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1041B1 -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 - Google Patents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1041B1
KR102601041B1 KR1020207019553A KR20207019553A KR102601041B1 KR 102601041 B1 KR102601041 B1 KR 102601041B1 KR 1020207019553 A KR1020207019553 A KR 1020207019553A KR 20207019553 A KR20207019553 A KR 20207019553A KR 102601041 B1 KR102601041 B1 KR 1026010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ylene
film
resin film
polyolefin
eth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9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8580A (ko
Inventor
와카토 도마츠
다다시 니시
Original Assignee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699460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60104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98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8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1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10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specially treated, e.g. irradi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8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8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9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aluminium or 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2Mechan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7Therm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0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22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33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0Inorganic coating
    • B32B2255/205Metall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02Synthetic macromolecular particles
    • B32B2264/0214Particles made of 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4/0228Vinyl resin particles, e.g. polyvinyl acetate, polyvinyl alcohol polymers or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s
    • B32B2264/0235Aromatic vinyl resin, e.g. styren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02Synthetic macromolecular particles
    • B32B2264/0214Particles made of 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4/025Acrylic resin particles, e.g. polymethyl methacrylate or ethylene-acrylate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2Oxide or hydr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4Oxysalt, e.g. carbonate, sulfate, phosphate or nitrate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1Heat seal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32B2307/518Oriented bi-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4Yield strength; Tensile str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58Impact strength, tough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8Cutt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82Tear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82Tearability
    • B32B2307/5825Tear resist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40Close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40Closed containers
    • B32B2439/46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70Food packag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16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5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423/16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Wrapper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축연신 폴리아미드계 수지 필름과 같은 분자 배향축의 변형이 큰 기재 필름과 적층한 경우에 있어서도, 그 적층체로부터 얻어진 포장봉지는 직진 커트성이 우수하며, 또한 낙하 시에 파대되기 어려운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은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 및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90∼97 중량부에 대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 엘라스토머를 3∼10 중량부 함유하고,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와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의 합계량에 대한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의 비율이 0∼50 중량%의 범위이며, 길이방향의 열수축률이 3% 이상 20% 이하이고, 폭방향의 직각방향의 열수축률이 1% 이하이며, 상기 길이방향의 항복응력이 150 ㎫ 이상 25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에 관한 것이다. 또한, 폴리아미드 수지 필름,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 및 폴리프로필렌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필름과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이 적층되어 있는, 히트 실링에 적합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에 관한 것이다.
포장봉지는 주로 폴리아미드 수지 필름,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필름 등의 기재 필름과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의 적층체의 주변부를,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면끼리가 접촉하는 상태로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의 융점 부근의 온도에서 가열압착(이하, 히트 실링)함으로써 제조된다.
식품 포장봉지에 있어서는 식품을 충전한 후의 포장봉지에 130℃ 정도의 가압 수증기에 의해 살균을 행하는, 식품을 장기간 보존하는 것에 적합한, 소위 레토르트 파우치라는 것이 보급되어 있다.
최근 들어, 여성의 사회진출, 핵가족화, 또는 고령화 진행 등의 사회배경으로부터, 레토르트 파우치에 대한 수요가 커지고 있고, 동시에 특성의 향상이 더욱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레토르트 파우치는 상자 포장되어, 수송하여 점두 판매되는 형태가 최근 들어 많기 때문에, 그 과정에서 낙하하더라도 파대(破袋)되기 어려운 것, 특히 냉장하에서 낙하하더라도 파대되기 어려운 것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포장봉지, 특히 레토르트 파우치로부터 식품 내용물을 꺼낼 때는, 포장봉지 주변의 실링 부분에 들어간 절개 부분, 소위 노치 부분으로부터 손으로 포장봉지를 인열하는 경우가 많은데, 종래의 적층체를 사용한 경우, 포장봉지의 일변, 통상은 수평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인열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비스듬히 개봉되어 버리거나, 포장봉지의 표면과 이면의 적층체에서 찢어짐 진행방향의 상하가 반대가 되는 현상, 소위 나키와카레(Nakiwakare)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식품 내용물을 꺼내기 어려워지거나, 식품 내용물로 손이나 옷이 더러워지거나, 내용물이 가열되어 있었던 경우는 화상 등을 입거나 할 우려가 있었다.
포장봉지를 포장봉지의 일변에 대해 평행하게 인열하는 것이 곤란한 이유는, 적층체에 사용하는 기재 필름에 변형이 있는 것, 즉 기재 필름의 분자 배향축 방향이 포장체의 일변에 대해 평행하지 않기 때문이다.
기재 필름의 분자 배향축 방향을 포장봉지의 인열방향과 동일하게 할 수 있으면 이러한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제조된 광폭의 연신 필름의 폭방향 중앙부의 분자 배향축 방향은 필름의 주행방향과 일치하고 있어 포장봉지의 일변에 대해 평행하게 인열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런데, 필름의 폭방향 단부에서는 분자 배향축 방향이 기울어져 버려, 포장봉지의 인열방향은 경사지게 된다. 필름의 폭방향 단부를 사용한 기재 필름을 완전히 피해 조달하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을 뿐 아니라, 기재 필름의 생산속도 고속화나 광폭화에 수반하여, 변형의 정도는 종래보다도 더욱 커지는 경향에 있다.
이에, 기재 필름과 적층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의 고안에 의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시도되고 있다.
특허문헌 1에 의해,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와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시트를 3.0배 이하로 일축연신함으로써 얻어진 필름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등 참조). 이 필름과 기재 필름을 적층함으로써, 직진 커트성이 얻어진 것이 기재되어 있지만, 그러나, 인열강도에 개선의 여지가 있고, 또한 나키와카레 현상이 발생하기 쉽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2, 특허문헌 3에 의해,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 또는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와, 프로필렌-부텐 엘라스토머 및/또는 에틸렌-부텐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시트를 5배 정도로 일축연신한 필름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낙하 시의 파대에 아직 개선의 여지가 있어, 특허문헌 3에서 상정된 사용온도보다도 저온에서는 내파대성이 부족하다고 하는 문제점이 었있다.
일본국 특허 제5790497호 공보 일본국 특표 제2012-500307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제2014-141302호 공보
본 발명은 이축연신 폴리아미드계 수지 필름과 같은 분자 배향축의 변형이 큰 기재 필름과 적층한 경우에 있어서도, 그 적층체로부터 얻어진 포장봉지는 직진 커트성이 우수하고, 또한 낙하 시에 파대되기 어려운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필름 중의 주성분이 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상용성이 우수한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 엘라스토머를 충격 흡수제로서 사용하고, 또한 연신에 의해 중합체 분자를 주로 길이방향으로 배향시키지만, 길이방향 및 폭방향의 열수축률을 저감시키고, 또한 상기길이방향의 항복응력을 특정 범위로 함으로써, 이축연신 폴리아미드계 수지 필름과 같은 분자 배향축의 변형이 큰 기재 필름과 적층한 경우에 있어서도, 그 적층체로부터 얻어진 포장봉지는 직진 커트성이 우수하고, 또한 낙하 시에 파대되기 어려운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을 얻을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의 완성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아래의 태양을 갖는다.
[1]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 및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90∼97 중량부에 대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 엘라스토머를 3∼10 중량부 함유하고,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와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의 합계량에 대한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의 비율이 0∼50 중량%의 범위이며, 길이방향의 열수축률이 3% 이상 20% 이하이고, 폭방향의 직각방향의 열수축률이 1% 이하이며, 상기 길이방향의 항복응력이 150 ㎫ 이상 25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
여기에서의 길이방향이란, 필름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필름이 주행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폭방향이란 상기 길이방향과 직각방향을 의미한다.
[2][1]에 기재된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과, 폴리아미드 수지 필름,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 및 폴리프로필렌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필름의 적층체.
