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0072B1 - 접합 강도 증가용 분할 앵커 및 이를 이용한 무타공 행잉 공법 - Google Patents

접합 강도 증가용 분할 앵커 및 이를 이용한 무타공 행잉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0072B1
KR102580072B1 KR1020220012970A KR20220012970A KR102580072B1 KR 102580072 B1 KR102580072 B1 KR 102580072B1 KR 1020220012970 A KR1020220012970 A KR 1020220012970A KR 20220012970 A KR20220012970 A KR 20220012970A KR 102580072 B1 KR102580072 B1 KR 1025800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lit anchor
split
anchor head
truss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2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16258A (ko
Inventor
김진용
Original Assignee
(주)제일테크노스
삼성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일테크노스, 삼성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주)제일테크노스
Priority to KR1020220012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0072B1/ko
Publication of KR20230116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62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0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00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means for hanging lighting fixtures or other appliances to the framework of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1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 F16B21/12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with locking-pins or split-pins thrust into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슬래브와의 접합면을 증가시켜 강재 데크측 도브테일의 강도를 높이고, 분할 헤드간의 사선 조립에 따라 도브테일의 변형에도 설치가 가능하며, 분할 앵커의 설치시 트러스 도브데크측에서의 미끄럼방지가 확보되고 인발하중의 저항력이 증대됨으로써 시공 품질이 향상되도록 한 접합 강도 증가용 분할 앵커 및 이를 이용한 무타공 행잉 공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른 접합 강도 증가용 분할 앵커는, 달대를 트러스거더 일체형 강재 데크에 연결시키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트러스거더 일체형 강재 데크의 트러스 도브데크측 도브테일 레일홈에 일측 경사면으로 면접함과 동시에 타측에 수직방향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진 하부 슬라이딩면을 갖는 하부 분할 앵커헤드와; 상기 트러스거더 일체형 강재 데크의 트러스 도브데크측 도브테일 레일홈에 타측 경사면으로 면접함과 동시에 타측에 상기 하부 분할 앵커헤드의 하부 슬라이딩면에 동일한 기울기의 엇각으로 면접하는 상부 슬라이딩면을 갖는 상부 분할 앵커헤드와; 상기 상부 분할 앵커헤드의 상부에 설치되어 달대체결너트와 나사 체결되는 상부 헤드너트와; 상기 하부 분할 앵커헤드와 상부 분할 앵커헤드를 수직으로 삽통하여 상부 헤드너트에 나사 체결되어 있는 앵커정착볼트와; 상기 앵커정착볼트에 나사 체결되어 하부 분할 앵커헤드의 하면에 접하고, 체결 조임력으로 하부 분할 앵커헤드를 상방으로 상부 분할 앵커헤드를 하방으로 각기 이동시켜 트러스거더 일체형 강재 데크의 트러스 도브데크측 도브테일 레일홈의 양측 경사면에 쐐기 결합력을 발생시키는 하부 록킹너트와; 상기 달대를 체결할 수 있도록 상기 앵커정착볼트의 하부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 달대체결너트;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접합 강도 증가용 분할 앵커 및 이를 이용한 무타공 행잉 공법{Split anker for increasing joint strength and non-drill hanging method using of the same}
