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6211B1 - 두 번 접을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워커 - Google Patents

두 번 접을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워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6211B1
KR102586211B1 KR1020230086472A KR20230086472A KR102586211B1 KR 102586211 B1 KR102586211 B1 KR 102586211B1 KR 1020230086472 A KR1020230086472 A KR 1020230086472A KR 20230086472 A KR20230086472 A KR 20230086472A KR 102586211 B1 KR102586211 B1 KR 1025862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wheel
wheel part
front wheel
lower support
fram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6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6211B9 (ko
Inventor
차경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올비트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올비트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올비트앤
Priority to KR1020230086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6211B1/ko
Priority to JP2023124645A priority patent/JP7430435B1/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6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6211B1/ko
Publication of KR102586211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6211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H2003/043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a drive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H2003/046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brak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61Size reducing arrangements when not in use, for stowing or transp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35Hand or arm, e.g.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06Standing on the fe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Abstract

보행 보조 장치에 관해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보행 보조 장치는 상호 이격하여 상하 방향으로 상호 나란하게 연장된 것으로, 상단 내지 그와 인접한 부분에 각각 제1 및 제2 손잡이부를 갖는 제1 및 제2 메인 프레임, 상기 제1 및 제2 메인 프레임 각각의 하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것으로, 전후 방향으로 상호 나란하게 연장된 제1 및 제2 하부 지지 프레임, 상기 제1 및 제2 하부 지지 프레임 각각의 전단부 내지 그와 인접한 부분에 결합된 제1 및 제2 전방 바퀴부, 상기 제1 및 제2 하부 지지 프레임 각각의 후단부 내지 그와 인접한 부분에 결합된 제1 및 제2 후방 바퀴부 및 상기 제1 및 제2 메인 프레임 사이에 이들을 상호 연결하도록 배치된 것으로, X자형으로 상호 교차하여 배치된 제1 및 제2 연결 프레임을 구비하는 X자형 연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행 보조 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하부 지지 프레임 각각을 상기 제1 및 제2 메인 프레임의 뒤쪽으로 회동시켜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및 제2 메인 프레임이 상호 근접하도록 상기 X자형 연결 부재를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두 번 접을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워커{Walker with structure that can be folded twice}
본 발명은 보행/이동과 관련된 기구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노약자가 이용할 수 있는 워커 및 관련 방법에 관한 것이다.
노인 인구가 빠르게 증가하면서, 노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재화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산업 및 관련 시장이 크게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노약자의 자립적 생활/활동을 지원/보조하거나 운동, 부상 방지 등에 필요한 물품들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는 추세이며, 이동 보조기구인 보행 보조기도 그러한 물품 중 하나이다. 보행 보조기는 하지 및 허리의 근력 약화, 균형 감각의 저하, 근골격계 질환과 같은 노화 증상을 겪는 노인들 뿐 아니라, 부상 등으로 인해 보행 보조(walking assistance)를 필요로 하는 사람들에게 요구되는 물품으로서, 그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 기존의 보행 보조기는 대부분 철재 프레임들이 연결된 구조로서 상당히 큰 부피를 차지하면서 비교적 충격에 약한 구조를 갖기 때문에, 수송이나 배송/운송 등 물류 이동 측면에서 많은 단점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장에서도 보행 보조기의 컴팩트한 수납 및 보관 등이 요구될 수 있는데, 기존의 보행 보조기는 이러한 소비자의 요구를 만족시키기가 어려울 수 있다. 아울러, 기존의 보행 보조기의 경우, 사용 편의성 및 안전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 편의성 및 안전성을 확보하면서도 물류 이동 및 수납/보관 등의 측면에서 장점을 가질 수 있는 보행 보조 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 편의성 및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면서 물류 이동 및 수납/보관 등의 측면에서 상당한 장점을 가질 수 있는 보행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호 이격하여 상하 방향으로 상호 나란하게 연장된 것으로, 상단 내지 그와 인접한 부분에 각각 제1 및 제2 손잡이부를 갖는 제1 및 제2 메인 프레임; 상기 제1 및 제2 메인 프레임 각각의 하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것으로, 전후 방향으로 상호 나란하게 연장된 제1 및 제2 하부 지지 프레임; 상기 제1 및 제2 하부 지지 프레임 각각의 전단부 내지 그와 인접한 부분에 결합된 제1 및 제2 전방 바퀴부; 상기 제1 및 제2 하부 지지 프레임 각각의 후단부 내지 그와 인접한 부분에 결합된 제1 및 제2 후방 바퀴부; 및 상기 제1 및 제2 메인 프레임 사이에 이들을 상호 연결하도록 배치된 것으로, X자형으로 상호 교차하여 배치된 제1 및 제2 연결 프레임을 구비하는 X자형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하부 지지 프레임 각각을 상기 제1 및 제2 메인 프레임의 뒤쪽으로 회동시켜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메인 프레임이 상호 근접하도록 상기 X자형 연결 부재를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된 두 번 접을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보행 보조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1 및 제2 메인 프레임은 수직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1 및 제2 손잡이부가 배치된 쪽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1 및 제2 하부 지지 프레임은 그 전단부가 후단부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수평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하부 지지 프레임 각각의 전단부 내지 그와 인접한 부분에 결합되어 아래쪽으로 연장된 제1 및 제2 바퀴 