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2666A - 콘크리트보 강선 보강구조물 - Google Patents

콘크리트보 강선 보강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2666A
KR20040052666A KR1020040028721A KR20040028721A KR20040052666A KR 20040052666 A KR20040052666 A KR 20040052666A KR 1020040028721 A KR1020040028721 A KR 1020040028721A KR 20040028721 A KR20040028721 A KR 20040028721A KR 20040052666 A KR20040052666 A KR 200400526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concrete beam
screw
concrete
steel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8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1981B1 (ko
Inventor
이재훈
Original Assignee
(주)도화구조 기술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도화구조 기술사무소 filed Critical (주)도화구조 기술사무소
Priority to KR1020040028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1981B1/ko
Publication of KR20040052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26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1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19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1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automatic initiation; for initiation not subject to will of driver or passeng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60T13/745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acting on a hydraulic system, e.g. a master cyl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4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comprising an additional fluid circuit including fluid pressurising means for modifying the pressure of the braking fluid, e.g. including wheel driven pumps for detecting a speed condition, or pumps which are controlled by means independent of the braking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81Braking system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보 강선 보강구조물은 콘크리트보; 상기 콘크리트보의 양단에 수직으로 인접하고 있고, 천공구멍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제1 수직보 및 제2 수직보; 상기 콘크리트보의 하부에 정착되는 하나 이상의 좌대; 상기 천공구멍에 삽입되고 한 쪽 끝 부분이 소켓에 결합되는 나사 강봉; 상기 나사 강봉이 결합되는 나사 홈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소켓이 양측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콘크리트보 하부의 좌대를 통해 상향력을 부여하기 위한 강선; 상기 나사 강봉의 다른 한 쪽 부분에 결합되는 경사 지압판; 및 상기 경사 지압판 위에 결합되어 상기 강선에 긴장력을 부여하기 위한 제1 너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나사 강봉이 상기 제1 및 제2 수직보의 전단위험단면 내에 설치되어 상기 콘크리트보의 모멘트 및 전단내력을 보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콘크리트보 강선 보강구조물{Post-Tension Steel Wire Structure For Reinforced Concrete Beam}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콘크리트보 강선 보강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내력이 부족한 콘크리트보에 대해 강선을 보다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별도의 설비없이 간단히 너트를 조임으로써 긴장력을 가해줄 수 있는 콘크리트보 강선 보강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일반적으로 건축물이나 교량의 주요 구조 부재인 보를 보강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탄소섬유 보강법, 철판 부착 보강법, 철골보 추가 보강법, 강선 보강법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 중, 탄소섬유 보강법은 콘크리트에 에폭시 접착제를 이용하여 탄소섬유재를 부착하는 방법으로 시공이 간편한 장점이 있으나, 전단내력을 보강하는 데 있어 취약하다. 