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1425B1 - 전자 밸브 - Google Patents

전자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1425B1
KR102601425B1 KR1020217014951A KR20217014951A KR102601425B1 KR 102601425 B1 KR102601425 B1 KR 102601425B1 KR 1020217014951 A KR1020217014951 A KR 1020217014951A KR 20217014951 A KR20217014951 A KR 20217014951A KR 102601425 B1 KR102601425 B1 KR 102601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half wall
locking
magnetic cover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4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3283A (ko
Inventor
미네히코 미타
마사키 모리모토
Original Assignee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83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3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1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14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75Electromagnet aspects, e.g. electric supply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081Magnetic constru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03Housing formed from a plurality of the same valve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9Electromagnetically actuat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03Multiple-way valves
    • F16K31/0624Lift valv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127Assemb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16Rectilinearly-movable arma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081Magnetic constructions
    • H01F2007/083External yoke surrounding the coil bobbin, e.g. made of bent magnetic she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 Valve Device For Special Equipments (AREA)

Abstract

금속판을 절곡해서 자성 커버를 형성하고, 이 자성 커버를 전자 밸브에 장착할 경우에, 이음매의 부분에서 금속판이 열려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자성 커버(20)의 전면벽을 형성하는 제 1 전면 반벽(41a) 및 제 2 전면 반벽(41b)의 상단부에 형성된 록킹 오목부(50)에, 상면벽(40)의 전단부에 형성된 록킹 볼록부(51)가 맞물리고, 자성 커버의 후면벽을 형성하는 제 1 후면 반벽(42a) 및 제 2 후면 반벽(42b)의 상단부에 형성된 록킹 오목부(50)에, 상면벽의 후단부에 형성된 록킹 볼록부(51)가 맞물리고, 제 1 전면 반벽 및 제 2 전면 반벽의 하단부에 형성된 클로부(45a, 45b), 및 제 1 후면 반벽 및 제 2 후면 반벽의 하단부에 형성된 클로부(46a, 46b)가, 밸브 보디(10)의 연결부(16)의 전면 및 후면에 형성된 연결홈(33, 34) 내에 각각 끼워 넣어져 상기 밸브 보디에 록킹된다.

Description

전자 밸브
본 발명은 주밸브부와 전자 조작부를 갖는 전자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전자 조작부가 자성 커버로 덮여 있는 전자 밸브에 관한 것이다.
주밸브부와 전자 조작부를 갖는 전자 밸브는 특허문헌 1-5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공지이다. 이 종류의 전자 밸브에 있어서, 상기 주밸브부는 복수의 포트를 갖는 밸브 보디와, 상기 포트끼리를 연결하는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 부재를 갖고, 또한, 상기 전자 조작부는, 네모난 상자형을 한 자성 커버의 내부에, 전자 코일과, 상기 전자 코일에의 통전에 의해 자기력을 발생하는 고정 철심과, 상기 고정 철심에 흡착되거나 상기 고정 철심으로부터 이간되거나 함으로써 상기 밸브 부재를 개폐 조작하는 가동 철심을 수용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자 밸브에 있어서, 상기 전자 조작부의 자성 커버는, 상기 전자 코일에 통전했을 때 발생하는 자속을 상기 고정 철심 및 가동 철심에 안내하기 위한 것이고, 자로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 자성 커버의 자기 효율은 상기 자성 커버를 상자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자성 커버로 전자 조작부 전체를 덮음으로써 높일 수 있다.
상기 자성 커버를 형성할 경우, 종래는, 특허문헌 1, 2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금속판을 디프 드로잉 가공함으로써 상자형으로 성형하는 방법이나, 특허문헌 3-5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금속판을 소정의 모양으로 구멍을 뚫은 뒤, 구멍을 뚫은 금속판을 절곡함으로써 프레임형이나 상자형 등으로 성형하는 방법이 이용되어 있다.
이 중, 상기 디프 드로잉 가공에 의한 방법은 안정된 형상의 자성 커버를 얻을 수 있지만, 고도의 성형 기술을 필요로 하고, 제작비도 높다.
이것에 대하여, 금속판을 절곡하는 방법은 디프 드로잉 가공에 비하여 공정이 간단하고, 제작비도 저렴하다. 이 때문에, 이와 같이 금속판을 절곡하는 방법으로 상기 자성 커버를 형성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그러나, 금속판을 절곡해서 형성한 자성 커버는 그 일부에 금속판의 이음매가 형성되기 때문에, 이 이음매의 부분에 절곡한 금속판의 스프링백 작용에 의해 간극이 형성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 이음매의 부분에 간극이 형성되면, 자성 커버의 형상이 불안정해져서 전자 밸브의 조립에 악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자기 저항이 증대하여 자기 효율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06-145007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11-171447호 공보 일본국 실용신안공고 평 1-44867호 공보 일본국 실용신안공고 평 2-15099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17-207158호 공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금속판을 절곡해서 자성 커버를 형성하고, 이 자성 커버를 전자 밸브에 장착할 경우에, 이음매의 부분에서 금속판이 열려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자성 커버의 형상을 안정시켜서 전자 밸브의 조립을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자기 저항의 증대에 의한 자기 효율의 저하를 방지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하면,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 부재를 구비한 주밸브부와, 상기 밸브 부재를 전자력의 작용으로 개폐 동작시키는 전자 조작부를, 서로 결합함으로써 구성된 전자 밸브가 제공된다.
