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1538Y1 - 인장케이블 턴버클 유니트 - Google Patents

인장케이블 턴버클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1538Y1
KR200351538Y1 KR20-2004-0006903U KR20040006903U KR200351538Y1 KR 200351538 Y1 KR200351538 Y1 KR 200351538Y1 KR 20040006903 U KR20040006903 U KR 20040006903U KR 200351538 Y1 KR200351538 Y1 KR 2003515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ud
socket
turnbuckle
coupled
tension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69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유복
Original Assignee
박유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유복 filed Critical 박유복
Priority to KR20-2004-00069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15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15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153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12Connections or attachments, e.g. turnbuckles, adapted for straining of cables, ropes, or wi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장케이블 턴버클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서, 강구조물의 러그플레이트(11)에 체결되는 것으로서, 제1나사부(22)가 형성된 제1소켓(20); 외주에 나사가 형성되어 제1소켓(20)에 일부 결합되는 제1스터드(30); 제1스터드(30)가 제1소켓(20)에 고정될 수 있도록 제1스터드(30)에 체결된 후 조여지는 제1너트(40); 인장케이블(L)이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되며 제2나사부(52)가 형성된 제2소켓(50); 외주에 나사가 형성되어 제2소켓(50)에 일부 결합되는 제2스터드(60); 제2스터드(60)가 제2소켓(50)에 고정될 수 있도록 제2스터드(60)에 체결된 제2너트(70); 제1소켓(20)에서 돌출된 제1스터드(30)와 제2소켓(50)에서 돌출된 제2스터드(60)에 동시 결합될 수 있도록, 일측에 왼편 나사를 가지는 왼편나사부(81)가 형성되고, 타측에 오른편 나사를 가지는 오른편나사부(82)가 형성된 턴버클(8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장케이블 턴버클 유니트{Cable turnbuckle unit}
본 고안은 인장케이블과 철골구조물을 연결시키는 인장케이블 턴버클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경기장이나 공항, 또는 육교등과 같은 건축물을 건축하는데 있어 큰 중량의 철골구조물이 사용되는데, 이러한 철골구조물은 고장력 인장케이블에 의하여 지주나 천정과 연결된다. 예를 들면, 철골구조물이 제1인장케이블과 연결되고, 제2인장케이블이 지주나 천정에 연결된 상태에서, 제1,2인장케이블을 턴버클을 이용하여 연결함으로써, 철골 구조물의 시공이 진행되는 것이다. 이때, 통상적인 턴버클(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관통공(2)이 형성된 것이며, 턴버클(1)의 상단부에는 왼편 방향의 나사부가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오른편 방향의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단의 나사부에는 제1인장케이블과 연결되는 제1타이바(3)가, 그리고 하단의 나사부에는 제2인장케이블과 연결되는 제2타이바(4)가 설치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철골 구조물을 시공하는데 있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과 강구조물 사이를 연결시켜주는 턴버클의 내외부가 완전히 노출되어 있고, 타이바의 대부분이 노출되어 있으므로, 전체적인 철골 구조물의 미관을 해치게 된다. 더 나아가, 케이블은 제1,2타이바의 고리에 역어지는 구조를 가지므로, 이 역시 전체적인 철골 구조물의 미관을 해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턴버클의 내외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비나 눈이 턴버클의 내부로 들이침으로써 부식을 진행시키고, 이에 따라 턴버클이 손상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미관이 좋지 않은 부분을 내장시킴으로써, 시공된 전체적인 철골구조물의 미관을 해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인장케이블 턴버클 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을 최소화시켜 눈이나 비에도 부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인장케이블 턴버클 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인장케이블을 연결시키는 턴버클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인장케이블 턴버클 유니트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있어서, 제1소켓과 제2소켓에 일부 체결된 제1,2스터드 및 턴버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제2소켓에 인장케이블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철골구조물 11 ... 러그플레이트
20 ... 제1소켓 21 ... 체결부
22 ... 제1나사부 25 ... 체결부재
30 ... 제1스터드 40 ... 제1너트
42 ... 나사부 50 ... 제2소켓
52 ... 제2나사부 60 ... 제2스터드
