플레이트(110,120) 및 수직부재(10)의 체결부분에 각각 형성된 장공(42b) 및 관통구멍(61,111)으로 빗물이 스며드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수밀부재(140)는 탄력적이면서 수밀성이 뛰어난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고무를 사용한다. 이러한 수밀부재(140)는 볼트(65)가 관통하게 되면 자체 탄력에 의해 볼트(65)의 나사산(65a) 사이로 일부가 인입되면서 볼트(65)와 완전히 밀착된다. 이로써 빗물이 빗물차단플레이트(110,120)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더욱이 수밀부재(140)는 자체적으로 갖는 탄력성과 함께 표면이 다소 끈적거 림에 따라, 각각 금속재로 이루어진 지지브라켓(50)의 제2 부분(52)과 빗물차단플레이트(110,120) 사이에 배치되어 제2 부분(52)과 빗물차단플레이트(110,120) 간의 슬립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본 실시예에서는 내장재 및 외장재 중 외장재를 지지하는 것을 예로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내장재를 지지하는 경우에도 상술한 실시예와 같이 행해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본 실시예에서는 층별 슬라브(1,3) 사이에 옹벽이 없이 트러스 구조물을 설치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층간 옹벽이 타설되어 있는 경우에도 물론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옹벽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수직부재(10)를 옹벽(미도시)에 지지될 수 있도록 소정의 지지대(미도시)를 통해 수직부재(10)와 옹벽을 상호 연결하며, 이 경우에도 지지대와 수직부재(10) 간에는 볼트를 통해 상호 체결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 구조물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도 1에 표시된 Ⅱ-Ⅱ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도 2에 표시된 Ⅲ부분을 나타내는 확대도,
도 4는 수직 및 수평프레임의 연결부분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도 3에 표시된 Ⅳ부분을 나타내는 확대단면도,
도 6은 버링부에 볼트가 체결되기 전/후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제1 연결브라켓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제1 연결브라켓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 도면 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 수직부재 20: 수평부재
41: 제1 연결브라켓 42: 제2 연결브라켓
50: 지지브라켓 61: 관통구멍
62: 버링부 65: 볼트
110,120: 빗물차단플레이트 130: 연결테이프
140: 기밀부재

Claims (11)

  1. 건물의 층별 슬라브 또는 층간 옹벽에 고정되는 다수의 수직부재;
    상기 다수의 수직부재에 직각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수평부재;
    상기 수직부재에 볼트 체결되어 건물 내외장재를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지지브라켓;
    상기 다수의 수직부재 전방을 커버하는 다수의 빗물차단플레이트; 및
    상기 빗물차단플레이트와 수직부재의 체결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체결부분으로 빗물이 스며드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수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수직부재 및 수평부재는 볼트가 탄력적으로 결합되는 버링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내외장재를 지지하기 위한 트러스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밀부재는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고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내외장재를 지지하기 위한 트러스 구조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밀부재는 상기 빗물차단플레이트와 상기 다수의 지지브라켓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내외장재를 지지하기 위한 트러스 구조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빗물차단플레이트는 온도 변화에 따라 상기 다 수의 수직부재와 함께 신축되도록 상기 다수의 수직부재가 서로 이어지는 부분에서 서로 인접한 상기 다수의 빗물차단플레이트가 상호 오버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내외장재를 지지하기 위한 트러스 구조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빗물차단플레이트의 오버랩부분에 부착하여 다수의 빗물차단플레이트 간의 수밀을 유지하는 연결테이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내외장재를 지지하기 위한 트러스 구조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링부는 그 주변부가 상기 버링부를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볼트를 상기 버링부에 체결함에 따라 주변부가 당겨짐에 따라 탄성력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내외장재를 지지하기 위한 트러스 구조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버링부는, 상기 수직 및 수평부재에 관통구멍 천공 시 마찰열에 의해 가열될 때 압축공기를 섞어 오일을 분사함으로써 1차 열처리되고, 상기 버링부에 나사 탭 가공 시 마찰열에 의해 가열될 때 압축공기에 오일을 섞어 분사함으로써 2차 열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내외장재를 지지하기 위한 트러스 구조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버링부는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탭은 전조 탭핑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내외장재를 지지하기 위한 트러스 구조물.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버링부의 길이는 상기 수직부재 및 수평부재를 형성하는 강판의 두께에 대하여 1∼2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내외장재를 지지하기 위한 트러스 구조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수직부재는 볼트에 의해 체결되는 제1 연결브라켓에 의해 상기 층별 슬라브 또는 상기 층간 옹벽에 고정되고, 상기 다수의 수평부재는 또 다른 볼트를 통해 제2 연결브라켓에 의해 상기 수직부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내외장재를 지지하기 위한 트러스 구조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수직부재를 가로지르도록 연속적으로 다수의 수직부재 간의 연결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다수의 수직부재와 볼트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내외장재를 지지하기 위한 트러스 구조물.
KR1020090095197A 2009-10-07 2009-10-07 건물 내외장재를 지지하기 위한 트러스 구조물 KR201100376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5197A KR20110037663A (ko) 2009-10-07 2009-10-07 건물 내외장재를 지지하기 위한 트러스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5197A KR20110037663A (ko) 2009-10-07 2009-10-07 건물 내외장재를 지지하기 위한 트러스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7663A true KR20110037663A (ko) 2011-04-13