상기 전자 밸브의 주밸브부는 상기 밸브 부재를 내장하는 밸브 보디를 갖고, 상기 밸브 보디는 상기 전자 조작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를 갖고, 상기 연결부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연결홈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전자 조작부는 상기 전자 조작부를 덮는 네모난 상자형을 한 자성 커버를 갖고, 상기 자성 커버는 직사각형의 상면벽과, 직사각형의 전면벽 및 후면벽과, 직사각형의 좌면벽 및 우면벽을 갖고, 상기 상면벽과 전면벽과 후면벽과 좌면벽과 우면벽은, 1개의 금속판을 절곡함으로써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자성 커버의 하면은 개방되고, 상기 하면으로부터 상기 자성 커버의 내부에 상기 밸브 보디의 연결부가 끼워 넣어져 있고, 상기 자성 커버의 상기 전면벽은, 상기 좌면벽의 전단에 일체로 이어지는 직사각형의 제 1 전면 반벽과, 상기 우면벽의 전단에 일체로 이어지는 직사각형의 제 2 전면 반벽을, 이음매를 개재하여 서로 맞댐으로써 형성되고, 또한 상기 후면벽은, 상기 좌면벽의 후단에 일체로 이어지는 직사각형의 제 1 후면 반벽과, 상기 우면벽의 후단에 일체로 이어지는 직사각형의 제 2 후면 반벽을, 이음매를 개재하여 서로 맞댐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면벽과 전면벽이 접하는 전방 모서리부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전면 반벽 및 제 2 전면 반벽의 상단부에 각각 형성된 록킹 오목부 또는 록킹 볼록부와, 상기 상면벽의 전단부에 형성된 록킹 볼록부 또는 록킹 오목부가 서로 맞물리고, 또한 상기 상면벽과 후면벽이 접하는 후방 모서리부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후면 반벽 및 제 2 후면 반벽의 상단부에 각각 형성된 록킹 오목부 또는 록킹 볼록부와, 상기 상면벽의 후단부에 형성된 록킹 볼록부 또는 록킹 오목부가 서로 맞물려 있다.
또한, 상기 자성 커버의 하단부에 있어서는, 상기 전면벽의 제 1 전면 반벽 및 제 2 전면 반벽의 하단부와, 상기 후면벽의 제 1 후면 반벽 및 제 2 후면 반벽의 하단부에, 록킹용의 클로부가 상기 이음매를 개재하여 서로 이어지도록 각각 형성되고, 상기 클로부가 상기 밸브 보디의 연결부에 형성된 상기 연결홈 내에 끼워 넣어져 상기 연결홈에 록킹함으로써, 상기 주밸브부와 전자 조작부가 서로 결합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밸브 보디의 연결부의 전면 및 후면에 형성된 상기 연결홈은, 상기 전면벽 및 후면벽의 이음매에 걸쳐져서 상기 밸브 보디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록킹벽과, 좌우의 측벽을 갖고, 상기 좌우의 측벽은 상기 연결홈의 깊이 방향을 향해서 점차 상기 좌우의 측벽간의 간격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고, 상기 클로부가 상기 연결홈의 록킹벽에 록킹함으로써, 상기 자성 커버와 상기 밸브 보디가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 1 전면 반벽 및 제 2 전면 반벽의 클로부가 전면의 연결홈의 좌우의 측벽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제 1 전면 반벽과 제 2 전면 반벽이, 상기 이음매가 닫히는 방향으로 압박되고, 상기 제 1 후면 반벽 및 제 2 후면 반벽의 클로부가 후면의 연결홈의 좌우의 측벽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제 1 후면 반벽과 제 2 후면 반벽이, 상기 이음매가 닫히는 방향으로 압박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전면 반벽 및 제 2 전면 반벽의 상단부, 및, 상기 제 1 후면 반벽 및 제 2 후면 반벽의 상단부에는, 상기 록킹 오목부가 상기 이음매와 교차하지 않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상면벽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는 상기 록킹 볼록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자성 커버 전면벽을 형성하는 상기 제 1 전면 반벽과 제 2 전면 반벽, 및, 상기 자성 커버의 후면벽을 형성하는 상기 제 1 후면 반벽과 제 2 후면 반벽은, 상기 이음매의 위치에서, 일방의 전면 반벽 및 후면반벽에 형성된 도브테일 홈과, 타방의 전면 반벽 및 후면 반벽에 형성된 도브테일형을 서로 맞물림시킴으로써 서로 연결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성 커버가 금속판을 구부려서 형성한 것이라도, 상기 금속판의 스프링백을 억제함으로써 상기 금속판의 이음매가 열려서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안정된 상자 형상을 유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자기 저항의 증대에 의한 자기 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밸브의 제1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자 밸브의 일부를 분해해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전자 밸브 본체를 전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전자 밸브 본체를 후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전자 밸브 본체를 좌우 방향의 중앙에서 단면으로 한 중앙 종단면도이다.
도 6은 전자 밸브 본체를 주밸브부와 전자 조작부로 분리해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밸브 보디의 연결부를, 연결홈의 위치에서 수평으로 절단해서 상방으로 보았을 경우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밸브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전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후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밸브의 사시도이며, 이 전자 밸브(1)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 밸브 본체(2)와, 제어 장치로부터의 리드선을 접속하기 위한 한쌍의 접속 단자(4, 4)를 구비한 전기 접속부(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상기 전자 밸브(1)의 전후, 좌우, 및 상하를, 도 1에 각각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정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전자 밸브 본체(2)는, 도 3-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 부재(7)를 구비한 주밸브부(6)와, 전자력의 작용으로 상기 밸브 부재(7)를 개폐 조작하는 전자 조작부(8)를 갖고, 상기 전자 조작부(8)와 상기 주밸브부(6)가 축선(L)을 따라 서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주밸브부(6)는 네모난 블록형을 한 알루미늄합금 등의 비자성재로 이루어지는 밸브 보디(10)를 갖고 있다. 이 밸브 보디(10)의 후면에는 입력 포트(P)와 출력 포트(A)와 배출 포트(E)가 형성되고, 상기 밸브 보디(10)의 내부에는 상기 포트(P, A, E)가 각각 연통하는 원형의 밸브실(11)이 형성되고, 상기 밸브실(11)의 내부에 상기 밸브 부재(7)가 수용되어 있다. 상기 밸브실(11)은, 상기 밸브 보디(10)의 하단부에 밀봉 부재(13a, 13b)를 통해 부착된 오리피스(12)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밸브실(11)의 중심을 상기 축선(L)이 통하고 있다.