본 발명은 천정의 달대를 시공하는데 사용되는 분할 앵커 및 이를 이용한 무타공 행잉 공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콘크리트 슬래브와의 접합면을 증가시켜 강재 데크측 도브테일의 강도를 높이고, 분할 헤드간의 사선 조립에 따라 도브테일의 변형에도 설치가 가능하며, 분할 앵커의 설치시 트러스 도브데크측에서의 미끄럼방지가 확보되고 인발하중의 저항력이 증대됨으로써 시공 품질이 향상되도록 한 접합 강도 증가용 분할 앵커 및 이를 이용한 무타공 행잉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천정 등에는 소방, 가설, 전기, 덕트 등의 설비를 시공하기 위해 달대가 시공된다. 일반적으로 달대의 시공을 위해 슬래브의 콘크리트에 홀을 뚫어 설치한다. 그러나 이럴 경우 분진이 발생되어 작업 환경이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인발하중을 충분히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 10-2118997호(특허문헌 1)로서, '탈착이 용이한 앵커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이는 천정에 매립되거나 매달린 플레이트의 요홈에 별도의 도구나 장비없이 간편하고도 신속하게 설치하거나 해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은 앵커의 설치부를 플레이트의 요홈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구조 및 설치 방법이 제안되어 있지 않다. 즉, 앵커가 스프링의 반발력에만 의존하여 플레이트의 요홈에 견착됨으로써 미끄럼 이동이 발생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달대의 설치 품질을 신뢰하기 어렵다.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 10-2118997호
본 발명은 콘크리트 슬래브와의 접합면을 증가시켜 강재 데크측 도브테일의 강도를 높이고, 분할 헤드간의 사선 조립에 따라 도브테일의 변형에도 설치가 가능하며, 분할 앵커의 설치시 트러스 도브데크측에서의 미끄럼방지가 확보되고 인발하중의 저항력이 증대됨으로써 시공 품질이 향상되도록 한 접합 강도 증가용 분할 앵커 및 이를 이용한 무타공 행잉 공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른 접합 강도 증가용 분할 앵커는, 달대를 트러스거더 일체형 강재 데크에 연결시키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트러스거더 일체형 강재 데크의 트러스 도브데크측 도브테일 레일홈에 일측 경사면으로 면접함과 동시에 타측에 수직방향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진 하부 슬라이딩면을 갖는 하부 분할 앵커헤드와; 상기 트러스거더 일체형 강재 데크의 트러스 도브데크측 도브테일 레일홈에 타측 경사면으로 면접함과 동시에 타측에 상기 하부 분할 앵커헤드의 하부 슬라이딩면에 동일한 기울기의 엇각으로 면접하는 상부 슬라이딩면을 갖는 상부 분할 앵커헤드와; 상기 상부 분할 앵커헤드의 상부에 설치되어 달대체결너트와 나사 체결되는 상부 헤드너트와; 상기 하부 분할 앵커헤드와 상부 분할 앵커헤드를 수직으로 삽통하여 상부 헤드너트에 나사 체결되어 있는 앵커정착볼트와; 상기 앵커정착볼트에 나사 체결되어 하부 분할 앵커헤드의 하면에 접하고, 체결 조임력으로 하부 분할 앵커헤드를 상방으로 상부 분할 앵커헤드를 하방으로 각기 이동시켜 트러스거더 일체형 강재 데크의 트러스 도브데크측 도브테일 레일홈의 양측 경사면에 쐐기 결합력을 발생시키는 하부 록킹너트와; 상기 달대를 체결할 수 있도록 상기 앵커정착볼트의 하부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 달대체결너트;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분할 앵커헤드에는 앵커정착볼트를 삽통시킴과 동시에 하부 분할 앵커헤드의 도브테일 레일홈에 인입시키거나 탈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수직방향으로 하부 안내장공이 관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분할 앵커헤드에는 앵커정착볼트를 삽통시킴과 동시에 상부 분할 앵커헤드의 도브테일 레일홈에 인입시키거나 탈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수직방향으로 상부 안내장공이 관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기 상부 분할 앵커헤드에는 상부에 일정 깊이로 함몰되어 상부 헤드너트가 끼워져 회전을 억제시키는 너트 록킹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앵커정착볼트를 회전 조임시켜 도브테일 레일홈에 형성된 미끄럼방지홈에 앵커정착볼트의 상단이 강제적으로 밀착되어 분할 앵커의 미끄럼방지를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록킹너트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해 앵커정착볼트에 풀림방지용 너트가 더 