[3]직진 커트성이 5 ㎜ 이하인, [2]에 기재된 적층체.
[4][3]에 기재된 적층체로 이루어지는 포장체.
[5]레토르트용인, [4]에 기재된 포장체.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은 내파대성이 우수하고, 나키와카레 현상이 없어, 특히 레토르트 파우치에 적합하다.
아래에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은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 또는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와 1종 이상의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의 혼합물에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 엘라스토머를 함유함으로써 해도(海島)구조를 만드는 것에 의해, 양호한 내파대성을 발현시킬 수 있다.
이때, 해부(海部)는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의 프로필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부분, 또는 추가로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도 포함하는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도부(島部)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 엘라스토머 및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의 에틸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
본 발명에 있어서는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는 다량의 프로필렌과 소량의 에틸렌의 공중합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1단째의 중합공정과, 소량의 프로필렌과 다량의 에틸렌의 공중합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2단째의 중합공정으로 이루어지는 다단 공중합체이다. 구체적으로는,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0-186159호 공보에서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기상법 중합을 행하고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공정에서 실질적으로 불활성 용제의 부존재하에 프로필렌을 주체로 한 중합체 부분(A 성분)을 중합하고, 이어서 제2 공정을 기상 중에서 에틸렌 함량이 20∼50 중량부인 프로필렌과 에틸렌의 공중합체 부분(B 성분)을 중합하여 얻어지는 블록 공중합체를 들 수 있는데,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의 용융흐름지수(MFR)(230℃, 하중 2.16 ㎏ 측정)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1∼10 g/10 min가 바람직하고, 2∼7 g/10 min가 보다 바람직하다. 1 g/10 min 미만이면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 T 다이에서의 압출이 곤란하고, 반대로 10 g/10 min를 초과한 경우는, 필름의 끈적임이나 필름의 내충격강도(임팩트강도)가 떨어지는 등 문제가 생기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20℃에 있어서의 크실렌 가용부를 CXS, 20℃에 있어서의 크실렌 비가용부를 CXIS로 부르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에 있어서는, CXS는 고무 성분(B 성분)을 주체로 하고, CXIS는 폴리프로필렌 성분(A 성분)을 주체로 한다. 각각의 극한점도를 [η]CXS, [η]CXIS로 하면, [η]CXS, [η]CXIS의 값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η]CXS는 1.8∼3.8 ㎗/g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한 것은 2.0∼3.0 ㎗/g의 범위이다. 3.0 ㎗/g을 초과하면,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에 피쉬아이(fish eye)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한편, 1.8 ㎗/g 이하에서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끼리의 히트 실링강도가 현저히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한편,[η]CXIS는 1.0∼3.0 ㎗/g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3.0 ㎗/g을 초과한 경우는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 T 다이에서의 압출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고, 반대로 1.0 ㎗/g 미만인 경우는 필름의 끈적임이나 필름의 내충격강도(임팩트강도)가 떨어지는 등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상기[η]CXS, [η]CXIS는 아래의 측정방법으로 측정한 값이다. 시료 5 g을 비등 크실렌 500 ㎖에 완전히 용해시킨 후, 20℃로 강온하여 4시간 이상 방치하였다. 이어서, 이것을 여액과 석출물로 여과 분별하여, 여액을 건고한 성분(CXS) 및 석출물을 감압하 70℃에서 건조하여 얻어진 고형물(CXIS)의 극한점도([η])를 우베로드형 점도계를 사용하여 135℃ 테트랄린 중에서 측정하였다.
일반적으로, MFR과 필름 전체의 극한점도 η는 상관이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필름의 η를 앎으로써 사용 수지의 MFR을 대략 알 수 있다. η는 분자량의 기준이 되어, 수치가 클수록 분자량이 크고, 수치가 작아지면 분자량이 작은 것을 나타내고 있다. MFR은 분자량의 기준으로, 수치가 작을수록 분자량이 크고, 수치가 커지면 분자량이 작아진다.
또한,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로서는,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에틸렌 성분의 공중합 비율이 1∼1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3∼1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프로필렌 성분의 공중합 비율이 85∼99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90∼97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에틸렌 함유량이 6.5 질량%, 프로필렌 함유량이 93.5 중량%이고, CXS의 극한점도 η=2.5 ㎗/g의 블록 공중합 폴리프로필렌 수지(230℃, 하중 2.16 ㎏에 있어서의 MFR=3.0 g/10 min, 스미토모 화학 주식회사 제조 WFS5293-22)와, 에틸렌 함유량이 5.7 질량%, 프로필렌 함유량이 94.3 중량%이고, CXS의 극한점도 η=2.3 ㎗/g의 블록 공중합 폴리프로필렌 수지(230℃, 하중 2.16 ㎏에 있어서의 MFR=3.0 g/10 min, 스미토모 화학 주식회사 제조 WFS5293-29)를 들 수 있다.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 
본 발명에 있어서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의 히트 실링온도를 낮추는 것을 목적으로,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를 첨가해도 된다.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란, 프로필렌과 프로필렌 이외의 탄소원자수가 2∼20인 α-올레핀의 1종 이상과의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이러한 탄소원자수가 2∼20인 α-올레핀 모노머로서는, 에틸렌, 부텐-1, 펜텐-1,4-메틸펜텐-1, 헥센-1, 옥텐-1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와의 상용성 면에서 에틸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적어도 1종류 이상이면 되고, 필요에 따라 2종류 이상을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적합한 것은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이다.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의 230℃, 하중 2.16 ㎏에 있어서의 용융흐름지수(MFR)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0.6 g/10 min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g/10 min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g/10 min이다. 상기 미만이면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와의 상용성이 낮아 필름이 백화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의 용융흐름지수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8.0 g/10 min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g/10 min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g/10 min이다.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스미토모 화학 주식회사 제조 S131(밀도 890 ㎏/㎥, 230℃, 하중 2.16 ㎏에 있어서의 MFR 1.5 g/10 min, 융점 132℃) 등을 들 수 있다.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의 융점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12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25℃이다. 상기 미만에서는 내열성이 손상되어, 레토르트 처리 시에 봉지의 내면끼리가 융착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의 융점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145℃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40℃이다. 상기 이상이면 실링온도의 저하 효과가 작은 경우가 있다.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 엘라스토머)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포장봉지의 내낙하파대성을 높일 목적으로,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 엘라스토머를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 원료의 한 성분으로서 사용한다.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 엘라스토머란, 에틸렌과 프로필렌을 공중합시켜서 얻어지는 비결정성 또는 저결정성으로, 상온 부근에서 고무상 탄성을 나타내는 공중합 폴리머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 엘라스토머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230℃, 하중 2.16 ㎏에 있어서의 용융흐름지수(MFR)가 0.2∼5 g/10 min, 밀도가 820∼930 ㎏/㎥, GPC법에 의해 구한 분자량 분포(Mw/Mn)가 1.3∼6.0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형태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 엘라스토머의 230℃, 하중 2.16 ㎏에 있어서의 용융흐름지수(MFR)가 0.2 g/10 min를 밑돌면, 균일한 혼련이 불충분해져 피쉬아이가 발생하기 쉬워지고, 또한 5 g/min를 초과하면, 내파대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 엘라스토머의 극한점도[η]는 히트 실링강도 유지와 임팩트강도 유지, 낙대(落袋)강도의 관점에서 1.0∼5.0이 바람직하고, 적합하게는 1.2∼3.0이다. 극한점도[η]가 1.0을 밑돌면, 균일한 혼련이 불충분해져 피쉬아이가 발생하기 쉬워지고, 또한 5.0을 초과하면 내파대성 및 히트 실링강도의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 엘라스토머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 엘라스토머에 있어서의 프로필렌 성분의 공중합 비율이 15∼4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20∼4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 엘라스토머에 있어서의 에틸렌프로필렌 성분의 공중합 비율이 55∼8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60∼8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밀도 870 ㎏/㎥, MFR(230℃, 2.16 ㎏) 1.8 g/10 min이고, 프로필렌 함유량이 93.5 질량%인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 엘라스토머(미츠이 화학 주식회사 제조 타프머 P0480)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은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 및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90∼97 중량부에 대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를 3∼10 중량부 함유한다. 이 범위면, 낙하 후의 내파대성과 제대(製袋) 마무리가 우수하고, 인열강도와 나키와카레 현상도 양호하다.
