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0046B1 - 파형강판을 이용한 방음터널 - Google Patents

파형강판을 이용한 방음터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0046B1
KR101530046B1 KR1020130117476A KR20130117476A KR101530046B1 KR 101530046 B1 KR101530046 B1 KR 101530046B1 KR 1020130117476 A KR1020130117476 A KR 1020130117476A KR 20130117476 A KR20130117476 A KR 20130117476A KR 101530046 B1 KR101530046 B1 KR 1015300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ugated steel
finishing material
steel plate
steel shee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7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9262A (ko
Inventor
정성만
신강수
송헌영
조계성
임승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픽슨
주식회사 픽슨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픽슨, 주식회사 픽슨이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픽슨
Priority to KR1020130117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0046B1/ko
Priority to CN201310751036.9A priority patent/CN104514203B/zh
Publication of KR20150039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92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0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0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3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with undulated surf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7/00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 sand drifts, side-wind effects,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Anti-dazzle arrangements ; Sight-screens for roads, e.g. to mask accident site
    • E01F7/02Snow fences or similar devices, e.g.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and drifts or side-wind effects
    • E01F7/02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otecting against wind, e.g. screens, deflectors or attenuators at tunnel or lock entranc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17Plate-lik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3Details, e.g.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38Waterproofing; Heat insulating; Soundproofing; Electric insul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형강판을 이용한 방음터널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골부와 산부가 형성되어지는 가운데 길이방향으로 벤딩된 파형강판과 투광판이 터널의 길이 방향으로 반복되게 결합되어지는 파형강판을 이용한 방음터널에 있어서, 상기 파형강판은 골부와 산부가 길이방향으로 연속되게 형성된 단위파형강판의 길이방향과 폭방향의 가장자리에 각각 길이관통홀과 폭관통홀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단위파형강판이 길이방향으로 맞대어져 폭관통홀을 관통한 볼트에 너트가 결합되는 것이 반복되어 아치구조를 갖도록 형성되어지고, 상기 투광판은 상기 파형강판의 일측과 파형강판의 타측 사이에 고정구로 결합되어 상기 파형강판과 동일한 아치형태의 아치구조로 형성되되, 상기 고정구는 단위파형강판의 길이방향 가장자리 상,하부로 각각 상부마감재와 하부마감재가 맞대어지고, 상기 하부마감재의 하부에 가로방향으로 하부지지대의 단부가 맞대어지고, 와셔가 끼워진 볼트가 하부에서 상부를 향하여 하부지지대와 하부마감재 및 단위파형강판에 형성된 길이관통홀을 관통하여 너트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상부마감재와 하부마감재 사이에 상기 투광판이 안착되게 끼워져 상부마감재를 관통한 고정나사가 하부마감재에 나사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친환경적인 가운데 구조적으로 충분한 강도를 갖도록 하여 안전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충분한 채광성이 확보되어지도록 하는 가운데 미관이 수려해지도록 하여 주변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파형강판의 내측면에 의하여 소음이 반사되어 소음원이 더 차단되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파형강판을 이용한 방음터널{Using a corrugated steel soundproofing tunnel}
본 발명은 파형강판을 이용한 방음터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파형강판을 이용하여 구조적으로 안정되어 풍하중과 설하중에 충분하게 견딜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미관이 수려해지도록 하고, 아울러 파형강판 사이에 투광판이 구비되어지도록 하여 채광성이 확보되어지는 가운에 소음원이 더 차단되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속철도나 고속화 도로를 운행하는 차량 등이 주변 주택 밀집지역 등을 통과하는 경우 진동과 소음으로 인하여 많은 문제가 야기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서는 방음시설에 대한 대책이 필수적이다. 특히, 도시철도나 도심 고속화도로의 경우에는 주택밀집지역을 통과하는 경우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도로에서 주거지역까지의 거리가 멀지 않아 소음공해로 인한 민원이 점점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민원에 대비하기 위해서나 혹은 환경기준에 맞추기 위해 도심의 고층 빌딩지역이나 고층 아파트 단지를 통과하는 고가도로 등에 방음시설로서 방음벽 또는 방음터널 등을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고층아파트 주변에 설치된 방음벽의 경우 효과적인 방음을 하기 위해서는 그 높이가 매우 증가되어야 하므로 이에 따른 풍하중의 영향으로 높이를 제한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방음벽이 갖는 구조적인 문제점을 보완 하기 위한 보다 효과적인 소음대책으로서 방음터널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방음터널은 형태에 따라 상부가 완전히 밀폐되는 완전터널형 또는 상부가 개방되는 반터널형으로 구분되며, 완전터널형이나 또는 반터널형 모두 터널 내부에서 발생된 소음을 저감시켜 방음효율을 높이기 위한 방음패널을 조합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방음터널은 H빔을 이용한 터널 구조체의 내측 벽면에 흡음재가 수용된 다공판으로 이루어진 방음패널이 가설되어 발생되는 소음이 저감되어지게 되나, 음에너지의 소산을 촉진시키기 위해 사용되어지는 흡음재가 유리섬유와 폴리우레탄 폼으로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유리섬유의 비산문제로 인하여 환경공해차원에서 법적으로 사용을 규제하고 있고, 폴리우레탄 폼의 경우 화재에 취약하기 때문에 안전성 측면에서 밀폐된 공간에서의 사용을 금하고 있다.