체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트러스거더 일체형 강재 데크가 설치된 콘크리트와의 접합면이 증가되도록, 상기 하부 분할 앵커헤드와 상부 분할 앵커헤드의 길이는 상호 동일하되, 쐐기력을 발휘하였을 때 나타나는 최대 폭 보다 더 길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무타공 행잉 공법은 분할 앵커를 이용하여 달대를 트러스거더 일체형 강재 데크에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분할 앵커의 하부 분할 앵커헤드와 상부 분할 앵커헤드를 상,하로 배치시킨 후, 앵커정착볼트를 하부 분할 앵커헤드와 상부 분할 앵커헤드에 삽통시켜 상부 분할 앵커헤드의 상부에 배치시킨 상부 헤드너트에 체결시키는 단계와; 상기 하부 분할 앵커헤드와 상부 분할 앵커헤드를 트러스거더 일체형 강재 데크의 트러스 도브데크측 도브테일 레일홈에 삽입시켜 놓는 단계와; 상기 앵커정착볼트에 하부 록킹너트를 체결 조임하여 하부 분할 앵커헤드와 상부 분할 앵커헤드가 상대적으로 미끄럼이동시켜 트러스거더 일체형 강재 데크의 트러스 도브데크측 도브테일 레일홈의 양측 경사면에 쐐기 결합력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트러스거더 일체형 강재 데크는 폭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도브테일 레일홈, 도브테일 레일홈의 상면에 상향 돌출되어 형성된 미끄럼방지홈을 갖는 트러스 도브데크와; 서로 대향되어 상기 트러스 도브데크의 상면에 접합된 한 쌍의 래티스근, 래티스근의 상부 및 하부에 각기 접합된 트러스 거더 상현재 및 트러스 거더 하현재를 갖는 복수개 이상의 트러스거더;로 이루어지되, 달대의 사용 하중을 트러스거더에 분담시키기 위해 상기 도브테일 레일홈은 트러스거더의 중심축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접합 강도 증가용 분할 앵커 및 이를 이용한 무타공 행잉 공법에 따르면, 분할 앵커의 설치시 하부 록킹너트를 조임하면 하부 분할 앵커헤드와 상부 분할 앵커헤드가 상대적인 미끄럼 이동을 하여 벌어짐으로써 도브테일 레일홈에 쐐기력을 발휘하여 고정력을 확보함으로써 트러스 도브데크측에서 미끄럼방지가 가능하여 내진 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하부 분할 앵커헤드와 상부 분할 앵커헤드가 콘크리트 슬래브와의 접합면을 증가시켜 트러스거더 일체형 강재 데크의 트러스 도브데크측 도브테일 레일홈의 강도를 증가시킨다.
또한, 하부 분할 앵커헤드 상부 분할 앵커헤드의 사선 조립으로 도브테일 레일홈에 변형이 있어도 조립 대응이 가능한 이점을 갖는다.
또한, 분할 앵커는 트러스거더의 중심축상에 설치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달대를 통해 분할 앵커에 작용하는 인발하중을 트러스거더에 효율적으로 분담시킴으로써 시공품질이 향상된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합 강도 증가용 분할 앵커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접합 강도 증가용 분할 앵커의 조립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접합 강도 증가용 분할 앵커의 분해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러스거더 일체형 강재 데크의 사시도.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트러스거더 일체형 강재 데크의 정면도.
도 5는 도 4a에 도시된 트러스거더 일체형 강재 데크에 접합 강도 증가용 분할 앵커가 설치된 상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합 강도 증가용 분할 앵커를 이용한 무타공 행잉 공법의 시공순서도.
도 6c는 도 6b에 도시된 하부 분할 앵커헤드와 상부 분할 앵커헤드측 단면도.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접합 강도 증가용 분할 앵커(30)는 도 5와 같이 달대(10)를 트러스거더 일체형 강재 데크(20)에 연결시키는데 사용된다.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분할 앵커(30)는 하부 분할 앵커헤드(31), 상부 분할 앵커헤드(32), 앵커정착볼트(34), 하부 록킹너트(35) 및 달대체결너트(36)를 포함한다.
하부 분할 앵커헤드(31)는 도 4a 내지 도 4b에 도시된 트러스거더 일체형 강재 데크(20)의 트러스 도브데크(210)측 도브테일 레일홈(212)에 일측 경사면(311)으로 면접함과 동시에 타측에 수직방향(Z)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θ1)로 기울어진 하부 슬라이딩면(312)을 갖는다.
또한, 하부 분할 앵커헤드(31)에는 앵커정착볼트(34)를 삽통시킴과 동시에 하부 분할 앵커헤드(31)의 도브테일 레일홈(212)에 인입시키거나 탈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수직방향(Z)으로 하부 안내장공(313)이 관통되어 있다.