여기서,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 및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의 합계를 100 중량부가 되도록 한다.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 및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92∼97 중량부에 대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를 3∼8 중량부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 및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92∼98 중량부에 대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를 3∼8 중량부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 중에서 특히 적합한 것은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이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에 있어서,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와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의 합계량에 대한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의 비율은 0∼50 중량%의 범위에서 가능하다.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의 비율이 50 중량%를 초과하면, 낙하 시의 내파대성이 악화되거나, 인열강도와 나키와카레 현상이 커지는 경우가 있다. 40 중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35 중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낙하 시의 내파대성이나 히트 실링강도의 관점에서는,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의 비율은 10 중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20 중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첨가제)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은 안티블로킹제를 포함해도 된다. 배합되는 안티블로킹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탄산칼슘, 이산화규소, 이산화티탄, 황산바륨, 산화마그네슘, 탈크, 제올라이트 등의 무기 입자와 아크릴계, 스티렌계, 스티렌·부타디엔계의 중합체, 더 나아가서는 이들의 가교체 등으로 이루어지는 유기 입자를 들 수 있다. 입자경 분포의 제어 용이함이나, 분산성, 광학적 외관의 유지 용이함, 더 나아가서는 입자의 필름으로부터의 탈락 방지 등을 고려하면, 가교체로 이루어지는 유기 입자가 바람직한 것이다. 가교체로서는, 특히 아크릴산, 메타아크릴산, 아크릴산에스테르,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등의 아크릴계 단량체로 이루어지는 가교 아크릴계 중합체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가교된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가 추장된다. 이들 입자의 표면에는 분산성이나 탈락 방지를 목적으로 한 각종 코팅이 행하여져 있어도 지장없다. 또한, 이들 입자의 형상은 부정형, 구형, 타원 구형상, 막대 형상, 뿔 형상, 다면체, 원뿔 형상, 더 나아가서는 입자 표면이나 내부에 공동을 갖는 다공 형상이어도 된다. 안티블로킹제는 필름의 외관과 내블로킹성 면에서 3∼12 ㎛의 평균 입자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티블로킹제는 1종류만 사용해도 유효하나, 2종류 이상의 입경이나 형상이 상이한 무기 입자를 배합한 쪽이, 필름 표면에 있어서 보다 복잡한 돌기가 형성되어, 보다 고도의 블로킹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경우가 있다. 블록 공중합체를 주된 구성 수지로서 사용하는 경우, 폴리머의 분산에 의해 표면 요철이 형성되는 경우가 있어, 안티블로킹제를 첨가하지 않더라도 고도의 내블로킹 효과가 얻어지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에는 유기계 윤활제를 첨가해도 된다. 적층 필름의 미끄럼성이나 블로킹 방지 효과가 향상되어, 필름의 취급성이 좋아진다. 그 이유로서, 유기 윤활제가 블리드 아웃되어 필름 표면에 존재함으로써, 윤활제 효과나 이형 효과가 발현된 것으로 생각한다. 또한, 유기계 윤활제는 상온 이상의 융점을 갖는 것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합한 유기계 윤활제의 예로서는, 지방산아미드, 지방산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올레산아미드, 에루크산아미드, 베헨산아미드, 에틸렌비스올레산아미드, 헥사메틸렌비스올레산아미드, 에틸렌비스올레산아미드 등이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상관없으나, 2종류 이상을 병용함으로써 보다 지나치게 가혹한 환경하에 있어서도 미끄럼성과 블로킹 방지 효과를 유지할 수 있는 경우가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은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필요에 따라 적량의 산화방지제, 대전방지제, 방담제, 중화제, 조핵제, 착색제, 기타 첨가제 및 무기질 충전제 등을 배합할 수 있다. 산화방지제로서 페놀계나 포스파이트계의 단독 사용 및 병용, 또는 1분자 중에 페놀계와 포스파이트계의 골격을 가진 것의 단독 사용을 들 수 있다.
(복수 층으로 이루어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은 단층이어도 되고, 복수 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실링층, 중간층, 라미네이트층의 3층 구성을 취하고, 중간층에 그 필름을 리사이클링한 펠릿을 첨가함으로써, 히트 실링 에너지나 내파대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비용을 낮추거나,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를 실링층에만 첨가하고, 중간층과 라미네이트층은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를 주체로서 사용함으로써, 내충격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각각의 층이 상기 [1]에 기재된 조성비인 것이 적합하다.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의 성형방법은, 예를 들면 인플레이션 방식, T 다이 방식을 사용할 수 있는데,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서나, 드래프트의 용이함으로부터 T 다이 방식이 바람직하다. 인플레이션 방식은 냉각 매체가 공기인 것에 대해, T 다이 방식은 냉각 롤을 사용하기 때문에, 미연신 시트의 냉각속도를 높게 하는 데는 유리한 제조방법이다. 냉각속도를 빠르게 함으로써, 미연신 시트의 결정화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높은 투명성이 얻어지는 외에, 후공정에서의 연신에 걸리는 부하를 제어하기 쉬워 유리해진다. 이러한 이유에서 T 다이 방식으로 성형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용융된 원료 수지를 캐스팅하여 무배향의 시트를 얻을 때의 냉각 롤 온도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15℃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이다. 상기 미만이면, 냉각 롤에 결로가 발생하여, 미연신 시트와 냉각 롤이 밀착 부족이 되어, 두께 불량의 원인되는 경우가 있다. 냉각 롤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5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이다. 상기를 초과하면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의 투명성이 악화되는 경우가 있다.
무배향의 시트를 연신하는 방식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인플레이션 방식, 롤 연신 방식을 사용할 수 있는데, 배향의 제어 용이함으로부터 롤 연신 방식이 바람직하다.
무배향의 시트를 적절한 조건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신함으로써, 직진 커트성이 발현된다. 이것은 분자쇄가 연신방향으로 규칙적으로 배열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필름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필름이 주행하는 방향을 길이방향이라 하고, 상기 길이방향과 직각방향을 폭방향이라 부른다.
길이방향의 연신배율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3.3배이다. 이보다 작으면 항복응력이 저하되어, 길이방향의 인열강도가 커지거나, 직진 커트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3.5배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8배이다.
길이방향의 연신배율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5.5배이다. 이보다 크면 과잉으로 배향이 진행되어, 실링 에너지가 저하되고, 낙하 시의 내파대성이 악화되는 경우가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5.0배이다.
길이방향 연신에 있어서의 롤 온도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80℃이다. 이보다 낮으면 필름에 걸리는 연신응력이 높아져, 필름이 두께 변동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90℃이다.
연신 롤 온도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140℃이다. 이를 초과하면 필름에 걸리는 연신응력이 낮아져, 필름의 인열강도가 저하될 뿐 아니라, 연신 롤에 필름이 융착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어, 제조가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3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25℃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115℃이다.