상기 입력 포트(P)는, 상기 오리피스(12)의 상단부에 상방으로 개구되는 입력구(Po)를 통해서 상기 밸브실(11)에 연통하고, 상기 배출 포트(E)는, 상기 밸브실(11)의 상단벽에 하방으로 개구되는 배출구(Eo)를 통해서 상기 밸브실(11)에 연통하고, 상기 출력 포트(A)는, 상기 입력구(Po)와 배출구(Eo) 사이의 위치에서, 상기 밸브실(11)의 측벽으로 개구되는 출력구(Ao)를 통해서 상기 밸브실(11)에 연통하고 있다. 상기 입력구(Po)와 배출구(Eo)는, 상기 축선(L) 상의 위치에서 서로 서로 상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이들 입력구(Po)와 배출구(Eo) 사이에 상기 밸브 부재(7)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밸브 부재(7)는 고무 또는 합성 고무 등의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원기둥 형상의 부재이며, 상기 밸브실(11)의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되도록 수용되고, 상기 밸브 부재(7)와 상기 오리피스(12) 사이에 개재된 밸브 스프링(14)에 의해 상방으로 바이어싱됨과 아울러, 상기 축선(L)을 끼워서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 한쌍의 푸시로드(15)를 통해서 상기 전자 조작부(8)의 가동 철심(24)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동 철심(24)의 하강에 의해 상기 밸브 부재(7)가 상기 푸시로드(15)로 눌려지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입력구(Po)가 폐쇄되어 배출구(Eo)가 개방됨으로써, 상기 입력 포트(P)가 차단되어서, 상기 출력 포트(A)와 배출 포트(E)가 연통하고, 상기 가동 철심(24)이 상승하면, 상기 밸브 부재(7)는 상기 밸브 스프링(14)의 스프링력에 의해 상승하고, 상기 입력구(Po)가 개방되어 상기 배출구(Eo)가 폐쇄되기 때문에, 상기 입력 포트(P)와 출력 포트(A)가 연통해서, 상기 배출 포트(E)가 차단된다.
상기 밸브 보디(10)의 상단부에는, 상기 주밸브부(6)와 전자 조작부(8)를 서로 결합하기 위한 평면으로 볼 때의 형상이 대략 직사각형을 이루는 연결부(16)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16)가, 상기 전자 조작부(8)를 덮는 자성 커버(20)의 내부에, 상기 자성 커버(20)의 하단부로부터 감합하고, 상기 연결부(16)에 자성 커버(20)의 하단부를 록킹시킴으로써, 상기 주밸브부(6)와 전자 조작부(8)가 서로 결합되어 있다. 그 결합 구조의 상세에 대해서는 나중에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전자 조작부(8)는, 네모난 상자형을 한 상기 자성 커버(20)의 내부에, 전자 코일(22)이 감긴 중공의 보빈(21)과, 상기 전자 코일(22)에의 통전에 의해 자기력을 발생하는 고정 철심(23)과, 상기 고정 철심(23)에 흡착되거나 상기 고정 철심(23)으로부터 이간하거나 함으로써 상기 밸브 부재(7)를 개폐 동작시키는 상기 가동 철심(24)과, 상기 가동 철심(24)과 상기 자성 커버(20)를 자기적으로 결합시키는 자기 플레이트(25)를 수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빈(21)은 합성 수지 등의 비자성재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상기 전자 코일(22)이 감긴 타원형의 횡단면 형상을 갖는 동부(胴部)(21a)와, 상기 동부(21a)의 상하 양단에 각각 형성된 평면으로 볼 때의 형상이 타원형을 이루는 플랜지부(21b, 21c)를 갖고, 상기 보빈(21)의 내부에, 타원형의 횡단면 형상을 갖는 중심 구멍(21d)이 상기축선(L)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빈(21)은, 상기 동부(21a)의 상단의 플랜지부(상부 플랜지)(21b)를 상기 자성 커버(20) 상면벽(40)의 내면에 접촉시킴과 아울러, 상기 동부(21a)의 하단의 플랜지부(하부 플랜지(21c))를 상기 자기 플레이트(25)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기 자성 커버(20)의 내부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전자 코일(22)의 양단에는 막대 형상의 코일 단자(도시하지 않음)가 각각 접속되고, 상기 코일 단자는 상기 밸브 보디(10)의 전면으로 개구되는 좌우의 접속 구멍(17, 17)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5 중의 부호 26이 붙여진 부재는, 상기 상부 플랜지(21b)와 상면벽 (40) 사이에 개재된 밀봉 부재이며, 동 부호 27이 붙여진 부재는 상기 하부 플랜지(21c)와 자기 플레이트(25) 사이에 개재된 밀봉 부재이다.
상기 고정 철심(23)은, 철 등의 자성재에 의해, 타원형의 횡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것이며, 상기 보빈(21)의 중심 구멍(21d) 내에 감합하는 철심 본체(23a)와, 상기 철심 본체(23a)의 상단에 형성된 플랜지부(23b)를 갖고 있다. 상기 고정 철심(23)은, 상기 플랜지부(23b)를, 상기 보빈(21)의 상부 플랜지(21b)의 상면에 형성된 오목부 내에 감합시켜서, 상기 상부 플랜지(21b)와 상기 자성 커버(20)의 상면벽(40) 사이에 협지함으로써 상기 보빈(21)에 고정적으로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 철심(23)과 상기 자성 커버(20)는, 상기 플랜지부(23b)를 상기 자성 커버(20) 상면벽(40)의 내면에 접촉시킴으로써 서로 자기 결합되어 있다.
상기 가동 철심(24)은, 상기 고정 철심(23)과 마찬가지로 철 등의 자성재에 의해, 타원형의 횡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보빈(21)의 중심 구멍(21d)내에 축선(L)을 따라 변위 가능하게 되도록 감합하고 있다. 상기 가동 철심(24)의 선단은, 상기 자기 플레이트(25)의 중심 구멍(25a)를 관통해서, 상기 밸브 보디(10)의 상단부의 상기 연결부(16)의 내부에 형성된 철심실(18) 내에 진입하고, 상기 가동 철심(24)의 선단면에 상기 푸시로드(15)가 접촉하고 있다. 또한, 상기 가동 철심(24)의 선단부에는, 스프링 시트를 형성하는 합성 수지제의 캡(28)이 고정되고, 상기 캡(28)과 상기 자기 플레이트(25) 사이에, 상기 가동 철심(24)을 고정 철심(2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도면의 하방)으로 바이어싱하는 철심 스프링(29)이 개재되어 있다.