이러한 유리섬유와 폴리우레탄 폼은 중, 고주파수 대역의 소음은 탁월한 흡음성능을 갖지만, 전동차나 자동차와 같은 구동기기에서 발생하는 저주파수 대역의 소음을 방음시키는 데에는 적용의 한계성을 갖는다.
본 발명은 친환경적인 가운데 구조적으로 충분한 강도를 갖도록 하여 안전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충분한 채광성이 확보되어지도록 하는 가운데 미관이 수려해지도록 하여 주변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파형강판의 내측면에 의하여 소음이 반사되어 소음원이 더 차단되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골부(11)와 산부(12)가 형성되어지는 가운데 길이방향으로 벤딩된 파형강판(10)과 투광판(20)이 터널의 길이 방향으로 반복되게 결합되어지는 파형강판을 이용한 방음터널(A)에 있어서, 상기 파형강판(10)은 골부(11)와 산부(12)가 길이방향으로 연속되게 형성된 단위파형강판(13)의 길이방향과 폭방향의 가장자리에 각각 길이관통홀(131)과 폭관통홀(132)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단위파형강판(13)이 길이방향으로 맞대어져 폭관통홀(132)을 관통한 볼트(B)에 너트(N)가 결합되는 것이 반복되어 아치구조를 갖도록 형성되어지고, 상기 투광판(20)은 상기 파형강판(10)의 일측과 파형강판(10)의 타측 사이에 고정구(30)로 결합되어 상기 파형강판(10)과 동일한 아치형태의 아치구조로 형성되되, 상기 고정구(30)는 단위파형강판(13)의 길이방향 가장자리 상,하부로 각각 상부마감재(31)와 하부마감재(32)가 맞대어지고, 상기 하부마감재(32)의 하부에 가로방향으로 하부지지대(33)의 단부가 맞대어지고, 와셔(W)가 끼워진 볼트(B)가 하부에서 상부를 향하여 하부지지대(33)와 하부마감재(32) 및 단위파형강판(13)에 형성된 길이관통홀(131)을 관통하여 너트(N)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상부마감재(31)와 하부마감재(32) 사이에 상기 투광판(20)이 안착되게 끼워져 상부마감재(31)를 관통한 고정나사(S)가 하부마감재(32)에 나사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투광판(20)의 상부에 상부지지대(34)가 안착되어지되, 상기 상부지지대(34)의 양측 단부는 상기 단위파형강판(13)의 길이관통홀(131)을 관통한 볼트(B)가 관통되어 너트(N)로 고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지지대(33)와 상부지지대(34)는 아연도금된 각파이프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투광판(20)과 맞대어지는 하부지지대(33)의 상부와 상부지지대(34)의 하부에 각각 가스켓(G)이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지지대(34)는 양측 단부에 하부가 개방된 찬넬형 고정편(341)이 형성되어 단위파형강판(13)의 상부로 노출된 너트(N)가 덮혀지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편(341)에 관통홀(342)이 형성되어 볼트(B)가 관통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마감재(32)는 높이에 비해 폭이 넓은 중공형태를 가지며 하부는 평평하게 형성되어지며, 상부는 주름요철(321)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하부와 상부 사이의 공간에 보강살(322)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볼트(B)가 관통되는 볼트홀(323)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마감재(31)는 폭과 깊이가 상이한 요철부(311)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투광판(20)은 폴리카보네이트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골부와 산부를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벤딩된 파형강판과 투광판이 터널의 길이 방향으로 반복되게 결합되어지도록 함으로써, 파형강판에 의하여 구조적으로 충분하게 안전감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를 통해 풍하중과 설하중에도 충분하게 저항할 수 있도록 하여 변형 및 파손되는 것을 더 방지하여 수명을 연장시킨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H빔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그 만큼의 강재 사용량을 줄여 시공비를 낮출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강재로 이루어진 파형강판과 투광판이 아치형태로 반복되게 구비되어지도록 함으로써 미관이 더 수려해져 주변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투광판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내부로 