철판 부착 보강법도 에폭시 접착제를 사용하여 콘크리트와 철판을 부착시키는 공법인데 시공 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나아가, 상기 탄소섬유 보강법과 철판 부착 보강법의 경우 에폭시 접착제를 사용하는데, 에폭시는 열에 약하므로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 콘크리트와 보강재가 접착력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철골보 추가 보강법의 경우에는 큰 내력을 보강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철판 부착 보강법과 마찬가지로 비용이 많이 들고 시공 후 천정고가 낮아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강선 보강법이 비용면에서 가장 경제적이고 기존의 천정 마감재를 철거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어 주목할 만하다. 그러나, 종래의 강선 보강법은 인장내력의 보강에는 적합하나 전단내력을 보강할 수 없거나 전단내력을 보강할 경우에는 고가의 별도 비용이 소요되어 널리 활용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대한민국특허 제375937호에서는 상술한 강선 보강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전단보강부재를 사용하는 전단 및 인장 동시보강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에서는 전단내력을 보강하기 위해 별도의 전단보강부재가 필요하며, 모멘트내력을 보강하기 위해 별도의 인장 텐셔닝(tensioning) 장치를 사용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 특허를 포함한 종래의 강선 보강법은 모멘트내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강선에 인장력을 부여하기 위해 콘크리트 보에 정착장치(앵커)를 설치하는데, 정착장치의 구조가 복잡하여 이를 설치하는 데 불편함이 있으며, 강선에 긴장력을 부여하기 위해 상기한 인장 텐셔닝 장치를 도입해야 하므로, 시공에 있어서 공간의 제약을 받게 된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강선 보강법의 여러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별도의 인장 텐셔닝 장치가 없이 너트를 회전시킴으로써 강선에 긴장력을 부여함으로써 공간의 제약을 없애고, 시공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보다 간편한 시공이 가능한 콘크리트보 강선 보강구조물을 발명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콘크리트보에 보강 강선의 긴장력을 도입하기 위한 별도의 정착장치를 설치하지 않고서도 모멘트내력을 보강할 수 있는 콘크리트보 강선 보강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멘트내력 뿐만 아니라 전단내력을 동시에 보강할 수 있는 콘크리트보 강선 보강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의 텐셔닝 장치가 없이 사람의 힘으로 너트를 조임으로써 강선에 긴장력을 보다 용이하게 부여할 수 있는 콘크리트보 강선 보강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텐셔닝 장치를 위한 별도의 작업공간이 없더라도 강선에 긴장력을 부여할 수 있는 콘크리트보 강선 보강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콘크리트보의 인접한 수직보가 벽체와 일체로 되어 있는 경우에도 보강 강선을 설치할 수 있는 콘크리트보 강선 보강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콘크리트보 강선 보강구조물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콘크리트보 강선 보강구조물의 나사 강봉이 결합되는 부분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1의 A 부분에 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콘크리트보 강선 보강구조물의 좌대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의 B 부분에 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콘크리트보 강선 보강구조물의 나사 강봉이 결합된 부분에 대한 측단면도로서 도 2의 C-C'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콘크리트보 강선 보강구조물에 강선을 지지하기 위한 좌대가 설치된 경우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로서 도 3의 D-D'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콘크리트보 강선 보강구조물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콘크리트보 강선 보강구조물의 나사강봉이 결합되는 부분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6의 E 부분에 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콘크리트보 강선 보강구조물의 나사 강봉이 결합된 부분에 대한 측단면도로서 도 7의 F-F'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소켓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a)도는 소켓의 평면도이고 (b)도는 소켓의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콘크리트보 1a: 제1 수직보
1b: 제2 수직보 2a, 2b, 2': 천공구멍
3: 좌대 4a, 4b, 4': 나사 강봉
5: 강선 6a, 6b, 6': 소켓
7a, 7b: 경사 지압판 7': 지압판
8a, 8b: 제1 너트 8': 너트
9a, 9b: 제2 너트 10: 벽체
31: 좌대 고정 볼트 32: 좌대 고정 너트