상기 밸브 보디(10)의 상단에 형성된 상기 연결부(16)의 상단면은, 상기 자기 플레이트(25)의 하면에 밀봉 부재(32)를 통해 접촉하고, 상기 연결부(16)의 전면 및 후면에는, 상기 자성 커버(20) 전면벽(41) 및 후면벽(42)의 하단부에 형성된 록킹 클로(45, 46)를 끼워 넣어서 록킹시키기 위한 연결홈(33, 3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홈(33, 34)은, 도 5-도 7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밸브 보디(10)의 좌우 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연장되는 홈이며, 상기 연결홈(33, 34)의 깊이의 방향은 상기 밸브 보디(10)의 전후 방향이다. 상기 연결홈(33, 34)은, 상기록킹 클로(45, 46)가 록킹하는 록킹벽(33a, 34a)과, 상기 록킹 클로(45, 46)가 접촉하는 좌우의 측벽(33b, 33b 및 34b, 34b)을 갖고 있다. 상기 록킹벽(33a, 34a)은 상기 밸브 보디(10)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상기 연결홈(33, 34)의 깊이 방향을 향해서 점차 상기 전자 조작부(8)로부터 멀어지는 방향(하방)으로 경사져 있고, 또한, 상기 좌우의 측벽(33b, 33b 및 34b, 34b)은, 상기 연결홈(33, 34)의 깊이 방향을 향해서 점차 상기 좌우의 측벽(33b, 33b 사이 및 34b, 34b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상기 자성 커버(20)는, 도 3-도 6에 상세히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철 등의 자성을 갖는 1개의 금속판을 절곡함으로써 상자형으로 형성된 것이고, 직사각형의 상기 상면벽(40)과, 직사각형의 상기 전면벽(41) 및 후면벽(42)과, 직사각형의 좌면벽(43) 및 우면벽(44)을 갖고 있다. 상기 자성 커버(20)의 하면은 개방되고, 상기하면으로부터 상기 자성 커버(20)의 내부에, 상기 밸브 보디(10)의 상단부의 상기 연결부(16)가 끼워 넣어져 있다.
상기 자성 커버(20)의 상기 상면벽(40)과 좌면벽(43)과 우면벽(44)은, 서로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이음매 없이 이어져 있다. 이것에 대하여, 전면벽(41)은, 상기 좌면벽(43)의 전단에 일체이며 또한 직각으로 이어지는 직사각형의 제 1 전면 반벽(41a)과, 상기 우면벽(44)의 전단에 일체이며 또한 직각으로 이어지는 직사각형의 제 2 전면 반벽(41b)을, 상기 전면벽(41)의 중앙의 앞부 이음매(47)를 개재하여 서로 맞댐으로써 형성되고, 또한, 상기 후면벽(42)은, 상기 좌면벽(43)의 후단에 일체이며 또한 직각으로 이어지는 직사각형의 제 1 후면 반벽(42a)과, 상기 우면벽(44)의 후단에 일체이며 또한 직각으로 이어지는 직사각형의 제 2 후면 반벽(42b)을, 상기 후면벽(42)의 중앙의 뒷부 이음매(48)를 개재하여 서로 맞댐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면벽(41)의 제 1 전면 반벽(41a)과 제 2 전면 반벽(41b), 및, 상기 후면벽(42)의 제 1 후면 반벽(42a)과 제 2 후면 반벽(42b)이, 절곡된 금속판의 스프링백 작용에 의해 상기 이음매(47, 48)의 위치에서 열리거나, 상기 상면벽(40)의 전단부 및 후단부로부터 멀어지거나 해서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전면벽(41)의 상단부와 상기 상면벽(40)의 전단부가 접하는 전방 모서리부(49)에 있어서는, 상기 전면벽(41)의 제 1 전면 반벽(41a) 및 제 2 전면 반벽(41b)의 상단부에 각각 형성된 록킹 오목부(50)와, 상기 상면벽(40)의 전단부에 형성된 2개의 록킹 볼록부(51)가 서로 맞물려 있고, 그것과 마찬가지로, 상기 후면벽(42)의 상단부와 상기 전면벽(41)의 후단부가 접하는 후방 모서리부(52)에 있어서도, 상기 후면벽(42)의 제 1 후면 반벽(42a) 및 제 2 후면 반벽(42b)의 상단부에 각각 형성된 록킹 오목부(50)와, 상기 상면벽(40)의 후단부에 형성된 2개의 록킹 볼록부(51)가 서로 맞물려 있다.
상기 제 1 전면 반벽(41a) 및 제 2 전면 반벽(41b)의 상단부의 상기 록킹 오목부(50)는, 상기 앞부 이음매(47)와 교차하지 않는 위치에, 상기 앞부 이음매(47)에 대하여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1 후면 반벽(42a) 및 제 2 후면 반벽(42b)의 상단부의 상기 록킹 오목부(50)도, 상기 뒷부 이음매(48)와 교차하지 않는 위치에, 상기 뒷부 이음매(48)에 대하여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자성 커버(20)의 하단부에 있어서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전면벽(41)의 하단부에 상기 록킹 클로(45)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후면벽(42)의 하단부에 상기 록킹 클로(4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면벽(41)의 록킹 클로(45)는, 상기 제 1 전면 반벽(41a) 및 제 2 전면 반벽(41b)의 하단부의 일부에 각각 형성된 클로부(45a, 45b)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클로부(45a, 45b)는 상기 앞부 이음매(47)를 개재하여 서로 이어져 있다.