결합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및 제2 바퀴 결합용 부재 각각에 상기 제1 및 제2 전방 바퀴부가 결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전방 바퀴부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하부 지지 프레임의 아래쪽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1 및 제2 후방 바퀴부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하부 지지 프레임의 바깥쪽 측방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하부 지지 프레임 각각을 상기 제1 및 제2 메인 프레임의 뒤쪽으로 회동시켜 접었을 때, 상기 제1 및 제2 후방 바퀴부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메인 프레임과 측방으로 오버랩(overlap)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 프레임과 상기 제1 메인 프레임 사이에 이들을 상호 연결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X자형 연결 부재의 접는 동작에 따라 절곡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1 결합 부재; 상기 제2 연결 프레임과 상기 제2 메인 프레임 사이에 이들을 상호 연결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X자형 연결 부재의 접는 동작에 따라 절곡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2 결합 부재; 및 상기 제1 및 제2 결합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된 것으로, 상기 X자형 연결 부재의 접는 동작을 잠그거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는 잠금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잠금 부재는 후크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및 제2 연결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는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후크부가 상기 돌기부에 걸리거나 걸림이 해제됨에 따라 상기 X자형 연결 부재의 접는 동작을 잠그거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 프레임의 상단에 결합되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연장 로드(rod); 상기 제2 연결 프레임의 상단에 결합되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연장 로드(rod); 및 상기 제1 및 제2 연장 로드 사이를 연결하도록 배치된 것으로, 플렉서블(flexible)한 구성을 갖는 받침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침 부재 위쪽에서 상기 제1 및 제2 메인 프레임에 연결되어 구비된 것으로, 상기 제1 및 제2 메인 프레임에 대하여 전방측으로 볼록한 구조를 갖는 보조띠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메인 프레임의 상기 제1 손잡이부 아래쪽 부분에 배치된 것으로, 상기 제1 후방 바퀴부를 제동하기 위한 제1 브레이크 레버; 및 상기 제2 메인 프레임의 상기 제2 손잡이부 아래쪽 부분에 배치된 것으로, 상기 제2 후방 바퀴부를 제동하기 위한 제2 브레이크 레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 편의성 및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면서 물류 이동 및 수납/보관 등의 측면에서 상당한 장점을 가질 수 있는 보행 보조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보행 보조 장치는 2중 접이식 구조, 즉, 두 번 접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수송이나 배송/운송 등 물류 이동 측면에서 많은 장점을 가질 수 있고, 사용자 입장에서도 컴팩트한 수납/보관 등이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실시예들에 따른 보행 보조 장치는 우수한 사용 편의성 및 안전성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 번 접을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보행 보조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 번 접을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보행 보조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 번 접을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보행 보조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 번 접을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보행 보조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장치가 접혀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장치가 접혀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장치가 접혀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장치가 접혀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고,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의 용어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이라는 용어는 언급한 형상, 단계,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단계,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연결"이라는 용어는 어떤 부재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된 것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부재들 사이에 다른 부재가 더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까지 포함하는 개념이다.
아울러, 본원 명세서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원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약", "실질적으로" 등의 정도의 용어는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 오차를 감안하여, 그 수치나 정도의 범주 또는 이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영역이나 파트들의 사이즈나 두께는 명세서의 명확성 및 설명의 편의성을 위해 다소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세한 설명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 번 접을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보행 보조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는 접지 않은 상태의 보행 보조 장치를 보여준다. 상기 보행 보조 장치는 '워커(walker)' 또는 '보행 보조기'라고 지칭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장치는 상호 이격하여 상하 방향으로 상호 나란하게 연장된 것으로, 상단 내지 그와 인접한 부분에 각각 제1 및 제2 손잡이부(12a, 12b)를 갖는 제1 및 제2 메인 프레임(10a, 1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메인 프레임(10a)은 제1 메인 기둥부 또는 제1 메인 기둥 프레임부라고 할 수 있고, 제2 메인 프레임(10b)은 제2 메인 기둥부 또는 제2 메인 기둥 프레임부라고 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손잡이부(12a, 12b)는, 경우에 따라, 상호 연결되거나 일체화될 수도 있다.
상기 보행 보조 장치는 제1 및 제2 메인 프레임(10a, 10b) 각각의 하단에 결합된 것으로, 전후 방향으로 상호 나란하게 연장된 제1 및 제2 하부 지지 프레임(20a, 2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하부 지지 프레임(20a, 20b)은 각각 제1 및 제2 메인 프레임(10a, 10b)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도록 그 하단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하부 지지 프레임(20a)은 제1 하부 지지 로드(rod)라고 할 수 있고, 제2 하부 지지 프레임(20b)은 제2 하부 지지 로드(rod)라고 할 수 있다.