발명의 요약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구체예에 의하면, 콘크리트보; 상기 콘크리트보의 양단에 수직으로 인접하고 있고, 천공구멍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제1 수직보 및 제2수직보; 상기 콘크리트보의 하부에 정착되는 하나 이상의 좌대; 상기 천공구멍에 삽입되고 한 쪽 끝 부분이 소켓에 결합되는 나사 강봉; 상기 나사 강봉이 결합되는 나사 홈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소켓이 양측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콘크리트보 하부의 좌대를 통해 모멘트내력을 부여하기 위한 강선; 상기 나사 강봉의 다른 한 쪽 부분에 결합되는 경사 지압판; 및 상기 경사 지압판 위에 결합되어 상기 강선에 긴장력을 부여하기 위한 제1 너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나사 강봉이 상기 제1 및 제2 수직보의 전단위험단면 내에 설치되어 상기 콘크리트보의 모멘트 및 전단내력을 보강할 수 있는 콘크리트보 강선 보강구조물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보 강선 보강구조물은 상기 나사 강봉에 결합되어 있는 제1 너트가 풀리지 않도록 단단히 결속시키기 위한 제2 너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좌대(3)는 강관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구체예에 의하면, 단부에 천공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콘크리트보; 상기 콘크리트보의 양단에 수직으로 인접하고 있고, 천공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제1 수직보 및 벽체; 상기 콘크리트보의 하부에 정착되는 하나 이상의 좌대; 상기 천공구멍에 삽입되고 한 쪽 끝 부분이 소켓에 결합되며, 다른 한 쪽 끝 부분은 경사 지압판과 제1 너트가 결합되는 나사 강봉(4a); 상기 천공구멍에 삽입되고, 양 쪽 끝 부분에 2개의 지압판이 결합되고 상기 2개의 지압판 사이에 소켓이 결합되어 너트에 의해 고정되는 나사 강봉(4'); 및 상기 나사 강봉(4a)이 결합되는 나사 홈이 형성되어 있는 소켓(6a)과 상기 나사 강봉(4')의 양측에 결합되는 소켓과 결합되어 있고, 상기 콘크리트보 하부의 좌대를 통해 긴장력을 부여하기 위한강선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나사 강봉(4a)이 상기 제1 수직보의 전단위험단면 내에 설치되어 상기 콘크리트보의 모멘트 및 전단내력을 보강할 수 있으며, 상기 나사 강봉(4')의 직경은 상기 나사 강봉(4a)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보 강선 보강구조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구체예에 의하면, 양단부에 천공구멍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콘크리트보; 상기 콘크리트보의 양단에 수직으로 인접하고 있는 양측 벽체; 상기 콘크리트보의 하부에 정착되는 하나 이상의 좌대; 상기 각각의 천공구멍에 삽입되고, 양 쪽 끝 부분에 2개의 지압판이 결합되고 상기 2개의 지압판 사이에 소켓이 결합되어 너트에 의해 고정되는 나사 강봉; 및 상기 각각의 나사 강봉의 양측에 결합되는 소켓과 결합되어 있고, 상기 콘크리트보 하부의 좌대를 통해 긴장력을 부여하기 위한 강선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보 강선 보강구조물이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콘크리트보 강선 보강구조물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콘크리트보 강선 보강구조물의 나사 강봉이 결합되는 부분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1의 A 부분에 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보 강선 보강 구조물은 콘크리트보(1)의 양단에 수직으로 인접하고 있는 제1 수직보(1a)와 제2 수직보(1b) 각각에 나사 강봉(4a, 4b)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나사 강봉(4a, 4b)의 한 쪽 끝에 소켓(6a, 6b)을 통해 강선(5)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콘크리트보(1)의 하부에는 좌대(3)가 한 개 이상 결합되어 있는데, 상기 강선(5)이 좌대(3)와 맞물려 강선에 긴장력이 주어지면, 콘크리트보(1)에 모멘트내력을 보강해 줄 수 있도록 발명되어 있다. 강선에 긴장력을 주는 방법으로는 상기 나사 강봉(4a, 4b)의 다른 한 쪽 끝에 경사 지압판(7a, 7b)을 결합한 다음 제1 너트(8a, 8b)를 조여줌으로써 강선을 긴장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너트(8a, 8b)가 단단히 조여진 상태에서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2 너트(9a, 9b)를 결합시킨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나사 강봉(4a, 4b)은 제1 및 제2 수직보(1a, 1b)에 형성된 천공구멍(2a, 2b)에 결합된다. 상기 천공구멍(2a, 2b)은 아래 자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수직보(1a, 1b)의 전단위험단면 내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수직보(1a, 1b)에 별도의 전단보강이 필요 없게 된다. 천공구멍(2a, 2b)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햄머드릴이나 코아드릴 등과 같은 천공 장비를 사용할 수 있다. 천공구멍(2a, 2b)의 각도는 해당 콘크리트보의 폭과 길이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하여 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소켓(6a, 6b)의 내부에는 나사 강봉(4a, 4b)이 볼트 회전에 의해 결합될 수 있도록, 내부에 나사 홈(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소켓(6a, 6b)의 나사 홈이 형성된 부분의 다른 쪽 부분에는 강선(5)과 연결되는데, 강선(5)과 소켓(6a, 6b)을 연결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주물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좌대(3)는 콘크리트보(1)의 하부에 결합된다. 