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4661B1 - 건축용 입상관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건축용 입상관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4661B1
KR102384661B1 KR1020210100276A KR20210100276A KR102384661B1 KR 102384661 B1 KR102384661 B1 KR 102384661B1 KR 1020210100276 A KR1020210100276 A KR 1020210100276A KR 20210100276 A KR20210100276 A KR 20210100276A KR 102384661 B1 KR102384661 B1 KR 102384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hole
slab
saddle
l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0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순준기
Original Assignee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210100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46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4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4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8Sealing by means of axial screws compressing a ring or slee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입상관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관통구멍(31)을 갖는 슬래브 고정판(30); 슬래브구멍(21)을 향해 슬래브 고정판(30)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롤러브래킷(40); 롤러브래킷(40)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경사면(45)을 갖는 웨지판(41); 롤러브래킷(40)과 웨지판(41)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축안내판(42); 축안내판(42)에 형성되는 가이드장공(43); 웨지판(41)과 입상관(22)의 사이에 쐐기 형태로 박히는 장구롤러(50); 장구롤러(50)의 중심을 관통하고, 가이드장공(43)을 따라 승강되는 롤러축(51); 입상관(22)의 외주면을 감싸는 분할새들(60); 분할새들(60)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새들고정날개(61); 새들고정날개(61)에 형성되는 수평장공(62); 슬래브 고정판(30)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스터드볼트(32); 스터드볼트(32)에 결합되고, 새들고정날개(61)의 상하면을 압박하는 높낮이 조절너트(33); 새들고정날개(61)에 형성되는 너트부(63); 롤러브래킷(40)과 입상관(22) 사이를 통과해서 장구롤러(50)를 하측으로 압박하는 웨지볼트(52)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축용 입상관 지지장치{Standpipe Holding Device}
본 발명은 건축물의 슬래브를 관통하는 입상관을 슬래브에 고정하는데 이용하는 건축용 입상관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입상관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건축용 입상관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 설치되는 상수도관, 하수관, 가스관, 전선관, 배기관 등과 같은 파이프를 각 각층에 분기해서 설치하기 위해 코어드릴과 같은 천공공구를 이용해서 슬래브에 수직방향으로 관통구멍을 천공한 다음, 천공된 관통구멍으로 파이프를 삽입해서 각 층으로 분기하고 있다.
이때 슬래브에 천공된 관통구멍으로 삽입된 파이프가 자중에 의해 밑으로 떨어지거나 옆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장치를 이용해서 파이프를 슬래브에 고정하고 있다.
이와 같이 파이프를 슬래브에 고정하기 위한 종래기술은 첨부도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래브(10)에 천공된 관통구멍(11)에 입상관(12)을 삽입한 다음, 입상관(12)의 중심을 관통구멍(11)의 중심에 대략 일치시킨 상태에서 입상관(12)에 앵글(13)을 밀착시킨 후 못(17)을 이용해서 앵글(13)을 슬래브(10)에 고정한 후 유볼트(14)를 입상관(12)의 외주면에 걸어서 앵글(13)에 삽입한 다음 너트(15)(16)와 결합해서 고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앵글(13)을 입상관(12)의 일측에만 설치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상관(12)의 자중에 의해 앵글(13)의 반대편에서 처짐이 발생되거나 입상관(12)이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은 입상관(12)이 슬래브(10)로부터 수직으로 설치되지 못하고 기울어진 경우 이를 보정할 수 있는 장치를 갖추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정밀시공을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1359392호(공고일 2014.02.10.)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389268호(공고일 2005.07.07.)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450784호(공고일 2010.11.01.) 