상기 보행 보조 장치는 제1 및 제2 하부 지지 프레임(20a, 20b) 각각의 전단부 내지 그와 인접한 부분에 결합된(연결된) 제1 및 제2 전방 바퀴부(30a, 30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행 보조 장치는 제1 및 제2 하부 지지 프레임(20a, 20b) 각각의 후단부 내지 그와 인접한 부분에 결합된(연결된) 제1 및 제2 후방 바퀴부(40a, 4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행 보조 장치는 제1 및 제2 메인 프레임(10a, 10b) 사이에 이들을 상호 연결하도록 배치된 X자형 연결 부재(50)를 포함할 수 있다. X자형 연결 부재(50)는 X자형으로 상호 교차하여 배치된 제1 및 제2 연결 프레임(50a, 5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 프레임(50a)은 제1 연결 로드(rod)라고 할 수 있고, 제2 연결 프레임(50b)은 제2 연결 로드(rod)라고 할 수 있다. 제1 연결 프레임(50a)의 중간부 및 제2 연결 프레임(50b)의 중간부는 결합핀(51)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결합핀(51)을 기준으로 제1 및 제2 연결 프레임(50a, 50b)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X자형 연결 부재(50)가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다. 결합핀(51)은 X자형 연결 부재(50)에 포함된 구성요소로 여길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장치는 제1 및 제2 하부 지지 프레임(20a, 20b) 각각을 제1 및 제2 메인 프레임(10a, 10b)의 뒤쪽으로 회동시켜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고, 아울러서, 제1 및 제2 메인 프레임(10a, 10b)이 상호 근접(접근)하도록 X자형 연결 부재(50)를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행 보조 장치는 두 번 접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상당히 컴팩트하게 접혀질 수 있다. 상기 보행 보조 장치는 2중 접이식 구조(twice foldable structure 또는 double foldable structure)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메인 프레임(10a, 10b)은 수직 방향에 대하여 제1 및 제2 손잡이부(12a, 12b)가 배치된 쪽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및 제2 메인 프레임(10a, 10b)은 사용자(보행자)가 위치하는 쪽으로 소정 각도 만큼 기울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메인 프레임(10a, 10b)은 수직선에 대해서 소정의 예각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제1 및 제2 전방 바퀴부(30a, 30b)와 제1 및 제2 후방 바퀴부(40a, 40b)가 수평면 상에 배치된 경우를 기준으로 한다. 또한, 제1 및 제2 하부 지지 프레임(20a, 20b)은 그 전단부가 후단부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수평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하부 지지 프레임(20a, 20b) 각각의 전단부가 후단부 보다 어느 정도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하부 지지 프레임(20a, 20b)은 수평선에 대해서 소정의 예각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제1 및 제2 전방 바퀴부(30a, 30b)와 제1 및 제2 후방 바퀴부(40a, 40b)가 수평면 상에 배치된 경우를 기준으로 한다. 또한, 제1 하부 지지 프레임(20a)은 제1 메인 프레임(10a)에 수직하게 또는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고, 제2 하부 지지 프레임(20b)은 제2 메인 프레임(10b)에 수직하게 또는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행 보조 장치는 제1 및 제2 하부 지지 프레임(20a, 20b) 각각의 전단부 내지 그와 인접한 부분에 결합되어 아래쪽으로 연장된 제1 및 제2 바퀴 결합용 부재(25a, 25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및 제2 바퀴 결합용 부재(25a, 25b) 각각에 제1 및 제2 전방 바퀴부(30a, 30b)가 결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전방 바퀴부(30a, 30b) 각각은 제1 및 제2 바퀴 결합용 부재(25a, 25b) 각각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행 보조 장치의 이용시, 진행 방향 전환이 용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전방 바퀴부(30a, 30b)는 각각 제1 및 제2 하부 지지 프레임(20a, 20b)의 아래쪽(바로 아래쪽)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및 제2 후방 바퀴부(40a, 40b)는 각각 제1 및 제2 하부 지지 프레임(20a, 20b)의 바깥쪽 측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후방 바퀴부(40a)는 제1 하부 지지 프레임(20a)의 바깥쪽 측방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후방 바퀴부(40b)는 제2 하부 지지 프레임(20b)의 바깥쪽 측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후방 바퀴부(40a)는 제1 하부 지지 프레임(20a)의 바깥쪽 옆에 제1 하부 지지 프레임(20a)과 측방으로 오버랩(overlap)되면서 아래쪽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제2 후방 바퀴부(40b)는 제2 하부 지지 프레임(20b)의 바깥쪽 옆에 제2 하부 지지 프레임(20b)과 측방으로 오버랩(overlap)되면서 아래쪽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하부 지지 프레임(20a, 20b) 각각을 제1 및 제2 메인 프레임(10a, 10b)의 뒤쪽으로 회동시켜 접었을 때, 제1 및 제2 후방 바퀴부(40a, 40b)는 각각 제1 및 제2 메인 프레임(10a, 10b)과 측방으로 오버랩(overlap)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도 5 및 도 6 참조).