도 1에는 좌대(3)를 2개 결합한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2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필요에 따라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좌대(3)를 콘크리트보(1)에 고정시키는 방법은 앙카 볼트(anchor bolt)나 케미칼 앙카(chemical anchor)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강선(5)은 다수의 철사형 부재를 엮어 제작하는데, 종래 강선 보강구조물에 사용하는 강선과 동일한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경사 지압판(7a, 7b)은 천공구멍(2a, 2b)의 경사에 따라 달리 제작되어야 한다. 즉, 나사 강봉(4a, 4b)과 제1 너트(8a, 8b)가 수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한 쪽 면의 각도를 적절하게 설정해야 한다. 상기 경사 지압판(7a, 7b)은 철재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보 강선 보강구조물은 나사 강봉(4a, 4b)에 결합되는 제1 너트를 조여줌으로써 강선(5)에 긴장력을 줄 수 있다. 종래의 강선 보강구조물에서는 강선(5)에 긴장력을 주기 위해 별도의 정착장치를 설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텐셔닝(tensioning) 장치를 정착장치 및 강선에 연결하여 긴장력을 부여해야 하기 때문에 텐셔닝 장치를 위한 작업 공간을 확보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작업 공간이 작은 경우에는 강선 보강구조물을 시공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정착장치와 텐셔닝 장치가 없이, 너트를 조여줌으로써간편하게 긴장력을 부여할 수 있다. 특히, 토크 랜치(Torque Wrench)를 이용하여 사람의 힘으로 너트를 조여줄 수 있기 때문에, 작업 공간이나 장비의 운송비용, 작업시간, 작업비용 등의 측면에서 유리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콘크리트보 강선 보강구조물의 좌대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의 B 부분에 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좌대(3)는 콘크리트보(1)의 하부에 결합되어 강선에 부여되는 긴장력을 통해, 콘크리트보(1)에 상향력을 주는 역할을 한다도 3에서는 상기 좌대(3)는 강관을 반으로 절단하여 사용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좌대(3)는 좌대 고정 볼트(31)와 좌대 고정 너트(32)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으나 통상적인 다른 고정 방법을 통해 고정시킬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콘크리트보 강선 보강구조물의 나사 강봉이 결합된 부분에 대한 측단면도로서 도 2의 B-B'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보 강선 보강구조물은 나사 강봉(4a, 4b)이 전단위험단면(S)의 안쪽에 설치된다. 종래의 강선 보강구조물에서는 정착장치를 설치하여 강선에 긴장력을 줌으로써, 콘크리트보의 모멘트내력을 보강할 수는 있지만, 정착장치를 전단위험단면 안쪽에 설치할 수 없어 전단내력을 보강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전단위험단면 내에 나사 강봉(4a, 4b)의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강선(5)의 긴장에 의해 콘크리트보의 모멘트내력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전단내력의 보강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콘크리트보 강선 보강구조물에 강선(5)을 지지하기 위한 좌대(3)가 설치된 경우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로서 도 3의 D-D'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좌대(3)는 콘크리트보(1)의 하부에 결합되며, 강선(5)에 긴장력이 주어지면, 콘크리트보에 윗 방향으로 상향력을 가해줄 수 있도록 강선(5)과 맞물려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대(3)는 좌대 고정용 볼트(31)와 너트(32)를 이용하여 콘크리트보(1)에 고정시킬 수 있으나, 고정시키는 방법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른 다양한 형태의 고정방법을 적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콘크리트보 강선 보강구조물을 시공하는 순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 콘크리트보(1)에 인접한 제1 및 제2 수직보(1a, 1b) 각각에 드릴을 이용하여 천공구멍(2a, 2b)을 적절한 각도로 형성한다.
(b) 형성된 천공구멍(2a, 2b)에 나사산을 갖고 있는 나사 강봉(4a, 4b)을 끼운다.
(c) 양 쪽 끝 부분에 소켓(6a, 6b)이 결합되어 있는 강선(5)을 준비하여, 소켓(6a, 6b)의 나사홈에 나사 강봉(4a, 4b)을 회전하여 결합시킨다.
(d) 상기 나사 강봉(4a, 4b)의 다른 한 쪽 끝 부분에 경사 지압판(7a, 7b)을 결합시킨다.
(e) 상기 경사 지압판(7a, 7b)을 결합한 다음, 그 위에 제1 너트(8a, 8b)를 결합시키고, 제1 너트를 조여주면서 강선에 긴장력을 부여한다.