Family

ID=44045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5197A KR20110037663A (ko) 2009-10-07 2009-10-07 건물 내외장재를 지지하기 위한 트러스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3766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0141A (ko) * 2018-06-11 2019-12-1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물탱크 및 그 시공방법
KR102276732B1 (ko) * 2020-09-29 2021-07-13 (주)대승엔지니어링 모듈러 교실 지붕용 트러스 지지조인트
KR20220045394A (ko) 2020-10-05 2022-04-12 김병철 외장재용 트러스 연결부재
KR102640984B1 (ko) * 2023-04-19 2024-02-27 (주)한국건축구조연구원 스티프너 보강 절곡 앵글 화스너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0141A (ko) * 2018-06-11 2019-12-1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물탱크 및 그 시공방법
KR102276732B1 (ko) * 2020-09-29 2021-07-13 (주)대승엔지니어링 모듈러 교실 지붕용 트러스 지지조인트
KR20220045394A (ko) 2020-10-05 2022-04-12 김병철 외장재용 트러스 연결부재
KR102640984B1 (ko) * 2023-04-19 2024-02-27 (주)한국건축구조연구원 스티프너 보강 절곡 앵글 화스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68787B2 (ja) 双方向連続二重梁によって形成される三次元軽量鋼骨組
CN108678294B (zh) 一种装配式金属屋面屋脊节点及其安装方法
KR20110088812A (ko) 커튼월 시스템
KR20110037663A (ko) 건물 내외장재를 지지하기 위한 트러스 구조물
KR20020036927A (ko) 외벽 오픈조인트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050065915A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이 결합된 강판 전단벽
KR101275932B1 (ko) 에이엘씨 패널을 종방향으로 콘크리트 슬래브에 설치하는 방법
KR100614959B1 (ko) 커텐박스 결합구조체
KR100911172B1 (ko) 건물 내외장재를 지지하기 위한 트러스 구조물
JP5643608B2 (ja) 屋上設置物の固定方法及び固定構造
JPH0586671A (ja) 軽量気泡コンクリートパネル
CN209975752U (zh) 一体化预制墙板房屋结构
KR102007936B1 (ko) 선조립 철골조립체와 영구거푸집 패널의 고정 구조
CN206458000U (zh) 一种屋面彩钢瓦结构
JP2008038355A (ja) 既存外壁の改修構造
KR200421529Y1 (ko) 육상건축물 및 해양구조물의 건축용 조립식 객실의 일체형구조
JP2522093B2 (ja) 仕上げユニットパネル及びタイル貼りカ―テンウォ―ル
JP4974023B2 (ja) 接続用金物、建物の補強構造
CN210369570U (zh) 一种一体化免现浇构造柱
JP4450744B2 (ja) 外装仕上材の取付構造
KR20090112237A (ko) 건축물 외장재 고정장치
KR102627480B1 (ko) 단열성 내구성이 향상된 무용접 트러스 결합 구조체
KR200385720Y1 (ko) 조립식 외벽 패널 고정장치
CN215166821U (zh) 一种新型装配式墙体柔性连接结构
JPH09291591A (ja) 柱梁ブレース接続金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柱梁ブレース 接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