국내 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01385호(공개일 2009.02.1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슬래브를 관통하는 입상관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건축용 입상관 지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건축용 입상관 지지장치는, 슬래브에 형성된 슬래브구멍과 동심을 이루는 관통구멍을 갖는 슬래브 고정판; 슬래브구멍을 향해 슬래브 고정판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관통구멍의 가장자리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서로 등간격을 이루는 롤러브래킷; 롤러브래킷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아래쪽으로 향할수록 입상관의 외주면에 가까워지는 경사면을 갖는 웨지판; 롤러브래킷과 웨지판의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축안내판; 축안내판에 형성되고, 웨지판의 경사면과 평행한 가이드장공; 축안내판의 사이에서 웨지판의 경사면을 따라 구르고, 웨지판과 입상관의 사이에 쐐기 형태로 박히는 장구롤러; 장구롤러의 중심을 관통하고, 가이드장공을 통해 축안내판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가이드장공을 따라 승강되는 롤러축; 입상관의 외주면을 원주방향으로 감싸는 형태로 서로 만나서 결합되는 분할새들; 분할새들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으로 수평하게 설치되는 새들고정날개; 새들고정날개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수평장공; 슬래브 고정판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수평장공으로 관통되는 스터드볼트; 스터드볼트에 결합되고, 새들고정날개의 상하면을 압박하는 높낮이 조절너트; 새들고정날개에 형성되는 너트부; 너트부에 나사 결합되고, 롤러브래킷과 입상관 사이를 통과해서 장구롤러를 하측으로 압박하는 웨지볼트를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축안내판의 측면 상부에 형성되는 스프링 걸림핀; 스프링 걸림핀과 롤러축의 양단에 걸리고, 장구롤러를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리턴스프링을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장구롤러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입상관의 외주면과 선접촉되는 환형의 호형홈; 웨지볼트의 하단에 형성되는 롤러가압헤드; 롤러가압헤드의 하단 모서리를 따라 형성되고, 호형홈에 접촉되는 볼록한 라운드부를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웨지판(41)과 입상관(22)의 사이에 쐐기 형태로 박히는 장구롤러(50)에 의해 슬래브구멍(21)으로 진입된 입상관(22)의 하부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입상관(22)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리턴스프링(53)에 의해 장구롤러(50)가 상시 해제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슬래브구멍(21)으로 입상관(22)을 삽입할 때 장구롤러(50)에 의한 저항이 발생하지 않아 작업을 매우 편리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분할새들(60)에 형성된 새들고정날개(61)와 수평장공(62)에 의해 입상관(22)의 기울기 및 중심을 정밀하게 보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롤러브래킷(40)과 웨지판(41)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축안내판(42)에 의해 장구롤러(50) 및 롤러축(51)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은 슬래브구멍(21)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롤러브래킷(40)에 의해 장구롤러(50)로부터 롤러브래킷(40)로 전달되는 하중을 넓은 면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입상관 지지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입상관 지지장치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저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고정판을 슬래브에 설치하는 것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새들고정날개를 스터드볼트에 조립하는 것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고정판과 그 하부에 위치된 구성품들을 보인 저면측 분리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할새들과 그 주변 구성품들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정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A부 확대도
도 12는 도 11의 상태로부터 웨지볼트에 의해 장구롤러가 하강된 것을 보인 확대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고정판이 슬래브에 설치된 것을 보인 평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 도 3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슬래브(20)에 형성된 슬래브구멍(21)과 동심을 이루는 관통구멍(31)을 갖는 슬래브 고정판(30); 슬래브구멍(21)을 향해 슬래브 고정판(30)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관통구멍(31)의 가장자리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서로 등간격을 이루는 롤러브래킷(40)을 포함한다.
도 3 내지 도 8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래브 고정판(30)을 슬래브(20)의 상면에 고정하기 위해 앵커구멍(35)이 천공되어 있는 앵커고정부(34)를 슬래브 고정판(30)의 가장자리를 따라 등각도로 형성할 수 있다.
슬래브 고정판(30)을 슬래브(20)에 설치하는 과정은, 도 6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래브(20)에 설치한 앵커볼트(36)의 중심에 앵커구멍(35)의 중심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슬래브 고정판(30)을 슬래브(20)에 밀착시키면, 앵커볼트(36)가 앵커구멍(35)을 통과하게 된다.