(f) 필요한 긴장력에 이를 때까지 제1 너트(8a, 8b)를 조여준 다음, 제2 너트(9a, 9b)를 체결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강선 보강구조물을 시공하는 데 있어서, 실제로 작용된 긴장력을 계산할 수 있는데, 그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단계 (e)에서 제1 너트를 결합시킨 상태(긴장력을 부여하기 전)에서 나사 강봉(4a, 4b)에 표시를 해 둔다. 제1 너트를 조여주면 표시된 부분이 밖으로 돌출되는데, 돌출되는 부분의 길이를 측정함으로써 긴장력의 크기를 계산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콘크리트보 강선 보강구조물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콘크리트보 강선 보강구조물의 나사 강봉(4')이 결합되는 부분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6의 E 부분에 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보 강선 보강구조물을 적용하는 데 있어서, 지하 건물의 외벽과 같이 콘크리트보의 한 쪽이 벽체와 인접한 경우에는, 도 1과 같이 제2 수직보(1b)에 나사 강봉(4b)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 구멍(4b)을 천공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콘크리트보(1)의 단부에 새로운 삽입 구멍(2')을 천공하여, 나사 강봉(4')과 소켓(6')을 이용하여, 강선(5)을 연결하는 방식을 도입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 삽입 구멍(2')은 제2 수직보(1b)에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콘크리트보(1)에 형성한다. 여기서 사용하는 나사 강봉(4')의 직경은 상기 제1 수직보(1a)에 삽입하는 나사 강봉(4a)의 직경보다 더 큰 것을 사용하는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제1 수직보(1a)에 삽입하는 나사 강봉(4a)이 강선(5)의 긴장력에 의해 나사 강봉(4a)의 길이 방향으로 힘을 받는 것에 반하여, 나사 강봉(4')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힘을 받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는 강선(5)과 결합된 소켓(6')에 나사 강봉과 결합되기 위한, 천공 구멍(61', 도 9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이 천공구멍(61')은 콘크리트보(1)의 천공구멍(2')과 일치되어, 나사 강봉(4')이 결합된다. 상기 소켓(6')은 2개의 지압판(7')사이에 결합되며, 너트(8')의 조임에 의해 단단히 결속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콘크리트보 강선 보강구조물의 나사 강봉(4')이 결합된 부분에 대한 측단면도로서 도 7의 F-F'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콘크리트보 강선 보강구조물은 콘크리트보(1)에 천공된 구멍(2')에 나사 강봉(4')을 결합하고, 나사 강봉(4')의 양측에 지압판(7')을 끼운 다음, 소켓(6')을 결합시키고, 다시 지압판(7')을 결합시킨다. 소켓(6')과 지압판(7')을 단단히 결속시키기 위해 너트(8')로 단단히 조여준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소켓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a)도는 소켓의 평면도이고 (b)도는 소켓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 사용하는 소켓(6')도 나사 강봉(4')과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되어 강선(5)으로부터의 긴장력을 받기 때문에, 천공 구멍(6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천공 구멍(61')에 나사 강봉(4')이 결합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콘크리트보 보강구조믈의 시공 순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 콘크리트보(1)에 인접한 제1 수직보(1a), 및 상기 콘크리트보(1)의 벽체와 가까운 단부에 각각에 드릴을 이용하여 천공구멍(2a, 2')을 형성한다.
(b) 형성된 천공구멍(2a, 2')에 나사산을 갖고 있는 나사 강봉(4a, 4')을 끼운 다음, 상기 나사 강봉(4')의 양쪽에 지압판(7')을 끼운다.
(c) 나사 강봉(4a)의 한 쪽 끝 부분과 나사 강봉(4')의 양 쪽 끝 부분에 소켓(6a, 6')이 결합되어 있는 강선(5)을 준비하여, 소켓(6a, 6')의 나사 홈 및 천공 구멍(61')에 나사 강봉(4a, 4')이 삽입되도록 소켓(6a, 6')을 결합시킨다.
(d) 상기 나사 강봉(4a)의 다른 한 쪽 끝 부분과 나사 강봉(4')의 양 쪽에 경사 지압판(7a) 및 지압판(7')을 결합시킨다.
(e) 상기 경사 지압판(7a) 및 지압판(7')을 결합한 다음, 그 위에 제1 너트(8a)와 너트(8')를 결합시키고, 제1 너트를 조여주면서 강선에 긴장력을 부여한다.
(f) 필요한 긴장력에 이를 때까지 제1 너트(8a)를 조여준 다음, 제2 너트(9a)를 체결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콘크리트보(1) 양측 모두가 벽체와 인접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콘크리트보(1)의 양단부에 천공 구멍(2')을 각각 형성하여, 도 7에 도시한 나사 강봉(4') 결합 구조를 적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콘크리트보(1)의 양단부에 천공구멍(2')이 각각 형성한다. 상기 콘크리트보(1)의 양단에는 벽체(10)가 수직으로 인접하고 있으며, 상기 콘크리트보(1)의 하부에는 하나 이상의 좌대(3)가 정착된다.