상부 분할 앵커헤드(32)는 트러스거더 일체형 강재 데크(20)의 트러스 도브데크(210)측 도브테일 레일홈(212)에 타측 경사면(321)으로 면접함과 동시에 타측에 상기 하부 분할 앵커헤드(31)의 하부 슬라이딩면(312)에 동일한 기울기의 엇각(θ2)으로 면접하는 상부 슬라이딩면(322)을 갖는다.
상부 분할 앵커헤드(32)에는 앵커정착볼트(34)를 삽통시킴과 동시에 상부 분할 앵커헤드(32)의 도브테일 레일홈(212)에 인입시키거나 탈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수직방향(Z)으로 상부 안내장공(323)이 관통되어 있다.
또한 상부 분할 앵커헤드(32)에는 상부에 일정 깊이로 함몰되어 상부 헤드너트(33)가 끼워져 회전을 억제시키는 너트 록킹홈(325)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와 같이 하부 분할 앵커헤드(31)와 상부 분할 앵커헤드(32)는 θ1=θ2를 이루면서 하부 슬라이딩면(312)과 상부 슬라이딩면(322)이 면접되어셔 조립되고, 어느 하나가 상대적으로 미끄럼 이동을 하게 될 경우, 도 6b와 같이 최대 폭(W)을 증가시켜 쐐기력(F2)을 발생시킨다.
상부 헤드너트(33)는 상부 분할 앵커헤드(32)의 상부에 설치되어 앵커정착볼트(34)에 나사 체결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부 헤드너트(33)는 상부 분할 앵커헤드(32)측 너트 록킹홈(325)에 위치되어 회전이 억제되도록 설치된다.
앵커정착볼트(34)는 하부 분할 앵커헤드(31)와 상부 분할 앵커헤드(32)를 수직으로 삽통하여 상부 헤드너트(33)에 나사 체결되어 있다.
하부 록킹너트(35)는 앵커정착볼트(34)에 나사 체결되어 하부 분할 앵커헤드(31)의 하면에 접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하부 록킹너트(35)를 앵커정착볼트(34)에서 체결 조임시키면, 하부 분할 앵커헤드(31)를 상방으로 상부 분할 앵커헤드(32)를 하방으로 각기 이동시켜 트러스거더 일체형 강재 데크(20)의 트러스 도브데크(210)측 도브테일 레일홈(212)의 양측 경사면에 수직방향으로 쐐기 결합력(F2)을 발생시킨다.
달대체결너트(36)는 달대(10)를 체결할 수 있도록 앵커정착볼트(34)에 나사 체결되어 하부측에 고정 결합되어 있다. 달대체결너트(36)는 내부에 형성된 나사구멍(361)을 통해 달대(10)를 체결시킬 수 있다. 달대체결너트(36)는 본 실시예에서 육각단면을 가지나 이러한 단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달대체결너트(36)는 용접, 핀, 가압 돌출 등을 통해 앵커정착볼트(34)에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달대체결너트(36)에 형성시킨 홈(362)부분을 가압 돌출시켜 앵커정착볼트(34)에 달대체결너트(36)가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도 6b 및 도 6c와 같이 앵커정착볼트(34)를 회전 조임시켜 도브테일 레일홈(212)에 형성된 미끄럼방지홈(214)에 앵커정착볼트(34)의 상단이 강제적으로 밀착되어 분할 앵커(30)의 미끄럼방지를 가능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도 2와 같이 하부 록킹너트(35)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해 앵커정착볼트(34)에 풀림방지용 너트(37)가 더 체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트러스거더 일체형 강재 데크(20)가 설치된 콘크리트 슬래브(100)와의 접합면이 증가되도록, 하부 분할 앵커헤드(31)와 상부 분할 앵커헤드(32)의 길이(L)는 상호 동일하되, 쐐기력을 발휘하였을 때 나타나는 최대 폭(W) 보다 더 길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구성된 분할 앵커(30)를 이용하여 달대(10)를 트러스거더 일체형 강재 데크(20)에 설치하기 위한 무타공 행잉 공법을 설명한다.
먼저, 도 6a와 같이 분할 앵커(30)의 하부 분할 앵커헤드(31)와 상부 분할 앵커헤드(32)를 상,하로 배치시킨 후, 앵커정착볼트(34)를 하부 분할 앵커헤드(31)와 상부 분할 앵커헤드(32)에 삽통시켜 상부 분할 앵커헤드(32)의 상부에 배치시킨 상부 헤드너트(33)에 체결시켜 놓는다.