미연신 시트를 연신공정에 도입하기 전에 예열 롤에 접촉시켜서, 시트 온도를 올려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배향의 시트를 연신할 때의 예열 롤 온도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8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0℃이다. 상기 미만이면 연신응력이 높아져, 두께 변동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다. 예열 롤 온도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14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3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25℃이다. 상기 이상이면, 열수축률이나 레토르트 수축률이 증대되는 경우가 있다. 이는 연신 전의 열결정화를 억제하여 연신 후의 잔류응력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연신공정을 거친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에는 열수축을 억제하기 위해 결정화 촉진을 위한 가열처리(이하, 어닐링 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닐링 처리 방식에는 롤 가열 방식, 텐터 방식 등이 있는데, 설비의 간략함이나 유지 보수의 용이함으로부터 롤 가열 방식이 바람직하다. 어닐링 처리하는 것에 의해, 필름의 내부응력을 저하시킴으로써, 필름의 열수축을 억제하고, 또한 인열 용이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어닐링 처리에 의해 인열 용이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어, 종래와 같이 인열성을 높이기 위해 연신배율을 크게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레토르트 수축률과 레토르트 후의 히트 실링강도를 희생시키는 경우가 없다. 구체적으로는, 인열강도가 저하됨으로써,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 단독에서는 동일 정도의 직진 커트성이더라도, 제대(製袋) 후의 인열 시 따로 찢어지기 어려워지는 경향에 있다.
어닐링 처리온도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80℃이다. 상기 미만이면 열수축률이 높아져, 제대 후나 레토르트 후의 포장봉지의 마무리가 악화되거나, 인열강도가 커지는 경우가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이고, 110℃가 특히 바람직하다.
어닐링 처리온도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140℃이다. 어닐링 처리온도가 높은 쪽이 열수축률이 저하되기 쉬운데, 이를 초과하면 필름 두게 불균일이 생기거나, 필름이 제조설비에 융착되는 경우가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35℃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30℃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상으로 기술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의 라미네이트면에 코로나처리 등으로 표면을 활성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대응에 의해 기재 필름과의 라미네이트 강도가 향상된다.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의 특성)
(필름 두께)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10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이다. 상기 미만이면 기재 필름의 두께에 대해 상대적으로 얇아지기 때문에, 적층체로서의 직진 커트성이 악화되거나, 또한 필름의 탄성이 지나치게 약하여 가공하기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는 외에, 내충격성이 저하되어 내파대성이 악화되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필름 두께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200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30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80 ㎛이다. 상기를 초과하면 필름의 탄성이 지나치게 강하여 가공하기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는 외에, 적합한 포장체를 제조하기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열수축률)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 길이방향의 120℃에 있어서의 열수축률의 상한은 20%이다. 상기를 초과하면 인열강도가 높아지는 동시에, 히트 실링 시나 포장체의 레토르트 수축이 커져, 포장체의 외관을 손상시키는 경우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17%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4%이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 길이방향의 열수축률의 하한은 2%이다. 이보다 작게 하고자 하면, 어닐링 온도나 어닐링 시간을 현저히 크게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내파대성이나 외관이 현저히 악화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 폭방향의 열수축률의 상한은 1%이다. 상기를 초과하면, 길이방향의 인열강도가 커지거나, 또는 직진 커트성이 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0.5%이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 폭방향의 열수축률의 하한은 -5%이다. 상기 미만이면, 히트 실링에서 신장이 발생하여, 포장체의 외관이 악화되는 경우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2%이다.
(항복응력)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 길이방향의 항복응력은 150 ㎫ 이상인 것이 필요하다. 이보다 작으면, 그 방향의 직진 커트성이 떨어진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60 ㎫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70 ㎫ 이상이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 길이방향의 항복응력은 250 ㎫ 이하인 것이 필요하다. 이보다 크면, 필름의 실링 에너지가 저하되어, 내파대성이 악화되는 경우가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240 ㎫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 ㎫ 이하이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 폭방향의 항복응력은 5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 이하이다.
상기 길이방향은 미연신 시트의 연신공정에 있어서의 연신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폭방향은 미연신 시트의 연신공정에 있어서의 연신방향과는 직각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의 길이방향과 폭방향의 항복응력의 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4.0 이상이 바람직하고, 6.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길이방향과 폭방향의 항복응력의 비가 4.0 이상이면, 상기 길이방향의 배향이 부족하지 않고, 직진 커트성이 향상되기 쉽다.
또한, 길이방향과 폭방향의 항복응력의 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14.0 이하가 바람직하고, 12.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길이방향과 폭방향의 항복응력의 비가 14.0 이하면, 상기 길이방향의 배향이 과잉이 되지 않아, 적합한 히트 실링강도가 얻어지기 때문에 내파대성이 향상되기 쉽다.
(인열강도)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의 상기 길이방향 인열강도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0.2 N이다. 이것을 초과하면 라미네이트 필름을 인열하기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16 N이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 폭방향의 인열강도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0.02 N이다. 이보다 작으면 내파대성이 악화되는 경우가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03 N이다.
(습윤장력)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의 폴리아미드 수지 필름,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 및 폴리프로필렌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필름과 라미네이트하는 면의 습윤장력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30 mN/m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mN/m이다. 상기 미만이면 라미네이트강도가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습윤장력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55 mN/m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mN/m이다. 상기를 초과하면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 롤의 블로킹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돌자강도)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의 돌자강도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0.13 N/㎛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5 N/㎛이다. 상기 미만이면 포장체에 돌기가 접촉했을 때에 핀홀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돌자강도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0.40 N/㎛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30 N/㎛이다. 상기를 초과하면 탄성이 지나치게 강하여, 필름 또는 적층체로 했을 때의 핸들링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적층체의 구성 및 제조방법)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을 사용한 적층체는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을 실란트로서 사용하고, 폴리아미드 수지 필름,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 및 폴리프로필렌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필름 기재와의 적층체이다. 필름 기재는 이들 이축연신 필름이 강도의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공지의 기술로서 접착성이나 배리어성을 부여할 목적으로 이들 기재 필름에 코팅이나 증착가공을 한 것을 사용하거나, 알루미늄박을 추가로 적층하는 등의 구성으로 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이축연신 PET 필름/알루미늄박/실란트, 이축연신 PET 필름/이축연신 나일론 필름/실란트, 이축연신 나일론 필름/실란트,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실란트, 이축연신 PET 필름/이축연신 나일론 필름/알루미늄박/실란트 등의 구성을 들 수 있다.
이중에서도 이축연신 나일론 필름은 종래의 실란트를 사용한 경우는 적층체의 직진 커트성이 크게 악화되어 버린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을 실란트로서 사용함으로써, 어느 구성에 있어서도 양호한 직진 커트성의 적층체를 제조할 수 있다.
적층방법은 드라이 라미네이트 방식, 압출 라미네이트 방식 등 공지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는데, 어느 라미네이트 방식이더라도 양호한 직진 커트성의 적층체를 제조할 수 있다.
(적층체의 특성)
(인열강도) 
본 발명 적층체의 상기 열수축률이 큰 방향의 인열강도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0.4 N이다. 이를 초과하면 적층체를 인열하기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35 N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3 N이다. 0.1 N이면 충분하다.
(직진 커트성) 
본 발명 적층체의 직진 커트성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3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이다. 상기를 초과하면 포장체가 따로 찢어지는 경우가 있다. 1 ㎜면 충분하다.
(레토르트 수축률) 
본 발명 적층체의 레토르트 수축률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10%이다. 이를 초과하면, 레토르트 후 포장체의 외관이 악화되는 경우가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7%이다. 길이방향의 레토르트 수축률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5%이다. 이것 미만이면, 레토르트 후의 신장이 커서, 파대(破袋)의 원인이 되는 경우가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2%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이다.
(히트 실링강도)
본 발명 적층체의 레토르트 전 히트 실링강도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35 N/15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N/15 ㎜이다. 상기 미만이면 내파대성이 악화되는 경우가 있다. 히트 실링강도는 121℃, 30분의 레토르트 처리 후에 있어서도 35 N/15 ㎜ 이상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히트 실링강도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60 N/15 ㎜이다. 상기를 초과하기 위해서는 필름의 두께를 증대시키는 것 등이 필요해지기 때문에, 생산비용이 높아지는 경우가 있다.