다음, 나사 강봉(4')을 상기 콘크리트보의 양단부에 있는 각각의 천공구멍(2')에 삽입하고, 나사 강봉(4')의 양 쪽 끝 부분에 2개의 지압판(7')을 결합한다. 상기 2개의 지압판(7') 사이에는 소켓(6')을 결합하고, 너트(8')를 조여줌으로써 고정시킨다.
본 발명의 강선(5)은 상기 각각의 나사 강봉(4')의 양측에 결합되는 소켓(6')에 결합되고, 상기 콘크리트보(1) 하부의 좌대(3)를 통해 상향력을 부여한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보에 보강 강선의 긴장력을 부여하기 위한 별도의 정착장치를 설치하지 않고서도 모멘트내력을 보강할 수 있고, 나아가 전단내력을 동시에 보강할 수 있으며, 별도의 텐셔닝 장치가 없이 사람의 힘으로 토크 렌치를 이용하여 너트를 조임으로써 강선에 긴장력을 보다 용이하게 부여할 수 있고, 텐셔닝 장치를 위한 별도의 작업공간이 없더라도 강선에 긴장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시공이 가능한 콘크리트보 강선 보강구조물을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5)

  1. 콘크리트보(1);
    상기 콘크리트보(1)의 양단에 수직으로 인접하고 있고, 천공구멍(2a, 2b)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제1 수직보(1a) 및 제2 수직보(1b);
    상기 콘크리트보(1)의 하부에 정착되는 하나 이상의 좌대(3);
    상기 천공구멍(2a, 2b)에 삽입되고 한 쪽 끝 부분이 소켓(6a, 6b)에 결합되는 나사 강봉(4a, 4b);
    상기 나사 강봉(4a, 4b)이 결합되는 나사 홈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소켓(6a, 6b)이 양측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콘크리트보(1) 하부의 좌대(3)를 통해 긴장력을 부여하기 위한 강선(5);
    상기 나사 강봉(4a, 4b)의 다른 한 쪽 부분에 결합되는 경사 지압판(7a, 7b); 및
    상기 경사 지압판(7a, 7b) 위에 결합되어 상기 강선(5)에 긴장력을 부여하기 위한 제1 너트(8a, 8b);
    로 이루어지고, 상기 나사 강봉이 상기 제1 및 제2 수직보의 전단위험단면 내에 설치되어 상기 콘크리트보(1)의 모멘트 및 전단내력을 보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보 강선 보강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 강봉(4a, 4b)에 결합되어 있는 제1 너트(8a, 8b)가 풀리지 않도록 단단히 결속시키기 위한 제2 너트(9a, 9b)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보 강선 보강구조물.
  3. 단부에 천공구멍(2')이 형성되어 있는 콘크리트보(1);
    상기 콘크리트보(1)의 한 쪽에 수직으로 인접하고 천공구멍(2a)이 형성되어 있는 제1 수직보(1a) 및 상기 콘크리트보(1)의 다른 한쪽에 수직으로 인접한 벽체(10);
    상기 콘크리트보(1)의 하부에 정착되는 하나 이상의 좌대(3);
    상기 천공구멍(2a)에 삽입되고 한 쪽 끝 부분이 소켓(6a)에 결합되며, 다른 한 쪽 끝 부분은 경사 지압판(7a)과 제1 너트(8a)가 결합되는 나사 강봉(4a);
    상기 천공구멍(2')에 삽입되고, 양 쪽 끝 부분에 2개의 지압판(7')이 결합되고 상기 2개의 지압판(7') 사이에 소켓(6')이 결합되어 너트(8')에 의해 고정되는 나사 강봉(4'); 및
    상기 나사 강봉(4a)이 결합되는 나사 홈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소켓(6a)과 상기 나사 강봉(4')의 양측에 결합되는 소켓(6')과 결합되어 있고, 상기 콘크리트보(1) 하부의 좌대(3)를 통해 긴장력을 부여하기 위한 강선(5);
    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나사 강봉(4a)이 상기 제1 수직보의 전단위험단면 내에 설치되어 상기 콘크리트보(1)의 모멘트 및 전단내력을 보강할 수 있으며, 상기나사 강봉(4')의 직경은 상기 나사 강봉(4a)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보 강선 보강구조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 강봉(4a)에 결합되어 있는 제1 너트(8a)가 풀리지 않도록 단단히 결속시키기 위한 제2 너트(9a)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보 강선 보강구조물.