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행 보조 장치는 X자형 연결 부재(50)의 제1 연결 프레임(50a)과 제1 메인 프레임(10a) 사이에 이들을 상호 연결하도록 배치된 제1 결합 부재(55a) 및 X자형 연결 부재(50)의 제2 연결 프레임(50b)과 제2 메인 프레임(10b) 사이에 이들을 상호 연결하도록 배치된 제2 결합 부재(55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 부재(55a)는 X자형 연결 부재(50)의 접는 동작에 따라 절곡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와 유사하게, 제2 결합 부재(55b)는 X자형 연결 부재(50)의 접는 동작에 따라 절곡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결합 부재(55a)는 제1 연결 프레임(50a)의 상단에 인접한 부분과 제1 메인 프레임(10a)을 연결 및 결합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제2 결합 부재(55b)는 제2 연결 프레임(50b)의 상단에 인접한 부분과 제2 메인 프레임(10b)을 연결 및 결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연결 프레임(50a)의 하단은 제2 메인 프레임(10b)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제2 연결 프레임(50b)의 하단은 제1 메인 프레임(10a)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행 보조 장치는 제1 및 제2 결합 부재(55a, 55b)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된 잠금 부재(5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는, 잠금 부재(57)가 제1 결합 부재(55a)에 설치된 경우가 도시된다. 잠금 부재(57)는 X자형 연결 부재(50)의 접는 동작을 잠그거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잠금 부재(57)는 후크부(hook portion)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및 제2 연결 프레임(50a, 50b) 중 적어도 하나, 예를 들어, 제1 연결 프레임(50a)은 돌기부(58)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후크부가 돌기부(58)에 걸리거나 걸림이 해제됨에 따라 X자형 연결 부재(50)의 접는 동작을 잠그거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잠금 부재(57)를 이용해서 X자형 연결 부재(50)의 접는 동작을 잠그거나 잠금을 해제함으로써, 필요한 경우에만, X자형 연결 부재(50)의 접는 동작이 가능하도록 만들 수 있다. 따라서, 사용 편의성 및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잠금 부재(57)의 개수, 위치 및 구체적인 구조는 전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제1 및 제2 하부 지지 프레임(20a, 20b)의 접는 동작을 잠그거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는 별도의 잠금 장치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버튼형 잠금부를 눌러서 잠금을 해제한 후에, 제1 및 제2 하부 지지 프레임(20a, 20b)을 제1 및 제2 메인 프레임(10a, 10b) 쪽으로 접어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임계힘 이상의 외력이 가해졌을 경우에만, 제1 및 제2 하부 지지 프레임(20a, 20b)이 접힐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에에 따르면, 상기 보행 보조 장치는 제1 연결 프레임(50a)의 상단에 결합되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연장 로드(rod)(60a), 제2 연결 프레임(50b)의 상단에 결합되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연장 로드(rod)(60b), 그리고, 제1 및 제2 연장 로드(60a, 60b) 사이를 연결하도록 배치된 것으로 플렉서블(flexible)한 구성을 갖는 받침 부재(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받침 부재(70)는 안장이나 시트(seat)와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받침 부재(70)에는 소정의 물품을 올려두거나, 필요한 경우, 사람이 앉을 수도 있다. 받침 부재(70)는 플렉서블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고, 유연하게 휘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행 보조 장치는 받침 부재(70) 위쪽에서 제1 및 제2 메인 프레임(10a, 10b)에 연결되어 구비된 보조띠 부재(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띠 부재(80)는 제1 및 제2 메인 프레임(10a, 10b)에 대하여 전방측으로 볼록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받침 부재(70) 상에 물품을 올려두거나 사람이 앉는 경우, 보조띠 부재(80)는 상기 물품이나 사람을 전방측에서 받쳐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보조띠 부재(80) 또한 플렉서블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고, 유연하게 휘어질 수 있다. 받침 부재(70) 및 보조띠 부재(80)는 상기 보행 보조 장치의 사용 편의성 및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행 보조 장치는 제1 메인 프레임(10a)의 제1 손잡이부(12a) 아래쪽 부분에 배치된 것으로, 제1 후방 바퀴부(40a)를 제동하기 위한 제1 브레이크 레버(14a) 및 제2 메인 프레임(10b)의 제2 손잡이부(12b) 아래쪽 부분에 배치된 것으로, 제2 후방 바퀴부(40b)를 제동하기 위한 제2 브레이크 레버(14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보행 중에, 필요에 따라, 제1 및 제2 브레이크 레버(14a, 14b)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해서 제1 및 제2 후방 바퀴부(40a, 40b) 중 적어도 하나를 제동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브레이크 레버(14a, 14b)와 별개로, 제1 및 제2 후방 바퀴부(40a, 40b)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을 로킹(locking)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로킹(locking) 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로킹 부재는 사용자가 발이나 손을 사용해서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킹 부재를 이용해서 제1 및 제2 후방 바퀴부(40a, 40b) 중 적어도 하나를 로킹할 경우, 로킹 해제 전까지 로킹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행 보조 장치는 물품 등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 부재(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납 부재(90)는, 예를 들어, X자형 연결 부재(50)의 앞쪽에 배치될 수 있다. 