빛이 투과되어지도록 함으로써 채광성이 충분하게 확보되어질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그리고 터널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소음 중 절반 이상이 파형강판의 내부로 형성된 요부와 산부에 의하여 반사되어지는 과정에서 소음간에 충돌이 발생되어 소음원이 줄어들어 차단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파형패널 투광터널을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파형패널 투광터널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파형패널 투광터널의 요부 종단면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파형강판을 이용한 방음터널(A)은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친환경적이면서도 구조적으로 충분한 강도를 갖도록 하여 안전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채광성이 충분하게 확보되어지도록 하고, 아울러 미관이 수려해지도록 하여 주변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소음의 반사와 충돌로 인하여 소음원이 더 차단되어질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되어질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되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기능을 갖는 방음터널(A)은 파형강판(10)과 투광판(20)이 터널의 길이 방향으로 반복되게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파형강판(10)은 소정 두께를 갖는 평강판이 별도의 절단, 절곡, 벤딩, 펀칭 등의 공정을 통해 골부(11)와 산부(12)가 길이방향으로 연속되게 형성되어지는 가운데 동일한 길이방향을 향하여 일정한 곡률을 갖도록 벤딩되게 형성된 다수개의 단위파형강판(13)의 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단위파형강판(13)은 길이방향의 가장자리에는 길이관통홀(131)이 형성되어 투광판(20)이 후술하는 고정구(30)의 의하여 맞대어진 상태로 결합되어질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단위파형강판(13)의 폭방향 가장자리에는 폭관통홀(132)이 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 양끝단부가 겹쳐지게 맞대어 폭관통홀(132)을 관통하는 볼트(B)와 너트(N)가 결합되어지는 것을 반복하여 아치형태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투광판(20)은 외부로부터 내부로 빛이 비쳐지도록 하여 충분한 채광성이 확보되어 주간에 별도의 보조점등 수단인 터널등이 필요치 않은 상태에서 안전한 주행 또는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투광판(20)은 폴리카보네이트로 형성되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이러한 상기 투광판(20)은 파형강판(10)의 일측과 파형강판(10)의 타측 사이에 고정구(30)로 결합되어짐으로써, 상기 파형강판(10)과 동일한 아치형태의 아치구조를 갖게 된다.
상기 고정구(30)는 파형강판(10)과 이웃하는 다른 파형강판(10) 즉, 단위파형강판(13) 사이로 투광판(20)이 충분하게 지지된 상태로 결합되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이러한 상기 고정구(30)는 단위파형강판(13)의 길이방향 가장자리 상,하부로 각각 상부마감재(31)와 하부마감재(32)가 맞대어지고, 상기 하부마감재(32)의 하부에 가로방향으로 하부지지대(33)의 단부가 맞대어진 상태에서 와셔(W)가 끼워진 볼트(B)가 하부에서 상부를 향하여 하부지지대(33)와 하부마감재(32) 및 단위파형강판(13)에 형성된 길이관통홀(131)을 관통하여 너트(N)로 결합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마감재(31)와 하부마감재(32) 사이에는 상기 투광판(20)이 안착되게 끼워져 상부마감재(31)를 관통한 고정나사(S)가 하부마감재(32)에 나사결합되어 유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투광판(20)의 상부에는 상부지지대(34)가 안착되어진 상태에서 양측 단부는 각각 단위파형강판(13)의 길이관통홀(131)을 관통한 볼트(B)가 관통되어 너트(N)로 고정되어 이웃하는 파형강판(10)과 다른 파형강판(10) 사이의 간격이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운데 투광판(20)이 내,외부에서 지지되어지도록 하여 바람에 의한 풍하중이나 눈에 의한 설하중에 의하여 변형이나 파손되는 것을 더 방지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지지대(33)와 