상기 후면벽(42)의 록킹 클로(46)도 마찬가지로, 상기 제 1 후면 반벽(42a) 및 제 2 후면 반벽(42b)의 하단부의 일부에 각각 형성된 클로부(46a, 46b)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클로부(46a, 46b)는 상기 뒷부 이음매(48)를 개재하여 서로 이어져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상기 록킹 클로(45, 46)는, 고정하기(구부리기) 전의 상태에서 하방으로 똑바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도 6에 있어서, 상기 자성 커버(20)의 내부의 보빈(21), 고정 철심(23), 가동 철심(24), 및 자기 플레이트(25) 등의 점선에 의한 표시는 생략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록킹 클로(45, 46)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밸브 보디(10)의 연결부(16)의 전면 및 후면에 형성된 연결홈(33, 34) 내에 각각 끼워 넣어져서 상기 록킹벽(33a, 34a)에 록킹함으로써, 상기 자성 커버(20)(전자 조작부(8))와 상기 밸브 보디(10)가 서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결홈(33, 34)의 상기 록킹벽(33a, 34a)은, 상기 이음매(47, 48)를 걸쳐 상기 밸브 보디(10)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전면벽(41)에 있어서는, 상기 록킹 클로(45)를 전면의 연결홈(33) 내에 끼워 넣었을 때, 상기 제 1 전면 반벽(41a)의 클로부(45a)의 좌측 단부가, 상기 연결홈(33)의 좌측의 측벽(33b)에 접촉해서 제 2 전면 반벽(41b)측으로 눌리고, 또한, 상기 제 2 전면 반벽(41b)의 클로부(45b)의 우측 단부가, 상기 연결홈(33)의 우측의 측벽(33b)에 접촉해서 상기 제 1 전면 반벽(41a)측으로 눌리기 때문에, 상기 제 1 전면 반벽(41a)과 제 2 전면 반벽(41b)은, 상기 앞부 이음매(47)가 닫히는 방향으로 압박되게 되고, 그 결과, 상기 앞부 이음매(47)의 열림이 확실히 방지된다.
그것과 마찬가지로, 상기 후면벽(42)에 있어서도, 상기 록킹 클로(46)를 후면의 연결홈(34) 내에 끼워 넣었을 때, 상기 제 1 후면 반벽(42a)의 클로부(46a)의 우측 단부가, 상기 연결홈(34)의 우측의 측벽(34b)에 접촉해서 제 2 후면 반벽(42b)측으로 눌리고, 또한, 상기 제 2 후면 반벽(42b)의 클로부(46b)의 좌측 단부가, 상기 연결홈(34)의 좌측의 측벽(34b)에 접촉해서 상기 제 1 후면 반벽(42a) 측으로 눌리기 때문에, 상기 제 1 후면 반벽(42a)과 제 2 후면 반벽(42b)은, 상기 뒷부 이음매(48)가 닫히는 방향으로 압박되게 되고, 그 결과, 상기 뒷부 이음매(48)의 열림이 확실히 방지된다.
상기 자성 커버(20)는, 이와 같이 하여 상자형으로 조립됨과 아울러, 상기 밸브 보디(10)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금속판을 구부려서 형성한 것이라도, 상기금속판의 스프링백이 확실히 억제된다. 그 결과, 상기 제 1 전면 반벽(41a)과 제 2 전면 반벽(41b) 사이의 앞부 이음매(47)나, 상기 제 1 후면 반벽(42a)과 제 2 후면 반벽(42b) 사이의 뒷부 이음매(48)가 열리거나, 상기 전방 모서리부(49) 및 후방 모서리부(52)에 있어서 상기 전면벽(41) 및 후면벽(42)과 상기 상면벽(40)의 접촉 부분이 열리거나 함으로써 간극이 형성되는 것이 방지되고, 안정된 상자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성 커버(20)는, 절곡 가공에 의해 형성하기 때문에, 디프 드로잉 가공할 때와 같은 상처가 표면에 날 일이 없고, 이 때문에, 깨끗한 외관을 갖도록 마무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성 커버(20)는, 상기 전자 코일(22)에 통전했을 때 발생하는 자속을 상기 고정 철심(23) 및 가동 철심(24)에 안내하기 위한 자로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 자성 커버(20)에 상술한 바와 같은 간극이 형성되면, 그 부분에서 자기 저항이 증대함으로써 자기 효율이 저하되지만, 상기 자성 커버(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간극이 형성되기 어려운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자기 효율의 저하를 일으키기 어렵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자성 커버(20) 전면벽(41)에는, 상기 전기 접속부(3)의 기판 지지대(56)를 부착하기 위한 세로로 긴 부착 구멍(53)이, 상기 제 1 전면 반벽(41a)과 제 2 전면 반벽(41b)에 각각 2개씩 형성되고, 상기 부착 구멍(53)에 의해 상기 전기 접속부(3)가 상기 전자 밸브 본체(2)에 다음과 같이 해서 부착되어 있다.
즉, 상기 전기 접속부(3)는 상기 기판 지지대(56)와, 상기 기판 지지대(56)에 지지된 단자 기판(57)과, 이들 기판 지지대(56)와 단자 기판(57)을 덮는 단자 커버(58)를 갖고 있다.