그 다음, 도 6b와 같이 하부 분할 앵커헤드(31)와 상부 분할 앵커헤드(32)를 트러스거더 일체형 강재 데크(20)의 트러스 도브데크(210)측 도브테일 레일홈(212)에 삽입시켜 놓는다.
그 다음, 앵커정착볼트(34)에 하부 록킹너트(35)를 체결 조임하여 하부 분할 앵커헤드(31)와 상부 분할 앵커헤드(32)가 상대적으로 미끄럼이동시켜 트러스거더 일체형 강재 데크(20)의 트러스 도브데크(210)측 도브테일 레일홈(212)의 양측 경사면에 쐐기 결합력(F2)을 발생시킨다.
여기서 트러스거더 일체형 강재 데크(20)는 도 4a 및 도 4b와 같이 폭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도브테일 레일홈(212), 도브테일 레일홈(212)의 상면에 상향 돌출되어 형성된 미끄럼방지홈(214)을 갖는 트러스 도브데크(210)와; 서로 대향되어 상기 트러스 도브데크(210)의 상면에 접합된 한 쌍의 래티스근(221,221), 래티스근(221)의 상부 및 하부에 각기 접합된 트러스 거더 상현재(222) 및 트러스 거더 하현재(223)를 갖는 복수개 이상의 트러스거더(220)로 이루어진다. 이때 달대(10)에 작용하는 인장하중(사용하중)(W)을 트러스거더(220)에 분담시키기 위해 도브테일 레일홈(212)은 트러스거더(220)의 중심축(Z)상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분할 앵커(30)의 설치시 하부 록킹너트(35)를 조임하면 하부 분할 앵커헤드(31)와 상부 분할 앵커헤드(32)가 상대적인 미끄럼 이동을 하여 벌어짐으로써 도브테일 레일홈(212)에 쐐기력을 발휘하여 고정력을 확보함으로써 트러스 도브데크(210)측에서 미끄럼방지가 가능하여 내진 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하부 분할 앵커헤드(31)와 상부 분할 앵커헤드(32)가 콘크리트 슬래브(1000)와의 접합면을 증가시켜 트러스거더 일체형 강재 데크(20)의 트러스 도브데크(210)측 도브테일 레일홈(212)의 강도를 증가시킨다.
또한, 하부 분할 앵커헤드(31)와 상부 분할 앵커헤드(32)의 사선 조립으로 도브테일 레일홈(212)에 변형이 있어도 조립 대응이 가능한 이점을 갖는다.
또한, 분할 앵커(30)는 트러스거더(220)의 중심축(Z)상에 설치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달대(10)를 통해 분할 앵커(30)에 작용하는 인발하중(W)을 트러스거더(220)에 효율적으로 분담시킴으로써 시공품질이 향상된다.
또한, 종래와 같이 콘크리트 슬래브에 홀을 뚫을 필요가 없어짐으로써 분진 발생의 염려가 없는 이점을 갖는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30: 분할 앵커
31: 하부 분할 앵커헤드
32: 상부 분할 앵커헤드
33: 상부 헤드너트
34: 앵커정착볼트
35: 하부 록킹너트
36: 달대체결너트

Claims (9)

  1. 달대(10)를 트러스거더 일체형 강재 데크(20)에 연결시키는데 사용되는 분할 앵커(30)에 있어서,
    상기 트러스거더 일체형 강재 데크(20)의 트러스 도브데크(210)측 도브테일 레일홈(212)에 일측 경사면(311)으로 면접함과 동시에 타측에 수직방향(Z)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θ1)로 기울어진 하부 슬라이딩면(312)을 갖는 하부 분할 앵커헤드(31)와;
    상기 트러스거더 일체형 강재 데크(20)의 트러스 도브데크(210)측 도브테일 레일홈(212)에 타측 경사면(321)으로 면접함과 동시에 타측에 상기 하부 분할 앵커헤드(31)의 하부 슬라이딩면(312)에 동일한 기울기의 엇각(θ2)으로 면접하는 상부 슬라이딩면(322)을 갖는 상부 분할 앵커헤드(32)와;
    상기 상부 분할 앵커헤드(32)의 상부에 설치되어 앵커정착볼트(34)와 나사 체결되는 상부 헤드너트(33)와;
    상기 하부 분할 앵커헤드(31)와 상부 분할 앵커헤드(32)를 수직으로 삽통하여 상부 헤드너트(33)에 나사 체결되어 있는 앵커정착볼트(34)와;
    상기 앵커정착볼트(34)에 나사 체결되어 하부 분할 앵커헤드(31)의 하면에 접하고, 체결 조임력으로 하부 분할 앵커헤드(31)를 상방으로 상부 분할 앵커헤드(32)를 하방으로 각기 이동시켜 트러스거더 일체형 강재 데크(20)의 트러스 도브데크(210)측 도브테일 레일홈(212)의 양측 경사면에 쐐기 결합력(F2)을 발생시키는 하부 록킹너트(35)와;