상부지지대(34)는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명을 연장시킴과 동시에 하중을 줄이며 강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아연도금된 각파이프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투광판(20)과 맞대어지는 하부지지대(33)의 상부와 상부지지대(34)의 하부에 각각 가스켓(G)이 구비되어 풍압에 의한 진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지지대(34)는 양측 단부에 하부가 개방된 찬넬형 고정편(341)이 형성되어 단위파형강판(13)의 상부로 노출된 너트(N)와 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상기 너트(N)가 덮혀질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고정편(341)에는 별도의 관통홀(342)이 형성되어 상기 너트(N)를 관통하여 상부로 노출된 볼트(B)가 관통된 상태에서 다른 너트(N)에 의하여 결합되어질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마감재(31)는 폭과 깊이가 상이한 요철부(311)를 갖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고정나사(S)에 의하여 하부마감재(32)에 결합되어짐으로써, 투광판(20)의 가장자리가 눌려지게 되어 유동되는 것을 더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하부마감재(32)는 높이에 비해 폭이 넓은 중공형태를 갖는 합성수지재로 하부는 평평하게 형성되어지며, 상부는 주름요철(321)이 형성되어 상기 주름요철(321)이 파형강판(10)의 단부에 맞대어지게 됨에 따라 기밀 또는 수밀이 유지되어 외부에서 내부로 빗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마감재(32)는 하부와 상부 사이의 공간에 보강살(322)이 길이방향으로 연속되게 형성되어 상부가 하부를 향하여 처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지고, 상기 볼트(B)과 관통되는 볼트홀(323)이 형성되어 볼트(B)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파형강판을 이용한 방음터널은 먼저, 각각의 단위파형강판(13)의 양끝단이 겹쳐지게 맞대어진 상태에서 폭관통홀(132)을 통해 볼트(B)와 너트(N)로 결합되어지는 것을 반복하여 아치형태를 갖도록 한다. 이때 각각의 단위파형강판(13)이 맞대어진 가장자리 즉, 길이관통홀(131)이 형성된 외측으로 끝단부분을 절단하여 길이방향으로 일치되어지도록 한다.
다음, 하부마감재(32)에 드릴링 작업을 통해 볼트홀(323)이 천공되어지도록 한 후 하부지지대(33)의 양단부 및 상부지지대(34)의 양단부로 위치된 고정편(341)에 각각 관통홀(342)이 형성되어지도록 한다.
다음, 하부지지대(33)에 가스켓(G)을 부착한 후 하부마감재(32)가 파형강판(10) 즉, 단위파형강판(13)의 폭방향 하부에 맞대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볼트(B)와 너트(N)를 이용하여 고정되어지도록 한다. 이때,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하부지지대(33)의 상부에 하부마감재(32)의 하부가 맞대어진 상태에서 고정되어지도록 하고, 간혹, 하부지지대(32)가 겹쳐지는 부분은 가스켓(G)이 두겹으로 형성되어지도록 하여 들뜸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을 반복하여 하부지지대(33)를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아치형태를 갖는 파형강판(10)이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어지게 된다.
다음, 하부지지대(33)의 상부로 위치된 가스켓(G)과 파형강판(10)의 폭방향으로 노출된 하부마감재(33)의 상부에 투광판(20)의 하부가 안착되어지도록 한다.
다음, 투광판(20)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상부마감재(31)가 맞대어져 고정나사(S)로 하부마감재(32)에 고정되어지도록 한 후 상부지지대(34)의 하부에 가스켓(G)이 부착된 상태로 고정편(341)에 형성된 관통홀(342)을 통해 볼트(B)가 관통된 상태로 노출되도록 한다. 이때, 상부지지대(34)의 하부에 형성된 가스켓(G)이 투광판(20)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로 위치되어지고, 직하부로는 하부지지대(33)에 구비된 가스켓(G)이 위치된 상태가 유지되어지게 된다.
다음, 고정편(341)의 관통홀(342)을 통하여 노출된 볼트(B)에 너트(N)를 결합시키는 과정의 반복을 통해 아치형태를 갖는 파형강판(10) 사이에 동일한 형태를 갖는 투광판(20)이 결합되어지고, 이러한 과정의 반복을 통해 길이방향으로 벤딩된 파형강판과 투광판이 터널의 길이 방향으로 반복되게 결합된 방음터널(A)을 얻을 수 있게 된다.