이때 앵커볼트(36)에 평와셔(38)와 스프링와셔(39)를 순차적으로 끼운 다음 앵커볼트(36)에 앵커너트(37)를 결합해서 조이면, 슬래브 고정판(30)이 슬래브(20)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슬래브 고정판(30)을 슬래브(20)에 설치할 때 롤러브래킷(40)이 슬래브구멍(21)으로 진입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롤러브래킷(40)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아래쪽으로 향할수록 입상관(22)의 외주면에 가까워지는 경사면(45)을 갖는 웨지판(41); 롤러브래킷(40)과 웨지판(41)의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축안내판(42); 축안내판(42)에 형성되고, 웨지판(41)의 경사면(45)과 평행한 가이드장공(43)을 포함한다.
도 5, 도 6, 도 8,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지판(41)과 축안내판(42)은 ㄷ자 단면을 갖도록 일체로 성형될 수 있으며, 가이드장공(43)은 일정한 폭을 갖는 직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축안내판(42)의 사이에서 웨지판(41)의 경사면(45)을 따라 구르고, 웨지판(41)과 입상관(22)의 사이에 쐐기 형태로 박히는 장구롤러(50); 장구롤러(50)의 중심을 관통하고, 가이드장공(43)을 통해 축안내판(42)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가이드장공(43)을 따라 승강되는 롤러축(51)을 포함한다.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구롤러(50)의 중심으로 롤러축(51)이 압입되도록 장구롤러(50)의 중심에 관통된 구멍을 천공하며, 롤러축(51)의 양단은 축안내판(42)의 양쪽 측면으로 각각 돌출된다.
장구롤러(50)에 롤러축(51)을 압입하는 과정은, 장구롤러(50)를 축안내판(42) 사이에 끼운 상태에서 장구롤러(50)의 중심에 형성된 구멍의 중심과 가이드장공(43)의 중심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롤러축(51)을 가이드장공(43)을 통해 장구롤러(50)의 중심에 형성된 구멍에 압입한다.
본 발명은 입상관(22)의 외주면을 원주방향으로 감싸는 형태로 서로 만나서 결합되는 분할새들(60); 분할새들(60)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으로 수평하게 설치되는 새들고정날개(61); 새들고정날개(6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수평장공(62)을 포함한다.
분할새들(60)은 도 3 내지 도 5, 도 7, 도 9,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상관(22)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원호형으로 성형되며, 분할새들(60)의 양단에는 체결공(65)이 형성된 플랜지(64)를 형성한다.
분할새들(60)을 입상관(22)의 외주면에 조립하는 과정은, 플랜지(64)에 형성된 체결공(65)으로 새들고정볼트(66)를 삽입한 다음 반대편으로 돌출된 새들고정볼트(66)에 새들고정너트(67)를 결합해서 조이면, 분할새들(60)이 입상관(22)의 외주면에 밀착된다.
새들고정날개(61)에 형성된 수평장공(62)을 이용해서 새들고정날개(61)와 분할새들(60) 및 입상관(22)을 수평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입상관(22)의 기울기를 보정하거나 입상관(22)의 중심을 슬래브구멍(21)의 중심에 맞추는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슬래브 고정판(30)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수평장공(62)으로 관통되는 스터드볼트(32); 스터드볼트(32)에 결합되고, 새들고정날개(61)의 상하면을 압박하는 높낮이 조절너트(33)를 포함한다.
높낮이 조절너트(33)는 예를 들면 육각너트로 구성할 수 있고, 스터드볼트(32) 한개당 두개의 높낮이 조절너트(33)가 대응해서 설치되며, 높낮이 조절너트(33)를 풀고 조여서 높낮이를 조절하면 분할새들(6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새들고정날개(61)에 형성되는 너트부(63); 너트부(63)에 나사 결합되고, 롤러브래킷(40)과 입상관(22) 사이를 통과해서 장구롤러(50)를 하측으로 압박하는 웨지볼트(52)를 포함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부(63)의 중심에는 웨지볼트(52)가 나사결합되는 나사구멍(부호생략)을 상하 관통형으로 형성한다.
웨지볼트(52)의 상단 외주면 일부에 수나사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웨지볼트(52)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웨지볼트(52)가 승강된다.
웨지볼트(52)의 상단 중심에 예를 들면 육각홈(부호생략)을 형성하면 알렌-렌치 또는 육각드라이버와 같은 체결도구를 육각홈에 결합해서 웨지볼트(52)를 돌릴 수 있다.