  5. 양단부에 천공구멍(2')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콘크리트보(1);
    상기 콘크리트보(1)의 양단에 수직으로 인접하고 있는 벽체(10);
    상기 콘크리트보(1)의 하부에 정착되는 하나 이상의 좌대(3);
    상기 각각의 천공구멍(2')에 삽입되고, 양 쪽 끝 부분에 2개의 지압판(7')이 결합되고 상기 2개의 지압판(7') 사이에 소켓(6')이 결합되어 너트(8')에 의해 고정되는 나사 강봉(4'); 및
    상기 각각의 나사 강봉(4')의 양측에 결합되는 소켓(6')과 결합되어 있고, 상기 콘크리트보(1) 하부의 좌대(3)를 통해 긴장력을 부여하기 위한 강선(5);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보 강선 보강구조물.
KR1020040028721A 2004-04-26 2004-04-26 콘크리트보 강선 보강구조물 KR100581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8721A KR100581981B1 (ko) 2004-04-26 2004-04-26 콘크리트보 강선 보강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8721A KR100581981B1 (ko) 2004-04-26 2004-04-26 콘크리트보 강선 보강구조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1381U Division KR200356603Y1 (ko) 2004-04-23 2004-04-23 콘크리트보 강선 보강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2666A true KR20040052666A (ko) 2004-06-23
KR100581981B1 KR100581981B1 (ko) 2006-05-25

Family

ID=37346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8721A KR100581981B1 (ko) 2004-04-26 2004-04-26 콘크리트보 강선 보강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1981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8046B1 (ko) * 2004-07-05 2006-11-23 강신량 외적 포스트텐션 방법을 이용한 보 및 거더 보강장치 및 그를 이용한 보 및 거더의 보강방법
KR100656286B1 (ko) * 2005-02-21 2006-12-11 주식회사 한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인장 및 전단 보강을 위한 외부강선의 정착구조
KR100743864B1 (ko) * 2005-02-02 2007-07-30 김두희 스트랜드를 이용한 슬래브 내력 보강 구조 및 그 방법
KR101329490B1 (ko) * 2012-12-28 2013-11-13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지점 변경으로 처짐이 제어되는 슬림플로어 공법의 데크플레이트 설치 구조 및 그의 시공 방법
CN103953202A (zh) * 2014-02-26 2014-07-30 华侨大学 一种钢筋混凝土梁预应力钢丝绳加固装置及其方法
CN105133849A (zh) * 2015-07-29 2015-12-09 河海大学 一种预应力frp片材加固混凝土梁的预应力装置和施加方法
CN105937304A (zh) * 2016-05-27 2016-09-14 上海二十冶建设有限公司 一种用于工业厂房柱起吊的加固装置及使用方法
KR20180102814A (ko) * 2017-03-08 2018-09-18 황기복 수직하중을 받는 빔 구조
CN111140013A (zh) * 2020-02-08 2020-05-12 王永泉 基于主动控制技术的高层框架柱混凝土置换施工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0956B1 (ko) * 2012-01-27 2012-08-07 토성이앤씨주식회사 강봉과 유압시스템을 이용하여 구조물을 인상하는 보강 구조 및 그 방법
KR101998247B1 (ko) * 2018-10-17 2019-07-10 김성 빔 보강공법 및 빔 보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41869A (ja) * 1985-08-15 1987-02-23 株式会社大林組 既存構造物の補強方法
JPS6462558A (en) * 1987-09-01 1989-03-09 Ohbayashi Corp Method of reinforcing existing structure
KR0159680B1 (ko) * 1995-09-28 1999-01-15 신흥우 교량 보강구 설치방법
JPH10152994A (ja) * 1996-11-26 1998-06-09 Shimizu Corp 撓み障害を生じた小梁の補強方法
KR100277606B1 (ko) * 1998-08-17 2001-01-15 이창남 양방향 트러스를 이용한 구조보강 방법
KR100386478B1 (ko) * 1999-12-28 2003-06-02 이창남 피에스강선 정착장치, 피에스강선 지지장치, 피에스강선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포스트텐셔닝 방법