수납 부재(90)는 X자형 연결 부재(50)와 결합되어 배치될 수 있고, 일종의 바구니, 박스, 주머니, 가방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수납 부재(90)는 상기 보행 보조 장치에 대해 탈착이 가능(용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황에 따라서, 수납 부재(90)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장치가 접혀진 상태(두 번 접혀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장치는 제1 및 제2 하부 지지 프레임(20a, 20b) 각각을 제1 및 제2 메인 프레임(10a, 10b)의 뒤쪽으로 회동시켜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고, 아울러, 제1 및 제2 메인 프레임(10a, 10b)이 상호 근접(접근)하도록 X자형 연결 부재(50)를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보행 보조 장치는 두 번 접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및 제2 하부 지지 프레임(20a, 20b) 각각은 제1 및 제2 메인 프레임(10a, 10b)의 뒤쪽으로 접혀져 제1 및 제2 메인 프레임(10a, 10b)과 밀착되어 평행을 이룰 수 있다. 또한, X자형 연결 부재(50)가 접혀짐에 따라, 제1 및 제2 메인 프레임(10a, 10b)이 상호 상당히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행 보조 장치는 상당히 컴팩트하게 접혀질 수 있다. 상기 보행 보조 장치는 2중 접이식 구조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하부 지지 프레임(20a, 20b) 각각을 제1 및 제2 메인 프레임(10a, 10b)의 뒤쪽으로 회동시켜 접었을 때, 제1 및 제2 후방 바퀴부(40a, 40b)는 각각 제1 및 제2 메인 프레임(10a, 10b)과 측방으로 오버랩(overlap)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제1 및 제2 하부 지지 프레임(20a, 20b) 각각은 제1 및 제2 메인 프레임(10a, 10b)과 밀착되어 평행을 이룰 수 있고, 더욱 컴팩트하고 안정적인 접힘 상태가 만들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행 보조 장치에는 소정의 센서 및 전자 제동 장치가 구비될 수 있으며,센서에 기초하여 보행자 안전성 향상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일례에 따르면, 제1 전방 바퀴부(30a), 제2 전방 바퀴부(30b), 제1 후방 바퀴부(40a), 제2 후방 바퀴부(40b)에는 압력 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구비된 압력 센서를 통해 획득한 압력에 기초하여 제1 전방 바퀴부(30a), 제2 전방 바퀴부(30b), 제1 후방 바퀴부(40a), 제2 후방 바퀴부(40b)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전방 바퀴부(30a)에 구비된 제1 압력 센서를 통해 획득한 제1 압력과 제2 전방 바퀴부(30b)에 구비된 제2 압력 센서를 통해 획득한 제2 압력의 평균치가 제1 임계치 이하이고, 제1 후방 바퀴부(40a)에 구비된 제3 압력 센서를 통해 획득한 제3 압력과 제2 후방 바퀴부(40b)에 구비된 제4 압력 센서를 통해 획득한 제4 압력의 평균치가 제2 임계치 이상인 경우, 제1 후방 바퀴부(40a) 및 제2 후방 바퀴부(40b)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제동이 가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보행자가 손잡이부(12a, 12b)를 잡은채 뒤로 넘어지는 경우, 앞서 설명된 압력 분포가 바퀴부에 발생될 수 있고, 이 경우, 자동으로 제1 후방 바퀴부(40a) 및 제2 후방 바퀴부(40b)가 회전하지 않도록 제동이 가해짐으로써, 보행자에게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전방 바퀴부(30a)에 구비된 제1 압력 센서를 통해 획득한 제1 압력과 제2 전방 바퀴부(30b)에 구비된 제2 압력 센서를 통해 획득한 제2 압력의 평균치가 제3 임계치 이상이고, 제1 후방 바퀴부(40a)에 구비된 제3 압력 센서를 통해 획득한 제3 압력과 제2 후방 바퀴부(40b)에 구비된 제4 압력 센서를 통해 획득한 제4 압력의 평균치가 제4 임계치 이하인 경우, 제1 전방 바퀴부(30a)및 제2 전방 바퀴부(30b)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제동이 가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내리막길 등에서 보행자가 앞으로 넘어지는 상황에서 앞바퀴에 제동을 부여함으로써, 보행자의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는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예시에 따르면, 보행 보조 장치는 보행자의 보행 패턴에 기초하여 제1 전방 바퀴부(30a), 제2 전방 바퀴부(30b), 제1 후방 바퀴부(40a), 제2 후방 바퀴부(40b)를 전자적으로 제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안전성을 부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구비된 속도 센서(예를 들어, 바퀴에 구비되어 시간당 회전수를 감지하는 센서 등)에 기초하여, 보행 보조 장치는 보행자의 보행 패턴을 통해 보행자의 평균 보행 속도를 결정할 수 있으면, 보행 보조 장치의 실시간 속도가 보행자의 평균 보행 속도보다 소정의 임계치 이상 초과하는 경우, 전자적으로 제1 전방 바퀴부(30a), 제2 전방 바퀴부(30b), 제1 후방 바퀴부(40a) 및 제2 후방 바퀴부(40b)에 일정 수준의 제동을 가함으로써, 보행자가 소정의 속도 범위내에서 보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보행 보조 장치는 소정 크기의 가속도 이하로 제동을 가함으로써, 보행자가 점차적으로 속도를 줄여가며 보행을 수행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또다른 예시에 따르면, 제1 전방 바퀴부(30a), 제2 전방 바퀴부(30b), 제1 후방 바퀴부(40a), 제2 후방 바퀴부(40b)에는 중력 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보행 보조 장치는 구비된 중력 센서를 통해 획득한 압력에 기초하여 제1 전방 바퀴부(30a), 제2 전방 바퀴부(30b), 제1 후방 바퀴부(40a), 제2 후방 바퀴부(40b)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중력 센서를 통해 제1 전방 바퀴부(30a) 및 제2 전방 바퀴부(30b)의 위치가 제1 후방 바퀴부(40a) 및 제2 후방 바퀴부(40b)의 위치에 비해 소정 임계치 이상 높은 것으로 결정된 경우, 보행 보조 장치는 제1 전방 바퀴부(30a), 제2 전방 바퀴부(30b), 제1 후방 바퀴부(40a), 제2 후방 바퀴부(40b)에 소정의 동력을 제공하여 오르막길을 오르는 보행자의 보행을 지원할 수 있다.