    상기 달대(10)를 체결할 수 있도록 상기 앵커정착볼트(34)의 하부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 달대체결너트(36);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 강도 증가용 분할 앵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분할 앵커헤드(31)에는 앵커정착볼트(34)를 삽통시킴과 동시에 하부 분할 앵커헤드(31)의 도브테일 레일홈(212)에 인입시키거나 탈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수직방향(Z)으로 하부 안내장공(313)이 관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 강도 증가용 분할 앵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분할 앵커헤드(32)에는 앵커정착볼트(34)를 삽통시킴과 동시에 상부 분할 앵커헤드(32)의 도브테일 레일홈(212)에 인입시키거나 탈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수직방향(Z)으로 상부 안내장공(323)이 관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 강도 증가용 분할 앵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상부 분할 앵커헤드(32)에는 상부에 일정 깊이로 함몰되어 상부 헤드너트(33)가 끼워져 회전을 억제시키는 너트 록킹홈(325)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 강도 증가용 분할 앵커.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정착볼트(34)를 회전 조임시켜 도브테일 레일홈(212)에 형성된 미끄럼방지홈(214)에 앵커정착볼트(34)의 상단이 강제적으로 밀착되어 분할 앵커(30)의 미끄럼방지를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 강도 증가용 분할 앵커.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록킹너트(35)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해 앵커정착볼트(34)에 풀림방지용 너트(37)가 더 체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 강도 증가용 분할 앵커.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러스거더 일체형 강재 데크(20)가 설치된 콘크리트와의 접합면이 증가되도록, 상기 하부 분할 앵커헤드(31)와 상부 분할 앵커헤드(32)의 길이(L)는 상호 동일하되, 쐐기력을 발휘하였을 때 나타나는 최대 폭(W) 보다 더 길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 강도 증가용 분할 앵커.
  8. 청구항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분할 앵커(30)를 이용하여 달대(10)를 트러스거더 일체형 강재 데크(20)에 설치하기 위한 무타공 행잉 공법에 있어서,
    분할 앵커(30)의 하부 분할 앵커헤드(31)와 상부 분할 앵커헤드(32)를 상,하로 배치시킨 후, 앵커정착볼트(34)를 하부 분할 앵커헤드(31)와 상부 분할 앵커헤드(32)에 삽통시켜 상부 분할 앵커헤드(32)의 상부에 배치시킨 상부 헤드너트(33)에 체결시키는 단계와;
    상기 하부 분할 앵커헤드(31)와 상부 분할 앵커헤드(32)를 트러스거더 일체형 강재 데크(20)의 트러스 도브데크(210)측 도브테일 레일홈(212)에 삽입시켜 놓는 단계와;
    상기 앵커정착볼트(34)에 하부 록킹너트(35)를 체결 조임하여 하부 분할 앵커헤드(31)와 상부 분할 앵커헤드(32)가 상대적으로 미끄럼이동시켜 트러스거더 일체형 강재 데크(20)의 트러스 도브데크(210)측 도브테일 레일홈(212)의 양측 경사면에 쐐기 결합력(F2)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 강도 증가용 분할 앵커를 이용한 무타공 행잉 공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트러스거더 일체형 강재 데크(20)는
    폭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도브테일 레일홈(212), 도브테일 레일홈(212)의 상면에 상향 돌출되어 형성된 미끄럼방지홈(214)을 갖는 트러스 도브데크(210)와;
    서로 대향되어 상기 트러스 도브데크(210)의 상면에 접합된 한 쌍의 래티스근(221,221), 래티스근(221)의 상부 및 하부에 각기 접합된 트러스 거더 상현재(222) 및 트러스 거더 하현재(223)를 갖는 복수개 이상의 트러스거더(220);로 이루어지되,
    달대(10)의 사용 하중을 트러스거더(220)에 분담시키기 위해 상기 도브테일 레일홈(212)은 트러스거더(220)의 중심축(Z)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 강도 증가용 분할 앵커를 이용한 무타공 행잉 공법.