(실링 에너지) 
본 발명 적층체의 실링 에너지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0.9 J/150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J/150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J/150 ㎟이다. 상기 미만이면, 내파대성이 악화되는 경우가 있다. 라미네이트 필름의 실링 에너지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1.6 J/150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4 J/150 ㎟이다. 상기를 초과하면, 필름의 두께를 증대시키는 것 등이 필요해지기 때문에, 생산비용이 높아지는 경우가 있다.
(돌자강도)
본 발명 적층체의 레토르트 전 돌자강도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8.0 N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N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7 N이다. 상기 미만이면 포장체에 돌기가 접촉했을 때에 핀홀이 되는 경우가 있다. 돌자강도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45.0 N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 N이다. 상기를 초과하면 적층체의 탄성이 지나치게 강하여 핸들링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포장체)
식료품 등의 내용물을 자연계의 먼지나 가스 등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내용물의 주위를 싸듯이 배치된 상기 적층체를 포장체라 부른다. 포장체는 상기 적층체를 잘라내고, 가열한 히트 실링 바나 초음파 등으로 내면끼리를 접착하여 봉지 형상으로 하거나 하여 제조되며, 예를 들면 직사각형의 적층체 2장을 실란트 측이 안쪽이 되도록 포개어, 네 변을 히트 실링한 사방 실링 봉지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내용물은 식료품이어도 되지만, 일용잡화 등 그밖의 생산물 등이어도 되고, 포장체의 형상도 스탠딩 파우치나 필로 포장체 등의 직사각형 이외의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가압하거나 하여 비점을 상승시켜 100℃ 이상으로 한 열수에 의한 가열살균의 열에 견딜 수 있는 포장체를 레토르트용 포장체라 부른다. 또한, 그 포장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필름을 레토르트용 필름이라 부른다.
(나키와카레 현상) 
본 발명을 사용한 사방 실링 봉지의 나키와카레 현상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5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 ㎜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2 ㎜이다. 상기를 초과하면 포장체를 인열하였을 때, 내용물이 넘쳐 흘러 버리는 경우가 있다. 1 ㎜면 충분하다.
(내파대성)
본 발명의 적층체로 제작된 사방 실링 봉지를 낙하시켜, 봉지가 찢어질 때까지 낙하를 반복하여, 반복 낙하횟수를 측정했을 때, 파대되지 않고 잔존한 것의 개수의 비율이 50%가 되었을 때의 낙하횟수가 5회 이상인 것이 실용상 바람직하고, 10회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평가는 아래와 같이 하였다.
 ◎:잔존율이 50%가 되는 낙하횟수가 13회 이상
 ○:잔존율이 50%가 되는 낙하횟수가 10회 이상 12회 이하
 △:잔존율이 50%가 되는 낙하횟수가 5회 이상 9회 이내
 ×:잔존율이 50%가 되는 낙하횟수가 4회 이내
실시예
아래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실시예에서 얻어진 특성은 아래의 방법에 의해 측정, 평가하였다. 평가 시, 필름 제막의 길이방향을 MD방향, 폭방향을 TD방향으로 하였다.
(1) 수지밀도
JIS K7112:1999의 D법(밀도 구배관)에 준하여 밀도를 평가하였다.
N=3으로 측정하고,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2) 용융흐름지수(MFR)
JISK-7210-1에 기초하여 230℃, 하중 2.16 ㎏으로 측정을 행하였다. N=3으로 측정하고,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3) 열수축률
라미네이트 전의 필름을 사방 120 ㎜로 잘라내었다. MD방향(필름 제막의 흐름방향), TD방향(MD방향에 수직인 방향) 각각에 100 ㎜의 간격이 되도록, 표선을 기입하였다. 120℃로 보온한 오븐 내에 샘플을 매달아 30분간 열처리를 행하였다. 표선 간의 거리를 측정하고, 아래 식에 따라 열수축률을 계산하였다. N=3으로 측정하고,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4) 항복응력
라미네이트 전의 필름을 15 ㎜ 폭의 직사각형상으로 잘라내었다. 인스트론 인스트루먼츠 제조 만능재료 시험기 5965에 의해, 표선 간 거리는 20 ㎜로 하고, 크로스 헤드 스피드 1,000 ㎜/분으로 인장시험을 행하였다. 응력-변형 곡선에 있어서의 기울기가 맨 처음 0이 된 시점의 인장응력을 항복응력으로 하였다. 연신배율이 높은 경우, 일반적으로 상항복점이라 불리는 기울기 0의 점이 소멸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파단점 부근에서 기울기가 맨 처음 0이 되는 점을 항복응력으로 하였다. MD방향, TD방향에서 각 N=3으로 측정하고, 각각의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5) 인열강도
JIS K7128-1:1998에 준하여 인열강도를 측정하였다. 라미네이트 전의 기재 필름 및 라미네이트 필름 각각의 평가를 행하였다. MD방향, TD방향에서 각각 N=3으로 측정하고,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6) 직진 커트성
직진 커트성이란, 필름이나 적층체를 인열하였을 때, 길이방향으로 똑바로 인열할 수 있는 성능을 나타낸다. 측정은 아래의 방법으로 행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MD방향으로 연신하였기 때문에, 열수축률은 MD방향에서 높고, 상기 길이방향은 MD방향이 된다. 따라서, MD방향에서만 직진 커트성을 평가하였다.
라미네이트 필름을 MD방향 150 ㎜, TD방향 60 ㎜의 조각 형상으로 잘라내어, 단변의 중앙부로부터 MD방향을 따라 30 ㎜의 절개를 넣었다. JIS K7128-1:1998에 준하여 샘플을 인열하였다. MD방향으로 절개 30 ㎜를 포함하지 않고 120 ㎜ 인열한 시점에서, TD방향으로 이동한 거리를 측정하여, 그 절대값을 기록하였다. 관찰자 우측의 절편을 위쪽 홀더 사이에 끼우는 경우, 관찰자 좌측의 절편을 위쪽 홀더 사이에 끼우는 경우 양쪽을 각 N=3으로 측정을 행하여, 각각의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우측, 좌측의 측정결과 중, 수치가 큰 쪽을 채용하였다.
(7) 나키와카레 현상
라미네이트 필름을 히트 실링 필름끼리를 마주보게 하여 히트 실링하여, 안치수 MD방향 120 ㎜, TD방향 170 ㎜의 사방 실링 봉지를 제작하였다. 사방 실링 봉지의 말단에 노치를 만들어, MD방향으로 손으로 인열하였다. 반대의 말단까지 커트를 진행시켜, 봉지의 겉쪽과 안쪽 필름의 인열선의 간극을 측정하였다. 오른손 쪽이 가까운 쪽이 되는 방향, 왼손 쪽이 가까운 쪽이 되는 방향 양쪽에 대해서 각 N=3으로 측정한 평균값을 산출하여, 큰 쪽의 측정값을 채용하였다.
(8) 레토르트 수축률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방 120 ㎜로 잘라내었다. MD방향, TD방향 각각에 100 ㎜의 간격이 되도록 표선을 기입하였다. 121℃, 30분간 열수로 레토르트 처리를 행하였다. 표선 간의 거리를 측정하고, 아래 식에 따라 레토르트 수축률을 측정하였다. 각 N=3으로 측정을 행하여,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9) 히트 실링 개시온도
히트 실링온도는 제대기에서의 연속 생산을 상정했을 때의 생산성에 관계되는 항목이다. 제대 적정이 좋다는 것은, 기재 필름이 수축이나 파괴가 발생하지 않는 온도 범위에서 충분한 밀봉성이 얻어지는 것이다. 히트 실링온도의 평가를 아래와 같이 해서 행하였다.