10:파형강판 11:골부
12:산부 13:단위파형강판
20:투광판 30:고정구
131:길이관통홀 132:폭관통홀

Claims (7)

  1. 골부(11)와 산부(12)가 형성되어지는 가운데 길이방향으로 벤딩된 파형강판(10)과 투광판(20)이 터널의 길이 방향으로 반복되게 결합되어지는 파형강판을 이용한 방음터널(A)에 있어서,
    상기 파형강판(10)은 골부(11)와 산부(12)가 길이방향으로 연속되게 형성된 단위파형강판(13)의 길이방향과 폭방향의 가장자리에 각각 길이관통홀(131)과 폭관통홀(132)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단위파형강판(13)이 길이방향으로 맞대어져 폭관통홀(132)을 관통한 볼트(B)에 너트(N)가 결합되는 것이 반복되어 아치구조를 갖도록 형성되어지고, 상기 투광판(20)은 상기 파형강판(10)의 일측과 파형강판(10)의 타측 사이에 고정구(30)로 결합되어 상기 파형강판(10)과 동일한 아치형태의 아치구조로 형성되되, 상기 고정구(30)는 단위파형강판(13)의 길이방향 가장자리 상,하부로 각각 상부마감재(31)와 하부마감재(32)가 맞대어지고, 상기 하부마감재(32)의 하부에 가로방향으로 하부지지대(33)의 단부가 맞대어지고, 와셔(W)가 끼워진 볼트(B)가 하부에서 상부를 향하여 하부지지대(33)와 하부마감재(32) 및 단위파형강판(13)에 형성된 길이관통홀(131)을 관통하여 너트(N)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상부마감재(31)와 하부마감재(32) 사이에 상기 투광판(20)이 안착되게 끼워져 상부마감재(31)를 관통한 고정나사(S)가 하부마감재(32)에 나사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을 이용한 방음터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판(20)의 상부에 상부지지대(34)가 안착되어지되, 상기 상부지지대(34)의 양측 단부는 상기 단위파형강판(13)의 길이관통홀(131)을 관통한 볼트(B)가 관통되어 너트(N)로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을 이용한 방음터널.
  3. 제2항에 있어서,
    하부지지대(33)와 상부지지대(34)는 아연도금된 각파이프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투광판(20)과 맞대어지는 하부지지대(33)의 상부와 상부지지대(34)의 하부에 각각 가스켓(G)이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을 이용한 방음터널.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대(34)는 양측 단부에 하부가 개방된 찬넬형 고정편(341)이 형성되어 단위파형강판(13)의 상부로 노출된 너트(N)가 덮혀지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편(341)에 관통홀(342)이 형성되어 볼트(B)가 관통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을 이용한 방음터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마감재(32)는 높이에 비해 폭이 넓은 중공형태를 가지며 하부는 평평하게 형성되어지며, 상부는 주름요철(321)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하부와 상부 사이의 공간에 보강살(322)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볼트(B)가 관통되는 볼트홀(323)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을 이용한 방음터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마감재(31)는 폭과 깊이가 상이한 요철부(311)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을 이용한 방음터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판(20)은 폴리카보네이트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을 이용한 방음터널.