KR1020220012970A 2022-01-28 2022-01-28 접합 강도 증가용 분할 앵커 및 이를 이용한 무타공 행잉 공법 KR1025800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2970A KR102580072B1 (ko) 2022-01-28 2022-01-28 접합 강도 증가용 분할 앵커 및 이를 이용한 무타공 행잉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2970A KR102580072B1 (ko) 2022-01-28 2022-01-28 접합 강도 증가용 분할 앵커 및 이를 이용한 무타공 행잉 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6258A KR20230116258A (ko) 2023-08-04
KR102580072B1 true KR102580072B1 (ko) 2023-09-19

Family

ID=87568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2970A KR102580072B1 (ko) 2022-01-28 2022-01-28 접합 강도 증가용 분할 앵커 및 이를 이용한 무타공 행잉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007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1090Y1 (ko) 2002-12-04 2003-04-26 김영욱 데크플레이트용 인서트
JP2003262210A (ja) 2002-03-08 2003-09-19 Aisin Takaoka Ltd 空洞部材の取付構造
JP2017129238A (ja) 2016-01-22 2017-07-27 未来工業株式会社 ボルト体取着具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9051A (ja) * 1984-07-18 1986-02-08 Hitachi Ltd 防眩ブラウン管
JPH094628A (ja) * 1995-06-16 1997-01-07 Taisei Corp くさび内蔵ナット
KR102118997B1 (ko) 2019-09-24 2020-06-04 삼성물산 주식회사 탈착이 용이한 앵커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2210A (ja) 2002-03-08 2003-09-19 Aisin Takaoka Ltd 空洞部材の取付構造
KR200311090Y1 (ko) 2002-12-04 2003-04-26 김영욱 데크플레이트용 인서트
JP2017129238A (ja) 2016-01-22 2017-07-27 未来工業株式会社 ボルト体取着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6258A (ko) 2023-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73556A (en) Adjustable drop ceiling fixture support
KR101129488B1 (ko) 지주 및 방음패널의 이탈방지 및 내진 장치
US11486158B2 (en) Ductile prefabricated shear panel
KR102580072B1 (ko) 접합 강도 증가용 분할 앵커 및 이를 이용한 무타공 행잉 공법
KR102584251B1 (ko) 트래퍼조이드 앵커를 이용한 무타공 행잉 공법
US20090288356A1 (en) Anchoring framing to support structures
KR20040052666A (ko) 콘크리트보 강선 보강구조물
KR20110008010A (ko) 패널용 연결 요소
JP6954703B1 (ja) ボルト支持金具
KR100960943B1 (ko) 건설공사용 강관 비계.
KR100568158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천정재 행거 및 이를 이용한 천정재설치방법
KR20150052653A (ko)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벽체의 내진보강방법
KR20000043848A (ko) 케블라 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처짐 보강 방법 및 정착구
JP4119943B1 (ja) 基礎型枠間隔保持用およびアンカーボルト保持用金物
KR100516769B1 (ko) 강연선 케미칼앵카링 및 텐셔닝에 의한 슬래브 또는 보보강 공법
KR20110037651A (ko) 행거 고정구
KR0129026Y1 (ko) 교량 보강구
KR100374971B1 (ko) 석공사용 패스너
KR102384661B1 (ko) 건축용 입상관 지지장치
JP3251251B2 (ja) 建築物の接合金具
KR200423903Y1 (ko) 앵커볼트용 체결장치
JP3213425U (ja) ホールダウン金物の接合構造
JP2008007997A (ja) 木造建築物の仕口構造及び仕口金具
JP3172088B2 (ja) 建築物の接合金具
JP3105033U (ja) 耐震補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