상기 히트 실링강도의 측정에 있어서 히트 실링 바의 온도를 5℃ 피치로 변경하여, 각각 N=3으로 히트 실링강도의 측정을 행하였다. 히트 실링강도가 30 N을 초과하기 직전의 온도에 있어서의 히트 실링강도와, 초과한 직후의 온도에 있어서의 히트 실링강도를 가중 평균하여 산출하였다.
(10) 제대 마무리
라미네이트 필름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 측끼리를 포개어, 0.2 ㎫의 압력에서 1초간, 실링 바의 폭 10 ㎜, 히트 실링온도 220℃에서 히트 실링하여, 안치수 MD방향 120 ㎜, TD방향 170 ㎜의 사방 실링 봉지를 제작하였다. 이 사방 실링 봉지의 마무리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히트 실링부 부근의 변형이 없고, 봉지가 완전히 직사각형이다
 △:히트 실링부 부근의 변형이 적다
 ×:히트 실링부 부근의 변형이 크고, 봉지의 가장자리가 물결치고 있다
(11) 히트 실링강도
히트 실링 조건 및 강도 측정 조건은 다음과 같다. 즉, 실시예·비교예에서 얻어진 라미네이트 필름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 측끼리를 포개어, 0.2 ㎫의 압력에서 1초간, 실링 바의 폭 10 ㎜, 히트 실링온도 220℃에서 히트 실링한 후, 방랭하였다. 각 온도에서 히트 실링된 필름으로부터 각각 MD방향 80 ㎜, TD방향 15 ㎜의 시험편을 잘라내어, 각 시험편에 대해서 크로스 헤드 스피드 200 ㎜/분으로 히트 실링부를 박리했을 때의 박리강도를 측정하였다. 시험기는 인스트론 인스트루먼츠 제조 만능재료 시험기 5965를 사용하였다. 각 N=3회로 측정을 행하여,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121℃, 30분간의 열수 레토르트 처리 전후에서 측정하였다.
(12) 실링 에너지
레토르트 전 라미네이트 필름의 히트 실링강도를 측정할 때, 가로축을 박리 거리, 세로축을 박리강도로 한 측정 차트에 있어서, 박리 개시부터 파단까지의 그래프 면적을 인스트론용 해석 소프트웨어 blue hill3으로 해석하여, 실링 에너지를 산출하였다. 각 N=3으로 측정을 행하여,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13) 내파대성
라미네이트 필름을 잘라내어, 포화 식염수를 300 ㎖ 봉입한 안치수 세로 170 ㎜, 가로 120 ㎜의 사방 실링 봉지를 제작하였다. 이때의 히트 실링 조건은 0.2 ㎫의 압력에서 1초간, 실링 바의 폭 10 ㎜, 히트 실링온도 220℃로 하였다. 제대 가공 후에 사방 실링 봉지의 단부를 잘라내고, 실링 폭은 5 ㎜로 하였다. 상기 사방 실링 봉지를 121℃에 있어서 30분간 레토르트하였다. 다음으로 -5℃의 환경에 8시간 방치하고, 그 환경하에 있어서 1.0 m의 높이에서 사방 실링 봉지를 평탄한 콘크리트 바닥에 낙하시켰다. 봉지가 찢어질 때까지 낙하를 반복하고, 반복 낙하횟수를 측정하여, 아래와 같이 단계를 설정하였다. 봉지의 개수는 각 수준에서 20개로 하였다
 ◎:잔존율이 50%가 되는 낙하횟수가 13회 이상
 ○:잔존율이 50%가 되는 낙하횟수가 10회 이상 12회 이하
 △:잔존율이 50%가 되는 낙하횟수가 5회 이상 9회 이내
 ×:잔존율이 50%가 되는 낙하횟수가 4회 이내
(14) 돌자강도
기재 필름 및 라미네이트 필름을 식품위생법에 있어서의 「식품, 첨가물 등의 규격기준 제3:기구 및 용기포장」(1982년 후생성 고시 제20호)의 「2. 강도 등 시험법」에 준거하여 23℃하에서 돌자강도를 측정하였다. 선단부 직경 0.7 ㎜의 바늘을 돌자속도 50 ㎜/분으로 필름에 푹 찔러, 바늘이 필름을 관통할 때의 강도를 측정하였다. 얻어진 측정값을 필름의 두께로 나눠, 필름 1 ㎛당 돌자강도[ N/㎛]를 산출하였다. N=3으로 측정하고,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라미네이트 필름을 121℃, 30분간 열수로 레토르트 처리를 행한 후에도 동일하게 측정을 행하였다.
(15) 배향각
기재 필름의 배향각(°)은 오지 계측기기(주) 제조 분자 배향계 MOA-6004로 측정하였다. MD방향 120 ㎜, TD방향 100 ㎜로 샘플을 잘라내 계측기에 설치하고, 측정된 Angle의 값을 배향각으로 하였다. 또한, MD방향이 0°이다. N=3으로 측정하고,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실시예 1)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 
수지밀도 891 ㎏/㎥, 230℃, 2.16 ㎏에 있어서의 MFR 3.0 g/10 min의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스미토모 화학 제조 WFS5293-22, 프로필렌 함유량이 93.5 중량%) 94 중량부에 대해, 수지밀도 870 ㎏/㎥, 230℃, 2.16 ㎏에 있어서의 MFR 1.8 g/10 min의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 엘라스토머 수지(미츠이 화학 제조, 타프머 P0480, 프로필렌 함유량이 27 중량%)를 6 중량부 혼합하였다.
(용융 압출)
혼합한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스크류 직경 90 ㎜의 3 스테이지형 단축 압출기로, 폭 800 ㎜로 프리랜드를 2 단계로 하고, 또한 용융 수지의 흐름이 균일해지도록 단차 부분의 형상을 곡선 형상으로 해서 다이 내의 흐름이 균일해지도록 설계한 T 슬롯형 다이에 도입하여, 다이의 출구온도 230℃에서 압출하였다.
(냉각)
다이로부터 나온 용융 수지 시트를 21℃의 냉각 롤로 냉각하여, 층 두께 270(㎛)로 이루어지는 미연신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을 얻었다. 냉각 롤에 의한 냉각 시에는, 에어 노즐로 냉각 롤 상의 필름의 양단을 고정하여, 에어 나이프로 용융 수지 시트의 전폭을 냉각 롤에 프레스하고, 동시에 진공 챔버를 작용시켜서 용융 수지 시트와 냉각 롤 사이로의 에어 트래핑을 방지하였다. 에어 노즐은 양단 모두 필름 진행방향으로 직렬로 설치하였다. 다이 주위는 시트로 둘러싸서, 용융 수지 시트에 바람이 닿지 않도록 하였다.
(예열)
미연신 시트를 가온한 롤군에 유도하여, 시트와 롤을 접촉시킴으로써 시트를 예열하였다. 예열 롤의 온도는 105℃로 하였다. 복수의 롤을 사용하여 필름의 양면을 예열하였다.
(종연신)
상기 미연신 시트를 롤 연신기에 유도하여, 롤 속도차에 의해 4.5배로 MD방향으로 연신하여 두께를 60 ㎛로 하였다. 연신 롤의 온도는 105℃로 하였다.
(어닐링 처리)
어닐링 롤을 사용하여 120℃에서 열처리를 행하였다. 복수의 롤을 사용하여 필름의 양면을 열처리하였다.
(코로나 처리)
필름의 편면(라미네이트면)에 코로나 처리를 행하였다.
(권취)
제막속도는 20 m/분으로 실시하였다. 제막한 필름은 모서리 부분을 트리밍하고, 롤 상태로 하여 권취하였다.