본 발명은 축안내판(42)의 측면 상부에 형성되는 스프링 걸림핀(44); 스프링 걸림핀(44)과 롤러축(51)의 양단에 걸리고, 장구롤러(50)를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리턴스프링(53)을 포함한다.
리턴스프링(53)은 예를 들면 스프링 강선을 나선형으로 감아서 만든 인장코일 스프링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리턴스프링(53)의 양단에는 후크 형태의 고리(부호생략)를 형성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걸림핀(44)과 롤러축(51)의 단부 외주면에는 리턴스프링(53)의 양단에 형성된 고리를 걸기 위한 환형홈(부호생략)을 형성할 수 있다.
리턴스프링(53)은 도 8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축(51)을 통해 장구롤러(50)를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역할을 하며, 웨지볼트(52)로부터 장구롤러(5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때 장구롤러(50)가 상시 해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은 장구롤러(5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입상관(22)의 외주면과 선접촉되는 환형의 호형홈(54); 웨지볼트(52)의 하단에 형성되는 롤러가압헤드(55); 롤러가압헤드(55)의 하단 모서리를 따라 형성되고, 호형홈(54)에 접촉되는 볼록한 라운드부(56)를 포함한다.
호형홈(54)은 입상관(22)의 외경에 맞는 곡률반경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장구롤러(50)에 형성된 호형홈(54)에 입상관(22)의 외주면이 선접촉하게 된다.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가압헤드(55)의 하단 모서리에 형성된 라운드부(56)는, 웨지볼트(52)로 장구롤러(50)를 가압할 때 라운드부(56)가 장구롤러(50)에 형성된 호형홈(54)에 접촉되면서 롤러가압헤드(55)가 장구롤러(50)의 길이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도면 도 3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 및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래브 고정판(30)이 슬래브(20)에 고정되고, 롤러브래킷(40)이 슬래브구멍(21)으로 진입된 상태에서 새들고정날개(61)의 하측에 위치되는 높낮이 조절너트(33)를 스터드볼트(32)에 결합해서 적절한 높이로 조절한다.
이후 새들고정날개(61)에 형성된 수평장공(62)의 중심라인을 스터드볼트(32)의 중심에 일치시킨 상태에서 입상관(22)을 슬래브구멍(21)으로 삽입하면, 입상관(22)과 함께 하강되던 새들고정날개(61)가 스터드볼트(32)에 미리 조립된 높낮이 조절너트(33)에 걸리면서 입상관(22)의 하강이 정지되고, 웨지볼트(52)는 롤러브래킷(40)과 입상관(22)의 사이로 진입된다.
이때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턴스프링(53)에 의해 롤러축(51)과 장구롤러(50)가 상승되어 있기 때문에 입상관(22)과 장구롤러(50)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면서 입상관(22)이 슬래브구멍(21)으로 진입할 때 장구롤러(50)에 의한 저항은 발생하지 않는다.
이후 새들고정날개(61)의 상측에 위치되는 나머지 높낮이 조절너트(33)를 스터드볼트(32)에 조립해서 조이면 새들고정날개(61)가 스터드볼트(32)에 고정되고, 분할새들(60)과 입상관(22)도 새들고정날개(61)에 의해 일정한 높이에 고정된다.
입상관(22)의 기울기를 조절하거나 입상관(22)의 중심을 슬래브구멍(21)의 중심에 맞추는 경우, 새들고정날개(61)의 상측에 위치된 높낮이 조절너트(33)를 풀고 입상관(22)을 전후좌우로 움직이면 새들고정날개(61)에 형성된 수평장공(62)에 의해 새들고정날개(61)와 분할새들(60) 및 입상관(22)이 수평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이게 되며, 입상관(22)의 기울기 및 중심을 맞춘 다음 풀어져 있던 높낮이 조절너트(33)를 다시 조이면 입상관(22)이 고정된다.
이후 너트부(63)에 결합되어 있는 웨지볼트(52)가 하강되는 방향으로 웨지볼트(52)를 돌리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지볼트(52)의 하단에 형성된 롤러가압헤드(55)에 의해 장구롤러(50)가 하측으로 힘을 받게 된다.