70 ... 제2너트 72 ... 나사부
80 ... 턴버클 81 ... 왼편나사부
82 ... 오른편나사부 83 ... 압지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인장케이블 턴버클 유니트는, 강구조물의 러그플레이트(11)에 체결되는 것으로서, 제1나사부(22)가 형성된 제1소켓(20); 외주에 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제1소켓(20)에 일부 결합되는 제1스터드(30); 상기 제1스터드(30)가 상기 제1소켓(20)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스터드(30)에 체결된 후 조여지는 제1너트(40); 인장케이블(L)이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되며 제2나사부(52)가 형성된 제2소켓(50); 외주에 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제2소켓(50)에 일부 결합되는 제2스터드(60); 상기 제2스터드(60)가 상기 제2소켓(50)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스터드(60)에 체결된 제2너트(70); 상기 제1소켓(20)에서 돌출된 제1스터드(30)와 상기 제2소켓(50)에서 돌출된 제2스터드(60)에 동시 결합될 수 있도록, 일측에 왼편 나사를 가지는 왼편나사부(81)가 형성되고, 타측에 오른편 나사를 가지는 오른편나사부(82)가 형성된 턴버클(8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턴버클(80)에는 스패너 등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편편한 압지부(83)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첨부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인장케이블 턴버클 유니트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인장케이블 턴버클 유니트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있어서, 제1소켓과 제2소켓에 일부 체결된 제1,2스터드 및 턴버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제2소켓에 인장케이블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인장케이블 턴버클 유니트는, 철골구조물(10)에 결합되는 제1소켓(20)과, 제1소켓에 일부 결합되는 제1스터드(30)와, 제1스터드(20)를 제1소켓(20)에 고정시키는 제1너트(40)와, 인장케이블(L)이 결합된 제2소켓(50)과, 제2소켓(50)에 일부 결합된 제2스터드(60)와, 제2스터드(60)를 제2소켓(50)에 고정시키는 제2너트(70)와, 제1소켓(20)에 고정된 제1스터드(30)와 제2소켓(50)에 고정된 제2스터드(60)를 동시 결합시키는 턴버클(80)을 포함한다.
제1소켓(20)의 하부에는 철골구조물(10)의 러그플레이트(11)에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부(21)가 형성되어 있다. 제1소켓(20)은, 체결부(21)가 러그플레이트(11)에 결합된 상태에서, 그들을 관통하는 관통공(11a)(21a)에 체결부재(25)가 체결됨으로써, 철골구조물(10)에 체결된다.
또한, 제1소켓(20)에 상부에는, 외주에 나사(32)가 형성된 제1스터드(30)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제1나사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제1너트(40)는, 제1스터드(30)가 제1소켓(20)에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스터드(30)와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부(42)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1너트(40)는, 제1스터드(30)를 제1소켓(20)에 대하여 조여줌으로써, 제1스터드(30)와 제1소켓(20) 사이의 마찰력을 증가시켜 제1스터드(30)가 회전되지 못하게 하는 것이다.
제2소켓(50) 내부에는 콘 형상의 구멍(5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인장케이블(L)은 구멍(51)에 결합되어 이탈되지 않는다. 이를 위하여, 인장케이블(L)의 끝단을 먼저 구멍(51)에 넣은 후, 끝단을 풀어 헤친다. 이후에, 인장케이블(L)의 풀어진 끝단이 있는 구멍(51)에 고온의 액상 금속을 넣은 후 식히게 되면, 금속이 풀어진 인장케이블(L)의 끝단과 엉겨붙어 결과적으로 인장케이블(L)은 제2소켓(50)에 고정된다.
또, 제2소켓(50)에는, 외주에 나사(62)가 형성된 제2스터드(6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제2나사부(52)가 형성되어 있다.
제2너트(70)는, 제2스터드(60)가 제2소켓(50)에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2스터드(60)와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부(72)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2너트(60)는, 제2스터드(60)를 제2소켓(50)에 대하여 조여줌으로써, 제2스터드(60)와 제2소켓(50) 사이의 마찰력을 증가시켜 제2스터드(60)가 회전되지 못하게 하는 것이다.
턴버클(80)은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이며, 제1소켓(20)에서 돌출된 제1스터드(30)와 제2소켓(50)에서 돌출된 제2스터드(60)를 동시 결합될 수 있도록,일측에 왼편 나사가 형성된 왼편나사부(81)가 형성되고, 타측에 오른편 나사가 형성된 오른편나사부(82)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턴버클(80)의 대략 중앙에는 스패너 등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편편한 압지부(83)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 상기와 같은 구조의 인장케이블 턴버클 유니트의 동작을 설명한다.
인장케이블(L)을 철골구조물(10)의 러그플레이트(11)에 연결시키기 위하여, 먼저 제1소켓(20)의 체결부(21)를 러그플레이트(11)에 체결부재(25)를 이용하여 체결시킨다.