KR100457398B1 (ko) * 2001-03-15 2004-11-16 이창남 콘볼트를 활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체 보강방법
KR100490017B1 (ko) * 2002-10-17 2005-05-17 박유복 처짐보 보강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8046B1 (ko) * 2004-07-05 2006-11-23 강신량 외적 포스트텐션 방법을 이용한 보 및 거더 보강장치 및 그를 이용한 보 및 거더의 보강방법
KR100743864B1 (ko) * 2005-02-02 2007-07-30 김두희 스트랜드를 이용한 슬래브 내력 보강 구조 및 그 방법
KR100656286B1 (ko) * 2005-02-21 2006-12-11 주식회사 한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인장 및 전단 보강을 위한 외부강선의 정착구조
KR101329490B1 (ko) * 2012-12-28 2013-11-13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지점 변경으로 처짐이 제어되는 슬림플로어 공법의 데크플레이트 설치 구조 및 그의 시공 방법
CN103953202A (zh) * 2014-02-26 2014-07-30 华侨大学 一种钢筋混凝土梁预应力钢丝绳加固装置及其方法
CN103953202B (zh) * 2014-02-26 2016-01-06 华侨大学 一种钢筋混凝土梁预应力钢丝绳加固装置及其方法
CN105133849A (zh) * 2015-07-29 2015-12-09 河海大学 一种预应力frp片材加固混凝土梁的预应力装置和施加方法
CN105937304A (zh) * 2016-05-27 2016-09-14 上海二十冶建设有限公司 一种用于工业厂房柱起吊的加固装置及使用方法
CN105937304B (zh) * 2016-05-27 2019-08-16 上海二十冶建设有限公司 一种用于工业厂房柱起吊的加固装置及使用方法
KR20180102814A (ko) * 2017-03-08 2018-09-18 황기복 수직하중을 받는 빔 구조
CN111140013A (zh) * 2020-02-08 2020-05-12 王永泉 基于主动控制技术的高层框架柱混凝土置换施工方法
CN111140013B (zh) * 2020-02-08 2021-09-07 南京工程学院 基于主动控制技术的高层框架柱混凝土置换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1981B1 (ko) 2006-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1981B1 (ko) 콘크리트보 강선 보강구조물
WO2006012082A2 (en) Anchor wedge for post tension anchor system and anchor system made therewith
KR101043127B1 (ko) Pc강연선을 이용한 지반보강공법 및 지반보강장치
JP4675363B2 (ja) アフターボンド工法に於けるpc鋼棒定着方法、及び該方法の実施に用いる器具
KR100414448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보강재 및 그것을 이용한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
KR100690014B1 (ko) 나선판을 갖는 강재 구조
KR100277606B1 (ko) 양방향 트러스를 이용한 구조보강 방법
KR200356603Y1 (ko) 콘크리트보 강선 보강구조물
KR20100115070A (ko) 와이어 정착용 앵커볼트
JPH10197427A (ja) アンカーとコンクリートとの剪断方向支持能力検定機
KR20040077592A (ko) 조인트 유닛 및 긴장용 너트를 이용한 포스트텐셔닝 보강공법
KR100750762B1 (ko) 잭킹유닛 및 이를 이용한 포스트텐셔닝 보강공법
JP2004124495A (ja) 既製杭の杭頭構造
JP2011043025A (ja) 緊張材を用いた構造物の補強方法
KR100516769B1 (ko) 강연선 케미칼앵카링 및 텐셔닝에 의한 슬래브 또는 보보강 공법
KR20100062300A (ko) 확경부가 형성된 피에스 강연선
KR100442704B1 (ko)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부 인장재 보강 방법 및 그구조
JP2009209646A (ja) 既存木造家屋の耐震補強工法及び耐震補強構造
KR102394128B1 (ko) 설하중에 강한 케이블 보강형 막구조물
KR200351538Y1 (ko) 인장케이블 턴버클 유니트
KR200197017Y1 (ko) 슬리퍼형 피에스강선정착장치(1)
KR200216231Y1 (ko) 슬리퍼형 피에스강선정착장치(1) 및 이를 이용한바닥슬래브(10) 보강 방법
KR200296003Y1 (ko) 강연선 매입 내화보강구조
KR200362980Y1 (ko) 강연선의 케미칼앵카링 및 텐셔닝에 의한 슬래브 또는보의 보강 구조
KR200291546Y1 (ko) 보의 전단 및 인장이 동시보강되는 보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