상기 기판 지지대(56)는 전면이 움푹 팬 직사각형의 접시형을 한 부재이며, 후면에 좌우 2개씩 형성된 후크형 돌기(59)와, 하단부에 형성된 탄성 록킹편(60)과, 좌우의 측면에 각각 2개씩 형성된 록킹 돌기(61)를 갖고, 상기 후크형 돌기(59)를 상기 자성 커버(20) 전면벽(41)의 4개의 부착 구멍(53)에 각각 삽입해서 록킹시킴과 아울러, 상기 탄성 록킹편(60)을 상기 밸브 보디(10)의 전면에 형성된 록킹부(62)에 탄력적으로 록킹시킴으로써, 상기 전자 밸브 본체(2)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단자 기판(57)은, 상기 단자 기판(57)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단자 기판(57)의 후면측을 향해서 연장되는 좌우 한쌍의 클립 단자(64)(도 2에서는 일방만이 보이고 있다)와, 상기 단자 기판(57)의 전면측을 향해서 돌출되는 좌우 한쌍의 상기 접속 단자(4, 4)를 갖고, 상기 접속 단자(4, 4)의 일방 및 타방이, 상기 단자 기판(57)에 형성된 인쇄 배선(66)에 의해, 상기 한쌍의 클립 단자(64)의 일방 및 타방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단자 기판(57)을 상기 기판 지지대(56)에, 위치 결정 돌기(67)로 위치 결정한 상태로 지지시킴으로써, 상기 클립 단자(64, 64)가, 상기 밸브 보디(10)의 전면의 상기 접속 구멍(17, 17)을 통해서 그 내부의 상기 코일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단자 커버(58)는, 좌우의 측면에 각각 2개씩 형성된 록킹 구멍(68)과, 전면 하부에 형성된 커넥터 삽입구(69)를 갖고, 상기 록킹 구멍(68)을 상기 기판 지지대(56)의 록킹 돌기(61)에 록킹시킴으로써, 상기 기판 지지대(56)에 상기 기판 지지대(56)와 단자 기판(57)을 덮은 상태에서 부착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커넥터 삽입구(69)의 내부에 상기 한쌍의 접속 단자(4, 4)가 수용된다.
상기 전자 밸브(1)는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고, 그 사용시에는, 상기 단자 커버(58)의 커넥터 삽입구(69)의 내부에, 제어 장치에 접속된 리드선의 선단의 커넥터를 꽂아넣고, 상기 커넥터를 상기 접속 단자(4, 4)에 접속한다. 그리고, 상기 전자 조작부(8)의 전자 코일(22)에 통전하거나, 통전을 해제하거나 함으로써, 상기 밸브 부재(7)로 유로를 스위칭하는 것이고, 그 동작은 다음과 같다.
도 5에는 상기 전자 코일(22)에 통전하고 있지 않을 때의 동작 상태가 나타내어져 있다. 이 때, 상기 가동 철심(24)이 철심 스프링(29)의 힘으로 눌려져 있기 때문에, 상기 가동 철심(24)에 의해 푸시로드(15)를 통해 밸브 부재(7)도 눌려져 있고, 상기 밸브 부재(7)가 배출구(Eo)를 개방해서 입력구(Po)를 폐쇄하고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입력 포트(P)가 차단되고, 상기 출력 포트(A)와 배출 포트(E)가 연통하고 있다.
이 상태로부터, 상기 전자 코일(22)에 통전하면, 상기 고정 철심(23)에 발생하는 자기력에 의해 상기 가동 철심(24)이 상기 고정 철심(23)에 흡착되어서 상승하기 때문에, 상기 푸시로드(15)를 통해 밸브 부재(7)에 작용하고 있었던 압박력은 소멸된다. 이 때문에, 상기 밸브 부재(7)는, 밸브 스프링(14)의 바이어싱력에 의해 밀어 올려지고, 상기 입력구(Po)를 개방해서 배출구(Eo)를 폐쇄한다. 그 결과, 상기 입력 포트(P)와 출력 포트(A)가 연통해서, 상기 배출 포트(E)가 차단된다.
도 8 및 도 9에는 제 2 실시형태의 전자 밸브의 전자 밸브 본체(2A)가 나타내어져 있다. 이 전자 밸브 본체(2A)는, 자성 커버(20) 전면벽(41)을 형성하는 상기 제 1 전면 반벽(41a)과 제 2 전면 반벽(41b), 및, 후면벽(42)을 형성하는 상기 제 1 후면 반벽(42a)과 제 2 후면 반벽(42b)이, 각각의 이음매(47, 48)의 위치에서, 일방의 전면 반벽 및 후면 반벽에 형성된 도브테일 홈(71)과, 타방의 전면 반벽 및 후면 반벽에 형성된 도브테일형(72)을 서로 맞물림시킴으로써, 서로 연결되어 있는 점에서,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전자 밸브(1)의 전자 밸브 본체(2)와 상위하고 있다.
상기 전자 밸브 본체(2A)의 그 밖의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전자 밸브 본체(2)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주요한 동일 구성 부분에 전자 밸브 본체(2)에서 사용한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전자 밸브 본체(2A)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전면 반벽(41a)과 제 1 후면 반벽(42a)에 도브테일 홈(71)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전면 반벽(41b)과 제 2 후면 반벽(42b)에 도브테일형(72)이 형성되어 있지만, 그 반대로, 상기 제 1 전면 반벽(41a)과 제 1 후면 반벽(42a)에 도브테일형(72)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전면 반벽(41b)과 제 2 후면 반벽(42b)에 도브테일 홈(71)을 형성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전면벽(41) 및 후면벽(42)과 상기 상면벽(40)을 서로 맞물림시키기 위해서, 상기 전면벽(41)의 제 1 전면 반벽(41a)과 제 2 전면 반벽(41b), 및, 상기 후면벽(42)의 제 1 후면 반벽(42a)과 제 2 후면 반벽(42b)에, 각각 록킹 오목부(50)를 형성하고, 상기 상면벽(40)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 록킹 볼록부(51)를 형성하고 있지만, 그 반대로, 상기 전면벽(41)의 제 1 전면 반벽(41a)과 제 2 전면 반벽(41b), 및, 상기 후면벽(42)의 제 1 후면 반벽(42a)과 제 2 후면 반벽(42b)에, 각각 록킹 볼록부(51)를 형성하고, 상기 상면벽(40)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 록킹 오목부(50)를 형성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전자 밸브는, 상기 밸브 부재(7)가 상기 입력구(Po) 및 배출구(Eo)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변위함으로써 상기 입력구(Po) 및 배출구(Eo)를 개폐하는 포핏 타입의 전자 밸브이지만, 본 발명의 전자 밸브는 밸브 구멍 내를 슬라이딩하는 스풀로 유로를 개폐하는 스풀 밸브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도시한 바와 같은 3포트 밸브에 한하지 않고, 2포트 밸브나 4포트 밸브 또는 5포트 밸브에도 적용할 수 있다.