KR1020130117476A 2013-10-01 2013-10-01 파형강판을 이용한 방음터널 KR1015300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7476A KR101530046B1 (ko) 2013-10-01 2013-10-01 파형강판을 이용한 방음터널
CN201310751036.9A CN104514203B (zh) 2013-10-01 2013-12-31 利用波形钢板的隔音隧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7476A KR101530046B1 (ko) 2013-10-01 2013-10-01 파형강판을 이용한 방음터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9262A KR20150039262A (ko) 2015-04-10
KR101530046B1 true KR101530046B1 (ko) 2015-06-19

Family

ID=52790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7476A KR101530046B1 (ko) 2013-10-01 2013-10-01 파형강판을 이용한 방음터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30046B1 (ko)
CN (1) CN104514203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1361B1 (ko) * 2015-08-20 2017-11-27 주식회사 픽슨 환기구가 구비된 투광형 파형강판 구조물
KR102313774B1 (ko) 2020-10-16 2021-10-19 한국도로공사 터널 벽면을 마감하기 위한 굴곡형 금속판
IT202000026651A1 (it) 2020-11-09 2022-05-09 Europrogressgroup Srl Galleria fonica, fonoisolante e fonoassorbente
KR20230026187A (ko) 2021-08-17 2023-02-24 주식회사 포스코 강관 연결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05128A (zh) * 2017-11-03 2018-04-13 中交第公路勘察设计研究院有限公司 波纹钢结构防雪通道
USD870152S1 (en) 2018-01-04 2019-12-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transi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CN111893906B (zh) * 2020-06-29 2022-03-22 中铁第一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棚洞施工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6390B1 (ko) * 2003-04-22 2005-09-22 문광모 파고라 조형물
KR100712833B1 (ko) * 2006-07-28 2007-05-02 신성산건 주식회사 소음저감용 방음터널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70073313A (ko) * 2006-01-04 2007-07-10 주식회사 픽슨이앤씨 파형강판을 이용한 터널시공방법 및 터널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0973A (ko) * 2005-04-21 2006-10-26 윤석은 파형강판과 이의 결합구조체
KR100718796B1 (ko) * 2006-08-12 2007-05-16 최남순 조립식 경량 터널 방음벽
KR20070093819A (ko) * 2007-03-08 2007-09-19 조남준 도로용 방음벽
CN202500097U (zh) * 2012-03-27 2012-10-24 江苏港峰亚太科技有限公司 组合式声屏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6390B1 (ko) * 2003-04-22 2005-09-22 문광모 파고라 조형물
KR20070073313A (ko) * 2006-01-04 2007-07-10 주식회사 픽슨이앤씨 파형강판을 이용한 터널시공방법 및 터널
KR100712833B1 (ko) * 2006-07-28 2007-05-02 신성산건 주식회사 소음저감용 방음터널 및 이의 시공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1361B1 (ko) * 2015-08-20 2017-11-27 주식회사 픽슨 환기구가 구비된 투광형 파형강판 구조물
KR102313774B1 (ko) 2020-10-16 2021-10-19 한국도로공사 터널 벽면을 마감하기 위한 굴곡형 금속판
IT202000026651A1 (it) 2020-11-09 2022-05-09 Europrogressgroup Srl Galleria fonica, fonoisolante e fonoassorbente
KR20230026187A (ko) 2021-08-17 2023-02-24 주식회사 포스코 강관 연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9262A (ko) 2015-04-10
CN104514203B (zh) 2017-04-12
CN104514203A (zh) 2015-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0046B1 (ko) 파형강판을 이용한 방음터널
KR100962237B1 (ko) 방음벽용 흡음형 칼라 광고판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50045237A (ko) 방음벽의 리모델링용 흡음장치
KR101475919B1 (ko) 파형강판을 이용한 방음터널
JP2007255052A (ja) 透光性防音板および防音壁
KR101475910B1 (ko) 파형강판을 이용한 방음터널
KR100786226B1 (ko) 터널식 흡음형 방음판
KR200405986Y1 (ko) 방음벽용 철판구조
KR100990354B1 (ko) 방음벽용 방음패널
KR101374646B1 (ko) 자연 채광형 흡음 패널
KR20070093819A (ko) 도로용 방음벽
KR100963493B1 (ko) 파형무늬 조립식 방음판
KR200394301Y1 (ko) 방음패널 및 방음패널의 설치구조
JP7361572B2 (ja) 遮音パネル及び遮音壁
KR101473302B1 (ko) 흡음형 방음판
KR200324444Y1 (ko) 이중구조의 흡음형 경량 pc 방음판
KR101066260B1 (ko) 빔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는 방음벽
JP7138576B2 (ja) 遮音パネル及び遮音壁
KR101616812B1 (ko) 간섭현상을 이용한 소음저감 방음터널
KR102193992B1 (ko) Fab 옥상 배기시설 방음벽
JP2020133281A (ja) 吸音パネル
JP4331055B2 (ja) 高架道路の振動音吸音構造
KR101050503B1 (ko) 혼합형 방음벽구조
KR200331602Y1 (ko) 공기층을 구비한 방음천장이 설치된 터널형 방음시설
KR100726330B1 (ko) 방음부재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