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9026Y1 - 교량 보강구 - Google Patents

교량 보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9026Y1
KR0129026Y1 KR2019950026777U KR19950026777U KR0129026Y1 KR 0129026 Y1 KR0129026 Y1 KR 0129026Y1 KR 2019950026777 U KR2019950026777 U KR 2019950026777U KR 19950026777 U KR19950026777 U KR 19950026777U KR 0129026 Y1 KR0129026 Y1 KR 01290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friction
reinforcement
piece
poi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67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3825U (ko
Inventor
오창열
Original Assignee
신흥우
브이에스엘코리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흥우, 브이에스엘코리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흥우
Priority to KR20199500267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9026Y1/ko
Publication of KR9700138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38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90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902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개선된 교량 보강구를 개시한다.
종래 교량 보강구는 다수의 기초볼트에 의한 전단지지방식이어서 기초볼트를 삽입고정시키기 위해 다수의 관통구멍을 형성시킴에 따른 구멍주위의 균열우려와 비교적 많은 부품을 설치함에 따른 작업공수의 증가가 있었다.
본 고안에서는 교량의 측벽을 관통하는 피씨바에 의해 측벽 두 지점의 대응양측에 밀착고정되는 한쌍의 마찰편과, 마찰편의 두지점 사이의 교량 측벽 밑면에 고정되는 지지편과, 두 지점의 마찰편들과 지지편에 인장력을 갖도록 연결 설치되는 피씨케이블이 구비되는 교량보강구를 구비하므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였다.

Description

교량 보강구
제1도는 본 고안 교량 보강구를 보이는 개략적 사시도.
제2도 내지 제3도는 본 고안 교량 보강구가 교량에 설치된 상태를 보이는 부분확대 단면도들,
제4도는 본 고안 교량 보강구가 다수설치된 상태의 개략적 부분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교량의) 측벽 4 : 마찰편
6 : 피씨바(PC bar) 8 : 지지편
12 : 피씨케이블(PC cable)
본 고안은 교량 보강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장바와 마찰편에 의한 마찰지지방식을 가지는 교량 보강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기존 교량의 안전성 확보 및 유지관리의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기시공된 교량의 보강공사가 빈번해 지고 있으며, 따라서 현재에는 기초볼트(anchor blot)에 의한 전단지지방식을 가지는 보강구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 보강구는 측벽에 다수의 기초볼트를 박아 지지편을 고정시키고 인장바에 의해 이 지지편을 상측으로 탄성지지시키므로 그 인장력이 기초볼트의 전단력으로 그 전단력에 의해 교량의 취약부를 지지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보강구는 교량의 측벽에 다수의 기초볼트를 삽입시키기 위해 대응 구멍을 형성시킴에 따라 그 구멍주위에 응력이 집중되어 균열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고, 다수의 부품을 설치하므로 작업공수가 문제가 있었다.
상술한 문제를 감안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기초볼트를 사용하지 않아 교량의 균열등이 발생하지 않고 작업공수가 감소되도록한 교량보강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교량 보강구는 교량보강구에 있어서, 교량의 측벽을 관통하는 볼트에 의해 측벽 두 지점의 대응양측에 밀착고정되는 한쌍의 마찰편과, 마찰편의 두 지점 사이의 교량측벽 밑면에 고정되는 지지편과, 두 지점의 마찰편들과 지지편에 연결설치되어 마찰편에 마찰지지력을 발생시키는 인장바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제1도 내지 제2도에서 본 고안의 교량 보강구는 교량 측벽(2) 대응면에 고정부(3)가 형성된 마찰편(4)이 구비되고, 마찰편(4)에 대응되는 측벽(2)에 형성된 관통구멍들에 피씨바(PC bar; 6)가 체결되어 마찰편(4)과 측벽(2)을 밀착지지하고 있다.
이러한 마찰편(4)과 측벽(2)과의 밀착결합은 교량 양측에 구비되어 있고 이들 중간부분의 교량 밑면에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편(8)이 볼트(9)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바, 이는 교량 밑면에 접촉지지되는 판형상의 지지부(10)와 그 양측에 관통구멍을 가지는 연결부(11)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마찰편(4)의 고정부(3)들과 지지편(8)의 연결부(10)들에는 이들에 의해 인장력을 받도록 피씨케이블(PC cable; 12)이 연결설치되는바, 피씨케이블(12)에 의한 인장력은 교량 두 지점의 마찰편(4)들과 측벽(2)간에 마찰력을 발생시켜 그 힘으로 지지편(8)이 교량취약부를 상측으로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 교량 보강구는 교량에 설치된 부품수 및 하중 비교적 많지 않아 교량에 무리한 하중을 가하지 않게 되고, 교량 양측에 마찰편(4)을 고정 설치하기 위한 간단한 천공작업만을 요하므로 다수의 관통구멍을 형성시켜 기초볼트를 고정시켰던 종래에 비해 교량의 균열발생정도가 현저히 감소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교량 보강구는 다수의 기초볼트, 인장편들, 지지편들, 인장바를 구비하여 설치하므로 교량의 취약부를 보강함에 따라 작업공수증가, 교량 자체 하중증가 및 다수의 기초볼트 삽입구멍에 의해 균열의 우려가 있었던 종래와는 달리 보강구의 설치 부품수가 비교적 적어 작업공수가 감소되어 교량자체 하중을 감소시켰으며, 교량에 그다지 많은 구멍을 뚫지 않아 균열의 위험도 그만큼 감소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교량 보강구에 의하면 작업공수의 감소 및 균열의 위험이 감소되어 보강구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교량 보강구에 있어서, 교량의 측벽(2)을 관통하는 피씨바(PC bar)(6)에 의해 상기 측벽(2) 두 지점의 대응양측에 밀착고정되는 한쌍의 마찰편(4)과, 상기 마찰편(4)의 두 지점 사이의 교량 측벽(2) 밑면에 고정되는 지지편(8)과, 상기 두 지점의 마찰편(4)들과 지지편(8)에 연결설치되어 상기 마찰편(4)에 마찰지지력을 발생시키는 피씨케이블(PC cable)(12)이 구비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보강구.
KR2019950026777U 1995-09-28 1995-09-28 교량 보강구 KR01290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6777U KR0129026Y1 (ko) 1995-09-28 1995-09-28 교량 보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6777U KR0129026Y1 (ko) 1995-09-28 1995-09-28 교량 보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3825U KR970013825U (ko) 1997-04-28
KR0129026Y1 true KR0129026Y1 (ko) 1998-12-15