1 : 전자 밸브
6 : 주밸브부
7 : 밸브 부재
8 : 전자 조작부
10 : 밸브 보디
16 : 연결부
20 : 자성 커버
33, 34 : 연결홈
33a, 34a : 록킹벽
33b, 34b : 측벽
40 : 상면벽
41 : 전면벽
41a : 제 1 전면 반벽
41b : 제 2 전면 반벽
42 : 후면벽
42a : 제 1 후면 반벽
42b : 제 2 후면 반벽
43 : 좌면벽
44 : 우면벽
45a, 45b, 46a, 46b : 클로부
47, 48 : 이음매
49 : 전방 모서리부
50 : 록킹 오목부
51 : 록킹 볼록부
52 : 후방 모서리부
71 : 도브테일 홈
72 : 도브테일형

Claims (4)

  1.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 부재를 구비한 주밸브부와, 상기 밸브 부재를 전자력의 작용으로 개폐 동작시키는 전자 조작부를, 서로 결합함으로써 구성된 전자 밸브로서,
    상기 주밸브부는 상기 밸브 부재를 내장하는 밸브 보디를 갖고, 상기 밸브 보디는 상기 전자 조작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를 갖고, 상기 연결부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연결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자 조작부는 상기 전자 조작부를 덮는 네모난 상자형을 한 자성 커버를 갖고,
    상기 자성 커버는 직사각형의 상면벽과, 직사각형의 전면벽 및 후면벽과, 직사각형의 좌면벽 및 우면벽을 갖고, 상기 상면벽과 전면벽과 후면벽과 좌면벽과 우면벽은, 1개의 금속판을 절곡함으로써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자성 커버의 하면은 개방되고, 상기 하면으로부터 상기 자성 커버의 내부에, 상기 밸브 보디의 연결부가 끼워 넣어져 있고,
    상기 자성 커버의 상기 전면벽은, 상기 좌면벽의 전단에 일체로 이어지는 직사각형의 제 1 전면 반벽과, 상기 우면벽의 전단에 일체로 이어지는 직사각형의 제 2 전면 반벽을, 이음매를 개재하여 서로 맞댐으로써 형성되고, 또한, 상기 후면벽은, 상기 좌면벽의 후단에 일체로 이어지는 직사각형의 제 1 후면 반벽과, 상기 우면벽의 후단에 일체로 이어지는 직사각형의 제 2 후면 반벽을, 이음매를 개재하여 서로 맞댐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면벽과 전면벽이 접하는 전방 모서리부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전면 반벽 및 제 2 전면 반벽의 상단부에 각각 형성된 록킹 오목부 또는 록킹 볼록부와, 상기 상면벽의 전단부에 형성된 록킹 볼록부 또는 록킹 오목부가 서로 맞물리고, 또한, 상기 상면벽과 후면벽이 접하는 후방 모서리부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후면 반벽 및 제 2 후면 반벽의 상단부에 각각 형성된 록킹 오목부 또는 록킹 볼록부와, 상기 상면벽의 후단부에 형성된 록킹 볼록부 또는 록킹 오목부가 서로 맞물려 있고,
    상기 자성 커버의 하단부에 있어서는, 상기 전면벽의 제 1 전면 반벽 및 제 2 전면 반벽의 하단부와, 상기 후면벽의 제 1 후면 반벽 및 제 2 후면 반벽의 하단부에, 록킹용의 클로부가 상기 이음매를 개재하여 서로 이어지도록 각각 형성되고, 상기 클로부가, 상기 밸브 보디의 연결부에 형성된 상기 연결홈 내에 끼워 넣어져서 상기 연결홈에 록킹함으로써, 상기 주밸브부와 전자 조작부가 서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보디의 연결부의 전면 및 후면에 형성된 상기 연결홈은, 상기 전면벽 및 후면벽의 이음매에 걸쳐져서 상기 밸브 보디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록킹 벽과, 좌우의 측벽을 갖고, 상기 좌우의 측벽은, 상기 연결홈의 깊이 방향을 향해서 점차 상기 좌우의 측벽간의 간격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고,
    상기 클로부가 상기 연결홈의 록킹벽에 록킹함으로써, 상기 자성 커버와 상기 밸브 보디가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 1 전면 반벽 및 제 2 전면 반벽의 클로부가 전면의 연결홈의 좌우의 측벽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제 1 전면 반벽과 제 2 전면 반벽이, 상기 이음매가 닫히는 방향으로 압박되고, 상기 제 1 후면 반벽 및 제 2 후면 반벽의 클로부가 후면의 연결홈의 좌우의 측벽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제 1 후면 반벽과 제 2 후면 반벽이, 상기 이음매가 닫히는 방향으로 압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밸브.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면 반벽 및 제 2 전면 반벽의 상단부, 및, 상기 제 1 후면 반벽 및 제 2 후면 반벽의 상단부에는, 상기 록킹 오목부가 상기 이음매와 교차하지 않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상면벽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는 상기 록킹 볼록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밸브.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커버 전면벽을 형성하는 상기 제 1 전면 반벽과 제 2 전면 반벽, 및, 상기 자성 커버의 후면벽을 형성하는 상기 제 1 후면 반벽과 제 2 후면 반벽은, 상기 이음매의 위치에서, 일방의 전면 반벽 및 후면 반벽에 형성된 도브테일 홈과, 타방의 전면 반벽 및 후면 반벽에 형성된 도브테일형을 서로 맞물림시킴으로써,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밸브.