반대로, 중력 센서를 통해 제1 전방 바퀴부(30a) 및 제2 전방 바퀴부(30b)의 위치가 제1 후방 바퀴부(40a) 및 제2 후방 바퀴부(40b)의 위치에 비해 소정 임계치 이상 낮은 것으로 결정된 경우, 보행 보조 장치는 제1 전방 바퀴부(30a), 제2 전방 바퀴부(30b), 제1 후방 바퀴부(40a), 제2 후방 바퀴부(40b)에 소정의 제동을 가함으로써, 내리막길을 내려오는 보행자의 안전을 보조하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보행 보조 장치는 제1 전방 바퀴부(30a), 제2 전방 바퀴부(30b), 제1 후방 바퀴부(40a), 제2 후방 바퀴부(40b)에는 압력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압력의 변화율이 소정 주기 이상으로 감지되는 경우, 제1 전방 바퀴부(30a), 제2 전방 바퀴부(30b), 제1 후방 바퀴부(40a), 제2 후방 바퀴부(40b)에 소정의 제동을 가하여 노면이 고르지 않은 도로에서 보행하는 보행자의 안전을 보조할 수 있다.
또한, 보행 보조 장치는 전자적으로 제동을 가하는 과정에서, 제동에 가해지는 힘이 소정의 제동력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이 경우, 제동력 임계치는 최대 제동력보다 작은 값으로 결정됨), 알림음을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보행자가 제동이 안되는 상황으로 치닫는 경우를 예방할 수 있다.
이외에도, 보행 보조 장치는 신호등과 연동될 수 있는 소정의 컴퓨팅 장치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보행 보조 장치는 신호등과 연동하여 보행이 불가능한 상황(예를 들어, 빨간불)에서 바퀴부에 제동을 가하여 보행자의 안전을 지원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 편의성 및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면서 물류 이동 및 수납/보관 등의 측면에서 상당한 장점을 가질 수 있는 보행 보조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보행 보조 장치는 2중 접이식 구조, 즉, 두 번 접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수송이나 배송/운송 등 물류 이동 측면에서 많은 장점을 가질 수 있고, 사용자 입장에서도 컴팩트한 수납/보관 등이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실시예들에 따른 보행 보조 장치는 우수한 사용 편의성 및 안전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예들 들어,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보행 보조 장치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때문에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a : 제1 메인 프레임 10b : 제2 메인 프레임
12a : 제1 손잡이부 12b : 제2 손잡이부
14a : 제1 브레이크 레버 14b : 제2 브레이크 레버
20a : 제1 하부 지지 프레임 20b : 제2 하부 지지 프레임
25a : 제1 바퀴 결합용 부재 25b : 제2 바퀴 결합용 부재
30a : 제1 전방 바퀴부 30b : 제2 전방 바퀴부
40a : 제1 후방 바퀴부 40b : 제2 후방 바퀴부
50 : X자형 연결 부재 50a : 제1 연결 프레임
50b : 제2 연결 프레임 51 : 결합핀
55a : 제1 결합 부재 55b : 제2 결합 부재
57 : 잠금 부재 58 : 돌기부
60a : 제1 연장 로드 60b : 제2 연장 로드
70 : 받침 부재 80 : 보조띠 부재
90 : 수납 부재

Claims (7)

  1. 상호 이격하여 상하 방향으로 상호 나란하게 연장된 것으로, 상단 내지 그와 인접한 부분에 각각 제1 및 제2 손잡이부를 갖는 제1 및 제2 메인 프레임;
    상기 제1 및 제2 메인 프레임 각각의 하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것으로, 전후 방향으로 상호 나란하게 연장된 제1 및 제2 하부 지지 프레임;
    상기 제1 및 제2 하부 지지 프레임 각각의 전단부 내지 그와 인접한 부분에 결합된 제1 및 제2 전방 바퀴부;
    상기 제1 및 제2 하부 지지 프레임 각각의 후단부 내지 그와 인접한 부분에 결합된 제1 및 제2 후방 바퀴부; 및
    상기 제1 및 제2 메인 프레임 사이에 이들을 상호 연결하도록 배치된 것으로, X자형으로 상호 교차하여 배치된 제1 및 제2 연결 프레임을 구비하는 X자형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하부 지지 프레임 각각을 상기 제1 및 제2 메인 프레임의 뒤쪽으로 회동시켜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메인 프레임이 상호 근접하도록 상기 X자형 연결 부재를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된, 두 번 접을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상기 제1 및 제2 메인 프레임은 수직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1 및 제2 손잡이부가 배치된 쪽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하부 지지 프레임은 그 전단부가 후단부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수평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하부 지지 프레임 각각의 전단부 내지 그와 인접한 부분에 결합되어 아래쪽으로 연장된 제1 및 제2 바퀴 결합용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바퀴 결합용 부재 각각에 상기 제1 및 제2 전방 바퀴부가 결합되어 설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전방 바퀴부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하부 지지 프레임의 아래쪽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후방 바퀴부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하부 지지 프레임의 바깥쪽 측방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하부 지지 프레임 각각을 상기 제1 및 제2 메인 프레임의 뒤쪽으로 회동시켜 접었을 때, 상기 제1 및 제2 후방 바퀴부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메인 프레임과 측방으로 오버랩(overlap)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연결 프레임과 상기 제1 메인 프레임 사이에 이들을 상호 연결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X자형 연결 부재의 접는 동작에 따라 절곡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1 결합 부재;