이후, 제1소켓(20)에 제1스터드(30)를 결합시킨 후, 제1너트(40)를 제1스터드(30)에 결합시켜 조임으로써, 제1스터드(30)가 제1소켓(40)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한편, 인장케이블(L)이 결합된 제2소켓(50)에 제2스터드(60)를 결합시킨 후, 제2너트(70)를 제2스터드(70)에 결합시켜 조임으로써, 제2스터드(60)가 제2소켓(50)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턴버클(80)을 제1스터드(30)와 제2스터드(60)에 동시에 결합시킨 후 회전시키면, 제1스터드(30)와 제2스터드(60)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제1소켓(20)에 고정된 철골구조물(10)과, 제2소켓(50)에 결합된 인장케이블(L)을 연결시키는 것이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인장케이블 턴버클 유니트에 따르면, 미관이 좋지 않은 부분을 내장시킴으로써, 시공된 전체적인 철골구조물의 미관을 해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스터드가 턴버클 내부로 완전히 내장됨으로써, 눈이나 비에 노출되지 않아 결과적으로 턴버클이나 스터드가 부식되어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강구조물의 러그플레이트(11)에 체결되는 것으로서, 제1나사부(22)가 형성된 제1소켓(20);
    외주에 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제1소켓(20)에 일부 결합되는 제1스터드(30);
    상기 제1스터드(30)가 상기 제1소켓(20)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스터드(30)에 체결된 후 조여지는 제1너트(40);
    인장케이블(L)이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되며 제2나사부(52)가 형성된 제2소켓(50);
    외주에 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제2소켓(50)에 일부 결합되는 제2스터드(60);
    상기 제2스터드(60)가 상기 제2소켓(50)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스터드(60)에 체결된 제2너트(70);
    상기 제1소켓(20)에서 돌출된 제1스터드(30)와 상기 제2소켓(50)에서 돌출된제2스터드(60)에 동시 결합될 수 있도록, 일측에 왼편 나사를 가지는 왼편나사부(81)가 형성되고, 타측에 오른편 나사를 가지는 오른편나사부(82)가 형성된 턴버클(8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케이블 턴버클 유니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턴버클(80)에는 스패너 등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편편한 압지부(8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케이블 턴버클 유니트.
KR20-2004-0006903U 2004-03-13 2004-03-13 인장케이블 턴버클 유니트 KR2003515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6903U KR200351538Y1 (ko) 2004-03-13 2004-03-13 인장케이블 턴버클 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6903U KR200351538Y1 (ko) 2004-03-13 2004-03-13 인장케이블 턴버클 유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1538Y1 true KR200351538Y1 (ko) 2004-05-22

Family

ID=49346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6903U KR200351538Y1 (ko) 2004-03-13 2004-03-13 인장케이블 턴버클 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1538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167Y1 (ko) * 2009-02-13 2009-10-05 나경원 케이블 장력조절장치
KR101573180B1 (ko) * 2015-06-12 2015-11-30 선병순 마감 고정구조를 갖는 턴버클
KR102667767B1 (ko) * 2023-08-16 2024-05-21 주식회사 디에스글로벌이씨엠 구조용 케이블 시스템
KR102675968B1 (ko) * 2023-08-16 2024-06-17 주식회사 디에스글로벌이씨엠 인장단이 보강된 구조용 케이블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167Y1 (ko) * 2009-02-13 2009-10-05 나경원 케이블 장력조절장치
KR101573180B1 (ko) * 2015-06-12 2015-11-30 선병순 마감 고정구조를 갖는 턴버클
KR102667767B1 (ko) * 2023-08-16 2024-05-21 주식회사 디에스글로벌이씨엠 구조용 케이블 시스템
KR102675968B1 (ko) * 2023-08-16 2024-06-17 주식회사 디에스글로벌이씨엠 인장단이 보강된 구조용 케이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56917A (en) Co-axial joint system
US6675546B2 (en) Universal connector
US10605284B2 (en) Coupling nut and hold-down construction method
JP4598337B2 (ja) 接続装置
SK158495A3 (en) Apparatus for joining structural components
KR200351538Y1 (ko) 인장케이블 턴버클 유니트
KR20040052666A (ko) 콘크리트보 강선 보강구조물
KR20180037561A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장치
KR100428425B1 (ko) 트러스 구조물
EP1200683B1 (en) Co-axial joint system
KR20190097436A (ko) 교량의 박스거더용 발판현가시스템
US20060233604A1 (en) Seismic adapter
US20070062019A1 (en) Assembly for joining structural components without welding
JP4837447B2 (ja) 螺旋状ケーブルハンガーの支持線固定金具
JP2009281027A (ja) 木製トラス骨組部材
JP3934380B2 (ja) 補強装置
JP3852202B2 (ja) トラス状骨組構造体
KR200247630Y1 (ko) 인장 컨넥터 유니트
JP4215125B2 (ja) 支柱固定構造
JPH07279109A (ja) 伸縮継手の取付け構造
JP2847486B2 (ja) 建築物の外装施工用のシート固定具
KR200294982Y1 (ko) 파이프 결속장치
JP2017189055A (ja) 分線金物留め具
KR200379595Y1 (ko) 펜스 고정용 조립체
KR200241334Y1 (ko) 돔 구조물용 결속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