(라미네이트 필름의 제작)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과, 기재 필름(도요보 제조 이축연신 나일론 필름, N1102, 두께 15 ㎛, 배향각은 MD방향에 대해 22°)을, 에스테르계 드라이 라미네이트용 접착제(도요 모톤사 제조, TM569) 33.6 질량부, 경화제로서(도요 모톤사 제조, CAT10L) 4.0 질량부 및 초산에틸 62.4 질량부를 혼합하여 얻어진 에스테르계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제의 도포량이 3.0 g/㎡가 되도록 드라이 라미네이트하였다. 적층한 라미네이트 필름을 40℃로 유지하고, 3일간 에이징을 행하여, 라미네이트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스미토모 화학 제조 WFS5293-22)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 엘라스토머(미츠이 화학 제조, 타프머 P0480)의 혼합비를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 96 중량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 엘라스토머(미츠이 화학 제조, 타프머 P0480)를 4 중량부로 한 이외는 동일한 방법에 있어서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 있어서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스미토모 화학 제조 WFS5293-22)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 엘라스토머의 혼합비를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를 90 중량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 엘라스토머(미츠이 화학 제조, 타프머 P0480)를 10 중량부로 한 이외는 동일한 방법에 있어서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 있어서 연신 롤 속도는 변경하지 않고 캐스팅의 냉각 롤 속도를 변경함으로써 MD방향의 연신배율을 5.0배로 한 이외는 동일한 방법에 있어서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을 얻었다. 이 방법을 채용함으로써, 토출량을 변경하지 않고, 연신 후의 필름 두께가 동일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실시예 5)
실시예 1에 있어서 어닐링 롤의 설정온도를 90℃로 한 이외는 동일한 방법에 있어서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6)
실시예 1에 있어서 압출기의 회전수를 낮춰, 토출량을 작게 하여 제막을 행하여 필름 두께를 50 ㎛로 한 이외는 동일한 방법에 있어서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7)
실시예 1에 있어서 예열 롤 온도를 90℃로 한 이외는 동일한 방법에 있어서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8) 
실시예 1에 있어서 수지의 혼합비를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를 64 중량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 엘라스토머(미츠이 화학 제조, 타프머 P0480)를 6 중량부, 밀도 890 ㎏/㎥ MFR 1.5 g/10 min(230℃, 2.16 ㎏ 측정), 융점 132℃의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스미토모 화학 주식회사 제조 S131) 30 중량부로 한 이외는 동일한 방법에 있어서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을 얻었다.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와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의 합계량에 대한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의 비율은 32 중량%였다.
(실시예 9)
실시예 8에 있어서 어닐링 롤의 온도를 130℃로 한 이외는 동일한 방법에 있어서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을 얻었다.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와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의 합계량에 대한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의 비율은 32 중량%였다
(실시예 10)
실시예 9에 있어서 MD방향의 연신배율을 4.0배로 한 이외는 동일한 방법에 있어서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을 얻었다.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와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의 합계량에 대한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의 비율은 32 중량%였다.
(실시예 11)
실시예 1에 있어서 수지의 혼합비를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스미토모 화학 제조 WFS5293-22)를 84 중량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 엘라스토머를 6 중량부,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스미토모 화학 주식회사 제조 S131) 10 중량부로 한 이외는 동일한 방법에 있어서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을 얻었다.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와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의 합계량에 대한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의 비율은 11 중량%였다.
(실시예 12)
실시예 1에 있어서 수지의 혼합비를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스미토모 화학 제조 WFS5293-22)를 74 중량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 엘라스토머(미츠이 화학 제조, 타프머 P0480)를 6 중량부,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스미토모 화학 주식회사 제조 S131) 20 중량부로 한 이외는 동일한 방법에 있어서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을 얻었다.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와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의 합계량에 대한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의 비율은 21 중량%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 있어서 연신 롤 속도는 변경하지 않고 캐스팅의 냉각 롤 속도를 변경함으로써 MD방향의 연신배율을 1.0배(미연신)로 하고, 또한 어닐링 처리를 행하지 않은 이외는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 MD방향의 연신배율을 2.0배로 한 이외는 동일한 방법에 있어서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3)
실시예 1에 있어서 MD방향의 연신배율을 3.1배로 한 이외는 동일한 방법에 있어서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4)
실시예 1에 있어서 MD방향의 연신배율을 6.0배로 한 이외는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5)
실시예 1에 있어서 어닐링 처리를 행하지 않은 이외는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6)
실시예 8에 있어서 어닐링 처리를 하지 않는 이외는 실시예 8과 동일한 방법에 있어서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을 얻었다.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와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의 합계량에 대한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의 비율은 32 중량%였다.
(비교예 7) 
실시예 1에 있어서 사용하는 수지의 혼합비를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WFS5293-22) 90 중량부, 수지밀도 900 ㎏/㎥, MFR(230℃, 2.16 ㎏ 측정) 6.7 g/10 min의 프로필렌-부텐 공중합 엘라스토머(미츠이 화학 제조, 타프머 XM7070) 10 중량부로 한 이외는 동일한 방법에 있어서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8) 
실시예 1에 있어서 사용하는 수지의 혼합비를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WFS5293-22) 92 중량부, 수지밀도 900 ㎏/㎥, MFR(230℃, 2.16 ㎏ 측정) 6.7 g/10 min의 프로필렌-부텐 공중합 엘라스토머(미츠이 화학 제조, 타프머 XM7070) 4 중량부, 수지밀도 885 ㎏/㎥, MFR(230℃, 2.16 ㎏ 측정) 1.8 g/10 min의 에틸렌-부텐 공중합 엘라스토머(미츠이 화학 제조, 타프머 A1085S) 4 중량부로 한 이외는 동일한 방법에 있어서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9)
실시예 8에 있어서 수지의 혼합비를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스미토모 화학 제조 WFS5293-22)를 70 중량부,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스미토모 화학 주식회사 제조 S131) 30 중량부로 한 이외는 동일한 방법에 있어서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을 얻었다.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와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의 합계량에 대한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의 비율은 30 중량%였다.
(비교예 10)
실시예 8에 있어서 수지의 혼합비를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스미토모 화학 주식회사 제조 S131) 94 중량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 엘라스토머(미츠이 화학 제조, 타프머 P0480)를 6 중량부, 어닐링 롤의 설정온도를 110℃로 한 이외는 동일한 방법에 있어서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11)
실시예 10에 있어서 수지의 혼합비를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스미토모 화학 제조 WFS5293-22)를 20 중량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 엘라스토머(미츠이 화학 제조, 타프머 P0480)를 6 중량부,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스미토모 화학 주식회사 제조 S131) 74 중량부 로 한 이외는 동일한 방법에 있어서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을 얻었다.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와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의 합계량에 대한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의 비율은 74 중량%였다.
비교예 1∼3에서는 연신배율이 낮기 때문에 직진 커트성이 떨어지는 것이었다.
비교예 4에서는 연신배율이 높기 때문에 내파대성이 떨어지는 것이었다.
비교예 5, 6에서는 어닐링 처리를 행하지 않았기 때문에, 레토르트 수축률이 증대되어, 마무리가 떨어지는 것이었다.
비교예 7, 8에서는 에틸렌-부텐 공중합 엘라스토머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마무리가 떨어지는 것이고, 내파대성이 떨어지는 것이었다.
비교예 9에서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 엘라스토머를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내파대성이 떨어지는 것이었다.
비교예 10, 11에서는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가 적고,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가 많기 때문에, 내파대성이 떨어지는 것이고, 따로 찢어지기 쉬운 것이었다.
상기 결과를 표 1, 표 2에 나타낸다.