    상기 제2 연결 프레임과 상기 제2 메인 프레임 사이에 이들을 상호 연결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X자형 연결 부재의 접는 동작에 따라 절곡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2 결합 부재; 및
    상기 제1 및 제2 결합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된 것으로, 상기 X자형 연결 부재의 접는 동작을 잠그거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는 잠금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잠금 부재는 후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연결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는 돌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후크부가 상기 돌기부에 걸리거나 걸림이 해제됨에 따라 상기 X자형 연결 부재의 접는 동작을 잠그거나 잠금을 해제할 수 있고,
    상기 제1 연결 프레임의 상단에 결합되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연장 로드(rod);
    상기 제2 연결 프레임의 상단에 결합되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연장 로드(rod); 및
    상기 제1 및 제2 연장 로드 사이를 연결하도록 배치된 것으로, 플렉서블(flexible)한 구성을 갖는 받침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받침 부재 위쪽에서 상기 제1 및 제2 메인 프레임에 연결되어 구비된 것으로, 상기 제1 및 제2 메인 프레임에 대하여 전방측으로 볼록한 구조를 갖는 보조띠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메인 프레임의 상기 제1 손잡이부 아래쪽 부분에 배치된 것으로, 상기 제1 후방 바퀴부를 제동하기 위한 제1 브레이크 레버; 및
    상기 제2 메인 프레임의 상기 제2 손잡이부 아래쪽 부분에 배치된 것으로, 상기 제2 후방 바퀴부를 제동하기 위한 제2 브레이크 레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하부 지지 프레임의 접는 동작을 잠그거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는 별도의 잠금 장치;
    사용자의 발이나 손을 사용하여 조작되며, 상기 제1 후방 바퀴부 및 상기 제2 후방 바퀴부를 로킹하는 로킹 부재; 및
    상기 X자형 연결 부재 앞쪽에 배치되는 수납 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로킹 부재를 통해 상기 제1 후방 바퀴부 및 상기 제2 후방 바퀴부가 로킹될 경우, 로킹 해제 전까지 로킹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수납 부재는 보행 보조 장치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전방 바퀴부에 구비된 제1 압력 센서;
    상기 제2 전방 바퀴부에 구비된 제2 압력 센서;
    상기 제1 후방 바퀴부에 구비된 제3 압력 센서; 및
    상기 제2 후방 바퀴부에 구비된 제4 압력 센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압력 센서를 통해 획득한 제1 압력과 상기 제2 압력 센서를 통해 획득한 제2 압력의 평균치가 제1 임계치 이하이고, 상기 제3 압력 센서를 통해 획득한 제3 압력과 상기 제4 압력 센서를 통해 획득한 제4 압력의 평균치가 제2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후방 바퀴부 및 상기 제2 후방 바퀴부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제동이 가해지고,
    상기 제1 압력과 상기 제2 압력의 평균치가 제3 임계치 이상이고, 상기 제3 압력과 상기 제4 압력의 평균치가 제4 임계치 이하인 경우, 상기 제1 전방 바퀴부 및 상기 제2 전방 바퀴부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제동이 가해지고,
    바퀴의 시간당 회전수를 감지하는 속도 센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속도 센서를 통해 보행자의 보행 패턴에 대응하는 평균 보행 속도를 결정하고,
    보행 보조 장치의 실시간 속도가 상기 평균 보행 속도보다 소정의 임계치 이상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 전방 바퀴부, 상기 제2 전방 바퀴부, 상기 제1 후방 바퀴부 및 상기 제2 후방 바퀴부에 일정 수준의 제동이 소정 크기 이하의 가속도로 가해지고,
    상기 제1 전방 바퀴부, 상기 제2 전방 바퀴부, 상기 제1 후방 바퀴부 및 상기 제2 후방 바퀴부에 중력 센서가 더 포함되고,
    상기 중력 센서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전방 바퀴부 및 상기 제2 전방 바퀴부의 위치가 상기 제1 후방 바퀴부 및 상기 제2 후방 바퀴부의 위치에 비해 소정 임계치 이상 높은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제1 전방 바퀴부, 상기 제2 전방 바퀴부, 상기 제1 후방 바퀴부 및 상기 제2 후방 바퀴부에 소정의 동력을 제공하고,