이때 롤러축(51)은 가이드장공(43)을 따라 하강되고, 장구롤러(50)는 웨지판(41)에 형성된 경사면(45)을 따라 구르게 되는데, 이때 리턴스프링(53)이 탄성복원력을 지닌채 신장되고, 장구롤러(50)가 웨지판(41)과 입상관(22)의 사이에 쐐기 형태로 박히면서 입상관(22)의 하부가 고정된다.
즉,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상관(22)의 중심에서 방사형으로 배치된 장구롤러(50)가 모두 입상관(22)의 중심을 향해 모이면서 입상관(22)의 외주면을 압박해서 물게 된다.
20 : 슬래브 21 : 슬래브구멍
22 : 입상관 30 : 슬래브 고정판
31 : 관통구멍 32 : 스터드볼트
33 : 높낮이 조절너트 34 : 앵커고정부
35 : 앵커구멍 36 : 앵커볼트
37 : 앵커너트 38 : 평와셔
39 : 스프링와셔 40 : 롤러브래킷
41 : 웨지판 42 : 축안내판
43 : 가이드장공 44 : 스프링 걸림핀
45 : 경사면 50 : 장구롤러
51 : 롤러축 52 : 웨지볼트
53 : 리턴스프링 54 : 호형홈
55 : 롤러가압헤드 56 : 라운드부
60 : 분할새들 61 : 새들고정날개
62 : 수평장공 63 : 너트부
64 : 플랜지 65 : 체결공
66 : 새들고정볼트 67 : 새들고정너트

Claims (3)

  1. 슬래브(20)에 형성된 슬래브구멍(21)과 동심을 이루는 관통구멍(31)을 갖는 슬래브 고정판(30);
    상기 슬래브구멍(21)을 향해 상기 슬래브 고정판(30)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관통구멍(31)의 가장자리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서로 등간격을 이루는 롤러브래킷(40);
    상기 롤러브래킷(40)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아래쪽으로 향할수록 입상관(22)의 외주면에 가까워지는 경사면(45)을 갖는 웨지판(41);
    상기 롤러브래킷(40)과 상기 웨지판(41)의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축안내판(42);
    상기 축안내판(42)에 형성되고, 상기 웨지판(41)의 경사면(45)과 평행한 가이드장공(43);
    상기 축안내판(42)의 사이에서 상기 웨지판(41)의 경사면(45)을 따라 구르고, 상기 웨지판(41)과 상기 입상관(22)의 사이에 쐐기 형태로 박히는 장구롤러(50);
    상기 장구롤러(50)의 중심을 관통하고, 상기 가이드장공(43)을 통해 상기 축안내판(42)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가이드장공(43)을 따라 승강되는 롤러축(51);
    상기 입상관(22)의 외주면을 원주방향으로 감싸는 형태로 서로 만나서 결합되는 분할새들(60);
    상기 분할새들(60)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으로 수평하게 설치되는 새들고정날개(61);
    상기 새들고정날개(6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수평장공(62);
    상기 슬래브 고정판(30)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수평장공(62)으로 관통되는 스터드볼트(32);
    상기 스터드볼트(32)에 결합되고, 상기 새들고정날개(61)의 상하면을 압박하는 높낮이 조절너트(33);
    상기 새들고정날개(61)에 형성되는 너트부(63);
    상기 너트부(63)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롤러브래킷(40)과 상기 입상관(22) 사이를 통과해서 상기 장구롤러(50)를 하측으로 압박하는 웨지볼트(5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입상관 지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축안내판(42)의 측면 상부에 형성되는 스프링 걸림핀(44);
    상기 스프링 걸림핀(44)과 상기 롤러축(51)의 양단에 걸리고, 상기 장구롤러(50)를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리턴스프링(5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입상관 지지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구롤러(5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입상관(22)의 외주면과 선접촉되는 환형의 호형홈(54);
    상기 웨지볼트(52)의 하단에 형성되는 롤러가압헤드(55);
    상기 롤러가압헤드(55)의 하단 모서리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호형홈(54)에 접촉되는 볼록한 라운드부(56);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입상관 지지장치.