KR1020217014951A 2018-10-31 2019-10-11 전자 밸브 KR1026014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205989A JP7041414B2 (ja) 2018-10-31 2018-10-31 電磁弁
JPJP-P-2018-205989 2018-10-31
PCT/JP2019/040144 WO2020090414A1 (ja) 2018-10-31 2019-10-11 電磁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3283A KR20210083283A (ko) 2021-07-06
KR102601425B1 true KR102601425B1 (ko) 2023-11-13

Family

ID=70464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4951A KR102601425B1 (ko) 2018-10-31 2019-10-11 전자 밸브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448337B2 (ko)
EP (1) EP3848621A4 (ko)
JP (1) JP7041414B2 (ko)
KR (1) KR102601425B1 (ko)
CN (1) CN113167405B (ko)
TW (1) TWI822881B (ko)
WO (1) WO20200904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0210547A1 (de) * 2020-08-20 2022-02-24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Elektrisch betätigtes Ventil
JP1722617S (ja) * 2020-11-13 2022-08-17 電磁駆動パイロット弁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8446A (ja) 2002-09-17 2004-04-08 Smc Corp 端子箱付電磁弁
US20050253104A1 (en) 2004-05-14 2005-11-17 Smc Corporation Electromagnetic valve
WO2008080860A1 (de) 2007-01-05 2008-07-10 Robert Bosch Gmbh Magnetspule sowi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CN101324288A (zh) 2007-06-14 2008-12-17 Smc株式会社 电磁阀
JP2010071359A (ja) 2008-09-17 2010-04-02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電磁ソレノイド
JP2017207158A (ja) 2016-05-19 2017-11-24 Smc株式会社 電磁弁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85775U (ja) * 1984-05-22 1985-12-09 エスエムシ−株式会社 電磁弁
JPS61571U (ja) * 1984-06-08 1986-01-06 エスエムシ−株式会社 電磁弁
JPH038844Y2 (ko) * 1985-12-03 1991-03-05
JPS6444867A (en) 1987-08-13 1989-02-17 Fujikura Ltd Apparatus for monitoring overhead cable
JPS6444867U (ko) 1987-09-14 1989-03-17
IL89504A0 (en) 1988-03-08 1989-09-10 Univ Wyoming Diphtheria toxin derivative,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JPH0215099U (ko) 1988-07-12 1990-01-30
JPH0536175U (ja) * 1990-12-17 1993-05-18 株式会社コガネイ 電磁弁
JP3661994B2 (ja) * 2000-12-25 2005-06-22 テクノエクセル株式会社 連結可能型電磁式直動弁ユニット及び電磁式直動弁装置
JP3863745B2 (ja) * 2001-09-04 2006-12-27 Smc株式会社 電磁弁
CN1490543A (zh) * 2002-10-14 2004-04-21 李岱峰 电磁阀
JP4096029B2 (ja) * 2002-11-06 2008-06-04 Smc株式会社 電磁弁
JP4207209B2 (ja) * 2004-11-24 2009-01-14 Smc株式会社 電磁弁
JP5560425B2 (ja) * 2010-02-17 2014-07-30 Smc株式会社 電磁弁用ソレノイド
JP5533902B2 (ja) * 2012-01-26 2014-06-25 Smc株式会社 安全装置を備えた手動操作子付き電磁弁
JP6298384B2 (ja) * 2014-08-20 2018-03-20 株式会社コガネイ 電磁弁用板ばね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磁弁
CN206409672U (zh) * 2017-01-25 2017-08-15 佛山市云米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净水机扩展装置及装配有该净水机扩展装置的净水机
DE102018200084B4 (de) * 2018-01-04 2021-09-16 Vitesco Technologies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elektromagnetischen Ventilanordnung sowie elektromagnetische Ventilanordnung
JP7089242B2 (ja) * 2018-09-21 2022-06-22 Smc株式会社 電磁弁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8446A (ja) 2002-09-17 2004-04-08 Smc Corp 端子箱付電磁弁
US20050253104A1 (en) 2004-05-14 2005-11-17 Smc Corporation Electromagnetic valve
WO2008080860A1 (de) 2007-01-05 2008-07-10 Robert Bosch Gmbh Magnetspule sowi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CN101324288A (zh) 2007-06-14 2008-12-17 Smc株式会社 电磁阀
JP2010071359A (ja) 2008-09-17 2010-04-02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電磁ソレノイド
JP2017207158A (ja) 2016-05-19 2017-11-24 Smc株式会社 電磁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396329A1 (en) 2021-12-23
CN113167405A (zh) 2021-07-23
JP7041414B2 (ja) 2022-03-24
TW202026553A (zh) 2020-07-16
US11448337B2 (en) 2022-09-20
JP2020070882A (ja) 2020-05-07
CN113167405B (zh) 2023-03-28
EP3848621A4 (en) 2022-06-29
KR20210083283A (ko) 2021-07-06
EP3848621A1 (en) 2021-07-14
TWI822881B (zh) 2023-11-21
WO2020090414A1 (ja) 2020-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1425B1 (ko) 전자 밸브
JP6801629B2 (ja) 電磁継電器
US20190013171A1 (en) Contact mechanism and electromagnetic relay
EP2571040B1 (en) Sealing structure of terminal member, electromagnetic re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848049B1 (ko) 전자밸브
EP3439012A1 (en) Contact device and electromagnetic contactor using same
EP1288549B1 (en) Electromagnetic valve
KR20130041219A (ko) 전자 계전기
US11043347B2 (en) Electromagnetic relay
EP2226827A2 (en) Electromagnetic Relay
KR100751268B1 (ko) 포펫식 2포트 전자 밸브
KR102647038B1 (ko) 전자밸브
JP5368937B2 (ja) コイル端子
JP4547682B2 (ja) 電磁弁
WO2018159061A1 (ja) 電子機器のシール構造およびシール構造を備えた電子機器
CN211779288U (zh) 一种电磁阀阀芯及电磁阀组件
KR200460358Y1 (ko) 전자식 릴레이의 터미널 고정장치
KR101182684B1 (ko) 전자식릴레이
JP4111092B2 (ja) 端子構造
JP2007134553A (ja) 制御機器のアクチュエータ
JP6787182B2 (ja) 電子機器のシール構造、シール構造を備えた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の製造方法
JP2006266375A (ja) 電磁弁
JP4099941B2 (ja) 電磁継電器
JP2000164265A (ja) 電気接続構造
CN116711045A (zh) 电磁继电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