    상기 중력 센서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전방 바퀴부 및 상기 제2 전방 바퀴부의 위치가 상기 제1 후방 바퀴부 및 상기 제2 후방 바퀴부의 위치에 비해 소정 임계치 이상 낮은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제1 전방 바퀴부, 상기 제2 전방 바퀴부, 상기 제1 후방 바퀴부 및 상기 제2 후방 바퀴부에 소정의 제동을 가하고,
    보행 보조 장치가 전자적으로 제동이 가해지는 상황에서, 제동에 가해지는 힘이 소정의 제동력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알림음을 제공하고,
    신호등과 연계된 컴퓨팅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컴퓨팅 장치를 통해 신호등에서 보행이 불가능한 상황에 발생되는 경우, 상기 제1 전방 바퀴부, 상기 제2 전방 바퀴부, 상기 제1 후방 바퀴부 및 상기 제2 후방 바퀴부에 제동을 가하는, 보행 보조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30086472A 2023-07-04 2023-07-04 두 번 접을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워커 KR102586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6472A KR102586211B1 (ko) 2023-07-04 2023-07-04 두 번 접을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워커
JP2023124645A JP7430435B1 (ja) 2023-07-04 2023-07-31 2回の折り畳み可能な構造を有する歩行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6472A KR102586211B1 (ko) 2023-07-04 2023-07-04 두 번 접을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워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6211B1 true KR102586211B1 (ko) 2023-10-06
KR102586211B9 KR102586211B9 (ko) 2024-01-11

Family

ID=88296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6472A KR102586211B1 (ko) 2023-07-04 2023-07-04 두 번 접을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워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7430435B1 (ko)
KR (1) KR10258621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568758U (zh) * 2012-04-13 2012-12-05 陈宇 手推车的收折结构及含有该收折结构的下滑式折叠手推车
JP3204913U (ja) * 2016-04-12 2016-06-23 蔡木章 歩行車の係合構造
EP3095431A1 (en) * 2015-05-11 2016-11-23 Jeroen Theodorus Arnoldus Joosten Double folding rollator
KR20180070391A (ko) * 2016-12-16 2018-06-26 주식회사 컴포트 전동 보행 보조용 의자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70348B1 (ja) 2014-06-27 2015-08-26 シャープ株式会社 歩行補助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568758U (zh) * 2012-04-13 2012-12-05 陈宇 手推车的收折结构及含有该收折结构的下滑式折叠手推车
EP3095431A1 (en) * 2015-05-11 2016-11-23 Jeroen Theodorus Arnoldus Joosten Double folding rollator
JP3204913U (ja) * 2016-04-12 2016-06-23 蔡木章 歩行車の係合構造
KR20180070391A (ko) * 2016-12-16 2018-06-26 주식회사 컴포트 전동 보행 보조용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430435B1 (ja) 2024-02-13
KR102586211B9 (ko) 2024-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85724B2 (en) Rollator-trolley with adjustable handle position depending on use
US20070096434A1 (en) Collapsible stroller
CN105189248B (zh) 推车及其适用的轮子控制系统
JP6254062B2 (ja) ブレーキ機構、およびそれを用いた歩行車
JP3956175B2 (ja) 揺動機構を備えた車輪のついた杖
KR102586211B1 (ko) 두 번 접을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워커
WO2018052306A1 (en) Two way foldable four wheel rollator
KR102587790B1 (ko) 2단계 접이식 보행 보조 장치
JP3410418B2 (ja) 歩行補助器
JP5832466B2 (ja) 手押し車
KR200427359Y1 (ko) 방향성 캐스터가 구비된 자전거
CN107512344A (zh) 多功能儿童踏板车
JP2965501B2 (ja) 老人用手押車
JP3126399U (ja) ポーターカート兼歩行器
JPH0884617A (ja) 旅行カバン
KR200406016Y1 (ko) 휴대용 접철 휠체어
JP3511289B2 (ja) 手押し車
KR101328386B1 (ko) 지체장애인용 자전거
JP2003010256A (ja) 上下動するサドルを装着した開脚三輪歩行車。
KR20230162940A (ko) 스쿠터
KR100621948B1 (ko) 접을 수 있는 인라인스케이트
JP6903847B2 (ja) 手押し車
TWI593591B (zh) 三輪車
JP2016116836A (ja) カ−ト
JP2002127973A (ja) 幼児用三輪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