KR1020210100276A 2021-07-30 2021-07-30 건축용 입상관 지지장치 KR102384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276A KR102384661B1 (ko) 2021-07-30 2021-07-30 건축용 입상관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276A KR102384661B1 (ko) 2021-07-30 2021-07-30 건축용 입상관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4661B1 true KR102384661B1 (ko) 2022-04-11

Family

ID=81210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0276A KR102384661B1 (ko) 2021-07-30 2021-07-30 건축용 입상관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4661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1544A (ja) * 1996-09-12 1998-05-29 Noriatsu Kojima 管の支持具
KR200389268Y1 (ko) 2005-04-15 2005-07-07 강양희 건설현장 파이프 배관용 유볼트
KR200391150Y1 (ko) * 2005-05-04 2005-07-29 주식회사 하나에스디 건축용 입상관 고정구
KR20090001385U (ko) 2007-08-07 2009-02-11 이종근 파이프 고정용 유볼트
KR200450784Y1 (ko) 2008-02-25 2010-11-01 주식회사 한진기술 유볼트
KR20110004028A (ko) * 2009-07-07 2011-01-13 주식회사 영진공영 배관 파이프 지지장치
KR20120131050A (ko) * 2011-05-24 2012-12-04 (주)영진에스피산업 관통슬리브 고정장치
KR101359392B1 (ko) 2012-05-15 2014-02-1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유볼트
KR101956557B1 (ko) * 2018-08-28 2019-03-11 (주)휴먼아키피아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파이프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1544A (ja) * 1996-09-12 1998-05-29 Noriatsu Kojima 管の支持具
KR200389268Y1 (ko) 2005-04-15 2005-07-07 강양희 건설현장 파이프 배관용 유볼트
KR200391150Y1 (ko) * 2005-05-04 2005-07-29 주식회사 하나에스디 건축용 입상관 고정구
KR20090001385U (ko) 2007-08-07 2009-02-11 이종근 파이프 고정용 유볼트
KR200450784Y1 (ko) 2008-02-25 2010-11-01 주식회사 한진기술 유볼트
KR20110004028A (ko) * 2009-07-07 2011-01-13 주식회사 영진공영 배관 파이프 지지장치
KR20120131050A (ko) * 2011-05-24 2012-12-04 (주)영진에스피산업 관통슬리브 고정장치
KR101359392B1 (ko) 2012-05-15 2014-02-1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유볼트
KR101956557B1 (ko) * 2018-08-28 2019-03-11 (주)휴먼아키피아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파이프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73556A (en) Adjustable drop ceiling fixture support
US20070014630A1 (en) Shrinkage-compensating continuity system
US7673427B2 (en) Clamp for use with metal bar joists and beams
US5118147A (en) Grating fastener
US20150184896A1 (en) Solar panel support apparatus
US20080224012A1 (en) Industrial Hangers for Framing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2113694B1 (ko) 건축용 파이프 고정장치
CN110965652A (zh) 一种装配式建筑主次梁钢连接节点结构
CN211973832U (zh) 一种建筑钢结构用连接组件
KR102384661B1 (ko) 건축용 입상관 지지장치
US20090288356A1 (en) Anchoring framing to support structures
US10187006B2 (en) Wedge spring clip mounting system for photovoltaic modules
KR102444705B1 (ko) 건축용 파이프 전도 방지장치
CN217924999U (zh) 一种钢结构施工装配式安装装置及防护装置
KR102516970B1 (ko) 건축용 석재판 고정장치
KR102349388B1 (ko) 건축용 입상관 지지장치
KR102203309B1 (ko) 건축용 입상관 지지장치
JP6050022B2 (ja) 建築用取付具
JP3395101B2 (ja) 床支持脚
CN210395812U (zh) 一种吊顶装配式钢架转换层
KR102580072B1 (ko) 접합 강도 증가용 분할 앵커 및 이를 이용한 무타공 행잉 공법
KR100568158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천정재 행거 및 이를 이용한 천정재설치방법
KR102311124B1 (ko) 건축용 입상관 지지장치
KR102444710B1 (ko) 건축용 입상관 지지장치
KR200197016Y1 (ko)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