표 1 및 표 2에서 평가결과를 「측정 불가*」로 기재한 것은, 특성 평가 중에 필름이 MD방향으로 찢어져 버려, 측정값을 얻을 수 없었던 것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의해 개봉 방향으로 약간의 나키와카레 현상이 발생하여 똑바로 개봉할 수 있으며, 또한 저온 환경하에 있어서도 파대되기 어려운 레토르트 파우치를 제공할 수 있어, 산업에 크게 공헌할 수 있다.

Claims (5)

  1.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 및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90∼97 중량부에 대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 엘라스토머를 3∼10 중량부 함유하고,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와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의 합계량에 대한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의 비율이 0∼50 중량%의 범위이며, 길이방향의 120℃에 있어서의 열수축률이 3% 이상 20% 이하이고, 길이방향의 직각방향의 120℃에 있어서의 열수축률이 1% 이하이며, 상기 길이방향의 항복응력이 150 ㎫ 이상 25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
  2. 제1항에 기재된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과, 폴리아미드 수지 필름,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 및 폴리프로필렌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필름의 적층체.
  3. 제2항에 있어서,
    직진 커트성이 5 ㎜ 이하인 적층체.
  4. 제3항에 기재된 적층체로 이루어지는 포장체.
  5. 제4항에 있어서,
    레토르트용인 포장체.
KR1020207019553A 2017-12-22 2018-11-20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 KR1026010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246669 2017-12-22
JP2017246669 2017-12-22
JPJP-P-2018-140194 2018-07-26
JP2018140194 2018-07-26
PCT/JP2018/042800 WO2019123944A1 (ja) 2017-12-22 2018-11-20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フィル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8580A KR20200098580A (ko) 2020-08-20
KR102601041B1 true KR102601041B1 (ko) 2023-11-09

Family

ID=66994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9553A KR102601041B1 (ko) 2017-12-22 2018-11-20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718746B2 (ko)
EP (1) EP3730541A4 (ko)
JP (2) JP7107323B2 (ko)
KR (1) KR102601041B1 (ko)
CN (1) CN111511813A (ko)
TW (1) TWI798288B (ko)
WO (1) WO20191239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21200593A1 (ko) 2020-03-30 2021-10-07
CN115362199B (zh) * 2020-03-30 2023-12-19 东洋纺株式会社 聚烯烃系树脂薄膜
JPWO2021205908A1 (ko) * 2020-04-07 2021-10-14
KR20230132490A (ko) 2021-01-15 2023-09-15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적층체 및 그것을 사용한 포장체
JPWO2022153783A1 (ko) 2021-01-15 2022-07-21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3931A (ja) * 1998-11-05 2000-05-26 Toyobo Co Ltd 食品包装用フィルム
JP2014141302A (ja) * 2012-12-28 2014-08-07 Dainippon Printing Co Ltd レトルト食品用の包装材料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48885A (ja) * 1996-03-18 1997-09-22 Toray Ind Inc レトルト用ポリオレフィンフィルム
JPH1039453A (ja) * 1996-07-18 1998-02-13 Fuji Photo Film Co Ltd 易開封性感光材料包装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3676529B2 (ja) * 1996-12-05 2005-07-27 東洋紡績株式会社 ポリプロピレン系積層無延伸フィルム
JP3566114B2 (ja) 1998-12-22 2004-09-15 住友化学工業株式会社 レトルト食品包装用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808822B2 (en) * 2001-10-17 2004-10-26 Avery Dennison Corporation Multilayered shrink films and labels made therefrom
JP3879513B2 (ja) * 2002-01-11 2007-02-14 住友化学株式会社 収縮包装用フィルムおよびラベル
JP4393772B2 (ja) * 2003-02-12 2010-01-06 株式会社細川洋行 医療用容器
JP2004284197A (ja) * 2003-03-24 2004-10-14 Japan Polypropylene Corp ポリプロピレン系熱収縮性フィルム
US20120251749A1 (en) 2008-08-15 2012-10-04 Toray Plastics (America), Inc. Heat sealable monoaxially oriented propylene-based film with directional tear
US20120094042A1 (en) * 2008-08-15 2012-04-19 Toray Plastics (America), Inc. Heat sealable monoaxially oriented propylene-based film with directional tear
WO2010019943A1 (en) 2008-08-15 2010-02-18 Toray Plastics (America), Inc. Heat sealable monoaxially-oriented propylene-based film with directional tear
KR101702149B1 (ko) * 2009-03-13 2017-02-03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다층 적층 개봉 용이 포장체
DE202010018574U1 (de) * 2009-03-13 2017-10-16 Upm Raflatac Oy In Maschinenrichtung orientierte Folie für Etiketten
JP5690103B2 (ja) * 2010-09-13 2015-03-25 フタムラ化学株式会社 シュリンクフィルムの製造方法
ES2806265T3 (es) 2011-11-04 2021-02-17 Jindal Films Europe Virton Sprl Películas de polipropileno orientadas biaxialmente y contraíbles uniaxialmente
JP2013112736A (ja) 2011-11-28 2013-06-10 Mitsui Chemicals Tohcello Inc プロピレン系重合体組成物、及び、その用途
US10818891B2 (en) * 2013-09-03 2020-10-27 Dai Nippon Printing Co., Ltd. Resin composition for sealant layer of battery packaging material
CN107000896B (zh) 2014-10-06 2019-10-18 凸版印刷株式会社 包装容器
JP6585366B2 (ja) * 2015-03-31 2019-10-02 三井化学東セロ株式会社 プロピレン系共重合体組成物及びそれからなるフィルム
JP6721400B2 (ja) 2016-04-26 2020-07-15 藤森工業株式会社 電池外装用積層体、電池外装体、電池外装体の製造方法及び電池
JP7033267B2 (ja) 2016-09-30 2022-03-1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積層体及び該積層体で構成される袋
JP7124285B2 (ja) 2016-09-30 2022-08-2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積層体及び該積層体で構成される袋
JP2018020844A (ja) 2017-07-26 2018-02-08 東洋紡株式会社 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フィルムを用いた包装袋
BR112020001548A2 (pt) 2017-07-26 2020-09-08 Toyobo Co., Ltd. saco de embalagem utilizando filme de terefalato de polibutileno
WO2020022060A1 (ja) 2018-07-27 2020-01-30 東洋紡株式会社 積層体およびそれからなる包装袋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3931A (ja) * 1998-11-05 2000-05-26 Toyobo Co Ltd 食品包装用フィルム
JP2014141302A (ja) * 2012-12-28 2014-08-07 Dainippon Printing Co Ltd レトルト食品用の包装材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930415A (zh) 2019-08-01
CN111511813A (zh) 2020-08-07
EP3730541A4 (en) 2021-08-25
KR20200098580A (ko) 2020-08-20
JP2022153391A (ja) 2022-10-12
WO2019123944A1 (ja) 2019-06-27
TWI798288B (zh) 2023-04-11
US20200392327A1 (en) 2020-12-17
JP7107323B2 (ja) 2022-07-27
EP3730541A1 (en) 2020-10-28
US11718746B2 (en) 2023-08-08
JP7279837B2 (ja) 2023-05-23
JP2023093451A (ja) 2023-07-04
JPWO2019123944A1 (ja) 2021-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1041B1 (ko)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
KR20160033117A (ko) 히트 시일성 폴리프로필렌 적층 연신 필름
CN115362199B (zh) 聚烯烃系树脂薄膜
JP7367675B2 (ja) 積層体およびそれからなる包装袋
JP7392718B2 (ja)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積層体
KR20230132491A (ko)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 및 적층체
CN115362198B (zh) 聚烯烃系树脂薄膜和使用其的层叠体
JP7505614B2 (ja)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フィルム
US11866572B2 (en) Polyolefin-based resin film and laminate including the same
KR20230132490A (ko) 적층체 및 그것을 사용한 포장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