Family

ID=19424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6777U KR0129026Y1 (ko) 1995-09-28 1995-09-28 교량 보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902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7467A (ko) * 2002-11-30 2004-06-05 이진용 외부강선을 이용한 콘크리트 보의 보강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6597A (ko) * 1999-04-02 1999-07-05 박대열 프리스트레스트박스형교량
KR100436747B1 (ko) * 2002-02-21 2004-06-22 주식회사 오케이컨설턴트 트러스 부재를 이용한 교량의 보수보강장치 및 방법
KR100589975B1 (ko) * 2006-02-13 2006-06-19 변항용 아이볼트 및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구조물 전단보강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7467A (ko) * 2002-11-30 2004-06-05 이진용 외부강선을 이용한 콘크리트 보의 보강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3825U (ko) 1997-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59755B2 (ja) 下部ケーブルによるプレストレス導入橋梁補強方法
KR0129026Y1 (ko) 교량 보강구
FI72369C (fi) Byggnadssystem.
KR0159680B1 (ko) 교량 보강구 설치방법
CA2206359C (en) Transverse force rod bearing
JP4444555B2 (ja) 土木構造物の継手構造
US4615063A (en) Box girder and suspension assembly
SE9501370L (sv) Pålsko
KR102167032B1 (ko) 교체가 간편한 교량받침
JPH04140B2 (ko)
KR100370177B1 (ko) 거더의 외부강선 보강을 위한 압축형 단부브라켓
KR200252412Y1 (ko) 엘리베이터 레일용 고정클립
JPH0578073A (ja) エレベータ乗場の敷居装置
JP4298808B2 (ja) 床板の支持脚の固定構造
KR102580072B1 (ko) 접합 강도 증가용 분할 앵커 및 이를 이용한 무타공 행잉 공법
KR200143070Y1 (ko) 들보 성형용 거푸집의 지지장치
KR960001015Y1 (ko) 지 승(支承)
KR200369707Y1 (ko) 하중 분산형 트러스빔
KR200327864Y1 (ko) 핑거형 신축이음장치
FI63138B (fi) Faestpik foer ledning
KR20000032621A (ko) 교량 보수를 위한 스틸박스 보강장치
KR200279234Y1 (ko) 편심거리가 증가된 부착형 정착구
JPH04142B2 (ko)
JP2732244B2 (ja) 設備機器の耐震据付方法
KR860000584Y1 (ko) 작업용 발판 고정설치용 결착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05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